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저소득층을 위한 문화예술향유 기회 지원 관련 사례 연구

        박미애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03

        국민에게 양질의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여건을 어떻게 제공할 것인가 에 대한 과제는 중요한 국가정책 중 하나가 되었다. 문화, 예술, 도덕이나 정신 등이 중요한 권력의 역할을 하는 시대로 도래하면서, 다른 나라에 감동을 주고 존경심을 이끌어내는 힘을 지닌 나라가 지배하는 시대로 변하고 있다. 복지정책 등의 확대로 생활이 점차 안정됨으로써 대중에게도 문화예술향유의 기회가 골고루 공유되는 문화예술 대중화시대 즉 대중문화예술의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이로써 도시·지역 계획은 물론, 정책까지 문화예술이 중심이 되는 개편을 시행하고 있으며 또한 새로운 예술 관련 프로젝트를 등장시키면서 예술 비전과 문화예술정책에 대해 많은 정보 자료를 제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은 저소득층에게 문화예술향유의 기회를 최대화할 필요가 있음을 밝히고, 이를 위하여 저소득층을 위한 문화예술향유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는 사례를 기업 및 공공기관으로 나누어 선정한 후 이를 자세히 살피고, 각각의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시사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선정 방법은 현대 사회에 ‘지역·소득의 차별이 없는 문화예술향유의 기회를 제공하여 문화와 예술의 정신적 감동을 모든 국민이 경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목적을 두고, 지속적인 지원 형태와 누구나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소비자 프렌들리(friendly)’ 성격을 바탕으로 탄탄한 구성, 그리고 대상자의 적극적인 참여도를 고려하여 이에 준하는 사례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사례를 통하여 저소득층을 위한 문화예술향유 기회 지원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자 각 사례의 특징과 문제점을 살피고, 이에 따라 저소득층을 위한 문화예술향유 기회 지원에 있어서의 문제점과 국외 사례와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를 자세히 살피고자 하였다. ‘저소득층을 위한 문화예술향유의 기회’ 혹은 ‘문화 복지’, ‘소득양극화와 예술지원정책’ 등 본 논문과 관련한 여러 선행된 연구를 살펴보면, 21세기 선진 국가들의 초(超)부가 가치는 문화에서 발생할 것이며, 이에 따라 양질의 고품격 문화를 생산하고 예술을 향유할 줄 아는 능력이 곧 국가 경쟁력으로 직결될 것이라는 문화예술향유의 필요성을 충분히 밝히고 있다. 이를 위해 국민 소득 4만 달러라는 목표로 항진해 가는 우리나라에서, 문화예술은 삶의 질 뿐 만 아니라 필수적인 문제라는 인식이 공유돼야 함을 함께 말하고 있다. 이것은 앞으로 문화예술향유의 기회는 누구나 누릴 수 있는 것이며, 만약 누릴 수 없는 환경에 놓인 계층이라면 이들을 위한 지원이 필수적임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러나 정부가 아닌 일반 기업 및 공공기관에서는 지원의 성격이 단순한 일회성을 띠고 있거나 지원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구성이 소홀하여 대상자 참여도가 낮은 경우를 볼 수 있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선행된 연구 내용을 기반으로 저소득층이라는 특정 계층의 범위에서 문화예술향유 기회 지원 제도를 중심으로 저소득층이 문화예술향유의 기회를 최대한 가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공공기관과 기업의 사례를 나누어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문화예술향유 기회 지원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저소득층이 가지고 있는 소외감, 상실감, 회피의식 등의 심리적인 문제를 문화예술이 가지고 있는 감동과 정서를 경험함으로써 해결해나갈 수 있도록 기회를 지원해야 함은 소외된 일상에서의 일탈, 원활한 의사소통의 통로를 마련해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문화예술향유를 통해 계층의 구분을 벗어나 동등한 자격을 갖도록 하고, 꿈과 희망을 갖고 살아갈 수 있도록 세밀한 배려와 진정한 관심을 주고, 이에 따른 적극적인 대책과 실질적인 지원으로 더불어 잘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 나가야 할 필요성을 가진다. 이에 선진사례를 더욱 연구하고 조사하여 제도를 재정비하고, 저소득층 관련 전문가 양성과 더불어 전문 인력을 사회 곳곳에 배치함으로써 저소득층을 위한 문화예술향유의 기회가 확대될 수 있도록 최대한의 방안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도록 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The subject how to supply the nation to the opportunity to enjoy high qualified culture & art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national policies. When the era that culture, art, morality or mind play an important role comes, the nation which sweeps away the other nations and let the other nations respect has finally led the world. With our life becoming more and more stable due to the expansion of welfare policy, popularization era of culture & art that the enjoyment opportunity of culture & art is shared equally, namely, populace culture & art era, has finally come. Because of this, for the policies as well as urban/regional planning, reorganization of culture & art has been performed for its centralization. Also, new project related to art having been shown, a lot of information data for art vision and culture & art policy has been provided. In the background of this abstract, after I suggested to maximize the enjoyment opportunity of culture & art and, for this, I classified the samples that any supporters would support the enjoyment program of culture & art for the low-income group into the companies or public institutions, I'll take a look at this, compare and analyze each example to examine the suggestion. There's any selection method; to provide the enjoyment opportunity of culture & art and to make the people experience the mental emotion of culture & art; with the base of 'customers-friendly' characteristic, I selected proper sample, considering stable composition and affirmative participation. To understanding the actual condition for supporting the enjoyment opportunity of culture & art, I took a look at the characteristic and problem of each sample and, according to this, any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the problem for supporting the enjoyment opportunity and overseas examples. When I take a look at several pre-studies related to this abstract such as 'The enjoyment opportunity of culture & art for the low-income group' , 'cultural welfare' or 'both extremities of income and art supporting policy, super value added of the advanced nations comes from the culture. According to this, I suggest enough that the ability to produce high qualified culture and to enjoy the art shall be connected to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Recognition that culture & art is an essential issue as the quality of life should be shared in Korea moving forward the purpose of national income of 40,000$. This means that everybody can enjoy the culture & art in the future and, if there's any group who can't enjoy the culture & art, the support for this is shown to be essential. However, sometimes, the characteristic of support is merely instant or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 people due to poor constitution of the supporting program in the general enterprises and public institutions. Therefore, with the base of the pre-studied research contents in this study and with the center of the opportunity supporting system to enjoy the culture & art, I tried to understand the present condition of supporting the enjoyment opportunity of the culture & art, taking a look at the samples of public institutions and enterprises to have the low-income group find the enjoyment opportunity of the culture & art the best. To support the opportunity to solve the psychological issues such as a sense of alienation, a sense of loss and avoidance consciousness, it shall be very crucial meaning for the low-income group to experience the emotion and sentiment of the culture & art for providing the path of smooth communication. Also, we should made a good society to let the low-income group enjoy the same state out of the distinction of layers through the enjoyment of culture & art, should give close care and real interest, and should make a better world where we can live with them through affirmative measures and real support. With studying and surveying the better examples more, training the experts and allotting the experts to every place of the society, we should make the best effort to develop the best measures to let the low-income group enjoy the enjoyment opportunity of culture & art.

