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상남도 소재 교육대학원 일반사회전공학과의 운영실태와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조사

        진현부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udent's understanding and their opinions on the educational affairs management and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course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Gysongnam province in Korea. For solving the research problems as above, the method of questionnaires is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vided in dimensions: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understanding the bachelor management, and understanding the degree and the acquisition of the certifications. Students in these questionnaires thought, in general, that the present teaching methods and direction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re suitable for it as an organization which awards a master's degree. They also insisted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hould perform the role of the re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y indicated various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the lack of full-time professors and the curriculum that too much focused on contents of each subjects as the three problem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On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y thought many various subject matters should be developed and ,in turn, they could get more opportunities to choose their favorite subject matters. Specifically, on the subjects of students' major, they hoped their subject matters should be deepened and supplemented as following order; the subject pedagogy, law, sociology, and politics. On the educational affairs management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y preferred the night schooling system more than the seasonal schooling system. In night schooling, they preferred evening time during the weekday as their the teaching hours than afternoon of Saturday. And they have positive attitudes on the credit system, completed credits, the term of study. On the articles and summative tests for their degree, they hoped these articles or summative tests would be substituted as the credit of their major subject matters or any form as the study report, considering their circumstances and conveniences. I have some advic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irst, the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of education should be organized according to students' needs. Second, the curriculum should be splitted as two ways; one for teachers in schools and another one for students who is not a teacher. Third, the condition for a degree should be managed flexibly, reflecting students' needs. Fourth, to make a better education environment, graduate students should join the class more actively.

      • 부산·경남 지역 교육대학원의 음악교육학 석사학위 논문(1995-2004) 분석

        김상희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79

        Though we live in the knowledge information-oriented era in the 21th century, it is difficult for researchers to find necessary materials quickly and accurately in the plethora of a number of musical materials. So, it is necessary for us to require the necessity of the secondary documentaries urgently and to analyze according to master's thesis related to musical education as informational materials of the research for music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helping for all people that have had interest in this field through the analysis of master's degree theses about musical education at six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Kyungnam university, Gyeongsang university, Kosin university, Dong-A university, Pusan university, Changwon university and also is for the organized development of musical education systematically and organizationally. I have studied the 324 theses submitted from 1995 to 2004. In the introduction ( chapter 1 ) of the theses, I collected materials that researchers had analyzed the trend of the master's theses for musical education and compared each of them, which is on the purpose of leading to more scientifically analytical methods. In chapter 2, this is for investigation the history of educational purpose, the present condition of foundation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understanding the nature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aking into consideration educational particularity. In chapter 3, I classified master's theses of musical education's thirteen fields and the others specifically and analyzed the trend of theses of musical education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s presenting domain- year analysis, school-domain analysis, school-year analysis as statistical results by each diagram. In the conclusion, this material is mentioned by results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is study. In the future, when researchers go on trying to challenge with progressive and creative attitudes, our musical education can have a firm foundation.

