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적 지지가 특수학급아동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영신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특수학급아동들은 학교생활 및 사회생활에 있어서 일반아동보다 많은 적응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특수학급아동의 부적응 문제는 개인적 특성과 함께 사회관계적인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아동들의 주요제공원인 교사, 가족, 친구에 따른 사회적 지지제공이 아동의 부적응양상을 완화시키는데 있어 중요변수임을 고려해 볼 때, 특수학급아동의 부적응상의 문제에 대하여 개입하기 위해서는 특수학급아동의 부적응 수준을 알아보고, 사회적지지 및 배경변인이 부적응 수준에 영향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급아동의 부적응 수준을 알아 보고, 이에 사회적지지 및 배경변인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상대적인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지 분석하므로써, 특수학급아동의 적응행동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사회사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있어서 실증적인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특수학급아동의 부적응수준은 우울성, 사회적 위축성, 과잉불안, 미숙/공격성, 비행성, 과잉활동성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결손여부, 형제유무의 배경변인과 교사지지, 친구지지, 가족지지등 원천에 따라 구성된 사회적 지지로 분류하였다.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특수학급아동의 부적응 및 사회적지지에 대한 전반적인 수준을 알아본다. 2. 배경변인(성별, 결손여부, 형제유무)과 사회적 지지에 따라 특수학급아동의 부적응 수준이 각각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알아본다. 3. 특수학급아동의 배경변인과 사회적 지지수준이 부적응수준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아본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중 특수학급에 재학중인 4학년이상의 고학년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회적 지지의 전반적인 수준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가족지지, 교사지지, 친구지지의 순으로 나타나 친구지지를 가장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적응수준은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며, 미숙/공격성 및 사회적 위축성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2. 배경요인중 결손여부에 따라 부적응 수준과 관련이 있었다. 즉, 결손가정아동인 경우, 양친부모가 모두 있는 가정의 아동보다 부적응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에 따라서는 사회적 지지와 부적응수준간의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특히 가족지지와 친구지지가 높을수록 부적응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배경변인 및 사회적 지지가 부적응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배경변인중에서는 결손여부가 특수학급아동의 부적응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중에서는 친구지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지지의 친구지지가 특수학급아동의 부적응을 가장 잘 설명하는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한 제안점은 다음과 같다. 1, 특수학급아동의 부적응 수준을 감소시키고 적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임상적인 개입이나 프로그램의 실행에 있어서 결손여부와 같은 가정환경적인 부분과 친구지지의 제공과 같은 요인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2. 특수학급아동중 상당수가 결손아동임을 고려할 때, 결손가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경제적인 곤궁함, 각 가족성원간의 역할의 불균형등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가족간의 갈등의 해결과 약화된 가족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가족상담 혹은 기타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특수학급아동의 적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접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3. 사회적 지지중 친구지지가 특수학급아동의 부적응수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고려할 때, 특수학급아동만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보다는 일반아동과 함께 참여하는 집단활동, 캠프등 통합프로그램을 통하여 일반아동과의 사회관계에 있어서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기회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학교내에서도 의도적인 또래집단형성 혹은, 학교내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기회의 마련등으로 특수학급아동들에 대한 수용적인 분위기를 형성함으로써 친구지지를 강화, 제공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Children of special-care has much more difficulties than mormal children in school and social life. The maladjustment problems of the special-care classed children should be considered with not only personal trait but also social relationship, when we intervene for helping the maladjustmental problems of the social support or surrounding variab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actual data in developing and applying social work programs for improving their abilities of adjustmental activity through the process of notifying the degree of the maladjustment of the special-care classed children, and finding out the effects of the social support or surrounding variables to this maladjustmental problems, then analyzing the relative effectiveness. The degree of the children's maladjustment consists of the sub arias, such depression, social withdrawal, high-anxietym immaturity, aggressiveness, deviation, hyper-activity. The relevant variables are sex, deficit, sivling and supports of teacher, friends, family social support The below is the concrete content of this study 1. To identifying the over all degree of the maladjustment of the special-care classed children. 2. To identifying the differences in degrees of the maladjustment surrounding variables and social support. 3. To identifying the relative effectiveness by the surrounding variables and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For this study, the survey has be done among the children over four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in special-care classes in Seoul. The results are like below. 1. The overall degree of social support is relatively high, the order starts from family support, then goes to teacher support and to friend support. The degree of maladjustment is relatively law, but the degree of immaturity agressiveness and withdrawal is high. 2. Some surrounding variables are related to the degree of maladjusment according to the deficit. It means that the child who has some deficit in family. In the aspect of social support, social support has the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degree of maladjustment. 3. By the resul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rrounding variables or social support and the degree of the maladjustment, among the surrounding variables, deficit effects on the of the maladjustment of the children, and among the social support, the friend support effects on it mostly. Especially, the support of freinds is result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maladjustment of the children in the special care class.

      • 초등학교 교사의 특수아동에 대한 태도 연구

        박병진 단국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우리 나라의 특수교육은 특수아동을 일반아동과 함께 최대한 적절하게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통합교육을 추구하고 있다. 성공적인 통합을 위해서는 행정적, 재정적, 교육과정적, 사회적 지원도 중요하지만 교사와 아동의 상호작용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교사들의 통합교육 및 특수아동에 대한 이해와 협조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초등학교에 통합된 특수아동의 원적학급 교사들의 통합 및 특수아동에 대한 태도는 하위영역에 따라 어떠하며 교사 요인에 따른 태도의 차이를 살펴보고 요인들 중 통합에 대한 태도를 가장 잘 설명해 줄 수 있는 영향력이 있는 요인이 무엇인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경기도내 용인, 광주, 성남시 등 3개시의 공립 초등학교 교사 500명을 대상으로 특수아동에 대한 태도에 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빈도분석, 백분율, 기술통계, t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 (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하위영역별 태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통합교육 전체에 대한 일반교사들은 비교적 중립적인 태도를 나타내었으며, 하위 영역 중 다른 영역에 비해 통합의 개념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교사의 전문성 영역에서 일반교사들은 특수아동에 대한 지식과 기술이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2.교사의 시간 및 인내의 요구 영역에서 대부분의 교사들은 특수아동의 행동에 많은 인내를 해야 하는 측면을 다른 의견에 비해 가장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3.학업적 기대영역에서는 일반교사들은 특수아동에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자세히 가르치는 것에 대해 보통의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일반학급에서 학업의 향상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적 기대영역에서는 일반교사들은 특수아동들의 행동이 다른 아동들에게 좋지 않은 본보기가 될 것이라는 의견과 특수아동이 소외될 것이라는 의견에는 비교적 중립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특수아동에 대한 태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일반교사들은 성별에 따라서 전체와 학업적 기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2.일반교사들의 직책에 다른 태도의 결과를 보면 행동적 기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사들이 부장교사보다 행동적 기대에 대해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3.일반교사들의 교직경력에 따른 태도의 결과를 보면 행동적 기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년 미만의 경력 교사들이 20년 이상의 경력 교사들보다 훨씬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4.일반교사들의 교육 및 연수 경험에 따른 태도의 결과에서는 통합의 개념과 전체의 경우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실제로 특수아동을 지도 해 본 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경험이 없는 교사들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들에 의할 때 다음과 같은 시사점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일반교사들의 특수아동에 대한 이해와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직전교육과 현직연수가 좀 더 적극적으로 활발하게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 special education in Korea is going for the Integrated Education that we should get them properly educated just like normal children. For the successful integration, the administrative, financial, curricula and social support will be very important. However,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of the teachers who influence on the students greatly. Accordingly, we have studied the attitude of the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check if there any difference in attitude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the teachers. We have tried to find out what ar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that can explain the attitude toward integration. We have surveyed 500 teachers who are working at public elementary school in three cities such as Yongin, Gwangju and Seongnam in Gyunggi Province. We have executed frequency analysis, percentage, technical statistics, t verification and One-way ANOVA on the survey result. Followings are the attitude of the teachers toward the integrated education by sub area. 1.Common teachers show neutral attitude toward the overall integrated education. Among sub areas, they show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concept of integration comparing to other areas. However they show negative attitude on the professionalism such as knowledge and skill because they think they dont have enough skill and knowledge on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2.Toward the time and patience of teachers, most of teachers show the most negative attitude as they should need more patience and spend much more time in special education. 3.In educational expectation area, most of common teachers have average consciousness on how, what to teach. They think that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can achieve better in normal class. In behavioral expectation area, the teachers show neutral attitude toward the opinions that they will make bad influence on other children and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can be isolated from normal ones. Followings are the attitudes toward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1.Teachers show meaningful difference in total expect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expectation according to sex. Male teacher show higher expectation than female teachers. On total expectation, male teachers show more positive attitude than female teachers, too. 2.If we look into the attitude according to the title of teachers, there is meaningful in behavioral expectation. General teachers show more positive attitude than the senior teachers with title. 3.If we look into the attitud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eaching career of the teachers,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in behavioral expectation. Teachers with less than 5 years experience show more positive attitude than those who have over 20 years experience. 4.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in integration and overall concept according to their education and training experience. Theachers with experience in special education and training show more positive attitude than those who dont have experience. 5.In the attitude of common teachers according to experience in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re is also meaningful difference.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in training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show more positive attitude than those who dont have experience. From the result of the research, followings can be indicated. To enhance understanding and expertise on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pre-training OJT (on-job-training) more actively.

