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사회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편견과 변화에 관한 연구 - 국적과 종교를 중심으로

        홍석기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95

        다문화사회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편견과 변화에 관한 연구 - 국적과 종교를 중심으로 홍 석 기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다문화교육 전공 (지도교수 박 선 운) 본 연구는 다문화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을 살펴보고, 다문화 수업이 학생들의 편견 감소를 비롯한 다문화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것 에 목적이 있다. 초등학생이 갖는 편견의 경우 직접 경험한 불안함이나 공포보다는 소셜미디어를 비롯하여 여러 대중매체와 같은 외부적 요인에 의해 형성된다는 특징 이 있으며, 다양한 사회적 경험이 없는 초등학생이 외국인의 생김새에 대한 농담, 피부색에 대한 농담, 종교, 국적, 성 소수자에 대한 혐오 표현을 스스럼없이 하는 경우가 있다. 초등학생 시기에 무의식적으로 뿌리내린 편견은 사춘기를 지나 성인 기로 접어들면서 지속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지닌 편견의 양상과 원인을 살펴보고 적절한 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 청주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1명을 대상으로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과 다문화 수업을 연계 한 6차시의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하였다. 먼저,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한국인, 외국인, 이슬람교 및 무슬림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과 감정을 살펴보았 으며 그 속에 녹아있는 편견을 찾아보았다. 이어 학생들의 편견 감소 및 다문화 인 식 함양을 위한 다문화 수업이 진행되었으며 학생들의 변화된 생각을 포토보이스 방법을 활용하여 다시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을 통해 살펴본 다문화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 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등학생들은 한국인의 특성을 구분하는데 생활‧문화적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그러나 이의 근저에는 한국인으로서 지녀야 할 법‧제 도적 요소와 생물학적 요소를 강조하고 있는 학생들의 생각이 기반이 되고 있었다. 이러한 생각은 다문화 수업 후 한국의 역사와 전통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바뀌었다. 둘째, 초등학생들은 외국인의 특성으로 미국인으로 대표되는 서구 백인의 이미 지를 제시하였다. 영어를 사용하고 햄버거와 같은 음식을 즐기며 이국적인 외모를 가진 존재라고 생각하였다. 다문화 수업 후 초등학생들은 외국인의 다양성을 인정 하는 생각을 드러내었으나 남학생의 경우에는 아직 인종적 편견을 드러내었다. 셋째, 이슬람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과 감정은 기쁨, 놀라움, 무관심, 회 의적인 시각으로 드러났으나 이슬람교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나 지식은 나타나지 않 았다. 이는 이슬람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배경지식이 부족한 것이라고 추론되었다 다문화 수업 후 초등학생들은 한국 사회의 무슬림을 이웃으로 받아들이고 그들의 아픔과 고통에 공감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교육을 위해 향후 초등학교에서 어떠한 변화가 필요한지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첫째, 다양한 다문화 경험이 필요하 다. 정치, 지리, 경제적 경계를 뛰어넘어 다양한 문화에 대해 올바른 정보를 바탕 으로 배우고 공부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내에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제2외국어로 서 영어만을 강조하는 학교 교육과정에도 개선이 필요하다. 다양한 외국어 교육을 비롯하여 영어가 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과의 대화를 위한 도구라는 점을 강조할 필 요가 있다. 셋째, 초등학생들에게 이슬람을 비롯한 다양한 종교, 문화적 배경을 가 르칠 수 있도록 교육과정 내용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종교에 대해서 배 울 수 있는 다문화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청소년기 시절에 형성되는 잘못된 정보로 인한 편견이나 차별에 대항하고 올바른 다문화 의식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다문화 인식, 다문화 구성원, 한국인, 외국인, 이슬람, 편견, 다문화 교 육 홍석기 다문화교육전공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초등 사회과에서 답사를 활용한 지역사 수업 방안: 청주 지역을 중심으로

