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치유 개념을 적용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연구

        갈환환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79

        국문요약 국민 경제가 발전하면서 삶의 질에 대한 사람들의 기준도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일부 노인 돌봄 환경, 특히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한 노인 돌봄 환경은 노인의 생리적, 정신적 수요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노인 돌봄 구조의 변화로 인해 일부 노인은 집에서 노후를 보내지 못하고, 실버타운에 입주하기도 한다. 사별하거나, 병환으로 고생하거나, 거동이 불편해 개인적〮사회적 스트레스를 받는 노인에게 심신 건강과 스트레스 해소 및 치유 기능이 갖춰진 돌봄 환경이 필요하다. 또한 노인의 심신 건강을 치유해 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은 사회의 조화로운 발전에도 중요하다. 노인 돌봄 공간에 원예치료 환경을 조성하면 시설 미관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심신 건강에 대한 노인의 수요도 만족시켜 노인이 여생을 더 즐겁게 보낼 수 있다. 관련 문헌 연구를 보면, 현재 노인 돌봄 환경 문제에 대한 연구는 주로 건축 계획 분야에 집중되어 있으며, 노인 돌봄 환경 문제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적은 편이다. 연구는 대개 기술적 측면에 치중되어 있는데, 주로 어떻게 하면 건축과 개조를 통해 노인에게 편안한 거주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논문은 인구 고령화가 점차 심각해지고 사회 노인 돌봄 서비스 시스템이 구축되는 과정에서 실버타운의 수요 측면의 문제점을 깊이 있게 연구하여 노인을 위한 더 나은 노인 돌봄 환경을 만들고자 한다. 전 세계적으로 노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실버타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돌봄 산업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또한 의료의 발달과 삶의 수준 향상 및 노인의 노후 삶에 대한 인식 변화로 인하여, 단순하고 제한적인 노인 돌봄 환경은 노인들의 정신 및 생활에 대한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다. 동시에 치유 개념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면서 사람들은 식물이 인간의 생리적 기능 및 심리와 깊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점차 인식하기 시작했으며, 이에 원예치료도 다시 각광받기 시작했다. 치유 개념을 실버타운에 적용하면 실버타운의 수준을 높일 수 있고, 노인에게 보다 다양한 노후 생활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동서양의 치유 이념과 실버타운 환경에 관한 연구를 통해 치유 개념의 기존 연구와 실제 적용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첫째, 중국이 실버타운의 치유 환경 연구를 뒤늦게 시작하여 기존의 연구 성과가 적은 편이며 치유 개념과 실버타운을 결합시킨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해 치유 개념을 환경 디자인에 적용할 방법을 모색하고 종합∙귀납하여 중국의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둘째, 본 논문에서는 주로 동서양 국가에서 대표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구미 국가는 실버타운을 비교적 일찍 건설하기 시작하였으며 디자인도 충분히 성숙한 단계에 진입했다. 그에 반해 중국은 한 발 늦게 실버타운을 건설하기 시작했으며 국내 성공 사례가 부족하여 실외 환경 디자인 및 무장애 디자인 등 분야에서 참고할 만한 사례를 찾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사례로 제시한 중국 베이징 동방 태양성 실버타운은 주로 해외 성공 경험을 참고하여 건설한 것이며 여전히 미흡한 점이 많다. (사례 분석에서 자세히 설명) 본 논문의 환경 디자인은 실외 환경 디자인, 조명, 색채, 식물, 공간 계획 등을 포함하며 실내 환경 디자인은 제외한다. 또한 치유 개념과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관련 문헌 수집과 분석을 통해 동서양의 치유 개념 적용 및 실버타운 현황을 알아보고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종합하여 본 과제의 연구 방향과 주제 의식을 확립하였다. 본 논문은 노인의 각기 다른 수요에서 출발해 실버타운 디자인에 적합한 요건을 파악하고, 치유 개념을 실버타운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분석하여 실행 가능하고 적절한 실버타운의 환경 디자인 방법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연구 성과는 실버타운의 환경 디자인을 분석하고 치유 개념 적용 방식 결합하여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치유 개념을 적용하는 방법을 도출하였으며, 치유 개념을 합리적으로 활용한 디자인 방법과 현지 문화경관, 향토 식물자원을 활용해 편안하고 건강한 돌봄 환경을 조성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방법을 실버타운에 적용해 식물, 지형, 도로포장, 물, 소품 표지에 활용되는 방법을 도출하여 실버타운의 다양한 실외 환경을 위한 구체적인 디자인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보다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실버타운 환경 조성에 도움이 된다. 상기 서술한 내용을 기반으로 본 논문에서는 실버타운 치유환경 계획의 기초적인 영향 요인을 결합하고, 노인의 수요와 선호를 참고하여 실버타운 치유환경에 대한 체계적 연구를 실시하고, 연구 성과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통해 실버타운 치유환경 계획에 대한 디자인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실버타운 및 치유 환경 관련 이론과 동서양의 기존 연구 성과를 정리하고 연구와 관련된 개념 및 범위를 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치유 환경 디자인 개념을 다음과 같이 정했다. 노인의 실버타운 환경에 대한 수요를 근거로 일정한 디자인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의 신체 건강을 촉진하는 건강한 지역사회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2) 노인의 행동 및 선호, 심리 및 생리적 특징 차원에서 출발하여 실버타운 치유 환경의 영향요소 및 디자인 원칙의 다양성을 분석하였으며, 실버타운 내 치유 환경 디자인은 안전성, 다양성, 현지성, 적극성, 그리고 교화 역할 등의 원칙을 기준으로 노인의 ‘즐거운 노후, 안정적 노후’에 대한 수요를 만족시켜야 한다. 기존 연구를 통해, 실버타운의 정원 치유환경 계획의 목표를 분석하여, 실버타운의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 간의 연계 및 영향을 종합하였다. 실버타운 환경의 치유 개념 적용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동서양의 비교적 대표성을 지닌 몇 가지 실버타운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중국 베이징(北京) 동방태양성(东方太阳城)의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고 상기 연구 내용과 결합하여 중국의 치유 개념에 적합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이론을 도출했다. 베이징 동방태양성을 위한 실버타운 환경계획 디자인 제안 및 방법을 제시하여 향후 치유 환경을 실버타운 내에 조성할 수 있도록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이론과 참고 근거를 제공하였다. (3) 치유 환경 디자인의 역동성, 전체성, 연관성을 통해 실버타운 치유 환경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참고 문헌, 기존 연구 성과 등을 결합하여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 체계를 구축하였다. 치유 개념을 기반으로 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은 노인 감각기관의 충분한 자극, 자연 공간의 쾌적함 강화, 다양한 식물 선택, 활동 공간의 안전성 등을 고려해야 하며, 식물 등 여러 조건을 충분히 활용하여 인체에 대한 자연환경의 치유 기능을 제고하고 이를 통해 노인의 신체적·심리적 회복을 도모해야 한다. 실버타운 환경의 구역 요소와 지역문화 요소 등을 결합하여 최종적으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치유 개념을 적용할 때의 구체적인 디자인 요구사항 및 응용 방법을 도출해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의 다양화는 노인들의 산책, 명상, 신선한 공기 호흡 등의 활동 수요를 만족시킨다.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는 현지성, 적극성 및 교화 등의 원칙에 따라‘노인이 새로운 것을 배우고 즐거움을 얻는다. (老有所乐, 老有所学)’심리를 만족시켜야 한다. 또한 시설 내부 및 주변 공기 질, 토양 환경, 물, 교통 편의성 등의 요소도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에 대한 노인의 만족도와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했다. 첫째, 실버타운의 환경과 분위기. 미학적 특징의 경우, 시설의 전체적인 색의 조화, 공간의 크기와 환경의 쾌적함, 식물의 계절적 변화와 레이어 등을 중시해야 한다. 문화성의 경우, 일정한 지역 문화를 구현하고, 타운 내 문화 발전에 힘써야 한다. 생태성의 경우, 좋은 식물 군락과 합리적인 식물을 재배하고, 경관 환경 요소와 식물을 합리적으로 배치해야 한다. 식물을 선택할 때 반드시 실버타운의 입지를 고려하여 남부 식물 혹은 북부 식물을 심을 것인지 결정해야 하며, 식물의 오감기능을 중시하여 교목, 관목, 화훼, 지피류 등 다양한 식물 종류를 선택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노인의 신체재활에 도움을 주는 식물이어야 하며, 식물 색을 배합할 때 계절감이 비교적 뚜렷한 식물을 선택해야 하지만 침엽수, 버들개지 및 독성이 있는 식물은 사용해서는 안 되며 노인의 신체 건강을 위한 식물을 선택하는 것을 전제로 해야 한다. 둘째, 실버타운의 공간 배치. 교통의 접근 용이성의 경우, 안전하고 편리한 도로 체계를 갖춰야 한다. 공간 인식 용이성의 경우, 명확한 표지와 공간 디자인을 사용해 간결하고 명확한 공간 배치를 해야 한다. 셋째, 실버타운의 공간 조성. 공간 적응성의 경우, 노인의 다양한 활동 등 수요를 만족시켜야 한다. 참여성의 경우, 다양한 노인의 개성과 수요를 중시하고, 단순하고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시설 등을 조성해야 한다. 공간 영역으로는 다층적인 공간 등을 디자인해야 한다. 넷째 실버타운의 인성화 디자인: 안전성의 경우, 완벽한 예방 보호조치를 취하여 디자인에 존재하는 안전 문제 등을 없애야 한다. 무장애 디자인의 경우, 실버타운 내 도로의 무장애 통행 등에 신경 써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번 연구는 미비한 점이 많으며, 앞으로의 학습 및 연구를 통해 좀 더 심층적인 탐색이 필요하다. 키워드: 치유,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 대학교 학점은행제 실용무용 교육과정의 비교연구

