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흥미곡선을 활용한 레벨디자인 연구 : -플랫폼게임을 중심으로-

        김성민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게임 제작비용은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많은 플레이어는 게 임을 삭제하곤 하는데 그 이유는 게임에 흥미를 잃어서가 높은 비율을 차 지하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흥미를 잃지 않고 오랫동안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흥미 곡선을 이용한 레벨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레벨디자인이란 플레이어에게 즐거운 경험을 만들어 내는 모든 설계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플랫폼 게임에서 레벨디자인은 조작과 지역 장애 물, 오브젝트 장애물로 레벨을 설계할 수 있다. 설계한 레벨은 값에 따라 서 난이도가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맵과, 흥미곡선을 이용한 후크형 맵 2 개로 만들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플레이어들은 2개의 맵을 플레이하고 게 임의 대한 만족도와 몰입도 조사를 작성했다. 결과적으로 같은 레벨을 사용한 게임이라도 흥미곡선을 이용한 후크 형맵이 만족도와 몰입도에서 좋은 결과를 얻었다. 이 연구를 통해서 알 수 있는 점은, 게임 내에서 많은 콘텐츠와 시스템이 준비되어 있어도 플 레이어에게 어떤 순서로 체험을 시켜주는지에 따라 게임의 재미를 다르게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서 많은 게임사는 플레이어들에게 더욱 즐거운 경험을 해줄 수 있는 가이드가 되길 바라며, 플레이어들은 더욱 즐거운 경험으로 게임을 사랑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e cost of making games is increasing every year. However, many players frequently delete games because they lost interest in games, which was a very high percentage. In this paper, we present a level design using the interest curve so that we can play games for a long time without losing interest. Level design is the entire design process that creates a fun experience for the player. In platform games, level design was able to design levels with manipulation, regional and object obstacles. The designed level was experimented with maps with sequential increases in difficulty depending on the value and two hook-type maps using an interesting curve. Players played two maps and then surveyed the satisfaction and immersion level of the game. As a result, even in games with the same level, hook-type maps using interest curves achieved better results in satisfaction and immersion than sequential difficulty-increasing maps. What this study shows is that even if there are many content and systems in the game, the fun of the game can be fel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order in which the player is experienced. Through this study, many game companies hope to be guides who can give players a more enjoyable experience, and players can love games with a more enjoyable experience

      • 5P 마케팅믹스 전략을 이용한 잠재적 공연예술 관객개발 연구 : 대학생을 중심으로

        이정은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facilitation methods of performing arts,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among 5P marketing-mix strategy, performanc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for university students. First of all, nationwide university students were set up as population. Five persons except surveyor directly visited th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Gyonggi, Incheon, Daejeon areas, and collected the data. Total 372 copies of data were collected. The normality on data was analyzed though the descriptive statistics by using of SPSS 18.0 program and frequency analysis After normality verification,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ere carried out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5P marketing-mix strategy, performing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The differences among 5P marketing-mix strategy, performing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who are the consumers of performing arts, using the factors among 5P marketing-mix strategy, performing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which were reconstructed on the basis of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factors were analyzed by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with AMOS 18.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differences among 5P marketing-mix strategy, performing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the genders of performing arts consumer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5P marketing-mix products. Second, for the differences among 5P marketing-mix strategy, performing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the ages of performing arts consumer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for the differences among 5P marketing-mix strategy, performing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the academic background of performing arts consumer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promotion of 5P marketing-mix strategy, leisure satisfaction and spectating satisfaction of performing arts, recommendation intention of repurchase intention and re-spectating intention. Fourth, for the differences among 5P marketing-mix strategy, performing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the spectating of preferable performing ar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leisure satisfaction and spectating satisfaction of performing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f repurchase intention. Fifth, for the differences among 5P marketing-mix strategy, performing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weekly spectating frequency of performing arts consumer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leisure satisfaction and spectating satisfaction of performing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 of repurchase intention. Sixth, for the relationship among 5P marketing-mix strategy, performing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performing arts consumers, 5P marketing-mix strategy had positive effects on performing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And performing 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repurchase intention. Seventh,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5P marketing-mix strategy and repurchase intention, performing satisfaction had the role of mediators. 본 연구는 공연예술의 잠재적 관객 개발을 위한 방안으로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5P 마케팅믹스 전략과 공연만족 및 재 구매의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우선 전국의 대학생들을 모집단을 설정한 다음 서울, 경기, 인천, 대전 지역의 대학들을 연구자 외 5명이 직접 방문한 후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절차에 따라 2차에 걸쳐 총372부의 자료가 수집되어 연구에 활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18.0을 이용한 기술통계분석과 빈도분석을 통하여 정규성을 검증하였다. 정규성 검증 후 5P 마케팅믹스 전략과 공연만족 및 재 구매의도의 구성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EFA)과 확인적 요인분석(CFA)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으로 재구성된 5P 마케팅믹스 전략과 공연만족 및 재 구매의도의 요인을 이용하여 잠재적 공연예술 관객인 대학생들의 특성에 따른 5P 마케팅믹스 전략과 공연만족 및 재 구매의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AMOS 18.0을 이용하여 공분산 구조분석을 통하여 이들 요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연구방법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적 공연예술 관객의 성별에 따른 5P 마케팅믹스 전략과 공연만족 및 재 구매의도의 차이에서는 5P 마케팅믹스의 제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잠재적 공연예술 관객의 연령에 따른 5P 마케팅믹스 전략과 공연만족 및 재 구매의도의 차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잠재적 공연예술 관객의 학력에 따른 5P 마케팅믹스 전략과 공연만족 및 재 구매의도의 차이에서는 5P 마케팅믹스의 촉진과 공연만족의 여가만족과 관람만족 및 재 구매의도의 타인추천의도와 재 관람의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잠재적 공연예술 관객의 선호공연관람에 따른 5P 마케팅믹스 전략과 공연만족 및 재 구매의도의 차이에서는 공연만족의 여가만족과 관람만족 및 재 구매의도의 타인추천의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잠재적 공연예술 관객의 월별 관람횟수에 따른 5P 마케팅믹스 전략과 공연만족 및 재 구매의도의 차이에서는 공연만족의 여가만족과 관람만족 및 재 구매의도의 타인추천의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잠재적 공연예술 관객의 5P 마케팅믹스 전략과 공연만족 및 재 구매의도의 관계에서는 5P 마케팅믹스 전략이 공연만족과 재 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연만족과 재 구매의도의 관계에서는 공연만족이 재 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잠재적 공연예술 관객의 5P 마케팅믹스 전략과 재 구매의도의 관계에서는 공연만족이 매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창작무용에서 남성무용수의 역할 및 활성화 방안