        김경주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95

        현재 교육과정에서는 제도사 보다 생활사와 문화사를 강조시 하고 있지만, 교과서가 국가 제도사 중심으로 되어 있다 보니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예전과 크게 다르지 않게 역사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학생들은 교과서에 자주 언급 되는 지역과 국가의 수도를 중심으로 역사를 배우게 되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역사와 국가사를 별개로 여기게 된다. 여러 교육청에서도 이런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어, 경기교육청에서는 지역 향토사 교육 활성화 조례(2019), 전라남도교육청에서는 지역 역사 교육 활성화 조례(2019), 강원도교육청에서는 향토사 교육 활성화 조례(2020), 충청남도교육청에서는 향토사 교육 활성화 조례(2020)를 만들어 지역사 교육을 활성화하려고 하고 있다. 본 연구자가 재직하고 있는 충청북도교육청에서도 향토사 교육 활성화 조례(2020)를 만들어 충청북도 내 학생들의 지역 고유의 역사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지역에 대한 애향심과 자긍심을 고취하려고 하고 있다. 하지만 3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초등용 사회과 도움 자료 『우리 고장 청주』를 제공하고 있는 정도로 끝이 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지역사 교육에 도움이 되기 위해 답사 수업이라는 방법을 이용하여 지역사 수업을 할 수 있는 수업 방안을 만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지역사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와 답사 활동에 대한 연구, 청주 지역사 교육 연구 순으로 알아보았다. 둘째, 문헌 연구를 통해 이론적 배경이 될 지역사 연구에 대한 개념과 역사적 사고력을 정리하고,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답사 수업 방법에 대해 탐구하였다. 또한 청주시지를 활용하여 청주 지역사를 정리하였다. 셋째,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사 영역 부분과 3학년 사회과 도움 자료 『우리 고장 청주』와 국정 사회 교과서 역사 부분을 이해 및 정리하였다. 넷째, 수업 구상을 통해 사회교과서 속 한국사와 청주 지역사를 연계하여, 인물, 축제 등과 관련있는 역사적 장소에 대한 답사 수업 방안 17차시를 마련하였다. ‘문의 문화재 단지, 청주국립박물관, 신봉동 고분군, 백제 유물 전시관, 용두사지 철당간, 고인쇄박물관, 흥덕사지, 금속 활자 주조 전수관, 초정행궁, 청주 향교, 청주 읍성 터, 최명길 묘소, 청주 척화비, 덕촌리 독립운동가 마을, 한봉수 의병장 사적지, 손병희 유허지, 신채호 사당, 고은리 전투지, 상당공원 내 4·19 기념탑’을 선정하여 답사할 수 있는 수업 방안을 구상하였다. 이 답사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역사적 사고력이 신장되기를 바라며, 각 수업 의도에 역사적 사고력 신장 방법도 밝히었다. 역사적 사고력 영역은 최상훈(2000)을 참고하여 연대기 파악력, 역사적 탐구력, 역사적, 상상력, 역사적 판단력으로 구분하여 각 수업에서 신장할 중점 사고력을 정하였다. 이런 지역사 답사 수업이 교육과정에서 말하는 ‘생활·문화사’ 중심으로 진행되는 역사 수업의 방향과 맞을 것이다. 또한 미국과 독일을 중심으로 하여 전세계적으로 쓰이고 있는 공공역사(비전문가 대중을 위해 역사를 대중적 방식으로 다듬는 일)의 개념과도 일맥상통한다고 생각한다. 이런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지역에 대한 주인의식을 가지고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실제 수업 실행 연구가 아니라 수업 방안을 제안하는 연구다 보니 실제 수업의 상황에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17개의 답사 수업을 모두 다 답사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몇 곳을 선정하여 진행하길 바란다. 그리고 청주 지역에 더 좋은 답사 장소가 있을 것이다. 그런 장소가 발굴하여 서로 공유하여 지역사 교육 환경이 좋아지길 바란다. ‘민’을 중심으로 한 지역 생활사 답사 수업을 만들고 싶었지만 국가사와 연계한 지역사 답사 장소를 찾았다는 한계가 있다. 더욱 지역사 중심의 답사 수업에 대한 연구를 지속해 나갈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역 관계 부서에서는 지역사 답사 장소를 발굴하고 정비해나가고, 교육청에서는 지역사 답사 수업을 실행하는데 어려움인 학생 안전 문제에 대하여 해결해 주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SCIS 프로그램을 履修한 學生들의 科學 選好度 變化 및 進路 調査

