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능 통합적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연구 : 과정 중심 접근법을 기반으로

        장석봉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4495

        ABSTRACT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Skill-Integrated Korean Writing -Based on the process-oriented approach- Zhang, Xifeng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ncheon National University The ultimate goal of language teaching is to improve communicative competence. For smooth communication, above all, the writing skills among four basic language skills, such as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must be importantly handled. Also, the writing is hard to master. So, even though Korean native speakers can freely communicate in Korean language, there are many persons who don't know how to write properly. If then, some of learners who aren't fluent in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 the writing is like getting blood from a stone. For this reason, I guess that their Korean writing ability is not enough. In order to improve writing ability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iming for going to university, this study presented writing tasks which were required in the university class, and drew up the teaching method of skill-integrated Korean writing based on the process-oriented approach. I will sort out contents which were handled in each chapter of this study as follows : First of all, Chapter 1 discuss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study, and analyzed Korean texts also. Then, I reviewed th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he process-oriented approach and skill-integrated language education. Chapter 2 considered the concept and feature, and also presented the meaning of the process-oriented approach in writing education. After examining concept and feature of skill-integrated language education, I reviewed skill integration in Korean writing education. I also set the direction of skill-integrated Korean writing education based on the process-oriented approach. Chapter 3 selected intermediate level and high level's Korean textbooks which were published by 6 university language education institutes in Korea. Also, I extracted writing tasks or activity contents in each textbook. According to 3 kinds of analysis standard, I analyzed integration between writing and the other language skills. According to above-mentioned chapter 2 and chapter 3, in order to improve writing ability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iming for going to university, chapter 4 presented writing tasks which were required in the university class and drew up the teaching method of skill-integrated Korean writing based on the process-oriented approach. First of all, this chapter planned learning model of skill-integrated Korean writing based on the process-oriented approach so as to smoothly draw up this teaching method. Lastly, chapter 5 summarized the above contents. In order to improve writing ability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iming for going to university, the study suggested in the university class that it is necessary to handle 4 kinds of writing tasks that must be applied to language classes before university admissions. This study argued that learning writing needs a lot of time and effort, so class should construct inside classroom's learning which handles the steps of before and after writing, and outside classroom's learning which handles the steps of writing, in order to make efficient use of time. Also, each writing process should consist of integration activity of writing and the other language skill. Therefore, I think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of making efficient use of the teaching method of skill-integrated Korean writing based on the process-oriented approach, in respect of lessening difficulty of writing and acquiring how to write. However, this study shows limits by the fact that it could not thoroughly identify the strategies in a practical class. According to this study, I hope that follow-up studies of Korean writing education become more diverse for learners aiming for going to university in future. Above all, I look forward that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practical class so as to hold significance to the development of writing ability. Key words: Teaching Method of Skill-Integrated Language, Process-Oriented Approach, Analysis The Text Books, Writing Tasks, Learning Model 국문초록 기능 통합적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연구 -과정 중심 접근법을 기반으로- 언어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는 데에 있다.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네 언어 기능 가운데 쓰기는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하여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기능이다. 또한 쓰기는 네 언어 기능 가운데 가장 통달하기 어려운 기능이기도 한다. 그러므로 한국어 모국어 화자들은 한국어로 자유롭게 의사소통할 수 있더라도 글을 제대로 쓸 줄 모르는 사람이 적지 않다. 그렇다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가 능숙하지 못한 학습자들은 글쓰기가 ‘하늘의 별 따기’와 같다. 이러한 차원에서 한국어 쓰기 능력이 많이 부족하다고 짐작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 진학하고자 하는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대학 수업에서 필요한 쓰기 과제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과정 중심 접근법 기반의 기능 통합적 쓰기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각 장에서 다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의 서론에서는 먼저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논의하고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였다. 과정 중심 접근법, 기능 통합적 언어 교육에 관한 연구를 검토하였다. 2장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먼저 과정 중심 접근법의 개념 및 특징을 고찰하고, 쓰기 교육에서 과정 중심 접근의 의의를 밝혔다. 그 다음은 기능 통합적 언어 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을 살펴본 후 한국어 쓰기 교육과 기능 통합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과정 중심 접근법 기반의 기능 통합적 쓰기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현재 국내에 있는 여섯 군데의 대학 부설 언어 교육기관에서 출판한 한국어 중급(4급)과 고급(5급)의 주(主)교재를 선정하여 각 교재 내 쓰기의 특성을 살펴봤다. 또한 각 교재 내 쓰기 과제나 활동 내용을 추출하여 3가지의 분석 기준에 따라 쓰기와 다른 언어 기능 간의 통합성을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앞선 2장과 3장을 토대로 대학에 진학하고자 하는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대학 수업에서 요구되는 대표적인 쓰기 과제를 바탕으로 과정 중심 접근법 기반의 기능 통합적 쓰기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방안을 원활하게 마련할 수 있도록 과정 중심 접근법 기반의 기능 통합적 쓰기 수업 모형을 먼저 설계하였다. 마지막의 5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고 한계점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 진학 목적을 가지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대학 학업 수행 중에 반드시 요구되는 대표적인 쓰기 과제 4가지를 대학 입학 전의 수업에 적용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또한 쓰기 학습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므로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수업은 쓰기 전 단계와 쓰기 후 단계를 다루는 교실 안의 수업과 쓰기 단계를 다루는 교실 밖의 수업으로 구성해야 하며, 쓰기의 각 과정에서 쓰기와 다른 언어 기능의 통합 활동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정 중심 접근법 기반의 기능 통합적 쓰기 교육 방안을 활용하여 쓰기의 어려움을 덜어주며 글 쓰는 방법도 습득할 수 있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실제 수업에 적용하지 못하여 통합적 수업 지도안의 실효성을 검증하지 못했다는 사실은 아쉬운 점으로 남아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앞으로 대학 진학 목적을 가지는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가 더 다양화되기를 바란다. 무엇보다도 본 연구가 실제 현장에 적용되어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기능 통합적 언어 교육, 과정 중심 접근법, 교재분석, 쓰기 과제, 수업 모형