        정의석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71

        예술은 이 시대를 살고 있는 사람들의 정서나 시대적, 정치적 이슈 등을 작품의 소재나 주제로 하는 창작활동이다. 그 중 무용예술은 무용수의 육체를 매개로 표현하는 예술임에도 불구하고 관객에게 보여주기 위한 공연예술로서의 아름답고, 우아하고, 섬세한 움직임만을 추구하는 풍조가 만연하게 되었다. 그 결과 무용에서 여성무용수의 역할 만이 강조되고 상대적으로 남성무용수는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하는, 여성 무용수의 보조역할 정도로만 인식되는 분위기가 나타났다. 그러나 현대사회로 진입하면서 다양한 장르별, 유형별 경계의 파괴와 융복합적 예술활동이 확대되고, 일상 속에서의 미디어 컨버전스(Media convergence) 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현대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예술형식 속에서 오늘날 예술적으로 장르 구분이나 경계를 고수하는 것은 시대에 뒤떨어졌다는 인식이 생겨날 정도이다. 무용이라는 예술적 매체는 끝없는 변화를 요구받고 또한 그렇게 발전되어 왔다는 점을 직시할 때, 남성무용수만의 정체성의 새로운 재획득과 정형화 되지 않은 표현으로 그들의 역할을 새롭게 구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새로운 남성무용수의 재인식을 통한 흥미 유발과 공감대를 형성을 통해 창작무용의 작품이 구성된다면 남성무용수의 역할 증진을 이루어내고 활성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창작무용 카롤린 칼송의 ‘블루레이디’와 매튜 본의‘백조의 호수’공연사례를 통해 다음과 같은 남성무용수의 역할 및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성과 남성의 구분 없이 대중들이 공감하고 이해 할 수 있는 작품을 구성하였다. 둘째, 창작무용을 통해 이야기를 전달하고자 하는데 있어 필요한 여러 가지 요소들을 접목시켜 관객들에게 신선하게 다가갔다. 셋째, 무용에서의 성 정체성을 극복하고 남성무용수의 중요성을 각인시켰다. 마지막으로 위의 연구를 종합하여 남성무용수의 활성화 방안에 힘쓴다면 무용 작품 속 남성무용수를 역할 증진과 활성화는 극대화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자는 위의 활성화 방안을 토대로 창작무용 속 컨템포러리 무용 장르 ‘만남’을 기획․제작 하였다. ‘만남’은 사랑이라는 주제 속에서 남성무용수만의 섬세한 내․외적 표현과 역동성 있는 테크닉을 보여주어 창작무용을 통해 관객과의 소통을 이루어 냄으로서 작품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작품을 기점으로 남성무용수의 중요성이 인식된 작품들이 기획․제작되어 남성무용수의 역할 증진과 활성화에 기여하기 바란다. 주제어 : 남성무용수, 창작무용, 컨템포러리, 무용, 예술 An art of is a creative activity handling the content and subject of the works containing emotion and political issues of people living in this age. Though dance art is performance art to be seen to audience through medium of a male dancer's body. The pursuit of only beautiful, decent, and delicate movement of a dancer is prevalent in the present day. As a result, only the role of a female dancer is emphasized but a male dancer does not receive attention from audience relatively. The role of a male dancer is only that of a female dancer's assistant. There is an awareness that as media convergence emerges, classification of gender and sticking to boundaries in art area are anachronistic in everyday life of modern society. The medium of art called dance is required constant change by mass people and developed so. If the work of creative dance is planned to draw a male dancer's role as non-standardized form, to interest audience, to form emphasis, then it is expected that the role and activation of a male dancer will be mad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to draw the role and activation of a male dancer by examples like Carolyn Carson's "Blue Lady" and Matthew Vaughn's "Swan Lake" of creative dance. First, this study is composed of works that mass people can understand and emphasize regardless of gender. Second, this study is approached to audience freshly by combining various elements to transmit the stories through creative dance. Third, this study makes a strong impression on audience that a male dancer is essential to performance with overcoming the gender identity in dance. Finally, an activating plan of a male dancer must be emphasiz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a male dancer's role is recognized in works. This performance will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a male dancer's role and activation from this performance on. Key words : a male dancer, creative dance, comtemporary, dance, art

