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레미제라블 뮤지컬과 영화 비교 분석 : 배우의 캐릭터 구축과 연기 방식의 공통점과 차이점

        두자신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75

        영화는 본질적으로 기록적이고, 연극은 본질적으로 영화와 판이하게 다르다. 모두 생활에서 소재를 얻지만, 소재를 선택하는 방식은 서로 다르다. 1980년대 이후 가장 인기 있는 뮤지컬 중 하나인 〈레미제라블〉은 캐릭터의 비극적인 이미지를 훌륭하게 그려냈다. 이는 사회적 차원의 운명적 비극과 개인 차원의 성격적 비극을 한데 엮어 인간과 사회 간의 복잡한 관계를 깊이 있게 보여주었다. 본고는 이 극의 주인공인 장발장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영화와 연극 공연 간의 차이점을 연구하고 그 둘을 분석을 한다. 본고는 〈레미제라블〉작품을 소재로 하여 작품 속의 구체적인 내용을 결합하고, 서로 다른 예술 형식(영화, 뮤지컬) 간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심층적인 비교와 종적 연구를 수행한다. 연극과 영화의 차이를 비교할 때 본고는 주로 고행건(高行健)의 극장성 이론의 해석에 근거하여 분석하고 해석한다. 사실 중국 현대 연극사에서 연극의 극장성의 번역과 해석은 오래전부터 있었지만, 중국 현대 연극사에서 1983년 고행건((高行健)이 극장성의 개념을 처음으로 명확히 제시하였다. 그는 연극 예술의 특별한 매력은 극장성에 있다. 연극은 극장 안의 예술이며, 이는 바로 양화의 차가운 스크린과의 차이 이며 극작가는 강렬한 극장 의식을 가져야 한다. 극본은 주로 공연을 위한 것이지 독서를 위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고행건의 이러한 주장은 우리에게 연극 현상은 극장에 입장하는 관객을 위한 입체적 낭독이 아니며, 관객들은 텍스트 이외의 심미적 감각과 자극을 필요로 한다는 점을 명시한다. 연극이 영화, 텔레비전, 문학과 구별되는 근본적인 요소는 바로 극장성에 있다. 본고는 극장성에 입각하여 연극과 영화를 비교 연구하고 교류성(관객과 배우의 관계 결정), 유동성(시공간, 심미 대상, 시화), 연기의 일관성(대사, 연기의 긴장감)을 분류하여 요약한다. 본고는 〈레미제라블〉에서 장발장의 캐릭터 이미지를 사례로 비극적인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있어 연극과 영화에서의 두 가지 다른 형태의 공연이 갖는 중요한 의미를 탐구한다. The essence of a movie is documentary, while the essence of drama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a movie. The two are based on life, but the way they are based is different. Les Miserables, one of the most popular musicals since the 1980s, is a masterpiece of the tragic image of characters, interweaving the tragedy of fate at the social level with the tragedy of personality at the individual level, deeply revealing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society. This article takes Jean Valjean, the main character of the play, as the subject of research, touches on the difference between film performance and drama performance, and makes a shallow analysis of the two. Based on the work Les Miserables, we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art forms (films, musicals) in the light of the specific content of the work and make a deep comparison and longitudinal discussion. When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drama and film, the article mainly analyzes and interprets the interpretation of Gao Xingjian's theatric theory as the basis of the article. In fact, in the history of modern Chinese drama, there has been the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ater, but in the history of contemporary Chinese drama, Gao Xingjian first made clear the concept of theater in 1983. He said, The reason why theater art has its own special charm is because of theater. Drama is the art of theater, which is what distinguishes it from a cold screen and a cold screen. "A playwright should have a strong sense of theater because the script is written primarily for play, not for reading." Gao Xingjian's assertion reveals a dramatic phenomenon in which the audience no longer walks into the theater just to "read in three dimensions", and the audience needs to acquire aesthetic feelings and stimulation beyond the text. The fundamental element that distinguishes drama from film, television, and literature is theater. Based on this theater, the comparative study of drama and film summarized the following points: communication (decision of viewing relationship), mobility (time and space, aesthetic object, poetic), coherence of performance, performance style (line, tension of performanc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Jean Valjean's character in the making of tragic images by taking as an example the two different forms of expression of drama and film.

      • 연극과 영화 장면 구성의 차이 : <조씨 고아>를 중심으로

        류메이치 대진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75

        연극과 영화는 모두 종합적인 시청각 예술이다. 영화는 연극에서 연기, 세트, 조명을 배우고 연극의 줄거리와 인물의 묘사 방식을 참고한다. 양자는 비슷하지만 다른 것도 있다. 본 연구는 연극의 지역 경향과 영화의 발전 각각 분석하여 연극과 영화의 의미와 역할을 이해한다. 연극과 영화 각각의 완성 방식을 분석하여 연극과 영화의 창작과 연기의 특징을 이해한다. 연극과 영화의 특성을 비교하여 동일 작품 연극과 영화 장면 구성의 차이가 있는 이유를 분석한다. 본 논문은 <조씨 고아>를 위주로 장면 구성의 차이를 연구한다. 연극과 영화의 특징과 차이점을 전면적으로 분석하고 연극의 각색 요소를 중점으로 연구할 뿐만 아니라 본 연구를 통해 배우가 연극과 영화 연기에서 서로 다른 연기방법론을 비교분석하고 활용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극은 시대별로 정치, 경제, 문화, 생활, 사상을 표현하고 사람들에게 시대의 생각과 사회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뿐만 아니라 대중에게 냉정하게 과거와 미래를 생각하도록 환기시킨다. 연극은 인간의 생명 상태를 반영하고 당혹감을 표현하고 탐구하는 예술 방식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영화는 거울과 더 닮은 것 같다. 표현된 내용은 모두 관중들이 실생활에서 느끼는 감정과 상응하기 때문이다. 같은 줄거리의 연극과 영화를 가지고 장면을 대비하는 방식으로 영화와 연극 연기의 특징을 분석해 보면 배우의 연기에 큰 도움이 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 연극의 지역 경향 영화의 발전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연극과 영화가 서로 다를 수밖에 없는 이유를 이해할 수 있었고, 의미적, 문화적 관점에서 영화의 각색에 대해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연기의 관점에서도 이를 살펴보았다. 영화와 연극의 완성 방식의 차이를 분석하면서 양자의 특성 또한 알 수 있었는데 연기를 하는 배우는 이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연기를 해야 할 것이다. 연구를 통해 연극과 영화의 의미와 특징을 근본적으로 분석한다. 영화의 각색에 대해뿐만 아니라 연극과 영화 연기에서 서로 다른 연기의 방법에 대해 큰 도움을 주었다고 생각한다. Both drama and movie belong to comprehensive audio-visual art. The drama's performance, setting and lighting are learned, and the drama's plot and description method of character are referred. Both of them are similar but also different. The drama's regional tendency and movie's development are analyzed, respectively,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and function of drama and movie. The respective completion methods of drama and movie are analyzed to understand their creation and performance features. The features of drama and movie are compared to analyze the causes of their scene component discrepancies. The discrepancy of scene components is researched based on the Chinese Orphan. The features and discrepancies of drama and movie are comprehensively analyzed. We not only focus on researching the adaptation element of drama, but also hope to explore its utility by comprising and analyzing different performance methodologies of actors in drama and movie performance. The drama not only presents the politics, economy, culture, life and thought in different eras, conveys the era thought and social information to people, but also arouses the public to calmly consider the past and future. In my opinion, drama reflects people's life status, expresses and explores puzzle; While the movie seems to be like a mirror. The analysis of performance features in the scene comparison method of drama and movie with the same plot is greatly helpful to the actors' performance. Based on this research, we know about the drama's regional tendency and movie's development, can understand the causes of discrepancies' inevitability between drama and movie, and grasp the adaptation of movie from the perspective of significance and culture, which is also observed from the perspective of acting skill. Their features can also be observed by analyzing the discrepancy of completion method, and the actors shall perform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The significance and features of drama and movie are fundamentally analyzed through research, which is greatly conductive to the adaptation of movie, the performance of drama and movie and different performance methods.

