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SCISCOPUSKCI등재
      • KCI등재

        미국 거주 한인 청소년의 문화적응과 발달과업 수행에 영향을 주는 근접 과정에 관한 연구: 브론펜브레너의 과정-개인-맥락-시간 모델을 중심으로

        이숙정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how immigrant adolescents are interacting their environments and achieve cultural adaptation and developmental tasks. Based on Bronfenbrenner’s process-person-context-time model, this study examined how immigrant adolescents interacted others and media within proximal environments, how personal, contextual and time factors influenced their interaction processes, and what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 patterns contributed to cultural adaptation and developmental task achievement. Twelve Korean immigrant adolescents in the US were interviewed. They were interacting parents, homestay guardians, peers in a Korean church, peers in a school, teachers, media, and friends in Korea.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orientation toward conflicts and motivation to social relationships, contextual factors such as homestay and school climates, and temporal phase of acculturation influenced their interactions. The interaction patterns related to adaptation and developmental task performance were identified. The findings suggested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interaction processe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contextual factors contributing to cultural adaptation and developmental tasks achievement. 본 연구는 이민 청소년들이 새로운 생태체계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면서 문화적응과 발달과업을 수행해 가는지를이해하고자 하였다. 브론펜브레너의 과정-개인-맥락-시간 모델을 토대로, 이민 청소년들이 근접 환경에 있는 타인및 상징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살펴보고, 근접 과정에 영향을 주는 개인, 맥락, 시간 요소를 파악하여, 문화적응과발달과업 수행에 도움이 되는 상호작용 방식을 귀납적으로 도출하고자 하였다. 미국 내 한인 청소년 12명을 심층인터뷰한 결과, 이민 청소년들의 근접 과정에 관련된 상호작용 대상은 부모, 호스트 가정 보호자, 한국교회 또래친구, 현지학교 또래 친구, 교사, 미디어, 모국 친구들이었고, 이들과의 상호작용 방식은 개인의 동기와 성향, 가정및 학교의 특성, 시간적 요소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상호작용 대상별로 문화적응과 발달과업성취에 도움이 되는 상호작용 방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이민 청소년의 문화적응과 발달과업 수행을지원할 수 있는 상호작용 방식의 특징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정서지능이 자기결정성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숙정,김혜영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self-determination, and learning flow of Korea undergraduate students. To accomplish this purpose, data were gathered from 310 undergraduate students (male: 151, female: 159) in two colleges in Seoul, Korea.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were conducted for the data analyses using SPSS 23.0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was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Emotional utilization among the components of emotional intelligence has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the sum of emotional intelligence accounts for 20.8 percent of autonomy, 44.8 percent of capacity and 16.5 percent of relationships among self-determination motivations. Seco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flow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components of emotional intelligence, understanding of self-emotion, emotional utiliz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were all significant variables in predicting learning flow. The total amount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 49.4 percent, and the predictive power of emotional utilization (beta=.561, p<.001) was the highest. For students who have lost interest in their study or major, and those who complain of difficulties due to excessive stress and anxiety over their academic and career paths, the provision of emotional training programs that allow them to recognize and control their emotional state will have to be systematically made at the university level.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지능이 자기결정성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310명(남: 151명, 여: 15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지능과 자기결정성 동기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지능 구성요인 중 정서활용이 자기결정성 동기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지능의 총합은 자기결정성 동기 중 자율성의 20.8%, 유능성의 44.8%, 관계성의 16.5%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지능과 학습몰입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정서지능의 구성요인 중 타인정서이해를 제외하고 자기정서이해, 정서활용, 정서조절 모두 학습몰입을 예측하는 유의한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정서지능 총합의 학습몰입에 대한 설명력은 49.4%였으며, 정서활용의 예측력(beta=.561, p<.001)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업이나 전공에 흥미를 잃은 학생들과 학업 및 진로에 대한 과도한 스트레스와 불안으로 어려움을 호소하는 학생들을 위해서 대학차원에서는 그들의 정서 상태에 대한 인식과 조절을 할 수 있는 정서 훈련 프로그램의 제공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등교사들이 지각하는 학교풍토와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에 대한 교사신뢰의 매개효과