        金允求 청주교육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95

        1967년부터 청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교수들(김상옥, 김영대, 문찬호, 김윤걸, 최병문, 조선형)과 교육과 교수(박태우), 청주교대부설초등학교 과학 담당교사(이부영 외) 및 외국인(평화봉사단 Neil Woodruff)으로 구성된 과학교육연구회 회원이 중심이 되어 미국 California 대학교 Berkeley Team(팀장 Karplus, 1965)이 개발한 SCIS(Science Curriculum Improvement Study) Program의 교재를 번역하고, 실험 기자재를 1개반용을 구비 또는 제작한 후 1968년도 청주교육대학교 부설초등학교 1학년에 입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1개반은 실험반, 1개반은 통제반으로 편성하여 SCIS Program 초등 과학 내용을 학생들이 상급학년으로 진급하여 올라감에 따라 1972학년도 5학년까지 5개년간 적용 연구를 했다. SCIS Program으로 학습한 당시의 효과에 대해서는 많은 선행 연구 결과가 나타나 있지만 그들이 졸업한 후부터 사회에 진출한 상황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는 편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5개년간 SCIS Program으로 학습 받은 학생들의 당시의 학업 성취도와 졸업후의 진로를 추적·연구하여 30여 년이 지난 지금 그들이 어느 분야에서 국가에 공헌하고 있는지와 과학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CIS Program이 당시 문교부 고시 과학교육과정하의 학업성취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는 분석결과를 얻었다. 둘째, 초등학교에서 SCIS Program을 학습한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선호도는 중·고등학교를 거치면서 감소했다. 셋째, SCIS Program이 졸업생들의 고등학교 및 대학교의 진로선택에는 많은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넷째, SCIS Program을 학습한 학생들의 경우 많은 과학적 경험을 통해 과학적 사고 능력과 과학개념 형성, 그리고 중학교 진학후 과학과 학습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다섯째, SCIS Program을 수행한 학생들의 사회생활이나 현 직업을 선택하는데 많은 영향을 끼치진 못했다. 이것은 SCIS Program이 학문중심교육과정(제3차 교육과정)에 영향을 준 실생활에서의 문제해결과는 유리된 교육과정이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로 얻은 결론을 통해 현대 초등과학교육의 발전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제 7차 과학교육과정 시간편성의 재검토와 그 학습내용의 축소가 필요하다. 둘째, 일선 학교에서 과학적 문제해결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평가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초등학교와 중등학교 및 대학을 연계하는 과학교육과정 program이 필요하다. 넷째, 졸업생들에 대한 꾸준하고 지속적인 추적 조사 연구가 필요하다. In 1967, the science of education study group was organized by the science faculty members whom were prof. Kim, Sang-ok, prof. Kim, Young-dae, prof. Choi, Byung-mun, full time lecturer Cho, Seon-hyeong(joined in 1970), full time lecturer Moon, Chan-ho(joined in 1972), Prof. Kim, Yun-gerl(joined in 1975) and prof. Park, Tae-woo at Dept. of Education at the Chongju National Education College. The others were teacher Lee, Bu-young at the Attached Elementary school of Chongju National Education College and Neil Woodruff, a United States Peace Corp member in 1970. They imported the Science Curriculum Improvement Study(SCIS, Berkeley team head Karplus, University of California, 1965) program materials which were textbooks, teachers guides, teaching materials and others in 1967. And then We translated the SCIS textbooks and the teacher's guides and the teaching materials manuals on korean language, and prepared or bought teaching materials for one class. The study group put the SCIS program materials into experiment classroom in attached primary school of Chongju National Education College, step by step, from first to fifth grade which class were nether changed and nor mixed for 5years from 1968 to 1972. In 2002 and now after 30 years have passed, the author studies the trace research according to students who learned in the SCIS science curriculum in primary school, but too many years passed to analyzed things at that time.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CIS Program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to improve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under the National Curriculum at the time. But the program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the ability of scientific thought and the formation of scientific concept which was supported by the previous researches. Second, for the students who were experienced in the Program became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ents' preference of science decreased. Third, the SCIS Program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f the students' decision of their high school or university course after elementary graduation. Fourth, the SCIS Program had an effect when the students who had formed the ability of scientific thought and the scientific concept, and experiencing in the Program learned middle school science. Fifth, the SCIS Program didn't have an influence on the decision of job and social life of the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the SCIS Program. It was showed the Third National Curriculum which had been effected by SCIS Program was a disparate curriculum on the problem solving of real life.