      • 한국 카메라 연기의 변천 과정에 관한 연구

        정주영 청주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9775

        In modern society, with highly sophisticated civilization and technology, people seem to lose their interest in plays or stage art due to widespread media entertainment like movies, TV and video games. In other words, these modern media sources do not only have a great impact on economic industry but also areas in modern arts. In these modern, social and cultural changes, acting has also been constantly changed and even those video game characters are adapting themselves to proper roles according to the acting. These changes may also have affected actors and actresses in their acting as well. Consequently, there have been a lot of changes in acting in categories of movies and TV where cameras are used because of audience's demand, social atmosphere and technology development. Especially, the technology development promoted appearance of mass media like movies and TV, and demand for adaptive stage acting for plays that are no longer typical. So the acting is still changing and developing to the changes of mechanism, not only to the changes of society or styles. Important elements for producing movies or TV drama are visual images, editing, acting, and etc. Above all, acting in front of camera, under the circumstance that movie is a category of play ; it takes a crucial part that shows the performance of actor's role. So, camera acting is considered more crucial than other elements and requires further study about it. 'Camera Acting' means 'all the acting and performance shown in motion images through the camera'. Also, it differs from stage acting before the appearance of camera.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camera acting from the early era of Korean movies to the modern period of film industry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ere the most sophisticated technology provides entertainment like Motion Capture, Virtual Reality(VR) and Augmented Reality(AR) added to TV programs and movies. This change has developed Korean camera acting in its own particular style under influence of politics, social issue, cultural situation and box office conditions. Korean camera acting was originated from the early era of movies, but it was not originally from actual actor's acting. In the early days, we needed a person to deliver a story of silent film and this promoted the appearance of Byeonsa(silent film's interpreter) and camera acting. This could be an origin of the camera acting because the Byeonsa delivered story of silent film with speech and gesture, although he did not actually performed acting in front of camera, and it helped the audience to understand and feel like the Byeonsa was actually acting. The Byeonsa's role expanded an area of silent film with more expressive and visual elements as we can see in plays. In other words, the Byeonsa's performed a role that vitalizes the silent film and elevates the film to a level of art. A Yeonsegeuk(kino-drama) is a form of play combined with moving pictures. That is, a traditional play added with motion picture to screen for audience. This was the first fusion art between two media. The form of Yeonsegeuk is to show the scene that has limit with time and space on the stage by using motion picture where the outdoor scene is required. In the beginning, it just showed backgrounds of play, but has developed further to the recent form of movies with more theatrical elements in the scenes. In history of acting, the importance of Yeonsegeuk play is that facial expressions of actors, which was only performed on stage, now can be realistically performed after being combined with the media called 'movie'. That means, it was a great turning point at the appearance of Talkies(talking picture) that includes actor's actual acting. When facial expressions with relaxed muscles took an important part in the period of silent films, actor's voice, more with natural lines took an important part in the period of Talkies. That is, in the period of silent films, people evaluated more visually on actor's facial expressions but now the voice and lines of actors have become a greater issue. This actors' acting training skill was not well structured and at the rampant situation, usage of shinpa-drama(melodrama) actors' appearance and their stage line acting method creates error. In 1945, the time of independence, Korea went through chaotic, violent and ideological period and then suffered from Korean war in 1950 that nearly demolished the whole nation and people. After the war, armistice agreement in 1953, Korean movies faced a new era with great actors (Kim Dong Won, Hwang Jung Soon, Jo Mi Ryung, Choi Moo Ryong, Choi Eun Hee, and etc) who were not only play actors but also influenced camera acting in that time. Those Korean actors struggled to conserve movie production even under the difficult circumstances like period of independence and Korean war and they took a great role to entertain and cheer Korean people who were suffering from those harsh circumstances in play and movies. From 1960's, Korean movies started to develop and faced a challenge as broadcasting media corporations opened business and TV drama flourished. This provoked movie businesses in Korea to widen its variety and style with new expressions. The golden age of Korean movies also provided golden career for actors like Kim Sung Ho, Choi Moo Ryong and Kim Ji mi who had an experience both in play and movies in 1950's. Later in 1960's, when youth movies dominated the movie business with uprising stars like Shin Young Kyun, Shin Sung Il, Um Ang Ran, Moon Jung Suk, Ko Eun Ah, and etc, the main actors grew prosperous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In this time, TV drama also took a great part in dedication of developing camera acting. As Korean broadcasting media corporation (KBS) first aired in 1961, weekend drama became so popular that TV distribution in every household was common and people started to pay attention to drama, as well as movies, actors and their acting. More interestingly, the play actors performed multiple actings from TV to a movie, according to types of acting. In 1960's, the TV drama was on live due to technical difficulty of recording and acting of the actors seemed like performing on stage set when camera recorded as moving. That is to say, this created new camera acting combining both play acting and TV acting. In 1990's, Korean movies and drama were the main resources for 'Korean Wave' and they became very popular in China and later in whole Asia and the world. As we can see, the reason for the success of Korean movies and drama is its high quality. Comparing to Hollywood movies, Korean media offers low price with high quality in categories of production, scenario, filming and art that approached to Asian people with familiar topics and content. Now, as we are living in the age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considered to be essential to adapt ourselves into new environment. To do so, techniques like Motion Capture, Virtual Reality (VR) and Augmented Reality (AR) may guide us to a new challenge. In Motion Capture acting, it is essential to imply actor's internal conflict with specific physical