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원(道原) 류승국(柳承國)의 사상을 통해 고찰한 한국철학의 현대적 역할 — 생명⋅상생⋅평화⋅조화 정신을 중심으로 —

        강보승 한국철학사연구회 2024 한국 철학논집 Vol.- No.81

        본고는 현대 한국철학계의 석학 도원 류승국의 사상으로부터 한국철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도출하고, 현대사회 문제의 해결을 위한 한국철학의 역할을 살펴보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도원은 한국철학 전반에 대한 깊은 이해와 세계사적 안목을 바탕으로 한국 고유의 사상적, 철학적 특질을 통찰하였는데, 그가 제시한 한국철학, 사상, 문화의 특질은 생명과 조화, 평화와 상생으로 규정될 수 있다. 또한 도원은 역사를 순환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이 시대를 물질문명 발전의 정점으로 규정하면서 수렴과 조화의 후천 시대가 도래했다고 판단하였다. 도원은 한국철학의 특질 제시와 역사의식을 바탕으로 도원은 과학기술이 인간을 위해 존재해야 함을 강조하면서 철학의 방향이 ‘인간’을 향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또한 과학기술과 종교, 즉 형이하와 형이상이 균형을 이루어야 하며, 인간의 주체적 제어로 양자 모두 인간을 위하여 기능해야 현대사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도원은 인간이 과학과 종교를 제어하고 진정으로 인간다운 세상을 열기 위해서는 한국철학의 핵심 정신인 평화, 상생, 생명, 조화의 정신을 실천해야 한다고 보았다. 세계가 지구촌으로 하나가 되어가면서 국가 간 민족 간 소통과 협력이 필수불가결하게 되었으므로, 한국철학의 핵심 정신은 미래사회에 더욱 중요한 가치가 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도원은 실천 방안을 제시하지 않았으므로, 한국철학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실천해야 하는 과제가 남게 되었다. 필자의 견해로 그 과제를 제시하면, 첫째, 한국철학 정신을 초등⋅중등⋅고등 교육에 반영해야 하며, 둘째, 정치⋅사회 분야에 한국철학 정신과 경세론을 투영시켜야 한다. 셋째, 방송과 언론, 미디어를 활용하여 한국철학을 대중에 알리고, 넷째, 전공자들의 객관적⋅과학적 연구로 유용성 있는 연구 성과를 도출하여 현대인들이 한국철학 정신을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is paper is an exploratory study to derive the direction in which Korean philosophy should move from the thoughts of Dowon Ryu Seung-guk, a scholar in modern Korean philosophy, and to examine the role of Korean philosophy in resolving modern social problems. Dowon uncover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original thought based on a deep understanding of Korean philosophy and Eastern philosophy in general and an insight into world histor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hilosophy he presented can be defined as life, harmony, peace, and coexistence. In addition, Dowon believed that history was cyclical and defined this era as the peak of material civiliz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hilosophy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times, Dowon emphasized that even if science and technology are great and convenient, they must exist for the benefit of humans, and emphasized that the direction of philosophy's inquiry should be ‘humans.’ He also argued that science, technology and religion must be balanced and that both function for the benefit of humans to solve the problems of modern society. In addition, he emphasized that in order for science and religion to function for humans, humans themselves must be able to independently control both. Dowon believed that in order for humans to control science and religion and open a truly humane world, they must practice the values of peace, coexistence, life, and harmony, which are the core spirit of Korean philosophy. He argued that as the world becomes one as a global villag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countries and peoples have become essential, so the core spirit of Korean philosophy will become an even more important value in future society. However, since Dowon did not suggest concrete measures to be implemented in reality, he left to future generations the task of setting up and putting into practice the role of Korean philosophy in detail. The tasks presented are as follows. First, the spirit of Korean philosophy must b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so that schools can teach it. Second, the spirit of Korean philosophy must be incorporated into the political and social fields. Third, broadcasting, journalism, and media should be actively utilized to inform the public of the spirit of Korean philosophy. Fourth, researchers majoring in Korean philosophy should help modern people understand and accept the spirit of Korean philosophy by deriving useful research results through objective and scientific research.

