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천연기념물 지형의 지리학적 분석

        권동희 ( Dong Hi Kwon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0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0 No.1

        2010년 1월 현재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지형은 59개이다. 지리학적 관점에서 이들 천연기념물 지형은 풍화지형, 해안지형, 카르스트지형, 화산지형, 구조지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59개의 천연기념물 지형 중 가장비중이 큰 것은 구조지형(28개)이며 다음으로는 카르스트지형과 화산지형(각각 12개), 해안지형(5개), 풍화지형(2개) 순이다. 천연기념물 지형이 지정되기 시작한 초기에는 지질과 관련된 화석산지로서 구조지형, 특수지형으로서 희소성이 강한 카르스트지형과 화산지형 등의 천연기념물 지정이 두드러졌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는 일반적인 지형이지만 그 규모나 특성상 학술적으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해안지형과 풍화지형 등 순수 일반적 지형 경관들이 새로운 천연기념물로 주목받기 시작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지역별로는 제주(11개)와 강원(10개), 경남(9개) 등에 집중 분포한다. 제주는 화산지형, 강원은 카르스트지형, 경남은 구조지형이 상대적으로 비중이 크다. As of January 2010, 59 topography have been designated as national monuments. From the geographical point of view, these national monument topography can be categorized into weathering, coastal, karst, volcanic, tectonic, etc. The 59 national monument topography are mostly tectonic (28), followed by karst and volcanic (12 each), coastal (5), and weathering (2). In the early stages of designating national monument topography, tectonic, karst, and volcanic topography were the major designations for national monuments. Tectonic topography were associated with fossil, whereas karst and volcanic topography were very scarce as special topography. Recently, however, even common topography such as coastal and weathering topography are starting to draw attention for their academic value with regard to size and characteristics. By region, Jeju (11), Gangwon (10), and Gyeongnam (9) have a concentrated distribution; they have relatively large portions of volcanic, karst, and tectonic topography, respectively.

      • KCI등재

        山誌의 개념과 지리산의 山誌

        최원석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1 문화 역사 지리 Vol.23 No.2

        Mountainous country, Korea has stored research tradition and knowledge system on the mountain for a long time. The knowledge information on the mountain has integrated into the mountain topography. In this paper, I define the concept of the mountain topography, as a systematic compiling form on the mountain knowledge and a type of topography. For a case study, I examine on the Jiri Mountain Topographies in several aspects of : the distinctive feature, form and contents, and construction. Especially Dureyjeonji is a representative achievement of the mountain topography in Joseon dynasty. Dureyjeonji has an academic value that synthesized knowledge information on the Jiri Mountain culture in the late Joseon period. As the mountain topography is a typical record heritage and cultural ecological knowledge on the mountain, it has sufficient worth to be used for mountain knowledge resources in the present time and the future. 국토의 대부분이 山地의 풍토환경을 지닌 한국은 오랫동안 산 연구전통과 지식체계를 축적하여 왔으며 그 성과는 山誌로 종합되었다. 이 글은, 山誌의 개념을 산에 대한 지식정보의 체계적 編述 형식이자 地理誌의 한 유형으로 정립하고, 사례 연구로서 지리산 山誌의 특징, 형식, 내용, 구성 등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지리산의 山誌로서 『두류전지』는 조선시대 山誌의 대표적인 저술 성과일 뿐만 아니라 전근대 시기의 지리산과 지리산 문화에 대한 지식체계가 종합된 것으로서 학술적 가치가 있다. 山誌는 산과 관련된 역사문화에 대한 기록유산이자 문화생태적인 지식체계이기에 현재와 미래의 지식자원으로 활용될 가치가 충분하다.

