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치유 개념을 적용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95204

      • 저자
      • 발행사항

        충남: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2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725.56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Environment Design for Silver Town under the Healing Ideology

      • 형태사항

        205p.; 26cm

      • 일반주기명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권석환
        참고문헌 수록

      • UCI식별코드

        I804:44007-200000602181

      • 소장기관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천안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요약 국민 경제가 발전하면서 삶의 질에 대한 사람들의 기준도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일부 노인 돌봄 환경, 특히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한 노인 돌봄 환경은 노인의 ...

      국문요약
      국민 경제가 발전하면서 삶의 질에 대한 사람들의 기준도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일부 노인 돌봄 환경, 특히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한 노인 돌봄 환경은 노인의 생리적, 정신적 수요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노인 돌봄 구조의 변화로 인해 일부 노인은 집에서 노후를 보내지 못하고, 실버타운에 입주하기도 한다. 사별하거나, 병환으로 고생하거나, 거동이 불편해 개인적〮사회적 스트레스를 받는 노인에게 심신 건강과 스트레스 해소 및 치유 기능이 갖춰진 돌봄 환경이 필요하다. 또한 노인의 심신 건강을 치유해 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은 사회의 조화로운 발전에도 중요하다. 노인 돌봄 공간에 원예치료 환경을 조성하면 시설 미관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심신 건강에 대한 노인의 수요도 만족시켜 노인이 여생을 더 즐겁게 보낼 수 있다.
      관련 문헌 연구를 보면, 현재 노인 돌봄 환경 문제에 대한 연구는 주로 건축 계획 분야에 집중되어 있으며, 노인 돌봄 환경 문제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적은 편이다. 연구는 대개 기술적 측면에 치중되어 있는데, 주로 어떻게 하면 건축과 개조를 통해 노인에게 편안한 거주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논문은 인구 고령화가 점차 심각해지고 사회 노인 돌봄 서비스 시스템이 구축되는 과정에서 실버타운의 수요 측면의 문제점을 깊이 있게 연구하여 노인을 위한 더 나은 노인 돌봄 환경을 만들고자 한다.
      전 세계적으로 노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실버타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돌봄 산업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또한 의료의 발달과 삶의 수준 향상 및 노인의 노후 삶에 대한 인식 변화로 인하여, 단순하고 제한적인 노인 돌봄 환경은 노인들의 정신 및 생활에 대한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다. 동시에 치유 개념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면서 사람들은 식물이 인간의 생리적 기능 및 심리와 깊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점차 인식하기 시작했으며, 이에 원예치료도 다시 각광받기 시작했다. 치유 개념을 실버타운에 적용하면 실버타운의 수준을 높일 수 있고, 노인에게 보다 다양한 노후 생활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동서양의 치유 이념과 실버타운 환경에 관한 연구를 통해 치유 개념의 기존 연구와 실제 적용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첫째, 중국이 실버타운의 치유 환경 연구를 뒤늦게 시작하여 기존의 연구 성과가 적은 편이며 치유 개념과 실버타운을 결합시킨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해 치유 개념을 환경 디자인에 적용할 방법을 모색하고 종합∙귀납하여 중국의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둘째, 본 논문에서는 주로 동서양 국가에서 대표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구미 국가는 실버타운을 비교적 일찍 건설하기 시작하였으며 디자인도 충분히 성숙한 단계에 진입했다. 그에 반해 중국은 한 발 늦게 실버타운을 건설하기 시작했으며 국내 성공 사례가 부족하여 실외 환경 디자인 및 무장애 디자인 등 분야에서 참고할 만한 사례를 찾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사례로 제시한 중국 베이징 동방 태양성 실버타운은 주로 해외 성공 경험을 참고하여 건설한 것이며 여전히 미흡한 점이 많다. (사례 분석에서 자세히 설명)
      본 논문의 환경 디자인은 실외 환경 디자인, 조명, 색채, 식물, 공간 계획 등을 포함하며 실내 환경 디자인은 제외한다. 또한 치유 개념과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관련 문헌 수집과 분석을 통해 동서양의 치유 개념 적용 및 실버타운 현황을 알아보고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종합하여 본 과제의 연구 방향과 주제 의식을 확립하였다. 본 논문은 노인의 각기 다른 수요에서 출발해 실버타운 디자인에 적합한 요건을 파악하고, 치유 개념을 실버타운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분석하여 실행 가능하고 적절한 실버타운의 환경 디자인 방법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연구 성과는 실버타운의 환경 디자인을 분석하고 치유 개념 적용 방식 결합하여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치유 개념을 적용하는 방법을 도출하였으며, 치유 개념을 합리적으로 활용한 디자인 방법과 현지 문화경관, 향토 식물자원을 활용해 편안하고 건강한 돌봄 환경을 조성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방법을 실버타운에 적용해 식물, 지형, 도로포장, 물, 소품 표지에 활용되는 방법을 도출하여 실버타운의 다양한 실외 환경을 위한 구체적인 디자인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보다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실버타운 환경 조성에 도움이 된다.
      상기 서술한 내용을 기반으로 본 논문에서는 실버타운 치유환경 계획의 기초적인 영향 요인을 결합하고, 노인의 수요와 선호를 참고하여 실버타운 치유환경에 대한 체계적 연구를 실시하고, 연구 성과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통해 실버타운 치유환경 계획에 대한 디자인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실버타운 및 치유 환경 관련 이론과 동서양의 기존 연구 성과를 정리하고 연구와 관련된 개념 및 범위를 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치유 환경 디자인 개념을 다음과 같이 정했다. 노인의 실버타운 환경에 대한 수요를 근거로 일정한 디자인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의 신체 건강을 촉진하는 건강한 지역사회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2) 노인의 행동 및 선호, 심리 및 생리적 특징 차원에서 출발하여 실버타운 치유 환경의 영향요소 및 디자인 원칙의 다양성을 분석하였으며, 실버타운 내 치유 환경 디자인은 안전성, 다양성, 현지성, 적극성, 그리고 교화 역할 등의 원칙을 기준으로 노인의 ‘즐거운 노후, 안정적 노후’에 대한 수요를 만족시켜야 한다. 기존 연구를 통해, 실버타운의 정원 치유환경 계획의 목표를 분석하여, 실버타운의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 간의 연계 및 영향을 종합하였다. 실버타운 환경의 치유 개념 적용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동서양의 비교적 대표성을 지닌 몇 가지 실버타운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중국 베이징(北京) 동방태양성(东方太阳城)의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고 상기 연구 내용과 결합하여 중국의 치유 개념에 적합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이론을 도출했다. 베이징 동방태양성을 위한 실버타운 환경계획 디자인 제안 및 방법을 제시하여 향후 치유 환경을 실버타운 내에 조성할 수 있도록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이론과 참고 근거를 제공하였다.
      (3) 치유 환경 디자인의 역동성, 전체성, 연관성을 통해 실버타운 치유 환경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참고 문헌, 기존 연구 성과 등을 결합하여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 체계를 구축하였다.

