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女子高等學校 生活館 교육에 관한 연구

        김경숙 단국대학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는 현재 실시하고 있는 여자고등학교 생활관교육에 관하여 조사·분석하여 생활관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다 효과적인 생활관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개선·발전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로 생활관 교육에 관한 이론을 고찰하고, 생활관교육의 필요성과 목적, 교육의 내용, 생활관 운영, 시설설비와 재정, 교육당당자, 교육효과등을 교사들 대상의 질문지를 통하여 조사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절대다수의 교사들이 생활관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으며 생활관 교육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예절생활의 습득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관 교육내용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내용은 일반 생활예절이며 생활관 교육내용의 적절성은 보통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재 대부분의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1박 2일의 생활관 교육 기간은 짧으며 적어도 2박 3일은 되어야 적절하다고 보고 있다. 생활관 교육을 실시하는 시기로 1학년2학기~2학년 1학기를 선호하며 생활관 교육에 대한 학교 행정자와 관심은 도시지역 보다 농촌지역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관 교육을 외부 전문기관에 위탁하는 방법에 대하여 대체로 찬성하고 있다. 넷째. 각 학교의 생활관의 넓이가 좁고 전반척인 시설·설비가 충분하지 못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며 생활관 입관경비 관리는 담당교사 또는 서무과 어느 쪽도 좋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다섯째. 생활관 지도교사는 확고한 가치관과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지닌 40대 교사가 적당하며 생활관 담당자의 애로점은 업무과중과 사생활의 희생등이며 전담교사제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여섯째. 생활관교육은 학생들에게 대체로 유익하며 가장 큰 효과를 주는 것은 예절생활 향상이라고 보고 있다. 각 학교의 생활관 운영에 대해서는 비교적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잘 운영되지 못하는 이유로 입시위주의 교육과 교사의 근무 부담과중을 들고 있으며 교육의 효과를 점검하기 위한 학생평가는 자체평가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 Adaptive Parametric Estimation and Classification of Renotely Sensed Imagery Using a Pyramid Structure : 김경숙

        김경숙 Univ. of Texas at Austin 1990 해외박사

        RANK : 247647

        UNSUPERVISED REGION-based 영상분리기법을 Pyramid 구조에 적용하였다. 이 논문에서는기존의 region-based 분류기법에서 사용하는 전통적인 local splitting 이나 merging기법을 사용한 것융�동일지역과 경계면지역을 구분한후, 동일한 지역으로 분류된부분만을 이용하여 각 Class의 Par들을 mixture distribution estimation 기법에의하여 추정한 후 분류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Py각 level 에서 반복하면서Parameter 들을 재추정하고 분류한다. 이 과정이 Pyramid의 최하단까지되면분류가 완료된다. 이 분류기법은 영상전체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분류하기 보다는Pyramid의 굼結淪臼�계산량을 대폭 감소 시켰다. 본 기업의 테스트에는 Simulated된 데이타와 SPOT 위성데을玲淪臼느만�결과가 보고 되었다.

      • 전주지역 결혼이민자 여성의 한국어 습득에 미치는 사회·환경요인에 대한 분석

        김경숙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Introduction International marriages between Korean bachelors and other Asian women who chose marriage as a method of immigration to Korea have been drastical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These kinds of international marriages have been inducing many social problems because of abrupt marriage in the condition of lack of social, cultural, or linguistic understanding mutual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ocioenvironmental factors which had effect on Korean learning of marriage-immigrants women in Jeonju city area. Subjects and methods One hundred one foreign brides, who were born and grew up from 8 different countries and lives in Jeonju city area at now,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e performed 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 (PPVT) to evaluate their Korean language ages and made the questionnairing about 12 items to evaluate socioenvironmental factors.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10.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PPVT equivalent age and socioenvironmental factors. Results The average equivalent age of Korean language of these resident women by PPVT was 8.2±4.92 years old. The study showed 3 major socioenvironmental factors as the number of Korean friends, the length of their stay in Korea, and the number of their offspring. And there were 4 minor factors as a religion, a job, an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number of friends except Korean. On the other hands,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Korean language had not affect on the equivalent ages of resident women. Conclusion 3 major factors show that the environmental exposure to Korean language use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factors in Korean learning ability of resident women. Also it shows that Korean educational programs from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or the various welfare facilities for resident women are not operated efficiently. The systematic Korean educational program for resident women is necessary and it is the effective way to solve the difficulties about korean learning of marriage-immigrants women.