      • KCI등재

        『한국철학논집』의 논문 분류 및 두 학자의 논문 분석 ― 제1집에서 제55집까지 ―

        황광욱 ( Hwang Kwang-oo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8

        본 논문은 ‘한국철학사연구회’의 발족 30주년을 맞이하여, 그 학술지인 『한국철학논집』의 논문 분류와 연구회의 대표적인 학자 두 명의 논문 주제와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한국철학논집』은 1991년 제1집을 부터 2017년 11월 현재까지 총 제55집까지 발간했고, 총 582편의 논문을 소개했다. 582편 가운데 297편의 논문이 한국철학을, 174편의 논문이 중국철학을 다루었다. 한국철학 논문 가운데 198편, 중국철학 논문 가운데 125편이 성리학을 주제로 한 연구이다. 한국철학자 가운데는 정약용이, 중철학자 가운데는 주희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한국철학논집』에 참여한 필자는 모두 203명에 이르는데 이 가운데 이상익이 28편, 최영성이 23편을 게재 하였다. 이상익의 논문 28편에 기초해보면 이상익은 철두철미한 성리학자이다. 그의 연구는 성리학의 성리설과 경세론을 두 축으로 한다. 한편으로는 자신의 성리설을 정립하고 여타 성리설을 비평하고 있으며, 또 자신의 경세 이론을 정립하고 여타 경세 이론을 비평하고 있다. 그리고 현대 사회의 여러 문제에 대한 이론적 제안을 하고 있다. 최영성의 논문 23편에 기초해보면 최영성은 한국유학사상사 분야의 최고 연구자이다. 그의 연구는 그간의 한국유학사상사에 있어 잘못된 인식이나 서술을 바로 잡고, 미진하게 개진된 부분을 계발하는 데 집중되어 있다. 또한 사상사의 연구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상사를 접근하는 철학적 토대 정립을 위해 최치원의 철학 사상을 깊이 연구하고 있기도 하다. 『한국철학논집』과 게재된 논문은 명실상부하며 양적, 질적인 발전을 해왔다. 그러나 『한국철학논집』과 ‘한국철학사연구회’의 지속적인 발전과 훌륭한 학자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의 소생이 반드시 필요하다. This paper analyzes the thesis classification of the "Korean Philosophy Journal" and the subject and characteristics of two representative scholars of the Research Society in commemoration of the 3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Philosophy History Research Society'. The "Korean Philosophy Journal" was published from the 1st edition in 1991 to the 55th edition until November, 2017, and introduced a total of 582 papers. In the meantime, the 'Korean Philosophy History Research Society' became a registered place after being nominated by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Among the 582 chapters, 297 papers deal directly with Korean philosophy, and 174 papers on Chinese philosophy. Among the Korean philosophical theses, the most popular one was the 198th issue, and the Chinese philosophical thesis was the most popular with the subject of theology. Among the Korean philosophers, Chung Yak - Yong and Chinese philosophers Chu Shi were the most studied. Among the writer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Philosophy Journal", 203 were all of them. Among them, Lee Sang Ik published the most articles with 28, and Choi Young Sung was the second with 23. Based on Lee Sang Ik 's thesis 28, Lee Sang Ik is a well - known neo - Confucianism scholar. His research is based on the theory of neo - Confucianism and the theory of secularism. On the one hand, he establishes his own moral theories and criticizes other moral theories. On the other hand he establishes his own governing theory and criticizes other governing theories. And theoretical proposals on various problems in modern society Based on Choi Young Sung 's thesis, 23, Choi Young Sung is the best researcher in the field of studying in Korea. His research focuses on correcting mistaken perceptions and descriptions in the history of study abroad in Korea, and developing the undeveloped parts. In addition, I am looking for a new perspective on the history of studying in Korea. In addition, he has been studying the philosophical thought of Choi Chih Won in order to establish a philosophical foundation for approaching the history of thought rather than just the study of the history of thought. The "Korean Philosophy Journal" has been advanced in quantity and quality, and has develop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Revitalization of the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n Philosophy Department is indispensable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Korean Philosophy Journal" and 'Korean Philosophy History Study Society' and to create excellent scholars.

      • KCI등재

        일제강점기 「신천지」에 발표된 안확의 「조선철학사상개관(朝鮮哲學思想槪觀)」에 대한 고찰

        박홍식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8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16

        An Hwak's philosophical backgrounds were traditional ideas and Western modern ideas. Even though An Hwak criticized Confucianism which was dominant traditional ideas of the Choseon Period, he tried to inherit tradition in an independent position and reform Choseon modernly. 「An Outline of Korean Philosophy」 is the very first writing that used a separated term ‘Korean Philosophy’. In the history of Korean Philosophy, 「An Outline of Korean Philosophy」 is the first of all the writings that mentioned ‘Korean Philosophy’ 「An Outline of Korean Philosophy」 is the first composition that was written in the identity of the written and spoken language. 「An Outline of Korean Philosophy」 is the first writing that regarded thoughts of the general public as an important data of the spirit of the times. 「An Outline of Korean Philosophy」 reflects the purpose of finding and establishing Korean Philosophy by Koreans. 「An Outline of Korean Philosophy」 made it possible to achieve the Cultural Independence of Korean Philosophy from the subordinate relationship with cultural area of a Chinese character.

