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 차(茶)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의 체험 마케팅 전략 연구

        김슬기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As economic growth and advance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diversify consumer needs and emphasize individuality, businesses are moving beyond traditional marketing approaches to provide consumers with various experiences. They operate flagship stores that highlight the brand’s identity and individuality. In particular, recently recognized tea brands are actively adopting a flagship store strategy, prioritizing experiences in offline spaces to align with these trends. In this study, three flagship stores of domestic tea brand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visi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Five Strategic Experience Module” by Bernd Schmitt and the “Experience Provider” to implement the module. Through this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ore were identified, an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strategic experience modules for domestic tea flagship stores were deriv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methods for experiential marketing strategies needed for the launch and operation of tea flagship stores were proposed and presented as guidelines. The guideline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a proposal was made to provide consumers with emotional experiences by emphasizing natural elements through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areas that offer relaxation and a sense of stability. Second, it was suggested to design distinctive external and internal spaces reflecting nature-friendly elements and the brand’s values to emphasize sensory, emotional, and relational experiences. Third, the recommendation was to emphasize the brand’s expertise through specialized products unique to flagship stores, forming brand recognition as a differentiated space. Fourth, a proposal was made for a digital enhancement strategy using various electronic media such as applications and membership programs to strengthen interaction between the brand’s flagship space and consumers. Last, it was emphasized that consumer communi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Offline, communication revolves around emotional and relational experiences, facilitated by tools like informational cards and tea classes. Online, the focus is on intensifying interaction with a diverse consumer base through the utilization of SNS channels. Hopefully, based on the proposed guidelines an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Strategic Experience Module, the findings will serve as valuable insight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experiential marketing strategies for tea brands’ flagship stores. 국내 차(茶)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의 체험 마케팅 전략 연구 김슬기 시각디자인전공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경제적 성장과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소비자 니즈가 다양화되고 개성이 강조되면서 기업들은 전통적인 마케팅 방식을 벗어나 소비자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브랜드의 정체성과 개성을 강조하는 플래그십 스토어를 운영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 주목받는 차(茶) 브랜드들도 이러한 트렌드에 부응하기 위해 오프라인 공간에서의 경험을 중시하며 플래그십 스토어 전략을 적극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차 브랜드 중 수도권에 위치한 3개의 플래그십 스토어를 방문하여 번 슈미트의 ‘5가지 체험 모듈’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체험제공수단’을 기반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각 스토어의 특성을 파악하고, 국내 차 플래그십 스토어의 전략적 체험 모듈별 장단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차 플래그십 스토어의 론칭과 운영에 필요한 체험 마케팅 전략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하였다. 이 가이드라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휴식과 안정감을 제공하며 자연적인 요소가 강조된 상권 개발을 통해 소비자에게 감성적 체험을 제공하도록 제안하였다. 둘째, 자연 친화적인 요소와 브랜드의 가치를 반영한 특색 있는 외부 및 내부 공간을 설계하여 감각, 감성, 관계, 행동 체험 강조를 제안하였다. 셋째, 플래그십 스토어만의 특화된 상품을 통해 브랜드의 전문성을 강조하고 차별화된 공간으로서의 인지를 형성하도록 제안하였다. 넷째, 브랜드의 플래그십 공간과 소비자와의 상호 작용 강화를 위해 애플리케이션, 멤버십 운영 등 다양한 전자 매체를 통한 디지털 강화 전략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소비자의 커뮤니케이션을 강화를 위해, 오프라인에서는 안내 설명 카드, 티 클래스 등을 통한 소비자와의 감성, 관계, 행동 체험 중심의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며 온라인에서는 SNS 채널을 활용하여 브랜드와 다양한 소비자층 간의 상호 작용 강화를 강조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가이드라인과 전략적 체험 모듈 별 장단점을 토대로 향후 차 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의 체험 마케팅 전략을 구축함에 있어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활성산소 민감형 탄소나노양자점 기반 암세포의 형광/전기화학적 진단 및 치료기술

        김슬기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Here, we designed a ROS- and GSH-responsive diselenide polymer dot-based drug delivery system and electrochemical sensor capable of cancer diagnosis and treatment. First, diselenide bonds cross-linked PD-TPP allowed PTX to be stably loaded, and in the presence of H2O2 and GSH, the PTX was released from the matrices due to controlled cleavage of the diselenide bond. Furthermore, conjugated TPP may potentially enhance the therapeutic efficacy of the anticancer drugs and minimize the side effects, owing to its specific targeting to the mitochondria of cancer cells. Moreover, we invented a real-time electrochemical sensor based on diselenide polymer dot nanoparticles coated on a substrate, proficient in selectively detecting tumors. Due to the high amount of ROS in cancer conditions, the surface morphology was altered, cleaving the diselenide bonds (-Se-Se-) and forming Se-OH/-Se-OOH, which simultaneously affected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sensor. In the end, the developed drug delivery and sensor could become a breakthrough for biomedical applications, notably for cancer detection and medication.