      • CSI지역 고려인과의 문화예술교류 활성화 방안 연구 :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을 중심으로

        엄혜진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703

        Korean arts organisations have set up carefully designed programmes of study and cultural interchange projects in order to preserve Korean customs overseas. Observations of factors that influence adjustments of the original art forms, such as displacement and resettlement will be made. A key objective is to maintain original styles and to prevent modification of traditional practises by supplying expertise and guidance. Korean artists are dispatched to participating countries on a voluntary basis in order to teach traditional Korean arts. Students from the CIS are then invited to Korea, to undertake professional training, where they have access to literature, media, materials, equipment and high quality teaching from skilled artists. Students whose ancestors were displaced in the 1930s are often restricted by their economic situation. Seasonal working patterns have been identifi- ed. The winter season, when unemployment is at its highest, presents an opportunity to recruit for overseas projects without halting the participant’s potential income. Currently only dance and music are presented to potential partakers in Uzbekistan and Kazakhstan and Russian. In order to make projects accessible to a wider audience, there needs to be more variety in the art forms offered. There is potential to include many other nations in the CIS and to raise the profile of Korean traditional arts in the region. The implementation and outcome of projects has not been recorded. The absence of any data, depicting the success of such ventures hinders analysis, which could lead to improvements. An effective, consistent system of documentation needs to be introduced. In order to fairly assess the effectiveness of cultural interchange projects in retaining true traditions and promoting ethnic culture, projects need to be ongoing and analysed over a longer period of time. President Lee Myung Bak agenda for supporting ethnic Koreans in the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The Korean president aim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ose with Korean ancestry in the region, many of whom are descendants of ethnic minorities who were forcibly transferred from Russia during the 1930s. This report sets out to present an accessible way to support Lee Myung Bak’s objective. By making international connections through the arts, we can begin to build bridges and forge the way for further collaborative projects between Korea and the CIS. 본 논문은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과 CIS지역 고려인과의 문화예술 교류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CIS지역이란 소비에트 연방 붕괴 후 구성된 구 소비에트연방 독립국가연합으로 러시아,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12개국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들 지역에는 52만 명 이상의 재외동포들이 거주하고 있다. 이들 중 상당수는 고려인으로 그들 나름대로 우리 민족문화를 계승, 보존하고 있다. 그러나 고려인에 대한 우리의 관심과 지원은 미흡한 실정이며 단순한 경제적인 지원이 아닌 그들의 아픈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교류와 협력이 필요하다. CIS지역 고려인과의 문화예술교류를 효과적으로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CIS지역 국가의 특징을 파악하여 국가별로 차별화된 정책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한국 알리기’라는 국가 홍보 위주의 틀에서 벗어나 예술인 발굴·지원, 민족문화 계승, 민족 정체성 확립 등 다양한 목적의 정책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여러 분야의 젊고 재능 있는 고려인 예술인들을 발굴·양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문화체험의 기회를 제공해야 하고 책임감 있는 전문 예술인들에게 한국문화에 관한 소개와 교육을 맡겨야 한다. 이들 전문 예술인은 현지 사회와 접촉을 통하여 상대국의 문화를 한국에 소개함으로써 상호 이해 촉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양국 간 문화예술교류에서 고려인 문화예술단체를 연관시켜 주재국에 관심을 갖게 하고 이들 문화예술단체들이 자생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류와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각 부처에 산재되어 있는 지원 사업을 수합하여 정보를 안내해 줄 있는 통일된 창구나 틀이 시급하다. 넷째, 기존의 문화예술교류사업과 기금은 한국을 해외로 알리는 홍보에만 집중하는 지원시스템으로 이제는 해외홍보가 아닌 말 그대로 문화예술교류에서 교류에 그 의미를 두어야 하며 해외 홍보라는 일반적인 인식에서 벗어나 상호 교류라는 인식에 기반을 두어 지원시스템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뿐만 아니라 CIS지역 전체 고려인 예술인과 문화예술단체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 그리고 이들과의 활발한 문화예술교류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 공연예술을 위한 기업 스폰서십 활성화 방안 연구 : 기업과 예술의 만남 사업을 중심으로