      • KCI등재

        각막곡률계와 각막지형도를 이용한 각막난시 측정값에 따른 비구면 RGP 렌즈의 각막에서 동적움직임 비교

        박상일,이세은,김소라,박미정 한국안광학회 2011 한국안광학회지 Vol.16 No.2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any difference in the movement of aspheric RGP lens by the amounts of keratometiric astigmatisms using keratometer and corneal topography. Methods: Corneal curvatures in thirty six eyes of males and females of with-the-rule keratometric astigmatisms in their twenties were measured by a keratometer and worn aspheric RGP lenses. Then, lens rotations, vertical and horizontal movements of lens by blinking were measured to compare with lens movements when aspheric RGP lenses were fitted by total keratometric astigmatisms using corneal topography. Results: The case having higher amount of central keratometric astigmatism was 61.1% of subjects, however, 36.1% of subjects showed higher total keratometric astigmatism indicating that central keratometric astigmatism was not always bigger than total keratometric astigmatism. Since over 0.25 diopter difference between total and central keratometric astigmatisms was shown in 19 eyes (52.8% of subjects), the prescription for lens fitting could be changed. Significant difference in horizontal movement was detected with increase of astigmatism when it compared based on the amount of keratometric astigmatism measured by a keratometer.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ns rotation,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by comparison with the amount of total keratometric astigmatism using a corneal topography. When central keratometric astigmatism measured by keratometer was bigger than total keratometric astigmatism estimated by corneal topography, bigger lens rotation was shown compared with opposite case. Also, the tendency of bigger lens rotation was measured with the increase of keratomatric astigmatism in the case of same prescription having same base curves with same amount of keratometric astigmatism but different curvatures. Conclusions: From the present study, we concluded that lens movements on cornea were not totally different when aspheric RGP lens fitted on with-the-rule astigmatism by keratometer and corneal topography. However, there was some difference in certain lens movements. Therefore, we concluded that further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criptions for lens fitting should be conducted for improving the rate of successful lens fitting by keratometer or for the proper application of corneal topography for lens fitting. 목적: 각막곡률계(keratometer) 측정값과 각막지형도(corneal topography) 검사에 의해 분류된 난시량에 따른 비구 면 RGP 렌즈의 동적 움직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직난시를 가지고 있는 20~30대 남녀의 36안을 대상 으로 각막곡률계를 이용하여 각막의 곡률을 측정하고 난시량에 따라 비구면 RGP 렌즈를 피팅한 후 회전량, 순목에 의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거리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각막지형도 검사를 이용하여 측정된 전체 각막 난시 량을 기준으로 하여 피팅하였을 때 각막에서의 비구면 RGP렌즈 동적움직임과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각막곡 률계로 측정하여 얻은 중심부 각막 난시량이 각막지형도 검사를 이용하여 얻은 전체 각막 난시량보다 더 크게 나 타난 경우는 61.1%였으며, 그 반대의 경우는 36.1%로 중심부 각막 난시량이 언제나 전체 각막 난시량보다 크게 나 타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체 각막 난시량과 중심부 각막 난시량의 차이값이 0.25D 이상인 경우가 19안으로 52.8%에 해당하는 피검안 경우는 비구면 RGP 렌즈 처방이 틀려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각막 곡률계에 의해 측정된 각막 난시량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는 수평방향의 이동이 각막의 난시 정도에 따라 통계적으 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각막지형도에 의해 전체 각막 난시량으로 분류하였을 때는 비구면 RGP 렌즈의 회전양,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거리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변화가 없었다. 각막곡률계에 의해 측정된 중 심부 각막 난시량이 각막지형도 검사에 의해 측정된 전체 각막 난시량에 비해 클 경우가 그 반대의 경우에 비해 렌 즈의 회전량이 더 많았다. 또한, 각막의 곡률 반경이 다르더라도 각막 난시량에 의해 동일한 베이스커브를 가진 렌 즈로 처방이 내려지는 동일처방의 경우에는 각막 난시량이 증가하면 비구면 RGP 렌즈의 회전량이 증가하는 경향 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각막곡률계와 각막지형도 검사를 이용하여 직난시안에 비구면 RGP 렌즈를 피팅 하였을 때 각막에서의 동적움직임이 완전히 상이하지는 않았으며 특정 움직임에서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각막곡률계를 이용한 피팅의 성공률을 더 높이기 위해서 혹은 각막지형도 검사를 이용한 피팅의 적절한 적 용을 위해서 피팅 방법들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더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 신종교 지형과 종교문화

        박승길(Park Seung Gil)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5 한국종교 Vol.38 No.-

