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카메라 연기의 변천 과정에 관한 연구

        정주영 청주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In modern society, with highly sophisticated civilization and technology, people seem to lose their interest in plays or stage art due to widespread media entertainment like movies, TV and video games. In other words, these modern media sources do not only have a great impact on economic industry but also areas in modern arts. In these modern, social and cultural changes, acting has also been constantly changed and even those video game characters are adapting themselves to proper roles according to the acting. These changes may also have affected actors and actresses in their acting as well. Consequently, there have been a lot of changes in acting in categories of movies and TV where cameras are used because of audience's demand, social atmosphere and technology development. Especially, the technology development promoted appearance of mass media like movies and TV, and demand for adaptive stage acting for plays that are no longer typical. So the acting is still changing and developing to the changes of mechanism, not only to the changes of society or styles. Important elements for producing movies or TV drama are visual images, editing, acting, and etc. Above all, acting in front of camera, under the circumstance that movie is a category of play ; it takes a crucial part that shows the performance of actor's role. So, camera acting is considered more crucial than other elements and requires further study about it. 'Camera Acting' means 'all the acting and performance shown in motion images through the camera'. Also, it differs from stage acting before the appearance of camera.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camera acting from the early era of Korean movies to the modern period of film industry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ere the most sophisticated technology provides entertainment like Motion Capture, Virtual Reality(VR) and Augmented Reality(AR) added to TV programs and movies. This change has developed Korean camera acting in its own particular style under influence of politics, social issue, cultural situation and box office conditions. Korean camera acting was originated from the early era of movies, but it was not originally from actual actor's acting. In the early days, we needed a person to deliver a story of silent film and this promoted the appearance of Byeonsa(silent film's interpreter) and camera acting. This could be an origin of the camera acting because the Byeonsa delivered story of silent film with speech and gesture, although he did not actually performed acting in front of camera, and it helped the audience to understand and feel like the Byeonsa was actually acting. The Byeonsa's role expanded an area of silent film with more expressive and visual elements as we can see in plays. In other words, the Byeonsa's performed a role that vitalizes the silent film and elevates the film to a level of art. A Yeonsegeuk(kino-drama) is a form of play combined with moving pictures. That is, a traditional play added with motion picture to screen for audience. This was the first fusion art between two media. The form of Yeonsegeuk is to show the scene that has limit with time and space on the stage by using motion picture where the outdoor scene is required. In the beginning, it just showed backgrounds of play, but has developed further to the recent form of movies with more theatrical elements in the scenes. In history of acting, the importance of Yeonsegeuk play is that facial expressions of actors, which was only performed on stage, now can be realistically performed after being combined with the media called 'movie'. That means, it was a great turning point at the appearance of Talkies(talking picture) that includes actor's actual acting. When facial expressions with relaxed muscles took an important part in the period of silent films, actor's voice, more with natural lines took an important part in the period of Talkies. That is, in the period of silent films, people evaluated more visually on actor's facial expressions but now the voice and lines of actors have become a greater issue. This actors' acting training skill was not well structured and at the rampant situation, usage of shinpa-drama(melodrama) actors' appearance and their stage line acting method creates error. In 1945, the time of independence, Korea went through chaotic, violent and ideological period and then suffered from Korean war in 1950 that nearly demolished the whole nation and people. After the war, armistice agreement in 1953, Korean movies faced a new era with great actors (Kim Dong Won, Hwang Jung Soon, Jo Mi Ryung, Choi Moo Ryong, Choi Eun Hee, and etc) who were not only play actors but also influenced camera acting in that time. Those Korean actors struggled to conserve movie production even under the difficult circumstances like period of independence and Korean war and they took a great role to entertain and cheer Korean people who were suffering from those harsh circumstances in play and