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치유 개념을 적용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연구

        갈환환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79

        국문요약 국민 경제가 발전하면서 삶의 질에 대한 사람들의 기준도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일부 노인 돌봄 환경, 특히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한 노인 돌봄 환경은 노인의 생리적, 정신적 수요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노인 돌봄 구조의 변화로 인해 일부 노인은 집에서 노후를 보내지 못하고, 실버타운에 입주하기도 한다. 사별하거나, 병환으로 고생하거나, 거동이 불편해 개인적〮사회적 스트레스를 받는 노인에게 심신 건강과 스트레스 해소 및 치유 기능이 갖춰진 돌봄 환경이 필요하다. 또한 노인의 심신 건강을 치유해 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은 사회의 조화로운 발전에도 중요하다. 노인 돌봄 공간에 원예치료 환경을 조성하면 시설 미관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심신 건강에 대한 노인의 수요도 만족시켜 노인이 여생을 더 즐겁게 보낼 수 있다. 관련 문헌 연구를 보면, 현재 노인 돌봄 환경 문제에 대한 연구는 주로 건축 계획 분야에 집중되어 있으며, 노인 돌봄 환경 문제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적은 편이다. 연구는 대개 기술적 측면에 치중되어 있는데, 주로 어떻게 하면 건축과 개조를 통해 노인에게 편안한 거주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논문은 인구 고령화가 점차 심각해지고 사회 노인 돌봄 서비스 시스템이 구축되는 과정에서 실버타운의 수요 측면의 문제점을 깊이 있게 연구하여 노인을 위한 더 나은 노인 돌봄 환경을 만들고자 한다. 전 세계적으로 노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실버타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돌봄 산업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또한 의료의 발달과 삶의 수준 향상 및 노인의 노후 삶에 대한 인식 변화로 인하여, 단순하고 제한적인 노인 돌봄 환경은 노인들의 정신 및 생활에 대한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다. 동시에 치유 개념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면서 사람들은 식물이 인간의 생리적 기능 및 심리와 깊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점차 인식하기 시작했으며, 이에 원예치료도 다시 각광받기 시작했다. 치유 개념을 실버타운에 적용하면 실버타운의 수준을 높일 수 있고, 노인에게 보다 다양한 노후 생활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동서양의 치유 이념과 실버타운 환경에 관한 연구를 통해 치유 개념의 기존 연구와 실제 적용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첫째, 중국이 실버타운의 치유 환경 연구를 뒤늦게 시작하여 기존의 연구 성과가 적은 편이며 치유 개념과 실버타운을 결합시킨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해 치유 개념을 환경 디자인에 적용할 방법을 모색하고 종합∙귀납하여 중국의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둘째, 본 논문에서는 주로 동서양 국가에서 대표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구미 국가는 실버타운을 비교적 일찍 건설하기 시작하였으며 디자인도 충분히 성숙한 단계에 진입했다. 그에 반해 중국은 한 발 늦게 실버타운을 건설하기 시작했으며 국내 성공 사례가 부족하여 실외 환경 디자인 및 무장애 디자인 등 분야에서 참고할 만한 사례를 찾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사례로 제시한 중국 베이징 동방 태양성 실버타운은 주로 해외 성공 경험을 참고하여 건설한 것이며 여전히 미흡한 점이 많다. (사례 분석에서 자세히 설명) 본 논문의 환경 디자인은 실외 환경 디자인, 조명, 색채, 식물, 공간 계획 등을 포함하며 실내 환경 디자인은 제외한다. 또한 치유 개념과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관련 문헌 수집과 분석을 통해 동서양의 치유 개념 적용 및 실버타운 현황을 알아보고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종합하여 본 과제의 연구 방향과 주제 의식을 확립하였다. 본 논문은 노인의 각기 다른 수요에서 출발해 실버타운 디자인에 적합한 요건을 파악하고, 치유 개념을 실버타운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분석하여 실행 가능하고 적절한 실버타운의 환경 디자인 방법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연구 성과는 실버타운의 환경 디자인을 분석하고 치유 개념 적용 방식 결합하여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치유 개념을 적용하는 방법을 도출하였으며, 치유 개념을 합리적으로 활용한 디자인 방법과 현지 문화경관, 향토 식물자원을 활용해 편안하고 건강한 돌봄 환경을 조성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방법을 실버타운에 적용해 식물, 지형, 도로포장, 물, 소품 표지에 활용되는 방법을 도출하여 실버타운의 다양한 실외 환경을 위한 구체적인 디자인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보다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실버타운 환경 조성에 도움이 된다. 상기 서술한 내용을 기반으로 본 논문에서는 실버타운 치유환경 계획의 기초적인 영향 요인을 결합하고, 노인의 수요와 선호를 참고하여 실버타운 치유환경에 대한 체계적 연구를 실시하고, 연구 성과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통해 실버타운 치유환경 계획에 대한 디자인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실버타운 및 치유 환경 관련 이론과 동서양의 기존 연구 성과를 정리하고 연구와 관련된 개념 및 범위를 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치유 환경 디자인 개념을 다음과 같이 정했다. 노인의 실버타운 환경에 대한 수요를 근거로 일정한 디자인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의 신체 건강을 촉진하는 건강한 지역사회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2) 노인의 행동 및 선호, 심리 및 생리적 특징 차원에서 출발하여 실버타운 치유 환경의 영향요소 및 디자인 원칙의 다양성을 분석하였으며, 실버타운 내 치유 환경 디자인은 안전성, 다양성, 현지성, 적극성, 그리고 교화 역할 등의 원칙을 기준으로 노인의 ‘즐거운 노후, 안정적 노후’에 대한 수요를 만족시켜야 한다. 기존 연구를 통해, 실버타운의 정원 치유환경 계획의 목표를 분석하여, 실버타운의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 간의 연계 및 영향을 종합하였다. 실버타운 환경의 치유 개념 적용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동서양의 비교적 대표성을 지닌 몇 가지 실버타운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중국 베이징(北京) 동방태양성(东方太阳城)의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고 상기 연구 내용과 결합하여 중국의 치유 개념에 적합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이론을 도출했다. 베이징 동방태양성을 위한 실버타운 환경계획 디자인 제안 및 방법을 제시하여 향후 치유 환경을 실버타운 내에 조성할 수 있도록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이론과 참고 근거를 제공하였다. (3) 치유 환경 디자인의 역동성, 전체성, 연관성을 통해 실버타운 치유 환경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참고 문헌, 기존 연구 성과 등을 결합하여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 체계를 구축하였다. 치유 개념을 기반으로 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은 노인 감각기관의 충분한 자극, 자연 공간의 쾌적함 강화, 다양한 식물 선택, 활동 공간의 안전성 등을 고려해야 하며, 식물 등 여러 조건을 충분히 활용하여 인체에 대한 자연환경의 치유 기능을 제고하고 이를 통해 노인의 신체적·심리적 회복을 도모해야 한다. 실버타운 환경의 구역 요소와 지역문화 요소 등을 결합하여 최종적으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치유 개념을 적용할 때의 구체적인 디자인 요구사항 및 응용 방법을 도출해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의 다양화는 노인들의 산책, 명상, 신선한 공기 호흡 등의 활동 수요를 만족시킨다.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는 현지성, 적극성 및 교화 등의 원칙에 따라‘노인이 새로운 것을 배우고 즐거움을 얻는다. (老有所乐, 老有所学)’심리를 만족시켜야 한다. 또한 시설 내부 및 주변 공기 질, 토양 환경, 물, 교통 편의성 등의 요소도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에 대한 노인의 만족도와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했다. 첫째, 실버타운의 환경과 분위기. 미학적 특징의 경우, 시설의 전체적인 색의 조화, 공간의 크기와 환경의 쾌적함, 식물의 계절적 변화와 레이어 등을 중시해야 한다. 문화성의 경우, 일정한 지역 문화를 구현하고, 타운 내 문화 발전에 힘써야 한다. 생태성의 경우, 좋은 식물 군락과 합리적인 식물을 재배하고, 경관 환경 요소와 식물을 합리적으로 배치해야 한다. 식물을 선택할 때 반드시 실버타운의 입지를 고려하여 남부 식물 혹은 북부 식물을 심을 것인지 결정해야 하며, 식물의 오감기능을 중시하여 교목, 관목, 화훼, 지피류 등 다양한 식물 종류를 선택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노인의 신체재활에 도움을 주는 식물이어야 하며, 식물 색을 배합할 때 계절감이 비교적 뚜렷한 식물을 선택해야 하지만 침엽수, 버들개지 및 독성이 있는 식물은 사용해서는 안 되며 노인의 신체 건강을 위한 식물을 선택하는 것을 전제로 해야 한다. 둘째, 실버타운의 공간 배치. 교통의 접근 용이성의 경우, 안전하고 편리한 도로 체계를 갖춰야 한다. 공간 인식 용이성의 경우, 명확한 표지와 공간 디자인을 사용해 간결하고 명확한 공간 배치를 해야 한다. 셋째, 실버타운의 공간 조성. 공간 적응성의 경우, 노인의 다양한 활동 등 수요를 만족시켜야 한다. 참여성의 경우, 다양한 노인의 개성과 수요를 중시하고, 단순하고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시설 등을 조성해야 한다. 공간 영역으로는 다층적인 공간 등을 디자인해야 한다. 넷째 실버타운의 인성화 디자인: 안전성의 경우, 완벽한 예방 보호조치를 취하여 디자인에 존재하는 안전 문제 등을 없애야 한다. 무장애 디자인의 경우, 실버타운 내 도로의 무장애 통행 등에 신경 써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번 연구는 미비한 점이 많으며, 앞으로의 학습 및 연구를 통해 좀 더 심층적인 탐색이 필요하다. 키워드: 치유,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 대학교 학점은행제 실용무용 교육과정의 비교연구

