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공기관의 클라우드 기반 ERP 시스템 전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강희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Transit to Cloud-based ERP System in Public Institutions KANG, HEE-JIN Department of IT Policy and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In the aftermath of the COVID-19 pandemic, our society continues to witness a surge in remote activities, propelling us into an era of accelerated digital transformation. In 2021,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nnounced the Administrative and Public Institutions' Internet-based Resource Sharing (Cloud) Transition and Integration Plan, underscoring the significance of transitioning to private cloud infrastructure. The plan emphasized the need for public institutions to embrace the digital age by promoting cloud adoption in everyday activities. Consequently, public institutions are aiming to shift from the traditional on-premise model of Enterprise Resource Planning(ERP) systems to cloud-based ERP systems that offer diverse services. Despite proactive efforts to effect this transition, tangible outcomes are yet to manifest. This paper seek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 to transition from conventional ERP systems in public institutions to cloud-based ERP systems utilizing private clouds. Furthermore, the paper aims to propose effective strategies for facilitating and optimizing this transition process. 공공기관의 클라우드 기반 ERP 시스템 전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강희진 IT정책경영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코로나19 이후 우리 사회는 계속해서 비대면 활동이 증가하면서 디지털 전환 시대로 가속화되고 있다. 2021년 행정안전부는 행정·공공기관 정보 자원 인터넷 기반 자원공유(클라우드) 전환·통합 추진계획을 발표하면서 민간 클라우드로의 전환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일상생활에서도 디지털 전환 시대에 맞춰 클라우드 전환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공공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사적 자원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이하 ERP) 시스템은 더이상 기관 내에서 구축하고 사용하는 형태인 온프레미스(On-premise)가 아닌, 다양한 서비스로 제공하는 클라 우드 형태의 ERP 시스템으로 전환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 만, 이러한 적극적인 전환 시도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두드러진 성과가 나타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공공기관의 기존 ERP 시스템에서 민간 클라우드를 활용한 클라우드 기반 ERP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고 효과적으로 전환하는 방안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 차동차이증폭기를 이용한 파라메터 측정 유닛(PMU) 회로 설계에 관한 연구

        강희진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DDA(Differential Difference Amplifier)를 이용하여 안정도가 높고 오차가 적은 DC 파라메터 측정 유닛을 설계 한다. 기존의 DC 파라메터 측정 유닛에서는 전압 측정시 부궤환 루프상에 연산증폭기로 구성된 버퍼가 연결되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DC 파라메터 측정 유닛의 전체적인 안정도를 훼손할 수 있다. 또한 전류 측정시 부궤환 루프상에 여러 개의 연산증폭기와 저항으로 구성된 계측용 증폭기(IA : Instrument Amplifier)가 연결되는데, 이러한 여러 개의 증폭기 및 소자들 때문에 오프셋이나 부정합으로부터 오차가 야기될 수 있고 따라서 정확한 신호값의 측정이 불가할 수 있다. 제안하는 DC 파라메터 측정 유닛 회로는 이러한 부궤환 루프상에 연결되는 부가적인 소자들을 없애고 스위치의 동작만으로 신호의 인가 및 측정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기존의 여러 개의 소자들로 구성되던 계측용 증폭기를 단일 DDA 로 구성함으로서 여러개의 소자들로부터 야기되던 오차의 가능성을 대폭 개선하였으며 DDA 를 rail-to-rail 구조로 설계하여 전범위의 입력 신호의 받을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해당 회로는 TSMC CMOS 0.18um 공정을 사용하여 구현하며, 최대 전압 인가 및 측정 범위는 -0.78V ~ 0.78V 이다. 또한 최대 전류 인가 및 측정 범위는 ±11mA 이다.

      • 『이솝 우화』의 인성교육적 의의

        강희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이솝 우화』에 나타난 인성교육적 의의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성과 인성교육의 의미를 고찰하였고, 인성교육의 요소를 재구성하였으며, 『이솝 우화』의 특징과 교훈 분석을 바탕으로 『이솝 우화』의 인성교육적 의의와 한계를 도출하였다. 인성은 사람됨, 인간의 성품 등 바람직한 개인이 갖추어야 하는 자질로 설명되었으나 사회적, 시대적 흐름의 변화에 따라 인성과 인성교육은 개인에서 사회구성원으로서 삶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자질을 길러주는 방향으로 정의되는 추세이다. 고대 그리스 시대의 노예였던 이솝(Aesop)에 의해 쓰인 『이솝 우화』는 동물, 식물, 사물 등 의인화된 등장인물을 통해 교훈을 전달하는 짧고 재미있는 이야기로서 현실세계를 있는 그대로 그려내는 특징을 지닌다. 예로부터 도덕교육의 교재로 사용되어왔지만 교훈분석 결과 『이솝 우화』는 도덕성뿐만이 아니라 인간이라면 실생활에서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이야기로서 그에 따른 다양한 교훈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솝 우화』에 나타난 인성교육적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인성교육이 자기이해와 함께 타인과 더불어 살아감에 있어 요구되는 도덕성을 근간으로 상황에 맞게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것임을 고려하였을 때 『이솝 우화』는 자신과 타인을 이해할 수 있게 하고, 현실에 근거한 삶의 지혜와 판단력을 길러주며, 더불어 사는 삶의 가치를 일깨울 뿐만 아니라 사고력 교육을 위한 교재로 활용가능하다는 점에서 인성교육적 의의를 가진다. 이러한 교육적 의의에도 불구하고 『이솝 우화』가 인성교육적으로 지니는 한계는 관계적 측면에서 요구되는 대화, 의사소통능력, 공감을 교육하는데 불충분하고, 독자에 따라 『이솝 우화』를 본 뜻과 달리 왜곡되게 해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인간의 변화 가능성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기존의 『이솝 우화』는 주로 아동을 위한 도덕교육 교재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이솝 우화』의 특징을 분석하고 교훈을 고찰한 결과, 『이솝 우화』는 선과 악이 공존하는 세상에서 마냥 도덕적이며 착하게 행동할 것이 아니라, 어떻게 판단하고 행동하는 것이 지혜로운지에 대한 교훈을 주는 이야기로 나타났다.

