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어교육 석사학위 논문과 전문 학술지의 영문초록의 어휘적 특성과 응집성 비교

        김슬기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영문초록은 논문의 내용을 간단하고 명료하게 작성되며, 내용을 전달하는 홍보적 장치로서 의사소통의 기능을 가진다고 하였다(APA, 2001; Hyland 2004). 선행된 연구를 분석한 결과, 영어원어민과 비영어원어민 전문가의 영문초록의 수사구조, 연결사, 담화표지어 등을 비교하여 분석되어왔으나, 전문가들 간에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영문초록은 학자들 뿐 만 아니라 석사학위 학생들도 초록을 영문으로 작성하여 본 논문에 기재하도록 권고되고 있는 상황에서, 석사학위 학생들의 영문초록과 전문가의 영문초록을 비교하는 연구는 미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석사학위의 영문초록과 국내저널과 해외저널의 영문초록을 비교하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분석하여 석사학위의 영문초록 작성에 도움이 되고자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영문초록이며, 비영어원어민 학생, 비영어원어민 전문가, 영어원어민 전문가 집단으로 나눴다. 분류된 영문초록은 코퍼스 언어분석프로그램인 코메트릭스(Coh-metrix)를 활용하여 단어, 문장, 어휘적 특성, 응집성 및 응집장치를 기준으로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지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석사학위, 해외저널, 국내저널의 영문초록은 단어, 문장, 평균 문장길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석사학위, 해외저널, 국내저널의 영문초록은 어휘적 특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석사학위, 해외저널, 국내저널의 영문초록은 응집성 및 응집장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석사학위, 해외저널, 국내저널의 영문초록으로 분류하여 2008년부터 2018년까지 10년 간 출간된 초록을 선정하여 각각 100편씩 총 300편을 수집하였다. 영어원어민의 영문초록을 선정할 때, 해외저널 소속이 영미권이고, 저자의 성이 미국인 또는 영국인이면 영어원어민으로 간주하여 영문초록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영문초록들은 코메트릭스(Coh-metrix) 자료로 전환되어 측정값을 얻었다. 코메트릭스 측정치들을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과 Tukey 사후분석을 실시하여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석사학위, 해외저널, 국내저널의 영문초록에서 단어, 문장, 평균문장 길이에서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석사학위, 해외저널, 국내저널의 영문초록은 어휘적 측면에서, 어휘적 다양성, 품사정보 중 부사, 1인칭 복수대명사, 3인칭 복수 대명사, 그리고 어휘정보에서 단어빈도수, 친숙도, 다의성, 동사의 상하의성에서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석사학위, 해외저널, 국내저널의 영문초록은 응집성 및 응집장치 측면에서 명사, 논항, 어간, 내용어 중복에서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또한 응집장치로서, 인과, 논리, 추가 연결사에서도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석사학위 영문초록은 한 문장 안에 많은 단어들을 사용되고 문장이 더 길게 작성된다는 결과를 통해 영문초록이 간단하고 명료하게 작성되는 조건을 고려하여 석사학위 학생들이 영문초록을 작성하도록 교수자의 영문초록 지도 및 조언이 요구된다. 둘째, 석사학위 영문초록을 작성한 학생들이 동일한 단어를 반복하여 사용하기 보다는 다양한 어휘를 사용하고, 다의적인 단어보다는 명확하고 구체적인 의미를 가진 단어를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동사를 표현할 때 동사의 상·하위 관계를 고려하는 등 어휘사용을 다양하게 작성하는 지도 및 조언이 필요하다. 셋째, 석사학위 영문초록은 명사, 논항, 어간들의 사용을 중복이 높은 것을 통해 지시적 응집성이 높은 텍스트임을 알 수 있다. 응집성이 높을수록 독자들이 이해하기 쉬운 텍스트는 작문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하였다. 따라서 논문을 처음 접하는 독자들이 내용을 빠르게 읽고 이해하기 쉽도록 석사학위 논문초록을 읽도록 조언 할 수 있겠으나, 어휘의 반복을 줄여 응집성을 낮춰 작성한 영문초록은 독자들의 텍스트를 이해하기 위한 추론 능력을 요구할 수 있으며 이는 영문초록이 독자들의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역할도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영문초록 작성 시 반복된 명사, 논항, 어간들을 줄이고 다양한 어휘를 사용하도록 교수자가 지도 및 조언을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영어원어민 영문초록의 국적이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해 선정되었다는 점에서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석사학위 영문초록은 영어원어민에 의해 교정되고 검열이 되어 집단 유의미한 차이가 없을 수 있으나, 연구의 결과들을 보았을 때, 큰 영향은 미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연구는 영어교육분야의 영문초록의 어휘적인 특성과 응집성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나, 후속연구에선 다른 학문에서 영문초록을 분석하거나, 다른 코퍼스 프로그램을 사용하거나 코메트릭스(Coh-metrix)가 제공하는 다양한 지표로 석사학위, 국내저널, 해외저널 영문초록에서 주로 사용하는 문법적인 특성과 어휘적인 특성을 비교하여 석사학위 영문초록 작성에 도움이 되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study aims to compare English abstract written by non-native students, non-native experts, and native experts by using Coh-Metrix, one of the corpus analysis program. The researcher selected 300 English abstracts divided them into three groups, the master' thesis, domestic professional journals, and oversee professional journal and converted them into the materials of Coh-metrix. In