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도서관 여성학장서 연구 : 부산대학교 도서관과 부산여자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오영아 부산대학교 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s purpose is aimed to escape from the underdeveloped Korea university library collection. In order to achieve well-developed collection, We must consider that University Library's Collection is the basis to support the whole university process and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is designed to be unified this research and studying course. The case choose for research is Women's Studies Collection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Library and Pusan Women's University Library. The findings resulted in investigation of Women's collection problem is as followed : 1. There is a lack of Knowledge about women's collection development. at between library staff and user. - This is a big trouble to develop women's collection. 2. Insufficient collection and low quality 3. So many Anti-Women's studies materials To get rid of the cause that make the poor and alienated state of the women's studies collection, The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in this study is designed as follows : 1. The librarian should develop the women's studies collection to be collected comprehensively 2. To remove the anti-women's studies materials, so that raise the level of the women's studies collection 3. The women's studies collection should support diverse subjects of women's studies, not just a few subject areas. 4. The collection development librarian should acquire various selection tools, and offer them to the faculty in time. 5. To collect all kind of materials that agency of Korea Women's development produce.

      • 사학자의 정보요구와 이용에 관한 연구 : 부산대학교 연구자를 대상으로

        박윤경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study examines historians´ needs and uses of information. The subject is confined to historians of Pusan National University(PNU). It analyzes how they satisfy their need of information and how the university library should serve their research. To be more specific,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faculty members of the History Department and History Education Department as well as Ph.D candidates and part-time lecturers. Historians favor data-centered research. It means that to discover and collect data is very important in the history research. In the case of the History Department of PNU, its department library is used very actively. This study examines how its department library has an effect on history researcher´ demand and use of information and how it is related to the university library. This study´s ultimate goals are to analyze researcher´s demands and uses of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ir various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methods to help support historian´s research as follows. (1) To make sure that the university library performs its proper function,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a data collection process for supporting historian´s research is needed and can be done by examining in detail users needs. (2) Library service should include education and advertisement (3)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in which history researchers use data personally and so obtain the data immediately. (4) To give users easy access to data through various and specialized list is as important as its collection.. (5)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classical library more actively through organizing the classification and system of old books which belong to the university library and making a list of it. (6) Extension of library facilities is necessary. (7) Librarian should become more service oriented.

      • 치과의료기관 접근성에 따른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의 신환 분포

        이해나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87

        의료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은 불균등하게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의료이용의 공간적 접근성을 평가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신환을 대상으로 치과의료기관에 대한 접근성을 분석하여 이에 따른 신환 분포의 차이를 조사하는 것이다. 2020년에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부산 및 경남 지역의 신환을 대상으로 전자의무기록을 이용하여 연령, 성별, 거주지, 초진 시 주소(Chief complaint), 내원 경로, 의과적 병력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신환의 거주지에서 가장 가까운 치과의원, 소아전문 치과의원 및 부산대학교 치과병원과의 거리에 측정하여 이에 따른 환자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의료기관 접근성 평가를 위해 거주지에서 치과의료기관까지의 거리를 10 km를 단위로 분류하였고, 소아치과의원의 경우 10 km 내 의원 유무도 분류하였다. 신환의 거주지와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치아우식을 주소로 내원하는 환자의 비율이 감소하였고, 교정치료를 주소로 내원하는 환자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치아 우식이 주소인 환자는 부산대학교 치과병원과의 거리가 10 km 이내일 때 27.9%를 차지하였고, 30 km 이상일 때 20.5%를 차지하였다. 교정치료가 주소인 환자는 거리가 10 km 이내일 때 25.4%를 차지하였고, 30 km 이상일 때 27.3%를 차지하였다. 외과적 치료를 주소로 내원하는 환자는 거리가 10 km 이상인 경우 약 33%의 일정한 비율로 유지되었다. 환자의 거주지 반경 10 km 이내에 소아치과의원이 없는 경우에서 치아 우식을 주소로 내원하는 환자가 28.6%로 있는 경우의 22.9%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부산 및 경남 지역의 치과의료기관의 분포를 파악하고, 지리적 접근성에 따라 의료기관별 내원하는 환자의 비율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는 소아치과에 내원하는 환자들의 물리적, 지리적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진료 대책을 수립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대학도서관의 북한자료 관리에 대한 연구 : 부산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김정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8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stage of the management of the materials of North Korea in the university libraries. It is also to provide opportunities of public access to the materials by examining the problems of managing the materials. At first, I analyzed the general management of the materials of the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Secondly, I examined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Library as a case.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 found that the university libraries have not met the information need of the users in that field. First of all, it is not easy to access the materials by asking for complicated process. This management system has more problems such as, poor collection, insufficient budget․manpower, invisible public relations. Consequently, the rate of using the materials has been very low.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vide proposals in the dimension of policy and practical works for the management of the materials. The suggestions of policy dimension are (1) conversion to user-centered management, (2) improvement of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3) propelling the specialization policy. The suggestions of practical dimension are (1) ensuring of free access, (2) specialization of the materials, (3) specialization of bibliographical tools, (4) activating public relations, (5) organizing related associations, (6) opening the materials to local residents.