      • 예혼합 합성가스 충돌 제트 화염에서 열음향 불안정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김슬기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Experiments on thermoacoustic instabilities were conducted in premixedimpinging jet configuration for premixed syngas-air mixtures with the volume ratio of 10% and 90% for H2 and CO respectively, by varying equivalence ratio Ф and global velocity gradient C g. The main concerns are focused on clarifying the mechanisms for an oscillation generated in noisy flame and an instability driven via flame-vortex interac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non-reacting flow field presented divergent flow shape, while the reacting flow field showed an “S”shape. The FFT frequencies of flame and vortex were acquired and analyzed to obtain the frequency. The frequency of non-reacting flow vortex (V N·R·V=140 Hz) was different from natural frequency of burner itself (60 Hz). The frequencies of vortex and pressure perturbation were similar to flame frequency. Thus, the oscillation was caused by flame not flow and the flame-vortex interaction was associated with self-excited instabilities as comparison of frequency, pressure perturbation and vortex.

      • 수술실 간호사의 조직몰입, 팀워크인식 및 간호전문직관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김슬기 남부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conducted to examine the ext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recognition on teamwork, nursing professional value,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of scrub nurses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ir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26, 2022 to October 8, 2022.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143 scrub nurses who were working at the hospitals with over 100 beds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and J-do, and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In terms of the study tools,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measured using a tool that was developed by Mowday et al. (1979) and modified by Yoon Gye-sook (2010)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of an operation room. Recognition on teamwork was measured with a tool that was developed by the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AHRQ) and modified by Ahn Shin-ae and Lee Nam-ju (2016) to be suitable to be used for an operation room in Korea. Nursing professional value was measured using a tool developed by Yoon Eun-ja, Kwon Ok-hee, Ahn Young-mi et al. (2005),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was measured using a tool developed by Song Mi-ok (2015).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total of 112 questions with 9 question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14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5-Point Likert Scale), 35 for recognition on teamwork (5-Point Likert Scale), 29 for nursing professional value (5-Point Likert Scale), and 25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5-Point Likert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Kruskal-Wallis test, Scheffe's test, Dunn’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 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WIN 22.0.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age of the participants was 33.14 years with those over 30 years of age taking up 53.6%, and 93.6% of the participants were female. The proportion of those who had a bachelor’s degree was 85.0%, and 44.3% of the participants had over 10 years of clinical career. Those who had been working at an operation room for more than 10 years accounted for 39.3%, whereas 77.1% of the participants were general nurses. Among the participants, 87.9% had experienced patient safety management education while 68.6% had taken a test for accreditation. Fifty-eight percent of the participants were working at a hospital with over 300 beds. 2. The ext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participants scored an average of 3.27±0.55 out of 5, and the average score of recognition on teamwork was 3.69±0.63 out of 5. The extent of nursing professional value scored an average of 3.49±0.56 out of 5, and the average score of the extent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was 4.15±0.69 out of 5. 3.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t=-3.01, p=.003), clinical career (F=6.59, p=.002), work experience at an operation room (F=4.34, p=.015), position (F=4.56, p<.001), and experience of taking a test for accreditation (t=2.05, p=.042). Recognition on teamwork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beds (t=-2.15, p=.033) and position (t=2.12, p=.037). Nursing professional valu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ition (t=2.19, p=.030).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ition (t=2.57, p=.011) and experience of taking a test for accreditation (t=2.03, p=.044). 4. The relations between the variables of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 showed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cognition on teamwork (r=.58, p<.001), nursing professional value (r=.53, p<.001),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r=.49, p<.001). Recognition on teamwork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ing professional value (r=.60, p<.001)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r=.57, p<.001). Nursing professional valu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r=.62, p<.001). 