      • 슬링운동과 분절 안정화 운동이 요추추간판탈출증 수술환자의 통증과 국소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강희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요추추간판탈출증 수술환자를 대상으로 슬링운동과 분절안정화운동을 적용하여 국소근육 활성도와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에 있다. 이 연구의 피험자는 추간판 절제술(discectomy)을 받은 환자 24명중 슬링운동군 12명(30.2±4.6세) 및 분절안정화운동군 12명(31.0±4.2세)으로 하였다. 운동처치는 수술 후 3주부터 11주까지 8주 동안 진행되었다. 사전·사후 검사는 3회 측정하였고 측정시기는 다음과 같다 : 운동전, 운동 후 4주, 운동 후 8주. 통증은 시각상사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복횡근과 다열근은 초음파를 사용하여 두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 연구의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횡근의 활성도는 기간과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상호작용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열근의 활성도는 기간, 집단, 상호작용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각상사척도(VAS)는 기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집단과 상호작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요추추간판 절제술 후 환자의 국소근육 재활 운동 프로그램은 국소근육회복과 통증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ve efficacy of sling exercise and segmental stabilizing exercise on the pain and activation of deep muscles for patients who underwent lumbar discectomy. The subject were 24 patients with lumbar disectomy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for the study and they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one is a sling exercise group of 12(30.2±4.6) and the other is a segmental stabilizing exercise group of 12(31.0±4.2). The exercise program was applied in the third week of recovery and continued for the next 8 weeks after lumbar discectomy. The outcome were measured three times : before therapeutic exercise, after four weeks and after eight weeks. The degree of pain was determined by or based on a visual analog scale and changes in muscle thickness of the transversus abdominis (TrA) and lumbar multifidus (Mf). These muscles were measured using real-time ultrasound imag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rA activation chang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both period and test group,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 and the period was observed. Second, the Mf activation in the group, the period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m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ird, VAS in the perio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VAS in the group and interaction between them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s applied to local muscles (TrA and Mf) was effective for pain relief and activation of local muscle for patients after lumbar discectomy.

      • 자원봉사자의 감성지능이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 매개효과 중심으로

        강희진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자원봉사자의 감성지능이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15년 현재 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충청북도 중부권역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650부를 배포하였으며, 이 가운데 600부를 회수하여 최종 540부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감성지능의 측정모형은 자기감성이해, 타인감성이해, 감성활용, 감성조절을 구성요소로 하였고,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대한 측정모형은 역할가치부여, 사회적 인정, 사회적 접촉, 건강 증진을 구성요소로 설계하였다. 또한, 심리적 안녕감은 자기수용, 삶의 목적,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통제, 개인성장에 대한 구성요소를 설계하였고, 자기효능감은 과제난이도 선호,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사회적 자기효능감으로 구성요소를 설정하였다. 자료분석은 요인분석,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변수들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Alpha값을 사용하였다. 또한 차이검증과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과 3단계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1은 자원봉사자의 감성지능이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감성지능의 모든 구성요소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의 역할가치에 영향을 미쳐 가설이 채택되었고, 감성지능의 구성요소가 사회적 접촉과 사회적 인정, 건강 증진에 대해서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가설 1은 지지 또는 부분 지지되었다 둘째, 가설 2는 자원봉사자의 감성지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감성지능의 구성요소가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요소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2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셋째, 가설 3은 자원봉사자의 감성지능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감성지능의 모든 구성요소는 자기조절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서 가설이 채택 되었으며, 또한, 감성지능의 구성요소가 자기효능감 구성요소 과제난이도 선호, 자신감,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따라서 가설 3은 지지 또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넷째, 가설 4는 자원봉사자의 자기효능감이 봉사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자기효능감 구성요소 중 자신감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사회적 자기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자기조절 효능감)는 자원봉사활동 만족도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4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다섯째, 가설 5는 자원봉사자의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자기효능감의 모든 구성요소가 삶의 목적과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가설이 채택 되었으며, 자기효능감의 구성요소가 자기수용, 환경통제력, 긍정적 대인관계, 개인적 성장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5는 지지 또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여섯째. 자기효능감은 감성지능과 자원봉사활동 만족도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곱째. 자기효능감은 감성지능과 심리적 안녕감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한 실천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자의 감성지능은 봉사활동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원봉사활동은 자신의 신념에 따라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행동이므로 개인의 감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자원봉사자들의 봉사활동 만족도는 매년 낮아지고 있다(자원봉사활동 실태조사 및 활성화방안연구, 주성수 외, 2014). 지속적으로 봉사활동에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봉사활동 만족도를 높이는 감성계발이 요구된다. 또한 흥미를 잃어가는 자원봉사자에게 즐기면서 봉사활동을 하는 볼런테인먼트(Voluntainment)가 필요하다. 즉 다양한 사례를 통해 즐겁고 재미있게 봉사 활동을 함으로써 자원봉사자의 감성을 높인다면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더욱 긍정적인 시너지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자원봉사자의 감성지능이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감성지능의 구성요소인 감성활용(개인의 감성정보를 성과와 건설적인 활동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은 심리적 안녕감의 모든 구성요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원봉사자가 희망하는 분야에서 봉사업무를 수행하도록 하여 자원봉사자의 감성활용을 높인다면 심리적 안녕감이 향상될 것이며 다시 봉사활동에 참여하는 선순환의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자원봉사자의 자기효능감은 봉사활동 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자원봉사자의 자기효능감은 감성지능과 자원봉사활동 만족도 및 심리적 안녕감 관계에서 긍정적인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원봉사자의 자기효능감이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에 자원봉사자에게 봉사활동 업무 수행에 있어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자신의 활동에 대한 자신감과 성취감, 확신감으로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넷째, 자원봉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40, 50대가 자원봉사활동 참여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우리나라 전체 자원봉사 참여현황과 일치하였다(행정치부, 2014). 