        박연주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오늘날 실용무용(스트릿 댄스)은 수많은 매스컴의 관심과 주목을 받고있다. 그로 인해 실용무용 (스트릿 댄스)은 여러 가지 영역을 넓혀가고 있으며, 여러 학자들에 의해 실용무용의 역사 및 용어 정리가 확립되는 중이다. 그중에서도 교육적 영역의 확립은 무용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해서 꼭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학교 내 학점은행제 시설 운영이 활발한 오늘날, 학점은행제 평가인정 과목 수가 20개 이상인 대학교 중 4년제 학교에서 운영 하고 있는 4개의 학교(상명대학교 부설 평생교육원, 국민대학교 부설 평생 교육원, 한양대학교 부설 미래 인재 교육원, 세종대학교 미래교육원)을 선정하여 학교의 이론 및 실기교과목 교육과정과 교육 목표를 문헌조사와 사회조사를 활용하여 선행 논문, 인터넷 조사, 통계치 분석 및 인터뷰를 통해 고찰하고 각 학교 학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해 대학교 학점은행제 실용무용 교육과정의 방향성과 교육적 발전을 위해 문헌 연구를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별 교육 목표는 이론과 실기를 겸비한 전문 인재 양성이라는 공통점을 지니며 더 나아가 다양한 장르를 습득하고, 기초이론 및 실기 교육 습득하여 개인의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한다. 둘째, 기관별 교육과정은 표준교육과정과 학점인정과목 (일반선택), 전공 심화 과정으로 구분되며, 표준교육과정은 전공 필수와 전공 선택으로 심층적 탐구를 진행하였다. 전공 필수는 총 8과목으로 기관별로 8과목 모두 운영하고 있으며, 전공 선택은 기관별로 차이가 있으나 모두 15과목 이상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학점인정 과목(일반선택)은 기관별 개설 운영과목이 큰 차이를 보였으나, 힙합Ⅰ,힙합Ⅱ의 과목은 4개의 기관 모두 운영 중이었다. 이는 각 기관의 학생들에게 열려있는 실용무용 관련 학점인정 과목이기 때문에 4개 기관 모두 운영 중인 것으로 판단했다. 또한 전공 필수, 전공 선택, 학점인정과목(일반선택) 모두 힙합Ⅰ,Ⅱ를 제외하곤 대부분 순수무용 과목과 타학과 과목으로 개설되어 있었다. 또한 이들의 과목 수를 합한 이론 및 실기 과목 비율이 70% 이상 실기 과목이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용무용 전공 심화 과목은 기관별 학과 교수역량으로 개설이 가능하며, 학점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단점을 가지지만 부족한 실용무용 역량을 채우기 위해 개설되고 있다. 과목은 락킹, 왁킹, 팝핀, 비보잉, 등으로 운영된다. 4개 기관 모두 모든 실용무용(스트릿댄스) 장르를 전공 심화 과목으로 운영 중이었다. 그중에서도 세종대학교 부설 평생교육원은 21세기 멀티 무용 인재 양성이라는 교육 목표를 따라 개성과 특성이 보이는 다양한 전공 심화를 운영 중이었다. 그러나, 4개 기관의 전공 심화 과정 모두 실기수업으로 이론 수업이 전무 한 것으로 나타났다.