      • KCI등재

        한국사상에 관한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혁신방안 모색 - 교육부 고시 ‘2015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문제를 중심으로 -

        정연수 ( Jung Yeon-soo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8 儒學硏究 Vol.44 No.-

        본 논문에서는 한국사상을 배울 수 있는 교육기회가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구조적인 문제와 한국사상이 담긴 고등학교 도덕과 교과서의 구성 및 내용에 관한 문제를 제언함으로써 한국사상에 관한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혁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현재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한국사’는 ‘국어’와 더불어 모든 학생들이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할 기초 영역의 공통 과목으로 지정되어 있으나, ‘한국사상’은 교과목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기형적인 교육구조로 편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인으로서 정체성을 확립하고 인성을 함양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바로 한국사상에 관한 교육임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교육현실은 제도적으로 한국사상을 배울 수 있는 기회조차 얻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처럼 유독 자기나라의 언어와 역사에 관한 교육은 강조되면서도, 자기나라의 인문정신이 담긴 철학과 사상을 배울 수 있는 교육기회가 제공되지 못하는 나라는 전 세계적으로 찾아보기 어려울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2018년부터 적용되는 교육부의 ‘2015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한국사상을 배울 수 있는 기회조차 가질 수 없도록 편성되어 있는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구조적인 문제를 진단하면서 대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한국사상이 담겨 있는 고등학교 도덕과 교과서의 구성과 내용에 관한 문제를 진단하면서 한국사상을 중심으로 반성적 자각을 유도하고 윤리적 의의를 탐색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민해 보았다. 한국사상에 관한 교육과정의 혁신을 이루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계의 관심이 절실히 요구된다. 한국사상에 관한 교육과정의 혁신을 통해 동서와 남북을 통합할 수 있는 한국의 정신문화가 창달되기를 기대하면서 논문을 마무리한다. This thesis aims at suggesting the structural problems of high school curriculum that has failed to offer the educational opportunity for students to learn Korean philosophy, and the issues regarding the organization and contents of the high school moral education textbook including Korean philosophy, and laying the academic foundation to find innovation in high school curriculum of Korean philosophy. When the current high school curriculum is investigated, ‘Korean history’ has been designated along with ‘Korean language’ as a common subject of a basic area that all the students are required to complete. Yet, as for 'Korean philosophy', there's no subject on is own, so the educational structure is abnormal. Although it is education of Korean philosophy that is necessarily demanded for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as Koreans and for development of character, in the educational reality of Korea, it is difficult for students to have even the chance to study Korean philosophy systematically. It would be hard in the whole world to find another country like Korea that emphasizes the education of its own language and history in particular, but provides no educational opportunity for its students to learn about the philosophy and ideology with its own spirit of liberal arts. In this thesis, based on the problems above, the structural problems of '2015 high school curriculum'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hich has been implemented since 2018 and failed to give most students the chance to study Korean philosophy, were diagnosed, and short-term, mid-term and long-term alternatives were proposed. In addition, with the diagnosis of the organization and contents of the high school moral education textbook covering Korean philosophy, the ways to induce reflective self-awareness centered around Korean philosophy and to search for moral meanings were examined. If the academic world has interest in the problems of the education of Korean philosophy and intends to conduct in-depth study on them henceforth, it is expected that the curriculum related to Korean philosophy will be able to be innovated, and therefore the Korean spirit of humanities which can integrate east and west and north and south will be able to be developed.

      • KCI등재

        동양철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 - 한국동서철학회 35주년 연구사를 중심으로 -