      • 국내 특급호텔의 웨딩공간 인테리어 코디네이트 특성에 관한 연구

        신수현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71

        사회가 발전하면서 인간의 생활관은 탈물질적 생활관으로 변화하고 소비문화는 대중소비문화에서 맞춤소비문화로 넘어가고 있다. 특히 젊은층이 주요 소비자인 웨딩시장의 경우 점차 차별화된 결혼식을 지향하고 있다. 또한 1999년 특1급 호텔 웨딩이 법적으로 자율화되면서 웨딩으로 인한 매출이 총 연회매출의 5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웨딩시장은 새로운 경쟁시대에 돌입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건축 또는 일부 코디네이션 요소에 관한 연구에 치중한 선행연구에서 벗어난 토탈코디네이션 개념에 기초한 연구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웨딩공간의 인테리어 코디네이션을 국내 특급호텔의 연출 사례를 통해 고찰하고 유형을 분류하여 그 특성에 관한 이론적 정립을 시도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조사의 대상은 비교적 고급화, 다양화, 대형화 되어있는 서울지역 16개 특1급 호텔의 웨딩공간으로 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이론적 고찰과 6개월에 걸친 현장조사와 담당자 인터뷰를 통한 사례 분석으로 실시하였다. 인테리어 코디네이트 요소는 바닥, 벽, 천장의 기본요소와 가구, 조명, 색채, 패브릭, 테이블 세팅, 플라워의 코디네이트 요소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국내 특급호텔 웨딩공간의 경우 일반적으로 바닥은 카펫, 벽은 주로 패브릭과 우드로 마감하며, 벽의 형태는 균일 또는 반복되는 형태, 천장의 구조는 모듈화 되는 특성이 나타났다. 가구는 3단 주례자단상, 1단 사회자단상, 원형 하객테이블, 사이드체어를 사용하였다. 장식조명으로 샹들리에를 주로 사용하며 전반조명은 다운라이트 방식, 국부조명은 트랙조명 방식을 사용하였다. 색채는 주조색의 경우 white, brown, gold, 보조색의 경우 gold, yellowish green이 많이 사용되었다. 패브릭은 천장에 드리워지는 패브릭과 벽에 걸리는 패브릭을 위주로 연출하며, 소재는 white의 무늬가 없는 패브릭을 사용하였다. 테이블 세팅은 양식 구성으로, 메인 테이블클로스와 탑클로스, 냅킨, 디너플레이트, 브레드플레이트, 컵과 받침, 3개 이하의 포크, 나이프, 스푼, 디너트포크와 스푼, 물잔과 와인잔으로 이루어졌다. 플라워 장식은 주례자단상과 사회자단상 위에는 수평형, 버진로드 양쪽에는 수직형, 테이블 센터피스에는 원형으로 장식하였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사례별로 종합 분석하여 스타일 유형별로 분류한 결과 총 16개의 사례 중 10개의 사례에서 엘리건트ㆍ모던, 클래식ㆍ엘리건트, 클래식, 캐쥬얼, 모던ㆍ내츄럴 스타일 등 5개의 스타일이 나타나고 6개의 사례에서는 뚜렷한 스타일을 나타내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엘리건트ㆍ모던 스타일은 과다한 장식과 색채를 피하고 간결하고 단순한 디자인을 추구하였다. 클래식ㆍ엘리건트 스타일은 우아하고 품위있으며 미묘한 그라데이션의 색채를 사용하였으며, 클래식 스타일은 귀족적이고 장식이 많으며 어둡고 무거운 분위기를 표현하였다. 캐쥬얼 스타일은 자유로운 분위기, 즐거움이 느껴지는 분위기, 모던ㆍ내츄럴 스타일은 자연적이면서 따뜻하고 세련된 형태를 추구하여 연출하였다. 연구 결과, 요소별, 스타일별 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으나, 실내 공간 형태는 매우 정형적이고 공간 구성 역시 획일화 되어있었다. 또한 가구는 기능적인 면을 위주로 사용될 뿐 디자인요소로 적극 활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패브릭의 소재와 스타일은 매우 한정적이었다. 이에 따라 일부 사례를 제외하고 대부분 뚜렷한 스타일을 표현하지 못하거나 여러 가지 스타일이 혼재되어 있었다. 본 논문은 현재 웨딩공간의 문제점을 개선하면서, 도출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젊은층과 부모님세대가 어우러져 함께 할 수 있는 의미있는 웨딩공간의 코디네이션을 제안하였다. 현대적 웨딩공간의 주요 이미지로 도출된 모던, 클래식, 엘리건트 이미지를 중심으로 남자와 여자라는 서로 다른 개체가 만나고 젊은 세대와 부모 세대가 만나 어우러지듯 ‘대비와 조화’를 컨셉으로 설정하였으며, 젊은 층을 위해 모던 이미지를, 부모 세대를 위해 클래식 이미지를 조화시키면서 전체적으로 엘리건트 이미지가 부각되도록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컨셉의 표현을 위해 가구와 소품의 디자인을 강조하고자 하였으며, 색채는 밝고 우아한 느낌의 색을 위주로 배색하고 화려한 골드를 포인트로 사용 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에서 시도 되지 않았던 웨딩공간 코디네이션에 대한 연구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립하였으며, 향후 웨딩공간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시 기반 자료로 활용 가능하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웨딩공간은 소비자의 끊임없는 욕구에 의하여 계속하여 그 모습을 달리할 것이며 코디네이션의 소재 영역을 확장시킴과 동시에 새로운 스타일까지도 형성해 나아가며 변화할 것이다. 앞으로 기존의 고정된 웨딩공간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각각 고유의 스타일을 만들어가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하여 전문가의 활동과 다양한 디자인을 시도할 수 있는 발상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s the society evolves, the life view of people is changing into post-materialism, with consumption culture from mass consumer culture into custom-effective culture. In the wedding market, where young generations are the main consumers, in particular, more unique and differentiated wedding ceremonies are sought for. On top of that, since 1999 when 1st 5-star hotels were legally liberalized to hold wedding, profits from wedding accounts for more than 50% of a total of their annual sales. Such things above indicate that the wedding has already become a new competitive market.