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형을 이용한 애착증진 가족놀이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애착문제 유아 가족을 중심으로

        노남숙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807

        Families today, in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due to a host of causes of conflict such as confusion of parental roles, change of couples' roles, and prevalence of individualism. Thus unharmonious relationships among family members and interaction problems occurred frequently so the number of children with various attachment problems have been increasing. The author viewed that it was necessary to use the family approach rather than the child-centered one to treat attachment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Family Play Therapy Program" using the puppet to improve attachment for families of children with attachment problems and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Participants were the experimental group of 16 individuals(8 children with attachment problems whose ages range from 4 to 5 and 8 mothers) and the control group of 16 individuals(8 children with attachment problems whose ages also range from 4 to 5 and 8 mothers).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through the Family Play Therapy Program using the puppet and was held for twelve sessions twice a week. Changes in participants were measured by three aspects : child, mother, and child-mother,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researcher measured children's emotional, behavioral expressions(TBP: Muller, N., 1996) and perception of family(cohesion and family representation, FAST: Gehring, T., 1998) both before and after the FPT program and compared their differences. The author also measured the self of mother(Self Differentiation Scale: Jea, Suckbong., 1989), interpersonal relationships(ECR-R: Brennan, Clark, & Shaver, 1998), and perception of family functions(ICPS-FFS: Noller, Seth-Smith, Bouma, & Schweutzer, 1992) both before and after the FPT program and compared their differences. MIM Rating Scale(O'Connor, 2001) and Marschak Behavior Rating Scale(Mckay, Pickens, & Stewart, 1996) were administered to examine interactions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All of the sessions of FTP program were videotaped and photocopied to note the processes of change in child-mother according to the stages of group development so that the responses of child-mother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rapeutic factors. The collected data conducted basic statistical analysis(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nd non-parametric analysis(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rank sum test) using SPSS WIN 17.0. The major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Family Play Therapy Program using the puppet for attachment improvement had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emotional, behavioral expressions and their perception of family. After the Family Play Therapy Program were over, nega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expressions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children decreased and family cohesion among family perception of children in experimental group were changed positively from 'low or middle range' to 'high range'. And the family representations were changed positively from 'avoidance, non-response, and negative' to 'open, and positive'. 2. Family Play Therapy Program using the puppet for attachment improvement had positive effects on perceptions of sel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amilies of mothers whose children had attachment problems. The decrease of family projection and family regression among self differenti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mothers was observed after treatment of FPT program. It meant that the degrees of projection which mothers put their conflicts and tensions from their marital relationships on their children lessoned and family regression which mothers showed when dealing with crisis or conflicts decreased. One of its subscales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erception Scal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achment-avoidance of mothers in experimental group. Namely, the degrees of attachment-avoidanc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ecreased.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amily Function Perception after the Family Play Therapy Program was over. 3. Family Play Therapy Program using the puppet for attachment improvement had positive effects on change of interaction behaviors of child-moth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mother's dimensional interaction behaviors(structure, challenge, intervention, nurturing) after the Family Play Therapy Program was completed. Thus an increase in positive interaction was observ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mother's subject interaction behaviors(children, mothers, pairs of mothers and their children) were seen after Family Play Therapy Program was over and an increase of positive interaction was also observed. Even while conducting Family Pay Therapy Program, subject interaction behaviors(children, mothers, pairs of mothers and their children) increas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could be called positive change, too . 4. Family Play Therapy Program using the puppet for attachment improvement had positive effects on responses from their group developmental stages, especially on the subscale of both mother emotion reinforcement program and puppet family play program. Results of the classification of therapeutic factors in the process of program, group cohesion, socialization skills, catalysis emerged as did the three therapeutic factors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children. Various factors such as group cohesion, universality, self-understanding, instillation of hope, and development of socialization skills were spread out evenly as did therapeutic factors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mothers regardless of the stage of program. By this study which approached with integrity on the aspect of interaction of child, mother, and child-mother, it was confirmed that the Family Play Therapy Program using the puppet for attachment improvement improved the quality of relationship of child with attachment problem, mother, and child-mother and enhanced attachment. This study had significances as followed. 1.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ructure of program, it had the emotion reinforcement program for mothers whose children had attachment problems, the program using puppet for families with attachment problems and the support group for follow-up. 2.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velopment of progra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families with attachment problems, the researcher developed and conducted the Puppet Play Therapy Program in which the expression of emotion of children are feasible. 3. It had a manuel for participants-tailored. There were massive compensations for its defects through a pilot study of FPT program. 4. It used various kinds of measurements for child, mother, child-mother to examine the effects of FPT program.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오늘날의 가정은 개인주의적 가치관의 팽배, 부부 역할의 변화, 부모의 역할 혼란 등으로 많은 갈등 요인 속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로 인해 원활하지 못한 가족관계와 상호작용 문제로 인해 애착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다양한 애착문제 유아들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이에 애착문제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개별 유아 중심 접근보다는 가족전체 단위 접근으로 보아야 한다. 본 연구는 애착문제 유아 가족을 대상으로 인형을 이용한 애착증진 가족놀이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실험집단은 애착문제 유아 8명(만 4∼5세)과 어머니 8명, 통제집단은 애착문제 유아 8명(만 4∼5세)과 어머니 8명이다. 실험집단은 주 2회 총 12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아, 어머니, 유아-어머니의 세 가지 측면에서 변화를 측정하였다. 유아의 정서 및 행동 표현(TBP: Muller, N., 1996), 가족 지각(응집성 및 가족 표상, FAST: Gehring, T., 1998)을 측정하여 사전·사후 비교하였다. 어머니의 자아(자아분화 척도: 제석봉, 1989), 대인(ECR-R: Brennan, Clark, & Shaver, 1998) 및 가족기능 지각(ICPS-FFS: Noller, Seth-Smith, Bouma, & Schweutzer, 1992)을 측정하여 사전·사후 비교하였다. 