      • 地域社會에 있어서 大學의 役割 : 부산대학교의 자원활용을 중심으로

        차정현 釜山大學校 行政大學院 1996 국내석사

        RANK : 248687

        Community Development puts an emphasis on improving the values of human life as well as promoting the economic growth of the community per se. Since the community is a basis of human life for its residents it is desirable to achieve a balanced development and spiritual enhancement. Of a variety of community functions, the universities located in a community should be one of the key organizations in serving this development goal. As a mater of fact, universities these days are requested to have a share in social services and to pay a serious attention to the community affai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a way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university resources be it human or physical, in order to strengthen its function of social services towards the community development. The findings are in the following. First, for the university to meet the community residents' needs and perform the service function, university facilities such as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should be open to public any time unless classes are interrupted and to do this, there should be administrative and systematic support from the university and collegians' understanding towards this goal should change as well. Second, the university should make solving the community problems as its research project, heighten the community's self-confidence by producing the knowledge the community wants and saving it and strengthen the tie between the community and university by making them believe they, too, are the hosts of the university. Third, the university should develop an adult education program which focuses on changing residents thinking positively and carry out the social education by adjusting to its peculiarity of the community. Fourth, the university should make its effort to give a chance for social education to everyone, not a few managers or directors only. Fifth, it is required of the university to make the contents of the program constituted beneficial for the residents' life, directly related to the community social development and substantially contributable to the development. Sixth, the university should hold a variety of experts and contribute to the social growth of the community by giving advice for the community growth planning and policy-making of the public organizations, business firms and various social organizations, basing upon the expertise and research results. Seventh, the university should take the leading role in bettering the current lifestyle of the community, provide a cultural space to the residents, satisfy the desire for knowledge, offer the up-to-date information and do a program for the people to lead a cultural life. The survey of this thesis was subjected to Pusan National University so it has its limit, however, I believe that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th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of the university would help develop the community and furthermore the nation.