      • 국내 대학의 텍스타일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이지원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국내 텍스타일 디자인 관련학과의 교과목을 중심으로 하여 어떠한 교과목이 개설되고 있으며, 어떤 내용으로 강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본다. 또한, 교과목의 이론과 실기의 비중 및 디자인 요소에 의한 교과목의 편성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과거와 현재의 텍스타일 디자인 교육의 변화와 4년제와 2년제 대학의 교과목의 차이와 국내와 외국의 텍스타일 디자인 교육과 비교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국내 대학의 텍스타일 디자인교육은 미적 감각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 디자인 교육과 섬유 각 분야에 대한 실기교육, 텍스타일 CAD를 이용한 디자인 훈련 및 섬유의 성질, 직물 구조에 대한 이론적 교육과 마케팅에 관한 기본 지식을 제공함으로 섬유산업에 주도적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텍스타일 디자이너를 양성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었다. 그러나 각 대학마다의 독특한 전문성이나 특성을 찾아볼 수 없었으므로 앞으로 텍스타일 디자인 전공이 개설된 대학은 전문적인 텍스타일 디자이너를 배출하는 교육을 위해 각 대학마다 특성을 살려 특화된 교육과정을 개발, 운영하여 대학의 평준화와 획일화를 지양해야 한다. 그리고 교육방법에서는 이론을 바탕으로 한 실기교육이 증가하고 있었는데 이론교육에서는 디자인을 위한 기본적인 이론 교육뿐만 아니라 연계학문에 대한 이론 교육이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텍스타일 디자인 분야는 제품 생산에서부터 유통 판매에 이르는 전반에 걸친 창조적 활동분야임으로 텍스타일 공정 전반에 걸친 전문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교과목의 개설이 확대되어야 한다. 2. 현재 대학의 텍스타일 교과목의 변화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 경제 구조 및 산업현장의 변화에 대응 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여야한다. 그런데 과거에 비해서 현재의 대학은 전공 교과목의 수가 증가하였고, 전공 교과목의 학점 비중이 높아졌으며, 교과목의 구성이 좀 더 세분화, 전문화되고 있었다. 이론과 실기과목의 비중도 과거는 2:8에서 현재는 3:7로 이론과목의 비중이 증가했고, 디자인 요소에 따른 교과목의 비중도 심미성에 관련된 교과목의 비중이 낮아지고 상품성, 작업성과 관련된 교과목의 비중이 높아져 있었다. 이는 대학 교육이 예술과 창의성을 장려해야 하지만 텍스타일 디자인은 산업과 직결되므로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교육과정 및 교과내용의 끊임없는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그러므로 이상적인 텍스타일 디자인 교육의 방향은 산학협동을 통한 산업체의 공정과정과 대학 교육에서 예술적인 과정이 접목되어 예술성과 작업성을 갖춘 내용으로 실시되어야 한다고 본다. 3. 4년제와 2년제 대학의 교과목의 비교에서는 4년제 대학이 이론을 바탕으로 한 실기과목의 비중이 높았으며, 디자인 요소적인 차원에서는 작업성을 다룬 교과목의 비중이 2년제 대학보다 높았다. 이는 4년제 대학에 비해서 2년제 대학은 2년 과정으로 되어 있는 관계로 한 학기에 배정된 교과목이 많아서 한정된 짧은 기간 내에 보다 전문적인 교과내용을 교육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현재의 대학처럼 교육과정이 고정화되어 있지 않고, 교육과정을 순수예술 전문가 과정과 산업인력 전문가 과정 등으로 특성화시켜 전문화된 교육을 실시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방향에 따라 학교를 선택하고 학생 스스로 자신의 적성과 목표를 향해 나아갈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4. 국내에서 텍스타일 디자인과목이 개설된 역사는 섬유선진국에 비해 짧다. 하지만 교과목의 구성면에서는 섬유선진국에 비해 떨어지지 않는 것은 고무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대학의 경우 현대 산업에 필요한 인력 양성을 위해서 산업체와 더욱 긴밀한 연계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섬유산업체의 디자인 프로세서에 학생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산업체 현장의 전문가를 학교교육에 참여시킴으로서 실무와 대학 교육과의 차이를 줄일 수 있다고 본다. This research shows what kind of courses related to the department of domestic textile design are set up, and how the lectures are managed. Also, bias of subject by theory of subject and weight of practical skill and design component recognizes is some, and sequence that compare with design education to be texture another thing of change of design education and 4 years to be texture another thing of past and present and junior college difference of subject and domestic and abroad is as following. Textile design education of domestic universities targeted to cultivate designers who can lead the textile industry. However, there were no speciality among universities. Hence, universities or colleges that would found the department of textile design should develop its own curricula in order to raise professional textile designers and to prevent universities from being standardization and equalization. The curricula of the textile design have developed to foster students who can cope with the changeful economic frame and the industry. Universities have increased the number of requisite courses and more credits have been assigned to the major courses. In addition, the curricula have become more and more sophisticated. These changes mean that it is needed to create upgraded curricula which correspond to prevalent circumstances. Since colleges have limited time to educate a lot of courses compared to universities, it appears to be more difficult to instruct advanced ( or superior) courses than universities do. Therefore, course of study does not become ossification like 4 years junior college, and university executing education that is specialized doing specification in purity art expert process and industrialist power expert process students according to own course direction school select and that should derive so that can go forward for own enemy character and target by a student think. The history of textile design in Korea is shorter than developed countries. Nevertheless, it is admirable that curricula of textile design are not inferior to those countries. It is needed, however, for domestic universities to connect with industries more profoundly. It can be possible by making students practice more in the textile industry and specialist in textile industry instruct university students.

