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년여성의 대학원 학습경험이 경력전환 과정에 주는 의미

        김나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중년여성의 대학원 학습경험이 경력전환 과정에 주는 의미 김나리 평생교육·HRD전공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대학원 학습경험이 경력전환 과정에 주는 의미를 연구하였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원 학습 참여 동기는 무엇인가? 둘째, 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은 어떠한가?, 셋째, 대학원 학습경험 과정이 경력전환에 미치는 의미는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으로 기술하고 분석하였고 연구참여자는 의도적 표집 방법과 눈덩이 표집 방법으로 8명을 선정하였으며, 대면·비대면 인터뷰를 2회 실시하였다. 인터뷰 전에 연구목적, 연구주제를 참여자들에게 설명하였으며 참여와 인터뷰 녹음에 대한 동의를 받고 녹음을 진행하였다. 녹취록 작성 후 개방 코딩으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코딩을 통하여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중년여성의 대학원 학습 참여 동기는 첫째, 업무와 자신의 변화 필요성을 느낌, 둘째, 새로운 커리어를 추구함, 셋째, 현재 업무의 전문성을 키우기 바람, 넷째, 현재 업무에 도움을 얻고싶음 이렇게 네 가지로 나타났다. 중년여성들은 엄마이자 아내이고 딸이며 며느리 역할을 하는 가정과 현재의 업무와 관련된 사회적 위치에서의 역할, 그리고 학업의 병행에 어려움을 겪었다. 신체적 노화에 따른 체력의 한계와 시간의 제약도 힘든 점이었다. 또한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이루어진 비대면 수업 등으로 참여자들은 대학원 적응이 힘들었지만 동기들, 교수와의 새로운 관계 맺음 속에서 학습 외적으로도 도움을 주고받으며 변화하는 자신을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가족과 지인들의 지지 속에서 학업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었다. 중년여성들이 학습을 지속할 수 있는 것은 무엇보다 가족의 지지와 학교의 교수자, 동기들과의 관계임을 알 수 있다. 중년여성들에게 대학원 과제와 발표를 준비하는 과정은 자신의 역량을 강화하는 과정이었고 업무와 실생활에 적용하면서 그 힘듦이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다. 참여자들은 대학원 졸업 후 석사학위라는 타이틀과 전공 관련 자격증 취득으로 외부로부터의 인정, 본인의 높은 자신감 등을 기대한다. 강의 속 이론적으로 깊이 있는 내용뿐만 아니라 학습 준비과정에서의 역량 강화는 현실 지향적인 중년여성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참여자들은 대학원 학습경험을 통해 졸업 후 경력전환을 고려하거나 현 업무를 유지함을 고려하고 있다. 여기에서 초기의 대학원 학습 참여 동기가 바뀌어지기도 했다. 참여자들은 전문성을 더 키우고 깊이 있는 배움을 위해 박사과정 진학을 준비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또한 현재 업무를 유지하면서 분야와 대상의 확장을 계획하기도 하며, 취득한 자격증으로 새로운 곳으로 취업도 준비중이다. ABSTRACT The Meaning of Middle-aged Women’s Graduate school Learning Experience on Career Transition Process Kim, Na Ri Major of Lifelong Education & HR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ongsil Universit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 of the graduate course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 in the career transformation proces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 First, what are the motives for participating in graduate courses? Second, how is the learning experience in graduate school? Third, what is the meaning of the graduate course experience process on career transformation? Qualitative research was implemented for this study and the 8 participants were selected by purposive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contact & non-contact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each participant twice. The researcher explained the purpose and subjects of the study to the participants before the interview, and the participants agreed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study and record of the interview. The data were analyzed by open coding after the recorded tape is made, and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rawn from the coding. First of all, the motives of middle-aged women were the improvement of the ability related to the current career, necessity of current work's expansion, and seeking for a stable career. Middle-age women have been struggling with the gap between the family role as a mother, wife, daughter, and daughter-in-law and their role in the social position related to their current careers. They have had to take these roles while pursuing their studies. physical limits and restricted time became another difficulty. Furthermore, the participants revealed that they felt difficulty to adapting to the non-contact lectures in the exceptional situation called 'pandemic'. However, they answered that they felt a change from the new relationship with the class of the same semester and professors as well as their help. The support from family also helped them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The answers of the survey revealed that the support from family and relationships between friends and professors help middle-aged women to carry on the course. For them, the preparation for assignments and presentations is the process of improvement of their abilities and they applied the results of the preparation to their work and real life. The difficulties they felt made a positive change in their lives. The participants expect high self-esteem and acknowledgment from outside with their master's degree and licenses related to their majors. Not only the thoughtful theoretical contents of the lectures but also the ability improvement from the preparatio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reality-oriented middle-aged female learners. The participants have considered both career transformation and retainment of their careers from the graduate course experience. Sometimes their early motives of participation in the graduate course have been changed. The participants showed themselves preparing to enter a doctoral program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ity and learn more thoughtful content. Moreover, they planned the expansion of the area and target of their current work or prepared for the new employment with the licenses they acquired.

