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아동문학비평사 시고(試攷)

        최지훈(Choe, June) 한국아동문학학회 2010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18

        한국아동문학비평사는 1950년 6월을 기점으로 일단 전기(前期)와 후기(後期)로 나눈다. 그것은 광복으로부터 6.25전쟁 발발 때까지의 해방공간 5년을 일제 강점기의 비평사의 연속으로 본 것이며, 그 이후는 완전 분단 상태로 반도 남쪽만의 비평사이기 때문이다. 전기를 다시 비평 맹아기, 오욕수난기로, 후기는 비평모색기, 기초 형성기, 비평전문화기, 비평발전기 등으로 세분했다. 비평 맹아기(1908-1925)는 최남선(崔南善)의 『소년(少年)』이 창간 될 때부터 소파(小波)의 『어린이』지를 비롯한 어린이 잡지가 속출하기 시작하던 1920년대 전반까지이다. 이때는 비평의 맹아라 할 수 있는 투고 작문을 꼲고 평하던 글을 발견할 수 있었던 때이다. 오욕 수난기(1925-1950)는 일제강점기 후반에서 해방공간 5년간을 포함한 기간으로, 이 시기에 본격적인 비평과 이론이 전개되기 시작했다. 이는 주로 문학을 사회주의 운동의 방편으로 삼고 이 이념을 문학 가치의 기준으로 삼고자 하던 주장(카프 문학 활동)이 일색을 이루었다. 1930년대 후반부터 광복이 되기까지 10여 년간은 일제의 탄압으로 우리말과 글로 된 모든 문학 활동이 정지된 암흑기여서 비평도 사라졌다가 광복이 되자 카프의 활동이 그대로 복원되어 나타났다. 비평모색기(1950-1967)는 6.25전쟁과 전후기로 일컬어지는 1950년대와 그리고 4.19와 5.16으로 시작되는 60년대 전반기의 비평 활동이다. 이때는 남북이 적대적인 관계로 완전한 분단을 이루고, 국토와 국민의 삶이 완벽하게 피폐해진 때다. 50년대 전반은 비평이 사라진 진공 상태로 있다가 50년대 후반부터 연평, 계평, 월평 등의 시평 위주로 발표된다. 이때는 ‘반공’ 이념이 절대적인 사회와 국가의 가치로 지배되던 때로서 전 시기에 있었던 사회주의 이념은 완전하게 배격되었다. 이런 때에 아동문학 전문지로서 비정기 간행물인 《아동문학》이 약 10년간 10호까지 발행되어 아동문학 기초이론의 전개를 중심으로 아동문학 비평의 재건이 시도되었다. 기초형성기(1967-1976)에는 전국에 초등교육을 맡을 교사 양성 기관으로서 국립 교육대학이 설립됨으로써 아동문학도 학문적 연구의 대상이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비평 문학의 토대가 되었다. 서민 문학론이 등장하면서 열도 높은 논쟁이 전개되었다. 그것은 이재철의 「아동문학개론」과 같은 탁월한 아동문학연구서와 이오덕의 「시정신과 유희정신」과 같은 평론집, 무크지 《아동문학사상》와 월간 《횃불》과 같은 아동문학 비평 전문지가 간행되었기 때문이었다. 이 시기(1967-1976)는 아동문학 연구와 함께 그 이전의 어느 때보다 활발하게 비평이 전개되었다. 그 대표적 연구자와 논객들은 이재철, 박경용, 임헌영, 오규원, 김요섭, 이상현, 유경환, 이오덕 등이었다. 비평 전문화기(1976~1990)는 계간 아동문학을 위한 비평 전문지 <아동문학평론>가 창간된 1976년을 시발점으로 한다. 이는 이 논문이 발표되는 2010년 현재까지 35년간 계속 발간되고 있는 아동문학사 초유의 전문잡지이면서 비평전문지다. 이 잡지의 존재는 아동문학을 전문으로 하는 평론가가 존재하게 하였으며 아동문학을 위한 비평이 상존하게 했다. 그래서 이 시기에는 신진 전문 평론가들이 잇달아 나타나 한국아동문학 르네상스라고 할 전성기를 열어가는 세력이 되었다. 이 시기에는 아동문학을 학문의 대상으로 연구하는 신진학자들도 여러 대학에서 배출되었으며 중요한 논문들이 계속 생산되었고 한국아동문학학회가 조직되어 오늘까지 활동하면서 한국 아동문학 연구와 비평의 중심이 되고 있다. 비평 발전기(1990~현재)는 한국 아동문학의 르네상스로 일컬어질만한 시기였다. 특히 이 시기에는 동화문학이 융성해졌고, 아동문학 전문지가 속속 창간되었으며 아울러 아동문학을 전문으로 하는 젊은 전문 평론가가 대거 등장했다. 이 시기의 특징으로 ①아동문학 평단의 여성화 추세가 가속화했다. ②많은 젊은 어머니들이 아동도서에 대한 모니터 능력이 탁월해졌다. ③사업이 된 독서지도 운동이 전개되어 비평의 바탕적 분위기를 형성했다. ④ 아동문학 전문지의 족출(簇出)과 좌우 이념적 평단이 형성되었다. The Criticism history for Korean Childrens literature[C.h. 한국아동문학비평사} is divided the Former term and the Latter term from June 1950. I consider that C.h of 5 years, from the Liberation(Aug. 1945) to the Korean war(Jun. 1950)[to be called the time of liberation(해방공간)] is continuity of C.h under the Japanese imperalistic rule. And I consider that C.h after the Korean war is distinguished from C. h before it C.h because of only the Southern Korea without the N. K. C. h of the Former term [the Former] is subdivided in two, the Bud term and the Suffering term. C. h of the Latter term[the Latter] is subdivided into four, the Groping term, the Forming Basic term, the Professional Criticism term, the Developing Criticism term. The Bud term(1908-1925) is from when Namsun Choi published the 1st