      • 앱을 활용한 인성교육 기반 초등 진로 교육 연구

        최재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95

        앱을 활용한 인성교육 기반 초등 진로 교육 연구 최 재 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윤리교육 전공 (지도교수 김 근 호)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비대면 교육으로 인한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코로나19 시기 비 대면 교육이 교과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은 축소되거나 형식적인 교육에 그쳤다. 또한,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이 일부 공통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 성교육과 연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다. 그리고 초중고 학생 들에게 1인 1 기기가 보급되고 있음에도 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는 진로교육 앱이 부족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연계를 통한 효과 적인 진로교육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수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는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개념을 바탕으로 두 교육의 관련성을 밝히고, 인성교육 과 진로교육에서 ‘자존감’과 ‘공동체 의식’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며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밝힌다. 또한 국내 진로교육 현황을 살펴보며 진로 연계 교육과 앱 활용 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이 ‘자존감’을 기르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며 다양한 직업과 분야를 경험할 수 있도 록 인성 기반 진로 교육 앱을 개발하고 교수 학습과정안을 만들어 수업에 활용한 과정을 소개한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방법은 앱을 활용한 수업 중 학습지, 설문조사, 참여 관찰 을 활용하고 효과성 검증을 위해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 한 자존감 측정 방법으로 Rosenberg(1965)가 개발한 자존감 척도를 이훈진과 원호 택이 번안한 한국판 척도 10문항을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긍정적 자존감 5문항과 부정적 자존감 5문항으로 전체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Likert식 5점 평정을 따르고 있다. 측정 결과 분석을 위해 IBM SPSSStatistics27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 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α계수를 산출하였다. 둘째, 표본이 N≤30 이므로 정규분포의 검증을 위해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셋째, 실험군의 앱 활용 전과 후의 자아존중감 척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인성교육을 바탕으로 한 진로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가 치관을 바르게 이해하고, 진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며, 자존감을 향상하 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중요성을 느끼 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된다. 나아가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 활용 교육은 학생들이 진로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고, 진로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 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의 개발이 필요하다. 연구의 제한점은 초등학생 6학년 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소규모 연구라는 점이 다.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대상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다양한 학년과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 여, 앱의 효과를 보다 종합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연계를 통한 효과적인 진로교육 방법을 개발하 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의 개발과 보급이 이루어진다면, 초등학생들의 진로 설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끝으로 인성교육을 연계한 효과적인 진로교육 방법을 개발 하기 위한 연구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주요어: 진로교육, 인성교육, 인성교육 연계 진로교육, 자존감, 공동체 의식, 앱 활용 교육 ※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초등 사회과 지역화 학습을 위한 프로젝트 수업의 설계 및 실행 : 통합 청주시 지역을 사례로