      치유 개념을 기반으로 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은 노인 감각기관의 충분한 자극, 자연 공간의 쾌적함 강화, 다양한 식물 선택, 활동 공간의 안전성 등을 고려해야 하며, 식물 등 여러 조건을 충분히 활용하여 인체에 대한 자연환경의 치유 기능을 제고하고 이를 통해 노인의 신체적·심리적 회복을 도모해야 한다. 실버타운 환경의 구역 요소와 지역문화 요소 등을 결합하여 최종적으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치유 개념을 적용할 때의 구체적인 디자인 요구사항 및 응용 방법을 도출해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의 다양화는 노인들의 산책, 명상, 신선한 공기 호흡 등의 활동 수요를 만족시킨다.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는 현지성, 적극성 및 교화 등의 원칙에 따라‘노인이 새로운 것을 배우고 즐거움을 얻는다. (老有所乐, 老有所学)’심리를 만족시켜야 한다. 또한 시설 내부 및 주변 공기 질, 토양 환경, 물, 교통 편의성 등의 요소도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에 대한 노인의 만족도와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했다. 첫째, 실버타운의 환경과 분위기. 미학적 특징의 경우, 시설의 전체적인 색의 조화, 공간의 크기와 환경의 쾌적함, 식물의 계절적 변화와 레이어 등을 중시해야 한다. 문화성의 경우, 일정한 지역 문화를 구현하고, 타운 내 문화 발전에 힘써야 한다. 생태성의 경우, 좋은 식물 군락과 합리적인 식물을 재배하고, 경관 환경 요소와 식물을 합리적으로 배치해야 한다. 식물을 선택할 때 반드시 실버타운의 입지를 고려하여 남부 식물 혹은 북부 식물을 심을 것인지 결정해야 하며, 식물의 오감기능을 중시하여 교목, 관목, 화훼, 지피류 등 다양한 식물 종류를 선택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노인의 신체재활에 도움을 주는 식물이어야 하며, 식물 색을 배합할 때 계절감이 비교적 뚜렷한 식물을 선택해야 하지만 침엽수, 버들개지 및 독성이 있는 식물은 사용해서는 안 되며 노인의 신체 건강을 위한 식물을 선택하는 것을 전제로 해야 한다. 둘째, 실버타운의 공간 배치. 교통의 접근 용이성의 경우, 안전하고 편리한 도로 체계를 갖춰야 한다. 공간 인식 용이성의 경우, 명확한 표지와 공간 디자인을 사용해 간결하고 명확한 공간 배치를 해야 한다. 셋째, 실버타운의 공간 조성. 공간 적응성의 경우, 노인의 다양한 활동 등 수요를 만족시켜야 한다. 참여성의 경우, 다양한 노인의 개성과 수요를 중시하고, 단순하고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시설 등을 조성해야 한다. 공간 영역으로는 다층적인 공간 등을 디자인해야 한다. 넷째 실버타운의 인성화 디자인: 안전성의 경우, 완벽한 예방 보호조치를 취하여 디자인에 존재하는 안전 문제 등을 없애야 한다. 무장애 디자인의 경우, 실버타운 내 도로의 무장애 통행 등에 신경 써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번 연구는 미비한 점이 많으며, 앞으로의 학습 및 연구를 통해 좀 더 심층적인 탐색이 필요하다.
      키워드: 치유,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 문 요 약
      • 치유 개념을 적용한 실버타운
      • 환경 디자인 연구
      • 국민 경제가 발전하면서 삶의 질에 대한 사람들의 기준도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일부 노인 돌봄 환경, 특히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한 노인 돌봄 환경은 노인의 생리적, 정신적 수요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노인 돌봄 구조의 변화로 인해 일부 노인은 집에서 노후를 보내지 못하고, 실버타운에 입주하기도 한다. 사별하거나, 병환으로 고생하거나, 거동이 불편해 개인적〮사회적 스트레스를 받는 노인에게 심신 건강과 스트레스 해소 및 치유 기능이 갖춰진 돌봄 환경이 필요하다. 또한 노인의 심신 건강을 치유해 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은 사회의 조화로운 발전에도 중요하다. 노인 돌봄 공간에 원예치료 환경을 조성하면 시설 미관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심신 건강에 대한 노인의 수요도 만족시켜 노인이 여생을 더 즐겁게 보낼 수 있다.
      • 국 문 요 약
      • 치유 개념을 적용한 실버타운
      • 환경 디자인 연구
      • 국민 경제가 발전하면서 삶의 질에 대한 사람들의 기준도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일부 노인 돌봄 환경, 특히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한 노인 돌봄 환경은 노인의 생리적, 정신적 수요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노인 돌봄 구조의 변화로 인해 일부 노인은 집에서 노후를 보내지 못하고, 실버타운에 입주하기도 한다. 사별하거나, 병환으로 고생하거나, 거동이 불편해 개인적〮사회적 스트레스를 받는 노인에게 심신 건강과 스트레스 해소 및 치유 기능이 갖춰진 돌봄 환경이 필요하다. 또한 노인의 심신 건강을 치유해 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은 사회의 조화로운 발전에도 중요하다. 노인 돌봄 공간에 원예치료 환경을 조성하면 시설 미관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심신 건강에 대한 노인의 수요도 만족시켜 노인이 여생을 더 즐겁게 보낼 수 있다.
      • 관련 문헌 연구를 보면, 현재 노인 돌봄 환경 문제에 대한 연구는 주로 건축 계획 분야에 집중되어 있으며, 노인 돌봄 환경 문제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적은 편이다. 연구는 대개 기술적 측면에 치중되어 있는데, 주로 어떻게 하면 건축과 개조를 통해 노인에게 편안한 거주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논문은 인구 고령화가 점차 심각해지고 사회 노인 돌봄 서비스 시스템이 구축되는 과정에서 실버타운의 수요 측면의 문제점을 깊이 있게 연구하여 노인을 위한 더 나은 노인 돌봄 환경을 만들고자 한다.
      • 전 세계적으로 노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실버타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돌봄 산업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또한 의료의 발달과 삶의 수준 향상 및 노인의 노후 삶에 대한 인식 변화로 인하여, 단순하고 제한적인 노인 돌봄 환경은 노인들의 정신 및 생활에 대한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다. 동시에 치유 개념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면서 사람들은 식물이 인간의 생리적 기능 및 심리와 깊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점차 인식하기 시작했으며, 이에 원예치료도 다시 각광받기 시작했다. 치유 개념을 실버타운에 적용하면 실버타운의 수준을 높일 수 있고, 노인에게 보다 다양한 노후 생활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동서양의 치유 이념과 실버타운 환경에 관한 연구를 통해 치유 개념의 기존 연구와 실제 적용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첫째, 중국이 실버타운의 치유 환경 연구를 뒤늦게 시작하여 기존의 연구 성과가 적은 편이며 치유 개념과 실버타운을 결합시킨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해 치유 개념을 환경 디자인에 적용할 방법을 모색하고 종합∙귀납하여 중국의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둘째, 본 논문에서는 주로 동서양 국가에서 대표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구미 국가는 실버타운을 비교적 일찍 건설하기 시작하였으며 디자인도 충분히 성숙한 단계에 진입했다. 그에 반해 중국은 한 발 늦게 실버타운을 건설하기 시작했으며 국내 성공 사례가 부족하여 실외 환경 디자인 및 무장애 디자인 등 분야에서 참고할 만한 사례를 찾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사례로 제시한 중국 베이징 동방 태양성 실버타운은 주로 해외 성공 경험을 참고하여 건설한 것이며 여전히 미흡한 점이 많다. (사례 분석에서 자세히 설명)
      • 본 논문의 환경 디자인은 실외 환경 디자인, 조명, 색채, 식물, 공간 계획 등을 포함하며 실내 환경 디자인은 제외한다. 또한 치유 개념과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관련 문헌 수집과 분석을 통해 동서양의 치유 개념 적용 및 실버타운 현황을 알아보고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종합하여 본 과제의 연구 방향과 주제 의식을 확립하였다. 본 논문은 노인의 각기 다른 수요에서 출발해 실버타운 디자인에 적합한 요건을 파악하고, 치유 개념을 실버타운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분석하여 실행 가능하고 적절한 실버타운의 환경 디자인 방법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연구 성과는 실버타운의 환경 디자인을 분석하고 치유 개념 적용 방식 결합하여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치유 개념을 적용하는 방법을 도출하였으며, 치유 개념을 합리적으로 활용한 디자인 방법과 현지 문화경관, 향토 식물자원을 활용해 편안하고 건강한 돌봄 환경을 조성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방법을 실버타운에 적용해 식물, 지형, 도로포장, 물, 소품 표지에 활용되는 방법을 도출하여 실버타운의 다양한 실외 환경을 위한 구체적인 디자인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보다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실버타운 환경 조성에 도움이 된다.
      • 상기 서술한 내용을 기반으로 본 논문에서는 실버타운 치유환경 계획의 기초적인 영향 요인을 결합하고, 노인의 수요와 선호를 참고하여 실버타운 치유환경에 대한 체계적 연구를 실시하고, 연구 성과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통해 실버타운 치유환경 계획에 대한 디자인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1) 실버타운 및 치유 환경 관련 이론과 동서양의 기존 연구 성과를 정리하고 연구와 관련된 개념 및 범위를 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치유 환경 디자인 개념을 다음과 같이 정했다. 노인의 실버타운 환경에 대한 수요를 근거로 일정한 디자인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의 신체 건강을 촉진하는 건강한 지역사회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 (2) 노인의 행동 및 선호, 심리 및 생리적 특징 차원에서 출발하여 실버타운 치유 환경의 영향요소 및 디자인 원칙의 다양성을 분석하였으며, 실버타운 내 치유 환경 디자인은 안전성, 다양성, 현지성, 적극성, 그리고 교화 역할 등의 원칙을 기준으로 노인의 ‘즐거운 노후, 안정적 노후’에 대한 수요를 만족시켜야 한다. 기존 연구를 통해, 실버타운의 정원 치유환경 계획의 목표를 분석하여, 실버타운의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 간의 연계 및 영향을 종합하였다. 실버타운 환경의 치유 개념 적용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동서양의 비교적 대표성을 지닌 몇 가지 실버타운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중국 베이징(北京) 동방태양성(东方太阳城)의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고 상기 연구 내용과 결합하여 중국의 치유 개념에 적합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이론을 도출했다. 베이징 동방태양성을 위한 실버타운 환경계획 디자인 제안 및 방법을 제시하여 향후 치유 환경을 실버타운 내에 조성할 수 있도록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이론과 참고 근거를 제공하였다.
      • (3) 치유 환경 디자인의 역동성, 전체성, 연관성을 통해 실버타운 치유 환경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참고 문헌, 기존 연구 성과 등을 결합하여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 체계를 구축하였다.
      • 치유 개념을 기반으로 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은 노인 감각기관의 충분한 자극, 자연 공간의 쾌적함 강화, 다양한 식물 선택, 활동 공간의 안전성 등을 고려해야 하며, 식물 등 여러 조건을 충분히 활용하여 인체에 대한 자연환경의 치유 기능을 제고하고 이를 통해 노인의 신체적·심리적 회복을 도모해야 한다. 실버타운 환경의 구역 요소와 지역문화 요소 등을 결합하여 최종적으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치유 개념을 적용할 때의 구체적인 디자인 요구사항 및 응용 방법을 도출해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의 다양화는 노인들의 산책, 명상, 신선한 공기 호흡 등의 활동 수요를 만족시킨다.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는 현지성, 적극성 및 교화 등의 원칙에 따라‘노인이 새로운 것을 배우고 즐거움을 얻는다. (老有所乐, 老有所学)’심리를 만족시켜야 한다. 또한 시설 내부 및 주변 공기 질, 토양 환경, 물, 교통 편의성 등의 요소도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에 대한 노인의 만족도와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했다. 첫째, 실버타운의 환경과 분위기. 미학적 특징의 경우, 시설의 전체적인 색의 조화, 공간의 크기와 환경의 쾌적함, 식물의 계절적 변화와 레이어 등을 중시해야 한다. 문화성의 경우, 일정한 지역 문화를 구현하고, 타운 내 문화 발전에 힘써야 한다. 생태성의 경우, 좋은 식물 군락과 합리적인 식물을 재배하고, 경관 환경 요소와 식물을 합리적으로 배치해야 한다. 식물을 선택할 때 반드시 실버타운의 입지를 고려하여 남부 식물 혹은 북부 식물을 심을 것인지 결정해야 하며, 식물의 오감기능을 중시하여 교목, 관목, 화훼, 지피류 등 다양한 식물 종류를 선택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노인의 신체재활에 도움을 주는 식물이어야 하며, 식물 색을 배합할 때 계절감이 비교적 뚜렷한 식물을 선택해야 하지만 침엽수, 버들개지 및 독성이 있는 식물은 사용해서는 안 되며 노인의 신체 건강을 위한 식물을 선택하는 것을 전제로 해야 한다. 둘째, 실버타운의 공간 배치. 교통의 접근 용이성의 경우, 안전하고 편리한 도로 체계를 갖춰야 한다. 공간 인식 용이성의 경우, 명확한 표지와 공간 디자인을 사용해 간결하고 명확한 공간 배치를 해야 한다. 셋째, 실버타운의 공간 조성. 공간 적응성의 경우, 노인의 다양한 활동 등 수요를 만족시켜야 한다. 참여성의 경우, 다양한 노인의 개성과 수요를 중시하고, 단순하고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시설 등을 조성해야 한다. 공간 영역으로는 다층적인 공간 등을 디자인해야 한다. 넷째 실버타운의 인성화 디자인: 안전성의 경우, 완벽한 예방 보호조치를 취하여 디자인에 존재하는 안전 문제 등을 없애야 한다. 무장애 디자인의 경우, 실버타운 내 도로의 무장애 통행 등에 신경 써야 한다.
      • 마지막으로, 이번 연구는 미비한 점이 많으며, 앞으로의 학습 및 연구를 통해 좀 더 심층적인 탐색이 필요하다.
      • 키워드: 치유,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 1. 서론
      • 오늘날 우리는 환경오염, 질병, 스트레스 등 각종 부정적 요인과 마주하게 되면서 편안한 노후 환경을 지향하고 있다. 과학 기술의 발전과 인류의 평균 수명의 연장에 따라 인류의 생활 방식도 크게 바뀌었고, 이에 따라 노후를 안락하게 보낼 수 있도록 하는 편안한 돌봄 환경은 노인이 ‘요양, 의료, 오락, 주거, 배움’을 누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노인을 공경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황제내경(黃帝內經)』에 ‘외내지응, 개유표리(外內之應,皆有表裏)'라는 구절이 있다. 외부의 환경과 사람의 몸은 연결되어 있고 모두 안과 밖이 있기 때문에 환경이 사람의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뜻이다. 현대 연구를 통해 환경이 인간의 신체적인 질병을 치유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환경의 치유 기능에 대한 인식이 갈수록 뚜렷해지면서 각종 치료법을 이용하여 건강한 신체를 가꾸는 방법이 사람들의 생활 속에 자리 잡았다.
      • 1.1 연구 배경
      • 1.1.1 배경 1: 의료보건 환경 디자인 격변기
      • 19세기 중엽 세균 이론이 나온 이후, 현대 의료기술은 급속도로 발전했고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 모더니즘 건축이 주요 디자인으로 자리 잡았다. 이 두 가지 요소가 결합되어 세계적인 현대 의료 건축 모델이 탄생했다. 이러한 건축들은 대부분 고층 건물로 집약적〮종합적 기능과, 질병 치료 과정의 높은 효율성 추구, 의료기기의 효율적 작동을 가능하게 했다. 또한, 항균 소독을 위해 청결에 용이한 간결한 실내 인테리어를 적용하며 크레졸 비누액 등의 소독액 냄새로 가득 찼다. 의료보건 환경 속에서는 환자나 가족, 심지어 의료진까지 마음이 무겁고 초조하고 긴장되며, “이러한 ‘현대 의료 환경’은 의심할 여지없이 두려움을 증폭시켰고, 의료사고와 병원성 감염률이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Ulrich R S,Zimring C,Zhu X,Dubose J,Seo H,Choi Y. A review of the research literature on evidence-based healthcare design [J]. Health Environments Research & Design. 2008(03),P178.
      • 1990년대 중반 이후, 서구 선진국에서 의료 돌봄 분야의 중대한 변화가 발생하여 ‘의료 기술 중심’에서 ‘환자 혹은 가족 중심’으로 전환되었으며, 이러한 인본주의(人本主义) 사상이 의료 돌봄 디자인 분야에도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개념의 전환은 의료 보건 환경 디자인에 깊은 영향을 끼쳐 서구 선진 국가의 병실 디자인에도 다양한 색채가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점차 고급 호텔의 외관과 비슷한 모습을 갖추었다. 너싱홈(nursing home)은 생활보조 주택(assisted-living facility)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따뜻한 집과 같은 환경으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치매노인 등 특수 환자의 환경에 대한 구체적인 수요 역시 연구를 통해 이해가 더욱 확장되었다.” Marcus C C,Sachs N A.Therapeutic Landscapes:An Evidence-Based Approach to Designing Healing Gardens and Restorative Outdoor Spaces [M]. Hoboken,New Jersey:John Wiley & Sons,2014(04),P149.
      • 결론적으로, 이러한 변화는 혁신적이며 ‘심신 일치(身心一致)’이론의 넓은 공감을 기반으로, 사람들은 환경 개선으로 심리적 효과에서 더 나아가 건강한 신체를 만들 수 있다고 믿게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의료 보건 환경 디자인도 더 이상 질병이 중심이 아닌, 사람을 위한 서비스, 전 연령대, 어떤 상황에서도 생활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바뀌어야 했다.
      • 치유 환경의 발전은 의료 보건 환경 변화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1990년대 후반 미국 의료시장에서 재활공원의 체계적인 연구와 광범위한 적용이 시작되면서 자연과 경관이 다시 현대 첨단 과학기술을 사용하는 의료 현장으로 회귀했다. 치유 환경이 의료 환경에 다시 등장한 원인은 여러 가지이다. 우선, 인류는 자연친화적인 본성 즉 본 논문의 후반부에 언급할 ‘녹색 갈증(biophilia)’이 있다. 그리고 사람들은 자연과의 접촉과 정원에서의 활동이 심신의 건강과 생활의 질적 제고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답답한 실내 진료 공간 내 녹색과 감각 자극이 풍부한 실외 환경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였다.
      • 1.1.2 배경 2: 인구 고령화로 인한 환경에 대한 새로운 수요
      • 중국은 1999년 60세 이상 인구 비율이 10%에 달하며,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7%를 넘어 글로벌 통용 기준에 따라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었다. “2013년 말 국가통계국공보(國家統計局公報)에 따르면 중국의 60세 이상 인구는 14.9%인 2억 200만 명으로 집계됐고, 앞으로 2057년에는 34.53%로 고령화가 정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中国发展报告2020:中国人口老龄化的发展趋势和政策》,2020(01),P151.
      • “오늘날 중국은 노인 인구 규모가 억대를 넘어선 세계 유일의 국가다.” 朱勇,《智能養老》,[M].北京:社會科學文獻出版社,2014(12),P66.
      • 비록 인구 고령화는 세계 공통의 문제지만 다른 나라에 비해 노인 인구 규모가 크고 고령화 속도가 빨라 심각한 고령화, 낮은 건강 수준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즉 중국은 고령 노인인구가 많으며, 80세 이상 노인 비율은 2010년 1,904만 명에 달했으며 2049년에는 1억 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특히 자립이 어렵고, 만성 질병에 시달리며, 장애가 있는 노인 인구도 많다. "2005년의 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자립이 불가능한 노인의 비율은 15.03%였다. 또한, 2006년에 조사한 결과에서는 만성 질병에 시달리는 노인의 비율이 74.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노인의 장애 비율은 24.4%에 달했다. 이처럼 중국의 특수한 고령화 상황에는 대규모 재활의료 경제 및 돌봄 인력 투입이 필요하다.” 《中国发展报告2020:中国人口老龄化的发展趋势和政策》,2020,P56.
      • 인구 고령화의 사회 문제는 거주 환경 조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친다. “노인은 신체적으로 생리, 운동, 면역기능이 저하되어 환경에 대한 적응성이 떨어지고 의존성이 높아지며,” 王江萍.《老年人居住外環境規劃與設計》[M].北京:中國電力出版社,2009.04,P77.
      • 이로 인해 안전과 생활 편리에 대한 욕구가 높아진다. 심리적으로 사회와의 기존 연결 관계가 끊겨 낙담, 외로움, 상실 등 부정적인 감정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적극적인 교류 공간을 만들어 이를 보완하고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연은 노인의 실외활동, 자연 친화, 신체단련, 인적 교류의 주요 장소로 심신의 건강과 삶의 질을 유지하는 기본 바탕이 된다. 노인을 위한 실외 환경 디자인은 기본적으로 신체적, 정신적 수요에서 출발해 치유 환경을 조성하고, 치유 개념의 건강증진 역할을 더욱 부각시켜야 한다. 리수화(李樹華) 교수는 치유 환경에서는 주로 식물 등 자연요소를 이용하면 건강에 긍정적인 작용을 하며, 이는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다고 말한다.
      • 첫 번째 단계는 식물 군락지에서 발생하는 건강한 생태계 효과로, 공기 음이온 농도 증가, 세균 농도 저하 등이 있다. 두 번째 단계는 자연적 요소를 통한 감각기관의 자극으로, 식물을 오감으로 느끼는 체험을 통해 기분을 좋게 만드는 것이다. 세 번째 단계는 사람과 자연의 적극적인 교류로, 정원에서의 원예 활동 등이 있다. 양질의 쾌적한 노인 주거환경 노인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개선시키고, 의료와 관련한 사회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킨다. 그리고 노인과 사회의 교류와 상호작용을 증진시켜 사회 전체의 화합에 도움이 될 것이다. 미국을 비롯한 서구 선진국들은 1960~70년대부터 자연을 너싱홈 주거환경에 도입하였으며, 넓은 잔디밭이 특징이다. “90년대 중반 이후 의료보호의 개념이 바뀌면서 양로원 환경은 가족적인 ‘시골 정원 스타일’로 바뀌었다.” Marcus C C,Barnes M. Healing Gardens:Therapeutic Benefits and Design Recommendations [M]. New York,NY:John Wiley & Sons,1999,P56.
      • 건물에는 지역적 특색이 반영되어 층수는 1-2층의 저층으로 설계되었고, 정원에는 개성적이고, 섬세하며, 다양한 감각을 자극하는 식물을 식재하여 노인이 친근함과 편안함을 느끼고 스트레스와 초조함을 해소하도록 노력을 기울였다. 이후 주거환경, 특히 자연적인 요소를 포함한 실외정원 환경이 노인의 삶의 질을 근본적으로 보장하는 것이라는 인식이 미국에 널리 퍼졌다. “Susan Rodiek을 비롯한 건축 및 조경학자들은 행동 관찰, 조사 인터뷰, 생리 지표 측정을 통해 치유 개념의 노인 거주 환경에 대한 중요성을 입증했다.” Rodiek S D. Influence of an outdoor garden on mood and stress in older persons [J]. Journal of Therapeutic Horticulture. 2002(02),P13-21.
      • “그중에는 노인의 심신 건강 증진 및 삶의 질 향상, 가족 면회시간, 만족도 향상 및 간병인의 업무 효율성 향상, 노후 커뮤니티의 경제적 수익 증대 등이 포함되어 있다.” Rodiek S D. A Missing Link:Can Enhanced Outdoor Space Improve Seniors Housing? [J] Seniors Housing & Care Journal. 2006(03),P19.
      • Rodiek은 노인의 기본적인 심신상태, 경관에 대한 선호 및 정원사용 증가를 바탕으로 한 광범위한 조사연구에서 미국 노인을 대상으로 한 평가 방법을 도출하였다. “이를 SOS(Seniors' Outdoor Survey) 평가표 및 노인을 위한 정원 디자인 전략이라 부른다.” Rodiek S D. Access to Nature for Older Adults. Three-part DVD series;www.accesstonature.org. Center for Health Systems & Design, Texas A&M University,College Station, TX, 2009(09),P43.
      • 이를 통해 서구 선진국의 노인 치유 환경 분야의 연구와 적용이 상대적으로 성숙한 단계에 이르렀음을 알 수 있다.
      • 중국은 급속한 고령화와 ‘미부선로(未富先老, 부유해지기 전에 늙는다)'의 어려움에 직면해 있어, 서구 선진국들처럼 고령화 문제에 대비할 충분한 준비와 적응 기간이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현 단계에서 노인의 실외 생활공간에 대한 이론과 적용이 세계적인 수준에 비해 뒤떨어진 데다, 노인의 실제 수요를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뚜렷하다. 실버타운 환경, 특히 양로원, 복리원(福利院, 노인이 생활하는 사회 보호시설), 노인병원 등에는 실외공간이 없는 곳이 많고, 이러한 기관들마저 수요에 비해 입주와 병상 수가 턱없이 부족한 것도 대표적인 문제점이다. 소수의 실버타운은 실외정원을 가지고 있지만, 이들도 대부분은 노인의 심신 수요에 적합하게 디자인되지 않았고, 실외 환경의 안전성, 쾌적함 및 무장애 디자인(barriar free)이 모두 부족한 실정이다. 더 나아가서는 치유 환경 디자인이나 정원에서의 치유 개념의 적용을 통한 건강증진의 목적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집에서 생활하는 노인은 근처의 정원이나 공원에서 몸을 단련하고 교류하며 자연친화적인 생활을 해야 한다. 고령인구가 증가하면서 공원 녹지 사용량도 많아지고 기능도 변화하였다. 그러나 현재 도시공원 녹지 디자인은 노인의 활동 수요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다. 노인의 특수한 상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공간 디자인이 미흡하고 노인의 공원 이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른 계층과의 갈등도 해소되지 않았다.
      • 그러다 점차 인구 고령화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중국은 노인 주거생활 환경 조성의 중요성과 사회경제적 의의에 대해 더욱 확신을 가지게 되었다. 2012년 전국 노령공작위원회(全國老齡工作委員會)는 ‘노인 돌봄 스마트화’라는 개념을 제시하였다. “이는 현대 과학기술과 돌봄 서비스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노인 돌봄 모델로, 인터넷과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현대 정보와 스마트 컨트롤 기술을 집약해 노인에게 안전하고 편리하며 건강하고 편안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左美雲.智慧養老的內涵、模式與機遇[J].中國公共安全,2014 (10):48-50.
      • “2014년에 발표된‘고령산업청서 : 중국 노령산업 발전 보고서(老齡產業藍皮書——中國老齡產業發展報告)’는 노인 관련 부동산산업과 노인 서비스업이 노인산업 발전의 기반이며, 국가 과학기술 혁신의 범주에 속한다고 명시하면서, 이를 국가 거시경제 운영의 중요한 부분으로 승격시켰다.”吳玉韶,黨俊武主編.老齡藍皮書:中國老齡產業發展報告[M].北京:社會科學文獻出版社,2014,P33.
      • 국가 정책의 지원과 더 많은 민간 자본의 참여로 중국의 노인 주거 환경 조성은 황금기를 맞이할 것으로 보인다. 노인 치유 환경 및 치유 개념의 연구와 적용은 이 기회를 통해 노인이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보다 건강하게 행복을 느낄 수 있도록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해야 한다.
      • 1.1.3 배경 3: 이론과 실제 적용의 차이
      • 연구와 디자인의 차이는 치유 환경 분야가 마주하고 있는 문제이다. 의료 기관 및 실버타운의 관리자는 기본적으로 녹지 조경과 자연 친화적인 환경이 거주하는 환자와 노인의 건강에 있어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 또 어떤 디자인이 건강에 도움이 되는 녹지 환경인지 알지 못한다. 반면 디자이너는 종종 양질의 경관 환경이 심신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인 역할에 대해서 표면적으로만 이해하고, 이론 연구에서 나온 구체적인 경관디자인은 비교적 제한적이기 때문에 많은 의료 보건 기구의 녹지 경관 환경은 여전히 디자이너의 직관에 의해 설계되고 있다.
      • 현재 치유 환경 연구는 사람의 신체 및 심리, 건강 성과 지표를 통해 자연환경이 인공적인 환경보다 더욱 건강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증명하거나, 더 나아가 환경과 어떤 건강 지표가 비례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룬다. 하지만 구체적인 경관 요소나 공간적 특징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수행하기 어렵고 결과도 비교적 한계가 있기 때문에 치유 환경 디자인에 대한 논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Kaplan 부부는 정신적 피로 회복을 촉진하는 자연환경의 질에 대해 개괄하며 소외성, 연관성, 매력성, 일치성을 필요한 공간적 특징으로 꼽았다. Kaplan R,Kaplan S. The Experience of Nature:a Psychological Perspective [M]. Cambridge:Cambridge University Press,1989,P26.
      • 둘의 이론은 신체적, 심리적 재활에 각각 무게를 두지만 경관디자인을 포괄적으로 제시했다. 또 다른 학자들은 인간이 자연과 가깝게 지내며 그 가운데서 다시 활력을 얻는 친자연적인 바이오필리아(biophilia) 개념을 제시하고 더 나아가 바이오필리아 디자인을 발전시켰다고 결론지었지만. 아직 충분한 적용을 통한 검증이 이뤄지지 않았다.
      • 1.2 연구 목적 및 의의
      • 1.2.1 연구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해볼 수 있다.
      • 첫째, 우선 기존의 치유 환경, 실버타운 환경에 대한 디자인 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종합하여 동서양 국가 현황을 비교하여 본 연구의 착안점을 찾고자 한다. 이를 통해 중국의 노인에게 적합한 환경 디자인과 적용방법, 그리고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둘째, 실증연구 단계에서는 실버타운 정원 활동 환경에 대해 고찰한다.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중 노인의 정원 이용 실태 연구, 노인 심신의 재활성 연구, 정원 공간 특성 평가 연구를 통해 요소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시설 내 노인을 위한 정원 환경 디자인의 구체적인 근거를 제공하려고 한다. 도시 녹지 환경 속 조경요소 및 유형이 노년층에게 미치는 신체적 이완 효과와 정신적 피로 해소 정도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도시 녹지 요소와 노인 심신 재활의 상관관계를 밝혀냄으로써 노년층 건강에 도움이 되는 환경을 디자인할 수 있는 구체적인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 마지막으로 디자인 연구단계에서 연구자 본인의 실증적 연구결과와 다른 학자들의 관련 이론을 바탕으로 실버타운에 적합한 치유 환경 디자인 전략을 도출한다. 이를 바탕으로 동서양 국가 실버타운의 실제 사례 분석 및 이용 후 평가를 통해 중국 노인을 대상으로 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치유 환경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 1.2.2 연구내용
      • “선행 연구에 따르면 실버타운에 입주한 노인의 대다수는 건강 상태가 좋지 않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는 실버타운에 노인의 건강을 치유하는 기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張涵,吳炳義,董慧玲.不同類型養老社區老年人醫療服務現狀及需求調查[J].中國全科醫學.2015,(05):1786-1790.
      • 이에 본 연구는 주로 실버타운의 환경 디자인을 비교 분석하고 선행 연구에서 정의된 치유 개념의 실버타운을 대상으로 영향요인 분석, 요소 체계 분석, 사례 분석, 디자인 원칙과 방법 분석 네가지 측면으로 구분하여 중국 실버타운의 정원 환경 디자인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실버타운의 환경 디자인을 위한 연구의 기초적인 틀을 만들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성과를 근거로 실버타운의 이용 증가와 심신 재활에 도움이 되는 노후 커뮤니티 환경 디자인 전략을 도출하여, 현재 중국이 대규모로 조성하고 있는 실버타운 환경 조성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 치유 환경 디자인의 실버타운 적용은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건강한 장수이다. 이것은 예로부터 인간의 가장 큰 관심사였으며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은 미래 주거환경 조성의 궁극적인 목표가 되었다. 과학 기술의 발전에 따라 각종 산업 오염이 증가하자 사람들은 갈수록 원예 식물의 활용을 중시하고 있다. 치유 환경 디자인은 바로 더욱 편안한 인류의 주거 생활환경 조성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다. 둘째, 노인은 약자로서 심신이 모두 쇠퇴하는 단계에 있다. 이때 필요한 노인 돌봄 환경은 단지 일반적인 돌봄 환경뿐만 아니라 건강 치유 역할을 하는 경관환경이 필요하다. 학술적 가치는 주로 다음 몇 가지 측면에서 나타난다.
      • (1) 새로운 치유 개념의 실버타운 환경모델을 개척하여 실버타운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한다. 환경에 따른 디자인 요소의 장점과 잠재력을 종합하고 체계적이고 다원화된 실버타운의 치유 환경 디자인 모델을 구축하여, 노인 돌봄 환경 수준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키고 노인의 건강 유지를 도와주어 더욱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돕는다.
      • (2)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실버타운이라는 특수한 기관의 목표와 콘텐츠에 집중하여 실버타운의 치유 환경 디자인 계획을 더욱 규범화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한다.
      • (3) 선행연구와 더불어 조사 분석 연구를 진행하여, 실버타운의 치유 환경 디자인 계획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실버타운 환경 조성에 기술적인 가이드를 제공한다.
      • (4) ‘노인의 수요’에 입각하여 치유 환경을 디자인하고 대응책과 디자인 방법을 제시하며, 실버타운 시스템을 정비하여 이를 통해 치유 환경의 발전을 촉진한다.
      • 1.3 선행 연구 이론 분석
      • 치유개념이 도입된 경관의 이론과 적용은 서구에서는 영국과 미국, 아시아에서는 한국, 일본 및 중국이 대표적이다.
      • 1.3.1 서구 국가 선행 연구 분석
      • (1) 영국
      • 영국은 치유 개념을 도입하여 원예 치유 활동을 가장 먼저 시행한 국가이다. 1856년 영국 구호원의 기록에는 ‘낮에 남성은 가능한 한 화단 제작 작업과 동물 사육 등을 하고, 여성도 능력에 따라 다양한 활동을 한다. 치료의 중점은 환자가 어떤 일에 전념하도록 하여 정신적으로 항상 활동하도록 만들고, 실외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기분을 좋게 하고 삶의 기쁨을 느끼도록 하는 것이다.’라는 기록이 있다. 여기서 치료 환자는 정신질환자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인, 노인, 장애인, 수감자, 약물 중단자 등이 치료 대상자에 포함되었고 그 대상은 점차 확대되었다. 영국에서는 원예 치료법 인재의 양성을 매우 중시하였다. 관련 교육기관으로는 '원예 치료 수료증'을 받을 수 있는 영국 원예치료법 협회와 코번트리 칼리지(Coventry College) 보건 사회과학원이 공동으로 설립한 과정과 레딩대학교(University of Reading) 원예대학이 개설한 '치료로서의 원예' 강의 수료증을 받을 수 있는 과정 등 총 두 곳이 있다. 그러나 아직 영국에는 정식 원예치료사 자격이 없어 수업은 모두 영국 원예치료법협회와 뇌성마비협회(Spastics Society) 등 기관이 주최하는 단기 강의와 학술 모임 정도로 이루어져있다.
      • (2) 미국
      • 치료 개념은 18세기 미국에서 등장하였고, 필라델피아 의학 연구소(Institute of Medicine & Clinical Practice)의 벤저민 러시(Benjamin Rush, 1745-1813) 교수는 정원에서 일하는 한 정신질환자의 증상이 경감한 것을 발견하고, ‘부드러운 흙은 정신질환자에게 매우 좋은 치료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1950년, 벌리 게임(Burlingame)과 왓슨(Watson)은 이 분야의 첫 교과서인 ‘원예에 의한 치료(Therapy Through Horticulture)’를 출판했다. 미국이 원예 치료법 인재 양성에 주목하면서 1955년 미시간주립대학교(Michigan State University)와 1973년 캔자스 주립대학교(Kansas State University)가 원예 치료법 관련 강의를 개설하였고, 1987년 MHTA(미국 원예치료법 협회)가 정식 출범했다. “미국의 제니퍼 리키 넬리(Jennifer Richinelli)가 의료 및 요양 시설 내부 녹지의 치유 정원 디자인 적용 연구를 진행했다.” Jennifer R. Building a Healing Garden[J]. Contemporary Stone &: Tile Design, 2018.03,P25.
      • “텍사스대학교(University of Texas System) 학자들은 건강증진을 위한 가치 평가를 연구하면서 실버타운의 실외 환경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 지표를 제시했다.” Bardenhagen E,Rodiek S,Nejati A,et al. The Seniors’ Outdoor Survey (SOS Tool):A Proposed Weighting and Scoring Framework to Assess Outdoor Environments in Residential Care Settings[J]. Journal of Housing For the Elderly,2018(01),P99.
      • 1.3.2 아시아 국가 선행 연구 분석
      • (1) 일본
      • 아시아에서 일본과 싱가포르는 일찍이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어 노인과 관련된 디자인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이 진행되었다. 서구 국가의 디자인 개념을 차용하고, 자국의 전통과 문화를 접목해 노인의 생활습관과 수요를 체계적으로 연구하였다. 세부요소까지 구체적으로 ‘시니어 주택 디자인 매뉴얼'을 제작하였으며, 일본은 물론 아시아에서 널리 활용되면서 노인의 안전한 생활과 편의를 보장하고 있다. 일본은 원예 활동을 치료에 활용한 역사가 길다. 노다(野田, 1997)에 따르면 도쿄의 마쓰자와(松澤醫院), 오사카의 나카미야(中宮醫院) 병원은 70년 전부터 원예 작업을 작업 치료법의 하나로 활용했다. 현재 일본에서는 치유에 관한 이론 연구가 발표되었는데, 그중 대표적인 인물은 일본 규슈대학(九州大學)의 쿠라 세이고가 가장 많은 연구논문을 가지고 있고, 그 다음이 효고대학(兵庫大學)의 도요다 마사히로(豊田正博), 오쿠다 겐이치로(奧田栄一郎), 요시자키 슌이치로(吉崎俊一郎) 등이 있다.
      • (2) 한국
      • “건국대학교(Konkuk University)의 박신애(Park Sin-Ae) 교수는 원예 치료법 이론체계 및 적용 연구에 중점을 두었다.” Seon-Ok K,Sin-Ae P. Garden-Based Integrated Intervention for Improving Children’s Eating Behavior for Vegetables[J].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2020(04),P17.
      • 건국대학교와 홍익대학교는 일찍 연구를 시작해 다양한 성과를 내었고 양 대학 간의 협력도 긴밀한 편이다. “이아영(Lee A-Young)의 연구는 원예 활동이 아동의 행동 및 심리적 정서 안정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중점을 두고 있다.” Eun-Ae I,Sin-Ae P,Ki-Cheol S. Developing Evaluation Scales for Horticultural Therapy[J]. Complementary Therapies in Medicine,2018(02),P37.
      • 손기철(Son Ki-cheol)은 국내와 해외의 5가지 원예치료법의 유효성 지표(즉 신체, 인지, 심리, 감정, 사회)를 개발하여 유효성과 신뢰성을 증명했다. “이관석(Lee Kwan-Suk)은 원예는 운동 관련 활동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흔한 운동(걷기와 달리기)과 비슷한 건강상의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Sin-Ae P,A-Young L, Kwan-Suk L,et al. Comparison of the Metabolic Costs of Gardening and Common Physical Activities in Children. 2014(10),P123-128.
      • 한국은 1997년 한국원예치료연구회를 설립하였고 현재 약 200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다. 한국은 원예치료사 자격제도를 완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현재는 국가가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국가 인증은 반드시 필요해질 것이며 건국대가 가장 먼저 원예치료사 자격제도를 제안했다.
      • (3) 중국
      • 치유 개념은 유럽과 미국, 일본, 한국 등 아시아 국가에서는 상대적으로 발전했지만, 중국에서는 비교적 연구가 늦게 시작되었다. 원예치료법의 이론이 등장한 것도 최근 10여 년 사이에 불과할 정도이다. 연구가 상대적으로 취약하였고, 실제로 적용한 사례는 손에 꼽을 정도다. “주로 홍콩과 대만에서 유행하다가 20세기 말에 치유와 관련된 논문이 발표되었다. 중국의 재활 경관[康複景觀] 개념은 현대 원예치료법의 발상에서 비롯된 것이다.” 李樹華. 盡早建立具有中國特色的園藝療法學科體系(下). 中國園林,2000.04,P32-34.
      • 2000년대 들어 재활 조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연구논문이 해마다 늘고 있지만, 학문적 교차성이 강해 연구 주제가 상대적으로 분산되어 있다.
      • 리수화(李樹華) 교수는 2000년 발표한 '중국 특색의 원예치료법 과학 체계 조기 수립'에서 중국이 자국의 특색을 가진 원예치료법을 모색해야 한다며 원예요법의 이론과 구체적인 적용 방법을 비교적 포괄적으로 분석했다. 또한 대만의 학자들도 원예치료법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하였으며 관련 저서를 출간하였다. 대표적으로 궈위런(郭毓仁)의 『원예 및 경관 치료 이론 조작 매뉴얼(園藝及景觀治療理論操作手冊)』,『경관과 원예 요법(治療景觀與園藝療法)』 등으로, 치료의 구체적인 적용과 치료 대상자에 대해 체계적으로 서술하였다. 대만은 여러 원예치료법 협회가 설립되었고, 대표적인 곳은 'HLHT 경관 원예치료센터(景觀園藝治療中心)'와 대만 녹색 양생 학회(台灣綠色養生學會)를 들 수 있다.
      • 중국은 치유 개념 연구를 비록 비교적 늦게 시작하였지만, 자원이 풍부하고 치유 요법의 좋은 기반 조건을 갖추고 있어 최근 몇 년 동안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다. 중국의 치유 개념은 이론 연구와 끊임없는 적용을 통해 건강한 발전과 광범위한 활용이 가능해질 것이라 사료된다.
      • 1.3.3 기존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
      • (1) 시사점
      • ① 서구의 선진국 실버타운의 연구 및 건설 체계가 비교적 발전하고 있고, 완전한 의료 체계를 갖추어 실버타운에 대한 많은 연구와 적용 성과를 거두었다. 서구 국가들의 연구 성과는 다음 두 가지의 특징이 있다. 첫째, 노년층의 주거환경에 대한 체계적이고 완벽한 디자인 방법을 가지고 있다. 둘째, 실외 환경의 디자인과 관련 요소 등이 주거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연구해 실버타운 실외 환경 디자인을 위해 참고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공하였다. 이를 통해 해외의 실버타운 디자인 기법을 중국의 실버타운에 적용해 기존의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의 단조로운 패턴과 디자인을 보완해야 한다.
      • ② 많은 국가가 이미 다양한 적용 사례를 만들었으며 주요 도입 형식은 색채원(色彩園), 아로마 정원(芳香花園), 암석원(岩石園), 오감 정원(五感花園) 등이 있고, 일부 지역에서는 전문적 치유를 위한 원예 활동원(園藝操作園)이나 재활 정원(康複花園)을 조성하고 있다. 중국은 치유와 관련된 환경 디자인 측면의 연구를 비교적 늦게 시작하여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이론과 적용 경험이 적다. 반면에, 선진국의 치유 환경 및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이론과 연구는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이론 지식과 풍부한 적용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선진국의 성공 사례를 분석하고 중국의 구체적인 실정을 바탕으로 장점은 벤치마킹하고 단점을 보완해야 한다. 치유 철학이 적용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방법 이론을 종합하여 디자인 방법과 혁신적인 접근으로 바람직한 실버타운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 (2) 한계점
      • ① 치유에 대한 개념과 정의가 모호하다. 중국의 연구에서 치유 환경에 대한 개념과 경계는 원예치료법, 양생 경관(養生景觀), 요양 경관(療養景觀), 보건 원림(保健園林) 등 비교적 다양하다. 현재 넓은 의미의 정의는 건강, 회복 기능과 긍정적 보조 역할을 하는 정원 조경을 가리키지만, 실제로는 적용 분야와 연구 내용이 조금씩 다르다. 중국에서 건강한 노후가 점차 자리 잡으면서 곧 관련된 개념과 정의가 정립되고 여러 적용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어휘와 개념이 등장할 것이라 생각한다.
      • ② 연구 방법, 수단 및 연구 차원의 한계이다. 노인층에 집중된 연구의 초점은 노후 주거환경 측면에 대한 관심이 적어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재활 개념을 적용하려는 의식이 부족하다. 구체적인 연구 성과는 대부분 이론적 성과 집필 및 해외 번역 논문이며 국가 실정 및 중국 환경과 관련된 구체적인 적용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치유 환경 디자인 분야를 실버타운 환경으로 확대해야 인구 고령화에 따른 치유 환경 연구의 가치와 의미를 살릴 수 있다.
      • ③ 구체적인 적용을 위한 치유 환경 공간 조성, 구성요소의 조합 등의 연구 내용이 많지 않다. 현재 중국의 연구는 주로 각종 식물의 인체 기능에 대한 긍정적인 역할, 치유 환경 디자인과 관련된 기초 이론, 디자인 요소의 개괄적인 연구에 집중되어 있으며 실제 프로젝트의 적용은 매우 적다.
      • 1.4 선행연구의 문제점 및 연구의 의의
      • 1.4.1 선행연구의 문제점 및 한계
      • 치유 개념의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적용 연구를 통해, 대량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 (1) 치유 개념의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관련된 권위 있는 자료가 비교적 적고, 연구하는 학자도 상대적으로 적었다. 예를 들어, 칭화대학교(清華大學) 저우옌민(周燕瑉) 교수가 양로 시설에 관한 많은 연구 성과를 거두었지만 주로 주거 공간, 예를 들면 주방 등 구체적인 실내 공간에 집중되어 있고 실외 자연환경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적은 편이다. 치유 개념에 대한 자료도 부족한데, 이와 관련된 중국의 대표적 인물은 칭화대학교 건축 학원(清華大學建築學院) 리수화(李樹華) 교수로, 『중국 특색의 원예치료법 학과 체계 구축의 시급함(盡早建立具有中國特色的園藝療法學科體系)』에서 치유 이론과 역사, 활용법을 최초로 체계적으로 소개했다. 본 논문 작성 과정에서도 이 방면에 대한 자료를 많이 찾아보았지만 중복된 내용이 많아 실제 적용한 연구는 적고 실버타운 환경에 적용된 연구는 더 적었다.
      • (2) 실버타운 환경의 주요 대상은 노년층이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이며, 노인 무장애 디자인(Barrier Free) 관련 연구는 건물과 실내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실외 환경에 대한 연구 자료가 부족하고 실버타운의 실외 환경은 일반 주택의 실외 환경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대부분은 처마나 경사에 대한 연구만 진행되어 노인의 구체적인 신체적, 심리적 수요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또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실외 무장애 디자인의 체계적인 이론이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과 결합하지 못하였다.
      • (3) 중국은 현재 치유 개념과 실버타운 환경이 결합된 사례가 매우 적으며, 노인의 실외 활동을 어떻게 촉진할 것인지에 대한 기초적인 이론 연구가 부족하다.
      • 1.4.2 연구의 기대효과
      • 본 논문의 창의성은 첫 번째, 치유 개념과 실버타운의 실외 환경 디자인을 결합하여 노인의 풍요로운 삶과 심신 재활 촉진 방법을 모색하는데 있다. 기존의 치유 환경 실증 연구는 대부분 환경 및 자연 자체가 인공적인 환경보다 더 나은 재활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데 집중되었고, 연구 내용이 허술하고 도출된 결과에 따른 디자인 적용의 의미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이었다.
      • 따라서 본 논문은 연구 범위를 노인으로 한정하여, 환경적 요소 및 공간적 특징과 심신 건강의 영향 간의 연관성에 대해 심층적으로 고찰하여 연구결과를 통해 노인 치유 환경의 구체적인 디자인의 기초적인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 전통적인 건강의 개념은 신체에 국한한다. 특히 프랑스 의사이자 철학자였던 르네 데카르트(Rene Descartes)의 관점은 몸과 마음을 상호 독립적인 실체로 여겼으며 과학자들의 이러한 관점은 현재의 건강 개념과 부합하지 않는다.
      • (1) 본 연구에서는 비교연구법을 광범위하게 활용하였다. 동서양 국가의 실버타운 대표적인 사례를 비교 및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도출된 성과는 중국 실버타운에 중요한 기초 연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2) 이 연구 성과는 이론적으로 기존의 ‘치유’ 디자인 관련 문헌과 구분되어, 하나의 이론적 방법 체계를 형성하였다. ‘치유’ 디자인 방법의 원리를 종합하여 ‘치유’ 환경 디자인에 참고할 만한 이론과 적용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3) 이번 연구 성과는 적용 측면에서 이전의 디자인이 감각을 주요 치유 방식으로 한 것과는 구분되며, 이 연구 방법은 감각 기관에서 감정까지, 마지막으로 지각에 이르는 세 가지 심리적 차원에 각기 다른 디자인 방안을 적용하고 환경에 더 많은 선택을 제공한다.
      • (4) 기존의 디자인 아이디어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과학기술 시대에 감각과 지각의 중요성을 제시하여 과학기술 시대의 감각 및 지각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정보가 넘쳐나는 시대에는 더욱 환경의 질에 관한 요구에 집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
      • 1.5 연구 방법 및 기술 노선
      • 1.5.1 연구 방법
      • (1) 귀납 분석법
      • 원예 치료법, 치유 환경, 실버타운, 요양마을(康養小鎮), 숲 요양 기지(森林康養基地) 등 주제와 관련된 문헌을 참고하였다. 치유 개념, 실버타운 환경 관련 이론을 귀납하고 관련 학술 이론과 디자인 방법을 분석하려고 한다. 다수의 문헌 고찰과 사례를 통해, 디자인 원칙과 방법, 디자인 이론과 적용을 중점적으로 종합한다. 치유 개념,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등에 관한 문헌을 수집·정리하고 무장애 디자인 관련 연구를 고찰한다. 이를 바탕으로 대상의 수요 차이에 관한 기술에 대해 중점적으로 검토한 후 평가 시스템 수립에 관한 문헌자료를 정리하여, 본 논문의 연구방향, 현황 및 관련 이론의 성과를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치유 개념의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의 적용 이론체계를 귀납하려고 한다.
      • (2) 교차연구법
      • 다양한 이론 연구를 통해 치유 개념 디자인은 어느 한 학문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 때문에 관련 학문의 이론의 축적이 필요하다. 또한 환경행동학, 환경심리학, 인체공학, 디자인심리 등 관련 학문과 이론적 성과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한 중국 실버타운에 적합한 치유 환경 디자인을 도출하려고 한다.
      • (3) 비교분석법
      • 외국의 치유 환경 이론과 적용은 빠르고 안정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론 체계도 우수한 적용 성과를 내고 있다. 따라서, 해외의 실버타운 치유 환경의 성공적인 적용 사례를 분석 및 참고하고 도입된 사례를 통하여 본문의 이론 연구에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비교법을 적용하여 동서양의 대표적인 실버타운을 비교하고, 적용 성공 사례를 분석하여 중국의 실버타운 발전을 위한 제안을 제시하려 한다.
      • (4) 사례분석법
      • ‘치유’ 디자인 관련 사례를 상호비교하려고 한다. ‘치유’ 디자인은 결코 어떤 한 가지 유형에 국한되지 않는다. 그래서 많은 사례를 토대로 각기의 다른 영역에서 치유를 실현하는 방식을 도출하여 환경 속에서의 치유 디자인 방법을 종합하고자 한다. 그리고 몇 가지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축적 과정에서 혁신적인 요소들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더 나아가 미래의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또한 이론적 성과와 적용을 결합하고 실버타운 환경에 치유 개념을 적용한 디자인 및 개조를 진행하여, 이를 통해 이론연구의 실용적 특징을 서술하려고 한다. 동서양 실버타운의 성공 사례를 대상으로 성공 원인을 구체적으로 분석해 중국 실버타운의 실외환경 발전에 적용 가능한 선진 경험을 정리하고자 한다.
      • 1.5.2 기술 타당성 분석
      • 본 연구의 기술 노선은 다음 <표 1>과 같다.
      • (1) 중국의 현재 발전 현황 및 향후 추세
      • 중국 사회가 현 단계까지 발전된 상황에서, 많은 인구와 고령화는 필연적인 추세이며 이는 향후 비교적 긴 시간 동안 일반적인 상태로 자리 잡을 것이므로, 노후 생활환경과 삶의 질 문제를 시급히 해결해야한다. 치유 개념은 적은 투입으로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어 타당성이 높은 해결 방법이다.
      • <표 1> 기술 노선
      • (2) 중국의 풍부한 자원
      • 중국은 땅이 넓고 자원이 풍부한 천혜의 장점을 갖췄으며, 다양한 식물종과 전통문화가 치유 개념을 적용하기 좋은 기반을 갖추고 있다.
      • (3) 건강한 노후에 대한 높은 사회적 관심
      • 생활, 건강, 친환경, 호스피스 등은 모두 현재 높은 사회적 관심을 받고 있는 문제이며, 노후에는 이러한 문제점들이 동반될 수밖에 없다. 때문에 치유 개념의 실버타운 환경 연구는 국민을 위한 것이며, 민생과 밀접하고 많은 사람들의 공감과 상호작용을 이끌어낼 수 있다. 치유 개념은 사람의 신체와 정신에 모두 비교적 좋은 치료 효과가 있고, 부작용이 없을 뿐만 아니라 환경 녹지화에도 효과가 좋다.
      • (4) 중국의 치유 개념 발전 기반
      • 고대 정원은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세계 정원 중에서도 매우 뛰어나며 식물의 종류도 매우 많다. 치유 개념은 일찍이 중국에서 시작되었으며 중국 문인들은 예로부터 자연을 숭상하고 식물에 인격을 부여하였다. 예를 들면 ‘죽림칠현(竹林七賢)’은 산과 물을 표현한 것이며, 소동파(蘇東坡)는 ‘고기가 없이 밤을 먹을지언정 대나무 없이는 살수 없다(寧可食無肉,不可居無竹)’고 했듯이 문인들은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을 드러냈다. 중의학(中醫學)과 약학은 의료기술이 뛰어나고 역사가 유구하여 세계에서 한 학문으로 자리 잡았으므로 치유 개념을 적용하기에 아주 적절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치유 개념의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관한 이론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1.6 소결
      • 이 장에서는 치유 개념 정립의 세 가지 배경, 즉 사회 발전의 필연적 산물, 정원 형식 다양화의 객관적 기준 및 다양한 학문의 교차 발전 결과를 분석하였다. 치유 개념을 통해 중국 노인의 생활수준과 건강 상태를 개선하고, 이를 통해 치유 개념의 측면에서 실버타운의 실외 환경을 디자인하여 건강한 실버타운 경관을 조성하여 심신 건강 회복이라는 목적에 도달하고자 한다. 고령화 문제는 우리 사회와 긴밀한 관계가 있는 현실적인 문제이자, 동시에 실버타운의 경관 환경 디자인은 사회 고령화가 수반한 중요한 문제이다. 때문에 본문에서는 실버타운의 실외 환경 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주거환경이 노인의 심리적, 생리적, 행동적 욕구를 더욱 만족시키고, 환경 디자인이 어떻게 환경적 회복 효과를 실현하고 심신을 수양하는지 모색하여 이를 통해 향후 실버타운 경관디자인 작업 시 일부 참고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해외 국가의 성숙한 이론 체계와 관련 규범, 그리고 매우 귀중한 조성 경험을 참고하면 중국의 실버타운 역시 빠르고 건강하게 발전할 것이다.
      • 노인에 대한 관심은 단순히 현재 노인에 대한 배려가 아니라 인류 전체에 대한 배려로 확대되고 있다. 중국 학자들의 노인 연구는 생리학·심리학에서 시작해 사회학·환경학·건축학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고령화 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실버타운에 필요한 아름다운 실외 환경뿐 아니라 도심에서도 노인공원, 노인 광장 등의 유형이 더 많이 생겨날 것이다. 따라서 조경사·원예사의 책임이 막중하며 노인 및 노인의 주변 환경에 대해 더 많고, 더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칭화대학교(清华大学) 건축 학원 조경학과 리수화(李樹華) 교수는 “도시화 진행과 고령화 사회의 도래, 삶의 방식, 가치관의 다양화, 인구 고령화, 아건강(亚健康, 신체적, 정신적으로 질병에 걸린 것은 아니지만 건강하지도 않은 상태), 심리건강 등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며 “종합적인 효과·부작용 없는 치료가 사회문제 해결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로 꼽힌다.”고 지적했다. 원예식물과 원예 활동, 녹지조경 환경이 사람에게 미치는 직·간접적인 작용을 적극 활용하여 심신상태를 개선하고 건강을 유지·증진하며 삶의 질을 향상시켜 보다 인간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 공원경관의 역할을 충분히 발휘하고 해외 국가의 성숙한 이론체계와 성공 사례를 참고하여, 중국의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이론체계를 보완하고, 최대한 노인이 건강하게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 2. 관련 이론 개요와 응용적 사고
      • 2.1 치유에 대한 개요
      • 2.1.1 치유에 대한 관심 증가
      • (1) 현대 사회 발전에 부합
      • 중국 사회가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건강에 관심 갖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고령화의 시대를 맞고, 생활방식과 가치관이 다양해지면서 노년층과 ‘아건강(亞健康, sub health)’ 상태의 노인, 그리고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노인은 이미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되었다. 치유 개념을 적용한 실버타운 환경은 부작용이 없는 반면 치료 효과가 매우 뚜렷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식이라 할 수 있다.
      • 치유가 등장한 주요 원인을 찾기 위해서는 당시 일본의 사회적 배경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일본의 버블경제는 사회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제2차 세계대전의 패배는 일본 국민에 큰 타격을 주면서 일본은 산업화 시대에 접어들었다. 사회 및 경제적 부담이 커지자 인간관계가 삭막해졌고 자기 계발은 뒷전으로 밀려나면서 환경에 대한 사람들의 의존성은 커지게 되었다. 당시 사람들은 삭막한 환경 속에서 안전함과 안정감을 느끼고 싶어 했다. 이 때 일본에서 치유라는 개념이 등장하였다. 또한 오늘날까지 치유가 발전해 온 주요한 원인은 1990년대의 버블경제와 관련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일본인의 새로운 사물을 잘 받아들이고, 개선해 나가는 적응력 때문으로 볼 수 있다.
      • 치유 디자인은 흥미롭고 개성 있으며 단순한 방식으로 사람들의 공감을 얻고, 시각적인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한다. 치유 디자인은 뚜렷한 특징이 있는 독특한 디자인 유형에 속하지 않는다. 중국에서 치유 디자인이 자주 등장하는 이유는 일본과 매우 비슷하다. 중국은 도시의 유동성이 커지면서 사람들의 불안감도 커지기 시작했다. 『치유 개념의 미국 드라마 기능 심층 분석 – 일본 드라마 심야 식당을 예로 들어』에서는, ‘현대사회에는 생산의 이화(異化), 소비의 이화(異化), 사람의 전반적 이화(異化)가 발생했다. “이화(異化) 된 현대인은 치유 받아야 하며, 균형이 필요하고, 객관적 이성과 이성적 가치관을 되찾아야 한다.”位迎蘇,吳曉榮.療愈理念美食劇功能探析——以日劇《深夜食堂》爲例.中國廣播電視學刊,2017(06),P95-98.
      • 고 언급했다. 치유의 기능은 디자인의 많은 분야에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산업 디자인에서, 문화 창작 분야의 디자인은 대부분 치유의 기능이 있다. 영상 분야, 최근에 TV에서 방영된 생활 예능 프로그램 및 육성형 시리즈 게임 등을 포함한다. 디자인의 변화와 발전은 사회경제발전 및 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치유 디자인은 미래 디자인 트렌드에 있어 더욱더 중요해질 것이다.
      • (2) 적용 장소의 다변화 및 대상의 다양화
      • 치유 개념을 적용한 노인복지 환경은 실버타운 내부의 정원, 화원, 녹지 등을 포함하며 서비스 대상도 다양하다. 지역사회 환경은 학교, 병원, 교도소, 소년원, 실버타운 등 특정 장소를 포함하며 목적성이 매우 강하다.
