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현행 현악영산회상 중 삼현환입·하현환입의 거문고 선율·리듬 변화에 대한 연구 : 『삼죽금보』와 비교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954522

      • 저자
      • 발행사항

        화성: 水原大學校 大學院, 200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수원대학교 대학원 , 음악학과 , 2002

      • 발행연도

        2002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679.72 판사항(4)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v, 62 p.;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과 Abstract 수록

      • 소장기관
        • 수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841년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삼죽금보』는 보허사, 여민락, 영산회상에서 가곡, 가사, 시조에 이르기까지 많은 악곡을 수록하고 있는데, 영산회상은 상령산, 중령산, 소령산, 가락더리...

      1841년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삼죽금보』는 보허사, 여민락, 영산회상에서 가곡, 가사, 시조에 이르기까지 많은 악곡을 수록하고 있는데, 영산회상은 상령산, 중령산, 소령산, 가락더리, 환입, 염불, 타령, 군악의 8가지 곡명으로 수록되어 있다.
      이 중 '환입'이 현행 현악영산회상의 삼현환입과 하현환입에 해당되는데, 이 『삼죽금보』환입의 선율과 리듬이 현행 삼현환입, 하현환입의 선율, 리듬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비교해 보았다.
      『삼죽금보』의 환입과 현행 삼현환입, 하현환입의 악곡 구조를 현행의 장별 구분에 따라 8부분으로 나누고, 선율을 이루고 있는 구성음과 리듬의 형태를 중심으로 한 각씩 비교하였으며, 리듬 형태의 변화가 거문고 주법과 연관성이 있는지도 알아보았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선율의 비교 결과, 『삼죽금보』환입에서 현행 삼현환입에 해당하는 선율이 현행 하현환입에 해당하는 선율보다 출현음과 리듬 형태에서 많은 변화를 보였다. 현행 삼현환입에서는 문현 '口'과 '口' 의 사용이 증가하였고, '口'와 '口' 의 사용이 많이 줄었다. 이는 '口'가 '口'과 '黃'으로, '口'이 '口'으로 변화한 때문이다. 현행에서 새롭게 사용된 '口'는 '자출'과 경과음으로 나타난다. 반면에, 현행 하현환입 1, 2장에 해당하는 『삼죽금보』환입에서 는 '口'이 '口'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현행 하현환입 1, 2장의 이러한 변화는 거문고의 주법과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데, 유현 4괘법에서 '口'을 내기 위해서는 유현 7괘를 역안하여야 하는데, '口'은 같은 유현 7괘에 서 경안하여 내므로 그 소리를 내기가 상대적으로 쉽기 때문이다.
      리듬의 비교 결과, 현행 삼현환입, 하현환입에서 『삼죽금보』환입보다 다양한 리듬 형태가 사용되었고, 선율의 비교 결과와 같이 현행 삼현환입에 해당하는 『삼죽금보』환입에서 현행 하현환입에 해당하는 부분보다 많은 변화를 보였다. 악장이나 악곡을 맺을 때 사용되는 거문고의 淸 주법이 사용되는 선율은 출현음과 리듬 형태 모두 『삼죽금보』와 현행에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특히, 현행에서는 『삼죽금보』환입에 비하여 리듬 형태가 세분화되고 짧은 싯가인 ♬,♩♪의 사용이 많아진 것을 알 수 있는데, 이 리듬 형태는 거문고의 '뜰동' '자출' '뜰살'과 같은 장식적인 주법의 사용이 많아져 악곡이 장식화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re so many musical pieces for instance Bohersa, Yomillak, Yeongsanhoesang, Kagok, Ka-sa, Si-jo etc. - in the 『Samjuk kembo』 which is estimated to be compiled in 1841. 8 musical pieces - Sangyeongsan, Jungyeongsan, Soyeongsan, Karakdery, Hwani...