유아-어머니의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MIM 평정 척도(O'Connor, 2001)와 Marschak 행동 평정 척도(Mckay, Pickens, & Stewart, 1996)를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실시과정에서 나타난 집단발달 단계별 애착문제 유아-어머니의 변화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 과정을 비디오 찰영 한 후 전사하여, 유아-어머니의 반응을 치료 요인으로 범주화하고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의 기초통계분석과 비모수 분석인 맨 휘트니 검정과 윌콕슨의 순위합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형을 이용한 애착증진 가족놀이치료 프로그램은 유아의 정서/행동 및 가족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 유아의 부정적 정서/행동 표현이 감소하였으며 가족 지각 중 가족응집성은 사전 ‘낮거나 중간 범주‘ 에서 사후 ‘높은 범주’ 로 정적으로 변화되었다. 또 가족 표상은 사전 ‘회피, 무반응, 부정적인 모습’ 에서 사후 ‘개방적, 긍정적인 모습’ 으로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둘째, 인형을 이용한 애착증진 가족놀이치료 프로그램은 어머니의 자아, 대인 및 가족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 어머니의 자아분화 중 가족투사와 가족퇴행이 감소하였다. 즉 어머니가 부부간의 갈등, 긴장 등을 자녀에게 투사시키는 정도가 감소하였으며, 어머니가 위기나 갈등 등을 대처해 나갈 때 가족퇴행이 감소되었다. 또 대인 지각 하위영역인 대인애착회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대인관계에서의 회피적인 애착정도가 감소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후 가족기능 지각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인형을 이용한 애착증진 가족놀이치료 프로그램은 유아- 어머니의 상호작용 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프로그램 실시 후 유아-어머니의 차원별 상호작용 행동인 구조, 도전, 개입, 양육 행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긍정적인 상호작용의 증진을 보여주었다. 또 사후 유아-어머니의 주체별 상호작용 행동인, 유아, 어머니, 유아-어머니 2인쌍 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긍정적인 상호작용의 증진을 보여주었다. 또한 프로그램 실시 과정 중 주체별 상호작용 행동인 유아, 어머니, 유아-어머니 2인쌍도 의미 있게 점수 상승을 보여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넷째, 인형을 이용한 애착증진 가족놀이치료 프로그램 실시과정에서 나타난 집단발달 단계별 유아-어머니의 변화과정은 하위영역인 모 정서 강화 프로그램과 인형 가족놀이치료 프로그램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즉 프로그램 과정에서 나타난 치료 요인을 범주화한 결과, 실험집단 유아들은 집단응집력, 사회화 기술, 정화의 세 요인이 나타났으며 실험집단 어머니들은 집단응집력, 보편성, 자기이해, 희망의 고취, 사회화 기술의 발달 등 다양한 요인들이 단계별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유아, 어머니, 유아-어머니의 상호작용 측면에서 다각적으로 접근한 본 연구를 통해 인형을 이용한 애착증진 가족놀이치료 프로그램은 애착문제 유아, 어머니, 유아-어머니의 관계의 질을 향상시키며 애착을 증진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구성 측면에서 애착문제 유아 어머니를 고려한 모 정서 강화 프로그램과 인형 가족놀이치료 프로그램 및 추후 지지집단을 구성, 유지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개발 측면에서 애착문제 유아 가족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서적 표현이 가능한 인형매체를 활용한 인형놀이치료 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하였다. 셋째, 프로그램의 예비실시를 통해, 수정 보완한 부분을 실제 애착문제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 실시 과정에 반영하여 대상 특성별 프로그램을 매뉴얼화 하였다. 넷째,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아, 어머니, 유아-어머니 대상의 다양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 인형극을 활용한 토의 활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승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유아의 문제행동은 유아 자신과 유아를 둘러싼 부모, 교사, 또래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에 유아 교사와 부모들은 모두 유아의 문제행동이 하루 속히 개선되기를 바라고 있다. 또한, 많은 선행연구에서는 유아의 문제행동 개선을 위해 교사-부모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부모의 유아 문제행동에 관한 소통을 기반으로 구성된 교육 활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전제하에 6개의 유아 문제행동 하위영역을 선정하였고, 이 문제행동을 개선하기 위한 교육 활동으로 인형극을 활용한 토의 활동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연구의 목적으로 인형극을 활용한 토의 활동이 유아의 문제행동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인형극을 활용한 토의 활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1. 인형극을 활용한 토의 활동이 유아의 또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2. 인형극을 활용한 토의 활동이 유아의 발달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3. 인형극을 활용한 토의 활동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4. 인형극을 활용한 토의 활동이 유아의 도덕성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5. 인형극을 활용한 토의 활동이 유아의 정서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6. 인형극을 활용한 토의 활동이 유아의 성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 해결을 위한 실험처치로 총 12회기의 인형극을 활용한 토의 활동을 구성하였고, 연구방법으로 양적 실험 결과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하여 질적 자료(부모용 서술식 조사 기록, 부모 면담 기록, 토의 활동 기록, 유아 관찰기록)를 포함하여 분석하는 내재적 혼합연구(QUAN(qual))로 설계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K구에 위치한 두 유아교육 기관의 재원생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은 K병설유치원 만 4세 유아 13명으로 인형극을 활용한 토의 활동에 참여하였고, 비교집단은 T병설유치원 만 4세 유아 13명으로 누리과정에 기초한 문제행동 이야기나누기에 참여하였다. 실험 기간 및 방법은 2020년 10월 21일부터 2021년 2월 5일까지 6주 동안 주 2회씩, 총 12회에 걸쳐 이루어졌고, 이 기간 중 코로나로 인한 원격수업 기간은 실험처치에서 제외하였다. 유아의 문제행동 측정은 고현(2008)의 ‘3~5세 유아용 문제행동 평정척도’를 활용하였고, 양적 실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Mann-whitney U검정 기법을 활용한 후 사전 동질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위해 Mann-whitney U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바탕으로 나타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형극을 활용한 토의 활동은 유아의 문제행동 중 ‘또래 문제행동’, ‘기본생활습관 문제행동’, ‘정서 문제행동’, ‘성 문제행동’ 개선에 효과가 있었다. 양적 분석 결과, 실험집단 유아들이 비교집단 유아들에 비해 또래 문제행동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낮아졌다. 그리고 질적 분석 결과에서도 그 효과가 입증되었다. 둘째, 인형극을 활용한 토의 활동은 유아의 문제행동 중 ‘발달 문제행동’, ‘도덕성 문제행동’에서 긍정적 변화가 질적 분석을 통해 나타났으나, 양적 결과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이 인형극을 활용한 토의 활동은 문제행동의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는 인형극을 활용한 토의 활동이 유아의 문제행동 개선을 돕는 교수-학습 방법으로의 교육적 가치와 함께 유아의 자발적 흥미와 참여를 유도하는 유아 주도적 교육 활동으로서의 가치가 있음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 문화콘텐츠 플랫폼으로서 인형극제에 관한 연구 : ‘명주인형극제’를 중심으로

        구정민 가톨릭관동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강릉 등 영동지역 최초의 인형극제인 명주인형극제를 통한 문화콘텐츠 플랫폼 가능성에 대해 고민하고 발전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는 의미에서 출발했다. 명주인형극제는 지난 2014년 첫 해 3654명의 유료 관람·체험객을 불러들인 것을 시작으로 2015년 5225명, 2016년 5339명, 2017년 6002명 등 매년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 4년간 영동지역에 새로운 문화콘텐츠 플랫폼으로서의 가능성을 충분히 보여줬다 할 만 하다. 이에 앞으로 명주인형극제의 발전 가능성과 성장 방향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겠다. 여기에서 주목할 만 부분은 명주인형극제가 열리고 있는 공간적 플랫폼이다. 강릉은 중국은 물론, 국내에서도 거의 잊혀진 단오제가 천년 동안이나 이어져 내려오는 유서깊은 고장이다. 강릉단오제는 국가무형문화제 제13호로 지정돼 국가의 보호를 받고 있고 지난 2005년에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돼 세계인과 함께 보존하고 있다. 단오제의 핵심은 사람들이 한데 모여 같은 문화를 즐긴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천년이나 내려올 수 있는 것이다. 결국 강릉 등 영동사람은 한데 어우러진 축제를 즐길 자세가 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즈음에 명주인형극제가 영동사람들을 한데 묶을 수 있는 거대한 놀이판, 즉 플랫폼으로 자리잡을 수 있다면 새로운 문화콘텐츠, 경쟁력이 담보된 거대한 축제의 장이 탄생하는 것이다. 인형극은 역사적 고증을 보더라도 가족이 함께 즐기는 문화 콘텐츠이다. 특히 강릉은 2018 평창동계올림픽 빙상경기 개최도시이고, 아트센터 등 문화올림픽을 실현하기 위한 하드웨어가 곳곳에 들어서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명주인형극제를 한국은 물론, 세계인들이 함께 즐기는 축제의 장으로 발전시켜나갈 필요가 있겠다. 인형극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거의 없는데다 인형극이라는 장르 자체가 세계적인 것이기에 중간에 통역 등을 활용할 경우 세계인들과 쉽게 융합될 수 있다. 여기에 정부가 인접 시·군 등 자치단체간 협업을 적극 지지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영동권역을 하나로 묶을 수 있는 새로운 문화콘텐츠 플랫폼의 발현도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 인형진단평가를 활용한 학교 밖 청소년의 삶의 경험에 대한 연구

        김나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인형진단평가에 나타난 학교 밖 청소년의 자기인식과 타인인식, 가족관계의 상징체계와 그들의 경험에서 나타난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도에 위치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에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17~20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인터뷰와 인형진단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연구에 참여한 학교 밖 청소년들이 겪은 학교 및 학교 밖에서의 경험을 이해하고자 인터뷰의 내용을 분석하였고, 인형진단평가를 통해 연구에 참여한 청소년들의 삶의 경험을 자기인식, 타인인식 및 가족관계의 세 가지 영역에서 인형진단평가 매뉴얼의 분석 방법에 따라 심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들은 학교를 대학을 가기 위한 곳, 사회를 경험하는 곳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교우관계와 반복적인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를 벗어나서 자유로움과 해방감을 경험하였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만족감만이 아니라 미래에 대한 불안감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 밖 청소년들은 학교 밖의 다양한 경험을 통하여 자신이 성장해 나가고 있음을 느끼며, 대학에 진학하여 건강한 또래관계를 맺고자 소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인형진단평가에 나타난 학교 밖 청소년의 자기인식의 상징체계에서는 생존과 방어, 의존, 독립, 강함의 네 가지 영역으로 나타났다. 모든 참여자가 공통으로 생존과 방어의 상징을 나타내는데, 이는 학교 밖에서 스스로 살아가기 위해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많은 에너지를 쓰고 있으며, 생존과 방어라는 자기인식의 심리적 특성이 형성되었음을 시사한다. 또한 학교 밖 청소년들의 자기인식에는 대극적 상징체계가 주로 나타났는데 이는 자아통합이 이루어지지 못한 채 불안한 심리상태에 놓여 있음을 의미하며 이로 인해 내적갈등을 경험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인형진단평가에 나타난 학교 밖 청소년의 타인인식에서는 수1과 수2의 상징체계로 나타났다. 학교 밖 청소년들이 타인과의 경험을 경직된 위계질서나 경쟁과 분리 등으로 경험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며, 연구에 참여한 청소년들은 이러한 불안과 좌절의 경험으로부터 벗어나 편안하고 안전한 세상을 소망하였다. 