      • (3) 신체 재활, 심리 재활 및 사회·경제적 측면의 장점
      • 적은 비용으로도 치유 효과가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어 값비싼 설비와 특정한 장소가 불필요하다. 자연환경을 접하며 정서적, 신체적 건강을 확실하게 개선할 수 있으며, 상기 서술한 사회적 문제 해결에도 긍정적 역할을 한다.
      • 2.1.2 치유의 개념
      • (1)치유
      • 치유는 문자 그대로 ‘치료 완쾌, 건강 회복’을 뜻한다. 치유의 어원은 성경 속 예수 그리스도가 사람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에서 비롯됐다. “종교에서 ‘치유’는 초자연적인 힘으로 치료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동사다.” 雷蕊.广告设计中的疗愈表现[J].现代装饰理论.2014,(10),P160-166.
      • 1980년대에는 종교적으로 초능력을 가진 사람이 주술 등 신비로운 방식으로 사람의 병을 낫게 한다는 뜻이었다. 당시 치유는 일종의 구마 행위였으며, 춤과 음악의 힘을 빌려 영적 세계를 구축하는 것을 치유라고 했다. 치유의 개념에 대한 설명은 나라마다 설명과 변천 과정이 다르다. (표2 참조) 치유는 독일어에선 ‘hale’이며, 온전함과 건강함을 뜻한다. 현대 영어에서 ‘hale’은 ‘healing’으로 변화되어, ‘의학적 치료’, ‘치유’, ‘치료’를 뜻한다. 일어에서는 ‘愈し’이며, 1991년 출판된 『고지엔(広辞苑)』에서 처음에는 ‘유합(愈合)’으로 번역되었다. 즉 치유는 일반적으로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사람이나 사물을 말한다. 또한, 불안, 부정적인 에너지와 감정을 치료할 수 있는 능력이다. 1999년부터 2000년까지 일본에서 치유는 주로 음악과 몇몇 남성 배우들이 사람들을 편안하게 한다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중국에선 대부분 ‘치료’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된다. 주로 의료 종사자의 신체적 질병 치료 설명에 사용된다. 질병을 치료하는 과정과 회복 효과가 있음을 강조하고 신체적인 측면의 물리적 치유를 뜻한다. 예를 들면 학술 저서인 『환자 치료의 영성(Spirituality in Patient Care)』에서는 치유를 의학 범주에서 환자에 대한 심리 치료로 정의한다. 대부분 우울증, 불안장애, 자폐증과 기타 정신질환의 치료이다. ‘치유 디자인’이 오늘날까지 발전하면서, 치유 영화를 포함한 많은 산업으로 확대됐다. 일본 영화 ‘심야식당(深夜食堂)’은 치유 개념을 잘 녹인 대표적인 영화이며, 치유 만화, 치유 게임, 치유 영상 촬영, 치유 의류 ‘삼녀계(森女系, 가식적이지 않고, 자연스러운)’ 의류를 포함한다.
      • <표 2> 치유관련 개념
      • 분류
      • 일어
      • 중어
      • 영어
      • 단어
      • 愈し
      • 治愈
      • Healing
      • 의미
      • 解除痛苦,复原伤痛
      • 治疗疾病以至康复
      • 治疗、疗愈
      • 관련 명사
      • 癒し[いやし]
      • 治癒[ちゆ]
      • 治療[ちりょう]
      • 治愈
      • 疗伤
      • 治疗
      • Curation
      • Recovery
      • Therapy
      • (2)치유 환경 디자인
      • ‘환경 디자인'은 연구 범위를 명확히 하는 명사이고, 치유는 ‘heal’을 직역한 단어로, 디자인 결과를 아우르는 형용사이다. 최초의 치유 환경 디자인은 현대사회가 발전하면서 사람들의 ‘정서적’ 심리 욕구를 해소하고자 하는 일종의 ‘치유적’ 산물이었다.
      • 디자인적 관점에서 보면, 치유는 육체적 휴식이며, 정신적 자유이고, 또 어떤 의미에서는 안식처인 것이다. 치유 환경 디자인 속 치유 기능은 심신을 이완시켜 신체적으로, 정서적으로 편안함을 준다. 또한, 환경 디자인을 통해 마음을 정화하고, 자신의 감정을 조절해 안전함과 소속감을 느끼게 하고, 긍정적인 에너지를 갖게 한다. 따라서 치유 환경 디자인은 사람들을 신체적∙정신적으로 해방시켜 긍정적인 마음가짐으로 다시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이 있다.
      • (3) 연구 범위
      •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론은 본 연구 범위의 주요 내용으로, 거주 환경학, 환경심리학, 노인 사회학, 양생학 등 일련의 학문을 포함하고 있다. 아래에서 이 학문에 대해 간략하게 논술하려고 한다.
      • ① 주거환경학: “사람과 환경 사이의 상호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주로 사람의 집단 거주를 연구 대상으로 한다.” 吴良镛.《人居环境科学导论》.北京:中国建筑工业出版,2001,(10),P29.
      • 노인·일꾼이 함께 사는 집단거주 생활양식 중 노년층은 지역사회 환경 및 시설 이용의 주요 서비스 대상이다.
      • ② 환경심리학: “사람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 학과로, 주로 사람이 처한 물질적 환경과 사람의 행동 사이의 상관관계를 연구한다.” 胡正凡,林玉莲.《环境心理学》.中国建筑工业出版,2012,(01),P52.
      • 노인이 실버타운이라는 과거 환경과 상대적인 새로운 환경 속에서 생활하면 다소 불편함이 생길 수 있는데, 이 때문에 바로 환경과 심리 및 행동 간의 관계를 근거로 최대한 조화로운 실버타운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 ③ 노인 사회학: “사회학의 이론과 방법을 활용하여 노인의 사회문제와 변화의 법칙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陈涛,《老年社会学》.北京:中国科学出版社,2009,(02),P23.
      • 노인이 시설 환경에서의 생활과 관련된 물질적 수요와 시설 환경이 그들에게 미치는 영향 등의 요소를 통해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기관의 돌봄 문제를 연구한다.
      • ④ 노인 발달심리학: 노인의 생리, 인지, 인격과 사회성 발달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노인의 뇌, 신경계, 근육, 감각 능력, 음식, 수면 등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 노인의 창의력과 지능이 감소하는지, 타인을 거부하거나 멀리하는지, 오래된 개인적인 기질 및 생애 과정에서 타인과의 상호작용과 사회관계의 발전적 변화를 명확히 한다.” RobertS.Feldman 著 苏彦捷.发展心理学—人的毕生发展.北京.广州.上海.西安:世界图书出版社,2007,(07),P48.
      • 노인의 생활환경에 대한 심리 및 생리적 수요를 깊이 있게 파악함으로써 노인에 더욱 적합한 거주시설의 치유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전제가 된다.
      • ⑤ 양생학: “중의학의 양생 보건에 대한 연구는 역사가 길고 양생 학도 의학의 일부에 속한다. 양생은 양생, 몸조리, 보양을 가리킨다.” http://baike.sogou.com.
      • 『장자』내편(内篇)에 ‘양생(養生)’이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하였는데, 지금은 인기 학문으로 모든 사람들이 양생을 중시하고 있다. 그렇다면 도대체 실버타운의 어떤 환경에서 더 좋은 양생 효과를 거둘 수 있을까? 실버타운의 환경 및 사회 환경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사람들의 가장 기본적인 수요를 근거로, 가장 양생에 효과적인 실버타운 치유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 2.1.3 치유 개념의 구성요소
      • 그림 1) 에서 볼 수 있듯이, 치유 개념에 기반으로 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은 사람을 중심으로, 식물, 환경, 치유 활동 등 3가지를 접목시킨 것이다.
      • (1) 환경 요인
      • 원예 활동의 특징은 인체가 자연환경을 직접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아름답고 생기 넘치는 자연환경은 사면이 벽으로 둘러싸인 차가운 환경과는 다르게 매우 큰 치유 효과가 있기 때문에 환경 요인의 영향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 (2) 식물 요인
      • 식물은 사람에게 생기와 희망을 주고, 식물과 함께 시간을 보내면서 시간과 계절의 변화를 느낄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열매를 수확하면서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식물의 색감, 질감, 냄새는 사람의 모든 감각을 자극하며, 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
      • (3) 활동 요인
      • 원예 활동 중 밭 고르기, 땅 다지기, 씨앗 뿌리기 등 행위는 노인의 일상적인 활동량에 맞춰 진행되기 때문에 신체단련과 심리 치유에 도움을 준다<그림 1> .
      •  <그림 1> 치유개념에 기반한 실버타운 환경 설계 구조
      • 2.1.4 치유 개념의 적용이론
      • (1) 치유 정원
      • 치유 정원은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갖춰야 하며 원예 활동이 가능한 시설이 있어야 한다. 주로 플랜트 박스와 화원으로 응용되고 있다.
      • (2) 치유 개념을 적용한 식물원 구역
      • 현재 식물원 내 치유 개념을 적용한 구역이 있는 곳은 미국 오하이오주(Ohio) 클리블랜드(Cleveland) 식물원의 엘리자베스와 노나 에번스 재활 정원(The Elizabeth & Nona Evans Restorative Garden Design)이다. 행잉 플랜트 화분, 촉막상(触摸床), 수반형 플랜트박스(浅盘种植床), 입체 화벽(立体花墙) 등 치료 대상에 맞춤형 기능이 있는 공간을 조성할 수 있다.
      • (3) 숲
      • 숲에서는 새소리, 동물 울음소리, 물소리, 바람에 흔들리는 나뭇가지 소리를 들을 수 있고 꽃향기, 과일 향기, 수액 향기 등을 맡을 수 있으며, 나무껍질, 나뭇잎, 꽃잎을 만져볼 수 있다. 이 모든 것들이 자연 상태의 오감 정원을 구성한다.
      • (4) 주말농장
      • 시민들이 교외에서 토지를 임대하거나 매입해서 꽃과 채소를 심으면서 치유하고, 일광욕과 자연욕을 하며 자연을 느끼는 것이다. 유럽과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많은 사람이 이용하고 있다.
      • (5) 인공 녹지
      • 옥상정원, 발코니, 벽면을 입체적으로 녹지화하는 등 방식으로 기존의 녹지 면적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2.2 관련 용어의 정의
      • 2.2.1 노인
      • 세계보건기구(WHO)는 65세 이상을 노인으로 정의하고, 중국에서는 60세 이상을 노인으로 정의한다. 노인은 노화로 인해 새로운 거주 환경을 원하기 시작했다.
      • 노인 돌봄은 연령과 심신의 특징에 따라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신체가 건강한 노인으로, 경제적 복지와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활동이 필요하다. 두 번째는 어느 정도 신체적 자립생활 능력이 있거나, 자립생활 능력이 전혀 없는 노인으로, 일반적인 돌봄 외에도 의료와 요양을 결합한 노인 돌봄 모델이 더욱 필요하다. 마지막으로는 임종이 임박한 노인으로, 호스피스와 정서적 안정이 필요하다. <표 3>
      • 2.2.2 실버타운
      • “실버타운이란 고령자를 위한 주거단지로 각종 의료시설, 커뮤니티시설, 휴양시설, 여가시설 등을 갖춘 노인 주거단지를 뜻한다” A.H.Maslow, “A theory of human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Vol.50, 1943,(04),P370-396.
      • .
      • <표 3> 노인의 정의
      • 노인의 정의
      • 세계보건기구
      • 일반
      • 청년 노인
      • 65-75
      • 노년기
      • 60-79
      • 노인
      • 75-90
      • 고령기
      • 80-89
      • 고령 노인
      • 90-120
      • 장수기
      • 90세 이상
      • 실버타운은 노후 생활에 필요한 의료 시설과 오락 시설, 체력단련 시설 등을 갖추고 식사 관리, 생활 편의, 건강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료 노인복지주택이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들이 재정을 지원하는 양로원이나 요양원과 달리 입주자들이 내는 돈으로 운영된다. “비슷한 개념의 유료 노인 주거시설을 일본에서는 유료 노인홈, 미국은 은퇴공동체(Retirement Community)라 부른다.”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10725/108134541/1
      • “한국의 실버타운 현황은 이한세(2014) 스파이어리서치&컨설팅 대표가 『실버타운 간 시어머니, 양로원 간 친정 엄마』에서 정리한 바 있다.”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10725/108134541/1
      • 2.2.3 치유
      • 치유(Easing philosophy)는 일본에서 유래된 것으로, 1998년부터 일본에서 유행한 독특한 음악 장르다. 치유 개념의 음악은 대개 느리고 서정적이며, 마음을 따뜻하게 해주는 음악으로 마음을 어루만지고 정서를 함양시킬 수 있다. 사회가 발전하고 인터넷이 보급되면서 치유라는 용어는 이미 전 세계 영화, 책, 노래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아마도 현대 도시 생활의 과도한 스트레스와 일상 속 수많은 고민으로 인해 치유라는 단어가 유행하게 되었으며, 사람의 마음을 평온하게 하고 정화시킬 수 있는 모든 것을 우리는 치유라고 일컫는다.
      • 2.2.4 치유 환경
      • 치유 환경에 관한 연구는 1990년대 미국에서부터 시작됐으며,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최근 치유 환경에 대한 중국학자의 관심도 높아져 초기의 저서 번역부터 전문잡지에 분석한 내용을 연재하는 것까지 모두 이 치유 환경 연구와 관련이 있다.
      • (1) 정의 및 형식
      • 치유 환경(Healing Landscape)이, 다른 조경과 차별화된 점은 치유 성격에 있다. 치유는 긍정적인 상태를 회복하고 유지하는 능력을 뜻하며, 경관 혹은 정원과 같은 단어와 결합하여 “긍정적인 상태를 회복하고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이라는 개념을 도출했다.帕特裏克·弗朗西斯·穆尼[美].恢複性景觀的世界發展[J]中國園林,2009(08),P24-25.
      • 이 때문에 치유 서비스 주체의 특수성과 일반적인 실외환경 간의 관계는 마치 어린이 공원과 일반 공원의 관계와 같으며 치유 환경의 존재는 받아들이는 사람들의 보편성에 의해 결정된다. 치유 환경도 비슷한 특징이 있다. 의료기관 내 녹지, 원예치료원, 아로마테라피 가든 또는 기타 녹지의 한 구역일 수도 있고, 더 나아가 치유 환경이 존재할 수 있는 형식일 수도 있다. <표 4>, <표 5>와 같이, 치유 환경의 형식을 분류하여 이에 따라 실버타운의 실외환경을 선정했다<그림 2>.
      • <그림 2> 실버타운 실외 환경
      • 그림 출처:http://spider.ws.126.net/90a7b9b59c4d9597cc0f0a0b11592f98.jpeg
      • <표 4> 치유 환경 적용이 가능한 형식
      • 의료기관 내 녹지
      • 테마공원
      • 기타 녹지 중
      • 기능 구역
      • 풍경 구역 중 경관 유형
      • 병원 실외환경
      • 원예치료정원
      • 식물원 정원 속 정원
      • 자연 치유 경관
      • 호스피스 정원
      • 아로마치료정원
      • 학교 내 일부 구역
      • 명승고적
      • 실버타운
      • 실외환경
      • 명상정원
      • 감옥 내 구역
      • 중국 전통 마을
      • 감각정원
      • 공원 내 구역
      • 기념정원
      • 거주지 내 구역
      • 재활정원
      • <표 5> 중점 연구한 실버타운의 외부 환경
      • 의료기관 내 녹지
      • 테마공원
      • 기타 녹지 중
      • 기능 구역
      • 풍경 구역 중 경관 유형
      • 병원 실외환경
      • 원예치료정원
      • 식물원 정원 속 정원
      • 자연 치유 경관
      • 호스피스 정원
      • 아로마치료정원
      • 학교 내 일부 구역
      • 명승고적
      •  
      • 실버타운
      • 실외환경
      • 명상정원
      • 감옥 내 구역
      • 중국 전통 마을
      • 감각정원
      • 공원 내 구역
      • 기념정원
      • 거주지 내 구역
      • 재활정원
      • (2) 관련 명사
      • 중국 및 해외 연구를 종합한 결과 치유 환경과 관련된 용어는 다음과 같다<표 6>.
      • <표 6> 중점 연구한 실버타운의 외부 환경
      • 중국어
      • 한국어
      • 영어
      • 疗愈
      • 치유
      • Healing
      • 治愈
      • 치유
      • cure
      • 疗愈环境
      • 치유 환경
      • Healing Landscape
      • 老龄化
      • 고령화
      • Aging
      • 养老
      • 양로/노인돌봄
      • provide for the aged
      • 养老公寓
      • 실버타운
      • Silver town
      • 义务养老
      • 의무 복지/돌봄
      • Voluntary pension
      • 老年心理学
      • 노인심리학
      • psychology of ageing
      • 老年社会学
      • 노인사회학
      • sociology of aging
      • 老年心理学
      • 노인심리학
      • psychology of ageing
      • 园艺疗法
      • 원예치료법
      • horticulturaltherapy
      • 环境设计
      • 환경 디자인
      • environmental design
      • 环境小品
      • 환경 스케치
      • Environmental sketch
      • 环境心理学
      • 환경심리학
      • environmental psychology
      • 养生
      • 양생
      • health maintenance
      • 养生学
      • 양생학
      • Regimen
      • 养生环境
      • 건강관리 환경
      • Health environment
      • 传统养生文化
      • 전통 양생 문화
      • Traditional health culture
      • 环境行为学
      • 환경행동학
      • Environmental behavior
      • 人居环境学
      • 주거환경학
      • Habitat environment science
      • 植物配置
      • 식물배치
      • Plant configuration
      • 景观
      • 경관/조경
      • landscape
      • 景观设计
      • 경관/조경디자인
      • landscape design
      • 景观小品
      • 경관/조경소품
      • Landscape sketch
      • 景观设施
      • 경관/조경시설
      • Landscape facilities
      • 景观生态学
      • 경관생태학
      • landscape ecology
      • 景观规划设计学
      • 조경학
      • landscape architecture
      • 人体工程学
      • 인체공학
      • human engineering
      • 无障碍设计
      • 무장애디자인
      • barrier-free design
      • 标识系统
      • 태그 시스템
      • tag system
      • 生态要素
      • 생태(적)요소
      • Ecological elements
      • 空间环境
      • 공간환경
      • Space environment
      • 艺术美
      • 예술미
      • Art beauty
      • 人性化
      • 인간다움
      • humanize
      • 地域性
      • 영역성
      • territoriality
      • 生态性
      • 생태/생태학
      • Ecology
      • 2.2.5 원예 치료
      • 원예 치료란 정원에서 이루어지는 특정 치료법으로서, 참가자들이 식물을 만지고, 원예 작업을 하면서 심리적 장애를 치료하고 발병 전, 더 나아가 매우 건강했던 상태로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치료 방법이다. 조경계획 혹은 식물 디자인을 이용하거나 원예 활동을 통해 정서적으로 즐거움, 편안함, 평화, 기쁨, 자신감을 느끼고, 신체적으로는 건강을 회복하는 것이 목적이다.
      • 원예치료와 원예는 차이점이 있다. 원예치료는 원예를 매개체로 삼아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간단한 방법이다. 건강과 환경보호에도 도움이 된다. 원예치료에서는 예방을 강조한다. “즉, 신체 면역력을 강화하는 것이 가장 좋은 치료법이기 때문이다.” 李樹華.園藝療法概論.[B].北京:中國林業出版社,2011(05),P34-35.
      • 사람의 신체는 어느 정도 자기 치유 능력이 있다고 믿으며, 신체와 마음의 전반적인 건강을 추구한다. 사와다(澤田) 일본 원예치료연구원은 원예치료에서 ‘원예치료법은 사람이 주연이며, 바로 이 점이 식물이 주연인 원예와는 다른 부분이다.’라고 지적했다. 원예치료법과 비교했을 때, 원예의 대상은 식물, 생활 장소 등이 다양하다. 만약 원예도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면, 모든 사람이 그 대상일 것이다. 하지만 원예치료법의 대상은 의료 및 돌봄 측면의 보살핌이 필요한 특수한 사람들이다.
      • 2.2.6 환경심리학
      • 환경심리학에 관한 이론은 건축 환경의 심리와 행위 욕구에 대한 연구에서 시작되었다. 사람의 행위와 물질 환경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까지 발전하여, 심리학·사회학·생태학·건축학·도시계획학·조경학 등을 포함한다. 환경과 행위는 상호작용을 하며 사람은 환경을 감지하고 공간에 대한 기본적 수요를 기반으로 개조한다. 환경에 적응하며, 환경을 변화시킨다. 이텔슨(W.H.Ittelson), 프로샨스키(H.Proshansky), 케빈 린치 등은 ‘환경심리학’ 개념을 제시했고, 이 환경 개념은 심리학 범주에 속하며, 인간과 환경의 관계와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고 있다.
      • 치유 환경 디자인은 노인에게 조용하고 편안한 장소를 제공한다는 데서 출발한다. 환경심리학에 기반한 양생 및 돌봄 공간의 환경 디자인은 환경이 사람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강조하고, 환경에 영향을 받는 노인의 다양한 감정과 행위에 관해 연구한다. 한편으로는 환경에 대한 사람들의 심리적 수요에 주목하고, 환경 영향에 따라 생겨나는 여러 정서와 행동을 연구·분석한다. 환경의 질을 개선하고 향상시켜 인간과 환경의 관계를 최대한 조화롭게 만드는 것은 노인의 심신에 긍정적으로 작용 한다.“실버타운의 개발과 운영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은 소비자들의 심리적 선호를 파악해 야 하는 것이다”허강수,김갑열,“실버타운입지선택의경로분석,” 사회과학연구, 제52권, 제2호,2013,P273-303.
      • . 황인원의 연구에서도 실버타운 예비 수요자의 특성이 실버타운의 선호도를 결정한다고 하였다. 환경심리학의 이론적 방법을 활용하여 노인의 심리 및 행동을 연구함으로써 실버타운의 실외 환경 디자인에 이론적 지침을 제공한다.
      • 2.2.7 노인심리학
      • 노인심리학은 노인의 심리적 특징과 변화를 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노인심리학은 발달심리학의 중요한 분과로, 정상적인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측면 및 행동 특성 등이 노년 초기, 중기, 말기 단계와 단계적 특징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실버타운의 실외 노인 돌봄 환경을 디자인할 때, 노인 심신의 특징과 규칙을 고려해야만 노인에게 편안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림 3> 에서 볼 수 있듯이, 작은 정원에는 노인을 위한 교류 공간을 제공하였다. 햇빛과 비를 피할 수 있는 시설과 편안한 벤치를 설치하여, 휴식을 취하면서 주변 경치를 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노인의 심신을 즐겁게 하고 정신 건강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 
      • 2.3 관련 학문 기초 및 활용
      • 치유 환경 디자인 문제와 관련된 연구를 조사, 귀납, 종합하였다. 주로 치유 환경의 연구 범위를 포함하며 경관 환경 디자인, 중국 전통 양생 문화, 치유 개념 등을 융합하여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대한 현실적인 지침을 제시하려고 한다.
      • (a) (b)
      • <그림 3> 편안한 노인복지 환경
      • <그림 3-a> https://baike.so.com/gallery/list?ghid=first&pic_idx=1&eid=6384484&sid=6598137
      • <그림 3-b> 사진 출처:http://hbkyyx.com/cn/news/info_18.aspx?itemid=101
      • 2.3.1 시설 환경 모델 분석
      • (1)문화 환경 모델 분석
      • ① 거주환경
      • 아름다운 환경과 좋은 기후는 많은 노인에게 인기가 있기 때문에 입지 선정은 실버타운의 주거환경과 입주율과 직결된다. 입지 선정 시 다음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 첫째, 기후 조건이다. 사람은 나이가 들수록 햇볕을 많이 쬐고 싶어 한다. 이 때문에 실버타운의 입지는 일 년 내내 해가 잘 들고 기후가 온화한 곳이 좋다.
      • 둘째, 지형 요소이다. 노년에 접어들면 체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걸을 때도 쉽게 피곤함을 느끼게 된다. 그러므로 평평하고 넓은 대지를 선정하고, 산간이나 구릉지대는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 셋째, 시설 주변의 환경 및 교통 요소이다. 실버타운은 독립적인 개체가 아니다. 주변 환경과 융화되어야 하며, 편리한 교통은 노인의 이동과 자녀들의 방문을 편리하게 하는 등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 실외 환경은 건축과 관계가 깊다. 실버타운을 디자인할 때에는 반드시 사적 공간, 일부 개방형 공간, 완전 개방형 공간 사이의 관계를 충분히 고려하여 적절한 단계로 나누어야 한다. 또한 건축의 외관 경관을 다양하게 조성할 수 있는데, 식생이나 색채에 따라 지역 내 경관 특색을 살리고 그에 해당하는 식별 표지를 통해 이용자들이 시설 내에서 자유롭게 다닐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종합해보면 뛰어난 지리적 입지는 실버타운의 거주환경의 질 향상을 위한 핵심이다. 실버타운은 햇볕이 잘 들고 온화한 기후의 지역에 위치해야 할 뿐만 아니라, 넓고 평평한 지형으로 노인이 쉽게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외에도 편리한 주변 교통과 아름다운 주변 환경도 주거환경 구축에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다. 반면 실버타운 내 건축물은 서로 다른 특색을 가지고 서로 다른 경관을 구현하도록 돕고, 건축공간에 식별가능성을 더하는 동시에 구역별로 특색을 살려 노인들이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그림 4>.
      • <그림 4> 실버타운 거주환경
      • 그림 출처: http://k.sina.com.cn/article_6502636441_183965b9900100amr7.html
      • ② 서비스 환경 분석
      • 노인은 실버타운의 주체로서, 편리한 이동을 위해 실버타운에 무장애 디자인 적용을 요구할 수 있다. 이제는 사람들의 생활 속에 과학기술이 깊이 스며들었기 때문에, 실버타운 역시 시대 흐름에 따라서 ‘첨단 기술을 적용한 실버타운’을 조성하여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노인에게 편리함을 제공해야 한다. 실버타운은 노인들의 수요에 따라 분석을 해야 한다. 예를 들면 실버타운 내 노인을 위한 무도장의 경우, 조명, 통풍 등 조건을 고려해야 할 뿐만 아니라 휴식할 수 있는 벤치, 콘센트 등 세심한 부분까지 고려해야 한다.
      • 실버타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노인 안전의 보장이다. 연구 사례는 모두 무장애 디자인을 충분히 고려하였으며, 전체적인 계획뿐만 아니라 세부적인 부분까지 안전을 생각한 디자인을 하였고 노인의 편리한 이동은 외부 활동을 독려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 실버타운 공공서비스 측면에서 노인들은 문화오락 및 의료 보장에 집중하고 있다. 실버타운에 노후를 즐기러 온 노인에게 저마다 뚜렷한 취향과 특성을 갖게도 하지만, 낯선 생활환경은 노인에게 외로움을 느끼게 하기 쉽다. 실버타운은 노인들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모임을 만들어 노인들이 뜻 맞는 친구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시설 내 노인대학을 세우거나 대만 도원 장경 양생 문화촌(桃園長庚養生文化村) 내 '은발학원(銀發學園)'의 개념을 벤치마킹해 노인들을 위해 학습 및 교류의 장을 제공하여 장기간 활동량 부족으로 인한 치매 증상을 예방할 수 있다.
      • 또한, 대형 종합병원 한곳과 간편하고 신속한 수속 절차를 구축하여 시설 내 노인이 편리하게 진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시설 내 반드시 소형 진료소를 여러 곳에 설치해 노인의 건강상의 문제를 예방해야 한다. 이 밖에 중국의 실버타운은 아직 발전하는 단계이기 때문에 현지 실버타운 건설 기준이나 가이드라인이 없으며, 전문 서비스 인력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관련 부처는 이에 대한 정책을 내놓고 시설 역시 전문 기술 서비스 인력의 유치와 육성에 관심을 갖고 실버타운 내 공공서비스 시설·시스템을 더욱 확대하고 완비해야 한다.
      • ③ 자연 환경
      • 선행연구를 통해 실버타운은 환경 조성을 매우 중시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다양한 식물은 생명력을 느끼게 하며 시설 내 정원과 건물 주변에 사계절 식물은 사람에게 시각적 즐거움을 선사한다. 식물 색깔의 조합을 통해 노인의 시각에 다양한 자극을 준다. 또한 식물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과정에서 풍부한 음이온 산소를 생성하며 공기 온도를 높이기 때문에 노인의 실외활동 시간이 증가하면 면역력을 높일 수 있다.
      • 실버타운은 노인이 식물과 접촉하고 농사를 짓는 것을 최대한 장려하여 원예 활동을 통한 심신의 건강을 촉진시켜야 한다.
      • 현재 중국은 노인이 노후를 보내는 건축 디자인에 주목하기 시작했고 스마트화, 무장애 디자인을 중시하기 시작하였지만 실버타운의 경관 측면의 조성은 여전히 뒤떨어져있다. 대부분 시각적인 전시 측면에 치중해있으며 안전성, 기능성 및 재활성 등 측면의 조성도 상대적으로 미흡하고 노인의 생리적·심리적 특징에 상응하는 구체적인 수요는 간과하였다.
      • (2)전통 양생(養生) 문화 모델 분석
      • 중국의 전통 양생 문화는 중국 고대 원림에 깊은 영향을 끼쳤다. 유(儒)·석(釋)·도(道) 등 여러 양생 사상이나 전통 중의학의 양생 철학이 모두 고대 원림에 반영되어 역대 황가원림(皇家園林)부터 사관원림(寺觀園林), 사가원림(私家園林)까지 모두 심신수양과 인격 수양이라는 양생적 함의가 담겨있다.
      • 양생 문화에서 ‘정이양신(静以养神)’과 ‘동이양형(动以养形)’ 은 동(动)과 정(静)의 결합으로 생명의 객관적인 생리 법칙에 부합하며 몸을 건강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공간 구분을 할 때는 운동을 할 수 있는 개방적인 '동(动)'적 공간과 함께 사적인 '정(静)' 적 공간까지 세 가지로 세분화할 수 있다.
      • 첫 번째는 운동공간이다. 실버타운에는 노인을 위해 제공되는 현대적 운동시설 외에도, 태극권(太极拳), 팔단금(八段锦) 및 오금희(五禽戏) 등 전통적인 동적 양생 운동법을 도입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 방법들은 어느 정도 이론적 지도가 필요하기 때문에 운동장 주변에 운동하는 방법과 동작 요령을 그림이나 조각 등을 통해 보여줌으로써 노인의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
      • 두 번째는 보행공간이다. 산책은 노인이 자주 할 수 있는 운동 방법이다. 산책은 기본적으로 자유롭고 대화 등의 행위가 수반되므로 보행로 디자인은 너무 직선이거나 단조로운 형식은 피하고 곡선을 주는 등 다양한 변화를 통해 흥미를 주어야 한다. 또한 걷는 속도가 느리고 지구력이 약한 노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길을 따라 휴게시설을 설치해야 한다.
      • 세 번째는 휴식 공간이다. 노인들은 대부분 실외에 앉는 것을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름다운 환경 공간은 노인과 자연을 가깝게 하여, 심신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즉 안전함, 편안함 및 교류 촉진 등은 휴식공간에 고려되어야 하는 디자인 요소이다. “기후는 햇볕이 충분하고 통풍이 잘 되어야 하지만 바람이 많이 부는 곳에 마련하는 것은 좋지 않다.”任曉樂.老齡化背景下養生文化園設計研究——以揚州棗林灣養生文化園爲例.[D]南京:南京農業大學,2012(06),P48.
      • ① 산림으로의 회귀, 환경 양생
      • 계성(計成)은 『원야(園冶)』에서 중국 고대 원림이 추구하는 것은 “사람이 만들지만 자연이 연 것 같이 해야 한다(雖由人作,宛自天開)”것이라고 하였다. 計成.《園冶·園說》[M].北京:中國建築工業出版社,1988(03),P62.
      • 그리고 원림의 선정 부지를 산림, 도시, 마을, 교외, 강과 호수 등으로 나누었다. 이 중 몇몇의 부지는 도시 외에 모두 자연 과 밀접하며, 특히 산림은 원림 조성이나 양생에 매우 중요하다. 예로부터 황가 정원이나 사찰 원림 모두 자연의 산수가 아름다운 곳에 조성되었다. 강남의 사가 원림은 비록 시정(市井)에 위치하고 있으나 최대한‘모산범수(模山範水: 산수자연을 모방하였다)’하였으며, 자연의 산림 경관을 조성하여 사람이 원림 속에서 자연으로 회귀하는 양생을 실현하도록 했다.
      • ② 속세로부터의 탈피, 정서양생
      • 정서 양생은 ‘천고(千古)의 제1의 양생법’이라 불리는 전통 양생의 핵심이다. 정서양생은 인간의 정신적인 수요를 담담하고 침착하며 평온한 마음으로 살아가는 것에 주목한다.
      • “소은은 산 속에 은거하고, 중은은 저자거리에서 속세를 초월하며 대은은 조정에서 속세를 초월한다(小隱於野,中隱於市,大隱於朝).” 老子,春秋,《道德经》[M].团结出版社,2014(04),P39.
      • 라는 옛 말처럼, 강남의 사가 원림은 대부분 시정에 위치해 있는데, 이곳에서 문인 대부들이 '중은(中隱)' 이었다. 도연명의 시 <음주(飲酒)>에는 ‘속세에 살고 있으나, 마차와 말의 소란스런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어찌 그런지 스스로에게 물으니, 뜻이 원대하면 자연스럽게 속세와 멀어진다. “(結廬在人境,而無車馬喧,問君何能爾,心遠地自偏)” 陶淵明,晋代,《陶渊明全集》[M].上海古籍出版社,2015(11),P28.
      • 는 구절이 있으며 이는 은거 사상을 적절히 표현하였다. 마음의 평정을 유지하고 속세의 간섭을 받지 않으면 시정에 있다하더라도 마차와 말의 소리를 느끼지 못하는 것, 이것이 바로 정서양생의 매력이다.
      • 이 외에 중국 고대 원림의 현판 역시 옛 사람이 마음을 의탁한 중요한 매개체로, 글자를 통해 마음속의 뜻을 얻지 못함과 전원생활에 대한 동경을 표현했다. 쑤저우(苏州) 일원(逸园)의 ‘심원정(心远亭)', 졸정원의 '지청의원(志清意远)', 창원(畅园)의 '칠아진금(漆我尘襟)' 등 은 모두 속세로부터의 탈피의 의미를 담고 있다. 북방의 황가원림 이화원(颐和园)의 '수미영경(须弥灵境)', 북해(北海)의 '정심재(静心斋)' 등에서도 속세로부터의 탈피의 의미를 엿볼 수 있다. 고대 원림에서 자연적 미(美)가 주는 위안, 고상한 정신문화에 대한 도취는 사람들의 속세로부터의 탈피와 근심을 덜어주는 데 효과적이며, 이러한 환경에서 생활하는 것은 분명 사람의 심신에 큰 도움이 된다.
      • ③ 마음과 정신 다스리기, 의료 양생
      • 고대 정원, 특히 문인의 사가 원림은 모두 조용하고 담백한 원림 조성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감각적 즐거움 이상의 마음의 고요함을 준다. 이 밖에도 중국 고대 원림은 인체의 기능을 조절해 병을 치료하고 건강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였다. 일찍이 남송(南宋) 의 송효종(宋孝宗)은 덕수궁화원(德壽宮花園)에서 “날마다 아취를 키우니 속세를 초월하고, 산보로 소요하니 마음과 눈이 흔쾌해진다(日長雅趣超塵俗, 散步逍遙快心目)”崔铭,《宋代诗词选》,节选自趙慎(宋孝宗)的《冷泉堂》,[M].上海同济大学出版社,2017(08),P18.
      • 라는 시 구절을 읊었고, 고종(高宗)은 “노안이 더욱 밝아졌다(老眼爲之增明).”吴自牧,《梦粱录》,节选自王十朋的《覓百葉榴花》,[M].二十一世纪出版社集团,2018(03),P18.
      • 라고 칭송했다. 이를 통해 원림에 마음을 수양하는 효과가 있다는 말이 헛된 말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명대 미가 작원(明代米家勺園)은 양생 치료 효과가 좋은 곳으로 칭송받았으며, 시인 황건(黃建)은 『양병작원(養病勺園)』에서 이렇게 읊었다.“북경성 십리 밖의 미가원은 산과 물이 대나무 숲을 둘러싸고 있네. 고적한 것이 별천지인지라, 마차가 왕래해도 도 시끄럽지 않네. 병든 손님이 무슨 인연이 있어 여기서 쉴 수 있는가, 아침에는 산을 보고 해질녘에는 물가에 나아가리라(帝城十里米家園,山水迂回竹樹繁. 迥然別是一天地,車馬過從亦不喧. 病客何緣得憩此,早起看山暮臨水).”이러한 몇 가지 실제 사례는 모두 원림의 마음과 정신을 다스리고, 병을 치유하는 효능을 증언하고 있다. 許慧,彭重華.養生文化在中國古典園林中的應用[J].廣東園林,2009(03),P87-90.
      • 실제로 고대 원림의 산수, 초목은 모두 인체의 생리, 심리에 유익한 ‘녹색 공간’을 제공한다. 신선한 공기와 꽃향기가 가득하고 아침 이슬, 햇빛 등은 인체에 매우 이롭기에 이러한 환경에 오래 머무르는 것은 사람의 신체에 매우 유익하다.
      • ④ 원림의 감상, 운동 양생
      • 비록 중국 전통 양생은 '정(靜)'을 중심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운동 양생의 중요성은 부인하지 않는다. 『내경』의 ‘함부로 일하지 않는다(不妄作勞).’로부터 약왕 손사막(藥王孫思邈)의 ‘양성의 도(道)는 몸의 움직임이 필요하지만 과도하게 피로해서는 안 된다(養性之道,常欲小勞,但莫大疲及強所不能堪有).’까지, 중국 고대 양생가들은 적절한 움직임과 강하고 부드러움이 조화를 이룬 운동 양생을 중시했다. 東火.起居有常——養生保健的基礎方法[J].養生月刊,2011(06),P45-48.
      • 동관과 정관은 원림 감상의 주요 방식이며, 그 본질은 모두 ‘노님(遊)’에 있다. 즉 원림을 거닐면서 양생을 실현하는 것이다. 고대 원림의 각종 건축물, 보행로 및 지형의 배치와 전체적인 구성형식은 사람들이 원림을 감상하며 걷거나, 높은 곳에 오르거나, 물을 건너거나, 잠시 앉는 것 등을 통해 노동(勞)과 편안함(逸), 움직임(動)과 고요함(靜), 펼침(張)과 달림(馳)의 조화로운 변화를 구현하였다. 원림 유람의 '노형(勞形)' 효과는 손사막의 '소노(小勞)'라는 말에 적절하게 부합하는 운동법으로 모든 체질을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다. 宗白華.中國園林藝術概觀[M].南京:江蘇人民出版社,1987,P23-37.
      • 아름다운 원림 환경 속에서 천천히 유람하며 감상하는 것은 사람들의 생리적인 수요를 만족시키는 ‘육체를 움직이고 쉬게 하는 것(노형서체勞形舒體)’일 뿐만 아니라 심미적인 아름다움에 기초한 심신의 즐거움도 줄 수 있다. 金學智,陳本源.園林養生功能簡論——藝術養生學系列論文之三[J].文藝研究,P116-128.
      • 중국의 고대 원림은 황가 원림, 사가 원림 혹은 사찰 원림이든 원림을 조성할 때 우선적으로 고려한 것은 인위적으로 예술품을 만들어 주인이 감상하도록 하기 보다는 주거여건을 개선하고 주거환경을 미화하는 것, 즉 주인에게 쾌적한 양생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사람들이 몇 천 년의 역사 속에서 종합한 양생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어떤 종류의 양생법이든 모두 환경에 의탁하는 것은 필수였다. 즉 중국 고대 원림은 옛사람이 환경을 이용하여 양생한 가장 좋은 예이다. 원림의 입지, 건축 조성, 식물 배치, 축산리수, 원림 감상 등 원림 요소를 구성하는 과정이나, 환경 양생, 정서 양생, 의료 양생, 운동 양생 등 다양한 양생 방법을 응용하는 과정에서 중국 전통 양생 문화가 잘 드러난다. 중국 고대 원림은 사실 하나의 양생 예술로, 그 독특한 양생학적 가치와 예술 기법은 후대에서 참고할 가치가 있으며, 원림 조성 기법도 현대 경관 디자인, 특히 현대 양생 정원 계획 측면에도 참고할 만한 가치가 있다.
      • 2.3.2 ‘치유’개념의 디자인 응용
      • (1)식물 배치의 합리적 응용
      • ① 방향수종(芳香樹種)의 응용
      • “방향수종은 향기 성분이나 약용 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일부 항산화와 항균작용을 하는 미량원소 등 성분이 있는 식물 군락을 의미한다.” 周武忠.《城市園林藝術》[M].東南大學出版社,2000(07),P41.
      • 또한 인체에 필요한 풍부한 미량원소를 함유하고, 모기퇴치와 공기정화의 효과도 있다. 방향 식물의 약 효능은 크게 세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 분자의 부피가 비교적 작고, 침투력이 비교적 강하여 사람의 피부를 통해 침투할 수 있다. 둘째, 항균력이 비교적 강하다. 셋째, 인체의 신진대사와 세포 재생을 촉진할 수 있다. 방향 식물은 주로 호흡기계, 소화기계와 피부계를 통해 인체에 영향을 준다.
      • 방향 식물의 생장 습성, 문화적 의미, 약용치료 효과 등 특징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방향 식물의 향기는 사람을 차분하게 만들고 상쾌한 기분을 느끼게 하여 고민을 잊게 할 수 있다. 요양 구역과 휴식 구역 등 조용한 구역에는 라벤더, 치자나무, 박하 등 방향 식물을 심기에 적합하다. 그리고 식물의 향기는 즐겁고, 적극적인 태도를 갖게 하여 활력을 줄 수 있어, 여가 공간과 헬스 공간 등 활동 구역에는 백합과 재스민 등이 적합하다. 다음으로는 식물의 형태에 따라 식재하여 다양한 경관을 만들어야 한다. 또한 다양한 방향수종끼리 향기가 섞이는 것도 고려해 최대 3가지 종류의 식물만 조합해야 한다. 주가 되는 향기는 주로 치유 효과가 있고, 나머지는 보조 치료의 효과를 주어야 한다.
      • ② 향기 구역 조성
      • 방향 식물은 환경을 개선하고, 감정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돕는다. 향기치료는 1937년 프랑스 화학자 르네 모리스 가트포세(Renee Maurice Gattefosse)가 발명하였으며, 라벤더 오일에 특별한 치료의 힘이 있음을 발견했다. 선진국에서는 향기치료에 대해 깊이 있는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미국의 경우 향기치료가 이미 많이 발전되어있어, 아로마협회인 FDA가 있고, 호주와 영국에는 아로마테라피스트 협회 IFA가 있으며, 일본은 1998년 JAA 아로마테라피협회를 설립하여 일본 전역에 60~70개에 가까운 아로마테라피 학교가 있다. 이로 보아 선진국은 향기 치료를 모두 깊이 있게 연구하고 있으며, 널리 응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a. 야간 향기 정원
      • 여름철 저녁이면 사람들은 실외에 머무르는 것을 더욱 선호한다. 서늘하고, 더위를 식히며 경관을 감상할 수 있는 야간 정원은 노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곳이다. 야간에는 시력이 저하돼 향기에 더욱 민감해지므로 야간 정원을 만들어 놓으면 이런 기능을 집중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 b. 시각장애인을 위한 야간 향기 정원 조성
      • 시각장애인은 시각 외에 다른 감각이 더욱 발달하였다. 식물의 향기를 맡으면 또 다른 방식으로 자연을 느낄 수 있고, 이로써 통증과 정신적 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후각으로 식물을 구별하고 다양한 방향 식물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에게는 향기 정원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2)수변 경관의 디자인 응용
      • 물소리를 듣거나 수변경관을 볼 수 있는 곳에서는 치유 활동 효과가 더욱 이상적일 수 있다. 물은 생명의 영혼으로 비유되는데, 물은 공간에 활력과 생기를 불어넣기 때문에 실외 디자인에서 많이 활용된다. 노인은 잔잔한 물 앞에서 조용히 물소리를 들으면서 일상의 즐거움을 느끼는 것으로 잠시 아픔을 잊을 수 있다. 폭포나 시냇물 등 물의 형식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심신을 편안하게 하며, 시각적·청각적으로 즐거움을 주어 노인이 감상하고 즐길 수 있는 장소가 될 수 있다. 수변경관을 도입할 때는 다음과 같은 원칙을 고려해야 한다.
      • ① 노인이 미끄러지거나 넘어져 다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
      • ② 안전과 접근성을 고려하여 부지 선택을 해야 한다. 때로는 직접적으로 물과 접촉하는 것은 위험하므로 예방 조치를 취해야 한다.
      • ③ 수변경관은 청각, 시각 혹은 촉각 등을 동원할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한다.
      • ④ 수변경관 주변에는 휴게시설을 설치해 노인이 가까운 거리에서 수변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⑤ 수변경관은 시냇물이나 폭포 등 자연경관을 연상시켜 심신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 ⑥ 수변경관은 사계절 혹은 물이 없을 때도 모두 특색이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매우 추운 날씨에 물이 가문 상황을 고려하여 경관 효과를 고려해야 한다.
      • (3)실외 세부시설의 디자인 응용
      • 실버타운의 실외 세부시설은 지 반드시 구체적이고 치유와 결합되어야 한다. 즉 노인의 생활환경에 적합한 세부시설을 고려해야 한다.
      • ① 치유 지식 관련 세부시설 치유 효능과 관련된 지식을 안내한다. 예를 들어 약용 가치가 있는 식물을 소개하거나 건강 운동법을 소개하는 것 등이 있다.
      • ② 자연 지식 관련 세부시설
      • 자연 지식 관련 세부시설에는 식물의 명칭, 식물이 인체에 미치는 다양한 기능 등 흥미를 끌 수 있는 세부시설을 설치하여 노인이 산책하거나 나들이할 때 잠시 멈추어 감상하도록 유도한다. 이를 통해 다른 사람들과 자연에 관한 지식을 나누며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 ③ 기능성 세부시설
      • 실버타운에서 치유개념의 효능을 높이는 기능성 세부시설을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경 2cm인 노즐의 강력한 음이온 분수를 설치하면, 매초 약 100조 개의 음이온을 분사할 수 있어 정원의 공기가 더욱 맑아지고 치유 개념의 재활 기능도 향상된다.
      • (4)재활을 위한 외부활동시설
      • 원예 활동을 하면서 재활할 수 있도록 돕는다. 안전을 보장하면서도 노인의 생리적 특징과 수요에 부합해야 한다. 예를 들어, 플랜팅 베드를 설치하여 노인이 꽃꽂이, 가지치기, 분갈이 등 원예 활동을 할 수 있다. “플랜팅 베드는 노인의 신체 상황들을 고려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해야 하며, 특히 휠체어를 이용하는 노인의 수요를 고려해야 한다”<표 7>. 논문 저자 『원예치료법개론』 자체 편집.
      • <표 7> 휠체어를 이용하는 노인과 일반 노인을 위한 플랜팅 베드
      • 구분
      • 사이즈
      • 플랜팅 베드
      • 높이
      • 휠체어 사용자: 50-60cm(일반적 높이)
      • 의자에 앉는 경우:70-75cm(원예테이블, 작업대)
      • 서있는 경우: 90cm(매우 높은 높이)
      • 바닥에 앉는 경우: 25-40cm
      • 플랜팅 베드
      • 작업대 높이
      • 최저: 60cm 이하
      • 최고: 120cm 이하
      • (고정용)
      • 휠체어 플랜팅 베드: 플랜팅 베드 바닥에서부터 내부 높이(흙이 담기는 높이)는 15cm 이상, 외부(화분) 높이는 20cm.
      • 스탠딩 플랜팅 베드: 플랜팅 베드 바닥에서부터 내부 높이(흙이 담기는 높이)는 15cm 이상, 외부(화분) 높이는 20cm.
      • 플랜팅 베드
      • 가장자리
      • 폭 15cm 이하. 가장자리가 멀면 식물 재료가 닿기 쉽지 않고, 작업이 어렵기 때문에 손잡이와 몸을 지탱하는 기둥 설치를 고려해야 한다.
      • 플랜팅 베드 가장자리에 앉아 작업할 경우: 플랜팅 베드 가장자리 폭은 15-20cm.
      • 지면에서 심을 경우: 식물의 높이는 약 10cm.
      • 정원 길 폭
      • 휠체어: 폭 90cm.
      • 휠체어 회전 공간: 직경 160cm 이상.
      • (5)공공 공간
      • 노인은 사람과 교류하고, 단체 활동을 하는 것을 갈망한다. 그래서 실버타운에 완전 개방형 공간을 만들어 노인이 공공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어, 광장무, 태극권, 구기 종류 운동 등을 통해 노인이 충실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여건이 된다면 화단이나 온실을 만들어 노인이 원예 활동을 하고, 원예 활동을 하면서 교류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또한, 어린이 놀이 구역도 만들어 자녀를 도와 손자·손녀를 돌봐줄 수 있고, 실버타운의 즐거움과 활력도 더할 수 있으므로 디자인은 활동, 오락, 교류 등 세 가지가 결합되어야 한다.
      • 거리에 따라 느낌이 다르므로 실버타운의 공간 디자인을 다양화해야 한다. 예를 들어, 사적 공간, 일부 개방형 공간, 완전 개방형 공간 등은 식물과 지형 등을 이용해 다양한 공간 형식으로 구분하고, 다양한 노인의 활동과 심리적 수요를 만족시켜야 한다.
      • 2.3.3 치유환경 계획의 이론적 기초
      • 치유를 위한 환경 디자인의 개념 연구를 더욱 깊이 진행하기 위해서는 생태학, 인체공학 등 관련 학문을 종합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 (1) 경관계획 디자인학: 과학과 예술적 관점을 기반으로 사람과 자연의 관계를 탐구하여 이 둘의 조화를 기본 목적으로 하여 생존 공간을 기획·디자인하는 학과이다. “생태 과정에 경관의 변화와 간섭을 통제할 수 있는 임계치 존재 여부, 서로 다른 경관 지수와 다른 시공간 차원이 생태 과정에 미치는 영향, 경관구조 및 생태 과정의 예측 가능성과 영향을 주는 외부조건을 포함하고 있다.”郝鷗,陳伯超,謝占宇.《景觀規劃設計原理》[M].華中科技大學出版社,2013(01),P44
      • 이를 바탕으로 실버타운은 사람과 환경의 관계 및 지속 가능한 발전을 기본 목표로 공간을 계획, 디자인, 관리해야 한다.
      • (2) 경관생태학: “지리학, 생태학, 시스템론 및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가 포함된 종합적인 학문이다.”傅伯傑,陳利頂,馬克明,王仰麟.《景觀生態學原理及應用》[M].北京科學出版社,2011(11),P32.
      • '경관', '토지' 및 '환경'의 구별과 연계를 통해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실버타운이라는 '섬처럼 독립된 장소'를 가지고 노인이 살기에 더 적합한 환경 시스템을 구축한다.
      • (3) 인체공학:“ 사람의 생활과 생산 단계를 최적화하고 사람들의 심신 활동 적합성을 기준으로 사람과 가구, 시설, 공간과 환경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徐磊青.《人體工程學與環境行爲學》[M].中國建築工業出版社,2006(05),P51.
      • 노인에 대한 다양한 신체적 자질 및 운동능력, 환경 지각, 공간 행동 및 필요한 요소를 통해 실버타운 최적의 치유 환경을 디자인한다. 노인의 신체 발달의 특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실버타운의 더 나은 발전을 촉진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 2.3.4 치유디자인의 장점과 문제점
      • (1)정신적 측면의 장점
      • ① 활력 증가
      • 사람은 집중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피로감을 느끼고, 정서가 불안정하면 쉽게 충동적인 행동을 하거나 일을 할 때 실수가 잦아지는 등 부정적인 심리 반응이 나타난다. 그러나 자연을 감상하면 이러한 부정적인 심리 반응이 현저히 개선되어 기분이 좋아지고 정신이 맑아진다.
      • ② 스트레스 경감
      • 도시환경 속에서는 생활 리듬이 빠르고 자연환경을 접할 기회도 적기 때문에, 자주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자연 속에서는 자신의 몸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심신이 이완된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즉 자연은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마음을 편안히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장소이다.
      • ③ 창작 열정 자극
      • 원예 활동은 단지 소소한 노동이 아니라 구체적인 예술 활동이기도 하다. 예를 들면 꽃꽂이나 화단 꾸미기는 치유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예술적인 활용성 갖추고 있어 노인이 자신의 미적 취향에 따라 다양한 꽃과 식물을 배합해 예술품으로 만들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자연의 아름다움을 온몸으로 느낄 수 있으며 정신을 수양할 수 있다.
      • ④ 관찰력 및 인내심 함양
      • 모든 동식물의 생장에는 주기적인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식물을 키울 때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려야 하고, 키우는 과정에서도 단계별로 다른 노동을 해야 한다. 예를 들어 물을 줄 때는 식물의 크기에 따라 물을 주고 계절에 따라 관리해야 하며, 손질할 때도 새싹이 잘리지 않도록 조심하다 보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관찰력과 인내심이 길러진다.
      • ⑤ 자신감 함양
      • 일부 노인은 자녀와의 교류가 매우 적어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자신감이 결여될 수 있다. 치유 개념을 통해 자신이 심은 식물이 성장하고 주변으로부터 칭찬을 받는 과정에서 자신감을 얻을 수 있다. 주의할 점은 처음 시작할 때 관리하기 쉬운 식물을 선택하는 것이 치료에 효과적이다.
      • ⑥ 행동 계획성 증가
      • 파종, 흙 갈아엎기, 가지치기 등은 정해진 시간이 있기 때문에 식물을 재배하려면 시간 계획, 서면 계획 혹은 사고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 과정은 식물과의 교감을 강화하고 노인의 행동 계획성과 시간관념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 ⑦ 사회성 강화
      • 노인에게 분재를 나눠주어 지정된 지역에서 식물을 돌보게 하고, 이것이 지역사회 환경과 지역주민을 돌보고 사회에 기여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알려주면, 노년의 취미생활을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물을 매우 열정적으로 돌볼 수 있게 된다. 이런 과정은 노인의 사회적 책임감을 높이고 자신의 존재 가치를 더욱 깨닫게 한다. 신체적 측면의 장점은 감각기관을 자극하는 것으로, 식물의 색과 모양은 사람의 시각, 향은 후각, 식물 뿌리줄기, 잎의 질감(거침, 보송보송함, 부드러움 등)은 촉각, 물소리, 바람소리, 동물소리는 청각에 대응한다. 치유 개념은 오감의 다양한 측면의 자극을 주어 정상인이든 일부 감각적 결함이 있는 사람이든 모두 자연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
      • ⑧ 운동기능 강화
      • 원예 활동은 꽃꽂이와 가지치기 등의 좌식 활동에서부터 흙 갈아엎기, 땅고르기, 물 주기 등 입식 활동까지 전신의 힘을 쏟아야 하고, 손, 머리, 발, 눈 등 각 기관의 협응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신의 관절을 단련시키는 종합적인 운동이다. 노인들은 쉽게 정신적으로 쇠약해지고 몸이 피곤해지므로 원예치료법을 통해 심신을 잘 단련할 수 있으며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 (2)사회적 측면의 장점
      • ① 과도한 경제력을 투입하지 않고 원예 활동을 통해서 노인의 사교 능력을 높일 수 있다. 식물과 관련된 이야기를 나누며 공감대를 형성하여 교류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원예 활동을 할 때, 노인은 식물을 심는 방법 등에 대해 교류하고 토론할 수 있다. 이 과정들은 의사소통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타인과 어울리는 사교 능력을 길러준다.
      • ② 공중도덕관념 강화
      • 치유 개념을 통해 노인은 실버타운에서 자발적으로 구역 관리를 책임질 수 있다. 노인이 식물 생장을 관리하며 자신이 맡은 구역의 식물이 장 생장하는 것을 보거나, 낙엽을 청소하며 모두를 위해 아름다운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노인의 공중도덕 관념을 강화시킬 수 있다.
      • (3)디자인의 장점 및 단점
      • ① 장점
      • 오감 구역 구축을 통해 노인이 다양한 자연환경을 느낄 수 있다.
      • 식물의 다양한 모양과 다채로운 색채, 바람에 흔들리는 잎사귀 소리, 벌레소리, 새소리, 물 흐르는 소리 등을 통해 노인에게 다양한 자연의 정취를 느끼게 한다. 실버타운의 주요 대상은 노인이기 때문에 대부분 생리 기능의 퇴화로 어느 한 부분에 생리적 문제가 생겨 일반인처럼 자연경관의 풍경을 느낄 수 없다. 따라서 오감 구역은 노인이 실버타운의 경관 속의 다양한 풍경을 보다 편리하게 접할 수 있도록 하고, 심리적 자극을 주어 정원에 대한 흥미를 유발함으로써 병을 줄이고 신체적·심리적 질병의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노인의 약시 등 특수한 수요를 전체적으로 고려하고, 시각 이외의 경관 감지 능력을 충분히 계발하고 노인의 특수한 수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이러한 경관은 아름다운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인이 세부적인 것을 느끼고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건강 회복에 도움을 준다.
      • ② 단점
      • a. 중국의 학문 연구 부족
      • 중국 연구는 치유 개념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 중국에서는 대다수가 취미로만 원예 활동을 하고, 원예 활동을 할 기회가 전혀 없는 사람도 많다. 다만 식물이 공기 정화, 환경미화 등의 역할을 한다는 것만 알고 있을 뿐, 노인의 심신 건강을 개선하는 효능에 대해 아는 사람은 극히 드물다.
      • 전문 인력도 부족하다. 비록 1990년대 관련 전공자들이 연구에 뛰어들었지만, 선진국에 비해 전문 인력이 턱없이 부족하고, 학교나 교육기관에서도 치유 개념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과정을 개설하거나 관련 학위를 수여하지 않는 형편이다.
      • 실제 적용 사례도 부족하다. 여전히 치유 개념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선진국 연구 성과에 대한 소개하거나 중복 연구가 많다. 이론적 연구 위주로 실제 적용은 더욱 적다. 미국에서는 이미 최소 300개의 식물원이 치유 관련 개념을 응용하고 있을 정도로 치유 개념이 보편화되었다. 일본은 최소 60%의 장애인 시설이 치유 관련 효과가 있는 재활 관련 시설이다. 반면 중국은 치유 개념 적용 장소나 시설이 모두 모두 부족하여 거대한 인구 중 극소수만이 치유 개념의 이점을 누릴 수 있다.
      • b. 공간의 교류 부족
      • 선행연구를 통해 실버타운 내 광장과 같은 교류 공간은 노인의 집단적인 특성을 고려해 다수의 사람을 수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광장과 같은 공용 공간은 노인들이 교류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예를 들면 시설 내 광장은 단체 활동이 없을 때 널리 활용되지 않는다. 반면에 노인의 교류활동은 대부분 도로의 교차로나 아파트 사이의 공터, 헬스시설 주변의 비공식적이고 자유로운 공간에서 진행된다. 이러한 비공식적인 환경에서의 대화는 노인이 교류활동에 대해 갖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교류활동을 촉진한다. 이 때문에 소규모 교류 공간을 만드는 것은 노인의 소규모 교류활동의 매개체이며, 더욱 자발적이고 사회성 있는 활동 진행을 위한 좋은 전제조건을 마련해 준다.
      • c. 무장애 디자인 미흡
      • 현재 실버타운의 무장애 디자인은 대부분 국가 규범의 표준을 주요 근거로 하고 있으며, 주로 경사면, 팔걸이, 지면 높낮이 차 등이 적용된다. 이러한 무장애 디자인은 노인의 수요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생활 만족도를 떨어뜨리고 있다. 고령의 노인은 실외환경의 안전성이 매우 중요한데, 팔걸이가 있는 의자와 걸을 때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손잡이는 노인의 이동의 안전성과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 2.4 사례 분석
      • 2.4.1 우수 사례 분석
      • (1)삼성 Noble County
      • ① 한국의 고령화 및 실버타운 현황
      • 한국은 2000년에 '고령화 사회' 진입 이후, 17년 만에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한국의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사회'로의 전환 속도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대략 2026년에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측된다. 즉 2050년이면 한국의 인구 고령화 수준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 유례없는 초고속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지난 수십 년간 경제성장을 촉진했던 '인구 보너스'의 실종이 한국 경제의 최대 리스크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2018년 말까지 한국 전체 인구 5,542만 명 중 65세 이상 인구가 14.2%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본격적인 '고령사회'에 진입한 것을 의미한다.
      • 한국 국민은 전통 효(孝) 사상의 영향으로 대부분 부모가 실버타운에서 여생을 보내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가정 돌봄 모델 발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한국 정부는 1992년 세금 우대 정책을 내놓고, 3대가 함께 거주하는 가정에 소득세 감면, 65세 이상 노인에게 세금 감면 혜택을 주었다. 2000년 한국은 노인주간보호 센터, 단기보호 센터와 가정 돌봄 지원센터를 설립하여 가정 돌봄 수요를 만족시키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최근 들어 한국은 노인 돌봄 문제를 중시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해외의 선진 실버타운의 장점을 흡수해 한국의 실버타운을 조성하기 시작했다. 전통문화의 영향으로 한국의 양로 개념은 중국과 비슷하여 모두 가정 부양이 주를 이룬다. 그러나 사회가 발전하고 사람들의 생각에도 변화가 생기면서 실버타운, 노인주택 역시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점차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지기 시작했다. 그중 절반이 넘는 노인이 주요 도시 지역에서 노년을 보내기를 원했다. 일반적으로 지방도시와 달리 서울시에는 이미 전국 대비 다수의 실버타운이 도심에 위치하고 있다. “도시형 실버타운은 그 입주비용이 전원에 위치한 실버타운에 비해 높은 편임에도 불구하고 입주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손은경, 국내 도심형 실버타운 현황 및 전망, 국민 은행 금융지주 경영연구소, 2014,P35.
      • 대표적인 사례로 한국의 삼성 Noble County의 사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 ② 위치 분석
      • 송나윤에 따르면 실버타운은 그 위치에 따라 도시형, 도시근교형, 전원휴양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도시형 실버타운의 개념 정의에 있어 임은영과 황연숙”임은영, 황연숙, “도시형 실버타운 공용공간의 배치 및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 학회논문집, 제6권, 제1호, 2011,P65-73.
      • 은 도시지역 노인들의 신체적·정신적·사회적 건강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로서, 지속적인 교류가 가능 한 곳이라 정의하였다.
      •         
      •      (a) (b)
      • <그림 5> 삼성 Noble County
      • <그림 5a>그림 출처:https://www.samsungnc.com/kor/noble-county/facilities/directions.html
      • <그림 5b>그림 출처:http://www.powerkoream.co.kr/news/articleView.html?idxno=586
      • 삼성 Noble County는 서울 남부의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해 있고, 서울에서 고속도로로 약 30분 거리이다. 용인시 청명산 남쪽 산자락에 자리 잡고 있다. 자연 경사로가 있으며, 산에는 나무가 우거져 자연적 방벽이 잘 형성되어 있다<그림 5>. 삼성 Noble County는 대지면적 22ha에 연건평 16만 m² 규모로 양로원과 병원, 서비스센터로 구성되어 건강한 노인, 반자립 노인, 요양이 필요한 노인을 받을 수 있다. 사업 주변지역은 용인시 뉴타운 주거 단지로, 주변에 학교가 인접해 있어 편리하고 활발한 도시 생활 분위기 속에서도 고즈넉함을 느낄 수 있다.
      • ③ Noble Country 디자인 특징
      • ● 용인시 청명산 남쪽 산자락에 자리 잡아 자연 경사로가 있으며 산에는 나무가 우거져 자연적 방벽이 잘 형성되어 있다.