        박홍준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87

        This thesis is a case study on vitalizing corporate sponsorship for performing arts industry, which aims to give a solution to the lack of funding in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Here, I examined the importance of corporate sponsorships and their current financial support art organizations. For further research, I focused my investigation mainly on the Art & Business Cooperation Program, analyzed corporate support on art organizations the benefits provided by organizations on corporate, and conducted interviews targeting businesses and art organizations came in on the plan. This seeks to lookinto the ways of invigorating the corporate sponsorship for the performing arts. This study also presents the methods to vitalize corporate sponsorship. Firstly, companies should fund art organizations at an arm's length from artassociations by changing their way of thinking. Performing art organizations need further studies on their internal capacity in order to figure out their own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art organizations can promote corporate sponsorship by providing the impact of benefits offered. Secondly, it can induce long term support from companies with their characteristic image in accordance with various images art organizations represent. It is crucial to find as well as connect the image that suit both businesses and art organizations by classifying, integrating, and analyzing various images both of them have. Thirdly, expansionof the scale of small art organizations and venues can help vitalize corporate sponsorship. Thenetworks of small organizations and venues can help induce the strong points of large scale venues and festivals which contain various programs. Daehangno, known for its high density of approximately 120 venues and 1000 active organizations, has the potential to become a long-term project with diverse programs not only through the networksof venues and art organizations, but also through their integration. The expansion of small organizations is going to increase the benefits, which will be provided to corporations.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contents can be provided to corporations in many ways. As I mentioned, this study seeks a solution on vitalizing corporate sponsorship for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This will vitalize the inflow of corporate finances to give a solution to the fundamental problem of the shortage of financial aid in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공연예술을 위한 기업 스폰서십 활성화 방안 연구 -기업과 예술의 만남 사업 중심으로- 기업의 예술지원 역사는 기업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되었지만, 필랜스로피적 관점의 자선에서 벗어나 ‘스폰서십’으로서 공연예술에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얼마 되지 않았다. 오늘날 공연예술의 재원고갈 상태는 공공기관이나 단체의 공공지원을 통해 해결할 수 없는 큰 문제가 되었으며, 공연예술에 있어서 기업의 재원은 선택이 아니라 공공지원의 한계를 해결할 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공연예술의 재원조성 방법의 일환으로 기업 스폰서십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탐색적인 연구로 진행 되었다. 첫째, 선행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메세나, 기업 스폰서십, 문화 마케팅의 개념과 특성을 확인하고, 공연예술의 재원조성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둘째, 현재 공연예술의 시장 규모를 알아보고, 공연예술의 전반적인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공연예술의 실적현황을 분석하였으며, 기업의 공연예술 지원 현황과 공연예술 재원에 있어 기업 스폰서십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을 조사하였다. 셋째, 공연예술의 기업 스폰서십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6부터 한국메세나협의회에서 실시한 기업과 예술의 만남(Arts & Business) 사업을 분석하였으며, 공연예술 중 연극을 중심으로 사업에 참여한 기업, 단체 및 지원 방식에 대하여 정밀 분석하였다. 넷째,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실증적인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심층 인터뷰는 2010 기업과 예술의 만남 사업에 참여한 기업과 예술단체 담당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면접조사원에게 연구의 목적과 설문구성, 조사방법 등의 충분히 설명한 후 사전에 충분한 이해를 통하여 성실한 응답을 유도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기업지원에 대한 예술단체의 인식을 마케팅 관점으로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예술단체는 메세나 활동의 중요한 수혜자이며 동시에 주체자로써 단체가 가지고 있는 장점과 단점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기업과 대등한 입장에서 기업 스폰서십을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예술단체는 공연예술이 가지고 있는 가치를 파악하기 위해 예술단체의 내부 역량에 대하여 연구하고, 기존에 기업에게 제공하고 있는 혜택이 기업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연구가 되어야 할 것이다. 공연예술단체는 단체의 규모를 파악하고 수치화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공연을 지원하면 기업 이미지 제고에 도움이 되고 홍보효과가 있다’라는 식의 포괄적으로 말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이 공연예술을 지원하는 금액에 합당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 또한, 현재 기업에게 제공하고 있는 혜택에 대한 연구를 통해 공연예술이 제공하고 있는 혜택의 가치를 파악하고 분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예술단체는 자신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 입장에서 자신들이 제공하는 효익이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에 공연단체가 기업에게 제공하고 있는 혜택으로는 공연티켓 제공 및 홍보물에 기업 로고 노출 등이 있다. 예술단체는 제공하고 있는 혜택이 기업에게 큰 도움이 안 된다고 생각하고 있는 방면, 기업은 예술단체로부터 받은 초대권, 공연 티켓을 활용하여 VIP 고객과 임직원에게 공연 관람 기회를 제공함으로 기업 충성도를 높이고 있다. 공연예술단체가 제공하는 혜택에 대한 인식이 단체의 입장과 기업의 입장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예술단체는 자신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 입장에서 제공하는 효익이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기업 이미지와 예술단체 이미지를 일치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기업이 문화예술을 지원하는 주요동기를 ‘기업 이미지의 전략적 관리’로 분석하고 있다. 기업은 저마다 나름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긴 세월동안 형성된 기업만의 색깔이며, 그 이미지를 통한 기업의 브랜드는 형성되고 소비자에게 인식된다. 기업이 지닌 고유한 이미지와 다양한 공연예술 장르 및 공연예술단체마다 가지고 있는 고유한 이미지가 일치화 된다면 기업이 추구하는 문화마케팅의 전략의 일환이 될 수 있다. 또한 기업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이미지, 예술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이미지 뿐 아니라, 기업과 예술이 연결되는 환경, 방법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광고의 맥락일치 효과와 같이 공연예술단체와 기업간의 이미지 일치를 통해 기업이 고객에게 제시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공연예술단체가 하나의 매체로서 활용되어 기업의 이미지 제고나, 기업 공헌 활동, 기업 상품 홍보 등 기업이 보여주고자 하는 이미지를 보여 줄 수 있다. 또한 공연예술은 일반 영화나 드라마처럼 많은 매체를 통해 광고 같은 효과를 볼 수는 없지만, 공연장을 찾은 관객에게 기업 이미지의 회상도를 높일 수 있다. 방희연(2010:47) 연구에서 보면 영화관 광고에서 영화에 대한 높은 관여도를 가진 관객이일수록 관여도가 낮은 관객보다 높은 광고 회상도를 보인