        2014년 국내 인구조사에서 나타나는 지역별 종교인구분포를 보면 가장 뚜렷한 현상 중 하나가 동불서기(東佛西基) 현상이다. 이 글은 국내 신종교운동의 종교지형의 유형과 그 특성 및 변화를 추적하여 국내 종교문화의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유학이 지배했던 조선조의 단일 종교지형에 기독교가 유입된 후, 그 충격 속에서 대항적 신종교인 동학이 탄생했지만, 동학도 역시 전통적 종교지형에서 발생한 신종교였다. 그러나 강증산이 주도한 새로운 종교운동은 동학혁명과정에서 목도한 억울한 주검들과 그들의 앙갚음을 신적 활동인 천지공사로 풀어가고자 하는 것이었다. 증산의 사후 그의 신격화는 침해자에 대한 신적 보복의 기대가 만들어 낸 종교윤리의 발전 형태 중 하나였다. 증산과의 관계나 영통(靈通)을 내세워 다양한 구제재를 차별적으로 제시하는 여러 가지 ‘신불적 유형’의 종교지형이 전북 김제 지역을 중심으로 확산되어 간다. 두 번째로 궨당문화가 오래 존속해 온 제주도에서는 신성들이 각 궨당 지역을 나름의 신화를 통해 신성공간화하면서, 외부의 침해자가 들어오지 못하게 막거나 일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치료적 신성을 불러들이는 방술에 치중한다. 즉 현존상태를 영속적으로 보존하기 위해 자기 방어적인 주술과 방편을 개발하여 밖으로부터 오는 질병이나 분쟁, 침해자의 압박 등에 대처하는 수단을 가지려 한다는 점에서 ‘생신방술형’ 종교지형을 갖고 있다고 하겠다. 마지막으로 해방 이후부터 현재까지 교권체제를 갖춘 대규모의 조직화된 신종교 교단이 자라난 대구·경북 지역은 국내 신종교운동사에서 주목해야 할 또 하나의 종교지형을 보여준다. 대구가 일제하에서 대도시화되면서 유입된 인구는 해방정국에서 신종교 창교 붐이 일어났을 때 중요한 신종교의 인적자원으로 활용된다. 이 지역에서는 궁리지성과 자기수련을 통해 현세의 치리권을 지닌 지도자가 조직화된 종교단체를 구성하는 ‘교권지향형’ 종교지형을 만들어 낸다. 이러한 종교지형은 해방 이후 신종교뿐 아니라 기성종교시장에서도 각 지형별 특이성을 낳는 주요 토양으로 작용하게 된다. The 2014 census on religious population in Korea reveals that the number of Christians is higher in the western part of Korea, whereas more Buddhists live in the eastern regions. This shows the regional disparity in the religious topography of Korea. First, new religious movements based on the deification of Jeungsan should be understood as a development of religious ethics originated from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their revenge on foreign invaders. New religious movements of Jeungsan in the Jeonbuk area can be called ‘Divinizing Type of Religious Topography.’ Second, Guindang culture in Jeju offered a special network to resolve hardship like poverty, sickness, and struggles in daily life. This kind of religious topography nourished self-fulfilling salvation. This can be called ‘Necromantic Type of Religious Topography.’ Last, Daegu-Kyungbuk, where several new religions were systemized with powerful religious authority, was the center of new culture and missionary works of new Christianity. The intellectuals in this area found a new path to raise their social status in ecclesiasticism. This area can be classified as ‘Ecclesiasticism Type of Religious Topography.’