movies. From 1960's, Korean movies started to develop and faced a challenge as broadcasting media corporations opened business and TV drama flourished. This provoked movie businesses in Korea to widen its variety and style with new expressions. The golden age of Korean movies also provided golden career for actors like Kim Sung Ho, Choi Moo Ryong and Kim Ji mi who had an experience both in play and movies in 1950's. Later in 1960's, when youth movies dominated the movie business with uprising stars like Shin Young Kyun, Shin Sung Il, Um Ang Ran, Moon Jung Suk, Ko Eun Ah, and etc, the main actors grew prosperous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In this time, TV drama also took a great part in dedication of developing camera acting. As Korean broadcasting media corporation (KBS) first aired in 1961, weekend drama became so popular that TV distribution in every household was common and people started to pay attention to drama, as well as movies, actors and their acting. More interestingly, the play actors performed multiple actings from TV to a movie, according to types of acting. In 1960's, the TV drama was on live due to technical difficulty of recording and acting of the actors seemed like performing on stage set when camera recorded as moving. That is to say, this created new camera acting combining both play acting and TV acting. In 1990's, Korean movies and drama were the main resources for 'Korean Wave' and they became very popular in China and later in whole Asia and the world. As we can see, the reason for the success of Korean movies and drama is its high quality. Comparing to Hollywood movies, Korean media offers low price with high quality in categories of production, scenario, filming and art that approached to Asian people with familiar topics and content. Now, as we are living in the age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considered to be essential to adapt ourselves into new environment. To do so, techniques like Motion Capture, Virtual Reality (VR) and Augmented Reality (AR) may guide us to a new challenge. In Motion Capture acting, it is essential to imply actor's internal conflict with specific physical movement and send a clear message to audience. Thus, the actor should analyze target character's lines and acts then synchronize with it internally. So the actor has to react promptly on the other actors and stage properties. To do that, the actor needs ensemble acting (rehearsal) and skill (reaction acting) to react promptly against environment. VR and AR movies are not just the technologies providing virtualization visually, they deliver various experiences for the audience even with senses of smell and tactile feeling by using sophisticated devices. In films, actors are recommended to perform in a long shot because small cuts may interfere them to focus. In ordinary movies, we can edit small cuts with various techniques but it hardly works on AR and VR movies. The technology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allowed us to replace actual characters with imaginary ones, but it is still required for the actors to perform natural acting that includes vivid and active expressions. Although it is certain that we have to adapt ourselves to those fast-paced changes in movie industry and acting, we lack in systemized teaching for acting and need further study indeed.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and development of camera acting that has maintained itself under social chaos and changes, with support from steady actors who searched for new styles in camera acting and dedicated themselves. In conclusion, I hope that we can take a distant view on Korean camera acting and study further about its changes more actively. 오늘날 고도로 성장한 문명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영화나 TV, 영상게임 등과 같은 영상매체에 매료되어 연극이나 무대예술에 대한 흥미를 잃어가고 있다. 다시 말해 이러한 매체들은 산업적 규모는 물론이고 대중문화예술 측면에 있어서도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사회적·문화예술적 변화 속에서 연기 또한 그 변화가 지속되고 있으며, 영상게임 캐릭터조차 게임 속 역할에 맞는 연기를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배우의 연기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영화나 TV드라마 연기와 같이 카메라를 통하여 보여주는 연기에 있어서도 사회적 정서, 관객의 시대적 요구, 기술의 발달 등으로 많은 변화가 있었다. 특히 기술의 발달로 인해 영화와 TV 등 다양한 매스미디어가 등장하게 되고, 이러한 변화는 연기에 있어서도 무대연기, 즉 이전의 연극연기에서 벗어나, 보다 자연스러운 매체별 적합한 연기법을 요구하게 되었다. 그로 말미암아 연기는 단순한 사회적 변화나 스타일의 변화가 아닌 메커니즘적 변화와 맞물려 현재에 이르러서도 꾸준히 변모되며 성장하고 있다. 영화나 TV드라마 제작 환경에 있어 필요한 요소들은 영상, 편집, 배우의 카메라 연기 등이다. 이중 카메라 연기는 영화가 극이라는 것을 상기하면, 영화는 ‘배우가 맡은 역할의 행위하는 것’을 보는 것이므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따라서 카메라 연기는 영화에 포함되는 그 어느 요소보다도 중요성이 인식되며 그에 대한 연구 또한 필요하다. ‘카메라 연기’는 미디어, 즉 영화나 TV드라마를 포함하여 ‘배우의 연기를 카메라를 통해 보여주는 모든 영상 속 연기’를 의미한다. 또한 카메라가 등장하기 이전의 연극무대연기와는 다른 형식의 연기이다. 본 연구는 한국영화 초기부터 최근 ‘4차 산업혁명시대’까지, 배우의 카메라 연기가 중심이 되는 영화와 TV드라마를 포함한 첨단 영상기술 모션캡쳐와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영화 등에 이르기까지 카메라 연기의 변천 과정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그 결과 한국 카메라 연기는 우리의 특수한 정치․사회, 문화적 상황과 극장상영 조건을 바탕으로 우리 나름의 독특한 양상으로 다음과 같이 전개되었다. 우리나라의 카메라 연기는 초기 영화에서 태동하였지만, 영화 속 배우의 직접적인 연기로 시작한 것은 아니다. 