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중심 국립대학 도서관의 예산운용실태와 효율화방안에 관한 연구 : 목포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김정용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대학도서관은 교육 및 학문 연구 등 대학 본연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대학발전을 선도해야 하는 중대한 임무를 부여받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지역중심 국립대학과 지방거점 국립대학의 도서관을 대상으로 예산운용 실태를 비교·분석하여 향후 목포대학교 도서관의 효율적인 예산운용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내용은 지역중심 및 지방거점 국립대학 도서관의 예산 운용 실태를 분석한 후, 다시 지역중심 국립대학 중 순천대학교와 지방거점 국립대학 중 전남대학교를 대상으로 하여 목포대학교 도서관의 현황 및 예산 운용 실태와 비교 분석하였다. 현황으로는 조직 및 인원, 장서개발 및 확충, 시설확충, 이용자서비스 등 4개 분야를 들어 문제점을 파악한 후, 이를 통해 개선방안으로 목포대학교 도서관의 효율적인 예산 확보 방안을 제시하였다. 목포대학교의 예산운용 정책 수립을 위한 근거자료가 되는 4개 분야의 실태를 진단하여 문제점 및 개선방안 그리고 예산확보방안을 제시하였는데 그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및 인원을 확충해야 한다. 지역특성상 목포대학교는 해양․역사분야 주제전문사서와 디지털 도서관 인적 인프라로써의 전산전문요원의 확충이 필요하다. 둘째, 유사규모의 지역중심 국립대학의 수준에 맞추기 위해서는 장서개발 및 확충을 해야 한다. 셋째, 시설 확충 등 환경개선을 해야 하며, 지하 보존서고의 설비 개선을 해야 한다. 그리고 도서관의 공간부족 문제 해결 및 IT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이용자를 위한 제2도서관 신축을 고려해야 한다. 넷째, 이용자 서비스를 강화해야 하며, 학술정보 이용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한다. 그리고 유학생을 위한 도서관 이용안내 프로그램 개발과 정기적인 이용교육을 실시하고,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외국어로 구축된 홈페이지를 개발하여야 한다. 또한 지역주민을 위한 열린 도서관 운영을 활성화하여 확대 실시하며 특성화자료 열람서비스를 제공한다. 가장 중요한 것이 대학도서관 예산확보 방안이다. 방안으로써는 먼저 목포대학교 도서관이 대학 내에서만 머물지 말고 지역사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서, 인근지방자치단체의 예산을 확보하는 방안이다. 다음으로는 대학구성원들에게 대학도서관의 인식을 전환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인식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도서관장이 대학본부의 각종 예산평가위원회 위원으로 참여 하여 예산의 중요성을 강조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중요한 사안들을 이행하기 위하여 도서관이용자의 요구도 중요하기 때문에 대학구성원들에게 주요 사업에 대한 수요조사를 한 후 이를 근거로 예산을 편성하여 예산을 확보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외에도 동문, 기업 등을 상대로 재원을 확보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도서관 예산운용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이와 같이 4개 분야의 예산 집행의 개선방안과 위에서 언급한 예산확보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또한 목포대학교 주변 환경의 대내·외적인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도서관의 예산관리 정책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University libraries have assigned important duties to assist supposed functions of the universities effectively and to lead the universities prosperit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presenting an improved scheme for efficient budget operation of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library in the future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budget operations of main universities in the region. For this research, Mokpo National University library’s present condition and the actual condition of budget operation are compared with the main regional universities such as Suncheon University and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fter analyzing their actual conditions of budget operation. The present conditions including organization and personnel, collection development and expansion, facility expansion, and user services are used to identify current problems. Through the finding of the current problems, an efficient budget planning scheme is proposed. The four main ground data for budget operation planning were used to find problems along with an improved schemes and present a budget allocation scheme as follows. First, should expand the organization and personnel. Mokpo National University needs special librarian for the ares of marine and history and computer operators for digital library according a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Second, should expand the collections to match the levels with similar size regional hub national universities. Third, should expand the facilities and boost the environments along with improvement the preservation stack rooms. The second library is required for IT environment and more space for users. Fourth, should boost the user services and academic information usage program. And need to develop a Web site with foreign languages along with guide program for foreign students. Also, need to activate the open library program for local resident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allocation scheme for the budget of the library. A scheme is to utilize the municipal government’s budget through co-working with local society.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he library is also important. In order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the library, the director of the library need to be a committee member of the university budget evaluation. Also, library users opinion are important, so demand research should be considered before planning the budget for the main projects. Other than these, the budget should be secured from alumni, companies and so on. Previously mentioned budget secure schemes and the four aspects of budget execution improvement schemes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library budget operation planning. A policy direction for the library budget management has been suggested corresponds to the environmental changes around Mokpo National University.