        박연주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오늘날 실용무용(스트릿 댄스)은 수많은 매스컴의 관심과 주목을 받고있다. 그로 인해 실용무용 (스트릿 댄스)은 여러 가지 영역을 넓혀가고 있으며, 여러 학자들에 의해 실용무용의 역사 및 용어 정리가 확립되는 중이다. 그중에서도 교육적 영역의 확립은 무용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해서 꼭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학교 내 학점은행제 시설 운영이 활발한 오늘날, 학점은행제 평가인정 과목 수가 20개 이상인 대학교 중 4년제 학교에서 운영 하고 있는 4개의 학교(상명대학교 부설 평생교육원, 국민대학교 부설 평생 교육원, 한양대학교 부설 미래 인재 교육원, 세종대학교 미래교육원)을 선정하여 학교의 이론 및 실기교과목 교육과정과 교육 목표를 문헌조사와 사회조사를 활용하여 선행 논문, 인터넷 조사, 통계치 분석 및 인터뷰를 통해 고찰하고 각 학교 학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해 대학교 학점은행제 실용무용 교육과정의 방향성과 교육적 발전을 위해 문헌 연구를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별 교육 목표는 이론과 실기를 겸비한 전문 인재 양성이라는 공통점을 지니며 더 나아가 다양한 장르를 습득하고, 기초이론 및 실기 교육 습득하여 개인의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한다. 둘째, 기관별 교육과정은 표준교육과정과 학점인정과목 (일반선택), 전공 심화 과정으로 구분되며, 표준교육과정은 전공 필수와 전공 선택으로 심층적 탐구를 진행하였다. 전공 필수는 총 8과목으로 기관별로 8과목 모두 운영하고 있으며, 전공 선택은 기관별로 차이가 있으나 모두 15과목 이상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학점인정 과목(일반선택)은 기관별 개설 운영과목이 큰 차이를 보였으나, 힙합Ⅰ,힙합Ⅱ의 과목은 4개의 기관 모두 운영 중이었다. 이는 각 기관의 학생들에게 열려있는 실용무용 관련 학점인정 과목이기 때문에 4개 기관 모두 운영 중인 것으로 판단했다. 또한 전공 필수, 전공 선택, 학점인정과목(일반선택) 모두 힙합Ⅰ,Ⅱ를 제외하곤 대부분 순수무용 과목과 타학과 과목으로 개설되어 있었다. 또한 이들의 과목 수를 합한 이론 및 실기 과목 비율이 70% 이상 실기 과목이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용무용 전공 심화 과목은 기관별 학과 교수역량으로 개설이 가능하며, 학점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단점을 가지지만 부족한 실용무용 역량을 채우기 위해 개설되고 있다. 과목은 락킹, 왁킹, 팝핀, 비보잉, 등으로 운영된다. 4개 기관 모두 모든 실용무용(스트릿댄스) 장르를 전공 심화 과목으로 운영 중이었다. 그중에서도 세종대학교 부설 평생교육원은 21세기 멀티 무용 인재 양성이라는 교육 목표를 따라 개성과 특성이 보이는 다양한 전공 심화를 운영 중이었다. 그러나, 4개 기관의 전공 심화 과정 모두 실기수업으로 이론 수업이 전무 한 것으로 나타났다.

