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피아노 음악에서의 페달과 효율적인 교육 방안

        정선미 조선대학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47

        A pedal needs careful study for it is essencial such as all the other element of playing the piano. Players use it to make a sound stronger and to join separated notes togeder smoothly. Sometimes especial effects can be created by a pedal. A pedal influences a lot on the color of a sound even though it is just a subsidiary device on playing the piano. It can improve the quality of a tone and doublize the effect of the volume of a sound, but it can ruin a music if it is used inadequatly.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players to have the knowledge of pedals. This paper researches the history of pedals and the function of eath pedal. Players may have a great performance if they are able to deal with the pedals though the characteristic function of every pedal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On this paper there is also a study of the efficient education method for pedals through researching the composers' usages of pedals in each period. Players have to use the pedal agreeably to the composer's character considering his time. The techniques of pedals are various and so are the ranges of the application of them. The abilities of decision on the adequate time for pedals and the range of the application, completely depends on the player's own endless effort. In other word, pedalling is absolutely up to the player's own sense because it will depend on the player's interpretation of a music.

      • 고전소설을 활용한 논술지도 방안연구 : <홍길동전>을 중심으로

        정선미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of writing essay through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y with the application of the story of Hong Gil Dong and creating process and strategies based on the story. The essay writing aims at enabling students to think problems deeply and widely and enhancing student's capability to logically express the results of their research in a sequential way. To achieve this goal, essay writing should be taught centered on problems and process. Considering the essence of essay writing and the character of learners, this study is going to propose a method for essay writing with practical and specific instruction methods using a Korean traditional story. In Chapter 2, the current status of essay writing will be reviewed to propose the right direction of essay writing by considering the problems at school and the essence of writing. In Chapter 3, it will be verified that the instruction of essay writing through the contents of novel based on 'integrated instruction theory of reading and writing' i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the capability of student's thinking and expression. And 'the theory of problem based learning and process centered learning' will be reviewed to seek a effective instruction in writing essay. In Chapter 4, it will be proved that the traditional novel is more effective in instructing essay writing than the contemporary novel and it will reviewed why the story of Hong Gil Dong was chosen for essay instruction. In addition, based on the theory from Chapter 3, specific essay instruction method will be proposed with the application of the story of Hong Gil Dong.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will be reviewed in a structural prospective. Specifically, a new learning method which can be applicable to school based on problem and centered on process will be created. In the process of problem based learning, learner will use a strategy to recognize problems by identifying critical problems while reading and understanding the traditional novel. The principle of writing essay based on process will be also used as a strategy to structure the identified meanings and utilize the recognized problems into writing essay. Four sessions will be arranged for applying the strategies at class considering conditions at school. Each teaching and learning instruction guideline will be reviewed and the feedbacks will be reflected into teaching and learning plan. The most important factor found in organizing the plan of teaching and learning is to increase the rate of activities based on learners which can motivate students to actively and voluntarily express their thoughts. Finally, Chapter 5 provides summary and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Through this research, a module for teaching essay will be created using the contents of the Korean traditional novel and various materials will be developed to be used for teaching essay at class. It is believed that essay writing can be more effective by linking writing and reading effectively. The module for teaching and learning proposed in this research can be modified at real class depending on the instructor's plan and learner's situation. With continuous feedbacks from real instructions at class, it is believed that more effective methods will be found. 