      • 전통 승무의 정체성과 전통춤 교육의 재구성

        김경숙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춤 승무의 한국적 전통성과 정체성을 규명하여, 그 개념을 토대로 한국 전통춤의 교육 방향과 내용을 재구성하는데 있다. 오래전부터 전통춤과 창작춤으로 이어지는 정체성의 맥락이 단절되고 변질되어 한국춤을 추는 사람들 간의 소통에 어려움이 생겼다. 이 문제해결을 위하여 전통춤의 내용과 형식을 가장 잘 담고 있는 전통 승무를 전통춤의 전형이라고 판단하여 그 주제로 삼았다. 한국 전통춤의 특징은 내면 지향적이고, 몸체 중심으로 펼쳐지는 춤사위로 이루어지면서 자연스럽게 호흡과 함께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움직임의 흐름에 있다. 이러한 전통춤의 춤사위는 맺고, 어르고, 풀기라는 세 가지 구조적 원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비움, 속멋, 담백성, 겸양과 절제, 정중동의 역동적 이미지 등으로 표현하는 한국적 미의식을 오롯이 담아내고 있다. 이러한 무형문화재로서의 전통춤은 원형중심의 보존 대상이기 때문에 전통춤은 예술적 창조의 개념 보다는 보존과 전승이라는 개념이 우위에 선다. 오늘날 접하게 되는 전통춤 교육의 문제는 바로 무형문화재의 보존과 전승이라는 개념으로부터 비롯된다. 전통춤은 시대에 따라서 변화하고 생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고형(固形)은 있으나 원형은 사실상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원형을 보존하려는 교육과정 중심의 전통춤 교육은 닫힌 교육 내용과 구전심수(口傳心授)라는 교수 전략으로 귀착되고 말았다. 그리고 전통춤 교육은 전승된 전통춤사위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 과정에서 전통춤의 춤사위는 원형중심으로 고착되었고, 그 춤이 담고 있는 춤의 내용과 스토리는 무시되어왔다. 전통 승무도 이런 분위기 속에서 전개되어왔다. 전통 승무 작품이 담고 있는 다양한 의미와 그 춤사위의 가치가 단순한 속설로 폄하되고, 무시되어온 것도 바로 고착된 전통춤 개념에서 기인한다. 현재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전통 승무의 가치는 한영숙류와 이매방류의 보존에 있다. 이러한 전통춤 교육의 장에 있어서 배우는 사람은 아무런 권한이 없게 된다. 이 과정에서 그 춤을 가르치고 배우는 방식은 수직적 관계가 되고 만다. 그리고 춤 공연의 관람자들 또한 오래전에 보았던 똑 같은 승무를 감상해야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통춤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전통 승무의 보전과 지속적인 발전의 가능성을 전개할 수 있는 단서는 바로 전통 승무의 재개념화에서 찾을 수 있다. 참된 전통이란 화석화된 개념이 아니라, 지금 여기에서 살아 숨 쉬는 생명의 내용이다. 따라서 전통 승무는 단순한 보존이 아니라 계승과 발전이라는 개념으로 접근해야 마땅하다. 재개념화 된 전통 승무는 단순한 전통의 몸짓이 아니라 예술적 가치가 있는 춤사위이자 그 내용이다. 승무의 유래설은 바로 시대에 따른 승무의 이야기이다. 따라서 오늘날 승무의 이야기는 다시 쓰여 질 수도 있고, 옛것을 다시 재해석하여 새로운 작품으로 구성해낼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유래설의 의미와 가치를 다시 평가해야만 한다. 그리고 그 춤을 구성하는 춤사위의 유래와 의미도 새롭게 설명되어야 마땅하다. 전통춤 승무의 전통성은 여러 유래설에 담긴 내용과 다양한 춤사위, 한국적 심미성, 그리고 깨달음을 추구하는 수행의 방법 등에서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승무의 전통성을 토대로 드러난 승무의 정체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춤 작품의 형식으로 드러난 정체성이다. 둘째, 한국 문화 예술품으로서의 정체성이다. 셋째, 전통춤의 기본 영역으로서의 정체성이다. 넷째, 한국적 미의식이 가장 잘 드러난 춤으로서의 정체성이다. 다섯째, 우리 삶의 역사성을 담고 있다는 정체성이다. 여섯째, 깨달음을 추구하는 수행방법으로서의 정체성이다. 이상의 승무의 전통성과 정체성에 기반을 두고 판단해 보았을 때 전통춤 교육을 위한 전략은 다시 재구성되어야 마땅하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첫째, 전통춤 교육 내용을 새로운 몸 중심의 인식론적 관점에서 재구성해야 한다. 둘째, 소통과 담론으로서의 전통춤 교육을 위하여 춤적 글쓰기를 장려하고, 이를 공유할 수 있는 전통춤에 대한 담론을 형성하여야 한다. 셋째, 춤 교육에 대한 존재지향적인 태도를 가져야 하며, 교육의 목적과 내용 또한 열린 방법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그리고 지도 방법에 있어서 몸 움직임의 지각, 깨달음, 그리고 전통춤 세계의 체험성은 유기적인 활동요소라는 것을 유념하여, 통합적으로 지도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살펴보았을 때, 전통춤 교육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미래지향적인 의미에서 새로운 길을 모색하는 일이 아주 어려운 것은 아니다. 원형중심의 전통춤 교육 현상에 대한 타성을 버리고, 보존만이 아닌 계승과 발전의 차원에서 새롭게 전통춤에 대한 논리를 구성하는 일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는 전통춤 세계를 공유하는 사람들과 소통과 담론을 형성하면서 미래 지향적인 전통춤과 창작춤을 만들고 열어갈 수 있는 춤 교육 세계를 만들어 보려는 하나의 시작에 불과하다.