      • 목포대학교 학생들의 금융이해력과 대학도서관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신성숙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금융교육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목포대학교 학부생을 대상으로 금융 분야의 흥미 및 태도, 필요 영역 등 금융분야 선호도를 학생들의 도서관 이용 빈도 및 이용교육 경험 여부와 연계하여 금융교육 제공기관으로서 대학도서관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는 향후 대학도서관 활용방안의 한 방법으로 대학도서관에서 학생들에게 필요한 금융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대학생들이 도서관을 활용하도록 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국·내외 금융교육의 동향과 대학도서관 이용교육에 관한 최근 현황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대학생에게 필요한 금융교육 프로그램 제공기관으로서의 대학도서관이 학생들에게 긍정적일 것이라는 인식을 전제로 대학도서관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실증분석을 위하여 연구의 대상이 되는 대학생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조사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병행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하여 얻은 기초적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실제 대학생의 금융 분야 선호도 및 대학도서관 이용교육의 현황과 사례 등을 조사하였다. 실증분석은 실효성 있는 대학생의 금융교육 실태와 대학도서관의 활용방안을 얻고자, 목포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금융 분야의 흥미 및 태도, 도서관 이용실태, 금융교육의 필요성, 금융교육 프로그램의 대학도서관 개설에 대한 타당성 등 다섯 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금융정보 제공을 위한 대학도서관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의 교육적 역할, 사회 봉사적 역할을 강화하여, 일차적으로는 대학생들에게 나아가 여력이 된다면 지역주민에게까지 유용한 교양 프로그램 특히 금융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한다. 둘째, 금융전문 사서가 금융교육을 담당하여 제공한다. 대학도서관은 기존의 도서관 이용교육에서 나아가 평생학습기관으로서 교육적인 역할을 강화하고, 이용자를 유치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그 일환으로 대학생들에게 유용한 금융관련 자료를 도서관에 비치하는 방안을 강구하거나 또는 대학생과 지역민에게 금융전문사서가 금융교육 관련 교양 프로그램이나 학습동아리를 운영하여 실생활에 필요한 금융지식을 전달함으로써 대학도서관을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향후에는 금융교육 뿐 아니라 더욱 다양하고 유용한 교양교육 프로그램 제공 방안을 모색하여 대학도서관을 활성화 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Based on the financial education of mokpo university students, the paper investigates undergraduates and then makes the financial information needed by the library as the target.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includes six parts, such a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interest and attitude of financial sector, library’s use situation, the necessity of financial education, library’s financial knowledge. Using SPSS18.0 statistical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the paper makes reliability test. In additional,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each survey area, the paper makes range analysis of students in each specialty and in each grade.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analysis are that, the more the students are interested in financial education, the more willing to participate in financial education curriculum. In additional, once the library opens courses in related financial education, the students, including professional or nonprofessional and regardless of high and low ages, all like to take part in the courses. According to above contents, the best solution of university library is as follows: first, strengthening library’s education function and community services, and opening financial education courses; second, financial professional officials are responsible for providing financial education. In the future, we should find out diversified education plans, and improve activate use of university library not only in the field of financial education, but also in all sorts of fields.

      • 산학협동 활성화 방안 연구 : 목포권의 산업체와 대학을 중심으로

        김성원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71

        이 논문은 새로운 국제기술 질서의 재편과 관련되어 우리 나라가 처해있는 경제적 위기에도 불구하고 지역경제 발전이 국가 발전의 초석이 된다는 의미에서 목포권의 산학협동 활성화 방안을 연구함으로써 국가 경쟁력을 제고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대학과 산업체를 중심으로 사전 문헌고찰을 통해 산학협동의 기본 개념과 유형을 파악하고 구체적인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하여 목포권의 제조업체 대표와 종합대학의 산합협동과 관련있는 대학 교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사회과학 통계기법 가운데 하나인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목포권의 산합협동의 실태, 문제점에 대한 설문조사에 바탕을 두고 분석한 결과와 활성화 방안으로 제시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산학협동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에 대한 응답자의 태도는 첫째, 산학협동에 대한 인식의 정도는 학계와 산업체 모두 알고 있었다. 둘째, 산학협동에 대한 필요성과 이점에 대한 인식 정도에서는 필요하다라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으며, 필요 이유에 대한 응답에서는 ⌜산업체에 대한 이해 및 현장감 증진의 계기⌟와 ⌜산학현장의 기술상 애로 사항 해결⌟이라고 하여 대학과 산업체와의 인적 교류 측면에서 필요하다라고 응답하였다. 셋째, 산학협동의 중요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으로는 정부 및 지방자치 단체이며 그 역할을 잘 이루어지고 있다라고 응답하였다. 다음으로 목포권의 산학협동에 관한 실태 인식에서 잘 이루어진다라고 견해보다는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견해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로는 산학협동에 대한 산업체와 대학의 소극적인 자세라고 응답하여 산학협동의 원칙인 자발성의 원칙이 중요시 되고 있다. 다음으로 산합협동의 문제점을 형태별로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교수의 산업체 강의는 산업체에서 교수 강의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을 지적하였다. 둘째, 산업체 인사의 대학 강의는 학교에서 산업체 인사 강의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을 지적하였다. 셋째, 대학 교육과정과 교재 개발에 산업체 인사 참여는 산업체에 의한 문제점보다는 대학 자체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넷째, 학생들의 현장실습은 ⌜산업체와 대학의 현장실습 목포의 괴리⌟을 지적하였다. 다섯째, 산업체 위탁생 교육은 ⌜산업체 위탁생에 대한 학자금 보조, 근무시간 단축 등의 배려가 미흡⌟을 지적하였다. 여섯째, 대학에 대한 산업체의 장학금 지급은⌜선발된 우수 학생이 장학금을 받게 하고, 졸업 후에는 장학금을 지급한 산업체에 취업하도록 하는 조치가 미흡⌟이라고 지적하였다. 일곱째, 대학과 산업체간의 실험기기 및 시설 대여는 ⌜산업체의 실험기기 및 시설이 이용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과정이 미흡⌟이라고 지적하였다. 아홉째, 대학에 대한 학술활동비 또는 연구비 지급은 ⌜학술활동비 또는 연구비 지급하는 산업체에 대한 면세등의 혜택이 미흡⌟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목포권 산학협동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대학 측에서 산업사회의 발전에 맞는 인력 양상을 위한 유연한 교육과정 개발에 노력해야 하며, 현장 실습의 대상 사업체 선정 기준 및 교수의 의식 전환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산업체 측에서는 졸업학생에 대한 인턴제 활용을 통한 우수 인력 확보에 노력해야 하며 대학에 대한 산업체의 인식 제고가 선행되어야 하며,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인재 육성 사업을 적극 추진해야 하고, 정부에서는 중재를 위한 노력과 제도적 뒷받침에 최선을 다하여야 할 것이다. The ultimate object this thesis is to promote technical development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by activating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To achive the thesis' object, the followings have been done; first, the need for this study and theoretical background are reviewed on the basis of precedent studies. Then, the existing problems in th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system are surveyed, which are from the recofnition which university professors and industrial workers has about the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in Mokpo Area. Next, some ways to improve and activate the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y and industry are suggested. Finally the rational university-industrial cooperation methods which are outlined to the industry stucture in 21C; This Thesis suggest the following ways to activate the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system; University should make an effort to develop a flexible curriculum which are suitable to foster industry which the intern studeunt will practice, and the professor's consciouness on cooperation system are converted. On the other side, industry should make an effort to secure an excellent worker through the intern system. And, above all, a positive evaluation on local university of industry must be made. However, the mutual efforts of both university and industry are crucial for those suggestions to be effective.