        이종성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1

        This writing is designed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spect of Eastern Philosophy Studies focusing on the study history of the 35th year of the Korean Society for Philosophy East-West. The objects under examination in this writing are the research papers of eastern philosophy contained in the complete 90 volumes from the first issue of the Korean Society for Philosophy East-West that was published on June 25, 1984 to the 90th issue published on December 31, 2018. This writing classified the research performance of the eastern philosophy part into eastern philosophy and Korean philosophy, based on the research classification table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nd then classified this into detailed parts; examined in aspect of large, medium, and small classifications. As a result, I verified that the volume of research of eastern philosophy was relatively more than that of Korean philosophy, and the research of Chinese philosophy and Korean Confucianism philosophy was greatest. In particular, the highest research objects revealed through the research analysis of writers since 2000 have been verified to be Lao-tzu and Chuang-tzu in the case of Chinese philosophy, and Yulgok in the case of Korean philosophy. This current research situation reflects the overall research tendency of Korean eastern philosophy as well as their major fields of study and the field of activities of those who submit papers. In addition, in terms of this current situation, participants' locality becomes the main advantage of the academic journal, and that, at the same time, can be an element to be pointed out as a limit. This is why the globalism of the academic journal is required. If the Korean Society for Philosophy East-West is to produce more developed philosophical discussion in the future, a variety of efforts for improvement such as the expansion of research participants' locality, that of the research scope of topics, etc. is required. In addition, that which drives the field of more realistic philosophical discussion which can satisf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seen to be needed. Through this, the research direction of eastern philosophy needs to contribute to producing more realistic and future-oriented ideas. 이 글은 1983년 3월 19일 창립한 한국동서학회 35주년 연구사를 중심으로 동양철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을 살펴보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이 글의 검토대상은 한국동서철학회가 1984년 6월 25일 발행한 『동서철학연구』 창간호부터 2018년 12월 31일 발행한 제90호까지 총 90권에 수록된 동양철학 연구논문들이다. 이 글은 한국연구재단의 연구분류표를 기준으로 동양철학분야의 연구 성과를 동양철학과 한국철학으로 구분하고 이를 다시 분야별 세부영역으로 분류함으로써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의 측면에서 검토한 것이다. 그 결과 동양철학 연구가 한국철학 연구보다 상대적으로 많았음을 확인하였고, 그 가운데 중국철학 연구와 한국유가철학 연구가 주도적이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2000년대 이후 인물별 연구 분석을 통해 드러난 상위 연구대상은 중국철학의 경우 노자와 장자, 한국철학의 경우 율곡 이이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현황은 논문 게재자의 전공분야 및 활동지역을 비롯한 한국동양철학계의 전반적인 연구경향성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현황을 통해 볼 때 연구 참여자들의 로컬리티가 학술지의 주요 강점으로 자리매김 되는데, 그것은 동시에 학술지의 한계로 지적될 요소이기도 하다. 학술지의 글로컬리즘이 요청되는 이유이다. 한국동서철학회가 향후 보다 발전적인 철학담론의 생산을 도모하고자 한다면 연구 참여자의 지역적 확장 및 주제별 연구범위의 확대 등 다양한 개선노력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부응할 수 있는 보다 현실적인 철학담론의 장을 이끌어내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이를 통해 동양철학 연구의 방향성이 보다 현실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이념 창출을 위해 이바지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KCI등재

        우리철학의 현황과 과제(1) - 근대 전환기 ‘철학’ 용어의 탄생과 외래철학의 수용 문제를 중심으로 -

        이철승 ( Lee Cheol-seung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인문학연구 Vol.0 No.52