      • 한국 음식 사진 제작을 위한 연구 : 지역별 제사 음식을 중심으로

        김진주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71

        20세기 후반 세계 경제와 정치는 서양을 중심으로 발달되어 왔다.서양 문화의 전파와 유입은 동양 사회 문화의 급속한 발달을 초래하였으며, 시간의 물질화 및 일을 빠르고 쉽게 처리하고자 하는 현대인의 삶을 야기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빠르고 간편하게 먹는’ 서구식 식문화인 패스트푸드(fast food)가 보편적인 식문화로 확산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빠르고 간편하게 먹는’ 서구식 식문화에 대한 부작용을 겪은 지금은 ‘천천히 건강하게 먹는’ 동양의 식문화로의 의식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음식문화의 중심 역시 서양에서 동양으로 점차 이동하고 있다. 세계의 음식문화 흐름에 발맞추어 한국음식 역시 빠른 속도로 세계화가 진행 되고 있다. 더불어 한식의 홍보도 중요해지고 사진가의 역할도 커졌다. 한 나라를 나타내는 주요한 문화 중 대표적인 것이 음식문화이다. 음식은 해당 나라의 생활양식 그 자체로서 문화의 근간을 이루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한 나라의 문화적 특성을 가늠하고자 한다면 해당 국가의 음식 문화부터 이해해야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따라서 세계에 우리나라가 과연 어떤 문화를 가지고 있는지를 드러내려면 우리의 음식문화가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부터 체계적으로 보여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한국음식 문화는 중앙집권체체를 이룩한 조선왕조시대에 조리를 담당하고 궁중음식을 직·간접적으로 먹어본 재상과 외명부들 뿐만 아니라 양반계층, 서민계층, 반가에서 함께 기거한 솔거노비 계층 등에서 상호 유기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발전해온 산물이다. 물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듯이 우리 음식문화 역시 가장 최상위 문화가 궁중을 중심으로 한 음식문화였고 이는 주변으로 확산되어 토속 식자재와 어우러져 다시 거듭 발전하여 상호 교류 하에 영향을 미치면서 점차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으로 정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유교적 제례의식에 기초한 각 지역의 특색 있는 재료를 이용한 제사 음식을 선정하고자 노력했다. 명문가의 제사 음식과 재료는 문헌을 토대로 조사하였고, 일반 가정의 제례음식은 직접 촬영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각 지역의 토산물을 기록한 [도문대작]과 [규합총서]를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 조사를 토대로 식재료를 선정한 후, 각 지역의 특색 있는 재료를 사용하되 조리법과 형태를 변형하여 음식을 지역별로 기획 제작하였다. 전통식기 및 전통 소품들을 활용하였으며 음식 위에 얹어진 고명과 소품들을 화려하게 사용하였다. 선행논문인 <한국음식사진의 표현에 관한 분석연구>를 토대로 앞으로의 한국음식 사진이 어떻게 표현되어야 하는지를 작품 제작을 통해 알아보려한다. In the late 20th Century, world economy and politic have been developed by western countries. The spread and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caused rapid development, materialization of time, and modern taste in finishing their works fast and easily. So fast food which makes people eat fast and conveniently began to spread as a common way to eat. But people now are interested in having eastern food which is 'slow food' after they experienced side effects of fast food, and a hub of the food culture is moving to the east from the west.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is progressing rapidly to keep pace with the changes in the world food culture. Food culture is one of the major cultures that represents the country it belong to. Because the food of the country is based on its lifestyle and culture. If you want to comprehend the cultural traits of a country, you should understand its food culture first. To show what kinds of cultures Korean have to the world, we need to show systematically what kinds characteristics Korean food has. Korean food culture has developed through Cho-sun Dynasty by many different classes of the people, for example, royal family, high officials, Yang-ban classes, the humble classes, and servants. Each class had different food at that times and the food of each class has affected each other and developed the food we have now. As water flows from higher points to lower ones, the food for royal family which was the highest culture of Korea was diffused and adopted across the nation, it has been developed with local food and it became the food which represents Korea. This research shows the food for ancestral rites based upon Confucian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with the characteristic ingredients of each region. I researched the food for ancestral rites for the high officials through readings and I took photographs for the humble classes'. Also, I researched them through [Domoondaejahk] and [Gyuhahbchongseo] which included local products of each region. After I chose the food materials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I designed the food based on each region with their characteristic materials but some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made to the food. Traditional dishes, accessories, and garnish on the food are used to make them look splendidly. Based on the last research, <Photograph Expression Research of Korean Food >, I want to consider and research how to express and reflect multidisciplinary view on the photograph of Korean food.

      • 재즈댄스 교육 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 서울시 공립 문화체육센터를 중심으로

        김민정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study aims at heightening the satisfaction degree of members to attend education program of jazz dance at public cultural physical education centerto enforce lifelong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spread of cultural education idea which is being spread, experiencing system change to be based on society development and preparing activation scheme of education programof jazz dance at cultural physical education center. Thus, so as to attain this study goal, this researcher executed question survey to examine age and participating motive of trainees of education program of jazz dance, course attending lecture, talent of leader, education environment and facilities, management composition of program, and effectof improvement point of jazz dance. After entrusting public cultural physical education center at Seoul with survey, I designated physical education center for Dongdaemoongu residents, Onjo the Great Cultural Physical Education Center, Junkok Cultural Sports Center as 3 public cultural physical education center, and executed from the 20th of July in 2009 to the 31st on 100 trainees who attend education program of jazz dance. About questionnaires which were made out, I examined applicability of question contents through preliminary test and completed this survey questionnaire after correcting and supplementing by verifying trust degree. And, handling method of data which were used in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is verification of frequency percentage. And, handling was made by using SPSS12.0. Through above study method, I examined and studied improvement scheme of education program of jazz dance centering around publiccultural physical education center in Seoul. I presented 4 kinds as improvement scheme of program of public cultural physical education center through survey result, and the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improvement scheme of education environment and facilities management, standard about facilities to be suitable for education program of jazz dance shall be made, and the rule shall be prescribed. In addition, right use education for facilities shall be executed, and fast supplement work shall be made with extra facilities and waiting state of staffs to manage facilitie. Second, as for improvement scheme of employment and management of lecturers, range of lecturers of education program of jazz dance shall be defined and lecturers to be suitable for it shall be employed. In addition, lecturers shall be managed by establishing pool for professional manpower and excellent lecturer manpower of jazz dance at public cultural physical education center. Besides, lecturers of jazz dance shall develop diverse programs continuously by executing research study for lecturers. Third, as for improvement scheme of lecturers of jazz dance, contents of lesson shall be composed easily and interestingly with figure management and application of dance which is in vogue etc. In addition, lesson information shall be shared through pool for professional manpower of jazz dance and manpower of excellent lecturers. Fourth, as for improvement scheme of management composition of program, lesson hours of education proglram of jazz dance shall be prescribed as 1 hour and 30 minutes. In addition, about education program of jazz dance, program shall be opened by level with 2 or more, beginner's class and intermediate class. 본 연구는 사회발전에 따른 체제 변화를 겪으면서 확산되고 있는 문화교육 이념의 보급에 따라 평생교육을 시행하는 공립 문화체육센터에서의 재즈댄스 교육 프로그램을 수강하는 구성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문화체육센터의 재즈댄스 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재즈댄스 교육 프로그램 수강자들의 연령과 참여 동기, 수강 경로, 지도자의 자질, 교육 환경 및 시설, 프로그램 운영구성, 재즈댄스의 효과와 개선점을 알아보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서울시 내에 위치한 공립 문화체육센터 중에서 조사를 의뢰하여 회신에 응답한 동대문구민 체육센터, 온조대왕 문화체육센터, 전곡문화스포츠센터로 3개의 문화체육센터을 지정하였으며, 재즈댄스 교육 프로그램을 수강하고 있는 수강자 100명을 대상으로 2009년 7월 20일부터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작성된 설문지는 예비검사를 통하여 설문내용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신뢰도를 검증하여 수정·보안 후 본 조사 설문지를 완성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 처리방법은 빈도·백분율 검증이며 SPSS12.0를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방법을 통하여 서울시 공립 문화체육센터를 중심으로 재즈댄스 교육 프로그램 개선 방안을 조사, 연구하였다. 조사 결과를 통하여 공립 문화체육센터의 재즈댄스 교육 프로그램 개선 방안으로 4가지를 제시하였으며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환경 및 시설관리의 개선 방안으로 재즈댄스 교육 프로그램에 적합한 시설에 대한 기준을 만들고 그 규정을 준수 하도록 한다. 또한 시설에 대한 올바른 사용 교육을 실시하고, 여분의 시설과 시설 관리 직원들이 항시 대기상태로 빠른 보완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둘째, 강사 채용 및 관리의 개선 방안으로 재즈댄스 교육 프로그램 강사의 범위를 정의하고 그에 맞는 강사를 채용한다. 또한 공립 문화체육센터의 재즈댄스 전문 인력 우수강사 인력 풀을 구축하여 강사들을 관리 한다. 더불어 강사 연수를 통하여 재즈댄스 강사들이 계속적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도록 한다. 셋째, 재즈댄스 강사의 프로그램 개선방안으로 몸매관리와 유행하는 춤의 응용으로 쉽고 재미있게 수업의 내용을 구성한다. 또한 재즈댄스 전문 인력 우수강사 인력 풀을 통하여 수업정보를 공유하도록 한다. 넷째, 프로그램 운영구성 개선 방안으로 재즈댄스 교육 프로그램의 수업 시간을 1시간 30분으로 규정한다. 또한 재즈댄스 교육 프로그램을 초급, 중급반으로 최소 2개 이상의 수준 별 프로그램을 개설하도록 한다.