또한, 현재 노년층 참여의 정체를 보이고 있는데 이런 흐름으로 본다면 지역사회에서도 노년층 참여 감소를 겪게 될 것으로 예견 된다. 결과적으로 자원봉사자의 중도 탈락자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향후 자원봉사자들의 노년기에도 봉사활동에 참여시키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와 자원봉사센터 등에서의 40, 50대 자원봉사자의 지속적인 관리를 통하여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earn the influence of volunteer’s emotional quotient on volunteer’s voluntary work satisfaction leve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rom the studied influence, we analyzed the mediator effect on self-efficac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urrent voluntary workers in the center of North Chungcheong area in year 2015.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elected study subjects. Total of 650 survey papers were distributed and 600 surveys were recollected. As a result, th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540 of final survey papers. As measuring model for emotional quotient, it was constituted of self-emotion comprehension, emotional comprehension for others, emotion application, and emotion control. For measuring voluntary work satisfaction level, it was established through examples of social recognition, role value attachment, social interaction, and health enhancement. Furthermore, psychological wellbeing was constituted through self-acceptance, life goal, positive personal relations, autonomy, environmental control, and individual development. Self-efficacy was established through work level preference, confidence, self control efficacy, and social self-efficacy. For data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were implemented. For reliability examination on measuring variable, Cronbach’s Alpha value was used. In addition, both difference examination and correlational analysis were implemented. For hypothesis examin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ree level mediator effect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for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r hypothesis 1, the influence of volunteer’s emotional quotient on voluntary work satisfaction level was analyzed. For emotional quotient’s every element had influence on voluntary work satisfaction level, the hypothesis was adopted. Also, emotional quotient’s element had partial influence on social interaction, social recognition, and health enhancement. Hence, in overall, hypothesis 1 was either wholly or partially supported. Second, for hypothesis 2, influence of voluntary worker’s emotional quotient on psychological wellbeing was analyzed. It was found that emotional quotient’s element had partial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element. Emotion application ability, element of emotional quotient, especially showed to have influence on all of six psychological wellbeing elements. Hence, hypothesis 2 was partially supported. Third, for hypothesis 3, influence of voluntary worker’s emotional quotient on self-efficacy was conducted. For all of emotional quotient elements had influence on self-control efficacy, the hypothesis was adopted. Thus, it was analyzed that emotional quotient element had partial influence on self-efficacy element. Hence, hypothesis 3 was either wholly or partially supported. Fourth, for hypothesis 4, influence of voluntary worker’s self-efficacy on volunteer satisfaction level was analyzed. Among self-efficacy elements, all elements (social self-efficacy, work level preference, and self control efficacy) excluding confidence showed to have influence on voluntary work satisfaction level element. Hence, hypothesis 4 was partially supported. Fifth, for hypothesis 5, influence of voluntary worker’s self efficacy on psychological wellbeing was analyzed. For every self-efficacy element had influence on life goal and autonomy, the hypothesis was adopted. Furthermore, self-efficacy element had partial influence on self-acceptance, environment control ability, positive personal relation, and individual development. Hence, hypothesis 5 was either wholly or partially supported. Sixth, self-efficacy was analyzed to have mediator role between emotional quotient and voluntary work satisfaction level. Seventh, self-efficacy was examined to have mediator role between emotional quoti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uggestions based on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analyzed that voluntary worker’s emotional quotient has positive influence on volunteer satisfaction level. Such result illustrated that in order to both increase voluntary work satisfaction level and continuously participate in voluntary work, emotional development is also significant. In other words, if attractive voluntary works focusing on voluntainment were provided to those workers finding volunteering less attractive, it will be possible to enhance their emotional quotient level. This will not only bring various positive examples but also will have positive synergy effect in voluntary work satisfaction level. Second, voluntary worker’s emotional quotient showed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Emotional application ability, sub factor of emotional quotient, especially showed to have positive influence in every psychological wellbeing element. This implies that if voluntary worker is assigned to preferred department and supported to forward work on one’s interest, it will increase both satisfaction leve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a result, virtuous cycle of them participating in voluntary work is expected. Third, voluntary worker’s self-efficacy showed to play positive mediator role between emotional quotient and voluntary work satisfaction level. This illustrated that worker’s self-efficacy is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satisfaction leve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carrying out voluntary work, it is necessary for the workers to have adequate power to have confidence and strong sense of accomplishment. This will eventually lead them to increase certain self-efficacy. Fourth, it is known that the majority of voluntary workers in Korea are in age range of 40s and 50s. And this study has also shown the same result in voluntary worker’s age range. Currently, our society shows stagnant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If such flow is continued, it is implied that there will be decrease in elderly participation in community society.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strong belief in one’s voluntary work having positive influence in community society leads to positive satisfaction level in voluntary work. To prevent halfway dropouts and encourage workers to continue on volunteering even when they become elderly, consistent and special management for 40s and 50s is necessary on community service center level.