      • 교과 연계를 통한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 수업 방안 연구

        이화영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인공지능이 주도하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디지털 시대의 전환은 갈수록 빨라지고 21세기 들어 가속화된 세계화 흐름은 앞으로도 이어질 전망이다. 정보통신 분야의 혁신으로 지구촌 구성원들 간의 교류가 활성화되고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한 소통의 기회도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미래 사회에서도 상호 간의 소통을 위해 서로 다른 언어와 문화에 대한 공감과 폭넓은 이해가 더욱 중요해졌다. 중국어 교육은 학생들이 더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글로벌 마인드를 함양한 세계 시민으로 성장하도록 도와주며 학생들은 중국어 학습을 통해 자신과 다른 문화권 사람들의 가치관과 사유 방식, 생활 습관 등을 접하면서 타 문화에 대한 존중과 이해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나아가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갖춰야 할 기본적인 태도와 자질을 함양할 수 있다. 고교학점제의 도입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육계 대전환으로 2022 개정 교육과정은 변화된 상황을 적극 반영하여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의 목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해당 언어의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뿐만 아니라 중국 문화를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다양한 매체와 자료를 통해 해당 언어에 관한 정보를 조사·정리하고 상호 협력적인 태도로 정보와 의견을 교환하는 것이다.’ 21세기는 미래 교육으로 나아가는 과도기로서 교육 현장에서는 변화무쌍한 시대와 환경에 발맞춰 새로운 교수·학습 방안을 위해 연구를 거듭해야 한다. 외국어는 더 이상 언어기능과 지식습득을 위한 교수자 중심의 교육이 아니라 학습자 중심의 의사소통 능력과 언어의 배경지식이 되는 문화감수성을 함양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현 교과과정은 언어기능 위주의 학습에 머물러 있으며 교육과정 재구성과 학생 중심의 교수·학습을 위한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인재 양성을 위한 방안으로 교과 연계를 통한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의 실질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교과 연계 수업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본 다음, 교과 연계 수업에 관한 이론적 배경으로 교과 연계의 중요성과 교육과정 통합방법, 고교학점제의 도입과 2022년 개정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이론적 근거를 마련한다. 그다음으로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의 총 11종 교과서에 제시된 문화 내용을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교과 연계 수업에 적용 가능한 주제와 내용을 선정한 후, ‘날씨와 환경’, '길 묻기와 여행', '전통 공연 예술' 세 가지 교과 연계 주제를 가지고 교과 연계를 활용한 중국어 교과 프로젝트 교수·학습 방안을 구체적으로 설계한다. 실제 고교학점제가 시험적으로 도입된 고등학교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교과 연계 수업 방안을 설계하여 제시하고 수업의 과정과 효과에 대해 검토한 후 마지막 결론에서는 연구의 의의와 제언을 하는 것으로 마무리 짓는다.

      • 다문화 학생을 위한 동화 활용 한국어 읽기 교수 ·학습 과정안 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 다문화가정 학생을 중심으로