      • 도심재생을 위한 역사문화자원 활용정책에 관한 연구

        장미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and uses of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in downtown Mokpo and propose directions for their utilization policies for urban regeneration. The space scope of the study spans the areas where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are concentrated in the old downtown of Mokpo, and its time scope spans from the time when those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were built to today. For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e study reviewed such concepts as urban, urban regeneration, and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and the utilization methods and cases of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for urban regeneration. The study focused on early modern cultural assets of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because most of Mokpo's cultural assets are early modern cultural assets. And it also reviewed the laws and local government's ordinances about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An empirical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the old downtown of Mokpo and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and conducted a survey. After examining the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scattered around Mokpo for their current state and characteristics, the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ity's utilization plans for the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and actual uses. A surve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sidents' perceptions about the urban decline of Mokpo and the uses of its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Total 715 residents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and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with the SPSS 14.0 program. The old downtown of Mokpo gradually went into a decline as the city expanded linearly and then faced an abrupt decline with the full-scale development of a new town. Today it sees the deterioration of the urban infrastructure, population fall, expansion of the poverty class, and decline of the retail districts. There is the concentration of early modern cultural assets in the old downtown from the Japanese rule, and many of them are kept intact today. Especially, the early modern cultural assets maintain their original states along with the road, thus creating a unique historic landscape. In 2002, Mokpo set up "Master Plan for the Street of History and Culture" with the intention to vitalize the old downtown utilizing its early modern cultural assets. However, most of its projects have not seen the daylight with only some of them in progress. The biggest reason for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not being used for urban regeneration is the local government that cannot properly understand the values and roles of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in urban regeneration. The conflicts over the abolition of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among Mokpo City, civil groups, and the academy well demonstrate the current state of Mokpo's views, policies, and early modern cultural assets. Thus it seems urgent to establish 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utilizing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and make efforts to overcome differences in perceptions. The residents do not have very active ideas about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early modern cultural assets. It is utterly urgent to convert their perceptions about early modern cultural assets in order to help them take a central role in urban regeneration, as well as to develop programs and provid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The foremost and utmost task to utilize Mokpo's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for urban regeneration is to promote their systematic conservation by setting up an overall management plan encompassing the designated and non-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based on the right value perceptions of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It is also required to solidify the governance structure including Mokpo's Cultural Heritage Committee and operate it in a substantial manner. It is also required to consider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to reflect them into an urban regeneration plan. The city should pursue citizen participation both in regeneration projects and development plans in an area of the concentration of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when developing a district unit plan. There is also a need to build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 with the participation of public servants, local committees, academic experts, civil groups, merchant organizations and resident groups. Such a cooperative system will serve as the subject to set up district unit plans with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and increase the capabilities of the residents. <국문초록> 이 연구는 목포시 도심에 분포되어 있는 역사문화자원의 현황과 활용실태를 파악하고, 도심 재생을 위한 활용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의 주된 공간적 범위는 목포시 구도심 중에서 역사문화자원이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지역이다. 시간적 범위는 역사문화자원이 조성된 시점 이후 현재까지를 포괄하였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도심, 도심재생, 역사문화자원 등의 개념과 도심재생을 위한 역사문화자원의 활용수법과 사례를 검토하였다. 역사문화자원 중에서 근대문화유산을 주목하여 살폈는데 이는 목포에 있는 문화유산이 대부분이 근대문화유산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역사문화자원의 보존과 활용에 관한 법률과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를 검토하였다. 실증연구로는 목포시 구도심과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실태 파악과 주민설문조사가 병행되었다. 목포시에 분포되어 있는 역사문화자원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고, 목포시가 수립한 역사문화자원의 활용계획과 실제 활용 현황을 비교․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목포시 도심쇠퇴와 역사문화자원의 활용에 대한 주민인식을 파악할 목적으로 실시했다. 설문조사는 목포시민 715명을 대상으로 개별면접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SPSS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목포시 구도심은 도시가 선형으로 확장되면서 서서히 침체되다가 신도시개발이 본격화되면서 급격하게 쇠퇴하였다. 도시기반시설의 노후화, 인구 감소와 빈곤층의 증대, 상권 쇠퇴 등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목포에는 일제 강점기에 조성된 근대문화유산이 구도심에 밀집되어 있으며 아직까지 원형이 보존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특히 근대문화유산이 과거 도로와 함께 원형을 유지하고 있어 독특한 역사경관을 나타내고 있다. 목포시는 근대문화유산을 활용하여 구도심을 활성화할 목적으로 2002년에 ‘역사문화의 길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그러나 당시 수립한 계획에 담긴 많은 사업들은 일부만 진행되었을 뿐 대부분 추진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역사문화자원이 도심재생에 활용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보다도 지방자치단체가 개별 역사문화자원이 지니고 있는 가치와 도심재생에서 차지하는 역할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데서 찾을 수 있다. 근대문화유산의 철거 여부를 둘러싸고 벌어진 목포시와 시민단체․학계 간의 갈등사례는 목포시의 시각과 정책, 근대문화유산이 처한 현주소를 잘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도심재생에 관한 개념을 정립하고, 인식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매우 시급한 과제라는 점이 도출되었다.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도 근대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에 대해 그다지 적극적이지 않다. 도심재생에서 주민들이 중심적인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근대문화유산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 전환이 시급한 과제이며 이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행정․재정적 지원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는 점이 파악되었다. 목포시에 소재한 역사문화자원이 도심재생을 위해 활용되기 위해서 가장 시급한 과제는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올바른 가치 인식을 바탕으로 지정문화재와 비지정문화재를 포괄한 종합적인 관리계획을 수립하여 체계적 보존을 꾀하는 일이다. 목포시 문화유산위원회를 비롯한 거버넌스 구조를 확고히 하고, 내실 있게 운영하는 것도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도심재생 계획을 수립하고자 할 때 역사문화자원을 고려한 기능 설정이 되도록 계획에 반영해야 한다. 근대문화유산이 밀집된 공간은 지구단위계획 차원에서 주민참여형 재생사업과 개발계획을 꾀할 필요가 있다. 목포시 공무원과 지방의회, 학계전문가, 시민단체, 상인조직, 주민조직 등이 참여하는 민․관 협력체계 구축도 필요하다. 민․관협의체는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지구단위계획의 수립 주체이자 지역 주민들의 역량을 높이기 위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일제강점기 목포 송도신사의 건립과 특징