      • 공간구조에서 본 소극장 무대조명에 관한 연구 : 아르코 예술극장 소극장, 자유 소극장, 대학로 예술극장 소극장

        차재영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Stage lighting has been developed by change of the performance style and physical structure in theatre. In the 20th century, stage lighting being central to performing arts contributes for visual arts under the influence of electric development. This Study will be central on the performance space and mutual relation due of the stage lighting and aim at bringing up with the structural growth of the stage lighting. A public performance of space has been developed repeatedly. The variety style of theatre is creatures of the age. The 20th century was the time of changes therefore the cities that was ruined by World War required a new architectures. Architects want to slough off the construction of the old theatre and it began with theatrical history. They want to communicate with audience over a fixed stage and illusion effects, to come near audience. It led the new style of theatrical concept and broke the separated style in spatial structures. Actually, the structural of the separation of stage and house led new spatial type and effects on visual things over an imagination area. This visual effect's change in theatrical structure was come from electric development. It must help to break the footlight as a representative of lighting effect in fixed proscenium stage. That gave a change, which can propose a lighting effect on aspect of variety structures. The study reviews structural development of the stage lighting through the change of the structural of the theater and the meaning of the small theater. Here is a purpose to show the creative visual effect on small theater's stage lighting through the stage lighting on its space structure. It also needs to break the stage lighting on main theatre-centered. We can analyze as small theater's stage lighting at the side for the space structure though three examples, the Arco Arts Theatre Small Thter, the small theatre Jayu (SeoulArtCenter)and the Daehangno Arts Small Center. It is not for the complaint about the stage lighting in small theatre but for development possibility through the recognition for such a problem. The study of well watched the structural development led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ly, the concept of the small theater is named as 'experimental mind by free will' though actually it is real meaning which is small theatre. It must be a very creative experimental space. Secondly, the stage lighting in small theater is a chang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stage and the seat. The small theater, which escaped from distance for the perspective drawing of the Main proscenium theater, can show a variable sight characteristic. The sight characteristics for distance can visualize light-effects by the contact of an actor and a spectator. Thirdly, in spatial structure, the stage lighting effects in small theatre can look after the variety of flexibility and multiplicity in the limited space. The space has been suggested by up & down stage's flexibility in our vertical structure show the variety lighting effects through the spatial effect by stage lighting. Finally, the stage lighting has been developed variously at the structural side of the theater by the invention of the electricity. In this time, the development of theater's structure is for Main proscenium theater-centered. This theatrical change is for new aspect in stage lighting. In the process of stage lighting, I explain the necessity of the sight characteristics in the effect of visual aspect in spatial structure. After all, it can help to develop the sight characteristics in structural side interactively. 무대조명은 공연양식의 변화에 따라 발전되었으나, 한편으로는 물리적인 극장구조의 변화에서 구조적인 발전을 하였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공연예술에 중심이 되고 있는 무대조명은 전기의 발전으로 인하여 극장건축구조에 의한 시각 예술에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연공간과 무대조명의 상관관계성에 따른 구조적인 변화를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앞으로 극장건축구조에 있어서 무대조명의 구조적인 발전 가능성을 제시 하는데 이 연구에 목적이 있다. 공연공간은 대극장 중심으로 발전을 거듭 해 왔다. 각 시대마다 극장의 유형은 사회적 영향으로 만들어진 사례이다. 20세기는 변화를 요구하는 시기였으며, 세계대전으로 폐허가 된 도시는 새로운 건축물을 요구하게 되었다. 건축가들은 기존의 극장건축에서 벗어나기 원했고 그 중심은 연극사에서 시작되었다. 고정된 무대와 환영효과에서 벗어나 보다 더 관객과 소통하기를 원하고, 사실적으로 다가가기를 원하였으며, 이탈의 범주에서 참여를 원하는 새로운 형태의 ‘극장’의 개념을 제시한다. 공간구조에서 무대와 객석의 분리된 체제에서 벗어나기 시작하였다. 무대와 객석의 구조적인 분리는 ‘극장’을 새로운 공간의 형태로 야기하였다. 연출적 상상력은 공간을 넘어 시각적 효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시각효과에 대한 극장 구조의 실질적 변화는 전기의 발달이었다. 전기의 발달은 고정된 프로시니엄 무대의 조명효과였던 각광을 탈피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극장의 구조적인 변화와 소극장의 의미를 통해 무대조명의 구조적인 발달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소극장의 공간구조에서 본 무대조명을 통해 대극장 중심의 무대조명에서 탈피하여 소극장 무대조명의 창의적인 시각효과에 대하여 제시한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소극장인 아르코 예술극장 소극장, 예술의 전당 오페라 하우스 자유소극장, 대학로 예술극장 소극장사례를 중심으로 공간구조에 대한 측면에서 분석된 소극장의 무대조명을 통해 무대조명의 발전에 방향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에 제시한다. 첫째, 소극장의 개념은 규모적인 면에서 작은 극장이지만 실질적인 의미는 ‘자유의지에 의한 실험정신’의 극장을 말한다. 소극장은 대극장과 구별되어 기존의 형식에서 벗어난 창의적인 실험공간이어야 한다. 둘째, 소극장의 무대 조명은 규모에서 무대와 객석의 거리에 대한 변화이다. 대극장의 무대와 객석의 분리에서 벗어난 소극장은 무대와 객석의 접촉에 의한 시각성을 제시한다. 셋째, 소극장의 공간구조에서 무대조명에 관한 효과는 제한적이며 가변성에 주목해야 한다. 제한된 공간구조는 대극장과는 구별되는 시각성을 제시한다. 제한된 공간구조는 공간구조의 가변성에 의한 유동적인 공간의 의미를 갖는다. 소극장 무대조명은 시각적인 측면에서 실험적인 사고가 이뤄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무대조명은 전기의 등장으로 인하여 극장의 구조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발전을 하였다. 극장구조에 대한 발달은 시각적인 측면에서 대극장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시각적인 미학은 대극장을 중심으로 무대조명의 발전을 이끌어 왔다. 극장의 변화는 무대 조명의 새로운 양상을 도모하는데 있다. 무대 조명의 발달은 공간구조에 대한 시각적인 측면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시각성에 대한 필요성은 건축적인 측면에서 무대조명과 시각성에 대한 상호교류가 이뤄지는 공간구조의 발전에 기본이 되어야 한다.