5. The factors affecting the participants’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were found to be in the order of nursing professional value (β=.43, p<.001), recognition on teamwork (β=.31, p<.001), and experience of taking a test for accreditation (β=.16, p=.008),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46.9%. In conclusion, experience of taking a test for accreditation, nursing professional value, and recognition on teamwork of scrub nurses were identified to b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intervention programs to enhance nursing professional value and recognition on teamwork. 국문초록 수술실 간호사의 조직몰입, 팀워크인식 및 간호전문직관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김슬기 지도교수 : 오윤정 간호학과 남부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조직몰입, 팀워크인식, 간호전문직관 및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정도를 파악하고,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9월 26일부터 2022년 10월 08일까지이며, 연구 대상자는 G 광역시, J 도 소재의 100병상 이상 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수술실 간호사 14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연구 도구는 조직몰입은 Mowday 등(1979)이 개발하고 윤계숙(2010)이 수술실 상황에 맞게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팀워크인식은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AHRQ)에서 개발한 도구를 안신애, 이남주(2016)가 한국 수술실 상황에 맞게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간호전문직관은 윤은자, 권옥희, 안영미 등(2005)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환자안전관리활동은 송미옥(2015)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설문지는 총 112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일반적 특성 9문항, 조직몰입 14문항(Likert 5점 척도), 팀워크인식 35문항(Likert 5점 척도), 간호전문직관 29문항(Likert 5점 척도), 환자안전관리활동 25문항(Likert 5점 척도) 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Kruskal-Wallis test, Scheffe's test, Dunn’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 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연령은 평균 33.14세로 30세 이상이 53.6%, 여자가 93.6%, 학사가 85.0%. 총 임상경력은 10년 이상 44.3%, 수술실 경력은 10년 이상 39.3%, 일반간호사가 77.1%, 환자안전교육을 경험한 대상자가 87.9% 이었고, 인증평가를 경험한 대상자가 68.6% 이었다. 병상 규모는 300병상 이상이 58% 이었다. 2. 대상자의 조직몰입의 정도는 평균 3.27±0.55점(5점 만점), 팀워크인식은 평균 3.69±0.63점(5점 만점), 간호전문직관의 정도는 평균 3.49±0.56점(5점 만점),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정도는 평균 4.15±0.69점(5점 만점)이었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몰입은 연령(t=-3.01, p=.003), 총 임상경력(F=6.59, p=.002), 수술실 경력(F=4.34, p=.015), 직위((F=4.56, p<.001), 인증평가 경험유무(t=2.05, p=.04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팀워크인식은 병상 규모(t=-2.15, p=.033), 직위(t=2.12, p=.03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간호전문직관은 직위(t=2.19, p=.03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환자안전관리활동은 직위(t=2.57, p=.011), 인증평가 경험유무(t=2.03, p=.04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상자의 변수 간의 관계 분석을 한 결과, 조직몰입은 팀워크인식(r=.58, p<.001), 간호전문직관(r=.53, p<.001), 환자안전관리활동(r=.49,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팀워크인식은 간호전문직관(r=.60, p<.001), 환자안전관리활동(r=.57,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은 환자안전관리활동(r=.62,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5.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간호전문직관(β=.43, p<.001), 팀워크인식(β=.31, p<.001), 인증평가 경험(β=.16, p=.008) 순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6.9% 이었다. 본 연구 결과, 수술실 간호사의 인증평가 경험, 간호전문직관과 팀워크인식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간호전문직관 및 팀워크인식을 높이는 다양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주요용어 : 수술실 간호사, 조직몰입, 팀워크인식, 간호전문직관, 환자안전관리활동

      • 미용 면허제도에 대한 국제 비교 연구

        김슬기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미용 면허제도에 대한 국제 비교 연구 김슬기 지도교수: 김춘득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 남부대학교 세계화 시대에 미용사 면허제도에 관한 국제비교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우리나라 미용사 면허제도가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과 비교해 볼 때 매우 불안정한 상태에 머물러 있음은 여러 선행연구에서 이미 지적된 바 있다. 심지어 일각에서 면허제도의 폐지론까지 언급되고 있는 혼란한 상황은, 결과적으로 미용사 면허제도의 존재 가치를 흔들이 놓는 결과를 낳고 있다. 이러한 상황의 원인 중 하나로 면허제도 존치의 정당성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 학문 활동이 대체적으로 미약했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나아가 입법자들과 정책입안자들이 참고해야 할 외국의 미용사 면허제도에 관한 연구 활동이 미진했었다는 점도 그 이유가 되기에 충분하다(이한웅, 2008). 본 논문은 우리나라와 외국의 미용사 면허제도 및 입법에 관한 다양한 종류의 문헌과 연구물들을 분석, 검토하는 비교 논문이다. 우리나라와 주요 외국의 미용사면허제도와 관련 법령에 대한 체계적 분석, 비교 연구 등을 고찰함으로써 한국 면허제도의 미비점을 발견하고 이를 보안하여 우리나라의 미용사 면허 제도의 발전을 위한 입법 방향의 시사점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첫째, 미용사 자격시험과 면허시험을 구분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교육과학부에서 인정한 교육기관에서 일정 시간을 이수 하면 무시험으로 면허를 취득하거나 미용사자격증 시험을 치러 자격증 발급과 동시에 면허를 취득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다른 나라들은 자격증 시험을 먼저 통과해야 면허시험을 볼 수 있게 되어있다. 둘째, 면허를 취득할 때 이수시간을 정해야 한다. 무시험으로 면허를 부여해서는 안 된다. 셋째, 면허를 취득할 수 있는 자들의 연령과 학력을 제한해야 한다. 무시험 면허 제도를 폐지하고 관련 학과를 졸업하고 시험을 볼 수 있는 제도가 생긴다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무시험 면허제도가 폐지 되지 않는다면 적어도 면허를 취득할 수 있는 자들이 의무교육은 마친 나이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넷째, 미용고등학교, 2년제 대학, 4년제 대학의 차이점을 두어야 한다. 고등학교를 졸업하나 대학교를 졸업하나 면허증을 취득하는 건 동일하다. 미용고등학교나 2년제 대학의 경우 일정 시간의 실무경험을 인정 후 면허증시험을 치룰 수 있게 해야 한다.