외국에서 유입된 무성영화의 내용을 관객에게 전달하기 위해 해설자가 필요했는데, 그것이 바로 변사의 출현이며 카메라 연기의 시작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변사가 카메라 앞에 직접 나서서 연기하는 것은 아니지만, 소리가 없는 영화를 보면서 배우 못지않은 말과 행동으로 관객에게 설명하고 보여줌으로써 영화의 이해를 도모했기 때문에 변사의 역할은 배우가 직접 카메라 연기를 구사한 듯한 느낌을 들게 했기 때문이다. 변사의 활동은 시각적 요소와 대사를 중심으로 한 공연적 요소가 결합하여 무성으로 제작된 영화들의 표현영역을 확대시켰다. 다시 말해 무성으로 제작된 영상 매체에 변사의 연기가 더해져 영화로서의 생명력을 불어넣어주며, 예술적 가치를 드러내주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연쇄극은 연극공연 중에 영화장면을 삽입한 공연양식이다. 쉽게 말해 기존 연극의 효과에 영화라는 새로운 매체를 결합하여 연극 상황과 연결되는 장면을 극중에 상영한 것이다. 이는 최초의 매체간의 융합예술인 것이다. 연쇄극 형식은 공간과 시간적 제약이 많은 무대 위에서 표현이 어려운 정경이나 장소의 극적 장면을 촬영해 두었다가, 공연 중에 야외 장면이 필요한 대목에 이르면 조명이 꺼지면서 동시에 스크린이 내려져 연극의 내용이 영상장면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초기에는 단순히 연극의 배경을 보여주는 정도였지만, 영상장면이 극적요소를 더해감으로써 그 비중이 커져 영화적 형태로 변모하였다. 연기사적으로 연쇄극이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은 무대를 배경으로 행해졌던 배우들의 연기가 영화라는 매체와 결합하여 보다 사실적 구현이 가능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이후 배우들의 연기가 직접 포함되는 발성영화로 이어지는 전 단계에서 매우 중요한 경험이었다. 무성영화시대에 배우들의 연기가 ‘얼굴 근육의 이완적 표정’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었다면, 발성영화시대에는 ‘배우의 소리, 즉 자연스러운 대사’가 중요시 여겨졌다. 다시 말해 ‘자연스러운 표정’을 중요시 여겼던 이전의 무성영화가 시각적으로만 평가 받았다면, 이제는 소리, 즉 배우의 대사와 음성이 중요했다. 이는 배우들의 연기훈련 기술이 체계적이지 못했고, 다급한 상황에서 당시 만연했던 신파 연극 배우들의 출연과 그들의 무대 대사연기 방식을 대안적으로 사용하는 과오를 초래하였다. 우리나라는 1945년 광복을 맞으며 사회적 혼란과 이데올로기적 격동기를 겪게 되고, 이어서 1950년 한국전쟁으로 인해 사회 전반에 걸쳐 상당히 피폐해졌다. 그러나 1953년 휴전협상 이후 한국영화는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된다. 따라서 이 시기 김동원, 황정순, 조미령, 최무룡, 최은희 등 당대 최고의 영화배우들도 대거 등장하게 되는데, 비록 이들이 연극배우 출신들이지만, 각 매체들을 넘나들며 당시 연기에 있어서는 카메라 연기를 대변할 수 있을 정도로 영향력이 컸다. 해방과 한국전쟁이라는 사회적 혼란과 국난 속에서도 우리 영화인들은 고군분투하며, 영화제작의 명맥을 이어왔다. 특히 배우들은 영화와 연극을 넘나들며 혼란과 전쟁으로 말미암아 지치고 상처받은 민중을 달래고 격려하는데 큰 역할을 수행했다. 1960년대 들어 한국영화는 장족의 발전을 한다. 더구나 한국방송이 개국하고 TV드라마가 점점 확산되면서 한국영화는 도전을 받았다. 그 영향으로 한국영화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작품의 경향을 다양화하고 표현에 있어 새로운 것을 추구하였다. 한국영화의 풍요와 황금기는 곧 배우들에게도 전성기이며 활동에 활기를 불어넣는 계기였다. 1950년대에 이미 연극무대와 영화를 오가며 검증을 받은 김승호, 최무룡, 김지미 등이 대표적 배우들이었다. 이어 신영균과 60년대 청춘영화라는 새로운 형식과 함께 등장하여 열기가 급부상하게 했던 신성일, 엄앵란, 문정숙, 고은아 등이 후발주자들로 새로이 합류하면서 한국영화는 이 시기 주연급 배우들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풍성했다. TV드라마도 한국 카메라 연기 발전에 한 몫을 하였다. 1961년 한국방송(KBS)이 개국되면서 주간 연속극 열기를 시작으로, TV의 보급이 보편화 되면서 대중들은 영화와 더불어 TV드라마에도 많은 흥미를 갖게 되었다. 자연스레 배우와 그들의 연기에도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였다. 당시에는 연극배우들이 영화나 TV드라마를 넘나들며, 각 매체에 따른 연기를 구사하였다. 1960년대 TV드라마는 기술적 문제로 녹화가 아닌 생방송으로 송신하였는데, 이때 배우들의 연기는 무대세트 안에서 연기하듯 하고 카메라가 이동하면서 촬영하였다. 다시 말해 연극연기와 TV드라마 연기를 혼용한 새로운 카메라 연기를 탄생시켰다. 1990년대 영화와 한국드라마는 한류의 중심 대중매체로 자리를 잡는다. 한국영화와 드라마는 중국 시장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아시아를 중심으로 그 인기를 누리며 각광 받기 시작한다. 이렇듯 한국영화와 드라마가 비상할 수 있었던 것은 결국 질적 우수성 때문이다. 미국영화 등에 비해 가격은 저렴하면서도 연출, 시나리오, 촬영, 미술 등 전반적인 프로덕션이 질적으로 우수하고, 장르가 다양하며 아시아인들에게 친근감을 주는 주제와 소재를 다루었기 때문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열리면서 카메라 연기에 있어서도 새로운 환경으로의 적응에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 중 ‘모션캡쳐’와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기술은 카메라 연기에 새로운 방향과 도전을 제시하였다. 모션캡쳐의 연기술은 신체의 모든 움직임을 통해 내적갈등을 더욱 함축하면서도 명료하게 전달할 수 있는 표현 능력이 필수이다. 배우는 캐릭터가 취하는 대사와 행동들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내적 동기화가 필수이다. 모션캡쳐 연기술에 있어 실제 배우나 실제 소품에 대한 반응이 중요하다. 따라서 실사 배우와의 앙상블 연기가 필요하며, 환경에 대한 사실적 반응을 할 수 있는 숙련된 ‘반응 연기술’이 필수이다. VR․AR 영화는 단지 영상을 통한 가상세계를 시각적으로만 느끼게 하는 것이 아니라, 센서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연동 장비를 통해 시각과 청각을 넘어 촉각과 후각까지 느낄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다. 배우는 사용자의 몰입을 방해하는 구분 동작이 많아서는 안 되기 때문에 연극에서처럼 긴 호흡으로 완결된 한 장면을 연기해야만 한다. 기존 영화에서처럼 다양한 영상 기술을 활용해 수많은 컷을 연결하는 방식의 연출은 VR․AR 영화에 적용하기 어렵다. 4차 산업혁명시대 기술의 발전은 실사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캐릭터들의 구현은 물론 인간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현실로 만들 정도로 첨단화 되었지만, 실사 영화에서 인간의 자연스러운 감정이 실린 생동감 있는 연기는 여전히 실제 배우의 몫이므로 배우들의 연기는 필수이다. 이렇듯 시대가 변하면서 연기의 형식도 변화하기 마련인데, 현재 우리나라는 배우 연기에 관한 연구가 부족할 뿐 아니라, 급변하는 사회와 기술에 발맞춘 연기교육 시스템 구축이 미미하여 그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는 시대적 혼란과 부침 그리고 사회적 변화 속에서도 배우들의 연기는 멈추지 않고 활동함은 물론, 메커니즘 발전과 같은 시대적 변화에 발맞춰 적응하며 그때마다 새로운 카메라 연기를 모색한 과정을 고찰하였다. 따라서 이 본문을 통해 한국 카메라 연기의 변천 과정을 조망하고, 각 시대별 연기의 변천에 관한 학술적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 웹 기반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안 연구 : 중학교 2학년 음악 교과 보조용

        정주영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development of internet has greatly changed modern society. Especially the connection of internet to web and the realization of various new technologies that use multimedia accelerated development the society of information. Moreover the information exchange system of web creates a sensation in every fields of society, as it is available in various fields beyond the restriction of time and space. Under the paradigm of present education that values much of learner's wish and expectation,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web is very positive, and it opened a new ground of education on the cyber space coping with the limit of the existing face-to-fac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tudent with various experience of music by utilizing web, and to let him cultivate the ability of self-initiative learning while fulfilling what is lacking in class without help from teacher.