      • 발레 공연 프로그램을 통한 특수아동의 적응행동 발달 및 변화에 관한 연구

        나선영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3

        Along with our various social changes, the number of special children who have different disabilities has been increased. have been asked for help from many parents of the special children, and the ballet's movement and expressiveness were effective for their treatm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treat special children and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by systematizing and studying these experiences in the educational arena. Dance instrument is to restore their self recognition and inner balance through the skill of dance therapy that is a treatment for Psychotherapy that is extensively taken effect, which aims at the all ages who have special mental and physical symptoms. The aim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o improve sports technique and physical development by improving the muscular tissue using a creative ballet for the special children's abnormal condition. Second, to improve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and a power of expression using a creative ballet to overcome a lack of sociality which is a special children's serious problem. Third, to improve their individual development and survival capacities as separate individuals using a creative ballet for mentally handicapped children and autistic children. Fourth, to improve adaptability of their daily life in community using a creative ballet for special children. In this study, the ballet program, which I developed for six mentally handicapped children and autistic children, was regularly applied and implemented for 120 minutes three times a week over two years. I used SPSS as a data analysis o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 applied the Repeated measure ANOVA in order to check on the change in the sports technique with using the ballet program for special children. As a result of analysis, it showed a significant change on the progress of the muscle movements and a trend of significant future impact(+effect). It showed a trend which a future impact and a significant impact(+effect) would take effect. Second, I applied the Repeated measure ANOVA in order to check on the change in the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with using the ballet program. As a result of analysis, it showed the most significant impact(+effect) on the progress in the social interaction, followed by the language expression and the verbal comprehension It showed a trend which a future impact, the social interaction, the language expression and the verbal comprehension would have positive impact(+effect) in order. Third, I applied the Repeated measure ANOVA in order to check on the change in the personal life skills using the ballet program. As a result of analysis, it showed the most significant impact(+effect) on the self-protection skills, followed by dressing, adaptable capacity to housework, meal and cooking. It showed a trend which a future impact, the self-protection skills, dressing and adaptable capacity to housework would have positive impact(+effect) in order. Fourth, I applied the Repeated measure ANOVA in order to check on the change in the community use skills using the ballet program. As a result of analysis, it showed the most significant impact(+effect) on the change in the task skills, followed by the movement skill. It showed a trend which a future effect, the task skills, the movement skill would have positive impact(+effect). Fifth, I applied the Matching to sample(paired t-test) in order to check on the pre-to-post change in the sports technique using the ballet program. As a result of test, it showed the very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gross motor skill and fine motor skill. Sixth, I applied the Matching to sample(paired t-test) in order to check on the pre-to-post change in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of those surveyed. As a result of test, it showed that the level of significant difference was listed as follows: the social interaction, the language expression and the verbal comprehension Seventh, I applied the Matching to sample(paired t-test) in order to check on the pre-to-post change in the personal life skills of those surveyed. As a result of test, it showed that it showed that the level of significant difference was listed as follows: dressing, adaptable capacity to housework and personal health. Eighth, I applied the Matching to sample(paired t-test) in order to check on the pre-to-post change in the community use skills of those surveyed. As a result of test, it showed that it showed that the level of significant difference was listed as follows: the task skills and the movement skill. Ninth, I presented a graphical presentation of the areal and individual changing trends in adaptive behavior in order to check the behavioral change of social adaptation following with the using the ballet program of those surveyed. It showed that there are several distinguishing differences but not all those surveyed showed visual changing trends. In conclusion, I'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s. First, there is great prejudice against the schooling of ballet treatment in Korea. So we should make a greater effort to let all the people know the effect of ballet treatment. In order to do that,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and Dance in each university and college should pursue their academic research with great interest. Second, for the systematic treatment of special children, the pre-survey of current various treatments should be carried out, not to mention of the social concern.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specific programs which can improve curative effects for special children based on the survey. Third, prior to developing programs,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carry out the survey of the characteristic of those surveyed. And to develop differentiated programs, we should counsel with school parent by periods and observe their characteristics by closely. We should follow the process of de 우리사회의 각종 변화와 함께 크고 작은 장애를 가진 특수아동들의 숫자가 많아졌다. 연구자에게도 많은 특수아동의 부모들이 도움을 요청하였고, 발레의 신체동작과 풍부한 표현력이 이들의 치료에 큰 효과를 이끌어냈다. 교육현장에서의 이러한 경험을 학문적 연구로 연결하여 체계화시킴으로서 특수아동들의 치료와 삶의 질 향상에 보탬이 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무용치료란 정신과 신체면 에서 특수증상을 지닌 모든 연령의 사람을 대상으로 광범위하게 실시되고 있는 정신치료를 통한 치료법으로서 무용요법 기술을 통해 자아인식과 균형회복을 꾀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아동의 제한된 신체조건을 창작발레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근육의 발달을 이끌어 냄으로써 운동기술과 신체발달을 향상시킨다. 둘째, 특수아동의 심각한 문제인 사회성결핍을 극복하기위해 창작발레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의사소통 기술 및 표현력을 기른다. 셋째, 창작발레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지적장애아동과 자폐성장애아동의 개인기술을 발달시켜 독립된 개인으로서의 생존력을 키운다. 넷째, 창작발레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특수아동의 지역사회에서의 생활기술을 발달시킨다. 이 연구는 6명의 지적장애아동과 자폐성장애아동을 대상으로 2년간 매주 120분씩 3회에 걸쳐 규칙적으로 연구자가 구성한 발레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repeated measure ANOVA)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특수 아동들에 대해 발레 공연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운동기술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대근육운동과 소근육 운동에 대한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미래효과 또한 유의적인 정(+)의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추세를 보였다. 둘째, 발레 공연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사회적상호작용 및 의사소통기술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상호작용에서 가장 큰 유의적인 정(+)의 효과가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언어표현, 언어이해 순으로 유의적인 정(+)의 효과가 나타났다. 이들에 대한 미래효과 또한 사회적상호작용, 언어표현, 언어이해 순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추세를 보였다. 셋째, 발레 공연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개인생활기술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신변처리에 대한 변화에서 가장 큰 유의적인 정(+)의 효과가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옷 입기, 가사/적응행동, 식사와 음식준비에 대해 유의적인 정(+)의 효과가 나타났다. 이들에 대한 미래효과 또한 가사/적응행동, 옷 입기, 신변처리 순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추세를 보였다. 넷째, 발레 공연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지역사회생활기술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작업기술에 대한 변화에서 가장 큰 유의적인 정(+)의 효과가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이동기술에 대해 유의적인 정(+)의 효과가 나타났다. 이들에 대한 미래효과 또한 작업기술 및 이동기술의 변화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추세를 보였다. 다섯째, 조사대상자들의 운동기술에 대한 사전-사후의 변화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paired t-test)을 실시한 결과, 대근육 운동과 소근육 운동 모두에서 매우 유의적인 변화의 차이를 나타냈다. 여섯째, 조사대상자들의 사회적상호작용 및 의사소통기술에 대한 사전-사후의 변화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paired t-test)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상호작용, 언어표현, 언어이해 순으로 유의적인 변화의 차이를 나타냈다. 일곱째, 조사대상자들의 개인생활기술에 대한 사전-사후의 변화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paired t-test)을 실시한 결과, 옷 입기, 신변처리, 가사/적응행동, 개인위생 순으로 유의적인 변화의 차이를 나타냈다. 여덟째, 조사대상자들의 지역사회생활기술에 대한 사전-사후의 변화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paired t-test)을 실시한 결과, 작업기술, 이동기술 순으로 유의적인 변화의 차이를 나타냈다. 아홉째, 조사대상자들의 발레공연 프로그램 시행에 따른 적응행동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각 적응행동 영역별로 개인별 변화추세를 도식화 하여 제시하였는데, 조사대상자들 각자에 있어서 특징적인 차이는 있으나 조사대상자들 모두에서 시각적인 변화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서술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들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발레치료 교육에 대한 편견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발레치료를 적용시켰을 때 나타나는 효과를 널리 알려야 한다. 이를 위해선 각 대학의 특수교육학과와 무용과가 관심을 갖고 학문적인 연구를 늘려가야 한다. 둘째, 특수아동의 체계적인 치료의 확대를 위해선 사회적인 관심뿐만 아니라 현재