        양은정 목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Mokpo is the fourth port to have opened in Korea on October 1, 1897. It has become a commercial city representing Jeollanam Province and the hub of Japanese imperial rule. Songdo Sinsa was the symbol of Japanese society in Mokpo and the Japanese imperial rule. However, no research was conducted solely on Songdo Sinsa until today. Therefore, the current study has been conducted to discuss the constr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Songdo Sinsa in Mokpo. Basic historical resources related to Mokpo Sinsa were gathe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and a field survey was accompanied. The detailed directions of study were threefold: first, it was about the formation of a Japanese society and Sinsa after the opening of Mokpo. Second, it was about the construction and expansion of Songdo Sinsa in Mokpo during the Japanese Imperial Rule. Third, it wa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Songdo Sinsa in Mokpo during the Japanese Imperial Rule. The following briefly summarizes the findings: First, it discussed how the Japanese society was formed in the districts occupied by foreign residents after the opening of port. In the early years of development of Downtown Mokpo, there were many hazard factors related to instability of bedrock and water shortage. The first Sinsa that was built in Mokpo was Geumdobira Sinsa located halfway up the northern mountains of Muantong to fulfill the needs for religious support. It served as the dragon god wishing for the safety of fishermen out in the ocean. The Sinsa established during the early years of the Port of Mokpo and the focus was on the religious activities and sense of security of Japanese settlers in the unstable process of urbanization of Mokpo. Second, it specifically identified the construc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Songdo Sinsa, its composition and facilities, and its expansion. Songso Sinsa was founded by the civilians residing in Mokpo in celebration for the merge of Joseon and Japan in February 1911. It was located on a small island called Songdo. It was connected to the mainland through reclamation and Songdo Park was first established. The location of Songdo Sinsa was selected by considering that it is adjacent to Mokpo Station and it reaches out to the entire settlement. The Japanese settlement enshrined Amateras, an ancestral god, to unite the Japanese settlers in Mokpo. The related facilities increased after Songso Sinsa was recognized as the official Sinsa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in Joseon in 1915. The leaders of Japanese settlers in Mokpo intended to uphold their names in the community by donating money to Songso Sinsa to build monuments. It was the trend to add more Sinsa besides Songdo Sinsa with the urbanization of Mokpo. Jilja Sinsa was constructed in Ukjeong, the fishing base of Japanese settlers, in 1916 and additional Sinsa facilities were installed along the hiking trails as soon as a park was formed on Mt. Yudal in 1928. Third, it discussed how Songso Sinsa was operated with emphasis on the organizations related to Ujiko an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eremonies and the functions related to the colonial policies of Japan in relation to the Pacific War. Mokpo-bu had the authority to manage Songdo Sinsa during the Japanese Imperial Rule, but Mokpo-bu organized Ujiko to authorize the management of Sinsa. Ujiko managed various ceremonies and political events of Songdo Sinsa and attracted the people of Joseon. Other organizations that played important roles in relation to the management of Songdo Sinsa included Gyeongsin Society of Ladies, Mokpo Society of Young Men, and the Veteran Society. Songdo Sinsa’s ceremonies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large ceremonies, medium ceremonies, and small ceremonies. In detail, 13 events were held at Songdo Sinsa. Most ceremonies were the traditional ones held by the Emperor and the ceremonies related to the ancestral gods that had been added by the Meiji Dynasty. It applied the ceremonies reorganized by the universal orders centered around the Emperor to Songdo Sinsa for Amateras. During the