      • ● 식물 재배 측면을 보면, 한국은 길가에 심는 수목과 관련하여 풍토와 기후에 적합하고 외형이 아름답고 그늘이 크며 생명력이 강한 나무를 골라야 한다는 규정이 있다. 따라서 Noble County에는 오동나무, 튤립나무, 단풍나무, 회화나무, 은행나무, 팽나무, 벚나무 등의 큰 교목이 많이 심어져 있어 관상적인 측면 외에도 노인에게 그늘을 제공해 준다. 뿐만 아니라 무궁화와 같은 관목과 꽃도 많이 심어져 있다.
      • <그림 6> 일상적인 교류를
      • 프리미엄 실버타운으로 보증금 및 관리비가 상대적으로 비싸기 때문에 주로 고소득층 노인을 대상으로 한다.
      • ● 각종 생활·오락·문화·체육 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으며 외부에 개방하고 있기 때문에 입주 노인이 젋은이들과 일상적인 교류를 할 수 있다<그림 6>.
      • ● 거주·의료·건강·문화·체육·음식점 등의 부대시설 외에도 어린이집을 설립하여 다양한 연령층이 건물 내에서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어 역동적이다.
      • ● 비용은 보증금, 관리비, 식비로 나누어 받으며 이 중에서 보증금은 퇴소 시 전액 환급받을 수 있다. 노인 전용 식당이 있어, 매 식사마다 영양식이 제공된다.
      • ● 서비스 센터의 로비는 천장이 유리로 되어 있어 채광이 좋아 내부에서 나무와 풀들을 기를 수 있으며 추운 계절에도 푸르른 봄기운을 느낄 수 있다. <그림 7>
      • ● 실외에는 등산로 외에도 주말농장이 마련되어 있어 주말이면 노인을 찾아오는 자녀와 손주들이 가족 농장 활동을 할 수 있다. 이는 가족들이 면회를 겸한 휴가를 즐길 수 있도록 해준다.<그림 8>
      • <그림 7> 채광이 좋은 서비스센터
      • 그림 출처:https://samsungnc.com/kor/noble-county/nursing-home/space__public-view.html?uid=4
      • <그림 8> 삼성 Noble County 내부 환경
      • ● 입주 노인 외에도 주변 지역 주민들에게 실버타운 부대시설을 개방하여 가족 3대가 함께 즐길 수 있는 새로운 실버타운 모델로, 한국 국내에서도 보기 드문 시설이다.
      • ● 입주 노인들이 편리하게 외출할 수 있도록 맞춤형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시니어 센터와 서비스센터, 병원을 외부 하늘다리로 연결하여,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건물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높은 산간 지대의 경사로로 인한 이동상의 불편함을 없앴다.<그림 9>
      • <그림 9> 삼성 Noble County 내부 하늘다리
      • ⑥ 참고 디자인 분석
      • 구미 등 기타 국가의 실버타운과 비교했을 때, 한국의 삼성 Noble Country가 보이는 가장 큰 차이점은 디자인 개념의 혁신을 이루었다는 점이다. Noble Country는 디자인 초기부터 한국 노인들의 특징을 고려하여 현지 실정에 맞게 노인들과 젊은이들이 함께 생활할 수 있는 역동적인 개방형 커뮤니티 디자인 콘셉트를 적용했다. 또한 건강·체육 시설은 노인들의 이용을 우선적으로 보장하면서 주변 주민들에게도 개방되는데, 이러한 혁신적인 설계는 침체되고 고립되어 있는 실버타운에 활력을 불어넣어 줄 뿐 아니라 동방의 노인 공경 문화도 선양할 수 있다. Noble Country를 걷다 보면 남녀노소 모두 화기애애하게 교류하는 행복한 장면을 목격할 수 있다.
      • Noble Country는 프리미엄 실버타운으로 보증금 및 관리비가 상대적으로 비싸 주로 고소득층 노인을 대상으로 한다. 하지만 현재 한국의 경제상황과 방대한 노인 인구수를 고려했을 때, 중·저소득층 가구의 노인들은 실버타운 입주가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각 계층의 수요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계층별 실버타운을 조성해야 한국이 당면한 노인부양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중국 역시 노인 인구수가 많아 노인 부양 압력이 크므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뿐 아니라 입주자 비율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 중국의 실버타운은 삼성의 Noble country를 모방하여 실외 환경 이용률을 높여야 한다. 한국은 식물이나 가벽을 활용하여 사적 공간 및 반(半) 사적인 실외 공간을 조성하는 등 한국의 뛰어난 사생활 보장 노하우를 갖추고 있어 중국이 참고할 만하다. 또한 마찰력 강화, 미끄럼 방지, 충격 흡수가 가능한 재료로 바닥을 포장해야 휠체어 및 보행보조기를 사용하는 노인이 식물에 접근하고 자연을 가까이할 수 있다. 정서적 교류의 공간을 확대하면 노인의 심신 건강을 자극하여 긍정적인 정서를 가꿀 수 있다. 중국의 실버타운은 노인들이 바깥 풍경을 편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실내와 실외를 이어주는 구름다리를 마련해야 한다. 또한 가족 등 방문자들과 노인들의 소통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노인들이 사회와 단절되었다고 생각하지 않도록 사회적 교류를 확대시켜야 한다.
      • (2)일본 요코하마 타이요시로(太陽城)
      • 지난 20년간 일본은 고품격 노후 주택 단지에 대한 수요도 커지고 있다. 예전의 대가족 환경에서 편안한 노후를 보냈던 노인은 오늘날에는 대부분 실버타운에서 생활하기를 원한다<표 8>.
      • <표 8> 요코하마 타이요시로 포지셔닝
      •          
      • 요코하마 타이요시로 공사는 2기로 나뉘어 진행되었고, 2013년 준공되었다. 단독생활 아파트 700호실과 개인 전문 간호 병실 120실을 갖추어 입주한 노인을 위해 양질의 주거환경과 전문적인 간병 서비스를 제공한다.
      • 예전에 스포츠센터였던 이곳은, 대지 크기와 주변 환경이 낮은 용적률의 시설을 짓기에 적합했다. 그 전과 다르게 이 시설은 건축 위주가 아니다. 숲이 우거지고 가파른 경사가 있는 좁고 긴 지대가 장벽 역할을 한다. 위쪽의 또 다른 대형 아파트 건축물과 분리시킨 것을 제외하고, 모두 단독주택과 여러 채의 주택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렇게 나무가 우거진 지역의 변두리는 동네 전체가 이용할 수 있는 공용 휴식 공원으로 조성되어 타이요시로가 관리하고 있다. 지하주차장을 만들어 지상에는 경관 공간을 더 많이 확보하였다. 또한 지붕 면적의 4분의 1에는 식물을 식재하였다.
      • ① 일본 고령화 현황
      • 일본은 장수의 나라로 인구 구조는 ‘초고령화’상태라고 말할 수 있다. 2003년 통계에 따르면 남성 평균수명은 78.36세, 여성 평균수명은 85.33세로 19.24%가 65세 이상 노인이다. 2050년에는 65세 이상 노인이 33.7%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일본은 세계에서 최장수 국가 중 하나이며, 선진국인 일본의 인구 고령화 속도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다.”何靖楠,李寧華,張毅,張鐵梅,黎健.中國外人口老齡化現狀及中國面臨的挑戰[J].中華臨床醫師雜志(電子版),2011(10),P3894~3897.
      • 일본은 아시아 최초로 가장 먼저 인구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국가이며 중국과 전통문화와 가족관 측면의 유사성이 있다. 통계학적으로 인구 경제 발전과정의 유사성은 중국이 참고할 만하다.
      • ② 사업 배경
      • 요코하마 타이요시로는 Sun City가 자체 투자하여 건설한 양로 부동산 사업이다. 요코하마시 근교에 위치해 요코하마 지하철역에서 차로 20~25분 거리이며, 대지 8만4350m², 건평 5만 6012m²규모다. 공용 공간이 전체 사업 면적의 38%를 차지하며 요코하마 타이요시로의 가장 큰 특징이 바로 공용 공간을 최대로 배치해 노인 활동 구역을 크게 늘렸다는 점이다.
      • 요코하마 타이요시로는 교외형 프리미엄 단지이다. <그림 10> 전문 서비스 인원을 배치하여 평균 1.5명의 노인당 1명의 전문 도우미를 배치하였고, 의료 서비스는 외부 병원과 협업을 통해 진행한다.
      •       (a) (b)
      • <그림 10> 요코하마 타이요시로 위치
      • 그림 출처<그림 10a>: https://www.xuehua.us/a/5eb6d81a86ec4d1abb7730c0
      • 그림 출처<그림 10b>:https://www.zhihu.com/question/48662121/answer/112016318
      • ③ 요코하마 타이요시로(太阳城) 디자인 특징
      • ● 디자이너는 전체 사업 계획에서 지형 등 기존의 자연적인 요소를 그대로 보존하고 기존 수종을 대량으로 심어 자연 경관과 타이요시로가 조화롭게 어우러지도록 설계했다<그림 11>. 일본인은 자국 문화의 영향으로 장수를 상징하는 식물과 생명의 의미가 담긴 식물을 선호하기 때문에 타이요시로에는 소나무, 측백나무, 고로쇠나무 등 교목을 위주로, 대나무, 물푸레나무, 감탕나무, 진달래, 벚꽃, 단풍나무 등을 관목을 심었다. 벚꽃, 단풍나무에 대한 일본인의 애정이 남다르며 대나무는 일본 같은 온대 지역에서 번식하기 쉽기 때문이다. 함께 심은 식물 종류로는 동백, 섬개야광나무, 감탕나무, 월계수, 진달래 등이 있고, 많은 나무를 기하학적으로 다듬어 비교적 일본식 정원 느낌이 가득하다.
      •           (a) (b)
      • <그림 11> 요코하마 타이요시로 평면도
      • <그림 11a>그림 출처:https://www.google.com/maps/place/%E3%83%84%E3%82%AF%E3%82%A4%E3%83%BB%E3%82%B5%E3%83%B3%E3%82%B7%E3%83%A3%E3%82%A4%E3%83%B3%E6%A8%AA%E6%B5%9C%E9%87%8E%E6%AF%9B%EF%BC%88%E6%9C%89%E6%96%99%E8%80%81%E4%BA%BA%E3%83%9B%E3%83%BC%E3%83%A0%EF%BC%89/@35.4448098,139.6251766,15.69z/data=!4m9!1m2!2m1!1z5qiq5rWc44K144Oz44K344Oj44Kk44Oz44K344OG44Kj!3m5!1s0x60185c8a5443e1d9:0xf48b471cfbb54378!8m2!3d35.4452928!4d139.6274655!15sCiHmqKrmtZzjgrXjg7Pjgrfjg6PjgqTjg7Pjgrfjg4bjgqOSAQ5udXJzaW5nX2FnZW5jeQ
      • <그림 11b>그림 출처:https:// www.image.baidu.com
      • ● 정원은 전형적인 일본식 디자인으로 설계되었지만 기존의 노인 돌봄 패러다임에서 탈피해 산지에 밭을 개간하여 ‘농장식(農莊式) 생활의 주거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 ● 건축 테마 외에 삼면이 모두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어서 탁 트인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요코하마 동부 도시 전체를 내려다 볼 수 있다.
      • ● 고급 호텔식 건축 디자인으로 설계되었으며 야외에 공용공간을 많이 조성하여 가족적인 주거환경을 완성했다.
      • ● 실외에는 일본식 산책로 정원을 조성하고 정교한 보행로와 타이요시로만의 작은 화원을 마련하였다. 노인들은 산책로를 걸으면서 운동도 할 수 있다 .
      • ● 타이요시로 곳곳의 디테일한 요소들이 노인들의 흥미를 유발한다. 예를 들어 산책로에는 징검다리가 있어 유유히 흐르는 물 위를 거닐며 자연을 감상할 수 있으며 건강한 하체를 가진 노인들의 경우, 신체 단련의 기회로 삼을 수도 있다<그림 12>.
      • <그림 12> 요코하마 타이요시로
      • 그림 출처: https://www.xuehua.us/a/5eb6d81a86ec4d1abb7730c0
      • ● 다리가 불편한 노인들을 위해 휠체어를 타고 실외에서 아름다운 자연 경치를 즐길 수 있도록 휠체어 도로를 조성했다.
      • ● 지형 파괴를 줄이고 자연림, 녹화 및 식생 등 자연 환경을 보존하도록 설계되었다.
      • ● 정원 중심구역에는 자연식 수상요소가 있다. 신기술을 활용하여 정화 및 환류처리가 가능해져 수자원의 효율적인 재활용을 실현하였다.
      • ④ 참고 디자인 분석
      • 일본 요코하마 타이요시로 사업자와 설계자는 모두 시설 대지의 자연 보호를 매우 중시하였다. 전통적인 양로원 공간 구조에서 탈피하여 자유롭고 한적한 자연경관 환경을 구현해 노인에게 ‘마을’같은 전원생활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실외 경관은 이곳에 거주하는 노인들, 외부 방문자 및 주변 주민들에게도 쾌적한 공용 경관 공간을 만들어 주었으며, 자연 경치와 요코하마가 인접해 있다는 지리적 장점까지 더해져 이 곳은 일본 실버타운의 모범사례가 되었다.
      • 타이요시로는 중국 실버타운이 참고할 만한 여러 가지 요소를 갖추고 있다. 타이요시로는 넓은 실외 공간을 갖추고 있어 다양한 환경 디자인이 가능하며, 건물 배치가 단순하여 실외 환경의 구역 분할이 용이하다. 도로 설계는 일정한 축선을 기준으로 설계하였기 때문에 편리하고 합리적인 교통 흐름이 조성되어 있어 노인들이 편하게 외출할 수 있다. 하지만 교통 흐름의 단일화, 단순한 건물 배치로 인해 지루한 공간 체험, 낮은 자연 경관 활용도 등 몇 가지 문제점도 존재한다. 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주차장을 지하에 건설하여 디자인 가능한 공간을 확대하고, 정원을 동적 구역과 정적 구역으로 분할하여 각종 체험 및 시설 공간을 설치해야 한다. 또한 다양한 크기의 자연 경관 시설을 설치하여 더 많은 종류의 식물을 배치한다. 이를 활용한 식물 요법은 노인 질병 치료에도 활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생리적, 심리적 욕구를 충분히 고려한 무장애 디자인을 통해 노후 환경에 대한 노인의 수요를 만족시켜야 한다. 상기 기술한 해결방안들은 중국의 실버타운 디자인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 (3)중국 베이징 동방태양성(北京東方太陽城)
      • ① 시설 입지
      • 베이징시 순이취(順義區) 차오바이허(潮白河) 부근에 위치해 있으며<그림 13>, 부지 면적은 약 75만㎡ 녹지와 16만㎡의 인공 호수를 포함하고 있다. 이곳은 중국 최초의 실버타운이며 미국 Solar city의 개념을 도입하고 중국 도화원(桃花園)의 생활방식과 결합해 ‘젠(zen) 스타일 주거환경’을 만들었다<그림 14>.
      •                (a)   (b)
      • <그림 13> 베이징 동방태양성 위치
      • 그림 출처 :https://www.google.com/maps/@40.1876543,116.7590463,10.33z
      • <그림 14> 젠(zen) 스타일 주거환경
      • 그림 출처:https://baike.so.com/gallery/list?ghid=first&pic_idx=1&eid=6768433&sid=6983547
      • ② 위치 분석
      • 동방 태양성의 입지 선정은 편리한 교통, 자연환경, 의료자원 이 3가지를 고려했다. 동방 태양성은 경승(京承) 고속도로에 인접해 있으며 순의취에서 약 15km 떨어져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차오바이허는 자연환경이 아름답고 수원이 풍부해 실버타운에 양질의 경관을 제공하고 있으며, 시설 10km 내에는 순의 중의원과 순의 병원이 있어 노인들의 돌발성 질환과 진료를 보장하고 있다.
      • 실버타운의 전반적인 설계는 중국 전통 태극 개념과 현대 과학 설계 방식을 융합시켜 시설 구성과 도로를 구분했다. 물과 녹지는 태극의 순환 형태를 본떠 전체 시설이 하나로 순환하는‘태극’을 형상하도록 했다. 공공 공간과 사적 공간을 연결하면서도 독립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여, 노인이 필요에 따라 단체 활동 혹은 사적인 만남을 할 수 있도록 했다<그림 15>.
      • <그림 15> 베이징 동방태양성 시설 전체 설계도
      • 그림 출처: https://www.sohu.com/a/497325289_121248839
      • ③ 동방태양성 디자인 특징 :
      • ● 동방태양성은 녹지와 수변공간을 분리하고 테마별로 설계하였다. 녹지와 수변공간을 활용하여 골프 연습장과 개성 있는 수변 경관을 조성했다.
      • ● 동방태양성은 오픈 스페이스 시스템을 적용하여 전체에서 부분적 측면까지, 주거공간을 실외 환경공간까지 개방했으며, 전체적으로 정원 같은 느낌을 주도록 설계되었다.
      • ● 기존 대지의 식생을 이용하여 방풍림과 과수원, 골프 연습장 및 시설과 분리된 숲을 조성하였다. 식물의 종류를 선택할 때, 방풍·방사가 가능한 토종수종인 만주흑송, 플라타너스, 백양나무, 홰나무, 화북송, 가시나무 등의 교목을 선택했으며, 관목종은 백일홍, 정향나무, 개나리, 벽도나무, 서부해당, 박태기 나무, 불두화 등을 심었다. 생태호수의 주변에 수생식물을 많이 심어 다양한 식물의 종류를 통하여 좋은 관상효과를 냈을 뿐만 아니라, 공기 정화 작용으로 건강에도 유익하다. 또한 주요 보행로 양쪽에 교목이 많이 심어져 있어 노인의 이동 및 활동에 충분한 그늘을 제공할 수 있다.
      • ● 수변공간이 시설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질 때는 규칙에 따라 연못 구성, 포장, 식물재배 등을 진행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친수공간을 조성하였고 수변공간이 주거 및 공용 건물과 인접하지 않을 때는 자연적 특성을 강화했다.
      • ● 시설 내에 화원과 정원이 마련되어 있으며 각 테마에 따라 공원의 식물 배치도 각기 다르게 디자인했다. 이는 노인들에게 다양한 즐거움과 사교 공간을 제공하며 공간 식별 능력을 키우는데 도움을 준다.
      • ● 녹지와 물은 경관 요소일 뿐만 아니라 최적화된 환경 시스템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기도 하다. 이 시스템에는 빗물관리 시스템, 폐수처리 시스템, 식물을 이용한 기후조절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신기술의 활용은 실버타운 환경의 질적 발전과 운영비용 절감에 도움이 된다.
      • ● 동방태양성의 중심부는 공용 서비스 시설이 모여 있는 구역으로 주변에는 넓은 친수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다. 중심부뿐 아니라 각 주거시설에도 소규모 서비스 센터가 위치하고 있다.
      • ● 동방 태양성은 세부시설에도 무장애 디자인 개념을 적용하였으며 전체적으로 사람과 차를 분리하여 노인의 안전을 보장한다.
      • ● 건축 및 경관의 세부적인 계획 측면에서는 재질과 형식, 색채 등에서 각 구역의 경관을 차별화하여 노인이 먼 곳에서도 구분할 수 있도록 디자인했다.
      • ④ 참고 디자인 분석
      • 시설 내의 실외 환경 요소 현황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과 종합을 통해 일반적인 문제점 및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어울리지 않는 디자인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동방태양성은 베이징 교외의 외진 농촌 지역에 위치하여 공기가 좋고 녹지율이 높으며 용적률이 낮고 자연 환경이 매우 아름다워 노인이 주거하기에 적합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노인들의 편리한 외출을 위해 도로 및 출입구에 무장애 통로와 미끄럼 방지 언덕을 설치하고 문턱은 제거했다. 하지만 규모가 매우 커서 시설 간 거리가 멀고, 서비스 시설이 한 곳에 집중되어 있어 거주지역이 멀거나 차가 없는 노인들의 불편이 크다. 많은 입주자들이 차량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지하주차장이 없는 곳은 1층에 많은 차량이 주차되어 있고 단지 내 도로에는 차량이 수시로 지나다니기 때문에 움직임이 느린 노인들이 1층 산책로에서 산책을 하거나 휴식을 취하는 것은 위험하다.
      • 실버타운 내 공간 배치는 노인이 단체 활동을 즐긴다는 특성을 고려하여 많은 사람을 수용할 수 있는 광장과 같은 교류 공간을 만들었으나, 이러한 공간은 단체 활동이 없을 때는 자주 이용되지 않는다. 상대적으로 노인의 교류는 비공식적이고 편안한 공간, 예를 들면 도로의 교차로, 아파트 사이의 공터 또한 운동 시설 주변에서도 일어나며, 이러한 비공식적인 환경에서의 잡담은 교류 활동 대한 노인의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교류를 촉진한다. 따라서 일부 작은 교류 공간을 조성하는 것은 노인의 소규모 교류 활동의 매개체를 제공하는 측면에 도움이 되며, 더 많은 자발성과 사회적 활동의 좋은 전제조건을 마련하는 것에도 도움이 된다.
      • 중국의 대다수 실버타운은 여전히 주로 관상 환경을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노인의 수요에 대한 관심이 적어 노인의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재 시설 내의 무장애 디자인은 대부분 국가 규범의 표준을 주요 근거로 삼고 있으며, 주로 비탈길, 손잡이, 지면 높낮이 차 등을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고령화가 심화됨에 따라 이러한 수요는 더 이상 노인들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게 되었다. 고령의 노인에게 실외 환경의 안전성은 더욱 중요해졌으며, 팔걸이가 있는 벤치, 복잡한 도로 주변에 설치된 손잡이는 노인 이동의 안전성을 증가시켜 노인의 수요를 더욱 만족시킬 수 있다.
      • (4)프리드너 마을
      • ① 사회적 배경
      • 독일은 대표적인 고령화 국가로, 1950년대부터 고령화 문제를 충분히 준비하여 고령화 문제 대응에 관한 다양한 경험이 있다.
      • 유럽연합 회원국 중 가장 ‘늙은’나라 중 하나인 독일은 세계적으로 봤을 때도 고령화 문제가 점차 심각해지고 있다. 독일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7.9%이며, 이는 인구 8200만 명의 독일에서 65세 이상 노인만 1500만 명에 육박한다는 뜻이다. 독일 통계청은 2060년이면 이 비율이 두 배로 늘어 34%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Fakten zur demografischen Entwicklung Deutschlands 2010-2020.
      • ② 고령화 현황
      • 독일은 유럽 국가 중 이탈리아에 이어 두 번째로 고령화 진행속도가 빠른 국가로 ‘초고령 사회’로 접어들었다. 독일의 고령화 현상은 평균수명 연장과 저출산 현상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 <그림 16> 인구 연령 구조
      • 그림 출처:https://www.demografie-portal.de/DE/Fakten/Themen/Bevoelkerung-Struktur-Zahl.html
      • 2019년 독일에는 8300만 명이 넘는 인구가 거주하고 있으며 5년 전보다 200만 명 늘었으나, 장기적으로는 인구가 감소할 수 있다. 1950년 이후 인구가 1400만 명 가까이 늘었다. 특히 1950년대, 1960년대와 1990년대, 그리고 2011년 이후 급속한 인구 증가율이 나타났다. 그러나 이런 추세가 지속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그림 16>.
      • ③ 위치도
      • 독일 서부의 그림 같은 풍경을 지닌 라인란트 지역에 위치한 프리드너 빌리지(Fridner Village)는 인근 대도시 뒤셀도르프(Düsseldorf)와 에센(Essen)에서 모두 20㎞ 떨어져 있다. 이곳은 T.F. 재단 설립자 '프리드너'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이곳은 T.F. 재단이 1987년부터 계획한 것으로 다양한 사회 서비스 시설을 갖춘 종합 서비스 구역이다. 노인 주택, 장애인 주택, 정신 질환자 주택 및 재단 본부와 교육센터, 요양 기능을 갖춘 ‘정신재활 정원’ 등이 있다<그림 17>.
      • <그림17> 입지 분석
      • 그림 출처:https://www.google.com/maps/place/Sengelmannshof/@51.3720325,6.9336423,
      • 17z/data=!3m2!4b1!5s0x47b8c45d76ebe8d9:0xe7ee8f6d3c2dc747!4m8!3m7!1s0x47b8c45db7966d13:0xdd7730644242b6f6!5m2!4m1!1i2!8m2!3d51.3720292!4d6.935831
      • ④ 프리드너 마을 소개
      • 프리드너 빌리지는 단순한 의미의 양로원, 요양원이나 정신병원이 아닌 일상생활이 가능한 곳이다. 이곳에 사는 사람들은 자신의 고향과 다름없이 평온한 생활을 하며 응급상황 혹은 간호가 필요한 상황에는 즉시 그에 맞는 서비스 시설과 인원이 제공된다. '평온하고 안락한 노후'는 이 곳의 특징이다. 이 덕분에 마을은 아늑한 환경과 잘 갖춰진 시설, 세심한 서비스를 갖출 수 있게 되었고, 동시에 외부 사회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건강한 노후를 위한 대표 장소가 되었다.
      • ⑤ 건축 특색
      • 프리드너 빌리지는 12개의 다양한 형식의 건물이 있으며 210개의 침대를 제공한다. 모든 방은 휠체어가 드나들 수 있도록 무장애 디자인이 적용되었다. 작은 주방, 다이닝룸, 거실이 있고, 공용 구역 1곳과 정원 1개가 있다. 거의 모든 아파트가 지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작은 베란다와 작은 온실, 출입구가 있다.
      • ‘프리드너 빌리지’의 주변 지역과 자연보호구역이 맞닿은 숲에는 '숲속의 별장' 20채가 있다. 거실에는 주방과 안뜰을 갖추고 있으며 침실은 편안하고 격식 있게 꾸몄다. 아래쪽에는 작은 화원으로 연결된 정원이 있고, 정원의 공용 구역에는 반(半)벽돌 구조의 다용도 룸도 마련되어 있다.
      • ⑥ 디자인 특징
      • ● 첫째, ‘Yes’ 문화를 보급한다. ‘Yes’ 문화는 아파트 내 노인들이 의견을 제시하면 관리자들은 ‘Yes’라고 대답한 뒤 노인의 수요를 최대한 충족시켜주는 서비스이다. 스스로 결정하고 자신의 뜻에 따라 삶을 결정함으로써 노인의 삶은 더욱 아름다워지며 삶의 질이 높아진다. 행복한 노후 생활은 노인들의 노화 속도를 늦출 수 있다.
      • ● 둘째, ‘자주적’ 주인 의식을 확립한다. 네덜란드 생명 아파트는 노인들의 적극적인 자기관리를 독려하며, 자리관리를 통해 신체를 건강하게 단련하고 신체 기관의 노화를 늦출 수 있다고 강조했다.
      • (a) (b)
      • <그림 19>‘가족 의식’을 확립한다
      • 그림 출처:https://www.163.com/dy/article/ED5NQ4DT05219DTE.html
      • 셋째, ‘맞춤형’ 시설과 환경을 조성한다<그림 18>. 생명 아파트는 건축 디자인 초기부터 노인 중심의 서비스 이념을 강조했고, 아파트 내 모든 시설은 노인들의 신체적, 심리적 특성에 맞게 디자인되어 노인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 <그림 18>‘맞춤형’ 시설과 환경을 조성한다
      • 그림 출처:https://www.163.com/dy/article/ED5NQ4DT05219DTE.html
      • ● 넷째, ‘가족 의식’을 확립한다<그림 19>. 생명 아파트에서 사교적 활동과 보살핌을 원하는 노인들을 돌보아 아파트 커뮤니티를 하나의 대가족으로 여길 수 있게 한다. 생명 아파트는 입지 선정부터 내부 설계까지 노인들의 생리적, 심리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또한 지역 주민에게도 개방하여 외부 사람들도 아파트와 커뮤니티를 자유롭게 드나들며 편리한 인프라와 공용 시설을 사용할 수 있으며 노인과 대화를 하거나 산책, 모임 등을 할 수 있어 노인들의 소속감을 강화할 수 있다.
      • 중국의 실버타운에 참고적 의의가 있다. 그러나 오늘날 중국의 경제 발전 수준과 문화적 배경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중국의 실정에 부합하도록 해야 한다.
      • ● 계단의 적절한 높이, 채광 각도 및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노인들이 침대에 오르내릴 때 넘어지지 않도록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리프트 침대를 사용한다.
      • ● 노인들은 아파트 입주 시에 기존에 사용하던 생활용품을 가지고 입주할 수 있으며 자신의 생활 습관 및 기호에 따라 환경을 개조할 수 있다. 관리인들은 노인들이 독립적이고 편안한 환경을 구성할 수 있도록 노인들의 수요를 존중해야 한다.
      • ● 중국의 실버타운 아파트들은 정서적 교류가 부족하므로 노인들 간 교류를 확대하고 감정을 증진시켜야 한다. 노인들에게 관심을 쏟아 폐쇄적인 삶을 극복하고 가볍고 즐거운 분위기 속에서 성취감을 얻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그림 20>.
      • ● 중국의 실버타운 아파트는 대부분 담장이 높고 외진 곳에 설립되어 있다. 따라서 생명 아파트를 참고하여 사회의 기본 단위인 커뮤니티 개념을 적용하여 경계가 없는 노인 돌봄 커뮤니티를 조성해야 한다.
      • (a) (b)
      • <그림 20>노인 간의 교류와 배려
      • 그림 출처:https://www.163.com/dy/article/ED5NQ4DT05219DTE.html
      • 2.4.2 사례 종합 분석
      • (1)참고사례 요약<표 9> <표 10>
      • <표 9> 실버타운 참고사례 요점
      • 실외환경특징
      • 실외환경특징
      • 경관 기본 요구사항
      • 환경 분위기
      • 미적 특징
      • 따뜻한 색과 회색의 색채 배합을 중심으로, 밝은 색상을 배치. 합리적 기준의 배치와 공간 마련. 식물 계절 변화와 높낮이 변화 중시. 아름다운 정원건축물과 소품〮시설 등을 갖춤.
      • 문화성
      • 지역문화가 디자인 속에 녹아있음. 시설 자체 문화 발전 등 중시.
      • 생태성
      • 좋은 식물 군락층과 합리적인 식물재배. 식물과 경관요소 조합 등.
      • 공간 배치
      • 교통 편리성
      • 사람과 차 구분 이동. 연결성〮편리성 뛰어난 도로 체계 등
      • 식별 용이성
      • 확실한 표지물과 공간, 잘 이어진 도로, 선명한 표지 시스템 등
      • 기능 활용성
      • 단체광장공간, 여가정원공간, 신체단련공간, 어린이활동공간, 수변 공간, 원예공간 등 다양한 활동공간.
      • 공간 구성
      • 참여성
      • 특수한 사람들의 활동 수요 주목. 노인의 신체 기준에 맞는 시설. 다루기 쉬운 활동 시설 등
      • 공간 영역성
      • 다양한 공간 디자인. 사생활 보호를 중시하는 디자인 등.
      • 맞춤형 디자인
      • 안전성
      • 철저한 보호 시설. 방향 표시 및 경고표시, 보행, 활동 및 접촉 등의 안전 문제 해결, 안전하고 쾌적한 휴식활동시설 등
      • 무장애 디자인
      • 무장애 디자인 도로, 이중 손잡이 등 필수 조치 마련,
      • 적절한 높낮이 차이 설계 등
      • <표 10>종합사례분석
      • 항목
      • ①삼성 Noble County
      • ②일본 요코하마 타이요시로
      • ③중국 베이징 동방태양성
      • ④프리드너마을
      • 입지
      • 서울 남부의 경기도 용인시 청명산 남쪽 산자락에 자리 잡아 자연 경사로가 있으며 산에는 나무가 우거져 자연적 방벽이 잘 형성되어 있다.
      • 요코하마시 근교에 위치해 요코하마. 디자이너는 전체 사업 계획에서 지형 등 기존의 자연적인 요소를 그대로 보존하고 기존 수종을 대량으로 심어 자연 경관과 타이요시로가 조화롭게 어우러지도록 설계했다
      • a.베이징시 순이취(順義區) 차오바이허(潮白河) 부근에 위치해 있으며.
      • b.입지 선정은 편리한 교통, 자연환경, 의료자원 이 3가지를 고려했다.
      • 독일 서부의 그림 같은 풍경을 지닌 라인란트 지역에 위치한 프리드너 빌리지(Fridner Village)는 인근 대도시 뒤셀도르프
      • 공간구성
      • a.서비스 센터의 로비는 천장이 유리로 되어 있어 채광이 좋아 내부에서 나무와 풀들을 기를 수 있으며 추운 계절에도 푸르른 봄기운을 느낄 수 있다.
      • b.입주 노인 외에도 주변 지역 주민들에게 실버타운 부대시설을 개방하여 가족 3대가 함께 즐길 수 있는 새로운 실버타운 모델로, 한국 국내에서도 보기 드문 시설이다.
      • a.정원은 전형적인 일본식 디자인으로 설계되었지만 기존의 노인 돌봄 패러다임에서 탈피해 산지에 밭을 개간하여 ‘농가식(農莊式) 생활의 주거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 b.건축 테마 외에 삼면이 모두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어서 탁 트인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요코하마 동부 도시 전체를 내려다 볼 수 있다.
      • c.고급 호텔식 건축 디자인으로 설계되었으며 야외에 공용공간을 많이 조성하여 가족적인 주거환경을 완성했다.
      • a.동방태양성은 오픈 스페이스 시스템을 적용하여 전체에서 부분적 측면까지, 주거공간을 실외 환경공간까지 개방했으며, 전체적으로 정원 같은 느낌을 주도록 설계되었다.
      • b.시설 내에 화원과 정원이 마련되어 있으며 각 테마에 따라 공원의 식물 배치도 각기 다르게 디자인했다. 이는 노인들에게 다양한 즐거움과 사교 공간을 제공하며 공간 식별 능력을 키우는데 도움을 준다.
      • ‘맞춤형’ 시설과 환경을 조성한다. 생명 아파트는 건축 디자인 초기부터 노인 중심의 서비스 이념을 강조했고, 아파트 내 모든 시설은 노인들의 신체적, 심리적 특성에 맞게 디자인되어 노인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 식생
      • a.한국은 길가에 심는 수목과 관련하여 풍토와 기후에 적합하고 외형이 아름답고 그늘이 크며 생명력이 강한 나무를 골라야 한다는 규정이 있다.
      • b.오동나무, 튤립나무, 단풍나무, 회화나무, 은행나무, 팽나무, 벚나무 등의 큰 교목이 많이 심어져 있어 관상적인 측면 외에도 노인에게 그늘을 제공해 준다. 뿐만 아니라 무궁화와 같은 관목과 꽃도 많이 심어져 있다.
      • a.일본인은 자국 문화의 영향으로 장수를 상징하는 식물과 생명의 의미가 담긴 식물을 선호하기 때문에 타이요시로에는 소나무, 측백나무, 고로쇠나무 등 교목을 위주로, 대나무, 물푸레나무, 감탕나무, 진달래, 벚꽃, 단풍나무 등을 관목을 심었다.
      • b.벚꽃, 단풍나무에 대한 일본인의 애정이 남다르며 대나무는 일본 같은 온대 지역에서 번식하기 쉽기 때문이다. 함께 심은 식물 종류로는 동백, 섬개야광나무, 감탕나무, 월계수, 진달래 등이 있고, 많은 나무를 기하학적으로 다듬어 비교적 일본식 정원 느낌이 가득하다.
      • a.기존 대지의 식생을 이용하여 방풍림과 과수원, 골프 연습장 및 시설과 분리된 숲을 조성하였다. 식물의 종류를 선택할 때, 방풍·방사가 가능한 토종수종인 만주흑송, 플라타너스, 백양나무, 홰나무, 화북송, 가시나무 등의 교목을 선택했으며, 관목종은 백일홍, 정향나무, 개나리, 벽도나무, 서부해당, 박태기 나무, 불두화 등을 심었다.
      • b.생태호수의 주변에 수생식물을 많이 심어 다양한 식물의 종류를 통하여 좋은 관상효과를 냈을 뿐만 아니라, 공기 정화 작용으로 건강에도 유익하다. 또한 주요 보행로 양쪽에 교목이 많이 심어져 있어 노인의 이동 및 활동에 충분한 그늘을 제공할 수 있다.
      • a.독일은 세계에서 삼림 면적이 가장 큰 국가 중 하나로 지구 같은 위도의 모든 식생을 보유하고 있다.
      • b.독일 프리드너마을에서의 식생은 교목, 관목, 그리고 화훼까지 보유하고 있다. 주요 식생은 소철, 은행나무, 카우리, 아라우카리아, 플레그마리아 석송, 메타세쿼이아, 낙우송, 측백나무, 죽백나무, 나한송, 단엽나한송, 튤립나무, 자귀나무, 연꽃, 목련, 함소화, 남천죽, 종려죽, 비타타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식생들의 조함으로 더 조화로운 양로 거주 환경을 조성한다.
      • 프로그램이나 활동
      • a.각종 생활·오락·문화·체육 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으며 외부에 개방하고 있기 때문에 입주 노인이 젋은이들과 일상적인 교류를 할 수 있다.
      • b.거주·의료·건강·문화·체육·음식점 등의 부대시설 외에도 어린이집을 설립하여 다양한 연령층이 건물 내에서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어 역동적이다.
      • c.실외에는 등산로 외에도 주말농장이 마련되어 있어 주말이면 노인을 찾아오는 자녀와 손주들이 가족 농장 활동을 할 수 있다. 이는 가족들이 면회를 겸한 휴가를 즐길 수 있도록 해준다.
      • 타이요시로 곳곳의 디테일한 요소들이 노인들의 흥미를 유발한다. 예를 들어 산책로에는 징검다리가 있어 유유히 흐르는 물 위를 거닐며 자연을 감상할 수 있으며 건강한 하체를 가진 노인들의 경우, 신체 단련의 기회로 삼을 수도 있다.
      • a.공공 공간과 사적 공간을 연결하면서도 독립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여, 노인이 필요에 따라 단체 활동 혹은 사적인 만남을 할 수 있도록 했다
      • a.생명 아파트에서 사교적 활동과 보살핌을 원하는 노인들을 돌보아 아파트 커뮤니티를 하나의 대가족으로 여길 수 있게 한다.
      • b.지역 주민에게도 개방하여 외부 사람들도 아파트와 커뮤니티를 자유롭게 드나들며 편리한 인프라와 공용 시설을 사용할 수 있으며 노인과 대화를 하거나 산책, 모임 등을 할 수 있어 노인들의 소속감을 강화할 수 있다.
      • 맞춤형 디자인
      • 입주 노인들이 편리하게 외출할 수 있도록 맞춤형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시니어 센터와 서비스센터, 병원을 외부 하늘다리로 연결하여,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건물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높은 산간 지대의 경사로로 인한 이동상의 불편함을 없앴다.
      • a.고급 호텔식 건축 디자인으로 설계되었으며 야외에 공용공간을 많이 조성하여 가족적인 주거환경을 완성했다.
      • b.다리가 불편한 노인들을 위해 휠체어를 타고 실외에서 아름다운 자연 경치를 즐길 수 있도록 휠체어 도로를 조성했다.
      • c.정원 중심구역에는 자연식 수상요소가 있다. 신기술을 활용하여 정화 및 환류처리가 가능해져 수자원의 효율적인 재활용을 실현하였다.
      • a.실버타운의 전반적인 설계는 중국 전통 태극 개념과 현대 과학 설계 방식을 융합시켜 시설 구성과 도로를 구분했다. 물과 녹지는 태극의 순환 형태를 본떠 전체 시설이 하나로 순환하는‘태극’을 형상하도록 했다.
      • b。동방 태양성은 세부시설에도 무장애 디자인 개념을 적용하였으며 전체적으로 사람과 차를 분리하여 노인의 안전을 보장한다.
      • c。건축 및 경관의 세부적인 계획 측면에서는 재질과 형식, 색채 등에서 각 구역의 경관을 차별화하여 노인이 먼 곳에서도 구분할 수 있도록 디자인했다.
      • c。녹지와 물은 경관 요소일 뿐만 아니라 최적화된 환경 시스템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기도 하다. 이 시스템에는 빗물관리 시스템, 폐수처리 시스템, 식물을 이용한 기후조절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신기술의 활용은 실버타운 환경의 질적 발전과 운영비용 절감에 도움이 된다.
      • a.노인들은 아파트 입주 시에 기존에 사용하던 생활용품을 가지고 입주할 수 있으며 자신의 생활 습관 및 기호에 따라 환경을 개조할 수 있다. 관리인들은 노인들이 독립적이고 편안한 환경을 구성할 수 있도록 노인들의 수요를 존중해야 한다.
      • b。계단의 적절한 높이, 채광 각도 및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노인들이 침대에 오르내릴 때 넘어지지 않도록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리프트 침대를 사용한다.
      • c.‘자주적’ 주인 의식을 확립한다. 네덜란드 생명 아파트는 노인들의 적극적인 자기관리를 독려하며, 자리관리를 통해 신체를 건강하게 단련하고 신체 기관의 노화를 늦출 수 있다고 강조했다.
      • (2)사례 종합 분석
      • 이상과 같은 실버타운 사례 분석을 통해 현재 실버타운은 모두 경관 조성을 매우 중시하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아름다운 경관 조성은 중요한 구성 측면 중 하나를 간과하고 있다. 바로 동적인 활동에 대한 충분한 개발이다. 여기서 동적 활동이란 산책, 운동기구를 활용한 운동뿐만 아니라 식물을 가꾸는 등 원예 활동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식물 정원을 통해서는 단순한 식물재배만 가능할 뿐 체계적인 치유 개념을 적용할 수는 없다. 체계적으로 치유 개념을 적용한다면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교육·생활습관·소통·교류 등 각 측면에서의 노인의 심신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플랜트 박스 재배, 식물 재배대육묘 등 관련 부대시설이 필요하다. 본 장에서 분석한 사례는 규모나 인지도는 측면에서 모두 각국을 대표하는 사례이며, 현재 실버타운 디자인의 주류 경향을 대표하기 때문에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사례들은 향후 중국이 실버타운을 조성하는 데 매우 중요한 가이드 역할을 할 것이다. 구체적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사례조사 결과 실버타운은 모두 입지를 중시하였다. 교통 편의성, 자연환경 우수성, 의료자원 충분 여부 등을 고려하였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를 통해 노인의 생활환경과 의료 편의를 도모하는 동시에 교통의 편리함은 자녀의 방문에도 도움을 주었다.
      • 조사한 사례 모두 무장애 디자인에 대하여 충분히 고려하였다. 전체 계획이나 세부적인 측면에서 모두 안전에 심의를 기울여 디자인하였고, 편리한 이동은 노인의 실외활동을 독려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모두 노인 활동 공간 조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경관 조성을 중시하였다. 다양한 식물은 시시각각 싱그러움을 느끼게 하고, 정원과 건축물 주변에 사계절 화초를 심어 보는 즐거움을 주었다. 식물 색상의 배합을 통해 시각적 자극을 풍부하게 하였다. 동시에 식물의 호흡으로 발생한 풍부한 음이온으로 노인의 면역력을 높일 수 있도록 했다.
      • 상기 제시한 사례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동서양 실버타운의 대표적 특징을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다.
      • ① 건설 규모 측면에서 해외 실버타운은 좋은 환경, 거대한 규모 등의 장점을 활용하여 입주자를 모집한다. 이러한 대형 실버타운은 주로 민간투자로 환경이 쾌적하고 규모가 크다는 장점을 활용하여 입주자를 모집한다. 이러한 대형 실버타운은 주로 민간 투자로 운영되기 때문에 상업적 이익을 추구하며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는다.
      • ② 디자인 개념 측면에서 유명 실버타운은 노인의 정신적 건강과 다채로운 노후 생활을 목표로 첨단화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동호회를 조직하여 이를 통해 노인들이 상호 소통하면서 외로움을 해소하고 독립적인 노후를 누릴 수 있다.
      • ③ 구미 국가들의 주거 방식은 분산과 독립을 지향하므로 실버타운에도 독립성을 위주로 하는 혼합 배치 방식을 적용했다. 기본적으로 독립적이지만 각기 다른 가족과 결합시켜 각각의 가정이 실버타운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단독·연립 주택은 가정식 구조이며, 다층 아파트는 독거노인이나 거동이 불편하여 장기적으로 돌봄이 필요한 노인들에게 제공된다.
      • ④ 다양하고 전문적인 서비스 시설을 실버타운에 도입하여 노인들의 생활 수요를 만족시켰다. 신체 노화에 따른 인지력 저하 등 노인의 상황을 고려하여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며 선도적인 디자인을 적용하였으며, 공용 시설을 배치하여 완비된 서비스 공간을 마련하였다.
      • 사례 가운데 다른 나라들은 중국의 실버타운보다 훨씬 성숙해 있다. 예를 들면 식물을 합리적으로 활용하고 식물의 특성과 지리적 환경적 요소를 함께 고려하여 식재 하였으나 중국의 실버타운에서는 식물이 활용되기는 하였지만, 세심하게 고려되지 않았다. 따라서 중국 실버타운은 식물을 선택할 때 건강에 도움을 주는 식물을 최대한 많이 선택하여야 하며 이는 노인의 기분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신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분석한 사례 속의 실버타운은 노인 간 활동 및 교류에 주의를 기울인 반면, 중국 실버타운은 원예 활동과 관련된 콘텐츠가 비교적 적다. 다른 사례들을 통해 원예 활동은 노인에게 만족감과 성취감을 주고, 노인이 활동을 통해 신체를 단련하고 체력을 증진시켜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반드시 노인이 거주하는 시설에 원예 활동 장소를 마련해야 한다. 예를 들면 노인이 거주하는 집 앞 혹은 주변에 원예 활동 장소를 마련하여 노인이 직접 관리하도록 하거나, 시설 내에 원예 활동구역을 마련하여 노인이 원예 활동을 하며 노동의 즐거움을 느끼고 교류의 기회를 늘릴 수 있도록 해야한다.
      • 3.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기초 영향 요소 분석
      • 문헌과 현지답사를 통하여, 돌봄 문제에 영향을 주는 것은 어떤 하나의 측면이 아니라, 사회 정책 배경, 경제 기반, 문화 요소, 의료 수단, 심리 수요, 지역 문화 등 여러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경관은 사람의 생활 수요와 감정 표현을 담고 있는 매개체이므로 경관의 특징을 분석 및 해석하는 것을 연구의 시작점으로 삼았다. 이를 통해 실버타운의 발전을 위한 기초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했다.
      • 3.1 중국의 고령화 사회구조와 특징
      • 3.1.1 중국 실버타운 발전 과정
      • 1980년대 이후 중국은 실버타운 서비스에 주목하고 투자를 확대하기 시작하여, ‘실버타운 서비스업 발전 가속화에 관한 의견', '노인 돌봄 사회화의 가속화에 관한 의견' 등을 차례로 발표했고, 시설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민정부(民政部)는 실버타운의 발전을 촉진하기 시작했다. 사회 각 계의 노인 복지 서비스 참여를 적극 독려함으로써 실버타운 서비스에 뛰어난 정책 여건과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중국의 실버타운의 발전을 돌아보면 사실 가정 부양에서 실버타운까지의 약 4단계의 발전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의무 돌봄 단계는 지난 198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정부는 본격적인 노인 돌봄 정책을 내놓지 않았으며 주로 가족 구성원이 노인의 부양을 책임졌다.
      • 돌봄 시작 단계는 1990년대 중국 경제의 급속한 성장으로 이 시기로서, 중국 인구구조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고령화에 대한 국가의 관심이 높아졌다.
      • 단계적 보완 단계는 2000년로서, ‘고령 업무 강화에 관한 결정’에서 가정에서 노인을 부양하는 것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서비스의 도움을 받고 실버타운이 보완하는 노인 돌봄 시스템 구축을 언급하였다.
      • 본격 추진 단계는‘노인 돌봄 서비스 업무의 본격 추진에 관한 의견’이 발표되면서, 노인 돌봄 서비스 개념이 자리 잡았고, 정부는 실버타운에 대한 개념을 구체화시켰다. 과학기술과 빅 데이터 플랫폼을 도입하고, 더 나은 시설 관리와 노인 서비스는 중국 실버타운 발전이 새로운 단계로 접어들었음을 보여준다. 예를 들면, 북경 동방태양성(北京東方太陽城)은 현재 실버타운 발전의 전형이다.
      • 위에서 언급한 4단계 발전 단계를 통하여 중국의 실버타운 발전이 비교적 늦고, 선진국의 제도나 디자인 면에서 여전히 큰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버타운의 경관 측면에서도 더욱 많은 연구와 발전이 필요하다. 치유 개념을 도입한 실버타운은 기존과 완전히 다른 개념으로, 노인의 심신 건강과 환경 최적화에 있어 발전 가능성과 의의가 크다.
      • 3.1.2 치유 개념이 노인에게 미치는 작용과 효과
      • 치유 개념은 위에서 언급한 노인의 생리적, 심리적 수요에 매우 긍정적인 촉진 효과가 있으며, 구체적인 효과는 다음과 같다.
      • (1)운동을 통한 신체 기능 향상: 원예 활동은 일정량의 체력을 소모시켜 노인의 안정적인 수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2)감각 자극을 통한 노화 지연:원예 활동 시 식물의 색, 질감, 냄새는 노인의 시각, 촉각, 후각을 자극할 수 있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노화를 지연시킨다.
      • (3)초조함 해소:꽃과 나무로 둘러싸인 곳에서 원예 활동에 참여하면 초조함을 해소할 수 있고 내면의 평화를 느낄 수 있다.
      • (4)자제력 향상:원예 활동은 심신을 골고루 사용하기 때문에 충동을 억제하여 자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5)열등감 극복: 원예 활동을 통해 자신이 기른 열매를 수확하면서 노인은 불필요한 열등감을 극복할 수 있다.
      • (6)교류 증진 및 외로움 해소:원예 활동 중 노인은 서로 교류하고, 공통 관심사에 대해 토론하며 평상시의 외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 (7)삶에 대한 올바른 이해 및 죽음에 대한 두려움 극복:원예 활동 과정에서 노인은 생로병사가 삶의 자연법칙임을 점차적으로 느끼고 이해할 수 있다.
      • 3.2 노인 수요 요소에 대한 영향
      • 문헌 조사·현지답사 등의 방법을 통해서 실버타운 환경의 발전은 여러 학문과 이론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버타운의 이용객의 수요는 실버타운 환경 발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수요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 3.2.1 심리적 특징 및 수요 보완 전략 분석
      • “실버타운 입주 시기에 노인은 긍정적, 부정적 정서를 느낀다.”解静,陈元玉,江琳,等.汕头地区养老院和社区老年人生活质量,孤独感,自尊及影响因素的研究[J],中国临床心理学杂志,2018(03),P19.
      • 주된 부정적 정서는 외로움이나 심리적 갈등이다. 돌봄 요원은 입주 기간 노인의 심리 변화에 대응하여 노인이 효과적으로 부정적 정서를 해소하고 긍정적 정서의 역할을 강화하여 삶의 의욕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노인에 대한 사회적 지원을 강화해 외로움을 감소시키고 가족들은 노인에게 물질적, 정서적 지원을 해야 하며, 정부는 지역사회 및 자택 돌봄 모델을 만들어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회가 노인을 더 많이 배려하고, 관심을 갖도록 해야 하며 취업·교육 등 측면에서 평등하게 일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 현재 중국의 노인 돌봄 기관의 관리 모델이 매우 획일적이기 때문에 노인은 생활의 자율성에 큰 제약을 받고 있다. “노인은 돌봄 기관에서 지내지만 자녀와 친지의 일이나 가정의 상황에 관심이 많고, 일부 노인 돌봄 기관은 노인맞춤형 규정 및 제도가 부족하고 돌봄 요원의 돌봄 능력이 부족하므로,”纪昊一,杨同卫,陈晓阳,等.我国养老模式的社会化转型及养老机构的伦理问题探讨[J].中国医学伦理学,2015(01),P64.
      • 노인 돌봄 기관은 반드시 관리 모델과 서비스 개념을 바꾸어야 한다. “‘사람 중심'서비스 개념을 수립하여 노인 돌봄에 집중하는 맞춤형 관리 제도를 제정하여 최대한 노인의 심리적 수요를 만족시켜야 한다.”穆光宗.我国机构养老发展的困境与对策[J].华中师范大学学报(人文社会科学版),2019.(02),P51.
      • 또한 노인의 자율성을 충분히 존중한다면 노인의 심리 건강을 개선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다음은 실버타운에 거주하는 노인의 생리 기능 특수성을 중점적으로 이해하고 실버타운의 실외 환경에 대한 분석이다.
      • (1) 노인의 주요 심리적 특징
      • 노인의 심리적 특징은 개인의 역할 전환에서 기인한다. 경제적 지위와 사회적 역할에도 기존에 본인이 주도하는 역할에서 보조적인 역할로 변화하며 생활 리듬과 사회관계에도 일련의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노인의 심리적 욕구는 다른 연령층의 주민들과 확연히 다르다. 그들의 고독함, 조급함, 우울감 등 심리적인 감정도 늘어난다. 주요 심리적인 특징은 다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 ① 열등감, 답답함: 대다수 노인은 신체기능의 퇴화로 인해 더욱 바깥활동을 꺼리고, 집 안에서 움직이려 하며 질병까지 겹쳐 노인의 열등감, 답답함이 더욱 증가한다. 따라서 실버타운의 실외 환경에서는 노인에게 알맞은 산책길과 신체단련 공간을 만들고 노인의 건강 유지를 돕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사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노인의 명상 수요 및 관찰 수요를 충족시켜야 한다.
      • ② 고독함, 좌절감: 대다수 노인은 정년퇴직으로 어느 정도 사회와의 관계가 소원해진다. 사회의 인정을 받지 못하며 한가하게 집에 머물다 보면 외부의 동기부여의 결핍으로 인해 어쩔 수 없이 고독함과 좌절감이 생기고 기분이 우울하여 집 밖으로 나가기를 꺼리며 집에 조용히 앉아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실버타운의 실외 환경에는 반드시 노인의 교류, 명상 및 기타 여가활동 공간을 많이 마련해야 한다.
      • (2) 노인의 주요 심리 수요
      • 노인의 심리적 변화로 인해 필연적으로 대외 환경에 다양한 반응과 수요가 생길 수 있으며, 노인의 심리적 수요를 만족시키는 생활환경은 노인의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 주요한 심리적 수요는 다음 몇 가지로 귀납할 수 있다.
      • ① 안정감: 노인의 경우 생리 기능의 퇴화로 인해 질병이 늘어나고 더욱 자신의 건강에 관심을 가지며 질병 발병을 우려한다. 알지 못하는 신체 질환 징후에 대해 매우 불안해하며, 환경 속의 무장애 디자인 시설과 신고 시설 및 의료 시설을 매우 중시하며 이것이 노인이 의료여건이 좋은 병원 근처에 거주하고 싶어 하는 이유이다.
      • ② 쾌적함: 노인의 물질적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실외환경의 쾌적함에 대한 노인의 수요도 늘고 있다. “노인 주민들은 조용함, 공기, 녹지 등 세 가지 요소에 가장 관심을 갖고 쾌적함을 기본 요소로 꼽는 것으로 나타났다” 王江萍.老年人居住外環境規劃與設計[M].北京:中國電力出版社,2009(04),P77.
      • .
      • ③ 사생활: 노인에게도 사생활을 보호받고 싶은 욕구가 있다. 어떤 노인은 명상을 좋아하고 방해받고 싶어 하지 않는 성향이 있는데, 이러한 성향이 침범 당하면 노인의 초조함과 불안을 야기하여 심신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④ 교류: 노인은 쉽게 낙담하고, 우울하며 외로움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시설 실외 환경에 여러 기능의 교류 공간을 만든다. 노인의 교류에 좋은 환경 조건을 제공하며 부정적 정서의 영향을 줄이는 데 도움을 주고, 노인의 삶의 질을 제고한다.
      • ⑤ 자아실현: 노인 은퇴 후, 시간이 여유롭게 때문에 자신의 흥미와 취미를 충분히 발전시켜 고독함과 외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뜻이 맞는 친구들과의 교류와 협력을 통해 자신의 가치를 인정받고 자신의 영역을 강화하며 노인 상호 인정 및 교류 기회가 증가한다.
      • (3) 디자인 보완 전략
      • 이상과 같이 노인의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실외 환경은 다양해야 하며, 최대한 노인의 여가시간 교류, 명상 및 감상, 헬스·여가활동 수요를 최대한 충족시켜 노인의 흔한 심리적 문제와 수요를 해결해야 한다. 노인의 심리적 특징을 파악〮분석하고 경관디자인 방법을 통해 디자인 전략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표 11>
      • <표 11> 노인 심리 수요 특징과 디자인 보완 전략
      • 노인의
      • 심리적수요
      • 디자인 전략
      • 안정감
      • 친숙한 이웃공간을 디자인해 사생활을 보장하고,
      • 실외 무장애 디자인 시설을 완비한다.
      • 편안함
      • 풍부한 식물 재배로 깨끗한 공기를 확보하며
      • 기준에 적합한 산책 및 교류 공간을 확보하고 조용한 실외환경을 조성한다.
      • 사생활
      • 정원 바깥쪽에 작은 커뮤니티(community) 공간을 만들어
      • 사생활을 보장한다.
      • 교류성
      • 공간 레이어가 다양한 소형 광장을 디자인한다.
      • 자아실현
      • 실외 재배지역을 늘려 노인이 직접 재배해 결실을 보는 만족감을 얻는다.
      • 3.2.2 생리적 특징에 따른 디자인 보완 전략 분석
      • (1) 노인의 생리적 특징
      • ① 감각기관 퇴화
      • 시각의 퇴화: 노인은 눈의 수정체가 경화되면서 시각능력의 약화로 생리적 노화가 일어나 눈이 침침해지고, 노안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색각 능력의 약화로 인한 색상 식별의 어려움, 청색과 황색 구별의 어려움을 느낀다. 또한 눈의 생리적 변화로 인하여 많은 노년층이 파란색을 어둡게 느껴 명암 적응력이 떨어지고 강한 빛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며, 빛이 약하면 물체를 보기 어려워져 밤에 이동할 때 위험성이 높아진다. 시력이, 노인이 더 선명한 경계와 더 큰 대비 및 더 충분한 빛이 있어야 물체의 세부적인 부분을 변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야가 좁아지면 눈앞의 물체를 보지 못하는 현상도 나타난다. “깊이 지각의 약화로 물체의 원근과 고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없다.”黄海静,王雅静,吴俊杰,甘锐,李为希.老年人视觉活动特征及光环境需求调查分析[J].灯与照明,2017(2),P41.
      • 청각의 퇴화: 노인의 청각 능력 퇴화로 인해 청력감퇴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심각해지면, 노인의 언어 및 이해능력에 영향을 끼치고 정상적인 사회 활동에 지장을 주며 외부와 자연스럽게 멀어지면서 노인의 불안감과 외로움을 초래한다. ”高莹.基于环境心理学的老年人疗养中心设计方法的研究[D].西安:长安大学,2014(05),P30.
      • 기타 감각기관의 퇴화: 후각 감퇴, 미각 둔화, 촉각 약화는 노인의 냄새·맛 변별능력의 현저한 감소를 야기하며, 피부 민감도도 약화되어 어느 정도는 노인의 식욕과 이물질 접촉 위험에 영향을 준다.
      • ② 신체 조절기능 퇴화
      • 나이가 들면서 노인의 내분비계통이 퇴화되고 신진대사가 느려지며 장기 기능이 떨어지고, 나아가 신체의 각종 조절기능 역시 저하 된다. “주로 온도, 햇빛, 바람, 습도 등 외부 환경요인에 큰 변화가 생겼을 때 신체 적응능력의 저하로 나타난다.”吴琼.基于老年人生理、心理特征与需求的养老社区植物景观设计研究[D].南京:东南大学,2018(09),P27.
      • ③ 신경계의 퇴화
      • 신경계의 경우, 노인의 기억력, 반응속도 및 사고 능력은 각기 다른 정도로 퇴화한다. 중추신경계 기능의 보편적인 저하는 정보 처리 속도에 영향을 미쳐 나이에 따른 기억력 상실의 근본적인 원인이 된다.
      • ④ 운동 계통의 퇴화
      • 골다공증, 근육 위축·노화 및 관련 신경계 퇴화는 노인의 운동능력 저하를 직접적으로 야기하여 행동이 느려지고 보폭이 줄어든다. 노인은 반응속도 감소 및 잘못된 깊이 지각으로 인한 균형감각 상실, 균형능력 약화로 인하여 더 쉽게 넘어질 수 있다. 자연노화, 활동량 감소와 질병은 모두 근력의 저하를 초래한다. 관절 마모와 관련 질환 등은 노인의 운동 능력을 더욱 제한한다.
      • (2) 생리적 특징 변화에 따른 수요
      • 노인은 질병 및 체력 약화로 인한 생리적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감각에 대한 선호는 더 이상 젊은이들과 같지 않으며, 생활환경에 대한 요구도 바뀌어 주로 소리, 빛, 온도 및 범용적인 측면에서 고려해야 한다.
      • 소리 환경 : 소리환경은 건물 안팎의 사람들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소리환경을 통칭한다. 노인은 생리적인 특수성 때문에 잠을 잘 못 자고, 방해 받는 것을 두려워하며, 조용한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환경 내 소음 방해는 생활 및 정서에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 온열 환경: 노인은 혈액순환과 신진대사 기능이 쇠퇴하기 때문에 생리적으로 온도 및 기후 변화에 더욱 민감하다. 특히 계절이 바뀔 때 생체리듬이 일조시간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여 부정적 정서가 생기지 않도록 겨울철에 휴식을 하거나, 햇볕을 쬐거나, 산책할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 빛 환경: “빛 환경은 자연적 빛 환경과 인공적 빛 환경 두 가지 환경을 포함하며, 그 중 구체적인 빛 형식에는 일조, 채광, 조명 세 가지가 있다.”陈仲林,杨春宇,张青文,许景峰.山地城镇建设光环境评价指标体系研充[J]冲群文天地.2010(02),P36.
      • 빛 환경은 노인 체내의 멜라토닌 호르몬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빛을 비추는 것도 치료의 한 방법으로서, 부정적인 감정을 줄이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노인이 햇볕을 충분히 쬐면 뼈와 근육의 노화를 늦추고 생리적 저항력을 높일 수 있다.”周洁慧.综合型老年社区模式在富平云何庄养老社区中的创作探讨[D].西安:西安建筑科技大学.2014(06),P94.
      • 범용적 디자인 환경 : 범용적 디자인 환경과 단순한 무장애 디자인 환경 사이의 명확한 차이는 디자인적으로 사람 간의 차별을 없애고 벽을 허물었다는 데 있다. 모든 이용자의 여러 조건을 고려하고 있기 때문에 노인이 사용할 공간을 별도로 구분 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환경 전반에 디자인 철학의 일관성을 유지하여 노인에 대한 특수한 수요와 일반 사용자의 수요를 통합하고 노인이 실외로 나와 장애물이 없는 공간에서 생활을 즐기도록 유도한다.
      • ① 감각기관을 적절히 자극하는 환경에 대한 수요:시각·청각·후각 등의 감지 능력의 약화는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야기함과 동시에 노인이 외부환경과 소원하게 만들어 외로움과 우울감 등 심리적 문제를 일으킨다. 따라서 좋은 감각기관 자극은 노인의 감각기관, 감지 능력 수요를 더욱 쉽게 만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인의 자신감을 높일 수 있다.
      • ② 적절한 소기후 환경에 대한 수요:노인 조절 기능의 쇠퇴하면서 외부환경 요인의 변화는 노인의 신체 건강과 편안함에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실외활동에 영향을 주기 쉽다. 따라서 소기후 환경을 조성하여 어르신들이 실외활동을 할 수 있는 쾌적한 공간을 제공한다.
      • ③ 기억 및 식별이 쉬운 환경에 대한 수요:신경 계통의 퇴화로 인해 노인은 실외활동 시 방향을 잃기 쉽다. 따라서 노인이 쉽게 인지하고 기억하도록 실외활동 환경에 명확한 위치 표시를 하여 노인이 길을 잃지 않도록 예방한다.
      • ④ 무장애 디자인이 적용된 활동 환경에 대한 수요:골격·근육 등 운동 계통의 쇠퇴로 인해 노인은 강도에 따른 활동 수요 및 다양한 정도의 장애를 안고 있다. 무장애 디자인이 적용된 활동 환경을 조성하여 다양한 활동 수요와 활동 능력을 갖춘 노인을 만족시키고 실외활동에 대한 참여도와 적극성을 높인다.
      • (3) 디자인 보완 전략:
      • 노인의 주요 생리적 특징에 대한 이해를 통해 노인의 생리활동 특징과 실외 환경의 수요 관계를 분석하였다. 노인의 생리 기능의 결핍과 노화는 비교적 강력한 결핍성 수요로 나타나므로 경관디자인 방법과 결합한 관련 디자인 전략은 아래와 같다.
      • 시설 환경 디자인은 반드시 노인의 감각기관의 기능이 계속해서 쇠약해지는 것에 대한 수요를 중점적으로 반영해야 한다. 노인의 감지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경관디자인 환경에 시각, 후각, 청각, 촉각 등 감각기관 계통을 강화할 수 있는 디자인을 강화하는 것은 노인의 감각기관 자극을 촉진하여 노인 건강 회복에 도움이 된다. 노인의 실외 운동 측면에서도, 반드시 지면의 무장애 디자인을 강화하고 미끄러운 재질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며 노인 친화적 크기의 충분한 휴식용 벤치를 설치해 노인의 수요를 만족시켜야 한다. 노인의 호흡계통, 신경계통 및 심혈관에 영향을 미치는 세세한 환경 조성 측면에서, 합리적인 계획 수립 및 경관디자인 방법을 통해 바람과 온도를 조절하여 노인의 건강을 보장한다.
      • 사람의 각 기관은 기계의 부속품처럼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기능이 퇴화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건강한 사람도 장시간 활동을 하지 않으면 체력이 떨어질 수 있듯이 노인도 장시간 활동을 하지 않으면 관절 근육이 서서히 위축돼 더 쉽게 피로해져 정신 상태가 저하된다. 반면 장기간 활동에 참여해 온 노인은 손·발·신체를 자주 움직였기 때문에 더 유연하다. 원예 작업의 다양한 활동은, 식물 파종부터 식물 성장까지 모든 활동마다 오감, 손과 발 등을 사용하는 즐거운 전신운동이다.
      • 3.2.3 노인 행동 및 수요 분석
      • (1) 노인의 실외활동 시간과 콘텐츠
      • 노인은 시간을 자유롭게 안배하고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실외활동의 의존도가 비교적 적다. 노인의 일과는 매우 규칙적이다. 일반적으로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며, 아침에 일어나 산책하거나 신체를 단련하거나 태극권을 수련한다. 노인의 실외활동은 주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가 있다.
      • ① 외출: 걷기, 쇼핑, 친지 방문 등.
      • ② 사교활동: 영화 관람, 공연 등 단체 활동, 이웃과의 왕래, 실외 대화 등.
      • ③ 신체단련: 아침 수련, 단체 댄스, 구기 종목, 카드게임, 기구를 활용한 운동 등.
      • ④ 실외 여가활동: 산책, 휴식, 사색, 라디오 청취, 화초 가꾸기 등.
      • (2) 노인의 활동 특징 및 수요 분석
      • 노인의 활동 특징은 그 활동 방식에 따라 뚜렷하게 나타난다. 환경행동이론에 대한 학습과, 시설 내 노인의 활동에 대한 조사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확인했다.
      • ① 영역성: 오스카 뉴먼이 제시한 '방어 공간(defensible space)'개념은 공용 공간의 일부 공간이 반복적으로 특정인에게 점용되면 이 공간의 영역성 특권은 묵인될 수 있다. 이는 무의식적인 행동의 경향에 의해 초래된 지역 특권화로도 이해될 수 있다. “연구를 통해 노인의 실외 환경디자인에 대한 활용은 비교적 강한 영역성과 특수성을 띈다.”[美]阿尔伯特丁·拉特利奇著,王求是,高峰译.大众行为与公园设计[M].北京:中国建筑工业出版社,1990(08),P79.
      • ② 집단성: 군중심리학자 르봉(Gustave Le Bon)은 "군중 속에 있어야만 멍청하고, 저능하고 질투심을 품은 이들이 자신의 비천함과 무능함에서 벗어날 수 있다”라고 했다.古斯塔夫.庞勒著,法国,戴光年译.乌合之众—大众心理研究[M].北京:新世界出版社,2010(01),P71.
      • 노인 행동의 집단성은 일종의 군중 속 안정감에서 얻는 만족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활동은 주로 개방형 교류 공간보다 작은 공간에서 일어나며, 운동 장소 주변, 카드게임〮마작 등 여가활동 장소 주변, 광장, 활동 센터, 차관 등에 집중되어 있다.
      • ③ 은밀성: 대부분의 75세 이후 노인은 청각 감퇴로 인해 교류활동 대한 기대치가 높지 않고, 환경에 대한 기피 성향이 생겨 시끄럽고 사람들이 밀집해 있는 공간을 선호하지 않으며, 종종 공간의 외부에서 활동하거나 자신만의 활동 공간에서 가만히 앉아서 생각에 잠기거나 눈을 감고 수양한다.