movement and send a clear message to audience. Thus, the actor should analyze target character's lines and acts then synchronize with it internally. So the actor has to react promptly on the other actors and stage properties. To do that, the actor needs ensemble acting (rehearsal) and skill (reaction acting) to react promptly against environment. VR and AR movies are not just the technologies providing virtualization visually, they deliver various experiences for the audience even with senses of smell and tactile feeling by using sophisticated devices. In films, actors are recommended to perform in a long shot because small cuts may interfere them to focus. In ordinary movies, we can edit small cuts with various techniques but it hardly works on AR and VR movies. The technology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allowed us to replace actual characters with imaginary ones, but it is still required for the actors to perform natural acting that includes vivid and active expressions. Although it is certain that we have to adapt ourselves to those fast-paced changes in movie industry and acting, we lack in systemized teaching for acting and need further study indeed.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and development of camera acting that has maintained itself under social chaos and changes, with support from steady actors who searched for new styles in camera acting and dedicated themselves. In conclusion, I hope that we can take a distant view on Korean camera acting and study further about its changes more actively. 오늘날 고도로 성장한 문명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영화나 TV, 영상게임 등과 같은 영상매체에 매료되어 연극이나 무대예술에 대한 흥미를 잃어가고 있다. 다시 말해 이러한 매체들은 산업적 규모는 물론이고 대중문화예술 측면에 있어서도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사회적·문화예술적 변화 속에서 연기 또한 그 변화가 지속되고 있으며, 영상게임 캐릭터조차 게임 속 역할에 맞는 연기를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배우의 연기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영화나 TV드라마 연기와 같이 카메라를 통하여 보여주는 연기에 있어서도 사회적 정서, 관객의 시대적 요구, 기술의 발달 등으로 많은 변화가 있었다. 특히 기술의 발달로 인해 영화와 TV 등 다양한 매스미디어가 등장하게 되고, 이러한 변화는 연기에 있어서도 무대연기, 즉 이전의 연극연기에서 벗어나, 보다 자연스러운 매체별 적합한 연기법을 요구하게 되었다. 그로 말미암아 연기는 단순한 사회적 변화나 스타일의 변화가 아닌 메커니즘적 변화와 맞물려 현재에 이르러서도 꾸준히 변모되며 성장하고 있다. 영화나 TV드라마 제작 환경에 있어 필요한 요소들은 영상, 편집, 배우의 카메라 연기 등이다. 이중 카메라 연기는 영화가 극이라는 것을 상기하면, 영화는 ‘배우가 맡은 역할의 행위하는 것’을 보는 것이므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따라서 카메라 연기는 영화에 포함되는 그 어느 요소보다도 중요성이 인식되며 그에 대한 연구 또한 필요하다. ‘카메라 연기’는 미디어, 즉 영화나 TV드라마를 포함하여 ‘배우의 연기를 카메라를 통해 보여주는 모든 영상 속 연기’를 의미한다. 또한 카메라가 등장하기 이전의 연극무대연기와는 다른 형식의 연기이다. 본 연구는 한국영화 초기부터 최근 ‘4차 산업혁명시대’까지, 배우의 카메라 연기가 중심이 되는 영화와 TV드라마를 포함한 첨단 영상기술 모션캡쳐와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영화 등에 이르기까지 카메라 연기의 변천 과정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그 결과 한국 카메라 연기는 우리의 특수한 정치․사회, 문화적 상황과 극장상영 조건을 바탕으로 우리 나름의 독특한 양상으로 다음과 같이 전개되었다. 우리나라의 카메라 연기는 초기 영화에서 태동하였지만, 영화 속 배우의 직접적인 연기로 시작한 것은 아니다. 외국에서 유입된 무성영화의 내용을 관객에게 전달하기 위해 해설자가 필요했는데, 그것이 바로 변사의 출현이며 카메라 연기의 시작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변사가 카메라 앞에 직접 나서서 연기하는 것은 아니지만, 소리가 없는 영화를 보면서 배우 못지않은 말과 행동으로 관객에게 설명하고 보여줌으로써 영화의 이해를 도모했기 때문에 변사의 역할은 배우가 직접 카메라 연기를 구사한 듯한 느낌을 들게 했기 때문이다. 변사의 활동은 시각적 요소와 대사를 중심으로 한 공연적 요소가 결합하여 무성으로 제작된 영화들의 표현영역을 확대시켰다. 다시 말해 무성으로 제작된 영상 매체에 변사의 연기가 더해져 영화로서의 생명력을 불어넣어주며, 예술적 가치를 드러내주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연쇄극은 연극공연 중에 영화장면을 삽입한 공연양식이다. 쉽게 말해 기존 연극의 효과에 영화라는 새로운 매체를 결합하여 연극 상황과 연결되는 장면을 극중에 상영한 것이다. 이는 최초의 매체간의 융합예술인 것이다. 연쇄극 형식은 공간과 시간적 제약이 많은 무대 위에서 표현이 어려운 정경이나 장소의 극적 장면을 촬영해 두었다가, 공연 중에 야외 장면이 필요한 대목에 이르면 조명이 꺼지면서 동시에 스크린이 내려져 연극의 내용이 영상장면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초기에는 단순히 연극의 배경을 보여주는 정도였지만, 영상장면이 극적요소를 더해감으로써 그 비중이 커져 영화적 형태로 변모하였다. 연기사적으로 연쇄극이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은 무대를 배경으로 행해졌던 배우들의 연기가 영화라는 매체와 결합하여 보다 사실적 구현이 가능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이후 배우들의 연기가 직접 포함되는 발성영화로 이어지는 전 단계에서 매우 중요한 경험이었다. 무성영화시대에 배우들의 연기가 ‘얼굴 근육의 이완적 표정’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었다면, 발성영화시대에는 ‘배우의 소리, 즉 자연스러운 대사’가 중요시 여겨졌다. 다시 말해 ‘자연스러운 표정’을 중요시 여겼던 이전의 무성영화가 시각적으로만 평가 받았다면, 이제는 소리, 즉 배우의 대사와 음성이 중요했다. 이는 배우들의 연기훈련 기술이 체계적이지 못했고, 다급한 상황에서 당시 만연했던 신파 연극 배우들의 출연과 그들의 무대 대사연기 방식을 대안적으로 사용하는 과오를 초래하였다. 우리나라는 1945년 광복을 맞으며 사회적 혼란과 이데올로기적 격동기를 겪게 되고, 이어서 1950년 한국전쟁으로 인해 사회 전반에 걸쳐 상당히 피폐해졌다. 그러나 1953년 휴전협상 이후 한국영화는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된다. 따라서 이 시기 김동원, 황정순, 조미령, 최무룡, 최은희 등 당대 최고의 영화배우들도 대거 등장하게 되는데, 비록 이들이 연극배우 출신들이지만, 각 매체들을 넘나들며 당시 연기에 있어서는 카메라 연기를 대변할 수 있을 정도로 영향력이 컸다. 해방과 한국전쟁이라는 사회적 혼란과 국난 속에서도 우리 영화인들은 고군분투하며, 영화제작의 명맥을 이어왔다. 특히 배우들은 영화와 연극을 넘나들며 혼란과 전쟁으로 말미암아 지치고 상처받은 민중을 달래고 격려하는데 큰 역할을 수행했다. 1960년대 들어 한국영화는 장족의 발전을 한다. 더구나 한국방송이 개국하고 TV드라마가 점점 확산되면서 한국영화는 도전을 받았다. 그 영향으로 한국영화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작품의 경향을 다양화하고 표현에 있어 새로운 것을 추구하였다. 한국영화의 풍요와 황금기는 곧 배우들에게도 전성기이며 활동에 활기를 불어넣는 계기였다. 1950년대에 이미 연극무대와 영화를 오가며 검증을 받은 김승호, 최무룡, 김지미 등이 대표적 배우들이었다. 이어 신영균과 60년대 청춘영화라는 새로운 형식과 함께 등장하여 열기가 급부상하게 했던 신성일, 엄앵란, 문정숙, 고은아 등이 후발주자들로 새로이 합류하면서 한국영화는 이 시기 주연급 배우들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풍성했다. TV드라마도 한국 카메라 연기 발전에 한 몫을 하였다. 1961년 한국방송(KBS)이 개국되면서 주간 연속극 열기를 시작으로, TV의 보급이 보편화 되면서 대중들은 영화와 더불어 TV드라마에도 많은 흥미를 갖게 되었다. 자연스레 배우와 그들의 연기에도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였다. 당시에는 연극배우들이 영화나 TV드라마를 넘나들며, 각 매체에 따른 연기를 구사하였다. 1960년대 TV드라마는 기술적 문제로 녹화가 아닌 생방송으로 송신하였는데, 이때 배우들의 연기는 무대세트 안에서 연기하듯 하고 카메라가 이동하면서 촬영하였다. 다시 말해 연극연기와 TV드라마 연기를 혼용한 새로운 카메라 연기를 탄생시켰다. 1990년대 영화와 한국드라마는 한류의 중심 대중매체로 자리를 잡는다. 한국영화와 드라마는 중국 시장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아시아를 중심으로 그 인기를 누리며 각광 받기 시작한다. 이렇듯 한국영화와 드라마가 비상할 수 있었던 것은 결국 질적 우수성 때문이다. 미국영화 등에 비해 가격은 저렴하면서도 연출, 시나리오, 촬영, 미술 등 전반적인 프로덕션이 질적으로 우수하고, 장르가 다양하며 아시아인들에게 친근감을 주는 주제와 소재를 다루었기 때문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열리면서 카메라 연기에 있어서도 새로운 환경으로의 적응에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 중 ‘모션캡쳐’와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기술은 카메라 연기에 새로운 방향과 도전을 제시하였다. 모션캡쳐의 연기술은 신체의 모든 움직임을 통해 내적갈등을 더욱 함축하면서도 명료하게 전달할 수 있는 표현 능력이 필수이다. 배우는 캐릭터가 취하는 대사와 행동들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내적 동기화가 필수이다. 모션캡쳐 연기술에 있어 실제 배우나 실제 소품에 대한 반응이 중요하다. 따라서 실사 배우와의 앙상블 연기가 필요하며, 환경에 대한 사실적 반응을 할 수 있는 숙련된 ‘반응 연기술’이 필수이다. VR․AR 영화는 단지 영상을 통한 가상세계를 시각적으로만 느끼게 하는 것이 아니라, 센서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연동 장비를 통해 시각과 청각을 넘어 촉각과 후각까지 느낄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다. 배우는 사용자의 몰입을 방해하는 구분 동작이 많아서는 안 되기 때문에 연극에서처럼 긴 호흡으로 완결된 한 장면을 연기해야만 한다. 기존 영화에서처럼 다양한 영상 기술을 활용해 수많은 컷을 연결하는 방식의 연출은 VR․AR 영화에 적용하기 어렵다. 4차 산업혁명시대 기술의 발전은 실사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캐릭터들의 구현은 물론 인간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현실로 만들 정도로 첨단화 되었지만, 실사 영화에서 인간의 자연스러운 감정이 실린 생동감 있는 연기는 여전히 실제 배우의 몫이므로 배우들의 연기는 필수이다. 이렇듯 시대가 변하면서 연기의 형식도 변화하기 마련인데, 현재 우리나라는 배우 연기에 관한 연구가 부족할 뿐 아니라, 급변하는 사회와 기술에 발맞춘 연기교육 시스템 구축이 미미하여 그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는 시대적 혼란과 부침 그리고 사회적 변화 속에서도 배우들의 연기는 멈추지 않고 활동함은 물론, 메커니즘 발전과 같은 시대적 변화에 발맞춰 적응하며 그때마다 새로운 카메라 연기를 모색한 과정을 고찰하였다. 따라서 이 본문을 통해 한국 카메라 연기의 변천 과정을 조망하고, 각 시대별 연기의 변천에 관한 학술적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 훈련법의 고찰을 통한 한국적 영화연기 메소드의 발전방안 연구 : 샌포드 마이즈너 연기방법론을 중심으로