order to compare three groups and to know weather they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NOVA and Subsequent analysis Tukey. The results of this comparative study are followed. First, English abstracts from the master thesis of Korean, from Korean domestic journals and from Arts & Humanities citation index(A&HCI) journa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number of words, sentences, and the mean of sentence length. Second, English abstracts from the master thesis of Korean, from Korean domestic journals and from Arts & Humanities citation index(A&HCI) journa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lexical diversity, the adverb, first plural pronoun, third plural pronoun, word frequency, familiarity, polysemy, and hypernymy for verb. Third, English abstracts from the master thesis of Korean, from Korean domestic journals and from Arts & Humanities citation index(A&HCI) journa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indices of referential cohesion(noun, argument, stem, and content overlap), and casual, logical, and additive connectives. From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some pedagogical implication to non-native students and instructors, who teach how to read thesis or to write the English abstract. First, the instructor can advise non-native students to write English abstract in less use of words and shorter length for a more concrete and precise English abstract. Second, the instructor can suggest that non-native students to use various, clear-cut words and to consider the hierarchical relation of verb. Third, the instructor can advise the graduate students to write their English abstract by using less repetition of noun, argument, stem words and connective words that cause an increase of referential cohesion.

      • 한국 연구자들의 영어학과 영문학 논문 영문 초록에 대한 코퍼스 분석 : 주어-동사 연어를 중심으로

        김영훈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6

        논문 초록이란 논문의 대표이자 얼굴로서 논문 내용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요약한 문서이며 연구의 목적과 내용이 객관적으로 기술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영문 초록에서 사용된 주어와 동사의 연어표현을 중심으로 한국인 연구자들이 작성한 영어학 논문과 영문학 논문의 영문 초록 코퍼스 분석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 문제는 영어학과 영문학 연구의 영문 초록에 나타난 주어, 동사의 종류와 빈도수는 어떠한지, 두 집단의 영문 초록에 나타난 주어–동사의 연어표현을 비교할 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두 집단의 영문초록에 나타난 주어, 동사의 언어적 특성이 각각의 학문영역의 특성을 나타내는지, 두 집단의 영문 초록에서 확인된 가독성과 어휘의 다양성 (Type–Token Ratio), 그리고 두 집단의 영문초록의 길이의 차이점이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영어학과 영문학 이 두 학문 분야는 학과 대분류에서는 영어를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서로 유사하지만, 영어의 규칙 체계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분야인 영어학은 자연과학적 학문 특성을 보이는 경우도 있고 영문학은 문학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인문학적 학문 특성을 보인다. 두 학문들의 언어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학술지 인용 색인 (KCI, Korea Citation Index)를 통해서 영어학 논문 50편과 영문학 논문 50편의 영문 초록 총 100개를 수집하여 온라인 분석 도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사구조의 경우 연구 목적과 연구 결과 및 논의를 서술한 문장에 집중하여 영어학 논문과 영문학 논문의 영문 초록을 비교해 보았다. 또한 영어학과 영문학 영문 초록의 전반적인 텍스트 가독성 (readability), 어휘의 다양성 (TTR) 그리고 초록의 길이 등을 비교 분석하여 어떤 대조되는 점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어학 영문 초록은 영문학과 비교해 고빈도수의 주어-동사 연어표현이 나타났고 수동태가 많이 나왔으며 정형화된 표현들이 사용되었다. 반면에 영문학 영문 초록은 주어-동사 사이에 자유롭고 다양한 표현과 다양한 동사가 사용되었다. 영어학 영문 초록과 영문학 영문 초록의 가독성과 어휘 다양성(TTR)은 차이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학 영문 초록의 평균 길이가 영어학 영문 초록의 평균 길이에 비해 다소 길었다. 끝으로 코퍼스 기반으로 영어학 영문 초록과 영문학 영문 초록 간의 특징 분석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고려했을 때 본 연구가 이 분야의 향후 연구에서 참고자료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abstracts of journal articles summarize the contents of research simply and precis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rpus of abstracts of English linguistics and English literature written by Korean researchers focused on subject-verb collocation.