      • ‘총체적 언어 접근법’ 기반의 한국어 기능 통합 교육 연구

        김보은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34494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plans for integrated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function based on whole language approach to improve language ability of learners as a second language. For this purpose, Chapter 1 presented the purpose, method of study and organization of discussion, reviewed th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his and clarified what this study aimed for. Chapter 2 discussed the necessity of whole language approach in Korean education, concept and feature of ‘Whole Language Approach’, one of language learning theory closely related to this study. In addition, this study discussed the necessity of integrated education of language function integration in korean education, concept and feature of 'integrated education of language function. Chapter 3 examined the integrated aspects of language function focusing on teaching materials published by educational institutions in 6 universities, the main fields of Korean educ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presented type of language function integration and tendency of language function integration in korean education focusing on ‘activity of language function’, ‘sequence of language’, and ‘integrity of language function’ Chapter 4 presented the learning model of the second language and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processing from aspects of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e learning model of the second language presented was reflected in the language activities per type of language function integration proposed by this study. This study finally proposed the optimal integration model of language function by actually applying the language activities pr type of language function integration presented by this study, of Korean learners in education in universities. Lastly, Chapter 5, conclusion, summarized the above contents, and concludes with comments on positive aspects of this study by mentioning th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aise effectiveness of integrated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function based on ‘Whole Language Approach’; to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stagnated language activity model in korean textbook, and to improve Korean ability of learners as the second language.

