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기억의 확장을 통한 상상의 표현 연구

        서상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dissertation is mainly discussing the expression of imagination reconstructed with memory extension in art works today. By interacting with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circumstances surrounding us, we create and express our perspectives as the aesthetic expression indirectly. Also we accumulate the various images through the flowing time in our spaces. The space can be memorized by some special occasions, events, and situations. With memories, likewise, we have built the memories from the past to present. In common with artists attempting to communicate with spectators using their own life stories, the memories provide the art works' backgrounds as the whole experience to the artists. Under this idea, I start with the 'house' as the memories of space. The house is the trace of people who have lived in there and its forms are numerous. I organically transform the spaces possessing a number of meanings and much time, shedding new light on the new spaces by blending memories, imagination and house images. I signify the daily experiences with my own specific language. In other words, my daily memories are recomposed because new spaces and the figures of reconstructed spaces have a great significance as the concrete objects that comprise of art works transcending the established meanings. Those preceded studies are the supplementary for my art works and perspectives. I investigate the way various structures are established which are reconstructed by interacting with imagination and theories regarding 'memory' in art field. In this dissertation, 'Memory', the main theme is originated from Henri Bergson's subconscious representation of memory in his book, Materials and Memory. In addition, he argues in Materials and Memory that the subjective imaginary world, which is based on the imagination, is superior to the objective western science world which is based on the reason. Gaston Bachelard, called .Nicolaus Copernicus in 20th century, also emphasizes the creativity and originality stemmed from the power of imagination. Thus the memories can be some images through the course recalling the impression and experience of the past that have been kept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However even objective and common experiences that images recall through personal memories are present differently in terms of each perception. It means that unlike the knowledge, skills and news replayed in our mind without deeply thinking, the objects and places having another values by using memories can be something that transcends the thing they imply. If the collective memories of social cultural community consist of a nation's historical basement, those of a person can be the foundation of personal identity. Namely, the memories reveal the identity, not affected by each different experiences of lives. With this research, I conclude a person's emotion give some strong effects on the storage place called memories. If we remember something, it does not mean we accept the events as what they were but as what we understood and interpreted. These memories are left as the positive or negative ones through the personal course of each other and they can be the private memories. In the course, the memories and imagination we possess are not the simple, common and similar relation but the complex, continuously changeable, and multilayered structure, interacting by affecting each other. In these days as the power of imagination is emphasized, art is the expression of emotion and sensibilities through the memories, human's mental ability and imagination, the extension of memory. With present experiences, we reconstruct our memories with our feelings and personalities and it extends our memories, resulting new spaces and forms rebuilt by our memories and imagination. The reconstructed images are beyond the established meanings and remain as concrete objects comprising of art works.

      • 전문계 고등학생의 영어 학습스타일과 영어 학습전략의 상관관계 연구

        서상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계 학생들의 영어학습 스타일과 학습 전략 간에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전문계 학생들의 학습스타일은 어떠한 분포와 특징을 보이며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둘째, 전문계 학생들은 어떠한 학습전략을 사용하고 있으며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셋째, 전문계 학생들의 학습스타일과 영어 학습 전략사용 간에 상 관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전문계 학교 교사들은 학습 스타일과 학습전략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갖고 있으며 현장에서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가르치고 있는가? 이러한 연구 목적을 갖고 연구 과제의 답을 얻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I시 소재의 4개 전문계 고등학교를 선정하여 학생들의 학습 스타일과 학습 전략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5개 전문계 고등학교의 24명의 교사에게도 설문지를 배포하여 22개의 분석 가능한 자료를 회수하였고, 그 설문조사의 자료를 갖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전문계 학생들의 학습 스타일 분포를 조사해 본 결과 시각형 ∙ 구체형 ∙ 개방형 ∙ 포괄형 ∙ 연역형 ∙ 장의존형의 편중현상을 보였다. 또한 성별로 분포도를 비교해 본 결과 신체감각 선호정도에서는 여학생이 시각형에 두드러진 분포를 보였고, 학습상황 선호정도에서도 역시 여학생이 내향형에 더 많은 분포를 보였다. 정보처리 방식에서는 남학생은 분석형, 여학생은 종합형 분포가 높았고, 정보기억 방식에서는 남학생이 통합형에 많은 분포를 보였다. 둘째, 전문계 학생들의 영어 학습 전략 사용정도를 살펴 본 결과 전체적으로 낮은 사용정도를 보였으며 이는 일반계 학생들로 이루어진 선행연구에 비교를 했을 때 현저히 낮은 점수였다. 특히 여학생에 비해서 남학생이 학습전략을 더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고 그중에서도 기억전략 ∙ 상위인지 전략 ∙ 사회적 전략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사용점수를 나타냈다. 셋째, 학습 스타일과 학습 전략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유의미한 상관도를 보였다. 하지만 모든 학습 스타일과 학습 전략 간에 상관관계를 보인 것은 아니었고, 특히 시각형 ∙ 폐쇄형 ∙ 장독립형과 같은 학습 스타일은 대부분의 학습전략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학습 스타일과 학습 전략에 대한 전문계 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묻는 설문조사 결과 교사들은 학습 스타일과 학습전략이 영어 학습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은 갖고 있으나 수업시간에 교수를 하는 교사들은 많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로 학습 스타일과 학습 전략 간에는 항목에 따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연구에 참여한 전문계 학생들은 편중된 스타일 분포를 보이는 경향이 있었고, 성별에 따라서도 학습 스타일이나 학습전략 사용정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학습 스타일과 전략이 영어 교육에 있어서 필요하다는 인식은 있으나 수업적용은 미흡한 상태였다. 따라서 설문에 응답한 교사들이 수업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학습 스타일과 학습 전략 교수 자료 개발 및 기존 측정도구의 수정이 필요하고, 가르치는 대상의 스타일을 파악하여 수업을 조직하고 계획해야 하며 학습자의 스타일에 맞는 전략을 우선적으로 가르치고 취약한 부분을 보완해가는 방향으로 교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실용음악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 국내․외 실용음악계열 대학을 중심으로

