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고 도덕・윤리 교과교육 연구활동의 변천

        서강식(Kang Sik Suh)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0

        광복 이후의 도덕교육은 사회과의 공민에 포함되어 시작되었다. 제3차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러 도덕과가 교과로 설정되었고, 이후부터 도덕․윤리교과와 관련된 전공학위 논문의 수가 꾸준하게 증가하여 제7차 교육과정시기에는 거의 18 배 정도 증가하였다. 도덕․윤리교과 연구는 국민윤리학회와 한국교육개발원이 주축이 되어 이루어졌는데, 제4차 교육과정 시기에 도덕교육에 인지적 접근이 도입되면서 콜버그와 관련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 1980년대 초에 전국 국립대학교 사범대학을 중심으로 국민윤리교육과가 설치되었고, 전국 교대 윤리교육과 교수들을 포함하여 동과 소속 교수들이 주축이 되어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를 창립함으로써 새로운 교과교육연구집단이 등장하였다. 1996년에는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가 창립되었고, 전국 교대 교육대학원에 윤리교육전공이 개설됨으로써 교과교육 연구가 더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1998년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창립되면서 도덕・윤리교과 교육과정과 평가에 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졌다. 제7차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러 도덕교육의 접근 기조가 통합적 접근으로 바뀌었는데, 이 시기 동안 교과 교육연구는 양적 및 질적 도약을 가져왔다. 앞으로 도덕․윤리 교과교육학의 학문적 토대를 튼튼하게 하기 위해 도덕교육이론을 비롯한 여러 분야의 연구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도덕 교과의 성격과 목표, 내용 등에 관해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Since 1945, July 15th, moral education was done within civic subject education. At 1972 Augst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as established, and many moral education research was conducted by KEDI. At the 3rd moral curriculum era, moral education was conducted by the form of a moral subject education. It was titled 「moral」and was taught 2 period per week in school. Since 3rd moral curriculum era, numbers of thesis for moral education was increased steadily. At the 4th moral curriculum era, cognitive development approach in moral subject education was introduced, and many studies was centered on Kohlberg's moral education theory. In 1980s, there were established many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in national and private university. Professors of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established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KSMEE)'. In 1996, '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KEMES)' was established by professors of eleve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ll over the country. In 1998,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was established. Really many moral subject education was conducted by KICE. At the 7th moral curriculum era, moral education studies have got a great jump in quantity and quality. But we have to study for moral education theory, teaching-learning theory,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ory and so on. We should make a strong basis for moral subject education.