war in the 1930s, Songdo Sinsa was mainly used to educate the colonial policies. The residents were forced to worship at Sinsa on a daily basis and ceremonies were held to praise the people of Joseon fighting in the Japanese War. Based on the above findings, six characteristics of Songdo Sinsa in Mokpo were identified: first, the very first Sinsa was installed for religious needs and Songdo Sinsa that was officially recognized after the merge of Joseon and Japan in 1910 reflected the ideology of imperial rule. Second, Songdo Sinsa served as the mental hub to maintain the identity of Japanese settlers in Mokpo and uniting them. Third, Ujiko and the related organizations were actively engaged for the management of Songdo Sinsa. Fourth, the typical strategies for installing Sinsa were applied to the location and layout of Songdo Sinsa. Fifth, Songdo Sinsa was a symbolic space that represented the Japanese imperial policies to dominate the spiritual aspect of Joseon. Sixth, after the start of war, Songdo Sinsa served as the hub of colonial policies to enlist the people of Joseon to fight for Japan in the war. The current study is significant as it was the first independent study of Songdo Sinsa in Mokpo. Songdo Sinsa has not been discussed academically despite its importance. It is hoped that more studies are conducted in relation to local Sinsa established during the Japanese Imperial Rule. 목포는 1897년 10월 1일 국내 4번째로 개항된 항구이다. 이후 전라남도를 대표하는 상업 도시이자, 식민지 지배의 거점이 되었다. 송도신사는 일제강점기 목포 일본인 사회와 식민지 지배의 상징이 되는 중요한 공간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 송도신사에 대한 개별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못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목포 송도신사(松島神社)의 건립과 특징을 살피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선행 연구 성과를 토대로 목포 신사와 관련된 기초 사료를 수집 분석하고, 현장 조사를 병행하였다. 세부적인 연구방향은 크게 세 가지로 설정하였다. 첫째, 목포 개항 후 일본인 사회와 신사설치에 대한 부분이다. 둘째, 일제강점기 목포 송도신사의 건립과 확장에 대한 부분이다. 셋째, 일제강점기 목포 송도신사의 특징에 대한 부분이다. 연구성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개항 후 목포 각국거류지에 일본인 사회가 형성되는 흐름을 살폈다. 초기 목포 시가지 건설과정에서는 지반불안과 물 부족으로 인한 전염병 등 불안요소가 많았다. 목포 최초의 신사는 이러한 상황에서 종교적으로 기댈 장소의 필요성에 의해 무안통 북쪽 산 중턱에 금도비라신사(金刀比羅神社)가 설치되었다. 바다에서의 무사항해를 비는 용신 개념이 강했다. 개항 초기 목포에 설치된 신사의 기능은 일본인들의 민간 신앙적인 종교역할과 불안정한 목포 도시화과정에서의 위안을 주는 기능에 초점이 있었다. 두 번째는 송도신사의 건립과정과 공간적 특징, 송도신사의 구성과 주요시설, 송도신사의 확장 양상을 구체적으로 밝힌 것이다. 송도신사는 1911년 2월 한일병합을 기념하여 목포거류민단의 주도로 건립되었다. 위치는 송도라는 작은 섬이었다. 이곳은 매립을 통해 육지와 연결되었고, 송도공원이 먼저 조성되기 시작했던 곳이다. 송도신사의 입지조건에서는 목포역과 근접하다는 점과 거류지 전체를 아우르는 위치와 구조를 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일본인들은 송도신사에 황조신 아마테라스[天照大神]를 모시고, 목포 거류민 사회를 통합하고자 하였다. 1915년 이후 송도신사가 조선총독부의 관(官) 신사로 인정된 이후 점차 관련 시설물이 확대되었다. 목포 일본인 사회의 주도층에게는 송도신사에 돈을 내고 기념물을 세우는 것이 지역사회에서 자신의 위상을 유지해 나가는 수단이기도 했다. 한편, 목포도시화의 발달과정에 맞춰 송도신사 외 지역으로도 신사가 추가로 설치되는 흐름이었다. 1916년에는 일본인 어업의 근거지인 욱정에 질자신사(蛭子神社)가 세워졌고, 1928년부터 유달산 공원화가 시작되자 등산로에 신사시설이 추가로 설치되었다. 세 번째는 송도신사가 구체적 운영 양상을 우지코[氏子]와 관련단체를 중심으로 살피고, 제전의 종류와 성격 및 태평양전쟁기 황국신민화 정책과 관련하여 그 기능을 살핀 것이다. 일제강점기 송도신사의 경영권은 목포부에 있었지만, 목포부는 우지코를 조직해 신사의 경영권을 위탁하였다. 우지코는 송도신사의 각종 제전과 정치적 행사를 주관하였고, 조선인들을 끌어들이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송도신사의 운영과 관련된 단체로는 경신부인회·목포청년단·재향군인회도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확인했다. 송도신사의 제전은 크게 대제, 중제, 소제로 구분되었다. 세부적으로 13개의 행사가 송도신사에서 개최되었다. 대부분 전통적으로 천황이 친제하는 제사와 메이지 정부에서 추가된 황조와 관련된 제사가 중심이 되었다. 이는 황조신 아마테라스를 모신 송도신사에 천황 중심의 우주적 질서로 재편된 신사 제식을 적용한 것이었다. 한편, 1930년대 이후 전시체제에서의 송도신사는 황민화 정책을 주입하는 거점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일상에서의 신사참배가 강요되었고, 일본 전쟁에 참여하는 조선인을 기념하는 행사가 열렸다. 이러한 연구 성과를 토대로 목포 송도신사의 특징을 6가지로 추출해 보았다. 첫 번째, 최초 신사는 종교적 의지의 필요성에 의해 설치되었고, 1910년 한일병합 이후 공식적으로 설치된 송도신사는 식민지 지배의 이데올로기가 반영된 것이었다. 두 번째, 송도신사는 재목일본인들의 정체성을 유지 및 거류민을 통합하는 데 있어 정신적인 거점을 역할을 했다. 세 번째, 송도신사의 운영에는 우지코와 관련단체가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네 번째, 송도신사의 위치와 공간 구조에는 일제의 전형적인 신사 설치 전략이 반영되어 있었다. 다섯 번째, 송도신사는 일제강점기 조선인의 정신적인 부분까지도 지배하려는 정책을 썼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공간이었다. 여섯 번째, 전시체제 이후 송도신사는 조선인의 전쟁동원을 위한 황민화 정책의 거점 기능을 하였다. 송도신사의 중요성에 비해 지금껏 학술적으로 종합적인 고찰이 이루어지 못했다. 그러나 이 논문은 목포 송도신사와 관련된 최초의 독립된 개별 연구라는 면에서 의미가 있다. 앞으로 일제강점기 지방에서의 신사 관련된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 목포시 원도심의 재생방안에 관한 연구-재래시장 활성화에 관한 주민의식조사를 중심으로-