      • KCI등재

        Morie Topography를 이용한 피부 탄력 평가와 Cutometer 결과와의 상관성 연구

        안성연 ( Sung Yeon Ahn ),배지현 ( Ji Hyun Bae ),김승훈 ( Seung Hun Kim ),이해광 ( Hae Kwang Lee ),문성준 ( Seong Joon Moon ),장이섭 ( Ih Seop Chang ),이옥섭 ( And Ok Sub Lee ) 대한화장품학회 2005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1 No.4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에 주름이 생기고 건조해지며 탄력이 감소하게 된다. 피부 탄력은 주름과 같은 다른 변화항목처럼 노화에 따른 변화를 극명하게 눈으로 확인하기 힘들어 평가 방법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과정이 더욱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연령과 기기측정 결과인 Cutometer parameters 값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으며, 각각의 parameters가 노화에 의한 피부 탄력 감소를 반영해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Ur/Uf, Ur/Uf, Ur/Ue, Ua, r=0.687~0.725). 또한 눈으로 보여지는 변화와 직접 피부를 만져보았을 때 느껴지는 변화를 정량평가하기 위한 평가법을 개발하였다. 50명의 건강한 여성을 대상으로 얼굴 부위에서 Moire 사진을 획득하였으며 이중 피부 탄력을 설명해줄 수 있는 다섯 단계의 Moire topographic photo scale을 선정하였다. 그 다음 동일한 조건으로 20~61세의 여성을 대상으로 Moire 사진을 촬영하고, 제시된 scale을 기준으로 피부 탄력정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결과, Cutometer를 이용한 기기평가(r=-0.687~-0.725)와 Moire topography score (r=-938)에 의한 결과는 연령과 매우 높은 음의 상관관계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Cutometer 값과 Moire topography 점수간의 상관성도 비교 두 평가법 간의 상관관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r=0.711). 따라서 안면부 Moire topography를 이용한 평가는 기기측정으로 확인할 수 있었던 피부 탄력 변화를 시각적으로 나타내어 줄 수 있었다. As aging occurs, ow skin gets more wrinkles, becomes drier and loses its elasticity. Validating the evaluation of skin elasticity is especially important, because it is not as visible as other signs of aging such as wrinkles. Here, we identified the correlation between age and the Parameters given by Cutometer, and (we present) the parameters of that reflect the decreases in skin elasticity along with ages (Ur/Uf, Ua/Uf, Ur/Ue, Ua, r=0.687~0.725). Also we developed an evaluation method to quantify the difference of skin by viewing or touching. A five-grade standard of Moire topographic photo scale on face was prepared using sensory evaluation of 20 to 61 year - old women. Based on this photo standard, scoring was performed using (a) 5-grade system by three specialists to obtain the consensus sco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age and results of Cutometer (r=-0.687~-0.725), Moire topography scores (r=-938) were found. Finally we have shown the significance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 of Cutometer and the score of Moire topography (r=0.711). Our studies using Moire topography on face have confirmed that instrumental measurements reflect the decrease in shin elasticity, which is perceived visually.

      • KCI등재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경근무늬측정검사(모아레)의 한의약적 임상응용 고찰

        류홍선,송애진,정명수,Ryu, Hongsun,Song, Aejin,Chong, Myongsoo 대한예방한의학회 2016 대한예방한의학회지 Vol.20 No.1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classify and analyze literature related to moire topography, as a diagnostic device of Korean medicine, discuss research trends and major results, and demonstrate the value of moire topography. Methods : To investigate moire topography research trends, Korean keywords that signify 'moire' were searched in a Korean journal search engine. Initially, 2,988 papers were found in the research, and, after classifying them and removing those that are duplicate in other databases, only 37 papers were applicable for the literature review in this study. To analyze research trends, the 37 papers were analyzed based on the publication year, research field, journal, and research type, and, clinical article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diagnosis purpose, subject characteristics, diagnosis method, test method, and test result, for analysis. Results : Moire topography research in South Korea was first conducted in 1995 and most active in 2003, mostly in the field of Korean medicine. In the journal analysis, The Journal of Korea CHUNA Manual Medicine for Spine & Nerves published the highest number of papers, most of which were clinical articles and the rest were literature review. And, in the analysis of clinical papers, based on the diagnosis purpose, muscle somatotype measurement was most common, followed by diagnosis of scoliosis. In terms of subjects, most studies focused o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in terms of the diagnosis method, other tests were used in most studies. The analysis of moire topography methods showed that most studies measured the shoulder, back, and hip, and the most common measurement method in the studies measured the difference in contour lines on the left and right by designating a central line of the body. In terms of the result, most moire topography brought about significant diagnosis results, and many studies demonstrated its use for musculoskeletal diseases in particular. Conclusions : Moire topography is believed to be highly significant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further research will be needed to support it.

