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젠더 정체성을 통한 여성기자의 이미지 고찰 - 부산 여성기자를 중심으로 -

        하정화 ( Jeong Hwa Ha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0 여성학연구 Vol.20 No.-

        본 논문은 지역 언론사에서 가시적, 비가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성차별의 특징들을 여성주의 개념 속에서 규명하고, 언론사 내부와 지역 사회 기저에 깔려 있는 다양한 성차별에 맞서고 있는 여성기자들의 젠더 정체성과 이미지를 분석한 글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내러티브 인터뷰를 선택했다. 연구참여자는 총 26명으로 전 현직 여성기자, 남성기자 등 1년부터 20년의 경력의 기자들이다.언론 조직과 일상생활에서의 여성기자의 젠더 경험은 젠더화된 문제의식을 가지게 해주는 한편, 여성기자로서의 정체성과 이미지에도 변화를 가져다준다. 여성기자는 남성 중심의 언론 조직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대개의 경우 젠더에 대한 인식을 배제한 채 기자에게 요구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남성지향적 기자 이미지를 드러냈다. 아니면 ‘여성’이라는 인식과 ‘기자’라는 역할 사이에서 선택적 공존을 하는 여성지향적 기자 이미지를 보이기도 했다. 어느 단계에서는 여성기자로서의 융합을 보이는 가운데 젠더 정체성, 즉 페미니스트 기자 이미지로 나타나기도 했다. 이러한 다중적인 여성기자 이미지는 젠더에 대한 인식, 성차별 경험 정도, 기자 경력 등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여성기자의 젠더 경험은 여성기자가 ‘기자’가 아닌 ‘여성기자’로 불리는 것을 거부하게도 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부산 지역 제1세대 여성기자들에게 여성기자로서의 인식을 투철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함으로써 페미니스트 정체성을 인식하게 해주는 계기가 되었다. Female reporters are professional workers as producers of media content and are also opinion leaders. Compared with their male counterparts, however, female professionals are handicapped by their gender in their workplace. They experience gender issues in a social framework of patriarchy. The Working conditions for female reporters force them to change their identity. From the start, females could hardly be found in the field of media and they tended to display the identity of a neutral sex, neither of a man or a woman, to adapt themselves to their circumstances. However over time, they felt confused between their identity of a reporter and a woman. The levels of their gender experiences and identity changes vary depending on their careers. Furthermore, they put feminism into practice as an owner of their own life while addressing local issues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ts with self-consciousness as female reporters.In this article I will attempt to analyze the different types and causes of discrimination and explore various strategies to address this inequality and carry out feminism in the local area of Busan. This will be conducive to improving the situation and voicing women's rights as a representative subject. This study on a local area and local people criticizing and opposing social gender discrimination from a feminist perspective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overall studies of women’s issues.

      • KCI등재

        고학력 여성노동의 현황과 대책

        조영복,곽선화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00 여성학연구 Vol.10 No.1

        본 연구에 의하면 2000년대에는 경제구조의 서비스화와 소프트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이들 분야에서의 직무수가 늘어나고, 인력수요도 높아질 전망이다. 특히 이들 분야는 과거부터 여성인력의 수요가 높았던 분야이고, 더불어 여성인력이 능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었던 분야였던 만큼, 여성인력의 양성과 활용도를 높여야 할 분야이다. 또한 우리 나라에는 아직 사회적이고 경제적이 이유로 활용되지 아니한 고학력여성 인력이 상당히 존재하며, 이는 사회적인 손실일 뿐만 아니라 여성들의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해서도 바람직한 현상이 아니다. 따라서 정부와 기업은 고학력 여성인력을 한편으로는 양성하고 한편으로는 활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사회참여(Social Participation)에 대한 여성장애인의 주관적 인식연구: Q 방법론의 활용