      • 클로렐라 가루를 첨가한 초코 쿠키의 품질 특성 연구

        강희진 용인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sensory acceptance and the correlations of the dough and the cookie of the cookie made with 0%, 0.5%, 1%, 1.5% and 2% of chlorella powder added to the flour. The acidity of the dough was pH 8.09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groups with 1.5% and 2.0% of chlorella added showed pH of pH 7.92 and pH 7.88,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5). The moisture level of the cookie increased slightly (P<0.05) with the increase of the chlorella level. The moisture level of the control group was 4.3%, and the 1.5% and 2% group showed 5.67% of moisture (p<0.05), indicating high moisture capture of the chlorella powder. The ash level of the cookie was 2% in 1%, 1.5% and 2% group, which is a significantly higher number as the control group and 0.5% group showed 1% of ash level (P<0.05). The protein level of the cookie showed 1.02% in the control group, and as the amount of chlorella increased, the protein level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2% group showing the highest level of 1.85% (P<0.05). The fat level of the experiment groups were between 12.5% and 12.93%, which is a significantly higher number than the 11.06% of the control group (P<0.05). The carbohydrate level of the control group was 82.89%, the highest level, and as the level of chlorella added increased the carbohydrate level decreased with 2% group showing 77.98% of carbohydrates (P<0.05). The control group contained 1.86mg of chlorophyl per 100g, and it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chlorella powder was increased, with 0.5% added group showing 29.81mg and 2% added group showing 90.19mg (P<0.05). The spread factor of the cookie was lowest in the control group showing 5.73 (P<0.05), and as more chlorella powder added the spread factor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2% added group showing 6.15 spread factor (P<0.05). The hardness of the texture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chlorella powder was increased (P<0.05),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the highest figure of 2761.2g, and the 2% added showed 2385.1g (P<0.05). The adhesiveness, cohesiveness, gumminess, springiness, chewiness and fracturability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different amounts of chlorella powder added. The L factor, the lightness of the color, decreased with more chlorella powder added (P<0.05), with the control group showing the highest figure of 23.74, and 1.5% and 2% group showing 22.15 and 22.13 each (P<0.05). The a value of the control group was 1.49, with the cookie showing a slight red, and all experiment groups showed a negative a value, of green color. The control group showed the highest b value which shows yellowness, and as the chlorella powder increased the value decreased, with 1.5% group and 2% group showing 1.23 and 1.24 b values each. In the analytical sensory acceptance test, the changes in cookie color, surface cracking, chlorella flavor, chlorella taste increased as the added amount of chlorella powder increased, whereas the sweet flavor and hardness decreased in the same conditions. The chewiness and and the cohesiveness was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0.5% added groups, but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chlorella increased, with 2% group showing 9.81 and 10.87 each. In the customer survey, the preference on the color was highest for the control group with 6.5 points, and the 2% added group followed with 5.86 (P<0.05). The control group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the aroma with 6.49 points (P<0.05), and the 2%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scoring 6.44. The savory flavour was highest for 1% added group, scoring 7.13. The taste scores was highest for 2% added group scoring 6.67, which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control group. In the hardness test, customers assessed the groups being slightly better from 6.29 to 6.63,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 groups. In the correlation test between the sensory evaluation an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the color in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density, chlorophyl, and a value of the cookie. The fracturability of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some correlation with the moisture level, ash content and the hardness (P<0.05), and a very high correlation with the acidity of the dough (P<0.001).The chlorella scent of the cookie showed some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moisture level and ash content of the cookie (P<0.05), and high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acidity of the dough, fat level of the cookie, and the size of the cookie (P<0.01). The sweet taste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density, chlorophyl, and the a value (P<0.05). The chlorella taste of the evalua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racturability of the cookie (P<0.05),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moisture level, and a highly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cidity, ash content, fat level, and the size of the cookie (P<0.01). The results of hardness evalua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moisture level, ash content and hardness of the cookie (P<0.05), and showed high correlations with the acidity of the dough, fat level of the cookie and the size of the cookie (P<0.01). 본 연구에서는 클로렐라 가루를 밀가루 중량기준 0%, 0.5%, 1%, 1.5% 및 2%의 비율로 첨가한 쿠키를 제조하여 반죽과 쿠키에 대한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과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반죽의 pH는 대조군에서 pH 8.09로 측정되었으며, 클로렐라 첨가 함량이 높은 시료군인 1.5% 및 2% 첨가군은 각각 pH 7.92와 pH 7.88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pH를 보였다(P<0.05). 대조군 반죽의 수분함량은 17%로 모든 클로렐라 첨가 쿠키 시료의 수분함량인 16%보다 유의적으로 약간 높게 평가 되었다(P<0.05). 반죽의 회분은 클로렐라 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높아져 클로렐라 2% 첨가 시료군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회분함량인 2%를 나타내었다(P<0.05). 쿠키의 수분 함량은 클로렐라 함량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다소 증가하여(P<0.05), 대조군의 수분함량은 4.3%이었으며, 1.5%와 2% 첨가군에서는 5.67%의 수분함량을 보여 유의적으로 가장 크게 나타나(P<0.05), 클로렐라 가루의 높은 수분 보습력을 보여주었다. 쿠키의 회분 함량은 클로렐라 가루 1%, 1.5% 및 2% 첨가 시료군에서 2%의 회분함량을 나타내며 대조군과 0.5% 첨가군의 회분함량인 1%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쿠키의 단백질함량은 대조군에서 1.02%를 나타내었고, 클로렐라 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2% 첨가군은 1.85%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P<0.05). 클로렐라 가루 첨가 시료군의 지방함량은 12.50%에서 12.93%로 측정되어 대조군의 11.06%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측정되었다(P<0.05). 쿠키의 탄수화물함량은 대조군이 82.89%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클로렐라 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 감소를 하여 클로렐라 2% 첨가군이 77.98%의 값을 보여 수분함량과 대조적인 결과를 보였다(P<0.05). 쿠키의 엽록소는 대조군에서 100g 당 1.86mg을 나타내었으며 클로렐라 가루 첨가시 유의적으로 현저히 증가하여 0.5% 첨가 시료군에서는 29.81%, 2% 첨가 시료군에서는 90.19mg으로 측정되었다(P<0.05). 쿠키의 퍼짐성지수는 대조군에서 5.73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낮으며(P<0.05), 클로렐라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 증가를 하여 2% 첨가군은 6.15로 나타났다(P<0.05). 조직감에서 경도(hardness)는 클로렐라 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 감소를 하여(P<0.05), 대조군이 2761.2g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경도를 나타냈으며, 클로렐라 2% 첨가군에서 2385.1g을 나타내었다(P<0.05).