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 교양교육의 방향과 과제: 역량기반 교양교육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이숙정,이수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2

        This study proposes competence-based education as a new direction of general education, investigates S Women’s University’s case, and presents significance and tasks of the change to competence-based general education. It asserts the necessity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as follows: first, competence-based education overcomes the conflict between liberal educ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two needs; second, it proposes a new approach to knowledge and new teaching methods, criticizing the traditional curriculum focused on knowledge; and third, it links between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ized education by solving the limits of the existing school curriculum. This study examines the competence-based education program of S Women’s University as a case. The university has two types of required general education program, ‘Competence Development Course I ’ and ‘Competence Development Course II ’, through which students can develop basic and key competencies. It also evaluates students’ competencies with SM-CLA(SM-Collegiate Learning Assessment), and offers upgrade courses for improvement of cognitive and social competencies. The paper shows the result of SM-CLA and the effect of upgrade courses. On the basis of the case study, it suggests that competence-based education should be based upon intrinsic value of general education, be connected with the existing academic curriculum, and make continuous efforts for developing teaching methods and instructors’ competencies. 본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의 새로운 방향으로서 역량기반 교양교육을 제안하고, 한국의 대학에서 실제로 운영되고 있는 역량기반 교양교육의 사례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역량기반 교양교육의 시사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역량기반 교양교육으로의 전환의 필요성으로는 첫째, 역량기반 교양교육은 자유교육과 직업교육의 대립을 극복하고 인문 교양적 자유교육과 사회 현장에서 요구하는 직업교육을 통합하며, 둘째, 지식중심의 교육에 대한 비판과 함께 지식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새로운 교육방법을 제안하며, 셋째, 현재의 학교 교육과정이 갖고 있는 모순과 한계를 극복하고 전공교육과 교양교육의 연결점을 찾아 지식과 학문을 통합적이고 총체적으로 접근한다는 점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가 교양교육의 새로운 접근으로서 제안하고 있는 역량기반 교양교육을 실제로 운영하고 있는 S여대는 교양교육원 내에‘ 역량개발센터’라는 전담기구를 두어 기초역량과 핵심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두 가지 교양필수과목을 운영하고 있으며, 각 역량을 진단 및 평가하는 역량측정도구인 SM- C L A 를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학생들의 역량 수준과 향상정도를 평가 및 파악하고 있으며, 인지적 역량과 사회적 역량의 심화과정으로서 역량향상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부족한 역량 및 향상시키고자 하는 역량의 강화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S여대의 역량개발 프로그램을 통한 역량의 향상 정도에 대한 분석과 인지역량 심화과정의 효과에 대한 분석을 통계적인 자료와 함께 제시하였다. 이러한 역량기반 교양교육의 실제적인 운영을 통해 살펴본 역량기반 교육의 방향이자 과제로서 첫째,교양교육의 내재적 가치와 목적을 바탕으로 운영되어야 한다는 점, 둘째, 기존의 학문중심 교육과정과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관계를 상호보완적으로 이해하여야 한다는 점, 셋째, 학생들의 역량개발을 위한 적극적인 참여와 역량개발 의지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다양한 수업방법에 대한 연구와 교수자의 역량개발을 위해 힘써야 한다는 점이 제안되었다.