      Therere so many musical pieces for instance Bohersa, Yomillak, Yeongsanhoesang, Kagok, Ka-sa, Si-jo etc. - in the 『Samjuk kembo』 which is estimated to be compiled in 1841. 8 musical pieces - Sangyeongsan, Jungyeongsan, Soyeongsan, Karakdery, Hwanip, Yombul, Taryong, Kunak- is printed in the Yeongsanhoesang In this pieces, Hwanip is equivalent for melody and rhythm of the Samhyon Hwanip, Hahyon Hwanip in the current String Yeongsanhoesang. So I compared melody and rhythm of the Hwanip in the 『Samjuk kembo』, with those of the current Samhyon Hwanip, Hahyon Hwanip to show how they differ.
      The structures of musical pieces of the Hwanip in the 『Samjuk kembo』, the current Samhyon Hwanip and Hahyon Hwanip divide 8parts according to the current part section and are compared each gak by note which consists of melody and a shape of rhythm in the addition a relation between the changes of a shape of rhythm and a way of playing Gomungo is discussed on this paper.
      As a result of comparing melody, a part of Hwanip in the 『Samjuk kembo』, which is equivalent for the current Samhyon Hwanip has been changed more than a part of Hwanip in the 『Samjuk kembo』, which is equivalent fro the current Hahyon Hwanip. In the current Samhyon Hwanip hte number of usage of 'hwang' and 'im' on Munhon(the 1th string in Komungo) is increased but 'mu' and 'jung' is decreased because 'mu' is replaced by 'im' and 'hwang', jung' by 'im'. 'mu' that is used only in the current pieces is played passing tone. On the other side 'im' is replaced by 'jing' in the part of Hwanip in the『Samjuk kembo』, which is equivalent for the 1st. 2nd part of the current Hahyon Hwanip. This change in the 1st. 2nd part of the current Hahyon Hwanip is suppose to have a relation with a way of playing Komungo. Because Yuhyon(the 2th string in komungo) 7th plat played pressed for playing 'im' on Yuhyon 4th plat, by the way 'jung' is played lightly on Yuhyon 7th plat so a way of playing is relatively easy.
      As a result of comparing rhythm, a shape of rhythm in the current pieces is used more variously than that of in the old pieces and a part of Hwanip in the『Samjuk kembo』, which is equivalent for the current samhon Hwanip has been also changed more than a part of Hwanip in the『Samjuk kembo』, which is equivalent fro the current Hahyon Hwanip such as like a result of comparing melody. There is no changes melodies which has ways of playing 淸(chung-the 5th string in Komungo) for finishing the mocemtnt or the part both seen note and a shape of rhythm in the『Samjuk kembo』 and current pieces. Especially a shape of rhythm is subdivided and short note is more frequently used. This change of a shape explain that musical pieces become decorative by frequent use of decorative way of playing Komungo such as 'Jachul', 'Theldong','Thelsa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국문초록
      • 표목차
      • 악보목차
      • I. 서론 = 1
      • 목차
      • 국문초록
      • 표목차
      • 악보목차
      • I. 서론 = 1
      • 1. 연구 목적 = 1
      • 2. 연구 방법 및 범위 = 4
      • II. 현행보와 고악보의 장별 비교 = 7
      • 1. 현행 삼현환입과 하현환입의 구조 = 7
      • 2. 『유예지』의 삼현회입, 삼현회입우조별지, 삼현회입이장두,
      • 삼현회입사장말과 현행 삼현환입, 하현환입의 비교 = 9
      • 3. 『삼죽금보』의 환입과 현행 삼현환입, 하현환입의 비교 = 12
      • III. 『삼죽금보』환입과 현행 삼현환입, 하현환입의 비교 = 15
      • 1. 선율 = 15
      • 2. 리듬 = 37
      • 1) 『삼죽금보』환입의 리듬 형태 = 37
      • 2) 현행 삼현환입, 하현환입의 리듬 형태 = 39
      • 3) 『삼죽금보』환입과 현행 삼현환입, 하현환입의 리듬 형태 비교 = 41
      • IV. 결론 = 47
      • 참고문헌
      • 영문초록
      • 참고악보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