      • 특수학급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최지수 동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특수학급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을 목표로 한 집단미술치료의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현재 통합교육의 이점을 살리고자 국내의 많은 일반학교에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있으나, 특수학급 아동의 대부분이 학교 내에서 또래 관계의 어려움뿐 아니라 정서적 위축 등의 문제를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의 원만한 학교 적응에 있어 가장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을 목표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고,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G시에 소재한 W초등학교에서 시간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4∼6학년 아동들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 1명, 지적 장애 아동 2명, 발달 장애 아동 1명의 혼합집단으로 구성되었다. 집단미술치료는 봄학기와 가을학기에 걸쳐 매주 1∼2회, 80분씩 40회기, 방과후 활동 형태로 진행되었다. 매 회기 각 아동의 행동·언어 변화를 관찰·기록하고 질적 연구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집단미술치료가 참여 아동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다음과 같은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언어적 측면에서 보다 적절한 의사소통 방식을 사용하게 되었고, 자발적인 감정·욕구 표현의 양이 증가하였다. 둘째, 행동적 측면에서 다른 참여자에게 관심을 갖고 적절하게 질문하고 반응하며 자신과 타인의 의견을 조율하는 변화가 있었다. 셋째, 미술적 측면에서 표현 내용이 풍부해지고 표현의 적절성이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대상자 수가 적고 대상자들의 특성을 일반화하기 어려운 단일 집단에 대한 질적 연구라는 한계를 갖기에 일반적인 결론을 도출하기에는 부족하다. 그러나 특수학급 아동의 이해를 돕고 이들에게 적절한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경험적 자료를 제시하는데 의의를 둔다. 아울러 특수학급 아동들의 학교생활 적응을 도울 수 있는 미술치료의 효과에 대한 여러 측면의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icacy of group art therapy for improving social interactions of children enrolled in special classes. Many regular schools in Korea today maintain a special class to facilitate inclusive education, but most students enrolled in such classes experience problems at school, including peer relationship difficulties and emotional withdrawal. The ability for social interaction is considered key to the successful school adaptation of these children, and is hoped to improve as a result of group art therapy. The participants were a heterogeneous group comprising one child with ADHD, two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one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ho were 4th to 6th graders receiving inclusive education on a part-time basis at a regular elementary school in Korea. The group therapy consisted of 40 sessions of 80 minutes each, held once or twice a week as an after-school activity during the spring and fall semesters. Changes in the behavior and language of each child were observed and recorded for each session, and analyzed in a qualitative way. The findings revealed the following positive effects of the group art therapy on the children's social interactions. First, linguistic changes were observed, such as using more proper ways of communication and showing spontaneous expressions of emotions and desire more frequently. Second, behavioral changes took place, including taking interest in other participants, asking questions and responding appropriately, and reconciling differences in each other's opinions. Third, artistic development was evident as their works became richer in content and more appropriate in terms of presentation. As a qualitative examination of a single, small group of participant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the study is insufficient for drawing a general conclusion, but is considered a meaningful empirical analysis to aid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 enrolled in special classes and the provision of relevant support to them. Follow-up studies will hopefully shed more light on the efficacy of art therapy in helping these children adapt well to school life.

      • 특수 장애아동을 위한 국어과 통합 미술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 고학년 정신지체아동을 중심으로

        홍은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들어 발달장애라고 불리고 있는 특수 장애아동이 증가함에 따라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술교육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일반아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특수 장애아동과 관계있는 특정 교사들만이 보다 효과적인 미술교육을 위한 연구를 시도하고 있는 실정이다. 미술교육은 주지교과의 학습이 어렵고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해야 하는 특수 장애아동들에게 더욱 개발이 필요한 영역이다. 따라서 통합적 방법의 미술교육은 장애아동에게 어려운 주지교과의 학습을 쉽고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중 의사소통 및 발달에 장애가 있는 특수 장애아동들에게 언어적 능력을 학습할 수 있는 국어과를 다양하고 재미있는 방법으로 교육할 수 있도록 미술과와 통합하는 프로그램의 개발은 교육적 효과가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특수 장애아동 중 비율이 가장 높은 정신지체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국어과의 언어적 특성과 미술과의 표현활동을 중심으로 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는 특수 장애아동의 근육발달 및 인지능력 향상, 미적 능력 향유를 목적으로 미술과 통합 수업의 교육적 효과와 문제점, 나아가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제 2장에서는 특수 장애아동의 특성과 국어과 통합의 필요성, 특수학급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미술 프로그램 현황 및 문제점에 알아보았다. 국어과와 미술과의 통합을 위하여 특수 장애아동에게 필요한 국어과의 특성을 알아보았고, 그 과정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발달, 학습의 기초 배양, 인지발달의 도움, 창의적 사고 발달을 향상 시켜주며 표현과 융통성 및 유연성, 인지발달과 창의성에 도움을 주고 통합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미술과 국어의 공통점을 알게 되었다. 제 3장에서는 특수 학급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정신지체 아동 중 고학년 대상의 국어와 미술의 통합 미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 사례를 연구하였다. 제 4장에서는 미술과 국어의 통합교육을 통한 교육적 효과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크게 단어 인지 및 사용능력, 인지적 표현능력, 정서적 안정 및 자아 만족감 형성을 통한 문제 해결 능력, 용구 및 재료 사용 능력. 의사소통 능력의 5가지 능력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아직 교육현장에서는 특수 장애아동을 위한 통합교육이 활성화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때문에 미술과 국어의 통합교육이 올바르게 실시되고 특수 장애아동을 위한 미술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기 위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특수 장애아동의 특성에 따른 개별화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특수 장애아동의 미술교육에 대한 통합 교육의 필요성 인식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시각매체가 개발되어야 한다. 다양한 지각 활동을 필요로 하는 특수 장애아동은 청각, 시각 등 다양한 감각 체험을 할 수 있는 시각 매체의 활용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넷째, 특수 장애아동 학습 전용공간 확대이다. 또래 아동들에 비해 다양한 경험이 중요한 특수 장애아동들에게 체험 학습 및 통합 미술 교과 활동은 더욱 필요한 활동이지만 많은 기관이나 사회에서는 여러 여건상 아직 전용 공간 및 배려를 해주는 시설이 부족한 실정이다. 앞으로 특수아동을 위한 다양한 공간이 마련되고, 미술활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그것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면 특수 장애아동의 통합교과 미술교육은 더욱 활성화 될 것이다. 특수 장애아동을 위한 미술 프로그램 개발, 특히 국어과 통합교육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발달 접근이 필요한 학생들에게 언어적 발달, 자아만족감 향상, 창의성 개발 등의 효과와 함께 사회성 발달을 자극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다각적인 통합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더욱 더 심도 있는 연구가 지속되어져야 할 것이다. As the number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is growing, the number of special schools is simultaneously increasing. Nevertheless, studies on art education have been mostly focusing on children who do not have any mental or physical problems, and only few special teachers who are directly related to the children tend to investigate more efficient way of art education. Art education is highly desirable for handicapped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in core curriculum classes and need to approach the classes with a lot of attention. In this regard, integrated art education provides students easier and more various ways of leaning core subjects. Specifically, integrating Korean class with art class brings out positive educational effects, since the students who have problems with verbal communication could develop their linguistic competence in a more interesting and colorful way. To develop the students’ art, physical and cognitive skills, the present study suggests an integrated art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who have mental retardation. In chapter 2, the present condition of art education in special school and the problems of the education are examined. In order to integrate Korean education with art education, the specific features of Korean education which are strongly related to the students are analyzed. In addition to this, it was found that Korean and art class have much in common in that they are both involved in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kills, basic academic knowledge, cognitive competence and creative thinking; these similarities ultimately lead to better academic outcomes. In chapter 3,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for upper elementary students, who accounts for the highest rate of the students, is proposed and further investigated its application examples. Chapter 4 attempts to examine educational effects of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and suggest methods of improving the program. The results reveal that five abilities—word recognition ability, cognitive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handl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are significantly improved when employing the program. However, in a reality, the integration of Korean education and art education for the children is not yet fully utilized in Korea. Therefore, the present study suggests several ideas which would make the program more practical. First, more specialized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meet each individual’s need. Second, it is required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integrated education for the children. Third, visual media, which can be efficiently applied to teaching, have to be developed so that the children can utilize various kinds of senses. Last, it is necessary to create more space for special education. Experiential learning and integrated education are highly recommended to handicapped children, but the rooms are insufficient in a reality. If more and various kinds of rooms are provided to the students and the further studies are continued so that those children can do art activities without any concern, then integrated art education will be more actively utilized in the future. The development of an art program for special children, specifically, integrating Korean education with art education will provide the students linguistic improvement, higher self-satisfaction, and creative thinking development which would ultimately develop their sociality. Accordingly, it is to be hoped that integrated education programs from more various perspective are developed and examined further.