      • 3.2.4 활동 공간 수요분석
      • (1) 여가활동 공간
      • 실외활동 중에는 노인의 여가활동 비중이 비교적 크다. 따라서 다양한 여가 활동은 실외 환경의 흡인력을 높이고 노인의 행복감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실외활동에서 광장 및 시니어 활동 센터를 마련하면 노인이 함께 참여하여 응집력이 강해지고 단체 행동을 통해서 노인의 활동 의욕과 소속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소규모 원예 재배 구역을 마련하면 노인이 식물 재배와 관련하여 자유롭게 교류할 수 있는 공간이 늘어나 교류 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2) 신체단련 공간
      • 해가 잘 드는 신체단련 장소를 마련한다. 쾌적하고 바람이 불며 해가 잘 드는 신체단련 환경은 실버타운에서 이용률이 비교적 높다. 신체단련 장소는 거주하는 곳에서 가까워야 하며 충분한 휴게의자를 설치하고, 단체 활동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상대적으로 신체 조건이 좋지 않은 노인도 거주하는 곳과 가까운 곳이라면 안정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활동 참여율이 높아질 수 있다.
      • (3) 소형 모임 활동 공간
      • 적당한 크기의 소형 모임 공간을 마련한다. 가족 모임이나 비공식 모임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소형 모임 공간을 마련하는 것은 대형 공간보다 더 쉽게 모임 활동을 촉진할 수 있다. 소형 모임 공간은 프라이빗한 특성 때문에, 가족이나 친구와의 만남에 적합하며 사람들의 간섭을 받지 않기 때문에 노인이 더 안전하고 편안하게 느낄 수 있다. 모임 공간의 크기의 변화는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하고, 노인의 교류와 명상 등 다양한 활동 수요를 충족시켜야 한다.
      • (4) 산책로 공간
      • 길이와 난이도가 다양한 산책로를 마련한다. 노인의 산책, 등산 등 활동 수요를 만족시키고, 적절한 보조 설비로 노인이 도전적인 운동과 신체단련 활동을 하도록 독려한다. 산책로는 100미터마다 양쪽에 잠시 휴식할 수 있는 벤치를 설치하고, 산책로 높낮이 변화나 완만한 비탈이 있을 때 포장 재질을 변화시키거나 한쪽 손잡이 높이를 적절하게 조정하여 노인이 환경 변화를 미리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를 예방한다.
      • (5) 양생환경에 대한 수요
      • 양생 환경이란 전통 양생 문화 이론을 의미한다. 응용 엔지니어링, 의학적, 심리적 실외 환경 디자인 수단을 활용하여 지형, 건강 식물, 건축 소품 등의 조성을 통해 양생 문화를 만든다. 또한, 노인이 스스로 건강을 관리하는 보건 의식을 향상시키면서 실외 돌봄 환경을 조성하고, 실외 환경을 최대한 활용해 심신의 건강을 도모하여 노인이 심신의 균형을 이루는 건강한 복지 환경을 조성한다. 양생 환경의 각종 요소에는 꽃, 풀, 나무, 물, 햇빛과 신선한 공기를 포함하며, 이런 요소들은 모두 소기후를 개선할 수 있으며 생태적 효과와 함께 사람의 마음과 정신상태도 개선할 수 있다. 자연환경은 기분을 풀어주고 스트레스를 완화하며 근육의 긴장도를 낮추고 혈압을 떨어뜨려 생리작용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
      • 3.3 노인 돌봄 구조 영향 요인 분석
      • 실버타운에 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은 실버타운의 발전을 촉진한다. 최초의 실버타운은 주로 몸이 약한 노인을 수용하고 사회질서를 안정시키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했으며, 노인의 부양은 가족이 주요한 역할을 맡았다. 가정에서 부모는 아이를 많이 낳아 노후를 대비하고자 했다. 시대가 발전하고 사회 관념이 전환되면서, 가족구조가 외동자녀 혹은 자녀수가 적어지면서 인구구조가 소형화되었고 이는 돌봄 환경 조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한편, 적은 수 혹은 외동 자녀를 둔 현대의 부모들은 육아라는 중책을 일찍 내려놓고 평균 연령 50대 중반이면 더 많은 사적 공간을 갖게 되고, 50~60대가 되면 생활을 유지하는 것에서 즐기는 것으로 바뀌어 자유롭게 활동하는 노년 시기까지 이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오늘날의 돌봄 환경은 단순히 시설의 기능과 유형, 의료적인 조건만으로 그 우열을 판단할 것이 아니라 ‘노인은 새로운 것을 배우고 즐거움을 얻는다(老有所學, 老有所樂)'는 것을 실현하도록 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노인의 수명이 늘어나 의료나 양생, 관리 등을 통해 스스로를 돌보려는 수요가 실버타운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 치유 개념이 도입된 노인 돌봄 환경 조성은 실버타운 발전의 필수적인 방법으로서, 연구·분석을 거쳐 다음 몇 가지 측면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좋은 의료여건 조성으로 기존 및 주변의 자원 현황과 결합하여 의료자원을 각 부분에 합리적으로 배치하여 실버타운 내 노인의 생리적 측면 우려를 감소시킨다. 둘째, 입지 선택 시 교통 편의를 고려하면서도 적은 소음 등을 전반적으로 고려하고 다른 공간과의 연결까지 고려해야 한다. 셋째, 환경 경관 조성 시, 대상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사용 대상의 오감 관련 기능과 다른 공간 환경과의 관계에 착안점을 두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인간적인 배려 측면에서 대상의 수요에 따라 심리 및 행동의 차이를 고려하여 적합한 실버타운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 3.3.1 안전 요소 및 무장애 디자인 시설
      • 사례 조사를 통해, 실버타운 내의 디자인 문제로 인해 노인의 시설 사용에 지장을 주는 경우가 많았다. 도로가 평평하지 않거나 미끄럼 방지 조치를 하지 않거나, 점자블록이 없고, 신체 단련 활동 장소에도 미끄럼 방지를 위한 예방조치가 없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실외활동 공간에 휠체어를 놓을 자리가 없거나, 낚시 구역 주변에 안전 가드나 손잡이가 없는 점 등 역시 노인의 활동 공간 선택에 큰 고민으로 작용하고 있다.
      • 3.3.2 공간 개방 및 녹지 현황
      • (1) 공간 개방
      • 공간의 개방 정도에 따라 경관 공간을 나눌 수 있다. 완전 개방형 공간, 일부 개방형 공간, 폐쇄형 공간, 경계형 공간 등이다. 이 중 경계형 공간은 공간과 공간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을 지칭한다. 예를 들면, 실내와 실외가 이어지는 공간, 두 가지 유형의 환경이 만나는 공간을 말한다.
      • 노인 아파트에서는 완전 개방형 공간을 가장 많이 볼 수 있다, 사용 현황을 보면 주로 노인이 단체 활동을 할 때, 비교적 큰 장소가 필요할 때만 이 공간을 사용한다. 이러한 공간에서 노인의 활동 범위는 좁아진다. 그러나 폐쇄형 공간에 대해서 노인은 대부분 일종의 배척 심리를 가진다.
      • 노인은 신체적·정신적 이유로 환경의 안전성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환경을 선택할 때 더 많은 안정감, 영역감을 주는 공간 환경을 우선적으로 선택하게 된다. 경계형 공간과 일부 개방형 공간은 실외 환경에서 노인이 가장 적게 노출되면서도 외부와의 연결이 차단되지 않는 안정감을 주는 반면, 완전 개방형 공간은 과도하게 노출되고, 폐쇄형 공간은 과도하게 밀폐되어 모두 노인에게 불안감을 준다. 하나는 노인이 외부환경에 노출되고, 다른 하나는 노인이 외부와의 연결이 완전히 차단되기 때문이다.
      • 따라서 실버타운 실외 환경의 디자인은 경계형 공간과 일부 개방형 공간의 디자인과 배치를 중시하고, 필요한 개방형 공간을 만들어 노인의 활동 수요를 충족시키고, 폐쇄형 공간은 줄여야 한다. 이는 노인의 활동 참여에 대한 흥미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활동 공간이 경계성이 있으면서도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2) 녹지 현황
      • 실버타운에서 식물을 심어놓은 곳이나, 큰 나무 아래 공간도 노인이 자주 이용하는 곳이다. 특히 식물의 계절적 특징을 이용하여 조성한 장소는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시원해 노인에게 인기가 많다. 예를 들면 실버타운의 꽃밭, 분수, 오락·여가활동 공간 등이 있다. 또한 일부 공간 다양한 식물을 배치하는 형식을 통해 실외 환경 공간을 매력적으로 만들고 시설 내 상징적인 공간이 되었다. 식물을 감상하는 것은 노인에게 공간 이용의 직접적인 목적이 되고, 실외에서 머무는 시간을 늘리는 데 효과적이다. 또한 식물의 의료보건 측면의 역할을 합리적으로 수행하고, 식물을 적절히 활용하여 쾌적한 경관 공간을 조성함으로써 노인의 공간 활용을 어느 정도 장려할 수 있을 것이다. 식물을 적절히 활용한 공간 조성은 경관 감상 수준을 제고한다. 여가활동 공간에 낙엽교목의 수를 적절히 늘리고 개화식물, 약용식물 등을 활용을 확대하면 실외 공간 사용률을 높이는 데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 3.3.3 전통문화가 노인 돌봄 관념에 미치는 영향
      • 상고시대부터 있었던 신체 건강과 질병 예방을 위한 '음강씨의 춤[阴康氏之舞]'은 양생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황제는 '천하를 통일한(令行天下)' 이후 백성들의 생로병사에 관심을 갖고 광성자(广成子), 기백(岐伯) 등에게 양생의 길을 물었으며, 이들의 문답을 집약하여 후대의 양생·의학서인 『황제내경』을 집필했다고 전해진다. 이것이 중국 중의학의 기초를 이룬다. “양생 문화는 중국민족의 생명존중, 생태 존중의 문화의 내용을 구현하는 중요한 부분이다.”敖仕恒.中国古代养生文化影响下的传统建筑创作研究[D].天津:河北工业大学,2007(05),P54.
      • 도교, 유가, 불교·제가 문화는 중국 고대 양생 이론을 확대시켰다. 중국민족은 효를 중시해 왔고, 공자는 ‘효와 공경은 사랑의 근본이다(孝悌也者,其为仁之本歟)’ 孔子(春秋),《论语》,[M].作家出版社,2015(12),P24.
      • 이라 했다. 양친을 모시는 일은 고대 사회 때부터 이미 생활의 일부였다. 가정에서 노인을 부양하는 모델은 농업경제사회 때 생겨나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인구구조가 크게 변화하면서, 중국의 가족 구조는 봉건사회 때의 다자녀 가정에서 현재의 외동자녀 가정 혹은 소가족 형태로 변화하여 젊은 세대의 부양 압박은 더욱 커지게 되었지만, 가정에서의 부양 개념은 오히려 사람들의 생활 속에 융합되었다. 2,000여 년 동안 이어져 온 가족 단위의 부양 모델이 이미 중국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으며, 이것은 실버타운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다.
      • (1) 환경 양생
      • 양생의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환경이다. 『황제내경』은 사람이 지리적 환경과 조화로운 관계를 맺고 유지해야만 병을 예방하고, 건강하게 장수할 수 있다고 보았다. 환경 속의 많은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심리적 요인이 인체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며, 인체가 장기간 유해 요인의 작용을 받거나 어느 정도를 초과하면 각종 질병이 발생해 인체의 건강을 해친다. 좋은 생활환경을 선택하여 유해 환경 요소를 멀리하거나 줄이거나 또는 좋은 환경 요소를 이용하고 조성하는 것은, 중의학의 ‘천인 상응(天人相應)’을 양생과정에서 중요하다. 공기가 신선하고 햇볕이 충분하고 물이 맑으며, 나무가 우거지고 토양이 비옥하며 기후가 선선한 것이 가장 좋은 양생 환경이다.
      • (2)음식 양생
      • 일찍이 중국은 섭식과 건강과의 관계를 매우 중시했는데, 『주례·천관(周礼·天官)』 속 '식의(食医)'는 섭식으로 건강을 지킨다는 뜻이다. 식약동원(药食同源)은 『신농본초경(神农本草经)』에 기록된 365종의 약 중 200여 종을 음식을 통해 섭취할 수 있으며, 중의학에서도 병을 치료할 때 종종 음식의 도움을 빌려 ‘약을 잘 먹는 것이 음식을 잘 먹는 것만 못하다’(『음선전요(饮膳正要)』)라는 구절도 있다. 田栓磊,王琦.浅析中医饮食养生的基本原则[J].时珍国医国药,2011,(04),P22.
      • 음식을 통한 양생은 중의학 이론에 따라 음식을 조절하고 음식에 주의를 기울이며 합리적으로 음식을 섭취하여 건강을 증진하고 장수하는 양생 방법이다.
      • (3)운동 양생
      • 운동을 통한 양생이란 몸을 움직이는 방식으로 건강을 지키고, 체력을 증진하며, 수명을 연장하고, 노화를 늦추는 양생법을 말한다. 중국의 운동 양생 특색은 한의사의 음양, 장부, 기혈, 경락 등의 이론을 바탕으로 양정(养精), 연기(练气), 조신(调神)을 운동의 기본 특징으로 하며, 의식, 호흡과 신체 운동의 조화를 강조하는 활동이다. “전통적인 운동을 통한 양생은 역대 양생가들의 끊임없는 종합과 보완을 거쳐 점차 몸 운동, 자가 마사지로 신체를 단련하고, 호흡, 콧숨으로 기를 다스리고, 정신을 평온하게 하고 잡념을 배제하여 정신을 수양하는 건강 방법이다.” 王燕平,中医运动养生的理论与实践[J],陕西中医学院学报,2011(06),P34.
      • (4)양생 문화
      • 중국 고대 원림은 옛 사람들이 자연환경을 이용하여 건강을 관리했던 가장 좋은 예시이다. 원림의 위치 선정, 건축물 조성, 식물 배치, 산을 만들고 물을 흐르게 하는 것[筑山理水] 등 모두 원림 주인의 건강하고 쾌적한 양생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중국의 전통 양생문화는 원림 환경 전반에 잘 드러난다.
      • ① 입지 선정의 영향:양호한 주거 환경은 양생에 중요한 의의가 있다. 중국 고대 원림은 풍수학을 기반으로 입지를 선정했다. 풍수학은 고요한 산수(山水) 환경을 양생의 이상적 장소로 꼽고, ‘산으로 둘러싸 바람을 가두고, 물을 품어 기를 막는다(環山以藏風, 水抱以止氣)’는 입지 개념을 제시했다计成.《园冶·园说》[M].北京:中国建筑工业出版社,1988(03),P62.
      • . 또한 계성(計成)은『원치(園冶)』에서 상지(相地:땅 고르기)를 제1장에 두고 ‘땅 고르기가 적합해야만 원림 조성에 제대로 된다(相地合宜,構園得體)’라고 하여, 计成.《园冶·园说》[M].北京:中国建筑工业出版社,1988(03),P62.
      • 장소 선정이 가장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중의학에서도 공기·물·햇빛·식생을 사람이 살기 좋은 환경의 필수 요소로 꼽는다. ‘산이 둘러싸고 물을 품은(山環水抱)’ 구도가 양생(養生)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 ② 건축물 조성의 영향:중국 고대 원림 속의 건축물은 매우 다양하다. 정(亭), 랑(廊), 방(舫), 각(阁), 루(楼), 청(厅), 당(堂), 관(馆), 헌(轩), 재(斋) 등 각각의 건축 형태는 고유의 사용 측면의 기능 외에 양생 기능도 갖추고 있다.
      • 노자는 ‘세상 만물은 음을 거부하고 양을 받아들이다가, 두 기운을 유기적으로 조화한다(万物负阴而抱阳, 冲气以为和)’老子 著,春秋,富强译注,《道德经》,[M].作家出版社,2016(06),P21.
      • 고 하였다. 중국 고대 원림 속의 건축물이 바로 이런 관점의 영향을 받았다. 졸정원(拙政园)의 앙앙청(鸯鸯厅)을 예로 들면 건물은 남과 북 둘로 나뉘어 병풍으로 공간을 구분하였고, 남청(南厅)은 남향이며 청 앞은 담으로 둘러싸 만들어진 작은 원림이 따뜻하고 쾌적하며, 청 안에는 항상 해가 잘 들어 겨울과 봄에 살기 적합하다. 북청(北厅)은 해가 잘 들지 않으며 청 뒤에는 연못을 설치해 더위를 식혀주는 효능이 있어 여름과 가을에 살기 적합하다. 이러한 건축 양식은 양생학에서의 음양의 대립·통일의 관점을 보여주며 중의학 양생 이론의 ‘봄과 여름에는 양기를 기르고 가을과 겨울에는 음기를 기른다 (春夏养阳,秋冬养阴)’ 张登本等译注,《黄帝内经》,[M].新世界出版社,2019(03),P21.
      • 에도 부합한다.
      • ③ 식물 배치의 영향: 정원 식물은 고대 원림 구성의 주체이다. 특히 많은 정원 식물은 그 자체로 양생 보건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어떤 식물은 인체에 유익한 물질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비꽃은 가래를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고, 박하는 살균·구충을 할 수 있다. 원림 내부의 식물이 있는 공간의 음이온은 인체의 건강 개선에도 어느 정도 역할을 한다. 중국 황가원림인 승덕(承德)의 피서산장의 경우, 울창한 숲과 융단처럼 펼쳐진 푸른 풀로 인해 ‘초목이 무성하고 모기가 없으며 샘물이 우수하여 질병이 적은 곳’으로 병을 예방하고 치유하는 양생 기능을 가지고 있다乾隆的《芝径云堤》作于乾隆十七年(1752年),诗题即避暑山庄康熙三十六景第二景景名“芝径云堤”,2017(03),P36.
      • .
      • 양생학에서는 하늘의 이치에 순응하고 사계절의 법칙에 따라 양생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중국 고대 정원은 ‘봄에는 꽃과 버드나무가 아름다움을 다투고, 여름에는 연꽃과 석류가 아름다움을 뽐낸다. 가을에는 계화향이 날리고, 겨울에는 매화가 새하얀 꽃을 피운다(春则花柳争妍, 夏则荷榴竞放,秋则桂子飘香,冬则梅花破玉)’祁彪佳,《祈忠敏公日记·山居拙录》[M],祁彪佳文稿,北京:国家图书馆出版社,2017(05),P28.
      • 라 하여, 꽃과 나무의 배치에서도 사계절의 변화를 고려했다. 식물을 이용해 아름다운 사계절 경관을 조성하고 관람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사계절 양생 원칙에 부합한다. 원명원(圆明园)의 춘우헌(春雨轩)·청하당(清夏堂)·함추관(涵秋馆)·생동실(生冬室)은 양생학의 사계절 섭양을 잘 보여준다.
      • ④ 축산리수(筑山理水)
      • 고대 원림에서는 산수의 조성을 매우 중시했다.‘산봉우리 하나로 높은 산의 험준함을 알 수 있고, 한 주걱(勺)의 물로 세차게 흐르는 강을 느낄 수 있다.(祁彪佳·山居拙录)’祁彪佳,《祈忠敏公日记·山居拙录》[M],祁彪佳文稿,北京:国家图书馆出版社,2017.05,P28.
      • 라는 말은 고대 원림의 산을 ‘산수를 모범으로 삼는다’(模山范水) 경지를 가장 잘 나타냈다. 고대 원림의 축산리수(筑山理水)는 일정한 경관환경의 관상적 가치 외에도 어느 정도 양생학적 함의가 있다.
      • '일지 삼산(一池三山)'은 시황제가 바랐던 선경(仙境)으로, 원림에 호수를 만들고 산을 쌓아서 전설 속의 봉래(蓬莱)·방장(方丈)·영주(瀛洲) 세 산을 묘사하였다. 도가(道家)의 이러한 양생학적 관념의 영향을 받았다. 일지 삼산은 점차 고대 원림 수경(水景)의 보편적인 형식이 되었다. 서한(西汉)의 태액지(太液池), 송나라(宋) 휘종(徽宗)의 수산간악(寿山艮岳)의 대방소(大方沼), 이화원(頤和园) 곤명호(昆明湖) 안의 남호도(南湖岛), 조감당(藻鉴堂), 치경각삼도(治镜阁三岛) 등은 모두‘일지 삼산’의 구조를 따르고 있다. ‘일지 삼산’의 축산리수(筑山理水) 모델은 도가의 양생 문화를 반영하고 있다.
      • ⑤ 원림 감상의 영향
      • 중국 강남의 사가 원림은 면적은 좁지만, 심혈을 기울인 원림 조성으로, 산책길, 긴 회랑, 가산, 누각에 공을 들였다. 정자에 앉아 명상을 하면 눈길이 닿는 곳곳이 아름다운 풍경이다. 다시 말해, 옛사람들은 원림을 감상하며 묵묵히 양생을 위한 행동에 옮겼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을 실버타운의 실외 환경 디자인에 응용할 수 있다.
      • 3.3.4 현실과 이상 사이의 사회 규칙
      • 실버타운은 부양의 일종으로서 가정 부양과의 차이점은 노인 부양의 기능이 외부로 이동하여 사회·정부·가족·개인의 노인 돌봄에 대한 소통과 분업을 추진한 결과이며 가족 부양과 어느 정도 기능적 측면의 상호보완적인 관계가 있다. 그래서 사회 복지는 가정 부양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노인의 신체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보완적인 관계다.
      • 과학 기술의 발달에 따라 원래의 단층 혹은 저층 건물이 현재의 다층 또는 고층 건물로 변모하였고, 실버타운 역시 2층이나 2층 이하의 건물이 드물다. 노인 생활에 밀접한 주택 패러다임에도 변화가 생겼고 익숙한 생활환경도 변화했다. 따라서 이상적인 실버타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 노인이 익숙한 환경을 간과해서는 안 되며, 생활과 의료 수요를 만족시킴과 동시에, 노인의 시설 내의 소속감에 더욱 주목해야 한다. 향후에 중국의 노인은 1930-1940년대 출생한 사람들에서 점차 1950-70년대 출생한 사람들로 연령대가 바뀔 것이며 취재를 통해 이 연령대의 노인은 예전의 노인과 비교했을 때 문화 수준, 경제력, 정신력 모두 어느 정도 향상되었고 개혁 발전 초기에 사회의 엄청난 변화를 직접 목도했다. 때문에 새로운 사물의 수용능력도 매우 향상되어 예전 노인보다 더 쉽게 실버타운이라는 새로운 돌봄 모델을 받아들인다. 도움이나 돌봄이 필요한 노인의 경우, 사회 복지 서비스의 도움을 받아 자녀나 가정의 스트레스를 줄이도록 돕는다.
      • 3.3.5 돌봄모델과 환경 디자인의 상관관계
      • 사회가 발전하고 전 세계 경제가 통합되면서, 중국의 여러 업종·업계 역시 세계라는 이 큰 흐름 속으로 융화되고 있다. 중국의 경관법에도 역시 큰 변화가 생겼다. 예전의 마을은 이미 새로 디자인되었으며, 시대적 느낌이 있는 후퉁(胡同, 옛 골목길)과 작은 길이 사라지고 주택가나 공원 등을 정리하거나 통합했다. 이런 변화들은 중국 도시나 시골 마을이 더 깨끗해 보이도록 만들었지만, 어느새 사람간의 관계가 소원해졌고, 전통적인 가정의 노인 부양도 타격을 입었다. ' 자녀를 양육하여 노후를 대비하는[養兒防老]' 개념이 흔들리기 시작했다. 도시 모습의 변화가 현재 세대와 미래 세대를 여유로운 전원 풍경과는 멀어지게 만들고, 폐쇄적이고 딱딱한 주거 모델을 마주하게 했다. 이 밖에 고층 주택 디자인도 노인의 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와 통행의 위험성이 높아졌을 뿐만 아니라 사회와 교류하고 기존 생활을 유지하고, 자연과 가까이하고 싶은 바람을 저해하고 있다. 장시간의 실외 운동 부족과 폐쇄된 공간은 심신의 고독감과 공허함을 유발해 신체 건강을 해친다. 그러나 기존의 많은 실버타운이 위치 선정 시 노인의 사회생활에 대한 열망과 주변 환경에 대한 의존도를 크게 고려하지 않았다. 특히 환경 디자인 측면에서 노인의 정신적·신체적 욕구를 간과하였으며, 무장애 디자인 환경의 부족, 기능 구분 부적합, 좁은 공간의 답답함이나 사람이 붐비는 등의 문제가 노인의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고 있다.
      • 따라서 경관계획 디자인은 사람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서 시대적 수요와 주류사회의 가치관을 반영해야 한다. 조성된 공간 환경은 우리의 삶의 방식에도 영향을 미치고 심지어는 우리 삶의 태도와 관념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실버타운은 경관환경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고, 수익성과 의료 등 시설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쏟았다. 따라서 과학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순차적이고 계획적으로 적절한 실버타운을 구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3.4 실버타운의 치유 환경 디자인 적용 타당성 분석
      • 3.4.1 치유의 구성
      • (1) 치유는 자연적이고 건강한 치료법이며, 치료법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식물을 사용하여 사람들의 신체 건강을 조절하는 것이며, 활동 참여자는 원예 활동을 통해 심신을 완화하고, 질병 치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식물의 종류가 다양하고, 특성도 달라 치유의 형식도 다양하다. 다양한 식물의 자체 특성에 따라 활동 참여자는 특정 경관 환경에서 원예 작업 또는 기타 활동을 통해 신체 기능을 개선하고 체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치유는 참여 대상을 제한하지 않고, 건강관리뿐만 아니라 질병 치료에도 도움이 되어 각계각층에 적용할 수 있다.
      • (2) 치유는 비교적 자연적인 치료법이며, 치료 방법은 주로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식물에 의존하고 식물에 둘러싸여 관련 활동을 수행하는 것이다. “전통 약물 및 기타 치료법(예: 물리 또는 화학 치료법)과 달리 치유는 부작용이 없고 사람과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과 예측할 수 없는 부정적 반응을 발생시키지 않는다.”成善漢,林師森.療愈理念及其在海南休閑農業中的應用[J].熱帶生物學報,2010(01),P265-268.
      • 또한 경제적인 관점에서 볼 때, 다른 치료법에 비해 치유는 적은 투자로 높은 수익을 얻는 치료 형식으로, 많은 돈을 들여 의료설비를 구입하거나 일부러 대규모 기능 시설을 건축할 필요 없이 실버타운의 장소와 결합하여 반드시 갖춰야 하는 필요한 기자재와 상응하는 식물 재료를 제공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 (3) 치유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치유의 한 형식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식물을 좋아하며, 간단한 원예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이상적인 건강관리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래서 치유는 다른 치료법보다 더욱 쉽게 받아들여진다. 환자와 건강한 사람과 아(亞)건강 상태의 사람을 대상으로 진행할 수 있고, 가장 중요한 것은 노인의 건강관리 활동에 비교적 적합하다는 것이다.
      • (4) 치유는 식물을 통해 참여자의 신체 건강을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증진하고, 회복시키는 방법이다. 전자는 주로 노인이 능동적으로 땅 파기, 나무 심기, 잡초 뽑기, 비료 주기, 압화 및 꽃꽂이 등을 직접 실천하는 원예 활동이며, 노인에게 긍정적이고 직접적인 치유 효과가 있고, 면역력을 향상시키며 체력을 회복할 수 있게 하고 가치관과 자신감을 높여 심신의 건강을 촉진할 수 있다. 후자는 간접적으로 치료 성격의 식물경관 디자인을 통해 무의식적으로 심리적인 편안함을 느끼게 하는 작용을 한다.
      • (5) 치유는 항구성이 있는 건강 치료법으로, 참여자가 오랜 시간 원예 활동에 참여해야 보다 만족스러운 결과를 확실히 얻을 수 있다.
      • 3.4.2 구성 전략 분석
      • 조각과 분수와 같은 기타 시설 등은 실버타운의 치유 환경 디자인에 더 많은 생기를 더하고, 식물 등 다른 요소와 함께 구성하면 노인이 감지하는 환경 체험을 자극할 수 있다. 환경을 더 아름답게 만들고 정취가 가득해져 노인의 심리에 영향을 준다. 이러한 시설은 흥미, 다양성, 심미적 편안함 및 교육적 의의를 반드시 충족시켜야 한다. 구체적인 전략은 다음과 같다.
      • (1) 문화적 함의 강화: 이러한 시설을 통해 지역의 문화와 민속을 표현한다. 노인은 대부분 시대적인 느낌이 있는 물건을 선호한다. 이를 통해 과거를 회상하고 기억력을 자극하며 생활에서 많은 즐거움을 느낄 수 있고, 소속감과 친밀감을 고취시킬 수 있다. 동시에 노인이 처한 시대적 상황에는 일정한 공통적인 특성이 있기 때문에 일정한 역사적 색채와 현지 문화적 특징이 있는 경관을 볼 때 쉽게 공통적인 이야기 소재가 생겨, 실버타운의 인문학적 분위기를 고취시킬 수 있다.
      • (2) 노인의 심미적 수요 충족: 노인의 심미관은 젊은 사람들과 다소 차이가 있기 때문에 지나치게 기괴한 모양의 조각 등 시설은 노인에게 쉽게 공포감을 줄 수 있어 노인의 심미적 특성에 맞춰 선택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시설은 그 자체로 관상성이 있으므로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즉, 치유 공간 주변에 있어야 하며, 관상성을 이용해 노인을 실외공간으로 나오게 하여 치유할 수 있다.
      • (3) 실용성 : 이러한 시설은 관상적 성격이 비교적 강하다는 것 외에도 어느 정도 실용성을 갖춰야 한다. 예를 들어, 신체 단련 운동 공간 내 스포츠 조각품을 설치하여 노인이 공간의 주제를 명확하게 느끼고 활동에 대한 열정을 높일 수 있으며, 조용한 휴식 구역에서는 조각품이나 경장(景牆)을 통해 건강 지식을 소개하여 많은 지식을 얻게 할 수 있다.
      • 3.4.3 개인
      • 노인의 감각이 어느 정도 퇴화되더라도, 보청기, 수술 등 의료 치료 등의 도움을 통해서 노인의 신체적 결점을 어느 정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사람의 주관적인 능동성은 사람의 활동 능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노인이 생리 기능이 퇴화되기는 하지만, 심리 활동의 주관적인 능동성을 잘 활용하여 합리적인 인식, 즐거운 기분, 희망과 욕구를 조절하면 여전히 스스로의 창의력을 발휘하여 의미 있는 일을 해낼 수 있다.
      • 또한 많은 노인이 실제 나이 기준으로는 노년에 들어섰지만, 여전히 활력이 넘치고 열정적이며 건강하다고 느끼는 노년층이 많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사회가 발전하면서 노인과 젊은이의 생활패턴이 비슷해져 노인은 나이는 들었지만 아직 늙지 않았다. 그러나 중국 대부분의 실버타운은 현재 주거 여건과 간병인, 필요한 의료시설, 간단한 시설만 제공해 노인의 수요에 대한 깊은 관심이 없고 노인의 수요에 대해 구분하여 해결하려고 하지 않는다.
      • 실버타운은 노인의 생존에 대한 수요와 함께 정신적 수요를 고려해야 한다. 이런 상황에 대비해 실버타운에 거주하는 노인의 실질적인 수요와 생각을 존중하고 이들에게 적합한 돌봄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치유 환경 디자인은 노인에게 우수한 감지 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원예 활동 증대를 통해 실외 환경의 활용가치를 높일 수 있다.
      • 3.4.4 사회와 가정
      • 노인 공경은 중국의 전통 미덕이다. 가정의 자녀들도 부모님이 건강하기를 바라기 때문에, 치유 환경을 갖춘 실버타운이 더 깊은 공감을 얻을 수 있다. 절대 다수의 사람들은 이미 치유 환경이 사람의 심신 건강에 어느 정도 좋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실제 조성과 시행 측면에서는 치유 환경의 작용을 간과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조건이 좋은 실버타운조차도 여러 종류의 나무와 꽃을 심으면 좋은 환경이라 여기고 있다. 그러나 맹목적으로 수목을 심으면 자원의 낭비를 초래할 수도 있다. 전문적인 안목과 방법을 통해 실외 환경을 조성하면 자원낭비와 환경의 불균형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더 좋은 효과를 낼 수 있다.
      • 4.치유 개념의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요소 체계 구축
      • 실버타운의 치유 환경 디자인은 반드시 유기적으로 연구해야 하며, 노인의 감각 기관에 전체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실외 환경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 따라서 이번 장에서는 우선 실버타운 내의 치유 환경 디자인 구성 요소를 확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여 실버타운 내의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가 한층 더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 개선된 실버타운의 치유 환경 디자인 계획은 치유활동 지도와 관리를 포함하고, 치유 환경을 계획하는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 치유 개념이 중국에서 제시된 이후, 대중의 큰 관심을 받았지만 치유 개념이 도입된 건설 사업을 전체적으로 이끌기에는 아직 한계가 있다. 중국 실버타운의 치유 사업을 더욱 추진하기 위해서는 치유 환경 디자인의 계획 체계가 반드시 개선되어야 한다.
      • 4.1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의 목표 및 원칙
      • 치유의 과정은 심리적 치유와 생리적 치유,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바로 감각적이고 지각적 승화이다. 생리적 치유는 주로 오감으로 환경을 감지함으로써 마음을 움직여 치유하는 역할을 한다. 치유 방식은 주로 즐겁고 편안한 장소를 만들어서 원기를 회복하는 체험이다. 공간의 안전성 덕분에 하는 일에 두뇌 에너지를 소모할 필요가 없으며, 좋은 분위기의 공간은 사람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다. 페터 춤토르(Peter Zumthor)는 “우리가 관찰하는 상대에 대해서 아무런 정보가 없었을 때는 그들은 형상에 불과하다. 그래서 우리의 감각기관은 작동하지 않고, 어느 한쪽으로도 치우치지 않고, 어떠한 의욕도 없다.”고 말했다.Sally Augustin.场所优势[M].陈立宏译.北京:电子工业出版社,2013(05),P15-40.
      • 심리 치유는 주로 환경 공간을 통해 상상력을 발휘하고, 현실 세계와 잠시 떨어진 공간적 거리를 만드는 것이다. 첫 번째는 공간의 문화적 개입을 통해 공간의 거리를 만들고, 사람이 현실의 속박에서 벗어나 즐거움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공간적 감지를 통해 공감 효과를 만드는 것이다. 사람의 기억과 감정에 관심을 갖는 것이 심리 치유의 중요한 포인트다. 디자인의 핵심은 더 이상 형식과 색상이 아닌 사람의 감지와 사람의 지각적 특징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다. 다른 공간의 시각과 청각, 촉각을 통해 과거의 기억을 떠올려 감정의 공감대를 만들면 부정적인 감정을 전환하는 데 도움이 되며, 신체를 편안하게 만들어 심신을 정화하고 생리적인 측면을 치유를 할 수 있다.
      • 비록 실버타운마다 치유 개념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가 다를 수 있지만, 근본적인 목표는 여전히 입주자의 생리적·심리적 건강을 개선하면서 경관 환경도 더욱 풍부하게 만드는 것이다. 실버타운 환경에 대한 치유 개념의 주요 목표는 원예 프로그램을 통해 실버타운 내의 노인 거주자에게 나이와 신체 조건에 맞는 새로운 오락과 여가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고, 스포츠 활동을 늘리고 교류 활동을 만들며, 식물과 접촉하는 원예 작업을 장려하여 그들의 주변 생활환경을 개선함으로써 노년층의 삶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애착 정도 그리고 행복 지수를 유지하고 향상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실버타운 환경 효과와 거주하고 있는 노인에 대해 원예치료법 적용한 경관 디자인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우선 디자인 계획의 목표는 단기 목표와 장기 목표로 나뉜다. 단기 목표는 시설 환경의 질을 높이는 것이고, 장기 목표는 노인의 기본 상황과 행동 그리고 치유 경관의 체계성을 결합하여 생리, 심리 그리고 행동을 치유함으로써 노인이 앞으로 거주하는 동안 건강하고 편안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4.1.1 디자인 목표
      • (1)노인의 감각 기관 치유
      • 나이가 든 노인은 감각의 민감도와 체력이 저하된다. “대략 65세 이후 노인은 감각기능이 퇴화하기 시작하며 대부분 시각, 청각, 후각과 촉각의 순서대로 감퇴한다.” 王江萍,老年人居住外環境規劃與設計[M],中國電力出版社,2009(04),P77.
      • 하지만 퇴화가 소실을 의미하지 않으며 이런 상황에 대해서는 반드시 실버타운 환경을 통해 감각기관에 자극을 줄 수 있도록 하여 일정한 치유 효과를 달성해야 한다.
      • 시각 치유 : 나이가 들면서 노인의 안구 각막과 수정체의 투명도에 어느 정도 변화가 나타나고, 빛의 그림자 변환이 쉽게 발생하기 때문에 밤에 적당한 불빛이 있어야 한다. 노인의 시력감퇴를 고려하여 지나치게 밝은 불빛이 비치게 설계하지 않도록 하여 강한 빛으로 인한 일시적 시야 상실을 방지해야 한다. 동시에 수정체 중의 아미노산이 자외선의 영향으로 노란빛을 내기 때문에<그림 21>, “노인이 보는 색상이 노랗게 보일 수 있으므로 초록색과 파란색을 구별하는데 어느 정도 어려움이 있다.” 嚴祥,楊靜,雷凱榮,醫院色彩與心理反應[J],中外健康文摘,2008(05),P8.
      • ‘노인은 화려한 색상과 따뜻한 계열의 색상을 잘 구별할 수 있다.’ 陳思,基於老年人健康需求的城市公園景觀環境設計研究[D],西南大學,2016(06),P36.
      • 그래서 이런 색상 활용에 집중해야 한다. 예를 들어 꽃이 피는 식물 선택 시, 색상이 화려한 꽃을 선택하여 노인의 시각적 감지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으며, 노인이 실외로 나오도록 유도하여 시각적 감지를 촉진시키면서 기타 측면의 치유도 진행할 수 있다.
      • <그림 21> 안구 구조
      • 그림 출처:https://kknews.cc/zh-sg/science/2q43q9r.html
      • 청각 치유: 아름다운 음악은 사람의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기분 좋게 하는 효과가 있어서 노인복지 시설 내 특정 시간 동안 음악을 재생하면, 주변과 시설 내부의 소음 공해를 막을 수 있다. 노인은 생리적 기능이 감퇴되어 쉽게 잠에 들지 못하고, 간섭받는 것을 싫어하며 조용한 환경을 좋아한다. 다음으로는 실버타운 내 바람 소리와 물소리를 이용하여 실외환경의 활력을 더할 수 있다. 하지만 실외환경과 거주 구역과의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 노인의 저녁 수면을 방해하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한다.
      • 후각 치유 : “19세기 프랑스의 화학자 르네는 아로마가 질병을 예방, 치유하고 증상을 완화시켜주는 효능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王植芳.現代醫院康複性園林環境設計初探[D].華中農業大學,2007(05),P42.
      • 후각을 이용한 치유는 후각기관을 통해 특정 냄새를 흡입하면 뇌하수체가 자극되어 생리적 혹은 심리적으로 반응을 일으키고 이를 통해 건강과 감정을 치유하는 것이다. 때문에 식물의 향기로 이 부위를 자극하면 쉽게 과거의 기억을 떠올리고, 뇌의 활동을 촉진시켜 노인의 치매 발생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다. “따라서 시설 내에 비교적 관상 가치가 높은 방향 식물을 활용해야 한다.” 王曉巍.綜合性康複中心外環境設計研宄[D]東北農業大學,2009(05),P62.
      • 촉각 치유: 촉각 치유는 손과 발 그리고 피부 등 기관을 통해 주변 물질을 만짐으로써 대뇌의 감각령과 운동령을 자극하여 특정 치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치유 방법이다. 하지만 나이가 늘면서 촉각의 민감도가 떨어져 주변 환경에 대한 감지 능력이 저하되고, 기후 등 주변 환경의 온도변화에 대해 둔해지고, 환경변화에 적응하는 능력도 감소하게 되므로 실버타운은 우선 좋은 소기후 환경을 갖춘 장소를 선정하여 조성해야 한다. 장소 선정을 통해 노인의 촉각 민감도가 약화되어 발생하는 문제를 줄이는 것 이외에도, 생활 속 유형 사물과 활동 작업을 통해 촉각을 자극하여 촉각 치유 효과를 얻어야 한다. 예를 들어 원예 활동 작업, 발 지압길 등이 있다.
      • 미각 치유 : ‘사람은 먹는 것을 으뜸으로 여긴다(民以食爲天)’는 말이 있다. 미각 만족도가 가장 높은 실버타운인 제노산 장석양홍락원(齊魯山莊夕陽紅樂園)에는 식용 식물이 70% 이상 차지한다. 이를 활용하여 노인의 식단 구성이 풍부해졌으며 노인들이 전원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여 좋은 반응을 얻었다. 일부 실버타운은 장소가 협소하기 때문에 관상적으로 좋은 향토 약용 식물이나 식용 가능한 식물을 선택할 수 있고, 식물 종류를 다양하게 하고, 지역 문화를 잘 보여줄 수 있다. 미각 수요를 만족시킴으로써 노인의 원예 활동에 대한 흥미도 자극할 수 있고, 일련의 치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2)노인의 생리적 기능에 따른 치유
      • 노인은 신체적·생리적 조건에 따라 가능한 활동 범위가 다르고 이러한 차이는 치유의 수요와 사용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노인의 행동을 토대로 네 종류로 분류하였다.
      • ① 활동이 가능한 노인: 실버타운의 노인은 스스로 거동이 가능하나, 건강 상태가 좋지 않으며 대부분 체력이 약하다. 평평한 도로에서는 천천히 보행할 수 있지만 경사로 또는 계단을 내려갈 때 힘들어하며, 일부 노인은 벽을 잡거나 안전 손잡이를 잡아야 한다. 이 유형의 노인은 반드시 비교적 단순하고 체력소모가 크지 않은 원예 활동에 참여하도록 독려하여 체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실외공간을 조성할 때는 반드시 참여 활동 장소가 너무 멀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400m 정도 간격마다 휴식공간을 만들어 활동장소로 이동하는 중간에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도로는 최대한 완만하고 폭은 반드시 1.2m 이상을 확보해야 하며, 도로 양쪽에는 손잡이나 안전 손잡이를 설치해야 한다. 이를 통해 시력 저하 혹은 다리에 힘이 풀리는 등의 문제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 ② 간호가 일부 필요한 노인: 간호가 일부 필요한 노인은 실외활동에서 반드시 보행 보조기기, 휠체어 등 보조기기의 도움이 필요하다. 이 유형의 노인은 스스로 할 수 있는 활동에 참여하도록 독려해야 한다. 예를 들면, 장시간 서 있거나 움직일 필요가 없는 분경 제작 등의 치유 활동이 있다. 실외환경 공간 조성 시, 반드시 참여 활동 장소가 너무 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도로 폭은 휠체어 두 대가 나란히 지나 갈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한다. 도로포장과 활동장소의 바닥포장은 미끄럼 방지에 주의해야 하며, 보행 시 노인의 보조기기가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구멍이 있는 자재는 삼가야 한다.
      • ③ 간호가 완전히 필요한 노인: 간호가 완전히 필요한 노인은 대부분 심각한 질병을 앓고 있는 노인으로, 오랫동안 침대에 누워 요양한다. 이 유형의 노인이 실버타운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신체적 원인으로 원예치료 활동에 참여할 수 없지만 창문을 통해 경관 치유를 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저층의 방으로 배정한다. 또한 방에서 외부의 경관을 최대로 활용하여 시각과 청각을 이용한 치유를 진행한다. 교목은 반드시 건물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 햇볕이 적당히 방으로 들어오도록 해야 하며 관목은 방향수종을 사용할 수 있다<그림 22> 劉秉琨, 《環境人體工程學》上海人民美術出版社,2014(06),P82.
      • , <그림 23> 劉秉琨, 《環境人體工程學》上海人民美術出版社,2014(06),P82.
      • .
      • 서 있는 여성 앉아있는 여성
      • <그림 22> 보행기기 사용자의 활동 소요 면적
      • <그림 23> 일반 노인 여성 (위 그림)과 휠체어에 앉아있는 여성(아래 그림)의 활동 반경 비교
      • ④ 치매 노인: 치매 노인은 행동능력이 있는 노인과 행동능력이 없는 노인으로 나눌 수 있다. 행동능력이 없는 치매 노인의 치유 방법은 완전한 간호가 필요한 노인의 치유 방법을 참고한다.
      • 행동능력이 있는 치매 노인은 인지와 기억 등 기능이 손상되어 행동이 예측 불가 하지만, 여전히 존중해야 하며 그들의 자유를 함부로 제한해서는 안 되고 환경을 이용해 재활 물리 치료를 해야 한다<그림 24>. 치매 노인만을 위한 치유장소를 제공하고, 안전을 보장해야 한다. 노인이 식물을 접촉하는 경우에도 다치지 않도록 해당 구역에는 반드시 생명력이 강하고 독이나 가시가 없는 식물을 심어야 한다. 치매 노인은 비록 지능은 저하됐지만 감각기관은 여전히 존재하므로, 감각기관을 이용하여 뇌를 자극함으로써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게 하면, 병세를 안정시키고 치료하는데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
      • <그림 24> 환경의 재활물리치료
      • (3)노인의 심리 수요 충족 목표
      • 다음은 노인의 정신적·심리적 치유를 위한 실버타운 디자인 전략 목표이다.
      • ① 안정감 충족: 생리적 변화로 노인은 건강을 더욱 갈망하고, 몸이 아픈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에 주변 환경의 안전성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 그래서 실버타운의 원예 치유 환경 디자인을 할 때는 반드시 우선적으로 안전성을 고려하고, 노인의 안전에 대한 수요를 만족시켜야 한다. 예를 들어, 차량이 통행할 수 없는 보행로, 인체공학적 디자인을 적용한 휴식 시설과 운동 시설, 도로 미끄럼 방지 적용, 무독성·무해 식물 선별 등을 통해 노인의 실외환경 이용률을 높이고, 심신 건강의 치유 목적을 실현한다.
      • ② 소속감 향상: 소속감은 주로 노인이 실버타운의 구성원으로서 소속되어 있다는 심리적 느낌을 말한다. 주변 사람이 자신을 받아들이고, 자신도 그들과 하나가 되길 바라며, 주변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심리와 행동 상태로 나타난다. 시설 내 노인은 은퇴, 배우자 상실, 일부 행동능력 상실 등 상황으로 시설에 대한 소속감이 낮은 편이고 심지어 대부분의 노인은 실버타운을 인생의 종착지로 생각하여 외로움을 느낀다. 따라서 실버타운의 원예 치유 환경을 디자인할 때 반드시 노인의 감정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는 경관을 조성해야 한다. 예를 들어 식물의 향기를 이용해 노인의 뇌를 자극하여 과거의 기억을 떠올리게 하고, 경관의 재료와 기법에 전통적 특색을 더해 노인의 추억을 회상하는 심리적 특징과 결합시켜 소속감을 더하여 삶의 적극성을 높일 수 있다.
      • ③ 자존감 증가: 노인이 실버타운에 입주하기 전에는 자신만의 사회적 역할이 있었지만, 입주 후에는 기본적으로 아무것도 하지 않은 채 시간만 보내기 때문에, 삶에 대한 뚜렷한 목표가 없어 쉽게 상실감과 우울감을 느낀다. 그러나 치유 활동은 이런 감정을 효과적으로 없앨 수 있고, 활동 중 노인 간 서로 도우며 상호작용을 할 수 있으며, 신체를 단련하고 타인을 도우며 자존감을 높일 수 있고 쉽게 행복함을 느껴 심신을 치유할 수 있다.
      • ④ 개인 존엄성: 실버타운의 노인은 모두 거주지역과 가정환경이 다르다. 비록 그들의 소속감을 향상시켜 하나의 공동체가 되도록 해야 하지만, 오랜 생활 습관으로 생긴 개인의 특성으로 인해 어느 정도 자신만의 사생활이 침해되거나 간섭받기를 원하지 않는다. 따라서 실버타운 내 치유 환경 디자인은 반드시 노인의 존엄성을 충분히 존중해야 하며, 공간을 다차원적으로 배치하여 교류를 촉진하는 동시에 사적 공간에 대한 노인의 수요를 충족시켜야 한다.
      • (4)노인의 신체 단련 자극 목표
      • 아무리 좋은 치유 환경이라도 가까이에 없다면, 치유 효과도 감소할 수 있다. 그래서 이상적인 치유경관은 안전성을 보장하면서 자체적으로 치유 효과가 있어야 하고, 일정한 매력성, 흥미성, 적극성 등 원칙을 가지고 노인의 참여를 이끌어 내야 한다. 우선 해당 실외환경의 공간요소는 반드시 개방성과 공공성을 중심으로 활동적이고 활기찬 분위기를 조성해 노인이 심리적으로 편안함을 느끼면서 신체단련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다음으로 식물 등 생태 요소는 반드시 사람들을 편안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더욱 쾌적한 주변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그 외에, 도로와 벽 등 지물요소는 반드시 보조적 역할을 하여 노인이 해당 공간에서 치유하는 것이 편하고 즐거운 일이라고 느끼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시설요소는 반드시 흥미를 유발할 수 있어야 하며, 노인의 참여 향상을 목표로 해야 한다.
      • (5)노인의 적극성 향상 목표
      • ① 원예 활동 참여를 통한 흥미와 취미 기르기: 새로운 흥미와 취미를 기르는 것은 노인의 나이와 그들의 신체적 조건에 부합해야 한다. 양로원 또는 실버타운의 경우, 사람이 많고 장소가 충분하기 때문에 원예 활동 프로그램으로 노인의 수요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다. 간단한 비료 주기, 파종, 꽃꽂이, 심기, 물 주기나 가지치기를 통해 노인이 자주 실외활동을 하고, 신선한 공기를 마시고 신체단련을 하도록 독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참여자가 단기적 또는 장기적으로 성취감과 행복함을 느끼게 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단조롭고 무미건조한 노인의 생활에 많은 즐거움을 더할 수 있다.
      • 원예 활동은 노인에게 적합한 활동이며 유익하다. 예를 들어, 색상이 선명한 플랜팅 베드(planting bed) 또는 작업대는 시력 장애를 가진 노인에게 조심하도록 주의를 주는 작용을 한다. 정교하게 디자인된 원예 정원은 노인이 잠시 쉬면서 감상하고 휴식할 수 있는 공간이며, 소품을 통해 감상에 대한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원예 작업대 또는 플랜팅 베드의 높이 역시 휠체어 사용자와 장애인의 높이에 맞춰 설치할 수 있다. 쉽게 할 수 있는 원예 활동은 기존에 원예 활동에 관심을 갖고 있던 노인에게는 즐거움을 줄 뿐만 아니라 원예 활동에 참여해 본 적 없는 노인의 참여도 이끌어 신선한 호기심을 자극하고 즐거움을 느끼며 자아실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더욱 신선한 공기를 마시고 면역력을 증강시키며 신체단련의 목표도 실현할 수 있다.
      • ② 생리적 건강의 유지 또는 개선: 원예 활동은 개인차는 있을 수 있으나 활동에 참여한 노인의 생리적 건강을 개선시키고 회복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 참여하는 동안, 노인은 더욱 많은 활동에 참여하기를 원하며, 이는 일종의 긍정적인 선순환이다. 하지만 원예 활동은 최대한 의료진 또는 간병인의 감독 하에 진행되어야 하고, 특히 장애 노인이나 나이가 많고 체력이 약한 노인의 경우 참여자의 수용 능력을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노동을 하도록 해야 한다. 동시에 노년층의 특수성을 고려해 활동 장소 근처에는 의료진이 대기하여야 한다. 참여자는 활동에 참여하기 전 반드시 자신의 상황에 따라 평가를 받은 후 적절한 강도와 시간에 맞는 치유 활동을 선택해야 한다. 원예 활동이 치유의 수단으로서 질병을 완치할 수는 없지만, 일정한 시간과 강도를 유지한 원예 활동은 참여자에게 더 좋은 생리적 자극을 줄 수 있고, 손과 뇌를 사용해 단련하고, 자기 관리능력을 키우고, 창의력을 향상시키고, 자아실현을 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시설 거주 노인이 적극적으로 여가 활동에 참여하도록 독려하고, 교류를 촉진하는 것은 교류 활동뿐만 아니라 무료함과 외로움에서 벗어나는 데도 도움이 된다. 원예 활동 참여자는 다른 여가 활동처럼 능동적 참여를 희망한다는 조건 하에 해당 활동에 참여할 수 있으며, 모든 참여자는 원예치료사의 적극적인 안내에 따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 다음은 일부 원예 활동의 조직 배치에 관한 방법이다.
      • ● 활동 내용을 정확히 설명하고, 참여자가 스스로 계획한다.
      • ● 감상하는 사람에게 활동에 대해 스스로 설명한다.
      • ● 의료진, 가족 및 자원봉사자가 함께 도와 참여자의 흥미를 향상시킨다.
      • ● 활동 난이도는 점차 어려워지게 한다.
      • ● 개인에 맞게 진행한다.
      • ● 참여자의 협력 정신을 기른다.
      • ● 참여자의 능동성을 향상시킨다.
      • 위와 같은 계획은 노인이 원예 활동을 하며 다른 사람들과 교류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하며 새로운 주민의 원예 활동 참여를 이끌 수 있다.
      • ③ 노인의 창의력 향상: 원예 활동은 노인의 창의력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적합하다. 식물을 심고, 가지와 잎을 다듬고, 물을 주어 흙을 부드럽게 하는 등 노인이 스스로 할 수 있는 원예 활동에 참여하게 만든다. 직접 자신의 손으로 아름다운 환경을 만들고, 창작하는 것은 참여자의 창의력을 표현하는 과정이다. 또한, 이 과정에서 식물의 생장에 대해 재인식함으로써 생명과 성장 그리고 성숙에 대해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식물을 재배하는 과정을 통해 참여자가 자신을 표현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며, 타인과 자신에게 모두 가치 있는 산물을 만들어 내도록 한다.
      • ④ 노인의 교류 활동 및 생활 만족도 향상을 위한 환경 조성: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은 실버타운 주민에게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환경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다양한 활동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원예 활동의 수혜자는 활동에 직접 참여한 사람들이지만, 그 외 실버타운의 근로자, 방문객 등 외부인에게도 영향을 끼친다. 원예 활동 중 다양한 형식, 색상, 냄새, 무늬 및 재질을 통해 실버타운의 주변 환경과 거주 중인 사람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 ⑤ 교류 공간 및 시간의 증가, 이웃 및 친구와의 연락 강화:원예 활동은 마찬가지로 시설 내에서 진행되며, 시설 주민의 참여를 이끌고, 노인과 시설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노인의 자존감을 높이고 자신의 가치를 인정받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이런 활동을 통해 자립 자족의 시설 체계를 만들 수 있고, 실버타운의 치유 활동을 위해 어느 정도 자금과 재료의 공급원을 제공할 수 있다. 원예 활동에 자주 참여하는 노인의 언어표현능력과 교류능력은 모두 눈에 띄게 향상되고, 심신이 더욱 즐거워지며 행복함과 만족감을 더 많이 느낄 수 있다. 그리고 실외 원예 활동에 자주 참여하면 더욱 많은 친구를 사귀고 다양한 소통의 주제를 찾아 우울함과 외로움을 완화할 수 있다. 이는 노인의 심리적 건강에 큰 도움이 된다.
      • 4.1.2 디자인 원칙
      • 이상과 같이 사례조사 결과와 노인의 심리적·생리적 특징을 토대로 무장애 디자인 원칙, 식물 배치의 합리성 원칙, 쾌적함 원칙, 접근 가능성 원칙, 지역 맞춤형 원칙, 공간 다양화 원칙, 공간 구분의 과학성 원칙 등 7가지의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기본 원칙을 마련하였다.
      • (1)미학적 디자인 원칙
      • 전체적인 배치는 운율미가 있어야 한다. 현장의 지형을 바탕으로 규칙식·자연식·혼합식 중 적절한 배치형식을 선택하는데, 규칙식과 자연식은 거의 없고, 규칙식과 자연식을 잘 조합한 혼합식이 많다.
      • 식물의 외관과 냄새의 효과를 고려해야 한다. 식물은 색, 냄새, 소리가 있다. 이와 같은 모든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식물은 극히 드물기 때문에 식물 간 상호 보완이 이루어져야 원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목류의 식생 가지와 줄기는 단조롭기 때문에 담쟁이덩굴류의 식물로 보완할 수 있다. 관목 숲에 자색 잎을 가진 식물을 심으면 더욱 다채로워진다. 가을이 되면 잎이 색이 변하는 것도 하나의 경관이 된다. 복숭아나무를 예로 들면 봄에는 꽃을 볼 수 있고, 여름에는 초록색 잎이 나며, 가을에는 풍성한 과일을 수확할 수 있고, 겨울에는 가지에 쌓인 흰 눈이 경관이 된다. 상록수인 개잎갈나무와 소나무는 겨울에도 변함없이 푸르고 생기가 있다. 따라서 식물의 생태적 습성을 잘 알고 적절하게 식재해야 이상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 식물은 계절에 따라 변화하고 습성이 매우 다양하다. 싹이 나고 꽃이 피는 시기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사계절 동안 구역마다 특정 계절의 경치를 담고, 중점 구역에 사계절의 경관을 모두 담아내는 효과를 내야 한다.
      • 군락 효과를 전체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군집 식재는 일반적으로 2~10주 정도의 같은 종류의 교목이나 관목을 조합하여 심는 것이다. 군집 식재는 군락미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심을 때 간격을 조정하여 가지와 잎의 윤곽선, 층 및 원근효과에 주의해야 한다. 녹지 디자인 중 숲이 주 경관일 경우, 침엽 및 활엽수를 함께 심으면 관상적으로 매우 좋기 때문에 큰 잔디밭 중앙과 수변이나 경사진 곳에 배치할 수 있다. 郭向東.園林景觀設計雜談(第四冊)[M].中國民藝出版社,2006(11),P37.
      • 시선을 차단하고자 할 때는 주로 출입구와 도로 모퉁이에 배치한다<그림 25>.
      • <그림 25> 식물배치
      • 그림 출처:https://xycost.com/archives/108137
      • (2)인성화 원칙
      • 환경 디자인 중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것은 무장애 디자인 공간이다. 계단이 있는 곳에는 경사로를 설치하고, 실외시설에는 손잡이를 설치하며, 도로포장은 미끄럼 방지처리를 하고, 지면을 깨끗하게 해야 한다. 휠체어나 지팡이를 이용해 외출하는 노인을 위해서 경사로의 디자인과 도로의 폭은 일반적으로 1.8m이상 이어야 한다. 식물배치는 노인의 심리적, 생리적 수요에서 출발해 모든 부분에서 노인의 수요를 고려해야 한다.
      • 사람을 중심으로 한 실외환경 디자인은 노인의 생리, 안전, 사랑, 소속감, 존중, 자아실현 등 다양한 수요를 충족해야 하고, 서비스의 주요 대상이 사람이라는 원칙을 모든 디자인에 관철시켜야 한다. 실버타운의 환경디자인은 기능적으로 사람의 수요를 만족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더 높은 차원의 건강한 양로의 목적을 실현해야 한다. 치유 각도에서 본 시설 환경 디자인의 목표는 중년·노년층의 각 연령대와 건강, 아건강, 임상 상태의 건강 상태가 다른 노년층의 눈 건강(시각), 몸 건강(신체), 마음 건강(심리), 인성(성정), 지식(지혜), 덕(인품과 덕성)의 다양한 수요를 만족시키는 것이다. 그 외, 거주 구역 주변의 부속 건강 의료 서비스 시설은 노인의 건강을 보호한다. 의료 서비스 시설은 노인의 문제를 해결해주고, 다양한 연령대의 휴식, 건강, 양생의 재활수요도 만족시켰다.
      • ① 무장애 디자인 원칙:안전은 실버타운의 가장 중요한 원칙이다. 반드시 실버타운 전체 환경의 안전한 통행을 보장해야 한다. 예를 들어, 시설 내 인도와 차도가 구분되어야 하고 인도 위주여야 한다. 경사로의 경사도는 디자인 규범에 부합해야 하고, 높이가 다른 2개의 안전 손잡이를 설치해야 한다. 도로는 반드시 미끄럼 방지 처리가 되어있어야 한다. 낙상은 전 세계 사망 원인 2위로, 사망자 중 65세 이상의 노인이 가장 많으며 나이가 많을수록 위험도 증가한다. 특히 주의해야 하는 것은 경사로와 바닥의 미끄럼 방지, 계단과 출입구 등의 위치다. 따라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을 할 때는 반드시 노인 중심의 디자인을 해야 하며, 미관과 기능 차원의 수요도 만족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하여 각 활동이 안전하게 진행되도록 해야 한다.
      • “중국의 무장애 디자인 구축은 늦게 시작된 편으로, 1989년 『장애인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도시 도로와 건축물 디자인 규범(方便残疾人使用的城市道路和建筑物设计规范)』을 제정하며 장애인에게도 공평한 사회를 구현했다. 1990년, 중국은 『중화인민공화국 장애인보장법(中华人民共和国残疾人保障法)』을 제정했다.”朱文倩,朴永吉,孙崟崟.园林景观无障碍设计的研究[J].农业科技与信息(现代园林),2011(03),P29.
      • “그리고 1998년 『장애인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도시 도로와 건축물 디자인 규범(方便残疾人使用的城市道路和建筑物设计规范)』에 대해 규정을 제정했다.”张谊.中美无障碍环境建设问题比较研究,华中科技大学学报[J].城市科学版,2013(02),P91-94.
      • “펑솽(冯爽)은 『거주 지역 경관디자인 사업 중 무장애 디자인의 응용연구(无障碍设计在住宅小区景观设计工作中的应用研究)』에서, 심리적으로 안전감, 영역감, 소속감과 정체성을 충족시켜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경관 디자인에서 무장애 디자인은 접근 가능성, 참여성, 주제성과 생태형을 구현한 것으로 보았다.” 冯爽. 无障碍设计在住宅小区景观设计工作中的应用研究[D].西南交通大学,2015(04),P57.
      • “장캉(张康)은『정원경관의 무장애 디자인 초보적 탐색 과정에서의 무장애 디자인(园林景观无障碍设计初探中对无障碍设计)』에서 무장애 디자인의 다섯 가지 원칙으로 식별 용이성, 무장애성, 교제 가능성, 쉬운 접근성, 예술성의 원칙을 꼽았다.” 张康. 园林景观无障碍设计初探[J]. 科技资讯,2009(03),P27.
      • “류지웨이(柳志威)는『정원 속 맹인 전용 도로 디자인에 관한 담론(浅谈园林中的盲道设计)』에서 정원 맹인 전용 도로 디자인의 디자인 요점 및 기술적 수단을 제시하고 후각, 촉각, 청각 등 부분에 대해서도 기술했다.” 刘志威. 浅谈园林中的盲道设计[J]. 安徽农业科学,2008(08),P21.
      •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시 특히 출입구, 바닥 포장 혹은 경사로 디자인에 휠체어 이용자 또는 거동이 불편한 노인을 고려해야 한다.
      • 높낮이 차이가 있는 곳에는 반드시 경사로 디자인을 활용해야 한다. 계단이나 경사로는 『무장애디자인규범(無障礙設計規範)』에 따라 모두 휠체어의 통행 방법을 고려하고, 경사로의 폭은 반드시 유효폭의 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경사로의 폭이 1.00m 이상이면 휠체어 한 대의 통행이 가능하고, 경사로의 폭이 1.20m 이상이면 휠체어 한 대와 사람 한 명이 옆으로 통행할 수 있으며, 경사로의 폭이 1.5m 이상이면 휠체어 한 대와 사람 한 명이 양방향으로 통행할 수 있고, 경사로의 폭이 1.8m 이상이면 휠체어 두 대가 양방향으로 통행할 수 있다. 높이가 300mm 이상이고 폭이 1:20이면 반드시 양쪽에 손잡이를 설치해 경사로와 휴식 장소의 손잡이가 반드시 이어지도록 해야 한다. 휠체어 경사로의 높이가 300mm 또는 이하일 때, 혹은 경사도가 1 미만이거나 1:20일 때, 휠체어 이용자와 거동이 불편한 사람은 기본적으로 손잡이를 잡지 않아도 되지만, 높이가 300mm 이상이고 폭이 1:20이면, 거동 시 손잡이를 잡아야 안전하기 때문에 이 경우는 경사로의 양쪽에 모두 손잡이를 설치해야 한다. 최대 높이와 수평 길이는
      • <표 12> 휠체어 경사로의 최대 높이와 수평길이
      • 경사도
      • 1 : 20
      • 1 :16
      • 1 : 12
      • 1 : 10
      • 1 : 8
      • 최대높이(m)
      • 1.20
      • 0. 90
      • 0. 75
      • 0. 60
      • 0. 30
      • 수평길이(m)
      • 24. 00
      • 14. 40
      • 9.00
      • 6. 00
      • 2. 40
      • 반드시 <표 12> 의 규정에 부합해야 한다.
      • 휠체어 경사로의 경사도는 경사도의 최대 높이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경사로의 경사도 높이가 300mm 이하이면, 상대적으로 가파른 경사도를 선택할 수 있지만 1:8의 경사로의 총 경사도 높이보다 낮지 않아야 하고, 경사로를 나누어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러나 중간에 반드시 휴식 공간을 마련해야한다. 모든 경사로의 경사도 높이와 경사는 상기 표 기준으로 조성해야 하며, 가능한 상황에서는 경사로를 1:12보다 낮은 경사도로 하면 통행 시 더욱 안전하고 편안하다<그림 26>.
      • <그림 26> 휠체어 경사로의 경사도 설명도
      • 그림 출처:https://www.sohu.com/a/365828174_120209938
      • 휴게의자는 체력단련 공간 옆에 반드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한다. 의자의 구조 형식은 노인이 일어서거나 앉을 때 잡을 수 있는 손잡이 등을 설치하고, 지나치게 단단하거나 차가운 재료는 피해야 한다. 노인은 여름에는 너무 뜨겁지 않고, 겨울에는 너무 차갑지 않은 목재 의자를 가장 선호한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므로 스테인리스 등 금속 재질의 사용은 자제해야 한다.
      • 활동 장소 바닥과 정원 길의 포장에는 미끄럽지 않은 자재를 선택하거나 미끄럼방지 처리를 해야 한다. 예를 들면 표면을 매끄럽게 다듬는 처리를 하거나 화강암에 화염처리 등을 해야 한다. 노인에게 적합한 난간의 높이와 무대의 폭, 화장실 등을 인체공학적으로 디자인하여 노인의 안전과 사용 편리성을 고려해야 한다.
      • 노인의 시각 감각 능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명암이 다른 공간을 지나갈 때 눈이 부실 수 있다. 어두운 곳에서 밝은 곳으로 가면 눈부심으로 인해 눈이 적응할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건축물과 건축물 사이에는 바로 계단을 설치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그늘막의 그림자를 계단으로 착각할 수 있으므로 도로에 차양 구조물은 피해야 한다. 실외 활동 구역의 교통은 최대한 한산해야 한다.
      • 실버타운 내 정원 길이나 활동 구역은 안내도를 설치해 장애물과 위험 등을 알려주어야 한다.
      • 노인은 근육이 위축되거나 기타 생리적 원인으로 인해 걸을 때 허리가 굽어 시선이 낮다. 그러므로 안내판의 높이는 비교적 낮게 설치해야 휠체어를 이용하는 노인도 편하게 볼 수 있다.
      • 음성안내 기능이나 점자 입력 기능이 있는 안내판을 통해서 쉽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 표지판의 정보는 간결하고 명확해야 하며, 글자 크기는 크고, 명암이 분명하며 조명도 있어야 한다.
      • ② 쾌적함 원칙: 경관의 쾌적함은 노인의 시각적 수요를 만족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공간 배치와 기능 배치 부분에서 노인의 심신 건강에 도움이 되어야 한다. 60세 이후에는 뇌세포의 신진대사에 의해 발생하는 노폐물이 뇌 공간의 절반을 차지하여 뇌의 반응속도와 민감도 등에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쾌적하고 안전한 생활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 ③ 안전성과 접근성 원칙: 노인의 신체 유연성은 실외 활동 장소의 접근성이나 외출 활동의 빈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문을 쉽게 열 수 있는지, 계단은 없는지, 경사로에 안전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는지, 편리하게 휠체어 통행이 가능한지 등 각 방면의 요소를 고려해야 하고 이를 통해 노인의 실외 활동 장소 이용률을 높여야 한다.
