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능성 화장품 심사 사례 분석을 통한 제품화 지원 방안

        정성희 충북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산업에서 집중적으로 육성이 필요한 영세·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서 화장품 중 가장 주목받고 있는 기능성 화장품 분야의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화장품 산업의 전반적 현황을 조사하고, 기능성 화장품 품목 현황 및 심사 자료 제출 시 주요 보완사항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기능성화장품의 심사자료가 미비하여 보완이 요구되는 보완사항 분석을 통하여 기능성화장품 심사 시 자료 제출에 대한 개선방안과 신규 기능성화장품 개발을 지원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기능성화장품 심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업체규모가 영세할수록, 주성분이 고시 외 성분이거나 단일 성분일 경우 보완 비율이 높았다. 또한 기능성 종류는 단일 기능성 품목에서 보완 비율이 높았고 국내 제조보다는 수입 품목에서 보완비율이 높았다. 심사 시 업체의 어떤 역량이 부족한지 보완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심사 규정의 이해와 시험분석능력 분야에서 보완사항이 많았음을 확인하였다. 기능성화장품 개발 능력 향상을 위해 정부에서는 시험분석 실습중심의 교육과 공동 실험실을 확대 운영하고, 심사 관련 서류를 사례중심으로 직접 작성해보는 등 업계가 직접 효과를 느낄 수 있는 현장 교육을 지속적으로 하고, 학계와도 협력하여 연구 개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또한 업체 자체적으로도 시설 및 인력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업계와 정부의 노력이 업체의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때, 화장품 산업이 양극화가 아닌, 고루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I sought to find ways to support the functional cosmetics sector, which is the most sought-after among cosmetics, in order to support smaller companies that need to be fostered intensively in the cosmetics industry. The overall status of the cosmetics industry was investigated and major complementary items were analyzed when functional cosmetics items and submitting assessment data. The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improvement measures for data submission and support development of new functional products when reviewing functional products through analysis of complementary items. According to analysis of assessment data for functional cosmetics, the smaller the size of the company, new main component, or single was, the higher the complementary ratio. In addition, the functional types had a higher complementary ratio in a single function and the complementary ratio in imported items than in domestic manufacture. The analysis of the capability of the company during the review, focusing on the complementary data, confirmed that there were a lot of complementary items in the area of understanding the audit rules and ability to conduct a test analysis. In order to improve the capability of developing functional products, the government operates an extension of the joint laboratory and education centered on testing and analysis and continue on-site training where the industry can feel the effects directly by preparing the documents. Also, it should also support development research in collaboration with the academic community. Businesses will have to continue to invest in facilities and personnel on their own. Such industry and government efforts will lead to greater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which will allow the cosmetics industry to develop, not polarize.

      • 女性의 機能性化粧品에 대한 知識 및 使用實態에 관한 硏究

        양미선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An improved living standard in modern society has encouraged people in general to pay growing attention to healthy beauty, and anti-aging products that aim at healthy and beautiful aging come into spotlight due to an increased life span. The importance of functional cosmetics is increasingly stressed under the circumstances. Lately, there is a growing concern for the skin, and a smooth, beautiful skin is viewed as one of absolute barometers for beauty. Owing to an accelerated market segmen- tation, new high-functional and multifunctional products that target different generations and classes have been produc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omen's knowledge and use of cosmeceuticals in our country, since functional cosmetics gains in importan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0 women,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371 respondents were analyz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level of the women's knowledge on cosmeceuticals in our country, many were a little aware of the cosmetics, and those who were in their 30s and received graduate school or higher education knew about the products best. A lot of the women acquired information on the cosmetics through massmedia, and the largest group checked on what's written on the outside of the containers of cosmetics to determine whether they were functional or not. As a result of asking what cosmetics seemed to be functional, many regarded sunscreens, whitening cosmetics and wrinkle-improving or wrinkle-relieving products as functional. Second, lots of the women purchased cosmeceuticals since they believed the cosmetics were indispensable to their skin. Concerning the place for the purchase of cosmeceuticals, the Internet, male-order sales and department stores were popular, and as to the reason, they cited ease of purchase. They spent 50 to 70 thousand won each on cosmeceuticals, and many felt the price of cosmetics was in proportion to their efficacy. They didn't put confidence in super-low- priced brands on the grounds that the brands might not be effective. Third, they gave top priority to efficacy, skin type and price when they bought cosmeceuticals. A lot of the women glanced over the instructions after they purchased cosmeceuticals, and the most common term of using a functional cosmetic was three to four months. Fourth, sunscreens were considered to be more satisfactory than any other type of cosmeceuticals in terms of effect, efficacy and quantity. Whitening cosmetics ranked first in terms of satisfaction level with container, perfume and feeling. Finally, the Korean women looked upon sunscreens as the most essential cosmeceuticals. The efforts by this study to find out women's knowledge and use of cosmeceuticals to grasp their knowledge and needs as consumers are expec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facilitating more systematic and rational marketing. 현대사회는 급격하게 변화하는 사회구조와 경제성장으로 인한 생활수준 향상으로 건강한 아름다움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평균수명의 증가로 인해 아름답고 건강하게 늙어 갈 수 있는 안티에이징 제품이 각광을 받으면서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최근 피부 미인이 미의 트랜드가 되면서 피부에 대한 관심은 더욱 고조되고 있으며, 세대별, 계층별 시장이 세분화 되어 사용자에 따른 고기능, 다기능을 갖춘 새로운 상품을 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능성화장품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우리나라 여성들의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지식 및 사용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대도시 여성들을 대상으로 400부를 설문조사하여 그 중 371부를 연구,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기법으로는 χ2(Chi-square) 검증과 빈도분석, t-test(검증), 그리고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우리나라 여성들의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지식수준을 알아본 결과 조금 알고 있는 여성의 비율이 가장 많았으며, 잘 알고 있는 여성은 30대 대학원 이상의 여성으로 그 비율이 가장 높았다.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정보 습득 경로는 대중매체를 통해 얻은 여성이 가장 많았으며, 학력이나 직업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 제품상의 표기 문구를 통해 기능성화장품임을 판단하는 여성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기능성화장품이라고 생각되는 제품을 묻는 문항에서는 자외선차단 및 방지하는 제품과 미백에 도움을 주는 제품, 주름개선 및 완화 제품을 택한 여성이 많았다. 둘째, 우리나라 여성들은 기능성화장품을 자신의 피부에 꼭 필요하다고 생각해서 구매하는 여성이 많았으며, 구매 장소는 인터넷 및 통신판매와 백화점을 이용하는 여성들이 많았고, 구매 장소를 선택한 이유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제품의 구매가 편리해서로 나타났다. 제품 개당 구입비용은 5~7만원을 지출하는 여성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사무직 및 공무원 여성이 기능성화장품의 판매가격이 비싸다고 생각했다. 제품의 가격과 효능은 비례한다고 생각하는 여성의 비율이 높았고, 초저가 브랜드를 신뢰하지 않는 여성이 비교적 많았다. 셋째, 소비자들은 기능성화장품 구매 시 제품의 효능과 피부타입의 적합성, 제품의 가격을 가장 많이 고려하였다. 또 제품 구입 후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사용설명서를 대충 읽는 여성의 비율이 높았고, 학력이 높을수록 비율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기능성화장품 평균 사용기간은 3~4개월이 가장 많았으며, 연령이 많고 학력이 낮을수록 5~6개월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외선차단제는 소비자들의 효과 및 효능, 용량에 대한 만족도가 다른 기능성화장품에 비해 높았다. 하지만 용기, 향, 감촉에 대한 만족도는 미백화장품이 가장 높았다. 기능성화장품 중 자외선차단제는 우리나라 여성들이 가장 필요한 제품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나이가 적은 학생의 경우 그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다른 여성 보다 더욱 높았다. 또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부작용을 경험하지 못한 여성이 많았으며, 부작용 경험 후 사용하지 않다가 며칠 뒤 증상이 호전되면 다시 사용하는 여성이 가장 많았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지식 및 사용실태를 조사함에 있어 소비자의 지식수준과 요구를 직접적으로 파악하여 기업의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마케팅의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기능성화장품시장에서 쇼핑성향, 점포속성이 충동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유미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젊음에 대한 갈구는 시대를 초월하는 인간의 욕망으로 사람들은 안티 에이징(Anti-aging)을 넘어 다운 에이징(Down-aging)을 추구하고 있는 것에 따라 세계적인 뷰티 트렌드가 변하고 있다. 식약청의 발표에 따르면, 기능성 화장품 심사는 업체 수와 품목 수가 모두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생산실적 또한 2001년에서 2009년에는 약 4배 정도 급증해 전체 화장품 시장의 25%를 차지하는 등 질적, 양적으로 기능성 화장품 시장이 매년 급속히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화장품을 구입해 본 여자대학생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소비자들의 쇼핑성향이 점포속성을 매개로 충동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향 미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기능성 화장품 마케팅 전략에 대한 정보를 제 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산에 소재하는 4년제 대학교 재학중인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437부가 통계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과 AMOS 18.0을 이용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적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기능성 화장품 사용 및 구매실태를 살펴본 결과, 기능성 화장품 중에서 자외선 차단 기능성 화장품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기능성 화장품의 구매동기는 피부보호 및 단점커버를 위해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기능성 화장품을 화장품 전문점에서 구매였으며, 주로 사용하는 브랜드는 국내 브랜드 제품으로 나타났다. 구매 형태는 주로 자신에게 필요한 단품 위주의 구매를 하였고, 기능성 화장품 구매에 지출하는 비용은 월 3만원 ̴5만원이 가장 많았다. 둘째, 기능성 화장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의 쇼핑성향,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점포속성, 기능성 화장품의 충동구매행동의 개념적 구조를 살펴본 결과, 쇼핑성향은 쾌락적 쇼핑성향, 브랜드 쇼핑성향, 편의적 쇼핑 성향의 3개 요인으로 구성되었고, 기능성 화장품 구매 과정에서 소비자가 중요하게 인지하는 점포속성은 점포 분위기/판매원, 스킨케어서비스, 제품 기능성, 판매촉진, 브랜드의 5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충동구매행동은 단일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능성 화장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의 쇼핑성향은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점포속성을 매개로 충동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쾌락적 쇼핑성향과 편의적 쇼핑성향의 소비자들은 기능성 화장품에 대해 효능, 효과, 사용감 등 제품의 기능성, 사은행사, 샘플 증정 등의 판매촉진을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었다. 브랜드 쇼핑성향의 소비자는 기능성 화장품 구매 과정에서 마사지, 시술 서비스 등의 스킨케어서비스와 점포분위기/판매원과 브랜드속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기능성 화장품에 대해 소비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제품 기능성과 판매촉진이 기능성 화장품 충동구매행동에 영향을 주는 점포속성으로 확인되어 기능성 화장품 구매 시 점포에서 판매되는 제품의 기능성과 점포의 판매촉진 활동이 충동구매행동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기능성 화장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의 쇼핑성향은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점포속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소비자가 인지하는 점포속성을 매개로 충동구매행동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기능성 화장품 마케터들은 소비자의 쇼핑성향에 따라 차별화된 점포 전략 등의 마케팅전략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주제어 : 기능성 화장품, 쇼핑성향, 점포속성, 충동구매행동