      • 학급내 특수아동 경험유무에 따른 일반아동의 특수아동 수용태도

        고영천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학급내 특수아동 경험유무에 따른 일반아동의 특수아동 수용태도가 어떠한가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밝히고자한 수용태도에 대한 영역은 교실내 교우관계, 교내 교우관계, 교외교우관계, 친밀한 교우관계, 아주 친밀한 교우관계이었다. 본 연구에 설정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학급내 특수아동 경험유무에 따른 일반아동의 특수아동 수용태도는 어떠한가? 2. 학급내 특수아동 경험기간에 따른 일반아동의 특수아동 수용태도는 어떠한가? 3. 학급내 특수아동 경험유무별 일반아동의 특수아동 수용태도는 학년에 따라 어떠한가? 4, 학급내 특수아동 경험유무별 일반아동의 특수아동 수용태도는 성별에 따라 어떠한가? 연구의 조사 대상은 부산광역시 초등학생 895명이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특수아동 수용태도에 관한 이론 및 관련 논문을 근거로 연구자가 작성한 설문지로서 학급내 특수아동 경험유무에 따른 일반아동의 특수아동 수용 태도를 조사하기 위한 25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처리는 준거 변인별로 전체 및 영역의 평균과 표준 편차를 산출하였고, 변인별 전체 점수에 대해 영역을 변인으로 하는 중다변량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영역에 대해서는 Tukey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내 특수아동 경험유무에 따른 일반 아동의 특수아동 수용태도는 전체적으로 보면 차이가 없다. 그러나 특수아동을 경험하지 않은 일반아동이 특수아동을 경험한 일반아동 보다 특수아동과 교외 교우관계 및 친밀한 교우관계를 더 많이 가지기를 원한다. 둘째, 경험기간에 따른 일반아동의 특수아동 수용태도는 전체적으로 차이가 없다. 그러나 교실내 교우관계에서는 5년일 때 수용태도가 가장 높고 2년일 때가 가장 낮다. 셋째, 학급내 특수아동 경험유 일반아동의 특수아동 수용태도는 학년에 따라 달라져 고학년이 더 부정적이다. 그러나 경험무 일반아동의 특수아동 수용태도는 차이가 없다. 넷째, 학급내 특수아동 경험유 일반아동의 특수아동 수용태도는 성별에 따라 경험유의 경우는 달라져,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더 수용적이다. 그러나 학급내 특수아동 경험무 일반아동의 특수아동 수용태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difference in the attitude toward accepting disabled children between normal schoolchildren with past experience and those with no experience in disabled children in class. This study is set to cover categories not only of close friendships and very close ones but also of the relationships in classrooms, in and outside schools. The main poi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difference in the attitude toward accepting disabled children between the normal children with or without experience in them in class 2. The difference in acceptance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ir experience 3. The difference in acceptance according to the schoolyear 4. The difference in acceptance according to the gender This study has surveyed 895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Pusan through a questionaire the researcher has drawn up based on relevant theories and dissertations. 25 questions are asked, all designed to survey the attitude-of normal children with or without experience in disabled children in class-toward their later acceptance of other disabled ones. The data gathered from this survey is shown in values of th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not only of the entire children group but also of each category. Besides, MANOVA is applied to the inference of value of the whole group and that of each category, while a 'Tukey' analysis is applied for the categories with delicate differences in valu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general, the amount of normal children's experience in disabled ones makes no difference in their later attitude toward accepting other disabled peers. In the categories of 'close friendships' and 'friendships outside school,' however, the children without past experience in disabled ones in class are more acceptive of disabled peers than are those with experience. 2. The length of experience does not serve as a major factor in making a difference in normal children's attitude toward accepting disabled peers. Only in the category of 'friendships in classrooms' is a difference observed. 3. When observed in terms of the schoolyear, the normal children with experience show a change in their attitude in accepting disabled ones, while those without experience show no change. In each category, however, the children with experience tend to have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 disabled peers as the schoolyear advances. This means that more educational consideration is required. 4. In terms of the gender, the children with experience show a change in their attitude in accepting disabled peers, while those without experience show no difference. Female children are more acceptive of disabled peers than male counterparts.