      • 한·중 무형문화유산 관련 전공 설립과 인재 양성 비교 연구

        왕채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63

        한·중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과 인재 양성 비교 연구 무형문화유산은 세계 각국의 대중이 창조한 우수한 문명이다. 비록 경제의 세계화, 도시의 현대화 그리고 다른 문화권과의 충돌을 겪고 있지 만, 무한한 발전 가능성과 성장력,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점차 국가의 발전을 이끄는 중요한 요소이자 문화적 원동력이 되고 있다. 무형문화유 산의 전승과 보호는 정책·입법적인 보호 단계, 디지털화 보호 단계, 생산 적 보호 단계, 교육적 보호 단계 등을 겪었고 최종적으로 현재의 교육학 과적 보호 단계로 발전하였다. 무형문화유산 학과 보호의 전개는 전체 사 회구성원의 상호존중과 화해·공생에 유리하고 최종적으로 무형문화유산을 전승해야 한다는 자각 행위를 형성하였고 인간의 전면적 발전과 사회적 화해를 촉진하고 있다. 한·중 양국의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과 인재 양성 은 무형문화유산 보호 실천으로 깊이 각인되었으며, 특히 끊임없이 발전 하고 완벽해지고 있는 무형문화유산 보호법률, 무형문화유산 보호정책, 무 형문화유산 보호 체계의 무형문화유산 학과에 대한 영향력은 직관적이고 뚜렷하다. 여러 해의 발전을 거쳐 한·중 양국은 각자 특색 있는 성과를 형성하였다. 하지만, 양국에서 학과설립은 장기적으로 보호 실천에 치중되 어 있었고, 학과의 독립성이 모호하고 학문적 기초디자인의 부족함 등의 문제가 두드러졌다. 대학교 내 무형문화유산의 전승교육과 연구에 종사하 는 교수 자원이 크게 부족하고, 교재가 미비하며, 교육평가 표준 지표의 부족함의 문제가 드러났다. 이 문제들은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발전 및 대 학교 내 무형문화유산 전승 교육 발전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한국과 중국 대학교 교육체계 속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과 인재 양성 의 실천에 대한 정리, 분석, 비교를 통해서, 한·중 양국의 학술적 무형문 화유산 학과설립과 인재 양성에 관한 내용을 충실히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한·중 양국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과 인재 양성 체계 분석연구를 통해, 현대의 한·중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과 인재 양성을 위한 심도 있 고 뚜렷한 이론적 연구 기초를 제공할 수 있었다. 학과 연구 속에 존재하 는 현실적 문제를 고찰함과 동시에 균형적인 무형문화유산 학과 체계를 설립하고,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체계적인 학술적, 교육적 디자인을 통해,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제도적 설립을 완성하는 등의 여러 방면에서 무형문 화유산 학과설립을 완성하는 데에 필요한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기하였 다. 이는 한·중 양국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의 배경을 참고하여, 본 논문은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개념과 함 의를 명확히 하였다. 한·중 양국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형성 및 발전 과정, 학과의 규모와 현재 현황 등의 방면에서 충분한 비교를 진행했다. 이어서 학과의 설립, 인재 양성, 과정체계 3가지 측면에서 한·중 양국의 대학교 교육체계(학부 교육단계와 대학원 교육단계) 속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의 현황을 체계적으로 비교하였다. 대학교에서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설립은 대부분 지방의 무형문화유산 과 결합하며, 종종 학과의 위상과 특색 방면에서 대학교가 자체적으로 발 전시키지 않는 부분의 수요와 가치로 표현되기도 한다. 한국의 학부 교육 체계에 관해서는 주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국립안동대학교, 국립충북대학 교 3개 대학교의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설립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중 국의 학부 교육체계 속 무형문화유산 학과에 관해서는 “문화유산”과 “무 형문화유산 보호” 2가지 전공을 연구 분석하였다. 이 2가지 전공에 총 31 개 대학교의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 상황에 대하여 정리하고 통계를 냈으 며, 아울러 각 대학교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위상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대 학원의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의 교육체계로 한국의 학과 분석 대상으로는 고려대학교, 중앙대학교, 동국대학교, 전북대학교 4 곳의 석·박사 양성 과정을 주로 분석하였으며, 무형문화유산 연수대학, 문 화유산협동과정 등도 포함하였다. 중국의 학과 분석 대상은 복단대학교, 화동사범대학교를 포함한 31곳, 대학원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의 무형문화 유산 전공이 설치된 학교 18곳의 현재 전공 설치 상황과 각 학교의 교육 상황에 관해 비교 연구하였다. 인재 양성 방면의 비교는 주로 한·중 양국 대학교 교육체계 내 인재 양성 목표, 인재 양성 체계 및 교육 과정 양성 현황 3가지 측면에서 비교 를 진행했다. 본 논문에서는 한·중 양국 무형문화유산 인재 수요의 현황 을 분석했고, 한·중 각 대학교 인재 양성 목표를 정리했으며, 각 대학교의 인재 양성 표준 양식과 방법도 비교하였다. 또한, 공식적인 통계 수치에 근거하여, 일부 대학교 인재 양성 목표의 달성 상황, 인재 양성 체계의 과 학적 합리성 그리고 인재 양성 과정 및 무형문화유산 전공 인재의 실제 업무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분석하였다. 학과과정의 디자인은 인재 양성의 기본 조건이며, 무형문화유산 학과 설립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인재를 양성하는 기초 요소일 뿐 아니라 학과설립의 구체적인 표현이기도 하다. 한국 대학교 무형문화 유산 학과의 과정체계는 학부 과정체계, 대학원 과정체계 이외에 문화유 산협동 과정과 무형문화유산 연수학교 과정이 있다. 상대적으로 대중적 보급 정도가 더욱 넓고 전문성이 있으며 “전면적 보급” 과정체계를 형성 하고 있다. 중국 대학교 학부 단계의 과정체계는 학생의 사상·품성·소양의 양성을 중시하고, 복수학과, 융복합 전공, 교차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실천과 이론을 동시에 중시하고 실제 조사연구와 보호 이론의 결합을 중 시한다. 이상에서 본 논문에서는 분석연구를 통해 8가지 무형문화유산 학과설 립과 인재 양성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1. 무형문화유산 학과 교육의 수립과 발전의 필요성을 명확히 하고, 대학교 내의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의 필요성을 강조하여야 한다. 무형문 화유산 학과설립을 원활히 진행하려면, 우선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독립성 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다른 학과의 영향을 쉽게 받 게 된다. 필자는 국가의 역량을 빌려서 학계, 교육계에서 대학교 내 무형 문화유산 학과설립을 호소하고, 무형문화유산 학과를 독립된 학과로 설립 하고 인재 양성을 추진해야 한다고 본다. 2. 대학교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은 박물관과 현지와의 관계를 강화 하고, 지방의 장점과 결합하여 특색을 형성해야 한다. 3.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의 핵심은 인재 양성이며, 특색있는 무형문 화유산 인재를 분류하여 양성해야 한다. 현재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에 필요한 인재는 관리형과 연구형 인재 2가지 핵심 방향으로 나눌 수 있는 데, 실제 무형문화유산 학과 교육에서 우리는 관리형과 연구형 인재의 양 성 목표와 과정체계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가 있다. 4. 학제적(學際的) 성격을 따르는 기초 위에, 학과의 이론체계를 수립 하고 모듈화된 과정체계를 설립하며, 이론과 실천을 모두 중시해야 한다. 대학교 무형문화유산 학과 교육의 가장 핵심은 이론적 독립성을 확보하는 것이며, 동시에 학생의 실천 능력을 양성하는 데에 있다. 5. 무형문화유산 보호의 특징에 근거하여, 무형문화유산 교학 속 실천 활동의 비중을 강화해야 한다. 무형문화유산은 하나의 실천에서 나온 관 념으로 무형문화유산 보호와 전승의 실천적 특징을 주목해야 한다. 학과 교육은 단지 전통적인 지식 주입에 국한되어서는 안 되며 이론과 실천을 밀접하게 결합하여 교육, 전시 및 문화원형상품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새 로운 교육방식체계로 만들어야 한다. 6. 무형문화유산 전문 교학 팀의 설립을 추진해야 한다. 전통적인 무 형문화유산의 도제(徒弟) 제도와 비교했을 때, 대학교 무형문화유산의 전 승 교육은 독특한 장점을 가진다. 대학교의 교육자원과 학과 전공의 장점 을 더욱 잘 살릴 수 있고, 무형문화유산 전승자와 합작하여 무형문화유산 교육의 발전을 공동으로 추진할 수 있다. 7. 무형문화유산 “산, 학, 연, 창, 산”이 일체화된 플랫폼과 평가 체계 를 설립해야 한다. 사회경제의 쾌속 발전과 사회구조의 끊임없는 변화에 따라, 사회구성원들에게 더욱 강한 시대 적응 능력을 갖출 것을 요구받고 있다. 8. 무형문화유산 학과는 아직 걸음마 단계에 처해 있음을 비추어 볼 때 학생들에게 정책적 우대와 재정적 보조를 많이 제공해야 한다. 학과설 립은 정책 방향과 재정적인 도움을 벗어날 수가 없으며, 특히 걸음마 단 계에서는 더욱 그렇다. 이런 제안들이 한·중 양국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한국과 중국의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과 인재 양성은 이미 가치 있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전면적인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과 인재 양 성 이념 및 체계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기반을 다지고 다방면으로 디자인 되어야 한다. 세계 각국은 더욱 많은 합작과 공유가 필요하여, 이를 통해 강대하고 건전한 체계를 수립해야 한다. 국가와 정부는 무형문화유산 학 과의 발전을 적극적으로 지지해야 하며, 재정적 지원과 정책적 지지를 제 공하여 학술계와 무형문화유산 전승자 사이의 상호작용과 합작을 격려해 야 한다. 또한, 대학교는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설립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야 하고 맞춤형 교육 과정과 인재 양성 계획 수립을 통해 우수한 교수 자 원 역량의 유입을 유도하는 한편 학생들에게 광범위한 무형문화유산 교육 을 제공해야 한다. 대중은 무형문화유산의 보호와 전승에 적극적으로 참 여하고 무형문화유산 문화를 전승하며, 무형문화유산의 전승과 발전을 추 진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자국의 문화 전승과 발전에 이익이 될 뿐만 아 니라 전 인류문화의 다양성과 풍부성에 공헌할 수 있다. 핵심 키워드: 무형문화유산 학과, 학과설립, 인재 양성, 과정체계, 비교 연 구

      • 헤어미용서비스의 지각된 서비스품질이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선택만족도와 고객신뢰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영희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47