        신유리,김은경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1 여성학연구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women with disabilities concerning ‘Social Participation’, categorize it, and suggest possible ways to improve social participation. with 40 statements related to social participation, Q-sorting was administered to 23 women with disabilities. Using Q-methodology, four types and features of their subjective perception about 'social participation' resulted in the following data. First type is 'Independence oriented economical activities'. Second type is a 'Right oriented acceptance of disability'. Third type is a ‘Self-help oriented combination of social requirement for social participation’. Fourth type is a ‘Relationships oriented leisure activity’. These results will help to develop a theory of social participation for women with disabilities, policies of examination of the standard for social service practices for social service providers in the field of welfare for women with disabilities. The current theories and policies towards social participation for women with disabilities is perceived as ambiguous in Korea.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의 사회참여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을 파악함으로써 사회참여 확대방안 및 사업,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회참여와 관련된 엄선된 40개의 진술문을 가지고, 23명의 여성장애인들을 대상으로 Q 분류를 하게 되었다. Q 방법론을 통해 여성장애인들의 ‘사회참여’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과 그 특성을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 경제적으로 자립적인 삶을 강하게 지향하며 이를 위해 사회참여 중에 소득창출을 위한 경제활동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입장인 ‘자립지향적 경제활동형’, 둘째, 여성장애인의 사회참여는 당연한 권리로써 사회적으로 보장되어야 하며 이러한 사회참여는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장애를 긍정적으로 수용할 때 적극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입장인 ‘권리지향적 장애수용형’, 셋째, 사회참여를 위해 여성장애인 스스로의 의지와 노력이 가장 중요하며, 동시에 사회 참여의 기회가 확대되고 활성화되도록 제도적인 방안과 사회적 지원책이 상호 절충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는 입장인 ‘자조지향적 사회적 요구형’, 넷째, 문화여가활동에 가장 많은 관심과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활동을 통해 일상의 무력감에서 탈피하여 삶의 활력을 얻고자 하는 인식 유형이다. 즉, 개인적인 활동참여와 대인관계형성에 주요한 의미를 두는 입장인 ‘관계지향적 여가활동형’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여성장애인의 사회참여에 대한 의견, 욕구, 가치 등의 주관적 인식에 대한 유형과 그 특성을 구체화함으로써, 여성장애인의 사회참여 확대를 위한 다양한 정책 개발, 여성장애인 복지 실천현장에서 서비스 제공자들의 실천을 점검해 볼 수 있는 데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여성의 노부모 보살핌 경험에 관한 연구

