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석교사의 리더십 발휘 모습과 의미 탐색: 교사리더십을 발휘하는 한 수석교사에 관한 질적연구

        문지윤 한국교육행정학회 2022 敎育行政學硏究 Vol.4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수석교사의 리더십 발휘 모습을 탐색하는 것을 통해, 수석교사의 리더십 발휘 모습의 특징과 의미에 대해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교사와 교육행정가로부터 인정 및 추천받는 수석교사 1인을 심층면담하여 질적연구방법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수석교사는 학생들에게 진짜 배움을 위한 리더십, 교내 교사를 아우르는 리더십, 교육공동체 발전을 위한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석교사의 리더십은 구성원들에게 신뢰를 주었으며, 함께 협력하는 공동체적인 성격과 교사 개개인이 주도적으로 임할 수 있도록 힘을 갖게 하는 등의 특징을 가졌다. 아울러 수석교사의 리더십 발휘의 의미는 직책에 의존하는 것이 아닌, 수석교사로서의 전문성과 친밀한 관계형성을 통해 학생과 동료교사를 성장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결과는 수석교사의 리더십 발휘 모습에 대해 탐색하고 특징과 의미를 밝혀내는 것을 통해, 수석교사의 리더십 발휘에 대한 실제 및 이해를 가능하게 해주며, 수석교사제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주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aster teachers and their leadership display in practice as well as its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To achieve this goal, one master teacher, who was widely accepted amongst colleagues and management, was recruited for in depth interviews for qualitative study purpose. As for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master teacher displayed leadership for (a) true learning; (b) colleagues; as well as (c) advancement of educational community. Furthermore, leadership of a master teacher provided trust amongst group members, encouraged communal collaboration and allowed each and every teacher to have power to actively participate and lead. The significances of leadership display by a master teacher is that leadership display is not depended on titles, but to develop both the teacher and the student through building intimate relationships and utilizing professionalism of master teacher. The study results allow the understanding of leadership display of master teacher in practice, through examining its actual display and exploring its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as well as its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

        수석교사제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 유치원 기관유형 중심으로

        김안나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학논집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수석교사제도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서울과 대전에 근무하고 있는 공사립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2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들은 수업 전문성을 가진 교사가 우대받는 교직 풍토를 조성하기 위해 수석교사제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반면 수석교사제의 구체적인 내용은 정확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은 수석교사의 선발기준에 대해 교육경력 10년 이상인 자가 적합하다고 보았으며, 동료 교사 평가가 선발 전형기준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수석교사의 선발인원에 대해서는 공사립유치원간에 인식의 차가 나타났다. 공립유치원 교사의 경우, 전체교원의 10%라고 보았으며 사립유치원 교사는 유치원 당 1명의 수석교사가 배치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보였다. 셋째, 유치원 교사들은 수석교사란 수업에 전문성을 가진 교사라고 인식하며 수업지원활동이 그들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고 보았다. 한편, 수석교사의 적절한 주당 수업시간에 대해서는 공사립유치원 간의 인식의 차를 보였는데 공립유치원 교사의 경우, 주당 3-4시간 이하라고 응답한 반면 사립유치원 교사는 주당 7-8시간 이하가 적절하다는 인식을 보였다. 넷째, 유치원 교사들은 수석교사 임기가 2년 중임이 적절하다고 보았으며, 원감 수준의 지위로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수석교사의 적절한 연구 활동비는 월 30만원 이상 되어야 한다고 보며, 특별연구비 지원이나 연구년 등의 인센티브가 제공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다섯째, 유치원 교사들은 수석교사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수석교사 역할의 명시가 필요하며, 평교사들의 업무 및 수업부담 가중이 생기는 것을 우려하고 있었다. 한편 유치원 교사들은 수석교사제를 통해 교원들의 수업전문성이 신장될 것이라는 희망을 보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수석교사제도의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을 밝히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find out the awareness of kindergarten teachers about "Master teacher system". To this end, a survey of 281 teachers working in public/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and Daejeon was carried ou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considered Master teacher system as a good opportunity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qualified and specialized teachers can be given preferential treatments and thought it is necessary. On the other hand, they had no details about the system. Second, kindergarten teachers thought that master teachers should be appointed among teachers with more than ten years of work experience and considered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Moreover, they thought that performance and achievements in leading classes inside/outside classes are the most important among the list of standards for selecting a master teacher. Teachers at public kindergartens answered that the proportion should be 10 percent out of all. Meanwhil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hought that a master teacher should be appointed in every kindergarten. Third, kindergarten teachers considered a master teacher as a teacher with professionalism and specialty for class and their pivotal role is to support class. Meanwhile, as for proper weekly class hours of a master teacher, there have been differences of awareness betwee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answered it should be less than 4 hours weekly. On the other hand, teachers at private kindergartens thought that it should be less than 8 hours per week. Fourth, kindergarten teachers considered that a master teacher can be reappointed for 2 consecutive years at a level of vice-director of a kindergarten. Meanwhile, they thought proper payments for research activities should be more than 300,000 won per month and support for special research and study years should be provided as means of an incentive. Fifth, kindergarten teachers answered that a clear role of a master teacher should be designated so that Master teacher system can b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operated. At the same time, they worried that normal teachers' burden of duties and classes would increase when the new system comes into place. Furthermore, they hoped that this new system would increase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specialization in clas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s above is expected to positively influence discovering a desirable way for implementing the Master teacher system.