      • KCI등재

        상황적 학습에 근거한 사회적 참여로서의 협업적 도제학습모형의 현장적용에 대한 탐색

        이숙정 한국열린교육학회 2010 열린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오늘날 교육이 개인에 초점을 두고 지식의 습득과 능력발달에 주된 목적을 두고 있어서, 21세기의 다원화된 사회에서 필요한 함께 일하며 함께 배우는 공동체 의식과 실천적 지식을 키워주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학습을 안내된 사회적 참여(guided social participation)와 관계의 과정으로 보고 상황적 학습(situated learning)에 근거한 협업적 도제학습모형(collaborative apprenticeship model of learning)을 제안하여 현장적용의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Jean Lave와 Etinne Wenger, Barbara Rogoff 등이 제안하는 상황적 학습과 도제교육, 실천공동체 등의 논의에 대한 문헌고찰 방법을 사용하여 협업적 도제학습모형을 구성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지식의 상황성과 학생들의 능동적 참여 및 협업을 강조하는 협업적 도제학습모형을 구안하였다. 본 모형은 교사와 학생이 함께 협업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간다는 점에서는 인지적 도제모형(cognitive apprenticeship model)과 유사하지만, 문제 자체를 구체화하여 문제해결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이 학생들 주도로 이루어지며 교사의 개입은 최소한으로 제한한다는 점에서 인지적 도제모형과 차이가 있다. 또한 협업적 도제학습모형이 기존의 인지적 도제모형에서 강조하는 도제학습이나 교수적 도움 및 안내를 포함하고 있지만, 협업의 과정이 3단계의 소집단 탐구절차로 구성되며 소집단 토론과 협의의 과정은 집단 구성원들의 명확한 역할 규정(자료수집 및 정리하기, 발표하기, 질문하기, 피드백 주기)을 따른다는 점에서 독특성을 갖고 있다. 비록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형이 문헌고찰에 기반하고 있으나, 인간의 사회문화적 발달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과 사례들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토대로 하여 앞으로 경험적으로 검증된 통합적 모델을 구안할 수 있다면, 효과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등 다양한 교육적 시도들과 이에 대한 풍부한 논의들이 현장중심의 교육의 변화를 위한 또 하나의 담론을 형성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collaborative apprenticeship model of learning based on situated learning by looking at learning as the process of guided social participation and relationships and seeking the possibility of applying it in the field. The need for such a model is derived from our inability to heighten the sense of community and practical knowledge throughout our lives in order to live together in the pluralistic society of the 21st century, since today’s education is focused on the individual with the main objective of acquiring knowledge and developing capabilities.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this study formed a collaborative apprenticeship model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 regarding situated learning, apprenticeship education, and communities of practice suggested by Jean Lave, Etinne Wenger, and Barbara Rogoff. The study results describe “the collaborative apprenticeship model of learning”, which emphasizes the condition of knowledge and the activ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students. This model is similar to the cognitive apprenticeship model, in that teachers and students work together to resolve problems. However, it is different from the cognitive apprenticeship model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whole process of identifying the problem and resolving it is led by students and intervention from teachers is kept to a minimum. Additionally, the collaborative apprenticeship model of learning includes the apprenticeship learning or the help and guidance of teacher, which are emphasized in the existing cognitive apprenticeship model. The new model is unique, however, in that the process of collaboration consists of three stages of study procedures for a small group; and the small group follows the clear roles (collecting and organizing data, making presentations, asking questions and giving feedback) provided for the group members in the process of discussing and consulting. Even though the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is based on literature review, it is based on the comparison analysis of various theories and examples associated with human social and cultural development. Therefore, if we develop a verified integrated model in the future, then various educational attempts, such a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and a great deal of discussion about these attempts can be expected to create another argument to change field-oriented education.

      • KCI등재

        돌봄의 학교공동체 형성을 위한 여성윤리적 접근 : 나딩스(N. Noddings)와 트론토(J. C. Tronto)의 돌봄의 윤리를 중심으로

        이숙정 한국도덕교육학회 2008 道德敎育硏究 Vol.20 No.1

        The current forms of school community are based on individual-centered education, encouraging intense competition and discouraging educational relationship. This study intends to search an alternative notion of school community to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possibilities of a feminine ethical approach as an alternative perspective in forming of school community with caring. The ethic of caring allows us to look at school community from a relational point of view which is too often neglected in conventional education. Especially, Noddings and Tronto try to understand caring as the universal moral disposition and sociomoral practice. Although there are a few differences between two theorists, both of them give us useful ideas to understand the ethic of caring. Based on these theories,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 guidelines constructive of school community with caring : (a) intersubjective communication, (b) teacher as a mentor, (c) forming of collaborative learning, and (d) building of mutual trust relationship between school community members. These four points are expect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current schooling and to construct educational relations based on caring. Building school communities based on ethic of caring might be able to offer possibilities to change the current forms of schooling into caring and mutual trust. As a kind of school culture, the ethic of caring should be taken seriously into account in forming school community. 본 연구는 돌봄의 학교공동체 형성을 위한 여성윤리로서 돌봄의 윤리를 제시하고 돌봄의 윤리가 학교공동체 형성 및 교육에 주는 시사점과 구체적 실천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길리건(Carol Gilligan)의 돌봄의 도덕성 발달 이론을 시작으로 교육학, 철학, 여성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돌봄의 윤리에 대하여 얘기하고 있다. 그 중 본 연구에서는 돌봄, 관계, 신뢰, 실천의 학교공동체 만들기를 논의하는데 가장 적합하다고 간주되는 나딩스와 트론토의 돌봄의 윤리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할 것이다. 그들이 주장하는 돌봄의 윤리와 학교학습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고, 돌봄의 학교공동체 형성을 위한 네 가지 실천적 방안 - 간주관적 의사소통 관계 형성, 윤리적 스승으로서의 교사의 역할변화, 협업학습의 확대, 학교 구성원들 간의 상호신뢰 구축 - 을 제시하여 우리의 학교와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본다.