        이동옥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1 여성학연구 Vol.21 No.1

        This paper starts from the question, how the women who offered care labor for their aged parents interpret and give meaning to their experiences. The elderly care in Korean family has been regarded as the gender role embedded in the cultural context of the Confucian filial duty and thus the government has ignored the issue in the public sphere. But the recent increase of the aged people and working women and the visualization of elder abuse stimulated the necessity of the institutionalization of elderly care. Nevertheless, the family and especially women are not free from the responsibility for the elders. This research inquires into the women’s experiences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with the women who cared for elderly parents as daughters or as daughters-in-law. The interviewees were 10 people living in Seoul. Each participant had two or three interviews, for one or two hours per each interview. Their ages are various from the forties to the seventies. The reason why there was no age restriction on interviewees was because this research was interested in any possible change resulting from age difference in the care of elderly parent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search, daughters-in-law's responsibility for parents-in-law in the paternal family tends to have lessened relatively compared with the past. Nevertheless,they still feel that they are responsible for the care of the parents-in-law. Meanwhile, the research shows that the daughters who live with their elderly parents or have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m care for them from their own hearts. Nonetheless, the care for elderly parents was physically, mentally, and emotionally hard work. Women quit the job and experienced the cutting of the career because of the care for elderly parents. Even though women played the multiple roles such as housewives and mothers, their husbands did not support them. Since the elderly care is regarded as the troublesome, odd jobs, and the gendered role, women’s self-esteem was depreciated. Meanwhile, women understood the fact that aging and dying is the course of life through their care for their parents and accepted their time with elderly parents as the precious opportunity to feel empathy with them. The value of elderly care has been ignored in the feminist discourses. But the revaluation of elderly care services will be helpful as women's issue. Despite the institutionalization of elderly care, women's care for elderly parents does not decrease due to distrust of institution and the prejudice that the care of elderly parents are women's job. The idea that the care for elderly parents within family boundary is filial duty fixes women's role and hamper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elderly care. In order not to alienate Women's care for elderly parents, society should encourage men's participation and their emotional and physical support for elderly care. The institutionalization of elderly care in the public sphere should also reduce the economic burden and support the reliable elderly care. 본 논문은 여성들이 가족 내에서 노부모를 보살핀 경험을 어떻게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하는가에서 출발한다. 한국에서 노인보살핌은 유교 효문화의 맥락에서 가족 내의 여성의 역할로서 인식되어 왔고 국가는 방임적인 자세를 취해 왔다. 현재 노인인구의 증가와 취업여성의 증가, 노인학대의 가시화 등으로 인해 노인보살핌의 제도화가 진행되고 있지만 가족, 특히 여성들은 노부모를 책임져야 한다는 의식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이 연구는 며느리와 딸의 위치에서 노부모를 보살핀 여성들에게 심층면접을 실시함으로써 여성들의 경험을 살펴보았다. 심층면접은 현재 서울에 거주하는 10명의 연구참여자에게 2-3차에 걸쳐, 1회에 1-2시간씩 실시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의 연령은 40대-70대까지 다양하다. 연령을 제한하지 않은 이유는 연령간의 차이를 통해 노인보살핌의 책임에 대한 시대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결과, 부계가족 내에서 시부모에 대한 며느리의 책임은 과거보다 줄어든 경향이 있지만, 여전히 며느리들은 의무감을 갖고 있었다. 반면에 친정과의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거나 부모와 함께 사는 딸들은, 부모에 대한 연민과 사랑으로 적극적으로 보살핌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노인보살핌은 정서적, 신체적, 정신적으로 힘든 노동이었다. 여성들은 노부모를 보살피기 위해 직장을 그만두거나 경력 단절을 경험한다. 여성들은 가족 내에서 아내, 어머니 등의 다중적인 역할에도 불구하고 남편의 도움을 받지 못했다. 이와 같이, 노인보살핌은 여성의 역할로 인식되고 있었기 때문에 여성들은 자존감이 저하되었다. 반면에, 여성들은 노부모 보살핌을 통해서 나이듦과 죽음을 삶의 과정으로 수용하고, 아픈 노부모와 교감하면서 시간을 함께 보낼 수 있다고 해석한다. 노인보살핌의 가치는 여성주의의 논의에서 간과되어 왔지만, 가치의 재평가는 여성문제로서 노인보살핌을 해결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노인보살핌의 제도화에도 불구하고, 시설과 유급노동자에 대한 불신과 노부모를 직접 보살피는 것이 효도라는 통념은 여성들의 부담을 경감시키지 못하고 있다. 가족의 틀 안에서만 노부모를 보살피는 것이 최선이라는 사고는 제도적 지원의 의미를 변형시키고 여성들의 역할을 고정시킨다. 노부모 보살핌이 여성들의소외된 노동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가족과 사회의 차원에서 정서적 지원과 남성들의 참여를 권장하는 한편, 제도적 차원에서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키고 신뢰할만한 대체인력을 지원해야 한다.