        이인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43

        Film has been dramatically spread around the world since the development of cinematograph by the Lumiere brothers in 1895. The movie industry has been rapidly growing despite its short history, compared to the drama. Especially Korea’s movie and TV broadcasting industry have already stepped up their statues and are well recognized. Also some movie stars have gained an international reputation called Hallyu star, and won many awards in some of the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which has proved themselves as great actors and actresses. Despite these achievements, academic studies and training methods of acting in Korea have not been explored systematically and remained unanswered. In Korea, acting education has been usually developed focusing on theatrical acting under its traditional way. In addition, 'Film Acting' has been under-estimated as a merely part of various aesthetic devices in a traditional film theory. However, film acting has its own unique value which has been developed since the beginning of film history, unlike the previous art of drama. The history of film acting since the silent picture days has been the process of making itself more suitable to related media and developing itself to unique acting style art.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film acting and theatrical acting are similar in terms of the fact that they are both the art of performing an imaginary character sincerely, however, there are huge differences in the way of accepting the media and conveying the message. Moreover, the acting style in film and theatre should be different due to the different work environment.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 study of 'Film Acting' and 'Screen Acting' have been established for a long time as an independent study, being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atrical acting. Apart from this, the country has been developed its own education system for film acting since the ‘Hollywood studio system’. On the other hand, in Korea studies on film acting have been unexplored; there are very limited acting-related books previously written and few practical film acting courses or workshops. As film and drama have different acting technique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medium should be understood in order to play good acting. Since Konstantin Stanislavski established the scientific method of acting, his acting methodology has become a renowned acting training program among many actors and actresses around the world. Particularly in the USA his emergence in the early 30’s has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America’s modern drama and film. Lee Strasberg, the American creator of acting style 'Method' developed Stanislavski’s 'system' to his own style, which is called 'method'. The original meaning of the term ‘Method’ refers to the specific acting style created by Lee Strasberg which has been the basis of film acting in Hollywood. However, the meaning of 'Method Acting' not only refers to the style of method acting but also refers to the most suitable acting style to the trait of film. In other words, Method Acting can include the concept of realistic and natural(non-artificial) acting, which is the most appropriate form of acting to the nature of film. The representative American acting teachers, such as Lee Strasberg, Stella Addler and Sanford Meisner adapted ‘Stanislavski’s system’ to the nation in order to suit a different cultural climate and managed to develop its own acting techniques which leaded to an advanced acting ‘methodology’ for the nation. From now on, this acting methodology would be called “American Acting Method” in this study. Among those who developed the American acting methodology, Sanford Meisner’s method is based on 'The Reality of Doing' and is now being used as the most general acting training method in USA. His acting method focuses on an 'interaction' among actors and considers their 'reaction' important, which is appropriate to camera acting. It also includes many different techniques such as ‘The Repetition Exercise’, ‘The Mechanical Repetition Exercise’, ‘The Repetition from your own point of view’, ‘The Knock on the door’, ‘Working with text’, ‘Preparation’, ‘As If: Particularization’, ‘Making the part your Own' In Korea, Stanislavski's system has been the basis of Korean acting in film and drama since it was introduced by Hong Hea Sung in 1950s. Since then, Korean method acting has been developed particularly by actor Kim Seung Ho. In addition, some Korean drama directors such as Lee Yoon Taek and Park Gn Hyoung have been forging their own unique acting methods. Although there were many limitations to develop Korea’s own unique method of acting, the efforts to study Stanislavski's system and turn it into Korea’s acting style have contributed greatly to the nations’s art of acting as a whole. As seen from the example of Sanford Meisner who was influenced by Stanislavski's system, but rather than just accepting the system as it is he added his own method on the existing system and actually recreated. Korea is in need of creating its own unique acting method, which would suit the nation’s unique circumstances. In this study a practical guideline for Korean film acting method is proposed with a consideration of distinct characteristics of film itself and it suggests the way of reorganizing the techniques of American acting method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the field of Korean film directly. 1895년 뤼미에르 형제의 시네마토그래프 발명이후 영화는 전 세계로 급속히 확산되었다. 수천 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연극에 비해 영화의 역사는 짧다고 할 수 있지만, 영화를 비롯한 영상산업은 비약적으로 팽창해 왔으며, 한국의 영화, TV는 성장속도가 빠르게 발전하여 한국영화는 이미 세계에서도 주목할 만큼 그 위상을 높여가고 있다. 영화배우들도 한류스타라는 이름 아래 국제적 명성을 얻고 있으며 각종 해외영화제에서 연기상을 받을 만큼 연기력을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 비해 국내에서 연기예술에 대한 연구는 체계화되어 있지 않고 훈련방법에 대한 시스템이 갖추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연기교육은 연극적 전통 속에서 무대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배우 훈련 방법 또한 체계적으로 교육되지 않고 있다. 또한 전통적인 영화학적 관점에서 ‘영화연기’란 매체의 다양한 미학적 장치들에 비해 부수적 요소로 취급되어 왔다. 그러나 영화연기는 영화의 발달역사에서부터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듯이 분명 이전의 드라마 예술들과는 다른 독립적 예술의 경향을 보여주고 있었다. 무성영화에서부터 시작된 영화연기의 역사는 영화의 연기를 매체에 적합하면서도 독자적인 연기예술로 이끌어 가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영화연기와 연극연기는 ‘가상의 배역을 진실하게 수행하는 예술’ 이라는 점에서 근본적인 원리는 같지만 그 매체의 수용이나 전달 방식 등에서 큰 차이가 있으며, 작업의 환경과 방법도 다르기 때문에 그에 따른 연기법도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미국에서 'Film Acting', 'Screen Acting'은 연극연기와는 완전히 구분되어진 전문분야로 인정받아왔고 할리우드 스튜디오 시스템 시절부터 영화연기를 따로 교육시켜왔다. 하지만 국내에는 영화연기를 위한 책이나 연구가 거의 없고 실무적 영화연기 코스나 워크샵도 없는 실정이다. 이처럼 연극과 영화는 매체가 갖는 특성들 때문에 연기술이 달라질 수밖에 없고 좋은 연기를 하기 위해서는 매체가 가진 특수성을 이해해야 한다. 스타니슬라브스키가 연기에 대한 방법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정립한 이래 그의 연기에 대한 방법론은 세계 여러 곳에서 배우들의 훈련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했고 특히 1930년대 초반 미국에서의 그의 출현은 미국의 현대연극과 영화의 수준을 높이는데 커다란 기여를 하게 된다. 미국의 리 스트라스버그는 이러한 스타니슬라브스키 시스템을 자신만의 ‘메소드’로 발전시켜 나갔다. 메소드란 용어는 1차적으로는 할리우드 영화 연기의 근간이 된 리 스트라스버그가 창안해 낸 특정 연기 스타일을 지칭한다. 하지만 ‘메소드 연기’란 메소드 연기 스타일을 지칭하는 것뿐 아니라 영화 매체의 특성에 가장 부합되는 연기라는 의미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메소드 연기란 시대적 흐름과 영화의 역사에 따라 영화연기의 독자성이 중요시되면서 영화 자체의 본질적 특성에 가장 걸맞는 사실적이고도 자연스러운 연기를 총칭하는 말인 것이다. 미국의 대표적인 연기교사 리 스트라스 버그, 스텔라 애들러, 샌포드 마이즈너는 스타니슬라브스키 ‘시스템’을 미국적 풍토에 맞게 다듬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연기테크닉을 만들어내어 배우훈련을 더 체계적으로 ‘방법론화’시켰다. 이러한 방법론을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 American Acting Method’라고 본고에서는 명칭한다. 그 중 샌포드 마이즈너의 연기방법론은 행동의 사실성을 기반으로 반복훈련, 문 두드리기, 대본과의 작업, 감정의 준비, 마치~인 것처럼, 자신의 역으로 만들기 등의 연기훈련법을 통해 배우와 배우사이의 상호 ‘교감’을 중심으로 하여‘리액션’을 중시하는 카메라 연기에 적합한 연기론으로 오늘날 미국에서 가장 보편적인 연기훈련법으로 쓰이고 있다. 우리나라도 1950년대 홍해성에 의해 스타니슬라브스키 시스템을 수용하기 시작한 이래 배우 김승호를 중심으로 메소드 연기가 발전되어 왔으며 아직까지 우리나라 영화와 연극연기에 기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자신만의 연기훈련법을 가진 이윤택, 박근형과 같은 연극 연출가들이 극단만의 독창적인 메소드를 구축하고 있다. 비록 메소드 연기를 우리만의 독자적인 연기방법론으로 발전시키기에는 많은 한계가 있었지만 한국에서 스타니슬라브스키 시스템을 수용·활용하여 그것을 연구하고 체계화시키려는 노력이 우리나라 배우예술에 큰 공헌을 했다고 할 수 있다. 샌포드 마이즈너 역시 스타니슬라브스키의 영향을 받았지만 그것을 그대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정립한 방법론을 추가해 재창조하여 자신의 메소드로 정착시켰다. 우리도 이와 상응하는 보완적인 한국식 메소드 연기법을 우리만의 ‘방법’으로 구축해 나가야 한다. 본고에서는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의 고찰을 통해 영화매체의 특수성을 고려한 우리나라의 영화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한국적 영화 연기 메소드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한국 대학 영화 연기 교육 시스템 연구