        서상희 대진대학교 문화예술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중음악이라는 예술은 음악이라는 장르를 일반 대중들에게는 보다 쉽고 편리하게 접할 수 있는 기회들을 주는 전통적인 문화적 상품으로 기능해 왔다. 그러나, 산업사회가 급격하게 변화와 발전들을 해오면서 고부가가치의 문화상품으로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주목할 만한 첨단산업으로 성장해 나가고 있다. 1988년 우리나라 최초로 서울예술전문대학에서 실용음악 교육이 시작된 이후 지금의 실용음악과, 포스트모던음악과, 생활음악과 등 여러 형태의 이름으로 많은 대학에서 학과가 개설되었다. 처음에는 2년제 대학에서만 개설되었던 실용음악과는 2년제, 3년제 대학, 4년제 대학, 대학원, 학점인정 교육기관들이 증가하고 있다. 대학들의 실용음악과가 증가하면서 고등학교에서도 그 관심을 갖게 되며 전문 실용음악교육을 하는 학교들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이렇게 학교들이 늘어나고 있는 이때 교육의 질을 높이고 끊임없이 연구하여 실용 음악교육의 폭은 넓혀나가야 할 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실용음악교육의 역사와 현재를 살펴보고, 실용음악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들을 모색하여 앞으로의 우리나라 실용음악교육의 발전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실용음악교육의 역사와 현재의 상황, 그리고 국내, 외의 실용음악 교육 실태 등을 되짚어 봄으로서 실용음악교육의 필요성과 실용음악 대학들의 교육목표, 교과과정을 비교, 분석하고 또한 각 대학의 입시제도도 비교해 보았다. 그래서 실용음악대학을 가고자하는 학생들이 자신에게 맞은 대학들에 맞춰 입시를 준비할 수 있도록 각 학교의 교육 목표, 입시요강 등을 비교해보았다. 또한 실용음악관련 여러 직업들을 알아보고 학생들이 미래에 대한 폭넓은 견해를 가질 수 있도록 실용음악이 단지 연주자로만 성장해야 성공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실용음악 관련해 다양한 분야까지도 눈을 돌릴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사회현상 속에서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그런 실용음악 전문인들을 체계적인 학교 교육에서부터 가르치고 길러낼 수 있도록 교육 과정도 현실에 맞게 연구하고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의 실용음악 대학, 실용음악 대학원등에서도 실용음악 관련 전공 분야를 더 세분화하여 많은 분야에서 자격을 갖춘 전문적인 강사들을 배출해 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대중음악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지는 이때에 실용음악을 교육받고 실용음악을 전문적으로 하고 있다는 것에 자부심을 갖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하겠다.

      • 신문기사 스타일이 독자의 기사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이트형과 스토리텔링형의 차이를 중심으로

        서상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writing style for newspaper articles affects readers’ cognitive evaluation for these articl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compare two writing styles of straight and storytelling in newspaper article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s of each writing style, and to investigate readers’ evaluation for each article. The evaluation was measured in 4 areas; Immersion, Reliability, Satisfaction, and Message communicability. The articles were categorized into 4 types; Political straight news article, Social affairs straight news article, Political storytelling news article, and Social affairs storytelling news article. A survey was conducted to estimate responses to each of the 4 areas, with 305 students in the College of Social Sciences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The primary issu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f given that two articles have same contents with different writing style, how readers’ evaluation for the 4 areas differs according to whether straight or storytelling type, Second, what kind of interaction effect between writing style or contents and readers’ evaluation, Third, what kind of interaction effect between writing style, contents and reader’s gender, Fourth, how writing style relates to readers’ attitud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in the following paragraphs. The degree of immersion was highly assessed in social affairs storytelling news articles. Reliability, satisfaction and message communicability areas were unlikely to be affected by the writing styl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on interaction effect between writing style, article contents and readers’ evaluation, “immersion” was affected by the writing style and the contents. But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writing style and contents.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were affected by contents. From the analysis on interaction effect between writing style, article contents and reader’s gender, “immersion” and “reliability” were affected by the writing style and the contents except for the gender.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contents that statistically interacted with reader’s gender. “Message communicability” was not affected by any factors of contents, writing style and reader’s gender. There were no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three factors, except for between contents and reader’s gender in the “satisfaction” area. Lastly, readers’ attitude towards social affairs articles had not reacted to whatever the writing style was, whereas their attitude towards political articles reacted to the writing style.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hows that storytelling type in case of social affairs news articles is more likely to lead to readers’ immersion.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writing style, while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article contents and gender is found. Moreover, when readers in the past review an article, “reliability” and “comprehensibility” were primarily considered as evaluation factors. But this study reveals that the factors have been increasing to meet their new demands and changing market needs. This is explained from the survey that “immersion” has been considered as primary criteria. A result of the research also shows no relationship between writing style and gender. This result indicates it is unnecessary to modify a news article style for considering reader’s gender. Readers’ attitude is likely to change more towards political straight news articles. It is significant to note that the study has proceeded upon analyzing of the reaction of receiver, not producer. However, this study also has limitations; few writing styles, rarely-distributed age group of the respondents, and time difference of attitude-changing. Reflecting the “storytelling trend” in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key for flourishing journalistic article styles in order to solve the marketability problem at this journalism field.