넷째, 인형진단평가를 통해 나타난 학교 밖 청소년의 가족관계를 살펴보면, 한명의 참여자만이 균형형의 기능적인 가족관계를 갖고 있었으며 나머지 8명의 연구 참여자는 부친 고립형, 밀착형, 목적 지향형의 역기능적인 가족관계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연구에 참여한 학교 밖 청소년들이 가족 간의 상호작용이 부족함을 의미하는데, 가족 안에서 경험한 관계와 소통의 결핍이 학교에서 또래와 소통하고 관계를 맺는데 어려움으로 이어졌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밖 청소년들이 또래관계에서 긍정적 관계와 소통을 경험하지 못하여, 학교생활에서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긍정적 자아상을 구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 밖 청소년들은 여전히 대학진학에 대한 동기를 가지고 있으며, 긍정적 또래관계를 맺고자하는 소망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들의 인터뷰와 인형진단평가에서 나타난 인식차원과 관계차원의 동물 상징체계 분석을 통해, 학교 밖 청소년들이 겪고 있는 심리적 특성과 어려움을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understanding out-of-school youths by identifying self-awareness, other-awareness, symbol system of family relation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out-of-school youths’ experiences, which appeared in figure diagnostic evaluation. The study conducted figure diagnostic evaluation and interview with youths aged 17 to 20 who are participating in program at out-of-school youth support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The researcher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at school and outside the school of out-of-school youth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analyze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youth’s life experience in three areas through figure diagnostic evaluation: self-awareness, other-awareness and family rel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out-of-school youths recognized school as a place to enter university and experience the society, and had difficulties in friendship and repetitive school life. When they leave school, they felt freedom and sense of release, but over time felt anxiety about the future as well as satisfaction. Moreover, out-of-school youths felt that they are growing up through various experiences, and also wish to have a college entrance exam and healthy peer relationship. Second, the self-awareness symbol system of out-of-school youth shown in figure diagnostic evaluation appeared to be four areas: survival and defence, dependence, independence and strongness. All participants in common represent a symbol of survival and defense, which suggests that they use a lot of energy to protect themselves to live outside the school, and that survival and defense,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lf-awareness have been formed. In addition, opposite symbolic system was mainly demonstrated in the self-awareness of out-of-school youths, which means that they are in a state of unstable psychological state without self-integration, and that they are experiencing internal conflicts. Third, the other-awareness of out-of-school youth shown in figure diagnostic evaluation appeared to be symbol system of number 1 and 2. It means that out-of-school youths are experiencing experiences with others through rigid hierarchy, competition and separation, and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hoped for a comfortable and safe world away from these experiences of anxiety and frustration. Fourth, Looking at the family relationships of out-of-school youths through figure diagnosis evaluation, only one participant had a balanced functional family relationship, while the other 8 participants in the study showed a dysfunctional family relationship including father isolated type, adherence type and goal-oriented type. This means that out-of-school youth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lack interaction between families, and the lack of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experienced in the family led to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and forming relationships with their peers at school. This study found that out-of-school youths could not experience positive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in peer relationships, so they could not build a positive self-image to solve various difficulties in school life. Nevertheless, out-of-school youths still had motivation to go to college and desire to have a positive peer relationship.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fficulties experienced by out-of-school youths through interviews with them and analysis of animal symbol systems at the level of awareness and relationship shown through figure diagnosis evaluation.

      • 현대인의 감성을 투사한 인형을 통한 작품연구

        민들레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논 문 개 요 본 논문은 현대를 살아가고 있는 인간의 잃어가는 감성에 대해 ‘인형’의 조형적 이미지와 감정이 투영된 사물이라는 상상을 기초로 시작하였다. 작품 소재인 인형은 인류의 역사 속 문화와 사회적 통념들을 만들어내며 오늘날 까지 인간과 함께 해왔다. 인형이 인류사회 속에서 살아남아 우리 곁에 있는 이유를 규명하고, 본인의 작품 속의 예술적 소재임을 연구를 통해 증명하고자 하였다. 인형은 본인이 살아오며 처음으로 만나게 된 소통의 대상이자 본인 뿐 아니라 현대인들 모두가 공유하게 되는 대중적 소재라는 점에서 본인의 작품적 소재로 탁월하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앞서 언급했듯이, 인형은 오랜 역사 속에서 수많은 이미지와 상징을 만들어 냈으며, 그로 인해 본인이 말하고자 하는 것과 달리 비주얼 쇼크로 다가오는 이미지들을 어떻게 배제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항상 고민했다. 인형을 매개로 느끼게 되는 어린 날의 즐거운 추억, 어둡고 우울했던 상처와 아픔, 행복, 슬픔 등의 감정을 느끼기도 전에 인간의 형상으로 대입되는 이미지의 범람이 본인 작품의 진정성을 잃어버리게 한다고 생각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표현기법에 대한 연구와 다른 작품들과 본인의 작업을 비교하고 검증하는 기회로 본 연구에 임했다. 본 작품 속 인형은 미적 대상으로서 사람과 닮은 모습의 놀이도구가 아닌 감정을 가진 존재라는 상상으로 본인의 일상과 과거의 다양한 감정과 감성들을 나누는 분신의 역할을 하였다. 이를 통해 관람자 또한 자신의 감성을 투영하여 관람자의 심리 상태에 따라 이미지로 투영된 사물의 모습만이 아니라 관람자 본인의 과거를 회상하거나 아픔을 치유하고, 감성이 메말라버린 모습을 찾아볼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작품을 제작하였다. 생명이 없는 인형의 외형적인 특징을 사실적으로 재현하나 그 안에 본인이 일상 속에서 감성을 찾을 수 있는 소재들을 본인이 느끼는 감성적 색채들을 사용해 표현한다. 또는 명암법을 무시하고 색면과 여백을 이용하여 연구자에게 필요한 이미지를 재생산한 후 캔버스에 유화물감을 이용하여 표현하였다. 본 논문을 통하여 인형이 가지는 상징과 더불어 본인이 소재를 선택한 이유에 대하여 확고히 하며, 앞으로의 작업에 있어서도 지속적인 방향 설정과 함께 지난 작품 활동에 투영된 자아를 찾아보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나아가 본 연구를 통해 성숙된 작품 활동으로써 관람자와 공감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 구체관절인형에 대한 청소년의 취향과 의상 선호도 분석

        황선미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랜 역사를 가진 인형놀이가 21세기에는 엔터테인먼트 산업과 개인 중시의 사회 현상, 미의 다감각주의 추구 경향, 대량맞춤화의 확산으로써 주목을 받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수집 및 패션인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패션인형으로써 새롭게 인식되고 있는 구체관절인형에 대해서 알아보고 의상을 교체하여 즐거움과 만족을 추구하는 구체관절인형을 소유하고 즐기는 젊은이들의 패션취향과 구체관절인형의상의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인형은 주로 성인을 묘사하며 8등신의 이상적인 비율을 보였고, 의상의 교체를 목적으로 하며, 패션인형의상의 아이템은 드레스의 비율이 높지만 셔츠, 블라우스와 팬츠, 스커트와 재킷, 등으로 분산적인 분포를 보였다. 대표적인 패션인형인 바비 인형과는 다른 형태인 구체관절인형은 관절이 ‘공’형태로 되어 있고, 관절 연결은 아주 튼튼한 고무줄을 이용하여 사람과 비슷한 관절 운동을 할 수 있는 인형을 지칭한다. 내부는 비어 있으며, 스킨의 색을 보다 자연스럽게, 헤어와 안구와 메이컵을 소유자의 개성에 따라 마음껏 성형 할 수 있으며 상황과 분위기에 따라 의상과 소품 등도 변화를 주어 소유자의 마음대로 새로운 가상의 인물로 만들어 낼 수 있다.취향이라는 개념은 최근에 와서 사회문화의 모든 영역에서 나타나고 있다. 취향은 취미, 경향과 유사하며 인간의 심리적 작용을 일컫는 감성과 일맥상통하나 감성에 비해 보다 구체적인 구매욕구과 적극적인 구매의도로 전환될 수 있는 성향을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취향은 개인적인 성향이기 때문에 인간의 내적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지만, 한편으로는 외적 요인에 의한 영향도 받는다. 패션은 디자인 요소의 변화가 매우 다양하며 외부로의 이미지의 전달효과가 매우 커서 개인의 취향을 가장 잘 표출할 수 있으며 특히 패션취향은 패션스타일과 매우 직접적인 관계를 갖는데, 이는 패션스타일이 패션의 시각적인 언어의 구체적인 표현이며 소비자들의 취향을 전달하는 중요한 매체이기 때문이다.둘째, 구체관절인형소유자는 주로 중․고등대학생이 68%, 대학생27%, 초등학생18%, 일반인13%로 청소년이 대부분이며 관심분야로는 만화와 애니메이션, 좋아하는 영화장르와 음악은 애니메이션과 J-POP이 가장 많았으며 개인성향도 개방적이며 활동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의 개인적인 인형놀이와는 달리 개성적으로 꾸민 구체관절인형의 사진을 개인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고 오프라인 매장이나 카페에서 직접 만나 정보도 교환하며 인터넷 동호회 활동이 활발하다. 그러므로 구체관절인형에 대해 알게 된 경로와 소유방법도 인터넷과 친구를 통해서가 가장 높다. 구체관절인형소유자의 패션성향은 패션경향을 인식하는 능력의 자신감은 낮고 실제로 자신의 패션에 대한 패션성도 높지 않게 나타났으며 선호하는 패션스타일로는 사랑스럽고 귀여운 로맨틱한 스타일이 가장 높게 36%로 나타났다.셋째, 패션스타일을 우아하고 고급스러운 정장 스타일, 밝고 활동적인 캐주얼한 T-셔츠, 청바지 스타일, 과감하고 혁신적인 펑키, 힙합의 모던 스타일, 로맨틱한 블라우스나 드레스 스타일, 내추럴 패션스타일, 일본풍등 이국적인 느낌의 에스닉 패션스타일, 심플하고 세련된 커리어 우먼의 패션스타일, 남성적인 매니쉬 패션스타일로 나누어 선호도를 연구한 결과 구체관절인형의상의 선호스타일로는 여아인 경우 사랑스럽고 로맨틱한 고딕풍의 블라우스나 드레스가 74.6%로, 남아인 경우 우아하고 고급스러운 정장패션이 36.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의상아이템에 따른 소유벌수와 코디품목도 고른 분포를 볼 수 있다. 의상의 색은 검은색과 흰색이 각각 23.8%, 20.7%로 가장 많았으며 의상의 가격으로는 5만원 미만이 43%로 가장 많으며 20만원 이상의 고가의 의상도 18%로 나타났다. 의상 구매 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는 스타일로 85%로 단연 높게 나타났으며 구매정보와 구매 장소는 인터넷이 가장 높았다. 넷째, 구체관절인형소유자가 선호하는 패션스타일과 구체관절인형의상으로 선호하는 패션스타일의 여자인형의상으로는 소유자의 선호도와 같이 로맨틱스타일을 선호했으며 남자인형의상은 정장스타일을 가장 많이 선호했으며 캐주얼, 모던, 에스닉 순으로 나타났다.결론으로 구체관절인형을 소유하고 즐기는 청소년들은 일본문화의 영향을 받았지만 자신만의 취향으로 로맨틱스타일의 패션을 선호하고 만화와 애니메이션을 좋아하며 음악으로는 J-POP을 좋아한다. 그러므로 구체관절인형 소유자들의 취향을 고려한 구체관절인형을 매개로 로맨틱한 꿈을 실현할 수 있고 새로운 문화를 추구하여 삶의 영역을 넓히고 구체관절인형의 성형과 꾸밈을 통하여 직접 자신의 미적 감성을 표현할 수 있고 자신의 취향과 맞는 사람과 교류를 통하여 정서적 안정과 인간관계의 확대를 꾀할 수 있으므로 패션인형 중 구체관절인형 제작과 인형의상, 부수적인 액세서리를 적극적으로 상품을 개발하면 단지 인형과 관련된 산업뿐만 아니라, 영화 및 에니매이션 기타 엔터테인먼트 산업과 연계하여 다양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무한한 유통 능력을 지닌 인터넷을 활용하여 기존 시장에서도 취향에 따라 시장의 세분화를 이루어서 새로운 캐릭터 및 모델의 개발을 통하여 시장의 확대를 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춘천인형극제 현황 분석 : 아트마켓 기능을 중심으로