      •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 표면에 대한 무결점 코팅 기술 개발 및 이의 화장품 적용

        김나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금속 원자와 배위결합을 이루며 중합이 가능한 유기물 단량체(polymerizable chelating agent)를 사용한 새로운 표면 처리 기술을 개발하여,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 표면에 결함이 없는(indefect) 코팅 박막을 형성시켰다. 이를 통해 분산안정제의 사용 없이 고농도의 균질한 분산을 가능하게 하고, 입자의 재응집을 억제하여 분산안정성을 개선시켰다. 금속 원자와 배위결합을 이루며 중합이 가능한 유기물 단량체(polymerizable chelating agent)인 2-(acetoacetoxy)ethyl methacrylate(AAEMA)를 다양한 반응 비율로 titanium dioxide 나노 분체와 반응시켜, titanium dioxide 입자 표면에 결함이 없는(indefect) p-AAEMA 코팅박막을 형성시켰다. 표면 처리가 된 titanium dioxide 입자의 형태는 TEM을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단량체의 양이 증가할수록, 코팅 박막의 평균 두께는 두꺼워졌다. FT-IR 측정을 통해 코팅 박막의 구조를 분석한 결과, AAEMA는 금속원자와 배위 결합하고 중합됨으로써 titanium dioxide 입자 표면에 p-AAEMA 코팅 박막으로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면 처리의 무결성(indefect)은 유기물 색 변화에 의한 광촉매 활성 측정으로 확인하였다. 박막이 형성된 나노 입자는 수상과 유상에 각각 50 wt%의 고농도로 균질한 분산이 가능하였고, 시간 경과에 따른 입자 사이즈 변화가 거의 없었다. 또한 표면 처리가 된 titanium dioxide가 표면 처리가 되지 않은 titanium dioxide보다 표면 전위가 크며, 분산매의 pH가 높을수록, p-AAEMA에 사용된 단량체 양이 많아질수록 입자 표면 전위가 더욱 증가되어 분산 안정도가 더 향상되어질 것으로 예상되었다. 박막의 두께에 따라 분체의 색상변화가 나타났으며, 이는 확산반사스펙트럼을 통해 380 ~ 500nm 파장대의 흡수율 증가 때문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특징을 토대로 p-AAEMA가 코팅된 titanium dioxide 분체는, 자외선 및 블루라이트의 차단 소재로써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new surface modificaton technique using a polymerizable chelating agent. This enables homogeneous dispersion at a high concentration without the use of a dispersion stabilizer, and suppresses re-aggregation of particles to improve dispersion stability. The reaction of 2- (acetoacetoxy) ethyl methacrylate (AAEMA), a polymerizable chealating agent coordinating with metal atoms, with titanium dioxide nanoparticles at various reaction ratios yielded indefect p-AAEMA film. The morphology of modified titanium dioxide particles surface was analyzed by TEM. As the amount of monomer used in the preparation was increased,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was thicker. As a result of FT-IR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AAEMA was formed as a p-AAEMA coating film on the surface of titanium dioxide particles by coordination bonding with metal atoms and polymerizing. Indefect of surface treatment was confirmed by photocatalytic activity measurement by organic color change. The nanoparticles coated with p-AAEMA were able to homogeneously disperse at a high concentration of 50% in water phase and oil phase, respectively. And there was little change in particle size with time. Also, titanium dioxide coated with p-AAEMA has a higher surface potential value than non coated titanium dioxide. And when the pH of the dispersion medium is high and the amount of the monomer used is large, the surface potential value is further increased and the dispersion stability will be enhanced. The color change of the powder was shown by the thickness of the film. It was explained by the increase of the absorption ratio of the 380 ~ 500nm wavelength band.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it is considered that the titanium dioxide powder coated with p-AAEMA can be used as a blocking material for ultraviolet light and blue light.