edition of magazine Sonyun[boy] (1908) to the ist half of 1920s when all sorts of magazine headed by Orini[Children](by Jungwhan Bang) for children were published. This term is when the comment for contributions are found that the words is called buds of review(or criticism). The Suffering term(1925-1950) is the last term of the Japanese imperalistic rule and the time of liberation. This term was beginning to be developped in earnest criticism and literature theory. Such operations are exclusively occupied by KAPF that the critics who use the literatures as an instrument for the socialism or communism movement make the socialism the standard of the value of literature. About 10 years, from the latter half of 1930s to the Liberation of Korea(1945), Korean literatures were the dark term because could not use the Korean words and latters by the Japanese imperalistic rule. Therefore the criticism of literature were disappeared. But when Korea became independent from the Japanese imperalistic rule, the operations of KAPF were intactly restored to the former state. The Groping term.(1950-1967) is the time of the criticism works from the Korean War(1950) to the first half year of 1960s that began with the 4.19(the democratic revolution) and the 5.16(the military coup). This term was the days when the Korean Peninsula was completely divided into two domains on South and North, and S. Korea have made hostile relations with N. Korea. And the term was the days when the life of people have thoroughly become impoverished. On the postwar days -the first half of 1950s, there were not the criticism, but there were the views of year or month or season. On this term, the national worth and ideology was only The Anti-communism. To say nothing of communism, even any socialism cannt be admitted, because anti-communism was the national doctrine or dogma in the boundary of Korea society. At such a time, a mook Adong-Munghak(아동문학/ the Childrens literature) that had been published vol-number from 1st to 10th for about 10 years. These magazines had attemptted rehabilitation of the criticism of the Korean Childrens literatur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basic theory. On the Forming Basic term(1967-1976), the Childrens literature became the subject of study, because there are founded the national teachers collages for elementary education on all parts of country. And the criticism of the childrens literature was based on these situations. On this term, there was full of controversial ardor according to advent of the literature for the humble classes[서민문학]. A cause of these states of the controversy was because of prominent works to be published. There were books of research about the childrens literature as Jeachul Lees The survey of Childrens literature[아동문학개론], essays in criticism as Oduk Lees The spirit of Poet and the spirit of Pastime[시정신과 유희정신], and the children literary journals as mook Adongmunhak Sasang[아동문학사상/ the thought of Childrens literature] and monthly Hwetbul[횃불 / the tor