      • 부산대학로 청년문화지구 조성 방안 연구

        박승빈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87

        부산대학로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관내에 있는 4개 대학교(부산대학교ㆍ부산가톨릭대학교ㆍ부산외국어대학교ㆍ대동대학교)의 학생들. 3개의 공공기관(금정구청ㆍ(재)금정문화재단ㆍ(재)부산정보산업진흥원)에서 운영하는 4개의 문화시설(금정예술공연지원센터ㆍ부산 음악창작소ㆍ부산 콘텐츠 코리아 랩 금정서브센터ㆍ부산 청년창조발전소 꿈터플러스)가 집중되어 있다. 현재 상황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문화지구의 제도적 근거 및 국내 문화지구 조성사례를 살펴보고, 국내외 청년문화 지원 및 공간 운영사례를 조사하였다. 또한 현재 지역의 청년문화 현황 분석을 통해 지속 가능한 청년문화지구 조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역 청년들의 도시 이탈 현상을 방지하고 지역문화예술 진흥을 도모하는 한편, 청년들의 다양한 실험과 창의적 활동을 장려하는 지역으로서 부산대학로가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방안들을 제시함으로서 지속발전 가능한 시스템구축을 통해 청년문화에 특화되어있고, 지역을 대표하는 특화된 청년문화지구를 조성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부산대학로 청년문화지구 가능성에 대해 아래의 결과들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첫째, 부산대학로는 지역 청년들이 활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이미 갖추고 있다. 둘째, 부산대학로는 청년들을 위한 다양한 문화 인프라 시설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공간들을 기반으로 청년문화지구를 조성할 수 있다. 셋째, 부산대학로는 한국을 대표할 수 있는 청년에 특화된 문화지구로서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부산대학로 청년문화지구 조성 방안을 연구하였고, 지속적인 지원 정책 마련과 문제적 인식을 통하여 청년들을 위한 문화지구로서, 부산을 대표하는 문화중심지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Cutaneous Melanomas : a 10-year review of 82 cases

        서상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87

        연구 배경: 서양인에서는 피부 악성 흑색종의 발생 빈도가 높아 임상 조직학적 특징이 비교적 잘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는 빈도가 낮아 아직 자료가 부족한 편이다. 피부 악성 흑색종은 인종에 따라 발생 부위나 임상 양상이 차이가 있으므로 서구의 연구 결과를 우리나라에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다. 또한 피부 악성 흑색종의 진단과 치료법이 점차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전문가로 구성된 팀으로써의 접근이 요구되어, 부산대학교 병원에서는 2002년 이후 PNUH melanoma clinic이 운영되고 있다. 연구 목적 : 저자는 최근 10년간 부산대학교 병원에 내원한 피부 악성 흑색종 환자의 임상 및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연구하고 이를 다른 국내, 동양인, 서양인의 연구 결과와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PNUH melanoma clinic 운영 전, 후의 변화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0년 동안 부산대학교 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병리조직검사 결과 피부 악성 흑색종으로 진단된 환자 82명 (여자 46명, 남자 36명, 평균 연령 56.95세)을 대상으로 진료 기록부와 병리조직표본을 조사하여 연도별 발생 빈도, 성별 및 연령 분포, 유병 기간, 종양의 발생 부위, 임상조직학적 유형, 전구 병변과의 관련성, 종양의 두께와 궤양 유무, AJCC (The revised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staging) 병기를 알아보았다. 