      • KCI등재

        해방, 기억 그리고 성(性) - 중국 현대 여성소설의 존재 의식 -

        이상옥 ( Sangok Lee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0 여성학연구 Vol.20 No.-

        현대 중국의 여성소설에 표출된 자아의식에 대한 분석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중국 현대의 독특한 역사의 발전 과정이 중국 문학, 특히 여성소설의 본질적 내용을 구성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공산당 이데올로기 시대 이후 현재까지의 60여 년의 여성소설을 3단계의 상호 구별되는 역사 과정으로 귀납하여 각기 시대의 특징의 표상화를 연구 방법으로 한다. 첫째, ‘해방’이후 개혁, 개방 이전까지의 시기로 이데올로기와 반(反) 이데올로기-봉건적 여성 속박에서의 해방과 이데올로기 구속으로의 대체 표상의 시기로 도구론적 문학이론으로 표현되는 것이 특징이다. 둘째, 개혁, 개방의 시기로 역사와 탈(脫) 역사적 사유(思惟)-이데올로기의 제한적 청산과 역사의 개혁과 개방 논리의 기억의 표상 시기로 역사와 기억의 표상을 이론화하는 것으로 하이데거의 역사예술철학의 존재론적 예술 존재론으로 분석 이론을 적용한다. 셋째, 세계 질서 편입기로 여성 자아의 모색과 회복-여성 실존적 본체와 성(性)적 자각의 표상 시기로 자아와 실존의 이론으로 서양의 현대주의와 후 현대주의를 망라한 ‘비판이론’의 개인과 정치 사회 체제의 비판을 연계한 이론이다.제 1단계의 작품으로 공산주의 해방 이후 남성상과 구별되지 않는 혁명과 정치 선전의 수단으로 이데올로기 선전의 미화 역할을 수행했다. 제 2단계는 절대적인 ‘정치’시대로 여성문학의 질적인 도약을 이룬 시기였다. ‘문화혁명’의 과거의 역사를 망각하려는 노력과 새로운 역사 시대를 맞아 새로운 역사성 인물과 가치를 창조하여 이를 정형화하려는 노력이 시도되었고 한편으로 성애와 여성 고유의 자아의식이 고양된 시기로 기록된다. 제 3단계는 가장 최근의 중국 사회와 사조의 변화를 반영한 문학이 분출하였는데 인간과 사회, 인간의 사회 속에서의 생활을 여성 자신의 경험과 상상, 혹은 남성과 더불어 새로운 사회에서의 여성의 본질적 존재감에 대한 인식이 시작된 문학적 성과와 성애에 대한 노골적인 '신체 서사‘, 그리고 인터넷 문학 같은 즉흥성과 경박성, 그리고 가치의 무차별성이 소비 성향 같은 일련의 상업적 성격의 여성문학을 제조해 내었다.중국 현대 역사 맥락에 부응하여 그 특징이 표출되는 현대 여성소설의 단계는 3단계로 나뉘고 그 독특한 사회-개인적인 존재는 여성문학에 대한 독특한 사회와 개인차원의 영역 개척의 찬사와 문학 창작과 공유 정신의 개인 영역으로의 퇴조라는 비판을 동시에 수용하게 된다. 현대 중국 여성소설에 대한 다음 세 가지의 결론으로 그 의미를 집약하려 한다. 첫째, 현대 중국의 여성소설은 중국 이데올로기와 정치의 대변인의 수단적 의미의 역할을 과거부터 현재까지 기본적인 임무로 수행하고 있다. 둘째, 여성의 다양한 시각과 감수성, 표현의 섬세함은 중국 사회와 역사의 변화를 남성과 달리 집체적인 차원이 아닌 개인적인 차원으로 축소되어 담론화의 허구 세계를 구축하고 있다. 셋째, 현재에는 남성 위주의 문학보다 더욱 활발한 생산을 보이고 이는 중국 사회의 서구 지향적 사조와 가치관의 과도기 상황, 그리고 배금주의와 향락주의 등의 현 중국 문학 사정이 중국적 특색을 가지고 혼합되어 드러난 현상으로 보인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three themes-liberty, memory, and sexuality in contemporary China. I have set the hypothesis of representations as follows: ideology, historicity, and self-consciousness. The adopted methods were Marxism literary thought, Heidegger`s Being literature philosophy, and culture critical theory.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Chinese women`s novels w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 specific historical stages. The first stage would be the instruments of the communist authority ideology. Second stage expressed the restoration of the historical wound and creating a new society. Third stage, as we can see, is hardly able to overcome the basic situations of the novels.In conclusion, I suggest that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influencing women`s novel has always been the Chinese communist ideology. Second, the novels written by women would be the reduction of the individuals’ level, not the community and society levels. Third, considering the businesslike atmosphere, we would not prospect the future characteristics and tendencies of Chinese women’s novels.