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consider some cases of wedding space interior coordination of domestic 1st five-star hotels, classify their types and establish theory on the characteristics, on the basis of the need for study of the concept of ' total coordination,'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tudies focused more on construction and some limited elements of coordinati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tended for the 16 first 5-start hotels in Seoul which are relatively luxurious, diverse and large, with the analysis of the cases drawn from theocratical consideration, 6-months filed investigation and interview with employees of the hotels in charge. The elements of the interior coordinate is divided into basic elements including floor, walls and ceilings, and coordinate elements such as furniture, light, color, fabric, table setting, flower. As for the wedding space of domestic 1st 5-star hotels, floors are finalized with carpets, and walls with fabric and wood. The type of the walls is often uniform or repetitive, while ceiling structure is often characterized by modulization. Furniture usually includes a three-tiered officiating podium, one-layer podium for MC (master of ceremony), round tables for guests, and side chairs. As for lighting, chandelier is mostly used as decorative illumination, a down light method for general lighting, and track lights for local lighting. Main colors used are white, brown and gold, with sub colors of gold and yellowish green. Fabric was displayed mainly focused on one draped on the ceilings and on the walls. Table setting follows a western style, consisting of main tablecloth, top cloth, napkin, dinner plates, bread plates, cups and coarser, 3 forks, knife, spoon, dinner fork and spoon, and water and wine glass. Flower decoration is done horizontally on the officiating and MC podium, vertically on both sides of the virgin road, and in a round shape on the table centerpiece. Synthesizing and analysing these elements case by case, and categorizing them by style, 10 out of 16 cases represented five styles, which elegant and modern, classic and elegant, classic, casual and modern, casual, and modern and natural, while 6 cases didn' t show any distinguishable styles. The elegant and modern style pursues a neat and simple design avoiding too much decoration or diverse colors. The classic and elegant style is demonstrated by using gradation color which is gorgeous, fine and delicate, while the classic style is represented as dark and heavy with much aristocratic decoration. In the meantime, the causal style displays free and joyful atmosphere, whereas the modern and natural style pursues and exhibits natural, warm and sophisticated one. The result of the study was drawn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 and style, however, the type of interior space was very typical and uniform in spatial configuration. In addition, furniture was used only in the aspect of function, but not in use actively in terms of design, with very limited materials and styles of fabric. Accordingly, all styles except for a few cases was not expressing their own clear styles, or various styles were mixed with one another. This study suggests meaningful coordination for wedding space, which improves some problems existing in the current wedding spaces and where young and old generations can be mingled together, based on the outcomes produced in the research. Modern, elegant, and classic images were expressed as the main one for modern wedding space, with the setting of a concept of "contrast and harmony," as if the two opposite genders met, or the young generation got along with the old generation. The modern image for the young generation is in harmony with the classic image aimed for the parents' generation, with emphasis on the elegant image on the whole in the design development. In order to express the concept, designs for furniture and trifling articles were underlined, whereas its color was mainly arranged for bright and gorgeous feelings, with the emphasis of a bright gold colo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aspects that it is an achievement in the establishment of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theory on the wedding space coordination, which has not been challenged in the precedent studies, and also makes it possible to use the result as the base data to conduct further study in the wedding space design. Wedding space will continue to evolve in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 customers' need, and the changes will be made by extending the range of coordination materials and even by inventing new styles. Getting out of the typical images, unique styles for individual wedding space should be created, with experts' active participations in this field as well as a paradigm shift to attempt diverse designs, in order to achieve that.