      • 제주지역 초등교사의 수석교사제 운영에 대한 인식

        김민정(Kim Min Jung) 제주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2 초등교육연구 Vol.- No.16

        본 연구는 수석교사제 운영과 법제화에 대한 제주특별자치도내 초등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효율적인 수석교사제 실시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저경력 교사나 수석교사와 근무한 경험이 없는 교사인 경우에는 수석교사제에 대해 잘 모르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수석교사제 도입에 따른 영향으로 교수·학습풍토 조성, 교사의 교수활동 향상에 기여, 교단 교사로서의 긍지를 높인다 등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으나 승진 과열 현상을 완화한다는 내용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수석교사제의 법제화 방안과 관련하여 주당 수업 시수, 연구 활동 지원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수석교사제가 바르게 정착되기 위해서는 수석교사제에 대한 홍보를 통하여 교직사회의 관심을 제고하고, 충분한 교원확충 및 예산을 확보해야만 한다. 또한 수석교사를 포함한 승진체계 및 교수직체계에 대한 후속 입법과 수석교사의 역할에 대한 규정이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보완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model operation of the master teacher system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finding ways to implement an efficient master teacher system, through surveying teachers perception on the operation of the master teacher system and on the legislated plan of the master teacher system. It was found that teachers of limited experience or teachers having no experience of working with a master teacher often didn t know well about the master teacher system. As for the effects of the introduction of the master teacher system, it was found that they had a positive perception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master teacher system, as they responded, It contributes to improvement in a teacher s teaching activities as well as to the creation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climate. or It raises pride as a teacher.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y had a negative perception on the argument that the system eases the heated competition of promotion. As for the survey of perception on the legislated plan of the master teacher system, they had opinions difference in perception on class hours per week and the support fund for research activities, which may be construed as requiring more accurate definition. First of all, to stimulate interest about master teacher system, we need to promote master teacher system to teaching society and also to public. At the same time we need to expand number of teachers and budget sufficiently. In addition, legislative activities are required to define promoting system including master teacher and teaching position system. Also I suggest to have more studies to get social agreement about role of master teacher s role.

      • KCI등재

        수석교사제의 효과적인 운영방안 모색: 수석교사와 동료교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조성만 ( Sung Man Cho ),김병윤 ( Byeong Yun Kim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교육연구논총 Vol.31 No.2