      • 원산지 통제 명칭 제도에 따른 프랑스 레드와인의 등급별 이화학적 특성 및 기호도 연구

        김나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grasp the French A.O.P system for the wine industry which makes it possible for wine shoppers to easily recognize the grade of wine through the information written on a wine label.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 betwee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onsumer acceptability of French red wine according to their grades and price. There were six samples selected by grade from the top grade A.O.P to the bottom grade V.D.F. The price of A.O.P was between 90,000 to 110,000 won, whereas V.D.F was less than 20,000 won.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included A.O.P grade wines had higher total polyphenol, salinity, pH, and acidity than V.D.F and showed a higher redness and yellowness in color values. V.D.F grade wines, on the other hand, contained both the highest and the lowest sugar content level that causes a greater standard deviation among V.D.F samples in soluble solid content. As a result, samples in A.O.P had a stronger bitterness, saltiness, and sourness, whereas V.D.F showed a higher brightness in color and varied sugar content levels in general. The result also reveale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onsumer acceptability of French red wine. Respondents who are not familiar with drinking wine preferred V.D.F due to a low total polyphenol level which results in low bitterness. Although A.O.P wines had a higher sugar contents level in general, the sample that has the highest level in soluble solids was found in the V.D.F grade which was also the most likeable wine for the respondents. This showed people who are not familiar with drinking wine preferred wine that has a high sugar content level combined with a low bitterness. On the other hand, respondents who are familiar with drinking wine tended to prefer a sample from the A.O.P grade that has higher total polyphenol, pH, acidity and salinity which cause smooth swallowing with a higher bitterness. 본 연구에서는 프랑스 와인 라벨에 적힌 등급 표시제를 통해 와인의 등급을 알아보고 등급 별 와인의 이화학적 특성과 소비자 기호도, 그리고 기호도와 이화학적 특성의 연관성 또한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료는 프랑스의 원산지 통제 명칭 제도인 A.O.P 시스템에 따라 상위등급인 A.O.P 6종류와 하위 등급인 V.D.F 6종류로 선정하였으며 가격은 A.O.P 9~11만원대, V.D.F 2만원 이하로 선정하며 등급에 따른 가격 편차를 두었다. 등급 별 와인의 일반실험 결과 A.O.P 와인이 V.D.F 와인 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폴리페놀, 염도, pH, 산도를 나타냈으며 색도에서는 높은 적색도와 황색도를 띄었다. V.D.F 등급은 반면 A.O.P 등급에 비해 낮은 폴리페놀, 염도, pH, 산도의 수치를 나타냈으며 당도에 있어서는 가장 당도가 높은 시료와 가장 당도가 낮은 와인이 자리해 고른 편차를 띈 A.O.P 등급에 비해 다소 들쭉날쭉한 당도 편차를 보였다. 이러한 실험 데이터를 통해 A.O.P 와인은 V.D.F보다 상대적으로 쓴 맛, 짠 맛, 신 맛이 강하고 V.D.F 와인은 A.O.P보다 색의 명도가 밝으며 당도에 고르지 못한 편차를 띈다는 점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 기호도 조사와도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는데 와인에 친숙하지 않은 소비자들은 V.D.F 등급의 와인을 더 선호했으며 이는 V.D.F 와인의 낮은 폴리페놀 함량으로 인해 쓴 맛이 덜 한 점이 가장 크게 작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등급 별 시료의 평균 당도는 A.O.P 등급이 V.D.F에 비해 높았으나 전체 에서 가장 높은 당도를 띈 와인은 V.D.F 등급 중에 있었으며 이 와인은 또한 일반 와인 소비자 들이 가장 선호하는 와인으로 조사되어 일반 소비자 들은 당도가 높고 쓴 맛이 낮은 특징을 가진 와인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대로 와인 관련 종사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와인은 A.O.P 등급의 와인으로, V.D.F 등급 보다 높은 총 폴리페놀, pH, 산도, 염도를 가졌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와인 관련 종사자들은 부드럽고 쓴 맛이 상대적으로 강한 와인을 선호하는 것을 유추 할 수 있었다.