      • 최근 10년간 탈모 외용도포제의 특허 동향

        김슬기 건양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탈모인구의 증가에 따라 탈모시장이 성장하고 탈모시장의 유통채널이 다양화되며 온라인, 오프라인을 통해 누구나 쉽게 구매 가능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2017년부터 기능성화장품의 범위가 확대되어 탈모관련 제품들이 기존의 의약외품에서 기능성화장품으로 분류 되었다. 시장의 성장에 따라 관련 제품들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제품출시가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탈모제품의 특허연구동향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 출원된 탈모 외용도포제의 특허동향과 제품화 현황을 조사하여 특허의 활용률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년 1월부터 2018년 9월까지 출원된 특허를 연도별로 보았을 때 총 429건의 출원이 이루어 졌으며 그 중 발모제 196건으로 1위, 탈모방지제가 142건으로 2위, 육모제 51건으로 3위, 양모제 40건으로 4위로 집계되었다. 각 항목은 연도별로 크게 차이 없이 지속적으로 특허출원이 이루어졌다. 둘째, 특허를 소재에 따라 분석한 결과 천연성분 254건(59.2%) 화학성분 175건(40.8%)으로 천연성분을 이용한 특허가 18.4%더 많이 이루어졌다. 셋째, 특허를 출원한 주체는 지난 10년간 기업에서 출원한 특허가 총 205개(48.3%), 개인이 출원한 특허는 83건(20.8%),다자출원 79건(19.8%), 대학 62건(15.5%) 이었다. 기업에서 출원한 특허가 개인이 출원한 특허에 비해 2.5대 더 많았는데 그 이유는 연구투자, 제품화등 다양한 여건을 갖추기에 기업이 유리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넷째, 특허출원 후 제품화 현황의 조사에 있어서 개인, 대학, 다자출원 등의 특허는 조사에 한계점이 있어 기업에서 출원한 특허를 중심으로 하였다. 총 429개의 특허 중 기업출원 특허 205건, 탈모외용도포제를 통틀어 제품화된 특허는 21건 이었다. 이는 전체 특허 가운데 4.9%로 매우 적은 비율이며, 기업출원 특허 중에서는 10.2%를 차지한다. 중소기업에서 출시된 제품의 경우 마케팅이 활발하지 않은 것도 다수이다. 제품군에 따라 특징이 있었는데 발모제는 세정제품 9건, 영양공급기능을 갖춘 제품 17건으로 영양공급기능을 갖춘 제품이 2배 가까이 제작되었고 탈모방지제품은 세정제품 4건, 영양공급제품 4건으로 세정제품의 출시비율이 50%를 차지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종합해 보았을 때 특허출원비율은 최근10년간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였지만, 제품으로 개발되는 비율은 매우 적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정부차원에서의 특허활용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지원방법을 개발하고 , 기업은 특허를 활용한 제품화를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개인이나 대학등에서 출원한 특허를 기업과 같이 협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 연구는 특허를 활용한 제품개발을 기업으로만 한정한 제한점이 있었으므로 후속연구에서는 특허 제품개발현황을 특허전체로 확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hair loss market grew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hair loss population. In the past, the distribution channels in the specialized management room were diversified so that anyone can purchase them online or offline. Accordingly, the scope of functional cosmetic products expanded from 2017 to invigorate the cosmetics market, and hair loss related products were revised as functional products. Various studies and product releases are being conducted on related products, and trends in patent research on hair loss products have not been followed up since 2010 when a Se-il, Kang study was addressed. Therefore, this paper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atent trends and the current status of hair loss external application applications for the past 10 years to find way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patents. First, a total of 429 applications were applied annually from January 2009 to September 2018, ranking first, followed by hair growth solution 196, number of rank second hair loss inhibitor 142, third hair growth promoter with 61, and fourth with hair tonic products 40. Second, according to the materials, 254 cases (59.2%) of natural ingredients and 175 cases of chemical compounds (40.8%) were analyzed, with 18.4% more patents using natural ingredients. Third, according to applicants, the past 10 years ranked number of 205 patents applied for corporation (48.3 %) , followed 83 patents applied for individuals(22.8%) , for multiple applications and 62(19.8%), and 62 patents applied for for universities(15.5%). Fourth, the research on the status of productization after patent application was focused on patents applied by the company. Out of the total 429 patents, 21 patents were manufactured for hair loss. This ratio is very small with 4.9 percent of all patents applied for companies. The above research combined, it was thought that efforts were needed at various layers to enhance the use of patents. It is deemed necessary for companies to pay more attention to product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patent utilization rate, and to find ways to use patents filed by individuals or universities under the same agreement with companies. The government's provision of patent-use policies and various support methods for the revitalization of research is also considered one of the measures.