      • KCI등재

        여성 대상 폭력에 대한 정책 채택과 의회에서의 여성의 기술적 대표성의 연관성 - 교차국가 시계열 분석으로부터의 실증적 증거

        우병득 ( Woo¸ Byung-deuk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21 여성학연구 Vol.31 No.1

        여성 대상 폭력(violence against women)은 여성의 건강과 권리를 위협하는 심각한 세계적 문제다. 여성 대상 폭력이 피해 여성과 사회에 미치는 악영향에 대해 각국이 동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성 대상 폭력에 대한 각국의 정책 채택에는 차이가 있다. 여러 국가들은 여성 대상 폭력 관련 정책을 신속하게 채택하고 있지만, 일부 국가들은 여전히 여성 대상폭력에 대한 정책을 채택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의회에서의 여성의 기술적 대표성(women’s descriptive representation in parliaments)의 차이를 통해서 각 국가의 정책 채택에서의 차이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1975년부터 2016년까지 127개국에서 여성 대상 폭력에 대한 정책 채택에 관한 교차국가 시계열 데이터(time-series cross-national data)를 사용하여 의회에서의 여성의 기술적 대표성의 영향력을 패널회귀분석(panel data regression models)을 통해 경험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의회에서의 높은 여성의원 비율이 국가들로 하여금 여성 대상 폭력에 대해 더 많은 정책을 채택하도록 이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연관성은 다양한 모델들에서 통계적으로 일관되게 유의미했다. 이 결과는 여성할당제(gender quotas), 특히 여성특별의석 할당제(reserved seats gender quotas)의 채택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할 뿐 아니라, 여성정치 문헌에 기여한다. Violence against women is a severe global problem threatening women’s health and rights. Despite the consensus among countries on the adverse effects of violence against women on abused women and society, there are variations among countries in the adoption of policies about violence against women. While some countries swiftly adopt policies related to the violence, others still do not have policies addressing violence against women. This article explains the variations based on the different levels of women’s descriptive representation in parliaments among countries. With a time-series cross-national data about the adoption of policies addressing violence against women in 127 countries from 1975 to 2016, this article using panel data regression models finds that a higher percentage of women in parliaments leads countries to adopt more policies addressing violence against women. This relationship is consistently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ternative model specifications. This article not only provides a policy implication about the adoption of legislative gender quotas, especially reserved seats legislative quotas, but also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f women in politics.

      • KCI등재후보

        부산여성발전기금 운용실태분석 및 발전방안

        성향숙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4 여성학연구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ed whether the Busan Women's Development Fund is operational for its own goals, women development. Through this research, it will make the advancement in academic discussions and a practical instrument to refine the identity of the funds. Framework was composed by reviewing the previous studies. Framework is divided into three areas, they were composed by the size and, composition of the fund, management and operation of funds, competition business. Status of the relevant secondary data were analyzed. Major findings are Busan W​​omen's Development Fund has minimized the expense of the Fund to earn higher (the Goal is 10 billion). And they are the similar business nature between Women's Development Fund and the general budget business, low rates of implementation. Topics presented in the Fund does not meet the stated purpose of installation. Based on these results, should consider several proposal.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여성발전기금이 여성발전이라는 기금설치 목적에 부합하게 운용되고 있는가를 분석함으로서, 여성발전이라는 기금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학술적 논의와 실천적 계기를 마련하고자 함에 있다.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분석틀은 기금규모 및 조성현황, 기금관리 및 운용, 공모사업 수행 3개 영역으로 나누어 구성하였고, 분석방법은 관련 현황자료를 이차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부산여성발전기금은 사업비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기금을 적립하고 있으며(100억 목표), 예산사업과 여성발전기금 공모사업 성격의 유사성, 낮은 기금집행율, 기금설치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주제를 제시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기금 지출 증대, 기금운용의 합리성 증진, 여성단체의 역량강화, 성인지적 사업강화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일⋅가정 양립 정책에 대한 젠더 비평적 분석 -모성보호제도와 보육정책을 중심으로-