      • KCI등재후보

        자기 성찰적 글쓰기 경험이 여대생의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숙정,유지현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4 여성학연구 Vol.24 No.2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self-reflective writing education in university on students’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explores how to apply self-reflective writing to general education program. The participants for the study were 151 undergraduate female students which took specific required classes of general education and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Pre-test and post-test of the two groups were conducted in order to study whether the classes including self-reflective writing affected students’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 identified similarity between two groups through the pre-test of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the first week of the classes, and conducted the post-test with the same scale on the 10th week when self-reflective writing ended in order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were performed for data analyses, using PASW 18.0 program. As a result of self-leadership in experimental group, the mean of the pre-test was 4.013(SD=.530) and the mean of the post-test was 4.215(SD=.526),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As fo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experimental group, the mean of the pre-test was 3.061(SD=.703), that of the post-test was 3.284(SD=.647),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1). However, the deferences between pre- test and post-test in control grou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The study showed that the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took the classes of self-reflective writing as one of general education programs, could develop self refle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recollecting, reconstructing, and reinterpreting their past experiences. 본 연구는 성찰적 글쓰기를 대학 교양교육에 적용하기 위하여 자기 성찰적 글쓰기 경험이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 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에 소재한 S여대에서 교양필수 강좌를 수강하는 학생들 1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성찰적 글쓰기를 포함한 수업내용이 학생들의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의 증진에 효과를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검사는 수업시작 1주차에, 사후검사는 10주차에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ASW 18.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의 셀프리더십 사전평균이 4.103(SD=.530), 사후평균이 4.215(SD=.526)로 나타났고 그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진로준비행동의 경우, 사전평균이 3.061(SD=.703), 사후평균이 3.284(SD=.647)이며 그 차이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그러나 통제집단에서는 모든 변인의 사전-사후 검사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성찰적 글쓰기 교육경험이 학생들에게 과거경험의 회상과 재해석, 그리고 재구성의 과정을 통해 자아성찰 능력과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학교변인과 학생들의 교사신뢰와의 관계: 학교급, 학교학급규모, 남녀공학을 중심으로

        이숙정 한국교육학회 2006 敎育學硏究 Vol.4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the school factors and students' trust in teacher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set up the specific questions as follows: a)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junior/senior high and students' trust in teachers; b)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school class size and students' trust in teachers; c)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co-edu/non co-edu and students' trust in teachers; 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chool factors(junior/senior high, school class size, and co-edu/non co-edu) on students' trust in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90(male: 818, female: 772) from the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Kyunggi, Korea. Students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Students' Trust in Teachers Scale(STTS) developed by Sook-Jeong Lee and Jeong-Shin Han(2004). The data from the test were analyzed in Cronbach α, t-test, intercorrelation,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12.0 computer program. On the analysis, the results appeared as follows: a)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junior/senior high and students' trust in teachers; b) The correlations between school class size and students' trust in teachers was a negative correlations; c)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edu /non co-edu and students' trust in teachers; d) The school factor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students' trust in teachers, and explained about 18% of the students' trust in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some conclusions can be drawn: a) Trust and trust relation develop as growing up; b) The school factors have significant influences upon the trust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This study shows that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s in schools play as much important roles in promoting the trust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변인들 중 학교급, 학교ㆍ학급 규모 및 남녀공학 유형과 학생들의 교사신뢰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학교변인들이 학생들의 교사신뢰 형성에 갖는 함의를 논의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학교급에 따른 교사신뢰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고, 둘째, 학교ㆍ학급규모에 따른 교사신뢰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셋째, 남녀공학의 유형에 따른 교사신뢰의 차이를 분석하고, 넷째, 이러한 학교변인들이 교사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분석에 사용한 통계 프로그램은 SPSS 12.0 프로그램이었으며 분석방법은 t-검증, 상관분석, 분산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이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에 따른 교사신뢰의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ㆍ학급규모와 교사신뢰 수준은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학교ㆍ학급규모가 작을수록 교사신뢰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녀공학 유형에 따른 교사신뢰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남녀공학의 교사신뢰 수준이 비공학 학생들의 교사신뢰 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러한 학교변인들은 학생들의 교사신뢰를 약 18% 정도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와 신뢰관계는 학교조직의 맥락과 특성에 영향을 받는 심리적 구인이다. 본 연구결과는 학교급, 학교ㆍ학급 규모 등의 학교변인들이 학생의 교사신뢰 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교수·학습 방법에 따른 역량중심 교과목 효과연구 ― 대학 신입생을 중심으로