      • KCI등재후보

        韓國童詩 100年

        신현득(Sin, Hyeon-Deug) 한국아동문학학회 2008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15

        2008년에 한국아동문학은, 한국 현대 아동문학 100년과 한국동시문학 100년을 맞이하게 되었다. 한국현대아동문학은 1908년에 최남선(1890?1957)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唱歌라는 정형동시였다. 창가 이전에는 한국현대문학이 없었으므로 한국현대문학은 아동문학에서 시작된 것이 된다. 또한 한국아동문학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동시에서 시작되었으므로, 한국 아동문학 100년은 곧 동시 100년이다. 정형동시 창가의 첫 시집은 1908년 3월 20일 新文館에서 발행한 최남선 작 『경부텰도노래』였다. 최남선은 창가 형식으로 많은 시작품을 썼으며 특히 동화를 창가 형식에 담은 童話謠 를 창작하기도 하였다. 최근『경부텰도노래』와 이보다 2년 전인 1906년에 일본의 철도창가시인 오와다 다데끼(大和田建樹, 1957?1910)가 한국 침략을 정당화한 내용으로 쓴 『滿韓鐵道唱歌』를 비교 연구한 결과『경부텰도노래(京釜鐵道歌)』가 『滿韓鐵道唱歌』의 대응작임이 밝혀졌다. 이로써 한국 아동문학사는 국권운동에서 시작되었으며, 이를 위해 투쟁한 자랑스러운 역사임이 증명되었다. 국권운동에서 시작된 한국아동문학은 정형시를 중심으로 발전하였는데, 그중에는 학교의 『조선어독본』과 창가책에 실어 교재로 쓴 ‘學校唱歌’도 있었다. 창가는 童謠詩로 발전하여 더욱 예술성을 지니게 되었으며, 윤극영, 방정환, 정열모, 한정동, 윤석중, 김태오, 서덕출, 이원수, 강소천 등 동요시를 전문으로 쓰는 시인들이 출현하였다. 작품 중, 한정동의 동요시 ?굴네 버슨 말?(1930)과 강소천의 ?무궁화와 벌나비?(1931) 등은 일제에 저항하는 작품이었다. 이들 시인 중 윤석중은 우수하고 많은 동요시를 창작하여 세계적 동요시인이 되었다. Korean childrens literature in 2008 is a hundred years old and so does korean nursery rhyme. Korean modern childrens literature had started from a narrative song, rhymed verse by Choi, Nam-sun in 1908. There was no modern literature before a narrative rhyme, so Korean modern literature came to start from Childrens literature. Also, Korean childrens literature has started from nursery rhymes differently with others, so 100-year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is 100- year of Korean nursery rhymes. The first collection of narrative song in rhymed verse was『A Song of Kyung-bu Railway』of Shin Mun Sun by Choi,, Nam-sun, March 20th in 1908. Choi, Nam-sun had written a lot of narrative rhymes and especially a song of childrens story which was in a form of rhymed verse. Recently, as a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A Song of Kyung-bu Railway』and『Yang Han Chuldo Chang Gwa』which justified Koreas invasion by Japanese railway narrative song poet, Deki Owada(Dae Wha Jeaon Gun Soo 1957?1910) were turned out to be corresponding works. Therefore, Korean history of childrens literature started from struggle for national rights and it was turned out to be a proud history. Korean history of childrens literature has developed focused on rhymed verse and there were『Korean selections』and a textbook school narrative song. Narrative song has developed into nursery rhymes and has had artistry. The poets of nursery rhyme appeared including Yoon, Geuk-young, Bang Jungwhan, Jung Yeal-mo, Han, Jung-dong, Yoon,Seok-jung, Kim, Tae-o, Seo,Duk-chul, Lee, Won-soo, Kang., So-chun. Nursery rhyme of Han, Jung-dongs ?Gulne Buseon Mal?(1930) and Kang, So-chuns ?Mugunghwa and bee butterfly?(1931) were works to resist Japan. Among them, Yoon, Suk-jung became a poet of world nursery rhyme.

      • KCI등재후보

        한국 아동문학이 나아갈 지향점

        신헌재(Shin Hun-Jae) 한국아동문학학회 2011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21