      • Study on Application of Thermo- Sensitive Hydrogels Based on Biomaterials : 생체재료를 이용한 온도 감응형 하이드로젤의 응용에 관한 연구

        김경숙 부경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chapter 2, We herein examined the bone formation from rat muscle-derived stem cells (rMDSCs) using an injectable in situ-forming chitosan gel in vivo. The rMDSCs were easily isolated from rat muscle tissue. The osteogenic factors caused differentiation of rMDSCs toward the osteogenic lineage. The rMDSCs survived well on the scaffold created by the in vitro and in vivo in situ-forming chitosan gel, indicating that in situ gel-forming chitosan was a suitable substrate for the attachment and proliferation of rMDSCs. Bone formation was observed only in chitosan gel containing both rMDSCs and osteogenic factors. Subcutaneous implantation of the in situ-forming chitosan gel demonstrated that rMDSCs-containing chitosan gel induced much lower host tissue responses than did the chitosan gel alone, probably due to the immunosuppression of the transplanted rMDSCs. In chapter 3, The sol-to-gel transition occurring at around body temperature makes the MPEG-PCL diblock copolymer an ideal candidate material for use as an injectable in situ?-forming gel containing human adipose tissue?-derived stem cells (hADSCs). The sol can be prepared at room temperature, and the gel forms at body temperature. Solutions of the copolymer containing hADSCs and osteogenic factors injected into rats formed gel scaffolds at the injection sites. The gels thus formed showed the interconnective pore structure required to support growth,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hADSCs. Bromodeoxyuridine-labeled hADSCs were confirmed to be present in gels formed in vivo. Bone formation was observed only in gel implants containing both hADSCs and osteogenic factors. Subcutaneous implantation of the in situ?-forming gel scaffold demonstrated that hADSCs embedded in the gel stimulated much lower host tissue responses than did the gel alone, probably because of the unique immunomodulatory properties of hADSCs. In conclusion, our data on hADSCs embedded in an in situ gel scaffold suggest that this formulation may provide numerous benefits as a noninvasive alternative for tissueengineered bone formation. In chapter 4, We herein formulated and characterized an in situ-forming gel consisting of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CMC) and poly(ethyleneimine) (PEI), and examined its use as an in vivo scaffold for rat bone marrow stem cells (rBMSCs). The electrostatic interaction and temperaturedependence between CMC anionic and PEI cationic were confirmed by the changes of zeta potential, size and viscosity of CMC solutions with 0-30 wt% PEI. CMC/PEI solution gave electrostatically crosslinked gel with a three-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The CMC solution containing 10 wt% PEI transformed to a gel at temperatures greater than 35oC, and chosen for subcutaneous injection into rats. The CMC/PEI (90/10) gel with pore structure acted as a suitable biocompatible substrate for the in vitro and in vivo attachment and proliferation of rBMSCs. As CMC/PEI (90/10) solution with and without rBMSCs was injected into Fisher rats, it became a gel in the subcutaneous dorsum of a rat and maintained their shape even after 28 days in vivo. The injected rBMSCs survived in the CMC gel for 28 days. Injection of CMC/PEI gel alone induced macrophage accumulation in the host tissue and at the edge of the gel, whereas injection of CMC/PEI gel containing rBMSCs was associated with decreased macrophage accumulation, indicating immunosuppression by the transplanted rBMSCs. Our results collectively show that CMC/PEI gel could serve as an in situ-forming gel scaffold for entrapped rBMSCs in vivo.