        헤어미용서비스의 지각된 서비스품질이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 -선택만족도와 고객신뢰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헤어미용산업의 과열된 시장경쟁과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불안요소는 헤어미용산업의 경영성과와 지속가능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헤어미용산업의 생존과 시장경쟁에서의 우위 확보를 통한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고객이 인지하는 서비스품질은 필수 불가결한 요소가 되었으며 서비스품질 향상을 통한 미용서비스산업의 지속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요구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헤어미용서비스 산업에 있어서 헤어디자인숍의 서비스에 대해 고객이 지각하는 서비스품질이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 이때 고객이 형성한 고객신뢰도와 선택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지속 가능한 미용서비스산업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고객관리방안 및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각 변수의 개념과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이론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를 근거로 도출된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헤어디자인숍을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2020년 10월에서 2021년 2월에 걸쳐 약 4개월간 서울, 경기, 강원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남·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수집된 510부의 데이터를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기분석, 위계적회기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상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헤어디자인숍의 서비스품질은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보장성, 공감성 등인 5가지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인 최종학력, 종사직종, 가족 월 소득, 헤어디자인숍 방문기간에 따라 요인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응성은 최종학력과 종사직종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였고 유형성과 보장성은 최종학력과 가족 월 소득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신뢰성은 최종학력과 종사직종, 가족 월 소득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였으며, 공감성은 최종학력과 헤어디자인숍 방문기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고객신뢰도의 경우 최종학력과 헤어디자인숍 방문기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선택만족도의 경우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소비자행동의 경우 최종학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둘째, 서비스품질이 고객신뢰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반응성, 신뢰성, 공감성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준다고 분석되었으며 유형성과 보장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 중 반응성, 신뢰성, 공감성은 선택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형성과 보장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서비스품질과 소비자행동과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반응성, 신뢰성, 공감성, 보장성은 소비자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반응성, 신뢰성, 공감성은 재방문의도에, 반응성, 신뢰성, 공감성, 보장성은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검증되었다. 다섯째, 서비스품질과 소비자행동 간에 있어서 고객신뢰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반응성, 신뢰성, 공감성 요인이 재방문 의도와 구전 의도에 통계적으로 긍정적 영향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서비스품질과 소비자행동 간에 선택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반응성과 신뢰성, 공감성 요인이 재방문 의도와 구전 의도에 긍정적 영향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헤어미용서비스에 있어서 소비자들의 긍정적 평가를 끌어내기 위한 서비스품질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함이 확인되었다. 빠른 속도로 변화해가는 소비자들의 관심과 요구를 기술적인 서비스만으로 채워줄 수 없는 현실에서 소비자들이 요구하는 정확한 기대수준을 파악하고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서비스품질 유지 및 개선을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헤어미용서비스 이용 고객의 지각된 서비스품질이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고객의 선택만족도와 고객신뢰도의 매개효과검증을 통해 차별화된 고객관리방안을 도출하고자 진행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서비스품질의 5가지 요인은 일반적인 서비스에 적용 가능한 서비스품질 요인으로서 헤어미용서비스의 특수성을 반영하지 못한 한계점을 가진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 유형성, 반응성, 보장성은 소비자행동 고객신뢰도, 선택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에 대한 정확한 원인 분석이 요구되며 미용분야의 특수성을 반영한 서비스품질 요인과의 관계성이 있는지 향후 연구에서 검증해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소비자 특성이나 사회, 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미용분야에 적용 가능한 더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는 시간적, 공간적 제한으로 인해 서울, 경기, 강원 지역에 거주하는 소비자를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한 표본의 한계점을 가진다. 이는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를 가짐으로 차후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전국으로 확대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고 대도시와 중소도시의 지역별 차이를 보는 연구를 진행한다면 미용분야의 지역별 균형적인 발전을 위한 의미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ABSTRACT The Effect of Perceived Service Quality on the Customer Behavior in Hair Beauty Service -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Selection Satisfaction and Customer Confidence Young-Hee Kim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angmyung University Division of Beauty Arts Business Administration by Professor Jong-Hoon Yang · Eun-Ju Ryu The overheated market competition in the hair salon industry and recent social instability factors caused by COVID-19 are having a serious impact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and sustainability of the hair salon industry. In order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through achieving superiority on the hair and beauty industry and market competition, the service quality recognized by customers has become an indispensable factor, and the sustainability of the beauty service industry is demanded more than ever. In response, this study will verify the impact of customer perceived service quality on consumer behavior in the hair beauty service industry, verify customer reliability and choice satisfaction, provide basic data for sustainable beauty service industry,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customer management measures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prior study considerations are used to derive concepts and components of each variable and found out their influence by preparing the groundwork for the theory. In order to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s derived from this basis, empirical studies were conducted on ordinary people who have experiences on visiting hair design shops. From October 2020 to February 2021, a survey on adult men and women living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Gangwon Province was conducted for about four months, and 510 copies of collected data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By utilizing the SPSS 21.0 program, various kinds of analysis such a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random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s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s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rvice quality of the hair design shop was derived from five factors: tangibility, reliability, responsiveness, assurance, and empathy, and significant differences have appeared on the factors of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occupation, family monthly income, and duration of visiting hair design shop. The responsiveness has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followed by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and occupatio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tangibility and assurance in terms of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and family monthly income. Moreover, there was also significant difference of reliability depending on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occupation, and monthly income of the family, and the difference of empathy was driven by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and duration of visiting hair design shop. In the case of customer reliabilit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depending on the duration of visiting hair design shops, and in the case of selective satisfaction,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followed by any of the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for the consumer behavio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Second,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service quality on customer reliability showed that it had significant influence in responsiveness, reliability, and empathy,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angibility and assurance. Third, among the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responsiveness, reliability, and empathy seem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ective satisfaction, but tangibility and assurance have no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Fourth, analysis of the impact between service quality and consumer behavior have confirmed that responsiveness, reliability, empathy, and assurance have a positive impact on consumer behavior, and in particular, intention of visiting again the same hair salon was derived from the responsiveness, reliability and empathy and oral intention was impacted by the reliability, empathy, and assurance. Fifth, after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customer reliability between service quality and consumer behavior, it was confirmed that responsiveness, reliability, and empathy factors mediated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s on revisit and oral intentions. Sixth, after finding out the mediated effect of selective satisfaction between service quality and consumer behavior, it was confirmed that responsiveness, reliability, and empathy factors mediated positive effects on revisit and oral intent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it became transparent that the service quality management for drawing positive evaluations from consumers in hair and beauty services is the most important agenda. In a reality with rapidly changing consumers' interests and needs cannot be filled with technical services alone, efforts are continuously required to identify the exact level of expectation demanded by consumers and to maintain and improve the service quality perceived by consume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mpact of perceived service quality on consumer behavior of customers of hair and beauty services and to drive out the differentiated measures of customer management by verifying the medium effectiveness of customer selective satisfaction and customer reliability. However, the five factors of service quality used in this study are service quality factors applicable to general services and eventually, they have limitations in terms of not reflecting the special and unique traits of hair and beauty services. In particula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angibility, responsiveness, and assurance do not partially affect consumer behavior, customer reliability and selective satisfaction, and this result definitely requires an analysis of exact reason, and verification through future studies of relationships with service quality factors that reflect special and unique traits of beauty criteria. By doing so, if various studies are conducted considering consumer characteristics or soci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t is believed that more meaningful results will be obtained which are applicable to the beauty criteria. In addition, due to the limitations on time and spac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limited samples selected and studied by consumers living in Seoul, Gyeonggi-do, and Gangwon-do areas. Since it brings about limitations on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f the future research expands its research targets to the nationwide scale to generalize the results and views the regional differences between large and small cities, it will be a meaningful study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in the beauty sector. Keywords: hair design shop, service quality, customer reliability, selective satisfaction, consumer behavior