부착성(adhesiveness), 응집성(cohesiveness), 검성(gumminess), 탄력성(springiness), 씹힘성(chewiness) 및 깨짐성(fracturability)은 클로렐라 함량에 따른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쿠키의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클로렐라 가루의 첨가 수준에 따라 유의적인 감소를 하여(P<0.05), 대조군에서 23.74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평가 되었고, 1.5%와 2% 첨가군에서 각각 22.15와 22.13을 보였다(P<0.05). 대조군의 a값은 1.49로 약간의 적색을 나타냈으며, 클로렐라를 첨가한 시료군에서는 모두 음의 a값을 보여 약한 녹색정도를 보였다. 황색도(yellowness)를 나타내는 b값은 대조군이 2.69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평가 되었으며, 클로렐라 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다소 유의적인 감소를 하여 클로렐라 1.5%와 2% 첨가시료군의 b값은 각각 1.23과 1.24로 평가되었다(P<0.05). 분석적 관능검사에서 쿠키의 색, 표면 깨어짐, 클로렐라 향 및 클로렐라 맛은 클로렐라 가루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쿠키의 단맛은 클로렐라 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 감소를 보였으며, 경도는 조직감의 경도 측정 결과에서와 같이 클로렐라 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P<0.05). 씹힘성과 응집성은 대조군이 0.5% 첨가군보다 유의적으로 약간 높게 평가되었으나(P<0.05), 클로렐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2% 첨가군에서 각각 9.81와 10.87의 값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와 이화학적 특성의 상관관계에서 관능검사의 색은 반죽의 밀도, 엽록소 및 a값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5). 관능검사의 깨짐성 지수는 쿠키의 수분, 회분 및 경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P<0.05), 반죽의 pH와 아주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01). 관능검사의 클로렐라 향은 쿠키의 수분 및 회분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P<0.05), 반죽의 pH, 쿠키의 지방 및 쿠키의 넓이와는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1). 관능검사의 단맛은 쿠키의 수분, 회분 및 경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P<0.05), 반죽의 pH, 지방 및 쿠키의 넓이와는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1). 관능검사의 단맛은 반죽의 밀도, 엽록소 및 a값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5). 관능검사의 클로렐라 맛은 깨짐성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P<0.05), 쿠키의 수분과 음의 상관관계를, 반죽의 pH, 쿠키의 회분, 지방 및 쿠키의 넓이에서는 높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1). 관능검사의 경도는 쿠키의 수분, 회분 및 경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P<0.05), 반죽의 pH, 쿠키의 지방 및 쿠키의 넓이와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1). 소비자 검사에서 색에 대한 기호도

      •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강희진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the parents' rearing attitudes affect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it is to get effective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can lead the parents' desirable emotional education and the basic data that can suggest the direction of education by the parents. The research questions for achiev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do the father's rearing attitude that the children perceive affect the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what do the mother's rearing attitude that the children perceive affect the emotional intelligence? As a main method used in this research, as for the documents study,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heoretical research and prerequisite research on the concept and pattern of rearing attitudes, the concep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constitutional factor. And as for the research study, it executed the questionnaire. It used two methods like 「Parents' rearing attitudes」 that Lee Jong Seung and Oh Seong Sim(1982) produced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at Mun Yong Rin(1996) developed as questionnaire used in the research study And it executed the random sampling as an object of 539 boys and girls in the fifth and sixth grade in the 7 elementary schools located on the Danggin-gun, Chungcheongnam-do from Sep. 26 to Oct. 8, 2003. As for the data processing, it analyzed the correl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relations with the parents' rearing method and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is study executed th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hat the parents' rearing attitudes had an effect on the sub-field of emotional intelligence for the children.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with the parents' rearing methods and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it presented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emotional control and the emotional utility, a sub-field of the parents' rearing attitudes and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it showed the low correlation with the emotional expression and the emotional recognition. Which result that the Parents' rearing attitudes had an effect on the sub-field of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is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that it affected the emotional recognition, the father's rearing attitude did not affect the children's emotional recognition significantly.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mother's rearing attitude, it presented that the more they were achievable, the higher the children's capacity of emotional recognition. Second, as for the result that it affected the emotional expression, the children's capacity of emotional expression was higher when the father's rearing attitude was autonomous and when the mother's rearing attitudes was achievable. Third, as for the result that it affected the empathy, the children's empathy was higher when the father's rearing, attitudes was autonomous. On the other hand, the capacity of empathy was higher when the mother's rearing attitudes was affectionate. Fourth, as for the result that it affected the emotional control, it showed that the children's capacity of emotional control when the father's rearing attitude was rational. In particular, the capacity of emotional control was higher when the mother's rearing attitudes was affectionate, autonomous, achievable, and rational. Fifth, as for the result that it affected the emotional utility, the more the father's rearing attitudes was affectionate, the higher the children's capacity of emotional control was. On the other hand, the more the mother's rearing attitudes was affectionate, autonomous, and rational, the higher the children's capacity of emotional utility was.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father's rearing attitude had an effect on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the mother's rearing attitude had an effect on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ird, the mother's rearing attitude had an effect on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more than the father's one. From the conclusion above, it was important the parents' role that affected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It gave suggestions that they should have affectionate, autonomous, achievable, and rational rearing attitudes for the children. The project in the future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it needs the educational data by the parents and the development of program for improving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it needs to research the rearing attitude stated in the parents' shoes and the parents' emotional intelligence with the parents' rearing attitudes that the children perceived. Third, it needs to enlarge the research obj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to the middle and high school and research the relations with the school adaptation additionally.