        기성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논문은 학생들의 생활공간에 근거한 지역화 학습을 위하여 2014년에 새로 출범한 ‘통합 청주시’ 지역을 주제로 프로젝트 수업을 설계 및 적용하여 그 효과를 밝히고자 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사회과 지역화 학습 현장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돕고, 주제 중심의 지역화 학습에 참여함으로써 평소 지역화 학습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학생과 교사에게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먼저 사회과 교육과정의 지역화의 정의와 사회과 지역화 학습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지역화 학습을 실천하기 위한 교수-학습과정 재구성의 기초가 될 이론적 배경으로 프로젝트 수업의 개념, 특성, 과정을 분석하였다. 또한 지역화 학습에 프로젝트 수업이 가지는 의의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를 통해 다양한 활동 중심의 통합 수업이 가능한 교육적 방안이라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지역화 학습을 위한 프로젝트 수업을 다음과 같은 과정에 따라 설계하였다. 첫째,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각 단원 주제의 목표를 분석하였다. 둘째, 지역화 학습에 적합한 주제와 관련이 있는 사회 교과서와 지역화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여 학생들이 거주하고 있는 ‘통합 청주시’ 지역과의 연관성 정도를 알아보았다. 셋째, 본 프로젝트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지역에 대한 관심 수준과 기본적인 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조사를 실시하였다. 넷째,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프로젝트 수업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다섯 가지 원칙을 선정하였다. 다섯째, 설계의 기본 원칙에 따라 총 2개의 수업주제와 각 수업주제와 연결되는 8개의 활동주제를 선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각 활동주제 수업의 설계안을 작성하였다. 이에 따라 ‘통합 청주시’ 지역을 사례로 설계된 프로젝트 수업은 총 8개의 활동주제로 실시되었다. 여기에 수업장면을 동영상으로 녹화하여 분석하는 과정을 통한 수업반성, 학생들에게 프로젝트 수업 전·후로 실시한 설문조사, 프로젝트 활동 결과물, 개별면담 등을 통해 다음과 같은 프로젝트 수업의 실행 결과를 얻었다. 첫째, ‘통합 청주시’를 주제로 실행한 프로젝트 수업 결과, 학생들은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우리 지역에 대한 관심과 흥미도가 높아졌다. 둘째, 프로젝트 수업 이후 학생들은 ‘통합 청주시’에 대해 새로 알게 되거나 이전보다 자세히 알게 된 내용들이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젝트 수업 결과, 학생들이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해 자랑스러워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프로젝트 수업 과정에서 학생들이 다양한 표현활동에 참여한 것이 교육적으로 의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프로젝트 수업 이전보다 ‘통합 청주시’ 지역에 대해 소개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학생들의 생활공간을 주제로 설계된 프로젝트 수업은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활동이었다. 둘째, 프로젝트 수업을 적용한 지역화 학습은 학생들이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한 관심도나 애향심을 높여주는 데 도움이 되었다. 셋째, 프로젝트 수업과정에서 이루어진 학생들의 표현활동이 교육적으로 의의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가 초등학교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사회과 지역화 학습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라며, 통합 청주시에서 생활하는 학생들이 지역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는 자료로써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 문제중심학습 기반 생성형 AI 활용 교육이 초등학생의 AI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조진오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79

        문제중심학습 기반 생성형 AI 활용 교육이 초등학생의 AI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조 진 오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정보․로봇전공 (지도교수 김 동 호) 과거 상상 속 창작물이었던 인공지능이 이제는 우리 생활 속에서 쉽게 찾아서 활 용할 수 있는 것이 되었다. 급격한 인공지능의 발달로 인해 사회 전반적으로 큰 변 화가 일어나고 있다. 사진기가 발명되기 전에는 기록을 남기기 위해 화가의 정밀 묘사능력이 중요하였지만 사진기의 발명으로 인해 화가들의 묘사능력의 중요도가 떨어진 것처럼 이러한 사회 변화 속에서는 현재 중요하게 여겨지는 능력이 외면받 기도 하고, 새로운 능력을 필요로 하기도 한다. 따라서 교육 또한 사회 변화에 발 맞추어 변화할 필요가 있다. 최근 인공지능 교육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인공지능 발달의 최선두에 서 있는 생성형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위한 문제중심학습 기반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교육 프로그 램을 개발 및 적용한 후 인공지능 리터러시와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 프로그램을 위해 현행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인공지능 내용 요소들을 추출한 후 문제중심학습 모형의 절차에 따라 총 16차시의 생성형 인공지 능 활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텍스트, 이미지, 음악 등 다양한 생성형 인 공지능 활용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세 가지 문제를 중심으로 구성하였으며 국어, 미술, 음악, 사회 교과에 활용하였다. 그리고 6학년 학생들을 상대로 교육을 실시 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인공지능 리터러시 와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모두 유의미한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생성형 인공지능을 다룬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 개 발되어 학생들이 생성형 인공지능을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확장되기를 바란다. ※ 본 논문은 2023년 1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메타버스 기반 마을자원지도(VRM)를 활용한 학교-마을 연계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최종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79