      • KCI등재

        EEG 기반 감정인식을 위한 주석 레이블링과 EEG Topography 레이블링 기법의 비교 고찰

        류제우,황우현,김덕환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19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Vol.15 No.3

        Recently, research on emotion recognition based on EEG has attracted great interest from human-robot interaction field.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labeling using image-based EEG topography instead of evaluating emotions through self-assessment and annotation labeling methods used in MAHNOB HCI. The proposed method evaluates the emotion by machine learning model that learned EEG signal transformed into topographical image. In the experiments using MAHNOB-HCI database, we compared the performance of training EEG topography labeling models of SVM and kNN. The accuracy of the proposed method was 54.2% in SVM and 57.7% in kNN. 최근 뇌파를 기반으로 한 인간의 감정을 인식하는 연구가 인간-로봇 상호작용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MAHNOB-HCI에서 사용된 자기평가와 주석 레이블링 방법과는 다른, 이미지 기반의 뇌파 Topography를 이용한 레이블링을 통해 감정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뇌파 신호를 Topography의 이미지로 변환하여 기계학습 모델을 학습하고 이를 기반으로 Valence 기반의 감정을 평가한다. 제안한 방법은 레이블링 과정을 자동화하여 지연 시간을 없애고 객관적인 레이블링을 제공할 수 있다. MAHNOB-HCI 데이터베이스를 적용한 실험에서 SVM, kNN의 기계학습 모델을 학습하여 주석 레이블링과 성능 비교를 하였으며, 제안 방법의 감정인식 정확도를 SVM에서 54.2%, kNN에서 57.7%로 확인하였다.

      • KCI등재

        백제 사비도성 고지형면 복원의 시론적 검토-GIS분석법을 활용하여-

        양숙자,김성태,조용태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15 고문화 Vol.86 No.-

        This research will focus on the reconstruction of Sa-bi period(in Baekje) topography(geomorphic surface) for use spatial statistics technique(kriging) through strata of historical site. As a result, We reconstruct historical topography that reflect characteristic of research site and recognize complexion that valley width and depth of past topography is bigger than present. Past topography of Gu-a ri area in Buyeo show the valley in southwest slope of Mt.Bu-so and the valley evolve upper shallow valley in present topography. Hence, past topopgraphy progressed erosion cause by stream or gully. In addition to that, topographic profile line based in road remains of Guan-Buk ri site setted for identification of topographic characteristics. As a result, high possibility of remains loss by denudation(or grading) can be observed in southern part of Guan-Buk ri site that across profile line A-A' and the complexion, estimate at recession of watershed by headward erosion revealed in southern part of Buyeo Girls’High School. And that means watershed of past topography in Ssang-buk ri area must be biased to eastward approximately 50m. Profile line A-A' traverse slope distal of Mt. Bu-so and watershed. Northern hill distal of Junglimsaji in profile line B-B' show complexion of artificial grading (or dissection) and place in Junglimsaji show strong sedimentation. Profile line B-B' traverse connected valley plain that start in southern place of Buyeo Girls’ High School and western slope of Mt.Keumsung. 본 연구에서는 백제 사비기의 고지형면 복원을 위하여 부여 사비도성 내 발굴 유적의 백제 사비기층의 해발고도값을 이용하여 공간통계학적 기법 중 하나인 크리깅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연구지역의 특성이 반영된 고지형면을 복원할 수 있었으며, 현재의 지형면에 비해 고지형면의 곡의 폭과 깊이가 컸던 양상이 확인되었다. 특히 부여읍 구아리 일대의 고지형면에서는 부소산 남서사면의 말단에서 곡이 확인되었고 곡의 상부인 현 지형면의 천곡(淺谷)과 연속적으로 발달하여, 해당지점의 사비기 고지형면은 우곡 또는 항상천(恒常川)에 의해 침식이 진행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지형면의 지형적 특질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관북리 유적의 도로유구를 기준으로 측선을 설정, 단면 양상을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측선A-A'가 통과하는 관북리 유적 다 지구의 남쪽은 지형의 삭평으로 인한 유구의 유실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고, 현재 부여여자고등학교 남쪽 일대에서 곡두의 두부침식(頭部浸蝕)으로 인한 분수계의 후퇴로 추정되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즉 사비기의 쌍북리 일대 해당 지형면의 분수계는 지금보다 동쪽으로 50m 가량 치우쳐 있었던 것으로 생각되며, 측선 A-A'는 부소산의 사면 말단과 분수계를 가로지르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측선 B-B'의 경우 정림사지 북쪽 구릉의 말단에서 현지형면을 지시하는 등고선의 인위적인 삭평(혹은 절개)양상이 확인되었고, 정림사지가 위치한 지형면에서 퇴적 양상이 가장 강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측선 B-B'는 부여여자고등학교 남쪽 일대에서 시작하는 곡저와 금성산 서쪽사면에서 시작하는 곡저가 연결되는 지점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양상을보이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Experimental study on the evolution of chip morphology, chip formation, and surface topography with cutting parameters, and their relationships in dry milling of cast aluminum alloy with PCD inserter