본 연구에서는 논술 교육의 한 방법으로 고전소설「홍길동전」을 활용한 논술지도를 제안하고자 여러 이론들을 검토하였고, 고전소설「홍길동전」을 활용한 논술 지도의 교수 · 학습 모형과 논술 쓰기의 절차 및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앞에서 논의한 내용을 장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방법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논술의 본질과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논술에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지도 방법을 구안해 보려고 하였다. 연구사에서는 본 연구와 관련된 주요한 범주들이라고 할 수 있는 ‘문학 읽기와 쓰기의 통합 지도’와 관련된 연구와 ‘논술 교육에 대한 기초 이론 연구나 실천적 방법론에 관한 연구’ 성과들을 정리하였고, 그 특성과 의미들을 성찰하였다. 2장에서는 논술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학교 현장에서의 문제점과 논술의 본질을 고려하여 바람직한 논술 교육의 방향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3장에서는 ‘독서와 작문의 통합 지도 이론’을 통해, 소설 텍스트를 통한 논술문 작성 지도가 학생들의 사고력을 신장시키고 표현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고, ‘문제 중심 · 과정 중심 학습이론’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 논술지도의 방안을 모색하였다. 4장에서는 ‘고전소설’의 문학적 효용성과 가치가 논술지도에 일반 문학작품보다 더 효과적임과 「홍길동전」을 논술지도 텍스트로 선정한 이유에 대해 검토하고, 3장에서 검토한 이론을 바탕으로, 「홍길동전」에 적용하여 구체적인 논술 지도 방안을 강구하였다. 교수 · 학습의 강구 과정은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성찰되었다. 구체적으로는 문제중심학습의 원리와 과정중심 글쓰기의 원리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학습 모형을 새롭게 구안하여 보았다. 그 과정에서 문제중심학습은 학습자가 고전소설의 감상 및 수용 과정에서 학습자가 비판적으로 문제를 발견하고 의미를 구성하기 위한 문제인식의 전략으로 사용하였으며 과정중심 글쓰기의 원리는 학습자가 도출한 의미와 문제의식을 실제적으로 조직하고 문자화시키기 위한 논술문 쓰기의 전략으로 활용하였다. 실제 수업은 교육현장에서의 물리적 여건을 고려하여 4차시로 구분하였고, 각 차시별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교수 · 학습 지도 전략을 단계별로 성찰하고 그 결과를 교수 · 학습 과정안으로 정리하였다. 교수 · 학습의 지도 방법을 강구하면서 가장 중요하게 여긴 것은 학습자 중심의 활동 비중을 높이는 것이었으며, 전체 학습 과정에서 흥미를 느끼며 학습자가 자신의 의사를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표현하게 하는 것이었다. 이상의 연구과정을 통해 이 연구는 논술 교육과 관련하여 고전소설「홍길동전」을 활용한 논술지도 모형을 개발하고, 실제 논술지도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문학 감상과 논술문 쓰기가 긴밀하게 연결될 때 두 영역의 활동은 더욱 가치로울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수 · 학습의 모형과 수업의 실제는 교수자의 지도 계획과 학습자의 제반 여건 및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와 변용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더불어 이러한 방법들이 학교 현장에서 실천되면서 그 효과와 관련된 점검과 보완이 지속적으로 병행될 수 있다면 보다 효과적인 활용 방법이 탐색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원예교육 프로그램이 농업계 고등학생들의 정서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선미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a hor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some emotional behavior of agr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or the study: First, is there any effect of the horticultural education program in agr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is there any effect of the horticultural education program in agr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behavior? A target group for this study were 30 students attending Y agricultural high school in Gangwon province, Korea. The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composed 15 students. The experiment group, composed 15 students, attended a class based on hor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12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composed of 15 students, received a general high school curriculum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horticultural education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agr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On the starting stage, students were only interested in horticultural activities. As time goes by they asked questions about horticultural education program or related their experiences to some activities. It made the students perform positively and showed a positive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he horticultural education program resulted a significant effect of school adjustment behavior. That is, the horticultural education program had the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academic adjustment behavior, social adjustment behavior and affective behavior of the students. These results imply that horticultural education program enhance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behavior. The suggestions of study were as follows: We need a new recognition of the horticultural education program and it should be applied to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Since most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are under stress which creates negative emotional behavior. So, if we develop a horticultural education program, it will surely enhance not only emotional behavior but also educational performance of Korean students.