      • 노쇠 수준에 따른 노인의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나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우리나라는 이미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고, 노인 자살률 또한 OECD 국가 평균인 20.9명보다 3.8배 높은 80.3명으로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계청의 2025년 고령 인구수가 1,000만 명에 육박할 것으 로 예상한다는 자료에 고려하면, 고령 인구의 자살 문제는 향후 더욱 심 각해질 전망이다. 고령 인구수뿐 아니라 고령 인구 내 노쇠 노인 수의 증가도 우리나라의 사회적 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노쇠 코 호트 연구를 통하여 전 노쇠와 노쇠 노인 수는 총 노인 수의 54.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추세는 점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노쇠 수준에 따라 노인 인구집단의 여러 가지 특성들이 다르게 나타나므 로, 노쇠 수준에 따른 노인의 자살 생각에 대한 조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 2020년 10월 서울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 면제심의 신청을 승 인받아 2017년도 전국 노인실태조사를 활용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자의 인구학적 요인, 건강 관련 요인, 대인관계 관련 요인과 노쇠 수준(건강, 전 노쇠, 노쇠)은 기술 통계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 나타냈다. 변수 간 상관관계는 카이제곱 검정을 이용하였고, 노쇠 수준에 따른 변수들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변수 간 다중공선성 검 정을 위해 공선성 검증을 진행하였다. 노쇠 수준에 따른 인구학적 요인, 건강 관련 요인, 대인관계 관련 요인과 자살 생각과의 영향요인 분석은 복합표본 로지스틱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살 생각은 노인의 노쇠 수준(건강, 전 노쇠, 노쇠)이 악화할수 록 증가하였다. 노쇠 수준별 자살 생각 유무를 비교하였을 때, 건강한 노 인은 3.0%, 전 노쇠 노인은 6.1%, 노쇠 노인은 11.1%의 결과를 보였다. 노쇠 노인은 전체 노인의 26.4%로 2,486명이었으며, 그중 275명(11.1%) 이 자살 생각을 한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노쇠 수준별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건 강한 노인의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만성질환 수와 우울 증 상이며, 전 노쇠 노인에서는 성별, 연령군, 주관적 건강 상태, 흡연 여부, 배우자와의 관계 만족도와 짐스러움 느낌이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노쇠 노인에서는 연령군, 우울 증상, 배우자와의 만 족도와 자녀와의 만족도가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건강한 노인은 주로 개인의 만성질환과 우울 증상 등과 같은 개인의 관점에서 자살 예방 관련 중재가 필요한 반면, 노쇠할 수록 개인의 관점이 아닌 대인관계 간의 중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노쇠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살 예방 중재에는 건강한 노 인과 다르게 가족 개입을 필수적으로 포함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보건의료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노인 자살 생각을 위 한 중재 개발 시 노쇠 수준별로 다각화된 전략을 개발해야 함을 제언하 는 바이다. Background: South Korea is a super-aged society, and frailty has become a prevalent issue among older people. Further, South Korea has the highest suicide rate of older people in the world, which is a warning signal for the near future. Considering that frailty level affects psychosocial factors among older people, it is worth investigating the differences in demographic, health-related and interpersonal factors related to suicide ideation (SI) according to frailty level.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I among robust, pre-frail, and frail older people. Methods: A total sample of 10,047 Korean older people from the 2017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were included in this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The respond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comprehensive Korean frailty index (i.e., robust, pre-frail, and frail groups). Chi-square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tilized in this study. Results: The robust (3.0%), pre-frail (6.1%), and frail (11.1%) groups had experienced SI. No common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SI among the groups; however, younger age and low satisfaction with spouses were common associated factors in the pre-frail and frail groups. The analysis results using total sample showed that related factors with SI were younger age, higher number of chronic diseases, lower level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more depressive symptoms, and more satisfactions with spouses and children. In the analyses using specific samples by frailty levels, robust older people with a high number of chronic diseases and depressive symptoms were more likely to have SI. In the pre-frail group, the highly associated factors with SI were female, younger age, lower level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more feeling of burdensomeness, and lower satisfaction with spouse. In the frail group, those with younger ages, more depressive symptoms, less satisfied with their spouses and child had more SI. Conclusions: Satisfaction with family members and depressive symptoms were significant factors in lessening SI, suggesting that older people need more family support and care (i.e., attention and positive interpersonal interaction) as frailty progresses. Implication for practice: Health professionals should be competent in caring for a variety of SI factors at the demographic, health-related and interpersonal levels among older people. There should be multicomponent care, including family members dealing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depressive symptoms. SI occurs from complex problems at each frailty level; therefore, experts should broaden these perspectives and provide interventions for each frailty level.