        이숙정,박소연,유지현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4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certification of the effects of competence-based subject with educational methods. For this study design set up 3 experimental group namely, problem-based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general lecture on competence development Ⅰ opened S Women’s University and 1 control group. The effects variables of competence development Ⅰ lecture was selected successful competence of organizational lif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ffects of competence development Ⅰ lecture with educational methods was partially significant.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all factor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 Moreover, it was found that 2 factor namely, challenge achievement and self professionalism of successful competence of organizational lif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 Based on the test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was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학습 방법에 따른 역량교육의 효과가 차이가 나는지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S여대의 역량관련 교과목인 ‘역량개발 Ⅰ’의 PBL 중심수업과 자기주도학습 중심수업에 따라 조직생활 성공역량,진로결정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진로준비행동은 집단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결정효능감의 경우, 목표선택, 직업정보, 미래계획, 문제해결 4개의 하위척도 모두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생활 성공역량의 경우, 도전성취와 자기전문 2개 척도에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학생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어떻게 의미있게 전달할 것인지에 대한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유방암 환자의 상지감각변화와 어깨관절기능 및 우울

        이숙정,전시자,노영숙,박영미 지역사회간호학회 2008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19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among change in the sensation of the arms, the range of motion in the shoulders and depress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Method: This is a descriptive study on correlation. The participants were 132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and had mastectomy at a university hospital, and had participated in a breast cancer self-help group. The degree of depression was assessed by SCL-90-R scor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2.0 for Windows. Results: The participants complained of ‘heaviness’ as the most frequent and serious symptom of change in the sensation of the arms. ‘Completely zip up the dress with a backfastening zipper’ was the most difficult motion of the shoulders. Participants who were in a worse stage of disease were in a worse condition in shoulder functions, and on a higher degree of depression. The degree of change in sensation and shoulder function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and both of them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depression. Conclusion: Sensation and motion change in the arms and the shoulders were common phenomena that affected depression in patients who had mastectomy. Nurses should consider not only depression but also discomfort of the arms and the shoulders for patients with mastectomy.

      • KCI등재
      • 학교유형이 학생들의 공감 및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숙정,이경주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과학연구소 2002 사회 교육과학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학교유형에 따른 청소년기 학생들의 공감수준과 사회적 능력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어떠한 학교유형이 공감과 사회적 능력발달에 더 효과적인 환경인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남녀공학과 비공학에 재학중인 중학생들의 공감과 사회적 능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서울시에 소재한 중학교 2학년 학생들 중 남녀공학에 재학중인 학생 103명과 비공학에 재학중인 학생 121명, 총 224명을 대상으로 하여 질문지법에 의해 공감과 사회적 능력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유형별로 학생들의 공감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남녀공학 학생들이 비공학 학생들보다 공감수준이 높게 나타났다(남녀공학 M=34.21, 비공학 M=30.84). 둘째, 학교유형에 따른 사회적 능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별로 조금씩의 차이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남녀공학 M=153.65, 비공학 M=156.40, p>. 05). 남학생의 경우, 대인적응성을 제외하고 나머지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사교성, 사회참여도, 주도성, 인기도)들은 모두 남녀공학이 비공학 학생들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여학생의 경우 사교성과 대인적응성, 사회적 참여는 남녀공학이 더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고, 주도성과 인기도는 비공학이 더 높게 나타났으나 이러한 집단간의 차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지 못했다. 청소년기는 자아정체감을 확립하고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과 신체변화와 함께 정서적인 변화를 수용하고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적응과 조화를 이루어야 하는 시기이다. 학교에서의 자연스런 상호작용을 통해 남녀간의 사회적, 정서적 특성들을 공유하고 모델링 하면서 그들의 사회적 관계, 권리, 의무 등에 대한 인식과 함께 인지적 능력 뿐 아니라 정서적 능력에 대한 서로간의 이해와 배려는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을 탈피하고 남녀간의 장점을 배우면서 공감과 이타적인 사회적 능력을 발달시키는데 더 적절한 학교환경이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성찰적 글쓰기 활동이 여대생의 Self-authorship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숙정,신정혜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6