      • 한·중 무형문화유산 관련 전공 설립과 인재 양성 비교 연구

        왕채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63

        한·중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과 인재 양성 비교 연구 무형문화유산은 세계 각국의 대중이 창조한 우수한 문명이다. 비록 경제의 세계화, 도시의 현대화 그리고 다른 문화권과의 충돌을 겪고 있지 만, 무한한 발전 가능성과 성장력,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점차 국가의 발전을 이끄는 중요한 요소이자 문화적 원동력이 되고 있다. 무형문화유 산의 전승과 보호는 정책·입법적인 보호 단계, 디지털화 보호 단계, 생산 적 보호 단계, 교육적 보호 단계 등을 겪었고 최종적으로 현재의 교육학 과적 보호 단계로 발전하였다. 무형문화유산 학과 보호의 전개는 전체 사 회구성원의 상호존중과 화해·공생에 유리하고 최종적으로 무형문화유산을 전승해야 한다는 자각 행위를 형성하였고 인간의 전면적 발전과 사회적 화해를 촉진하고 있다. 한·중 양국의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과 인재 양성 은 무형문화유산 보호 실천으로 깊이 각인되었으며, 특히 끊임없이 발전 하고 완벽해지고 있는 무형문화유산 보호법률, 무형문화유산 보호정책, 무 형문화유산 보호 체계의 무형문화유산 학과에 대한 영향력은 직관적이고 뚜렷하다. 여러 해의 발전을 거쳐 한·중 양국은 각자 특색 있는 성과를 형성하였다. 하지만, 양국에서 학과설립은 장기적으로 보호 실천에 치중되 어 있었고, 학과의 독립성이 모호하고 학문적 기초디자인의 부족함 등의 문제가 두드러졌다. 대학교 내 무형문화유산의 전승교육과 연구에 종사하 는 교수 자원이 크게 부족하고, 교재가 미비하며, 교육평가 표준 지표의 부족함의 문제가 드러났다. 이 문제들은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발전 및 대 학교 내 무형문화유산 전승 교육 발전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한국과 중국 대학교 교육체계 속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과 인재 양성 의 실천에 대한 정리, 분석, 비교를 통해서, 한·중 양국의 학술적 무형문 화유산 학과설립과 인재 양성에 관한 내용을 충실히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한·중 양국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과 인재 양성 체계 분석연구를 통해, 현대의 한·중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과 인재 양성을 위한 심도 있 고 뚜렷한 이론적 연구 기초를 제공할 수 있었다. 학과 연구 속에 존재하 는 현실적 문제를 고찰함과 동시에 균형적인 무형문화유산 학과 체계를 설립하고,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체계적인 학술적, 교육적 디자인을 통해,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제도적 설립을 완성하는 등의 여러 방면에서 무형문 화유산 학과설립을 완성하는 데에 필요한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기하였 다. 이는 한·중 양국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의 배경을 참고하여, 본 논문은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개념과 함 의를 명확히 하였다. 한·중 양국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형성 및 발전 과정, 학과의 규모와 현재 현황 등의 방면에서 충분한 비교를 진행했다. 이어서 학과의 설립, 인재 양성, 과정체계 3가지 측면에서 한·중 양국의 대학교 교육체계(학부 교육단계와 대학원 교육단계) 속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의 현황을 체계적으로 비교하였다. 대학교에서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설립은 대부분 지방의 무형문화유산 과 결합하며, 종종 학과의 위상과 특색 방면에서 대학교가 자체적으로 발 전시키지 않는 부분의 수요와 가치로 표현되기도 한다. 한국의 학부 교육 체계에 관해서는 주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국립안동대학교, 국립충북대학 교 3개 대학교의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설립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중 국의 학부 교육체계 속 무형문화유산 학과에 관해서는 “문화유산”과 “무 형문화유산 보호” 2가지 전공을 연구 분석하였다. 이 2가지 전공에 총 31 개 대학교의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 상황에 대하여 정리하고 통계를 냈으 며, 아울러 각 대학교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위상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대 학원의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의 교육체계로 한국의 학과 분석 대상으로는 고려대학교, 중앙대학교, 동국대학교, 전북대학교 4 곳의 석·박사 양성 과정을 주로 분석하였으며, 무형문화유산 연수대학, 문 화유산협동과정 등도 포함하였다. 중국의 학과 분석 대상은 복단대학교, 화동사범대학교를 포함한 31곳, 대학원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의 무형문화 유산 전공이 설치된 학교 18곳의 현재 전공 설치 상황과 각 학교의 교육 상황에 관해 비교 연구하였다. 인재 양성 방면의 비교는 주로 한·중 양국 대학교 교육체계 내 인재 양성 목표, 인재 양성 체계 및 교육 과정 양성 현황 3가지 측면에서 비교 를 진행했다. 본 논문에서는 한·중 양국 무형문화유산 인재 수요의 현황 을 분석했고, 한·중 각 대학교 인재 양성 목표를 정리했으며, 각 대학교의 인재 양성 표준 양식과 방법도 비교하였다. 또한, 공식적인 통계 수치에 근거하여, 일부 대학교 인재 양성 목표의 달성 상황, 인재 양성 체계의 과 학적 합리성 그리고 인재 양성 과정 및 무형문화유산 전공 인재의 실제 업무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분석하였다. 학과과정의 디자인은 인재 양성의 기본 조건이며, 무형문화유산 학과 설립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인재를 양성하는 기초 요소일 뿐 아니라 학과설립의 구체적인 표현이기도 하다. 한국 대학교 무형문화 유산 학과의 과정체계는 학부 과정체계, 대학원 과정체계 이외에 문화유 산협동 과정과 무형문화유산 연수학교 과정이 있다. 상대적으로 대중적 보급 정도가 더욱 넓고 전문성이 있으며 “전면적 보급” 과정체계를 형성 하고 있다. 중국 대학교 학부 단계의 과정체계는 학생의 사상·품성·소양의 양성을 중시하고, 복수학과, 융복합 전공, 교차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실천과 이론을 동시에 중시하고 실제 조사연구와 보호 이론의 결합을 중 시한다. 이상에서 본 논문에서는 분석연구를 통해 8가지 무형문화유산 학과설 립과 인재 양성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1. 무형문화유산 학과 교육의 수립과 발전의 필요성을 명확히 하고, 대학교 내의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의 필요성을 강조하여야 한다. 무형문 화유산 학과설립을 원활히 진행하려면, 우선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독립성 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다른 학과의 영향을 쉽게 받 게 된다. 필자는 국가의 역량을 빌려서 학계, 교육계에서 대학교 내 무형 문화유산 학과설립을 호소하고, 무형문화유산 학과를 독립된 학과로 설립 하고 인재 양성을 추진해야 한다고 본다. 2. 대학교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은 박물관과 현지와의 관계를 강화 하고, 지방의 장점과 결합하여 특색을 형성해야 한다. 3.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의 핵심은 인재 양성이며, 특색있는 무형문 화유산 인재를 분류하여 양성해야 한다. 현재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에 필요한 인재는 관리형과 연구형 인재 2가지 핵심 방향으로 나눌 수 있는 데, 실제 무형문화유산 학과 교육에서 우리는 관리형과 연구형 인재의 양 성 목표와 과정체계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가 있다. 4. 학제적(學際的) 성격을 따르는 기초 위에, 학과의 이론체계를 수립 하고 모듈화된 과정체계를 설립하며, 이론과 실천을 모두 중시해야 한다. 대학교 무형문화유산 학과 교육의 가장 핵심은 이론적 독립성을 확보하는 것이며, 동시에 학생의 실천 능력을 양성하는 데에 있다. 5. 무형문화유산 보호의 특징에 근거하여, 무형문화유산 교학 속 실천 활동의 비중을 강화해야 한다. 무형문화유산은 하나의 실천에서 나온 관 념으로 무형문화유산 보호와 전승의 실천적 특징을 주목해야 한다. 학과 교육은 단지 전통적인 지식 주입에 국한되어서는 안 되며 이론과 실천을 밀접하게 결합하여 교육, 전시 및 문화원형상품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새 로운 교육방식체계로 만들어야 한다. 6. 무형문화유산 전문 교학 팀의 설립을 추진해야 한다. 전통적인 무 형문화유산의 도제(徒弟) 제도와 비교했을 때, 대학교 무형문화유산의 전 승 교육은 독특한 장점을 가진다. 대학교의 교육자원과 학과 전공의 장점 을 더욱 잘 살릴 수 있고, 무형문화유산 전승자와 합작하여 무형문화유산 교육의 발전을 공동으로 추진할 수 있다. 7. 무형문화유산 “산, 학, 연, 창, 산”이 일체화된 플랫폼과 평가 체계 를 설립해야 한다. 사회경제의 쾌속 발전과 사회구조의 끊임없는 변화에 따라, 사회구성원들에게 더욱 강한 시대 적응 능력을 갖출 것을 요구받고 있다. 8. 무형문화유산 학과는 아직 걸음마 단계에 처해 있음을 비추어 볼 때 학생들에게 정책적 우대와 재정적 보조를 많이 제공해야 한다. 학과설 립은 정책 방향과 재정적인 도움을 벗어날 수가 없으며, 특히 걸음마 단 계에서는 더욱 그렇다. 이런 제안들이 한·중 양국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한국과 중국의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과 인재 양성은 이미 가치 있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전면적인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과 인재 양 성 이념 및 체계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기반을 다지고 다방면으로 디자인 되어야 한다. 세계 각국은 더욱 많은 합작과 공유가 필요하여, 이를 통해 강대하고 건전한 체계를 수립해야 한다. 국가와 정부는 무형문화유산 학 과의 발전을 적극적으로 지지해야 하며, 재정적 지원과 정책적 지지를 제 공하여 학술계와 무형문화유산 전승자 사이의 상호작용과 합작을 격려해 야 한다. 또한, 대학교는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설립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야 하고 맞춤형 교육 과정과 인재 양성 계획 수립을 통해 우수한 교수 자 원 역량의 유입을 유도하는 한편 학생들에게 광범위한 무형문화유산 교육 을 제공해야 한다. 대중은 무형문화유산의 보호와 전승에 적극적으로 참 여하고 무형문화유산 문화를 전승하며, 무형문화유산의 전승과 발전을 추 진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자국의 문화 전승과 발전에 이익이 될 뿐만 아 니라 전 인류문화의 다양성과 풍부성에 공헌할 수 있다. 핵심 키워드: 무형문화유산 학과, 학과설립, 인재 양성, 과정체계, 비교 연 구