      • 초등역사학습에서 지식구성을 위한 비주얼씽킹의 체계화와 적용

        김나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역사 학습에서 학생은 학습의 주체이며, 역사지식을 스스로 구성하는 의미구성자이다. 이를 위해 학생이 자기 주도적으로 역사 학습을 이끌어 나아가고, 역사를 보다 가깝게 느낄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최근 학생의 흥미와 상상을 불러일으키고, 지식 구성을 촉진하는 이미지를 활용한 역사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 ‘비주얼씽킹’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비주얼씽킹은 수업현장을 중심으로 활용에만 초점을 두고 연구되고 있으며, 교수학습방법으로서의 체계화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주얼씽킹의 연구 영역을 학문적 논의로 확장시켜야 할 필요에 따라 지식구성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으로서 비주얼씽킹에 대한 학문적·실천적 논의를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즉, 지식구성을 위한 비주얼씽킹에 대한 개념, 성격 등을 정의하여 이론을 체계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역사수업에 교육적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비주얼씽킹을 적용한 교수·학습 절차 및 활동을 구안하고 수업을 전개한 뒤,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지식구성을 위한 역사수업은 학생이 사고 과정을 통해 수업 내용을 체계적, 맥락적으로 이해하고, 내면화한 내용을 역사와 학습자의 삶을 의미 있게 연결할 수 있도록 이해·활동이 이루어지며, 나의 역사를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바탕으로 비주얼씽킹을 ‘학습 내용에 대한 정보와 학생 본인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생각을 핸드드로잉(hand-drawing) 이미지와 글 등으로 체계화·조직화하여 지식을 구성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비주얼씽킹의 과정을 시각화 과정으로 보고 ‘내적 이해 과정(정보 조직화)’과 ‘외적 표현 과정(정보 시각화)’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비주얼씽킹과 유사한 시각화 방법과의 비교를 통해 시각적 맵핑, 시각적 형태, 시각화 목적 대상을 준거로 하여 비주얼씽킹의 지식구성적 성격을 규정하고, 이를 통해 표현 원리를 추출하였다. 역사학습에서 비주얼씽킹의 교육적 가능성은 지식구성에 방향을 두고, 논의하였다. 지식의 시각화로서의 비주얼씽킹 과정에서 학습자는 시각적·역사적 사고를 통해 편집 주체로서 자신의 관점을 시각적 형태, 시각적 맵핑으로 드러낼 수 있다. 지식구성을 위한 비주얼씽킹 적용은 실행연구로 이루어졌으며, 계획수립, 실행, 결과 고찰 단계로 진행하였다. 계획 수립 단계에서는 문헌 연구 및 예비 연구 수업 등을 토대로 실행 단계 및 수업 과정을 구안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6학년 1개 학급을 대상으로 3차에 걸쳐 총 20차시 수업을 하였다. 결과 고찰 단계에서는 얻어진 효과 및 문제점을 토대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비주얼씽킹 활용은 역사 수업에 대한 학생의 흥미 및 이해도를 향상시키고, 학습자의 사고과정을 통해 지식을 구성하게 하였으며, 소통과 과정 중심의 역사수업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수업 활용에 관한 보완점으로 지식 구성을 수업의 방향으로 설정, 활동의 개인차를 고려한 수업 설계, 간략화로 인한 지식의 공백을 매우기 위한 설명하기 활동, 비교육적 요소 및 오개념에 대한 지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비주얼씽킹의 이론적·학문적 논의와 설계·실행에 관한 연구로서 초등역사수업에서 학생이 자신의 역사지식을 구성할 수 있는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사회과 교과 독서가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교과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김나리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회과 교과독서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교과흥미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교과 독서 활동이 학업성취도와 교과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설정된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 독서는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줄 것인가? 둘째, 교과 독서는 학습자의 교과흥미도에 영향을 줄 것인가? 독서 활동은 학습자의 사전지식의 구조화와 인출을 촉진하고, 간접 경험의 폭을 넓혀주는 역할을 한다. 사전지식의 활성화와 간접 경험의 향상을 통하여 스키마가 확대된 학습자는 교과에 대한 성취도와 흥미도가 증가하게 된다. 그런데 독서 활동은 맥락에 알맞게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독서 활동은 학습하는 교과의 맥락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의 맥락 안에서 이루어지는 독서를 교과독서라 한다. 즉, 교과 독서 활동은 배경지식을 넓혀 교과에 대한 성취도와 흥미도를 높여 줄 것이라 예상 된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인천광역시 부평구 소재 G초등학교 학생 53명이다. 처치 기간은 2009년 3월 3일부터 2009년 4월 18까지 총 12회 실시하였다. 교과 독서 프로그램은 총 60분으로 구성되었다. 20분간의 아침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20분 동안 읽기 전 활동과 읽기 중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40분간의 사회 교과 시간을 이용하여 읽기 후 활동을 실시하였고, 이 시간에 동기유발, 학습목표 확인, 학습정리, 차시 예고가 함께 이루어졌다. 교과독서 프로그램의 효과는 처치 전·후에 인천광역시 교육청에서 운영하는 문제은행 사이트에서 발췌한 학업성취도 평가, 교과흥미도 검사를 사용하여 차이를 검증하였고, SPSS 16.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 검증 하였다. 처치 동안 대상자들이 보인 반응은 관찰 및 인터뷰하여 연구자가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사회과 교과 독서는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사회과 교과 독서는 교과흥미도 향상에 효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content reading in social studies on elementary students' interest and achieve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ifth grade elementary student who were taking the 'G'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City. The time for treatment was 7 weeks and each 60 minutes. The effects of the Reading in Subject area program has been proved by the test for achievement test and subject interest test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 addition, during the treatment was analyzed through the response of the cli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tent reading program is brought out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tudents' achievement. Second, the content reading program is not brought out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subject interest.