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dealt with. Firstly, what are the types and frequencies of verbs and subjects in each abstract? Secondly, is there a difference in subject-verb collocation between English linguistics and English literature abstracts? Does the difference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cademic domain? Thirdly,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readability, type-token ratio, and length of abstract between English linguistics and English literature abstracts? English linguistics and English literature both deal with English. English linguistics is a scientific study mainly focusing on the structure system of English, so it seems close to natural science. On the other hand, English literature, one field of the humanities, is the study of the production of literary works, so it shows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the humanities.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abstracts of English linguistics and English literature, 50 abstracts from each academic domain are collected through Korea Citation Index and analyzed by analysis tools that are available onlin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bstracts of English linguistics have higher frequencies of subject-verb collocation expressions, more passive sentences, and more formulaic expressions than those of English literature. Furthermore, abstracts of English literature have unconstrained and diverse expressions and use several types of verbs. The abstract readability and type-token ratio of English linguistics and English literature were found to be almost the same. The average number of words in abstracts of English literature was larger than that of English linguistics. Finally, considering that corpus based analysis to compare characteristics between abstracts of English linguistics and English literature has been conducted rarely,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referred by future researchers.

      • 텍스트 기반 메타데이터의 효율화를 위한 영상 초록의 활용 방안 : 중등학교 디지털 도서관을 중심으로

        고수현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논문은 정보전달 매체가 변화하면서 학교도서관에서 영상 자료가 증가함에 따라, 이용자들이 영상 자료를 좀 더 효율적으로 검색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어떤 유형의 영상 초록 보기가 적합성 판정을 위해서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학교도서관 정보시스템(DLS)에 기존에 제공되고 있는 텍스트 초록과 함께 영상 초록을 구현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 다음의 두 가지 작업을 수행하였다. 첫째, 두 가지 영상 초록 즉, 순차 영상 초록과 구조화된 영상 초록으로 구성하였다. 순차 영상 초록은 키프레임(keyframe)들을 비디오 영상의 시간 순서대로 배열하여 구성하였고, 구조화된 영상 초록은 키프레임을 주제, 인물, 배경의 3단계로 분류한 후 재구성하였다. 둘째, 순차 영상 초록과 구조화된 영상 초록이 영상의 의미 파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서, 그리고 어떤 유형의 영상 초록을 반복해서 보는 것이 더 효율적인지 조사하기 위해서 피조사자 30명을 대상으로 표본 비디오 6개를 이용하였다. 순차 영상 초록과 구조화된 영상 초록간의 색인어와 요약문의 정확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음으로 유형 1(순차 영상 초록을 먼저 보고 구조화된 영상 초록을 나중에 봄)과 유형 2(구조화된 영상 초록을 먼저 보고 순차 영상 초록을 나중에 봄)의 영상 초록을 보여주고 색인어와 요약문의 정확도를 측정해 보았다. 실험 결과, 유형 1(순차 영상 초록을 먼저 보고 구조화된 영상 초록을 나중에 봄)의 요약문 정확도 평균(0.43)이 유형 2의 평균(0.34) 보다 높게 나타났고, 이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색인어 정확도에서는 유형 1(순차 영상 초록을 먼저 보고 구조화된 영상 초록을 나중에 봄)의 평균(0.39)이 유형 2(구조화된 영상 초록을 먼저 보고 순차 영상 초록을 나중에 봄)의 평균(0.38)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조사자들의 각 유형에 대한 장점과 단점 조사에서도 유형 1(순차 영상 초록을 먼저 보고 구조화된 영상 초록을 나중에 봄)에 대한 만족도가 유형 2(구조화된 영상 초록을 먼저 보고 순차 영상 초록을 나중에 봄)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더블린 코아(DC)를 근간으로 KOMARC를 수용하고 있는 학교도서관 정보시스템(DLS)에서 유형 1(순차 영상 초록을 먼저 보고 구조화된 영상 초록을 나중에 봄)에 기반한 영상 초록을 구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영상 초록 브라우징 방법은 학교도서관 정보시스템의 텍스트 기반 메타데이터 요소들과 함께 사용되어 교사들이 교과 내용과 연계한 다양한 영상 자료를 좀 더 용이하게 검색, 선택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교육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 학교도서관 이용자들이 비디오 영상 자료의 전체 클립을 보지 않고도, 이용자의 요구에 적합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국제 색인.초록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된 한국학술지의 계량학적 분석: 1990년-1997년