      • 언어 기능의 통합적 교육을 통한 문자 언어 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

        서진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4431

        초등학교 5․6학년 학습자들은 듣기와 말하기인 음성 언어보다 읽기와 쓰기의 문자 언어를 학습하는데 있어 더 어려움을 느낀다. 이에 본 연구는 문자언어를 학습하는 데 있어 보다 쉽고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음성언어와 문자언어의 통합적 교육을 통하여 효과적인 문자언어 학습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언어기능의 통합에 관한 연구는 주로 3․4학년을 대상으로 많이 이루어져 왔으며, 쓰기 학습에 대한 효과와 언어의 4기능의 학습 효과를 알아본 연구들을 찾을 수가 있다. 대표적인 언어기능 통합 교수 방법에는 총체적 교수법과 참여식 교수법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먼저 초등학교 5․6학년 영어 교과서에 제시되고 있는 읽기와 쓰기 활동을 분석한 다음 언어기능 통합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활동들을 단원 내용에 맞게 재구성하여 제시하고 이를 적용하기 위한 수업 모형 및 절차를 구안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제주소재 S초등학교 5학년 3개 학급, 6학년 2개 학급으로 16주 동안 2단원부터 7단원까지 실험수업을 실시하였다.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흥미도, 자신감, 참여도의 정의적 영역의 사전․사후 변화와 쓰기 및 읽기 능력의 사전․사후 변화를 t-검증을 통해 알아보았고, 매 단원 실험수업마다 학습자 자기 평가, 읽기 성취 수준 평가, 쓰기 포트폴리오를 통한 쓰기 학습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언어 기능 통합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생각을 자유응답설문을 통해 알아보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의적 영역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흥미도 영역에서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자신감과 참여도 영역 또한 유의하게 향상되고 있으나 5학년 A반은 쓰기에 대한 자신감과 참여도 영역에 있어 평균값만 향상되었다. 쓰기 능력 및 읽기 능력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 5학년과 6학년 모두 전체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학습자의 단원별 자기 평가 결과 흥미도 영역에서는 매 단원별 꾸준한 증가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자신감과 참여도 영역에서도 증가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학습해야 할 분량이 많은 단원에서는 그 증가폭이 적거나 감소 현상을 보이기도 하였다. 매 단원별 읽기 성취 수준 평가 결과 의미 이해와 읽기 평가에서 단원마다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포트폴리오 분석 결과 5학년은 낱말 쓰기 능력이 4단원에서 조금 감소하다 증가하고 있으며, 6학년은 낱말과 문장 쓰기 능력, 대소문자와 구두점 쓰기에 있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음성언어와 문자언어를 통합한 수업에 대하여 아동들은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다고 응답을 하고 있다. 언어기능의 통합을 통한 영어 수업이 초등학교 5․6학년 학습자의 문자 언어 학습에 흥미도를 비롯한 정의적 영역과 읽기 및 쓰기 학습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교사가 단원의 특성에 따라 언어 기능을 통합한 활동을 재구성하여 제시를 잘 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문자 언어 학습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하겠다. The 5th and 6th grade students of the elementary school feel written language of reading and writing difficulty compared with spoken language of listening and speaking. On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written language through language skills integration that is to make written language learning more easy and fun.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in the 5th and 6th grade English textbooks and designed some activities for language skills integration, a instructional model and procedure. The subjects of this experiment were three 5th grade classes and two 6th grade classes located in Jeju City and the experimental classes have been conducted for 16 weeks from unit 2 to unit 7.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through student's affective factors such as interest, participation and self-confidence and self evaluation, reading and writing ability test and writing portfolio for each experimental unit. Individual free records on language skills integration were also col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terest factor were improved for every groups and participation and self-confidence factors except group A of 5th grade were also improved but group A of 5th grade had mean value increase without meaningful difference for self-confidence and participation of writing. Second, writing ability test were improved for every groups of 5th grade and group D of 6th grade but group E of 6th grade had mean value increase and reading ability test were improved for every groups. Third, for self evaluation of each unit, every groups showed constant increase for interest and 4 groups except group A of 5th grade generally showed constant increase but decrease in the unit which has more contents to learn. Fourth, reading ability test of each unit were steady improvement for understand meaning and reading aloud and in the result of analysis of writing portfolio evert groups of 5th grade showed steady improvement for word writing ability except unit 4. Every groups of 6th grade showed steady improvement for word and sentence writing ability.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language skills integration instruction in elementary English classroom gives students of 5th and 6th grade positive influence in affective factors and reading and writing learning. It also needs to be considered in terms of designing activities for language skills integration according ti unit and applied to written language learning for more effective English class.