      • 중국 전통 서원의 공간 개념이 반영된 후난지역 교육시설 디자인기법에 관한 연구 : 중국 후난대학교를 중심으로

        강력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47

        중국은 2007년 17차 당대회(党代会)에서 후난성의 창주담(长株潭)도시군을 국가로부터 `두(两)형사회' 시험지역으로 지정받아 선시(先試)의 정책혁 신특권을 부여받았다. `두형사회'는 `자원절약형 사회, 환경친화형 사회'를 말한다. 중부지방의 요충지로 꼽히는 후난은 악록산(嶽麓山)대학 과학 기술타운, 마란산(馬欄山)영상 문화창의 산업단지, 샹장신구, 창주담 자주창신시범지구 등을 육성하고 있다. 최근 중국 각급 지방정부들이 전통 문화 회귀의 물결 속에서 현지 서원에 주목하면서 전통서원 건축의 복원과 재건에 나섰다. 서원건축 및 디자인기법은 전통서원의 유기적인 구성 부분으로서 중국 전통문화의 심미 및 문화교육에 대한 이념을 집약하였다. 중국의 전통서원 건축은 천 년 이상의 발전 과정을 거처 이루어진 체계로서 그 특유한 건축 품격을 형성하고 있다. 전통문화가 서원건축을 배양하고 서원건축은 전통문화를 대표적으로 하며 둘은 상호 떨어질 수 없는 관계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바로 중국의 현대 대학 교육건축은 이 점을 등한시하고 건축에 문화성 및 정신적 수양이 결핍하며, 전통적 요소들이 현대 대학 교육건축 디자인에서 거의 공간과 자리를 잃어버리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전통 서원의 가치를 계승하기 위하여 후난 전통서원 건축공간의 디자인기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통 서원 건축의 디자인 요소를 활용하여 공간을 재생한 현대 디자인 사례를 조사하고 분석할 것이다. 이는 도시 및 지역의 교육 건축 디자인에 활용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10개의 키워드를 살펴본 뒤 중국과 한국의 논문을 비교했다. 따라서 양국의 디자인기법 특성에 대한 차이점은 바로 연속성, 지속가능성에 있다. 후난지역의 전통서원에는 교학구, 장서구, 제사구, 생활구 등 4개의 기본기능이 배치되어 있다. 서원 외부의 공간 형태에는 세 가지의 주요 형식이 있다. ① 삼면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정면은 물과 인접해 있는 형식. ② 산을 등지고 삼면이 물에 둘러싸여 있는 형식. ③ 뒤쪽으로는 큰 산이 있고, 기타 3면은 탁 트여져 있으며, 한 면은 물에 인접해 있는 형식. 전통서원 건축은 아주 선명한 공간서열의 주축을 이루고 있다. 안내 공간은 중요한 전주부분으로서 본체 공간의 안내, 대비, 부각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주요한 공간처리 기법으로는 공간의 주종(主从) 관계를 강조하는 것, 공간의 대비, 과도와 차원, 삽입과 침투, 공간의 중복, 시각과 색채 등이 있다. 후난지역 전통서원 건축의 공간형태는 차원성이 있다. 즉 복합적 차원과 규모적 차원이 있다. 복합적 차원이란 자연, 경제, 사회, 정치, 문화 등 다중 시스템으로 구성된 공간 체계로, 다중적인 내포를 가지고 있다. 규모적 차원은 공간형태의 실체 구성요소에서 비춰볼 때 공간은 일정 용지 범위 내의 차원 시스템으로 구성된 것이다. 장소성, 전이성, 관계성, 심미성, 실용성, 지역성, 자연성, 지속가능성, 조화성, 연속성은 후난 전통서원의 공간적 형태의 특징을 대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역사와 전통을 가진 서원을 통해 공간을 재생 한 현대 디자인의 사례를 조사하고 분석하는데 의미 있다. 첫째, 디자인기법 현대적 적용을 위한 대학 교육건축 표현 특성 분석한다. 둘째, 중국후난 대학 캠퍼스에 대한 건축 인정도에 필요한 요소별 조사 및 분석 내용적 범위로는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기존연구의 동향, 학교건축 표현 특성분석 등을 통하여 요소 특성에 따른 인정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설문조사는 중국 후난지역의 대학교 내에 입지하고 있는 대표적인 건축의 디자인기법 현대적 적용을 위하여 디자인학과의 교수와 대학원생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건축별 10개 하부키워드에 따른 중요도에 반영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디자인기법의 검증과 분석을 바탕으로 각각 2차례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후난지역 현대대학교 교육건축의 10개 관건특성에 대한 적극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가 나왔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건축 디자인기법의 중요한 정도와 인정도를 분석했다. 즉 지역 건축 전통을 발전시키고 민족성, 지역성이 있는 현대화에 기초한 대학 교육건축 창작의 길을 걸어야 한다. 대표적 사례인 후난대학교 교육건축은 사람들의 현대 교육에 대한 특별한 수요들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많은 기술 시설을 추가하고 전통적인 디자인 요소와 현대적 편리함의 조화를 형성하는 공간을 보여주고 있다. 즉, 전통 서원건축의 디자인요소의 활용 및 구조 측면의 변경과 증축, 그리고 현대적인 기술의 추가와 신축 등을 통하여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교육적과 문화적인 가치를 가진 공간으로 확장하고 재생할 수 있다는 것도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첫째, 본문에 전통서원 건축공간의 계승을 위한 두 가지 부분에서 분석하자고 한다. 둘째, 본 연구는 현대 대학교 교육건축에서의 생태성 지속을 위하여 생태중심적 관점에서 후난대학교의 전통 서원건축 디자인의 표현 특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셋째, 2 차의 설문조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나왔다. 이러한 기본개념을 바탕으로 디자인 계승과 전통서원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중국 전통서원 건축에서 그 공간의 연속성과 표현특성을 고찰하였다. 이 10개의 특성으로 현대 대학교 교육 건축의 디자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주 효과적이다.