      • 식물 종류를 선택할 때는 털이 없고, 바람에 흩날리지 않고, 자극적인 냄새가 나지 않는 등의 식물을 선택해야 한다. 사람들이 많이 있는 곳과 도로 양쪽에는 최대한 피라칸타, 협죽도, 호랑가시나무 등 독성이 있고 가시가 있는 식물은 최대한 피해야 한다. 시설 내에서 감상하고 생활하는 사람들의 안전을 보장하고, 찰과상, 알레르기, 중독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 외 시설 내 도로포장, 보행길, 의자, 실외 표지 및 조명 등 부분에 주의해야 한다. 접근성은 시간을 단축하고 활동 영역을 넓히는 것이 목적이다. 시설 내 일부 구역은 회랑을 만들어야 한다. 실내외를 연결하는 공간으로서 비와 눈 등 날씨가 좋지 않을 때 외출의 편리성을 높이며 또 다른 활동 공간이 될 수 있다.
      • (3)생태성과 식물배치의 합리성 원칙
      • 생태성은 실외환경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요구한다. 이는 환경보호와 조화를 기준으로 하고, 큰 면적의 인공시설을 짓지 않도록 요구한다. 식물 수종은 실외환경의 지속성과 발전성을 고려해야 한다. 동시에 외래침입종의 사용으로 생태환경이 파괴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그 외, 친환경 재료를 선택하고, 최대한 사용하여 건축 폐기물을 줄여야 한다.
      • ① 항오염 및 건강 기능 식물 선정: 사회가 발전하면서 스모그, 산업오염, 폐기가스오염 등에 의해 우리의 환경도 계속 오염되고 있다. “다양한 오감자극 요소들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자연을 통해 오감을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기 때문에 고령자의 저하된 지각능력을 회복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김소희, “정신장애를 위한 치료정원 계획 및 시공과 이용만족도 평가”2004(06),P37-39.
      • 식물의 항오염성 특징을 적극적·효율적으로 활용하여 깨끗하고 건강한 자연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매우 경제적인 방법이다. 다음은 일부 식물의 건강 측면의 가치와 각 구역에 적합한 항오염 기능이 있는 식물 품종이다<표 13> <표 14>.
      • <표 13> 중국 남부지역 식물 목록 李树华.《园艺疗法概论》.[B].北京:中国林业出版社,2020(05).P83.
      • 중국 남부지역 식물 목록
      • 구분
      • 효과
      • 식물 이름
      • 시각
      • 1. 식물의 외형 변화를 통해 시기와 계절을 분별할 수 있다.
      • 2.꽃이 만발하는 식물을 선택함으로써 꽃의 색깔로 시각에 자극을 준다.
      • 3. 열매 맺는 나무를 심을 경우 계절의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열매의 생장 과정 역시 노인의 시각에 자극을 줄 수 있다.
      • 녹나무(Cinnamomun camphcra)、아왜나무(Viburnum Odoratissimum Ker-Gaw1.)、당광나무(Ligustrum lucidum Ait)、풍향수 (Liquidamdar formosana Hance.)、 자귀나무(Albizia julibrissin)、아카시아 파르네시아( Albizia farnesiana Wild.) 、반얀나무( Ficus retusa Linn)、녹나무( Cinnamomum camphora Ness)、태산목 (Magnolia grandiflora L)、대만아카시아 (Acacia confusa Merr)
      • 청각
      • 1. 식물 가까이 모여드는 새들의 지저귀는 소리, 벌레 우는 소리, 바람에 떨어지는 낙엽 소리, 나뭇가지 소리 등으로 청각을 자극한다.
      • 2. 꿀벌과 나비를 유인할 수 있는 식물도 고려해볼 수 있다.
      • 몬스테라 델리시오사(Monstera deliciosa Liebm)、부겐빌레아(Bougainvillea spectabilis Willd.)、계혈등(Kadsurae Caulis)、왕모람(Ficus pumila Linn.)、백화유마등(Mucuna birdwoodiana Tutch)、호야(Hoya carnosa(L.f.)R. Br)、찔레나무(Rosa multiflora)、
      • 후각
      • 1. 친숙한 향기를 접하게 되면 과거의 경험과 추억을 떠올라 타인과의 교류 의욕을 높여준다. 향기는 간접적으로 적서를 안정시켜 사회적 교류를 촉진시킨다.
      • 2. 풍향을 고려하여 수생식물의 향기가 섞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해당화(Rosa rugosa Thunb.)、로즈메리(Rosmarinus officinalis)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 Mill.) 라일락(Syringa Linn.) 、물푸레나무(Osmanthus sp.)、봉선화(Impatiens balsamina L.)、작약(Paeonia lactiflora)、튤립(Tulipa gesneriana)、벚나무(Prunus serrulata)、백목련(Magnolia denudata)、복숭아(Amygdalus persica L.)、배롱나무(Lagerstroemia indica L.)、스토크(Matthiola incana(L.)R.Br.)、배롱나무(Verbena hybrida Voss)、백합(Lilium brownii var viridulum)
      • 촉각
      • 1. 식물의 질감, 무게, 형태, 나무껍질, 씨앗, 콩깍지 등 각기 다른 느낌을 만져봄으로 노인의 촉각을 자극한다.
      • 2. 잎 끝이 뾰족한 식물(침엽식물), 알레르기 반응을 쉽게 일으키거나 바람에 흩날리는 식물(백양나무, 버드나무), 유독 식물은 피한다.
      • 몬스테라 델리시오사(Monstera deliciosa Liebm)、계혈등(Kadsurae Caulis)、당광나무(Ligustrum lucidum Ait)、단풍버즘나무(Platanus x acerifolia) 、풍향수 (Liquidamdar formosana Hance.)、아카시아 파르네시아( Albizia farnesiana Wild.)、녹나무( Cinnamomum camphora Ness)、벽오동나무(Sterculia platanifolia L)、닥나무( Broussonetia papyrifera Vent)、태산목 (Magnolia grandiflora L)、대만아카시아 (Acacia confusa Merr)、조각자나무(Gleditsia sinensis Lam.)、
      • 미각
      • 1. 식용이 가능한 과일이나 채소를 재배할 수 있다.
      • 2. 미각 자극 정도가 심하지 않고 수확이 용이한 식물을 선택한다.
      • 체리 (Cherry), 리치나무 (Litchi chinensis Sonn.)、소귀나무 (Myrica rubra)、동백나무(Camellia japonicaL.)、석류(Punica granatum L.)
      • <표 14> 중국 북부지역 식물 목록 李树华.《园艺疗法概论》.[B].北京:中国林业出版社,2011(05),P56.
      • 중국 북부지역 식물 목록
      • 구분
      • 효과
      • 식물 이름
      • 시각
      • 1. 식물의 외형 변화를 통해 시기와 계절을 분별할 수 있다.
      • 2.꽃이 만발하는 식물을 선택함으로써 꽃의 색깔로 시각에 자극을 준다.
      • 3. 열매를 맺는 나무를 심을 경우 계절의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열매의 생장 과정 역시 노인의 시각에 자극을 줄 수 있다.
      • 은행(Ginkgo biloba)、만주고로쇠(Acer truncatum Bunge)、산사나무(Crataegus pinnatifida)、살구나무(Prunus armeniaca)、단풍나무(Acer palmatum)、무궁화(Hibiscus syriacus Linn.)、석류(Punica granatum)、
      • 청각
      • 1. 식물 가까이 모여드는 새들의 지저귀는 소리, 벌레 우는 소리, 바람에 떨어지는 낙엽 소리, 나뭇가지 소리 등으로 청각을 자극한다.
      • 2. 꿀벌과 나비를 유인할 수 있는 식물도 고려해볼 수 있다.
      • 자등나무(Wisteria sinensis)、화살나무(Euonymus kiautschovicus)、찔레나무(Rosa multiflora)、담쟁이덩굴(Parthenocissus tricuspidata)、포도(Vitis vinifera)、금은화(Lonicera japonica)、대나무(bamboo)
      • 후각
      • 1. 친숙한 향기를 접하게 되면 과거의 경험과 추억을 떠올라 타인과의 교류 의욕을 높여준다. 향기는 간접적으로 적서를 안정시켜 사회적 교류를 촉진시킨다.
      • 2. 풍향을 고려하여 수생식물의 향기가 섞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모란(Paeonia suffruticosa)、월계화(Rosa chinensis)、자귀나무(Albizzia julibrissin Durazz)、난초(Cymbidium ssp)、 재스민(Jasminum sambac(L)Ait.)、백합(Lilium brownii var.viridulum)、국화(Dendranthema morifolium (Ramat.)Tvel)、 수선화(Narcissus tazetta L. var.chinensis Roem.)、맨드래미(Celosia cristata.)、동백나무(Camellia japonicaL.)、배롱나무(Lagerstroemia indica L.)、수련(Nymphaea L.)、연꽃(Lotus flower)
      • 촉각
      • 1. 식물의 질감, 무게, 형태, 나무껍질, 씨앗, 콩깍지 등 각기 다른 느낌을 만져봄으로 노인의 촉각을 자극한다.
      • 2. 잎 끝이 뾰족한 식물(침엽식물), 알레르기 반응을 쉽게 일으키거나 바람에 흩날리는 식물(백양나무, 버드나무), 유독 식물은 피한다.
      • 향나무(Sabina chinensis)、섬향나무(Sabina procumbens)、비술나무(Ulmus pumila)、회화나무(Sophora japonica Linn.)、자귀나무(Albizzia julibrissin)、단풍버즘나무(Platanus acerifolia)、조각자나무(Gleditsia sinensis Lam.)、
      • 미각
      • 1. 식용이 가능한 과일이나 채소를 재배할 수 있다.
      • 2. 미각 자극 정도가 심하지 않고 수확이 용이한 식물을 선택한다.
      • (무, 배추, 상추, 쑥, 브로콜리)
      • 허브, 구기자, 대추, 녹차 등은 향도 좋고 차를 우려낼 수도 있어 원예 환경에서 재배하기 좋은 식물이다.
      • ② 식용 가능한 식물 선정: 식용 식물을 노인이 직접 기르고 과실을 수확함으로써, 성취감을 얻고 과실을 이웃과 나누며 교류하며 이웃 간의 정을 쌓을 수 있다.
      • ③ 토종식물 선정: 토종식물을 선택하면 현지의 기후와 토양 조건에 적합하여 오래 살 수 있다. 또한, 노인은 토종식물이 익숙하기 때문에 익숙한 자연환경을 만들 수 있다.
      • ④ 계절적 변화가 있는 식물 선정: 계절적 변화가 있는 식물을 선정한다. 계절별로 꽃이 피는 식물을 조합해 봄에는 꽃이 피고, 여름에는 녹음이 우거지고, 가을에는 단풍이 물들고, 겨울에는 은빛으로 뒤덮이는 경관 효과를 만들어 내어 노인이 사계절의 변화를 느끼며 자연이 주는 편안함을 느끼게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실버타운에 사계절 경관과 풍부한 식물, 아름다운 환경을 갖춘 생활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 ⑤ 독성이 있거나 기타 위험성이 있는 식물 배제: 위험성이 있는 식물은 주로 독성이 있고, 가시가 있거나 강한 냄새를 풍기거나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식물을 포함한다. 만약 이미 이런 종류의 식물을 심었다면 해당 구역에는 치유 개념을 적용하지 않아야 한다. 독성이 있거나 쉽게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식물인 팔각회향, 등나무, 협죽도, 옻나무 등은 피해야 한다. 또한 모기와 벌레가 꼬이는 식물인 돈나무와 조록나무 등 역시 피해야 한다. 뿌리 부분이 밖으로 나와 있고 가시가 많은 식물인 장미, 가시가 있는 호랑가시나무, 꽃기린, 자엽일본매자 등은 줄이고, 봄철 바람에 씨가 많이 흩날리는 버드나무와 사시나무도 피해야 한다.
      • (4)지역성과 지역 맞춤형 원칙
      • 향수는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이기도 하며 매 순간 노인이 느끼는 감정이기도 하다. 사회가 빠르게 발전하며 유년기의 생활 모습과 방식도 많이 바뀌었고, 도시의 획일성 때문에 노인은 소속감을 느끼지 못한다. 따라서 실버타운의 실외 환경을 디자인할 때는 현지의 지역 특색과 문화적 요소를 잘 결합하고 현지의 자원을 활용한다. 예를 들어, 식물을 배치할 때 대부분 향토 수종을 선택하여 현지 특색을 잘 살려야 한다. 실버타운의 장소 중 자연적인 하천, 산천, 건강에 도움을 주는 효능이 있는 나무 등은 개조하지 않고, 이를 직접적으로 치유 대상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고 정교하게 개조하여 기존의 시설 내 자연이 테마정원과 조화를 이루어 경제성과 치유 효과를 실현한다.
      • (5)공간 구분 과학성과 다양성의 원칙
      • 다양성은 공간의 다양성, 색채의 다양성과 식별표지의 다양성 등 모든 부분을 포함한다. 실버타운은 반드시 다양하게 표지를 디자인하여 노인이 시설 내의 활동 공간을 더욱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면, 흥미로운 조각물이나 큰 교목 등이다. 그 밖에도 노인의 환경 공간 식별능력을 높이고 이해 방식을 돕기 위해 실버타운 내의 표지 이미지는 대비가 뚜렷한 색을 사용해 안내 효과를 높여야 한다. 노인의 시각 식별력을 강화하기 위해 시설 내의 입구마다 다양한 색을 활용하는 등 방법을 채택해야 한다<그림 27>.
      • <그림 27> 노인에 대한 다양한 지도 작용의 환경요소
      • (6)중국 전통 양생 원칙의 결합
      • 아시아의 치유과학연구는 20세기 말부터 지금까지 이루어지고 있으며 어느 정도 연구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한중일 3국의 연구 성과와 영향이 가장 광범위하다. 미래를 전망해보면, 동방 문화에 기초한 아시아 치유 개념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치유개념의 평가체계를 만들고 학제 간 연구를 종합하여, 연구 방법과 연구 내용을 다원화해야 한다. 이를 환경디자인학과 결합하여 치유 환경에서 건강한 도시를 조성하도록 적용하고 치유 개념을 보조적 치료법 체계로 발전시켜야 한다.
      • 중국 전통의학의 치유 개념과 중국 전통의학의 상호결합은 더욱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치유 개념이 적용된 전용 정원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유 개념과 중국 전통의 오행 이론을 결합하는 방식은 이미 많이 응용되고 있다.
      • 4.2 실버타운의 환경 디자인
      • ‘치유’공간은 편안하고, 안락하고,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해야 한다. 공간의 세부적인 부분은 추억을 상기시킬 수 있는 요소를 적절하게 활용하며, 특히 재료의 본질을 살려 노인을 편안하게 하여 ‘치유’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 4.2.1 환경의 세부 디자인
      • 포장 재료는 미끄럽지 않고, 평평해야 하며, 빛 반사율이 낮고 투수성이 강한 재료를 선택해야 한다. 접합 부분과 가장자리는 눈에 띄는 색상과 재질을 사용한다. 정자, 통로, 의자 등 경관 시설은 촉각을 고려해서 석재와 금속 사용을 줄이고, 최대한 목재를 사용해 노인에게 따뜻한 느낌을 주어야 한다. 액티브 시니어의 의식변화에 맞게 실버타운에 대한 요구 범위가 확장되었다. “기존의 케어와 더불어 보건의료기능, 생활보호기능, 취미여가기능, 공동생활기능 등이 가능한 복합 문화공간으로 그 요구가 전환되고 있는 추세이다.”김승인, 신한나, “고령화 사회의 신노년층을 위 한 도심형 실버타운의 서비스 디자인 연구”, 디지털 디자인학 연구, 제12권, 제2호, 2012(03),P495-504.
      • 색상은 순도가 비교적 높은 색과 중명도의 색상이 좋다. “여러 색을 배치할 때는 일정한 명도 대비를 유지하면서 선명하고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색상을 선택하여”張運吉,樸永吉.關於老年人青睞的綠地空間色彩配置的研究[J].中國園林,2009(07),P78-81.
      • 노인의 각성 수준과 공간인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공간 차원에서의 빛과 그림자 그리고 색상 조합은 ‘치유’ 환경 디자인에도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다. 빛은 만물의 근원이고, 인체 감지의 근본이기 때문에 노인의 생활은 빛, 그림자 그리고 색 없이는 불가능하다. 조명과 색채의 교차변화와 차가움과 따뜻함의 조합은 사람의 심리와 감정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 빛과 그림자의 변화는 색이 공간을 더욱 입체적으로 보이도록 할 수도 있다. 색은 건축공간에서 인간의 감지에 상당히 영향을 미친다. 색의 감각 효과로 보면, 차가운 색은 사람에게 조용하고 넓은 느낌을 주지만, 따뜻한 색은 따뜻하고 완벽하게 보호받고 있다는 느낌을 준다.
      • ‘치유’의 환경 디자인은 일반적으로 따뜻한 색을 위주로 하고, 중성적인 색과 차가운 색은 강조할 때 사용한다. ‘마음을 정화시키는 깨끗함’을 강조해야만 슬픔을 희석시킬 수 있고, 정신적, 생리적 고통을 경감시켜 마음을 진정으로 치유할 수 있다. 따라서 노인의 생리적 기능을 향상시키는 빛, 그림자, 색의 조합은 너무 차갑고 화려하고 난잡해서는 안 된다.
      • (1)도로포장 및 지형요소 분석
      • ① 도로포장 요소: 실버타운의 도로는 세 단계로 디자인할 수 있다. 첫 번째, 두 번째 도로는 휠체어 통행을 보장하기 위해 직선형이나 곡선형을 사용하고 도로 모퉁이는 직각으로 해야 한다. 세 번째 도로는 곡선형으로, 산책로 디자인에 주로 사용해야 한다. 곡선형 도로를 디자인할 때, 미관과 시선의 변화를 확보하면서 반드시 대지의 지형을 고려하여 과도하게 구불거리지 않게 하고, 호도와 회전 반경이 커야 한다. 도로 교차로에서는 노인이 쉽게 기억하고 구별하도록 눈에 띄는 상징적 경관시설을 설치해야 한다<그림 28>. 동시에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도로포장의 안정성을 높여 노인이 쉽고 정확하게 원하는 활동 장소를 찾아갈 수 있도록 하고, 무장애 디자인과 보조 행동 시설도 모두 고려해야 한다.
      • <그림 28> 도로변 소품
      • 그림 출처:http://blog.sina.com.cn/s/blog_15dff86560102xtih.html
      • 실버타운의 도로포장은 평평해야 하며, 미끄럼 방지 처리가 되어 있어야 한다. 대리석과 모자이크 등 너무 매끄러운 재질, 쉽게 부서지는 재질이나 쉽게 닳는 작은 조각의 도로 포장재의 사용을 피하여 노인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주로 활동하는 구역은 부드럽고, 탄성이 있는 자재를 사용해 노인이 넘어졌을 때도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색상을 선택할 때 도로와 포장 색깔은 주로 따뜻하고, 중성적인 느낌의 연회색을 사용하여 차분함과 안정감을 줄 수 있다. 부분적으로 따뜻한 포장재를 활용해 더욱 활기찬 분위기의 작은 광장과 작은 무대 등을 만들 수 있다. 지나치게 밝거나 칙칙하고 우울한 색상은 물론 검은색, 흰색 등 눈부심을 유발해 판단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재료 색상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도로 포장재의 질감도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판재, 편석 등 자연적인 느낌과 미세한 결이 있는 소재를 선택해야 한다.
      • 그 외에도 실버타운의 원예 활동 공간은 원예 작업 공간을 결합해 만들 수 있으며, 원예 활동 작업구역에 플랜트 박스, 작업대 사이의 포장 폭은 최소 1.4m여야 한다. 일반인과 건강한 사람이 느리게 걷고 지압할 수 있는 자갈 산책로는 폭 1m정도로 한다. 휠체어가 자유롭게 방향을 바꾸고 이동할 수 있도록 광장 내의 정원 소품, 화단, 연못 등으로 나누어진 통행 공간의 폭은 최소 2.1m이상이어야 한다.
      • ② 지형:지형과 식물을 결합한 경관을 통해 장소를 구분 짓고 공간을 둘러싸는 듯한 효과를 만들 수 있으며, 이는 노인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고 개인의 사생활이 보장 받다는 느낌을 줄 수 있다. 실버타운 내 원예 활동 공간의 도로와 포장의 입면 디자인은 배수 시설이 잘 갖춰 도로와 광장의 높낮이의 차이를 최대한 줄여 노인이 편안하게 활동할 수 있게 해야 한다. 그리고 관상 구역도 지형 <그림 29>와 같이, 연못과 작은 동산을 만들어 다양한 식물로 소기후를 조성한다.
      • <그림 29> 지형
      • 그림 출처:https://huaban.com/pins/1401622893/
      • 따라서 도로포장, 지형 요소 디자인은 반드시 주로 무장애 디자인, 안전성, 비밀성 측면을 고려해야 하며 그 다음으로는 재료 선택, 색상이 노인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 등 세부적인 부분에서 출발하여 노인의 신체적 특징과 함께 심리적 만족감 충족시켜야 맞춤형 도로포장 디자인이 가능할 수 있다.
      • (2)식물 및 수변 경관 요소 분석
      • ① 식물 요소: 실버타운은 원예 활동 공간에서 식물 재료를 선택할 때, 우선 반드시 독성이 있고, 바람에 흩날리고, 가시가 있고,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는 식물은 피해야 한다. 과일나무를 선택할 때는 오염을 일으킬 수 있는 품종은 최대한 피해야 한다. 그다음으로는 저항성이 강하고 관리가 용이한 건강한 향토식물을 선택해야 한다. 이렇게 하면 관리 비용도 줄일 수 있고, 노인이 유년 시절을 연상하며 활발하게 사고 활동을 할 수 있다. ‘적용에 관한 배치 형식은 크게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宗樺.成都市養老社區植物景觀現狀調查及應用研究[J].中國園林,2013(11),P120-123.
      • <그림 30> 李树华.《园艺疗法概论》.[B].北京:中国林业出版社,2011(05),P56.
      • 순교목식, 순관목식, 순초본식, 순일초식, 교목-초본식, 교목-관목-초본식이다.
      • a 순 교목식
      • b 순 관목식
      • c 순 초본식
      • d 교목-초본식
      • <그림 30> 식물배치방식
      • e 교목-관목-초본식
      • 원예 활동과 주변 경관 환경 조성에 사용되는 식물로는 병충해 예방, 건강 등 기능이 있는 식물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또한 소나무, 대나무, 매화, 연꽃 등과 관련된 고전문화를 활용해 흥미를 자극할 수 있는 식물로 환경을 설계한다. 또한, 식물의 질감이 너무 두껍지 않아야 하며, 침엽수종은 지나치게 빽빽하게 밀식하지 않는다. 상록 식물과 낙엽 식물의 배치에 주의해야 한다. 기능별·특징별로 결합하고 다양한 배치 형식으로 개방적이고 질서 있는 공간을 조성해야 한다.
      • 녹색식물은 인류의 ‘건강을 지키는 의사’로 사람의 정서를 안정시키고 정신적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다. 관련 연구에 따르면, 자연이 아름다운 녹색 환경은 사람의 피부 온도는 1~2°C 낮추고 호흡은 고르게 하며, 혈액순환은 느려지고, 맥박은 1분당 4~8회 감소된다. 또한, 안압을 낮추고 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색채 치료 : 식물의 색채를 감상하며 다양한 감각을 느낄 수 있다<그림 31>. 따뜻한 색을 통해서 사람은 활기와 기쁨을 느끼고, 차가운 색을 통해서 침착함과 차분함을 느낄 수 있다. 빨간색은 기쁨과 열정을 상징하고, 자주색은 낭만과 즐거움, 노란색은 자신감과 주의, 초록색은 생명과 평정심 그리고 안전을 상징한다. 디자이너는 다양한 수요에 맞춰 식물의 색채를 조합하고, 구분할 수 있다<표 15>.
      • a 단풍잎
      • 빨간색: 즐거움, 흥분, 열정
      • b 등나무
      • 자색: 평온함, 즐거움
      • c 벚나무
      • 분홍색: 따뜻함, 평온함, 즐거움
      • d 데이지
      • 주황색: 흥분, 평온함, 즐거움
      • <그림 31> 다양한 색상의 식물이 주는 다양한 느낌李树华.《园艺疗法概论》.[B].北京:中国林业出版社,2011(05),P45.
      • <표 15> 식물 색채에 따른 심리 효과李树华.《园艺疗法概论》.[B].北京:中国林业出版社,2011(05),P56.
      • 색상
      • 효과
      • 식물
      • 녹색
      • 평화, 상쾌함, 넘치는 활력, 풍만, 희망
      • 당광나무(Ligustrum lucidum), 만주곰솔(Pinus tabuliformis),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은행나무(Ginkgobiloba)등
      • 빨간색
      • 파워풀, 위엄, 애정, 아름다움
      • 붉은 장미(Rosa rugosa), 월계화(Rosa chinensis)등
      • 흰색
      • 순정, 청아함, 신성함, 고상함, 평안
      • 태산목(Magnolia grandiflora)、석암철쭉
      • (Rhododendron mucronatum)등
      • 오렌지색
      • 힘, 만족, 다짐, 승리
      • 만수국(Tagetes erecta)등
      • 노란색
      • 찬란함, 명량함, 건강,
      • 화려함
      • 물푸레나무(Osmanthus fragrans), 개나리(Jasminum nudiflorum)등
      • 푸른색
      • 냉정, 청량함, 침착,
      • 심오함, 아득함
      • 원추천인국(Rudbeckia hirta)、무궁화(Hibiscus syriacus)등
      • 자주색
      • 경건함, 쇠약함, 고요함, 신비로움
      • 자목련(Yulania liliiflora)등
      • 실버타운에 식물을 배치할 때, 색은 가장 사람의 이목을 끌며 큰 영향을 준다. 색의 역할은 다양한데, 차가운 색은 조용한 환경을, 따뜻한 색은 경쾌한 환경을 조성해주며 여러 종류의 색을 활용하여 실버타운 내에 다양한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 a. 녹색:녹색은 자연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색이며 생명을 상징한다. 사람들은 녹색을 보면 평화, 활력, 희망을 느낄 것이다. 대자연이 식물에게 준 다양한 녹색으로, 각기 다른 녹색을 지닌 식물을 함께 배치하면 아름다운 색감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식물의 꽃 색과 낙엽색은 비록 다양하지만 감상할 수 있는 시기가 비교적 짧기 때문에, 식물 경관 디자인에서 다양한 녹색을 배치하는 것은 현명한 방법이다.
      • b. 빨간색:빨간색은 모든 색 중에서 가장 눈에 띄는 색으로, 사람들은 빨간색을 강렬한 감정, 열정, 애정 및 분노와 연관 지으며 이 때문에 조용한 휴식 구역에는 빨간색을 사용하지 않는다. 밝은 빨간색과 진한 녹색을 함께 배치하면 열대 우림 속에 있는 것 같은 느낌을 주며, 차가운 계열의 색을 지닌 꽃에 빨간색을 더하면 뜨겁지 않은 따뜻한 느낌을 준다. 빨간색 계열의 식물로는 해당화, 월계화, 튤립, 칸나, 석죽, 샐비어, 목면, 단풍나무 등이 있으며 이러한 식물들은 모두 비교적 자주 볼 수 있는 것들이다.
      • c. 흰색: 흰색은 순수함과 순결을 상징하며, 평화와 신성함을 나타낸다. 흰색은 다른 색을 연하게 하는 효과가 있고 사람의 감정을 조율한다. 예를 들어 어두운 색의 꽃들 사이에 밝은 흰색 꽃을 섞어 심으면 색감이 밝아진다. 흰색 꽃을 꽃밭에 심으면, 꽃밭이 더욱 싱그럽고 생기가 있어 보이며 꽃밭의 균형 잡힌 배치에도 도움이 된다. 흰색 꽃이 피는 식물로는 백목련, 이팝나무, 정향나무, 소귀나무, 사철고베니아, 쉬땅나무 등이 있다.
      • d. 주황색: 주황색은 빨간색과 노란색이 혼합된 색으로, 경쾌하고 생기 넘치는 밝은색이며 따뜻한 계열 색 중에서 가장 따뜻한 색이다. 주황색은 금빛의 가을, 풍성한 과실을 연상하게 하며 풍족함, 즐거움 및 행복함을 상징하는 색이다. 가을의 따사로운 햇살 아래에서 다양한 명암의 주황색은 잎, 과실 및 꽃의 색까지 더욱 아름답게 보이게 하며, 만약 남색 꽃과 보라색 꽃을 함께 배치하면 색감이 더욱 부각되나, 여름철에는 햇빛이 강해 효과가 떨어진다. 주황색 꽃이 피는 정원 식물로는 금잔화, 월계화, 만수국, 백일초, 망우초, 해바라기, 밀집꽃, 헬레니움 등이 있다
      • e. 노란색: 노란색은 가장 밝은 색으로 태양의 빛을 상징하기 때문에 사람에게 빛, 따뜻함, 활력 및 경쾌함을 느끼게 한다. 자연의 약 28% 꽃이 노란색 계열이며, 이러한 노란 꽃은 사람에게 따스함을 느끼게 해준다. 실외 환경 디자인에서 밝은 노란색은 특별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나무 사이나 길가에 한 그루 혹은 여러 그루의 은행나무, 자작나무, 무환자나무, 노란 해당화 등 교목 혹은 관목을 심으면 공간의 다양함을 느낄 수 있다. 노란 꽃이 피는 정원 식물로는, 개나리, 영춘화, 금은화, 금잔화, 해바라기, 망우초, 국화 등이 있다.
      • f. 남색:남색은 하늘과 바다의 색으로 깊고, 청량하며 조용한 느낌을 준다. 남색 계열의 식물은 정원의 조용한 휴식 구역과 노인 활동 구역에 활용할 수 있다. 정원 식물 가운데 남색 꽃이 피는 식물은 많지 않으며 진한 남색은 더 적다. 꽃이 피는 시기는 대부분 여름으로 차가운 색으로 더위를 식혀줄 수 있다. 남색 꽃이 피는 정원 식물로는 히아신스, 꽃창포, 수국, 자주붓꽃 등이 있다.
      • 아로마 치료: 기원은 고대 이집트이며, 프랑스 화학자 르네 모리스 가트 포세(Rene Maurice Gattefoss)가 1928년 최초로 제시했다. 향기 치료는 의학의 보조적 치료법으로 다양한 식물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은 정신을 더욱 이완시키며, 좋은 냄새가 나는 환경은 업무 효율을 높이고, 원활한 의사소통에도 도움이 된다. 일부 아로마 식물의 건강 기능은 아래와 같다 <표 16>.
      • <표 16> 아로마 식물의 건강 기능李树华.《园艺疗法概论》.[B].北京:中国林业出版社,2011(05),P62.
      • 식물 명칭
      • 응용
      • 라벤더
      • (Lavandula angustifolia)
      • 오일을 추출하는 것 외에 꽃이나 화단으로 쓰이기도 한다. 정원과 공공 장소에서 재배되는 라벤더는 아름답고 우아하며 모기, 파리를 퇴치하는 효과가 있다.
      • 레몬밤
      • (Melissa officinalis)
      • 잎을 으깨어 방충연고, 구충제와 가구 오일을 만들 수 있다.
      • 백리향
      • (Thymus mongolicus)
      • 백리향의 신선한 가지와 잎은 날것으로 먹을 수 있다. 신선한 가지와 꽃을 잘라 꽃병에 꽂아주면 자연스럽고 향기로운 향이 난다. 백리향은 코와 목의 불편함을 개선하는 역할도 한다.
      • 로즈메리
      • (Rosmarinus officinalis)
      •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준다.
      • (Anethum graveolens)
      • 딜은 통증을 완화시키는 진정 작용을 한다. 또한 두통을 치료하고 위장을 튼튼하게 하며 입 냄새를 없애는 역할을 한다. 씨앗은 불면증, 두통, 입 냄새 및 동맥경화 예방, 모유 분비 촉진 및 딸꾹질 치료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 오레가노
      • (Origanum vulgare)
      • 오레가노는 약재와 조미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오일을 추출할 수 있으며 훌륭한 흡밀 식물이다. 활성물질이 풍부하여 채소 중 최고 함량인 밀리그램당 187.80ug의 항산화 효소를 함유하고 있어 의약, 식물성 식품, 공업용 오일 등의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 스피어민트
      • (Mentha spicata)
      • 스피어민트의 줄기와 잎에서 추출한 스피어민트 오일의 주성분은 캐러웨이와 리모넨으로 의약, 식품, 화학공업의 중요한 성분으로 주로 감기, 진통 치료에 사용되며 감기, 기침, 두통, 복부팽만감, 생리통 등에 사용된다.
      • 호로파
      • (Trigonella foenum-graecum)
      • 호로파는 진통, 오한에 도움이 되고 신장을 튼튼하게 하며 부종과 염증을 가라앉히고 벌레를 쫓아내고 진정 효과가 있어 의약, 식용 젤라틴, 화학분야 등 폭넓게 사용된다.
      • 구아바
      • (Psidium guajava)
      • 구아바는 몸을 튼튼하게 하고 위장과 미용에 도움이 되며 차로 음용하면 효과가 좋다. 또한 모기 퇴치에 효과가 있다.
      • 박하
      • (Mentha canadensis)
      • 해열에 도움이 되며 머리를 맑게 하고 진통, 마취, 소염, 방부효과가 있다. 간 기능을 촉진하고 위를 보호하며 졸음을 깨는데 도움이 된다.
      • 자소엽
      • (Perilla frutescens)
      • 풀 이름은 ‘전소(全苏)’이며,몸을 따뜻하게 해주며 마음을 다스리는데 도움이 된다.
      • 미각 치료: 미각 치료에 사용하는 과일과 채소에는 농약을 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노인이 잘못 섭취해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 다음 <표 17>은 자주 사용하고, 안전하며, 질감이 있는 식물로 시설에서 진행하는 촉각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 <표 17> 미각 치료에 자주 사용되는 식물 李树华.《园艺疗法概论》.[B].北京:中国林业出版社,2011(05),P31.
      • 식물 유형
      • 대표
      • 약용 식물
      • 갈퀴덩굴(Galium spuriumL.), 순무(Orychophragmus violaceus(Linnaeus) O.E.Schulz), 방가지똥(Sonchus oleraceusL.), 삼백초(Houttuyniacordata Thunb.)등
      • 채소
      • 부추(Allium tuberosum Rottler exSprengle), 파드득나물(Apium graveolens L.), 배추(Brassica rapa L.var.glabraRegel), 상추(Lactucasativa L.), 양배추(Brassica oleracea L.var.capitata Linnaeus), 동부(Vignaunguiculata(L.)Walp),녹후추(Zanthoxylum schinifoliumSieb.et Zucc.)등
      • 과일
      • 동과(Benincasa hispida(Thunb.)Cogn), 수세미(Luffa aegyptiaca Miller), 복숭아 (Amygdalus persicaL.), 앵두(Cerasus pseudocerasus(Lindl.)G.Don)、
      • 감귤(Citrus reticulata Blanco)、유자(Citrus maxima(Burm.)Merr.), 가지(Solanum melongena L.), 토마토(Lycopersicon esculentumMiller),
      • 비파(Eriobotryajaponica(Thunb)Lindl.), 산사(Crataegus pinnatifida Bge.)등
      • 촉각 치료: 식물마다 뿌리줄기, 가지, 잎, 열매 등의 질감이 다르기 때문에 단단하고, 부드럽고, 매끄럽고, 거칠고, 굵고, 얇은 다양한 촉감을 체험해 볼 수 있다. 촉각 치료는 의료 보건의 기능이 있고, 일부 식물은 향을 내며 휘발성 물질을 발산하는 데 식물을 만지면 인체에 침투하여 몸을 건강하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자른 알로에와 자소엽을 만지면 붓기를 제거할 수 있다. 다만 만질 수 있는 식물을 고를 때 리치, 협죽도, 독미나리 등 독성이 있거나 뾰족하고 단단한 식물은 피해야 한다.
      • 다음 표는 자주 사용하고, 안전하며, 질감이 있는 식물이며, 시설에서 진행하는 촉각 치료에 적합한 식물이다<표 18>.
      • <표 18> 촉각 치료에 자주 사용되는 식물 李树华.《园艺疗法概论》.[B].北京:中国林业出版社,2011(05),P31.
      • 질감
      • 대표 식물
      • 보송보송한 질감
      • 실버라벤더(LavandulaangustifoliaMill), 백묘국(SeneciocinerariaDC.), 바위취
      • (Saxifraga stolonifera Curt.)등
      • 육질성
      • 질감
      • 알로에(Aloevera)
      • 리돕스(Lithopspseudotruncatella(A.Berger)N.E.Br.subsp.archerae(H.W.
      • de Boer)D.TCole)、산세비에리아(Sansevieria trifasciata Prain)등
      • 매끄러운 질감
      • 쥐똥나무(Ligustrum quihoui Carr.), 패랭이꽃(Dianthus chinensisL.), 수양버들(Salix babylonica L.), 자귀나무(AlbiziajulibrissinDurazz.), 함수초(MimosapudicaL.)등
      • 중간 질감
      • 작약(PaeonialactifloraPall), 반혼초(Rudbeckialaciniata L.)등
      • 거친 질감
      • 몬스테라(Monstera deliciosaLiebm.), 오동나무(Firmianasimplex(Linnaeus)WWight), 해바라기(Helianthusannuus L), 연꽃(Nelumbonucifera Gaertn.)등
      • 청각치료: 일종의 자극을 느끼는 체험이며 오감 요법중 하나이다. 청각 신경에서 소리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뇌로 전달하며 귀는 그 자극에 반응하여 소리가 들린다. 사람은 벌레소리, 새소리, 물소리, 바람이 나뭇잎을 지나가는 소리와 같이 자연의 소리 요소에서 편안하고 고요한 환경을 체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나무 숲, 파초 숲 등 구역에서 대나무 숲에 바람이 불고, 파초 잎에 비가 떨어지는 자연 특유의 소리로 다양한 수요를 가진 사람들에게 적합한 청각치료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 식물재배 치료: “치유 개념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참여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노인은 경운, 재배, 수확 등 활동을 통해서 신체를 단련하고, 근육 건강을 회복하고 건강한 수면을 하는 등 신체적인 치료를 할 수 있으며, 교류를 촉진하고, 책임감을 높이고, 자신감을 갖는 등 심리적 치료도 가능해 건강한 회복에 긍정적인 의미가 있다.” Arian Mosteadi.老年人居住建筑[M].机械工业出版社,2008(07),P64.
      • ② 수변 경관 요소
      • 실버타운의 수변경관은 넓은 면적이 필요하지 않다. 주변의 수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수변경관을 조성해야 하며, 이미 시설 내에 물이 충분하다면 원예 활동의 수요에 따라 수변을 조성할 수 있으나, 대형 인공 시설은 적절하지 않다.
      • <그림 32> 고인 물/흐르는 물
      • 그림 출처: http://www.4123.info/scb/image/2062145614/
      • 수변경관 형태는 반드시 고인 물과 흐르는 물이 결합되어야 한다<그림 32>, <그림 33>. 고인 물은 일반적으로 작은 웅덩이 형태이며, 흐르는 물은 분수, 작은 개울 등의 형태이다. 고인 물은 소리가 거의 들리지 않고 수면에 그림자가 형성되어 평온한 느낌을 준다. 반면 흐르는 물은 음향 효과를 만들어 청각의 자극을 주고, 시각적으로는 역동성을 더해 자유와 활력을
      • <그림 33> 흐르는 물
      • 그림 출처: https://www.sohu.com/a/246643005_748577
      • 느끼게 한다.
      • 휴식 공간에서 고인 물 형태의 수변 경관을 활용하면 노인의 마음을 위로할 수 있다. 감각을 자극할 수 있는 공간에 흐르는 물 형태의 수변 경관을 일부 활용하면 청각적으로 자극을 주면서도, 힘을 북돋아줄 수 있다.
      • 노인은 시력과 청력이 감퇴되기 때문에 후각의 자극이 매우 중요하다. 수생식물의 진흙 냄새 등은 후각적으로 자극을 줄 수 있다. 수생 식물 플랜팅 베드(planting bed)는 원예 활동과 결합하면 기능적이면서도 관상적 가치가 높다. 하지만 물이 고여 악취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플랜팅 베드 관리와 유지 보수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또한, 노인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플랜팅 베드의 깊이도 고려해야 한다. 손으로 물을 만지면 노인의 감각기관에 직접적인 촉각 자극을 줄 수 있으며 동시에 노인이 경관 조성에 참여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어 긍정적인 기운을 북돋는데 도움이 된다.
      • 물은 생명의 활력을 상징하며, 사람에게 편안하고 즐거운 느낌을 줄 수 있고, 수변경관은 환경의 습도와 온도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정원에서 물은 점, 선, 면의 기본 형태에 따라 조합되며, 자연식·기하식·조합식 등 형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주변 경관의 예술적 처리 방법은 더욱 다양하다. 실버타운의 경관디자인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부분을 더욱 중시해야 한다.
      • a. 수면 크기: 시설 내 장소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물가를 따라 벤치를 설치하면, 수역의 면적을 더 커 보이게 하는 시각적인 효과를 낼 수 있다. 넓은 수면으로 사람의 시야를 넓히고, 심적으로 안정시키며, 몸을 편안하게 만들어 잡념에서 벗어나고 부정적인 생각을 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일부 환자와 장년층·노년층은 넓은 수면을 보면서 부정적인 감정과 걱정되는 마음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동적·정적 요소를 결합하는 방법으로 치유 환경의 형식을 더욱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 노인 유동량이 높은 곳에는 정적인 수변 경관을 만들어야 하며, 각종 소음이 뒤섞인 시끄러운 환경을 조성해서는 안 되며, 이는 자원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노인 유동량이 낮은 곳에는 동적인 수변 경관을 만들어 주변의 풍부한 치유 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한다. 이러한 경관은 쉽게 명상을 할 수 있게 하고, 물방울이 공기 분자와 충돌하여 많은 양의 음이온을 발생시켜 상쾌한 기분을 느낄 수 있게 하여 감상하는 사람이 신체적, 심리적으로 모두 치유될 수 있다.
      • b. 친수성과 상호 작용성:물은 가능한 한 주변 환경과 연결되어 노인의 행동 범위를 넓히고, 사람과 경관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욕구를 불러일으키며, 다양한 오감 활용을 가능하게 하고 기억력을 향상시킨다. 장애인, 정신 질환자, 시각 장애인 등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위해서 다양한 높이의 연못을 디자인한다. 폭포와 부조 대리석 분수를 만들어 쉽게 물을 접할 수 있게 하여 정신적으로 이완되고 자연과 가까워지고 심신을 편안하게 하는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c. 차음:실외 환경에서 물소리는 시적인 정취를 전달한다. 듣기 좋은 물소리는 청각적으로 아름답게 느껴지고, 시적 의미를 불러일으키는 매개체로 사람이 끊임없이 사색할 수 있도록 한다. 물소리마다 주는 느낌이 다르기 때문에, 물소리에 따라 공간의 느낌이 달라질 수 있다. 시각이 손상된 환자 또는 청력 장애가 있는 노인은 물소리를 통해 더 가까이에서 자연을 느낄 수 있다.
      • d. 수면 빛 반사:수면은 사람과 환경을 반사할 수 있어 공간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고, 시야를 편안하게 만들어 깊이 생각하고 명상하는 데 도움이 되며 흥미를 느끼게 해준다. 하지만 빛을 반사하는 자재는 부분적으로만 사용하고 도로와 직사광선이 내리쬐는 곳에는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즉 태양의 직사광선이 수면에 닿아 노인과 시각 장애인들의 눈에 자극을 주지 않도록 해야 한다. 노인이 오래 머무는 의자 옆에는 되도록 수관이 넓은 식물을 심거나 파라솔을 설치해야 한다. 화상 혹은 기타 원인으로 안면이 손상된 환자의 경우 빛을 반사하는 자재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피부 및 심리적 측면의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 (3)경관소품 및 여가〮헬스 시설 분석
      • ① 경관소품: 경관 소품은 일반적으로 화분대, 조각품, 벤치, 쓰레기통, 조명 기구, 스피커, 표지 체계 등이 포함된다. 첫 번째로 실용성을 고려해야 하고, 그다음은 관상성을 고려해야 한다<그림 34>. 자재를 선택할 때는 금속 재질의 자재나 단단하고 날카로운 자재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최대한 친환경 자재를 사용해야 한다. 실버타운에서는 다음과 같은 5가지 경관 시설 또는 소품 디자인에 주의해야 한다.
      • <그림 34> 화단 배치도
      • 그림 출처: http://www.zhuoyilin.com/84/820.html
      • a. 화단과 화분대:시설 내의 원예 작업 공간에서 파종, 재배 구역에는 반드시 높이가 다른 화단이 있어야 개인의 키에 맞춰서 작업을 할 수 있다. 그 외에 높이 1m 정도에 행잉 플랜트 화분을 설치해 휠체어를 탄 노인과 의자에 앉은 노인이 더욱 편안하게 원예 재배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화분대를 설치하여 높낮이를 조절해 누구나 식물을 만질 수 있도록 한다.
      • b. 조각물:조각물은 실외 환경디자인에서 환경의 문화적 분위기와 역사적 기억을 표현하는 요소로 많이 사용된다. 조각물 디자인은 총 2가지로, 추상적인 디자인과 구상적인 디자인이 있다. 일부 추상적인 조각물 작품을 사용할 때는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다. 불안장애가 있거나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노인들에게 공포와 긴장감을 주지 않기 위해 선, 색, 형식이 과장되거나 복잡하지 않아야 한다. 조각물 유형과 위치 선택을 할 때는 신중해야 한다. 어느 정도 역사적·문화적 요소가 포함된 조각물이 환경의 정취를 보완해서 사람들의 추억을 떠올리게 할 수 있다.
      • c. 휴식용 벤치:휴식용 벤치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공공·개방 장소, 건물 출입구 및 산책로 근처에 설치한다. 또한, 여름에는 햇볕이 강하게 내리쬐는 곳과 겨울에는 그늘지고 바람이 많이 부는 장소에는 벤치를 배치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벤치의 형식은 'L'자형<그림 35>과 'U'자형의 벤치를 설치해 노인들이 함께 모여 쉽게 교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화단이나 복도 등에도 설치하여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자재는 대부분 내마모성과 촉감이 좋은 플라스틱이나 목재를 사용한다. 석재 사용 시에도 매끄러운 소재를 사용하고 모서리를 절각하거나 둥글게 처리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시설 내의 노인 친화적 디자인을 위해, 벤치도 헬스 기구와 결합하여 노인들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 <그림 35> “L”자형 의자
      • 그림 출처: https://huaban.com/pins/2125371249/
      • d. 조명기구 및 스피커: 실버타운 내 조명 기구는 반드시 정원 조명과 잔디 조명 위주여야 하며, 바닥 조명과 투광 조명은 보조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조명 기둥의 높이와 조명의 밝기에 따라 조명 간격을 조절하고, 야간에도 노인이 활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정원 조명의 전구는 노란빛이 도는 고압 나트륨램프를 사용하고, 잔디 조명은 유백색 빛을 내는 LED 조명을 사용해 부드러운 조명 효과를 내어 노인이 느끼기에 너무 밝거나 눈부시지 않도록 해야 한다.
      • 소리는 오디오를 사용하여 새소리, 잔잔한 물소리, 부드러운 음악 등을 재생하여 자연스럽고 조화로운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 e. 표지 체계: 표지 시설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입구에 시설의 기능과 위치를 표시한 전체 평면도를 배치한다. 둘째, 노인에게 방향을 알려주는 시설 안내도이다. 셋째, “표지에 대한 설명으로 경관 시설의 표지판과 식물에 대한 일반적인 표지판을 포함한다.” 賈麗璿.基於園藝療法角度的老年福利院景觀設計研究[D].四川農業大學,2016(04),P55.
      • 표지판은 주로 특색 있는 경관에 대해 설명하여 경관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 식물 표지판에는 식물의 명칭, 생장습성과 용도 등 정보를 담는다. 이를 통해 ‘우연히’교류할 수 있는 화제를 만들어 낼 수 있고, 식물의 약용 가치를 이해하고 위험성 여부를 구별할 수 있게 돕는다.
      • 표지판은 사람들이 쉽게 보고 지나갈 수 있는 곳에 설치하고, 건물이나 나무 등에 가려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표지판의 재질은 반드시 난반사 처리를 하여, 반사광선으로 인한 눈부심 자극을 최대한 피해야 한다. 문화 차이에 대한 노인의 이해를 돕기 위해, 디자인 시 적절한 크기의 컬러 블록을 적용해 표지 도면의 식별 수준을 향상시켜야 한다. 특히 노인은 정형화된 텍스트보다 눈에 잘 들어오는 이미지를 쉽게 식별할 수 있다.
      • 다양한 디자인 요소와 방법을 동원해 시각적 자극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술적 요소 혹은 스토리텔링 요소를 추가해 노인들이 아름다운 것에 자극을 받고, 연상적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그림 36>.
      • 감퇴한 노인과 장애인을 배려해, 표지판에 한자와 점자, 양각 문양 등 형식을 최대한 활용하고, 필요 시 음성 기기를 설치해 보조 안내를 할 수 있다.
      • <그림 36> 표지
      • 그림 출처: https://www.photophoto.cn/pic/22729047.html
      • ② 여가·헬스 시설: 여가·헬스 시설은 자체의 목적성과 특수성으로 인해 비교적 강한 재활효과가 있다. 주로 신체 단련 공간에 집중되어 있지만, 노인의 신체적 수준, 운동 습관과 강도에 부합되도록 고려해야 하며, 주변 환경과 시설 자체의 안전성을 보장해야 한다. 주변에 휴식 시설을 마련해 노인들이 운동을 하면서 휴식을 취하고 교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4)방풍·방우·차양 시설
      • 중국 남부지역의 경우 여름은 햇빛이 비교적 강렬하고 장마철이 비교적 길어 비가 많이 내리는 편이다. 이런 지역별 기후를 고려해 실버타운 내에 반드시 바람과 비를 피하고, 햇빛을 가릴 수 있는 시설을 마련하여 실외 활동이 날씨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 치유를 돕는 시설을 다양한 휴식 쉼터와 활동 구역 근처에 조성하여, 노인이 바람과 비 등을 피해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색상은 전체적인 치유 경관과 조화를 이루어야 하며 형태는 흥미를 유발할 수 있어야 하고 어느 정도 관상성을 갖춰야 한다. 노인이 급격한 날씨 변화로 실내로 진입할 때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출입구에는 계단을 설치해서는 안 된다.
      • 4.2.2 환경 분위기 조성 디자인
      • 수용 능력이 높지 않은 노인들은 낯선 실버타운의 환경을 인지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고 어려워한다. 이 과정에서 쉽게 외롭고 불안해할 수 있으며, 생리 및 신체적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하면 노인의 소속감을 더욱 크게 강화시킬 수 있다. 거주환경의 질, 시설 문화 조성 및 대인관계 유지를 최적화하여 노인의 소속감을 높여야 한다.
      • 현재 노인의 나이에 근거해보면, 노인은 모두 격변의 시대를 겪었기 때문에 역사적 변화가 담긴 문화와 사물 등의 환경정보를 친숙하게 느껴 더욱 쉽게 공감할 수 있고, 소속감을 형성할 수 있다. 노인이 쉽게 공감할 수 있는 것은. (1)시대의 숨결이 담긴 사물과 부호다. 오래된 강철, 목재, 청벽돌 등 재질은 시대감과 세월의 흔적을 담고 있다. (2)지역 특색이 있는 문화 요소이다. 지역만의 문화를 시설 건축물에 녹여 노인이 지역 정체성을 갖게 할 수 있다. (3)익숙한 느낌의 생활환경이다. 따라서 사용 기능을 만족시킨다는 전제하에, 색·자재·문화적 요소와 공간 형식 등을 통해 특정한 공간의 분위기를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노인이 낯선 환경요소를 더욱 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돕고 노인의 감정과 정신이 귀속되는 매개체가 된다.
      • 4.2.3 개인 공간영역의 조성 디자인
      • “다양한 공간 유형에 따라, 완전 개방형 공간, 일부 개방형 공간, 사적 공간으로 나눌 수 있다. 실외 공간의 크기는 실내 공간 기준의 8~10배이다.” 蘆原義信.外部空間設計[M].南京.江蘇鳳凰文藝出版社,2017(07),P48.
      • 즉, 실외 공간 기준과 실내 공간 기준은 10:1일 때, 쾌적하다고 느낀다. 또한 “완전 개방형 공간에서는 장소와 주변 식물 및 건축물의 높이와 폭을 1:1~1:3 사이로 제한하고, 비교적 큰 활동 장소는 반드시 크기가 적당한 작은 공간으로 나누고, 쾌적하고 익숙한 분위기로 조성해야 한다.”馬航,祝侃,李婧雯,楊彪.老年人視覺退化特征下居住區步行空間的適老化研究[J].規劃師,2019(04),P35.
      • (1) 공용 공간
      • 노인의 주요 실외활동은 대부분 공용 공간에서 이루어진다. 광장과 같은 완전 개방형 공간은 거주 구역에서 노인의 활동이 가장 집중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구역이다. 각 공간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거주 구역 내 도로는 노인이 서로 소통하고 만날 수 있도록 하는 다리 역할을 한다. 또한 입구 등과 같이 사생활 보호 영역과 공용 영역이 완벽하게 구분되어 있지 않은 공용 구역은 이웃 간의 특별한 교류 공간이 된다. 자연적 특성이 가득한 녹지공간은 노인이 자연을 가까이서 접할 수 있는 장소가 된다. 평소에 자주 접하며 생긴 장소 경험과 식별 용이성 그리고 장소에 대한 인식으로 공용 공간에 속하는 장소에 대한 느낌이 점차 형성된다. 이때의 공용 공간은 일반적인 공간일 뿐만 아니라 일정한 생활의 정신적, 감정적, 의미가 담긴 구체적인 환경이다.
      • (2) 일부 개방형 공간
      • 일부 개방형 공간은 노인이 일상에서 감상, 휴식과 여가를 하는 주요 활동 공간이다. 방해를 받지 않는 개인적 공간을 만들 수 있고, 공용 공간을 적당히 접하며 공적 정보를 얻을 수도 있어야 한다. 정원 공간은 가장 대표적인 일부 개방형 공간이다. 일부 개방형 공간은 조용한 활동이 주로 이루어지고, 시설과 식생은 소기후 환경을 더욱 쾌적하게 만든다. 여름에는 상대적으로 시원하고, 겨울에는 상대적으로 따뜻한 쾌적한 공간은 노인들이 선호하여 장시간 머물고 사용하기 때문에 일부 개방형 공간은 자주 변화를 주고, 아름답게 만들어야 노인이 심신의 즐거움과 기쁨을 느낄 수 있다.
      • 4.2.4 공간의 계획 및 배치 디자인
      • 실버타운의 공간 계획과 배치는 통제성이 있고 선택하기 쉬운 다중 환경을 만드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 노인은 실외 환경에서 양호한 공간 지각 능력이 있기 때문에 실버타운은 식별 용이성을 갖추어야 한다. 노인이 익숙한 환경에서 낯선 환경으로 진입할 때는 ‘점-선-면’의 인지 단계를 거쳐야 한다. ‘점’은 노인이 먼저 식별하고 기억하는 점경수(點景樹), 조각물 등 표지물이나 정원, 광장 등 공간이며, ‘선’은 노인이 그다음으로 기억하는 표지물이나 공간을 연결하는 도로이고, ‘면’은 표지물, 공간, 도로를 하나로 모은 일부 공간이며, 마지막으로 환경요소와 결합하여 시설의 전체 환경을 인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노인의 ‘점-선-면’에 대한 환경 인지를 돕기 위해서 뚜렷한 특징이 있는 길을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시설의 각 요소가 통일된 전반적인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 (1) 기능 구분
      • 실버타운에는 다양한 기능성 공간이 있으며, 건축 공간을 제외한 실외 환경 공간은 노인이 활동하는 가장 중요한 구역이다. 다양한 공간 형식은 공간 인지 능력이 저하된 노인에게 상당히 복잡하게 느껴진다. 따라서 뚜렷한 주제적 요소가 있는 공간을 노인이 더 쉽게 받아들이고, 공통의 공간 기억이 생겨 공간을 인지하기가 쉽다.
      • (2) 교통흐름
      • 원활한 교통흐름은 공간 인지의 두 번째 단계이며, 시설 내 각 기능 공간을 잘 연결하고, 길을 통해서 표지물을 하나로 연결하여 시설 환경 공간의 인지 과정을 최종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다. 따라서 시설 교통흐름의 연결성과 접근 가능성은 공간 인지에 있어 필수적이다.
      • (3) 표지체계 디자인
      • 표지체계는 주로 지시표지와 경고표지가 있다. 공간 인지 과정 중, 표지물의 경로를 고려하는 것 이외에도 디자인 시 노인의 보행길, 길 입구 등에 노인이 인지할 수 있도록 일부 지시표지를 만들어 노인이 길을 잘못 들거나 방향을 잃지 않도록 하고, 환경의 편리함과 안전성을 높여야 한다.
      • 4.2.5 환경의 다원화 디자인
      • 실버타운에 다원적, 세부적 설계요소가 포함된다면 시설 전체 건설에 활력과 신선한 요소를 더할 수 있다. 그리고 환경 시설, 원예 활동 장소 다중식물 작업 장소의 조성을 통해 많은 사람이 원예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노인이 풍부하고 다채로운 원예 활동에 참여하도록 격려해야 함으로써 시설 활동을 활성화시켜 시설 전체의 환경 수준을 향상시켜야 한다.
      • 치유개념에 기반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은 노인의 특수한 수요를 충분히 고려하여 식물과 기타 자재 선택에 매우 신경 써야 하고, 전체 시설이 인성화와 건강화의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이끌어야 한다.
      • 4.3 치유 개념이 적용된 활동 공간 분석
      • 4.3.1 교류 활동 공간
      • (1) 교류 활동 공간 분석
      • 인간은 집단생활을 하므로 일단 사회와 집단에서 멀어지면, 심리적으로 건강하지 못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많은 여가 시간을 이용해 좋은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고 이는 심신의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 노인의 교류활동은 <그림 37>, <그림 38>과 같이 참여 활동과 관람 활동으로 나눌 수 있다.  
      • <그림 37>참여 활동            <그림 38>관람 활동
      • <그림 37>출처: https://www.sohu.com/a/148163378_761558
      • <그림 38>출처: http://tech.sina.com.cn/digi/dc/2013-07-16/02302768688.shtml
      • 교류 활동 공간에서 치유 개념이 적용된 환경은 다음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 첫째, 원예 작업은 노인 간의 상호 교류와 협력이 필요하다. 원예 활동 경험이 있는 노인이 타인을 지도하면서 사람 간의 소통을 촉진시킬 수 있다. 둘째, 원예 재료를 다루면서도 서로 교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꽃꽂이, 압화, 채소 요리하기, 과일 따기 등 활동을 통해 참여하는 사람과 관람하는 사람 모두 어느 정도 교류할 수 있다. 일반적인 실버타운의 실외공간은 독립된 공간이 아니며, 다른 경관 공간과 분명하게 분리되어 있지 않다. 일부 노인은 새장 들고 산책하기, 강아지와 산책하기, 권법 연마하기, 낚시하기를 좋아하기 때문에 산책 구역, 수변 구역, 신체 단련 구역은 노인들이 교류를 할 수 있는 공간이다. 그래서 이런 공간의 디자인은 비교적 유연해야 하며 원예 작업 구역과 신체 단련 광장 등을 결합하여 디자인할 수 있다.
      • (2) 감상 및 휴식 공간
      • 노인의 66%는 식물이 많은 곳에서 활동하는 것을 좋아하고, 노인의 56%는 호수와 물이 있는 곳에서 활동하는 것을 좋아하며, 노인의 74%는 햇볕이 잘 드는 잔디밭에서 활동하는 것을 선호한다<그림 39>. 이 구역에는 식물 배치를 통해 다양한 활동 공간을 구성해야 한다. 식물의 조합, 평면과 입면의 구도, 색과 계절의 조합, 물과 지형 그리고 건축 소품으로 정취가 있는 감상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 (3) 보행·휴식 공간
      • 보행 및 휴식공간은 노인이 잠시 멈춰 주변 환경을 감상하고, 산책하며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며, 도로와 포장된 길이 주를 이룬다<그림 40>. 현재의 통행 공간 사이의 폭과 부적합한 경사도, 울퉁불퉁한 지면 등 문제가 존재하므로 공간을 설계할 때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 통행로를 조성할 때는 반드시 일정한 간격으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구역을 만들고, 높낮이 차이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단순하게 해야 한다.
      • <그림 39> 햇볕이 드는 잔디밭
      • 그림 출처:
      • https//www.ivsky.com/tupian/laoren_huwai_caodi_xiuxian_yundong_v8672/pic_255885.html
      • <그림 40> 보행 공간
      • 그림 출처: https://www.vcg.com/creative/802981876?utm_source=360&utm_medium=imagesearch
      • 원예 활동 구역에서도 작업대 사이 통행 공간의 폭을 설정할 때는 최소한 끌차와 휠체어가 지나갈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이 필요하며, 잠시 세워둘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이나 양방향으로 통행이 가능한 정도라면 더욱 좋다. 주요 도로 역시 양방향 통행이 가능한 정도의 폭이어야 하며, 특히 통행 공간에는 장애물이 없어야 하며, 노면이 평평하고, 미끄럼 방지 처리가 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경사가 완만해야 노인에게 적합한 보행 공간을 조성할 수 있다.
      • <그림 41> 신체 단련 장소
      • 그림 출처: https://m.sohu.com/n/542669577/?mv=3&partner=baidu
      • 4.3.2 건강 및 재활을 위한 공간
      • (1) 신체 단련 공간
      • 신체 단련은 노인의 일상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일부 노인은 권법을 연마하는 운동습관이 있으며, 일부 노인은 운동기구가 있는 광장을 좋아하기 때문에 실버타운에 신체를 단련할 수 있는 장소를 만들어야 한다<그림 41>. 일반적으로 신체 단련을 할 수 있는 광장 중앙이나 주변에 관련 소품, 조각물 등 눈에 띄는 상징적인 경관을 조성해 노인들이 신체 단련을 하면서도 여가와 오락을 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신체 단련 공간 환경의 식물을 선택할 때 식물의 건강 효능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면, 중국의 북부지역에서는 은행나무, 박하, 가죽나무를 주로 사용한다. 또 수관이 비교적 큰 식물을 사용해 여름에 자연 그늘을 만들고, 의자를 설치해 노인들이 신체를 단련한 후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결론은 신체단련 공간을 디자인할 때 노인들의 신체적, 심리적 수요를 고려해 심신을 단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2) 재활 공간
      • 재활 공간은 원예 활동 공간과 오감정원으로 분류된다. 원예 작업 및 활동 공간은 다음과 같은 구체적 조건을 갖춰야 한다. 그늘과 가려진 휴식 공간이 필요하며, 원예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갖추는 것이 좋다. 오감정원을 설계할 때는 식물의 배치로 오감을 자극하는 것 외에도 수경 요소를 도입하여 참여자에게 더 다양한 감각을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중국의 북부 지역에서는 기후의 영향 때문에 반드시 실내 원예 활동 구역과 작업 구역 시공을 고려하여 사계절 내내 원예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정원 산책로는 연결성과 방향성이 있어야 하며 명확한 경계가 있어야 한다.
      • 재활 공간은 텃밭<그림 42>, 정원, 분재원, 과수원, 원예 공방과 감각기관 정원<그림 43>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원예 작업 환경은 노인의 신경계 기능을 조절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어느 정도 면역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 <그림 42> 텃밭             <그림 43> 감상 정원
      • <그림 42>그림 출처: https://stock.tuchong.com/image/detail?imageId=918379611275919374
      • <그림 43>그림 출처: https://www.nipic.com/show/5363168.html
      • 4.3.3 실외 지리적 환경 전략 분석
      • 중국 대부분의 장수촌은 구릉과 산지에 있고, 이를 통해 이 지역이 인간이 생존하기에 적합한 지역임을 알 수 있다. 환경이 우수한 실버타운은 모두 산과 가깝거나 산 중턱에 위치해 있었다. 중국의 남부지역은 북부지역보다 산이 많고 물이 풍부하다. “이런 지리적 특성은 남부에 실버타운을 조성하는 데 있어 좀 더 유리하다.”黃義雄,查軒.福建植物生物多樣性的特點及其生物安全問題[J].生態學雜志,2003,(06):85-90.
      • (1) 실외 식물 활용 전략
      • 녹화는 실버타운의 환경 디자인 치유 개념을 구현하는 핵심이다. 환경을 아름답게 하고, 노인의 오감을 자극하여 치유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원예 치유 환경의 기타 요소와 결합하여 노인의 심신 건강을 함께 촉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대기 질 정화, 시설의 소기후 조절, 여가 활동 공간 제공 등이 있다. 또한, 화재예방 및 대피, 질병 치료의 기능이 있다. 동백나무, 은행나무 등 식물은 화재 예방을 할 수 있고, 약용 가치도 있다. 풍부한 녹화 경관은 노인에게 좋은 생활환경을 제공하고, 시설 내 노인의 의욕을 높일 수 있고, 교류를 촉진시킨다.
      • (2) 실외 소리 조절 및 통제
      • 실외 소리는 실버타운 내에서 들을 수 있는 모든 소리를 말한다. 실외 소리는 구역 환경의 중요한 구성 부분으로, 사용자의 환경 경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시설 내의 소리는 반드시 긍정적, 부정적으로 구분하여 제어해야 한다. 긍정적 제어는 노인의 심신 건강에 유익한 소리를 보존·활용하며, 심신 치유에 도움이 되는 새로운 소리를 추가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지형을 통해 흐르는 물의 낙차를 이용한 물소리를 만들고, 시설 내 나무에 새 둥지를 놓아 새를 유인함으로써 새소리를 더하고, 시설 내 스피커를 설치해 특정 시간에 편안한 음악을 틀어놓음으로써 노인들을 더욱 즐겁게 할 수 있다. 반대로 부정적 제어는 불필요하고, 노인을 불편하게 만드는 소리를 제거해야 한다. 식물과 지형을 활용해 시설 외부의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그림 44 참고>.
      • <그림 44>식물의 소음 차단 효과
      • 그림 출처: http://www.serengeseba.com/