      • 세계지리 교과서에 반영된 세계교육 내용 연구

        김나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기존의 세계교육 이론에 대한 국내외 학자별 연구업적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일반적인 세계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또 이러한 내용을 준거로 하여 한국과 미국의 세계교육 현황을 학교교육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교과서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미래사회에 대비한 한국의 세계교육을 올바로 정립하는데 참고가 되고자 한다. 교과서의 분석은 세계교육의 내용별·국가별 비중을 분석하는 양적 분석의 방법과 목차와 공통 주제 지역의 서술 내용을 분석한 질적 분석의 방법을 병행하였다. 우선, 세계교육 학자들의 이론을 종합해본 결과, '세계화' 란 '고도로 발전하고 있는 통신·운송 기술을 배경으로 긴밀한 상호의존과 네트워크를 특색으로 하면서, 모든 나라와 사람들이 국경을 초월하여 삶의 터전을 전 세계로 확대해 가는 현상' 이라고 정의할 수 있고, 세계교육은 '인권과 자유와 같은 보편적 가치의 함양과 함께 이를 확대하여 국제적 이해와 협력, 평화로 이끌기 위한 諸 교육' 이라 정리되었다. 이러한 세계교육의 목적은 그것이 전제하고 있는 세계관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첫 번째는 보편적 가치를 바탕으로 한 세계주의적인 시각이고, 두 번째는 개별 국가의 정체성을 인정하는 국가주의적 시각이다. 세계교육의 내용으로는 하위 영역을 크게 지식관련, 가치 및 태도 관련, 기술 및 기능 관련이라는 3범주로 나누고, 지식관련 내용에는 인권의 평등,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지식, 개발, 빈곤, 인구, 무역관계, 생태계 파괴 및 환경문제 등에 대한 지식, 대표적인 국제기구 및 세계체제에 대한 이론적 내용 등이 포함되었다. 가치 및 태도 관련 내용에는 타국 및 타인에 대한 존중, 정의 및 평화 존중, 문화적 상대주의, 개방적 태도, 생태계 보호와 지구 환경 보호에 대한 관심, 협동적 태도 등이 포함되었다. 기술 및 기능 관련 내용에는 정보관리 및 처리 기술, 비판적 사고, 자료수집과 분류, 다양한 의사소통 기술, 창의력과 문제 해결력, 효과적인 참여기술 등이 포함되었다. 한국의 세계지리 교과서와 미국의 세계지리 교과서를 비교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한국 교과서는 독특한 지역 구분 방식과 경제적 측면을 강조한 내용 구성이 특징이고, 미국의 교과서는 대상 지역의 자연환경과 문화적 배경을 통해 그 곳 주민들의 기질에 대한 이해를 돕고 지역의 사회·경제적 특징을 역사적 배경을 통해 기술함으로써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를 수 있는 구성이 특징이다. 한편, 양국 모두 최근의 변화상을 전달하기 보다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사실을 전달하는 수준에만 머물고 있으며 자국과 교류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서 다루지 않은 것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상의 분석 결과로 볼 때, 세계교육이 세계화 시대에 대응하는 교육적 노력에 있어 선도적 역할을 수행한다고 한다면, 양국 세계지리 교과서 구성 및 내용체계는 어느 한 부분에 치우친 이해만 가지고는 이룩될 수 없고, 포괄적인 이해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며, 내용면에서도 주관적이고 자국 중심적인 서술에서 탈피해야 할 것이다. 또한 세계의 각 지역에 관한 지속적인 정보의 수집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면서, 양국 모두 학생 스스로 세계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킬 수 있는 세계지리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draw goals and contents of a general global education based on research results that have accumulated both home and abroad. The major research materials are Korean and American textbooks, which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school education. In this way, this study aims to lay a cornerstone in establishing a desirable global educational system in Korea. The analysis methods consist of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content and relative importance of global education in each country, and qualitative analysis on different descriptions of a given area. The aim of global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two depending on different world views: first, globalist view based on universal values, second, nationalist view that admits national identity. Under the title of global education, there are three subcategories concerning, first, knowledge, second, values and attitude, and then, third, skills and function. Knowledge part deals with knowledge about equality of human rights, about cultural diversity, about development, poverty, and population, about trade relations, about environmental issues including destruction of ecosystem, and about theories on major international agencies and world institutions. Under the second category of values and attitude is how to develop respect for other countries and people, for justice and peace, for cultural relativism, for open-minded attitude, for protection of ecosystem and earth environment and for cooperative attitude. The third category includes skills of information management, of critical thinking, of research and categorization, of communication, of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nd of effective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is thesis on Korean geographic textbook and that of the U.S., Korean textbooks use method of reginal distinction and tend to emphasize economic aspects of a given area, while its American counterparts focus on traits of people on the given area through introduction of its natural and cultural backgrounds. And, by way of introduction of soc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it encourages synthetic understanding of the given place. Meanwhile, there are some regrets: the textbooks of both countries stop short of delivering up-to-date changes, but they are rather just conveying already well-known fact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 that, if global education plays a leading role in educational efforts to keep up with globalization, the geographic textbooks of both countries should not be tilted to one side. Rather, it should be written in the way that it can draw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Speaking of content, it should avoid subjective, or self-centered description. Both countries should put great efforts in developing new educational courses and text books of world geography that can deepen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world.