        김혜정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1 여성학연구 Vol.21 No.2

        Work-Family balance policy in korea has functioned as a tool of population policy, focusing on the challenge of a low birth-rate rather than discussing the aspect of Female power development and the utilization of human resources. Therefore the work-family balance policy has tried to improve the birthrate through a vacation policy and a selective childcare policy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male-centered work culture and Famale care 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work-family balance policy neither achieves an increased birth-rate nor improves female employment rates. The problem of Work-family balance is not resolved through temporary policies which does not achieve a higher birth rate nor has it resulted in an increased childcare benefit fee. It is not easy to analyse the effect of work-family balance policy without a socialization of the women's care work, a discriminatory sex-typing in the family and the changes of work environment which is not famale-friendly or family-friendly. Thus this study aims to raise a question that work-family balance policy has induced women's participation into the workforce which is based upon women's care work. So this study points out that the work-family balance policy’s efficiency is not high because it does not function as the socialization or dispersion of women's care work. However, it does function as a policy that women could easily do care work and housework at home. Work-family balance policy is generally understood to be based on a gender perspective which supports women. However, it stiffens the gender ideology in terms of a care worker based on the existing gender-role. Therefore this study points out the limit of work-family balance policy and the hidden side of closet policies by analyzing the work-family balance policy from a point of gender perspective. And it also suggests a vision for a gender equality policy becoming more focused on a gender perspective, which links work life and family life. 우리나라의 일․가정 양립정책은 여성의 인적자원 활용, 여성의 능력개발이라는측면에서 논의되기 보다는 저출산의 해결에 초점을 둔 인구정책의 도구로 기능해왔다. 그러다보니 남성 중심적 직장 문화와 보살핌 노동의 여성 부담을 고려하지 않은 채 휴가정책과 선별적 보육정책을 통해 출산율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이는 결국 저출산 문제의 해결에도 성과를 드러내지 못하고 여성의 취업에도 그리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일․가정 양립의 문제는 단순히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임시방편의 정책들로 해결되지 않으며 보육료를 얼마 더 지원하는가의 문제로도 해결되지 않는다. 여성과 가족에게만 맡겨져 있는 보살핌 노동의 사회화, 가족 내 불평등한 성별 분업 구조의 변화, 가족 친화적 혹은 여성 친화적이지 않은 직장문화의 변화 없이는 일․가정 양립 정책의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일․가정 양립 정책이 시행되고는 있으나 이러한 정책들이 보살핌 노동의 주체로서의 여성의 역할을 그대로 유지한 채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이야기하고, 여성의 보살핌 노동의 사회적 책임이나 분산이 아니라 여성이 가정에서 보다 쉽게 돌봄 노동과 가사노동을 하기 위한 정책으로 기능함으로써 정책의 효율성이 높지 않음에 대한 문제 제기에서 출발한다. 일․가정 양립 정책은 여성을 지원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젠더 관점에 근거한다고 인식되지만 기존의 성역할에 기반 함으로써 보살핌 노동자로서의 여성의 성별 이데올로기를 오히려 강화시키고 여성의 이중, 삼중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일․가정 양립 정책을 젠더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드러나지 않은 정책 이면의 문제, 일․가정 양립 정책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지적하고 일․가정 양립 정책이 보다 젠더적 측면에서 노동시장영역과 가족생활을 이어줄 수 있는 성평등한 정책이 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부산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Health Literacy)과 건강태도