        차성룡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국문초록> 본 연구에서는 신도시의 개발에 따른 구도심의 쇠퇴현황 및 원인을 분석하고, 재래시장의 지원을 통한 활성화 방안을 강구함으로써 쇠퇴하는 목포시 원도심의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재생방안을 제시하고자 연구를 실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목포시에 거주하고 있는 시만 3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재래시장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는 `5점 척도 분석에서 역사적으로 유래가 깊은 곳이다`가 3.47점으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목포의 맛과 예술을 느낄 수 있는 곳이다`에 인식이 3.26점으로 나타나 재래시장의 역사적 가치와 재래시장을 통해 목포인의 숨결을 느낄 수 있었다.(표 11참조) 그러나 `시장 건물의 외관이 조화롭고 보기 좋다, `공기가 맑고 소음이 심하지 않다.`, `간판 및 가로시설물의 디자인이 좋다`, `시장 주위가 청결하고 깨끗하다` 등에서 낮은 인식 수준을 보여 재래시장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주위경관을 리모델링하고 청결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재래시장의 이용실태를 분석한 결과는 한달 평균 재래시장 방문 횟수는 `1~3번 미만`이 29.3%로 가장 많았고, (표 12 참조) 재래 시장 방문 목적은 쇼핑을 하기 위해서가 52.5%로 가장 많았다. (표 13 참조) 쇼핑이나 식품을 구입하기 위해 주로 다니는 장소로는 `대형 할인마트`가 39.1%로 가장 많았고 `재래시장`이 27.9%로 2순위로 나타났다. (표 14 참조) 원도심 재래시장이 갖는 의미에 대하여 `중요하다`는 응답이 46.1%, `보통이다`가 31.6%였으며 `중요하지 않다`는 의견은 22.3%로 나타나 원도심 재래시장이 갖는 의미를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표 18 참조) 백화점이나 대형할인점보다 재래시장 물건을 선호하는 경우는 61.2%로 재래시장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따. (표 15 참조) 재래시장 물건 구입을 선호하는 219명을 대상으로 그 이유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사람사는 냄새`가 나서 선호하는 경우는 가장 높게 나타나 목포인들이 재래시장을 통해 역사적인 가치를 인식하고 목포의 맛을 느낀다는 앞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표 16 참조) 셋째, 재래시장과 원도심의 문제점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재래시장의 쇠퇴/침체 수준 인식에 대하여 살펴보면, ` 심각하다`는 의견이 67.9%로 재래시장의 쇠퇴 또는 침체 수준을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표 19 참조) 재래시장 이용시 불편 사항으로는 ` 주차장 등의 교통 상황 `이 36.0%로 가장 많았고,(표 20 참조) 목포시의 재래시장의 현재 상태에 대하여 쇠퇴하고 있다는 인식이 43.6%로 가장 많았고,(표 22 참조) 목포시 원도심활성화 지원 조례 인지도에 대하여 살펴보면, 들어보았으나 내용은 `잘 모른다`가 58.4%로 가장 많아 목포시 원도심활성화 지원 조례에 대하여 많이는 알고 있지 않았다.(표 23 참조) 목포시의 원도심 활성화 정책에 대한 평가에서는 `보통`이다가 41.6%이고 `만족`이 34.9%로 나타났다.(표 24 참조) 목포시의 원도심 상태에 대한 인식 결과, `쇠퇴하고 있다`는 응답이 43.6%, `정체되어 있다`는 29.1%, `발전하고 있다`는 27.4%로 목포시의 원도심은 쇠퇴하고 있다는 인식이 강하였다.(표 25 참조) 목포시 원도심지역에서 어떤 현상을 보고 쇠퇴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하여 유동인구의 감소가 31.0%로 가장 많았다.(표 26 참조) 마지막으로 앞서 제시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한 사업의 필요성에 대하여 `필요하다`는 응답이 74.3%로 높아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한 사업 필요성을 높게 평가하였따.(표 27참조) 재래시장이 원도심 활성화에서 중요한 위치나 역할을 할것이라는 인식에 대하여 그렇다가 62.8%로 가장 많았고,(표 28참조)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해 시급히 개선하여야 할 사항으로는 5점척도에서 상업시설이 3.93으로 가장 높았다.(표 29참조)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기능으로는 상업기능이 26.3%로 가장 많았는데 이는 원도심과 재래시장의 활성화에서 유동인구의 감소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따.(표 30 참조) 본 연구에서 목포시 원도심의 재생방안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기에 앞서서 외국의 도시재생사례와 국내의 몇몇 타도시들의 도시재생추진사례를 소개하였다. 또한 목포 원도심의 재생방안 또는 활성화 방안에 대한 선행연구의 내용을 검토해 보았다. 그리하여 마지막 본 연구상의 원도심 재생방안에 대한 필자의 소견을 종합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이를 소개하면, 첫째로 재래시장의 활성화, 둘째로 전통적 가치성의 재고 셋째로 도심부 교통체계의 정비, 넷째로 특화거리의 조성, 다섯째로 보행환경의 개선, 여섯째로 도시기능의 적절한 배분, 일곱째로 원도심재생의 종합적 프로그램개발, 여덟째로 문화생활공간의 확실, 마지막으로 재래시장 외형의 정비 등을 언급하였다.