      • 화장품 방문판매원의 교육실태가 기능성화장품 판매에 미치는 영향

        박미선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방문판매원의 근무와 교육 실태를 살펴보고 기능성화장품 판매를 위한 교육의 기반자료를 제공한다. 서울, 경기, 인천지역에서 기능성화장품을 포함한 화장품 방문판매원을 하고 있는 판매원 180명을 대상으로 방문판매원의 일반적 특성과 근무 및 교육에 대한 실태, 기능성화장품교육 실태 및 교육과 매출과의 관계를 설문지를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방문판매원은 30대의 기혼여성, 고졸, 소득수준은 월 100만원 미만과 1년 미만의 근무경력 그리고 직급은 가장 하위인 뷰레이터가 높게 분석되었다. 방문판매원의 근무현황 결과, 시작동기는 주변사람의 권유, 직업관련 전문지식과 카운셀링 능력수준은 보통이다가 가장 높게 분석되었지만, 경력과 소득, 직급이 높을수록 수준이 높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이직의향은 없다라는 결과가 높게 나왔으며, 이직에 대한 의향이 있는 경우 새로운 고객창출이 어려워서라고 답했다. 방문판매원의 교육실태분석에서 교육 참석 횟수가 주 5회, 하루 교육 소요시간은 20~30분이 가장 높았다. 자발적 학습 유/무에 대해서는 가끔 중요한 상품인 경우 한다를 선택하였고 자발적 학습 교육경로는 지사 교육강사님에게 질문한다이며, 현재 받고 있는 교육내용으로는 신상품 및 상품에 대한 교육이 가장 많았지만 방문판매원이 받고 싶은 교육은 피부지식교육과 판매 화법교육으로, 받고 있는 교육내용과 차이를 보였다. 교육이 매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판매를 위해 교육이 필요하다고 분석되었다. 기능성화장품교육 실태에서는 기능성화장품 판매를 위해서는 피부와 화장품 전문 교육이 필요하며, 기능성화장품관련 교육자료를 고객 상담 시 70%이상이 활용하며 이런 교육내용이 판매에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향후 기능성화장품 관련 교육에 대한 시간투자의향에 대해서는 일 평균 30분 교육을 할 의향이 있다라고 답했다. 교육시간과 기능성화장품 판매 금액을 비교한 결과 교육시간이 길수록 기능성화장품매출액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교육 콘텐츠와 다양한 교육 프로세스 구축으로 방문판매원들의 수준과 역량에 맞춰 교육을 설계 및 진행으로 기능성화장품매출을 성장시킬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reviewing work and education of door-to-door salesperson and providing basic sources of education for functiona cosmetic sales. On 180 door-to-door salespersons specializing in cosmetics including functional one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s, the survey were conducted to figure out general characteristics of door-to-door salespersons, actual conditions of work and education, training for functional cosmetics, and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sales. As a result, for door-to-door salesperson, there were higher share of married women in their 30's with education of highschool graduation, monthly income of less than one million won, work experiences of less than one year, and the lowest rank of view rater in th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ctual condition of job for doorto-door salespersons, starting motivation was highest with recommendation by others, knowledge and counselling ability were highest in mid-level while as experiences, income, and rank were highest, the abilities were also higher. For the intention of transferring job, the result was high in not yet but in case of intention of transferring job was difficulty to create new customers. For the analysis of education for door-to-door salesperson, frequency of attending education session was highest in 5 times a week and daily education time was highest in 20-30 minutes. For volunteer learning, in case of important products, they often did it. For path of volunteer learning, asking to educators in branches. For the current educational contents, there were highest in new products and other ones. But door-to-door salesperson preferred education on knowledge about skin, and how to tell in sales, showing differences with the current contents of education. For effect of education on sales, it was analyzed that education was required for sales. For the education of functional cosmetics, in order to sell them, the participants answered that professional education for skin and cosmetics were required and guideline about functional cosmetics was used more than 70% for customer consultation and it was helpful for sales. For intention to invest more time for functional cosmetic education, the participants replied intention of average 30 minutes a day. As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education time and functional cosmetic sales, as education time was longer, sales of functional cosmetics was higher. In conclusion, by building educational contents and various processes for education, and designing and proceeding education according to level and ability of door-to-door salesperson, functional cosmetic sales can be improved.