      • 취업모의 생활 스트레스가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 공감의 매개효과

        김슬기 덕성여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취업모의 생활 스트레스와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만 3 ~ 5세의 유아를 양육하고 있는 어머니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Achenbach와 Rescorla (2000)가 개발하였고, 김영아 외 4명(2009)이 한국의 실정에 맞게 표준화한 한국판 유아용 행동 평가 척도(K-CBCL1.5-5)를 사용하였고, 생활 스트레스는 한진수(2005)가 사회복지 척도집(서초구립 반포종합사회복지관, 서울대학교 실천사회복지연구회, 2003)을 중심으로 발췌한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공감은 Mehrabin과 Epstein(1972)의 정서공감 척도, Davis(1980)가 제작한 Interpersonal React ivity Index(IRI)검사, Bryant (1982)가 제작한 정서 공감 척도를 박성희(1994)가 번안한 것을 참고하여 전병성(2003)이 재구성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하였고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매개모형 분석 및 붓스트레핑(bootsrapping)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모의 생활 스트레스는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세히 살펴보면 취업모의 생활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양육 스트레스, 직장 스트레스, 경제 스트레스, 부부 스트레스가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모의 생활 스트레스가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취업모의 생활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양육 스트레스, 직장스트레스, 부부 스트레스가 어머니의 공감을 통해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때 부부 스트레스와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 간의 직접경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취업모의 공감은 경제 스트레스를 제외한 생활 스트레스와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의 관계를 설명해주는 매개요인임이 밝혀졌다. 즉, 취업모가 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할수록 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스트레스에 처한 사람에게서 일종의 대처 행동으로 타인 이해를 위한 의도적이고 의식적인 공감이 증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취업모의 스트레스가 높을 때 타인 이해를 위한 민감성이 높아 질 수 있고 이러한 어머니는 자녀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대해 더욱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아동 ‧ 가족상담사들이 유아기 자녀의 내재화 문제행동으로 방문한 취업모에 대해 유아 개인에게만 초점을 두는 개입을 넘어 취업모의 생태체계 내의 스트레스와 공감을 아우르는 개입을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mediating effect of working mother’s empathy between mothers’ life stress and preschooler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e study surveyed 150 mothers who raise their child aged 3 to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Life stress of working mother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preschooler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Specifically, parenting stress, workplace stress, economic stress, and marital stress were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preschooler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Second, Mothers’ empath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life stress of working mothers and preschooler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Specifically, parenting stress, workplace stress, and marital stress were related to preschoolers’ in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through their mothers’ empathy. A direct path between marital stress and preschooler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ild and family therapists need to intervene in life stress and empathy of working mothers rather than focusing only on their individual child.

      • 외국인근로자의 권리보호에 관한 법적 쟁점 연구

        김슬기 원광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South Korea adopted the employment system of foreign workers to resolve the matter of insufficient manpower along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since 1970’s. The government has managed the foreign workers by law and system and their number staying in South Korea has rosed constantly to 2,430,589 as of end of April 2019. The enforcement of legal system for foreign workers can be regarded as important matter for each country at present when manpower moves a lot internationally. Simple craft foreign workers who ranks the biggest ratio in South Korea have formed the labor relation based on employment permit system whose basis comes from foreign employment law. On the other hand, the foreign workers who are not legally protected by legal system of hiring foreign workers are exposed to the various risk of various human right violation as the illegal residents classified as the unregistered foreign workers. This thesis is willing to suggest the issue and improvement plan of applying employment relations act for labor and right protection in social security act so that foreign workers can get the guaranteed minimum human right service firstly in South Korea. A lot of precedent studies mainly investigated the side effect after adopting industrial trainee system and employment permit system and suggested the improvement plan in the past. This study reviewed basic legal system and policy of South Korea against foreign workers and those of other main countries as well like the precedent studies above. And, this thesis also suggested the plan of protecting the rights along individual issue in respect of social security act enable the foreign workers resided in South Korea to enjoy the basic lives. South Korea has been managing the foreign workers of simple craft foreign workers by applying foreign employment law and doing the same for expert foreign manpower along staying qualification according to immigration law. There is the indifference of legal system against the foreign workers who are applied by the relevant legal system regarding employment procedure comparing to Korean workers.