      • 歷史的 變遷에 따른 環境美術의 硏究 : 목포시 환경조형물을 중심으로

        송일석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55

        환경조형물은 작가라는 특정한 개인이 만들고 특정한 개인이 소유하게 되는 예술품과는 그 특성이 다르다. 환경조형물은 조형물이 사회 속에서 확장된 개념으로 심미적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조형물로서의 기능과 시민의 정서를 안정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유용한 물건으로서의 의미를 동시에 갖고 있다. 그래서 다수가 공유하는 환경조형물은 조형물이 갖는 추상성보다는 다수가 공감하는 합리성이 요구된다. 또한 환경조형물은 환경으로서의 자연과 조화를 이루면서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미술사적으로 살펴보면 문명이 발달하지 않은 미분화된 사회에서는 조형물이라는 개념이 없었다. 그 사회에서 보여지는 대부분의 물건들은 신을 숭배하기 위한 예배의 대상이었거나 생활의 일용품이 대부분이다. 문명과 문화가 발달하면서 인간의 자연스러운 심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순수예술품이 생기게 된다. 오랫동안 지속하던 농경사회를 지나 산업사회로 접어들게 되자 도시라는 새로운 환경이 나타나게 되고 이 새로운 환경을 가꾸기 위해서 조형물로서의 기능과 의미와 확장된 또 다른 조형물이 나타나는데 그것이 환경 조형물이다. 도시와 인구의 양적 팽창으로 인한 도시의 역기능은 여러 가지 부작용을 낳는다. 도시의 환경조형물 에서도 이런 도시화로 인한 역기능이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환경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거나 반영하지 않은 환경조형물은 환경을 미화시키기 보다는 심지어는 환경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환경조형물로 인한 많은 문제들을 풀기 위해서는 한국의 전통사회가 가졌던 여러 가지의 장점을 고려하므로 써 그 해결을 위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다. 한국의 전통사회가 그렇게 오랫동안 한국의 자연과 친화관계를 유지하면서 한국의 특유한 미감을 전달할 수 있었던 것은 한국인의 의식 속에 면면히 흐르는 풍수지리라는 지혜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던 것이다. 풍수지리의 사상은 한국에서 오랫동안 형성된 유교, 불교, 그리고 도교사상과의 연장선 속에서 볼 수 있다. 한국의 전통사상은 무량수전 같은 고건축과 탑과 솟대 그리고 불상 등의 많은 민족적 유산을 낳게 하고, 거기서 한국인이 자연과 유지하려 하였던 자연친화사상 즉, 주변과의 조화관계에서 실마리를 찾아 볼 수 있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목포시의 도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므로 목포시의 도시환경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과정에서 드러난 것은 목포시의 도시환경 조형물의 문제는 한국의 환경조형물의 문제와 크게 다르지 않았고 그것들은 서로가 맞물려 있음을 알게 되었다. 첫째는 목포시의 대부분의 환경조형물은 그 놓여진 위치가 적절하지 못하여 그것은 장소성을 획득하지 못하고 도시민으로 하여금 충분한 감상의 기회를 제공하지 못한다. 둘째는 목포시의 환경조형물은 전국 어디서나 볼 수 있는 환경조형물의 재료와 기법으로 된 것이 대부분으로 목포시의 지역적 특성을 적절히 들어내지 못했다. 셋째는 환경조형물의 제작과 설치는 그 성격상 예술품과는 다르게 합리적으로 운용되어야 하는데 그 운용의 투명성을 찾아보기 힘들었다. 넷째는 환경조형물을 만드는 것은 작가라는 개인이지만 그것을 소유하는 것은 시민들이라는 다수이다. 그러므로 시민들은 환경조형물에 대한 주인의식을 갖고서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환경조형물의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해서 환경조형물의 사례들을 연구하였다. 첫째 외국의 사례연구에서는 구미의 도시가 오랜 기간 형성되었듯이 그 문화의 일부로서의 환경조형물은 오랜 기간 동안 형성되어 그것은 마치 도시의 일부분과 같았다. 그래서 목포시의 환경조형물의 제작과 설치는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것보다는 점차적으로 장기적 계획 하에 진행되어야 한다. 그 일을 위하여 작가와 시민과 행정가 그리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환경예술품 연구위원회의 구성을 요구한다. 둘째 포스코 경영 정보센터의 사례연구에서는 그 건물의 조형물 제작과 설치를 위한 운영의 예에서 보듯이 그 모든 일은 일관성 있고 합리적으로 운용되어야 한다. 셋째 광주광역시 북구청 벽화의 사례연구에서는 환경조형물은 개인과의 관계가 있는 조형물과는 다르게 다수의 시민이 바라보는 것이다. 그러므로 시민들의 관심을 반영하고, 시민들을 위하고, 시민들의 요구를 반영하는 것이어야 한다. 넷째 ‘98 민족극 한마당’ 야외무대의 사례연구에서는 목포시의 환경조형물은 반드시 목포시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목포시의 이미지의 부각과 창출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

      • 木浦地域 貿易의 課題와 發展方向

        이동진 목포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55

        Mokpo opened port in 1897, flourished for a while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the 3rd harbor and 6th city but it has been falling into the economical swamp with regards to political upheaval. So, this paper describes the issues and situation of trade in Mokpo region coming the Hwang-hae era of the 21st century. As for this way of correspondence, the first, apart from the form of small-amount and multi-goods export, We must develope high-value goods. The second, We must activate the cyber trade through the Internet. In the future, the deal of Trade through Internet Trade would be increase export companies of Mokpo region. So, companies must take positive transaction through in Internet Trade. The third, enlarge SOC investment for transferring the export goods. For example, Mokpo harbor facilities to deal with the increasing quantity of goods transported are not enough and port distribution structure is not so effective. Therefore, Mokpo harbor should be construct as the center of marine commodity transportation to the North-West district in accordance with the expansion of trade to China and North-West countries. Finally, trade companies of Mokpo region are must be effort for develope high-value goods and activate cyber trade through the internet.

      • 목포해역 해일/범람모의 및 고극조위 해석

        문승록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표는 건설에 따른 환경변화가 뚜렷한 목포해역에서 고극조위 해석을 통해 발생빈도에 따른 극치해면을 산출하고, 태풍으로 인한 해일의 발생과 해안범람을 모의할 수 있는 모의체계를 구축하여 가상태풍에 대한 해안범람도를 작성하여 목포해역에 발생하는 해일로부터 해안저지대를 효율적으로 방호할 수 있는 기준 및 대책을 마련하는 기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지구온난화에 의한 전지구적 해수면 상승과 더불어 하구언/방조제와 같은 해안구조물 건설이후 목포해역에서의 고극조위는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장기적 변화에 의한 고극조위 상승량과 건설에 의한 고극조위 상승량을 정량적으로 분리한 후, 목포 해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고극조위 상승원인을 규명하였다. 조석확폭은 조간대효과에 따라 극조일수록 더욱 크게 나타나게 되므로 목포해역에서 해일 위험성이 매우 높아진 상태가 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조위자료의 동질성이 결여된 곳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빈도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빈도별 고극조위를 산정한 결과 하구언 및 방조제 건설이후 빈도별 고극조위가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태풍에 의한 해일의 발생과 해안범람을 모의하기 위해 MIK21을 활용하여 모의체계를 구축하여 과거 10년간 목포해역에 큰 해일고를 발생시킨 태풍의 해일모의를 통해 모형의 검증을 수행하였다. 8개 분조에 대한 등조위도 및 등조시도를 작성하여 조석을 결합한 해일모의를 통해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약최고고조위 상황에서 태풍 ‘루사’와 가상 태풍의 해일이 발생한 상황에 대한 범람모의를 수행하였는데, 목포시는 도시기반이 낮아 해수가 해안의 시설물을 넘어 범람이 발생할 경우 빠른시간내에 넓은 지역의 피해가 초래됨을 확인하였다. 목포해역은 조석환경변화 등을 고려하여 최근 시설물표고가 550㎝로 증고되었으나, 태풍 ‘민들레’ 내습시 550㎝의 조위가 관측된 바 있고, 전지구적 해수면 상승 및 목포해역의 해일에 대한 취약성 등을 감안하여 추가적인 해일에 대한 대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simulation system of storm surge and coastal flooding induced by typhoons. Extreme sea levels of some return periods are presented by frequency analysis at Mokpo Harbor. Moreover, the coastal flooding maps made by this system would be helpful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oastal hazard mitigation system. Due to both global warming and constructions of seadike/seawalls, continuously or abruptly rising tendencies of extreme high water levels have been detected at Mokpo harbors. This dissertation deals with the separation of each effect, namely global warming effect and construction effect. Thus, it can be explained why and how the extreme high water levels had been risen just after constructions. The tidal flat effect makes the amplification more deepen at spring tide or extreme high tide, which results in the increase of inundation risk at Mokpo Harbor. A frequency analysis method is applied, which is shown to be effective at such a site of having non-homogeneous tidal data due to constructions as Mokpo Harbor. The simulation system which employs the MIKE21 software, is applied to several typhoon cases which had resulted in inundation at Mokpo Harbor for decade. Another storm surge mixed with 8 major tidal constituents is also simulated. Finally, flooding simulations of 'RUSA' and imaginary typhoon are carried out. The results show rapidly and broadly inundation at low-lying area of Mokpo City. Recently, most facilities height have been raised to 550㎝ at Mokpo. However, considering global sea level rise and above mentioned inundations, the water level of 550㎝ is not satisfactory, thus additional preparations must be considered.