        박소희 숙명여자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247774

        The evaluation of Korean journals is being carried out by the Korean Research Foundation to enhance Korean journals to the level competitive with international journals. One of the evaluation criteria is to check whether a journal is covered by internationally renowned abstracts or indexes, because they can be known and used by the researchers. The bibliometric analysis was conducted by searching 87 abstracts and indexes (A&I) databases provided by the DIALOG, the world's largest data bank. The study identifi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journals covered by the databases. It also identifi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bases covering Korean journ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248 Korean journals were identified, for which at least one paper published between 1990 and 1997 was retrievable from the DIALOG's A&I databases. These Korean journals were found in 52 databases. The total number of papers retrieved for the period from these 248 Korean journals papers is 106,914. The number of journals for which more than 100 papers were retrievable for the same period is only 129. This accounts for 10% of journals published in Korea. 2.Of the 248 Korean journals, 27 are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221 are in Natural Sciences. More specifically, 75 journals are in the area of Agriculture, Fishery and Oceanography, 68 in Engineering, 43 in Natural Sciences, 35 in Medical Sciences. 23 journals are in Social Sciences, 3 in Arts and Sports, and finally 1 journal in Humanities. 3.Korean journals frequently covered by international A&I databases are the ones published in English. Especially 4 Korean journals, for which more than 3,000 papers are retrieved are all published in English. 4.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is covered by 10 DIALOG A&I databases, and thus is the Korean journal covered by the most number of databases. 5.AGRIS indexes 92 Korean journals, the most number of Korean journals among the DIALOG databases. CA SEARCH abstracted 25,355 Korean journal papers, and thus is the database which included the most number of Korean papers. The number of databases which coverd more than 10 Korean journals are 12, and these databases are all in Natural Sciences. 6.There are 35 databases, which did not cover any Korean journals. Most of these are Business or Finance information databases. Some databases cover specific or narrow subject areas, and some concentrate on informations produced in America or Europe only. 7.Of the 52 DIALOG A&I databases covering Korean journals, 4 are selective in journal coverage, and 48 are comprehensive. Publishing English-language Korean journals or Korean journals with English abstracts that are readable, is the best approach to enhance international availability of Korean journals. Therefore, the policy to internationalize Korean research journals should encourage the publication of Korean journals in English. 국내 학술연구를 증진시키고, 한국학술지를 국제적인 수준으로 육성하기 위해 학술지평가가 한국학술진흥재단에서 시도되고 있다. 