      •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언어 기능 통합 과제 유형 연구

        정운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68958

        최근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수가 급증하면서 이들의 성공적인 유학생활을 위한 실제성 높은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요구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실제성 높은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것은 학습자들이 직면하게 될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나타나는 언어 사용의 특성이다. 그중에서도 특히 말하기·듣기·읽기·쓰기의 네 언어 기능은 교육의 직접적인 대상이 되므로 대학의 학업 수행 상황에서 사용되는 언어 기능을 분석하는 것은 필수적인 일이다. 유학생들이 대학에서 수행하게 되는 ‘강의듣기’, ‘보고서 작성하기’, ‘발표하기’ 등과 같은 학업과제는 두 가지 이상의 언어 기능이 동시에 혹은 연계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언어는 근본적으로 분리될 수 없기 때문에 일반적인 의사소통 상황에서도 언어 기능은 통합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특히 학문적 의사소통 상황의 언어 기능 통합 과제는 고도의 사고력과 인지적·초인지적 전략의 사용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유학생들에게 큰 인지적 부담이 된다. 따라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 언어 기능의 통합적 특성을 반영하여 교육적 과제를 구안하고 교육내용을 마련할 때 학습자들의 과제 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학습자들의 성공적인 학업성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 언어 기능 통합 교육의 필요성을 전제로, 대학의 학업과제 분석을 통해 언어 기능 통합 과제의 유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학문 목적 한국어의 교육내용 선정과 교육적 과제 개발 등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2장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의 개념을 고찰하고, 이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학문 목적 한국어의 대상과 범위를 한정하였다. 이어서 이 연구의 핵심이 되는 언어 기능 통합 교육의 개념을 살펴보고, 언어 기능 통합의 방법과 유형을 언어 교육 분야의 선행연구를 통해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언어 기능 통합 과제의 유형을 분석하기 위한 선행 단계로, 대학에서 학생들이 수행하는 학업과제를 문헌 고찰과 면접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로 학업과제를 크게 ‘강의듣기’, ‘토론 참여하기’, ‘실험·실습·현장학습 참여하기’, ‘보고서 작성하기’, ‘발표하기’, ‘시험보기’의 여섯 가지로 나누고, 각 학업과제에 대한 세부 과제들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각 세부 과제에서 사용되는 언어 기능을 추출한 뒤, 학문적 의사소통 상황에 나타나는 언어 기능 통합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3장에서 도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언어 기능 통합 과제의 유형을 통합되는 방식에 따라 크게 ‘동시적 언어 기능 통합 과제’와 ‘연속적 언어 기능 통합 과제’ 그리고 ‘장기적 언어 기능 통합 과제’로 나누고, 각각의 유형에 해당하는 과제들을 선별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그간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언어 기능 통합에 대한 논의가 ‘읽기·쓰기’에만 치우쳐 다양한 언어 기능 통합의 유형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에서 벗어나, 대학의 실제 의사소통 상황의 언어 사용을 분석하여 다양한 언어 기능 통합의 유형과 그에 따른 구체적인 과제를 살펴보았다는 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언어 기능 통합 과제를 수행할 때 사용하는 전략이나 세부 기술을 면밀히 밝히지 못했다는 것에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가 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핵심역량 중심의 통합적 국어과 수업 방안 연구 :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를 중심으로