      • 여가활동과 함께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선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여가활동과 함께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위의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여가활동과 함께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여가활동과 함께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여가활동과 함께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자율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4. 여가활동과 함께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인 실험집단은 전북 M지역 G유치원에 자녀를 둔 어머니들(30명) 중 여가활동과 함께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는 어머니 15명이고, 통제 집단은 동일한 유치원에 부모교육을 신청하지 않은 어머니 15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 도구는 Schaefer, Bell과 Bayley(1959)의 MBRI(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1959)‘를 번안하여 최혜경(2005)이 수정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실험 집단 어머니들은 본 연구자가 진행하는 ’여가활동과 함께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하였으며, 기간은 주 1회씩 총 9회기이며 회기당 2시간 40분씩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SPSS/ for window 19.0을 사용하여 두 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증가분의 t검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활동과 함께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 양육태도의 애정적 양육태도의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는 여가활동과 함께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여가활동과 함께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 양육태도의 거부적 양육태도의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는 여가활동과 함께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여가활동과 함께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 양육태도의 자율적 양육태도의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이는 여가활동과 함께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자율적 양육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여가활동과 함께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 양육태도의 통제적 양육태도의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이는 여가활동과 함께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 TV 애니메이션 `터닝메카드`에 대한 기독교 세계관적 분석

        정선미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Analysis on TV animation "TURNING MECARD" by a Christian World View. Sun Mi Chung.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gshin University Watching a television has influenced now present-day young children. Especially, the young children are bound to form their sense of humanistic value by imitating what they hear and see on television animations. That is the reason that this research paper aims to provide its Implications how Christian teachers and school parents monitor their young children watching TV animations by finding out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n humanistic factors in them. It poses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or that. What are the analysis results of the television animation, TURNING MECARD, in the Christian view of the world? First, what is the analysis result of the animation, TURNING MECARD, in terms of creation? Second, what is the analysis result of the animation, TURNING MECARD in terms of fall? Third, what is the analysis result of the animation, TURNING MECARD in terms of redemption? For Christianly analysis of TV animation, TURNING MECARD, this study used it as a research tool by amending and supplementing 'Christian evaluation questionnaires of applications for young children on common factors of the Christian view of the world' by Hee young Jeoung a, Seung Mi Bang, Jung Kyu Lee, Hee-jin Yoo(2013) researchers, targeted 17 episodes of total 52 episodes and studied Christianly factors(creation and fall and redemption) with Likert 5-point scale. As a result, it has come out with this order of perspective, creation, redemption and fall. Firstly, young children would be influenced negatively and positively through new and diverse characters of TURNING MECARD when watching it. They may be influenced to keep to the regulations and order. And they can learn how important defending the evil with good is as well. Next, watching the animation could have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 to realize importance of their family members and to shape love for neighbor. In the last place, it may nega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 watching it with exposure of aggression and destructibility because the battle scenes are mostly each episode's highlights. In addition, young children who have Christian education could also be negative affected by that characters of it which can be associated with characters of bible, but, at the same time, are in contradiction to. Therefore Christian teachers and school parents need to have the Christian view of the world for Christian monitoring young children. 