      • 지능, 목표지향성에 따른 근접발달영역의 연구

        서상희 淑明女子大學校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experimental study about Vygotsky theory. Vygotsky asserted that zone of proximal development(ZPD) varied according to child of same age and task domain. According to his definition, ZPD is the distance between the actual development level as determined by independent problem solving and potential development level as determined through solving under adult guidance or in collaboration with more capable peers. In this study, ZPD is mediation level to need for number series completion task. This study main purpose is to explain the relation between ZPD and traditional IQ and the relation between ZPD and goal orientations. The concrete purpose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ings : (1) to investigate relation between IQ and learning speed, between goal orientations and learning speed. (2) to investigate relation between IQ and static transfer scores, between goal orientations and static transfer scores. (3) to investigate relation between IQ and dynamic transfer scores, between goal orientations and static transfer scores. For the study, number series completion tasks were used, which were developed by Han Sun Mi(1993). This instruments were administrated to 72 fifth grade students in order to measure learning speed, static transfer and dynamic transfer. Two-Way ANOVA were performed in order to analyze data. The verified results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ing : (1)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for IQ level, F(1,72) = 19.284, p< .05. There was no significant main effect from goal orientations level. (2)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for IQ level, F(1,72) = 2.411, p< .05. There was no significant main effect from goal orientations level. (3)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for IQ level, F(1,72) = 13.847, p< .05. There was no significant main effect from goal orientations level. 본 연구는 Vygotsky의 이론을 바탕으로 근접발달영역과 지능, 목표지향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72명을 대상으로 지능검사, 목표지향성검사, 숫자순서 알아내기 검사, ZPD-수열추리검사를 실시하였다. 지능검사로는 KEDI-집단지능검사 A형, 한순미(1993)가 개발한 귀납적 추리과제에 의한 ZPD-수열추리검사를 통해 학습속도와 전이문제의 결과를 측정했다. 그리고 목표지향성은 정명희(1998)의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목표지향성검사를 타당화하기 위해 Cronbach α계수를 알아보았고, 근접발달영역과 지능, 목표지향성에 대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탐구하고자 했던 연구문제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능수준, 목표지향성수준에 따라 학습속도에는 유의미한 차이와 상호작용이 있을 것이다. 지능수준에 따른 학습속도에서는 의미있는 주효과가 있었다. 지능이 높은 집단이 상대적으로 지능이 낮은 집단보다 적은 도움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목표지향성수준에 따른 유의미한 주효과는 없었다. 즉 목표지향성 조건은 학습속도에 차이를 일으키지 않았다. 그리고 변인들간의 상호작용도 없었다. 둘째, 지능수준, 목표지향성수준에 따라 고정적 전이점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지능수준에 따른 고정적 전이검사에서는 주효과가 있었다. 목표지향성수준에 따른 유의미한 주효과는 없었다. 즉 목표지향성 조건은 고정적 전이검사에 차이를 일으키지 않았다. 그리고 변인들간의 상호작용도 없었다. 셋째, 지능수준, 목표지향성수준에 따라 역동적 전이점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지능수준에 따른 역동적 전이검사에서는 주효과가 있었다. 반면 목표지향성수준에 따른 유의미한 주효과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모든 가설에서 목표지향성이 주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온 것은 주목할 만한 결과다. 목표지향성은 학습, 고정적 전이와 역동적 전이 모두에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것은 학생이 특정 과제를 학습하고 전이하는데 있어서, 그 과제에 대한 학생의 목표지향성과는 결과가 무관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즉 근접발달영역의 폭과 목표지향성과는 관계가 없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하지만 배경지식이나 동기와 함께 과제마다 근접발달영역이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배경지식에 따라 근접발달영역이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가에 대해서 연구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숫자순서 알아내기와는 다른 과제에서 연구해 볼만하다. 숫자순서 알아내기는 일반적인 과제였지만, 학교 교재 내용 등을 과제로 하는 것이 교육현장에 주는 시사점이 더 많을 것이다.