        정민영 청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43

        연기의 기원은 연극의 기원과 같다. 그리스 시대 고대 희랍극에서부터 연기가 시작되었다. 이처럼 역사가 오래된 연극 중심의 연기에서 다양하고 많은 연기술이 생겨나왔으며, 그 연기가 근간이 되어 영화 연기 발전에 많은 역할을 한 것도 사실이다. 영화는 만들어진지 불과 100년 밖에 지나지 않지만 급격한 발전을 거듭해 왔다. 영화의 메커니즘이 무한한 발전과 성장을 거듭해가는 과정에도 영화 연기는 그 기술이나 기계의 발전을 따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기도 하다. 영화 연기는 연극 연기와 다른 특성으로 인해 많은 차이점을 지니고 있다. 영화는 감독에 의한 영상 중심의 편집 예술이며, 카메라를 통해 배우가 연기를 행하고, 카메라의 움직임, 쇼트 사이즈에 따른 발성법, 편집의 예술이라는 요소로 나누어지는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세계에서 영화 산업의 80%를 차지하고 있는 헐리우드의 영화 연기 발전사와 국내의 영화 연기 역사를 간략히 살펴보았다. 또한 국내 대학 중 영화 연기를 교육하고 있는 대학들을 중심으로 일본의 니혼대학교 영화학과의 연기 관련 교과목과 상세히 비교 분석해보았다. 니혼대학교에서는 감독, 촬영 음향, 영상 이론, 연기로 파트가 나뉘어 교육을 하고 있으며, 세심하게 연기 전공자들의 교과과정에 맞추어 연기 교육이 따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런 반면 국내에서는 연기 과정보다는 제작 중심 또는 스텝 중심의 영화 교육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영화 연기 전공자는 영화적 메커니즘과 연기의 기초인 호흡, 발성, 움직임 등 연기 전공에 맞는 교과과정으로 4년간 교육을 받아야 하는데 국내에서는 영화 연기 전공 커리큘럼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니혼대학교에서는 일본 무용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에 국내 대학은 전통 가면극을 민속 연희라는 수업으로 교육하고 있는 학교도 있었지만 1학기로 국한되어 안타까움을 느끼게 된다. 음악, 무용, 언어, 연기가 합해져 있는 전통가면극은 종합 예술이며, 카메라의 메커니즘적 교육과 함께 병행되어지면 연기의 다양한 기초적 지식들을 체득할 수 있는 매우 유익한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국내의 영화 관련 학과에서는 한시라도 빨리 전공에 맞는 세부적 교과과정이 만들어져야하고, 전통 가면극 같은 신체 표현 교육을 통한 연기 기초 지식 체득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영화 연기 전공자들이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보다 올바른 연기 교육 교과과정을 마련하여 연기에 대한 심도 있는 교육이 이루어지길 바라며, 이번 연구를 통해서 영화 연기 교육의 입지 마련 및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길 기대해 본다.