그 학술지평가 방법중의 하나가 한국학술지가 국제 색인·초록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되어 학술지에 실린 논문들이 외국의 이용자들에게 알려질 수 있는가에 대한 평가로, 등재학술지는 전세계 이용자들에게 이용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그 학술지의 지명도도 높아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최대의 데이터뱅크중 하나인 DIALOG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되는 한국학술지의 규모와 그 학술지들이 등재되는 데이터베이스들에 대해 계량학적 측정을 통하여 그 특성을 분석·규명하였다. DIALOG가 제공하는 500여종의 데이터베이스중 87종의 색인·초록 데이터베이스를 온라인 검색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90년에서 1997년 사이에 DIALOG 색인·초록 데이터베이스에 1편 이상의 논문이 수록된 한국학술지의 총수는 248종이며, 이들 248종 학술지를 등재하는 DIALOG 데이터베이스는 52종이다. DIALOG 색인·초록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248종의 한국학술지중 100편 이상의 논문이 수록된 학술지는 129종으로 국내학술지의 10% 정도이다. DIALOG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되는 1990년에서 1997년 사이에 출판된 한국학술지 논문의 총수는 106,914편이다. 둘째, DIALOG 색인·초록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되는 한국학술지중 농·수·해양학 (75종), 공학 (68종), 이학 (43종), 의약학 (35종) 등 221종의 학술지가 자연과학분야의 학술지이며, 사회과학 (23종), 예체능 (3종), 인문과학 (1종)순이다. 즉, 색인·초록되는 학술지의 대부분이 절대적으로 자연과학분야 학술지이다. 셋째, 국제적인 색인·초록 데이터베이스에 많이 등재되는 한국학술지들은 영문학술지이며, 특히 여러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되는 총 학술지 논문수가 3,000편 이상인 한국학술지는 모두 영문학술지이다. 넷째, 가장 많은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된 한국학술지는 10종의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된 의학분야의 학술지인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이다. 다섯째, 한국학술지가 가장 많이 수록된 데이터베이스는 92종의 학술지를 등재한 AGRIS이며, 한국학술지 논문이 가장 많이 수록된 데이터베이스는 25,535편을 수록한 CA SEARCH이다. 10종 이상의 한국학술지를 등재하는 DIALOG 데이터베이스는 12종이며 이들은 모두 자연과학영역의 데이터베이스이다. 여섯째, 한국학술지를 등재하지 않는 데이터베이스는 35종으로 인문과학영역이나 경제정보를 다루는 데이터베이스이거나 주제가 특별히 세분되는 데이터베이스, 미국과 유럽에서 생산되는 정보를 집중적으로 다루는 데이터베이스 등이다. 일곱째, 한국학술지가 등재되는 52종의 DIALOG 데이터베이스중 선택적 색인·초록 데이터베이스는 4종이고, 망라적 색인·초록 데이터베이스는 48종이다. 영문으로 학술지를 발행하는 것, 또는 읽을만한 영어초록을 제공하는 것이 한국학술지가 국제적으로 이용될 가능성을 높이는 가장 좋은 방법일 것이다. 국내에 아직 한국학술지를 국제학술지로 육성하기위한 발행지원 계획이 아직 확정되어 있지 않은데 영문학술지의 발행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 The Shaded Scenery 展에 대한 작품론

        정지현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743

        본 논문은 본인의 작품 <The Shaded Scenery>에 대한 작품론으로 <The Shaded Scenery>는 서울과 경기도 일대에서 볼 수 있는 자연의 색으로 위장된 가림막과 군사보호시설 위장막에 대한 작업이다. 우리의 시선을 끌지만 한편으로는 시선을 가리는 색에 대한 풍경이다. 그 ‘색’은 구체적으로 우리에게 편안함과 안정감을 주는 초록색이다. 그것이 개발과 재개발 과정에서 공사현장의 미세먼지와 잔류 자재를 가리는 색이면서 한편으로는 그것을 바라보는 우리의 눈을 편안하게 하는 색이다. 본 논문에서는 초록에 대한 이미지를 세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는 개발의 과정에서 보이는 초록색 가림막이 아파트나 빌딩을 둘러싸기도 하고 도로공사장의 절개지를 덮어 꽃과 나무가 자랄 수 있게 하는 바탕이 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실재 골프장에 나가있는 듯한 느낌이 들게 실외골프장을 둘러싸기도 하였다. 둘째는 단순한 초록색 가림막에서 사진, 아트펜스, 페인팅 등으로 바뀌는 가림막이다. 자연이나 역사적 이미지를 형상화한 가람막으로 도시미관을 변화시킨 풍경이다. 대도시에서 부족한 자연을 대체하는 인공의 색은 발전소의 굴뚝, 실외수영장, 낡고 오래된 고가도로에서 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늘 있었던 것으로 생각하며 주의 깊게 돌아보지 않는다. 인공의 색은 오래 전부터 우리에게 편안한 초록색으로 다가와 있었던 것이다.셋째는 초록색이 위장색으로 가장 잘 표현되는 군사시설에 대한 것이다. 국방색으로 칠해진 군사시설물과 참호, 벙커 등은 1953년 7월 27일 맺은 정전협정停戰協定 이후 비무장지역에 인접한 지역과 해안지역 중심으로 설치되었다. 군사분계선 주변뿐 아니라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국가라는 지리적 여건 때문에 휴양지를 제외한 바닷가, 심지어 수도 서울에서도 군부대시설은 쉽게 볼 수 있다. 위장과 접근 불가의 팻말로, 진경眞景으로부터 우리의 눈을 가리고 시선의 회피를 강제한다. 본 논문은 대도시 안에 우리가 일상 속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이지만 관심을 두지 않으면 지나치게 되는 눈에 띠지 않는 풍경에 대한 고찰이다. 도시풍경에서 인공의 색과 자연의 색이 우리에게 어떤 느낌인지 살펴보았다. 대한민국에서 개발은 계속 되어질 것이다. 개발, 재개발, 개발은 뫼비우스의 띠Möbius strip처럼 반복될 것이다. 변형된 가림막은 점점 더 변형될 것이다. 본 논문을 통해 자연을 깎아먹고 이웃을 내쫓는 개발의 살벌함, 도시인의 삶 주변에 산재한 회색의 황량함, 분단과 군사적 대치 속에 곳곳에 널려 있는 군 시설물이 주는 팽팽한 긴장감을 ‘은폐하고 위장하는 색’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 사회의 무분별한 개발이 선사하는 자연의 파괴와 죽음, 이웃의 추방은 수 십 년 된 관행이 되었다. ‘자연의 녹색’을 파괴하면서 얻는 회색의 건축물과 시설물에 ‘인공의 녹색’으로 가리는 것은 그간의 관행을 버리겠다는 것이 아니다. 단지 파괴에서 오는 불안감을 완화시켜 줄 뿐이다. 자연 속에 군사적 시설물을 설치하고 녹색으로 은폐하는 것은 단지 적으로부터 숨기 위한 것만이 아니다. 이러한 녹색의 은폐는 우리한테도 적용된다. 그것이 있음에도 우리가 보지 못함으로써 상기하고 싶지 않은 한국의 정전停戰 상태를 가려주는 것이다. 