      • KCI등재

        종래의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 도덕과 교과서 개발의 역정

        정세구(Jung Se-Ku)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교사용 지도서 포함)의 개발 역정을 제3차 교육과정기로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에 이르기까지 밝힌 것이었다. 제3차와 제4차 교육과정기는 한국교육개발원이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 개발을 전담했던 시기였다. 중학교 ‘도덕’은 학년별 1권씩 3권이 편찬되었는데 교과서 내용선정원칙은 전통적인 윤리학설과 4개 생활영역에 근거하였고,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는 전 학년 1권이 편찬되었는데 반공교육과 발달과업 실현의 원리와 가치관 형성의 원리에 따라 편찬되었다. 교과서의 외형적 체제는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국민윤리’ 모두 국판의 소형, 흑백 인쇄의 수준이었다. 제5차 교육과정기는 한국교육개발원이 중학교 ‘도덕’교과서 개발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민윤리교육과에서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 개발을 담당한 역할 분담의 시기였다. 중학교 ‘도덕’은 권수나 내용 선정원칙 모두 제3, 4차와 거의 같았다. 고등학교 ‘국민윤리’ 교과서는 종전과 같이 3개 학년 1권이 편찬되었는데 한국인으로서 바람직한 윤리관이나 윤리체계를 갖게 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교과서의 외형적 체제는 종전과 별 차이가 없었다. 제6차와 제7차의 교육과정기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민윤리교육과에서 중학교 ‘도덕’교과서와 고등학교 ‘윤리’교과서의 개발을 둘 다 담당한 시기였다. 제6차에서 중학교 ‘도덕’은 종전처럼 3권이 편찬되었는데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의 연구 결과에 따라 내용선정원칙을 정하였다. 고등학교 ‘윤리’는 전 학년 1권인데 내용선정 원칙으로는 한국인으로서의 바람직한 윤리적 인식체계와 이념적 시각을 갖게 하는 것이었다. 제7차에서는 교육과정체계가 근본적으로 변경되어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가 ‘도덕’, 고등학교 2~3학년에는 ‘시민윤리’ ‘윤리와 사상’ ‘전통윤리’의 3개 선택과목을 개설하였다. 그에 따른 새 교과서가 편찬되었고, 교과서는 종전에 비해 거의 2배 크기의 판형, 총천연색 사진과 고급지질 등 모든 면에서 선진국형 수준의 교과서를 편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textbook of moral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was developed and edited from the 3rd curriculum period to the 7th curriculum period in Korean secondary schools. The 3rd(1973, 1974-1981) and 4th curriculum periods(1981-1987, 1988) were the time when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took charge of the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textbook for the middle schools students and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textbook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moral education 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s student, 3 books for each school year, were developed on the theoretical basis of traditional ethical theories, i.e., the deontological and the teleological, while the national ethics education textbook for the high school, 1 book for 3 years, was developed on the principle of anti-communism education plus the realization of values formation The 5th curriculum period(1987, 1988-1992) was the time when KEDI and the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hared the responsibility of developing secondary textbooks of moral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principle of content selection for the moral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was very similar to that of 3rd and 4th curriculum period, while that of content selection for the high school was drastically changed to the extent that desirable ethical views and ethical systems of Korea were very emphasized. The 6th(1992-1997) and 7th curriculum periods(1997-2007) were the time when the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took charge of the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textbooks for the middle and high schools. However, the textbooks of moral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ethics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s students for the 6th curriculum period were very similar to that of the 5th curriculum but those for the 7th curriculum periods were drastically changed from that of the 6th curriculum: the new 7th curriculum designed 'Moral Education' from the 1st grade in the middle school to the 1st grade in the high school(4grades) plus 3 selective courses of 'Citizen Ethics', ’Ethics and Thoughts', 'Traditional Ethics'. The textbook for the 7th curriculum period showed a very dramatic progress in its appearance and quality of edition to the extent that we can usually meet in the most of development countries.

      • KCI등재

        새로운 도덕과 교육과정의 평가 방향 연구

        김혜진(Kim, Hye ji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2

        본 연구는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명시하고 있는 평가기준 및 방향의 특징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도덕과 교육과정의 평가 방향을 탐색하고자 했다. 기존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평가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3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기존 도덕과 평가 방향의 큰 흐름을 토대로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을 ① 통합적 평가의 구성 형태, ② 교과 핵심역량과 기능의 관계 구성, ③ 영역별 제시된 대표 성취기준에 따른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의 특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도덕과 교육과정의 평가 방향 연구과제를 ① 성취기준 학습동사에 대한 균형적인 기준 마련, ② 교과 핵심역량의 평가 구성요소 마련과 기능과의 연계성 강화, ③ 과정중심 평가를 위한 평가기준 연구 및 도구 개발로 제안하였다. 본 논문이 향후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 시 평가기준 및 방향 설정에 의미 있는 논문이 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ndards for, and directions of evaluation specified in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explore the direction of evaluation of the new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the foregoing.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valuation in the existing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e evaluation methods and precautions in the curriculums ranging from the 3rd curriculum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ere reviewed, and based on the large flow of the direction of evaluation of the existing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e 2015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was reviewed separately for ① the form of composition of the integrated evaluation, ② the composi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competency and functions in the curriculum, and ③ the characteristics of evaluation methods and precautions according to the representative achievement standards presented by are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s such, the research tasks for the direction of evaluation of the new moral education curriculum were proposed as ① preparing a balanced standard for achievement standard learning verbs, ② preparing evaluation components for core curriculum competencies and strengthening the linkage with functions, and ③ studies on evaluation standards and developing tools for curriculum-based evaluation, It is hoped that this paper will be a meaningful paper for setting evaluation standards and directions when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is revised later.