      • 미술치료프로그램이 특수학급아동의 소 근육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희연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일반학교 특수학급에는 다양한 아동들이 소속되어 있다. 특수학교에 다닐 정도는 아니지만 정규교육과정을 이수하기에는 발달이 1∼2년 뒤져 있는 아동에서부터 정신지체 2급으로 라벨이 붙은 아동에 이르기까지 정도가 다양하다. 이들은 정서 행동적·인지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소 근육을 사용하는 문제와 학습의 기본능력이라고 할 수 있는 쓰기 학습에 심한 거부와 곤란을 보였고, 2-3시간에 한 글자도 쓰지 않는 무기력한 태도를 보이며 글자를 쓴다고 하더라도 지연의 크기를 크게 벗어나 알맞은 내용을 쓸 수 없었으며 2-3 음절 어를 보고 쓰는 것조차도 탈락이나 대치 현상이 빈번히 일어났고 눈·손 협응력의 미 발달로 자기 옷의 단추를 끼우거나 지퍼를 올리는 등의 기본적인 옷차림도 할 수 없었으며 자기물건을 재대로 챙겨 다니지 못하였다. 이런 모든 요인으로 해서 통합학급아동이나 교사들에게 거부당하였으며 특수학급에 와서도 분쟁이 잦고 친밀감이 없었고 공격적인 성향과 지시하는 것을 이행하지 않는 등 지도상의 어려움이 많았기 때문에 미술치료프로그램을 통하여 행동문제를 격감시키고 소 근육을 향상시켜 최소한의 학습준비 능력을 갖도록 하여 원만한 학교생활을 하게 할 필요성을 느껴 미술치료프로그램이 특수학급아동의 소 근육발달에 어떠한 효과를 주는지 고찰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사례 수는 5명으로 제한되어 있다. 그것은 본 연구의 의도가 본 연구자가 담당하고 있는 특수학급 아동들의 문제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특수학급 아동 5명을 대상으로 2002년 5월 6일부터 10월 1주까지 주제별로 20∼30분씩 총 60개의 주제로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미술치료프로그램이 특수학급 아동의 소 근육 발달에 어떤 효과를 주는지 알아보는 것으로 특수학급 아동의 여러 발달 중 소 근육발달, 눈·손 협응력 개선, 쓰기 능력의 발달에만 주안점을 두었다. 먼저 특수학급 아동의 소 근육 발달, 눈·손 협응력의 발달은 PEP 검사, 쓰기 능력의 발달은 KISE 발달척도를 이용하여 사전검사 하고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한 뒤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사전 사후 점수의 변화율 정도를 비교하였고 또한 소 근육 밭달 과 눈·손 협응력의 변화는 수행과정을 관찰기록 한 일지와 비디오 녹화 테이프를 통하여 분석 기술하였고 쓰기 능력의 변화는 아동이 수업 장면에서 쓰기 과제를 이행한 결과물의 변화를 분석하여 기술하였으며 전반적인 변화는 수행과정에서 남긴 미술결과물을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극소수의 제한된 인원과 단기간의 우리한 일정으로 계획되었기 때문에 점진적으로 발달하는 특수아동들의 특성을 감안할 때 전국 특수학급 전체 아동들에게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이상의 절차에 의해 얻어진 연구의 곁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특수학급 아동의 소 근육 발달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특수학급 아동의 눈과 손의 협응력 개선에 효과적이었다. 셋째,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특수학급 아동의 쓰기 능력 발달에 효과적이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특수학급 아동의 소 근육 발달과 눈·손 협응력 개선 및 쓰기 능력 발달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그 이외도 여러 가지 효과를 볼 수 있었는데 전기에는 미술활동 과제를 의존적으로 해결하다가 후기에는 교사의 부분적인 도움을 받으려고 했고 전기에 프로그램 참여 약속을 존중 어기던 행동이 프로그램이 진행될수록 없어졌으며 교사에게 친밀감을 자주 표현하였고 학습이나 생활에 흥미와 자신감을 보여 주었으며 특수학급에 오는 시간을 좋아하며 기대하였고 쉬는 시간에 미술활동을 스스로 해 보는 자발성을 보여 주었다. 종합해 보면,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특수학급아동들의 소 근육 발달과 그 발달을 통해서 특수학급아동들이 곤란을 겪고 있는 소 근육 사용 문제, 눈·손 협응 문제, 쓰기 문제를 해결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는데 미술치료프로그램은 특수학급 아동들의 소 근육 발달과 쓰기 능력 발달에 아주 효과적이었고 눈·손 협응력 개선에도 도움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교사와 친밀감을 형성하는 데 아주 좋았다. 특수학급 아동의 지도에서 학습 면이든 행동 면이든 교사와 친밀한 유대관개가 형성되면 모든 것은 수월해 진다. 이에 미술치료프로그램은 특수학급아동과 지도교사와의 친밀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게 하여 아동들의 소 근육발달, 눈과 손의 협응력 개선, 쓰기 능력 발달을 자연스럽게 유도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There are diverse types of children with different traits in special education class of general school. Some children fail to reach their current grade levels, even though they aren't in want of special education, and others are regarded as having the second-grade mental retardation. They are in emotional, behavioral and cognitive .troubles, and have difficulty with the use of fine muscle and writing, which is one of the basic learning skills. They spend 2 or 3 hours in vain trying to write a letter, and although they are successful in writing some letters, they aren't able to make their size appropriate. They often fail to write words with two or three syllables only, and aren't capable of attiring themselves, since their poor coordination between eyes and hands makes them fail to fasten a button or zip a coat. Besides, they can't take care of their own things. Consequently, they are alienated from integrated class children and teachers, and even when they enroll in special class, they are aggressive, have a frequent fight, don't build friendly relations with classmates and don't perform what's directed by teac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ccordingly, to examine the effect of art therapy on the development of special class children`s fine muscle, as it's required to reduce their problem behaviors, develop their fine muscle, further their learning capabilities and eventually help them lead a better school lif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five special class children, since it's meant to seek ways to resolve the problem situations of the children in special class this researcher has been in charge of. The art therapy with 60 themes was conducted from May 6 through the first week of October 2002. 20 or 30 minutes were spent for each of the themes. Specifically, to what extent the program brought a change to their fine muscle, eye-hand cooperation and writing skills was investigated. In the pretest, PEP test was utilized to find out the development of fine muscle and eye-hand cooperation, and KISS scale was employed to check out their writing skills. After the art therapy was applied, posttest was fulfilled to see if there was any improvement in the posttest. Ta acquire more accurat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fine muscle and eye-hand coordination, the instructions were recorded and videotaped. To track writing skill change, their writing assignments were analyzed. And their works of art were rated to figure out the overall change. The findings of the study might not be generalizable, since just a small number of children were examined on a short-term basis and children in want of special education make a gradual development in general.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rt therapy had an effect on developing the fine muscle of the special class children. Second, the art therapy served to further the eye-hand cooperation of the special class children. Third, the art therapy was eff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the special class children's writing skills. All the facts indicated that the art therapy could make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special class children's fine muscle, eye-hand cooperation and writing skills. Furthermore, the program produced additional effects. For instance, they depended on teacher in the first half of - the experiment when they were given an assignment, but they asked teacher just for some partial assistance later. Even though they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y didn't often keep their words in the first half of the experiment. But such a behavior gradually faded away, and they frequently expressed their intimacy with teacher, and came to have interest and confidence in studies or everyday life. They liked to be in special class, and were spontaneously engaged in art activities even during recess. The art therapy intended to further the special class children's fine muscle. eye-hand coordination and writing skills, and the program turned out to be very eff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fine muscle and writing skills. Besides, that was of use for the improvement of eye-hand coordination and the creation of intimacy with teacher. The close relation between these children and teacher is the key factor to successful special education, and the art therapy served to build amicable relations between special class children and teacher and subsequently to step up the development of their fine muscle, eye-hand coordination and writing skills.