        이숙정 한국교육학회 2008 敎育學硏究 Vol.4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climate(principal leadership and collegiality), teacher trust(teacher trust in the principal and teacher trust in teachers), and teacher efficacy in Korean middle school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set up the specific questions as follows: a) To examine the relations of principal leadership, collegiality, teacher trust, and teacher efficacy; b)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 between principal leadership, collegiality, teacher trust, and teacher efficacy. Data were collected from 233 teachers(male: 58, female: 175) who worked in middle schools in Seoul and Kyeonggi. The data from the test were analyzed in correlation,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2.0 and AMOS 4.0 progra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school climate, teacher trust, and teacher efficacy, structural equal modeling was carried out. The mediation model posits that teacher trust mediate the linkage between school climate and teacher efficacy. Although both teacher trust in the principal and teacher trust in teachers were important links to teacher efficacy, principal leadership and teacher collegiality didn't directly related with teacher efficacy. In addition, both principal leadership and teacher collegiality promoted both teacher trust in the principal and teachers. The AMOS output showed that the full mediation model was better than the other model.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사들이 지각하는 학교풍토와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에 대한 교사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의 이론적·경험적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검증을 실시하였다.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중학교 교사 23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SPSS 12.0과 AMOS 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상관분석 결과, 학교풍토(교장의 리더쉽, 교사협력), 교사효능감, 그리고 교사신뢰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들 간의 경로를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과 모형검증을 실시한 결과, 학교풍토의 두 하위변인인 교장의 리더쉽과 교사협력은 교사신뢰를 매개로 교사효능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적합도도 양호하였다(X²=44.64, CFI=.991, TLI=.957). 본 연구결과는 교사효능감을 촉진하기 위하여 학교풍토를 매개하는 교사들의 신뢰문화 형성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유아 친환경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이숙정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9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cessity of eco-friendly education in the curriculum of child care teachers by investigating the need for environmental awareness and education of child care teachers. Child care teachers’ environmental awareness and attitude are very important because they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the cognitive development and social development of early infant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128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Seoul and Chungcheong area were surveyed about ecofriendly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using the PASW 23.0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child care teachers recognizes that there is a need for systematic education and a concern for eco-friendly education for infants. Second, teachers felt that there was a limit to the contents and education methods of eco-friendly education. Third, there is currently no systematic eco-friendly education for child care teachers. Respondents therefore strongly encouraged inclusion of eco-education in the process of re-education. In order for eco-education to be systematically implemented at day care centers, it is urgent to include environmental education in various child care teacher education courses.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친환경의식과 교육의 필요성을 조사하여 추후 보육교사 교육과정에 환경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보육교사는 생애초기 영유아의 인지적 발달과 사회적 발달을 촉진하는데 중요한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들의 친환경의식과 태도는 매우 중요하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서울과 충청지역에근무하는 보육교사 128명을 대상으로 유아 친환경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보육교사들은 유아 친환경교육에 대한 많은 관심과 체계적인 환경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유아 친환경교육의 내용과 교육방법에 한계가 있다고 느끼고 있었다. 셋째, 보육교사를 대상으로체계적인 친환경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따라서 보수교육에 친환경교육의 포함을 적극 권유하였다. 어린이집에서 친환경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다양한 보육교사 교육과정에 환경교육을 포함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학교변인과 학생들의 교사신뢰와의 관계: 학교급, 학교학급규모, 남녀공학을 중심으로