        메타버스 기반 마을자원지도(VRM)를 활용한 학교-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최 종 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인공지능융합교육전공 (지도교수 김 동 호)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버스를 활용한 보은교육지원청 마을자원지도 자료를 개발하 여 보은지역 초등학생들의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의 기회를 넓히고 디지털 시대 의 메타버스 리터러시가 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아래와 같이 구체적인 연구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메타버스 기반 마을자원지도를 활용한 학교-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하여 적용할 수 있는가? 둘째, 메타버스 마을자원지도 활용 교육프로그램이 학습자의 메타버스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할 수 있는가? 셋째, 메타버스 마을자원지도 활용 수업이 교사의 학생 교육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할 수 있는가?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충청북도 보은군 소재의 H초등학교 5~6학년 15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자는 교육지원청 소속 직원으로 학생들을 직접 지도하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보은지역 H초등학교 5~6 학년 담임선생님들의 협조 아래 실험집단을 선정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 보은지역 메타버스 마을자원지도 플랫폼 활용 교육의 적절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학생들에게 적용했을 때 메타버스 리터러시의 변화를 측정하고자 하 였다. 먼저 분석-설계-개발 단계를 거쳐 초등학생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마을자원 지도를 활용한 학교-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프 로그램을 적용한 후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학습효과를 분석하였다. 총 7주 동안 17차시로 학생들에게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메타버스 리터러시 검사 도구는 김연진(2022)이 개발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메타버스 리터러시를 메타버스 이해, 메타버스 접근, 메타버스 활용, 제작 및 공유, 의사소통 및 협업, 메 타버스 윤리 6개 하위 요인으로 나누어 Likert 방식의 5점 척도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타버스 마을자원지도 플랫폼 개발로 학교-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이 가 능하였다. 메타버스 플랫폼의 발전적 특징을 활용하여 수업의 도구로 활용하고자 구현하였고 이를 교육프로그램으로 체계화하여 지역 연계형 학습 경험이 가능하였다. 둘째, 실험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결과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통 계 분석 결과 메타버스 리터러시 측정 영역인 메타버스 이해, 메타버스 접근, 메타 버스 활용, 제작 및 공유, 의사소통 및 협업, 메타버스 윤리에 대한 6개 영역에서 모두 평균 점수가 상승하였고 유의미한 변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메타버스 기반 마을자원지도가 교사의 학생 교육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 었음을 확인하였다. 프로그램을 수업에 적용한 교사들은 학교-지역 연계 교육프로 그램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었다. 이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하여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메타버스 기반 마을자원지도를 활용한 학교-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은 어느 특정 지역의 소수 집단을 대상으로 적용한 것이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 서는 지역과 대상의 확대가 필요하다. 또한 인터넷 환경과 스마트 기기가 준비된 환경에서의 적용이므로 초등학교 전 학년과 디지털 교육에 준비되지 않은 환경도 고려하기 위한 방법적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 활용한 메타버스 플랫폼은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한 프로그램 개 발로 비용적인 부담이 크다. 일부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하였지만 지역 자원 전체 를 메타버스에 담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교육청-학교-지자체의 협력적 연구 및 개 발이 중요하다. 셋째, 메타버스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와 에듀테크 활용,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 한 이해와 교육과정 재구성 등 지역화 교육과정, 교사 교육과정이 확대되는 교육의 흐름에 따라 교사들이 메타버스 플랫폼을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연구 와 지원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주요어: 메타버스, 메타버스 리터러시, 메타버스 마을자원지도(VRM), 학교-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 학교-지역 공동교육과정 ※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본 논문은 2023. 9. 충청북도보은교육지원청 학교지원센터 지역협력팀에서 개발팀을 구성하여 개발 및 적용함.

      • 농촌형 소규모 초·중 통합학교 교사의 학생생활지도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조복형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79