국문초록 현대의 유아들은 현대생활의 변화로 TV 시청을 통하여 많은 영향을 받는다. 특별히 애니메이션을 통하여 보고 들은 것을 모방하여 유아들은 현대 애니메이션 내용에 녹아 있는 인본주의적 가치관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대 유아가 많이 접하는 TV 애니메이션의 기독교 세계관적인 분석을 통하여 TV 애니메이션에 녹아 있는 인본 주의적 요소 가운데 부정적 요소와 긍정적 요소를 밝혀냄으로써 유아들의 기독교적 인격형성을 위해 기독교인 교사와 학부모에게 유아들의 TV 애니메이션 시청 시 어떻게 모니터링을 할 것인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TV 애니메이션 ‘터닝메카드’의 기독교 세계관적 분석결과는 어떠한가? 첫째, TV 애니메이션 ‘터닝메카드’의 창조적 관점에서 분석결과는 어떠한가? 둘째, TV 애니메이션 ‘터닝메카드’의 타락적 관점에서 분석결과는 어떠한가? 셋째, TV 애니메이션 ‘터닝메카드’의 구속적 관점에서 분석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TV 애니메이션 ‘터닝메카드’에 기독교 분석을 위하여, 정희영, 방승미, 이정규, 유희진(2013)의 ‘기독교 세계관의 공통적 요소에 따른 유아용 어플리케이션의 기독교적 평가 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연구 도구로 사용하고, 연구 대상은 터닝메카드 52회 중 17개회를 선정하여 스토리를 기독교적인 요소 (창조, 타락, 구속)를 5점 척도 평가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창조적 관점, 구속적 관점, 타락적 관점 순으로 나왔다. 이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터닝메카드’ 시청시 유아는 새롭고 다양한 캐릭터로 인하여 새로움과 다양함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질서와 규칙을 익히는데 긍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선으로 악을 지키려는 마음을 통하여 선의 중요함을 느낄 수 있다. 둘째, ‘터닝메카드’ 시청시 사랑을 바탕으로 우정을 형성하는 친구 모습과 가족과 가정의 회복되어가는 과정에서 유아는 가족의 소중함과 이웃 사랑의 마음을 갖는데 긍정적인 영향력을 받을 수 있다. 셋째, ‘터닝메카드’ 배틀의 장면이 하이라이트로 설정되어 있어, 공격과 파괴에 대한 노출이 많이 되어 있어 이를 시청하는 유아에게 부정적인 영향력을 미칠것으로 예상되어진다. 또한 기독교에서 말하는 상징을 연상하는 비슷한 캐릭터들은 본 애니메이션에서는 상반된 의미를 나왔기 때문에 기독교 교육을 받는 유아에게 부정적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유아를 위한 기독교적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기독교인 교사나 부모들이 기독교 세계관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 팀장의 진정성리더십과 팀 신뢰가 심리적계약에 미치는 영향

        정선미 韓國航空大學校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팀장의 진정성리더십과 팀 신뢰가 심리적계약에 미치는 영향 요약 본 연구는 구성원의 심리적계약의 기대와 이행 지각 분석을 통해 팀수준의 진정성리더십과 팀신뢰를 검증했다.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조직의 대변인(팀장)의 리더십과, 함께 일하는 동료와의 팀 수준의 신뢰 검증으로 고용관계의 프레임을 고찰할 수 있었다. 결과는 팀장의 리더십과 팀차원의 신뢰는 심리적계약이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에 데이터에 근거한 수정 분석을 실시했는데, 전통적 관점에서의 인사제도 뿐 아니라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이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한 탐구를 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구성원들이 팀장의 리더십과 신뢰를 통한 심리적계약보다는 성과를 통해서 심리적계약을 이행한다고 지각했다는 점에서의 의미는 무척 크다. 이는 이미 성과위주의 조직문화가 자리 잡았다는 점에서 심리적계약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실증 결과는 첫째, 팀장의 진정성리더십은 팀 수준에서 팀장 신뢰, 동료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팀 차원의 신뢰는 구성원의 심리적계약이행,즉 조직의 이행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의 심리적계약이행은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수정 분석을 통해 팀신뢰는 성과에 정(+)의 영향을, 성과는 심리적계약이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심리적계약이행의 선행변수인, 팀수준의 진정성리더십과 신뢰가 구성원 개인이 지각하는 조직의 심리적계약이행으로 완전하게 설명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것은 수정 모형의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것처럼 조직 구성원이 지각하고 있는 심리적계약이행은 과거의 무조건적 믿음을 기반으로 하는 정서적 관계 패러다임이 아니라 성과를 기반으로 한 합리적·이성적 측면으로 이행되는 형태로 옮겨가고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진정성리더십의 하위차원이 실제 기업의 리더들에게는 구성요인으로 지각되고 있지 않은 부분과 팀신뢰 수준에서도 신뢰에 대한 인지측면과 정서측면이 혼재되어 있다는 사실도 분석 과정에서 확인되었다. 이는 해외 연구에서 보여지는 진정성리더십의 정의와 차원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요인으로 분석되지 않아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보여준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팀장의 리더십과 팀신뢰가 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또 이러한 개인의 성과가 조직의 심리적계약이행으로 연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성과를 높일 수 있는 변수와 성과를 통한 심리적계약이행의 매커니즘이 있다고 보여지는 것으로 향후 조직특성과 함께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주제어: 심리적계약, 심리적계약이행, 구성원-조직 교환관계, 팀장 진정성리더십, 팀신뢰(팀장신뢰, 팀원신뢰), 성과.