      • KCI등재

        인성교육과 도덕과 교육의 관계 설정

        조강모 ( Gang Mo Jo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0 초등도덕교육 Vol.0 No.33

        본고의 목적은 도덕과 교육과 인성교육의 관계를 설정하는 것이다. 한국의 인성교육은 미국의 인격교육(character education)의 개념에 가깝다고 정리하였다. ①영아기에 발달하는 인격으로서 공감의 시작, 인간 개념의 발달, 애착 유대의 형성; ②아동기에 발달하는 인격으로서 자제력, 죄책감, 조망수용; ③청년기에는 도덕적 추론과 정체성 등이 제시되었다. 질 높은 인격교육의 특징으로서 교사 자질, 학생의 학교에 대한 애착, 학교 풍토, 또래간 도덕토론 등이 제안되었다. 한국에서 원리 중심 도덕교육 프로그램들과 관련하여 ①가상적인 도덕적 딜레마 토론의 한계, ②실생활 중심의 접근, ③유럽에서의 Just Community 등이 논의되었다. 결론은 원리중심의 도덕과 교육과 실천위주의 인성교육은 상호 보완적인 관계 속에서 추진될 때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으며 어느 일방을 무시하는 인성/도덕교육이 성공할 수 없다는 것이다. This essay is an attempt to clarify the relation between character education and moral subject education. In South Korea, moral education has been closely with moral subject education, while character education with "INSUNGGYOUK". Developmental tasks were proposed: ①The beginning of empathy, ②a concept of persons, ③the attachment bond can be possible during infant and toddler period. ①Self-control,②guilt, ③perspectiv-taking during childhood. ①Moral reasoning, ②identity during adolescence. Character education advocates argued that instead of discussing hypothetical dilemmas, the real dilemmas in school life had to be addressed. The gains in moral reasoning did not clearly and consistently translate into students` moral action. This essay discussed how to reconcile principle and character in the elementary school, South Korea. It concluded that an amalgamation of the Kohlbergian concept and the practice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can be possible.

      • KCI등재

        도덕과 인권교육 방안

        최형찬(Choi Hyeong Cha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50

        인간은 어떻게 살아야하는가를 묻는다. 이러한 물음은 도덕의 핵심 주제이다. 도덕은 인 간다운 삶에 대한 논의를 포함한다. 인권은 인간다운 삶의 필요조건이다. 그런 만큼 도덕과 인권은 공통점을 갖는다. 인권 실현을 위해서는 교육이 필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교과교육을 통한 인권교육은 중 요하다. 도덕과는 교과교육을 통한 인권교육에서 주도적 역할을 해 왔다. 인권은 도덕과 교 육과정의 핵심내용 성취기준 중 하나이다. 한편 교과를 통한 인권교육은 교과간 중복 문제 를 야기한다. 도덕과 또한 다른 교과와의 중복 문제에서 자유롭지 않다. 그런 만큼 도덕과 의 특성을 살린 인권교육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논자는 도덕과 인권 단원 구성 방안을 제안한다. 그것은 도덕과 인권 단 원의 핵심 내용 성취기준이 ‘인간의 존엄성’, ‘인권의 보편성’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 러한 핵심내용 성취기준에 대한 도덕 논증이 필요하다. 논자는 이를 ‘인권의 도덕적 정당 화’라고 주장한다. 이는 인권에 대한 도덕적 탐구이자 인권의 가치를 내면화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도덕과의 특성을 살리는 인권교육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Humans ask how they should live. This is a key topic of morality. Morality involves the discussions about human life. Human rights is human being’s rights. It is a requisite for human life. Therefore, morality and human rights have common ground. Realization of human rights needs education. In that sense, human rights education through subjects curriculum is important. Moral subject has played a leading role in human rights education through subjects. Human rights are one of the key content-performance standards of moral subject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Subjects’ human rights education gives rise to overlapping problem between subjects. Moral subject is not free from this problem with other subjects. Therefore, review of human rights education reflected moral subject’s traits is needed. In this regard, this proposes construction principles of human rights units in moral subject. They are ‘human dignity’ and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which should be key content-performance standards of human rights units in moral subject. These standards need to be argued from moral perspective. This article calls it moral justification of human rights. It is a moral quest and internalization of human rights. By doing so, human rights education enhancing the moral subject’s traits can be achieved.