      • 정보디자인에서 에스노그라피 활용에 관한 연구

        박주연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71

        Good design has capability to communicate with people. Designers not only bring about a variety of responses from people but also provide them with the pleasure, inspiration, and usefulness in their lives. Therefore, it is no wonder that designers need to try to study and understand people’s emotion and behavior in order to communicate and form a social consensus with the users. To do this, most of the studies have applied to natural scientific or social scientific research methods through the process of hypothesis, experiment, and verification. However, the research of emotional and subjective approach or that of objective approach using numeric data has not been effective in understanding the users’ context and behavior by comprehending the needs of the users in language. Hence, there have been needs of new approach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raditional industrial design methodology based on social science. Ethnography – a qualitative method of study based on cultural anthropology- is needed for the strong and convincing design that understands the essence and value of the users by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the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m. Ethnography is a participatory method that observes the users’ behavior and thoughts by living with them in their ordinary environment. Ethnography is in need of examination in order to apply to the design as it enables the researchers to collect data related with the actual uses and their further information such as inner side, situation, unconscious behavior, relationship, culture, beliefs, and emotional responses by contacting face-to-face. Additionally, it leads to create more persuasive, special, and valuable design. Based on this needs,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Ethnography application to the area of the design, derive the factors required to be considered for application of Ethnography, and analyze how they are exploited in information design.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works and the theoretical analysis from the leading experts, the research extracts factors to consider in application of Ethnography as follows: individual factor, social factor, cognitive factor, and physical factor. The study ha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researches Ethnography as the means of user observation study and contributes to generalize it academically through applicable factors as well. The future research needs to develop the case of information design uses Ethnography based on the proposed factors and establish the foundation of the hereafter research by confirm and evaluate the factors to consider. 좋은 디자인은 사람과 소통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디자이너는 사람들에게 여러 반응을 유발하여 즐거움과 영감을 주기도 하고 때론 생활에 유용함을 제공해 하기도 한다. 그래서 디자이너는 사용자와 소통하고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그들의 감정과 행태에 대한 연구를 하고 이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과학적 연구 과정을 통하여 가설-실험-검증이라는 자연과학 또는 사회과학의 연구방법 체계를 적용해 왔다. 그러나 감성적이고 주관적인 감각에 의존하는 방법이나 정량적이거나 과학적인 데이터 수치를 통해 진행 되어온 객관적 접근 방법에 대한 연구는 사용자의 니즈를 언어로서 이해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맥락과 행동을 이해하는데 효과적이지 않았다. 그리하여 사회과학에 뿌리를 둔 전통적인 디자인 방법론과는 차별화된 새로운 접근법이 필요해졌다. 사용자와의 관계를 친밀하게 형성하고 유지하는 것에서부터 사용자의 본질과 가치를 이해하는 사용자 중심의 강렬하고 설득력 있는 혁신적인 디자인을 위하여 문화인류학을 기초로 하는 해석적이고 정성적 연구 방법인 에스노그라피(Ethnography)가 필요하게 되었다. 에스노그라피는 관찰자가 자연스럽고 일상적인 사용자의 환경 속에서 함께 생활하면서 사용자의 행동과 사고를 관찰하는 참여 방법이다. 에스노그라피는 사용자와 대면 적 접촉을 통해 사용자의 내면, 상황, 무의식적 행동, 관계, 문화, 신념, 감정적 반응과 같은 심층적 정보와 실질적인 사용자에 관련된 데이터 수집을 가능케 하여 더욱 설득력 있고 특별하며 가치 있는 디자인을 창조할 수 있게 되어 디자인에서 에스노그라피 적용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선행사례와 전문가들의 이론 분석을 토대로 정보디자인에서 에스노그라피 활용을 위한 고려 요소로서 개인적 요소, 사회적 요소, 인지적 요소, 물리적 요소 4가지를 추출하였다. 4가지 요소를 통해 에스노그라피를 사례를 분석한 결과 정보디자인은 잘 설계된 정보와 디자인을 통해 질 좋은 정보와 전달환경을 만들어 전달하는 것이 주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정보를 조직화하고 사용자 중심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즉각적인 인지적 요소가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래서 세 가지 사례에서 기능적이고 커뮤니케이션 및 상호작용의 세부요소의 특징을 지닌 인지적 요소에 대해 가장 많은 비중으로 중요하게 디자인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인지를 위한 기본 바탕이 되는 행위적 요소의 발견을 위해 에스노그라피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에스노그라피를 사용자 관찰 조사의 도구로서 적용하는 연구뿐만 아니라 그 특징을 바탕으로 제안된 활용 요소를 통해 학문적으로 일반화 연구에도 기여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제안한 활용 요소를 바탕으로 에스노그라피가 활용된 정보디자인 사례를 개발해보고 고려 요소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평가하여 향후 연구의 기반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