      • 시선추적을 통한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교과서 읽기 경향성 연구

        정선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과서를 읽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시선 분석을 통해 초등학생의 교과서 읽기 경향성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구체적 실행을 위해 초등학교 1학년 학생 17명을 대상으로 시선 추적 장치(Tobii X2-60)를 통해서 통합 교과서(가을 1-2) 소단원의 8개 차시를 읽는 동안의 시선 영상을 촬영하였다. 학생들이 교과서를 읽는 동안 시간은 제한하지 않았으며 시선 영상 촬영이 끝난 후 교과서 내용에 관한 간단한 질의응답을 실시하였다. 촬영된 시선 영상 112개 중에서 연구 자료의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시선측정율의 평균이 50%이상인 참여자 10명의 시선 영상 80개를 연구 자료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교과서 차시별마다 정보를 담고 있는 게재물의 형태에 따라 관심영역(AOI)을 구분하고 게재물에 시선을 응시한 경로와 게재물별 시선 이동 시간을 분석하였다. 교과서를 읽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시선추적을 통한 시선측정율과 시선 이동 경로, 시선 응시 시간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1학년 학생들의 교과서를 읽는 시선을 추적하여 본 결과 시선측정율의 전체평균은 56.61%로 나타났다. 시선 데이터로 측정된 시간은 교과서의 정보를 읽은 시간이다. 따라서 시선측정율 평균값은 학생들이 교과서의 정보에 대해서 집중하는 정도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둘째, 1학년 학생들의 교과서 게재물간 최초진입시간을 통해 알아본 시선 이동의 순서와 방향은 그림, 사진, 통합텍스트에서 텍스트로 게재물을 응시하였다. 즉 교과서 본문에 제시된 그림이나 사진 또는 통합텍스트를 본 후, 차시명과 학습문제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응시하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학생들은 교과서의 그림이나 사진과 같은 시각적 정보를 중심으로 정보를 처리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이 교과서에서 응시하지 않은 게재물들이 있음이 나타났다. 셋째, 1학년 학생들은 교과서 게재물 중 텍스트와 그림을 혼합한 통합텍스트와 지시문에서 전체응시시간이 가장 길게 나타났다. 따라서 1학년 학생들이 교과서 게재물에서 가장 주의를 집중하는 정보 표현 방식은 텍스트와 그림을 혼합한 형태이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따라 초등학생이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교과서 내용 구성과 표현 방식에 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의 내용이나 정보를 표현하는 게재물은 시각 자료를 중심으로 먼저 제시하고 자료가 주는 정보의 정확성을 위해서 텍스트로 규정하는 순서가 적절할 것이다. 또한 교과서 한 페이지 게재물 수를 적정화하여 배열하며 전달하려는 정보가 명확하게 드러나도록 게재물간의 집중력 있는 구성이 필요하다. 둘째, 교과서의 내용이나 정보를 표현하는 게재물의 형태는 그림과 텍스트를 혼합한 것으로 각각의 속성들의 장점을 잘 조화시켜 정보에 대한 주의 집중도를 높여야 한다.