      • KCI등재

        도덕적 상상력을 통한 초등학교 도덕과 교수-학습 효율화 방안 연구

        김은수(Eunsoo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4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9

        현행 7차 교육과정에 들어오면서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은 이전의 단선적인 교육방식에서 벗어나 그 효율화를 위한 다각적인 방법적 모색을 시도하고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논의에서 제외되어 왔었던 도덕성 요소, 교수 기법 및 교수-학습 방법을 재발견하고, 그것들의 교육적 적용을 통해 교실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도덕교육의 한계 및 취약점을 보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방법적 모색의 일환으로 ‘도덕적 상상력’을 통해 초등학교 아동들의 효율적인 도덕성 함양 및 효과적인 도덕과 교수-학습 방법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아동과 상상력, 상상력과 도덕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도덕과 교육에서 상상력이 갖는 의미를 고찰해 봄으로써 도덕적 상상력이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에서 어떻게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또 초등학교 도덕과 교수-학습 과정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에 대한 탐색을 통해 도덕적 상상력을 통한 효율적인 초등학교 도덕과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searching for effectual method of moral education in classroom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 This paper focus on 'moral imagination', and than try to explore its meaning and usefulness in moral education. In past imagination has been a contrary concept of reason, but in recent its meaning is understanding of having relation with creativity, creativeness, making a scientific discovery. And it's the same in morality. We can not think moral things and do moral behavior without imagination. Therefore if we foster moral imagination in our children's mind from childhood, they will grow to be moral agent more than now. And if we use moral imagination at school efficiently, they learn about moral thing more easily. In this perspective this paper try to explore effectual method of moral education through moral imagination in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and so contribute development of our children's morality.

      • KCI등재

        다문화 도덕과 교육과정과 통일교육

        김국현(Kim KukHyeo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2

        한국은 다인종, 다민족국가로 이행하고 있는 다문화사회이다. 다문화사회의 도덕과 교육은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등에서 다문화 도덕과 교육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다문화 도덕과 교육의 목적은 국가정체성과 국민정체성 형성이 되어야 한다. 한국의 국가정체성과 국민정체성 형성이란 여러 문화 배경의 이질적인 사회 구성원이 한 국가의 평등한 국민이라는 정체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다문화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 선정과 조직은 다문화사회에서 제기되는 갈등, 쟁점, 주제에 대한 윤리학적 접근, 도덕적 성찰과 탐구, 다문화주의의 핵심 가치를 근거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통일교육 역시 다문화 통일교육의 성격이 강화되어야 한다. 통일한국은 복합적 다문화사회이고 다문화교육이 실행되지 않은 북한 지역 주민들의 단일문화주의 경향이 강하게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다문화 통일교육은 통일 이전, 통일 과정, 통일 이후 한국사회의 다문화 갈등 문제를 민감하게 인식하고 도덕적 사고와 판단에 기초해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대안을 모색하는 것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paper focus on the goals, objectives, contents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milticultural Moral Education and unification education for building national identity in Korea. Moral education, as a school subject, helps students become equipped with moral norms and etiquette in their lives. For these purposes,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focuses not only on the formation of moral habits for observing norms and maintaining good manners, but also on the development of moral thinking and judgement abilities, helping students to solve various moral problems rationally. Especially, since the Revision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2007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stresses ethical approach to social problems as a inquiry principle and moral reflection/inquiry as a method of moral thinking and reasoning. In multicultural and multiethinic Korea, Moral Education should be multicultural Moral education to meet the needs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unified Korea of future. Contents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multicultural moral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the essential values of multiculturalism such as human dignity, human rights, social justice, tolerance, cooperation.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milticultural moral education is the building of national identity such as a One Korea and One Korean. And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constructed for the prejudice reduction of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 KCI등재