      • 대학 학과홍보 전문 인터넷 방송의 이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 Bestunitv 인터넷 방송 사이트 제작을 중심으로

        서상희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1990년대 들어서면서부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대학 홍보의 현황과 그에 대한 한계를 파악하여, 이를 인터넷, 특히 인터넷 방송을 활용하여 대학 홍보의 새로운 방향과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즉 지금까지의 텍스트 중심의 단순 홈페이지 형식의 대학 홈페이지를 통한 소극적인 홍보 방법을 개선하여 '인터넷 방송'이라는 매체로서의 기능을 부각시켜 보다 구체적인 정보와 적극적인 홍보매체로서 인터넷 방송을 이용한 대학홍보의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최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대학 홍보에 있어서 대학진학희망자인 고교생들에게 실제로 대학 선택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수요자 중심의 홍보'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가라는 의문을 제기하게 된다. 지금까지 대학의 홍보는 매체의 발달과 함께 신문·방송·인터넷 등 유력한 홍보매체를 활용하여 각 대학별로 학교 알리기에 총력을 기울여 왔으나, 수용자가 원하는 정보 제공 측면에서는 보다 구체적인 홍보 전략을 수립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더불어 인터넷의 발달로 수용자와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적극 활용한 대학 홍보 방안을 모색해 보아야 할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홍보 대상 중 가장 영향력이 큰 대학진학 희망자, 즉 고등학생들을 Target audience로 하고, 이들 신세대들은 영상 정보에 대한 정보 소구력이 높다는 것을 감안하여 '인터넷 방송'을 홍보매체로 활용하면서 정보이용자인 고등학생들이 실제로 대학홍보를 통해서 얻고자 하는 구체적인 대학 학과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방송에 대한 이용 가능성을 검증해 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현재 대학진학희망자 또는 이들의 학부모들이 각종 매체에서 제공하는 대학입시 진학정보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대학 학과 선택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얻고 있는가? 둘째, 현재 입시철을 중심으로 각 대학별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대학홍보행사는 그 내용에 있어서 수용자인 고교 3학년생들의 정보욕구를 충족시키는가? 셋째, 대학학과별 교육내용, 졸업 후 진로, 학과 전망 등을 소개하는 인터넷 방송국 개국시 이에 대한 이용가능성은 어느 정도인가? 이러한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수용자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먼저 첫 번째 연구 문제에 대해서는 고등학생들과 이들의 학부모 모두 기존의 각종 매체를 통해서 대학의 다양한 학과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충분히 얻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각 대학별 홍보 행사에 대한 수용자들의 의견을 종합해 본 결과, 응답자들은 개별 학과 교육내용,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소개 등이 대학 홍보행사에서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못함을 지적하였다. 따라서 홍보 행사의 내용이나 형식에 있어서 많은 개선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그 내용에 있어서 예비 입학자들에게 보다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즉, 개별 학과의 교육내용과,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정보를 줄 수 있는 내용으로 행사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대학홍보행사는 시간상, 장소상의 제약조건에 의해 이러한 요구사항을 전적으로 담아내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학과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와 개별학과의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정보를 수험생들이 찾아볼 수 있는 독립적인 창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어서 세 번째 연구문제로서 대학 학과별 교육내용, 졸업 후 진로, 학과 전망 등 을 소개하는 인터넷 방송국 개국시 이에 대한 이용가능성에 대한 의견 조사 결과, 학생과 학부모 모두 이러한 인터넷 방송에 대하여 높은 관심도를 나타냈다. 이는 위의 첫 번째, 두 번째 연구 문제에 대한 응답 결과에서도 유추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대학 학과홍보 전문 인터넷 방송>에 대한 시장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실제 학과의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영상물을 제작하여 학과 정보를 소개 및 홍보하는 프로그램을 주요 컨텐츠로 운영하는 인터넷 방송 사이트를 제작해 보는 것으로 본 연구의 최종 결과물을 만들어 보았다. 실제 이러한 <대학 학과홍보 전문 인터넷 방송>이 이용자들이 직접 이용했을 때의 제공된 정보에 대한 만족도와 이를 통한 대학 홍보 효과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이 향후 수반되어야할 과제임을 전제 조건으로 하여 제작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어떤 경우든 절대 간과할 수 없는 사실은 대학 홍보는 이제 장기적 전략을 세우고 내부, 외부 소비자의 시각을 시시각각 분석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서만이 보다 세분화되고 특성화된 프로그램들이 만들어질 수 있고 그 결과 민족사학, 첨단, 열린대학, 전통적이며 미래지향적임을 주장하는 대다수 대학들과는 다른 차별화된, 대학의 참 모습을 수요자들에게 전달하여, 대학을 중심으로 수요자와 공급자가 동시에 만족을 얻을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학 홍보의 기본 목표는 우리 대학의 수준을 한층 높이는 기회로 삼겠다는 사명감이어야 할 것이다. 어떻게 하면 수직선상에 줄서있던 대학들을 서로 다른 특성과 세분화된 분야를 가진 다양한 대학으로 흩어 놓을 수 있는지에 대한 좀 더 장기적이고 총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is aimed to present new direction and possibility of University PR to use internet, especially internet broadcasting through reports for the present condition and limitation in university PR achieved lively in 1990's. In fact we need to improve university PR (publicity relation) through simple university homepage in the middle of text and presens the new methods of university PR as internet broadcasting, positive publicity media, gives various informations to us. But it is suspected if various university PR that marches lively recently give high school students that want to enter university actual informations for entering upon studies - that is to say, it's university PR for demanders. Though each university did it's best for university PR as it has used the influential PR media for example newspaper,broadcasting,internet, it isn't the specific PR strategy as for supply of informations receivers want. And now we need new methods for university PR - what we can use double communications, for suppliers and demanders, positively - as internet culture developes.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to inspect the useful possibility of internet broadcasting where high school students want to enter university can accept the specific informations of department in each university. In oder to solve the problem, this study is aimed to make study questions as follow. 1. Now the students want to enter universities and their parents have acquired the sufficient informations that they can need as they choose the department of university, supplied by various media. 2. How are full university PR events held every season of the entrance examination of the informative demands of high school junior students? 3. How many people can use internet broadcastings founded in order to introduce the education contents in accordance with each department, the course after graduation, and the view of each department? The results are caused by question research to demanders for the solution to problems as follow. 1. First of all the first study question - Both students and their parents couldn't get specific informations of various departments of universities throught existing media influentially. 2. The second study question - As a result of gathering receivers opinions as for the PR event of each university, they pointed out that they can't get specific informations of education contents in the each department ,the course after graduation. Therefore the contents and forms of PR events in the university need to be improved, and receivers have to be able to get specific informations of education contents in the each department, the course after graduation throught the PR events. But it is very difficult because of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s that PR events of universities contain every condition that receivers demand. So each university have to make the liberal spaces where examines can search specific informations of education contents in the each department, the course after graduation. 3. The third study question - As a result of researching receivers' opinion as for useful possibility on the occasion of founding internet broadcasting that can introduce specific informations of education contents in the each department, the course after graduation, both students and their parents are interested in internet broadcasting. Through the result of first and second study problems this fact an be confirm already. This question research let us(or me) confirm the market function as for special internet broadcasting for University PR. On the ground of this we(or I) made the latest result as we (or I) produce internet broadcasting site that produce programs that introduce the specific informations of each department in the middle of actual education contents. We (or I) have produced this program having the precondition - actually on occasion that many receivers use special internet broadcasting for University PR, their satisfied degrees and positive analyses as for PR effects have to be accompanies hereafter. The fact, that we must not forget, is that it is demanded the university PR on the ground of strategy in the long run and continuous analyses as for views of inner and outside consumers. The very subdivisible and specialized programs can be made through this. And many consumers can see the real figure of university finally -it is distinguished from most universities that claim the private school of a nation, the spearhead, opened university, and traditional and future university. The suppliers and demanders can get satisfaction in this university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basic aim of university PR have to be the mission to get the chance that our university. We(or I) need to long term and all approach to study how many universities standing in a vertical line change to various universities to have each specific character and subdivisible fields.