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First, web related documents and theories related to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re reviewed. Second, the direction of this study is groped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es. Third, teaching subject which is possible for web method is selected out of middle school second grader's music textbook(2000) by Dusan publishing company. Fourth, web data activity-oriented music for teaching is searched based on the selected units and the educational effect of web. Lastly, web based teaching and learning plan available in a actual class is presented according to each subject area. This study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teaching traditional Korean music and presented the teacing plan on it, The areas of the understanding and the activity of student could be accomplished through integration and connection in class. Characteristics of the five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re as follows ; The understanding-oriented music class based on lesson of the unit, ‘folksongs of each region’, is made so that student can learn in integration to related areas by listening to real sound through web and media. And the singing-oriented music class, ‘Ulsan maiden’, presents the components and basic function of music with power point material and enables student to learn various rhythms by using midi program. The instrument-oriented music class, ‘Jang-Gu and rhythm’, offers student to listen to professional performer's play through video and audio-visual materials, and to have experience the pleasure of expression while trying to transform rhythm impromptu. The appreciation-oriented music class, ‘Korean classical opera and musical’, induces self-initiative learning in which student himself searches web sites for basic background knowledge relating to the music of appreciation, and listen to various music, and finally the composition class is introduced so that an effective learning is conducted by presenting teacher's technique of composition through screen. Web-based teaching and learning plan is a way of improving educational methods on the part of teacher. In this study, web is regarded as a means to improve the purpose and the quality of music class in order to make a more active and self-initiative environment. Web as a technology should be supported by the theory of educational technology for the web-based education to be rooted in as one of alternative ways in the education of this twenty-first century. 인터넷의 발달은 현대 사회의 모습을 크게 바꾸어 놓았다. 특히, 인터넷에 웹이 연계되고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다양한 신기술이 구현됨으로써 정보사회의 발전은 가속화되고 있다. 또한, 웹의 정보 교환 시스템은 시간과 공간이라는 제약을 넘어서 여러 부문에서 활용이 가능하므로 사회 각 분야에서 커다란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학습자의 요구와 수요를 중시하는 현 교육의 패러다임 아래서 웹의 교육적 가치는 기존의 면대 면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이버 공간에 새로운 교육의 장을 열었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인 측면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웹 기반을 활용한 음악수업으로 학생들에게 다양한 음악적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수업에서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여 교사의 도움 없이도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을 기르게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웹 관련 문헌과 웹 기반 교수ㆍ학습 방법에 관련된 이론을 살펴본다. 둘째,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본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한다. 셋째, 중학교 2학년 음악 교과과정 가운데 2000년 두산 출판사에서 발간된 중학교 음악2 교과서에서 교수용 웹 자료로 구현할 수 있는 단원을 선정한다. 넷째, 선정된 단원과 웹의 교육적 효과를 바탕으로 활동 중심의 음악과 교수용 웹 자료를 탐색한다. 다섯째, 실제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웹 기반 교수ㆍ학습 지도안을 영역별로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 음악지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음악과 교육과정의 지침에 따라 이해와 활동 영역의 학습이 연계성을 가지고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습 내용을 구체화하였다. 다섯 개의 구체적인 교수ㆍ학습 지도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각 지방의 민요’를 단원으로 한 이해 중심의 수업에서는 웹 기반과 매체를 통해 실음을 들으면서 관련 영역과 통합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고, ‘울산아가씨’를 단원으로 한 가창 중심의 수업에서는 악곡의 구성 요소와 기초 기능을 Power Point자료로 제시하고, 미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양한 장단을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장구와 장단’을 단원으로 한 기악 중심의 수업에서는 동영상과 시청각 자료를 통해 전문 연주자의 연주를 감상하고, 장단을 즉흥적으로 변형해보면서 표현의 즐거움을 체험하도록 하였다. ‘창극과 뮤지컬’을 단원으로 한 감상 중심의 수업에서는 학습자 스스로가 웹 사이트를 검색해서 감상곡과 관련된 기초적인 배경 지식을 탐색하고 다양한 악곡을 감상함으로 자기주도적 학습을 유도하였으며, 창작 수업에서는 화면을 통해 교사의 작곡 기법을 제시함으로써 효과적인 학습 전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웹 기반을 이용한 교수?학습 방안은 교사의 입장에서 교육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웹을 수업의 목적과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나의 수단으로 사용하여 보다 능동적이고 자기주도적인 수업 환경이 조성되도록 하였다. 웹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이 지금의 21세기를 위한 대안적 교육 방식의 하나로 뿌리를 내리기 위해서는 웹이라는 기술에 교육공학적인 이론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사려된다.