      • 러시아 구성주의 무대미술 특성 연구

        이찬협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paper focuses on theatrical production between 1917-1930, and focuses on the artistic scene and the formativ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social change in Russia of the time. The Russian Revolution and adoption of socialism inspired young artists to develop indeed give birth to a colorful stage art based on the experimental spirit of the new age which reflected social change and involved a methodology of audience inclusiveness. This fusion of art and society was the result of disciplines and ideas between the director, playwright or choreographer yet to reflect the message of the artists with the background message that “the individual is directly involved.” The Lenin and Lunacharsky Center embodied this ideology and had its roots in the national and cultural arts policies and guidelines that established the edict that “creative potential should not leave the limits to artists control since faithfully maintaining the ideological path did not have to be exclusive of one another. These “constructivist stage artists” knew that Russians will actively intervene in the New Intellectual Movement like a social reality of the times and get establish thoughts with the active participation of informed citizens. This interest was a time of high interest and the whole country was supportive of theater with the audience interaction this community-wide active vigor and interest of the audience and actors, by chang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ge and the audience has earned a form to create a theater space together as Constructivism. Changes in this theater space were a way to encourage the creative role of the audience for the completion of the play. It was built as part of a new society through the theater. To be presented to the audience that the world is a space that is expressed through the visual and metaphorical target. The space is the meaning of the 'theater' and actors of the act of breathing reality as the theater and the audience happening 'place' is implied at the same time. That theater audience concentration and feelings of the audience, depending on whether face-to-face in any form will vary. And yet another stage is a unique character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ce occupied by actors and stage equipment. Thus, the stage forms a writer, director and actor, one of the art forms that thoughts and feelings are gathered from the audience. Therefore, if the age is changed automatically think of the producers participating in the theater and stage art changed also changed. It also has a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of contemporary arts and other stage means that the social environment is different around the theater. When viewed in this context it was characteristic of the Russian constructivist art scene to be represented as a staged theater within the theater. Russian constructivist stage for art property looks briefly as follows: 1. First, the Russian constructivist art stage properties were deprecated the 'fourth wall' concept, unlike the stage and the audience, the separation of actor and audience of theatrical naturalism emphasizes the same space, the same role. Russian constructivist art scene that occurred before and after the revolution made the theater space into one concept to elicit the active participation of citizens. This was their way of expressing the results where the ranks of civil society demand’s were looking for or even eliciting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people in the process of building a new society. At the time this trend has appeared in the auditorium and the stage where thousands of people on stage were actively involved in these works as theatrical troupe of amateur actors and a number of Russian Constructivists was as festive as one. This property could be developed for individuals as expressions of citizenship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revolution and socialism by default. 2. Second, the Russian constructivist art scene under the influence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implemented the image of the machine age. In the stage art iron, glass, metal plates, plastic, metal pipes, etc. chose the new sanctions, stage equipment were able to move production to the actors. Modern mobile use was using a video screen and provided the industry image. These mechanical devices were a symbol of progress in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to the Russian constructivist stage artists. Furthermore, in pursuit of functional art which can be used in real put a lot of potential in the modern field of applied art. 3. Third, the Russian constructivist art scene under the influence of Cubism is to simplify and organize the formative stage device as the three-dimensional geometric shape made of three-dimensional space. A variety of stage equipment was basic geometric shapes into the expression. Geometric representation is made that the universal mathematical discipline and rational thought and the objective was to strip personality. The universal shape that is easily accessible, genius is the way that the artist was opposed to modernist art galleries gave birth to work. So everyone assembled a ready-made object, geometric representations that can be configured into a larger piece is an important representation in the Russian constructivist art scene. Constructivist sculpture are also taking the stage device is shown as an independent object. Each object has existed in intensity but independent means designed to be used as different meanings each scene. This stage device could have meant by specific actions of the actors in the scene, each stage as formed between the device and the audience was composed of actors with new meaning. Namely the Russian constructivist art scene is changing citizenship and the arts, science and technology, it is to realize the utopia of a harmonious combination of the industry through the art works, since the Russian Revolution wholehearted political sup 러시아 구성주의 무대미술 특성 연구 본 논문은 러시아 혁명이 발발한 1917년부터 1930년까지 활성화 되었던 러시아 구성주의 무대미술의 특성을 사회 변화와 연관 지어 연구한 것이다. 사회학자 아돌포 산체스 바스케스(Adolfo Sanchez Vazquez, 1915~2011)는 그의 연구에서 예술자체는 하나의 사회적 현상으로 규정지을 수 있으며 예술과 사회의 불가분의 관계라고 밝혔다. 19세기 유럽은 자연과학과 인문과학의 발달로 기술의 발달과 사고의 혁신이 일어나게 되었고, 이러한 변화들이 바탕이 되어 다양한 사조의 시민 문학과 예술이 나타나게 되었다. 하지만 러시아는 여타유럽과 전혀 다른 상황이 전개되고 있었는데, 블라디미르 레닌(Vladimir Ulyanov Lenin, 1870~1924)에 의해서 발발한 러시아 혁명이후 러시아의 문화·예술은 정책적 지원을 받으며 전반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시대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은 예술을 찾아보기는 힘들지만, 러시아 구성주의는 다른 어떤 예술 사조보다 사회 변화에 지대한 영향을 받았다. 혁명 직후 노동자와 민중 중심의 시민문화 건설에 적극적으로 부응한 예술가들은 대부분 러시아 아방가르드 계열이었는데 이들은 페테르스부르그와 모스크바에 집중되어 혁명 이전부터 서구의 아방가르드 운동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활동하였다. 하지만 1924년 이오시프 스탈린(Ioseb Dzhugashvili Stalin, 1879~1953)으로 집권체제가 바뀌자 러시아 구성주의는 형식주의라는 비난과 함께 정치적으로 압박을 받게 되었고 러시아 구성주의 예술가들의 입지가 점점 좁아지게 되고 결국 숙청당하거나 망명을 떠남으로써 그 예술 열기는 사라지게 되었다. 러시아 구성주의 무대미술의 조형적 공간감은 현대 무대미술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고 실험적인 연극을 할 수 있는 토양을 제공하였고 현대 건축, 의상, 사진과 응용미술 분야인 시각 디자인 분야에도 새로운 에너지를 불어 넣었으며 현대적 조형미의 원형이 되었다. 즉 미술과 과학 그리고 생활이 조화를 이루는 사고방식의 밑거름을 제공하였다. 개념 그대로의 자연주의 연극 무대미술이 아니라면 현대 연극의 무대미술 특성은 모두 20세기 초기 아방가르드 연극의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아방가르드 연극 안에서도 러시아 구성주의 연극 연출가들의 실험적인 극 공간에 대한 이해는 현대 연극과 무대미술의 이해를 위해 필수적이다. 새로운 공간 탐구와 그것에 상응하는 조형적이고 기계적인 무대장치 개발은 고전적 아방가르드 연극 운동의 중심이었다. 이들의 무대미술에서 주목할 만한 사항은 2차원의 평면적이고 장식적인 회화의 특징이 사라지고 입체적 형태의 3차원적 조형물들이 극공간 전체에 등장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허상의 공간이 아닌 현실적인 공간에 주목하게 되는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예술가들의 사고 변화와 더불어 러시아의 사회적인 변화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본다. 러시아 구성주의 연극은 다른 어떤 경향보다 그 문제에 집중했다. 특히 시민의식의 변화, 과학기술의 발전이 가지고 온 기계시대의 역동성과 그에 따른 기하학적인 입체적 장치물들은 사회변화 특성과 연관 지은 러시아 구성주의 무대미술의 특성 중에서도 주목할 만한 특성들이다.