      • 배우 전무송 연기에 관한 연구

        전현아 동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배우 전무송 연기에 관한 연구다. 전무송은 사실주의 연극의 정착, 보급, 확산에 애썼던 연극 선구자들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고, 비 사실주의 연극의 양식화 작업에 적극적으로 개입했다. 소극장 운동과 사실주의적 연극의 토착화, 메소드 연기의 보편화 과정을 모두 겪었고, 다른 매체 연기까지 섭렵하였다. 이를 통해 연기술을 어떻게 습득하고 발전시켰는지 알아보고, 연기 접근 방법에 대한 변화 과정을 훈련 내용과 작품 활동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전무송이 연기를 시작했던 1960년대는 서구의 리얼리즘이 간접 수용되면서 ‘리얼리즘은 정통극’이라고 오인되어 모든 연극의 잣대가 되었던 분위기였다. 근대극 수용 시 신파에 대한 혐오로 시작된 낭만주의적 연기 풍토가 고착되어 입체적인 리얼리즘 연극제작과정과는 다른 평면적인 형태 수준에 머물러 있었으며,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 일부분만의 수용과정에서 ‘내면 연기’라는 특수한 연기양식의 탄생이 커다란 영향을 주고 있었다. 당시 많은 배우가 그런 영향을 받았듯 전무송 역시 낭만적 사실주의 연기법을 연기수련 과정에서 학습한 것이 사실이다. 전무송은 졸업작품 <춘향전>(1964)과 극단 드라마센터의 창단공연 <마의태자>(1964)를 통해 그 당시 보편화 되어있던, 그러나 개선의 목소리가 커지던 시기에 사극조(調)의 화술과 낭만적 사실주의 연기로 기성 연극인들의 관심을 끌며 순조롭게 배우의 길에 발을 들여놓게 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초 유덕형의 <생일파티>(1970)를 통해 기존의 연기 스타일에 대해 큰 혼란을 느끼게 되고 좌절을 겪는다. 하지만 곧 스타니슬랍스키가 주장했던 ‘나로부터 출발’이란 개념을 알게 되고, 극단 《드라마센터》의 젊은 세 연출가와 함께 다양한 비 사실주의 연극 작업을 하면서 희곡, 인물 분석과 표현에 대해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고 그것을 온몸으로 시도하고 익히며 그동안 자신에게 남아있던 낭만적 사실주의 연기법을 씻어내기 시작한다. 1975~1980년까지 국립극단 단원으로 위촉, 이호재와 명콤비가 되어 좋은 배우로 한국연극계의 중추가 되어 활동할 때, 이해랑이 주장하는 ‘감정과 정서 그 자체를 설정하는 것’으로 변형된 ‘내면 연기’에 대해 탐구하기 시작한다. 전무송은 유치진의 “훌륭한 배우가 되려면 먼저 인간이 되라”는 화두에 대한 고민과 함께 비 사실주의 연극 작업에서의 신체 언어 활용 경험 덕분에 감정과 정서 그 자체를 설정하는 것에서 머물지 않고 더 나아가 역할이 극 안에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 분명하게 인식하고, 그 목표에 따라 ‘주어진 상황’에서 내적 충동을 일으켜 구체적 행동으로 표출하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또한, 전무송은 1970년대 비 사실주의 연극에로의 접근 방법으로 사용했던 즉흥연기 훈련과 1980년대 츠카 코헤이의 독특한 연출법인 ‘구치다테’를 통해 역할에 접근한 것으로 보아 1990년대에 이르러서야 제대로 소개되기 시작한 스타니슬랍스키의 후기 이론인 ‘역할에 대한 배우의 작업’에서의 인식단계-체험단계-구현의 단계를 이미 1980년대에 선행적으로 체득하고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전무송은 1980년대부터 매체 연기로 영역을 확대하여 그의 첫 영화 <만다라>에서 ‘나로부터 출발’의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영화나 TV 드라마에서 메소드연기를 행하게 되는데 이때 전무송은 방송, 영화, 연극 모두 극적 리얼리티와 일상의 리얼리티를 구분해야 한다고 적극적으로 주장한다. 전무송은 “기초훈련을 통해 배우로서의 자질을 갖추고 난 뒤 희곡을 통해 주어진 상황을 ‘느낀다(분석)’는 배우 언어로 충분히 ‘인식’해야 내적 충동이 생기고 그와 동시에 행동할 수 있다”면서 기초 훈련, ‘인식’단계의 중요성, ‘구현 단계’에서 상대역할과의 진실한 교감을 중요하게 여긴다. 여기에는 근본적으로 유치진의 ‘훌륭한 배우가 되기 위해 먼저 인간이 되어 제대로 하라.’는 화두가 항상 바탕이 되어있다. 배우는 연기를 하는 동안, 맡은 배역의 인생을 살아간다는 점에서 인간의 내면에 대한 깊은 이해를 요구한다. 그런 이유로 전무송은 연기뿐 아니라 내면의 삶 또한 이러한 자기 수련에 끊임없이 정진한다. 그런 덕분에 어떤 배역을 맡아도 항상 진지한 태도로 삶의 의미를 탐구하는 철학적인 배우가 되었고, 삶과 연기가 모순되지 않고 언제나 진솔하며 감동적인 연기로 관객의 가슴을 파고드는 배우가 되었다. 전무송의 연기접근 방식에 있어서 훌륭한 테크닉보다는 훌륭한 인간을 더 중요시하는 휴머니즘에 기초한다는 점이 다른 배우들과 다른 점이고 인간성에 대한 엄격한 고집이 인생을 바라보는 따뜻한 눈과 타인의 아픔을 자신의 아픔으로 느낄 수 있는 배우가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전무송의 연기관과 훈련이 연기사적 기초자료는 물론, 후학들을 비롯한 연기 관련자들에게 연기를 대하는 마음가짐에, 소중한 연기이론과 기술의 발전에 보탬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ABSTRACT A Study on the Actor Jeon Mu-Song’s Acting Jeon, Hyun-Ah Major in Theater Studies Department of Theater Studies General Graduate School of Dongguk University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Actor Jeon Mu-Song’s acting. He was directly influenced by the pioneers of realistic play having devoted in the settlement, spread and expansion of realism play, and actively involved in the formalization of non-realism play. Actor Joen went through the Small Theater Movement and the naturalization of realistic play and the generalization process of method acting, and ranged over different media acting. This study intended to research how he acquired and developed a wide range of skills and what process his approach to the acting was changed through by reviewing his training contents and his work activities. In 1960s when Jeon Mu Song began to play acting, the Western realism was being indirectly accepted, so the ‘realism play’ was misunderstood as the ‘orthodox play’, becoming the standards of all plays. At the times accepting the modern drama, the romantic acting atmosphere, which was started by the aversion against the soap opera style, became fossilized, then it remained in a different, plan form level from the production process of stereoscopic, realism play, and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creation of special acting style being called as the ‘inner acting’ in the process partially accepting Stanisalvsky system. Like that many actors were influenced at that time, it was the fact that Jeon Mu-Song also learnt the romantic realism acting way in his acting training process. He easily entered the way of actor with attracting existing theater actors’ interest through his historic drama-style vocalization and romantic realism acting through the <Chunhyangjeon> (1964), his graduation work and the <Crown Prince Maeui > (1964), the opening performance of Drama Center, a drama company in the times then the historical drama style vocalization and the romantic realism acting were generalized but the demands on their improvements were being increased. However, he was very wondered against the existing acting style through the work, <Brithday Party>, directed by Yoo Deok-Hyung in early 1970s, and felt frustrated. However, after soon, he came to knew the concept of ‘start from myself’ being argued by Stanisalvsky, and then sought new ways in analyzing and expressing drama plays and characters and began to wash off the romantic realism acting technique being still remained in his body in trying and practicing such acting ways in his whole body while performing various non-realism plays with young three directors in the ‘Drama Center’, the drama company which he belonged to. During the period from 1975 to 1980, he was a member of National Drama Company of Korea and acted as a central role in Korean play circle as a good actor in the excellent duo with actor Lee Ho-Jae. During the period, he began to explore the ‘ acting’ which was transformed into the setting of ‘feelings and emotion themselves’ argued by the director Lee Hae-Rang. Thanks to his experiences utilizing body language in the non-realism play performance works, he showed more advanced acting appearance expressing a specific behavior with driving an internal impulse in a ‘given situation’ according to each goal after clearly recognizing what an actor’s role had to do in a play further, not remaining in the setting of feelings and emotion themselves while seeking for the meaning of director Yoo Chi-Jin’s statement, “First become a man to become a good actor”. Given that he approached to acting roles through not only the improvisational acting training which was used as the approach method to the non-realism play in 1970s but also the ‘Kuchitate’ as Tsuka Cohei’s unique directing method in 1980s, it seemed that he might already master and utilize the stages of recognition –experience -realization in Stanislavsky's late theory, ‘the actor’s work about the acting role’ in 1980s. This theory began to be fully introduced in 1990s. And Jeon Mu-Song expanded his acting field into the media acting, so he accurately understood the concept of ‘start from myself’ in his first movie <Mandara>, and took the method acting in various movies and TV dramas. At this time he progressively insisted that the broadcasting, the movie and the play should distinguish the dramatic reality from the daily reality. Saying, “after acquiring the qualities of an actor through basic training and then enough recognizing a given situation in a script with the word of ‘feeling (analyzing)’ in actor language, then an actor can have an internal impulse and act at the same time’, Jeon Mu-Song values the basic training, the importance of ‘recognition stage’, and the genuine communion with the other actor’s role in the ”implementation stage“. Here, Yoo Chi Jin’s statement, ‘First become a man to become a good actor’ is always based in essence. An actor requires a deep understanding of the parts of human in that he lives his given character’s life while he is acting. That’s the reason why Jeon Mu Song continually does his training in his life as well as his acting. Thanks to that, he became a philosophical actor exploring the meaning of life with a serious attitude always even though he takes any character’s role, and also became a good actor deeply moving audience with his genuine and sympathetic acting all the time, not contradicting his life with his acting. His acting approach is based on the humanism valuing a good man more importantly than good acting techniques, and this approach is different from other actors, and his strict adherence to the humanism grew him as an actor to feel other’s pain as his own pain with warm eyes looking at the life.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hopes that Jeon Mu Song’s acting perspective and his acting training will contribute to students and acting-relevant personnel’s attitude toward the acting and the development of previous acting theory and acting techniques as well as the basic data in the acting history.

      • 1950년대 할리우드 영화에서 나타난 영화연기 스타일 분석 연구 :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를 중심으로

        박민정 한양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1950년대 할리우드 영화에서 나타나는 영화연기 스타일을 분석한 것이다. 1950년대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는 배우들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당대 아이콘으로 부상하게 된다. 1920년대에 시작된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는 비로소 1950년대에 빛을 바라기 시작한다. 그 빛은 현재까지도 영화연기의 주축으로 자리 잡고 있는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로 발현되고 있다. 영화연기의 근간을 이루는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의 다양성을 1950년대 할리우드 영화를 통해 분석해보고자 한다. 첫 번째는 ‘연극에서 파생된 연기’로 캐릭터의 외적부분의 강조, 정형화된 연기, 앵글로 부각되는 캐릭터를 분석한다. 두 번째는 프레임이라는 제한적인 틀 안에서 어떻게 변화, 발전 양상과, 고정된 이미지를 구축하게 된 스타의 고정적 연기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를 크게 일상성의 리얼리티를 강조한 연기, 과장성 짙은 연기를 감소시키는 즉흥성, 주어진 상황 속에서 내적 진실성의 표출, 감각의 기억과 정서적 기억으로 발현되는 캐릭터 성격 구축의 예로 분류하여 영화에 적용된 양상을 고찰해본다.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에서 시작된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는 전자와 상당부분 중첩되기도 하면서, 상이하게 다른 이론을 주장한다. 비슷한 면을 보이는 두 이론은 각각 본연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는 불행하게도 이 두 가지 이론은 혼용되어지기도 한다. 한국영화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영화연기예술에 대한 관심과 기대감과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한국의 현실에서 영화연기의 주축인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의 원천을 찾고 그에 맞는 발전 방안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ilm acting style, based on the hollywood movies in the 1950s. ‘American acting method’ in the 1950s was emerged as an icon of the day with actors became famous. Its use began in the 1920s, but it was not until the 1950s that first coming to the attention among public. This technique has continued into American acting method that plays key role in film acting up to now. In this study, there will be analysis from 1950's hollywood movies on the variety of American acting method, which is the foundation of film acting. First analysis is on emphasis upon external talents of the character from ‘theater-derived acting’, standardized acting and the character recognized by angle. Second analysis is on actor's steady acting; how he changed, developed and built up his steady image with limited opportunity of ‘frame’. And the last is the study on aspects of American acting method, applied to film by categorizing several examples; acting that concentrates on reality of daily life, spontaneity that diminishes the exaggerated acting, expression of internal truth in the given circumstances, and formation of character's personality from sense memory and emotional memory. American acting method, first derived from Stanislavski's System, overlaps considerably its origin, but claims slightly different theories. Although each of two theories have their own identity, they are often confused in Korea. People's interest and expectation on art in film and acting are growing, as the status of Korean film has been grow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origin of American acting method, which plays key role in Korean film, and promote the development plan for it.