      • 실재와 가상의 공존이 느껴지는 시각 표현 연구

        서상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Art has been around in various forms and functions. Renaissance, when medieval class society and theological society bid farewell, was the time of transition from God's order to faith in nature. In such transition, art tried to immitate nature and symbols played a role of mirror that reflected reality. As mass production became available in post-Industrial Revolution society, immitation was considered as industrial products. Reproduction, until then, was always based on reality. In modern era of consumption, another wave called <virtual reality> hit the art scene which was heading for post-modernistic living. Countless images are consumed and subjects have no significance by themselves but became important as symbolic images. The characteristics of society of consumption in which reality disappears and virtuality appears can be examined by the simulation theory by Jean Baudrillard. This theory especially affected art in a major way and supports the growth of art. This study focuses on coexistence of reality and virtuality. There is an objet as a realistic object as well as a conceptional objet which became an image through the artist conception. A conceptional object is a potential psychological image in the depths of conscious expressed in fantastic and unrealistic way; we can meet the world in which images floating in reality and dream coexist through works of art with distinctive inner emotions, imagination and fantasy. This study attempts to realize a simulation,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by showing various faces of each objet in one scene in a natural way. The text examines the core theme of this study, <Simulation>. In the first chapter of the text,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simulation,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are covered; the theory is defined as the concept by Jean Baudrillard(1929~2007); and the definition of simulation as an image for expressions in illustrations is covered. In the second chapter, the relationship between simulation and art; and examples of useful tips and techniques to understand this study are covered. Based on the mentioned above, I intent to create illustrations of modern fantasy beyond dichotomy that separates reality and dream; and actuality and imagination. 예술은 다양한 모습으로 우리 곁에 존재해 왔다. 중세의 신분사회와 신(神)중심 사회가 종말을 고하는 르네상스 시기에는 신의 질서에서 자연에 대한 믿음으로 전환되는 시기였다. 이 시기의 예술은 자연의 모방이고자 하며 현실을 비추는 거울 역할 담당을 했다. 산업혁명 이후의 사회는 대량생산이 가능해짐에 따라 복제되어지는 모조(模造)는 공산품으로 취급받게 되었다. 현대 사회로 와서는 사물들은 사물 자체로 소비되어 지는 것이 아니라 수 없이 많은 이미지로써 소비되어 지고 있으며, 대상들은 대상 자체로의 의미가 아닌 기호화된 이미지로써 중요성을 지니게 된다. 이러한 실재가 사라지고 가상이 대두되어 지는 소비사회의 특징은 장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 이론에서 짚어 볼 수 있다. 이 이론은 특히, 예술의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예술의 발전에 도움을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다룰 것은, 실재와 가상의 공존이다. 실존적인 대상으로써의 오브제가 있고, 작가의 관념을 통해 이미지화 된 대상으로써의 오브제가 있다. 즉, 관념적 대상은 본인의 의식 심층에 잠재된 심리적 이미지가 환상적이고 초현실적으로 표현 된 것으로 이러한 가상과 실재의 만남은 신비로운 또 하나의 세상을 만들어 낸다. 내면과 감정, 상상력과 환상성이 돋보이는 작품을 통해 우리는 현실과 의식 저편에 떠도는 미지의 것들, 현실과 꿈이 공존하는 세계를 만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오브제가 가지는 각기 다른 모습의 세상들을 한 화면속에서 자연스럽게 서로가 동화되어지듯 보여주어 현대 사회의 특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시뮬라시옹이 느껴지는 환상을 구현하고자 한다. 본문에서는 연구의 핵심 주제가 되는 '시뮬라시옹(Simulation)'에 대해 알아본다. 본문 첫 번째 장에서는 현대 사회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시뮬라시옹의 시대적 배경과 특징을 알아 본 후,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 1929~2007)의 개념으로써 그 이론을 정립하며, 시뮬라시옹으로 인해 바뀌어 지게 된 ‘이미지’에 대해 알아본다. 본문 두 번째 장에서는 시뮬라시옹과 예술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표현된 사례들을 통해 본 연구에 도움이 되는 사고와 표현 기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의 내용을 토대로 현실과 꿈, 실재와 상상을 분리하는 이분법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현시대적인 환상을 일러스트로 제작하고자 한다.

