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중국 소수민족 중고등학교의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 조선족을 사례중심으로

        조효룡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국에서 한족이외의 소수민족에 대한 교육을 민족교육으로 정의하며 소수민족에 대한 교육의 실시는 역사적원인과 현실의 여러 가지 사유에 의해 현재 대부분 민족학교가 교육방법이 단일하고 교육자원과 교학설비가 낙후하다고 제시되었고 그중에 조선족은 민족교육의 선행자이지만 최근 큰 도시 이외의 조선족학교는 학생수가 줄어들고 학교운영이 어려우며 수업체계가 불 완정하며 교육자원이 일반학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한 상태에 처해 있다고 밝혀져 있다. 이에 근거하여 조선족 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현황조사를 진행하고자 하며 조선족 중고등학교의 공간적 특징과 디자인적 요소를 정리하여 부족 점을 검토하고 향후로 조선족 중고등학교의 실내 공간 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의 사례대상인 조선족학교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본인이 실제로 중국길림성의 장춘시, 길림시, 연길시, 매하구시, 장백현을 방문하여 현장조사를 진행하였고 조선족학교의 실내 공간 분류와 디자인적 요소를 조사하여 정리한 결과, 전반적으로 조선족학교의 학습부문이 일반학교의 계획면적보다 적고 그중의 특수교실의 공간 점거율이 적으며 시설 보완이 시급하고 실내마감은 과반수가 흰색 페인트로 된 것이 대부분이며 학교실내에서 빈번하게 청색과 석간주색, 그리고 원목재질의 모습을 찾아 볼 수 있고 일반교실에는 형광등을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며 복도공간에 법적으로 규정된 응급조명과 지시조명이 배치되어 있다. 가구의 경우 국가에서 규정한 표준치수 하에 가구의 조형이 크게 차이 나지 않으며 일반교실마다 학생용 교구 이외에도 수납장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홀 공간은 학교의 상징이므로 민족역사와 민족성을 대표하는 상징물의 배치가 필요하다고 추단한다. In China, education provided for ethnic minorities other than Han Chinese is defined as the education for ethnic minorities (EFEM). However, due to historical causes and various realistic reasons,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most of the EFEM schools currently offer monotonous curriculum and suffer from the lack of sufficient educational resources and highly deteriorated facilities. As for ethnic Koreans in China, despite their status as the first mover in the EFEM, Korean EFEM schools have been found to continue to attract fewer students year after year, and face difficulty in school operation, incomplete curriculum, and educational resources that relatively fall behind regular schools. Based on this,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survey on the status of the secondary Korean EFEM schools and identify deficiencies by reviewing spatial features and design elements so as to offer guidelines for improv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secondary Korean EFEM schools. As such, in order to identify the actual condition of the Korean EFEM schools as the case objects of this study, Jilin Province, Changchun, Jilin, Yanji, Meihekou, and Changbai County were visited to conduct the field survey. As a result of the review of the survey on the interior space classification and design elements of the Korean EFEM schools in the said locations, as their learning space was, in overall, smaller than the planned space within regular schools, with the space occupancy rate of special classrooms being particularly low, there appears to be a pressing need for facility supplementation. Most of the interior walls are finished with white paint, while blue, ocher-red, and woody colors can be easily found in the interior design of these schools. In principle, fluorescent lamps are used in regular classrooms, and emergency lamps and indicator lamps are placed in the hallways as prescribed by law. As for the furniture, their compositions do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dimension standards set by government, and in every regular classroom, there is usually a storage closet installed in addition to teaching aids. As for the space in the hallway, since it represents the character of each school, an arrangement of symbols that represent the history and traits of each ethnic group in the said space is believed to be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