      • 화장품 소비자의 환경가치와 규범이 친환경 태도 및 지속가능한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주영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화장품 소비자의 지속가능한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환경가치와 규범, 친환경 태도 및 지속가능한 소비행동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화장품 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수도권에 거주하면서 화장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0~50대 여성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화장품 소비자의 환경가치가 친환경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환경보전적 가치와 사회이타적 가치가 영향을 주는 주요한 요인으로서 사회적으로 이익이 되고 환경문제에 가치를 중요시할수록 친환경 태도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화장품 소비자의 규범이 친환경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도덕적 규범과 사회적 규범이 영향을 주는 주요한 요인으로서 도덕적 의무감과 사회적 분위기나 이미지, 평가를 중시할수록 친환경 태도가 높아지고 있었다. 그러나 주변 사람들을 의식하는 주관적 규범이 높을수록 기능성 태도가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으므로 화장품 소비자의 친환경성 태도를 강화하는데 있어서는 주관적인 규범보다 도덕적, 사회적 규범이 중요한 기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화장품 소비자의 친환경 태도가 지속가능한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환경친화성 태도와 비용감수성 태도가 영향을 주는 주요한 요인으로서 화장품의 구매와 처분, 사용과정에서의 지속가능한 소비행동이 높아지고 있으므로 화장품 소비자의 친환경 태도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넷째, 화장품 소비자의 환경가치가 지속가능한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사회이타적 가치와 환경보전적 가치가 영향을 주는 주요한 요인으로서 화장품 소비자들이 사회이타적 가치와 환경보전적 가치를 지닐수록 화장품의 구매와 사용에 있어 지속가능한 소비행동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화장품 소비자의 규범이 지속가능한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도덕적 규범과 주관적 규범이 영향을 주는 주요한 요인으로서 이러한 규범이 높을수록 구매, 처분 및 사용과정에서의 지속가능한 소비행동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화장품 분야에서 환경가치와 규범, 친환경 태도 및 지속가능한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시점에 화장품 소비자의 지속가능한 소비행동을 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인을 밝히고, 지속가능한 소비행동의 활성화를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최근 들어 개인의 지속가능한 소비문화를 범사회적 차원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움직임이 확대되고, 소비자참여운동이나 프로그램, 캠페인 등으로 활발해지고 있는 추세를 감안한다면 사회적 차원에서의 지속적인 소비행동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the elements affecting beauty consumers sustainable consumption behavior, analyzing the impact relation among environmental values and norm,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and sustainable consumption behavior, and offering data helpful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osmetics industry. To accomplish these research goal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to 50s who resided in Seoul and the capital area and had the experiences of purchasing beauty.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influence of the beauty consumers environmental values on their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environment-conservative value and social altruistic value were the main factors exerting an influence, and the more beneficial they were to the society and the more important the values of environmental problems were regarded, the more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they were found to have. Second, with regard to the effect of the beauty consumers norm on their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the moral and the social norm were the major elements to affect it, and when the sense of moral duty, social atmosphere, images or assessment were emphasized more, their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became stronger. However, as the subjective norm to be conscious of people around them got stronger, their functionality attitude became weaker, so it can be concluded that for the reinforcement of the beauty consumers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the moral and the social norm were more important than the subjective norm. Third, regarding how the beauty consumers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affected their sustainable consumption behavior, their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and enduring cost attitude were the major influential factors, and the beauty consumers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was found out to be important because sustainable consumption behavior was improved in the process of purchasing, disposing of and using the beauty. Fourth, with respect to the impact of the beauty consumers environmental values on their sustainable consumption behavior, social altruistic value and environment-conservative value were the main factors with influence, and the beauty consumers with more social altruistic value and environment-conservative value showed more sustainable consumption behavior when buying and using beauty. Fifth, when it comes to the influence of the beauty consumers norm on their sustainable consumption behavior, the moral and the subjective norm were the important factors that had impact on them, and the more these kinds of norm were, the more sustainable consumption behavior appeared in the process of purchase, disposal and use. This research is meaningful that it has examined the important factors in the beauty consumers sustainable consumption behavior and suggested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vitalization of sustainable consumption behavior at the present point of time when the study on environmental values and norm,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and sustainable consumption behavior is insufficient in the area of beauty. When the current trend is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the movement to spread the culture of individual’s sustainable consumption to the whole society is expanding and becoming active into consumer-participating movements, programs, campaigns and etc., the study on sustainable consumption behavir in the level of the society needs to be carried out actively.