        채정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한 분야의 예술 장르가 정착·변화·발전하는 데에는 여러 사회·문화적 요인들이 작용하게 되는데, 극 장르에서 예술 축제가 끼치는 영향도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국내의 예술 축제 가운데 해당 장르 예술인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독자적인 프로그램 개발로 장르의 전문성과 예술성을 향상시킨 사례로 춘천 인형극제를 들 수 있다. ‘재단법인 춘천인형극제’의 주최 하에 매년 강원도 춘천시에서 개최되는 ‘춘천인형극제’는 국내에서 활동하는 거의 모든 인형극단과 해당 분야의 모든 예술인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성공적인 문화 이벤트로 자리매김해왔다. 춘천인형극제는 1989년 춘천인형극제 조직위원회의 주최로 제1회 축제를 시작한 이래로 1995년에는 문광부로부터 성공적인 축제로 인정받았으며 지난 24년간 꾸준히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인형극의 전반적인 발전을 위하여 노력해왔다. 2001년 8월 재단법인 춘천인형극제가 출범한 이후로는 인형극 전용극장인 춘천인형극장이 건립되고 상설 사무국 운영을 통해 비교적 안정적인 조직 운영을 보여 왔으며 운영 주체들의 일관성 있는 비전과 방향성은 이 축제가 성장하는 데 중요한 동력이 되었다. “어린이 문화축제”와 “세계적인 인형극제” 라는 큰 지향점 아래 인형극을 통한 어린이공연예술 축제를 대표하는 행사로 입지를 확고히 다진 춘천인형극제는 어린이 관련 예술축제의 불모지나 다름없는 국내 예술계에 신선한 자극과 활로를 제공하며 비약적인 성장을 통하여 국내 예술축제의 모범 사례를 제시해 왔다. 그러나 춘천인형극제는 지난 몇 년간 축제의 규모와 관람객의 추이로 볼 때 더 이상 성장하지 못하고 정체되고 있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매년 꾸준히 증가 하다가 일정한 수준에서 멈춰선 관람객 현황에서도 볼 수 있듯이 새로운 발전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성장 정체의 이유로는 인형극제 프로그램의 답보 상태라는 내적 요인과 행정기관의 예산 삭감이라는 외적 요인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므로 춘천인형극제의 현황을 분석하고 축제와 연계된 아트마켓의 새로운 발전 방안을 도출해 내는 연구는 한국 인형극 예술 장르의 정착과 발전 및 국내외 공연시장 창출을 위해서 필수적인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춘천인형극제는 유수한 국내 예술축제들 가운데 인형극 관련 예술인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행정기관의 지원이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축제를 통한 예술 분야의 발전 가능성을 보여준 가장 적합한 사례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한국 인형극의 역사적 전개 과정과 춘천인형극제의 현황을 살펴보고 인형극제의 설립 배경 및 역사, 국내외 공연축제의 사례와 유형 등을 분석함으로써 공연예술 장르(인형극)과 공연예술축제(인형극제) 간의 상생 방안의 모색하고 인형극 장르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인형극과 인형극제 관련 자료들과 축제 관계자 및 참가자들의 심층 인터뷰를 활용하고 성공적인 공연 제작·운영과 공연 축제에 필요한 조건과 발전 방안을 분석했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본 논문이 주장하는 인형극 발전 방안의 핵심적인 요소는 ‘아트마켓’의 기능 강화와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의 활성화이다. 춘천인형극제의 아트마켓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제도적 장치의 보완이 필요하다. 그 발전 방안은 첫째로 기존 아트마켓 프로그램를 재정비하여 아트마켓을 통한 작품의 배급·마케팅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다. 둘째로는 아트마켓의 쇼케이스 역할을 하고 있는 공식초청작 제도를 활성화함으로써 인형극단들의 발전을 도모하면서 동시에 춘천인형극제의 지역문화축제로서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다. 셋째로는 아트마켓을 공연전문가들 뿐만 아니라 일반 관람객 및 참가자들도 함께 즐길 수 있는 ‘인형극 장터’로 활용하는 것이다. 넷째로는 창작 활성화를 위한 대본 공모 사업의 진행과 춘천인형극장을 활용한 인형극 교육 등의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을 확충하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춘천인형극제와 인형극 장르가 공연시장을 확대하고 공연예술문화에 기여할 수 있는 의미 있는 발전 방안이 모색될 것을 기대한다. ABSTRACT An Analysis of Current Status for Chuncheon Puppet Festival - Focused on a Function of Arts Market - Various social, cultural factors are required for settlement, change and development of art genre in one field and in drama genre, an influence of arts festival is also required to be considered importantly. As a case of having promoted professionalism and artistic value of a genre through positive participation of relevant artists and independent development of program, Chuncheon puppet festival could be cited among domestic arts festivals. ‘Chuncheon Puppet Festival’ being held at Cheuncheon City, Gangwon-do every year under the sponsorship of ‘Chuncheon Puppet Festival Foundation’ has been settled down as a successful cultural event where almost all of the puppet theaters and all the artists of the relevant field that are locally engaged in their activities were participated. Starting from 1st festival in 1989 under the sponsorship of Chuncheon puppet festival organizing committee, Chuncheon puppet festival was acknowledged as a successful festival b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n 1995 and it has exerted its effort for the general development of puppet play while having consistently developed various programs for the last 24 years. Since Chuncheon Puppet Festival Foundation was inaugurated on August, 2001, Chuncheon puppet theater was constructed as an exclusive puppet play theater and this foundation has been operated on a relatively stable basis through an operation of permanent secretariat and consistent vision, direction of main body of operation became a driving force for the growth of this festival. Chuncheon puppet festival that made its position solidified as a festival of representing performing art festival for the children through puppet play under the main goal of “Cultural Festival for the Children” and “Worldwide Puppet Festival” has presented an exemplary case of domestic arts festival through its rapid growth while providing the domestic arts circle that was no better than a barren of children-related arts festival with fresh stimulation and breakthrough. However, Chuncheon puppet festival is showing a stagnating image with limited growth in view of festival scale for the last few years and declining audience trend. As could be seen from audience status that was stopped while showing consistent growth every year, it is considered that now is the time requiring a new development plan. Internal factor of standstill state of puppet festival program and external factor of budget cut of authorities concerned could be cited as a reason of its stagnated growth.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a study of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Chuncheon puppet festival and deducing a new development plan of arts market linked with festival would be an essential work for ensuring settlement and development of Korean puppet play arts genre and creating performance market at home and abroad. Because Chuncheon puppet festival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case, among the domestic arts festival, that showed a development potential in arts field through a festival under the organic combination of positive participation of puppet play-related artists with a support of the authorities concerned. Under this background, this study intended to explore a coexistence method between performing arts genre (puppet play) and performing arts festival (puppet play festival) by analyzing establishment background, history, cases and types of performance festival at home and abroad of puppet play festival after observ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puppet play and the current status of Chuncheon puppet festival and to present a new possibility of puppet play genre. For this objective, data relevant to diversified puppet plays, puppet theater and in-depth interview with relevant personnel and participants in the festival were utilized and a condition and development plan required for successful performance production, operation and performance festival were analyzed. In conclusion, as was asserted in this study, a key element of development plan for puppet play is to strengthen a function of ‘Art Market’ and to activate ‘Incubating Program’. In order to utilize art market of Chuncheon puppet festival efficiently, diversified systematic supplement is required. Its development plan is first to strengthen distribution, marketing function of the artworks through art market by rearranging existing art market program. Second plan is to strengthen a function of Chuncheon puppet festival as a local cultural festival at the same time while pursuing a development of puppet theater by activating a system of official artwork contest that plays a role of a showcase of art market. Third one is to utilize Chuncheon puppet festival as ‘Puppet play market’ where art market could be enjoyed not only by performance experts but also by general audiences and participants. Fourth plan is to expand incubating program including a progress of public script contest for activating creativity and education of puppet play utilizing Chuncheon puppet theater. Through this discussion, it is expected that a significant development plan would be explored so that Chuncheon puppet festival and puppet play genre would expand performance market and contribute to performing arts culture.