        본 연구는 교사의 승진경쟁 완화 및 교수활동 리더십 강화를 위해 2008년 3월부터 시범운영 되고 있는 수석교사제 실태를 분석하여, 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수석교사제의 시범운영 인식 관련 4가지, 수석교사의 역할 및 위상 관련 8가지 항목을 중심으로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전국 16개 시·도에서 선발된 138명의 수석교사와 1,595명의 동료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수석교사는 ``동료의 전문성 신장 기여``에 70.4%(수석교사 93.5%), ``가르치는 교사 우대 풍토 조성``에 68.9%(수석교사 90.6%), ``승진과열 현상 일정 부분 해소`` 57.5%(수석교사 90.6%), ``수석교사로 인해 전문성 향상 자극`` 54.9%(수석교사 89.8%)가 긍정적으로 응답했다. 또한 ``역할이 모호하다.`` 65.9%(수석교사 70.3%), ``동료교사의 수업부담 가중`` 55.9%(수석교사 47.9%)가 ``그렇다`` 이상으로 답했다. 수석교사제 유지 및 보장 방식에서 동료교원은 ``자격취득 후 재임명제(52.1%)``를, 수석교사는 ``자격취득 후 영구직제(37.0%)``를 선호했고, 적절한 지위는 동료교원(36.1%), 수석교사(47.1%) 모두 ``교감=수석교사``의 지위를 선호했으며, 수석교사와 관리직과의 인사교류는 동료교원(반대 56.9%), 수석교사(반대 50.7%) 모두 반대 의견이 높았다. 수석교사제 도입을 위한 선결과제로 동료교원은 ``수석교사 수업감축으로 인한 교원충원(40.9%)``을, 수석교사는 ``교직사회 내 인식 확산(34.1%)``을 선결과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수석교사제의 성공적 도입과 정착을 위해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역할과 위상에 적합한 제도 정비, 처우 개선 등을 중심으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s aim to analyze the conditions of master teacher system, which has been pilot operated since March 2008.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al conditions of the master teacher system and master teachers` role and status, 138 master teachers and 1,595 peer teachers of 16 each city and province responded to a survey. The survey said that the master teacher system has positive effects such as ``increasing the speciality of peer teachers``(70.4%, the master teachers` response 93.5%), ``creating a climate to give preference to the teachers who teaches in the class``(68.9%, the master teachers` response 90.6%), ``reducing the promotion competition``(57.5%, the master teachers` response 90.6%) and ``getting a stimulus to improve their speciality from master teachers``(54.9%, the master teachers` response 89.8%). On the other hand, The survey also showed the results such as ``the ambiguity of the master teachers`` roles`(65.9%, the master teachers` response 70.3%), ``giving the other teachers a burden to get more classes``(55.9%, the master teachers` response 47.9%). For the sake of maintaining and guaranteeing the master teacher system, peer teachers prefer ``being appointed after getting a certificate``(51.2%) and master teachers prefer ``the permanent job after getting a certificate``(37.0%). For the appropriate status of master teachers, peer teachers and master teachers expect the concept of ``vice principal=master teacher``. For the high priority of initiating the master teacher system, while peer teachers think about adding more teachers, master teachers consider growing awareness to other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for the successful introduction and settlement of the master teacher system, this study gives some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system.

      • KCI등재

        사회과 수석교사의 역할형성과 갈등상황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변정현(Byun Junghyu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3 사회과교육 Vol.52 No.3

        현재 일선 학교에서는 현장의 교사가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에 전념할 수 있는 교직문화를 조성하고 수업 전문성을 가진 교사가 우대 받는 교직 풍토를 만들기 위해 2012년부터 수석교사 제도가 본격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중 초등학교 사회과 수석교사가 교육현장에서 요구받는 역할 기대와 함께 수석교사들이 겪는 스트레스와 고민 등에 관해 살펴보고 사회과 수석교사의 역할 형성과 갈등과 상황 그리고 이에 대한 해결과정 등의 사례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현재 세계 각국은 교사들의 수업 전문성 향상과 학생들의 학습력을 높이고자 다양한 정책과 활동을 운영하고 있는데 현재 실시되고 있는 사회과 수석교사제의 운영 및 수석 교사들의 교육 활동과 고충 등을 제대로 살펴봄으로써 사회과 수석교사제도에 대한 좀 더 바람직한 정책과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운영이 가능할 것이다. 교사의 전문성과 그 중요성이 더해져 가고 있는 상황 속에서 사회과 수석교사의 올바른 위치와 역할을 정립하고 수석교사 제도가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사회과 수석교사의 올바른 역할 형성을 위해서는 체험적이고 실체적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B광역시의 다섯 명의 초등학교 사회과 수석교사의 경험적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회과 수석교사의 선발과 활동에 있어서의 어려움, 관리자와 동료 교원으로 부터의 갈등과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사회과 수석교사로서의 자리매김을 위한 노력과 수석교사로서의 보람과 긍지 등의 사례를 살펴 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ole expectations for social studies master teachers and the stress and difficulties of these master teachers in an effort to make a case analysis of their role establishment, conflicts, situations and conflict-resolution process. The master teacher system has been carried out since 2012, and it’s meant in this study to create the kind of culture that teachers could be entirely dedicated to teaching and that teachers with superb teaching professionalism would be highly regarded. Every country in the world pushes ahead with a wide variety of policies to enhance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nd the learning capabilities of students, and the master teacher system has been introduced in our country as one of efforts to make it happen as well. It will be possible to determine the right directions for the social studies master teacher system and to ensure the efficiency of it if the way of running this system, the teaching of master teachers and their troubles are accurately investigated. The importance of teacher professionalism is increasingly stressed with the lapse of time, and experiential, substantial research efforts should be made to define the right position of social studies master teachers and step up their role establishment to improve the usefulness of the master teacher system. An experiential case study was implemented in this study after five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master teachers were selected from the city of B, and it was possible to look into the selection of master teachers, their difficulties, conflicts with school administrators and colleagues, stress, what efforts they made to entrench themselves as master teachers and when they felt proud and found it rewarding to serve as master teachers.