      • 단편영화 <SHE> 제작보고서

        조향은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7

        2006년 우연히 잡지 지면으로 데뷔하게 되면서 배우의 길을 걷게 되었지만 다른 배우들처럼 4년 내내 연극영화과에 재학하며 연극을 한 것도 아니었고 소속사에서 혹독한 연습생 시절을 거친 것도 아닌, 그저 오디션사이트에 우연히 올린 사진 한 장으로 지금의 에이전시 실장님 눈에 띄어 캐스팅 되면서 배우의 길을 걷게 되었다. 데뷔는 남들보다 쉬웠지만 그만큼 부족한 부분이 많아 연극영화과 출신이 아니라는 편견에 시달려야 했고 힘든 무명배우의 길을 걷게 되었다. 2년 정도 각종 홈쇼핑과 케이블 tv 등에서 모델 및 배우의 길을 걸으면서 준비되지 않은 배우라는 생각에 2008년 대망의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연극영화과의 문을 두드리게 되었고 합격하는 기쁨도 느낄 수 있었다. 그러나 그 기쁨도 잠시였다. 나에게는 상상도 할 수 없을 만큼의 혹독한 대학원 생활이 기다리고 있었고, 남들보다 쉽게 데뷔한 내 자신을 돌아보며 반성하는 시간도 가질 수 있었다. 이 혹독한 대학원 생활에 힘들고 지치기도 했지만 그만큼 연기력은 향상되었다고 스스로 위안하며 2년간의 힘든 대학원 생활을 잘 마무리하는 영화를 제작해 보고 싶었다. 작품은 우리의 사랑스럽고 애교 많은 주인공 ‘예진’의 플라워 샵에 등장하는 세 팀의 손님들을 통해서 그들의 모순을 보여주며 결국은 남성들을 신랄하게 풍자 비판하는 블랙 코미디 영화이다. 예진의 눈에 비친 남성들은 모두 다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다. 솔직히 이런 남성들을 풍자 비판하는 영화를 제작하게 된 것은 본인이 배우생활을 하면서 여배우에게 자존심을 상하게 할 만한 수많은 제안을 받고 그것을 거절하면서 느꼈던 것들을 반영한 영화를 만들어 보고 싶었던 것이 그 이유이다. 영화<she>는 우리의 주인공 ‘예진’ 의 충격적인 비밀이 엔딩에서 드러나면서 남성들을 한방 먹이는 반전이 있는 영화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작품의 장르로 블랙 코미디 영화를 택한 것은 늘 우울증에 시달리는 나에게 즐거운 재미를 선사해주고 싶었고 나뿐만 아니라 우울증에 시달리기 쉬운 현대인들과 관객들에게 웃음을 제공할 수 있는 그런 영화를 만들고 싶었으며 그 웃음이 그냥 지금 이 순간 웃고 넘기는 단순한 웃음이 아닌 풍자대상을 우스꽝스럽게 만들어 그들을 비판함으로써 카타르시적인 효과까지 있는 영화를 제작해보고 싶었다. 영화 <she>를 통해 우리 다 같이 유쾌 상쾌 통쾌함을 느껴보는 것은 어떨까?

      • 할리우드 영화에서 한스 짐머 영화음악의 기능과 형식에 대한 연구

        왕중교 청주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9711

        Film score can be regarded as a type of music between classical music and pop music or an indispensable part of a film. Film score is not only art, but also a part of the film industry with distinctive business imprints. Although many excellent film scores are played by media years after films were released, the research of China and other countries on film scores has not been as popular as films. In general, the research on film scores is nothing like the research on film themes, culture, audience, market and other film elements, which is also not as profound as the research on pop and classical music. The main reason for this is that film score research belongs to a crossing field, and it's necessary for researchers to hav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film and music. The paper is started around Hans Zimmer's film scores. First, the path of film score research is expanded. In addition to the analysis of film scores from the perspective of music, a comprehensive analysis of film scores is also carried out from the perspective of films, music and business; Second, based on the research on Hans Zimmer's film scores, the use of folk music elements and electronic music is treated objectively from the perspective of a history of film score development, and the typical features of Hans Zimmer's film scores are linked to the development of film scores; Third, in addition to the analysis of the film score itself, this paper also focuses on the creation of film scores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logical analysis. With films, music, marketing and other related theories as the spirit, the paper integrates the psychological analysis theory to carry out a systematic analysis of Hans Zimmer's film scores. Represented by the three works of The Lion King, Gladiator and Batman, the characteristics, attributes, value and influence of his film scores are analyzed. Various chapters are arranged as follows: In Chapter I, the purpose, method and scope of research of the paper are mainly introduced, and the existing related research results are sorted out. In Chapter II, an overall grasp of the biography and works of Hans Zimmer, the status of Hans Zimmer in the history of development of Hollywood film scores and contributions he made is carried out. In Chapter III, film score is taken as a film el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films. The method and view of system theory is used to sort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film scores and scenes or sound. Represented by Hans Zimmer's film scores, the status and value of film scores in films are analyzed. In Chapter IV, from the perspective of music, the structure and type of music and musical features of Hans Zimmer's film scores are analyzed with film scores as a type of music. In Chapter V, represented by Hans Zimmer's film scores, the artistic value of film scores is analyzed from three aspects: narration, emotional expression and character shaping. In Chapter VI, the influence of Hans Zimmer's film scores on music of action, animated and love films i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genre films. In Chapter VII, the influence of Hans Zimmer's film scores i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film score creation, which is mainly discussed from three aspects: style, commercial operation and production process of film scores. In Chapter VIII, deficiencies of this research are explained, and suggestions and prospects are proposed for follow-up research. 영화음악은 고전 음악과 대중음악 사이에 존재하는 음악 유형으로 볼 수 있고 또한 영화와 분할될 수 없는 중요 구성 부분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영화음악은 일종의 예술로 볼 수 있고 영화 산업의 일환으로 볼 수 있으며, 선명한 상업적 모습을 지니고 있다. 비록 많은 우수한 영화음악 작품들이 영화 상영 후에도 각종 미디어를 통해 빈번히 재생되고 있지만 중국과 기타 국가에서 영화음악에 대한 연구는 영화음악 자체와 같이 큰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영화음악 연구는 영화 주제, 영화 문화, 영화 수용자, 영화 시장 등 기타 영화 요소에 대한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부족하고 또한 영화음악의 연구는 대중음악이나 고전 음악에 대한 연구에 비해서도 깊지 않다. 이러한 현상이 초래된 주요 원인은 영화 음악 연구가 교차 영역에 속하여 연구자가 영화와 음악이라는 두 가지 예술 유형에 대해 반드시 깊은 견해를 지녀야 할 것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한스 짐머의 영화음악 창작을 중심으로 연구를 전개하였고, 그 목적은 한편으로 영화음악 연구의 방법을 확대하여 음악의 측면에서 영화 음악을 분석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영화음악, 상업 측면을 융합하여 영화음악에 대해 종합적인 분석을 가능하게 만들기 위한 것이며, 다른 한편으로 한스 짐머의 영화음악에 대한 연구를 통해 영화음악 발전 역사의 측면에서 객관적으로 민족 음악 요소와 전자 음악의 이용을 고찰하여 한스 짐머 영화음악의 전형적인 특징과 영화음악의 발전을 연계하여 고찰함으로써 영화음악 자체의 분석에 한정되지 않고, 정신 분석의 측면에서 영화음악의 창작에 집중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영화학, 음악학, 마케팅학 등 관련 이론을 기초로 한스 짐머 영화음악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라이온 킹>, <글래디에이터>와 <진주만> 등 세 작품을 사례로 하여 영화음악의 특징, 속성, 가치, 영화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각 장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은 본 연구의 연구 목적과 의의, 연구 방법과 범위에 관해 설명하고 한중 연구의 시각과 미국 연구의 시각에서 관련 선행 연구를 정리하였다. 한스 짐머의 대표적인 세 영화음악을 대상으로 하고 문헌연구방법과 사례분석방법을 취했다. 한스 짐머 영화음악의 발전 과정에 대한 연구를 통해 통시적인 관점에서 한스 짐머 영화음악의 형식과 기능 특징을 살펴봤다. 이로써 한스 짐머 영화음악의 발전 과정과 스타일을 파악하고 중국 영화음악의 창작에 이론적인 참고 자료를 제공해줬다. 제2장은 한스 짐머의 성장 배경과 영화음악 세계를 살펴봤다. 통시적인 시각과 정신분석 이론을 통해 한스 짐머의 성장 배경이 그의 영화음악 스타일 형성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할리우드 음악의 발전사를 정리함으로써 한스 짐머가 할리우드 영화음악에서의 위상을 살펴봤다. 이는 거시적인 차원에서 한스 짐머 영화음악 스타일 형성의 원인을 모색했다. 제3장은 영화학의 시각에서 영화음악을 영화의 일부분으로 보며 체계 이론의 관점에서 소리와 화면, 소리와 음향의 관계를 살펴보고 한스 짐머의 영화음악을 대상으로 영화음악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할리우드 영화음악 발전사와 결합해 한스 짐머 영화음악과 화면, 음악과 음향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한스 짐머 영화음악의 기능 요소를 파악했다. 제4장은 음악학의 시각에서 영화음악을 음악의 유형으로 보며 음악의 구조, 유형, 그리고 한스 짐머 영화음악의 음악학 특징을 분석했다. 한스 짐머의 세 영화음악 작품과 결합해 그의 영화음악의 구조와 스타일을 분석했다. 또한 음악학의 차원에서 한스 짐머 영화음악의 작곡 기법도 연구했다. 제5장은 전자 오케스트라, 민족 음악과 대중 음악의 측면에서 한스 짐머 영화음악의 특징을 연구했다. 특히 통시적인 관점에서 한스 짐머 작곡 스탕일 형성의 역사적인 요인과 사회적인 요인을 분석했다. 아울러 전의 연구를 토대로 한스 짐머가 어떤 혁신을 했는지를 밝힘으로써 한스 짐머에 대해 보다 객관적인 평가를 할 수 있다. 제6장은 영화음악 창작의 시각에서 한스 짐머 영화음악의 영향을 연구했다. 먼저 그의 영화음악이 액션영화, 멜로영화, 애니메이션에 대한 영향을 연구했다. 그 다음에 한스 짐머의 음악 창작 방식이 기존의 영화음악 창작 모델에 대한 영향, 그리고 영화 상업화에 대한 영향을 서술했다. 제7장은 연구의 주제와 연구 과정을 정리하고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을 제시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 폭력 미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박찬욱 감독 영화 스타일 연구