        Xuelin Chen,Jin-Yuan Tang,Han Ding,Anmin Liu 대한기계학회 2021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35 No.4

        The evolution of chip morphology, chip formation, and surface topography (Ra, Rz) with cutting parameters has become an increasingly important way to achieve higher manufacturing efficiency and better surface topography. In this investigation, the relationships of chip morphology, chip formation, and surface topography with respect to cutting parameters are developed in dry milling of cast aluminum alloys with a PCD inserter. The feed rate affects the surface roughness, although no unanimous trend is observed between cutting parameters and surface topography. Surface crack propagation directly affects the saw-tooth chip morphology and the surface topography. The chip morphology is transformed from saw-tooth to continuous type at a chip deformation ratio of 3; chip deformation ratios of 2.5, 1.875, and 1.25 achieve cutting velocities of 32.71, 35.98, and 39.25 m/s, respectively, in which a continuous chip is formed by surface crack propagation and the predominant effect of thermal softening and surface topography is significantly improved.

      • KCI등재

        토성(土城)의 공간구조 특성 연구

        이상석 ( Lee Sang Seok ),장미란 ( Jang Mi Ran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형에 의한 입지, 평면 및 단면 형태 등 토성의 공간구조적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사적이나 시도기념물로 지정된 37개소의 토성을 대상으로 문헌연구, 현장조사, 지형자료조사, 지형과 공간구조와의 관계 분석이 이루어졌다. 토성의 공간구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지형 토성은 강이나 천과 같은 수계와 인접하였으며, 토성의 평면 형태는 정형적이었으며, 토루의 단면 형태는 단일경사의 사다리꼴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구릉지형 토성은 1.5km이하의 근거리에 수계가 존재하는 곳이 70%이상을 차지했다. 평면 형태는 부정형이 73%이상으로 가장 많았고, 토루의 단면 형태는 테두리형과 산탁형이 86%이상을 차지하였다. 셋째, 산지형 토성은 1.5km이하의 근거리에 수계가 존재하는 곳이 59%이하로 평지형이나 구릉지형에 비해 외부 수계 의존도가 낮았다. 평면 형태는 부정형이 67%이상으로 주류를 이루었으며, 토루의 단면 형태는 단일경사방식의 테두리형과 산탁형이 94%이상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patial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earthen walled fortresses based on topography, which are locational and Plane morphology, Cross sections of earthworks. Target areas of this study are 37 earthen walled fortresses which are designated as cultural properties. This study is conducted with methodologies of literature review, field investigation, investigation on topography materials and relation analyses of topography&spatial structure. The results from study on spatial structure of earthen walled fortresses are as follows. First, Earthen walled fortresses on flat topography were adjacent to water systems like rivers or streams. Plane morphology showed regular shapes. The cross section morphology presented trapezoid the most with earthworks of which outer and inner walls were built. Second, More than 70% of earthen walled fortresses on hilly topography had water system within close range of approximately 1.5km. Plane morphology was mainly with more than 73% of irregular types. Cross sections of earthworks were of morphology with more than 86% of bordered type and another type leaning against existing topography like mountains. Third, 59% of earthen walled fortresses in mountain areas had water system within their close range, which indicated that they depended on external water system less than those with hilly topography. Plane morphology was mainly with more than 67% of irregular types. Cross sections of earthworks were of monoslope method with more than 94% of bordered type and another type leaning against mountai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