      • 기능성 화장품 구매성향에 따른 구매행동과 상표전환 동기

        김명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703

        기능성 화장품 시장 규모의 증가와 글로벌 화장품 업체들의 국내진출이 가속화되고 있어 소비자들은 상표나 제품 선택의 폭이 한층 넓어지게 되어, 기존에 구매하던 상표에 대한 충성 보다는 경쟁력 있는 상표로의 전환이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기능성 화장품시장은 다양한 가격대와 상표들로 구성되어 있어 상표전환 경향이 다른 아이템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화장품업체들은 자사 고객의 상표전환을 막기 위한 마케팅전략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능성 화장품 소비자들의 구매성향에 따른 상표전환 동기와 구매성향이 상표전환에 미치는 영향을 품목별로 파악함으로써, 자사 충성 고객의 상표전환 방지 및 판매 촉진의 효율을 증대시키는데 필요한 정보를 얻고자 하였다.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법에 의해 이루어졌다. 표본은 미백개선제, 자외선차단제, 주름개선제를 사용하는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20대 ∼60대 여성 소비자 1258명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1년 6월 5일부터 7월 30일까지에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16.0이 사용되었다. 빈도분석, 교차분석(χ²-test),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군집분석(K-means),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기능성화장품 구매성향 요인으로는 유행추구성, 상표충성성, 실리추구성, 계획구매성, 정보의존성의 5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이를 근거로 한 군집분석에 의해 응답자는 계획적 실리추구쇼핑형, 정보의존적 상표충성형, 쇼핑저관여형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기능성 화장품 구매행동의 세분 집단간 차이를 품목별로 알아본 결과, 계획적/실리추구 쇼핑형 집단은, ①미백개선제의 경우, 백화점/면세점 이용율은 정보의존적/상표충성형보다는 낮고, 쇼핑저관여형보다는 높으며, 모든 정보원 활용도가 쇼핑저관여형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회 구매비용으로 5만원이상∼10만원미만을 주로 지출하고, 국내에서 생산되는 기능성화장품의 사용율이 정보의존적/상표충성형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②자외선차단제의 경우, 백화점과 면세점 이용도에서는 정보의존적/상표충성형과 차이가 없으나 대형할인마트 이용도에서는 정보의존적/상표충성형 보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경험 및 주변인으로부터의 정보 활용도가 정보의존적/상표충성형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외선 차단제의 구매비용과 구매단위 및 생산지는 집단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③주름개선제의 경우, 백화점/면세점 이용율은 쇼핑저관여형과는 차이가 없으나, 정보의존적/상표충성형보다는 낮았다. 점포정보와 주변인정보 활용도는 쇼핑저관여형보다 높았다. 주름개선제의 구매비용과 구매단위 및 생산지에는 집단간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정보의존적/상표충성형집단은, ①미백개선제의 경우, 백화점과 면세점 이용도에서는 계획적/실리추구쇼핑형과 쇼핑저관여형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경험과 주변인정보의 이용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회구매비용으로 10만원이상을 주로 지출하고, 국외에서 생산되는 기능성화장품의 사용율이 계획적/실리추구쇼핑형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②자외선차단제의 경우, 백화점과 면세점 이용도에서는 계획적/실리추구쇼핑형과 차이가 없으나 대형할인마트 이용도에서는 계획적/실리추구쇼핑형 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경험 및 주변인으로부터의 정보 활용도가 계획적/실리추구쇼핑형과 쇼핑저관여형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③주름개선제의 경우, 백화점/면세점 이용율은 쇼핑저관여형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획적/실리추구쇼핑형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체정보의 활용도와 경험 및 주변인정보 활용도가 쇼핑저관여형보다 높았다. 쇼핑저관여형 집단은 ①미백개선제의 경우, 백화점과 면세점 이용도에서는 계획적/실리추구쇼핑형과 정보의존적/상표충성형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체정보와 자신의 경험과 주변인정보의 이용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회 구매비용으로 5만원미만을 주로 지출하고, 국내에서 생산되는 기능성화장품의 사용율이 정보의존적/상표충성형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②자외선차단제의 경우, 백화점과 면세점 이용도에서는 계획적/실리추구쇼핑형과 정보의존적/상표충성형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형할인마트 이용도에서는 정보의존적/상표충성형 보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경험 및 주변인으로부터의 정보 활용도가 정보의존적/상표충성형 보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③주름개선제의 경우, 백화점/면세점 이용율은 정보의존적/상표충성형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신판매 이용율은 계획적/실리추구쇼핑형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체정보의 활용도와 경험 및 주변인정보 활용도가 다른 집단에 비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표전환동기의 구성요인으로는 광고호감, 새로움추구, 구매환경, 제품속성의 4개요인이 추출되었다. 각 세분집단 별 상표전환동기가 품목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미백개선제, 자외선차단제, 주름개선제는 주로 소비자들의 새로움추구에 의한 상표전환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제품속성, 구매환경, 광고호감 순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상표전환 동기에서 쇼핑 저관여 집단보다 다른 두 집단의 평균치가 높게 나타나 다른 두 집단의 상표전환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구매성향이 상표전환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각 구매성향요인이 기능성화장품 상표전환 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행추구성이 높을수록 광고에 의해 미백개선제의 상표전환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표충성성이 높을수록 미백개선제와 주름개선제의 상표전환은 소비자의 새로움추구에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리추구성이 높을수록 제품의 사용편리성, 가격, 향과 같은 제품속성에 의해 자외선차단제의 상표전환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의존성이 높을수록 제품속성에 요인에 의해 미백개선제의 상표전환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한 마케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백화점/면세점을 기능성화장품의 주된 구매점포로 많이 이용하는 집단이 정보의존적 상표충성형 집단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백화점/면세점은 이들 집단의 수요를 좀 더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마케팅전략에 적극적으로 반영한다면 고객의 상표충성도 향상에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소비자의 쇼핑유형에 맞춘 기능성화장품 가격의 차별화 전략은 자외선차단제와 주름개선제 보다는 미백개선제에 적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모든 쇼핑유형의 기능성화장품 소비자들이 주로 세트상품 보다는 필요한 효능의 제품만을 선택하여 단품으로 구입하는 경향이 높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기능성 화장품의 판촉 전략은 세트구비보다 제품 각각의 효능을 강조하는 전략이 더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기능성화장품 구매성향에 따른 세분집단의 상표전환동기를 품목별로 비교한 결과, 전반적으로 미백개선제, 자외선차단제, 주름개선제의 상표전환은 주로 소비자들의 새로움 추구성향에 의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감안한 상품 전략의 필요성이 재확인 되며, 유행추구성은 미백개선제의 상표전환 동기 중에서 광고호감 요인에 높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으므로 유행추구성이 높은 소비자들에게는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광고로 새로운 제품에 대한 호의적인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표충성성이 높을수록 미백개선제와 주름개선제의 경우, 기존에 사용하던 제품에 대한 싫증과 부작용, 새로운 상표나 유행 상표에 의한 상표전환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고려할 때, 새로운 제품에 대한 홍보 전략을 통해 제품특성을 강화 하고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데 주력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리추구성이 높은 집단은 특히 자외선차단제의 제품속성 요인에 의한 상표전환 발생가능성이 높으므로, 자외선차단제의 경우, 품질과 합리적인 가격을 부각시키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정보의존성이 높은 집단을 목표고객으로 하는 경우에는 정보의존성이 높은 소비자들은 제품 구입 시 친구나 가족의 권유와 연예인, 선호광고모델, 잡지, 광고의 영향을 받는 성향이 높다는 점을 고려할 때, 마케터들은 소비자들의 구전활동을 고려한 제품의 품질 강화와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광고로 새로운 제품에 대한 호의적인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연구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능성화장품 여성 소비자의 구매성향을 기준으로 하여 기능성화장품 시장을 세분화 하였을 때 서로 다른 성격의 3개의 집단이 도출되었으며, 구매성향에 따른 세분 집단의 구매행동 및 상표전환동기가 품목별로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미루어 보아 기능성화장품 구매성향은 구매행동 및 상표전환동기에 영향력이 있는 주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화장품업체들은 미백개선제, 자외선차단제, 주름개선제 각각의 제품에 대한 타깃 소비자의 소비행동 특성을 명확하게 파악하고 품목별로 적합한 차별화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The acceleration in the expansion of cosmeceuticals market and the local advancement by global cosmetics businesses has further widened the choices of consumers for product brands or items, and the switching to competitive brands is being made more actively, in the place of loyalty to the brands previous purchased. Moreover, as cosmeceuticals market is composed of a variety of price ranges and brands, which facilitates brand switching trends more rapid than those seen in other items, the cosmetics companies pay attention to the marketing strategy to prevent their own consumers' brand switching.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women consumers according to their shopping orientation of cosmeceutical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urchasing behaviors and brand switching motives with cosmeceuticals among the groups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shopping orientation of cosmeceuticals and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brand switching motives according to their shopping orientations and thereby obtaining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m to prevent their loyal customers from brand switching an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sales promotion. The study was implemented through a descriptive survey method using a questionnaire. Subjects were 1258 women in their 20's-60's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do.