      •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실천도와 관련요인

        김나리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병원에 근무하는 행정직, 간호직의 개인정보보호 지식점수, 인식도 및 실천도를 파악하고 실천도의 관련 요인을 파악하였다. 대구시 소재 병원에 근무하는 행정직, 간호직 대상으로 2015년 4월 2일부터 4월 13일까지 연구대상자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식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265부로 최종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간호직과 행정직의 지식점수는 100점 만점에 83.3±16.6이고, 행정직의 인식도 점수는 4점 만점에 3.36±0.41점 간호직의 인식도 점수는 3.32±0.43이었으며, 행정직의 실천도 점수는 3.17±0.48, 간호직의 실천도 점수는 2.95±0.48으로 행정직이 유의하게 높았다(P<0.001). 대상자의 지식점수, 인식도, 실천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인식도와 실천도(P<0.01) 지식점수와 실천도(P<0.05)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실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지식점수, 인식도, 성별, 직종과 교육경험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며 다중희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인식도(t=15.459, P<0.001)와 직종(t=2.639, P<0.01)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표준계수는 =0.689로 실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행정직에서 간호직 보다 실천도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개인정보보호법에 대한 지식 및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인식도의 수준은 높으나 실질적인 실천도는 인식도의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인식도가 높아질수록 실천도도 높아지는 점을 착안하여 병원에 개인정보보호 실천 제고를 위해 인식도가 낮은 문항에 대한 관련 교육 개발이 필요하며, 직종에 따른 실천도 차이가 나타나 맞춤형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병원내부에서 자체평가를 통하여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실천을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and perception and practice level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mong the administrative and nursing employees in hospitals and als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the practice level. A self-administered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administrative and nursing employees in hospitals in Daegu on April 2~13, 2015, and total 265 questionnaires were used in final analysis. The two groups scored 83.3±16.6 knowledge points out of 100. The administrative and nursing employees scored 3.36±0.41 and 3.32±0.43 out of 4 in the perception level, respectively. The administrative employee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points in the practice level at 3.17±0.48 than the nursing employees that scored 2.95±0.48(P<0.001). The study also examined correlations among the knowledge points, perception level, and practice level of the subjects and fou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perception and practice level(P<0.01) and between the knowledge points and practice level(P<0.05). Trying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ractice level of the subjects, the investigator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knowledge points, perception level, gender, type of occupation, and educational experience as in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the perception level(t=15.459, P<0.001) and type of occupation(t=2.639, P<0.01)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variables. The standard coefficient was =0.689, having positive impacts on the practice level. The administrative employees had more influences on the practice level than the nursing employees. In conclusion, the subjects had a high level of knowledge and perception for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with their actual practical level not catching up with their high perception level. Given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level is, the higher the practice level becomes, it is needed to develop education on the items of low perception level so that the practic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will improve at hospital. The differences in the practice level according to the types of occupation call for customized education. In addition, hospitals need to manage the practic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hrough self-evaluation.

      • 반복된 스트레스 환경 노출에 의한 스트레스 대응계의 신경과학적 변화 연구

        김나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만성 스트레스에 노출되면 체내에서는 항상성 유지를 위해 시상하부-뇌하수체- 부신축(HPA axis)과 교감-부신수질체계(SAM system)가 활성화되며, 뇌에서는 다양한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함으로써 신경학적, 행동학적 반응을 조절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만성 스트레스에 노출된 흰쥐를 이용하여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과 교감-부신수질체계에 의한 스트레스 반응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만성 스트레스 동물모델은 오후 6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감금장치에 감금하는 방법으로 매일 15시간씩 7일 동안 반복된 스트레스 환경에 노출 시켰다. 그리고 스트레스 노출 8일째부터 그 후 7일 동안 회복 기간을 주어 반복된 만성 스트레스로부터 회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실험 그룹은 대조군, 외상(OP), 스트레스(Stress), 외상후 스트레스(OP Stress) 4그룹으로 나누고 스트레스 노출 1, 2, 3, 5, 7일 및 회복기간 7일 후인 14일에서 각각 스트레스로 인한 체중변화, 혈중 corticosterone의 변화, 중추의 스트레스 대응계 (뇌실옆핵; paraventricular nucleus, 청반; locus coeruleus, 배측 봉선핵; Dorsal raphe, 해마; hippocampus)의 변화를 조직학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만성 스트레스로 인한 자발적 행동 변화를 관찰하였다. 만성 스트레스환경에 노출되는 동안의 체중변화를 관찰한 결과 대조군과 외상 그룹은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체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반면 스트레스 그룹과 외상후 스트레스 그룹은 스트레스에 노출되는 7일 동안 체중이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이후 회복기인 7일간은 체중이 점차 증가하였으나 대조군의 수준까지는 미치지 못하였다. 주요 스트레스 호르몬인 혈중 corticosterone농도는 스트레스 그룹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축의 활성으로 인한 뇌실옆핵에서의 nNOS와 c-fos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스트레스 그룹은 대조군에 비해 스트레스 노출 3일까지 nNOS와 c-fos가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이후에는 점차 감소하였다. 교감- 부신수질체계에 의해 분비되는 norepinephrine의 활성을 tyrosine hydroxylase (TH)의 변화를 통해 청반에서 관찰한 결과, TH 역시 스트레스 노출 3일까지는 스트레스 그룹이 대조군에 비해 급격히 증가한 후 점차 감소하였다. 만성적인 스트레스는 중추의 내분비계를 교란시켜 우울증과 같은 많은 질환을 유발하는데, 이러한 중추신경계의 변화에 밀접하게 관여하는 배측 봉선핵에서 5-hydroxytryptamine (5-HT)의 활성을 관찰하였다. 스트레스 그룹에서는 스트레스에 노출되는 동안 5-HT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대조군에서는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그리고 기억과 학습의 중추인 해마의 CA2 부위에서 추체세포(pyramidal cell)의 변화를 Cresyl violet 염색법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스트레스 그룹에서 스트레스 노출 3일까지 추체세포의 수가 현저히 감소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만성적인 반복된 스트레스에 노출된 실험동물의 행동학적 변화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자발적 행동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스트레스 그룹은 대조군에 비해 이동거리를 비롯한 모든 행동이 감소한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만성 스트레스의 형태 중 하나인 반복 스트레스는 흰쥐의 뇌실옆핵, 청반, 배측 봉선핵, 해마에 분포하는 신경 내분비계의 기능을 현저하게 변화시키며, 만성스트레스에 대한 신경계 반응은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과 교감- 부신 수질 체계 및 행동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Chronic stress leads to secretion of several neurotransmitters in brain, and these secreted neurotransmitters modulate both neurological and behavioral responses such as activation of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HPA) axis and sympathetic adrenomedullary (SAM) system. This study has evaluated alteration of stress response mechanism related to HPA axis and SAM system using chronic stress-exposured rats. Chronic stress was induced for 15 hours per day (6:00 PM ? 09:00 AM), and this was consecutively repeated for 7 days. After then, animals were allowed to recovery period for 7 days.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4 groups: control (Ctrl), surgical operation control (OP), restraint stress (Stress) and surgical operation with restraint stress (OP Stress), and each group was subdivided into 5 groups (1, 2, 3, 5 and 7 days) for stress period and 1 group (14 days) for recovery period. There was a dramatic change of body weight and plasma corticosterone contents in stress-exposured rats. In animals of Ctrl and OP groups, body weight gradually increased during experimental period. In contrast to these, body weight in Stress and OP Stress groups greatly decreased until 7 days after induction of stress, followed by gradual increase. Plasma corticosterone contents in stressreceived animal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Ctrl group through whole experimental period and rhythm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period. Differential expression of neuronal nitric oxide synthase (nNOS) and c-fos in paraventricular nucleus (PVN) and tyrosine hydroxylase (TH) in locus coeruleus (LC) was examined to clarify the HPA axis response to the repeated restraint stress. nNOS and c-fos in Stress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t 1, 2 and 3 days after receiving restraint stress. At 1, 2 and 3 days, expression of TH in LC of Stress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Ctrl group, and the highest expression was observed at 3 days. This study also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5-hydroxytryptamine (5-HT) expression in dorsal raphe (DR) of stressiv received animals. Using Cresyl violet staining method, this study evaluated the changes of pyramidal cell density in hippocampus CA2 area by the repeated restraint stress and observed that cell density in pyramidal cells of stress-received animals was dramatically decreased until 3 days after starting stress induction. In conclusion, repeated restraint stress as a type of chronic stress induces a significant change of neuroendocrine function in the PVN, LC, HP and DR of rat brain. These neuronal responses to chronic stress may be critically related, at least in part, with HPA axis and SAM system and behavioral changes.