      • 한국 전통 인형극의 공연학적 연구

        최낙용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orean traditional puppetry on the viewpoint of Performance Studies. Korean traditional puppetry is three kinds―①Kokdugaksinorum ②Baltal ③Masokjungnori.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actual performance materials has been handed down to the present and the documents which have been examined and reported, should be synthesized and analyzed. So I collected actual performance materials which was published and recorded by video tapes, and ethnography on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 Through these analyses, ‘sanbazi’ and ‘Oritgwangdae’ play various roles in performance of kokdugaksinorum and Baltal as an (invisible or verbal) actor, a (partial) director, a narrator, an (critical) audience, and an orchestra. Thus, I attempt to make a comparison between similar technicians of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Mudanggut(shaman exorcism)’s ‘Aksa’, Talnori(Korean mask drama)’s ‘Aksa’, Pansori(Korean opera)’s ‘Gosu’―and especially to do an ancient Greek theatre’s ‘Coros’. In the process of research, the interdisciplinary method is applied. In the method of this study, I used the methods of ‘inquiry’ and ‘presentaion’ which is Marxian political economic theory. And I used general categories of dialectical materialism that is called ‘the universal’, ‘the particular’ and ‘the individual’. As a result of research into method, I quite understood that ethno-dramatics was very useful to analyze ‘the individual’. I find out that we had to interdigitate interdisciplinarily between ethno-dramatics and Marxian political economic theory and dialectical materialism. That is to say that the theories of Victor Turner and Richard Schechner, Karl Marx and Friedrich Engels are applied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has meanings with the internalization of social conflicts, the reproduction of the order of ranks and power structure, the potential recovery and resistance of injustice, and ecological point as revival and harmony. It is Sanbazi, Aksa, Gosu, Coros who act as an intermediary not only between an actor and an audience but also social conflict, revival and harmony. And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Baltal’―the traditional puppet theatre in Korea―and to explain that ‘Baltalkun(Batal’s puppeteer)’ and ‘Oritgwangdae(Baltal’s clown)’ play various roles in performance. The former’s characteristics is in action of performance, but the latter's is in interaction and relationship of the puppeteer and audience. That is to say, ‘Oritgwangdae’ mediates between two groups of people, puppeteer and audience. And he plays various roles in performance of ‘Baltal’ as an actor, a (partial) director, a narrator, and an (critical) audience. Richard Schechner suggests that “to treat any object, work, or product “as” performance―a painting, a novel, a shoe, or anything at all―means to investigate what object does, how it interacts with other objects or beings, and how it relates to other objects or beings. Performances exist only as actions,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 And he finds seven functions of performance: “①To entertain ②To make something that is beautiful ③To mark or change identity ④To make or foster community ⑤To heal ⑥To teach, persuade, or convince ⑦To deal with the sacred and /or the demonic.” Accordingly, ‘Baltal’ interacts with audience very closely, and relates with a cultural context of history. And ‘Baltal’ is not only open to audience, but also may foster community. So that audience immediately and constantly participate in performance through the opened communication system. Because of ‘Baltal’ is handed down orally, it is total theatre harmonize with songs, dances, and puns of the people. A puppet theatre was animated by puppeteers, puppets are nothing but a material objects. Because of this work is symbolic and significative of an action, a puppet becomes an avatar of puppeteer. In other word, at the same time puppets become between a human being’s body and an image of god. And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e of ‘Mansokjungnori’―one and only the traditional shadow puppet theatre in Korea―and to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unique of it. ‘Mansokjungnori’ had been handed down to the present from the early years of the Koryo dynasty's ‘YounDungHoe’―a large Buddhist ceremony(service) that peoples had glorified and offered a lamplight to Buddha. From in those days to this day, it has varied with peoples every moment. But it haven't changed at all that main figures appeared on the scene of the shadow puppet theatre. Those main figures are a puppet Mansokjung(a Buddhist priest), a dragon, lamplights, a carp, a deer, a roe and so on. They are about fifteen shadow puppets and very colorful. The structure of ‘Mansokjungnori’ in performance is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that shadow puppets are performed behind the screen by puppeteers. The other is that a Buddhist priest begin to dance ‘Wunsimgejakbop’(a kind of Buddhist dance) to the tune of ‘Hwachong’(a kind of Buddhist song) wearing the robe of Buddhist. The structure of ‘Mansokjungnori’ in performance is as follows. Firstly, The opening; A solemn sound of the bell of a Buddhist temple is heard, Various lamplights slowly go around the surrounding center of lamplight. Secondly, ‘Sipjangsaeng’(regards ten things as longevity in East Asia); When a solemn sound of the ‘Hwachong’ is heard, the sun, the moon, the water, the cloud, and so on that kinds of ‘Sipjangsaeng’ is appeared and disappeared in the screen by turns. Thirdly, the Dragon and Carp; a Dragon and a Carp is appeared in the screen, and they scramble for Youiju(a mysterious bead of the dragon) each other. Fourthly, ‘Wunsimgejakbop’; In a quarrel between the Dragon and the Carp, a Buddhist priest show up in front of the screen, and he dance to grace ‘Nabichum’ and ‘Barachum’(kinds of Buddhist dance). Lastly, An end; it is the same the