        본 논문은 현재 한국 아동문학에 불고 있는 경계 허물기의 경향을 두 가지 접근 방향에서 고찰하였다. 첫째, 한국아동문학의 내적인 경계 허물기 현상이다. 한국아동문학 안에서는 동화와 동시의 장르 한계를 넘어서려는 특성을 들 수 있다. 2000년대 후반기에 한국 아동문학의 동화와 동시가 그 고유 장르의 한계를 넘어 변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첫째, 동화는 소설화 경향을 보인다. 동화의 소설화 경향은 주변 환경의 변화와 내포독자로서의 아동상의 변모에 남다른 자극을 받은 작가들에 의해 일어난 것이다. 그들은 서사문학의 다양성과 풍성함을 동화에 가미함으로써, 아동문학의 수준을 끌어올렸으며 이는 긍정적인 의의로 받아드릴 만하다. 둘째, 동시가 시의 경계 넘나들기이다. 동시의 경계 넘나들기 경향은 동시인들 간에 일어난 동시의 개념 확장과 질적 수준 향상의 발로이다. 이는 아동 발달 정도를 배려한 보다 깊은 성찰과 표현상의 절제와 탁마된 작품으로 나아간다면 동시의 질적 향상을 기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아동문학의 외적인 경계 허물기 현상이다. 한국아동문학이 속해 있는 아시아 아동문학의 경계 허물기는 각 국가에 국한된 아동문학을 넘어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의 동아시아 아동문학과 공통 특성을 공유하는 아동문학군 형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아시아 아동문학군이 세계 아동문학의 주무대로 나아가 서구 중심의 아동문학을 보완할 가능태로서 의미를 가진다고 하겠다. 이러한 가능성을 두 가지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국제아동문학학회 회장을 역임한 장 뻬로(Jean Perrot)는 서구의 후기 식민지주의(colonialism)적 관점에서 아동문학의 관용의 문제를 새롭게 논의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한국을 위시로 한 아시아 지역의 아동문학권에서는 이미 20년 전부터 과거 가해국과 피해국의 경계를 넘으려는 시도를 해왔다는 점이다. 둘째, 아시아 아동문학의 자양과 에너지는 서구의 아동문학이 주로 추고하는 자연과 사물을 객관화, 도구화, 분절화 하는 근대 합리주의 사고경향을 제어함으로써, 보편적인 세계 아동문학의 정체성을 보완?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aimed to explore of aspects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field; one is a change in Korean children’s literature and the other is a change out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Since the second half of the decade in 2000, Korean children’s literature has deconstructed its genre. It is beyond the border of children’s literature boundary. Firstly, children’s novel has changed to adult novel, which is extricating a day dreaming Korean children’s novel. Many writers started to dynamic method to compose them. It could bear a construction to improve literary value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Secondly, poetry for children has changed to adult poetry. Writers of children’s poetry have tended to extend its concepts and contents. However, if this movement would go to deeper considerations and they would write poetry with restraint. Korean poetry for children could be developed. On the other hand Korean children’s literature has deconstructed out of its field. Korean children’s literature field tries to have been combined with Asian children’s literature; Korean, Japan, China and Taiwan have made Asian children’s literature field. It could be a dyanmis to supplement Western children’s literature field. Firstly, Jean Perrot said that post colonialism could show keys to solve problems of children’s literature. However, Asian children’s literature field has tried to deconstruct the border of nationalism. Secondly, Asian philosophy could take alternative direction to western children’s literature.

      • KCI등재후보

        한국 동시문학의 기원과 동시문학사의 필요성

        김관식(Kim, Kwan-sik) 한국아동문학학회 2018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34

        한국 아동문학의 사적 연구는 근대문학 형성기인 일제강점기에 집중되어 있고, 기존의 문학사적인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명을 받지 못해 왔다. 현대 아동문학의 사적인 체계는 1978년 이재철의 「한국현대아동문학사 연구」(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부터이다. 그 후 한국 동시문학에 대한 연구로 신현득의 「한국동시100년-정형동 시를 중심으로」, 최근에 아동문학에 대한 사적 연구로는 원종찬의 『한국아동문학사의 재발견』 등의 저서가 있다 1988년 이재철이 조직한 『한국아동문학회』를 중심으로 아동문학에 대한 연구 논문이 꾸준히 발표되고 있고, 그 밖의 석사학위 아동문학 관련 논문이 꾸준히 발표되고 있으나 이들의 연구는 대부분 현대 아동문학이 태동한 일제강점기의 아동문학에 대한 연구에 편중되어 있으며, 문학사적인 의의가 큰 작가의 작품에 대한 연구에 집중되고 있을 뿐, 현시점에 필요한 아동문학 창작 연구 분야는 저조한 편이다. 한국 동시문학사는 한국 시문학의 전통적인 맥락이 광의적인 동심을 반영한 시가문학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점에서 동시는 시와 별개의 개념이 아니라 한국 시의 원형으로 동심을 광의적으로 해석해야 동시문학의 위상이 정립된다. 따라서 한국 동시의 모태가 된 동시문학을 고대,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역사적인 변천 과정에서 시가의 발달 과정에서 동시의 영역으로 볼 수 있는 작품과 시인들을 올바르게 자리매김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The historical study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is concentrate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has not been significantly illuminated compared to existing literary studies. The private system of modern children’s literature is considered in Lee Jae-chul’s “Research on Korean Modern Children’s Literature” from 1978 (Dank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Ph.D. thesis) and later in Shin Hyun-deuk’s “100 years of Korean simultaneous poetry - focusing on regular poetry.” Recently, further studies have emerged, such as Won Jong-chan’s “Rediscovery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History,” which is a private study of children’s literature. In 1988, Lee Jae-chul organized a research paper on children’s literature centered on the “Korean Children’s Literature Society.” Other master’s degree papers on children’s literature are being published more frequently. Most of these studies are focused on the study of children’s literatur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Research into the works of the writer who has a great significance in literary history is focused on the research of children’s literature, and the creation research field necessary at the present time is poor. The history of simultaneous literature in Korea is not a concept separate from poetry, in that the traditional context of Korean poetry is rooted in poetic literature reflecting broad concentricity. The status of simultaneous literature is established by broadly interpreting the concentricity as a prototype of Korean poetry. Therefore, the simultaneous literature that became the mother of Korean simultaneous poetry was in the process of historical transition from ancient times,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Goryeo period, the Joseon Dynasty. In the development of the cigar, it was necessary to properly establish works and poets that can be seen as simultaneous areas.