        김용근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농어촌지역 초등학교에 다문화 학생들의 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외국인 어머니와 한국인 아버지 사이에 태어난 다문화 학생들은 어려서부터 언어생활과 학습에 많은 영향을 받는 어머니가 외국인으로 인하여 한국어에 대해 충분한 지도를 받지 못해 한국어 읽기 능력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읽기의 경우는 단순히 국어 읽기 능력뿐만 아니라 문해력과 관련된 중요한 영역으로 한국인 어머니인 일반 학생들에 비해 다문화가정의 학생들은 의사소통 언어생활은 별문제가 없으나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읽기 능력이 다소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는 학교 교육의 문제를 일반 가정의 자녀들을 위한 교육뿐만 아니라 다문화 학생들을 위한 교육적 필요성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시작하였다. 그에 모든 학습에서 제일 중요한 읽기 교육력 신장을 위해 다문화 학생들에 맞은 수업안 즉 교수․학습 과정안의 필요성을 알았다. 한국어 교육의 읽기 교육방법을 교수․학습 과정안의 형식으로 하고 스키마 이론을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즉 동화를 활용하여 다문화 학생들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형식적으로는 한국어 읽기 과정인 읽기 전, 읽기 중, 읽기 후의 과정을 이용하고 내용적인 면에서 스키마 이론을 통한 기존의 국어 학습에 다문화 학생들을 위한 한국어 교수․학습과정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장은 초등학교 고학년 다문화가정 학생을 중심으로 다문화 학생을 위한 동화 활용 한국어 읽기 교수․학습 방안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연구의 방법과 선행연구 그리고 연구의 제한점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동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에 대해 논의로는 동화의 개념, 동화의 특징과 함께 동화의 한국어 교육에서의 가 치를 말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 읽기 교육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구체적 내용으로는 읽기의 개념과 특징, 읽기 수업의 구성, 읽기 교육의 필요성, 읽기 교육에 스키마 이론 적용에 대해 서술하였다. 다음으로는 한국어(KSL)와 초등한국어 읽기 성취기준 비교한 후 표준 한국어(KSL) 교재 읽기 활동을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다문화 학생의 한국어 교육에 수요 조사를 다문화 학생들과 다문화 학생의 어머니에 대해 조사하였다. 실질적인 교수․학습으로는 동화 텍스트 선정 기준과 목록을 제시하고 초등학교 교과서 5학년과 6학년 동화 텍스트 중에서 동화 텍스트 선정 기준인 길이, 구조와 사건, 삽화와 그림, 어휘, 흥미, 공감대에서 높은 점수를 얻은 작품인 『우주호텔, 『덕실이가 말을 해요』동화를 선정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선정된 동화를 통하여 교수․학습안 개요작성, 수업의 방향 제시, 교수․학습안 내용으로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하였다. 끝으로는 전체적인 결론을 제시하였다. ‘우주호텔’동화 텍스트에서는 글의 구조 속에는 글의 개념과 내용 사이의 관계를 말해주며, 주제나 내용에 따라서 특정 유형의 조직의 형태를 취하는 형식적인 스키마 이론을 바탕으로 구성하였으며,‘덕실이가 말을 해요’동화 텍스트는 사람들의 머리 속에 내장된 장기 기억으로서 선지식과 과거 경험 추상적인 것과 현실적인 것이 연관되어 읽기 자료를 이해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내용적인 스키마 이론을 통한 교수·학습과정안을 작성하였다. 본 다문화 고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동화를 활용한 읽기 교수․학습과정안이 실제로 보충 수업인 한국어 수업에 시행했을 때 다문화 학생들에게 활발하게 활용되고 한국어 읽기 능력 향상에 많이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본 연구는 새로운 보충 한국어 교수․ 학습 방안으로 제시하였으나 실제 읽기 수업에 적용 후 결과에 대한 분석이 없는 한계를 가진다. 이러한 교수․학습과정안을 실제로 다문화 학생들에게 교수․학습을 한 후 결과에 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주요어』 다문화 학습자, 동화, 읽기전 활동, 읽기중 활동, 읽기후 활동, 스키마 이론, 교수·학습과정안