      • 휘모리잡가의 전승양상과 음악적 구조의 고찰

        강희진 단국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행 휘모리잡가의 전승양상과 음악적 구조를 살펴봄으로써 장르적 특성을 명확하게 밝히기 위하여 시작하게 되었다. 휘모리잡가의 발생에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국문학분야에서 이루어진 사설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음악분야에서도 휘모리잡가의 개별곡에 관련된 연구들이 중심이었다. 본 연구자는 180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 휘모리잡가의 전승을 잡가집 등의 문헌과 유성기 음반의 채록, 음반 가사지, 신문기사 등의 자료를 통해 알아보았고, 이를 통해 태동기와 유행기, 정체기와 제도적 전승기로 휘모리잡가의 전승을 정의 내려 보았다. 태동기는 1800년대 후반, 사계축 소리꾼들에 의하여 휘모리잡가가 노래되기 시작한 시기이다. 『남훈태평가』와 같은 문헌에 <생매잡아>, <맹꽁이타령> 등의 사설이 기록되어 있다는 점과, <육칠월 흐린 날>이 1900년 전후에 크게 유행하여 1907년 최초의 상업음반에 수록된 점 등을 통해 판단하였다. 휘모리잡가의 유행기는 1900년~1910년대로 『악부』 나 『만세보』와 같은 문헌과 『신구시행잡가』를 비롯한 10여종의 잡가집에 휘모리잡가가 기록되어 있는 점, 유성기 음반의 휘모리잡가 수록현황, 공연관련 기사 및 광고에 나타난 휘모리잡가의 기록 등을 그 근거로 하였다. 또한, 현재 전해지고 있는 10곡의 휘모리잡가 외에 <휘모리 즁타령>, <휘모리 평양가>나 <각색 맹꽁이타령>과 같이 다양한 휘모리잡가가 존재하였던 것을 보여주는 음반의 발매기록과 한인오, 최홍매, 김홍도, 문영수, 박춘재 등 휘모리잡가의 취입기록이 있는 명창들이 활발한 공연활동을 하였던 시기인 것도 그 근거가 된다 하겠다. 1920년 이후는 휘모리잡가의 정체기로 보았다. 이 시기는 외형적으로 보면 다양한 공연활동이 이루어지고, 음반 발매 또한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그 향유층이 확대된 시기이나 상대적으로 휘모리잡가는 위축된 시기이다. 1920년 이후 발간된 잡가집에는 휘모리잡가의 기록이 없으나 신민요와 유행창가, 가요 등의 수록 비중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1920년 이후 발매된 휘모리잡가의 음반은 겨우 10여 매 정도로 당시의 음반 발매량으로 볼 때 매우 미미한 수준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 시기의 각종 박람회와 자선공연, 대중연예기사, 기타 다양한 공연관련 기록에서도 휘모리잡가의 기록은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1950년대 이후는 휘모리잡가의 공연이나 교육이 정책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제도적 전승기라고 하였다. 경기민요나 선소리산타령보다는 늦었지만, 1999년 서울을 시작으로 경기, 인천지역에서 휘모리잡가가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를 통해 휘모리잡가를 계승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기본 토대는 마련되었으므로, 앞으로도 현재의 음악적 형태와 특징을 잘 보존하여 계승되기를 바란다. 이러한 휘모리잡가의 전승양상은, 일제강점기 급격한 근대화 과정에서 우리나라의 전통문화가 처해있던 상황과 그 변화를 같이 한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휘모리잡가의 음악적 구조 분석 결과, 휘모리잡가의 발생은 형식적 측면에서 사설시조와의 연관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장 형태’를 유지하여 전승되고 있는 휘모리잡가는 <생매 잡아> 외 5곡이며, 그 외 형태의 휘모리잡가로는 ‘확대형’의 <맹꽁이타령>과 ‘축소형’의 <한잔 부어라>가 있다. 이들 악곡들은 각 악절의 ‘시작’과 ‘종지’에서 일정한 형태의 선율진행을 보이고 있다. 3장형태의 휘모리잡가는 제 1악절에서 do′나 re′로 시작하여 sol′로 올라가 길게 뻗고, la′-sol′-mi′로 하행하는 <시작1형> 선율로 되어 있으며, 제 2악절이나 사설확대로 추가된 악절은 re′나 do′를 골격음으로 하여 사설을 엮다가 la -sol로 하행하는 <엮음형> 선율로 시작을 한다. 제 3악절은 3음절로 된 사설을 re′-sol′-mi′-do′의 선율에 얹어 부르고 마지막 음절은 do′를 길게 노래하는 <시작2형>의 선율이다. 또한, 각 악절의 종지형은 두 가지 형태로, 제 1, 제 2악절이나 사설확대로 추가된 악절은 sol′-mi′-re′-do′-la -sol -do′ 또는 sol -do′ -re′ -do′ -la - sol -do′로 진행하여 do′음을 길게 노래하는 <종지1형>을 사용하고 있으며, 제 3악절은 do′에서 sol로 4도 하행하여 맺는 <종지2형>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악곡의 구조에 따라 일정한 형태를 갖춘 선율이 사용되는 것이 휘모리잡가의 장르적 통일성을 주는 요소라고 하겠다. 휘모리잡가는 사설시조 뿐 아니라 경기민요, 판소리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특히 <바위타령>은 경기 민요 <노랫가락>과의 친연성이 매우 높은 곡으로 그 선율을 차용하여 만들어졌다고 전해왔다. 그러나, 1920년대 이후 <무녀의 노래가락>, 신조, 구조 등으로 기록된 잡가집과 음반의 <노래가락> 수록양상을 볼 때, <바위타령>과 <노래가락>이 가지는 친연성은 <바위타령>의 발생 시기에 나타난 것이 아니라 1920년대 이후 가창집단간의 교섭현상을 통해 이루어진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휘모리잡가와 판소리 사설과의 관련성은 <맹꽁이타령>이 춘향가 중 <사랑가>의 일부를 차용하고 있으며, <곰보타령>은 수궁가 중에서 용궁회의를 하는 대목의 사설을, <비단타령>은 흥보가의 <박타령>과 비슷한 사설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이들 악곡은 판소리의 사설만 차용하고 있는데, 이것은 당시 큰 인기를 얻고 있던 판소리의 사설 차용을 통해 휘모리잡가의 해학적인 특징을 더욱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1930년대에 발매된 김태운의 <곰보타령>과 구대감의 <사립쓰고>, 구대감과 설중매의 음반에 수록된 <이 산중에>는 모두 휘모리잡가와 공통된 악곡의 구조와 선율을 사용하고 있어 미전승된 휘모리잡가로 판단된다. 이 시기의 명창들은 다양한 사설로 새로운 악곡을 창작하며 자유롭게 노래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휘모리잡가의 전승과정을 형성기, 유행기, 정체기, 제도적 전승기로 구분하여 그 음악의 존재양상과 오늘날의 휘모리잡가로의 계승, 정착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휘모리잡가가 사설시조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휘모리잡가 전곡의 악곡구조분석을 통해 밝혀내었다. 휘모리잡가가 12잡가나 선소리산타령보다 장르에 대한 인식도 부족하고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지 않지만, 해학적이고 경쾌한 음악으로 그 보존 가치는 충분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가 휘모리잡가의 장르적 명확성을 높이고, 전문가창자의 육성은 물론, 국악교육의 한 영역으로 자리매김 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현행 현악영산회상 중 삼현환입·하현환입의 거문고 선율·리듬 변화에 대한 연구 : 『삼죽금보』와 비교를 중심으로