녹색은 역사적으로 많은 의미가 있었지만 본인의 작업에서 나타난 녹색은 ‘실감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녹색은 파괴의 맨살을 가리고, 추방의 비극을 은폐하고, 대립의 긴장을 위장하는 색이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author's work, <The Shaded Scenery> which is about screen fences in Seoul and Kyungi province that are disguised with the color of nature and camouflage netting for military installations. It is a color that draws our attention and also obstructs our view. That color specifically is the color green which brings us comfort and a sense of stability. It is the color that covers up fine dust created and construction materials left behind at construction sites as a result of development and redevelopment process while it also brings visual comfort to our eyes when such scene comes into view. This thesis explores the images of the color green by classifying them into three areas. First, is the green screen fence that can be found in the development process which surrounds apartments and buildings and also help flowers and trees to grow by covering cut slopes at road construction sites. Moreover it surrounds outdoor driving ranges to make them seem like an actual golf course. The second is the simple green fence that turns into photographs, art fences, paintings, and etcetera. It is the kind of screen fence that changed the cityscape by depicting nature or historical images. The artificial color that replaces nature which is rarely found in large cities, can be seen around power plant smokestacks, outdoor swimming pools and old overpasses. However, we do not pay close attention to them as we think they always have been around. The artificial color has been around us as the color green that gives us a sense of relaxation from a long time ago. The third has to do with military facilities where green is best expressed as the color used for camouflage. Military facilities, foxholes and bunkers, etc colored in khaki were located in areas near the DMZ and coastal areas following the signing of the Armistice on July 27, 1953. As Korea is a peninsula surrounded by water on three sides, military facilities are easily found not only around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but also along the seashore except for vacation spots and also in the capital city, Seoul. With the disguise and restricted access signs, our eyes are covered and forced to look away from the real landscape. This thesis is a contemplation on the scenery that is commonly found in our daily lives in large cities that we pass by without noticing unless we take an interest in it. The thesis studies what kind of feelings we have about the artificial and natural color found in urban scenery. Development will continue to occur in the Republic of Korea. Development followed by redevelopment will endlessly take place just like the Möbius strip. The screen fences that were changed in form will gradually change even more. This thesis explores the color that "conceals and camouflages" the brutality of development that destroys nature and evicts our neighbors, the desolate grey found in the surroundings of the urban dwellers, the high tensions involving military facilities located in various places amid military confrontations and the division of the two Koreas. The destruction of nature and deaths caused by Korea's reckless development and eviction of our neighbors have become customary for decades. Covering up the grey buildings and facilities that were established by destroying the green nature with artificial green does not mean that such practice would be abandoned. What it does is merely relieve the tension caused by destruction. The purpose of building military facilities in nature and covering them up with green is not just to hide from the enemies. Such cover up also applies to us. "Armistice" which we do not want to be reminded of, is hidden as well although it is the situation that Korea is in. The color green has a lot of historical meaning but the green in the author's works makes us unable to truly "realize". The green in the thesis is the color that covers up destruction, conceals the tragedy of eviction and disguises the tension of confrontations.