      • 일반학급 아동의 특수아동 수용태도에 관한 연구

        최은자 淸州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진정한 의미의 통합을 이루려면 단순히 장애 아동을 일반 학교나 일반 학급에 물리적으로 배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장애 아동이 필요한 기술을 배우고 학급 동료와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면서 즐겁게 학교 생활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통합교육 장면에서 일반학급 아동들의 특수학급 아동에 대한 수용태도를 요인별로 밝혀 효과적인 통합교육의 방향을 제공하고 특수교육의 교수-학습을 개선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일반학급 아동의 성별에 따라 특수학급 아동에 대한 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2)일반학급 아동의 학년에 따라 특수학급 아동에 대한 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3)특수아동의 성별에 따라 일반학급 아동의 특수학급 아동에 대한 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4)접촉경혐의 유무에 따라 일반학급 아동의 특수학급 아동에 대한 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조사는 2001년 9월 1일부터 9월 15일 사이에 인천광역시 소재 8개 구에서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교의 3, 4, 5, 6학년의 남녀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520부를 배포하여 100% 회수하였으나 이 중에서 통계처리를 할 수 없는 22부를 채외한 498부를 본 연구의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WIN(StaticaI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10.0)을 이용하였으며, 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계수를 사용하였고, 자료의 일반적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적 통계치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연구 대상 학생틀의 일반적 특성에 대하여 집단에 따라 빈도조사를 하였으며, 학생들의 인적 구성 특성에 따라 특수아동 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집단 간 t 검증(Independent Samples t-test) 또는 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급 아동의 성별에 따른 특수아동에 대한 수용태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부정적인 태도를 많이 지니고 있으며 더욱 심하게 배척하고 있다. 이는 활동적인 행동 특성을 지닌 남학생들이 지적, 사회적, 운동-기능적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특수학급 아동틀을 기피하는 데서 기인된 수용태도로 생각된다. 그리고 여학생틀이 감성적이고 동정적 성격 특성이 더 강하여 특수아동에 대한 태도에서도 동정적 시각이 기여한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일반학급 아동의 학년에 따른 특수학급 아동에 대한 수용태도는 교우관계, 생활태도, 학습활동 영역에서 모두 3학년이 특수학급 아동을 가장 긍정적이며 수용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 저학년 아동의 이러한 특성을 잘 파악하여 특수아동에 대한 인식에 대한 교육적 지도를 더 강화하여 고학년이 되어서도 그틀을 긍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이에 따라 원적학급 담임교사는 특수학급 아동과 학급 동료들의 성공적인 사회 통합을 위해 아동들에게 장애아동에 대한 올바른 인식의 기회를 제공해주고, 통합된 일반 학급에서 학년에 따라 적절하고 바람직한 모델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셋째, 특수아동의 성별에 따른 일반아동의 수용태도는 교우관계, 생활태도, 학습활동 영역에서 모두 큰 차이가 없다. 이것은 일반 학생들이 특수요구 아동의 성별이 남자인지 여자인지에 따라 교우관계에서나, 생활태도, 그리고 학습활동에서 차별적으로 그들을 인식하거나, 대응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최근 남녀의 성별에 따른 역할이나, 친구관계, 생활양식 등이 구별되지 않는 유니 섹스 의식들이 특수요구 아동들과의 관계성에까지 반영된 결과라고 생각된다. 넷째, 특수아동과 같은 반에서 접촉한 경험이 있는 일반아동이 같은 반에서 지낸 경험이 없는 일반아통보다 훨씬 수용태도가 높고 우호적이다. 특히 일반아동은 학습이나 생활 장면에서 그들을 돕거나 가르쳐 주고 싶은 생각을 많이 지니고 있으며, 그들도 열심히 노력하면 잘할 수 있으리라는 희망적인 기대도 높게 지니고 있다. 따라서 특수아동을 일반아동과의 교육적인 장면에서 잘 어울리게 하고, 특수아동이 일반사회에 통합되어 정상인들과 함께 원활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먼저 학교라는 공간에서 일반아동들에게 올바르게 이해되고 인격적으로 수용되는 긍정적인 경험을 확대시켜가야 한다고 본다. Integrated education in a true sense has to be conducted under the management like a forced allocation of handicapped children to regular school or class, as well as, a substantial education necessary for them and an affirmative interaction with regular class students. In this vein,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new areas and ways to improve the problems in the integrated education and teaching-learning activity of special education by taking into account the receptive attitude of regular class students toward exceptional children, with regard to the integrated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o investigate their receptive attitude toward exceptional children according to the gender of regular class students. 2) to investigate their receptive attitude toward exceptional children according to the school year of regular class students. 3) to investigate the receptive attitude of regular class students toward them according to the gender of exceptional children. 4) to investigate their receptive attitude toward exceptional children according to mutual contact or noncontact between them. This study inquired into 3, 4, 5, 6 graders at the elementary school which is putting into practice the integrated education with exceptional class of 8 districts located in Inchon city. The period of this study was Sept 1, 2001 to Sept 15, 2001. 52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t random, and get full possession of it again. However, with the exception of 22 questionnaires there wasn't filled in the blanks from top to bottom properly, there put into practice the fact-findings with 498 questionnaires. The gathered data was analyzed by the utilization of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10.0). With this, this researcher made use of Cronbach's alpha coefficient as the metho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evaluation tool. There measured a descriptive statistic as the method to grapp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data. There put into practice the frequency analysis by the group in order to look through a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s the objects under investigation. And this study put into practice t-test(Independent Samples t-test) or variate analysis(one-way ANOVA) respectively to investigate their receptive attitude toward exceptional children according to students’ personnel characteristics. AS stated abov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nvestigated As a result, exceptional children according to the gender of regular class students. As a result, male pupils showed more negative response on the receptive attitude in comparison with female pupils. And it was excluded from their favor. Male attitude like this results from the fact that male students with an active characteristics are inclined to shirk from the exceptional children which are inferior to them at the cognitive, social and motor functional aspects. With this, this inclinations responses on exceptional children in comparison with male students. Second, there investigated their receptive attitude toward exceptional children according to the school tear of regular class students. As a result, all of third graders showed more affirmative response on the receptive attitude in comparison with any other students at the aspects of their fellowship, life attitude and learning activity. In this vein, considering these attitudes in the lower graders, we’ve got to do something to keep an affirmative attitude of regular class students toward exceptional children when they grew into higher graders. Accordingly, teachers have to be concerned with fostering the regular students' affirmative attitude toward them to accomplish a society integration through proper fellowship with exceptional class students. Especially, there have to make an effort to offer a teaching-learning model suitable for each grade in the integrated class. Third, there investigated the receptive attitude of regular class students toward them according to the gender of exceptional children. As a result, this researcher could find that there haven't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aspects of their fellowship, life attitude and learning activity. These situations mean that regular class students didn't discriminate them at the aspects of discriminate fellowship, life attitude and learning activity, regardless of the gender of exceptional children. With this, this inclination is a reflection of the fact that the consciousness of unisex has a marked effect on students' fellowship, life pattern without regard to sex role. Fourth, there investigated their receptive attitude toward exceptional children according to mutual contact or noncontact between them. As a result, students who got along with exceptional class children enjoyed more friendly relations with them in comparison with regular class students who didn't get. Especially, we could find that they would like to offer any help, how to learn to exceptional class children. In addition, they have some expectations that exceptional class children have the ability to grow from their educational efforts. Accordingly, there have to find new areas and ways to expand the affirmative consciousness of regular class students toward exceptional children. For this, there have to make an effort to improve their erroneous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 exceptional class children on the basis of social and educational integration between regular class students and exceptional class children in the field of actual education.

      •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에 관한 문헌연구 : 한국 웩슬러 유아 및 아동 지능검사 수행 분석을 중심으로