        농촌형 소규모 초․중 통합학교 교사의 학생생활지도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조 복 형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상담교육 전공 (지도교수 이 재 용) 이 연구는 초·중 통합운영학교 교사의 학생생활지도 경험에 관한 질적 사 례연구이다. 통합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는 생활지도를 어떻게 하는지 그 과 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초·중 통합학교 교사들의 생활지도 경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 초등교사, 중등교사, 관리자 그룹으로 나누어서 총 18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 정하였다.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진행되었고, 사례 내 분석, 사례 간 분석을 통해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농촌형 소규모 통합학교 교사들은 서로 다른 생활지도 기준과 내용, 학년 별 생활지도 특성 등 통합운영학교 생활지도에 대해서 서로 다른 경험을 가 지고 있었다. 초등교사는 활동마다 세세한 기준을 정해서 생활지도를 하는 점과 중등교사는 울타리만 쳐 주면 그 속에서 자율성이 생기면서 학생들이 관리되는 점을 통합학교 생활지도에서 색다른 경험이었다고 한다. 초·중학 생들이 함께 참여하는 풍성한 교육 행사 결과를 보고 부정적이었던 통합운 영학교에 대한 생각이 긍정적으로 바뀌고 있었다. 통합학교 교사들은 학생 정보공유로 수월한 생활지도, 다양한 학생들이 서로를 통해 배우면서 성장하는 모습을 경험하고 있었다. 공동프로그램 운 영으로 학생성장을 지원하고 충분한 활동 공간을 제공하여 교사간 갈등을 줄여야 하는 점이 통합운영학교를 피할 수 없는 상황에서 공동 생활지도의 중요성은 함께 풀어야 가야 할 과제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통합학교 교사들 은 학생들 생활지도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단계에서 초·중 통합학교 생활지 도를 연계하여 공동 성장에 대한 적극적인 기대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바람직한 초·중 통합학교 학생생활지도를 위해서는 현대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상에 맞는 생활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합학교 교사들 다양 한 상호작용에 관한 분석과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어: 농촌형 소규모, 초․중 통합운영학교, 학생 생활지도 경험, 질적 사례연구 ※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ADHD 아동의 학교적응을 위한 다면적 상담사례연구 : 다면적 상담사례연구

        권미영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79

        ADHD 아동의 학교적응을 위한 다면적 상담사례연구 권 미 영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상담교육 전공 (지도교수 김 은 향)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학교적응을 위한 다면적 상담 사례 연구이다. 이를 위해 담임교사인 연구자가 내담자의 부모와 학급 학생들과 협력관계를 맺고 다면적 지원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내담자 대상의 개인 상담과 부모교육 및 상담, 학급 차원의 교육적 개입을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면적 상담은 ADHD로 인한 과잉행동, 충동성, 부주의 완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다면적 상 담은 ADHD 아동의 학교 적응에 효과가 있는가? 연구 대상은 ADHD로 진단받은 초등학교 4학년 아동으로 또래와의 관계에 어려움 을 겪고 있으며, 학교 활동에 원만히 참여하지 못하는 등 부적응 행동을 보였다. 연구자는 내담자의 어려움을 개선하고 학교적응을 돕기 위하여 부모와 학급 학생들 과의 협력체계를 바탕으로 다면적 상담을 설계하였으며, 약물치료와 함께 5개월에 걸쳐 주 1회 20∼40분씩 14회기의 교육 및 상담을 실시하였다. 다면적 상담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K-Conners와 K-ARS, ACTeRs, CAT 종합 주의력 검사, KPRC 한국아동인성평정척도를 사전·사후에 실시하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아동의 행동 변화에 대한 교사의 관찰기록을 기반으로 아동의 변 화를 질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면적 상담 후 과잉행동과 충동성, 부주의 등 의 ADHD 증상 개선이 이루어졌다. 둘째, 다면적 상담 후 아동의 학교활동 참여, 또 래관계, 정서적 태도 등 학교적응 수준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사-부 모의 협력체계, 또래 협력체계를 활용한 다면적 상담이 ADHD 아동의 학교적응에 긍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ADHD 아동의 학교적응을 돕기 위해 교사와 부모, 학급 학생들의 다면적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상담적으로 접근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는 초등학교 장면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육상담적 방식으로 그 효과성과 적용 가능성 이 크다. 그간 ADHD 아동에 대해 다양한 방식의 상담적 접근 및 연구가 이루어졌으 나 본 연구를 통해 교육적 장면에서 효율적으로 적용 가능한 상담적 개입 방향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후속 연구를 통해 ADHD 아동을 위한 다면적 상담 방안이 확충된다면 학교 현장에서 더욱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주요어: ADHD, 학교 부적응, 문제행동, 다면적 상담 ※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