      • 영화 '초록 물고기'와 '박하사탕'의 시간과 공간의 의미 : 서사 분석을 통하여

        박경희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742

        이 연구는 시간과 공간 개념에 주목해서 그것이 어떻게 영화의 서사 구조에 기여하고 의미를 생산해내는지를 고찰하였다. 서사를 이끌어가는 중심축으로서 시간과 공간은 인과율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고 영화는 시간과 공간의 예술로서 시간의 공간화와 공간의 시간화를 통해 새로운 경험과 예술 세계를 창조해내고 있다. 따라서 영화에서 시간과 공간을 살펴봄으로써 이 두 요소가 어떻게 서사를 구축해내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 문제는 두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초록 물고기’에서 시간과 공간은 어떤 의미를 생산하며 주제를 함축하는가? 둘째, ‘박하사탕’에서 시간과 공간은 어떤 의미를 생산하며 주제를 함축하는가? 본 연구는 서사 이론을 분석틀로 이창동 감독의 ‘초록 물고기(1997년)’와 ‘박하사탕(1999년)’에 대한 텍스트 분석을 하였다. 시나리오와 비디오테이프를 분석 자료로 삼아 작품 분할(segmentation)을 바탕으로 시간과 공간의 변화를 통해 드러난 주제 의식을 살펴보았다. 분석 대상 영화 두 편은 모두 이창동 감독이 각본을 쓴 것으로 소설 작업을 통해 발휘한 이야기꾼으로서의 역량을 영화에서도 이어가고 있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특히 대기업 자본과 독립적으로 기획, 제작, 배급에 나섰던 두 영화는 영화 산업 측면에서도 주목을 받은 바 있다. 또한 흥행성과 작품성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분석 결과 ‘초록 물고기’는 공간의 변화를 통해서, ‘박하사탕’은 시간의 변화를 통해서 서사를 구축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먼저 ‘초록 물고기’는 주인공인 막동(한석규 분)을 중심으로 연대기적으로 전개된다. 시공간은 사건의 순서에 따라 선형적으로 구성되며 스토리 정보의 범위는 막동의 사점에 비교적 제한되어 있지만 그 심도에서는 객관적 서사 화법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시간보다는 공간의 변화와 병치에 따라 가족의 해체와 복원의 과정, 암흑가 폭력 세계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있다. 일산과 영등포로 대별되는 두 공간은 다시 일산은 대곡리와 신도시 아파트 단지로, 영등포는 유흥가와 재개발 건물로 세분해서 등장인물들이 갈등하고 대립하는 장소로 표현되고 있다. 대곡리는 신도시 개발로 삶의 터전을 잃은 막동의 가족들이 해체된 모습으로 나타나지만 영화 종반에 가서 막동이 죽은 다음에는 가족이 함께 살면서 복원된 모습으로 나타난다. 영등포의 재개발 건물은 막동이 가족의 대리자로 기대했던 폭력 세계의 정체성이 드러나는 공간으로서 막동의 우두머리인 배태공(문성근 분)에게 버림을 받는 곳이다. 다음으로 ‘박하사탕’은 공간보다는 시간의 변화에 초점을 맞춘 영화다. 20년이라는 시간을 역행하며 순수와 첫사랑을 찾아 떠나는 역연대기적 구성은 이 영화만의 독특한 방식이다. 주인공 영호(설경구 분)의 죽음에서 시작하는 이 영화는 7개의 에피소드로 나뉘어 과거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회상(플래시백) 장면이 들어있는 대부분의 영화가 현재의 시점으로 되돌아오는 것과 달리 ‘박하사탕’은 가장 먼 과거인 20년 전의 시간에서 멈춘 채 돌아오지 않는다. 시간을 되돌아가는 구성으로 인해 앞선 에피소드는 결과를 보여주고 다가올 에피소드에서 원인이 규명되고 있다. 따라서 주인공의 현재 모습은 과거의 시간으로 돌아가서야 이해될 수 있다. 영화 도입부에서 그의 죽음에 대한 아무런 단서도 제시하지 않기 때문에 그의 망가진 인생에 대한 원인은 호기심을 유발하며 전체 서사 구조를 이끌어가고 있다. 또한 각 에피소드에서 전개되는 사건들은 우리 현대사의 중요한 사건들-광주 민주화 운동, IMF 경제위기, 신도시 개발 붐 등-과 고리를 이루며 끊임없이 사적 시공간과 공적 시공간을 넘나들고 있다. 특히 주인공이 순수함을 상실한 시공간은 1980년 광주로서 사적 시공간과 공적 시공간의 교차가 극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결론적으로 ‘초록 물고기’는 공간에 초점을 맞춰서 가족의 해체와 복원의 과정을 그려내고, 지하 폭력 세계와 ‘가짜 가족’의 정체성을 폭로하고 있다. ‘박하사탕’은 시간을 역순으로 제시하면서 순수와 첫사랑을 회복해가는 과정을 역설적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개인의 시공간이 역사의 시공간과 교차하면서 한 사람의 인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창동 감독은 두 편의 영화를 통해 시간과 공간의 변화 속에서 또다시 공간과 시간을 그 사이에 교직시켜나가면서 시간의 공간화와 공간의 시간화를 이루어내고 있다. 특히 같은 공간에서 갈등이 발생하고 해결되면서 한편으로는 시간의 흐름에 주목하게 하고 있으며, 공간의 변화와 병치를 통해 극중 인물 사이의 긴장감을 고조시키고 앞으로 전개될 스토리에 대한 기대를 형성하게 한다. 또한 카메라 움직임을 통해 숨어있던 공간을 드러냄으로써 영화의 주제에 새로운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초록 물고기’에서는 가족의 복원이라는 주제가 그 같은 맥락에서 이중적인 의미를 생산하면서 영화 전체를 열린 형식으로 파악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있다. ‘박하사탕’의 경우 정지 화면을 통해 도입부와 종결부를 연결시켜 같은 공간, 달라진 시간 사이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순수함을 간직했던 과거와 파탄을 맞은 현재를 대비시킴으로써 현재 속에 숨어있는 과거를 공적인 시공간으로 드러내고 있다. 개인의 시간과 역사적 시간의 맞물림은 영화 곳곳에서 우리 현대사를 조명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si to consider how time and space contribute to the narrative of the movies and create meaning in the movies by highlighting the concept of time and space. Time and space, as central axis leading narrative are closely related to casuality, while movies, as the art of time and space, create a new world of experience and art through converting time to space, and also space to time.