      • 地方議會의 議政能力 提高에 관한 硏究 : 木浦市를 中心으로

        김종현 목포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8655

        지방자치가 건전하게 발전하기 위해서는 자치입법에 관한 기능, 자치재정에 관한 기능, 주요 정책에 관한 심의·의결기능, 자치행정에 관한 감시·비판기능 등이 잘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그동안 지방의회의 기능들이 어느 정도 잘 수행되어 왔는가를 평가하고 더 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일은 지방자치의 발전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그래서 이 연구는 그동안의 의정활동에 대하여 평가하여 보고, 이를 토대로 의정능력을 제고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는 문헌조사와 설문지법에 의한 실증조사로 이루어졌으며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되고 있다. 제 1장 서론 부분에서는 연구의 목적, 연구의 대상과 방법을 기술하였고,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에 의한 설문지 작성, 자료의 수집 및 처리 등 실증적 조사의 연구 설계를 토대로 설문한 결과를 분석하여 목포시 의회의 활동을 기능별로 평가하였다. 제 4장에서는 목포시 의회의 의정능력 제고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제 5장에서는 이상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였다. 목포시 의회의 의정활동과 관련하여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치입법권에 대한 행사의 미진한 점으로는 공무원과 의원 모두 「지방의회의 조례입법 범위가 지나치게 협소」하고 「의원의 입법에 관한 전문지식이 부족」하다는 데서 그 원인을 찾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치재정권 행사와 관련한 문제점으로는 공무원과 의원 모두 「의원들이 자기 선거구에 관련된 예산을 더 많이 확보하려는 경향」을 가장 많이 지적하고 있고, 다음으로 「의원들의 예산에 관한 지식부족」을 지적하고 있어 외적인 요인보다는 내적인 요인데 더 큰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셋째, 주요 정책에 관한 심의·의결기능과 관련해서는 대체로 잘하고 있는 쪽으로 나타났으나, 「목포시의 조직개편」에 대한 심의·의결에 대해서는 공무원과 의원 모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넷째, 행정감사권 및 조사권 행사와 관련한 문제점으로는, 공무원은 「의원들의 전문지식 결여」, 「관련정보의 불충분」, 「감사 및 조사기간의 불충분」 순으로 지적하고 있고, 의원도 「의원들의 전문지식 결여」를 가장 많이 지적하고 있으나 공무원보다는 그 비율이 낮으며, 다음으로 「감사 및 조사기간의 불충분」, 「관련정보의 불충분」 순으로 지적하여, 공무원과는 약간의 견해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토대로 목포시 의호의 의정능력 향상을 위해 몇 가지 제안을 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의회의 자치입법권 확대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지방 자치법 제9조 제2항의 단서조항은 삭제되어야 할 것이다. 본 단서조항은 자치 사무에 대하여 법률선점론을 전제한 것으로서 자치사무마저 국가의 입법정책에 좌우될 우려가 잇기 때문이다. 둘째, 지방의회의 자치입법능력 제고를 위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의원들의 조례에 대한 전문지식을 키워 줄 수 있는 전문적인 의정연수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목포시 의회에서는 의원들의 입법제정에 관한 전문능력을 키우기 위하여 의원들에 대한 전문적인 의원직무연찬프로그램을 갖고 있는 한국지방행정연수원과 국회의정연수원 그리고 일부 대학의 대학원에서 의원들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대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사무국의 전문위원들에게도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전문위원직무연찬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기관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도적으로 마련해 주어야 할 것이다. 셋째, 자치재정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먼저 내적인 문제, 즉 「의원들이 자기 선거구에 관련된 예산을 더 많이 확보하려는 경향」을 갖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서는 선거구를 동 단위로 하여 의원을 뽑는 현행 제도를 폐지하고 목포시 전체를 하나의 선거구로 하여 의원을 선출하는 방안과 의원을 동 단위로 선출하는 현행 제도를 유지한다면 집행부에서 예산을 편성하는 과정에서 동 단위별로 권형(權衡)에 맞게 배분하는 방안을 연구해 볼만하다. 그리고 「의원들이 예산에 관한 지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예산편성 및 예산심의 기간조정과 예산편성지침의 개선이 있어야 할 것이다. 넷째, 지방의회의 주요 정책에 관한 심의·의결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방의원과 전문위원을 대상으로 한 전문교육기관의 설립 외에도, 전문가(專門家)의 활용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다섯째, 자치행정에 관한 감시·비판기능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의원들의 전문지식 향상」을 위한 대책마련과 아울러 「감사 및 조사기간의 충분한 확보」 및 「관련 정보의 충분한 수집」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