      • 박물관 실감콘텐츠를 활용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감상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민다영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급진적인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변화하는 환경에 따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에 따라 최근 교육 분야에서 활발히 개발되고 있는 실감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며 디지털의 내용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교육인 디지털 스토리텔링 개념을 기반으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Ⅰ장에서는 연구 필요성과 연구 목적 그리고 연구 내용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Ⅱ장은 실감콘텐츠의 정의 및 특징과 유형,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정의와 교육적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박물관과 학교와 같은 교육 현장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실감콘텐츠의 사례를 분석하여 실감콘텐츠 활용의 한계와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모색해보았다. 여기에서 학교와 박물관 실감콘텐츠의 한계점을 상호 보완할 수 있는 방안으로 실감콘텐츠 활용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Ⅲ장에서는 분석한 이론을 토대로 실감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박물관 실감콘텐츠를 활용했지만 이를 학교 현장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학교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한 구제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박물관에서 실행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적, 방법적인 측면에서 적극적인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하였다. 학습자는 실감콘텐츠를 감상하고 유물에 대한 정보를 추측하는 활동을 통해 실감콘텐츠의 내용을 다시 상기시키며 추측할 수 있었고 추측한 내용을 스마트 폰으로 확인하는 과정에서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학습자들은 유물에 대한 이해가 충분했기 때문에 실감콘텐츠 내용을 바탕으로 박물관 유물을 활용한 이야기 제작을 하는 것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실감콘텐츠를 감상하고 자신의 생각을 글이나 그림으로 표현을 하는 과정, 디지털 기기를 활용하여 다양한 텔링의 방식으로 표현하는 과정, 시각적 결과물 공유를 하는 과정을 통해서 학습자들은 시각적 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넷째, 실감콘텐츠 속의 이야기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제작한 이야기를 디지털 기기를 활용하여 어떻게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는 자연스럽게 시각적 문해력이 향상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변화하는 시대에 대응하는 교육을 모색하고 그에 적합한 교수 방안을 제안한 데 의의가 있다. 이로써 학생들이 시각문화의 주체자로서 이를 올바르게 사용하고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慶尙南道 初等學校의 音樂 特技·適性 敎育 實態調査

        이유정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Today's society is faced with rapid changes into knowledge-informatization, specialization, and pluralism. Such social changes require talented professionals with diversity and creativity. So education should emphasize changes which can develop and improve individuals' talent and aptitude to the utmost to cope with new age. Today's educational reality is characterized by excessive extracurricular courses and public education that is losing its functions due to the focus on entrance exams based on knowledge. To solve this problem, the Ministry of Education brought private education out of school into public one within schools to reduce educational expenditure and implemented extracurricular speciality-aptitude education activities for music to make a field for whole-man education by helping students develop their talent and individuality.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actual condition of extracurricular speciality-aptitude education activities for music to determine how such activities are implemented. A survey on extracurricular speciality-aptitude education activities for music was conducted among 12 teachers in charge of speciality-aptitude education of music, 20 music instructors, and 599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 at 11 elementary schools in Jinju, South Gyeongsang Provi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and music instructors were keenly needing extracurricular speciality-aptitude education activities for music at elementary schools. Second, although the Ministry of Education offered extracurricular programs as a means of helping parents reduc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by bringing private education out of school into public one within schools,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music instructors in Jinju rarely made positive responses to reduction in private education fees. Third, extracurricular speciality-aptitude education activity programs for music concentrated on the wind music. Fourth, incumbent teachers somewhat agreed that 'it is difficult to employ a competent instructor.' Fifth, it is necessary to be equipped with learning tools or musical instruments necessary for extracurricular speciality-aptitude education activities for music. Sixth, it is necessary to secure classrooms solely for music. Like all educational activities, success of educational activities cannot be determined by efforts by only one part of schools, teachers, instructors, parents, or students. Interest and help by people concerned in all educational activities will be able to provide better instruction and ideal 'good instruc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assist extracurricular speciality-aptitude education activities for music.

      • 사다리타기 게임의 수학적 원리 및 함수에 대한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이승훈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Historically, the concept of a function has been developed into the concept of today's abstract and logical functions by mathematical necessity, starting with an intuitive idea to observe the movement and changes of objects, and functioning to understand various real situations or to integrate the fields of mathematics. In this process, as various aspects of functional thinking are implied, abstracted, and formalized, it is difficult for students today to understand the notion of functions.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mathematical principles of ladder games, examine the parts of function units related to ladder games in the 2015 revised secondary curriculum, and pres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functions. In the 1st session, the ladder game was mathematically formulated to express it as a permutation, the existence of a ladder game corresponding to a given permutation, how to draw a ladder game for a given permutation, and the nature of ladder game was analyzed. In the 2nd session, using the ladder game,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of the function is presented. The meaning of one-to-one functions, constant functions, composite functions, and inverse functions is easily and interestingly introduced through specific examples of ladder games.