      • 노인은 실버타운의 교통의 편의성을 주요 고려요소로 꼽았다. 그러므로 실버타운을 조성할 때는 반드시 지리적 위치를 고려해야 하며, 미국 실버타운의 사례와 같이 도시와 가까운 곳에 건설해야 한다. 상대적으로 조용한 생활환경과 편리한 교통 환경을 갖추면 노인의 심신 치유를 촉진시킬 수 있다.
      • 노인은 면역력이 떨어지고 조용하고 쾌적한 장소를 선호하며 환경에 민감하기 때문에 우수한 환경조건은 노인의 심신 건강에 매우 중요하며, 특히 식물, 공기, 소음 등은 흔하지만 영향을 받기 쉬운 기본적인 자연조건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실버타운은 산천, 언덕 등이 있는 지역에 건설하는 것이 적합하다.
      • 4.4 치유 개념이 적용된 실버타운 서비스 환경 모델의 구축
      • 실버타운을 조성할 때는 항상 ‘노인 편의’를 최우선 목표로 삼고, 이를 노인 생활 전반에 관철시켜야 한다. 시설에 무장애 디자인을 적용하는 동시에 현대 과학기술 수단을 충분히 활용하여 노인이 스마트한 시설 운영 모델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시설 내에서 노인의 다양한 수요에 맞춰 특수한 디자인을 하여 ‘노인 중심’을 실현해야 한다. 그 외에도 다양한 문화 레저 활동과 개선된 의료보장체계도 실버타운의 서비스 환경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부분이다. 다양한 동호회를 개설하고 노인대학을 설립하는 것은 노인의 일상생활을 풍요롭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
      • 4.4.1 치유 개념이 적용된 실버타운의 조성
      • 경치를 보고 감정을 느낀다는 것은 눈앞의 경치를 보고 연상하고, 어떤 감정이 생긴다는 것을 뜻한다. 이처럼 실버타운 내 실외 환경을 조성할 때는 반드시 식물의 문화적 의미를 먼저 고려하고, 현지 특색이 있는 식물 유형을 선정한다. 이런 요소들은 노인에게 익숙함을 느끼게 하여 낯선 환경의 생소함을 감소시켜야 한다. 예를 들어 시설 안에 매화, 난초, 대나무, 국화 분재를 놓아두면 노인들은 ‘사군자’를 주제로 시를 낭송할 수 있고, ‘사군자’의 청아하고 담백한 기품도 느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사군자’분재는 노인이 교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주고, 타인과의 거리를 좁혀 새로운 친구를 사귈 수 있게 하며 은연중에 노인의 마음속 빈자리도 메울 수 있다.
      • 사람마다 다양한 성장 환경으로 인하여 생활 습관과 문화적 신념이 다르다. 실버타운은 식물로 문화 경관 환경을 조성하는 것 이외에도, 다양한 시설의 문화 동호회를 만들어 같은 문화를 공유하는 노인을 위해 소통의 장을 제공하고, 독특한 대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교류하며 심리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문화적 소속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4.4.2 노인복지 시설 정신적 환경 모델의 구축 해석
      • ‘낙엽귀근(落葉歸根, 사물은 근원으로 돌아간다는 뜻)’은 모든 사람이 느끼는 삶에 대한 감정이다. 노년기에 접어들면 물질적인 삶에 대한 갈망보다 정신적 삶에 대한 갈망이 더 크다. 결국 자신이 자라온 문화에 대한 향수와 애틋함인 것이다. 실버타운의 정신적 환경을 조성할 때, 반드시 현지 특색이 있는 식물과 문화적 의미가 있는 식물을 결합하여 문화적 함의가 있는 경관 환경 소품을 만들고, 실외의 문화적 분위기와 특색 있는 시설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 시설은 외부 정신적 환경 조성을 중시함과 동시에 사람 간의 차이도 존중하고 다양한 유형의 동호회를 만들어 노인이 독특한 대인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시설 내부의 정신적 환경의 질을 향상시켜야 한다.
      • 4.4.3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 체계 해석
      • 중국은 고령화에 대응하여 노인 양로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1년 사회 노인양로 서비스 체계 구축 계획(2011~2015)을 발표했다. 이는 중국이 건국 이후 처음으로 사회 노인 양로 서비스 구축을 특별 계획 범위에 포함시킨 것이며, 사회 노인양로 서비스 수준을 국가 경제 및 사회 전반에 영향을 줄 정도로 향상시켰다. 실버타운 계획은 반드시 중국 사회 노인 양로 서비스 체계의 지도 사상, 기본 함의, 기본 원칙, 기능 설정, 보장 조치, 구체적 구축 임무 등에 근거해 진행되어야 한다.
      • (1) 전체적인 방향성
      • 실버타운의 치유 환경 디자인 계획 체계는 반드시 사회 및 경제 발전 수준과 비슷해야 하며, 노인의 복지 수요 만족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 시설 내 모든 노인을 대상으로 치유 개념을 적용시켜 노인이 편안한 노년을 보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실버타운 조성 계획은 반드시 이론에서 적용에 이르기까지 치유 환경의 요소와 정신적 치유를 결합해야 한다. 또한, 장기적 발전과 단기적 이용 측면을 고려하여 시설 내 노인의 여러 심리적 측면도 포함해야 한다.
      • (2) 계획의 조정
      • 현재 중국의 노인 인구 비중이 높은 편이지만, 실버타운 건설은 여전히 고정적인 수요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중국 사회에 존재하는 노인 양로 서비스 체계는 젊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디자인 개념을 적용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조정되어야 한다.
      • ① 문화적 측면:노년에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부유한 물질적 기초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높은 차원의 문화적 계몽이 필요하다. 노인 공경과 노인 부양을 사회적 공덕(公德), 직업적 도덕, 가정 미덕과 개인의 도덕성에 포함시키고, 노인공경을 생활화하여 생활 전반에 스며들게 만들어야 한다. 노인교육 발전 계획을 실현하고, 노인교육을 실시하거나 참여하고, 노인 문화 활동을 만들어 ‘배움(学)-양로(养)’를 결합한 양로의 새로운 모델을 구축해 노인의 정서적 돌봄과 심리적 소통을 강화해야 한다. 실버타운의 치유 환경 디자인을 계획할 때, 문화의 역할을 중시하고, 노인 문화 교류를 위한 장소를 제공하고 분위기를 형성하여 노인이 편안함과 안정감을 느끼며 질 높은 노년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해야 한다.
      • 고령화 사회에서는 노인을 공경하고 부양해야 할 뿐만 아니라 노인들이 자강 자립의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해야 한다. 노인을 바라보는 국가의 시선과 노인이 자신을 바라보는 시선은 한 국가의 문명 발전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이며, 인구 고령화에 대한 국가의 종합적인 소프트 파워(soft power)를 반영한다. 실버타운의 치유 환경을 계획할 때는 반드시 중국의 노인을 공경하고, 존중하고, 돕는다는 훌륭한 전통문화를 충분히 반영해야 한다. 시설 내에서 노인의 지위를 중시하고, 노인 생명의 존엄성에 관심을 갖고,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함양하는 등의 문화 경관 전략을 통해 노인이 살기 좋은 실버타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 ② 생활환경 조성: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 계획은 미래지향적이면서도 현재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 치유 개념과의 결합을 통해 노인 중심의 발전 개념을 적용한 실버타운을 추진해야 한다. 즉 무장애 디자인 시설을 만들고 개조하며, 관련 제도와 법률을 엄격하게 준수하고, 실버타운 건설 표준 규범 체계를 완비해야 한다. 또한 시설 주변의 통행로의 안전을 강화하고, 대중교통과 정보 교류 그리고 시설 서비스의 편리함을 향상시키고, 실버타운의 에너지 절약과 편안한 주거를 위한 개조도 추진해야 한다.
      • 4.4.4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 체계 특징 분석
      • 실버타운의 치유 환경 디자인은 실버타운의 실외 환경의 일부로서 최초의 실버타운이 등장했을 때는 특별히 관심을 갖지 않았다. 실버타운의 실외 공간은 단단한 도로로 포장을 했고, 시간이 지나서 녹화 조경이 생겼지만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특히나 경관환경의 유물객체(唯物客體)에 대한 인식 부분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 엄밀히 말하면 치유 환경 디자인은 인간이 만들어낸 경관 환경에 속해야 한다. “독일의 인문지리학자 오토 슐뤼터(Otto Schluter)는 경관 연구가 지리학에 속한다는 관점을 제시했고, 경관은 자연경관과 인문 경관으로 구분되며, 인간이 경관을 창조하는 활동을 최초로 방법론적 원리로 설명했다.” 賈寶全,楊潔泉.景觀生態學的起源與發展[J].幹旱區研究,1999(03),P12-18.
      • “독일 지리학자 칼 트롤(Carl Troll)은 경관의 각 요소 간의 상호작용 관계[물질 흐름과 에너지 흐름]가 존재하며 이러한 관계가 경관을 역동적으로 변화시킨다는 것을 발견했다.”鄔建國.景觀生態學-格局、過程、尺度與等級[M].北京.中國建築工業出版社,2001(07),P132.
      • (1)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
      •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치유 환경 디자인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다. “실버타운 내 치유 환경 요소는 시설 내의 전체 체계가 어느 정도 특수성, 특이성 및 의존성을 갖추고 있는지를 고려하여 실외 환경이 확실하게 편안한 외관, 지각 자극, 접근성, 교류 공간 및 선택적 운동 기회 등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Marcus C C,Bames M.Healing Gardens:Therapeutic Benefits and Design Recommendations [M].New York,NY:John Wiley & Sons,1999,P56.
      • 실버타운 내 치유 환경 디자인은 특정 서비스 대상이 있다. “기능별로 보면, 생활 구역, 관리 서비스 구역, 보조 치료 구역 및 심층 치료 구역이 포함된다.” 羅融.人與自然的對話一療養院規劃與景觀設計研究[D].湖北工業大學,2012(09),P147.
      • 실버타운의 치유 환경 디자인은 다른 환경 유형과 차별화되는 독특함과 식별 가능성이 있어야 하고, 경관 환경에 따라 적합한 연구 기준이 다르다. 실버타운은 일반적으로 부지 면적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중∙소규모의 날씨는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을 최적화하는 기준이 된다. 그리고 식별 용이성은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의 중요한 핵심이다. “그 외에도 안전성, 통제 가능성, 장기적 효과, 접근 가능성, 편안함, 긍정성, 목표성, 사생활, 친화성, 사교성, 호환성, 조용함, 전경 감상, 인지 가능성, 예술성, 유지 관리 용이성 등을 포함해야 한다.” 劉博新.面向中國老年人的療愈環境循證設計研究[D].清華大學,2015(05),P95.
      • “좋은 경관 환경은 노인의 많이 실외활동을 할 수 있도록 촉진시키고, 다양한 경관 요소는 노인의 야회활동 유형에 영향을 끼친다.” 成雪菲.社區景觀環境與老年人戶外活動相關性研究與應用[A].中國城市規劃學會、東莞市人民政府.持續發展理性規劃——2017中國城市規劃年會論文集(20住房建設規劃).
      • 환경 요소에 따라 노인의 활동에 미치는 영향도 다르며, 치유 효과도 다르다.
      • (2) 치유 요소 체계의 구축
      • ‘실버타운의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 체계’가 어느 정도 치유 효과가 있는지,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의 필수적 요소가 있는지를 고찰하기 위해, 요소를 선택할 때 기준치를 50%로 정하고, 50% 미만인 요소는 선별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과반이 넘는 전문가들이 해당 요소를 제거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면, 그 요소를 추가하거나 배제시킬 수 있다.
      • 실버타운의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 체계를 도출하고, 디자인 원칙과 디자인 요소 두 가지 측면을 분석한다. 우선 디자인 원칙은 주로 무장애 디자인 측면에서 노인의 안전성을 고려해야 하고, 쾌적함, 즐거움, 생태 측면이 노인의 관심을 끌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한다. 교육적, 감화적 등 측면에서 문화적 요소가 노인의 적극성을 유도할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한다. 둘째,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의 영향 요소는 주로 생태환경·지리·시설 등을 심도 있게 고려하여 보다 합리적이고 노인의 생활에 적합한 실버타운 환경을 설계해야 한다.
      • 다음으로 응답자의 질문과 의견을 참고하여 실버타운의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를 종류별로 분류하여 중복을 피하였다. 예를 들어 요소 안의 ‘바람’, ‘햇빛’, ‘온도’와 ‘기후’ 등 4가지를 ‘기후’로 통합하고, 원칙에서는 ‘접근 가능성’, ‘편의성’, ‘참여 가능성’의 의미가 비슷하여 ‘참여의 용이성’으로 통합했다. 최종적으로 선별과 개선을 통해 실버타운의 치유 환경 디자인 계획에 관한 요소 20개, 원칙 17개를 도출했다<표 19>.
      • <표 19>실버타운 치유 환경디자인 요소체계
      • 4.4.5 실버타운 조성 모델의 종합적 분석
      • 실버타운의 문화적 경관을 조성하는 데 있어 주거환경은 문화 경관 환경 중 중요한 선택으로서, 시설의 전체적인 위치와 경관 환경 효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좋은 지리적 위치를 선택하는 것이 실버타운의 성공 여부를 가르는 핵심이다. 위치 요소를 갖춰야만 실버타운이 이를 기반으로 건축하고 식별 가능한 경관을 만들며, 주거 환경 내에 다른 공간 구조를 만들고, 시설에 다양한 동호회가 개설되도록 이끌어 실버타운의 외부 서비스 환경 측면을 만족시킬 수 있다. 외부 건설에 상응하는 서비스 환경은 내부 개념의 정의를 더욱 중시해야 한다. 즉, 실버타운의 서비스 대상이 노인이므로 항상 ‘노인 편의’를 최우선 목표로 삼는다. 그리고 현재 시설 내의 주거환경과 서비스 환경이 모두 어느 정도 수준까지 도달해야만 시설 내 조성한 정신적 환경이 제대로 된 역할을 할 수 있다. 실버타운의 정신적 측면을 고려하여 경관을 조성할 때, 반드시 문화적 함의를 갖는 식물 혹은 현지 특색의 수목을 권장한다. (예: 매화의 다섯 꽃잎은 오복을 상징한다. 즉 즐거움, 행복, 장수, 순탄함과 평화를 의미한다. 국화는 많은 풍파를 겪으며 끈질긴 생명력을 지니고 있는데, 도연명(陶渊明)의 시 ‘채국동이하(采菊东篱下)’의 구절로 인해 '화중은사(花中隐士)'라는 별칭이 붙었다. 많은 중국인은 자기 집 정원에 1~2그루의 석류나무를 심어, 빨간 석류꽃처럼 풍요로운 생활과 다자다복(多子多福)을 기원한다.) 이는 문화적 분위기를 조성하여 실버타운과 노인 간의 거리를 좁힐 수 있다. 문화 환경의 기반을 다진 후, 시설에서는 각 노인의 차이에 대해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동아리 활동 등 사회적 활동을 통해 문화적 균형점을 찾고, 시설 내 문화의 다양성을 실현해야 한다. 이런 전반적인 과정을 거치며 정신적 환경과 주거 환경, 사회 환경[동호회] 간에도 교집합이 생긴다. 다시 말하면 실버타운의 문화적 경관 모델을 구축할 때는 반드시 주거 환경과 서비스 환경 그리고 정신적 환경 등 3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하며, 이를 유기적으로 융합해 시설 내 노인이 질 높은 생활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집’과 같은 소속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5. 결론 및 전망
      • 5.1 연구 결론
      • 중국의 고령화 속도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빠르며, 2025년이면 4명 중 1명이 노인이 되어 노인은 더 이상 소수 집단에 속하지 않게 될 것이기 때문에, 실버타운의 책임감이 더욱 요구된다. 물리적 측면의 부대시설을 완비하는 것은 생리적 측면의 수요만 만족시키고 심리적 보살핌은 받을 수 없기 때문에 노인의 완벽한 적응을 어렵게 만든다. 노인들의 심리적·생리적 욕구를 만족시키는 각종 디자인이 점차 사람들의 주목을 받으며 더 중시되었고, 실버타운의 디자인도 예외가 아니다. 중국의 양로 산업은 아직 시작 단계라 여러 면에서 미비하다. 치유 개념은 노인의 심신 건강 회복에 많은 장점이 있기 때문에 일단 실버타운 디자인에 적용 및 융합되면, 심리적인 측면에서 노인의 관심을 끌 수 있다. 노인은 원예 활동을 통해 참여감, 심리적인 만족감과 즐거움을 느끼며 더 나아가서는 적극적인 생활방식을 재설계할 수 있다. 또한 원예 활동은 노인의 일상적인 운동량을 보충하여 신체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다. 도시민들의 아(亞)건강, 심리 건강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는 현재, 투입이 적고, 활동성이 강하며 치료 효과가 뚜렷한 치유 개념은 미래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의 트렌드이다.
      • 이에 본 연구는 치유 개념을 활용해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도움을 주며 노인의 생리적·심리적 특징에 따라 자연적으로 나타나는 각 공간의 기능을 정리하였다. 색, 향, 미학, 모양, 소리를 다차원적으로 디자인하여 노인의 시각, 후각, 미각, 촉각, 청각에 대응하였다. 경관은 다섯 가지 감각을 충분히 자극하고 치유 개념을 통해 노인의 생리와 심리를 적극적으로 회복시킨다. 과학기술의 발달로 실외뿐 아니라 실내에서 채소와 과일을 재배할 수 있게 되어 노인은 채소 재배 등 원예 활동을 통해 신체 단련과 삶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게 되었다.
      • 중국 도시의 노인 돌봄 개념에 대한 인식 부족, 환경 구축 관심 부족, 종합적 정책 부족 등에서 착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개방적·동태적, 복합적·다원적인 방식으로 실버타운의 치유 환경 디자인의 특징 및 디자인 방법을 고안해냈다. 본 논문은 치유 개념을 기반으로, 실버타운을 매개체로, 노인의 신체적 자질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새로운 노인 돌봄 모델’의 의미를 다양화하고 한층 더 발전시켜 ‘양로’에서 ‘자아실현’으로 변화하는 건강한 노인 돌봄 시스템을 실현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치유 개념을 기반으로 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은 노인 감각기관의 충분한 자극, 자연 공간의 쾌적함 강화, 다양한 식물 선택, 활동 공간의 안전성 등을 고려해야 하며, 식물 등 여러 조건을 충분히 활용하여 인체에 대한 자연환경의 치유 기능을 제고하고 이를 통해 노인의 신체적·심리적 회복을 도모해야 한다. 실버타운에서는 휴식 벤치 하나로 노인과 자연경관과의 거리를 좁힐 수 있고 녹지 한 폭으로도 원예 활동을 할 수 있으며, 작은 활동부터 시작하여 노인이 자연과 삶의 즐거움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 실버타운 공간 환경의 구역 요소와 지역문화 요소 등을 결합하여 최종적으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서의 치유개념에 대한 구체적인 디자인 요구사항 및 응용 방법을 도출해냈다.
      • (1) 실버타운의 환경 분위기: 미학적 특징의 경우, 시설의 전체적인 색의 조화, 공간의 크기와 환경 요소의 쾌적함, 식물의 계절적 변화와 차원 등을 중시해야 한다. 문화성의 경우, 일정한 지역 문화를 구현하고, 시설 문화 발전에 힘써야 한다. 생태성의 경우, 좋은 식물 군락과 합리적인 식물을 재배하고, 경관 환경 요소와 식물을 합리적으로 배합해야 한다.
      • 중국은 남북 간 위도 차이가 크기 때문에 식물의 선택과 배합에 있어 지역 문제를 고려하여 적절한 식물을 선정하여 식재하여야 한다. 중국의 실버타운에는 식물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사계절 식물을 배합하는 측면에서 꽃이 자라지 않는 시기가 있다는 점을 통해 한국보다 식물 배합의 세밀함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한국의 화훼·수목 재배는 식물의 수고(樹高), 초장(草丈)을 중시하며, 꽃이 피고 지는 시간의 교차가 매우 적절하고 식물의 종류가 풍부하며 색채 배합도 매우 편안하고 보기 좋다. 한국은 중국과 같은 아시아 국가로 기후가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의 사례를 참고할 만하다.
      • (2) 실버타운의 공간 배치: 교통의 접근 용이성의 경우, 안전하고 연결성이 있어야 하고, 편리한 도로 체계를 갖춰야 한다. 공간 인식 용이성의 경우, 명확한 표지와 공간 디자인을 사용해 간결하고 명확한 공간 배치를 해야 한다.
      • (3) 실버타운의 공간 조성: 공간 적응성의 경우, 노인의 다양한 활동 등 수요를 만족시켜야 한다. 참여성의 경우, 다양한 노인의 개성과 수요를 중시하고, 단순하고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시설 등을 조성해야 한다. 공간 영역으로는 다층적인 공간 등을 디자인해야 한다.
      • (4) 실버타운의 인성화 디자인: 안전성의 경우, 완벽한 예방 보호조치를 취하여 디자인에 존재하는 안전 문제 등을 없애야 한다. 무장애 디자인의 경우, 실버타운 내 도로의 무장애 통행 등에 신경 써야 한다.
      • 실버타운의 실외 환경 디자인에서 식물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식물 배치 과정에서 색의 조합은 더욱 중요한데, 다양한 색의 식물을 배치하는 것을 통해 여러 가지 시각적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버타운 실외 환경 조성 시, 4계절 변화에 현지 기후를 결합하면 독특한 색감을 지닌 아름다운 환경을 디자인할 수 있다. 모든 식물은 봄에 싹을 틔우고, 여름에 빠르게 성장하며, 가을에는 낙엽이 지는 등 변화가 있어, 계절 변화에 따라 경관 속에도 다양한 색의 변화가 나타난다. 예를 들면, 은행나무는 봄에 연두 빛의 새싹이 돋아나고 여름에는 잎이 더욱 푸르러지며, 가을이 되면 기온이 하락하면서 잎이 노랗게 변하고 낙엽이 질 때 즈음에는 황금빛으로 변한다. 따라서 경관에 식물을 배치할 때,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식물의 색도 고려해야 한다.
      • 현재의 실버타운 혹은 치유 환경 디자인 계획 등은 대부분 외관상 부족한 부분만 채우거나 치장하는 선에 머물고 있다. 분명 상대적으로 인식이 낮은 노인 돌봄 치유 환경 디자인은 정부의 주목을 받기 어려운 대상이다. 따라서 실버타운의 치유 환경 디자인의 합리적 이용과 경관 자원 보호를 인도하는 등 방면에 있어 부족함이 있을 수 있다. 이는 노인복지 시설의 치유 환경 디자인의 발전이 줄곧 더뎠던 중요한 원인이다.
      • 본 연구는 체계적인 분석으로 실버타운 내 치유 환경 디자인에 대해 고찰했다. 이로써 이 분야의 경관 환경을 전체적으로 연구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현재 연구 중 맹점을 객관적으로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치유 환경 디자인의 본질과 규칙을 심층적으로 이해하여, 치유 환경의 이론 연구를 더욱 본격적으로 진행했다는 점이 본 연구의 의의이다. 실버타운은 치유 환경 디자인 구축의 매개체로서 더욱 체계적으로 건설해야 한다. 이는 실버타운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새로운 이론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다.
      • 실버타운의 실증적 조사를 통해 노인의 생리적 특징과 심리적 특징 그리고 행동 특징 등 3가지 측면에 대해 분석하였다. 노인의 각 생리학 특징과 심리적 수요의 특징 그리고 행동 습관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관디자인에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상응하는 디자인 전략을 도출해냈다. 이는 이후의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연구에 이론적 근거와 기반을 제공했다.
      • 5.2 연구 전망
      • 치유 관련 이론은 아직 중국에서 체계적인 이론체계가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주로 이론 연구, 노인 특징 분석, 사례연구 분석의 이론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향후 실제 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관한 스스로의 이론 수준과 디자인 수준을 지속적으로 제고할 수 있는 기회가 있기를 바란다.
      • 치유 개념의 초기 투입비용은 상대적으로 클 수 있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노인의 심신 건강과 경관의 질적 향상에 모두 뚜렷한 효과가 있다. 사람들의 건강에 대한 끊임없는 관심으로 인해, 사람들은 실버타운을 선택할 때 자연환경의 효과에 더욱 관심을 갖게 되고 이는 개발 업체가 실버타운의 실외 환경 공간 조성에 투자하도록 촉진될 것이다. 치유 개념이 발전함에 따라, 더 많은 개발 업체가 노인 돌봄 환경 조성 과정에 치유 개념을 도입할 것이기 때문에, 이는 치유 개념의 실제 활용 측면에 좋은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 치유 환경 디자인의 개념을 정립하고 그 영향요인에 대해 분석했다. 돌봄 배경, 가족, 사회적 수요, 노인 수요, 실버타운 전환, 주거환경학, 경관계획 디자인학 등 관련 영향요인을 결합하여 치유 환경 디자인과 경관 사이의 차이점과 연관성을 명확하게 구분했다. 본 논문은 치유 환경 디자인 개념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노인의 경관에 대한 수요 인지를 바탕으로 일정한 디자인 기법을 차용하고 인위적으로 조성하여 노인이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노인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실외 환경이다.
      •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의 다양화는 노인들의 산책, 명상, 신선한 공기 호흡 등의 활동 수요를 만족시킨다.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는 현지성, 적극성 및 교화 등의 원칙에 따라 노인의‘노인이 새로운 것을 배우고 즐거움을 얻는다 (老有所樂, 老有所學).’심리를 만족시켜야 한다. 또한 시설 내부 및 주변 공기 질, 토양 환경, 물, 교통 편의성 등의 요소도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에 대한 노인의 만족도와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했다.
      • 첫째, 실버타운의 환경 분위기. 미학적 특징의 경우, 시설의 전체적인 색의 조화, 공간의 크기와 환경 요소의 쾌적함, 식물의 계절적 변화와 차원 등을 중시해야 한다. 문화성의 경우, 일정한 지역 문화를 구현하고, 시설 문화 발전에 힘써야 한다. 생태성의 경우, 지역성을 갖는 자생식물군락과 합리적인 식물을 재배하고, 경관 환경 요소와 식물을 합리적으로 배합해야 한다.
      • 둘째, 실버타운의 공간 배치. 교통의 접근 용이성의 경우, 안전하고 연결성이 있어야 하고, 편리한 도로 체계를 갖춰야 한다. 공간 인식용 이성의 경우, 명확한 표지와 공간 디자인을 사용해 간결하고 명확한 공간 배치를 해야 한다.
      • 셋째, 실버타운의 공간 조성. 공간 적응성의 경우, 노인의 다양한 활동 등 수요를 만족시켜야 한다. 참여성의 경우, 다양한 노인의 개성과 수요를 중시하고, 단순하고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시설 등을 조성해야 한다. 공간 영역으로는 다층적인 공간 등을 디자인해야 한다.
      • 넷째 실버타운의 인성화 디자인: 안전성의 경우, 완벽한 예방 보호조치를 취하여 디자인에 존재하는 안전 문제 등을 없애야 한다. 무장애 디자인의 경우, 실버타운 내 도로의 무장애 통행 등에 신경 써야 한다.
      • 비록 본 논문은 '치유'라는 중심 개념을 바탕으로 심층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최초의 배경 자료를 통해 실버타운의 초기 환경과 노인의 행동, 기반 상황 등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사회가 발전하고 사람들의 생각이 바뀌고 가치관, 생활방식이 변화하면서 노년층이 돌봄 환경에 대해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이기 때문에 본 연구는 동적(动态)인 연구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후속 연구의 기초 자료로 삼아 더욱 심도 있는 치유 환경 디자인 연구를 진행할 수 있기를 바란다.
      • 참 고 문 헌
      • 단행본
      • 중국본
      • [1] 郭向东.《园林景观设计杂谈(第四册)》[M].中国民艺出版社,2006(11),P37.
      • [2] 古斯塔夫.庞勒著,法国,戴光年译.《乌合之众—大众心理研究》[M].北京:新世界出版社,2010(01),P71.
      • [3]乾隆,《芝径云堤》作于乾隆十七年(1752年),诗题即避暑山庄康熙三十六景第二景景名“芝径云堤”,2017(03),P36.
      • [4] 计成.《园冶·园说》[M].北京:中国建筑工业出版社,1988(03),P62.
      • [5] 孔子(春秋),《论语》,[M].作家出版社,2015(12),P24.
      • [6]老子,春秋,《道德经》[M].团结出版社,2014(04),P39.
      • [7]老子 著,春秋,富强译注,《道德经》,[M].作家出版社,2016(06),P21.
      • [8] 陶淵明,晋代,《陶渊明全集》[M].上海古籍出版社,2015(11),P28.
      • [9] 刘秉琨,《环境人体工程学》[M].上海人民美术出版社,2014(06),P82.
      • [10]徐磊青.《人体工程学与环境行为学》[M].中国建筑工业出版社,2006(05),P51.
      • [11]李树华.《园艺疗法概论》.[B].北京:中国林业出版社,2011(05),P56.
      • [12]吴自牧,《梦粱录》,节选自王十朋的《覓百葉榴花》,[M].二十一世纪出版社集团,2018(03),P18.
      • [13]崔铭,《宋代诗词选》,节选自趙慎(宋孝宗)的《冷泉堂》,[M].上海同济大学出版社,2017(08),P18.
      • [14] 周武忠.《城市园林艺术》[M].东南大学出版社,2000(04). P41.
      • [15] 陈涛,《老年社会学》[M].北京:中国科学出版社,2009,(02),P23.
      • [16]祁彪佳,《祈忠敏公日记·山居拙录》[M],祁彪佳文稿,北京:国家图书馆出版社,2017(05),P28.
      • [17]《中国发展报告2020:中国人口老龄化的发展趋势和政策》,2020(01),P56.
      • [18] 胡正凡,林玉莲.《环境心理学》[M].中国建筑工业出版,2012(01),P56.
      • [19] 张登本等译注,《黄帝内经》,[M].新世界出版社,2019(03),P21.
      • 일반논문
      • 국내본
      • [1] 김소희, “정신장애를 위한 치료정원 계획 및 시공과 이용만족도 평가”2004(06),P37-39.
      • [2] 김승인, 신한나, “고령화 사회의 신노년층을 위 한 도심형 실버타운의 서비스 디자인 연구”, 디지털 디자인학 연구, 제12권, 제2호, 2012(03),P495-504.
      • [3] 논문 저자 『원예치료법개론』 자체 편집.
      • [4] 손은경, “국내 도심형 실버타운 현황 및 전망”, 국민 은행 금융지주 경영연구소, 2014,P35.
      • [5] 임은영, 황연숙, “도시형 실버타운 공용공간의 배치 및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공간디자인 학회논문집, 제6권, 제1호, 2011,P65-73.
      • [6] 허강수, 김갑열,“실버타운 입지선택의경로분석”, 사회과학연구, 제52권, 제2호, 2013,P273-303.
      • 중국본
      • [1]高莹.基于环境心理学的老年人疗养中心设计方法的研究[D].西安:长安大学,2014(05),P30.
      • [2]纪昊一,杨同卫,陈晓阳,等.我国养老模式的社会化转型及养老机构的伦理问题探讨[J].中国医学伦理学,2015(01),P64.
      • [3]贾宝全,杨洁泉.景观生态学的起源与发展[J].干旱区研究,1999(03),P12-18.
      • [4]金学智,陈本源.园林养生功能简论——艺术养生学系列论文之三[J].文艺研究,P116-128.
      • [5] 芦原义信.外部空间设计[M].南京.江苏凤凰文艺出版社,2017(07),P48.
      • [6] 东火.起居有常——养生保健的基础方法[J].养生月刊,2011(06),P45-48.
      • [7] 雷蕊.广告设计中的疗愈表现[J].现代装饰理论.2014,(10),P160-166.
      • [8] 刘志威. 浅谈园林中的盲道设计[J]. 安徽农业科学,2008(08),P21.
      • [9]刘博新.面向中国老年人的疗愈环境循证设计研究[D].清华大学.2015(05),P95.
      • [10]罗融.人与自然的对话一疗养院规划与景观设计研究[D].湖北工业大学,2012(09),P147.
      • [11] RobertS.Feldman 著 苏彦捷.发展心理学—人的毕生发展[M].北京.广州.上海.西安:世界图书出版社,2007,(07),P48.
      • [12]任晓乐.老龄化背景下养生文化园设计研究——以扬州枣林湾养生文化园为例.[D]南京.南京农业大学,2012(06),P48.
      • [13]穆光宗.我国机构养老发展的困境与对策[J].华中师范大学学报(人文社会科学版),2019(02),P51.
      • [14]马航,祝侃,李婧雯,杨彪.老年人视觉退化特征下居住区步行空间的适老化研究[J].规划师,2019(04),P35.
      • [15]成善汉,林师森.疗愈理念及其在海南休闲农业中的应用[J].热带生物学报,2010,01(3),P265-268.
      • [16]成雪菲.社区景观环境与老年人户外活动相关性研究与应用[A].中国城市规划学会、东莞市人民地,2010(02).
      • [17]许慧,彭重华.养生文化在中国古典园林中的应用[J].广东园林,2009(03),P87-90.
      • [18]아阿尔伯特丁·拉特利奇[美]著,王求是,高峰译.大众行为与公园设计[M].北京:中国建筑工业出版社,1990(08),P79.
      • [19]敖仕恒.中国古代养生文化影响下的传统建筑创作研究[D].天津:河北工业大学,2007(05),P54.
      • [20]李树华.尽早建立具有中国特色的园艺疗法学科体系(下)[J].中国园林,2000(04),P32-34.
      • [21]王植芳.现代医院康复性园林环境设计初探[D].华中农业大学,2007(05),P42.
      • [22]王晓巍.综合性康复中心外环境设计研宄[D]东北农业大学,2009(05),P62.
      • [23]王燕平,中医运动养生的理论与实践[J],陕西中医学院学报,2011(06),P34.
      • [24]王江萍.老年人居住外环境规划与设计[M].北京:中国电力出版社,2009(04),P77.
      • [25]吴玉韶,党俊武主编.老龄蓝皮书:中国老龄产业发展报告[M].北京:社会科学文献出版社,2014(04),P33.
      • [26]吴良镛.人居环境科学导论[M].北京:中国建筑工业出版,2001(10),P29.
      • [27]吴琼.基于老年人生理、心理特征与需求的养老社区植物景观设计研究[D].南京:东南大学,2018(09),P27.
      • [28]邬建国.景观生态学-格局、过程、尺度与等级[M].北京.中国建筑工业出版社,2001(07),P132.
      • [29]位迎苏,吴晓荣.疗愈理念美食剧功能探析—以日剧《深夜食堂》为例[J].中国广播电视学刊,2017(06),P95-98.
      • [30]严祥,杨静,雷凯荣,医院色彩与心理反应[J],中外健康文摘,2008(05),P8.
      • [31]陈思.基于老年人健康需求的城市公园景观环境设计研究[D].西南大学,2016(06),P36.
      • [32]陈仲林,杨春宇,张青文,许景峰.山地城镇建设光环境评价指标体系研充[J]冲群文天,2010(02),P36.
      • [33]贾丽璇.基于园艺疗法角度的老年福利院景观设计研究[D].四川农业大学,2016(04),P55.
      • [34]张涵,吴炳义,董慧玲.不同类型养老社区老年人医疗服务现状及需求调查[J].中国全科医学.2015(05),P1786-1790.
      • [35]宗桦.成都市养老社区植物景观现状调查及应用研究[J].中国园林,2013(11),P120-123.
      • [36]宗白华.中国园林艺术概观[M].南京:江苏人民出版社,1987(03),P23-37.
      • [37]朱勇.智能养老[M].北京:社会科学文献出版社,2014(12),P66.
      • [38]朱文倩,朴永吉,孙崟崟. 园林景观无障碍设计的研究[J]. 农业科技与信息(现代园林),2011(03),P29.
      • [39]周洁慧.综合型老年社区模式在富平云何庄养老社区中的创作探讨[D].西安:西安建筑科技大学,2014(06),P94.
      • [40]张谊.中美无障碍环境建设问题比较研究.华中科技大学学报[J].:城市科学版,2013(02),P91-94.
      • [41]张康. 园林景观无障碍设计初探[J]. 科技资讯,2009(03),P27.
      • [42]张运吉,朴永吉.关于老年人青睐的绿地空间色彩配置的研究[J].中国园林,2009(07),P78-81.
      • [43]田栓磊,王琦.浅析中医饮食养生的基本原则[J].时珍国医国药,2011(04),P22.
      • [44]帕特里克·弗朗西斯·穆尼[美].恢复性景观的世界发展[J]中国园林,2009(08),P24-25.
      • [45]傅伯杰,陈利顶,马克明,王仰麟.景观生态学原理及应用[M].北京:科学出版社,2011(11),P32.
      • [46]冯爽.无障碍设计在住宅小区景观设计工作中的应用研究[D].西南交通大学,2015(04),P57.
      • [47]郝鸥,陈伯超,谢占宇.景观规划设计原理[M].华中科技大学出版社,2013(01),P44.
      • [48]黄海静,王雅静,吴俊杰,甘锐,李为希.老年人视觉活动特征及光环境需求调查分析[J].灯与照明,2017(02),P41.
      • [49]何靖楠,李宁华,张毅,张铁梅,黎健.中国外人口老龄化现状及中国面临的挑战[J].中华临床医师杂志(电子版),2011(10),P3894~3897.
      • [50]解静,陈元玉,江琳,等.汕头地区养老院和社区老年人生活质量、孤独感、自尊及影响因素的研究[J] . 中国临床心理学杂志,2018(03),P19.
      • [51]左美云.智慧养老的内涵、模式与机遇[J].中国公共安全,2014(10),48-50.
      • 해외본
      • [1] A.H.Maslow,“A theory of human motivation,”Psychological Review, Vol.50, 1943(04),P370-396.
      • [2] Arian Mosteadi.老年人居住建筑[M].机械工业出版社,2008(07),P64.
      • [3] Bardenhagen E,Rodiek S,Nejati A,et al. The Seniors’ Outdoor Survey (SOS Tool):A Proposed Weighting and Scoring Framework to Assess Outdoor Environments in Residential Care Settings[J]. Journal of Housing For the Elderly,2018(01),P99.
      • [4] Eun-Ae I,Sin-Ae P,Ki-Cheol S. Developing Evaluation Scales for Horticultural Therapy[J]. Complementary Therapies in Medicine,2018(02),P37.
      • [5] Fakten zur demografischen Entwicklung Deutschlands 2010-2020
      • [6] Jennifer R. Building a Healing Garden[J]. Contemporary Stone &: Tile Design, 2018(03),P25.
      • [7] Kaplan R,Kaplan S. The Experience of Nature:a Psychological Perspective [M]. Cambridge:Cambridge University Press,1989(04),P26.
      • [8] Marcus C C,Sachs N A.Therapeutic Landscapes:An Evidence-Based Approach to Designing Healing Gardens and Restorative Outdoor Spaces [M]. Hoboken,New Jersey:John Wiley & Sons,2014(04),P149.
      • [9] Marcus C C,Barnes M. Healing Gardens:Therapeutic Benefits and Design Recommendations [M]. New York,NY:John Wiley & Sons,1999(09),P56.
      • [10] Rodiek S D. Influence of an outdoor garden on mood and stress in older persons [J]. Journal of Therapeutic Horticulture. 2002(02),P13-21.
      • [11] Rodiek S D. A Missing Link:Can Enhanced Outdoor Space Improve Seniors Housing? [J] Seniors Housing & Care Journal. 2006(03),P19.
      • [12] Rodiek S D. Access to Nature for Older Adults. Three-part DVD series;www.accesstonature.org. Center for Health Systems & Design, Texas A&M University,College Station, TX, 2009(09),P43.
      • [13] Sin-Ae P,A-Young L, Kwan-Suk L,et al. Comparison of the Metabolic Costs of Gardening and Common Physical Activities in Children. 2014(10),P123-128.
      • [14] Sally Augustin.场所优势[M].陈立宏译.北京:电子工业出版社,2013(05),P15-40.
      • [15] Seon-Ok K,Sin-Ae P. Garden-Based Integrated Intervention for Improving Children’s Eating Behavior for Vegetables[J].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2020(4),P17.
      • [16] Ulrich R S,Zimring C,Zhu X,Dubose J,Seo H,Choi Y. A review of the research literature on evidence-based healthcare design [J]. Health Environments Research & Design. 2008(03),P178.
      • 웹사이트
      • 국내본
      • [1]https://www.samsungnc.com/kor/noble-county/facilities/directions.html
      • [2]https://samsungnc.com/kor/noble-county/nursing-home/space__public-view.html?uid=4
      • [3]https://www.google.com/maps/@40.1876543,116.7590463,10.33z
      • [4]https://www.google.com/maps/place/Sengelmannshof/@51.3720325,6.9336423,17z/data=!3m2!4b1!5s0x47b8c45d76ebe8d9:0xe7ee8f6d3c2dc747!4m8!3m7!1s0x47b8c45db7966d13:0xdd7730644242b6f6!5m2!4m1!1i2!8m2!3d51.3720292!4d6.935831
      • [5]https://kknews.cc/zh-sg/science/2q43q9r.html
      • [6]https://xycost.com/archives/108137
      • [7]https//www.ivsky.com/tupian/laoren_huwai_caodi_xiuxian_yundong_v8672/pic_255885.html
      • [8]https://www.vcg.com/creative/802981876?utm_source=360&utm_medium=imagesearch
      • 중국본
      • [1]http://baike.sogou.com.
      • [2]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10725/108134541/1
      • [3]http://spider.ws.126.net/90a7b9b59c4d9597cc0f0a0b11592f98.jpeg
      • [4]https://baike.so.com/gallery/list?ghid=first&pic_idx=1&eid=6384484&sid=6598137
      • [5]http://hbkyyx.com/cn/news/info_18.aspx?itemid=101
      • [6]http://k.sina.com.cn/article_6502636441_183965b9900100amr7.html [7]https://www.xuehua.us/a/5eb6d81a86ec4d1abb7730c0
      • [8]https://www.image.baidu.com
      • [9]https://www.xuehua.us/a/5eb6d81a86ec4d1abb7730c0
      • [10]https://baike.so.com/gallery/list?ghid=first&pic_idx=1&eid=6768433&sid=6983547
      • [11]https://www.sohu.com/a/497325289_121248839
      • [12]https:///www.sohu.com/a/365828174_120209938
      • [13]http:///blog.sina.com.cn/s/blog_15dff86560102xtih.html
      • [14]https:///huaban.com/pins/1401622893/
      • [15]http:///www.4123.info/scb/image/2062145614/
      • [16]https:///www.sohu.com/a/246643005_748577
      • [17]http:///www.zhuoyilin.com/84/820.html
      • [18]https:///huaban.com/pins/2125371249/
      • [19]https:///www.photophoto.cn/pic/22729047.html
      • [20]https:///www.sohu.com/a/148163378_761558
      • [21]http:///tech.sina.com.cn/digi/dc/2013-07-16/02302768688.shtml
      • [22]https:///m.sohu.com/n/542669577/?mv=3&partner=baidu
      • [23]https:///stock.tuchong.com/image/detail?imageId=918379611275919374
      • [24]https:///www.nipic.com/show/5363168.html
      • [25]http://www.serengeseba.com/
      • 해외본
      • [1]https://www.demografie-portal.de/DE/Fakten/Themen/Bevoelkerung-Struktur-Zahl.html
      • ABSTRACT
      • A study on Environment Design
      • for Silver Town under the Healing Ideology
      • Ge, Huan Huan
      • Dept. of Biology
      • The Graduate School
      • Sangmyung University
      • People are exploring ways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ving in a booming economy. The living conditions of certain elderly-care housings fail to meet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needs of today’s senior citizens, particularly those over the age of 60. Some elderly relocate to silver towns because family-centered care is insufficient to provide adequate services for the aged owing to changing elderly care service systems. Due to the social and personal pressures caused by widowhood, disease, and immobility, the elderly are in urgent need of a silver town where they can improve their mentality, reduce tension, and enjoy a healing lifestyle. Creating a healing landscape that benefits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boosts the harmonious development of society. The horticultural healing landscape in the silver town not only improves the natural environment, but also satisfies the physical and mental needs of the elderly, enabling them to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ir final years.
      • In recent years, much of the current literature on the elderly living environments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architecture planning, while issues involving creating a healing landscape for senior citizens are rarely studied. Furthermore, most existing research is more technical-oriented, emphasizing how to provide an elderly-friendly and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through building construction or renovation. This paper is designed to propose a research-based system through an extensive analysis of the patterns of elderly care services, the current residential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demands from the aging society. This paper conducted an in-depth study on issues concerning the landscape and environment of the silver town. These problems were foun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public elderly care services system for an aging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senior demands, in order to build a silver town with better environment.
      • As the world population is aging, the silver town attracts increasingly greater attention, fostering the development of the silver hair industry. As the healthcare and livelihoods improved, the elderly pursue different lifestyles of sunset years. As a result, modestly furnished and confined silver towns are far below senior citizens’ expectations for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 Meanwhile, developments in the notion of healing have helped people understand how human physiology and psychology are closely related to plants, re-igniting researchers’ interest in the healing effect of plants. The general living conditions will be improved by incorporating the therapeutic practice into the silver town, allowing the senior residents to enjoy a colorful life. This paper identified issues in current healing ideology study and practical implementations after delving into Eastern and Western healing theories and today’s silver town environments. First, China is a latecomer to the research of the healing environment in silver towns with few theoratical outcomes in the field. Meanwhile, the healing concept has been rarely studied with silver town community. Therefore, this paper investigated and summarized methods of incorporating healing ideologies into environmental design in order to make suggestions to silver towns. Secondly, from the application aspect, this paper analyzed successful cases in both Eastern and Western countries. Silver town constructions in China are mostly developed recent years and less mature than those in Europe and America, so there are only a few cases available as successful experiences.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find silver towns in China as references of outdoor landscape design and accessible design. To make it clear, the case of Beijing Oriental Sun City analyzed in this paper is built based on overseas successful senior communities, however, there are still defects pending improvements (which will be explain in detail in case study section).
      • This paper summarized and concluded issues and problems in the environmental design of silver towns before determining the research direction and primary method based on an analysis of related literature, applications, and present status of the healing ideology and the environmental design of silver towns. Motivated by the diverse demands of senior residents, this research sought to identify appropriate environmental designs for silver towns and to investigate how healing principles may be implemented in order to develop practical environmental designs for aged care. The major finding of this paper was the methods of healing ideology application to the environmental design based on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designs and the review of healing ideology applications. By adopting a healing-oriented design, this paper believes it is highly possible to create a comfortable and healthy elderly care environment using local cultural landscape and flora. Additionally, this paper highlights specific ways of plants layout, topography design, road pavement, water body styling and signage landscape sketches that provide unique design techniques for different outdoor spaces of the silver town, thereby facilitating the construction of the silver town environment.
      • This paper conducted systematic research on the healing landscape of silver towns by combining underlying factors, while considering senior citizens’ life preferences. Based on the theoretical analysis of the research results, the author proposed the design strategies for the healing landscape planning of silver towns. The research:
      • (1) Reviewed theories and global research results of silver town and healing landscape. Define the concepts and scope of the research. In this essay, healing landscape design is defined as a communal environment created using specific techniques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the health of the elderly based on their special needs for the silver towns;
      • (2) Analyzed the influential factors and the diversity of design principles of the healing landscape in the silver tow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ehavioral preferences,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features of the elderly. Based on the aforementioned investigations, explored the anatomy of the horticultural healing landscape goal of silver town, and the link and influence between the designing elements of the healing landscape in the silver town. To further explain the application of the healing ideology in the silver town environment, this paper analyzed typical silver town cases from the East and West, comparing them to Beijing Oriental Sun City and concluded the environmental design theory that is appropriate for China’s silver towns with healing ideology. This study also makes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the environmental design of Beijing Oriental Sun City, which will serve as the theory guiding the future constructions of healing landscape in silver towns.
      • (3) Created an element system for the healing landscape design of silver towns. Conducted a systematic study based on the dynamic, holism and correlation of healing landscape design. Developed an element system for the healing landscape planning of silver towns with references to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results.
      • The environmental design based on the healing ideology should provide a comprehensive sensory experience with the enhanced comfortableness of natural space, diversity of plants, security of activity space. In addition, the design may also make full use of the natural environment, including plants as a method of healing, which would effectively facilitate both the physical and mental rehabilitation for the elderly. Considering factors such as regional features of the silver town’s space environment and local cultures, this paper concluded the following specific design requirements when applying the healing ideology in the environmental design of the silver town:
      • Diversity is a key to the design of the healing landscape in the silver town, satisfying the need for daily activities such as walking and meditation, and activity environment such as fresh air. Under the principle of localized, active and positive, educational, the silver town design should consider the elderly psychological need from entertainment to education. Furthermore, the senior citizens’ satisfaction and using frequency for the facilities designed for the silver town depend on factors including the air quality, soil, water body and the transport convenience in and around the community. As for the atmosphere, the aesthetic design should ensure the community’s color to be harmonious with space, the local environment and the seasonal changes of plants. In terms of cultural design, it would be better to reflect the local culture while cultivating a unique community culture. The biological design needs healthy plant communities and plants adapted to the local environment to combine the landscape with proper plants. The selection of planting type depends on the site selection of the silver town, either Southern China native planting for silver towns in the South or north local planting for those in Northern China. The five sensual functionalities of the planting are another important aspect. Arboreal trees, brush, flowers and groundcover are planting types suitable for the silver town landscape. The silver town should plant particular vegetation that is helpful to the healing and rehabilitation of the seniors. Planting with distinctive seasonal color changings would be a better choice for silver towns. However, it should be noticed that plants with needles, catkin or toxins are prohibited from the silver towns. Health and security are the bottom lines of landscape planting in silver towns. In terms of the spatial layout, the transport system should be safe, coherent and convenient. Easy spatial identity requires a clear sign and node design to make the spatial layout clean and clear. The spatial molding of the silver town emphasizes the functional adaptability, which is the capability to support various daily activities of the elderly, and accessible participation, which is the capability to design easy-to-handle facilities that are customized to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elderly. The space of the silver town should be multi-dimensioned. To build a humanized silver town, the design should be safe and barrier-free. Safety design removes potential security risks with comprehensive safety facilities, while the main roads around and in the community should be barrier-free access.
      •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this research, which worth deeper investigation in future studies.
      • Key words: Healing,Pension community,environmental design,landscape desig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갑열, 허강수, "실버타운 입지선택의경로분석", 사회과학연구, 제52 권, 제2호, ,P273-303, 2013