      • KCI등재후보

        중국 조선족 아동문학 체계론

        김만석(Kim, Man-Suk) 한국아동문학학회 2008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14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은 초창기 한반도 프로아동문학과 순수아동문학의 영향을 동시에 받았다. 해방 초기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은 조선아동문학과 소련 사회주의 아동문학의 지배적인 영향을 받으면서 창작되었다. 1950년대 후반기부터 중국 좌익의 범위 하에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은 중국의 계급주의아동문학, 정치아동문학의 영향을 받는다. 문화혁명 이후, 중국아동문학을 뒤따라 상처문학, 반성문학의 성격을 띠게 된다. 1990년대에 이르러 중국조선아동문학은 자기의 자주성을 살리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은 나라 안팎의 여러 가지 아동문학의 장점을 널리 수용하여 자기 민족적인 특징을 살려 가면서 중국이라는 사회, 정치, 환경에 적응하는 독자적인 아동문학체계를 구축한 아동문학이 되었다.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은 그 대상을 소년, 아동으로 명확히 밝힌 아동문학이다. 그러면서 아동문학은 성인들이 소년아동을 신심이 건전한 사회성원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쓴 문학임을 강조하고 있다. 때문에 아동문학은 아이들 자신의 유치한 문학이 아니라 어른들과 아이들을 위한 고상한 문학인 것이다. 그리고 일본의 선진적인 아동문학이론을 수용한 중국아동문학리론체계를 받아들여 아동문학을 유년문학, 동년문학, 소년문학으로 나누고, 이 3단계 문학이 통합된 문학임을 선언한 문학이다.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은 동요, 동시, 동화, 우화, 이야기, 수필, 아동소설, 아동희곡. 텔레비영화문학 등으로 그 장르를 나누고 있다. Childrens literature of Ethnic Koreans in China was affected by both early professional children literature of Korean Peninsula and pure childrens literature. In the early liberation, childrens literature of Ethnic Koreans had been created under Joseon childrens literature and socialism through Joseon and the Soviet Union. From the late of 1950s, Childrens literature of Ethnic Korean under the leftist had been affected by childrens literature of classism in China and political childrens literature. After the Cultural Revolution, the literature indicated injury literature, reflection literature following Childrens literature of China. In 1990s, Childrens literature of Ethnic Koreans in China made a step forward independence. Childrens literature of Ethnic Koreans has reflected the good points and characterized their own ethnicity, so it has become independent childrens literature that has adapted to society, politics, environment in China. Childrens literature of Ethnic Koreans in China has targeted for boys and children. In addition, adults have written them to bring up children as social members of sound body and mind. Therefore, childrens literature is not puerile but high-toned literature. Childrens Literature theory system of China has accepted the advanced childrens literature theory of japan and it has combined 3 system; youth literature, young age literature, boys literature. Childrens literature genre of Ethnic Koreans categorizes into nursery song, nursery rhyme, fairy tale, fable, story, essay, childrens novel and television movie literature.

      • KCI등재후보

        방정환 아동문학론의 문학 교육적 함의(含意)

        임성규(Lim, Sung-Kyu) 한국아동문학학회 2008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14