        강희진 水原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1841년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삼죽금보』는 보허사, 여민락, 영산회상에서 가곡, 가사, 시조에 이르기까지 많은 악곡을 수록하고 있는데, 영산회상은 상령산, 중령산, 소령산, 가락더리, 환입, 염불, 타령, 군악의 8가지 곡명으로 수록되어 있다. 이 중 '환입'이 현행 현악영산회상의 삼현환입과 하현환입에 해당되는데, 이 『삼죽금보』환입의 선율과 리듬이 현행 삼현환입, 하현환입의 선율, 리듬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비교해 보았다. 『삼죽금보』의 환입과 현행 삼현환입, 하현환입의 악곡 구조를 현행의 장별 구분에 따라 8부분으로 나누고, 선율을 이루고 있는 구성음과 리듬의 형태를 중심으로 한 각씩 비교하였으며, 리듬 형태의 변화가 거문고 주법과 연관성이 있는지도 알아보았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선율의 비교 결과, 『삼죽금보』환입에서 현행 삼현환입에 해당하는 선율이 현행 하현환입에 해당하는 선율보다 출현음과 리듬 형태에서 많은 변화를 보였다. 현행 삼현환입에서는 문현 '口'과 '口' 의 사용이 증가하였고, '口'와 '口' 의 사용이 많이 줄었다. 이는 '口'가 '口'과 '黃'으로, '口'이 '口'으로 변화한 때문이다. 현행에서 새롭게 사용된 '口'는 '자출'과 경과음으로 나타난다. 반면에, 현행 하현환입 1, 2장에 해당하는 『삼죽금보』환입에서 는 '口'이 '口'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현행 하현환입 1, 2장의 이러한 변화는 거문고의 주법과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데, 유현 4괘법에서 '口'을 내기 위해서는 유현 7괘를 역안하여야 하는데, '口'은 같은 유현 7괘에 서 경안하여 내므로 그 소리를 내기가 상대적으로 쉽기 때문이다. 리듬의 비교 결과, 현행 삼현환입, 하현환입에서 『삼죽금보』환입보다 다양한 리듬 형태가 사용되었고, 선율의 비교 결과와 같이 현행 삼현환입에 해당하는 『삼죽금보』환입에서 현행 하현환입에 해당하는 부분보다 많은 변화를 보였다. 악장이나 악곡을 맺을 때 사용되는 거문고의 淸 주법이 사용되는 선율은 출현음과 리듬 형태 모두 『삼죽금보』와 현행에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특히, 현행에서는 『삼죽금보』환입에 비하여 리듬 형태가 세분화되고 짧은 싯가인 ♬,♩♪의 사용이 많아진 것을 알 수 있는데, 이 리듬 형태는 거문고의 '뜰동' '자출' '뜰살'과 같은 장식적인 주법의 사용이 많아져 악곡이 장식화 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erere so many musical pieces for instance Bohersa, Yomillak, Yeongsanhoesang, Kagok, Ka-sa, Si-jo etc. - in the 『Samjuk kembo』 which is estimated to be compiled in 1841. 8 musical pieces - Sangyeongsan, Jungyeongsan, Soyeongsan, Karakdery, Hwanip, Yombul, Taryong, Kunak- is printed in the Yeongsanhoesang In this pieces, Hwanip is equivalent for melody and rhythm of the Samhyon Hwanip, Hahyon Hwanip in the current String Yeongsanhoesang. So I compared melody and rhythm of the Hwanip in the 『Samjuk kembo』, with those of the current Samhyon Hwanip, Hahyon Hwanip to show how they differ. The structures of musical pieces of the Hwanip in the 『Samjuk kembo』, the current Samhyon Hwanip and Hahyon Hwanip divide 8parts according to the current part section and are compared each gak by note which consists of melody and a shape of rhythm in the addition a relation between the changes of a shape of rhythm and a way of playing Gomungo is discussed on this paper. As a result of comparing melody, a part of Hwanip in the 『Samjuk kembo』, which is equivalent for the current Samhyon Hwanip has been changed more than a part of Hwanip in the 『Samjuk kembo』, which is equivalent fro the current Hahyon Hwanip. In the current Samhyon Hwanip hte number of usage of 'hwang' and 'im' on Munhon(the 1th string in Komungo) is increased but 'mu' and 'jung' is decreased because 'mu' is replaced by 'im' and 'hwang', jung' by 'im'. 