      • 블로그정보와 블로그 특성이 정보확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 블로거 저널리즘성향의 조절효과

        정선미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거의 매일 제품과 서비스상품을 선택해야하는 소비자에게 인터넷과 모바일기기의 발달은 정보탐색활동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이 필요로 하는 기업 혹은 제품 및 서비스에 관한 많은 양의 정보를 아주 쉽고 빠르게 탐색하고 수집할 수 있게 되었으며, 활용할 수 있는 정보의 원천 역시 다양해졌다. 과거에는 기업 혹은 몇몇 소수의 전통적 미디어에서 제공되는 정보나 뉴스 등이 주요한 정보의 원천이었지만, 인터넷을 활용하여 개인이 정보를 생산하고 전달하는 블로그와 같은 과거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미디어의 출현으로 소비자가 활용할 수 있는 정보의 원천이 다양해졌으며 시간과 장소의 제한 없이 정보를 탐색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소비자가 자신의 가치 있는 소비활동을 위해 블로그를 활용하여 정보를 탐색하거나 혹은 정보를 생산하여 확산시키고 있는 블로그운영자의 정보탐색 및 확산과정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블로그운영자의 정보탐색과 정보유용성지각 과정에 있어서 저널리즘성향수준이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조사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블로그운영자가 지각하는 정보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블로그정보특성요인을 설정하였는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보의 경험성 즉 블로그에 게재된 정보 가운데 운영자가 직접 경험한 내용을 근거로 생산된 정보 그리고 정확한 정보라고 인지하게 되면 블로그운영자는 해당 정보가 유용하다고 지각하게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블로그운영자가 지각하는 블로그특성 즉 블로그의 평판과 인지도와 정보확산의도 간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블로그의 평판과 인지도는 블로그운영자의 정보확산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블로그운영자가 지각하는 정보유용성과 정보확산의도 간 영향관계를 확인한 결과 지각된 정보유용성은 정보확산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블로그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특성과 지각된 정보유용성간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블로그운영자의 저널리즘성향에 따른 제 변수 간 영향관계를 확인한 결과 저널리즘성향이 낮은 블로그운영자의 경우 정보유용성 지각에 있어 정보의 경험성과 정확성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저널리즘성향이 높은 블로그운영자집단은 정보의 경험성과 정확성 이외에 정보의 양면성이 정보유용성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블로그를 이용하여 마케팅활동을 계획하는 서비스기업에게 소비자와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하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블로그운영자들은 자신이 탐색한 정보가운데 특히 경험에 의한 생산된 정보 그리고 정확성이 높은 정보를 유용하게 지각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블로그운영자의 저널리즘성향에 따라 정보유용성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특성요인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블로그운영자의 정보확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각된 정보유용성과 블로그특성 즉 블로그 평판과 인지도 등을 확인하였다.