      • 중국 소수민족 중고등학교의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 조선족을 사례중심으로

        조효룡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47

        중국에서 한족이외의 소수민족에 대한 교육을 민족교육으로 정의하며 소수민족에 대한 교육의 실시는 역사적원인과 현실의 여러 가지 사유에 의해 현재 대부분 민족학교가 교육방법이 단일하고 교육자원과 교학설비가 낙후하다고 제시되었고 그중에 조선족은 민족교육의 선행자이지만 최근 큰 도시 이외의 조선족학교는 학생수가 줄어들고 학교운영이 어려우며 수업체계가 불 완정하며 교육자원이 일반학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한 상태에 처해 있다고 밝혀져 있다. 이에 근거하여 조선족 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현황조사를 진행하고자 하며 조선족 중고등학교의 공간적 특징과 디자인적 요소를 정리하여 부족 점을 검토하고 향후로 조선족 중고등학교의 실내 공간 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의 사례대상인 조선족학교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본인이 실제로 중국길림성의 장춘시, 길림시, 연길시, 매하구시, 장백현을 방문하여 현장조사를 진행하였고 조선족학교의 실내 공간 분류와 디자인적 요소를 조사하여 정리한 결과, 전반적으로 조선족학교의 학습부문이 일반학교의 계획면적보다 적고 그중의 특수교실의 공간 점거율이 적으며 시설 보완이 시급하고 실내마감은 과반수가 흰색 페인트로 된 것이 대부분이며 학교실내에서 빈번하게 청색과 석간주색, 그리고 원목재질의 모습을 찾아 볼 수 있고 일반교실에는 형광등을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며 복도공간에 법적으로 규정된 응급조명과 지시조명이 배치되어 있다. 가구의 경우 국가에서 규정한 표준치수 하에 가구의 조형이 크게 차이 나지 않으며 일반교실마다 학생용 교구 이외에도 수납장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홀 공간은 학교의 상징이므로 민족역사와 민족성을 대표하는 상징물의 배치가 필요하다고 추단한다. In China, education provided for ethnic minorities other than Han Chinese is defined as the education for ethnic minorities (EFEM). However, due to historical causes and various realistic reasons,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most of the EFEM schools currently offer monotonous curriculum and suffer from the lack of sufficient educational resources and highly deteriorated facilities. As for ethnic Koreans in China, despite their status as the first mover in the EFEM, Korean EFEM schools have been found to continue to attract fewer students year after year, and face difficulty in school operation, incomplete curriculum, and educational resources that relatively fall behind regular schools. Based on this,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survey on the status of the secondary Korean EFEM schools and identify deficiencies by reviewing spatial features and design elements so as to offer guidelines for improv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secondary Korean EFEM schools. As such, in order to identify the actual condition of the Korean EFEM schools as the case objects of this study, Jilin Province, Changchun, Jilin, Yanji, Meihekou, and Changbai County were visited to conduct the field survey. As a result of the review of the survey on the interior space classification and design elements of the Korean EFEM schools in the said locations, as their learning space was, in overall, smaller than the planned space within regular schools, with the space occupancy rate of special classrooms being particularly low, there appears to be a pressing need for facility supplementation. Most of the interior walls are finished with white paint, while blue, ocher-red, and woody colors can be easily found in the interior design of these schools. In principle, fluorescent lamps are used in regular classrooms, and emergency lamps and indicator lamps are placed in the hallways as prescribed by law. As for the furniture, their compositions do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dimension standards set by government, and in every regular classroom, there is usually a storage closet installed in addition to teaching aids. As for the space in the hallway, since it represents the character of each school, an arrangement of symbols that represent the history and traits of each ethnic group in the said space is believed to be necessary.

      • 헤어미용서비스의 라포형성이 관계품질과 장기거래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정향옥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47

        헤어미용서비스는 숙련된 기술과 창의적 예술 감각을 바탕으로 고객 만족을 달성해야 하는 종합예술서비스로써 고객과의 우호적인 관계 형성을 통해 이윤 창출 및 지속 가능한 미용실 경영을 도모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객과의 관계의 정도를 평가하는 개념인 관계품질의 중요성 인식을 바탕으로 관계품질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로써 고객과의 친근한 유대감 형성인 라포형성을 선정하고 종속변수로서 고객과의 지속적이며 장기적인 거래유지 의도인 장기거래 지향성을 선정하여 각 변수 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각 변수의 개념과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영향 관계를 파악하여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헤어미용서비스를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시행하였다. 2021년 1월 15일에서 2월 15일까지 약 한 달간 서울, 경기도, 인천, 충청도, 경상도, 기타 지역에 거주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수집된 720부의 데이터를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기술 통계분석,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 변량분석(One way ANOVA), 상관관계 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헤어미용서비스의 라포형성이 관계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예의바른 행동, 정보공유 행동, 공통배경 행동, 세심한 행동의 순으로 관계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보였으나 유대 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헤어미용서비스의 관계품질이 장기거래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관계품질의 하위요인인 관계몰입, 관계만족, 관계신뢰 순으로 모두 장기거래 지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되었다. 셋째, 헤어미용서비스에서 라포형성이 장기거래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예의바른 행동, 정보공유 행동, 세심한 행동, 유대 행동의 순으로 장기거래 지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확인되었으나 공통배경 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고객과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지속적이며 장기적인 거래 의도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미용 종사자의 예의 바르고 친절하며 진정성 있는 태도가 중요하다. 따라서 미용 종사자가 전문적인 고객서비스 태도를 습득하기 위해 외부 전문기관에 전문적인 서비스교육을 정기적으로 위탁받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고객이 미용숍을 지속해서 이용하는 것이 유익하며 가치가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할 수 있도록 미용 종사자는 고객에게 헤어관리와 스타일링에 대한 전문지식과 조언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미용 종사자 스스로 모발에 관한 전문지식을 계속해서 탐구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조직적인 차원에서 교육과 특강, 워크숍 등을 통해 배움의 기회를 제공할 필요도 있다. 셋째, 라포형성의 하위요인 중 공통배경 행동과 유대 행동은 부분적으로 관계품질과 장기거래 지향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즉 고객의 성향에 따라 서비스 중 대화를 시도하거나 공통의 관심사나 주제를 찾기 위해 질문을 하는 것을 꺼리는 고객이 존재한다. 따라서 고객의 성향과 특성을 잘 파악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고객관리가 필요하며 고객관리 리스트나 고객 서비스일지 등을 작성하여 고객의 성향과 특성을 분석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이 특정 지역에 높게 분포하여 지역별로 균등히 배분되지 못한 한계점을 지니며, 일정 시점을 기준으로 진행된 횡단적 연구라는 점과 헤어미용분야의 특수성을 반영하지 않은 일반적인 측정 도구를 사용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향후 연구에서는 일반화된 표본선정을 통해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이루어나가야 할 것이며 종단적 연구를 통해 관계품질과 장기거래 지향성이 변화되는 추세를 분석하여 좀 더 의미 있는 연구결과를 도출해야 할 것이다. 또한, 헤어미용서비스의 특성을 잘 반영한 라포형성의 측정 도구를 개발하여 미용분야의 특수성에 입각한 보다 정확한 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헤어미용서비스의 라포형성이 관계품질과 장기거래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미용분야의 인적자원관리 및 관계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고 차별화된 고객관리 방안을 제공하여 지속 가능한 미용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진행되었다. 미용서비스분야의 관계품질 향상을 위해 미용 종사자의 역량개발 및 고객관리가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고객 만족과 차별화된 관계마케팅으로 지속 발전 가능한 미용숍 경영을 이루어나가야 할 것이다. Hair beauty service is a comprehensive art service that must achieve customer satisfaction based on skilled technology and creative artistic sense, and it must promote profit creation and sustainable beauty salon management through the formation of friendly relationships with customers. Therefore,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 quality, a concept that evaluates the degree of relationship with customers, as a preceding variable that affects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 quality, rapport formation, which is the formation of a friendly bond with customers, is selected and the dependent variable is by selecting the long-term transaction orientation, which is the intention of maintaining long-term transactions and th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cept and constituent factors of each variable were derived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the theoretical foundation was established by grasp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es derived from this,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general public with experience in using hair beauty services. From January 15, 2021 to February 15,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the general public residing in Seoul, Gyeonggi-do, Incheon, Chungcheong-do, Gyeongsang-do, and other regions for about a month. The collected final 720 pieces of data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Using the SPSS 21.0 program,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 way variance analysis (One 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rapport formation of hair beauty services on relationship qualit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polite behavior, information sharing behavior, common background behavior, and meticulous behavior, but bond behavio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relationship quality of hair beauty services on long-term transaction orientation, all of the sub-factors of relationship quality, in the order of relationship commitment,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trus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interest in long-term transaction orienta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rappoort formation on long-term transaction orientation in hair beauty servic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long-term transaction orientation was observed in the order of polite behavior, information sharing behavior, careful behavior, and bonding behavior. Although it was confirmed that it had an effect, the common background behavior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 would like to present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polite, kind and sincere attitude of beauty workers is important in order to establish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customers and to improve the long-term transaction intention. Therefore, it would be a good idea for a beauty workers to regularly entrust professional service training to an external professional organization in order to acquire a professional customer service attitude. Second, it is important for hairdressers to provide professional knowledge and advice on hair care and styling to customers so that they can expect that it will be beneficial and valuable for customers to continue to use hairdressing salon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explore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hair by themselves, and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learning through education, special lectures, and workshop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hird, among the sub-factors of rapport formation, common background behavior and bond behavior partiall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lationship quality and long-term transaction orientation. In other words, there are customers who are reluctant to ask questions in order to find a common interest or topic or attempt a conversation among services according to the customer's disposition. Therefore, systematic customer management is necessary so that the customer's disposition and characteristics can be well understood, and efforts to analyze the customer’s disposition and characteristics by preparing a customer management list or a customer service log will be required.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are highly distributed in a specific area and cannot be evenly distributed to each area, and it has limitations in that it is a cross-sectional study conducted based on a certain point in time and that a general measuring tool that does not reflect the specificity of the hair beauty field was used. In order to improve this, future research will need to generalize the research results through the selection of generalized samples, and it is necessary to derive more meaningful research results by analyzing trends in relationship quality and long-term transaction orientation through longitudinal research.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accurate research based on the peculiarity of the beauty field by developing a measuring tool for rapport formation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hair beauty services well.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that analyzes the effect of rapport formation in hair beauty services on relationship quality and long-term transaction orientation, helps to establish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relationship marketing strategies in the beauty field, and provides differentiated customer management measures in sustainable beauty. In order to improve the relationship quality in the beauty service field, the competency development and customer management of beauty workers should be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conducted. Through this, it is necessary to achieve sustainable beauty salon management through customer satisfaction and differentiated relationship marketing.