      • 용서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 또래수용도에 미치는 효과

        정주영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용서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공감능력과 또래수용도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G 광역시 소재 Y 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 학생 46명을 대상으로 용서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각각 23명씩이다. 연구 처치는 김광수(2008)의 용서상담 프로그램을 초등학생에게 맞게 재구성하여 회기당 40분으로 주 1회씩 총 10회기에 걸쳐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는 박성희(1997)가 번안하여 사용한 공감능력 검사도구와 권정안(2001)의 공감반응 수준 평가지, 이은주(1999)의 또래 평정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각 집단에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처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실시한 공감능력 검사와 또래수용도 검사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비교하였고, 통계적 분석 결과에서 드러나지 않은 활동과정을 연구에 포함하고자 용서상담 프로그램 실시 기간에 피실험자가 작성한 활동지 및 회기참여 일지와 실험자의 관찰내용, 프로그램 평가 설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용서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인지적․정서적․의사소통적 공감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용서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또래수용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셋째,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동안 작성한 활동지 및 회기별 참여 일지와 실험자의 관찰내용, 프로그램 평가설문 결과를 분석한 결과, 자신과 상대방, 그리고 상대방이 처한 상황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지각하며, 더 나아가서는 상대방을 새로운 눈으로 바라보면서 상대방의 입장을 느껴보고 그에 대해 공감하는 능력과 나와 다른 친구를 이해하고 자신과 다른 점을 부정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인정하는 능력이 길러졌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용서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인지적․정서적․의사소통적 공감능력과 또래수용도를 향상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는 초등학교에서 용서상담 프로그램의 적용이 또래들 사이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주요어: 용서, 공감, 또래수용

      • 국방개혁2020과 군 리더십 발전방안 : 군 인력구조 변화를 중심으로

        정주영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Korean miltary is currently in need of reform. The Cheonan crisis , however unfortunate, is a crucial chance for a much needed military reform. There is an ever increasing number of executives who operate equipment for modern combat. In fact, according to the 2020 military reform, there will be a increase of evecutives and civilian employees in the Korean military. Therefore, it would be quite important to explore and improve upon the leadership required for the increasing number of military personnel. Change is coming about slowly but surely. there are more and more enilsted soldiers changing career paths into non-connissioned officer positions, and there is a growing nunber of women in the military. If and executive in a leading position cannot adapt to the contemporary social changes listed above, it is likely he won't be able to avoid being let-off. Let us therefore look inte what is required of a leading executive in the military and what areas need improvement to satisfy the military reform the Minisry of National Defense is currently promoting. This thesis deals with leadership's classic theory, overview of the latest theories, military leadership's characteristics and the environmental chang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direction. With great vivid detai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compared, contrasted and focused with military leadership and exchangeable leadership. Next is an overview of the military reform plan 2020. This reformation includes update of the military structure, expansion of national defense's civilian based operation, settlement of an advanced barrack's culture, and finally incensement of expertise due to the scientific technologic advancement. military reform plan 2020 requires leadership to be exchangeable, military and transformational. This comes down to creative situational leadership, well communicative leadership and well mannered person to person leadership. In order to improve these leadership's qualities training must be kept up and needed. In our modern knowledge based and communicative societ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makes the followers feel concentrated, well motivated and it leave them satisfied at the end of the day. The placemen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verall, put group in positive position which could turn into endless cycle of positive energy for the group. Therefore in order to be a great leader, commutations between followers and development and research are a must. However, in military, past experience is the main focus. This includes total control, obedience, loyalty and secure interest. This could lead to fall of competitiveness to another group or other rivals. In conclusion, I hope our military organization to be competitive and have open mind to new ideas and change. 한국군은 현재 국방개혁을 필요로 하고 있다. 천안함 사태가 벌어진 계기도 국방개혁과 무관하지 않다. 그래서 그 동안 습득한 지식을 바탕으로 국방개혁 2020과 연계하여 논문을 작성해 보고자 한다. 현대전쟁에 있어 장비를 다루는 간부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고 국방개혁2020에 따르면 앞으로 직업군인과 군무원의 비율이 점차 증가할 것이기에 이에 적합한 리더십이 무엇인지 확인해 보고 이러한 리더십을 향상할 수 있는 방안이 있다면 좋을 것을 것이다. 변화는 조금씩 이루어 지고 있다. 현재 군 부대에서는 유급지원병이 들어오고 있고, 편제상 직책이 부사관으로 바뀌고 있으며, 여성의 비율이 조금씩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부대를 이끌어 가는 지휘관 또한 마찬가지일 것이다. 시대적 사회적 변화를 능동적으로 수용하지 못하고 올바른 리더십을 발휘하지 못하면 도태될 것은 자명한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을 직시하고 변화하지 않으면 생존할 수 없다. 국방부에서 제도적으로까지 추진하고 있는 국방개혁이 되기 위해서 먼저 지휘관의 리더십은 어떻게 변화해야 하며 이를 향상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리더십 고전이론과 최신이론을 간략히 소개하고, 군 리더십의 특성과 환경변화에 따라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변혁적 리더십을 고찰하고,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 군 리더십의 특성을 비교 하였다. 다음으로 국방개혁2020의 개요에 대해 소개하고 추진방향인 군 구조의 첨단화, 국방운영의 문민기반 확대, 선진 병영문화 정착을 제시하고, 국방개혁2020에 따른 인력구조변화 양상에 대해 과학기술과 전문인력의 증대와 전문성ㆍ직업성 강화 측면에서 분석 하였다. 다음으로 국방개혁이 요구하는 군 리더십이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이미 제시한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 군 리더십의 특성비교를 통해 확인하고 상황에 적합한 창조적 리더십, 효과적인 소통의 군 리더십, 선진 병영문화 정착을 위한 관심과 배려의 군 리더십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향상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훈련이 필요성을 제기 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식정보화시대에 적합한 리더십은 변혁적 리더십이 효과적임을 확인하고, 조직의 리더가 변혁적 리더로 훈련되어야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조직의 리더가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할 때 부하들의 직무만족, 직무몰입 등이 향상될 것이며 이직률을 감소시켜 조직 유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그러므로 훌륭한 지휘관이 되기 위해서는 부하에 대한 교육과 의사소통을 통한 인간 존엄성 구현을 위해 항상 연구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본다. 그러나 군 조직이 과거의 경험에만 고착되어 부하들을 통제하고 복종시키며 충성심 확보에만 관심을 갖고, 조직의 리더 스스로의 리더십 훈련과 태도 변화에 소홀히 한다면 군 조직은 다른 조직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지게 될 것이다. 앞으로 군이 시대의 흐름을 수용하고, 과감한 변화를 추진해 나가는 강군으로 거듭나기를 기원한다.