      • 한⋅중 대학교 무용교육 체계의 비교 연구

        이권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647

        Dance education is an important education that realizes the values and functions of art education as important form and means of art education. However, the current status of dance education shows that there is not enough implementation on the education of dance itself, and as a result of neglect of research on the core values of dance education, dance studies are relatively experiencing marginalization between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s. In accordance with China’s reform and opening policy, China has been promoting exchanges with other countries in culture education, while also gradually increasing exchanges on dance education. The dance education of universities in China i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dance education system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today’s era and changes in history. As institutions of higher dance education, universities faced new demands and challenges for the dance education system under the background of the new cultural era.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literature researches, and a comparative study was conducted on the education system of department of dance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which are located adjacent to East Asia, in order to achieve the advancement of Chinese dance education. To this end, universities located in the capitals of the two countrie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to analyze and study the dance education system of the universities based on research on three parts, which are the selection process of freshmen in department of dance, the current status of opening of curriculum, and the graduation requirements. Through organiz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dance education systems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ies with the process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the dance education system of the universities in the two countries, this study sought the development and future establishment direction of the Chinese dance education system and drew out the improvement plan on the Chinese dance education system. Furthermore, the researcher intends to establish improvement plans through this study, while also researching for the Chinese dance education system to achieve the pluralization of development in the globalization trend of art in the future.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n educational objective of dance education in universities, the boundaries of dance should be widened to contribute to popularizing dance. Second, dance education in universities should break the standardized education system while setting up an educational system that conforms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university and creating its own educational characteristics. Third, dance education in universities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choose from a wide range of autonomous learning fields.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would help the researchers who conduct follow-up studies on Korean and Chinese dance education fields, and further help the development of Chinese dance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comparative study on Korea’s advanced university dance education system. 무용교육은 예술교육의 중요한 형식 및 수단으로서 예술교육의 가치와 기능을 실현하는 중요한 교육이다. 그러나 현재 무용교육의 현황을 보면 무용 자체의 교육가능 구현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이며 구체적으로는 무용교육의 핵심적 가치에 대한 연구에 등한시한 결과 무용학이 인문과학과 자연과학 사이에서 비교적 주변화를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중국의 개혁 개방정책에 따라서 중국은 문화교육에 있어서도 해외 각국과 교류를 촉진을 하면서 무용교육에 관한 교류도 점차 활발해지고 있다. 중국 대학교의 무용교육은 오늘날 시대의 발전 및 역사의 변천에 따라서 무용교육 체계를 정립하는 중에 있다. 대학교는 고등 무용교육기관으로서 새로운 문화 시대 배경 하에 무용교육 체계 새로운 요구와 도전에 직면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진행하며 중국 무용교육의 선진화를 이룩하기 위하여 동아시아의 인접국인 한국 대학 무용교육과의 교육체계에 대한 비교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인 한국의 이화여자대학교, 한양대학교, 상명대학교 및 중국의 중앙민족대학교, 수도사범대학교, 베이징사범대학교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대학교 무용교육 체계를 크게 무용학과의 신입생 선발과정, 교육과정 개설현황 및 졸업요건의 세 부분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분석 연구하였다. 한국과 중국 대학교 무용교육 체계의 현황을 비교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서 양국 대학교 무용교육 체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해서 중국 무용교육 체계의 발전 및 향후 정립 방향을 모색하여 중국 무용교육 체계의 개선방안을 도출해 낼 수 있도록 하며, 더불어 본 연구를 통해 개선방안을 정립하는 한편 중국 무용교육 체계가 향후 예술의 세계화 경향 속 발전의 다원화를 이룩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의 무용교육은 무용의 경계를 넓혀서 무용을 대중화시키는 데에 기여하여야 한다. 둘째, 대학교 무용교육은 각 대학교의 특성에 부합하는 교육체계를 설정하고, 자신만의 교육적 특색을 조성해야 한다. 셋째, 대학교 교육은 학생들에게 자율적 학습 분야 선택의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과 중국의 무용교육 분야를 후속적으로 연구하는 연구자에게 도움이 있기를 바라며, 나아가 인접 국가인 한국의 선진적인 대학교 무용교육 체계를 비교 연구하는 과정을 통해 중국 무용교육의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한·중 시각디자인 교육 과정 비교 연구

        왕모자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47

        4차 산업 혁명은 디자인 산업구조의 변화를 이끌었는데 신기술의 출현으로 인해 새로운 직업 형태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또한 사회 여러 분야에서는 디자인 인재에 대한 지식 구조와 함께 새로운 전문적인 역량이 필요하게 되었다. 디자인 산업 중에서도 시각디자인 분야는 디자인 기업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도 하고, 디자인 전문기관에서 제공하는 디자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따라서 산업구조의 변화와 함께 이에 따른 인재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대학교의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이에 한국과 중국의 우수한 시각디자인 전공 교육과정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대표적인 대학의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미래인재에 관한 자료를 근거로 시각디자인 인재의 역량으로 꼭 필요한 5가지 역량을 도출하였다. 시각디자인의 인재 역량은 `전문지식 탐구력', `창의적 문제해결력', `융복합적 사고능력', `조형적 표현력', `논리적 기획력'이다. 본 연구의 범위는 2019년 QS 세계대학 예술 및 디자인학과 평가 순위에 따라 대표성 있는 대학으로 한국에서는 서울대학교와 홍익대학교를 선정했고 중국에서는 청화대학교와 강남대학교를 선정했다. 이와 함께 추가로 한국에서는 디자인 교육을 특성화한 상명대학교와 중국에서는 디자인 학과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 소주대학교를 선정하여 총 6개 대학의 시각디자인 교육을 바탕으로 교육이념과 수업시스템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시각디자인 인재의 5가지 역량'을 척도로 6개 대학의 시각디자인 교육과정도 함께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첫째, 한국 대학의 시각디자인 교육이념은 디자인 환경 변화에 맞춰 시각디자인 전문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한국 대학의 수업시스템은 분산식(15주) 교육방식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이는 `능동적'인 사고 및 탐구적인 교육방식이라 할 수 있다. 반면 중국 대학의 시각디자인 교육이념은 이론과 실천의 결합을 강조하여 다양한 직무에 맞는 복합형 인재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수업시스템인 경우 집중식(2, 3, 4, 8주 등)교육과 분산식(16주. 이론수업)교육 등 다양한 교육방식을 운연하고 있었으며 이는 `수동적'인 지식습득 학습방식이라 할 수 있다. 둘째, 한·중 대학의 시각디자인 전공 교육과정을 비교한 결과 `시각디자인 인재의 5가지 역량'은 한·중 6개 대학 모두 골고루 나타났다. 양국 대학의 시각디자인 교육과정에서 `전문지식 탐구력'의 비율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반면 한국 대학 시각디자인 교육과정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융복합적 사고능력', `논리적 기획력'의 비율은 중국 대학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중국 대학 시각디자인 교육과정의 `조형적 표현력' 비율은 한국보다 높게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한국은 `조형적 표현력'과 `전문지식 탐구력' 위주로 되어있으며 `논리적 기획력', `창의적 문제해결력', `융복합적 사고능력'이 비교적 균형적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국은 `조형적 표현력'이(41.9%)이 매우 높게 나타나며 그 다음으로는 `전문지식 탐구력'을 높게 나타났고, `논리적 기획력', `창의적 문재해결력', `융복합적 사고능력'에 대한 교육과정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중국 대학의 시각디자인 교육은 미래의 시각디자인 인재 양성을 위해 한국 대학의 시각디자인 교육과정 설정을 참고로 `융복합적 사고능력'과 `논리적 기획력'에 관련된 교육과정을 적절히 강화할 필요가 있다. 융복합적 사고능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스튜디오', `워크숍' 등의 교과목을 추가적으로 개설하여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논리적 기획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디자인 리서치', `디자인 매니지먼트', `기업적 디자인 스튜디오' 등의 교과목을 추가적으로 개설하여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시각디자인 교육과정에는 `전문지식 탐구력', `창의적 문제해결력', `융복합적 사고능력', `조형적 표현력', `논리적 기획력' 등 5가지 역량을 갖춰야하지만 대학교마다 가지고 있는 환경이나 특성(추구하는 비전이나 교육목표 등)에 따라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한다. 글로벌 산업의 변화와 과학기술의 발전은 미래 업무의 내용과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미래에는 시각디자인 인재의 역량에 대한 사회적 수요에도 변화가 생길 것으로 예상된다. 미래의 시각디자인 인재 역량이 사회적 수요에 더욱 부합하기 위해서는 대학의 시각디자인 교육이 사회적 수요에 맞게 학과의 교육과정을 조정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각디자인 인재의 5가지 역량을 확인하였고, 그 분석결과는 후속 연구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할 뿐만 아니라 한·중 양국 대학의 시각디자인 교육 교육과정 설정 및 인재 양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중국 전문대학의 응용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 산동성 내 전문대학을 중심으로