      • 청소년의 위험 성행동과 건강결과 간의 관계 연구: 성별차이와 젠더규범을 중심으로

        서상희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stemmed from an awareness of the absence of institutional interventions allowing adolescents to receive proper cure, care, and social support when their health is harmed due to risky sexual behavior. Moreover, ethical criticism and stigma of risky sexual behavior among adolescents were more controlled and oppressive for femal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risky sexual behavior as a health risk behavior, differing from the perspective of adolescent sexual behavior as a problem behavior.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y sexual behavior and health outcomes in adolescents and the role of gender norms in the impact of such behavior on health outcomes. Considering gender differences, the interventions that could provide appropriate social support and treatment were derived as a policy improvement plan. This study used a mixed research method: The quantitative study used data from the 12th Korea Youth Health Risk Behavior Survey (2016).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path analysis, and multiple group analysis were performed by applying complex sampling analysis. Qualitative research involved in-depth interviews with young people aged 20 to 24 years and adhered to feminist and social constructivist approach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sidering the effects of ecological system factors on risky sexual behavior through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gender, allowance, physical activity, drinking, drug use, academic achievement, and part-time work experi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individual level. At the friend, family, school, and regional levels, having friends who engage in risky health behavior (smoking), family economy-level, school type, and regional size, respectivel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y sexual behavior and health outcomes, after controlling for ecological system factors and performing structural equation path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y sexual behavior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versely, all relationships with other health outcom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by sex in the effects of risky sexual behaviors and health outcomes. After checking the model fit, a model including the effects of gender differences on risky sexual behavior and health outcomes was found suitable. Fourth, the role of gender norms among adolescents and their performance of risky sexual behaviors are as follows. Existing gender norms made information such as sexual knowledge of female adolescents vulnerable, prevented them from securing initiative in sex, and made them perform “risky sexual behaviors.” Therefore, gender norms played a negative role. Further, for male adolescents, the sexist gender norm was to engage in risky sexual behaviors, such as unintentionally not using condoms due to inaccurate and insufficient information. Fifth, regarding the role of gender norms among adolescents in risky behaviors and health outcomes, existing gender norms led to unwanted risky sexual behaviors or unintentionally risky behaviors and prevented adolescents from obtaining appropriate information when with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STI) or unwanted pregnancies. Additionally, access to safe health and medical services was blocked, and access to social welfare services was low. Therefore, female adolescents alone bear the risks to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 addition, existing gender norms discriminate and stigmatize sexual minorities such as AIDS. Access to information from media such as the Internet, where inaccurate information abounds, hinders accurate information on STIs. Consequently, stigma toward and ignorance of STIs make these difficult to treat. Further, the burden of sexual objectification and public perception of promiscuity raised the threshold for obstetrics and gynecology, and even minor vaginitis treatment was tolerated without visiting a hospital. Regarding mental health among the female adolescents in this study, the guilt and health outcomes resulting from internalized gender norms may be more harmful than the risky sexual behavior itself.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unlike most previous domestic studies, the risky sexual behaviors of adolescents were treated as risky health behaviors, not deviance or delinquency. Second, risky sexual behaviors, not sub-items of risky health behaviors, were independently identified. Third, beyond the individual level,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norms and gender norms on the risky sexual behavior of adolescent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health outcomes were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Fourth, mixed methods were used to better explain the complex phenomenon of risky sexual behavior among adolescents.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sexuality education in school, which tends to reproduce existing gender norms, must be comprehensive, as recommended by UNESCO. Second, even if changes in school sexuality education take precedence, other alternatives—providing objective and sufficient information to adolescents who are not socially and institutionally students—are also needed. Third, various methods to increase access to violence injury treatment for young women must be explored. Fourth, legal and institutional supplements are needed to ensure access to safe health and medical services for adolescents who wish to abort pregnancies. Fifth, condoms should be provided to adolescents free of charge or at low cost, in an easily accessible location, and in a form wherein they can safely use health care services without worrying about stigma or cost. Sixth, social workers and healthcare providers (e.g., doctors, nurses) whom young people receive services from, including counseling, need relevant education to enable feminist counseling.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ue to data limitations, there is a theoretical limit to inconsistency. In future, the theoretical consistency must be increased through analysis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data availability. Second, due to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data, only gender differences were reflected, whereas various genders were not reflected. In future studies, policy intervention points for LGBTI youth must be developed by reflecting various genders. Third, due to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data, the quantitative study did not include out-of-school or homeless adolescents. In future studies, an intervention point encompassing these two groups must be developed. Fourth, although the study stemmed from an awareness that both adolescent sexual behavior and risky sexual behavior are not unethical, the negative effect on health outcomes of risky sexual behavior in adolescents, as observed in this study, may reinforce stigma. Fifth, mixed methods research was used to better analyze the complex phenomenon of risky sexual behavior in adolescents; however, the absence of organic harmonization between each research method was a limitation. Sixth, gender norms of adolescents in Korean society appear to be closely related to ageism.