        아동문학 연구의 활황과 더불어 이제는 아동문학 교육을 통해 초등학교의 문학 교수-학습을 개선시켜 나가야 한다. 아동문학은 그 자체로 아동을 위한 계몽적 자질을 내함(內含)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력한 아동 교육의 매재(媒材)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러한 시각에서 우선적으로 고구(考究)되어야 할 것이 아동문학 교육의 철학적 기반을 마련하는 일이다. 이론적, 사상적 기저가 없는 교육 이론은 쉽게 흔들릴 수 있다는 점에서 아동문학 교육의 철학을 정초 하는 일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른 셈이다. 그리고 그러한 중심에 한국 아동 문학의 본격적 문을 연 방정환의 아동 교육 사상이 자리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방정환에 대한 아동문학적 접근은 그의 생애나 동화, 동요 등의 지배적 부분에 치중함으로써 방정환이 지향했던 아동 계몽 철학에 대해서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런 의미에서 방정환이 남긴 아동문학론은 방정환이 기획하고 구상했던 아동문학 교육의 설계도란 점에서 현재의 아동문학 교육을 발전시킬 수 있는 교육적 함의를 내장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것은 바로 아동 존중의 정신에 그 뿌리를 두고 있는 아동 중심의 문학교육 철학과 단순한 교훈을 넘어 심미적 즐거움을 강조하는 교육 설계론이다. 그러므로 성인과 동등한 인격체로 서의 아동을 재발견해냄으로써 근대적 아동문학의 시원을 마련한 방정환의 아동문학 교육 사상을 현재적 관점에서 재조명함으로써 초등학교 의 문학교육을 수행하기 위한 발판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ed to educational thought of Bang Jung-Hwan;s childrens literature through investigating childrens literature essay. He opened full-scale childrens literature through re-discovery of child and childrens literature. It is narrow perception him to establishing person childrens day. So, study of his childrens education philosophy is basic work for making theoretical base of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Creating childrens story and poetry for children is partial view in the his childrens education. His childrens essay have excellent feature for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In this point, Bang Jung-Hwans childrens literature essay is the essence of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and philosophy of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that we have to succeed. Specially, it was gushed Korean soil that anxiety national future. Its spirit help to raise childrens existence to clean position. The succession of his children respect philosophy is modern peoples indispensable task that living today. Actually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is now germinating. Increased childrens literature discourse after 90s help popular concern in childrens literature. But teaching-learning study discourse of childrens literature text in th classroom be have to reclaimed. In this context, we have to make a raise ideological, philosophical base for the root of childrens literature instruction. And this meaningful point, Bang Jung Hwans childrens literature essay is help to new philosophical root formation. Accordingly, more close material inquiry and interpretation work be have to accomplished for basic found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 KCI등재

        미국 아동문학 한국전쟁 이야기에서 침묵 깨기 - Brother’s Keeper를 중심으로 -

        위종선(Wee, Jongsun)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0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7

        미국에서 한국전쟁은 잊힌 전쟁 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전쟁으로 꼬리표가 붙어있다. 이러한 사실은 미국 아동문학에서도 반영되어 미국 그림책 분야에서 한국전쟁은 거의 찾아볼 수가 없다. 이 논문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연구범위를 넓혀 그림책은 물론 고학년용 소설까지 한국전쟁을 소개한 책을 살펴보고 지난 삼십 년간 얼마나 많은 미국 아동문학이 한국전쟁을 소개하였는지 정리해 보았다. 또 미국에서 출판된 한국전쟁 이야기는 한국전쟁을 독자와의 거리감을 두고 소개하였다는 선행연구의 분석을 분석기준으로 삼아 최근에 출판된 한국전쟁 이야기에서도 여전히 그러한 결과를 찾을 수 있는지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2020년에 출판된 Brother’s Keeper는 그 동안 한국전쟁을 소개한 미국아동문학과는 달리 시간, 장소, 초점의 관점에서 볼 때 독자와 한국전쟁 사이에 거리감을 두지 않고 오히려 독자가 주인공과 함께 한국전쟁을 경험하도록 문학적 요소를 구성하였음 발견하였다. Brother Keeper는 미국 어린이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역사적인 사건인 한국전쟁을 생동감 있게 그려냈고, 미국 아동문학 한국전쟁 이야기에서 뜻깊은 변화 또한 보여주었다. The Korean War has a nickname as a forgotten war, or an unknown war in the United States (U.S.). As this fact is reflected in children’s literature, the Korean War could rarely be found in the picture books in the U.S. Expanding from the previous studies on the Korean War in the picture books published in the U.S., the present study surveyed stories about the Korean War from picture books to middle-grade novels and summarized how many American children’s literature depicted the Korean War in the last thirty years. The present study also analyzed the most recently published children’s book about the Korean War in the U.S. to examine if the book introduces the Korean war to readers with a sense of distanc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Brother’s Keeper published in 2020 was different from the previously published books about the Korean War. In terms of time, place, and focus, Brother’s Keeper did not create a distance between readers and the Korean War. Rather, it used literary elements to help readers experience the war with the protagonist. Brother’s Keeper vividly depicted the Korean War, which is not a well-known historic event for American children. It also shows a meaningful change in the Korean War story in children’s literature in the U.S.