        노검영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Applied Korean Language in a junior college, which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curriculum for Korean learners for vocational purposes in China,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it. To this end, the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of China Colle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university's Korean language curriculum were examin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curriculu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Shandong University of China. In addition, in order to come up with measures to improve the curriculum that can be applied in the actual Korean language field, a survey was conducted on learners and professors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in Shandong Province, China.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urvey, the goal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pplied Korean language departments at junior colleges in China and the contents to be learned were set more clearly and proposed ways to improve the curriculum. In Chapter 1, we looked at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its scope and methods, and existing studies. It was analyzed focusing on related research in Korea and China as a prior study necessary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Chapter 2 summariz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examined to improve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e meaning of the Chinese language. To this end, we first identified theories such as the concepts, components and development procedures of the curriculum, and the concepts and types of syllabus. Next, we looked at the concept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types by purpose, and the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We found out the definition of a Korean curriculum for general purposes and a Korean curriculum for special purposes.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vocational purposes can be said to be Korean-related education for "specific purposes," which is distinguished from "general purposes," in that Korean is educated as a way of clear practice. It will examine the general theory of curriculum and the theory of Korean curriculum, analyze the Korean curriculum of colleges in Shandong Province, and conduct a demand analysis for learners and education officials to use it to present improvement measures. Chapter 3 analyzed the curriculum of the applied Korean language major in China College and the actual state of the curriculum. First of all, we looked at the concept of applied Korean language major in Chinese colleges and looked at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language majors in general universities. We looked at the large framework of China's general university curriculum and identified what the representative curriculum was like in the case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Next, we examined the curriculum and current state of education of applied Korean language majors in Shandong Province, China. After examining the large framework of the curriculum of Chinese colleges, we analyzed specifically the applied Korean language education goals and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 Chinese colleges. Eight representative schools in Shandong Province, the region with the most applied Korean majors,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current education status used by the universities. Referring to the curriculum framework of Jeon Young-chul et al. (2009) and Kim Joong-seop et al. (2017),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s applied to colleges in China was analyzed into five categories: communication functions, language knowledge, culture and litera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in the applied Korean language department of a Chinese junior university organized through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communication functions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the applied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Korean Writing" subject was relatively difficult to train "Korean Writing" skills because it did not have many teaching hours. Second, subjects that train language knowledge skills accounted for the lowest percentage of all functions, 2.83%. This meant that there was a very lack of subjects related to the language knowledge system. Thir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is a lack of class assignment for subjects related to culture and literature. Fourth, the subjects related to job performance accounted for a considerable portion, but it seemed that more subjects with greater practicality should be opened to learners. Fifth, even though the subjects related to practical and practical training accounted for a reasonable portion, it is necessary to open many practical and practical courses to enhance the practical effectiveness. In addi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curriculum were presented, and education difficulties such as textbooks, faculty, and teaching methods were reviewed. In addition, I wanted to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plied Korean language major. In Chapter 4,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atisfaction and demand of the current applied Korean language major curriculum to improve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f applied Korean language student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needs of learners and professors of Korean language at junior colleges, the problem of the appli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which forms the basi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closely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firmed that learners and professors of the Department of Applied Korean Language at Chinese College generally need to improve the current curriculum. In addition, the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revealed that the goals of each subject's learning are not clearly presented, the setting of the subject is not appropriate, and the allocation of class hours of the practice and theory courses is not appropriate. These problems ar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study and are actively reflected in presenting ways to improve the curriculum. Chapter 5 presented problems in the appli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 Shandong Provincial College and measures to improve them accordingly based on the situation analysis conducted in Chapter 3 and the demand analysis conducted in Chapter 4. Finally, four ways to improve the appli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t Chinese colleges were summarized. First, it is the realization of the Chinese Ministry of Education's target for human resources education. Second, it reflects measures to foster talent that are tailored to regional characteristics. Thirdly, it is an improvement in the hands-on process. Fourth, it is developing a plan to promote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Chapter 6 comprehensively summarizes the progress of the study as a conclusion of this study. 이 연구는 중국 내 직업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육과정의 대표적인 사례인 전문대학 내 응용한국어학과의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국 전문대학 응용한국어학과의 운영 현황과 각 대학의 한국어 교육과정에 어떠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를 고찰함으로써 중국 산동성 전문대학 한국어 교육에서 교육과정의 실태를 파악하였다. 이와 함께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는 교육과정 개선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중국 산동성 내 전문대학 응용한국어학과 학습자와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현행 응용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내 전문대학 응용한국어학과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목표와 학습하여야 할 내용을 보다 명확하게 설정하고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연구 범위와 방법, 기존 연구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선행연구로 한국과 중국 내의 관련 연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이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중국 내 광의의 의미의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해 이론적인 배경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교육과정의 개념, 구성요소 및 개발 절차, 그리고 교수 요목의 개념과 유형 등 이론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어 교육과정의 개념, 목적별 유형 및 한국어 교육과정의 대표적인 사례를 살펴보았다. 일반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과 특수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 정의를 알아내었다. 직업 목적의 한국어 교육은 명확한 실무를 위한 방안으로 한국어를 교육한다는 점에서 ‘일반 목적’과는 구분되는 ‘특정 목적’의 한국어 관련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교육과정 일반 이론과 한국어 교육과정론을 살펴보고 산동성 내 전문대학의 한국어 교육과정 분석, 학습자와 교육 관계자를 대상으로 요구 분석을 실시하여 개선 방안 제시에 활용하고자 한다. 3장에서는 중국 전문대학 응용한국어 전공의 교육과정 개관 및 교육과정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에 먼저 중국 전문대학 응용한국어 전공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일반 대학의 한국어 전공과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중국 일반 대학 교육과정의 큰 틀을 살펴보고 그 중에 한국어학과의 경우에는 대표적인 교육과정이 어떠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는 중국 산동성의 전문대학 응용한국어 전공의 교육과정과 교육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중국 전문대학의 교육과정의 큰 틀을 살펴보고 나서 중국 전문대학 응용한국어 교육 목표와 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을 하였다. 응용한국어 전공이 가장 많이 개설된 지역인 산동성의 대표적인 8개 학교를 선정하여 그 대학들이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교육과정과 현재 교육 현황을 분석하였다. 전영철 외(2009)와 김중섭 외(2017)의 교육과정의 틀을 참고하여 중국 내 전문대학 응용한국어학과의 교육과정을 의사소통 기능, 언어지식, 문화와 문학, 직무 수행 관련 및 실무+실훈 등 5가지로 분류하여 분석함으로써 실제로 각 영역의 교육 내용을 포함한 현황 및 특성을 밝혔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정리된 중국 전문대학 응용한국어학과에서의 교육과정의 특성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응용한국어 교육에서 의사소통 기능은 절반 이상의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한국어 쓰기’ 과목은 비교적 교학 시수가 많지 않아 ‘한국어 쓰기’능력을 양성하기에 좀 어려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둘째, 언어지식 능력을 양성하는 교과목들은 전체 기능의 2.83%로서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는 언어지식 체계와 관련 있는 교과목이 아주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셋째, 문화와 문학에 관련된 교과목도 수업 배정이 부족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넷째 직무수행에 관련된 교과목은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였지만 학습자들에게 실무성이 큰 과목은 더 많이 개설되어야 하는 것으로 보였다. 다섯째, 실무+실훈에 관련된 교과목들은 적당한 비중을 차지하였는데도 실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 실천과 실훈 교과목을 많이 개설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교 분석을 통해서 기존 교육과정의 한계점과 문제점을 제시하였고 교재, 교수진, 교수법 등 교육 실제 애한 검토를 진행하였다. 이와 함께 응용한국어 전공의 특성도 정리하고자 하였다. 4장에서는 이 연구의 실용적 가치를 고려하여 응용한국어학과 학생들의 한국어 능력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해 응용한국어학과 학습자와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현행 응용한국어 전공의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대학 응용한국어의 학습자와 교수자 요구 분석을 바탕으로 중국 전문대학 한국어 전공자를 위한 교육 내용을 선정하는 데 한국어 교육의 기틀을 이루는 응용한국어학과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면밀히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를 통해 중국 전문대학 응용한국어학과 학습자와 교수자들이 보편적으로 현행 교육과정에 대해 개선할 필요성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게다가 현행 한국어 교육에서 각 교과목 학습의 목표가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못하고 교과목의 설정이 적절하지 못하고 실천 과정과 이론 과정의 수업 시간 배정도 적절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드러났다. 이러한 문제점은 본 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큼 것으로서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적극 반영하였다. 5장에서는 3장에서 진행한 상황 분석과 4장에서 진행한 요구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산동성 전문대학의 응용한국어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그에 따른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중국 전문대학에서의 응용한국어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은 최종적으로 다음의 네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중국 교육부의 인재 교육 목표 구현이다. 둘째, 지역 특성에 맞춘 인재 육성 방안 반영이다. 셋째, 실습 과정의 개선이다. 넷째, 산학협력 증진을 위한 방안 개발이다. 6장은 본 연구의 결론으로서 연구 진행 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 돈에 대한 태도 척도 개발 및 투자행동에의 적용