      • 고려사경변상도를 소재로 한 디지털콘텐츠 개발 방안 : 게임콘텐츠 개발을 중심으로

        이찬우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With the advent of the era of cultural competition in the 21st century, it is more important to develop new and novel cultural contents fit for the globalization than ever before. Therefore, the Korean government has carried out various support projects to foster the culture industry and led the development of various kinds of content materials, especially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contents. As the world's best IT powerhouse, Korea has technology good enough to develop digital contents undoubtedly. However, Korea does not have sufficient materials to display such superior technology. Most of all, the most serious problem is how to create story subjects, that is, materials for digital content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developing digital contents. Many other countries in the world have already discovered elements needed for digital contents from their present or traditional culture and gone through the process of creation (story telling), turning them into contents vast enough to draw attention from all the citizens of the world. Thus, this study is to discover elements likely to be materials for contents from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as a precedent process to develop marvelous digital contents so that Korea may lead the globalization in the era of culture industry. Particularly, the Buddhist culture has taken an important position as a part of the Korean culture in Korea, but there are hundreds of original elements not discovered nor used yet in the Buddhist cultur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discover some elements to be used as materials for digital contents by focusing on the Sutra painting from Goryeo Dynasty, grafting the discovered elements onto game contents, which belong to the genre drawing a lot of attention because of its highest potential of growth out of all the industries in Korea. As a result of the process of developing game contents based on the Sutra painting from Goryeo Dynasty, the Sutra painting has all the complicated and vast details of the Buddhist culture. However, since the details are expressed with descriptive pictures and icon symbols, it is easy to understand the Buddhist culture, and the painting can be important data evenly possessing elements fit for contents, especially in developing digital contents for this study. Nevertheless, while carrying out this thesis, the writer of this thesis found herself not having proper capability as a professional game planner or a programmer, and due to such a limitation, it was quite regrettable not to lead to creating a little more sophisticated stories and developing various characters and images. While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 of game contents along with the research into the Buddhist culture to discover materials based on the Sutra painting from Goryeo Dynasty, this thesis found out that it is more important to foster writers (story-tellers), directors and planners including producers than anything else in developing digital contents in order to activate the development of digital contents based on the Buddhist culture. Moreover, in developing the original form of the Buddhist culture, materials for digital contents, it is needed to establish a collaborative organization system with content experts, creative experts and technical experts inside and outside the Buddhist circle so that they can carry out a historical investigation on the materials from the original form of the Buddhist culture. Besides, it was determined to discover materials from the original form of the Buddhist culture and develop digital contents on the basis of the collaborative system as well. Especially, in order to develop story-telling which may be the key factor of killer contents, it was judged that developing various discovery programs and fostering story-tellers are the most priority to be inevitably handled most of all. 21세기 문화경쟁시대를 맞이하여 세계화에 걸 맞는 새롭고 참신한 문화콘텐츠 개발에 대한 중요성은 날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맞서 국가에서도 문화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지원 사업을 벌여오고 있으며, 특히 디지털콘텐츠 개발에 중점을 두고 다양한 콘텐츠 소재를 개발하는데 앞장서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적인 IT강국으로 디지털콘텐츠를 개발하는 데 부족함이 없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뛰어난 기술력을 펼쳐 보일만한 재료들이 너무도 부족하다. 무엇보다도 디지털콘텐츠를 개발함에 있어 중요한 요소는 콘텐츠의 재료인 창작소재들을 어떻게 만들어 낼 것인가 하는 점에 있다. 이미 세계 각 나라들은 문화 또는 전통문화에서 콘텐츠적 요소를 발굴하여 창작과정(스토리텔링화)을 거쳐냄으로써 세계인의 주목을 끌어낼 수 있는 거대한 콘텐츠로 탈바꿈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산업 시대에 세계화에 앞장 설 수 있는 경이로운 디지털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한 선행과정으로 콘텐츠의 소재가 될 수 있는 요소들을 우리의 전통문화에서 발굴해보자 하였다. 특히 우리문화의 한 흐름으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불교문화는 아직까지 발굴되지 않은 원천요소들이 무궁무진하다. 이에 본 연구는 불교문화, 그 중 고려시대 사경변상도를 중심으로 하여 디지털콘텐츠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요소들을 발굴해보았으며, 그 요소들을 대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성장 가능성이 높은 장르로 주목받고 있는 게임콘텐츠에 접목해 보았다. 본 연구가 고려사경변상도를 소재로 게임콘텐츠를 개발해 내는 과정에서 얻을 수 있었던 결론은 고려시대 사경변상도는 어렵고 방대한 불교문화의 내용을 다 갖추고 있지만, 그 내용을 서사적인 그림과 도상상징으로 표현하고 있어, 불교문화를 이해하는데 용이하며, 디지털콘텐츠를 개발하는 데 적합한 콘텐츠적 요소를 두루 갖추고 있는 중요한 자료라는 것이다. 그러나 본 논문을 연구하는데 있어, 논자가 전문 게임기획 및 프로그래머의 실력을 갖추지 못한 한계로 인해, 결과로 제시한 게임콘텐츠의 내용에서 조금 더 세련된 스토리와 다양한 캐릭터 개발 및 이미지를 도출해 내지 못한 점이 무척 안타깝다. 고려사경변상도를 소재로 한 불교문화연구와 더불어 게임콘텐츠 개발에 대한 고찰을 통해 본 논문은 불교문화를 소재로 한 디지털콘텐츠의 개발이 활성화화 되기 위해서는, 디지털콘텐츠 개발에 있어서 불교문화원형에 정통한 작가(스토리텔러)와 연출가(디렉터), 그리고 제작자(프로듀서)를 포함한 기획자(플래너)를 양성하는 일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또한 디지털콘텐츠 소재의 원천보고인 불교문화원형을 개발함에 있어서는 불교문화원형 소재를 고증할 불교계 안팎의 내용전문가와 창작전문 인력, 그리고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서로 함께 상호 협력적 조직 체계를 갖추고, 불교문화원형 소재 발굴 및 디지털콘텐츠 개발에 대한 노력을 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특히, 콘텐츠의 핵심요소라고 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의 개발을 위해 다양한 발굴 프로그램과 스토리텔러 양성책은 필수 불가결 한 최우선 조건이라 판단하였다.