      • 아들러 이론에 근거한 목회돌봄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경숙 목포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Adler 이론에 근거한 목회돌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목회자의 목회효능감, 목회대인관계, 목회리더십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dler 이론에 근거한 개념들 중에서 격려, 열등감, 우월성 추구, 사회적 관심 등을 적용하여 목회돌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Adler 이론에 근거한 목회돌봄 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떠한가? 둘째, Adler 이론에 근거한 목회돌봄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본 프로그램 개발과정은 1회기에서는 오리엔테이션과 라포형성 후 Adler이론에 대한 전체적인 강의와 프로그램 소개 후 구조화를 시켜주었다. 2회기에서는 자기탐색, 초기기억 탐색, 그리고 자신의 장점과 능력에 대한 믿음을 갖게 하는 시간이었다. 3회기 자기격려와 타인격려 및 긍정의 피드백 활용하기를 사용하였다. 4회기 아들러 이론에서 격려와 열등감, 사회적 관심, 우월성 추구 등을 중심으로 내용에 대한 이해를 하였다. 5회기는 목회자로서 가정과 교회, 사회 속에서의 소속감과 사회적 관심에 대하여 진행하였다. 6회기에서는 목회자 자기가치 수용하기, 장점에 초점을 맞추어 긍정적 사고 표현과 공동체에서 지지와 격려를 상호간 활용하였다. 7회기에서는 내 안에 열등감에서 숨어 있는 나 찾기를 시도하였다. 8회기는 건강하지 못한 자화상을 발견하여 역할극을 통하여 직면하기와 억압된 부정적인 감정을 적절하게 처리하도록 하였다. 9회기는 자신의 영적모델을 찾아보고 자신에게 맞는 모델링을 찾는 시간을 가졌다. 마지막 10회기에서는 비전선포와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해 선포하고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K시에 거주한 목회자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 10명, 통제집단에 10명을 무선으로 배정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기존 척도를 참고하여 목회효능감, 목회대인관계, 목회리더십 검사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목회돌봄 교육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게 주 1회씩 10회기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모두 목회효능감, 목회대인관계, 목회리더십 검사를 실시하였다. 목회돌봄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목회효능감, 목회대인관계, 목회리더십의 각 종속변인별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는 공변량분석(ANCOVA) 및 다변인 공변량분석(MANCOVA)을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분석은 SPSSWIN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목회돌봄 교육프로그램은 목회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회돌봄 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집단의 목회자들은 프로그램을 통하여 업무추진능력, 능력에 대한 확신, 목회자신감, 기대에 대한 열정, 성취감이 향상되었다. 둘째, 목회돌봄 교육프로그램은 목회대인관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회돌봄 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집단의 목회자들은 프로그램을 통하여 친근감, 의사소통, 자기개방성이 향상되었다. 셋째, 목회돌봄 교육프로그램은 목회리더십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회돌봄 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집단의 목회자들은 프로그램을 통하여 성도신뢰 및 협조, 결단력 및 목표의식, 성공적 목회자상이 향상되었다. 양적분석과 함께 실시한 참여자들의 내러티브 분석 결과 “어린 시절의 상처치유” “열등감 회복및 우월성추구” “자화상 회복을 통한 목회에 대한 자신감”등의 핵심주제들이 드러났다. 특히 매 회기의 과제와 공감하기, 격려하기 등으로 어린시절의 상처받은 감정을 치유 받고 마음의 자유를 경험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하였으며, 과거의 묻힌 상처로 인하여 분노, 외로움, 우울함 등이 본인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깨달았다는 것이다. 이상을 토대로 Adler 이론에 근거한 목회돌봄 교육프로그램은 목회자들의 목회효능감을 높일 뿐만 아니라 목회대인관계를 증진시키고, 목회리더십을 향상시킨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목회돌봄 프로그램은 전인적인 인간관계 회복을 위해 크게 도움을 줄뿐만 아니라 하나님나라의 구속사를 위한 선한 통로로 주님 세우신 목회자와 교회가 건강하게 성장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pastoral care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Adler's theory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pastor on pastoral 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eadership. Based on the Adler's theory, the study developed the pastoral care education program by applying encouragement, inferiority, superiority and social interest. The research problems that are set up to accomplish these research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ontent of the pastoral care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Adler's theory? Second, what is the effectiveness of the pastoral care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Adler's theory? The program of development process for the 1st session was structured after introducing program and whole lecture about Adler's theory after the orientation and rapport formation. In the 2nd session, it was time to have self-discovery, early memory seeking and faith in one's strengths and abilities. In the 3rd session, it used self-encouragement, consideration