      • KCI등재

        수석교사제의 법제화가 학교 현장에 미치는 영향

        박인옥(Park, Inock)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2012년 강원도 수석교사제의 운영 과정을 통해 학교 변화를 고찰함으로써 법제화된 제도로서의 수석교사제가 현장에서 가지는 교육적 역할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델파이조사(수석교사 8명)와 심층면담 조사(수석교사 4명과 일반교사 3명)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2차례의 질문지 조사로 운영 실태와 변화를 탐색하였으며, 심층면담은 반구조화된 방식으로 3~5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다. 조사 결과, 법제화에 따른 학교 변화는 학교마다 조금씩 다른 양상으로 변화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변화된 특징으로는 교육의 질적 변화를 추구하려는 분위기가 조성되기 시작하고, 수석교사는 법제화로 심적으로 당당하고 떳떳하다는 인식으로 수석교사의 적극적인 활동 의지가 증가되었으며, 신임교사와 저경력교사를 중심으로‘수업의 전문성 신장’의 기회가 증가하고, 다양한 입장과 상황에 따라 수석교사와 교원간의 관계 형성에 변화가 생긴 것 등이다. 이러한 소극적 변화에 대한 원인은 제도의 상대적 이익의 차이, 학교 문화의 복잡성, 제도와 지원체제의 미비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록 수석교사제가 법제화가 되었다할지라도 현장에서 법제화의 교육적 역할은 아직까지는 미약하여 그 역할의 한계가 여전히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수석교사제가 성공적으로 교육현장에서 정착하기 위한 발전 방안으로 수석교사의 명확한 직위와 역할 설정, 수석교사의 질적 수준 확보, 수석교사와의 협력적인 관계 형성 등의 제도적 차원뿐만 아니라 구성원들의 인식적 차원에서의 다양한 노력과 개선이 요구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As a study on the 'Master Teacher System' that was initially carried out through legislation in 201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measures for its successful settlement by analyzing the educational roles of the Master Teacher System in accordance with legislation, based on the actual condition of operating the Master Teacher System and teachers' perception in the Gangwon-do province. This study conducted a Delphi survey for eight master teachers and an in-depth interview method for seven teachers of 47 schools within the Gangwon-do area.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changes of school in accordance with legislation were shown differently for each school. They started having an atmosphere to pursue qualitative changes in education as master teachers who became mentally confident and honorable owing to legislation had increased activity wills. Focusing on new teachers and less experienced-teachers, the opportunity of 'increasing professionalism of classes' was increased as there were also changes in relations between master teachers and teachers dependent on various positions and school conditions. Though the Master Teacher System was legislated, the educational roles which are 'building a climate in which teachers with professionalism are given preferential treatment' and 'strengthening professionalism of the whole teachers' are still insufficient at showing the limits of these roles. Thus we suggest that development measures including setting up clear position and roles of master teachers, securing qualitative level of master teachers, and forming cooperative relations with master teachers be introduced.