      • 공연기획의 마케팅 성공사례 연구 : 연극열전을 중심으로

        곽민영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71

        A corporate must reap profit In order for its industry to grow. Within the art industry, there are people who disdain commercialization and believe artistic work is the priority. However, that is inadequate for industrial growth. Performing arts institutions and their related parties must make profits to attract the best human resources and external sources of investments. The abundant resources will lead to enhancement of art work and eventually, the increased number of audience. Performing arts industry will evolve by going through these cyclical phases. In the case where the top tier producers of performing arts do not make any earnings, the producers may still be able to prolong its heritage with the support from their sponsors or some maniacs but the likeliness of its industry to develop and flourish will be minute. Due to the lack of recognition (publicity) of performing arts marketing, the marketing activity has been defined as merely the sales promotion activity and distort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s. In addition, rather than informing the activities of performing arts itself, it has been packaged which distorted the essence of performing arts. The attitude of taking the marketing activity as profit maximizing activity within the performing arts world, that is, considering the marketing activity merely the sales promotion of tickets. As a matter of fact, the performing arts marketing includes the function of informing the activity of performing arts and pursuit of profit maximization but the ultimate goal of performing arts is to create a condition that a complete and intact performing arts product can be consumed. The ultimate goal of marketing in performing arts is to specify the needs and wants of the prospective audience then develop and convey the performing arts work, services, and ideas that match the needs and wants of the prospective audience, also enabling each performing arts producers to minimize cost and maximize both customer satisfaction and economic value. The vitality of performing arts marketing are: increase in the number of audience, privatization of national and public theaters, establishment of the notion of performing arts management and broadening the classes of audience that fulfils the needs of various periods. Marketing was definitely in need for even the small sized art market in the past. However, the difference of with or without marketing was not clearly visible. In comparison with the modern performing arts industry, marketing plays one of the primary roles in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performance. The big names that have been mentioned in the media is said to gain a lot of support. It is easy to find investors for the works like ‘Yeon-guk Yeol-jun’ that have grasped plenty of interest from the public. Although there are criticism of casting celebrities on the stage and commercialization, it is indisputable that this is one of the marketing strategies that spur the want of audience for other various performances. Performing arts marketing is based on the notion of conventional marketing since its purpose and roles are in line with marketing in nature. But a lot of different aspects exist due to the uniqueness of performing arts compared to conventional marketing. The only objective of conventional marketing is to maximize profit through customer satisfaction. Conversely, the production of stage performances that corresponds to the wants of audience cannot fulfill the want and desire through merely focusing on the needs and wants of the audience. The artists’ message with artistic creativeness and social issues are conveyed through the performing arts. In this respect, the success of performing arts marketing’s ultimate goal is a matter of, how to blend the issue of commercialization and its roles in the society in harmony. Fine tuning is needed for marketing strategies that encompasses the social purposes with specific genres and topics that each performance pursues. Appropriate conventional marketing strategies must be applied to performing arts along with imagination and creativeness. 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우선 기업이 이익을 내야 한다. 예술계 일각에서는 상업성을 추구하는 것을 경시하고 예술성 높은 작품만을 만들면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그것만으로는 산업이 성장 발전하지 못한다. 공연 기업과 공연에 관계하는 사람들이 이익을 남길 수 있어야 우수한 인력이 모이고 외부로부터 투자 자금이 들어오게 된다. 이러한 풍부한 자원을 바탕으로 더 좋은 작품이 제작되면 더 많은 관람객이 공연장을 찾게 된다. 이렇게 선순환 과정을 거쳐서 공연 산업이 발전하는 것이다. 공연을 제작하는 주체와 그곳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돈을 벌지 못하면, 후원자들이나 일부 마니아들을 중심으로 그 주체가 연명은 해나갈 수 있겠지만 더 이상의 성장과 발전은 기대하기 힘들다. 공연 마케팅의 인식부족으로 인해 단지 마케팅은 판촉을 위한 활동으로 규정짓고 공연예술 활동의 특성을 왜곡하여 공연예술 활동 그 자체를 알리기보다 그것을 포장하여 공연예술의 본질을 왜곡시키기도 하였다. 공연예술계 자체 내에서 마케팅을 공연예술의 영리추구에만 집착된 개념으로 받아들이는 태도, 즉 단순히 공연입장권 판촉행위로만 간주하였다. 물론 공연예술 활동을 널리 알리고 영리 추구도 마케팅 활동에 포함되지만 공연예술 활동의 궁극적인 목적은 좀 더 많은 사람이 좀 더 완성된 공연예술 상품을 소비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는 것이다. 공연예술 마케팅은 최종적으로 관객의 욕구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그에 일치되는 공연작품과 서비스 또는 아이디어를 기획·개발하고 사실을 전달하며 각 공연활동의 주체가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의 고객만족, 최대의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공연예술 활동의 궁극적인 목적인 좀 더 많은 고객들이 완성도가 높은 공연예술 상품을 소비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다. 공연 마케팅의 활성화는 관객 수의 증가, 국공립 극장의 민영화, 예술경영 개념의 확립, 관객층의 확충 등 시대적 필요에 따른 것이다. 과거 예술가가 주도한 소규모 예술시장에서도 분명 마케팅은 필요했다. 하지만 마케팅이 있으나 없으나 그 차이는 미미했다. 이에 비해 최근의 공연시장에서는 마케팅이 공연의 성공으로 직결될 정도로 그 역할이 커졌다. 매스컴에 이름이 오르내린 작품은 흥행에 커다란 응원군을 등에 업고 무대에 오르는 셈이다. “연극열전”과 같이 세간의 관심을 끌만한 작품에는 시중의 유동자금이 투자하겠다고 줄을 서기도 한다. 스타들을 무대에 올리고, 상업화에 치우친다는 논란이 있지만, 연극을 경험하게 하며 또 다른 공연에 발걸음을 재촉할 수 있도록 만드는 마케팅 전략의 하나임에는 틀림이 없다. 공연 마케팅도 어디까지나 마케팅이어서 일반적인 마케팅 개념에 기초한다. 하지만 공연예술의 독특한 면 때문에 일반 마케팅과 다른 점도 많다. 일반 마케팅은 고객만족을 통해 수익을 극대화하는 것이 목표이다. 그러나 공연은 단순히 관객들이 원하는 작품을 만드는 것만으로 무엇인가 허전한 느낌을 가질 수 있다. 작품을 통해 예술가의 메시지를 많은 관객들에게 알리는 예술적 창조와 사회적 역할이 추가된다. 이런 점에서 공연 마케팅의 궁극적인 성공 여부는 단순히 수익을 늘리는 것뿐만 아니라, 공연의 이윤 논리와 사회적 기능을 어떻게 조화롭게 절충해 나가느냐하는 좀 더 복잡 미묘한 변수를 안게 된다. 공연 장르나 주제마다 지향하는 나름의 예술적, 사회적 목표에 걸맞은 마케팅 전략을 찾아가는 미조정(fine tuning)이 필요한 것이다. 상상력과 창의력을 발휘하여 일반 마케팅의 미덕을 공연제품에 적절히 적용시켜야 한다고 본 연구자는 생각한다.