      • 한국 만화예술인 복지사례 분석을 통한 발전 방안 연구

        하윤정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71

        웹툰의 등장으로 만화산업은 급변하게 되었으며, 국민 3명 중 1명이 매주 즐기는 문화로 자리 잡았다. 이처럼 검증된 시장성을 바탕으로 드라마, 영화, 게임 등 타 장르와 융합해 만화산업의 견인차 역할을 했다. 저급하게 인식하던 사회적 편견이 호의적으로 바뀌었고, 신인 작가들의 등용도 쇄도하게 되었다. 하지만 정식 작가로 계약까지 가는 경우는 극히 소수에 지나지 않는다. 한마디로 만화창작자가 되는 길은 쉬워졌지만 만화예술인으로 인정받는 것은 어려운 현실이 되어버렸다. 만화(漫畵)는 2013년 발표한 문화예술진흥법에서 예술의 범주 안에 들어감으로써 만화예술인을 위한 복지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만화예술인들에 대한 복지제도는 아직 초기 단계이며, 다양한 플랫폼으로 인한 방대한 규모로 변모 중인 만화산업의 규모나 현황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문헌조사와 사례 분석, 만화 창작인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국내외 예술인 복지 현황을 알아보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에 국내·외 예술인 복지사례의 비교를 통해 만화예술인을 위한 복지제도의 방향을 모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년마다 시행되는 『문화예술인실태조사』처럼 만화예술인 실태조사가 꼭 필요하다. 무엇보다 주기적이며, 광범위한 실태조사가 현실적이며 사각지대가 없는 정책을 만들어 낼 기반이 된다. 신인 작가의 경우, 인큐베이팅 코너에 연재하는 경우는 사실상 원고료가 없으며 정식 계약으로 이어지지 못해 사각지대에 고스란히 놓이게 되기 때문이다. 둘째,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예산 확보 수준이 넉넉하지 못하다. 예술인에게 많은 복지혜택을 주기 위해서는 기금조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셋째,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정책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만화예술인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제도의 시행조차 모르는 만화예술인도 적지 않으며 제도를 안다고 해도 만화예술인 대부분이 소극적인 반응과 태도를 취하고 있다. 적극적인 관심과 자발적 참여는 만화예술인 복지 개선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넷째, 현실적인 복지 대안이 필요하다. 이에 저금리 대출이나 대출심사자격을 완화하는 등의 생활과 밀접한 현실적 대안을 강구해야 한다. 다섯째, 4대 보험으로 점차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소한 만화예술인의 특수성을 고려한 연재와 연재 사이를 보호해줄 장치가 필요하다. 여섯째, 마지막으로 불공정계약에 놓이지 않도록 정책적 보호가 필요하다. 만화분야 표준계약서가 제정, 발표되었지만 의무사항이 아니다. 따라서 점차 계약서를 안 쓸 경우 불이익을 받게끔 재단이나 정부가 다른 시책을 제시해야 한다. 사실 예술인들의 일상이 위태하여 창작에 전념할 수 없으면 그 어떤 작품도 나올 수 없다. 안정된 만화복지 환경의 구축이야말로 만화예술인의 예술활동과 창작활동을 통해 문화산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게 되어 국가적 발전은 물론 문화적 풍요로움과 향유를 끌어낼 수 있다. 본 연구를 계기로 사각지대에 놓인 만화예술인의 삶의 질이 개선되기를 기대해 본다. In particular, rapid change was introduced in the cartoon industry thanks to the appearance of web-toon, which became a culture enjoyed by 1 out of 3 nationwide. Based on such verified marketability, it played a key role in leading cartoon industry in combination with drama, movie and game. Cartoon was incorporated in to the category of art according to the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that started welfare for cartoon artists. But, such welfare system is in its initial stage and is far insufficient considering the size and status of cartoon industry which is in transition to a large scale through various platforms. So, many new artists come in to exist, but only a few could be actual artists by contract. While the way to be a cartoonist become easy, the recognition as cartoon artists is difficult. This study carried out literary survey, case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 with cartoon artists to figure out welfare status of domestic and overseas artists and to examine problems. And the study carried out comparison with domestic and overseas artist welfare cases to seek welfare direction of cartoon artist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ly, it is essential to carry out status survey on cartoon artists like “cultural artist survey” that is performed every three years. Periodic and large scope survey is utmost realistic and becomes a foundation for policy without any dead zone. For new artists, if they post works on incubating corner, they actually receive no payment and there might be cases that no formal contract is achieved, which put them in the dead zone. Secondly, Korean Artists Welfare Foundation has lack of policy promotion and therefore, active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cartoon artists are required. It will greatly affect cartoon welfare improvement. Thirdly, a realistic welfare alternative is required. A realistic alternative for living must be studied such as low-interest loan or reduction of loan qualification Fourthly, it is desirable to expand to 4 major insurance. At least, there is a systematic deice to protect cartoonists between serial publication considering specialty of cartoon artists. Fifthly, policy protection is required to prevent any unfair contract. While standard contract for cartoon is enacted and published, it is not compulsory. So, the foundation or the government provides another policy to give disadvantage if contract is not kept in writing. Sixthly, lastly the budge of Korean Artists Welfare Foundation is not sufficient. Fund raising is important to give more welfare benefits for artists. If artists cannot concentrate themselves on creation, no work would be created literally. Establishment stable welfare environment would enable cartoon artists to dedicate artistic and creative activities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culture industry of the country leading cultural abundance as well as national developmen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be used to improve quality of life of cartoon artists beyond the dead zone.

      • 컴퓨터 응용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조명디자인 연구 : 뮤지컬 <비커밍 맘>을 중심으로

        문동민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컴퓨터의 발전은 전반적인 산업 분야에 영향을 미쳤으며 공연예술 분야에서도 컴퓨터를 활용한 작업이 보편화 되고 있다. 무대조명 분야에서는 컴퓨터의 발전에 따라 조명디자인 과정에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컴퓨터 소프트웨어들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컴퓨터 응용 소프트웨어 중 조명 시각화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조명디자인을 진행하는 과정에 대한 효율성을 알아보고 결과물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를 위해서 다양하게 발전해온 많은 컴퓨터 응용 소프트웨어에 대해 알아보고 조명 시각화 소프트웨어 중에서 조명디자인에 활용하는 데 있어 가장 효율적이라 생각되는 프로그램인 위지위그(WYSIWYG)를 사용하여 뮤지컬 <비커밍 맘>의 조명디자인을 진행하고 위지위그를 통해 얻은 결과물과 실제 공연 사진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위지위그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방법과 위지위그를 활용한 조명디자인 과정을 자세히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얻어진 결과물은 실제 공연사진과 비교해봤을 때 다소 조명의 색감의 차이가 생기기는 하지만 대체적으로 매우 흡사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조명 시각화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조명디자인을 진행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 번째, 하나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조명디자인과 관련된 여러 작업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다. 두 번째, 프로그램을 통해서 얻어낸 결과물을 토대로 연출자와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세 번째, 시뮬레이션을 통해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술적인 문제점들을 미리 파악할 수 있다. 네 번째, 시간적·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조명 프로그래밍에 충분한 시간을 할애하여 좋은 품질의 결과물을 얻어낼 수 있다. 다섯 번째, 현장에서의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한 리허설시간을 확보하여 공연의 품질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상 다섯 가지의 효과들로 시간적, 금전적인 절약을 가져올 수 있고 이는 극장에서 부족한 준비시간을 보충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전체적인 공연의 품질을 올리는 데 이바지한다. 컴퓨터 응용 소프트웨어는 날이 갈수록 발전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조명디자인에 컴퓨터 응용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것이 더는 특수한 경우가 아니라 보편화 되어 가고 있다. 앞으로 무대조명 분야에서 이러한 조명 시각화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조명 디자이너가 더욱 많아지고, 보편화하면 우리나라 공연예술의 품질이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development of computers has influenced the overall industrial field, and work using computers has become common in the performing arts field. In the field of stage lighting, various computer softwares that can be used in the lighting design process have been developed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of lighting design and analyze the results by using lighting visualization software among various computer application software. For this study, we will learn about many computer application software that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and use WYSIWYG, the most efficient program to use in lighting design among lighting visualization software, to conduct the lighting design of the musical <Becoming Mom>, And I would like to compare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WYSIWYG with actual performance photos. In this process, the method of using WYSIWYG and the lighting design process using WYSIWYG were described in detai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sult obtained by using the software was able to obtain a result that is very similar to the actual performance picture, although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the color of the lighting. In addi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when lighting design is performed using lighting visualization software. First, through a single program, several tasks related to lighting design can be handled at once. Second,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smoothly with the director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program. Third, through simulation, technical problems that may occur in the field can be identified in advance. Fourth, it is possible to obtain good quality results by spending sufficient time in lighting programming without being limited in time and space. Fifth,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work time in the field, so it is possible to secure sufficient rehearsal time to increase the quality of the performance. The above five effects can bring both time and money savings, which helps to improve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performance by making up for the lack of preparation time at the venue. Computer application software is evolving day by day, and accordingly, application of computer application software to lighting design is no longer a special case, but is becoming more common. In the future, in the field of stage lighting, more lighting designers are using this lighting visualization software, and it is expected that the quality of Korean performing arts will be further improved by universalization.