        PISA(2009)에 나타난 도덕교육 현황과 의미

        박장호(Jang-Ho Park)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4

        PISA 2009의 참여 국가들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도덕교육의 실태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해(reading)와 역경극복능력(resilience) 성적에서 중상위 40개 국가의 67.5%가 <도덕교육> 혹은 <윤리학>을 필수교과로 가르치고 있다. 또 이 40개 국가 가운데 가장 강력한 형태의 도덕교육인 <종교교육>만을 실시하는 국가까지 포함하면, 도덕교육을 의 무적으로 실시하는 국가는 80%에 이르며, <종교교육>교과가 <윤리학>교과로 대체되는 경향 이 나타난다. 이에 비해 <윤리학>이나 <종교교육>을 배제하고 <공민성>을 필수로 규정하는 국가는 15%에 불과하다. 그러나 <공민>교과의 경우에도, 도덕과 성격을 담고 있는 교과가 늘 어나고 있는 반면, 사회과 과목의 일부로서의 사회과학적 교과를 가르치는 국가는 제한적이 다. <철학>교과의 경우, 초, 중학교에서 다루는 국가는 전무하고, 일부 극소수 국가에서 고등 학교 상급학년에서 가르치는 정도이다. 둘째, <도덕교육>이나 <윤리학>이 특정 학년에 집중 이수되는 국가는 보이지 않으며,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나선형 교육과정을 통 해서 단계별로 교육되는 것이 일반적 현상이다. 셋째, <도덕교육> 혹은 <윤리학> 교과의 국 가교육과정에서의 필수화 현상은 최근 들어 크게 확산되고 있다. 넷째, <도덕교육>의 유형에 있어서 동양권의 <도덕․윤리>유형와 북유럽의 <종교/윤리학>유형을 실시하는 국가의 성적 이 북미와 프랑스의 <사회/공민>유형의 국가들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그간 우리가 실시해온 <도덕>이나 <윤리>교육에 대해 스스로 정당성과 긍 지를 갖게 해줄 것으로 생각한다. 이런 점에서 <도덕>과 <윤리>교과를 홀대하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은 미래와 세계에 등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This Article studies the realities of moral education among the nations or cities participated in PISA 2009 through analyzing those curriculum.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in 67.5% of 40 nations or cities which ranks 1-40 grade in terms of reading or resilience, subject matter <moral education> or <ethics> is stipulated as a requisite or independent subject matter. Having included the five nations which imposes <religious education> as a subject matter, which is considered as strongest type of moral education against secular moral education, there would be about 80%. Meanwhile, the nations which excludes either <moral education> or <religious education>, but imposes only <civics> or <citizenship> as a requisite subject matter, remain only 15%. Second, There is no nation which has so called 'the short term intensive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in which students should learn it only during one or two semester or one school year grade, instead of studying it every semesters or grades in elementary or middle school. In general, almost nations have the spiral curriculum that students gradually should learn it step by step through 1~6 or 1~10 grades. Third, it is recent trends in europe countries that <moral education> or <ethics> subject matter becomes a requisite subject matter or a subject matter in national curriculum. Last, oriental type of <morality/ethics> education as well as Northern European type of <religion or ethics> education seem to have more positive relationships to high scores in PISA than American types of <civics> education. These phenomena seem to give academic legitimacy to korean moral education system which traditionally has continued to keep <morality/ethics> as a requisite and independent subject matter, but leave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hich would go against this direction a task to re-exam and reflect itself seriously.