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migrant workers of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of United Nations (UN) and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ILO) was compared to legal system of South Korea and the employment-related system and guarantee of rights about foreign workers in United Kingdom, Germany and Japan were reviewed in this study. It is remarkable that United Kingdom is supplementing manpower by distinguishing the inflow and management of foreign workers from 3rd countries that are not belonged to European Union through scoring system and Germany is enforcing the integration or assimilation programs from the step of permitting their stay for social integration with them. Japan is utilizing foreign students actively to attract the expert manpower and raising their competitiveness by enforcing the policy of promoting the inflow of simple craft foreign workers recently to prevent shortage of manpower. Such foreign workers-related legal system in each countries means a lot to the countries like South Korea whose working age population decreases rapidly along low birth rate and aging. Meanwhile, this thesis reviewed the legal position and issues of foreign workers concretely and suggested the plan of legal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real life. First, it is not equal to grant the same legal position as Korean domestic people as foreign workers do not perform the same legal duties and it is considered as enough if the position granted in each individual ordinance. In case of unregistered foreign workers, the labor’s three primary rights should be applied carefully but right of health to keep minimum livelihood maintenance during carrying out the works should be guaranteed to anyone regardless the legitimacy of employment qualification. And, regarding human right violation of foreign workers, the revised regulations of business place in foreign labor law that is be raised as social issue should pursue aggressively i) to be allowed to adjust in the range of same business type, ii) to extend the period of searching jobs, iii) to abolish the limitation of numbering for long period and iv) discontinue the principle of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at does not provide the company list of hiring new manpower. Addition to that, in case of national pension service in social insurance for foreign workers, the property right of short-term stayers who has no possibility of receiving the benefits actually should be protected by classifying their staying period. In case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t should be specified that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is the optional item for the workers by stipulating the obligation of preliminary explanation of the service when they are willing to subscribe it. And, it needs to vitalize the project of developing job skills regarding employment insurance along the extension of mandatory subscription. In case of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more strict enforcement should be done when the business owners violate the law and the individual judgment should b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fact regarding the calculation of earnings capacity of the foreign workers. In case of exclusive insurance, it needs to raise maximum amount of payment and guaranteed amount of accident insurance in unpaid wage insurance so substantial guarantee can be accomplished. There is the indifference regarding legal position comparing the registered foreign workers and unregistered ones unavoidably but principle of law of imperative provision such as minimum wage and unfair dismissal in individual labor relations law regardless the existence of staying qualification. In case of health insurance out of social securities, minimum should be applied regarding the sickness related with human dignity though they are the unregistered foreign workers, but legal system and administrative support are required to vitalize the inflow of foreign workers more regarding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However, if the exclusive insurance for foreign workers is equally applied to the unregistered foreign workers same as the registered ones, it can influence on the increase of the unregistered as the matter of equity is caused. So, the conversion to the unregistered status is needed to be stopped by providing the concrete benefits regarding legal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the registered foreign workers only. And the plan of using the unregistered foreign workers as the route of utilizing the talented for South Korea that experiencing the fundamental social problems called decrease in population and population aging. It can be regarded as the plan to utilize the unregistered foreign workers in legal system. It is the time to set the institutional direction that secures the foreign talented with the professional technology aggressively by the legalized methods such as setting the specific qualification requirement and restricting the objects of job searching.