      • KCI등재후보

        아동문학 창작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

        이도환(Lee, Do-Hwan) 한국아동문학학회 2008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15

        본고는 2008년 현재 문예창작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전국의 각 대학에서 행해지고 있는 아동문학 관련 교육 내용과 실태를 점검해보고 이에 대한 문제점의 지적과 이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해보는 글이다. 문학은 이제까지 시, 서사(소설), 평론이라는 다소 고답적이고 단순했던 개념의 분류에서 벗어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물결 속에서 아동문학도 새로운 개념의 정립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그러나 아동문학은 낡은 이론의 틀에서 조금도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아동문학’은 단순히 ‘어린이들을 위한 읽을거리’로 폄하되어 본격문학에 편입되지 못하고 특수문학이라는 틀에 얽매여 있다. 그러므로 아동문학이 대학에서 본격적인 문학 교육의 과정 중 하나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그 이론적 틀을 새롭게 정립할 필요가 있다. 우선 아동문학에 대한 정의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성인인 작가가 아동이나 동심을 가진 아동다운 성인에게 읽히기 위해 쓴 모든 저작’이라는 개념부터 수정, 보완되어야 한다. 문학 작품을 만들어낸 작가의 정체성과 그 대상 독자의 구분으로 해당 문학을 정의하는 것 자체가 시대착오적이며, 아동문학의 본질이 아닌 그 기능에 의지한 개념이기 때문이다. 아동문학의 개념을, 아동문학 작품을 만들어내는 작가의 정체나 작품을 읽는 독자의 대상으로 정의하여서는 안 된다. 작품이 지닌 미학적 특징과 형식의 특징으로 구분하여야 한다. 대학에서의 아동문학 창작 교육이 본격적인 궤도에 오르기 위해서는 아동문학 자체가 인문학의 연구 범위 안에 들어설 수 있도록, 그 이론적 토대를 새로운 시대에 어울리게 만들어야 하는 것이 첫 번째 과제라고 하겠다. This article has researched the reality an the contents related to juvenile literature done in the department literary creation of universities. Also, it has clarified the problems and considered the solution to them. Literature has been getting out of the highbrow and simple classifications including poem, narration(novel) and criticism. From the transition wave, juvenile literature needs to establish a new concept. However, juvenile literature has not taken one step further from the old-fashioned theoretical frame and juvenile literature has been lowered into only stories for children and has not been incorporated into the main literature, but into the special literature.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theoretical frame is needed for juvenile literature to gain a firmer foothold in universities. First of all, the definition that is widely used requires to revise; all the writings that adult or children writers write to be read by childlike grownups. It is anachronistic to define literature by classifying writers identity and target readers. Also, this definition is based on the function not on the essence. Juvenile literature should not be defined from writers identity or the target readers, but should be based on aesthetic features and forms. The creative education of juvenile literature should be included in humane studies to go into a main orbit on the basis of theoretical foundation. That is the first task.

      • KCI등재후보

        한국 아동문학 기점 연구

        신정아(Shin, Jung-a) 한국아동문학학회 2017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32

        한국 아동문학 기점과 관련된 논의는 주로 「소년」과 「어린이」잡지에 한정 지어 연구되었다. 그러나 아동문학의 정의가 성인이 어린이를 대상으로 창조한 문학의 총칭이라고 볼 때, 보통 학교령 시기 발행된 초등 국어 교과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신현득은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1908.3)에 실린 창가 「표의」가 한국 동시문학의 기점을 논하는 데 중요한 작품을 담당하는 작품이 될 수 있다고 언급하면서, 우리나라에서 공식적으로 어린이에게 제공된 최초의 시임을 주장하였다. 이후 필자 또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에 김인식이 작사·작곡한 「표의」가 실린 것이 확인된바, ‘한국 최초의 창작 동요로서 한국아동문학의 기점이 될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피력하였다. 따라서 본고는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에 실린 「표의」를 아동문학의기점으로 논의하는 데 필요한 근거를 추적하는 데 주력하였다. 그것은 바로 「표의」의 작사가를 분명히 밝히고, 발표일을 명확히하는 작업이다. 살펴본바, 「표의」가 보통학교령 시기 교과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1908.3.1)에 실렸고, 김인식 작사인 「표모가」와 가사가 일치하는 것은 한국 아동문학의 기점이 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또한, 일제강점기 유일한 조선어 교과서 『조선어독본』에 수차례 수록되었고, 애국창가를 집대성한 『최신창가집』에 수록된 것, 일본의 『소학창가집』에 실리지 않은 것은 「표의」가 한국의 것임을 증명한다. 아울러 다수의 서적에서 「표의」가 작사가 김인식 내지는 「표모가」라는 제목으로 거론되고 있음은 물론 『보통교육창가집』과 관련된 논의는 물론 「표의」의 작사가가 김인식이라는 가능성을 제기해 주는 자료가 될 것이다. Research pertinent to the origin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has been conducted, with limited studies on the magazines called Sonyeon (The Boys) and Eorini (The Children). However, considering that children’s literature, by definition, is a collective term for all literature created by adults for children, it is necessary to scrutinize Basic Reader of Joseon (Korean) Language for Primary School Students, which is an elementary-level language textbook published for children who are eligible to go to elementary school. Hyundeuk Shin argued that the song titled Pyoeui, which was included in the Basic Reader of Joseon Language for Primary School Students(1908.03), would play a critical role in discussions about the origin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claiming that the song was the first official poem written for children in Korea. I also verified that Pyoeui, composed and written by Insik Kim, was included in Basic Reader of Joseon Language for Primary School Students, and hence claim that the song was the first children’s song in Korea and that it was most likely the origin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finding necessary evidence to support the argument that Pyoeui, which was included in Basic Reader of Joseon Language for Primary School Students, is the origin of children’s literature. That is,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lyricist of the song and clarify the release date. Upon much examination, I could confirm that Pyoeui was published in Basic Reader of Joseon Language for Primary School Students(1908.3.1)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at the song’s lyrics were identical to those of another song called Pyomoga, which was written by Insik Kim. This could serve as evidence that Pyoeui is the origin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Furthermore, the song was frequently included in the Joseon Language Reading Book, the only Joseon language textbook that exist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It was also included in The Latest Song Collection, a compilation of songs to encourage patriotism, and was not included in the Japanese Sohak Songs Collection. This proves that Pyoeui is a Korean song. In addition, the fact that many books make reference to Pyoeui with Insik Kim as a lyricist or mention the song with the title of Pyomoga, along with many discussions pertinent to “Primary School Song Collection,” serve as evidence that it is highly possible that Insik Kim is the lyricist of Pyoeui.