for others and positive feedback utilization. In the 4th session of Adler's theory, the contents were focused on encouragement, inferiority, social interest and pursuit of superiority. The 5th session proceeded with the social interest and sense of belonging in the home, church and society as a pastor. In the 6th session, it was utilized the pastor's self-worth acceptance, focusing on the merits and positively expressing opinions, mutual support and encouragement in the community. In the 7th session, I tried to find me hidden in my inferiority sense. The 8th session found an unhealthy self-portrait and allowed the negative to be confronted and treated appropriately through role play. The 9th session had time to look at his spiritual model and find the modeling that was right for him. In the last 10th session, they had time to proclaim and share vision declarations and directions to move forwar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10 pastor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 in the control group were randomly assigned who lived in K city.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it developed pastoral 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eadership test with reference to existing scale. The developed pastoral care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10 times a week for experimental group, in the program for pre-to-post test,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performed the pastoral 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eadership tes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astoral care education program,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ere calculated for each dependent variable of pastoral 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eadership, and covariance analysis (ANCOVA) and multivariate covariance analysis (MANCOVA) were conducted.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storal care education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pastoral efficacy. Pastor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astoral care education program improved their ability to perform their tasks, confidence in their ability, pastoral confidence, enthusiasm for expectations and their sense of accomplishment through the program. Second, the pastoral care education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pastor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astoral care education program improved the affinity, communication and self-opening through the program. Third, the pastoral care education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pastoral leadership. Through the program, the pastor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astoral care education program improved their sincere trust and cooperation, determination, goal consciousness and successful pastor image. The narrative analysis of participants with quantitative analysis revealed core themes such as "childhood wound healing" "recovery of inferiority and pursuit of superiority" and "confidence in ministry through self-image restoration". In particular, they said that they became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freedom of mind by healing the injured feelings of their childhood through the tasks, sympathy and encouragement of each session, they realized that anger, loneliness, and depression were having a profound impact on their life because of past buried wounds. Based on the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astoral care education program from Adler's theory not only enhances the pastoral efficacy of pastors, but also improves pastoral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improved pastoral leadership. The pastoral car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not only a great help for the restoration of the whole human relationship, but also a positive passage for the redemption history of the kingdom and positively influences the healthy growth of the pastor and the church established by the Lord.