'mu' that is used only in the current pieces is played passing tone. On the other side 'im' is replaced by 'jing' in the part of Hwanip in the『Samjuk kembo』, which is equivalent for the 1st. 2nd part of the current Hahyon Hwanip. This change in the 1st. 2nd part of the current Hahyon Hwanip is suppose to have a relation with a way of playing Komungo. Because Yuhyon(the 2th string in komungo) 7th plat played pressed for playing 'im' on Yuhyon 4th plat, by the way 'jung' is played lightly on Yuhyon 7th plat so a way of playing is relatively easy. As a result of comparing rhythm, a shape of rhythm in the current pieces is used more variously than that of in the old pieces and a part of Hwanip in the『Samjuk kembo』, which is equivalent for the current samhon Hwanip has been also changed more than a part of Hwanip in the『Samjuk kembo』, which is equivalent fro the current Hahyon Hwanip such as like a result of comparing melody. There is no changes melodies which has ways of playing 淸(chung-the 5th string in Komungo) for finishing the mocemtnt or the part both seen note and a shape of rhythm in the『Samjuk kembo』 and current pieces. Especially a shape of rhythm is subdivided and short note is more frequently used. This change of a shape explain that musical pieces become decorative by frequent use of decorative way of playing Komungo such as 'Jachul', 'Theldong','Thelsal'.

      • 읽기 전 활동을 통한 읽기 지도 방법 연구

        강희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읽기 전 활동을 통한 읽기 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오늘날 읽기라는 것은 단순한 의미 전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글과 독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의미를 재구성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이를 통해 정보를 처리하는 활동이며, 문제를 해결하는 활동이다. 이 과정에서 독자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글을 이해하고 추론하는 주체적인 사고가 필요하다. 이러한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스스로 글에 담긴 의미를 파악하고 스키마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법을 습득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올바른 읽기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읽기 과정에서 독자의 배경 지식과 사고의 역할을 인식하여 스키마가 읽기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생각해본다면, 읽기 과정에서 수업 도입 단계는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텍스트를 읽기 전에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하고, 읽는 목적과 읽는 방법을 안내해주는 단계인 읽기 전 활동은 전략적으로 지도되어야 할 것이다. 글의 내용과 관계된 학습자의 배경 지식을 조성하고 활성화시키는 일, 읽는 목적을 구체적으로 정하게 하는 일, 글의 내용을 예측하는 활동을 통해 학습자는 더욱 효과적으로 글을 읽을 수 있게 될 것이며 이러한 훈련을 통해서 새로운 텍스트를 접했을 때 스스로 이러한 전략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읽기 과정에서 읽기 전 활동 지도가 읽기 학습에 긍정적인 효과 가져올 것이라는 가정 하에 이를 증명하고자 실험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읽기 전 활동 지도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읽기 전 활동을 통한 읽기 지도가 학생들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얼마나 효과적인가? 둘째, 읽기 전 활동 지도가 학습자의 읽기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Ⅱ장에서는 읽기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읽기 지도 모형, 읽기와 스키마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읽기 전략의 중요성과 읽기 과정에서 읽기 전 활동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읽기 전 전략 7가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제Ⅲ장에서는 본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읽기 전 활동 지도를 중학교 1학년 학생에게 적용하고 그 과정을 상세하게 기술하였다. 제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하고 해석하였으며, 제Ⅴ장에서는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 전 활동의 중요성을 밝히며 실제 수업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읽기 전 활동을 다양하게 제시하고, 그 자료를 통해 읽기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둘째, 읽기 전 활동은 학습자의 배경지식을 활성화시켜 읽기 학습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셋째, 읽기 전 활동은 학습자의 읽기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변화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