      • 중국사상에 나타난 디자인 관점에 대한 연구 : 유가·불가·도가사상을 중심으로

        왕효남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71

        교통수단과 통신수단의 발달로 각국의 교류가 더욱 더 활발해지면서 지역적인 특성에 따라 문화적 정체성과 세계화된 보편적인 가치관의 조화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이런 다문화적인 배경 속에서, 중국디자인의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먼저 중국 문화에 대한 심층적 연구를 통해 중국의 문화가 세계문화의 흐름에 어떻게 융합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중국의 특정한 지리환경, 문화적 환경 속 역사에서 생성된 중국사상과 선진적 디자인 사상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중국 문화 측면에서 설명하고 중국 디자이너들이 쉽게 흡수 할 수 있는 형식으로 도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중국의 유가사상, 도가사상, 불가사상으로 대표되는 중국사상과 근대 사회주의문화와 디자인의 관계의 대한 연구를 한다. 논문의 2장은 본론 전개를 위한 예비적 고찰이며, 주로 중국문화에 대한 역사개괄과 디자인, 사회, 정치, 문화, 경제의 상관관계에 대한 개괄과 디자인에 영향을 미친 중국역대사상을 개괄하였다. 3장은 중국의 유가사상, 도가사상, 불가사상과 근현대문화의 주요내용을 다루며 각 사상속의 나타난 디자인 이념에 대해 고찰하고, 마지막 4장을 통해 주요사상별 디자인 이념과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Given the fact that traffic and communications developed and increasingly close relationship among all countries, the integration of local culture and other cultures plays a more important role in the world.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Chinese design under global environment by researching traditional Chinese culture: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rough comparison between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and advanced western design culture and drawing lessons from which, this thesis probes the design philosophy with Chinese characters. Based on the studying of Confucian ideal of benevolence, propriety and moderation, this thesis probes into the design philosophy of “human-oriented”, “design ethics” and “design for everyone’s welfare”; It discusses the philosophy of “design for love and comfort” and “design to break stereotype” according to Buddhist thought of mercy and empty; It explores “the nature of design” while studies Taoist thought of non-action. As global center transfers from East to West, western design, with 100 years’ history, starts concerning on oriental culture and philosophy. China,beingamulti-oriental-philosophiesgatheringplace,willprovideanewdevelopdirectionforinternationaldesignbenefitedfromitstraditionalandsplendidculture.

      • 실내디자인 스타일 유형화에 따른 주거 코디네이트 연출방법에 관한 연구

        김소희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71

        현대인들은 생활수준의 질적 향상과 정보의 공유로 개성 있고 다양화된 실내디자인에 대한 욕구를 갖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실내디자인 스타일 유형화에 따른 주거 코디네이트 연출방법에 대하여 연구하기 위해 실내디자인 스타일 유형에 따라 실제적으로 주거 코디네이트가 적용된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실내디자인 스타일 유형은 선행 연구된 자료와 현재 연구되어진 트렌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2000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적용된 스타일을 수집하고, 연구의 내용에 적합한 스타일 유형을 7가지 스타일 로선정, 실내디자인 스타일 유형에 따른 주거 코디네이트 연출 하기위한 방법을 7가지 사항으로 분류하고 ① 실내디자인 콘셉트 및 키워드 추출(Interior Keyword) ② 코디네이트 콘셉트 및 이미지 콜라주(Coordinate Concept & Image Collage) ③ 건축요소계획(Architectural Elements Planning) ④ 가구 계획(Furniture Planning) ⑤ 패브릭 계획(Fabric Planning) ⑥ 코디네이트 오브젝트 계획(Coordinate Object Planning) ⑦ 설치(Completion) 각 유형에 7가지 단계를 대입하여 실내디자인 코디네이션 연출 방법을 실무적으로 도입하였다. 현재 실내디자인은 유형에 따른 코디네이션에 있어서 고객의 요구와 그에 따른 공간을 이해하고 현재의 트렌드에 적합한 유형을 선별하여 구체적으로 접근하는 시도가 필요하다고 본다. The moderners have desires that high quality developing of life style and communicated individual, various interior design informations. More and more, life style are paid attention to interior design accomplished increasing situation to insperience rather than external environment. This dissertation explains that for researching the housing coordinating of directing methods to effectively image of interior design style applied cases to coordinating housing involved. Image of interior design style interpreted both new trends and primary researching projects, data or sources. Since 2000, it has arranged and selected preparatory research and each professionalists supported first, second researching works for appropriated style image its results thorough enough. This is for 7 Steps how to direct coordinating housing as choosing to image of interior design style, ① Interior Keyword ② Coordinate Concept & Image Collage ③ Architectural Elements Planning ④ Furniture Planning ⑤ Fabric Planning ⑥ Coordinate Object Planning ⑦ Completion Every Image substituted 7 Steps followed tp appropriation to directing method in interior coordinating easily that it is the Image of coordination in comtemporary interior design, its orders from client that need to approach acceptable comtemporary trends and choosing compatible Image details. In decorating space, more systematic, analytical perspective should deal with creation of beautiful and comfortable environment rather than sensation and mo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