      •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과 직무만족,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김경숙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nursing protection Directors stressed job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its impact on the quality of nursing care analysis ways to improve the emvironment, the demand by the job being offered to the eldeny care servicese increase the quality of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research, and you want to summarize the results. as follows. care proeection directors stress care hospital was the luxury of crawfish was the luxury of less concessions concession being the center with a noth that there was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ffiliation. Sanction center job satisfaction was the luxury of conceding, S concession was the luxury of hosaga nursing Hospital belonging to the agency that the differences werein accordance. the efforts to cope with the stress of combat experience and protection of nursing affiliation was sign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he impact factor is satisfied with the duties of protectiong care, core hospital care protection if the employmemt of wark stress. Stress factors with patients was the case with the ash center nursing protection, the average wage employment cases for managing work stress stressed stressful working conditions for the box was. Common factors that irfluence employment, regardless of the affiliation and forms if yon are a full-time lower the patient,s stress Stressful operational higher job satisfaction is high. and nursing job satisfaction survey of conservatire and protect colleagues about the satisfaction is high and the facilities management Division for hoss appeared to lower satisfaction. and lower exhaust exhaust their duties of protecting the nursing levels were correlated with high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levels. lower castle is subjective in exhausting the higher steps of exhausting job satisfaction was confirmed. Compared with the low. and job satisfaction, all saints care child exhausted by property class of statistically showed a meaningful interrelationship. tumorer, this seemed the highest Correlations was more exhausted the luxury levelof turnover was a great doctor, therefore future Concessions will be constantly increasing demand for elderly care serrices. in addition, on the basis of the preceding research nursing protection of factors affecting the overall job satisfaction with working environment. Persnnel management of rationality. institutional relationship with the boss and Colleagues you need to be improved. 이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과 직무만족 그리고 요양보호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그들의 직무환경의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수요자인 노인에게 제공되는 요양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요양병원 요양보호사가 재가센터 요양보호사보다 적게 받고 있는 것으로 소속기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요양보호사 직무만족도는 재가센터에 요양보호사가 요양병원 요양보호사보다 높은 것으로 소속 기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스트레스 대처 경험과 대처노력은 소속 기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 영향요인은, 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경우 고용형태업무 스트레스, 환자와의 스트레스 요인이었으며, 재가센터 요양보호사와의 경우는 평균임금 고용형태 관리 대상자 수 업무 스트레스, 근무조건 스트레스 대상자의 스트레스 요인 이었다. 넷째, 소속기관 관계없이 공통적인 영향요인은 고용형태가 정규 직인경우, 업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환자와의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직무 만족이 높다. 다섯째,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 조사결과 보수와 동료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시설운영과 상사 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여섯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소진이 낮을수록 소진수준이 높았다. 낮은 직무 만족도와 높은 소진수준이 상관성은 주관적 소진단계에서도 확인되었다. 소진단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직무만족의 하위 속 성별소진 수준의 상관성도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였다. 이직이가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는데 이직의사가 큰 요양보호사 일수록 소진수준이 높았다. 따라서 향후 지속적으로 노인요양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었다. 또한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요양보호사의 전반적인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근무환경, 인사관리의 합리성, 상사 및 동료와의 관계를 제도적으로 개선해야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