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Cronbach's α, disper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to the factors of consumers' shopping orientations of cosmeceuticals, five factors of fashion seeking, brand loyalty, practical seeking, planned purchase, and depending on information were extracted, and through the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above extraction, the respondents were classified into the groups of planned/practical shopping type, information/brand loyalty type, and shopping low involvement type. Second, the differences in the purchasing behaviors for cosmeceuticals among the classified groups by the item were as follows. For the planned/practical shopping type : ① In the case of whitening cosmetics, the group's use level of department shops/duty-free shops was lower than that of information /brand loyalty type, and its application level of all the inform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shopping low involvement type. As the single purchase amount, 50,000 Won or more to below 100,000 Won was mainly paid out, and its use level of cosmeceuticals produced locally was higher than that of information /brand loyalty group. ② In the case of sunscreens, the group's use level of department stores/duty-free shops showed no difference with that of information /brand loyalty group, but its use level of large discount marts was lower than that of information/brand loyalty group. Its application level of information from personal experience and acquaintances was lower than that of information /brand loyalty group. Sunscreens‘ purchase costs, purchase units, and production location showed no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③ In the case of anti-aging cosmetics, the group's use level of department stores/duty-free shops showed no difference with that of shopping low involvement type, but it was lower than that of information /brand loyalty group. Its application level of stor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from acquaintances was higher than that of shopping low involvenment type. Anti-aging cosmetics‘ purchase costs, purchase units, and production location showed no difference among the groups. For the information/brand loyalty type: ① In the case of whitening cosmetics, the group's use level of department stores/duty-free shops was higher than those of planned/practical shopping group and shopping low involvement type. Its application level of personal experience and information from acquaintances was the highest. As the single purchase amount, 100,000 Won or more was mainly paid out, and its use level of cosmeceuticals produced overseas was higher than that of planned/practical shopping type. ② In the case of sunscreens, the group's use level of department stores/duty-free shops showed no difference with that of planned/practical shopping type, but its use level of large discount marts was higher than that of planned/practical shopping type. Its application level of personal experience and information from acquaintances was higher than those of planned/practical shopping type and shopping low involvement type. ③ In the case of anti-aging cosmetics, the group's use level of department stores/duty-free shops was higher than that of shopping low involvement type, but it showed no difference with that of planned/practical shopping type. Its application level of media information and that of personal experience and information form acquaintances were higher than those of shopping low involvement type. For the shopping low involvement type : ① In the case of whitening cosmetics, the group's use level of department stores/duty-free shops was lower than those of planned/practical shopping group and information /brand loyalty group, and its application level of media information, personal experience, and information from acquaintances was the lowest. As the single purchase amount, below 50,000 Won was mainly paid out, and its use level of cosmeceuticals produced locally was higher than that of information/brand loyalty group. ② In the case of sunscreens, the group's use level of department stores/duty-free shops was lower than those of planned/practical shopping group and information /brand loyalty group, and its use level of large discount marts was lower than that of information /brand loyalty group. Its application level of personal experience and information from acquaintances was lower than that of information/brand loyalty group. ③ In the case of anti-aging cosmetics, the group's use of department stores/duty-free shops was lower than that of information/brand loyalty group, and its use level of mail order was lower than that of planned/practical shopping group. It application levels of media information, and personal experience and information from acquaintances was the lowest, compared to those of other groups. Third, as for the elements of brand switching motives, four factors of AD likablity, novelty seeking, purchasing environment and product attributes were extracted. The brand switching motives for classified groups showed differences by the product item, as follows. In general, whitening, sunscreens, and anti-aging cosmetics, were highly prone to brand switching, caused by novelty seeking and next in the order of product attributes, purchasing environment and AD likablity. For all the brand switching motives, the averages of planned/practical shopping type and information/brand loyalty type were higher than those of shopping low involvement type, and so the former two groups were highly prone to brand switching. Fourth, as to the effects of shopping orientations on brand switching motives, each of shopping orientation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brand switching motives of cosmeceuticals. When fashion seeking was high, the brand switching of whitening cosmetics was highly likely to occur due to advertisements. When the brand loyalty was high, the brand switching of whitening and anti-aging cosmetics was highly likely to occur due to consumers' novelty seeking. As practical seeking was high, the brand switching of sunscreens was highly likely to occur due to the product attributes such as convenience of product use, price, and fragrance. And, when information dependency was high, the brand switching of whitening was highly likely to occur due to the product attributes. The marketing implications based o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information/brand loyalty type frequently uses department stores/duty-free shops as the major shopping stores for cosmeceuticals, department stores/duty-free shops should understand more specifically the demand of this group and aggressively reflect it in the marketing strategy for the enhancement of customers' brand loyalty. Second, the price differentiation strategy for cosmeceuticals, set for consumers' shopping types, would be more effective to whitening than sun screens or anti-aging cosmetics. Third,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in general cosmeceuticals consumers of all the shopping types are highly likely to purchase individual items, selecting the items having the necessary effects, rather than product sets, the sales promotion strategy for cosmeceuticals would be more effective, with the emphasis of the effects of individual items than the purchase of product sets. Fourth, according to the item-by-item comparison of brand switching motives held by the classified groups, based on the shopping orientations for cosmeceuticals, in general the necessity of product strategy is reconfirmed, which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fact that the brand switching of, sunscreens, and anti-aging cosmetics is highly likely to occur out of the consumers' tendency of novelty seeking The fashion-seeking has high influence on the factor of favorable advertisements among the brand switching motives for whitening cosmetics, and so it would be necessary to provide the consumers of high fashion-seeking characteristics with favorable images about new products through continuous and positive advertisements. In view of the fact that as brand loyalty is high, in case of whitening and anti-aging, brand switching is likely to happen because of boredom and side effects from the existing items, new brands, or popular brands, attention should be focused on the strengthening of product features and the enhancement of brand awareness through publicity strategy for new products. For the high practical seeking group, as the brand switching is highly likely to happen due to the product attribute factor particularly of sunscreens, the emphasis of quality and rational price would be effective in the case of sunscreens. When the target customers belong to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high depending on information consumers are highly likely to be affected by the advice of friends or family members, favorite advertisement models, advertisements, at the time of product purchases, marketers should provide favorable images about new products through strengthening of product quality and continuous and positive advertisements, taking into account of consumers' oral activities. As seen in the above findings, three groups were presented, with their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n cosmeceuticals markets was classified by the shopping orientations of cosmeceuticals women consumers. And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purchasing behaviors and brand switching motives of the groups classified on the basis of shopping orientations were different by the item, the shopping orientations for cosmeceuticals was confirmed to be a major variable influential to purchasing behaviors and brand switching motives. Thus, it would be effective for cosmetics companies to clearly understand the consumption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arget consumers, for each of whitening, sun screen, anti-aging cosmetics and to establish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y suitable for each of the items.

