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자기센서기반 이동경로 추적과 데이터 처리 모듈

        김홍규,문승진,Kim, Hong-Kyu,Moon, Seung-Ji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4 No.1

        센서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객체의 위치추적방법은 추적방법론에 따라 데이터의 수신과 위치추적의 정확성에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위치데이터는 오로지 위치 추적만을 위한 데이터이었기에 주변의 환경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황에 맞는 정보판단 또는 모니터링에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황인식(context aware)을 종종 활용하는데, 본 문은 자기센서를 기반으로 측정된 자성체(magnetic line tracer)의 자성데이터 위치 추적 및 제어에 관한 데이터처리에 상창인식을 활용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센서네트워크 노드의 자기센서의 자성데이터 측정과 주변 환경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였고, 이러한 데이터를 상황인식 데이터베이스의 엔트리로 구성함으로써 추후 행동정보 추론 및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센서네트워크 환경을 만족하는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라인트레이서의 위치 추적과 경로탐색의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주변 환경정보 데이터베이스 엔트리 및 상황인식에 따른 라인트레이서의 방향제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In sensor network processing environments, current location tracking methods have problems in accuracy on receiving the transmitted data and pinpointing the exact locations depending on the applied methods, and also have limitations on decision making and monitoring the situations because of the lack of considering context-awareness. In order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we proposed a method which utilized context-awareness in a data processing module which tracks a location of the magnetic object(Magnetic Line Tracer) and controlled introspection data based on magnetic sensor. Also, in order to prove its effectiveness we have built a wireless sensor network test-bed and conducted various location tracking experiments of line tracer using the data and resulted in processing of context-aware data. Using the new data, we have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for locating the information database entries and for controlling the route of line tracer depending on context-awareness.

      • KCI등재

        수도품종(水稻品種)의 초형(草型)과 건물생산특성(乾物生産特性)의 변천(變遷)

        김홍규,안수봉,Kim, Hong Kyu,Ahn, Su Bong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87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14 No.2

        시대적(時代的) 변천(變遷)에 따른 수도품종(水稻品種)의 초형(草型)과 건물생산(乾物生産) 특성(特性)을 살펴보기 위해 12개(個) 품종(品種)을 공시(供試)하여 4개(個) 품종군(品種群)으로 구분(區分)한 다음 시험조사(試驗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간장(稈長)은 최근(最近)의 품종군(品種群)으로 올수록 짧아졌는데 일인교잡종(日印交雜種)에서 현저(顯著)히 감소(減少)하였다. 2. 수장(穗長)은 I군(群)에서 III군(群)으로 변천(變遷)하는 과정(過程)에서 감소(減少)하였고 IV군(群)에서는 단간(短稈)임에도 불구하고 다시 증대(增大)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3. 상위삼엽(上位三葉)의 엽신장(葉身長) 및 엽중(葉重)은 시대적(時代的) 변천(變遷)에 따라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였고 특(特)히 IV군(群)의 엽신장(葉身長)은 I군(群), II군(群), III군(群)에 비(比)해 현저(顯著)한 차이(差異)를 보였다. 엽각(葉角)에 있어서도 최근품종(最近品種)으로 변천(變遷)함에 따라 직립경향(直立傾向)이 뚜렷하였고 특(特)히 IV군(群)은 상위삼엽(上位三葉) 평균(平均)이 $10^{\circ}$내외(內外)로 직립(直立)하였다. 4. 이삭의 추출도(抽出度)는 품종(品種)의 변천(變遷)에 따라 현저(顯著)한 감소경향(減少傾向)을 보였다. 5. Japonica 품종군(品種群)에 있어서 $m^2$당(當) 수수(穗數)는 최근품종군(最近品種群)에서 점증경향(漸增傾向)이었고, 1 수영화수(穗穎花數)에 있어서도 비슷하였다. 일인교잡종(日印交雜種)은 Japonica 품종(品種)보다 영화수(穎花數)가 대체(大體)로 많았으며 천립중(千粒重)은 일인교잡종(日印交雜種)이 약간(若干) 가벼운 경향(傾向)을 보였다. 6. 엽초 및 간(稈)과 엽신(葉身)의 건물량(乾物量)은 출수기(出穗期)에 최대치(最大値)를 보였고 이삭의 건물중(乾物重)은 출수후(出穗後) 10~20일(日) 사이에 현저(顯著)한 증가(增加)를 나타냈다. 7. 기관별(器官別) 생장속도(生長速度)를 보면 분얼성기(分蘖成期)에는 엽신(葉身), 유수신장기(幼穗伸長期)에는 간(稈), 유숙기(乳熟期)에는 이삭이 최대치(最大値)의 생장속도(生長速度)를 나타냈다. 8. 건물분배율(乾物分配率)을 보면 분얼기(分蘖期)에는 간(稈)>엽신(葉身)의 순(順)이었고 출수기(出穗期)에는 간(稈)>엽신(葉身)>수(穗)의 순(順)이었으며 등숙기(登熟期)에는 수(穗)>간(稈)>엽신(葉身)의 순(順)이었다. 9. 공시품종(供試品種)들의 정조수량(精租收量)은 건물중(乾物重) 및 수확지수(收穫指數)와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plant characteristics and dry matter production of several rice varieti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Culm length was gradually shortened as varieties were improved and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Japonica X Indica hybrids. 2. Panicle length seems to be shortened as varieties changed from group I to group III. However, varieties in group IV had longer panicle length in spite of shortening tendency in other groups. 3. Leaf blade length was decreased as varieties improved, but leaf blade width was increased. 4. Panicle exertion showed significant decrease as varieties improved. 5. Number of panicles per square meter among Japonica varieties was gradually increased and similar to the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Number of spikelets on Indica X Japonica hybrids were higher than Japonica varieties, whereas 1,000 kernel weight was slightly decreased. 6. Dry weight of leaf sheath and culm, and leaf blade was highest at the time of heading and the weight of panicle showed significant increase between 10 and 20 days after heading. 7. The maximum crop growth ratios of leaf blade, stem and panicles were attadined at the stage of heading, booting and milking, respectively. 8. The distribution ratio of dry matter was higher in leaf blade than in stem at the tillering stage. At the heading stage, the distribution ratio of dry matter was higher in order of culm, leaf blade and panicle. At the maturing stage, the ratio was higher in order of panicle, stem and laf blade. 9.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grain yield, harvest index, and biological yield were all significant and they were positive.