        최재경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9647

        국 문 요 약 돈에 대한 태도 척도 개발 및 투자행동에의 적용 돈에 대한 태도는 돈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가치관과 성향으로 정서적(Affective), 행동적(Behavioral), 그리고 인지적(Cognitive) 3가지 구성요소로 구조화되어 있으며 개인의 실질적인 의식과 행동을 통해 발현되어 직·간접적으로 개인의 재무의사결정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의 심리적인 변인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돈에 대한 태도를 평가하는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돈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를 적용하여 소비자 개인의 돈에 대한 태도 집단 유형을 살펴보고 관련 변인인 투자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및 전국에 거주하는 30세 이상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461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적 분석을 위해 SPSS 20.0과 AMOS 18.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교차분석, K-Means 군집분석, one-way ANOVA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으며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유의미한 최종 28개 문항, 7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돈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새로운 용어들로 구성된 7개 하위요인은 요인1‘지위지향’, 요인2‘신중함’, 요인3‘고급지향’, 요인4 ‘선호’, 요인5‘배척’, 요인6‘걱정’, 요인7 ‘회피’로 각각 분류되었다. 둘째, 돈에 대한 태도의 7개 하위요인을 바탕으로 일반소비자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성된 3개의 군집은‘군집1: 고급지향신중형’, ‘군집2: 물질지향불안형’, ‘군집3: 배금지양경계형’로 명명하였다. 군집 간 특성차이의 분석 결과는, 고급지향신중형은 돈에 대한 태도 요인 가운데 신중함, 고급지향, 회피의 성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물질지향불안형은 돈에 대한 태도 요인 가운데 선호, 지위지향, 걱정의 성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배금지양경계형은 돈에 대한 태도 요인 중 배척, 회피의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돈에 대한 태도와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변수들이 투자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돈에 대한 태도 요인 가운데 고급지향, 회피, 지위지향, 걱정의 성향과 일반적 특성 가운데 주관적 재무지식수준, 성별, 비취업, 가계소득은 투자행동 요인 중‘자기과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로 나타났다. 돈에 대한 태도 요인 중 고급지향, 신중함, 걱정의 성향과 일반적 특성 중 주관적 재무지식수준과 성별은 투자행동 요인 가운데‘낙관적 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로 나타났다. 돈에 대한 태도 요인 가운데 고급지향, 걱정, 신중함, 회피의 성향과 일반적 특성 가운데 성별과 주관적 재무지식수준은 투자행동 요인 중 ‘자기통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로 보여줬다. 마지막으로 돈에 대한 태도 요인 중 신중함, 고급지향, 회피, 걱정의 성향과 일반적 특성 중 주관적 재무지식수준, 성별, 연령은 투자행동 요인 가운데‘투자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객의 현명한 재무적 의사결정 및 행동을 위한 조언을 하는 재무상담자가 고객을 좀 더 이해하기 위해 주관적인 심리변인인 돈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는데 본 척도가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돈에 대한 태도 척도, 주관적인 심리변인, 투자행동 Attitude toward money is a set of values and propensity for money. It is constituted of 3 components: Affective, Behavioral, and Cognitive factors. It is one of individual's psychological factors which directly/indirectly influences the financial decisions-making and behaviors. It is manifested through individual's actual consciousness and behaviors. In this contex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to assess attitude toward money. Then, this scale could be utilized to examine group type of attitude toward money of an individual as a consumer and to understand how it influences related factors, investment behaviors. The samples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conducted on online. There were 461 of them who are all above 30 of age. For the objective analysis, Statistical package programs, SPSS 20.0 and AMOS 18.0 were used. Using the program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K-Means cluster analysis, one-way ANOVA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execu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easuring tools to assess attitude toward money were developed which were composed of the final 28 questions and seven factors. The seven factors, composed of new terms are as in the followings: The seven factors, composed of new terms are as in the followings: factor 1, Status Orientation; factor 2, Prudence; factor 3, Advanced Orientation; factor 4, Preference; factor 5, Exclusion; factor 6, Anxiety; factor 7, Avoidance. Second, in order to study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based on 7 factors, cluster analysis was executed and 3 clusters were named as followings: cluster 1, a group of advanced orientation with prudence; cluster 2, a group of material orientation with anxiety; cluster 3, a group of abandon materialism with vigilance. Examining differences of characteristics between clusters, the group of advnaced orientation with prudence showed high scores in factors of prudence, advanced orientation, and avoidance. The group of material orientation with anxiety showed high scores in factors of preference, status orientation, and anxiety. Finally, the group of abandon materialism with vigilance showed high scores in factors of exclusion and avoidance. Third, it was found that attitude toward money and subject's general variables of its characteristics influence investment behaviors. Among attitude toward money, factors of advanced orientation, avoidance, status orientation and anxiety were found to influence 'overconfidence' of investment behaviors along with the level of the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gender, unemployment and household income variables. Factors of advanced orientation, prudence, anxiety were found to influence 'optimistic expectation of return' along with the level of the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and gender variables. Factors of advanced orientation, anxiety, prudence and avoidance were verified to influence 'confidence of self-controllability' of investment behavior. Lastly factors of prudence, advanced orientation, avoidance and anxiety, along with the level of the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gender and age variables, were found to influence 'the investment propens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nancial planners, whose job is to advise on financial decisions and behaviors of clients, is expected to utilize this scale developed to grasp client's attitude toward money which is subjective psychological variable so to understand clients more deeply. Key word: a scale for measuring money attitude, subjective psychological variable, investment behavior