      • 기능성화장품과 기능성식품의구매 행태 및 선호도에 관한 연구

        편이숙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논 문 개 요 생활과 소득 수준이 높아지고 향상 되면서 많은 여성들은 개인의 미적 생활에도 높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또한 현대 과학의 발전은 기능을 강조한 화장품과 식품의 고도화된 집약적 기술과 천연 소재들의 개발로 인하여 여성들에게 더욱 아름다운 피부와 탄력 있고 건강한 신체를 유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러나 소비자의 안전성과 기대감을 반영하지 못한 기능성화장품과 기능성식품의 무분별한 개발은 때로는 소비자들에게 여러 피해양상들을 가져오기도 하며 구매욕구와 사용의 만족도 및 신뢰성에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화장품과 기능성건강식품의 올바른 선택과 신뢰성 확립을 위하여 소비자의 인식 및 선호도에 관련된 변인을 분석하여 올바른 기능성화장품의 사용과 기능성건강식품의 섭취를 통한 건강관리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09년 5월 5일부터 6월5일까지 수도권에 거주하는 중년여성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기재된 23부 제외한 552부를 SPSS for Window Version 15.0을 이용하여 최종분석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두 지역의 연령대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22). 두 지역 모두 결혼 상태가 유사하였다(p=0.482), 최종학력은 서울 지역의 대상자들의 최종학력이 경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0). 서울의 월 평균 가정 소득이 경기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0.000). 피부타입으로는 두 지역 모두 ‘건성’이라고 답한 경우가 많았으며 ‘지성’ 피부와 여드름성’ 피부는 경기 지역이 서울 지역 보다 약간의 높은 차이를 보였으므로, ‘피부타입에서 두 지역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9). 2. 서울과 경기 지역의 화장품 사용 행태를 비교한 결과를 보면 기초 화장품을 바르는 횟수는 하루2번으로 두 지역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697).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관심도는 서울지역에서 더욱 높았다(p=0.012).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개선점을 두 지역 모두 ‘고가의 가격, ‘제품의 신뢰성 부족’, ‘피부의 적합도’ 순으로 유사한 응답을 보였다(p=0.192). 기능성화장품 개선 효과에서 두 지역 모두 ‘개선을 느꼈다’라고 답하였다(p=0.100). 3. 기능성화장품 사용 경험이 있는 대상자의 지역별 기능성화장품 구매 관련 행태는 지역별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92). 그러나 멀티 기능성화장품의 필요성으로는 서울 높게 답하였으며(p=0.153). 멀티 기능성화장품을 구입한 경험 역시 서울이 높았다(p=0.029). 기능성화장품에 관한 정보 비교한 결과는 기능성화장품의 범위나 품질 및 가격정보를 인지하고 있는 경우는 서울에서 높게 나타났다(p=0.005). 4. 수도권 지역에 따른 기능성식품의 섭취 현황 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p=0.071). 섭취한 경험이 많은 기능성식품의 종류로는 ‘인삼 및 홍삼’으로 두 지역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87). 홍보나 광고에 대한 의견 역시 ‘허위, 과대 선전이 많다’로 지역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931). 구매에 부담을 주는 요인도 ‘가격’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유지’가 구매의 주요 사항이었다(p=0.770). 서울 지역의 대상자들이 식품에 표시된 기능정보를 더욱 신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06). 기능성식품에 대한 영양교육의 필요성은 두 지역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p=0.435). 5. 소득수준에 따른 기능성화장품과 기능성식품의 경험은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기능성화장품이나 기능성식품을 경험한 경우가 더욱 높았다(p=0.020). 소득 수준이 높은 경우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0). 소득이 높은 경우가 기능성화장품의 범위도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00). 소득이 낮을수록 가격을 더욱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소득이 높은 경우 제품 성분 표시제도에 대해 들어본 경우가 높았으며(p=0.000). ‘제품 성분 표시를 확인 한다’의 점수도 높았다(p=0.577).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기능성화장품과 기능성식품의 구매 행태 및 선호도는 소득 수준과 제품의 신뢰도 및 만족도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능성화장품과 기능성건강식품에 대한 올바른 선택과 정확한 이해를 통하여 아름다움과 건강을 추구하기 위하여 본 연구의 결과가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되어야 하겠다. The Research about Purchase Pattern and Preference of Functional Cosmetic and Food Pyoun Lee Sook (Academic advisor: Lee Eun Hye) Dept. of Beauty Arts, Graduate School of Beauty Arts, Seokyeong Universit. Many women are interested in their personal beauty as quality of their life and income has advanced. As well, th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offers the chance to keep the beautiful skin and healthy and distended body to the women by functional cosmetic and food which put the high qualified techniques and investment of natural resources. However, there is a reckless investment in terms of functional cosmetics and food which don’t reflect the safety and expectation from customer’s needs, and this aspect causes several side-effects and troubles about desire of purchase and satisfaction and trust from the custome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lect correct functional cosmetics and foods and recover the reliance from the customers that was analyzed through customer’s realization and factor which is relevant with preference, and it will be helpful to the customer’s health management through the usage of functional cosmetic and intake of functional foods. This project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 method from the 600 women whose live around Seoul and middle-aged, from May. 05. 2009 to Jun. 05. 2009. I finally 553 sets of questionnaire paper except for 23 sets which were included inappropriate information and responses through SPSS for Window Version 15.0, and the results are as below. 1. About the general aspects of respond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bout the age (p=0.122). and each area was similar in terms of marriage situation (p=0.482), The final scholarly background of Seoul respondent was higher than Kyung gi area’s respondent (p=0.000). and the monthly income of Seoul was higher than Kyung gi respondents as well (p=0.000). About the type of the skin, most respondent answered as a dry type, the rate of oily and pimple type of skin was higher than in Kyung gi than Seoul area, it means there was a fair differences between two area (p=0.009).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number of times which use the basic cosmetic in a day when we compared with Seoul and Kyunggi area, and it means both areas normally use 2 times the basic cosmetic per day (p=0.697). The interest about functional cosmetic is that it was higher in Seoul than Kyung gi (p=0.012). There was a similar orders like ‘expensive piece’ ‘lack of trust’ ‘suitability of the skin’about the supplementation of functional cosmetics (p=0.192). As well, both area’s respondent said "There was a development"of the functional cosmetic’s effects (p=0.100). 3.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areas about the pattern of cosmetic purchase from the respondents whose experienced functional cosmetics before (p=0.092). However, the rate of necessity of multi-functional cosmetic was higher in Seoul than Kyung gi (p=0.153). And the experience of purchasing it was higher in Seoul as well than Kyung gi (p=0.029). It was higher in Seoul about the compared information of functional cosmetics, means that the people in Seoul recognized very well than Kyung gi in terms of functional cosmetic’s range, quality, and the information of price (p=0.005). 4. There was no remar kable difference about the situation of functional foods intake depending on the area. (p=0.071). The most popular foods were the ‘ginseng’ and ‘ginseng steamed red’, and there was no difference either (p=0.187). The opinion of PR and advertisement was that most respondent felt like there was a lot of false and exaggerated commercials and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either. (p=0.931). The most burdensome factor to purchase these items was the ‘price’ and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the purchasing was the health of the respondent (p=0.770). The respondent of Seoul regarded the functional information which was written in items as more believable elements (p=0.006). Both area’s respondent answered that the necessity of nutrition education was very important (p=0.435). 5. As the respondents get the higher income, the more experience caused about the functional cosmetics and foods (p=0.020). In case of there was a high income for the respondent, there were more interest as well in terms of functional cosmetics (p=0.000). Also, these people knew more about the range of the cosmetics in case of there was a remarkable income for them (p=0.000). And in case of the people who had a low income, these kinds of people have a tendency to take consideration about the price (p=0.001). There was a lot of inquiries about the elements of the items from the respondent whose have higher income (p=0.000). ‘and they always check the factors of each items as well (p=0.577). In conclusion, the pattern of purchasing and preference of the functional cosmetics and foods were influenced by the respondent’s income, and trust and satisfaction degree of the items. So, this result should be used for the basic material for the beauty and health pursuit through correct selection and understanding in terms of functional cosmetics and foods.