      • KCI등재

        강원도 수석교사제의 운영 성과 및 요구에 관한 조사 연구

        박인옥(Park, In-Oc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6

        본 논문은 시범운영 이후 법제화를 통해 처음 실시된 ‘수석교사제’에 관한 연구로, 강원도 지역의 수석교사제 운영에 관한 실태 및 교사들의 요구 사항을 조사하여, 앞으로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발전 방안을 탐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이에 강원도 내 43명의 수석교사와 43개 학교의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총 400개의 설문지가 학교에 배포되었으나, 회수된 설문지는 총 318개로, 318개의 설문지를 기초로 SPSS Statistics 20을 이용하여 교차분석, T 검증, One-way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교사들은 수석교사제의 운영 성과에 긍정적인 의견과 어느 정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석교사제의 운영 성과에 대해 정적 성과(76.7%)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둘째, 많은 교사들이 수석교사제의 필요성을 인식하나, 여전히 제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편이었으며, 셋째, 법제화 이후에도 수석교사의 역할이 모호하기 때문에 역할 수행을 위해 명확한 역할 설정과 직무상의 우대를 제안하였다. 따라서 비록 수석교사제가 법제화가 되었다 할지라도 법제화된 수석교사제의 ‘수업 전문성을 가진 교사가 우대받는 풍토 조성’과 ‘전체 교원의 전문성을 강화’라는 교육적 역할은 아직까지는 미약한 것으로, 그 역할의 한계가 나타나고 있었다. 이에 발전 방안으로 학교 관리자 및 동료 교사와의 마찰을 막고 수석교사의 역할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수석교사의 명확한 직위와 역할을 설정해 줄 것과 객관적인 선발 기준과 투명한 선발 절차에 의해 수석교사의 질적 수준을 확보할 것 그리고 교원들과 수석교사와의 협력적인 관계 형성의 중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As a study on "Master Teacher System" that is initially carried out through legislation in 201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measures for its successful settlement by analyzing the educational roles of Master Teacher System in accordance with legislation, based on the actual management condition of operating Master Teacher System and teachers" perception in Gangwon-do region. This study conducted survey for 43 master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of 43 schools within Gangwon-do, which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using SPSS Statistics 20. 400 survey sheets were distributed to the school for teachers, 318 of which were received and treated for frequency, cross-tab, T-test and one-way ANOV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urv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rist, teachers show a positive opinion on outcome of the Master-teacher system. Second,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of the Master Teacher System but had a poor understanding of the system. Third, teachers recognized an unclear role of master teacher in accordance with legislation,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set a clear role and give priority to treatment of master teacher in order to operate the Master Teacher System. Though Master Teacher System was legislated, the educational roles which are "building a climate in which teachers with professionalism are given preferential treatment" and "strengthening professionalism of the whole teachers" are still insufficient as showing the limits of the roles. Thus we suggested the development measures including setting up clear position and roles of master teachers, securing qualitative level of master teachers and forming cooperative relations with master teachers.

      • KCI등재

        교원들이 인식하는 수석교사제의 문제점, 원인 및 개선 방향 : Bolman & Deal의 조직 프레임을 활용한 분석

        장덕호,백선희,김한나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수석교사제의 문제점, 원인 및 개선 방향을 Bolman & Deal(2003)의 네 가지 조 직인식 프레임, 즉, 구조적, 인간자원적, 정치적, 문화상징적 프레임들을 통해 심층적으로 진 단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교사, 수석교사, 교감, 교장 그룹별로 중점 집단 면담(Focus Group Interview)을 수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각 프레임별로 드러난 문제점, 원인 및 개선 방향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구조적 프레임에서 참여자들은 법제도상의 뒷받침 부족으로 인한 수 석교사 지위 및 역할의 불분명성과 불안정성을 매우 심각한 문제로 보고, 수석교사의 교내 법적 지위와 역할을 보다 명확하고 근본적으로 규정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인간 자원적 프레임에서는 수석교사의 선발과정에서 보다 엄격한 기준의 마련을 통하여 준비되고 역량 있는 수석교사의 선발과 지속적인 연수를 통한 수석교사 역량의 함양이 필요함을 확인 하였다. 정치적 프레임에서는 수석교사와 교감과의 관계 및 권한 상의 갈등을 큰 문제로 지 적하였고, 해결책으로 수석교사의 전문성 고취와 함께 갈등 해결을 위한 리더십 및 대인관계 기술·기법의 함양이 필요함을 발견하였다. 문화상징적 프레임에서는 수석교사제가 위계적·연 공서열 문화와 학교조직의 이중적 속성으로 인해 제약받고 있으며, 대안으로 수업중심 학교 문화 조성과 이를 주도할 수 있는 수석교사의 교수 리더십(instructional leadership)의 함양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issues, causes, and possible solutions of Master Teacher System using Bolman & Deal’s reframing approaches, which are developed to provide solutions for issues and problems occurring at an organization. To this end, five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within a group of each position such as general teacher, head teacher, master teacher as well as principal and deputy principal.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FGIs, the issues, causes and possible solutions for those issues were revealed. First, in terms of the structural frame, the FGI participants raised the issue of unclear status and roles of master teachers due to an unclear law regarding master teacher system, and then suggested to bolster a law to support master teachers’ legal status and roles. In terms of the human resource frame, the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argued to make a system for selecting master teachers more rigorous so that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can acknowledge master teachers’ professional abilities. From the political frame, the participants pointed out the issues of politics and conflicts between master teachers and deputy principals, who have had the most similar status and roles with master teachers. As a possible solution for the issue, master teachers were suggested to have leadership skills to establish good relationships with others including deputy principals in schools. From the symbolic frame, the master teacher system, which includes the nature of horizontal culture, has conflicted with hierarchical and seniority-based culture which has dominated Korean schools. As a solution for the issue, the FGI participants suggested for master teachers to foster instructional leadership in order to lead teaching-oriented culture.