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balance to the protection of foreign workers’ human rights in the view of social integration for long-term period for their right protection not managing them as the means of supplementing manpower. It can be used as the opportunity to be grown to the integrated and multi-cultural community that domestic and foreign people coexist altogether by that. 우리나라는 1970년대부터 급격한 산업 발전에 따라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자 외국인근로자 고용제도를 도입하였다. 정부는 외국인근로자를 법·제도적으로 관리하고 있는데, 2019년 4월말 기준으로 우리나라에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은 2,430,589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국제적으로 노동력의 이동이 많은 현 시점에서 외국인근로자 관련 법제도의 시행은 국가별로 중요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단순기능인력 외국인근로자는 외국인고용법에 근거한 고용허가제를 바탕으로 근로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반면 외국인고용 관련 법제 하에서 법적 보호를 받지 못하는 외국인근로자는 미등록 외국인근로자로 불법체류자가 되어 각종 인권침해의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일차적으로 외국인근로자가 우리나라에서 최소한의 인간적 권리를 보장받으며 노동을 위한 고용관계법 및 사회보장법상의 권리보호에 관한 법적용상의 쟁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주로 과거 산업연수생제도 및 고용허가제 도입이후 부작용에 대한 연구 및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연구들이 많았다. 본 논문에서는 앞서 설명한 선행연구들과 같이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우리나라의 기본 법제도와 정책 및 주요국가의 외국인근로자 고용관련 법제와 정책에 대하여도 검토하였다. 그러나 본 논문은 외국인근로자가 우리나라에 거주하며 기본적 삶을 영위하기 위한 사회보장법적 측면에서의 개별적인 사안에 따른 권리보호의 방안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는 외국인고용법의 적용을 통하여 단순기능인력 외국인근로자를 관리하고 있고, 출입국관리법에 따라 체류 자격별로 전문외국인력을 관리하고 있다. 관련 법제의 적용을 받는 외국인근로자들은 내국인과는 본질적으로 취업절차에 있어 법제도적인 차이가 존재할 수밖에 없다. 본 논문에서는 국제연합(UN)의 세계인권선언과 국제노동기구(ILO)의 이주노동자권리협약에 대하여 우리나라 법제와의 비교 검토를 하였고, 영국과 독일 및 일본의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고용관련 제도 및 권리보장을 검토하였다. 영국은 점수제를 통하여 유럽연합이 아닌 제3국 출신의 외국인근로자 유입과 관리를 체계적으로 구분하여 노동력을 충원하고 있고, 독일은 외국인근로자의 사회통합을 위하여 체류허가 단계에서부터 통합 내지 동화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일본은 전문인력의 유치를 위하여 외국 유학생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최근 노동력 부족을 방지하기 위해 단순기능인력의 유입을 촉진하는 정책을 시행하면서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 이와 같은 각국의 외국인근로자 관련 법제도는 우리나라와 같이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생산가능인구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국가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한편, 본 논문은 구체적으로 외국인근로자의 법적 지위와 쟁점과 관련하여 검토하고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법제도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외국인근로자는 우리나라 국민과 동일한 헌법상 의무를 이행하지 않으므로 내국인과 동일한 헌법상 지위를 부여하는 것은 형평에 맞지 않고, 각 개별 법령에 부여한 지위를 인정하면 충분하다고 본다. 미등록 외국인근로자의 경우 노동3권의 적용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나, 일을 하며 최소한의 생활 유지를 위한 건강권은 취업자격의 적법 여부와는 관계없이 누구에게라도 보장되어야 한다. 그리고 외국인근로자의 인권 침해와 관련하여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외국인고용법상 사업장 변경 규정은 ⅰ) 동일 업종의 범위 내에서 변경 허용, ⅱ) 구직활동 기간의 연장, ⅲ) 장기적으로 횟수 제한 폐지, ⅳ) 고용노동부의 구인업체명단 미제공 지침의 폐지를 적극적으로 모색하여야 한다. 또한 외국인근로자의 사회보험에서는 국민연금의 경우 체류기간 별로 구분하여 실질적으로 혜택을 받을 가능성이 없는 단기 체류자는 가입하지 않도록 하여 재산권을 고지하여야 한다. 국민건강보험의 경우 외국인근로자가 가입할 때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한 공단의 사전 설명의무를 규정하여 근로자의 선택사항임을 명시하여야 한다. 또한 고용보험은 의무가입 확대 적용에 발맞추어 직업능력개발사업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산업재해보상보험의 경우 사업주의 법령 위반 시 더욱 엄격한 제재 처분을 가하고 외국인근로자의 일실이익의 산정에 있어 사실관계에 따라 개별적 판단이 되어야 한다. 전용보험의 경우 실질적인 보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임금체불보증보험의 지급 상한액과 상해보험 보장 금액의 상향 필요성이 있다. 미등록 외국인근로자는 등록 외국인근로자와 법적 지위에서 차이가 존재할 수밖에 없지만 개별적 노동관계법상 최저임금, 부당해고와 같은 강행규정의 법리는 체류자격 존재 여부와 관계없이 보장되어야 한다. 사회보험 중 건강보험의 경우 미등록 외국인근로자라 하더라도 인간의 존엄과 관련한 상병에 관하여는 최소한의 적용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산업재해보상보험은 미등록 외국인근로자의 수급을 더욱 활성화하기 위한 법제도적·행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외국인근로자 전용보험은 미등록 외국인근로자에게도 등록 외국인근로자와 동일하게 적용한다면 형평성이 문제되어 미등록 상태의 양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등록 외국인근로자들에게만 적용이 가능한 권리보장 법제도는 확실한 혜택을 부여하여 미등록 상태로의 전환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또 한편 인구 감소 및 인구고령화라는 근본적인 사회 문제를 겪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미등록 외국인근로자를 인재 활용의 통로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는 미등록 외국인근로자를 합법적인 체계 내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일정한 자격요건을 신설하고 취업활동 대상을 엄격히 하는 등의 합법화 방법을 통하여 전문기술을 보유한 외국인재들을 적극적으로 확보하는 제도적 방향설정이 필요한 시기이다. 외국인근로자의 권리보호를 위해서는 단순히 외국인근로자를 노동력 보충의 수단으로써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사회통합의 관점에서 외국인근로자의 인권 보호와의 균형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하여 내・외국민과 외국인근로자들이 서로 공존하는 통합·다문화 사회로 발전하는 계기가 필요하다.