      •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진의 매개효과와 공감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선미 조선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영유아를 보육하는 현장에서 가장 핵심적인 보육교사들의 이직을 낮추고 감정노동에 따른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소진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감정노동, 소진, 이직의도 사이에서 공감능력의 조절효과를 하는지 실증분석하여,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으로 인한 소진, 이직의도를 낮추고 감정노동, 소진, 이직의도 사이에서 공감능력의 조절효과의 영향요인을 찾아 보육교사의 업무환경 개선과 영유아들에게 제공되는 보육의 질적 서비스 향상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매개효과로 소진의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개인적성취감 감소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조절효과로 공감능력의 인지적 요소 중 관심취하기, 상상하기와 정서적 요소 중 공감적 관심, 개인적 고통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에 관해 연구가설을 설정하여 실증적 방법으로 분석·검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대상자는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지역 소재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로 설문지 내용을 이해할 수 있고, 언어적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할 것을 동의자로 할당 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였다. 광주광역시 350부, 전라남도 350부 총 700부를 배부하여 700부가 회수되었고, 이중 자료가 불성실한 총84부를 제외한 615부가 최종 자료분석에 이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감정노동, 이직의도, 소진, 공감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둘째,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직업관련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직업관련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 이직의도, 소진, 공감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둘 이상의 집단 간의 평균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넷째,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여섯째, 소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일곱째, 공감능력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은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있고, 감정노동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소진이 매개역할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소진,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공감능력은 차이를 보이며 조절역할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을 낮추고 보호요인인 소진을 줄이는 방안을 제공하여 이직의도를 낮추는 것이다. 조절변수인 공감능력을 향상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감정노동, 소진, 이직의도를 낮는 것이다. 그리하여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개선에 따른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를 줄이고 영유아들에게 제공되는 보육의 질적 서비스 향상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의 영향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영향관계에서 소진의 매개효과와 공감능력의 조절효과” 영향관계를 밝혀 이론적 지식기반의 확장과 연구접근의 다양화를 시도에 보았다는데 그 함의를 둘 수 있다. 둘째, 보육기관에 CCTV 의무화, 기관 관계자들과의 상호작용 등 보육교사들은 감정노동환경에 노출된다. 그러므로 감정노동은 높아지고 소진되므로 사회관계망 형성 및 구축, 학부모 고충 처리 센터, 수퍼비젼 시스템, 공감능력을 높이기 위한 교육 시스템 구축 등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하여 이직의도를 낮추어야 할 것이다. 셋째, 영유아의 보호 및 교육으로 인한 감정노동과 소진을 줄이기 위한 의사소통의 통로(홈페이지, 핸드폰 어플, 앱. 등)를 만들어 보육교사와 영·유아 부모들과의 정보의 비대칭성을 줄이고, 공감능력이 조절변인이므로 공감능력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감정노동이 높고 소진과 이직의도가 높은 집단에 대해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개인 또는 집단에 미시적 치료접근등이 시급하다. 향후 연구방향을 제언한다면, 본 연구에서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공감능력 조절변수의 영향관계 요인임를 밝혔지만 후속연구에서는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핵심어 : 감정노동, 소진, 공감능력, 이직의도 The Effects of the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on Turnover Intentions :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s of Burnout and the Moderation Effects of Empathy Ability Jung, Sun Mi Advisor : Prof. Kim, Jin Sook, Ph.D.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lower turnover of child-care teachers' who are the most important in the site of child-care, and improves child-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and qualitative service of child-care provided to infants by lowering exhaustion and turnover intention caused by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discovering influence factors of moderating effect of empathy ability amongst emotional labor, exhaus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on whether or not emotional labor exerts a 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whether or not exhaustion plays an intermediary role when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affects turnover intention, and whether or not empathy ability plays a moderating effect among emotional labor, exhaus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that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exerts on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established a hypothesis and analyzed·verified and produced implications on whether or not motional exhaustion, dehumanization, reduction of a sense of personal fulfillment in exhaustion differ by mediating effect, and attracting attention, imagining of cognitive elements of empathy ability, and empathic concern and personal pain of emotional elements differ by moderating effect. To verify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this study collected subjects using quota sampling method targeting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 care center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Jeollanam-do province who are capable of understanding contents of questionnaire and linguistic communication is available, and approved objectives of this study. This study distributed total 700 sheets of questionnaire to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350 sheets respectively, and collected 700 sheets, and 615 sheets were used for final data analysis excepting 84 that data is considered unfaithful. This study analyzed collected data as follows using SPSS/PC 23.0 program. First, this study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to investigate emotional labor, turnover intention, exhaustion and empathy ability. Second,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for looking into general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Third, this study carried out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to compare mean difference between more than groups to investigate emotional labor, turnover intention, exhaustion and empathy ability according to general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Fourth, this study conducte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for investigating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Fifth, this