      • 학교숲을 활용한 생태미술 교수-학습 방법 연구

        양진실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모두가 지구 공동체의 일원이라는 소명 의식을 바탕으로 환경적·사회적·문화적 이슈를 다루는 생태미술교육(Ecological Art Education)은 과거 근대사회의 과오였던 인간중심주의를 반성하고 이후 후대를 살아갈 모든 생명체를 위하여 삶의 기반을 보존하는 지속가능성에 의미를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지구의 환경에 관심을 가지고 예술 활동을 전개해온 예술가들의 작품 및 작업 과정을 고찰하여 실제로 생태미술이 중등 미술교육 현장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예비작업으로 다양한 생태학적 논의를 살펴보았다. 생태론을 우선적으로 검토하는 이유는, 생태학적 논의가 제기하고 있는 문제들이 앞으로의 생태미술이 드러내고 짚어나가야 할 예술적 논점들이 되기 때문이다. 생태론의 공통 결론은 환경뿐만 아니라 자연-인간 사이의 문화적 요소가 함께 고려될 때 전지구적 생명체의 삶이 더 풍요로워질 수 있다고 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생태미술의 특성과 생태적 예술 작품 사례를 생태론에 입각하여 고찰하여보고 생태미술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지도안으로써 제시하였다. 첫째,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근원적 사고의 전환을 이끄는 수업이 요구된다. 학습자와 숲을 걷는 활동을 통해 ‘나와 자연’의 관계를 재정립하고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관계에 대해 이해해본다. 둘째, 치유적 행동을 이끄는 영성적 접근이 필요하다. 학생들은 생명의 순환이라는 관점을 조형요소로 풀어내 보며 개인의 경험이 유한한 생명체계로서 시각적으로 드러나는 과정을 새롭게 경험하게 된다. 셋째, 결과적으로 공동체의 진화로 나아갈 수 있는 수업이 되어야 한다. 학생들은 환경문제의 해결과 관련하여 사회문제를 드러내는 과정을 통해 우리 사회 또한 자연의 한 부분임을 인식하고, 나아가 다양성과 다문화적인 동반자의 윤리를 발견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생태미술이 학습자에게 전일적 맥락으로 세계를 바라보는 시각을 형성하고, 학습자가 살아가는 장소와 주변 환경에서 자아실현을 경험하는 체험을 제공함을 밝힌다. Ecological Art Education, which is dealt with environmental, cultural and social issues based on everyone is one of responsibly ‘Earth Community’, reflects on anthropocentrism in the worst past and be meant to be sustainable for all creatures in the future to preserve foundation of life. The study considers artwork processes of artists who are interested in earth environment, which makes the goal to accomplish ecological art in practice. It is required to search a variety of ecological discussion. The reason which is examined logic of ecology preferentially is that the problem of ecological discussion has become ecological issues that ecological art needs to be revealed and expressed. Communal conclusion of ecological logic is that virtual life of global organism could be productive when not only environment but also cultural element between nature and human co-exists in a full-time paradigm. The paper suggested considering concept and feature of ecological art with artists’ artworks for instance based on logic of ecology, which could guide the promising perspective for ecological art. Firstly, it is required to change thought by the roots on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Learner reestablishes relationship between me and nature through activities during walking around School forest, which helps understand harmony relation between nature and human ultimately. Secondly, it is demanded spiritual approach which leads to healing behavior. Students could apply a formative element using a point of life circulation and experience a new visual process with individual experience as a finite creature. Thirdly, they should proceed to evolution of community in conclusion. Students are able to recognize that our society is a part of nature through identifying interest with social structural conflict and find out diversity and ethics of multicultural partner. The point of this study reveals that ecological art makes up global perspective for learners with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that they could find and experience existence of life around their living area and surrounding environment.

      • 대학생 진로인식 및 진로교육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대학 진로교육 개선 방안 연구

        조지현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career education based on analysis of awareness and the program of undergraduate’s career education. 1,322 graduates answered 2022 G-university survey for career awareness and the programs preferring to participate in. The result was analyzed and differences in gender, grade, major field were found out.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undergraduates’ having more chances to understand themselves and collect information related with their major through better career exploration programs. Second, improv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not to postpone the period of the future career decision. Third, supporting proper programs according to personal career preparation levels. key words: career education, awarenes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