        이여진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52415

        Starting with voicing remorse as a Korean teacher at a high school, this study aims to design a semester class that focuses on the integration of the Curriculum-Class-Assessment-Record with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2015. Until now,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high school mainly consisted of the preparation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for the problem-solving method. I emphasize that the direction of Korean education in the future should not only go in the direction that emphasizes the intellectual knowledge of learners, but also in the exercise of associating knowledge with their lives for the students to lead desirable lives. In this regard, this study focuses on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and presented achievement criteria to design high school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2015. According to textbook and curriculum analysis, the researcher examined the behaviors of the students and assessed their progression, which is to be the ground for integration of the Curriculum-Class-Assessment-Record. First of all, we will look at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2015 and its core capabilitie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And I would like to talk about Korean language subject in Korean high schools, class and process-oriented assessment methods that can foster students’ Korean language abilities and core competencies through activity-based classes that are compatible with high school students’ sentiment. There is no way to consider that students learn four different areas of speech,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separately. Reading, in particular, is the basic skill in any subject, and the plan for research and concrete activities begin with the idea that "literary works" can be accessed most easily without reducing students' interest. In this regard, four hierarchical activities were planned and conducted during a semester, consisting of students reading, writing, and oral debating based on literary works. And we thought about how we could evaluate students’ achievement in the course of class.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ffirmed the value of a process-oriented assessment by looking at what capabilities students can develop through both literature review and fieldwork.