        이숙정 한국교육학회 2006 敎育學硏究 Vol.4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the school factors and students' trust in teacher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set up the specific questions as follows: a)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junior/senior high and students' trust in teachers; b)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school class size and students' trust in teachers; c)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co-edu/non co-edu and students' trust in teachers; 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chool factors(junior/senior high, school class size, and co-edu/non co-edu) on students' trust in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90(male: 818, female: 772) from the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Kyunggi, Korea. Students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Students' Trust in Teachers Scale(STTS) developed by Sook-Jeong Lee and Jeong-Shin Han(2004). The data from the test were analyzed in Cronbach α, t-test, intercorrelation,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12.0 computer program. On the analysis, the results appeared as follows: a)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junior/senior high and students' trust in teachers; b) The correlations between school class size and students' trust in teachers was a negative correlations; c)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edu /non co-edu and students' trust in teachers; d) The school factor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students' trust in teachers, and explained about 18% of the students' trust in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some conclusions can be drawn: a) Trust and trust relation develop as growing up; b) The school factors have significant influences upon the trust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This study shows that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s in schools play as much important roles in promoting the trust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변인들 중 학교급, 학교ㆍ학급 규모 및 남녀공학 유형과 학생들의 교사신뢰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학교변인들이 학생들의 교사신뢰 형성에 갖는 함의를 논의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학교급에 따른 교사신뢰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고, 둘째, 학교ㆍ학급규모에 따른 교사신뢰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셋째, 남녀공학의 유형에 따른 교사신뢰의 차이를 분석하고, 넷째, 이러한 학교변인들이 교사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분석에 사용한 통계 프로그램은 SPSS 12.0 프로그램이었으며 분석방법은 t-검증, 상관분석, 분산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이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에 따른 교사신뢰의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ㆍ학급규모와 교사신뢰 수준은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학교ㆍ학급규모가 작을수록 교사신뢰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녀공학 유형에 따른 교사신뢰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남녀공학의 교사신뢰 수준이 비공학 학생들의 교사신뢰 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러한 학교변인들은 학생들의 교사신뢰를 약 18% 정도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와 신뢰관계는 학교조직의 맥락과 특성에 영향을 받는 심리적 구인이다. 본 연구결과는 학교급, 학교ㆍ학급 규모 등의 학교변인들이 학생의 교사신뢰 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교수·학습 방법에 따른 역량중심 교과목 효과연구 ― 대학 신입생을 중심으로

        이숙정,박소연,유지현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4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certification of the effects of competence-based subject with educational methods. For this study design set up 3 experimental group namely, problem-based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general lecture on competence development Ⅰ opened S Women’s University and 1 control group. The effects variables of competence development Ⅰ lecture was selected successful competence of organizational lif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ffects of competence development Ⅰ lecture with educational methods was partially significant.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all factor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 Moreover, it was found that 2 factor namely, challenge achievement and self professionalism of successful competence of organizational lif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 Based on the test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was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학습 방법에 따른 역량교육의 효과가 차이가 나는지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S여대의 역량관련 교과목인 ‘역량개발 Ⅰ’의 PBL 중심수업과 자기주도학습 중심수업에 따라 조직생활 성공역량,진로결정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진로준비행동은 집단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결정효능감의 경우, 목표선택, 직업정보, 미래계획, 문제해결 4개의 하위척도 모두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생활 성공역량의 경우, 도전성취와 자기전문 2개 척도에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학생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어떻게 의미있게 전달할 것인지에 대한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대학 교양교육의 방향과 과제: 역량기반 교양교육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이숙정,이수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2