      • 관측기를 이용한 유도전동기 극 저속 제어에 관한 연구

        정주영 세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effects capabe of being obtained the electric braking technology through the miniaturized traction system using the 1C1M-mode. For the present paper, a miniature traction system using a permanent-magnet synchronous motor (PMSM) was used to design and fabricate a device with inertia load. A motor was controlled using an individual 1C1M method in an ultra-low speed region to induce electric braking of an electric train to stoppage. A resolver interface circuit was designed for control of a motor in an ultra-low speed region in the miniature traction system used for the experiment, and a speed observer was designed to estimate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rotor for an accurate measurement of speed in an ultra-low speed range. An AC grid-connected converter was used to absorb regenerated power and maintain a constant voltage. As a controller of a power converter, DSP microcontroller developed exclusively for control of a motor was used, and an integrated power converter was developed to control both a converter and an inverter with a single controller. Through repeated experiment on the miniature model, the present study was able to identify what benefits could be gained from the application of an electric braking technology. 요약 본 논문에서는 1C1M방식을 적용한 축소모형 견인시스템에 대한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전기제동기술의 적용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을 위해 영구자석형 동기전동기를 사용한 축소모형 견인시스템을 관성부하를 갖는 장치로 설계 제작하여 구축하였고, 전동차의 정차까지 전기제동을 위한 극 저속 운전에서 개별 제어법인 1C1M 방식을 적용하여 전동기를 제어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축소모형 견인시스템의 극 저속 운전에서 전동기 제어를 위해 레졸바 인터페이스 회로를 설계하고, 검출된 회전자의 위치를 추정하는 속도관측기를 설계하여 극 저속에서 정밀한 속도를 추정하였다. 또한 회생전력을 흡수하고 정전압을 유지하기 위해 교류계통 연계형 컨버터를 사용하였다. 전력변환기를 구동하는 제어기는 전동기 제어전용으로 개발되어진 DSP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사용하였으며, 일체형의 전력변환기를 개발하여 1개의 제어기로 컨버터 및 인버터를 제어하였다. 축소모형에 대한 반복적인 실험으로 전기제동기술의 적용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제시하였다.

      • 식민지시기 이혼소송의 법 적용 실태 : 고등법원 판례를 중심으로

        정주영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식민지시기에 조선민사령의 제정으로 협의이혼과 재판상 이혼이라는 제도가 조선에 정착되었다. 조선민사령 제정과 함께 1920년, 30년대에 전통과 근대가 서로 경합하는 속에서 이혼의 증가라는 사회적인 문제가 야기되었다. 이러한 식민지시기의 이혼에 대해 이혼소송의 실제 판례를 중심으로 일본은 어떠한 입장에서 어떤 법을 적용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조선민사령은 ‘한일병합’ 후 조선총독부가 만든 법령으로 당시 일본 민법에 바탕을 두고 있다. 1912년 3월 공포 · 시행된 조선민사령의 제11조에는 ‘조선인의 능력, 친족 및 상속에 관한 법률은 관습에 의한다’라고 규정되었다. 그러나 조선총독부는 1920년대에 들어서면서 조선의 친족 · 상속 문제에 관습법 대신 일본 민법을 적용하기 시작했다. 이혼에 대해서도 조선민사령 제11조에 의해 관습법의 적용을 받아야 했지만, 일본은 실제 이혼소송관련 판결에서 상당수 판결에 관습법 대신 일본 민법을 적용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1922년 조선민사령 2차 개정을 통해 이혼관련 법 규정 모든 면에 일본 민법이 적용되었다. 다시 말해 일본은 법원의 판례를, 통해 일본 민법의 내용을 조선 관습의 외피를 씌워 판결한 후 다시 최종적으로 일본 민법을 직접 적용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 조선의 관습은 일본이 유도하는 방향으로 조절되고 통제되며 만들어졌다. 일본의 이러한 태도는 고등법원 판례에서도 잘 드러나고 있다. 이혼 관련 판례들을 통해 일본이 조선에 대해 어떠한 법 적용 태도를 취하였는지 알 수 있다. 1910년대에 남편의 학대로 인해 부인이 제기한 이혼소송에 대해서, 법원이 부인이 제기한 이유를 인정하여 이혼 판결을 내린 경우가 있다. 그러나 관습법 상 이것은 인정될 수 없었다. 조선민사령 제정 시 이혼에 대한 법 규정이 따로 마련되지 않았고, 민사령 제11조를 통해 조선의 관습에 따르게 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이혼 문제에 대해서 조선의 관습에 따라 판결을 내려야 하지만, 일본은 이러한 방침과는 달리 일본민법에 의해 판결을 내리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조선민사령 개정 후에는 일본 민법의 적용을 받게 되어 일본 민법에 의해 판결을 내려야 하지만, 축첩문제에서는 일본 민법을 적용하지 않는 이중적인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혼소송을 제기하는 측이 여성이 남성보다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조선시대까지는 이혼이 남성이나 국가에 의해서만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혼의 제도적 허용으로 인해 여성에게도 이혼청구권이 주어지게 되고, 여성이 이혼청구권을 활용함으로 식민지시기에 이혼의 증가라는 결과가 초래된 것이다. 이것은 이혼소송의 경우 여성의 이혼소송 건수가 남성의 이혼소송 건수보다 많고,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이렇게 조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일본이 통치의 수월성을 위해서 조선민사령을 제정한 것이지만, 여성의 근대적 지위향상에 큰 역할을 한 것은 사실이다. Agreement and judgment divorce systems were established by Choseon Civil General Act in colony era. Herewith, social problem like divorce rate was increased in 1920s, 30s with struggle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s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based on the real precedents how Japan manage and deal with divorce in colony era. Choseon Civil General Act was enacted by the Choseon government-general on the basis of the Japanese Civil Law on March 1912. In the provision of article 11, it is prescribed in the rules of the association that the law in relation to Korean people’ capability, relatives and inheritance depend on Korean custom. However, the Choseon government-general started to apply Japanese Civil Law to Korean relatives and inheritance problem instead of Korean custom. Therefore, in case of divorce suits, Japan