study conducted hierarchical analys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ional labor on turnover intention. Sixth, this study conducted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to understand mediating effect of exhaustion. Seventh, this study conducte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to search moderating effect of empathy ability. As a result of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has a significant influential relationship with turnover intention, and exhaustion plays a significant intermediary role partially when emotional labor affects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empathy ability had a significant influential relationship partially showing difference when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exhaustion affect turnover intention. In conclusion, turnover intention can be lowered through the method of providing a measure to reduce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reduce exhaustion, a protective factor. The foregoing is to lower emotional labor, exhaustion and turnover intention by seeking a measure to improve empathy ability which is a moderating variable. Through the aforementioned, reduction of child-care teachers' turnover intention and improvement of qualitative service of child-care can be brought as a result of improvement of child-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Based on the above result, this study produced implications of a research on the influence on child-care teachers' turnover intention. First, implication can be placed in a sense that this study attempted expansion of theoretical knowledge basis and diversification of study approach by investigating and revealing an influential relationship in “Mediating effect of exhaustion and moderating effect of empathy ability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tion.” Second, making installation of CCTV in child-care institutions mandatory, interaction with officials of institution make child-care teachers' exposed to emotional labor, which heightens emotional labor and exhaustion, so it is necessary to lower turnover intention by providing a political support for establishing an educational system to improve formation and construction of social relation networks, parents difficulty handling center, supervision system and empathy ability. Third, reducing asymmetry of inform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and parents of infants by making a communication channel (homepage, mobile phone application etc.) to reduce emotional labor and exhaustion caused by protection and education of infants, and because empathy ability is a moderating variable, development of programs capable of heightening empathy ability and microscopic and therapeutic approach for individuals or groups with high emotional labor, exhaustion and turnover intention for improvement of empathy ability are considered urgent.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ollow-up studies, Although this study investigated and verified the effect of moderating empathy ability on child-care teachers' turnover intention, follow-up studies need to conduct a research on the factors affecting empathy ability. Keywords: emotional labor, exhaustion, empathy ability, turnover intention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정선미 건양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에 따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어떠한지 알아보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부모-자녀관계에서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대전시에 소재한 인문계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분석대상은 남학생 156, 여학생 178명으로 총 344명이다.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을 측정하기 위해서 1982년 Howard Barnes와 David H. Olson이 제작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검사인 PACI(Parent Adolescence Communication Inventory)를 민혜영(1990)이 번안한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5점 리커트 척도로 아버지-자녀, 어머니-자녀간 개방형 의사소통 10문항, 문제형 의사소통 10문항등 총 20문항으로 이루어 졌다.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Rosenberg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김충희(1995)가 수정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이 척도는 또한 5점 리커트 척도로 총 10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분석 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대응표본 t-검증, Pearson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에서 부와 모의 차이를 살펴보면, 청소년은 개방형과 문제형 의사소통 모두 아버지보다 어머니와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부모와 개방적 의사소통을 하는 청소년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고, 문제형 의사소통을 할수록 자아존중감은 낮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types perceived by adolescent to their self-esteem and to serve as basic data for promoting positive and open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in a way that enhances adolescent self-esteem. The subjects were 344 boys(156) and girls(178) who were first grade students of high school located in Daejeon. One instrument used to measure parent-adolescence communication was Haward Barnes and David H. Olson's measure of PACI(Parent Adolescence Communication Inventory, 1982, translated by Min, Hye Yong, 1990). The 20-item instrument was designed to gauge father-child and mother-child communication on five-point Likert scale and cover two types of communication with 10 items each: open communication and problematic one. Another instrument to assess self-esteem was Kim Chung-Hui(1995)' revised version of Rosenberg's self-esteem inventory, which consisted of 10 items on five-point Likert scale. The SPSS 12.0 program was used to analysis the collected data in the field of frequency, reliability, t-test, Pearson'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how the students perceive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their mothers shared more both open and problematic with them than their father.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reletionship between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types and adolescent's self-esteem. The adolescent who found themselves to have mare open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were in possession of higher self-esteem, and those who considered themselves to share more problematic communication were inferior in self-este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