        This study proposes competence-based education as a new direction of general education, investigates S Women’s University’s case, and presents significance and tasks of the change to competence-based general education. It asserts the necessity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as follows: first, competence-based education overcomes the conflict between liberal educ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two needs; second, it proposes a new approach to knowledge and new teaching methods, criticizing the traditional curriculum focused on knowledge; and third, it links between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ized education by solving the limits of the existing school curriculum. This study examines the competence-based education program of S Women’s University as a case. The university has two types of required general education program, ‘Competence Development Course I ’ and ‘Competence Development Course II ’, through which students can develop basic and key competencies. It also evaluates students’ competencies with SM-CLA(SM-Collegiate Learning Assessment), and offers upgrade courses for improvement of cognitive and social competencies. The paper shows the result of SM-CLA and the effect of upgrade courses. On the basis of the case study, it suggests that competence-based education should be based upon intrinsic value of general education, be connected with the existing academic curriculum, and make continuous efforts for developing teaching methods and instructors’ competencies. 본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의 새로운 방향으로서 역량기반 교양교육을 제안하고, 한국의 대학에서 실제로 운영되고 있는 역량기반 교양교육의 사례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역량기반 교양교육의 시사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역량기반 교양교육으로의 전환의 필요성으로는 첫째, 역량기반 교양교육은 자유교육과 직업교육의 대립을 극복하고 인문 교양적 자유교육과 사회 현장에서 요구하는 직업교육을 통합하며, 둘째, 지식중심의 교육에 대한 비판과 함께 지식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새로운 교육방법을 제안하며, 셋째, 현재의 학교 교육과정이 갖고 있는 모순과 한계를 극복하고 전공교육과 교양교육의 연결점을 찾아 지식과 학문을 통합적이고 총체적으로 접근한다는 점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가 교양교육의 새로운 접근으로서 제안하고 있는 역량기반 교양교육을 실제로 운영하고 있는 S여대는 교양교육원 내에‘ 역량개발센터’라는 전담기구를 두어 기초역량과 핵심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두 가지 교양필수과목을 운영하고 있으며, 각 역량을 진단 및 평가하는 역량측정도구인 SM- C L A 를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학생들의 역량 수준과 향상정도를 평가 및 파악하고 있으며, 인지적 역량과 사회적 역량의 심화과정으로서 역량향상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부족한 역량 및 향상시키고자 하는 역량의 강화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S여대의 역량개발 프로그램을 통한 역량의 향상 정도에 대한 분석과 인지역량 심화과정의 효과에 대한 분석을 통계적인 자료와 함께 제시하였다. 이러한 역량기반 교양교육의 실제적인 운영을 통해 살펴본 역량기반 교육의 방향이자 과제로서 첫째,교양교육의 내재적 가치와 목적을 바탕으로 운영되어야 한다는 점, 둘째, 기존의 학문중심 교육과정과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관계를 상호보완적으로 이해하여야 한다는 점, 셋째, 학생들의 역량개발을 위한 적극적인 참여와 역량개발 의지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다양한 수업방법에 대한 연구와 교수자의 역량개발을 위해 힘써야 한다는 점이 제안되었다.

      •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교육의 방향 및 과제

        이숙정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2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5 No.3

        본 연구에서는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과 관련하여 우선 2011 특수교육 교육과 정의 편성, 운영방안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시작으로 현행 교과 교육과정 운영의 주요쟁점을 규 정하였다. 나아가 중도중복장애에 대한 이해 지평 확대를 통해 중도중복장애 교육개념을 점검하 고, 국내 교과 교육과정을 효율적으로 편성,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쟁 점에 대해 국외의 중도중복장애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방안 사례를 논의하고, 문해교육 및 다감 각적 스토리텔링(MSST)를 구체적인 교수학습방안으로 제안하였다. Recently, several policies in special education for student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SMD) are being implemented to facilitate students’ participation in subject learning. However, there still exist critiques and disagreements towards this policy in special education community. This various discourse regarding to this policy is constructive, but the perspectives toward these most discourses are lean to functionalism of curricular implementation, not educational backgrounds even if students with SMD are students themselv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directions and tasks for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special educational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MD in the 2011 National Curriculum. To achieve this aim, First, this study explore the phenomena of SMD and the educational needs of student with SMD. Second, it criticise the educational aims and curricular implementation of special education in the 2011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the critical exploration, this study suggested some tasks to effectively organize and implement special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focus concretely educational goal in real students level, to select emphasis of subject lesson-activities according to students group, to expand support system to uplift teacher competency for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subject lesson-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