      • 국내 사립 미술관 운영현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최명식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가난과 질병 같은 이슈가 삶의 조건을 좌우하던 과거에는 물질문명을 숭배하는 분위기가 지배적이었으나, 물질적으로 풍요로워진 오늘날 현대인들은 정신문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삶의 가치를 정신적인 풍요로움에서 찾고자 하게 되었다. 2010년 현 정부의 정치 이념에서도 정신문화와 더불어 창의성 교육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러한 행정적인 분위기 속에서 문화예술의 주요 장(場)이자 창의적인 학습공간으로서 미술관의 역할과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사회 전반적으로 크게 향상되고 있는 것은 당연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지방자치단체가 본격적으로 실시되고 정착화 되어감에 따라 각 지자체들은지역 문화의 전략이 미래에 지역 간 경쟁력을 좌우하게 될 것이라는 예측 하에 지역의 문화자원을 발굴하여 문화의 특성화, 차별화, 전문화를 시키기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이와 함께 지역문화의 발전과 거점화를 위해 문화시설을 건립하여 다양하고 알찬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함으로써 대중들의 문화적 욕구를 해소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설문조사와 통계자료에 의해 밝혀진 충청지역민들의 문화예술에 대한 인식 수준은 높은 반면 문화시설이나 사립 미술관이 많이 부족한 상황으로 나타났다. 충청지역은 우리나라 중심부에 위치해 있으며 나날이 늘어나는 산업시설과 세종시라는 행정도시의 추진과 함께 현재 대전시에 위치해 있는 충청남도청이 홍성으로 이전 확정되어 현재 건축 공사 중으로 인구 증가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필자는 이 지역 출신이며 충청지역의 미술인으로 활동하면서 40여 년 간 몸소 경험하고 지켜 본 바, 현재도 미술관이 부족한 상황인데 계속해서 늘어나는 인구증가 지역으로 미술관의 활성화와 미술관 확층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본다. 현재 이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9개관의 사립 미술관들의 재정상태가 어려워 운영이 힘든 실정으로 미술관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못하고 있는 미술관이 다수로 보여진다. 이에 지역의 사립 미술관을 운영함에 있어 문제점을 알아보고, 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지역내 사립 미술관 운영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의도와 미술관 확충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판단되어 본 연구와 함께 필자가 이 지역에 사립 미술관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연구방법은 본 논문의 중심지인 충청지역의 사립 미술관 9개관을 방문하여 현장에서 촬영한 사진과 관장 및 근무 직원을 상대로 인터뷰와 설문조사로 운영 상태에 대하여 알아보았고, 미술관 관람객과 일반인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대중이 원하는 미술관에 대해 조사해 보고 지역 미술관의 문제점과 운영 활성화 방안에 대해 연구하여 앞으로 필자가 이 지역에 건립추진중인 미술관 운영에도 도움을 받고자 하는 진심에서 본 논문 연구에 중점을 두었다. 일반인 상대로 설문조사한 내용에서는 미술관의 위치가 한적한 곳보다는 접근이 용이하고 교통이 편리한 곳이어야 된다는 현실적인 문제도 파악되었다. 현재 대부분의 미술관들이 도시에서 많이 벗어나 있는 관계로 접근성이 어려워 쉽게 찾아 갈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의 제시로 지방자치단체와 연계하여 지역의 관광코스에 미술관을 홍보하는 방안, 지역축제에 동참하는 시민의식 재고 및 재정자립을 위한 부대시설운영, 아트상품 개발, 후원회 구성 등을 제안해 보았다. 그리고 미술관 확충의 필요성이 확실한 만큼 미술관 진흥법의 문제점 제기와 정부의 재정지원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제시해 보았다. 이 모든 것이 해결될 때 사립미술관 운영자의 재정적인 어려움이나 관람객의 불편 사항이 조금이나마 해소될 수 있을 거라는 게 필자의 판단이다. 이에 필자는 그동안 계획하고 준비해 왔던 사립미술관 건립 위치를 아파트 밀집지역이며 교통이 편리하고 접근성이 용이한, 천안시 쌍용동 쌍용전철역(나사렛대역)사 주변으로 결정하고 현재 추진 중에 있다. 현재 건립 추진 중인 ‘미담미술관’(가칭)을 운영함에 있어서 본 연구 논문을 통해 조사하고 연구한 충청지역 사립 미술관의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을 반영하여 보고자 하는 실질적인 목적을 지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