      • 대학생이 인지한 학교지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학교만족과 학습지속의향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 -조리외식계열 전공자를 대상으로-

        주인숙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9647

        Today, school-age population is gradually decreasing and competition with graduates from diverse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s is becoming more and more intense to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 and food servic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methods of improving sustained learning participation by examining a structural relationship of school support consisting of professor support, friend·senior support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hool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 and food service.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college classification, college locations, experience in attending major-related classes before entrance into colleges, fields of major, careers desired and reasons for selection of major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 and food service, schoo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hool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were significantly more perceived by female students than by male students. Friend·senior support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upport, which are sub-factors of school support, and information retrieval, self-assessment and goal setting that are sub-fa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learning persistence were significantly more perceived by four-year college students than by two-year college students. 3 sub-factors of school support(professor support, friend·senior support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upport), 3 sub-fa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information retrieval, self-assessment and goal setting), school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were significantly more perceived by students with experience in attending major-related classes before entrance into colleges than by those with no experience. Friend·senior support of school support, information retrieval and goal setting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learning persistence were significantly more perceived by students majoring in food service than by those majoring in culinary art. Self-assessmen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more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in the capital area than by local college students, but learning persistence was more perceived by local college students. Professor support and education environment support of school support were significantly more reported from students who want to get a job after graduation, than those that want to enter university, or establish a business. Meanwhile, job information and goal setting that are sub-factors of educational environment suppor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hool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were significantly more observed among students who want to enter university than those that want to get a job, or establish a business. Second, school support directly influence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chool satisfaction, but did not directly influence learning persistence. Instead, school support influenced school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indirectly by the medium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r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directly influenced school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 and indirectly influenced learning persistence by the medium of school satisfaction. Lastly, school satisfaction directly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learning persistence, implying that school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factor for learning persistenc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 and food service.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since school members and environmental support cannot exclusively make learning persist, diverse systems and programs must be developed and applied to improv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chool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 and food service. Keyword : Schoo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hool Satisfaction , Learning Persistence. 본 연구는 학령인구 감소와 다양한 교육훈련기관과의 경쟁이 심화된 시점에서 대학교의 조리·외식계열학과 전공학생들의 특성에 따라 교수지원, 친구·선배지원, 교육환경지원으로 구성된 학교지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학교만족 그리고 학습지속의향간의 구조적 관계를 통해 지속적인 학습 참여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리·외식계열 학과 대학생의 일반적인 특성 중 성별, 대학분류, 대학위치, 입학 전 전공 관련 수업 경험 유·무, 전공분야, 희망진로, 전공 선택이유에 따른 학교지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학교만족 그리고 학습지속의향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친구·선배지원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분류에서는 4년제 대학생이 학교지원의 하위요인인 친구·선배지원, 교육환경지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직업정보, 자기평가, 목표설정 그리고 학습지속의향에 대해 2년제 대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학 입학 전 전공 관련과목 수강경험에 따른 차이 검증결과 학교지원의 하위요인인 교수지원, 친구·선배지원, 교육환경지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직업정보, 자기평가, 목표설정 및 학교만족 그리고 학습지속의향에서 수강경험이 있는 학생이 입학 전 수강경험이 없는 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전공에 따른 차이검증 결과에서는 학교지원의 하위요인인 친구·선배지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직업정보, 목표설정 그리고 학습지속의향에서 외식계열 대학생이 조리계열 대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학의 위치에 따른 차이검증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자기평가에서는 수도권대학 학생들이 지방대학 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으나 학습지속의향은 지방대 학생들이 더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희망진로에 따른 차이검증결과에서는 학교지원의 하위요인인 교수지원, 교육환경지원에서는 졸업 후 취업을 희망하는 학생이 진학 또는 창업하려는 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환경지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직업정보, 목표설정 그리고 학교만족과 학습지속의향에서는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이 창업과 취업하려는 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게 조사되었다. 둘째, 학교지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학교만족 및 학습지속의향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학교지원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학교만족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습지속의향에는 직접적인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교지원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학교만족과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학교만족과 학습지속의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학교만족을 매개로 학습지속의향에 간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교만족은 학습지속의향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조리·외식계열 전공 대학생의 학습지속의향에 학교 만족도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조리·외식계열 전공 대학생들은 학교 구성원과 환경적 지원만으로는 학습을 지속시킬 수 없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학교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장치와 프로그램이 병행되어야만 학습을 지속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키워드: 학교지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학교만족, 학습지속의향