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does not sufficiently explain ageism. In future studies, the explanation of the phenomenon revealed by the combination of gender norms and ageism must be emphasized in more detail. Finally,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is the only national survey to determine the sexual behavior and health outcomes of adolescents in Korea; therefore, some items must be added and improved. Questions about gender equality awareness and sexuality, as well as social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of adolescents, must be added. 이 연구는 청소년이 위험 성행동으로 인해 건강 위해가 발생하는 경우조차 원활한 치료와 사회적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더욱이 청소년 위험 성행동에 대한 윤리적 비난과 낙인은 여성청소년에게 더 통제적이고 억압적이라는 데 문제의식이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청소년의 성행동을 문제행동으로 보는 관점에서 벗어나 건강위험행동으로서의 위험 성행동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했다. 이 연구는 청소년의 위험 성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생태체계 요인들, 청소년의 위험 성행동, 건강결과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고, 위험 성행동이 건강결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젠더규범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기반으로 젠더 간 차이를 고려해 적절한 사회적 지원, 치료 등과 연계될 수 있는 개입지점을 정책 개선안으로 도출해내고자 했다. 이를 위해, 혼합연구방법을 진행했다. 양적연구는 제 12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2016년) 자료를 이용했다. 복합표본분석을 적용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구조방정식 경로분석,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했다. 질적연구는 20세부터 24세까지의 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여성주의와 사회구성주의 접근에 따른 심층면담을 실시했다. 이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체계요인이 위험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개인수준에서는 성별, 용돈, 신체활동, 음주, 약물복용경험, 학업성적, 아르바이트 경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친구수준에서는 건강위험행동(흡연)을 하는 친구 유무가, 가정수준에서는 가정경제수준이, 학교수준에서는 학교유형이, 지역수준에서는 지역규모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둘째, 위험 성행동과 건강결과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생태체계요인에 해당하는 요인들을 통제하고 구조방정식 경로분석을 시행한 결과, 위험 성행동과 주관적 건강상태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반면, 다른 건강결과와의 관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위험 성행동과 건강결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 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했다. 모형적합도를 확인한 결과 위험 성행동과 건강결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 간의 차이가 있는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삶에 체화되어 있는 젠더규범이 위험 성행동 수행에 있어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차별적 젠더규범은 여성청소년의 성지식 등의 정보를 취약하게 만들었고, 성관계에서 주도성을 확보하지 못하게 만들었으며, 거부를 거절당함으로써 ‘위험 성행동’을 수행하게 하는 등, 여성청소년의 위험 성행동에 부정적 역할을 하고 있었다. 또한 남성청소년에게 역시 성차별적 젠더규범은 성불평등한 성교육으로 이어졌고, 부정확하고 불충분한 정보습득을 하게 만들었다. 이는 의도하지 않게 콘돔 미사용으로 연결되어 위험 성행동을 하게 만들고 있었다. 다섯째, 청소년의 삶에 체화되어 있는 젠더규범이 위험 성행동과 건강결과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한 결과, 성차별적 젠더규범은 여성청소년이 원하지 않는 위험 성행동을 수행하게 만들거나, 성병에 감염되거나 원하지 않은 임신을 했을 때 적절한 정보를 얻지 못하게 막는 장벽을 만들고 있었다. 또한, 안전한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막을 뿐 아니라 사회복지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도 낮아 여성청소년 혼자 오롯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 위해를 감당하게 만들었다. 또한, 성차별적 젠더규범은 에이즈와 같은 성소수자를 차별하고 낙인찍는 내용의 학교 성교육과, 부정확하고 불균질한 정보가 난무하는 인터넷 등의 매체를 통한 정보 접근은, 성매개감염병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차단하는 역할을 했다. 성매개감염병(성병)에 대한 낙인과 무지는 성매개감염병에 대한 치료를 어렵게 만들고 있었다. 또한 몸에 대한 성적대상화와 문란하다는 주변 시선에 대한 부담감은 산부인과에 대한 문턱마저 높여, 사소한 질염 치료도 병원을 찾지 않고 참는 경우마저 있었다. 정신건강 측면에서는 위험 성행동 그 자체보다, 연구에 참여한 여성청소년에게 내재화되어 있는 젠더규범으로 인한 죄책감과 그로 인한 건강결과가 더 해로울 수도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한 이론적, 방법론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위험 성행동을 기존 대부분의 국내 선행연구와 달리 일탈이나 비행이 아니라 건강위험행동의 관점에서 다루었다. 둘째, 건강위험행동의 하위항목이 아닌, 위험 성행동을 독립적으로 확인했다. 셋째, 개인 수준을 넘어서 사회문화적 규범, 젠더규범이 청소년의 위험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로 인한 건강결과 와의 관계까지를 통합적으로 살펴보았다. 넷째, 청소년의 위험 성행동이라는 복잡한 현상을 더 잘 설명하기 위해 혼합연구방법을 활용했다. 이 연구를 통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성차별적 젠더규범을 재생산하고 있는 학교 성교육이, 유네스코에서 권고한 포괄적 교육방식으로, 성교육의 변화가 필요하다. 둘째, 학교 성교육의 변화가 선행되더라도 사회제도적으로 학생이 아닌 청소년에게도 객관적이고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다른 대안이 추가로 필요하다. 셋째, 여성청소년에게 폭력손상치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줄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넷째, 임신중지를 원하는 청소년에게 안전한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보장할 수 있는 법적,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다섯째, 청소년에게 콘돔을 무상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접근하기 쉬운 위치에서, 제공해야 하며, 사람들의 시선 걱정이나 비용 걱정 없이 안전하게 보건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형태를 모색해야 한다. 여섯째, 청소년들이 상담을 포함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공간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 의료인 등이 여성주의 상담이 가능하도록, 그들에게 관련 교육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료의 한계로, 가용한 변수들로 통합적 생태학적 모형을 재현하다 보니, 이론적으로 정합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추후, 자료의 가용성의 한계를 극복한 분석을 통해 이론적 정합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양적자료의 한계로 성별 차이만 반영이 되고, 다양한 젠더를 반영하지 못했다.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젠더를 반영해 성소수자 청소년에 대한 정책적 개입 지점의 도출이 필요하다. 셋째, 양적자료의 한계로 양적 연구에서는 탈학교, 탈가정 청소년을 포함하지 못했다. 추후 연구에서는 탈학교, 탈가정 청소년을 아우르는 개입지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넷째, 청소년의 성행동 뿐 아니라 위험 성행동 역시 윤리적으로 비난받을 일이 아니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연구이지만, 청소년의 위험 성행동이 건강결과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 결과가, 자칫 낙인을 강화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다섯째, 청소년의 위험 성행동이라는 복잡한 현상을 잘 설명하기 위해 혼합연구방법을 활용했으나, 각 연구 방법이 유기적으로 어우러지지 못한 한계가 있다. 여섯째, 한국 사회 청소년의 젠더규범은 나이주의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드러난다. 반면, 이 연구에서는 나이주의에 대해 충분히 설명해내지 못한 한계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젠더규범과 나이주의가 결합하여 드러나는 현상에 대한 설명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강조해서 드러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국내에서 국가 단위의 청소년 성행태와 건강결과를 알 수 있는 조사는 청소년건강행태조사가 유일하다. 따라서 청소년건강행태조사에 몇 가지 문항이 추가되고 개선될 필요가 있다. 성평등인식과 성체성을 묻는 문항이 추가될 필요가 있으며, 청소년의 건강에 미치는 사회적 요인을 확인할 수 있는 문항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