opening. The unique of ‘Mansokjungnori’ in performance is in shadow puppet's aura. Aura is a field of luminous multicolored radiation around a person or object. However, I wish to make point that puppet's shadow has an aura. Because human being have been believed to present that puppet's shadow was an ancestor's spirit and holy god. So they have been worshiped and afraid of it. Then, I want to emphasiz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ansokjungnori’ in performance has a conversation with audience. But that is a non-verbal conversation. ‘Mansokjungnori’ is a sort of pantomime. Therefore, Audience make conversation with performing shadow puppets by tacit understand. It is called the communion to heart with heart in Buddhism. ‘Mansokjungnori’ in performance exist only as actions,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 Accordingly, It is not only open to audience, but also may foster community to peoples. So that audience immediately and constantly participate in the performing of ‘Mansokjungnori’ through the opened communication system. 꼭두각시놀음은 각 장 별로 내용이 독립적인 ‘삽화(episode)’식 혹은 ‘옴니버스(omnibus)’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연 상황에 따라서 몇 개의 장을 첨가하거나 생략한 채로 공연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렇지만 박첨지가 계속 등장하고, 산받이와 더불어 극의 해설자 역할을 함으로써, 각 거리를 연결한다는 점에서 비슷한 구성의 공연 양식인 ‘탈놀이’에 비해 전체적인 논리적 연결이나 통일성은 비교적 뚜렷한 편이다. 박첨지는 꼭두각시놀음에서 매 장면마다 거의 빠짐없이 등장해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등장인물이자 객관적인 해설자의 입장을 취한다. 그는 기나긴 시련을 겪은 끝에 박첨지는 자신의 신분이 양반으로부터 민중으로 변모되어 가고 있음을 스스로 인식하게 된다. 즉, 민중적 정체성을 새롭게 확인한 것이다. 즉, 꼭두각시놀음은 양반인 박첨지의 자기 정체성 혼란과 붕괴, 그리고 정체성의 새로운 재정립 과정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홍동지는 극중에서 힘이 센 장사, 남을 돕거나 생명을 구해주고, 권위와 부당한 억압을 비판하고 저항하는 젊음을 상징한다. 그는 충동적이고, 폭력적이다. 극중에서 등장하는 장면 많지 않지만, 극 전개상 상황이 위태롭고 강력한 대응력이 필요한 장면에 등장해서 사태를 해결한다. 그는 기층 민중의 건강성을 상징하고 있으며, 온갖 부패와 일탈로 일그러진 지배 세력에 대한 적극적인 저항의 모습을 보여준다. 홍동지의 폭력적인 행동이나 성기를 드러낸 벌거벗은 붉은 몸 등등을 유추해 생각해볼 때 이 모습은 생산력과 풍요로움을 기원하는 성기숭배신앙 혹은 다산신의 모습과도 관련이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다산신의 모습은 홍동지에게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꼭두각시에게도 엿보이지만, 그녀는 자식을 두지 못한 듯싶다. 그러나 그녀는 늙어서도 강한 성적 욕망을 드러낸다. 꼭두각시놀음이라는 명칭에도 불구하고, 등장인물의 하나인 꼭두각시는 그 역할의 비중이 크지 않다. 그녀는 박첨지의 본처이며, 첩인 덜머리집과 갈등을 겪는다. 꼭두각시는 유교 봉건 사회의 가부장제적인 질서 속에 천대받는 여성의 존재를 절실하게 보여준다. 꼭두각시놀음의 재담은 대중성과 흥행성을 갖추기 위해 욕설ㆍ야유ㆍ직설적인 표현이 많다. 특히 말 뒤집기는 매우 큰 기능을 지니는데, 한 대사 자체가 뒤집어지기도 하고, 주고받는 대사가 서로 뒤집힌다. 꼭두각시놀음의 재담은 전반적으로 현실에 대한 야유, 부당한 대상에 대한 공격과 파괴적 행동이 두드러지는 한편 이상세계에 대한 동경과 꿈이 담겨 있기도 하다. 그러나 재담도 공연 상황과 조건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기도 한다. 공연 내용에 각 지역에 따른 사투리를 몇 가지씩 첨가한다거나, 어리거나 젊은 청관중을 위해 유행어나 은어 따위를 몇 개 집어넣어 청관중의 호응을 이끌기도 한다. 물론 공연 전체의 줄거리에는 지장이 전혀 없는 대목에서 말이다. 허술은 꼭두각시놀음의 무대가 지니는 특수성에 대해서 2차원적인 평면 무대가 홍동지를 제외한 모든 인형들이 상반신만을 드러낸다거나 중요하지 않은 부분은 은닉되고 중요한 부분만을 드러내 강조한다는 점은 인형무대 고유의 선택에 의한 결과라고 말한다. 평면성을 극복한 3차원적 입체 무대의 가능성으로 산받이의 역할을 강조한다. 즉 인형극 속에 인간이 등장해서 ㉠극중 인물임과 동시에 청관중 ㉡해설자 ㉢극에 대한 비판자 ㉣연출자 등의 복합적인 역할을 함으로써 극이 2중으로 소격화된다고 강조한다. 아울러 꼭두각시놀음의 포장막이 서구적인 의미의 고정된 공연 장소 아닌, 편의에 따라 점령된 공간일 따름이라는 임의성을 갖는다고 말한다. 과거의 꼭두각시놀음의 흥행은 주로 야간에 이루어졌으므로, 큰 나무 막대기 끝에다 솜뭉치를 칭칭 감아 붙이고, 석유를 묻혀 불을 켜서 두 사람이 양쪽 귀퉁이에 서서 들고 무대면에 출연하는 인형을 훤하게 비추어 청관중에게 선보이게 했는데, 석유가 거의 다 타졌을 때가 되면 교대로 앞에 준비해놓은 석유병을 기울여 기름을 묻혀 다시 불을 켜들고는 했다. 꼭두각시놀음은 제의적인 기원에서 비롯되어 나중에 놀이로 변천하면서 당대의 현실을 반영하는 연극 혹은 공연 예술로 발전했다고 봐야할 것이다. 동ㆍ서양을 막론하고 인형극은 항상 민중극이었듯, 한국의 꼭두각시놀음도 공연자와 청관중이 모두 민중이었다. 당대의 신분질서 아래에서 신음하며, 인생의 질곡을 벗어날 수 없었던 그들의 생활과 사상과 감정 등 모든 것이 솔직하게 담겨있는 예술 형식으로 자리를 잡게 된 것이다. 꼭두각시놀음은 대개 마을굿이나 행사에서 공연되곤 했는데, 이런 축제 속에서 공연되는 내용은 당연히 지배계급에 대한 저항과 모욕이었으니, 그것은 바로 흥분을 일으키는 전복(顚覆)에 상응하는 것이었다. 축제라는 공간 속에서 음악이나 리듬에 따른 몸짓, 술과 음식, 환상의 교환을 통해 서로가 들떠서 흥분되어 함께 슬픔과 기쁨을 나누고, 혹은 현실에 대한 공포를 느끼기도 하지만, 결국은 평안을 기원하며 인간과 세계 사이의 새로운 관계를 구성하고자 하는 기층 민중의 낙천적인 세계관을 보여주는 것이다. 축제의 '혼란' 과 '위반' 은 탈선이 아니라 파괴이며, 집단적인 존재의 운명에 혁신이 일어나 공동체나 문명을 이루는 구성원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구체화되고 새로운 형태들이 생겨나 공동체나 문명을 변형시키고 전복시키는 때, 바로 꼭두각시놀음이 현재와 비슷한 형태로 공연되던 때였던 조선 말에는 꼭두각시놀음은 전국적으로 공연되었으며, 1940년대 초반까지도 40여개 지역에서 기층 민중에 의해 올려졌다. 하체도 없이 상체만 있는 인형인 '발탈' 이 떠돌이고, 사지육신이 멀쩡한 사람인 어릿광대가 정착해 사는 인물로 그려진 것이 발탈 인형극의 역설적인 모습이다. 꼭두각시놀음의 박첨지와 마찬가지로 '발탈' 은 유랑하는 인생인데, 당대의 사회상을 반영한 것이다. 발탈의 재담은 떠돌이 ‘발탈’이 조기 장수 어릿광대와 주고받는 대화 속에 ㉠‘재담 끊어먹기’, ㉡‘말꼬리 잡기’, ㉢‘말 따라하기’ 등에서 특징이 드러난다. 또한 길게 나열하며 반복되는 사설조의 재담도 많은데, 이러한 특징은 무당굿과 탈놀이, 판소리 등과 같은 한국 전통 공연 예술에서 뿐만 아니라 시조ㆍ가사ㆍ한시ㆍ한문단편소설 등과 같은 문학에도 고루 나타나는 것으로서 한국의 문학ㆍ예술상의 공통된 특성이라고 하겠다. 발탈에 나오는 것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 ㉠잡아먹는 이야기 ㉡조기 헤아리기 ㉢약 먹는 이야기 등인데 다음과 같다. 발탈의 재담 또한 생활상과 밀접한 관련을 맺거나 반영된 해학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아울러 인형조종자 ‘발탈꾼’의 화신인 ‘발탈’이 주로 공연적인 행동의 반복성에 그 공연 예술적 특성이 있다. 공연 속의 반복된 행동은 일상생활―(인사와 같이 짧은 시간 동안에만 지속되다 사라지는 제스처나, 제의와 같이 오랜 시간동안 지속되는) 거듭 행위된 행위들―에서 분리(구별)되지 않는 특징을 이루고, 틀을 형성하며, 강조된 것이다. 따라서 반복된 행위는 상징적이며 사회 반영적이라 할 수 있다. 발탈에 나오는 노래는 공연 과정에서 노래를 얼마든지 보태거나 뺄 수 있으며, 노래의 종류도 유행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 노래들은 민요ㆍ단가ㆍ잡가ㆍ고사소리 등 기교를 부리지 않아도 되는, 일을 할 때나 놀이를 하면서 흥이 나면 절로 나오는 것들로서 하층 민중에게 친숙한 가락이 주를 이루고 있다. ‘발탈’의 춤사위는 양팔을 위아래 혹은 좌우로 휘젓는다거나, 목을 상하좌우로 틀어 움직이는 고갯짓과 순간적으로 제자리에서 떠는 정도이다. 꼭두각시놀음의 박첨지나 꼭두각시 등의 막대 인형보다는 몸놀림이 한층 자유롭긴 하지만, 상좌인형 등에 사용된 섬세한 손 인형보다는 부자연스럽다. 발탈의 놀이판은 포장막 안에 누운 인형조종자인 ‘발탈꾼’이 탈을 씌운 발만 앞쪽 포장 구멍 밖으로 내밀어 누운 채로 ‘발탈꾼’은 발을 놀려 ‘발탈’의 머리 부분을 움직이고, 손으로 양팔과 연결된 대나무를 조종해서 창과 재담, 춤 등을 연기하는 인형극이다. 손 대신에 발을 넣어 인형극을 놀린다는 점에서 ‘발탈’은 청관중에게는 낯설음으로 다가온다. 왜냐하면 기존의 인형극과는 전혀 다른 조종방식으로 공연이 올려지기 때문이다. 인간을 닮은 익숙한 인형의 모습을 통해 ‘자동화(automatized)’된 청관중이 발로 조종되는 인형을 통해 부자연스러운 낯설음(defamiliarization)을 느끼게 된다. 청관중에게 발을 내밀어 들이대는 이러한 낯설음은 강력한 인상을 창조하게 되는데, 바로 ‘발칙함’이다. 이럴 경우 ‘발탈’의 ‘발칙함’은 풍자와 해학을 담기에 더없이 유용한 도구가 된다. ‘발칙함’은 청관중을 향해 있는 것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청관중이 현실을 향해 취하는 자세를 의미한다. 만석중놀이는 담 구석에 붕(棚)을 설치하고 연출하는 것이지만, 어떤 때에는 시장 한복판에서 꼭두각시놀음과 함께 공연할 때도 있으며, 음력 4월8일 석가탄신일에 연출하는 것으로 반주하는 음악과 조화되어 인형이 움직이면 관중이 저절로 이해하게 되는 무언인형극(無言人形劇)이다. 만석중놀이를 연출할 때의 인형 배열은 용ㆍ등ㆍ잉어ㆍ만석중ㆍ사슴ㆍ노루 순인데. 만석중은 중앙에서 쉴 새 없이 뚝딱거리며, 그 오른쪽에는 용과 잉어가 등을 가지고 희롱을 하고, 왼쪽에는 노루와 사슴이 서로 싸움을 한다. 