        장천사 청주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9711

        영화 발전의 초기부터 현대 각종 유형의 다양한 영화 작품의 장르에 이르기까지 폭력 요소는 항상 백여 년에 걸친 영화의 발전과 함께 하였으며, 폭력 미학은 현대 각종 장르의 영화에 넘쳐나고 점점 더 그 빈도가 많아지고, 또한 표현 수법 역시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폭력은 영화 작품에서 가장 강력한 흥분제의 하나로써 관객의 감각을 자극하며, 관객의 시청각 체험을 강한 영향력을 끼치기 때문에 영화 상업화 제작에서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고 폭력, 인성, 사회 계급 등의 관점에서 현실 세계에 대한 인식과 의견을 표현한다. 박찬욱 감독의 영화에서 폭력적 스토리와 인물 관계, 서사 구조와 시청각 언어의 설정은 모두 인간적 주제를 보다 깊이 발굴하기 위한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는 영화학, 미학, 심리학 등 다양한 영역과 관련되어 있으므로 문헌 연구와 사례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박찬욱 감독 영화에 나타난 폭력 미학의 정치 의식 비판, 관객 감정 표현 및 사회 대중 교육 등 세 가지 현실 기능에 대해 고찰한다. 제 1 장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 목적과 필요성, 연구 방법과 범위에 대해 설명하고 관련 연구 성과를 정리한다. 제 2 장에서는 우선 교육 환경이 박찬욱 감독 영화 스타일에 끼친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그 다음 박찬욱 감독의 작품을 소개하고, 작품에 나타난 발전 방향을 분석하며, 마지막으로 영화에 드러난 사상과 의식에 대해 분석 및 정리한다. 제 3 장에서는 다양한 문헌 자료들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폭력과 폭력의 미학의 개념을 정리하며, 대중의 예술 감상력과 심미 능력 차원에서 영화 폭력 미학과 대중 심미의 관계를 분석한다. 또한 장르별 폭력의 각기 다른 표현 방식을 분석하여 박찬욱 감독 영화의 폭력 행위 유형과 미학적 표현 특징을 요약한다. 제 4 장에서는 박찬욱 감독의 영화에 등장하는 폭력 영화 속 주제와 인물에 대해 분류하고 유형화 형식을 토대로 폭력의 근원과 사회적 특징을 분석한다. 또한 이는 영화에 등장하는 폭력 행위의 분류와 폭력의 미학적 표현에 대한 연구의 토대롤 제공한다. 제 5 장에서는 박찬욱 감독의 구체적인 폭력 행위에 대한 영상 자료를 근거로 영화 속 폭력적 행동을 행위적 폭력, 정신적 폭력, 황당무계한 폭력 등으로 분류하고, 폭력적 요소의 시각화, 청각화, 상징적 방식을 토대로 박찬욱 감독의 영화가 형성한 형식과 미학적 특징을 분석한다. 제 6 장에서는 현실세계에 대한 비판, 관객의 감정 표출과 사회 대중 교육 등 세 가지 측면에서 박찬욱 감독의 영화 속 폭력 미학이 정치, 도덕, 대중 감정, 대중 교육 등에 미치는 교육 기능과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제 7 장에서는 주로 두 부분으로 나뉘며, 하나는 본 논문의 한계점을 밝힌 것이고, 다른 하나는 본 연구자의 영화 속 폭력 미학에 대한 사고와 제안이다. From the beginning of the film to the modern variety of film works, the violent elements have been accompanied by the development of the film for more than 100 years. Violent aesthetics is full of modern types of movies, the frequency of appearance is increasing and the expression techniques are becoming more diverse. Violence has become the most powerful stimulant in film works, stimulating the audience’s senses, enveloping the audience’s audio-visual experience, and then becoming An important element in the commercialization of film. Director Park Chan-wook criticized the violent aesthetic creation method of the world’s outstanding directors and chose to express his understanding and opinions on the real world from the perspectives of violence, humanity and social class. The film directed by Park Chan-wook is in the context of viole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narrative structure and audio-visual language, in order to better explore the profound human theme. Under the guidance of this theme, Park Chan-wook chooses a narrative method with suspense effect for multi-linear narrative, and the outer shell of violent aesthetics envelops deep criticism of social class gap, moral system and human violence.Park Chan-wook’s films have attracted the attention of filmmakers and spectators around the world and won several important awards. Since the study of this paper is related to various fields such as cinema, aesthetics, and psychology, criticism of political consciousness of violence aesthetics, audience emotion expression, and social mass education in the Park Chan-wook’s films. Chapter 1 explains several purposes, methods, and scope of research and summarizes related research results. Chapter 2 first analyzes the influence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n Park Zhanyu’s film style, then lists all the film works and analyzes the development tendency of his works. Finally, it analyzes and sorts out the ideology expressed in the film. Chapter 3 defines the definition of violence and violent aesthetics used in this paper from different literature materials,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cinematic violence aesthetics and popular aesthetics from the perspective of popular art appreciation and aesthetic ability. The way of expression is analyzed to define the types of viol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aesthetic performance in the film directed by Park Chan-wook. Chapter 4 classifies the themes and characters in the violent movies that appear in Park Chan-wook’s films, analyzes the root causes of viol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groups in a categorized form, and studies the classification of violence and the aestheticization of violence in movies. Performance is paving the way. Chapter 5 is based on the video material of specific violence in Park Chan-wook’s film, which divides the different violence in the film into behavioral violence, spiritual violence and absurd violence. The esthetic expression of violence in Park Chan-wook’s films, with the visualization and music of violent elements and symbolic way to construct the formal pursuit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Park Chan-wook’s film. Chapter 6 analyzes the educational functions and influences of violent aesthetics on political form, moral system, public sentiment and mass education from three aspects: criticism of the real world, catharsis of the audience and education for the public. Chapter 7 mainly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part is the limitations and shortcomings of this paper. The second part is the author’s personal views and proposals on the violent aesthetics in the fil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