      2 손은경, "국내 도심형 실버타운 현황 및 전망", 국민 은행 금융지주 경영연구소, ,P35, 2014

      3 임은영, 황연숙, "도시형 실버타운 공용공간의 배치 및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 학회논문집, 제6권, 제1호, ,P65-73, 2011

      4 김소희, "정신장애를 위한 치료정원 계획 및 시공과 이용만족도 평 가", (06),P37-39, 2004

      5 김승인, 신한나, "고령화 사회의 신노년층을 위 한 도심형 실버타운 의 서비스 디자인 연구", 디지털 디자인학 연구, 제12권, 제2호, (03),P495-504, 2012

      1 김갑열, 허강수, "실버타운 입지선택의경로분석", 사회과학연구, 제52 권, 제2호, ,P273-303, 2013

      2 손은경, "국내 도심형 실버타운 현황 및 전망", 국민 은행 금융지주 경영연구소, ,P35, 2014

      3 임은영, 황연숙, "도시형 실버타운 공용공간의 배치 및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 학회논문집, 제6권, 제1호, ,P65-73, 2011

      4 김소희, "정신장애를 위한 치료정원 계획 및 시공과 이용만족도 평 가", (06),P37-39, 2004

      5 김승인, 신한나, "고령화 사회의 신노년층을 위 한 도심형 실버타운 의 서비스 디자인 연구", 디지털 디자인학 연구, 제12권, 제2호, (03),P495-504,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