거대하고 장엄한 의식 속에서 치러지는 만석중놀이의 인형들은 흔히 그림자를 통해 인생의 덧없음을 말하고 있다고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 인형들은 특정한 시간과 색다른 공간(장소) 속에서 낯설고 성스러운 조상의 혼령(타자)과 무언의 대화를 나누며, 자신의 현재를 깨닫고, 미래를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매개체(mediator)인 것이다. 왜냐하면 조상의 과거는 자신이 내포하고 있는 미래의 내적 본질이며, 이러한 과거의 현존은 의식 자체의 자기 현존이기 때문이다. 엄숙한 의식 속에서 올려지는 만석중놀이의 인형 그림자는 제의적, 종교적인 아우라를 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예술 작품으로서의 아우라를 내뿜고 있다. 따라서 그림자 인형극 형식의 무언극 혹은 묵극 형태로 공연되는 만석중놀이는 제의적인 면에서는 죽은 조상신(타자)과의 대화이며, 종교적인 면에서는 외래 종교(타자)와의 의사소통 행위로서의 대화이다. 그러한 대화는 ‘인생의 덧없음’(제행무상)을 말한다고 하기 보다는 선불교를 잘 나타내주는 말인 ‘진리는 경전의 문자보다는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해진다는 교외별전(敎外別傳), 심심상인(心心相印), 이심전심(以心傳心)’이나 ‘마음에 갑자기 와 닿는 체험을 통해 자기 마음의 본성을 깨달음으로써 성불한다는 뜻인 직지인심(直指人心), 견성성불(見性成佛)’의 의미가 강하다고 봐야할 것이다. 이 말은 곧 불보살의 가피력(加被力) 아래 죽을 때까지 정진하며, 내세의 행복을 기원하는 게 아니라, 지금 이 순간 목숨이 살아있는 한 행복하게, 걸림 없이 살기를 서원(誓願)하는 선불교의 교리를 뜻한다. 본고는 한국 전통 인형극 전반을 고찰하고, 나아가 공연학적인 특성을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한국에는 아직까지 한국 전통 인형극 전반에 대한 통시적ㆍ공시적으로 고찰 시도가 아직까지는 없었다. 3가지 인형극 가운데 1~2가지의 연구에 전념하거나, 인형극의 정의조차 아예 편협하게 설정, 그 안에 안주해온 감도 없지 않다. 우리의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인 전통 인형극이 21세기 현재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활발하게 전수되고 있는 것에 반해, 학계는 단편적이고 산발적인 연구에만 국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 인형극 3가지를 학계 최초로 함께 다루어 고찰하고, 비교함과 동시에 연극학적으로 또는 공연학적으로 연구를 시도했다는 데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 황해도 장연 꼭두각시극의 복원 연구 : 인형 제작과 움직임 복원을 중심으로

        음대진 한국예술종합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인형을 가리키는 말로 꼭두 혹은 꼭두각시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인형극으로는 남사당 꼭두각시놀음과 서산 박첨지놀이가 있다. 남사당패의 꼭두각시놀음은 ‘덜미’라고도 하며, 전문예인집단으로 불리던 전업 예능인들이 전국을 떠돌면서 볼거리로 선보이던 인형극이다. 서산 박첨지놀이는 남사당패 꼭두각시놀음의 영향을 받아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에서 1920년대부터 전승이 이루어졌다. 그런데 현재 그 전승이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지만, 꼭두각시놀음이나 서산 박첨지놀이와 유사한 전통 인형극이 있다. 더구나 그 채록본이 전해지고 있어 주목할 만하다. 황해도 장연 꼭두각시극이라 불리는 인형극이 그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바로 이 황해도 장연 꼭두각시극을 대상으로 삼아 그 복원을 시도해 보았다. 특히 황해도 장연 꼭두각시극의 복원을 시도하는 본 연구에서 주력한 것은 인형 제작법과 인형 조종술이다. 인형극은 조종자(대잡이)가 인형을 조종해 생명을 불어넣어 인형을 배우로 만드는 작업이다. 인형이 배우가 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움직임을 보여야 하는데, 인형의 움직임은 인형을 어떻게 만드는가에 달려 있다. 이는 인형극을 복원할 때, 인형을 복원하는 일이 핵심이라는 것을 말한다. 인형 움직임에 대한 구조적 메커니즘에 따라 인형을 복원하는 일이 인형극 복원에서 그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다. 본 연구자가 장연 꼭두각시극 복원 연구에서 인형 제작법과 인형 조종술에 주목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황해도 장연 지역의 꼭두각시극은 "조선의 민간오락"에 그 채록본이 실려있다. 장연 꼭두각시극은 총 10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장의 제목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채록본이 실린 "조선의 민간오락"에서는 서울의 꼭두각시놀음과 황해도 장연 꼭두각시극을 비교하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장연 꼭두각시극에 등장하는 인형의 크기, 구동부위, 6개의 등장인물의 사진, 전체 인형의 개수 등이 간단하게 조사되어 있다. 이를 토대로 캐릭터별 생김새와 크기, 구동부위를 가늠할 수 있었다. "조선의 민간오락"에는 총 29개의 인형 중 박첨지, 장안활자, 현묵대사, 평안감사, 박첨지 딸, 상전 중 6개 인형의 사진만 수록이 되어 있다. 나머지 인형의 형태를 추정하기 위해 필자는 채록본에 기술된 인형 구동 범위와 크기를 확인하였다. 채록본에서도 그 구동 범위와 크기가 기술되지 않은 인형들은 장면별로 나와 있는 캐릭터별 관계의 구조를 파악해 그 형태를 추정해 보았다. 그리고 채록본에 나오는 도라지 타령을 채보하였으며, 1장과 6장을 복원하여 공연하였다. 본 연구는 바로 이러한 장연 꼭두각시극의 복원 과정을 정리한 것이다. 본 연구자는 황해도 장연 꼭두각시극의 채록본을 재정리하고 인형의 제작 과정에 중점을 두고 그에 따라 복색과 대본에 나오는 움직임 분석을 통한 인형의 구동 부위를 구현했다. 이를 토대로 인형 움직임에 따라 본 연구자는 인형과 인형극을 제작한 경험을 토대로 실제 인형극 구현이 가능한 연희본을 작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본 연구자는 장연 꼭두각시극 인형의 유형과 연행술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장연 꼭두각시극에 등장하는 인형의 분류는 인형 내부 장치의 유무와 외양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는 복합 인형 유형이다. 이 유형에서는 인형을 움직일 수 있는 구동 장치가 있으며, 주된 조종은 줄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구동장치와 줄을 통한 조종이 함께 이루어지기에 복합 인형 유형이라 명명했다. 황해도 장연 꼭두각시극에서는 다소 소박한 형태의 장치들로 만들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는 포대 인형 유형이다. 손을 집어넣어서 손가락 또는 손으로 조종하는 인형으로 주머니 인형이라고도 한다. 셋째는 막대 인형 유형이다. 막대에서 지지가 이루어지고 섬세한 움직임 없이 인형 전체가 움직이는 인형들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세 유형의 인형들은 나무를 조각하여 약 80cm, 60cm, 20∼30cm의 인형으로 나누어 제작하였다. 복합 인형은 인형 내부에 눈, 팔, 입, 목이 움직일 수 있는 구동 장치를 만들었다. 용수철과 끈을 이용하여 팔을 올리고 입을 열며 눈을 뜨게 만든다. 또 목의 뒤쪽에 용수철을 연결하여 목이 ‘끄덕’ 거릴 수 있게 제작하였다. 캐릭터의 직위와 성격에 따라 복색 역시 함께 제작했다. 본 연구자는 이렇게 복원 제작된 인형들을 대잡이가 실제로 움직일 수 있게 조종법도 정리해 보았다. 한국의 전통 인형극의 조종법은 하반신을 움직이거나 조종하는 장면은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주된 움직임을 표현하는 구동 부위는 눈, 입, 목 등이 있는데, 주로 장대를 쥐고 흔드는 방법과 내부에서 팔을 움직이거나 입을 움직여서 표현한다. 하반신을 움직이는 기술은 막을 치거나 흔들거나 인형 조종자가 인형을 구성하고 있는 장대를 팔로 이동시키면서 인형의 상반신, 특히 어깨를 중심으로 들썩거리는 것을 주로 표현한다. 극적 전개를 위한 시선 처리는 몸을 움직여 방향을 지시하거나 양쪽 팔을 드는 방식으로 연행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자는 전통 인형극을 복원하는 데는 인형 연행에 대한 설명이 핵심적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인형극을 연희하는 조종자에게 인형의 크기와 인형의 무게도 큰 영향을 미치지만, 또한 인형의 움직임과 연행술이 포함된 연희본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인형극의 복원은 인형 조종술을 염두에 둔 인형 복원이 핵심이고, 연희본은 인형의 움직임과 연행술이 함께 기록되어야 의미가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한국 전통 인형극의 연구와 연행, 인형의 제작과 개발의 과정이 체계화되고 발전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는데, 장연 꼭두각시극의 복원에 관한 본 연구가 조금이라도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As a word that refers to a puppet, a term ‘Ggokdu’ or ‘Ggokdugaksi’ has been used from old times in Korea. As the traditional puppet plays that represent Korea, there are Namsadang Ggokdugaksi Noreum(Puppet Play)’ and Seosan Pak Cheomji Puppet Play. Namsadangpae’s Ggokdugaksi Noreum is also called ‘Deolmi’, which is a puppet play performed as an attraction by professional artists called a group of professional entertainers who wander about the whole country. Influenced by Namsadangpae’s Ggokdugaksi Noreum, Seosan Pak Cheomji Puppet Play started to be handed down from the 1920s in Eumam-myeon, Seosan-si, Chungcheongnam-do. However, there is a traditional puppet play similar to Ggokdugaksi Noreum or Seosan Pak Cheomji Puppet Play even though it has not been handed down so far. Moreover, its texts have been handed down, which is worthy of notice. This puppet play is called Hwanghae-do Jangyeon Ggokdugaksigeuk(Puppet Play). This study attempted to restore this