      • KCI등재

        수석교사제 적용 사례 연구: 제주특별자치도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강은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3 敎員敎育 Vol.2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improvement for the master teacher system. To do this, I first analyzed the current laws and legal issues related with the master teacher system. Then, I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both master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to find out situations and problems with this master teacher system. Following depth-interviews with the 3 master teachers and 5 general teachers and analysis of the data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their experiences were summarized as follows: a power of legislation, the stress of the first button, for the purpose of a two-way career development structure, competitive master teachers. From the results of my research,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status and role of a master teacher should be revised in the law. The details manual concerning the duties of the master teacher should be produ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is would ensure that a training system would be developed and the master teacher would be held to high standards. Then it need to promotion and training for general education teachers on master teacher system. 본 연구는 수석교사제 법제화의 내용과 쟁점을 살펴보고, 교사들과의 면담을 통해 현재 실시되고 있는 수석교사제의 적용 상황, 문제점을 파악한 뒤 현창 착근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제기된 수석교사제 관련 법령 쟁점 사항으로는 이원화 체제와 관련된 수석교사제 도입 목적의 문제, 수석교사의 위상과 역할 문제, 수석교사 자격요건과 선발기준 문제가 있었다. 제주특별자치도 초등학교 수석교사와 일반교사 8명을 심층 면담한 후, Colaizzi의 자료분석 방법에 의해 수석교사제 관련 경험을 들여다 본 결과, 법제화의 힘, 첫 단추의 스트레스, 이원화 취지에 맞게, 경쟁력 있는 수석교사라는 4개의 주제로 정리할 수 있었다. 수석교사제 관련 쟁점과 교사 면담을 통해 제기된 문제들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수석교사 지위에 대한 합의, 수석교사의 질 강화 노력, 업무 규정과 세부 매뉴얼 제작, 일반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연수 및 홍보 확대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수석교사제 시범운영의 비판적 검토

        김희규(Kim, Hee-Kyu)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9 敎育思想硏究 Vol.23 No.2

        본 연구는 수석교사제 시범운영 과정을 비판적 관점에서 검토해 보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수석교사제는 가르치는 일에 전념하는 교사가 우대받는 교직 풍토를 조성하고 지속적인 능력개발과 교단의 학습조직화를 구축하기 위해 1년간(2008.3~2009.2) 시범적으로 운영하였다. 이러한 시범운영 과정이 수석교사제의 성격에 부합하는지를 쟁점 사항별로 검토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석교사 직무의 명료성은 직무분화와 교사 발달의 특성을 고려하여 역할 규정을 명세화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교수직과 관리직의 교류 여부는 우선 교직의 특성을 반영한 자격과 직급체계로 개념화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경력의 적정성 여부는 수업 전문성과 교직문화를 동시에 고려해야 하며, 끝으로 수석교사에게는 학생을 위한 사랑, 수업에 대한 열정, 동료교사와의 지식공유 등의 교육적 가치와 신념이 요구되어 진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hilosophical implication and critical review newly proposed Master Teacher Program. Many teachers want to be promoted educational administrators. Because there is not a promotion system for as Master teacher. This situation doesn’t encourage teachers’ effort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mutual cooperation. We need Master Teacher Program for encouraging cooperative professional development. Master Teacher should be a leader of teacher’s learning organization. Master Teacher should help teachers to share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and to learn how to develop their professional capacities together. In conclusion, this study would reduce the resistance towards newly proposed Master Teacher for creating teachers’ learning organization. Because this program enables teachers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Based on the findings, a few recommendations were made to improve and extend newly the pilot operation for master teac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