      • 무용전공 여중생과 일반 여중생의 척추측만증

        정원정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47

        이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여중생과 일반여중생의 척추측만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예술중학교에서 무용을 전공하고 있는 여중생 91명과 일반중학교에서 무용을 전공하지 않은 여중생 60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Screening test인 전방굴곡 검사(Adams test)와 척추후면 검사를 카이검증의 자료처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무용전공여중생집단과 일반여중생집단의 척추측만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무용전공여중생집단과 일반여중생집단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무용전공여중생집단은 일반여중생집단보다 척추측만이 높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여중생집단과 일반여중생집단의 척추측만 형태를 분석한 결과, 무용전공여중생집단과 일반여중생집단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무용전공여중생집단과 일반여중생집단의 척추 변형을 분석한 결과, 무용전공여중생집단과 일반여중생집단의 척추 변형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 한중 대학교 무용 교육과정의 비교 연구

        이권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47

        무용은 사람들의 사상과 감정도 표현할 수 있는 예술 형식이다. 무용의 발전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용 교육이다. 무용 교육의 목적은 협의로는 무용 이론 지식의 전수로부터 광의로는 사회에 우수한 무용 인재를 배양하기 위함까지 넓은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최근 차세대 무용 인재를 배출하기 위한 대학 내 무용 교육의 필요성이 날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서양보다 무용 발전이 비교적 늦었던 동아시아의 대학 무용교육에는 아직 개선해야 할 문제점이 남아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동아시아를 대표하는 한국과 중국의 대학 무용 교육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양국의 무용 교육이 앞으로 발전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에 있다. 무용 교육에 있어 두 나라의 공통점은 보다 체계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선진화 된 교육 시스템을 도입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점이다. 다만 한국과 중국의 무용계 환경 및 전통 문화, 대학 교육 체도의 차이점에 근거하여 한국과 중국의 무용 교육은 여러 차이점을 지니고 있기에 비교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한국의 상명대학교와 중국의 중앙민족대학교를 구체적인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교육목표, 교육과정 및 교육특징을 토대로 한국과 중국 대학 무용 교육 과정에 대해 비교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2개 대학 무용 교육에 대한 심층적 고찰을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각각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중 양국 무용 교육의 현 상황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여 양국 무용 교육의 선진화, 국제화 및 개선에 중요한 방향을 설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중한대학교,교육과정 Dance is an art form that can express people's thoughts and feeling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dance is dance education. In a narrow sense of the word, the purpose of dance education is to transfer the knowledge of dance theory and in a broad sense, it expands to the broader scope of cultivating talented dancers in a society. Recently, there is a growing need for university dance education for the next generation of dance talents.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still left to be improved in the university dance education in East Asia where dance development was relatively late than in the Wes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in both countries based on the research on the university dance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which represent East Asia. These two countries have common points in dance education in that they are trying to introduce an advanced education system, recognizing the need for more systematic education. However, If you look more closely at Chinese dancers' environment, traditional culture, and university education system, you can find many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dance education, so I think it is worth conducting the comparative study on this matter. Therefore, I selected Sang-Myung University in Korea and Minzu University in China as specific research subjects, and tried to conduct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dance curriculum based on educational goals, curriculum and education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 analyzed the common point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wo university dance education in depth. I hope this study can help to achieve advancement, internationalization and improvement of the two countries dance education by providing some understanding on the current situation of dance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Key Word: University Of Korea And China, Dance Education