      • 미디어 설치를 통한 자연 감성경험 공간연구

        서상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plores the media art installation space for the natural emotional experience and aims to examine the meaning of emotional perception of space in media art works center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We will also analyze the emotional interaction elements in the installation space through a technical interface to discuss the composition of the “atmosphere” space where perceptual experiences are possible. Through this process, we highlight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natural media space and forming a new human-nature relationship.    This study sets the installation work, Virtual Garden, using the media technology produced by the researcher as a specific research object. It also attempts to fuse the virtual and real spaces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e media installation space. For the installation work, the meaning and content of the natural space experience felt by the viewer are investigated. Using media technology by space composition and expanding its area from virtual to natural space, this study aims to find the diversity and meaning of media art installations that organize and analyze a virtual landscape installation work.   In perceiving and experiencing nature implemented through digital technology, the study refers to the concept of aesthetics and atmosphere proposed by German philosopher Gernot Böhme as a theoretical framework and applies it to specific case analysis. Böhme's sentimental studies began with a critical reflection on modern aesthetics. In addition, the object of aesthetic exploration was expanded to the target world, nature, and the environment surrounding humans. The concept of “atmosphere” was introduced in aesthetic criticism to aesthetically examine objects that could not derive objective concepts or clearly define them within artworks. Böhme explained the general sentiment that appears when subjects and objects are mixed in a specific space. In applying Böhme's definition of aesthetics and atmosphere to nature implemented with digital technology can explain the meaning of viewer perception and behavioral sensitivity in a new world that arose at the boundary between virtual and reality.   By studying the transition into natural mood space through the three categories of spatial composition — ⅰ) a combination of place characteristics, ⅱ) interface, and ⅲ) virtual image and imagination — we examine in detail the composition and meaning of the researcher's media installation work, Virtual Garden.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 aesthetic meaning of the work through the emotional experience of the viewer is examined at various levels.   Nature embodied through media technology in the researcher's work, Virtual Garden, creates a natural atmosphere space by blending with the actual space. The viewer in the Virtual Garden space becomes part of the space and interacts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this process, the viewer can physically experience the change of space. It presents a new natural emotional experience to modern people who are domesticated in the homogeneous space of the city. Through the expansion and immersion of the senses, viewers of this installation are expected to enjoy free experiences at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imagination that may induce a change in their perception of nature. In this way, Virtual Garden — which allows viewers to practice and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s — is expected to show the ecological and aesthetic potential of media installation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