이상의 임상 병리조직학적 소견의 결과는 다른 국내, 동양인 및 서양인에서의 보고와 비교하였다. 그리고 부산대학교 병원에서 이용한 전초림프절 절제술과 같은 진단적 기법과 수술, 림프절 곽청술, 항암 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및 interferon- α 등 치료 방법을 조사하였다. 생존 곡선은 Kaplan-Meier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PNUH melanoma clinic 운영 전, 후의 변화는 환자의 수, 진단 및 치료 방법과 예후를 통해 알아보았다. 결과 : 새로 진단된 피부 악성 흑색종 환자 수는 1997-1998년에 6명, 1999-2000년에 9명, 2001-2002년에 16명, 2003-2004년에 29명, 2005-2006년에 22명으로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피부 악성 흑색종은 말단 흑자성 흑색종(67%)이 가장 흔한 임상조직학적 유형이었으며, 발(45.1%)과 손(18.3%)에 가장 호발하였다. 21명(25.6%)의 환자가 선천성, 후천성 멜라닌세포성 모반이나 흑색조에서 병변이 발생하였다고 하였으나, 이 중 2명에서만 병리조직표본 내 멜라닌 세포성 모반 세포를 관찰할 수 있었다. Breslow thickness로 측정한 종양의 두께는 1.0mm 미만, 4.0mm 초과가 각각 20명(24%), 21명(26%)씩 나타났고, 궤양이 31명(37.8%)에서 관찰되었다. 궤양은 종양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흔히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다. 내원시 병기는 48명(58.5%)의 환자가 병기 0에서 II였다. 이상의 결과는 다른 국내 및 동양인의 보고와 유사하였으나, 서양인에서는 표재확장성 흑색종이 가장 흔한 임상조직학적 유형이며, 발생 부위도 남자는 체간, 여성은 하지에 호발하므로 차이를 보였다. 또한 2000년과 2002년의 국내 보고와 비교할 때, 결절성 흑색종은 줄어드는데 비해 표재확장성 흑색종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총 54명(65.9%)의 환자가 부산대학교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고, 이 중 23명(28.0%)에서 전초림프절 생검을 시행하였다. 전초림프절 생검 결과 7명(30.4%)에서 전이가 발견되었고, 전초림프절 생검 결과 양성을 보인 환자군이 음성인 환자군보다 원격 전이와 사망이 흔하게 발생하였다. 18명(33.3%)의 환자가 저용량 interferon-2b로 치료하였으며 이 중 8명(44.4%)이 치료를 완료하였다. 전체 환자의 평균 생존 기간은 72개월이었고 5년 생존율은 63%였다. PNUH melanoma clinic 운영 전후 각각 5년동안의 결과를 비교하자, 운영 후 새로운 환자의 수가 20명에서 61명으로 증가하였고, 전초림프절 생검을 시행받은 환자의 수도 1명에서 22명으로 증가하였으며, 치료를 받은 환자 중 부산대학교 병원에서 치료한 환자의 비도 60%(12명)에서 67.7%(42명)로 증가하였다. 치료 방법도 단순 수술만 시행한 환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58.3%(7명)에서 14.3%(6명)로 감소한 반면, 림프절 곽청술, 항암 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및 interferon- α 등 다양한 기법을 복합적으로 사용한 환자가 증가하였다. 또한 통계적 의미는 없었지만 생존율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 : 결과적으로 부산대학교 병원에서 10년간 경험한 피부 악성 흑색종 환자들의 임상 병리조직학적 소견은 국내 및 다른 동양인에서의 보고와 유사한 반면, 서양인과는 많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PNUH melanoma clinic의 운영 전후의 변화를 비교하여, 피부 악성 흑색종 환자의 관리에 팀적 접근이 중요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 화학자의 정보요구와 이용행태 연구 : 부산대학교를 사례로