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ed on in what way these two elements work on the narrative construction, studying time and space in movies. The subject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First, what meaning does time and space creates respectively in "Green Fish", and how does they contribute to the narrative? Second, what meaning does time and space creates respectively in "Peppermint Candy", and how does they contribute to the narrative? The study offers a text analysis, using narrative theory as a framework, of Lee chang-dong's "Green Fish(1997)" and "Peppermint Candy(1999)". With scenarios and video tapes as analysis materials, the study investigated the thematic consciousness exposed through changes of time and space, on the basis of film segmentation. In consequence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Green Fish" constructs narrative through changes of space, and "Peppermint Candy" through changes of time. Firstly, "Green Fish" develops in a chronological order centering around the leading actor. Time and space are framed in a linear manner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occurrences. As for the story information flow, the scope of time and space is relatively limited to Mack-dong's point of view. However, it maintains objective narration in its depth. It reveals the nature of organized underworld violence by changes of space and juxtaposition, rather than by changes of time. Secondly, "Peppermint Candy" is arranged in a unique converse chronological order in which the leading actor traces out his innocence and first love, going back 20 years. The movie starts with the death of the leading actor and retraces the past I 7 episodes. The backward construction allows prior episodes to present consequence and to trace the origin of coming episodes.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leading actor, therefore can be understood only in the past. This cause-effect relationship leads the whole narrative, arousing curiosity. In conclusion, "Green Fish" being focused on space, describes the process of family dismantlement and restoration, and at the same time discloses the property of organized underworld violence and 'pseudo family'. "Peppermint Candy", presenting time in reverse order, paradoxically describes the process of restoring innocence and fist love. In addition, it shows that how time and space of a person, while crossing with time and space of history, affects the person's life. In the two movies, director Lee chang-dong, combining the changes of time and space with changes of space and time, succeeds in showing the spatial dimensions of time and the temporal dimensions of space. Especially, troubles' arising and being solved in the same place makes the audience attend to the flow of time on one hand. It also builds up tension among characters by changes of space and juxtaposition, and creates anticipation for the forthcoming story on the other hand. Moreover, camera movement exposing hidden space makes a new interpretation of the theme possible. In "Green Fish", the theme of family restoration creates a double meaning in the same context, ad provides the basis for seeing the whole movie in a open way. "Peppermint Candy" connects the beginning and ending with freeze frame, and shows what happened in the same space, at different times. Furthermore, by contrasting the pure past with the devastated present, it depicts the past hidden behind the present in time and space. The engagement of the time of an individual and of history sheds light everywhere in the movies on Korean modern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