        이수현,장기환,한흥식,박병규,김성수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2 여성학연구 Vol.22 No.1

        According to KEDI (2004), Koreans’ functional literacy ranked low among OECD countries. The existing studies also showed that Koreans’ health literacy scores were on average between the 7th and 8th grade levels which are very low compared to those of the USA. Given this fact, female married migrants in Korea might experience more difficulties in utilizing health services because of their language problems, the lack of common medical knowledge and health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health literacy among female married migrant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ir health literacy with their attitudes toward heal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and satisfaction of life. The results show that among this part of the population health literacy rat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among the average of all Koreans. And the lower their health literacy scores are and the longer they live, the more they feel stressed and dissatisfied with their life. This implies that low health literacy for this group could become a barrier to fully enjoying their rights to health as Koreans. It is suggested that we could utilize the concept of health literacy in explaining female married migrants’ health-related subjects. 한국교육개발원(2004)의 교육인적자원지표에 의하면, 한국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은 OECD 국가들 중 최저(38%)로 나타났다. 또한 선행 연구에서도 일반한국인과 학생들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이 대부분 초등학교와 중학교 1∼2학년 수준으로 매우 낮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것을 고려해 볼 때, 여성결혼이민자들은 이민이라는 특수한 사회적 상황을 경험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건강과 관련된 의학적인 용어와 정보를 이해하는 데에는 더 많은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건강정보이해능력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여성결혼이민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수준과 건강에 대한 태도, 심리적․신체적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은 일반한국인들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둘째, 건강정보이해능력이 낮고 거주기간이 길수록, 여성결혼이민자의 스트레스 지수가 높고 삶에 대한 불만족도가 높았다. 여성결혼이민자의 낮은 건강정보이해능력은 이들이 한국인으로서 의료 혜택의 정당한 권리를 누리는 데 장애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건강정보이해능력이 여성결혼이민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더 많은 건강정보이해능력의 개념을 적용한 여성결혼이민자들에 대한 연구가 나와 이들에게 보다 나은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전략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낙태에 대한 여성의 인식과 태도- 낙태 허용도와 여성의 낙태 결정권을 중심으로 -

        김도경,허윤주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3 여성학연구 Vol.23 No.3

        Women entirely have had to burden damage from abortion since the Korean government regulates abortion in 2010. However, women are being forced to keep silence by structure of society because abortion is recognized as a murder or crime in our society. This article represents how women can break the silence and discourse on abortion as main ag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women's awareness and attitudes toward abortion focusing on a degree of acceptance and women’s right to determine abortion. Based on the analysis, women have a relatively receptive awareness and attitudes toward the abortion’s degree of acceptance and women's right to determine abortion. In addition, both the abortion’s degree of acceptance and women's right to determine abortion function as important variables because they have adequacy of explanation. However, women tend not to be free from social stigma of abortion. In the feminist movement, an abortion should be regarded not only as an act of abortion but also as social context and women's human rights. Moreover, it will be necessary to systematically provide opportunities that women can create a discourse of abortion as agents. 2010년 정부의 낙태 단속 이후 그 피해는 전적으로 여성 개인의 몫으로 돌아가고 있다. 그러나 여성들은 낙태는 살인이고 범죄라는 사회적 구도에 의해 침묵을 강요당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들이 침묵을 깨고 주체로서 낙태에 대한 담론을 형성해 갈 수 있는 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낙태에 대한 여성의 인식과 태도를 낙태 허용도와 여성의 낙태 결정권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여성들은 낙태허용과 여성의 낙태 결정권에 대해 비교적 수용적인 인식과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낙태 허용도와 여성의 낙태 결정권은 설명력에 있어서 서로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여성들은 낙태에 대한 사회적 낙인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여성운동은 낙태를 단순히 낙태행위로만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맥락과 여성의 인권차원으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여성운동은 낙태에 대한 담론을 여성들이 주체로서 형성해 나갈 수 있는 장을 체계적으로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