        본 연구는 대학생의 self-authorship의 성장과 발달에 촉진 효과를 미칠 수 있는 교양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지도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로써, 성찰적 글쓰기 활동의 효과적인 지도를 통해 그 목적을 성취하고자 한다. 성인기의 인지적·정서적 발달 개념인 self-authorship은 이미 북미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적절한 학문적 용어로 번역되지 않은 상황이며, 학문적 논의와 연구 활동이 미흡한 시점이다. Self-authorship은 성인이 인생 전반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도전적 상황과 문제들을 해결하고 이겨나가는데 필요한 내적 능력을 의미한다. 성인기의 인생을 설계하고 자아실현을 해 나가는 과정에서 크고 작은 어려움을 경험하게 될 성인 초기의 대학생들에게 self-authorship의 성장과 발달의 촉진은 개인의 성취를 자극하고 삶의 만족을 높이는데 견고한 기반이 될 수 있다. 연구자들은 서울 소재 여자대학에서 성찰적 글쓰기 활동을 포함하여 운영되고 있는 교양필수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 중 자발적으로 심층면접에 참여한 33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러한 교육활동이 참여자들의 self-authorship 발달에 촉진적인 효과를 미쳤는지 여부와 그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탐색했다. 연구자료 수집 방법으로 사용된 심층면접은 성찰적 글쓰기 활동에 대한 참여자들의 인식을 탐색했다. 더불어 참여자들이 작성한 성찰적 글쓰기 산물을 문서 분석하여 과제 수행 중에 참여자가 경험한 비판적 성찰의 깊이와 self-authorship 발달의 증거를 탐색했다. 성찰적 글쓰기 활동이 참여자의 self-authorship의 성장과 발달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탐색하기 위한 보조적인 방법으로 글쓰기 활동이 시작되기 전과 종료된 후에 반복적으로 self-authorship 설문지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는 성찰적 글쓰기 활동이 참여자들에게 비판적 성찰의 기회를 제공했고, 깊이 있는 비판적 사고에 몰입한 참여자들에게서 self-authorship 수준의 긍정적 변화를 확인했다. 그 과정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친 요인들의 탐색은 유사한 목적을 띄고 있는 교양교육 프로그램의 디자인, 실행 및 평가 방법에 있어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한 여자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행되어 그 결과의 일반화가 제한적이므로 다양한 연령대와 전공, 그리고 남학생을 포함한 참여자 그룹을 접근하여 후속연구를 실행할 필요가 있다. While the literature on self-authorship has illuminated how pedagogical efforts can facilitate college students’ self-authorship (e.g., Baxter Magolda, 2001, 2003, 2004), we hardly know about how this developmental concept can be promoted in Korean context. The concept of self-authorship is articulated as the foundation of many modern life demands that adults should successfully achieve. For college students, self-authorship is related to their internal capability that meets specific challenges they may encounter in their present college lives and future career. Research participants were found in a large women's university in Seoul. Research data were drawn from 33 voluntary participants who were taking mandatory general study course I or II for a semester. This study explores how the reflective writing program affected college students’ self-authorship development during a semester and what factors make a difference throughout the whole processe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order to explore participants’ reflective writing experiences. Participants’ reflective writing products were analyzed in order to examine the quality of critical reflection that participants involved in the writing process. Self-authorship survey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reflective writing program. Findings indicate that the reflective writing program stimulated participants’ critical reflection that is conducive to their self-authorship development. In addition, influential factors that may facilitate or hider critical reflection have been illuminated.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lies in the potential to guide the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similar liberal education programs that aim to facilitate college students’ self-authorship development. The current study is expected to stimulate further research on self-authorship development across different settings that include both genders, different age groups, and a variety of majors found in highe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