made almost all judicial decisions based on not Korean custom but Japanese Civil Law. Furthermore, Japanese Civil Law had been applied to all aspect of Korean divorce suits by the second revision of Choseon Civil General Act in 1922. It means that Japanese Civil Law was trickily used by the crafty application of real precedents. In other words, Korean custom was perfectly controlled and rebuilt by the Choseon government-general. It was found and checked in a lot of precedent in high court of justice that how the Choseon government-general applied law to Korean people. For instance, a high court judge gave divorce decision to wife’s lawsuit due to abuse of husband in 1910’s. Nonetheless, this could not accept in terms of Korean custom. As it was already mentioned above, there were no specific clauses for divorce in Choseon Civil General Act. Therefore, a divorce lawsuit had to be followed by Korean custom on the ground of article 11 in Choseon Civil General Act.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Choseon government-general made a divorce judgment by not Korean custom but Japan Civil Law. On the contrary, they did not make a judicial decision for concubinage on the basis of Japan Civil Law after the second revision of Choseon Civil General Act in 1922. Likewise, the Choseon government-general had hypocritical attitude for law application of the divorce lawsuit. And, it was found that women tended to institute a lawsuit more than men in colony era. It was because that divorce was made by men or nation former times. However, women started to get a right for divorce, and they often used in colony era. As a result, the number of divorce lawsuit for women was more than that for men, and gradually increased. In conclusion, Choseon Civil General Act was made on purpose to easily control Korean people. But it was found that it made a huge contribution to improvement of social status for Korean women.

      • 대구지역 일부 중학생의 체중변화 요구도에 따른 생활습관과 식습관 조사

        정주영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구지역 중학생 중 정상체중군에 해당하는 남학생 168명, 여학생 163명을 대상으로 본인의 체중 인지와 체중변화 요구도 및 생활습관과 식습관에 관하여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인의 체중에 대한 인지는 정상체중군의 42.4%가 정상체중임에도 본인이 정상이 아니라고 인지하고 있었으며, 체중변화 요구에서도 남학생 34.2%, 여학생 77.9%가 체중감소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식습관에서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체중감소를 희망하는 학생이 많음에도 생활습관 중 운동을 전혀 하지 않는 비율이 남학생이 27.4%, 여학생이 63.8%나 되어 학생들의 신체활동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식습관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에서는 남 · 여학생 모두 매우 좋다, 좋다, 보통이다 이상이 72.2%로 나타나 긍정적인 평가를 보였다. 음료 섭취 조사에서는 여학생의 체중증가희망군이 체중감소희망군과 체중유지희망군보다 선호도도 높고 자주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 선호도 조사에서는 전체 학생 모두에게서 어육류군의 고기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1회 섭취량 또한 1회 섭취 기준량인 40g의 2배 정도를 섭취하여 다른 식품군의 1회 섭취 기준량보다 많은 양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정상체중군에 속하는 학생들은 현재보다 체중감소를 희망하면서도 올바르지 않은 식습관과 부족한 신체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건강한 체형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며, 정확한 인식을 통해 올바른 생활습관과 식생활의 실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based on the survey aimed to the perception of weight, needs of weight change, lifestyle and dietary habit for 168 male and 163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of a normal weight group in Daegu. The survey shows 42.4% of students perceived that their weight was not normal, although they were in the group. Also 34.2% of male students and 77.9% of female students hoped to lose weigh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ir dietary habit. This research indicated the lack of physical activities of students since 27.4% of male and 63.8% of female students did not exercise at all according to their lifestyle, even though most of them wanted to lose weight. Most of students answered in the affirmative on the self dietary habit evaluation, which was over 72.2% of them saying their eating habit was very good, good or average. Beverage intake research presented that a group of female students who wanted to gain weight liked beverage more and drank more often compared to groups of female students who wanted to lose weight and who wanted to keep the weight. In the food preference, meat preference rate was the highest among all the students and the amount of meat intake per meal was almost double of a standard amount, which was around 80g.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students in the normal weight group desired losing weight, however they maintained incorrect diet and insufficient physical activities. Hence it is necessary for them to change their perception to a healthy body type and to practice the right lifestyle and dietary hab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