      • KCI등재후보

        근당 최창남의 아동문학 연구

        전병호(Jeon, Byeong-ho) 한국아동문학학회 2019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36

        최창남은 한국 현대아동문학 형성기에 〈아이생활〉을 중심으로 작품활동을 했다. 그러나 그동안은 아동문학사에서 잊혀진 이름이었다. 그러다가 전순동 교수가 『근당 최창남의 아동문학 50선』을 엮어냄으로써 재조명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최창남은 청주에서 태어났다. 만 20세에 공직에 나갔고 1918년에 기독교에 귀의하였다. 이후 민족을 살리는 길은 교육뿐임을 깨닫고 사립학교 국어 교사가 되었다. 그는 문학 작품을 창작 또는 번역하였고, 한글운동, 신사참배 반대 등 다양한 아동문화운동을 전개하면서 민족정신과 독립 의지 고취에 힘썼다. 그 때문에 일본 경찰에 체포, 구금되기도 하였다. 필자는 『근당 최창남의 아동문학 50선』에 나타난 오류를 바로잡고, 이를 계기로 최창남의 창작 아동문학 작품을 분석하였다. 최창남은 주로 기독교 관련 잡지에 작품을 발표하였는데, 작품의 주제는 기독교정신 구현 이외에 교육적 의도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창남은 소파 방정환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활발하게 전개되었던 민족주의 아동문화운동을 충북에 도입, 실천한 선구자였다. 그는 청주지역을 중심으로 민족정신 고취와 독립 의지를 심어 준 아동문학가이며 아동문화운동가로 자리매김하기에 충분하다고 할 것이다. Choi Chang-nam was an avid writer during the formation of Korea’s children’s literature, his works mostly shown in The Children’s Life. For a while, his name was forgotten in the history of children’s literature. Then, Professor Jeon Soon-dong’s The Studies on 50 Children’s Literary Works of Choi Chang-nam brought him out again and gave a new chance to review his works. Choi Chang-nam was born in Cheongju. He worked as a public servant at the age of 20, but converted to Christianity in 1918 and became a Korean language teacher at a private school after realizing education is the only way to save the nation. He wrote and translated children’s literature works, and tried to promote national spirit and independence movement by launching various children’s cultural activities, including Hangeul movement and opposition to shrine visits. For that reason, he was arrested and detained by the Japanese police. The author tried to correct some errors in The Studies on 50 Children’s Literary Works of Choi Chang-nam and further analyze Choi’s works. He presented his works mainly in Christian magazines, but the theme of his works was not only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Christian spirit, but also for educational purpose. Choi Chang-nam was a pioneer in introducing and practicing the nationalist children’s culture movement in Chungbuk, which was spreading fast nationwide with Bang Jung-hwan at the forefront. Based in Cheongju, he was an important child culture activist and children’s literature writer who instilled a spirit of nationalism and a will of independ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