      • 기능성화장품 광고의 광고소구유형별 광고효과 차이에 관한 연구 : 제품유형별 소비자 반응조사를 중심으로

        김효성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화장품법에 규정되어 있는 기능성화장품제도 시행이후 기능성 화장품 및 일반화장품 광고의 제품유형별로 광고소구유형에 따른 광고효과 차이를 알아보고 어떤 광고소구유형이 더 광고효과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화장품 광고를 크게 이성적 소구와 감성적 소구의 광고소구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아직까지는 광고효과 제고를 위한 측면에서의 광고소구유형별 화장품 광고에 대한 선행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어서 이번 연구에서는 화장품 광고에 대한 실증적 조사연구를 위해 우선 그 동안 잡지매체에 집행된 화장품 광고의 2개 제품유형을 기능성화장품 및 일반화장품을 대상으로 어떤 광고소구유형이 주로 사용되었는지에 대해 메시지위주로 내용분석을 하였으며 도출된 자료를 토대로 하여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기능성화장품 및 일반화장품 광고에는 어떤 광고소구유형이 주로 사용되는가? 둘째, 제품의 유형별 광고에 있어서 기능성화장품과 일반화장품은 광고 소구유형에 따라 광고효과차이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셋째, 기능성화장품 및 일반화장품 광고에 있어서 광고소구유형에 따른 광고효과의 차이는 소비자의 연령과 제품 사용정도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위해서 지난 2년간(2000년 7월 - 2002년 6월) 잡지매체 20여 종류에 게재되었던 화장품 광고 국내외 30개 브랜드 246편을 미백제품과 주름개선 제품의 두 가지 제품유형을 대상으로 광고소구유형을 이성적 소구와 감성적 소구로 구분하여 어떤 광고유형이 사용빈도가 높은지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광고소구유형이 실질적으로 광고효과가 있는지, 어떤 광고소구유형이 더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광고에 대한 태도, 제품에 대한 태도평가, 구매의도 등 광고효과지표에 대한 광고소구유형들의 광고효과차이를 실험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화장품 광고에 사용된 광고소구유형은 전체적으로 감성적 소구가 이성적 소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기능성화장품에서는 이성적소구가 감성적 소구보다 약간 높게, 일반화장품에서는 감성적 소구가 이성적 소구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제품의 유형별 광고소구유형에 따른 광고효과 차이에 대한 조사결과에서는 미백 제품과 주름개선 제품의 두 가지 제품유형은 이성적 소구나 감성적 소구나 광고효과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 연령 및 제품사용정도에 따른 광고소구유형별 광고효과 차이를 소비자 연령에 대한 광고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한 결과 모든 광고효과지표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광고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이 낮을수록 광고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소구유형별 효과를 살펴본 결과 20대-30대의 경우 광고태도에 있어서는 감성소구, 제품태도 및 구매의도에 있어서는 이성소구가 높은 반응을 보였고, 40대의 경우에는 광고태도 및 제품태도에는 이성소구가, 구매의도에는 감성소구가 높게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제품유형별 효과 차이는 모든 연령층이 광고태도에 있어서는 미백 제품을 선호하였고 제품태도에 있어서는 20대-30대가 주름개선 제품을 40대가 미백 제품을 선호하였으며, 구매의도에 있어서는 모든 연령층이 주름개선 제품을 선호하였다. 기능성화장품 및 일반화장품과 광고효과차이는 20대의 경우 광고태도 및 제품태도에 있어서는 일반화장품 을, 구매의도에 있어서는 기능성화장품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30대-40대는 광고태도에 있어서는 기능성화장품을, 제품태도 및 구매의도에 있어서는 일반화장품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사용정도에 따른 광고효과 차이는 기능성화장품 및 일반화장품에 관계없이 제품사용정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광고효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백 제품은 감성소구, 주름개선 제품은 이성소구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증분석의 결과, 화장품 광고는 기능성화장품 및 일반화장품을 구분하여 이성소구와 감성소구 등 소구유형에 따라 차별화 하여 소구된다고 하더라도 기본적으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화장품 소비자들에게 기능성화장품과 일반화장품은 차별적으로 인식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하게 인식되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소구유형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여성소비자들이 화장품을 구매하는데 있어서는 기능성화장품이라 할지라도 기본적으로 자신의 피부에 맞는 자신이 사용하는 제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등 민감한 개인적 요인들이 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된다. 결론적으로 화장품 광고에 있어서는 비록 기능성화장품과 일반화장품으로 제품이 구분된다 할지라도 그에 따라 소구유형이 변화해야 하는 당위론이 지지되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소구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는 점은 화장품소비라는 것이 제품을 직접 확인하거나 샘플사용 후 결정된다는 여성소비자의 제품사용 및 구매의 패턴을 고려 할 때, 특정한 소구유형을 추구할 것이 아니라 제품속성과 정보중심의 이성적 내용을 반영한 감성적 광고가 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advertising effects for functional and ordinary cosmetics - specified by the Cosmetics Code - depending on advertising appeal types and test which type will be more effective. To this end, the advertising methods were divided in large into reasonable and emotional appeal types. Few preceding studies reviewed the advertising effects for cosmetics depending on appeal types, so the advertisements carried so far on magazines were categorized into the two appeal types based on their messages, while the cosmetics featured thereupon were divided into functional and ordinary cosmetics. Then, the following study points were set up; First, which appeal type is primarily used for functional and ordinary cosmetics?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of the advertising effects for functional and ordinary cosmetics depending on their appeal types? Third, what is the difference of the advertising effects for functional and ordinary cosmetics as per appeal type depending on consumers' age and length of use? In order to find the answers to the above questions, 246 advertisements of 30 domestic and foreign cosmetics - whitening and anti-wrinkle ones - carried on some 20 magazines for the last 2 years from July, 2000 to June, 2002 were divided into reasonable and emotional appeal types, and thereby, the frequencies of using the cosmetics were surveyed as per advertising appeal type. In addition, in order to determine which appeal type is more effective, consumers' attitudes towards advertisements and products, their purchase intention and other advertising effect indices were tested as per advertising appeal 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motional appeal type was used more than reasonable one for advertising the cosmetics. To be more specific, functional cosmetics were advertised in a more reasonable way, while ordinary cosmetics were advertised in a far more emotional wa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advertising effects as per appeal typ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advertising effect between the two appeal types as far as whitening and anti-wrinkle cosmetics were concerned. Third, the difference of advertising effects depending on consumers' age and length of use was found significant for every advertising effect indices. The older an consumer was, the advertising effect was higher and vice vers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dvertising effects as per appeal type, it was found that those in 20's and 30's responded more to emotional appeal type, while their attitude towards the products and purchase intention were affected more by reasonable appeal type. In contrast, those consumers in their 40's responded more to reasonable appeal type in term of their attitude towards advertisement and products, while their purchase intention was more affected by emotional appeal type. On the other hand, the consumers of every age group preferred whitening products in their attitude towards advertisement. In terms of attitude towards products, those in their 20's and 30's preferred anti-wrinkle products, while those in their 40's favored whitening ones. In terms of purchase intention, the consumers of every age group preferred anti-wrinkle products. Those in their 20's preferred the ordinary cosmetics in terms of their attitude towards advertisement and products and preferred the functional cosmetics in terms of their purchase intention. In contrast, those in their 30's and 40's preferred the functional cosmetics in terms of their attitude towards advertisement, and preferred the ordinary cosmetics in terms of their attitude towards products and purchase inten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more frequently a consumer used a cosmetic, she was affected more by advertisement regardless of functional or ordinary cosmetics. The whitening products were more promoted by emotional appeal type, while the anti-wrinkle ones were more promoted by reasonable appeal type. As discussed above, the advertising effects for functional or ordinary cosmetics between reasonable and emotional appeal types were not much different. Such findings suggest that consumers do not differentiate functional cosmetics from ordinary on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advertising effects between the two appeal types, which suggests that women consumers tend to use the same cosmetics suitable to their skin on a continual basis even though they are functional. In conclusion, even if the cosmetics can be divided into functional and ordinary ones, the argument that the appeal types should be different as per category of cosmetics may not well be supported. Moreover, the finding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ppeal types suggests that the consumers proceed to purchase their cosmetics after testing their samples to their skin, and therefore that the advertisement should be designed not by a certain appeal type but by the mixed type featuring the attributes of the product.