        정선미 부산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8687

        This study's purpose is aimed to research information need and use behavior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chemist and to suggest better service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Library as to achieve education and research of high quality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chemist. This study accomplished as case study and the case choosed for research is Chemist and Library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The finding resulted in Investigation of information need and use behavior of Pusan National University's Chemist is as followed : 1. For research, they need more analytical and methodic information than special data. 2. For search, they generally depend on journal, CA and monograph. 3. As to obtain of information material, they use information system to access easily. 4. They give up the finding information material easily. 5. Their information use behavior will be changed soon. 6. The student feel more inconvenient than profession in the library use. The suggestion to develop library service for Pusan National University's chemist is designed as follows : 1. Library should be developed the its collection, specially journal, CA and monograph. 2. Library should be developed Journal Contents Delivery Service and Document Delivery Service. 3. Library should be done its notice and use education. 4. Library should be introduced partial librarian. 5. Library should be developed the environment of library.

      • 지역 대학 공연장의 활성화 방안 연구 : 동서대학교 소향씨어터를 중심으로

        송대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71

        2012년 7월 해운대구 센텀시티에서 작곡가 이영훈의 노래를 쥬크박스(Juke Box) 형식의 뮤지컬로 제작한 작품 ‘광화문 연가’ 공연의 화려한 막을 올리며 동서대 소향씨어터의 문을 열었다. 소향씨어터는 그간 부산지역에서 무대시설 인프라의 한계와 운영상의 제약 등으로 인해 시도할 수 없었던 대형뮤지컬 작품의 장기 공연을 기획·제공하였으며, 이는 부산지역 공연예술시장이 확장 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동서대 소향씨어터가 설립된 배경은 기업의 메세나 활동과 그 맥락이 같다고 볼 수 있다. 예술대학을 보유한 동서대학교는 부산지역의 전문공연시설 부재에 대한 인식과 시민들의 공연 향수 환경 개선을 위해 기존의 시설과 차별되는 공연 공간 구축을 목표로 소향씨어터를 설립하였다, 부산지역에 제대로 된 무대설비를 갖춘 최초의 공연장인 부산시민회관이 세워진지 50년이 지난 2022년 현재 부산지역에는 국·공립 공연장 31개와 민간 공연장 포함 97개의 공연장이 운영 중이며, 2,000석 이상의 대형 공연장 두 곳이 현재 건축 중에 있다. 공연장의 설립과 운영에는 막대한 재원이 소요된다. 2024년 완공 예정인 북항 오페라 하우스의 건축비는 3,050억 원이며 연간 운영비는 151억 원으로 추산되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가 공연장 건립을 통해 지역 예술 생태계의 균형 있는 발전과 시민들의 문화 복지를 실현한다는 계획은 환영 받을 일이지만 국가 예산 집행의 비용효율적인 차원에서는 다각도의 연구와 검토를 통해 신중한 판단이 전제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무분별한 공연장 건립을 지양하고 국가 예산의 효율적인 집행을 위한 대안으로써 대학 공연장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부산지역에는 현재 22개의 대학교가 교통이나 편의시설 면에서 입지 조건이 잘 갖추어진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이들 학교는 대부분 학내·외 행사를 위한 강당이나 공연장을 보유하고 있다. 시설의 규모와 수준은 대학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공연장의 기본 인프라인 객석과 무대시설을 모두 갖추고 있어서 얼마간의 시설 개보수와 확충을 거치면 문화 공간 활용에 있어 훌륭한 대체 자원이 될 수 있다. 또한 음악인과 연극인을 양성하는 예술 학부를 두고 있는 대학에서는 공연 예술가 인큐베이터 역할 수행에 최적의 장소이다. 본 논문은 대학 공연장 활성화 방안 연구를 위해 먼저 관련 선행연구의 분석과 문헌조사를 통해 대학 공연장의 개념과 범주를 살펴보고, 부산지역의 대학 공연장과 민간 공연장의 통계자료 분석과 현지실사 및 실무자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부산지역 공연 예술 관련 전문가들의 대학 공연장에 대한 객관적이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학교, 언론, 공연 기획사, 예술인, 문화재단 등에 소속된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와 함께 2012년 개관한 동서대 소향씨어터를 주요 사례로 선정하여 시설현황과 운영현황을 분석하여 대학 공연장이 지역의 주요 문화 거점으로써 어떠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대학 공연장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필요한 전제 조건과 실현 방안을 모색하였다. 동서대 소향씨어터는 공연장 인프라의 전문성을 통해 이용자들에게 높은 만족도를 실현하고, 대학의 브랜드 가치를 상승시켰으며, 부산지역 공연산업 성장을 견인하였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있는 반면 내부적으로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경영전략의 필요성과 함께 지역 문화공간으로써의 역할 부족 등이 문제점으로 파악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의 중심 사례인 동서대 소향씨어터의 운영 사례를 통해 도출된 성과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전문가들의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지역대학 공연장의 사회적 기능 확장과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대학은 공연장의 건립과 운영에 있어 전문적인 시설과 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운영할 전문 인력의 확보를 통해 양질의 공연예술 콘텐츠를 개발하여 제공한다. 둘째, 대학 공연장의 사회적 기능 확산 방안으로써 대학 공연시설과 교육시설 인프라를 활용하여 학생들과 지역민들 대상 예술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지역 예술인들의 양성을 지원하는 인큐베이팅 시스템을 활성화 한다. 이와 함께 대학 공연장과 민간공연단체, 정부가 연계하여 지·산·학 협력 사업 추진으로 지역 예술 생태계의 선순환 환경을 조성한다. 셋째, 대학 공연장 경영의 효율성 강화를 위해 안정적인 재원 조성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관객 개발을 위한 전략적 마케팅 활동을 전개한다.