      • 한국과 중국 대학교의 현대무용 교육과정 비교 연구

        백맹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국 문 요 약 한국과 중국 대학교의 현대무용 교육과정 비교연구 한국과 중국은 공통된 문화적 배경과 사회풍속을 갖고 있기 때문에, 중국의 경우 미국과 유럽 등 서양의 다른 나라보다 한국의 현대무용에 대한 비교 연구는 중국 현대무용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한국 대학교와 중국 대학교의 현대무용 교육과정 및 현황을 파악하여 그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한 후, 이를 바탕으로 하여 중국 대학교의 현대무용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대학교 중에서 이화여자대학교와 상명대학교를 선택하였고, 중국의 대학교 중에서 복경무용학원과 수도사범대학을 선택하였다. 이들 4개 대학을 대상으로 하여 중국의 현대무용 교육과정에 관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들 4개 대학교의 현대무용의 교육목표, 교육과정(이론과목, 실기과목), 교육내용 및 방법 등을 순서대로 고찰하고,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각각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추론할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대학교의 현대무용 교육목표처럼 중국 대학교의 현대무용 교육목표에도 무용 전문 인력의 양성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한국의 대학교와 마찬가지로 중국의 대학교에서도 현대무용의 이론과목으로서 “무용표기법”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중국의 대학교의 현대무용 실기 과목을 10개 강좌 이상 확대하여 한국의 대학교처럼 반복적인 실기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Comparative Study of Modern Dance Curriculum in University of Korea and China Bai Meng Dept. of Damce The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Korea and China have a common cultural background and social customs, because the comparative study of Korea's modern dance than any other country in Wester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can be consider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dance in China. Thu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problem of modern dance's curriculum and education status in the Korea's University and the China's University, and on this basis aims to establish a improvement for modern dance curriculum of China's University. In this paper, Ewha Womans University and Sang Myung University in Korea was selected, and Beijing Dancing Academy and Capital Normal University in China also was selected. and this paper was done comparative study about the curriculum of modern dance targeting these four universities in Korea and China. Specifically, the objectives of education, teaching courses (theoretical courses, practical courses),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of modern dance in these four Universities were analyzed f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 conclusion in this paper can be inferred as follows. First, as with Korea's University in the object of modern dance at China's University the educational objectives for the training and upbringing of professional dance staff is even more desirable. Second, as with Korea's University in the theoretical courses of modern dance "dance notation" needs to be added in China's University. Third, as with Korea's University practical courses of modern dance should be increased more than 10 courses and repeated practical learning should be done.

      • 공동주택 관리비 및 종사자 고용에 관한 실증연구

        강현석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47

        This study consisted of three independent papers on multi-family housing. Each paper investigates determinants of a management fee of multi-family housing, the influencing factors of employing its management work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imum wage and the employment conditions of multi-family housing security guards. In part I, introduction, the background, purpose, and structure of the study were introduced, and in part II, the significance of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and the employment conditions of related workers were reviewed with the institutional perspective. In part III, IV, and V, empirical researches were performed for each subject. Finally, in part VI,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integrated, implications were drawn,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asks for future studies were presented. In the first article, the purpose is to establish three models on total management fee, common management fee, and individual fee and to quantify the effect of variables on each management fee model. It is noted from the fact that apartment housing management fee is affected by several factors including physical and loc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s a regional factor, the common management fee was lower in Giheung-Gu and Cheoin-Gu compared to Suji-Gu by 28.959 and 46.534 won/㎡. The management fee was the highest in sold multi-family housing compared to rental ones for all the three models. The individual management fee was strongly affected by heating type, resulting in higher management fee for district heating system. In addition, more recent multi-family housing was associated with higher total management fee and individual fee compared to old ones. The number of households showed negative(-) effects in all three models, being found to be economies of scale. Since this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three models of total management fee, common management fee, and individual fee were affected by different determinants with different magnitudes one another, therefore, draws a conclusion that the efficient operation of management fee requires a differentiated response pla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determinants of major items of management fee. The purpose of the second article is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of employment for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workers such as security guards, and cleaners and to quantify their influences. It was noted that the employment of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workers is affected by various variables such as regional factors and parking control system install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more recent multi-family housing (Pangyo/Gwanggyo) employed fewer workers for all three kinds of jobs compared to the older one (Bundang), by 2.472 persons per complex for the manager, 1.609 for the cleaner, and especially 6.274 for the security guard. This implies that a more effective job creation policies such as new work to improve management service quality and job discovery are needed to force new employment of an appropriate number of workers in the newly built multi-family housings. The third article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 of minimum wage on the employment, wage, and working hours of multi-family housing security guards. This was due to the recent sharp increase in the minimum wage, which became a restriction of demand for security guards, and most of the multi-family housings are quick to repose on labor cos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for each 1% increase in the minimum wage, the employed worker per complex decreased 0.023 or 0.081, the monthly wage increased 0.41-0.74% or 0.79, and monthly working hours decreased 0.61-0.70 hours or 0.53 hours. Consequently in order for the effect of policy to be realized by reflecting the minimum wage increase to the security guard wage increase without loss, the statutory working hours of security guards should be stipulated at a level similar to that of general workers by amending the supervisory worker regulations, or the improvement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welfare support policies that directly benefit the security guard are needed. 본 연구는 공동주택과 관련된 세 개의 독립된 논문으로 구성하였다. 각각의 논문은 크게 공동주택 관리비의 결정요인, 공동주택 관리 종사자의 고용변동요인, 그리고 최저임금과 공동주택 경비원의 고용여건과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1장 서론은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의 구성 등을 살펴보고, 2장에서는 공동주택관리의 의의 및 종사자의 고용여건을 제도적 측면에서 검토했다. 3장에서 5장까지는 각각의 주제별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끝으로 6장 결론에서는 연구결과를 종합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와 향후 과제를 제시했다. 첫 번째 연구는 전체관리비, 공용관리비 및 개별사용료의 세 가지 모형을 설정하여 어떤 변수가 세가지 모형의 관리비 결정요인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계량화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공동주택 관리비가 물리적 특성 및 지역요인 등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착안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지역요인으로 공용관리비는 수지구보다 기흥구와 처인구가 각각 단위면적(㎡)당 28.959원과 46.534원이 낮게 나타났다. 소유형태요인은 분양 공동주택이 세 모형 모두에서 높은 관리비가 부과됐다. 개별사용료는 난방형식의 영향을 크게 받아 지역난방일수록 관리비가 높았으며, 최근에 지어진 공동주택일수록 전체관리비와 개별사용료가 높았다. 세대수는 세 가지 모형 모두에서 음(-)의 영향력을 미쳐 규모의 경제가 작용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따라서, 본 실증분석에서는 세 가지 모형 모두가 각각 다른 결정요인으로부터 다른 크기의 영향을 받아, 관리비 주요항목의 성격에 따라 차별적인 대응방안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갖는다. 두 번째 연구는 관리원, 경비원 및 청소원 등 세 가지 모형 각각의 고용변동요인을 찾아내고 그 영향력을 계량화하는데 목적을 뒀다. 종사자의 고용변동이 지역요인 등 다양한 변수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착안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2기 신도시 공동주택에서 세 모형의 종사자 모두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보다 최근에 지어진 판교 및 광교신도시가 분당신도시보다 관리원은 단지당 2.472명, 청소원은 1.609명, 경비원은 6.274명이 적은 결과를 보여줬다. 따라서, 신규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관리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업무를 발굴하는 등의 적극적인 고용창출 정책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세 번째 실증분석은 최저임금제가 공동주택 경비원의 근로자수, 임금 및 근로시간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최근 최저임금이 급격하게 오른데다 공동주택 공급의 한계로 경비원 노동수요가 제한되었고, 대부분의 공동주택단지가 인건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현상에 착안했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최저임금이 1% 인상될 때마다 경비원수는 약 0.023명 또는 0.081명이 줄어들고, 월 임금은 0.41~0.74% 또는 0.79%가 증가하며, 월 근로시간은 0.61~0.70시간 또는 0.53시간이 감소하는 결과를 도출했다. 최저임금이 오른다 해도 경비원 임금을 곧바로 인상하는 대신에 경비원의 감축, 근로시간의 조정 등의 방법을 적용하여 선택적으로 반응한다는 실증적 결과를 보였다. 특히 공동주택 경비원의 고용감소 수치와 월 임금의 낮은 인상률은 경시될 수 없는 수준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최저임금제가 목표로 하는 고용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경비원의 근로시간을 일반근로자 수준으로 규정하거나 경비원에게 직접적인 혜택이 미치는 복지지원정책이 필요하다는 정책적인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