      • 한·중 여성들의 한방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인식 차이의 비교연구

        왕준적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to analyz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herbal functional cosmetics, targeting Korean and Chinese women. Its objective is to improve the source data in the aspect that Korean cosmetics companies deeply understand Chinese consumers. Targeting women in their 30s-40s residing in Seoul of Korea and Beijing of China, a survey was conducted for 71 days from October 1st to December 10th 2015. Among 620 collected questionnaires, total 609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fter excluding 11 questionnaires with insincere or skipped responses. Using SPSS v.20.0 for the collected data,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and the results are like below. First, regard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married women showed the biggest distribution while the women in their 30s showed a higher rate than the women in their 40s. Regarding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and job of the respondents, college graduates and office/service job showed the biggest distribution. In regards of household monthly average income, the biggest distribution in Korea was the 2million-3.5million won while the income less than a million won showed the biggest distribution in China. In regards of the monthly average cosmetics purchasing cost, the response with less than 80,000won showed the highest rate.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s in the basic perception of functional cosmetics, Korean women perceived the functional cosmetics as a product helpful to anti-aging or whitening while Chinese women perceived it as a product improving skin trouble. Thir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s in the basic perception of herbal cosmetics, regarding the image of herbal cosmetics, Korean women showed the highest response to a product made from medicinal herbs while Chinese women showed the highest response to the cosmetics safe for skin. Fourth, in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s in the concrete perception of functional cosmetics, as the proper time to initially use functional cosmetics, Korean and Chinese women said the 20s and 30s the most respectively. To the question asking if it would be ok to use functional cosmetics during pregnancy or breast-feeding, 81.3% of Korean women said 'yes' while 77% of Chinese women said 'no'. When comparing imported brands with domestic brands, most of Korean women thought that domestic brands would be better while more than half of Chinese women said that imported brands would be better. Fifth, in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s in the concrete perception of herbal cosmetics, regarding the proper time to initially use herbal cosmetics, Chinese women used herbal cosmetics earlier than Korean women. Regarding the matter of using herbal cosmetics during pregnancy or breast-feeding, most of Korean women gave positive responses while most of Chinese women gave negative responses. Comparing herbal cosmetics with general cosmetics, Chinese women more than Korean women perceived that herbal cosmetics would be better than general cosmetics. Sixth, in the results of analyzing demands for herbal functional cosmetics, regarding herbal functional cosmetics desired to be released, both Korean and Chinese women showed the highest demands for eatable herbal functional cosmetics, called inner beauty. In regards of the container design of herbal functional cosmetics, more Chinese women thought that Korean-style image should be emphasized, than Korean women. Seventh, in the results of mean comparison of the preference analysis on herbal functional cosmetics, Chinese women showed more preference of herbal functional cosmetics than Korean women. Summarizing the results above, it showed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functional cosmetics or herbal cosmetics, and also differences in preference and demands for herbal functional cosmetics between Korean and Chinese women. Such results could be used as basic data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herbal functional cosmetics to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in case when Korean cosmetics companies enter the Chinese market, and also promote the vitalization of cosmetics area and beauty industry in China. 본 연구는 한·중 여성을 대상으로 한방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인식차이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는 한국화장품기업들이 중국소비자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측면에 원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 서울과 중국 북경에 거주하는 30~40대 여성을 대상으로 2015년 10월 1일부터 12월 10일까지 총 71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620부 중 불성실하거나 모든 문항을 답변하지 않은 응답의 설문지 11부를 제외한 609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v.20.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해 분석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보면 기혼한 여성이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40대보다 30대가 더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응답자의 최종학력은 대졸, 직업은 사무/서비스직은 가장 많은 분포를 나타났다. 가계 월 평균 소득에서 한국은 200만 원~350만 원 미만이 가장 많이 보인 분포의 반면 중국은 100만 원 미만이 가장 높은 분포로 나타났다. 월평균 화장품 구입비용은 8만 원 미만으로 응답한 사람이 가장 높은 비율로 조사되었다. 둘째,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기초인식 차이에 대한 분석결과, 기능성화장품의 이미지에 대해 한국여성은 노화방지나 미백에 도움이 되는 제품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국여성은 피부트러블을 개선시켜주는 제품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보인다. 셋째, 한방화장품에 대한 기초인식 차이에 대한 분석결과, 한방화장품의 이미지에 대해 한국여성은 한약재로 만든 제품이라는 것에 가장 높은 반응을 나타났고, 중국여성은 피부에 안전한 화장품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넷째, 기능성화장품의 구체적인 인식차이에 대한 분석결과, 기능성화장품을 처음 사용할 적당한 시가가 한국여성은 20대, 중국여성은 30대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임신 혹은 모유 수유기간에 기능성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한국여성 중의 81.3%는 된다고 응답한 반면 중국여성 중의 77%가 사용하면 안 된다고 응답했다. 수입브랜드와 국내브랜드를 비교했을 때 대부분의 한국여성은 국내브랜드가 더 좋다고 생각하는 반면 절반이상의 중국여성은 수입브랜드가 더 좋다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한방화장품의 구체적인 인식차이에 대한 분석결과, 한방화장품을 처음으로 사용하기 적당한 시기에 대하여 중국여성은 한국여성보다 일찍 한방화장품을 사용하는 결과를 보인다. 임신 혹은 모유 수유기간에 한방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는가에 대하여 대부분 한국여성은 긍정적인 답변을 한 반면 대부분 중국여성은 부정적인 응답을 하여 큰 차이를 보여주었다. 한방화장품과 일반화장품을 비교했을 때 한국여성보다 더 많은 중국여성은 일반화장품보다 한방화장품이 좋다고 인식하였다. 여섯째, 한방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요구를 분석한 결과, 출시되기를 희망하는 한방기능성화장품에 대하여 한국과 중국은 다 먹는 한방기능성화장품, 즉 이너뷰티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다. 한방기능성화장품의 용기디자인에 대하여 많은 중국여성은 한국여성보다 한국적 이미지가 부각되어야 한다는 조사결과를 보였다. 일곱째, 한방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선호도 분석에서 평균비교를 살펴본 결과는 중국여성이 한국여성보다 한방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한·중 여성들의 기능성화장품 또는 한방화장품에 대한 인식차이, 한방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요구 및 선호도 차이를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한국화장품기업들이 중국시장에 진출 시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데 한방기능성화장품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 도움을 주는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중국내 화장품분야와 뷰티산업 활성화를 촉진시켜줄 것으로 사료된다.