      •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유형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김슬기 울산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d young children’s temperament and the maternal parenting style to determine how these affected the children’s creativ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6 children (aged 3 to 5 years) from who were nine Daycare centers and one Kindergarten in U city and the corresponding 216 parents. The children’s temperament was measured using the Structural of Temperament Questionnaire(STQ) scale, adapted for Children in Korea; the mothers’ Parental Style was measured using the Parental Style Questionnaire(PSQ) scale used by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 used the children’s teachers’ assessments to measure the children’s creativity.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s were used to identify general points of key variables. In addition, two-way ANOVA was conducted to determine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children creativity based on temperament, maternal parenting style, age, or gender. 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ren’s temperament and maternal parenting style on children's creativity,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creativity results broken down by age and gender of children. The younger age groups showed a higher prevalence of neuroticism. The male children showed higher motor Tempo than the female children, who also showed a higher prevalence of neuroticism than the male childre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age and gender was shown in the intellectual energy of STQ and unconventionality of creativity. Second, children’s creativ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otor energy, motor tempo, sensitivity to physical sensation, intellectual energy, plasticity,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mpulsivity and neuroticism. In addition, widespread thinking, curiosity and immersion in children’s creativ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 warm parenting style, and unconventional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 controlling parenting style. Finally, motor energy, intellectual energy, plastic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 warm parenting style, whereas sensitivity to physical sensation, impulsivity, and neuroticism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 warm parenting style. Motor energy and intellectual energ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o controlling parenting style. Third, in analyz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children’s temperament and parenting style on the sub–factor of children’s creativity, we found that widespread thinking in children’s creativity correlated with a total of 8% of the motor energy and warm parenting style, and curiosity in children’s creativity was explained by a total of 17% of the warm parenting style, motor energy, neuroticism, sensitivity to physical sensation, immersion in children’s creativity was explained by a total of 10% of the intellectual energy, neuroticism. unconventionality in children’s creativity was explained by a total of 11% of the motor tempo, controlling parenting style, independence in children’s creativity was explained by a total of 6% of the motor tempo. Overall, an analysis of the variables of children’s temperament and maternal parenting styles revealed children’s temperament had more influence on the children’s creativity than did their mothers’ parenting style. In addition, a warm maternal parenting style showed a higher correlation with children’s creativity than did a controlling parnting style.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guidelines for guiding creativity in the hom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유형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여 유아의 창의성을 고양시키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먼저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유아의 창의성,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유형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으며, 나아가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유형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U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9곳과 유치원 1곳에 재원중인 만 3, 4, 5세 유아와 부모 각 216명이다. 유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유아의 기질 측정을 위하여 STQ(Structure of Temperament Questionnaire)척도를 한국 유아에 맞게 번안하여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양육유형 측정에는 한국아동패널에서 사용한 양육스타일(The Parental Style Questionnaire, PSQ)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한 유아의 창의성 측정에는 교사용 유아 창의성 평정 척도를 사용하였다. 주요 변인들의 일반적 사항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이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연령 및 성에 따라 유아 창의성,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유형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고, 유아의 창의성,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유형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유형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목적에 기초하여 연구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연령 및 성에 따른 변인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연령에 따른 연구 변인 차이를 본 결과, 기질 중 신경증에서 연령이 낮은 연령이 높은 연령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성에 따른 연구 변인 차이를 본 결과, 기질 중 운동 템포에서 남아가 여아보다 높고, 신경증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과 성의 상호작용에서는 창의성 중 탈 규범성과 기질 중 지적 에너지에서 연령과 성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창의성,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유형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아의 창의성은 유아의 기질 중 운동 에너지, 운동 템포, 감각적 추구, 지적 에너지, 유연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충동성, 신경증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유아의 창의성 중 확산적사고, 호기심, 몰입은 어머니의 양육유형 중 온정적 양육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유아의 창의성 중 탈 규범성은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통제적 양육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기질 중 운동 에너지, 지적 에너지, 유연성은 어머니의 양육유형 중 온정적 양육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감각적 추구, 충동성, 신경증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유아의 기질 중 운동 에너지, 지적 에너지는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연령과 성에 따른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연령이 커질수록 창의성 중 몰입이 더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이 더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아일수록 확산적 사고와 온정적 양육이 더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창의성의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유형에 대한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유아의 창의성 중 확산적 사고는 유아의 기질 중 운동 에너지와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에 의해 총 8%의 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창의성 중 호기심은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과 유아의 기질 중 운동 에너지, 신경증, 감각적 추구에 의해 총 17%의 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창의성 중 몰입은 유아의 기질 중 지적 에너지와 신경증에 의해 총 10%의 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창의성 중 탈 규범성은 유아의 기질 중 운동 템포와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에 의해 총 11%의 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창의성 중 독립성은 유아의 기질 중 운동 템포에 의해 총 6%의 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창의성이 활발하게 발달할 시기인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의 개인 내적 변인인 기질과 외적 변인인 어머니의 양육유형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것으로 의의가 있다. 전체적으로 창의성의 하위영역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기질의 하위영역과 어머니의 양육유형이 달랐으며, 유아의 기질이 어머니의 양육유형보다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육유형 중 온정적 양육이 통제적 양육보다 창의성의 하위요인과 상관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각 양육유형이 미치는 창의성의 하위영역 또한 달랐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창의성 지도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