      • KCI등재
      • KCI등재

        u-EMS : 바이오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응급 구조 시스템

        김홍규(Kim Hong Kyu),문승진(Moon Seung Jin) 한국정보과학회 2007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3 No.7

        바이오센서는 생명공학 또는 의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인간의 생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들로 의료기기에 주로 사용되는데, 최근 MEMS 기술의 발달로 작은 크기의 하드웨어에 센서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무선통신, 배터리 등을 포함한 모듈을 센서노드(모트 : Mote)들로 구성된 센서기반 네트워크에서 바이오센서 네트워크로 응용분야를 확장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바이오센서 기술과 센서네트워크 기술을 융합한 기술인 바이오 센서네트워크를 활용한 응급 구조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에 사용된 바이오센서는 근전도(EKG), 혈압(Blood Pressure), 맥박(Heart Rate), 산소포화도(Pulse Oximeter), 혈당(Glucose)센서들로, 바이오센서에서 측정된 생체 신호를 센서네트워크 모트를 통해 데이타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타를 이용하여 건강관리 측정 데이타로 활용하였으며 측정된 데이타는 무선단말기(PDA, 휴대폰), 전자액자 디스플레이장치 등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아울러, 제안한 u- 응급 구조 시스템의 유효성을 실험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바이탈사인 정보와 주변 환경정보를 고려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The bio-Sensors, which are sensing the vital signs of human bodies, are largely used by the medical equipment. Recently, the sensor network technology, which composes of the sensor interface for small-seize hardware, process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battery in small sized hardware, has been extended to the area of bio-senor network systems due to the advances of the MEMS technology. In this paper we have suggested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health care information system(called u-EMS) using a bio-sensor network technology that is a combination of the bio-sensor and the sensor network technology. In proposed system, we have used the following vital body sensors such as EKG sensor, the blood pressure sensor, the heart rate sensor, the pulse oximeter sensor and the glucose sensor. We have collected various vital sign data through the sensor network module and processed the data to implement a health care measurement system. Such measured data can be displayed by the wireless terminal(PDA, Cell phone) and the digital-frame display device. Finally, we have conducted a series of tests which considered both patient's vital sign and context-awared inform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u-EMS.

      • SCOPUSKCI등재

        신품종 갈색양송이 ‘다향’의 화학성분과 항산화활성 및 α-Glucoamylase 저해활성

        김홍규(Hong-Kyu Kim),양의석(Euy-Seog Yang),박기문(Gi-Moon Park),김관후(Gwan-Hou Kim),김현호(Hyun-Ho Kim),이가순(Ka-Soo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8

        신품종으로 개발한 양송이 ‘다향’의 우수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성 물질, 유리당 및 β-glucan의 함량과 항산화활성 및 α-glucoamylase 저해활성을 기존 유통되고 잇는 705호 양송이와 비교 분석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189±12 ㎎%로 기존 705호 양송이 168±8 ㎎%에 비하여 더 높았고, 유리당은 mannitol, xylose 및 trehalose의 3종이 각각 3.11, 0.12 및 0.08%로 mannitol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β-glucan의 함량은 건조물에 대하여 28.34%이었고 705호 양송이는 26.55%의 함량을 보여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함량을 보여주고 있었다. DPPH용액에 의한 전자공여능은 다향은 물 추출물과 80% 에탄올 추출 각각 52.14% 및 57.81%, 705호는 각각 45.27% 및 46.93%를 보였으며, α-glucoamylase 저해활성은 물 추출물에서는 다향이 705호 양송이보다 저해활성이 더 높은 경향이었으며 80%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거의 비슷한 저해활성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tioxidant activity, and α-glucoamylase inhibitory activity of Dahyang, a Chungnam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newly bred cultivar of brown button mushroom.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of Dahyang and the no. 705 mushroom were 189±12 ㎎% and 168±8 ㎎%, respectively. The major free sugars in Dahyang were mannitol (3.11%), xylose (0.12%), and trehalose (0.08%). β-Glucan content was 28.34% in Dahyang and 26.55% in the no. 705 mushroom, respectively. Electron donating ability by DPPH in Dahyang and the no. 705 mushroom was 52.14% and 45.27% for the water extract, and 57.81% and 46.93% for the 80% ethanol extract, respectively. α-Glucoamylase inhibitory activity in a 10 ㎎/㎖ concentration of water extract were was 33.25% in Dahyang and 29.22% in the no. 705 mushroom,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