        윤소영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literature reviewed academic publications reporting the performance measured by the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 (K-WPPSI) to investigate Korean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First of all, prior to analyzing Korean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I categorized these publications by the published year, the number of participants(n), ages of participants, and participant grouping (either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and organized them. Second, I analyzed th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K-WPPSI) (Park, Kwak, Park, 1996b),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IV (K-WPPSI-IV) (Park, Lee, Ahn, 2016),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III(K-WISC-III) (Kwak, Park, Kim, 2001b), and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IV(K-WISC-IV) (Kwak, Oh, Kim, 2011) by focusing on subtests, indexes, and the levels of IQ to analyze Korean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outcom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 found the total of 4 publications reporting on both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s performance among the 70 publications reporting on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 which include 46 publications measuring performances of the general children and 20 publications measuring those of the exceptional children. The numbers of participants on the general children varied from n=1 to 360, which averaged n=64. The participants' ages ranged from 3 to 7. Among the result of performances on the subtests, the Geometric Design showed the highest scores (M=12.73(SD=3.92)) and the Vocabulary showed the lowest scores (M=9.79(SD=2.57)). By the performances of the IQ indexes, the Performance Intelligence Quotient(PIQ) (M=103.68(SD=16.53)) and Vocabulary Intelligence Quotient(VIQ) (M=103.68(SD=14.82)) showed similar scores and the mean of the Full-Scale Intelligence Quotient(FIQ) was 103.23(SD=15.06). The numbers of the exceptional children whos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 varied from n=1 to 40, and the average was n=11. The participants' ages ranged from 3 to 13. By performances of the subtests, the Information showed the highest scores (M=7.01(SD=1.73)) and the Geometric Design showed the lowest scores (M=5.50(SD=2.12)). By performances of the IQ indexes, PIQ(M=81.45(SD=14.00)) showed the higher scores than the VIQ(M=77.56(SD=12.92)), and the average of the FIQ was 82.61(SD=10.37). Finding the between-group similarity as to th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 both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showed the higher scores on the performances of the PIQ than VIQ.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ldren whose age ranges suitable for the K-WPPSI greatly represent the ability that is influenced by genetic and biological factors rather than experiential or learning factors. Whereas searching the between-group difference, the general children showed the highest scores on the Geographic Design, but the exceptional children showed the lowest scores on the performance of the Geographic Design. The younger general children showed the higher ability in visual memorization and visual-motor integration, yet the exceptional children showed lower abilities in these categories than the general children. Second, the number of publications reporting th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IV was 10 and all were subjected to the general children. The numbers of participants on the general children varied from n=36 to 148, which averaged n=88. The participants' ages were 2 to 7. By performances of the subtests, the Bug Search showed the highest scores(M=12.24(SD=2.75)) and the lowest scores(M=8.32(SD=2.51)). By performances of the basic indexes, the Processing Speed Index(PSI) showed the highest scores(M=108.65(SD=13.29)) and Verbal Comprehension Index(VCI) showed the lowest scores(M=97.44(SD=13.68)). The average performance of the FSIQ was 104.30(SD=12.85). Comparing the performance outcomes of the general children measured equally by the K-WPPSI and K-WPPSI-IV, both examinations showed the lowest scores on the VCI.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younger general children were associated with a lack of vocabulary and language expression 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K-WPPSI showed the highest scores on the Geographic Design, and similarly, the highest scores were shown on the Bug Search that was conducted in a similar manner of measuring the Geographic Design outcomes, although I acknowledge that the Geographic Design was excluded on the K-WPPSI-IV so that it might not be possible to directly compare to one another.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younger general children were associated with the superior ability in visual memorization, visual-motor integration. Third, among the total of 88 publications reporting the performance outcomes measured by the K-WISC-III, 14 studies examined both the general and exceptional children, 16 studies solely conducted to the general children and the rest of 58 examined the exceptional children. The numbers of the general children participants ranged from n=1 to 357, which averaged n=62. The ages of the participants were from 3 to 16. By the subtests, the Similarities showed the highest scores M=11.01(SD=2.99)) and the Digit Span resulted in the lowest scores (M=8.85(SD=2.25)). By the indexes, the VCI showed the highest scores (M=103.35(SD=12.42)), and the PSI resulted in the lowest scores(M=100.14(SD=13.50)). By performances of the IQs, VIQ(M=104.07(SD=14.84)) showed the higher scores than the PIQ(M=102.26(SD=14.87)) and the FIQ score was 102.89(SD=14.07). The numbers of participants in the studies conducting the K-WISC-III to exceptional children varied from n=1 to 297 and the average was n=38. These participants' ages were 5 to 16. Performances by the subtests showed that the Similarities was the highest(M=10.25(SD=2.71)) and the Mazes was the lowest(M=7.55(SD=2.74)). Performances by the indexes proved that the Perceptual Organization Index(POI) was the highest M=92.30(SD=15.68)), the Freedom from Distractibility Index(FDI) was the lowest(M=90.38(SD=14.75)). Performances by IQs resulted that VIQ(M=93.59(SD=13.95)) was higher than the PIQ(M=91.82(SD=14.09)) and the average performance FIQ was 90.60(SD=13.25). Looking up the between-group similarity of th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ISC-III, both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reached to the highest scores on the Similarities subtest. The Korean children whose age ranges suitable for the K-WISC-III had the superior ability in verbal conceptual formation and reasoning. Additionally, the similar outcome was also convinced that both of them performing higher VIQ scores than PIQ scores.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older Korean children showed the advanced ability in verbal knowledge and number concepts that are influenced by experience and learning. Whereas the performance difference of the between-group was that the general children scored the lowest in the Digit Span subtest, but the exceptional children performed the lowest in the Mazes subtest.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older general children showed limited attention, concentration, and short-term memory. Whereas the exceptional children showed the lacks of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in planning, visual-motor integration, speed, and precision. Fourth, among the 15 publications adapted the K-WISC-IV, the total of 4 publications both examined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another 5 studies conducted to the general children, and the rest of 6 studied with the exceptional children. The numbers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ies relevant to the general children ranged from n=6 to 200, which the average was n=39. The participants' ages ranged from 4 to 16. Performances by the subtests showed that scores of the Cancellation were the highest (M=12.50(SD=5.41)) and the Coding scores were the lowest (M=9.04(SD=2.74)). Performances by the indexes showed that the PRI scored the highest (M=99.76(SD=14.19)) and the PSI scored the lowest(M=95.24(SD=14.07)). The FSIQ performance average was 97.05(SD=13.43). The numbers of participants in the studies conducting the K-WISC-IV to the exceptional children varied from n=1 to 91, which averaged n=22. The participants' ages varied from 5 to 19. Performances by the subtests showed that the Picture Completion scored the highest(M=8.63(SD=3.39)) and the Letter-Number Sequencing scored the lowest(M=6.34(SD=2.72)). Performances by the indexes showed that the PRI scored the highest (M=88.64(SD=14.82)) and the PSI scored the lowest(M=81.26(SD=12.89)). The FSIQ performance average was 79.72(SD=7.66). Looking up the commonality of the between group measured by the K-WISC-IV, both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scored the highest on the PRI and the lowest on the PSI.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ldren whose age ranges suitable to using the K-WISC-IV showed the superior ability in perception construction, spatial perception, and reasoning, but they were relatively deficient at mental acuity, visual memorization. While the difference of the between-group was that the general children showed the lowest scores in the Coding subtest and the exceptional children scored the lowest in the Letter-Number Sequencing subtest. The older general children lacked in the mental acuity, yet the exception children showed the limited mental control and concentration. Comparing the performance outcomes of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measured by both K-WISC-III and K-WISC-IV, the general children showed the lowest scores on the PSI in the both examinations. Additionally, similar outcomes were found that the exceptional children scored higher on the performances by the factors and indexes than the FSIQ performances. The older general children showed a relatively less intellectual ability in mental acuity and short-term memory. On the other hand, I found the similar outcome that the exceptional children showed a lower ability in both examinations of the Coding subtest.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older exceptional children may lack mental acuity and visual-motor integration. As comparing the outcomes of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measured by the K-WPPSI and K-WISC-III, both groups scored higher on the PIQ than the VIQ in the K-WPPSI. In particular, scores on the subtests of the Object Assembly and Picture Completion were high.