      • 중국 대학생의 신체질량지수에 따른 식습관, 운동행위 및 건강관련요인과의 관계

        이소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47

        摘 要 中国大学生饮食习惯,运动行为、健康相关因素与身体质量指数BMI的关系 李潇 体育学科 一般大学院 祥明大学 該研究試圖查明中國大學生BMI對飲食習慣、健康相關因素的關聯性。即,大學生的bmi和飲食習慣及健康有關的有意義的各因素之間的關系變人的影響力進行系統地分析,春天,生命周期中最重要的時期的大學生來說,通過正確的營養管理方法和飲食習慣健康管理是能幫助,具體要提供有用的信息。 爲達到這一研究目的,以中國國家學生體質健康標准(2014年修訂)的大學生身體質量指數(BMI)爲基准,以中國河南省大學生(非體育專業)爲基准,分爲以下幾個組進行了分析:體重偏低(女BMI≤17.1;男BMI≤17.8),正常(女17.2 -23.9;男17.9-23.9),超重(女4.0-27.9;男24.0-27.9),肥胖(女BMI≥28.0;男BMI≥28.0)四組,研究對象共1091人。爲了了解大學生的飲食習慣和健康相關因素,從2021年9月開始進行了爲期2周的問卷調查。通過分析收集到的資料得出的研究結果如下。 第一,對中國大學生的一般特征、BMI、飲食習慣和健康相關因素的分析結果顯示,性別、學年、月生活費與BMI、飲食習慣、健康相關因素有顯著差異(P < 0.05)。家庭經濟水平和居住方式與BMI、飲食習慣、健康相關的因素沒有顯著差異(P > 0.05)。 第二,BMI對中國大學生飲食習慣與健康相關因素的差異分析結果:BMI在飲食和飲食傾向上有顯著差異(P < 0.05)。BMI與膳食補充劑無顯著差異(P > 0.05)。BMI在健康形態、運動行爲、身體活動、飲食行爲、主觀健康狀態、體重調節和對體型的認識上有顯著差異(P(0.05)。BMI與營養教育及營養知識無差異(P > 0.05)。 第三,從中國大學生的飲食習慣對BMI的影響看,飲食習慣、飲食傾向與BMI存在正相關,但與膳食補充劑無關。飲食行爲與BMI存在靜態相關,運動行爲及身體活動,飲食行爲,飲酒,主觀健康狀態,體重調節,體型認識與BMI存在不相關。吸煙、營養教育、營養知識和BMI沒有關聯。飲食習慣和BMI之間存在靜態關聯,越好飲食習慣對BMI的變化有顯著的影響。飲食傾向和膳食補充劑對BMI沒有影響。在健康形態中,飲酒是影響BMI的因素,而吸煙沒有影響BMI。正常組的學生的運動行爲和身體活動對BMI的變化沒有產生顯著的影響。這表明學生的運動行爲及身體活動量越大,BMI值越低。也就是說,學生的運動行爲和身體活動量有助於降低BMI。據調查,飲食行爲對大學生BMI產生積極影響,因此,飲食行爲越好,BMI數值越正常。這對BMI不同分類水平的變化有顯著的影響。營養教育和營養知識沒有對正常組學生BMI的變化產生顯著的影響。不影響主觀的健康狀態,體重調節和對體型的認識。 第四,中國大學生飲食習慣與BMI間性別的影響對性別(男,女學生)BMI有顯著影響(P < 0.05),回歸系數爲0.01。飲食習慣,性別控制變量對BMI有顯著影響(P < 0.05),回歸系數爲0.01。BMI對飲食習慣、性別的影響爲0.05,達到了有意義的水平,回歸系數爲0.044。中國大學生(男,女)的飲食習慣對BMI有顯著的影響。 第五,不同性別的中國大學生健康相關因素對BMI的影響,性別對BMI有顯著影響(P < 0.05),回歸系數爲0.01。健康相關因素、性別控制變量對BMI有顯著影響(P < 0.05),回歸系數爲0.009。健康相關因素、性別對BMI的影響爲0.05,達到有意義水平,回歸系數爲0.039。不同性別的中國大學生健康相關因素對BMI有著有意義的影響。 在大學生的成長過程中,飲食生活和運動鍛煉對身體健康起著重要作用。大部分中國大學生沒有系統接觸營養知識的課程和課程。對於生命周期中最重要的時期——大學生來說,最重要的是對營養管理和身體健康的理解和運用。今後,學校應該通過大學生正確的飲食習慣,完善營養管理方法和健康管理方法的知識教育,幫助大學生過上健康的生活。 關鍵詞:大學生,BMI,运动行为,飲食習慣,健康因素 국 문 요 약 중국 대학생의 신체질량지수에 따른 식습관, 운동행위 및 건강관련요인과의 관계 이 소 상명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생의 BMI에 따른 식습관, 운동행위 및 건강관련요인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즉, 대학생의 BMI와 식습관 및 운동행위, 건강관련요인 간에 각 변인의 의미 있는 관계 및 이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체계적인 분석으로 생애주기 중 가장 중요한 시기인 대학생에게 식습관을 통한 올바른 영양관리 방법과 건강을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구체적이면서 실용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대상은 중국 허남성에 소재한(허남대학교, 허남과학기술미디어학원, 허남재경정법대학, 정저우대학교, 허남사범대학교, 허남이공대학)6개 대학교의 재학생으로 스포츠를 전공하지 않은 재학생을 대상으로 집략표집(cluster sampling) 방법으로 1,200명의 표본을 수집하였다. 중국학생체력건강표준(2014)의 대학생 신체질량지수(BMI)를 기준으로 저체중 198명, 정상 442명, 과체중 215명, 비만 236명 총 1,091명을 표본으로 남, 여 성별을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대학생의 식습관과 건강관련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 조사는 2021년 9월부터 2주간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대학생의 식생활 분석결과 대학생의 87.9%는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반면, 43.6%의 학생들이 아침을 먹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침식사를 거르는 것은 집중력 감퇴, 빈혈, 영양부족, 간식 섭취 빈도 증가 등에 대한 문제를 야기하며, 점심시간 이전에 섭취하는 간식은 비만과 불규칙적인 식사를 유도하는 원인이 된다. 아침식사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영양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에서 중국대학생의 흡연 경험은 대부분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에 비해 음주가 대학캠퍼스에서 점점 증가하는 경향을 냈다. 특히, 격렬한 운동강도와 중간강도의 운동 빈도와 운동 시간은 주 1-2회, 20분 이내로 나타났으며 운동을 안한다(22.2%)로 나타나 대학생들의 규칙적인 신체활동의 기회를 제공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중국 대학생의 BMI에 따른 식생활은 비만 그룹이 식생활의 하위요인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식습관의 식생활이 BMI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식습관은 생활환경에 적응하여 형성된 식생활과 관련된 습관으로 결식, 식사의 규칙성, 편식 등이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기숙사 생활을 하는 중국 대학생들의 건전한 식습관을 위하여 운동학적, 영양학적 접근이 필요하다. 셋째, 중국 대학생의 BMI에 따른 건강관련요인의 특징은 저체중과 정상체중 그룹이 다른 BMI그룹 보다 운동행위와 신체활동, 음주 및 흡연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상그룹과 저체중에서 음주율과 흡연율이 높은 것은 건강에 대한 확신의 결과라고 판단되며 음주와 건강과의 관계에 대한 교육이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건강행위 요인 중 운동 부족이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코로나로 인해 중국 대학생들의 신체 활동의 제한에 영향일 수 있다. 운동행위와 운동효과의 관계는 신체, 생리, 심리, 정신 등 다양한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따라서 체육수업 및 스포츠 커뮤니티를 활용한 운동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환경 마련이 중요하다. 넷째, 중국 대학생의 BMI는 식습관의 하위요인인 식생활, 식품섭취 경향, 식사행위와 정적 관계, 음주는 흡연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상태 및 체중조절, 체형인식, 운동행위 및 신체활동, 음주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운동행위 및 신체활동은 음주, 흡연 그리고 영양교육 및 영양지식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학생들의 BMI에 미치는 요인인 식습관을 개선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정보를 제공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비만 예방과 건강유지를 위한 과학적인 운동방법의 제시가 필요하다. 다섯째, 중국 대학생의 식습관, BMI 간에는 남. 여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BMI는 체력의 좋고 나쁨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이자 건강의 척도이다. BMI의 기준이 정상이더라도 건강하다는 것을 완전히 설명할 수는 없지만, 건강하다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BMI가 표준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특히, 여학생 보다 체력의 우위에 있는 남학생은 BMI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식습관, 건강관련요인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실천 할 수 있는 실천적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사회에 진입을 준비하는 중국 대학생들의 식생활과 운동행위는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중국 대학생들은 건강 및 영양 지식에 대한 교육과정과 정보를 체계적으로 접해보지 못하였다. 따라서 생애주기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인 대학생에게 합리적인 운동유형과 운동 방법을 제시하고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건강 지식을 다양한 교육매체를 통하여 제공함으로써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데 도움을 주어야 한다. 주요어 : 대학생, BMI, 운동행위, 식습관, 건강관련요인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Eeting Habits, Exercise Behavior And Health-Related Factors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Li Xiao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influence of BMI on eating habits, exercise behaviors and health factors of Chinese college students. , the college student's bmi, diet and exercise behavior, health related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of various factors influence on systematic analysis of the spring, the most important thing in life cycle period of the university students, with the right diet, nutrition and health management method can help you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and specific.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e students who are not professional in sports from 6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Henan Province, China (Henan University, Henan Institute of Science, Technology and Media, Henan University of Economics and Law, Zhengzhou University, Normal University, Henan Polytechnic University). Cluster method 1. 200 specimens were collected. According to the body mass index (BMI) of Chinese national Students' physical health standards (revised in 2014), a total of 1,091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surveyed, including 198 underweight students, 442 normal students, 215 overweight students, and 236 obese students. In order to understand college students' eating habits and health-related factor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wo weeks starting in September 2021.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led to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analysis results of general characteristics, BMI, eating habits and health-related factors of Chinese college students show that gender, grade, monthly living expense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BMI, eating habits and health-related facto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amily economic level and residence style and BMI, dietary habits, or health-related factors. Second, the difference analysis result of BMI on eating habits and health-related factors of Chinese college students shows that BMI has significant difference in diet and eating tendency. BMI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dietary supplements. BMI h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 form, exercise behavior and physical activity, eating behavior, subjective health status, weight regulation and body shape percep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BMI between nutritional education and nutritional knowledge. Third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fluence of eating habits and health-related factors on BMI of Chinese college students,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ating habits and eating tendency and BMI. There was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eating behavior and BMI, while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exercise behavior, physical activity, eating behavior, alcohol consumption, subjective health status, body weight regulation, body shape cognition and BMI. The influence of dietary habits on BMI is positive, and the better the dietary habits, the more affected the change in BMI. Among health patterns, alcohol consumption was a factor affecting BMI, while smoking was not. The normal grou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MI. This indicates that the greater the students' exercise behavior and physical activity, the lower the BMI value. In other words, students' exercise behavior and physical activity levels helped lower BMI. Eating behavior has a positive impact on BMI of college students. The better the eating behavior, the more normal the BMI. Nutrition education and nutrition knowledg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BMI of students in the normal group. Fourthly, the moderating effect of eating habits and BMI on gender of Chinese college students shows that the gender of Chinese college student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eating habits and BMI. Fifth, the health related factors of Chinese college students, the gender regulation effect of BMI results show that the gender of Chinese college students is a health related factor, BMI has a significant impact. In the growth of Chinese college students, diet and exercise play an important role in health. However, most Chinese college students are not systematically exposed to health and nutrition courses and information. Therefore, for the most important period in the life cycle, college students should help them live a healthy life by correct eating habits, improving knowledge of nutrition management methods and health management methods. Key words: College Students, BMI, Exercise Behaviors,Eeting Habits, Health-Related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