      • KCI등재

        소크라테스적 시민성과 도덕과교육

        김상돈(Sangdon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2

        본 연구는 소크라테스적 시민성을 도덕과교육에서 어떻게 교과내용으로 구성할 수 있는가를 ‘악법’과 ‘준법’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한국의 도덕과교육은 준법 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해왔으나 특이하게도 2007년, 2009년 개정 도덕과교육과정에서는 사라졌다. 특히, 소크라테스를 준법교육의 사례로 소개하는 것이 사라졌는데, 그 원인은 한국의 도덕과교육에 대한 정치적 비판 및 학문적 비판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부족했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소위 “악법도 법이다.”라는 말과 관련된 소크라테스적 시민성에 대한 논란은 한국의 도덕과교육에 대한 비판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소크라테스적 시민성이 준법 교육을 위한 훌륭한 본보기가 될 수 있음을 플라톤의 『변론』과 『크리톤』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나아가 한국의 도덕과교육은 시민불복종 교육을 하기에 앞서 먼저 준법 교육을 복원시켜야함을 주장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Socratic Citizenship could be planned in moral subject education in Korea, focused on 'bad law' and 'law-abiding. In Korea, moral subject education has carried on 'law-abiding' education. But, in the revised curricula for moral subject education in 2007 and 2009, it disappeared. This means that who are in charge of moral subject education did not face with critics on them. So called, the debates about the phrase, ""bad law too is law"" by Socrates implicate that there was some problem in moral subject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examines closely those implications and insists that Socratic citizenship could be example of citizenship education, that is 'law-abiding' education. Futhermore, this study requires that 'law-abiding' education in moral subject education necessarily must be restored.

      • KCI등재

        중등 도덕과 교육에서의 논술교육 연구

        박찬석(Park Chan-Seok)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5

        통합논술의 입장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는 길은 도덕과 교육의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및 평가에서 찾는 것이다. 새 교육과정에서의 도덕과 교과 목표는 ‘도덕적 사고력과 판단력, 실천 동기 및 능력을 함양’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접근은 통합논술이 지향하는 논리적으로 해석하고, 판단하고 기술하는 기초적인 인식과 유사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도덕과 교사들은 도덕과 목표로부터 이끌어지는 도덕과 내용과 논술교육의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도덕과 교육과 논술 교육의 접목이 가능하다. 그러나 도덕과 교육과 논술 교육의 접목이 도덕과 교육의 고유한 교과 목표를 희석시킨다고 보아서는 안 된다. 본 연구자은 도덕과 교육의 고유 성격, 목표, 내용을 도덕적 관점에서 심화하면서 논술 교육에 접근시키고자 한다. 그래서 도덕과 교사들은 학생들이 도덕적인 사고 속에서 합리적 사고력과 글쓰기를 강조하는 논술 교육에 성과를 얻도록 하는 길을 제공하고자 한다. Nowadays school education in korea has a problem of the integrated discourse. So, experts of moral education must consider the integrated discourse. in the moral textbook. That reason is many universities in korea ponder on strengthening students' entrance examination test by the integrated discourse. The integrated discourse tests in korea contain thema writing, analysis, synthesis in contexts. Now moral curriculum change for new demand of parents & students, teachers and NGO of moral curriculum. Moral teacher have a big dream for moral education that can our students make good problem solving of the integrated discourse. So, Moral curriculum contents intensify moral principle, moral process & moral practice for social & human knowledge problems. Therefor, the construction & the approach of moral education are found in reflection of the integrated discouse. According to this moral curriculum, I think our students can enrich moral principle, moral process & moral practice preparing the integrated discou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