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K-WISC, the PIQ scores were lower than the VIQ scores. In particular, scores on the Information, Similarities, Arithmetics, and Vocabulary were relatively high. The younger Korean children showed the superior ability in visual memorization that was greatly determined by genetic and biological factors, yet the older children gradually made an improvement in the numeric concept or verbal ability influenced by experience or learning. Comparing the K-WPPSI-IV and K-WISC-III performances of the general children, it showed that the PSI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the K-WPPSI-IV and the VCI scored the lowest in the K-WISC-III. Whereas the VCI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the K-WISC-III and the PSI reached to the lowest scores. The younger Korean children have gradually improved verbal ability that is influenced by experience or learning. In conclusion, this study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the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 research through the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f the studies relevant to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 K-WPPSI-IV, K-WISC-III, and K-WISC-IV. Additionally, it not only provides baseline data of Korean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but also suggests some potential research directions for the future. Keywords: General children, Exceptional children,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K-WPPSI),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Fourth edition(K-WPPSI-IV),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Third edition(K-WISC-III),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Fourth edition(K-WISC-IV)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한국 웩슬러 유아 및 아동 지능검사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을 중심으로 문헌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을 분석하기 전에 조사대상 논문의 특성을 논문발표연도, 출처, 연구대상자 수(n), 연구대상연령, 연구대상집단(일반아동과 특수아동)으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K-WPPSI)(박혜원, 곽금주, 박광배, 1996b),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 4판(K-WPPSI-IV)(박혜원, 이경옥, 안동현, 2016), 한국 웩슬러 아동지능검사 3판(K-WISC-III)(곽금주, 박혜원, 김청택, 2001b)과 4판(K-WISC-IV)(곽금주, 오상우, 김청택, 2011)의 수행을 중심으로 소검사, 지표, 지능수준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 70편 중 일반아동과 특수아동을 모두 검사한 논문은 4편이었으며, 일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46편, 특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20편이었다. 일반아동에 대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360명까지였고, 평균 64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3세에서 만 7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의 평균은 도형(M=12.73(SD=3.9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휘(M=9.79(SD=2.57))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IQ별 수행의 평균은 동작성IQ(M=103.68(SD=16.53))와 언어성IQ(M=103.68(SD=14.82))가 유사하게 나타났고, 전체IQ는 103.23(SD=15.06)이었다. 특수아동에 대한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40명까지였고, 평균 11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3세에서 만 13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의 평균은 상식(M=7.01(SD=1.73))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도형(M=5.50(SD=2.12))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IQ별 수행의 평균은 동작성IQ(M=81.45(SD=14.00))가 언어성IQ(M=77.56(SD=12.92))보다 높게 나타났고, 전체IQ는 82.61(SD=10.37)이었다. 집단간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수행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동작성IQ 수행이 언어성IQ 수행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유아용 검사의 사용연령에 해당하는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은 경험이나 학습에 의해 형성되는 능력보다 유전적ㆍ생물학적 요인의 영향을 반영하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집단간 검사 수행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의 경우 도형 소검사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특수아동의 경우 도형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낮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시각적 기억 능력과 시각-운동협응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특수아동의 경우 이러한 능력들이 일반아동에 비해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4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은 10편이었고, 모두 일반아동을 검사하였다. 일반아동에 대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36명에서 148명까지였고, 평균 88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2세에서 만 7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동형찾기(M=12.24(SD=2.75))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휘(M=8.32(SD=2.51))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기본지표별 수행은 처리속도(M=108.65(SD=13.2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언어이해(M=97.44(SD=13.68))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IQ 수행 평균은 104.30(SD=12.85)이었다.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와 4판 모두를 통해 연구된 일반집단 아동만을 대상으로 두 검사의 수행특성을 비교해 보면 두 검사 모두에서 어휘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에 대해 낮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단어 지식과 언어표현 능력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한편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에서는 도형 소검사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이 소검사가 4판에서는 삭제되었기 때문에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도형 소검사와 유사한 실시방법으로 측정되는 동형찾기 소검사의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는 것도 유사한 점이라 볼 수 있다. 이 점에서 낮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시각적 기억 능력과 시각-운동협응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셋째,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 88편 중 일반아동과 특수아동을 모두 검사한 논문은 14편이었으며, 일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16편, 특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58편이었다. 일반아동에 대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357명까지였고, 평균 62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3세에서 만 16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공통성(M=11.01(SD=2.9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숫자(M=8.85(SD=2.25))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요인별 수행은 언어이해(M=103.35(SD=12.4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M=100.14(SD=13.50))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IQ별 수행은 언어성IQ(M=104.07(SD=14.84))가 동작성IQ(M=102.26(SD=14.87))보다 높게 나타났고, 전체IQ 수행 평균은 102.89(SD=14.07)로 나타났다. 특수아동에 대한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297명까지였고, 평균 38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5세에서 만 16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공통성(M=10.25(SD=2.7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미로(M=7.55(SD=2.74))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요인별 수행은 지각조직(M=92.30(SD=15.68))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주의집중(M=90.38(SD=14.75))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IQ별 수행은 언어성IQ(M=93.59(SD=13.95))가 동작성IQ(M=91.82(SD=14.09))보다 높게 나타났고, 전체IQ 수행 평균은 90.60(SD=13.25)이었다. 집단간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 수행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공통성 소검사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점에서 아동용 검사의 사용연령에 해당하는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은 언어적 개념형성 능력과 추론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언어성IQ 수행이 동작성IQ 수행보다 높게 나타났다는 점도 유사한 점으로 볼 수 있다. 즉 높은 연령의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은 경험이나 학습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언어적 지식 및 수 개념에 대한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집단간 검사 수행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의 경우 숫자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지만, 특수아동의 경우 미로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살펴보면 높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주의력 및 집중력과 단기기억 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고, 반면에 특수아동의 지적 특성은 계획 능력, 시각-운동협응 능력, 속도 및 정확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넷째,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 15편 중 일반아동과 특수아동을 모두 검사한 논문은 4편이었으며, 일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5편, 특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6편이었다. 일반아동에 대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6명에서 200명까지였고, 평균 39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4세에서 만 16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선택(M=12.50(SD=5.4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기호쓰기(M=9.04(SD=2.74))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지표점수별 수행은 지각추론(M=99.76(SD=14.1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M=95.24(SD=14.07))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IQ 수행 평균은 97.05(SD=13.43)로 나타났다. 특수아동에 대한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91명까지였고, 평균 22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5세에서 19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빠진곳찾기(M=8.63(SD=3.3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순차연결(M=6.34(SD=2.72))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지표점수별 수행은 지각추론(M=88.64(SD=14.8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M=81.26(SD=12.89))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IQ 수행 평균은 79.72(SD=7.66)로 나타났다. 집단간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 수행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지각추론지표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지표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들을 해석해 볼 때, 아동용 검사의 사용연령에 해당하는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은 지각구성 능력, 공간지각 능력, 추론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정신적 작업의 민첩성, 시각적 기억 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집단간 검사 수행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의 경우 기호쓰기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특수아동의 경우 순차연결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경우에는 높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정신적 작업의 민첩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고, 특수아동의 지적 특성은 정신적 통제 능력과 집중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과 4판 모두를 통해 연구된 일반집단과 특수집단 아동을 대상으로 두 검사의 수행특성을 비교해 보면 일반아동의 경우 두 검사 모두에서 처리속도지표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점을 통해 높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정신적 작업의 민첩성과 단기기억 능력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특수아동의 경우 두 검사 모두에서 기호쓰기 소검사 수행이 낮은 경향으로 나타난 것도 유사한 점이라 볼 수 있다. 이는 높은 연령의 특수아동의 지적 특성은 시각-운동협응 능력과 정신적 작업의 민첩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와 아동 지능검사 3판 모두를 통해 연구된 일반집단과 특수집단 아동을 대상으로 두 검사의 수행특성을 비교해 보면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유아용 검사의 경우 동작성IQ 수행이 언어성IQ 수행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모양맞추기, 빠진곳찾기 소검사 수행이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반면 아동용 검사의 경우 동작성IQ 수행이 언어성IQ 수행보다 낮게 나타났고, 특히 상식, 공통성, 산수, 어휘 소검사 수행이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즉 낮은 연령의 한국아동은 시각적 기억 능력과 유전적이며 생물학적 요인이 결정하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연령이 높아질수록 경험이나 학습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수 개념 및 언어능력이 더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음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4판과 아동 지능검사 3판 모두를 통해 연구된 일반집단 아동만을 대상으로 두 검사의 수행특성을 비교해 보면 유아용 검사의 경우 처리속도지표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언어이해지표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 아동용 검사의 경우 언어이해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 역시 경험이나 학습에 영향을 받는 일반아동의 언어능력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더 발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처럼 본 연구는 한국 웩슬러 유아 및 아동 지능검사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을 연구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은 물론이고, 향후 관련 연구의 방향 설정에 시사점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도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주요어: 일반아동, 특수아동, 지적 특성,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K-WPPSI),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4판(K-WPPSI-IV),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K-WISC-III),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K-WISC-IV)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