      • 증거의 종류와 피의자의 진술거부권 행사에 따른 수사관의 피의자 신문전략에 관한 연구

        김나리 한림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형사재판에서 피의자의 자백은 상당히 설득력이 있는 증거이다. 그렇기 때문에 수사관은 피의자 신문 시에 각종 신문전략을 사용하여 피의자로부터 자백을 얻어내려고 노력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피의자의 허위자백이 일어날 수 있다. 피의자 권리는 피의자의 허위자백을 방지해줄 수 있는 법적 장치 중 하나로서 진술거부권과 변호사 선임권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범죄사건에 존재하는 증거의 종류와 피의자의 진술거부권 행사 여부에 따라 수사관의 피의자에 대한 의심의 정도, 선택하는 신문전략 및 신문 질문이 달라질 것이고, 더불어 피의자에 대한 의심의 정도가 신문전략 및 신문 질문 선택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예비연구 1은 총 71명의 수사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피의자의 진술거부권 행사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수사관들은 피의자가 진술거부권을 행사하는 이유에 대해 자신의 잘못이 드러날까봐 걱정이 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며, 진술거부권을 행사하는 피의자는 범인일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예비연구 2는 본 연구의 종속변인 측정도구를 제작하기 위한 것으로,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피의자 신문기법들을 종합하여 신문전략 목록을 구성하였다. 이후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신문전략의 심리적 강압성을 평가하게 하여 전략들을 심리적 강압성이 높고 낮음에 따라 유형화하였다. 본 연구는 2(증거의 종류: 물적 증거, 인적 증거) × 2(피의자의 진술거부권 행사: 행사함, 행사하지 않음)의 피험자 간 설계로, 수사관의 피의자에 대한 의심의 정도, 선택하는 신문전략 및 신문 질문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총 120명의 수사관이 참가하였으며, 참가자는 실제 범죄사건을 재구성한 수사보고서 형식의 시나리오를 통해 확보된 증거의 종류를, 안내문을 통해 피의자의 진술거부권 행사 여부를 확인한 뒤 시나리오 속 피의자에 대한 의심의 정도를 평가하였고, 신문 시 피의자에게 사용할 신문전략 및 질문을 선택하였다. 연구 결과, 피의자에 대한 의심의 정도와 강압적인 신문전략 선택에서 증거의 종류와 피의자의 진술거부권 행사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신문 질문에 대해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피의자에 대한 의심의 정도가 신문전략 및 신문 질문 선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확보된 증거의 종류에 따라 피의자의 진술거부권 행사 여부가 수사관으로 하여금 강압적인 신문전략을 선택하도록 이끌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진술거부권의 법적 장치로서의 역할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하였다. 본 연구 결과의 학문적, 실무적 의의 및 연구의 제한점 등은 논의에서 자세히 다루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