      • 여대생의 기능성화장품 사용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조아란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nalyzes the purchase-behavior and the satisfaction of cosmeceuticals in female undergraduates. Thus, the more customer's desire satisfies and a continuous developmental plan for cosmeceuticals suggests through securing potential customers. And the aim is to utilize it basic data of effective marketing through grasp the purchase-behavior and the satisfaction of cosmeceuticals by analyzing female undergraduate's lifestyl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urchase-behavior and the satisfaction of cosmeceuticals in female undergraduates, and selected female undergraduates of C university, S university, Y university and C college in Seoul, K college in Incheon and H university in Gyeonggi-do. As for data collection on the survey subjects collected over 3 weeks from March 14, 2011 to April 7. The totally-collected data was 500 copies and 477 copies were used in empirical analysis except 23 copies that were prepared insincerely among them. The collected data in this study was analyzed by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8.0 program. As for analytical technique,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in order to grasp research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To examine the purchasing behavior, the troubles after use of comeceuticals analyz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χ2(Chi-square) test. And, to examine the satisfaction of cosmeceuticals analyz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Tukey HSD tes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ity of female undergraduates were used a cosmeceuticals and they were used to solve a skin's problem. They were started to use according to own need and bought carefully through considered for own's skin type. Also, they were used of domestic brands and purchased the highest frequency at cosmetics shop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urchasing cost of cosmeceutical in female undergraduates, they were paid between 20,000won to 30,000won per cosmeceutical of whitening, between 30,000won to 50,000won per cosmeceutical of wrinkle-improving and between 20,000won to 30,000won per cosmeceutical of sunscreen. And they recognized that the appropriate price of cosmeceuticals is between 20,000won to 30,000won per cosmeceutical of whitening, between 20,000won to 30,000won per cosmeceutical of wrinkle-improving and between 10,000won to 20,000won per cosmeceutical of sunscreen.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In addition, they recognized that the price of cosmeceutical doesn’t seem to lead to effect of cosmeceutical. Third, female undergraduates read scantily instructions prior to using. The average they were used 3〜4 months of comeceutical and most frequently used sunscreen cosmeceutical and then used whitening cosmeceutical and wrinkle-improving cosmeceutical.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atisfactions of cosmeceutical in female undergraduates, the whitening cosmeceutical and the wrinkle-improving cosmeceutical was normal satisfaction and the sunscreen cosmeceutical and the complex cosmeceutical was slightly higher satisfaction. And, they recognized most urgent improvement of cosmeceuticals was a scientifically provable effective, lower price and then different feelings by using product of the following age.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y expected good effect and demands confidence of cosmeceuticals. Fifth, the majority of female undergraduates didn't have any skin troubles experience after using cosmeceuticals. Among the female undergraduates had skin troubles experience, they occurs most pustular acne and leave as it i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y recognized get better skin troblems if they didn't using it. 현대사회는 경제성장 및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건강하고 여유로운 삶이 요구되고 있으며, 여성의 아름다움에 대한 욕구와 고도의 기술이 만나면서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게 되었다. 고해상도의 대중매체 발달과 함께 피부 미인에 대한 관심이 더욱 고조되면서, 화장품은 단순한 미용의 개념에서 진화한 고기능, 다기능을 갖춘 새로운 상품으로 출시되고 있다. 여대생들은 경제력은 낮지만 자신의 화장품을 스스로 선택하여 높은 화장품 수요를 보이는 집단이다. 그러므로 기능성화장품 시장의 잠재고객에서 주 고객이 될 수 있으며 하나의 독립된 화장품 시장으로 간주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화장품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우리나라 여대생들의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사용실태 및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이로써 타깃 및 시장 세분화를 통하여 더 많은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기능성화장품의 지속적인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 대학에 재학 중인 여대생을 조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500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를 제외한 477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으며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여대생들의 기능성화장품 사용실태 및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기술통계, χ2(Chi-square)검정, 교차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Tukey HSD 사후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의 결과를 얻었다. 첫째, 대다수의 여대생들이 기능성화장품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피부고민 해결 방안으로 주로 기능성화장품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자신의 피부에 꼭 필요하다고 생각해서 기능성화장품을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구매 시 자신의 피부타입에 맞는지를 꼼꼼히 따져보고 구매하고 있었다. 또한, 주로 국내브랜드의 기능성화장품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화장품 전문점에서의 구매 빈도가 가장 높았다. 둘째, 여대생들의 기능성화장품 구매 비용에 대해 살펴본 결과, 기능성화장품 개당 구매 비용으로, 미백 기능성화장품 2∼3만원 미만, 주름개선 기능성화장품 3∼5만원 미만, 자외선차단 기능성화장품 2∼3만원 미만을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대생들이 인식하는 기능성화장품의 적정 가격으로는 미백 기능성화장품 2∼3만원 미만, 주름개선 기능성화장품 2∼3만원 미만, 자외선차단 기능성화장품 1∼2만원 미만으로, 실제 구입비용과 인식하는 적정 가격은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이들은 기능성화장품의 가격과 제품의 효능은 비례하지 않는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여대생들은 기능성화장품 사용 전 제품 설명서를 대충 읽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성화장품 사용 기간으로는 평균적으로 3∼4개월 사용하는 여대생이 많았으며, 기능성화장품 사용 빈도는 자외선차단 기능성화장품, 미백 기능성화장품, 주름개선 기능성화장품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대생들의 기능성화장품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미백 기능성화장품과 주름개선 기능성화장품은 만족도가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외선차단 기능성화장품, 복합 기능성화장품의 경우는 만족도가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대생들이 인지하는 현재 기능성화장품에서 가장 시급한 개선점으로는 효능·효과의 정확한 과학적 입증화, 가격의 저렴화, 사용 연령대에 따른 사용감 차별화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 화장품이 아닌 기능성화장품인 만큼 효능·효과에 대한 기대치가 높고, 그에 대한 신뢰성을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여대생들의 기능성화장품 사용 후 부작용 경험 유무에 대해서는 부작용 경험이 없는 여대생이 많았다. 부작용을 경험한 여대생 중 나타난 부작용으로는 좁쌀 모양의 피부 염증이 일어난다가 가장 많았으며 그에 대한 조치로는 그대로 두는 여대생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여대생들이 기능성화장품을 사용한 후 경험한 부작용에 대해 해당 제품을 사용하지 않으면 부작용이 호전될 것이라고 인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대다수의 여대생들이 기능성화장품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자신의 피부를 위해 기능성화장품을 구입, 사용하고 있었다.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보통이었지만 효능·효과에 대한 과학적 입증화가 개선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으며 가격의 저렴화, 연령별 사용감 차별화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에 따라 기능성화장품 시장의 타깃 세분화를 통하여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여대생들의 품질 만족도를 높이고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신뢰도를 긍정적으로 유도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판단된다.

      • KSJ 제품 계열 기능성 제품 개발과 위해성에 관한 연구

        강수진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기능성화장품은 피부와 모발을 건강하고 아름답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지만 질병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약과는 달리 주로 사람의 외모와 관련하여 사용하는 화장품을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화장품은 치료나 예방을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므로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과 구별한다. 개발적인 측면에서 보면 화장품이라는 면과 그것을 사용하는 인간의 면을 어떻게 융합시키는가 하는 종합적으로 인간 과학까지 이르고 있다. 앞으로 화장품은 실제적인 적용 면에서는 첨단 기술을 수용하고 점차 기능적으로 우수한 제품으로 만들어 갈 것이다. 기능적인 측면에서 보면 주름방지, 미백, 탈모방지, 발모 등 생리학적으로 유용한 것, 또한 화학 물질의 표면처리나 생리학적으로 고기능화된 안료 개발 등이 추진되고 있다. 이런 개발적인 측면의 고기능화와 더불어 최근 사회의 고령화와 스트레스의 팽배에 수반되는 화장품의 새로운 역할로서, 사람의 마음에 작용하는 화장품으로서 기능적인 면이 주목되고, 실생활에 많이 통용되고 있는 화장품의 한 영역이며, 화장품제조의 기술을 응용하여 발달했다. 하지만, 점차 독립적인 영역으로 인지되고 있고, 여러 용도로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사용되는 기능성화장품을 좀 더 친화적으로 제조하고 각각 개인의 피부 특성에 맞게 응용 사용할 수 있는 면에 집중하였다. Functional cosmetics are cosmetics used to keep skin and hair healthy and beautiful, but unlike drugs that relieve symptoms of disease, they are mainly used in relation to a person's appearance. Therefore, cosmetics are not used for treatment or prevention purposes, so they are distinguished from medicines or non-pharmaceutical products. In terms of development, it is comprehensively leading to human science in terms of how to fuse the cosmetics with the human aspects of using them. In the future, cosmetics will embrace high-tech technologies in practical applications and gradually become functionally superior products. In terms of function, physiologically useful things such as wrinkle prevention, whitening, hair loss prevention, and hair loss are being promoted, as well as surface treatment of chemicals or the development of physiologically high-functional pigments. Along with this developmental high-functioning, it is a new role of cosmetics that have recently been associated with aging and stress in society, an area where functional aspects are noted as cosmetics that work in people's minds, and has been developed by applying cosmetics manufacturing technology. However, it is increasingly recognised as an independent area and is being used for many purposes.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more friendly manufacture of functional cosmetics used in practice and the application of each to suit individual skin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