Hwanghae-do Jangyeon Ggokdugaksigeuk. Especially, as an attempt to restore Hwanghae-do Jangyeon Ggokdugaksigeuk, this study focuses on the method to produce puppets and techniques to control puppets. In a puppet play, a puppet controller(wire-puller) infuses life into puppets to make them actors by controlling them. In order for the puppets to become actors, they should show a certain movement, and the puppets’ movement depends on how the puppets are made. This means the restoration of puppets is the core when restoring a puppet play. Restoring the puppets by following the structural mechanism of puppets’ movemen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restoration of puppet play. This is the reason why the researcher pays attention to the method to produce puppets and techniques to control puppets in the research on the restoration of Jangyeon Ggokdugaksigeuk. Regarding the Ggokdugaksigeuk of Jangyeon region in Hwanghae-do, its texts are included in the "Folk Entertainment of the Joseon Dynasty". Jangyeon Ggokdugaksigeuk is composed of total ten scenes, and there is no special title of each scene. The "Folk Entertainment of the Joseon Dynasty" including the texts records the contents of comparing the Ggokdugaksi Noreum of Seoul and Jangyeon Ggokdugaksigeuk. It also briefly shows the size of puppets, running parts, photos of six characters, and the number of total puppets shown in Jangyeon Ggokdugaksigeuk.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guess the look and size of each character, and running parts. The "Folk Entertainment of the Joseon Dynasty" includes the photos of only six puppets such as Pak Cheomji, Janganhwalja, Great Master Hyeonmuk, Pyeongan Governor, Pak Cheomji’s daughter, and master out of total 29 characters. In order to estimate the shapes of the rest puppets, the author verified the running range and size of the puppets described in the texts. In case of the puppets whose running range and size were not described in the texts, their shapes were estimated by understanding the relational structure of each character shown in each scene. After writing the Doraji Taryeong shown in the texts, the Scene 1 & 6 were restored and performed. This study has organized the process of restoring this Jangyeon Ggokdugaksigeuk. The researcher reorganized the texts of Hwanghae-do Jangyeon Ggokdugaksigeuk, focused on the process of producing puppets, and then realized the running parts of puppets by analyzing the movements shown in the dress and script. Based on the actual experience of producing puppets and puppet plays, the researcher wrote a theatrical script that could realize an actual puppet play. In this process, the researcher was able to examine the type and performing techniques of Jangyeon Ggokdugaksigeuk. The conten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puppets appearing in Jangyeon Ggokdugaksigeuk could be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kinds according to the appearance and the matter of having the internal device. First, this is a complex puppet type. This type has the running device to move the puppet, and the puppet is mainly controlled by strings. The running device and string are used together for controlling the puppets, so it was named ‘complex puppet type’. The puppets used for Hwanghae-do Jangyeon Ggokdugaksigeuk were made of a bit simple devices. Second, this is a sack puppet type. As a puppet that is controlled by putting a hand or fingers in it, it is also called ‘pouch puppet’. Third, this is a stick puppet type. The stick supports the puppet, and the whole puppet is moving without delicate movements. Those three types of puppets were produced by carving wood in the size of around 80cm, 60cm, and 20∼30cm. The complex puppet included a running device for moving its eyes, arms, mouth, and neck inside. With the use of spring and string, the puppet raises its arms and opens its mouth and eyes. Also, a spring was connected to the back of puppet’s neck, so it could ‘nod’. The dress was also produced together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personality of characters. The researcher also organized the method to control it, so the wire-pullers could actually move the puppets restored like this. In the traditional puppet plays of Korea, there was no scene of moving or controlling the lower body. Most of the movements are shown in eyes, mouth, and neck, which is expressed by holding and shaking the stick, and moving an arm or mouth inside. The movement of lower body is mostly expressed by hitting the curtain or moving up and down the upper body, especially, the shoulders while moving the stick of the puppet. The eyeline for dramatic development was expressed by moving the body to indicate the direction or raising both arms. Through the research above, the researcher verified that the explanation of puppet performance would be the core to restore a traditional puppet play. To the controller who performs a puppet play, the size and weight of puppets have huge influences, and the theatrical script including the puppet movements and performing techniques is also very important. Eventually, the restoration of puppets focusing on the techniques to control puppets is the core in the restoration of puppet plays, and the theatrical script should record the puppet movements and performing techniques together. Hopefully, this study on the restoration of Jangyeon Ggokdugaksigeuk could be contributing to the systematized and developmental direction for researches and performance of Korean traditional puppet plays, and the production and development of puppets.

      • 중국 인형극의 역사와 연행양상

        多曉雪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인형극은 세계 각 지역에서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예술 양식이자 특수한 희극(戱劇) 형태이다. 인형극은 대체로 제사적인 의미를 낀 형식을 오락적인 의식을 위주로 한 형식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겪는다. 사람의 조종을 빌어 하는 공연형식은 최초로 우상(偶像)에 대한 숭배로 기원했고 나중에 점차 속세(俗世)의 인정(人情)을 부여해 사람에게 사랑을 받게 된 희극 형식이 되었다. 본고에서는 중국 인형극의 역사와 연행양상, 현대 대표적인 중국 인형극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