      • 총체적 언어사용능력 신장을 위한 교실토론 수업 설계 방안 연구

        조선덕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36111

        21세기에 들어선 후 사회는 급변하고 교육의 패러다임도 변하고 있다. 최근 개정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기존의 학문 중심, 지식 중심, 기능 중심 교육에서 벗어나 역량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교육 내용을 구성하고,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사는 학생들이 교과 학습을 통해 미래 사회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실질적으로 함양할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해야 한다. 기존의 교육 패러다임에서는 언어 기능을 구분해 각 영역의 지식 습득과 기능훈련에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언어 기능은 서로 독립적으로 학습되거나 사용하는 것이 아니다. 언어활동의 총체성을 고려해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해야 미래 사회에 필요한 핵심 역량과 관련된 실제적인 언어사용능력이 신장된다. 본 연구에서는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 능력을 총체적으로 신장시키기 위한 교실토론 수업설계 방안을 모색하였다. 교실토론은 토론 전 이루어지는 ‘토론 준비 수업’에서부터 실제 토론을 수행하는 ‘토론 실행 수업’, 토론 후에 이루어지는 ‘토론 정리 수업’까지를 포괄하는 교육방법이다. 교실토론이 교과 수업에서 효과적으로 실시되기 위해서는 교사가 수업의 목적과 학습 목표에 따라 토론의 형식을 변형하며 수업을 설계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의 국어 교육 현장에서 교사가 언어활동의 총체성을 고려해 교실토론을 설계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핵심 역량과 토론 능력의 상관관계 를 살펴보고, 교실토론으로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 영역의 성취기준을 통합하여 달성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6개의 핵심 역량 중 4개의 핵심 역량이 토론 능력과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고,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언어 기능과 관련된 16개 성취기준 중 8개의 성취기준이 교실토론을 통해 통합적으로 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교실토론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면 8개 이상의 성취 기준을 연계하여 지속적으로 학습하면서 4개의 핵심 역량을 함양할 수 있다. 그리고 교사가 수업의 의도와 학습 목표에 맞게 토론 형식을 변형하여 설계할 수 있도록 토론 형식의 설계 원리와 구성 요소, 각 과정별 특징을 분석하였다. 토론의 개념에 내포된 목적성, 대립성, 규칙성, 상호작용성을 교실토론의 토론 형식 원리로 제안하였다. 토론의 구성요소는 의사소통의 구성요소인 ‘화자, 청자, 메시지, 맥락’의 요소에 대응해 ‘토론 참여자, 청중, 논제와 논증, 교실 환경과 토론 방법’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토론의 과정별 특징은 대표적인 토론 형식을 검토해 각 과정별 내용과 실행 방법, 언어사용의 양상 등을 규명하였다. 다음으로 토론 수업 설계 일반 모형을 변형해 교실토론 수업 설계 모형을 구안하였다. 구안한 교실토론 수업 설계 모형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일반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단계별 수업 설계 적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앞에서 검토한 교육과정 성취기준 통합 방향과 토론 형식 설계 방안을 고려해 수업 설계 모형에 따라 계획, 전략 개발, 평가 등의 단계별로 수업을 설계하는 과정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 설계된 수업을 토론 준비 수업, 토론 실행 수업, 토론 정리 수업 등 3차시로 이루어진 교수·학습 과정안으로 구현하였다. 본 연구는 단편적인 지식 습득의 국어 교과 수업에서 벗어나 실제 언어사용능력을 신장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상의 논의는 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이 교과 수업에서 교실토론을 설계하는 데 실질적인 지침을 안내하는 것으로, 교실토론을 통해 국어 교과의 영역별 학습요소를 통합하여 학생들의 학습 부담 경감과 학습 경험의 질 개선에 기여할 것이다. Entering the 21st century, society is changing rapidly and the education paradigm is experiencing transition too.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t is said that the curriculum should be centered on competency-based education by moving away from the established discipline-centered, knowledge-based and skill-based curriculum. Also it suggests the strategies of teaching-learning and the directions of evaluation. Therefore, teachers should be able to design and implement lesson plan in order to make students develop their core competence practically, which is needed for their future society, through subject learning.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improve student’s practical language expression ability to develop their core competence which is required for the future society. In the established education paradigm, language functions were divided independently,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skill-training of each function were the main objectives of instruction. However, language functions are not achieved or used independently. Thus, to improve practical linguistic ability, whole language activity should be considered when teachers design and implement lesson pl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olutions for a debate lesson plan to improve students’ whole linguistic ability through an educational method by employing active listening, peaking, reading and writing activity in an in-class debate. The classroom debate is one of the educational methods, which covers from ‘ preparatory hours for debate’ which starts before debate class, ‘actual in-class debate’ to ‘wrap up hours for debate’ which completes the lesson after debate. To conduct classroom debate in an effective way, teachers should be able to design their lesson plan by manipulating debate formats properl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instruction and learning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rrange solutions for designing in-class debates for secondary school Korean language teachers by considering whole language activities. For the purpose, first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re competence that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uggests and the debating ability is investigated through curriculum examination. Then, the possibility of achievement is investigated that achievement standards of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can be accomplished in an integrated way by classroom debate. As a result, it is observed that among six core competences, four core competences are very closely related to debating ability. Also, the result indicates that eight achievement standards among 16, which are related to linguistic functions i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re achieved through classroom debate in an integrated way. That is, it is observed that when students keep participating in classroom debates regularly, students promote their four core competences by learning and relating eight achievement standards constantly. Additionally, this study analyzes the designing principles and components of debate forma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urse to guide teachers to appropriately manipulate debate formats according to their instructional design and learning objectives. This study suggests the principles of purpose, confrontation, regularity and interactivity which are required for designing debate formats in classroom debate, based on the concept of debate. The components of debate are analyzed into debaters, audience, topics and reasoning, and classroom environment and debate methods, which is corresponding to the components of communication; sender, receiver, message and context. Also,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bate course, the content of each debate course, method of implementation, aspects of language use, etc. are investigated by examining debate formats in debate competition. In particular, the process of judgement is included in the process of debate so as to have educational effects. Next, this study elaborates the model for classroom debate lesson by manipulating general model.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designed classroom debate lesson plan, each stage’s application is explored with the class of the first grade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the lesson designing process of planning, strategy developing and evaluation by considering the integrated direction of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which are examined earlier and instructional design for debate formats. Accordingly, three teaching-learning lessons are demonstrated for a debate lesson; a preparatory hours for debate, actual in-class debate, and a wrap-up lesson. This study aims to seek solutions to improve students’ real language expression ability, not the ability of acquisition of fragmentary knowledge in the past Korean language class. The earlier discussion on designing in-class debate lesson would guide Korean language teachers in school to design their classroom debate instruction effectively and it also will lessen the burden of learning for students. Finally it will contribute the quality improvement of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