      • 메가이벤트의 영향지각과 정부신뢰가 개최지지에 미치는 영향 : 2030 부산월드엑스포에 대한 부산지역 대학생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김나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71

        최근 부산은 2030 부산월드엑스포 유치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월드엑스포의 추진은 10년 이상의 장기간이 소요되는 국가사업이며 이 기간 중 변화하는 여건 속에서도 월드엑스포가 계획대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국민과 지역주민의 관심과 지지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 엑스포의 유치 과정에 대한 인식이 미비한 실정이며, 특히 2023년 상반기에 실시 예정인 BIE 현장실사에서 지역민의 지지가 높은 배점을 차지하는 만큼 이들로부터의 관심과 호응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2030 부산월드엑스포의 개최를 가정하여 진행함에 따라 엑스포가 개최될 시점의 사회의 주역인 현재의 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부산지역 대학생이 인식하는 엑스포의 파급 영향과 주관기관인 부산시에 대한 태도를 이해하는 것은 부산월드엑스포의 성공적인 유치와 개최를 실현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메가이벤트의 영향 인식과 지지를 주창한 다수의 선행연구를 근거로 하여 엑스포 영향 인식 항목을 경제적, 사회적, 관광적, 부정적 영향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기존의 선행연구들에서 사회적 영향의 하위요인으로 포함되어있던 관광의 영향을 구성요소로 추가하였으며, 부정적 영향 측정은 각 경제적, 사회적, 관광적 영향의 부정적 측면의 영향을 간소화 하여 이와 정부신뢰, 개최지지의 방향성을 확인하고자 추가하였다. 구성된 측정항목을 통해 엑스포의 영향 인식이 정부신뢰와 개최 지지로 이어지는 관계에 대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특히 메가이벤트 연구에서 영향인식과 개최지지 간에 신뢰가 매개 역할을 할 것으로 가정했다는 점은 선행연구와 차별적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실증분석은 우선 2030년 부산월드엑스포가 유치 및 개최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진행하였다. 현재 부산시에 위치한 종합대학과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406부를 유효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Amos 28.0 프로그램을 통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구조방정식모형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하여 신뢰성 및 타당도를 검토하여 가설 검증 및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분석결과 첫째, 엑스포 영향 인식의 4가지 하위요인들 중 엑스포 개최의 경제적 영향과 관광적 영향을 인식한다면 개최 지지에 정(+)의 영향을, 부정적 영향을 인식한다면 부(-)의 영향을 주었으며, 관광적 영향이 개최 지지의 가장 큰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적 영향만이 정부신뢰에 정(+)의 영향을 주는 반면, 부정적 영향 인식은 정부신뢰에 부(-)의 영향관계를 보였다. 셋째, 정부에 대한 신뢰가 높다면 개최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부신뢰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긍정 측면의 경제적 영향을 인식한다면 개최를 지지하였으며, 이때 부산시 정부를 신뢰한다면 더욱 지지하였다. 또한, 엑스포 개최의 부정적 영향을 인식한다면 개최 지지를 하지 않았으며, 이 경우 정부에 대한 신뢰도가 낮다면 더욱 개최를 지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은 엑스포 개최영향 인식, 정부신뢰와 개최지지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모형으로서, 사회교환이론을 접목한 지역주민의 메가이벤트 영향인식 연구를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함의를 갖는다. 또한, 엑스포가 개최될 시점의 주요 세대를 연구대상으로 특정하여 진행했다는 점과 정부신뢰의 매개변수로써의 역할을 확인하며 메가이벤트 연구를 확장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부산시의 향후 엑스포 홍보 방향성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다만, 본 연구의 조사가 2030 부산월드엑스포의 유치 이전에 실시됨에 따른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유치확정 이후 구체적 계획 수립 과정에 대한 실제적 인식에 기반한 분석이 필요할 것이며, 개최 이전, 개최 중, 개최 이후의 영향 인식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마지막으로,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된 온라인 조사에 따른 한계점이 존재하며,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세대를 대상으로 한 메가이벤트 영향인식과 태도 연구가 더우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