        ‘Philosophy’에 대한 번역어로서의 ‘철학(哲學)’ 용어는 일본사람인 서주(西周, 니시 아마네)에 의해 전통철학의 배제와 근대 서구중심주의적인 문명관을 반영한 개념이다. 이 개념은 근대전환기에 한ㆍ중ㆍ일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사상계에 빠르게 확산되었다. 일제강점기에 활동했던 현대 한국의 철학 1세대들은 대부분 어려서부터 서양식근대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다. 그들 가운데 일부는 독일, 프랑스, 미국 등 서양과 일본에서 유학하고, 일부는 경성제국대학 철학과에서 공부하였다. 경성제국대학의공부 시스템은 동경제국대학을 모델로 삼고, 동경제국대학은 서양의 선진적인 국가의 교육 시스템을 모방하였다. 또한 경성제국대학은 조선의 식민화를 공고화하기위한 일본 정부의 정책에 부응하였다. 이 때문에 경성제국대학 철학과의 주요 교과목 역시 현실 문제와 비교적 관련이 적은 관념론 중심의 ‘서양철학’ 과목이 주류를 이루었다. 따라서 그들의 사유와 연구 또한 대부분 ‘서양철학’ 중심이다. 이 무렵전통철학은 제도권 안에서 독자적으로 설 기회를 갖지 못하고, 제도권 밖에서 연구되었다. 이 때문에 이 당시의 많은 사람들에게 ‘서양철학’은 보편적인 철학이고, 전통철학은 특수한 ‘동양철학’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편견이지, 사실이아니다. ‘동양철학’과 ‘서양철학’ 속에는 각각 특수와 보편이 공존하고 있다. 그런데 철학계의 이러한 불균형적인 풍토는 해방을 맞이하고 산업화를 지나, 21세기가 진행 중인 현재에도 여전히 우리 사회에 팽배하다. 이러한 현실은 철학의 실천 활동과 학문의 균형적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한국의 철학계는 철학의 현실적 의의와 균형적 발전을 위해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 이제 우리도 우리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적합한 우리의 철학을 연구하여 의미 있는 이론을 생산해야 한다. 외국이론을 무비판적으로 소개하고 전파하거나, 이전에 형성된 철학을 맹목적으로 지지하고 복원하는 것으로 우리의 철학적 임무를 다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의 문제를 주체적으로 탐구하고 해결할 수 있는 우리철학을 정립해야 한다. 그 철학은 협애한 민족주의나 편협한 국수주의적인 성향을 띠지 않아야 한다. 그 철학은 비록 특수한 상황을 토대로 하여 성립하지만, 여러특수한 상황들의 유기적인 관계를 통해 새롭게 형성되는 공통의 공속의식을 구성원들이 공유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곧 이러한 철학은 한국의 특성을 바탕으로 하면서 한국인의 정서와 정신을 깊게 반영하여 성립시킨 보편성을 지향하는 합리적인 이론 및 외국으로부터 전래되었지만 맹목적으로 그것을 추종하지않고 한국의 실정에 부합할 수 있도록 주체적으로 새롭게 구성한 이론 등을 아우른다. 이러한 철학이 바로 ‘우리철학’의 중요한 내용이다. The term “zhexue” 哲學 was coined by Japanese scholar Nishi Amane 西周 as a translation for “philosophy.” It is a common understanding that the translation “zhexue” was coined to signify the denial of Eastern traditional philosophy and acceptance of Western values. The translation was widely accepted by East Asian scholars. The first generation group of Korean modern philosophy was active during the Japanese control and received Western modern eduction. Some of them studied abroad in Japan and Western countries including Germany,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Some also majored in philosophy at Keijo Imperial University (KIU) at Seoul. The educational system of KIU was mainly from that of Tokyo Imperial University, which accepted Western systems at the time. KIU was utilized to consolidate Japanese colonial control over Korean Peninsular. This is why the curriculum of the philosophy department at KIU was full of Western idealism courses which had little concern with practical and comtemporary issues. Most of their research topics were also about Western philosophical traditions and Korean traditional philosophy was widely neglected. For this reason, Western philosophy was viewed as universal and Korean traditional philosophy was understood as something particular under the name of “Eastern philosophy.” However, this understanding is biased and is not a collect approach, since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ies they all comprise universals and particulars in them. Much too our regret, such a wrong understanding of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ies are still pervasive in the 21st century. Now, there is a growing request to break down such a wrong approach to philosophical traditions and Korean philosophers should do their part to promote practical dimensions of philosophy and to make balanced approaches to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ies. Now is the time to formulate philosophical theories appropriate to Korean current issues. We are not supposed to introduce foreign theories blindly, and our goal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restoration of and support for Korea traditional philosophies. We need to hav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Korean current issues and should establish our own philosophical system, “woori-philosophy.” Woori-philosophy is not a nationalist or Korean ethnic-centered approach. Though woori-philosophy is based on Korean particular situations, it pursues interrelated and holistic approaches which can promote a strong sense of community and mutuality. In other words, woori-philosophy is designed to find harmonious points between Korean particular spiritual traditions and Western philosophical perspectives, and aims at developing philosophical theories which can give practical and independent solutions to Korean current problems.

      • KCI등재후보

        한국철학의 정체성과 한국철학사의 관점

        김형찬 한국사상문화학회 2019 韓國思想과 文化 Vol.100 No.-

        In view of this,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hievements of prominent Korean scholars and philosophers such as Wonhyo, Jinul, Toegye, Yulgok, Dasan, and Hyegang. Each actively accepted and applied their knowledge in their own contemporary problems to seek alternative solutions. Such accomplishments in the intense process of reflection are considered representative accomplishments in the history of Korean philosophy. The detailed conceptual discussion of the theory of mind and nature or ontology, which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in the field of Korean philosophy, is part of such achievements and is the foundation on which Korean philosophy stands recognized. On the other hand, problems of reality faced by Korean philosophers in the time of Wonhyo to Hyega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ir perception of these problems gives uniqueness to their achievements, which are therefore mentioned in Korean philosophy. In other words, the history of Korean philosophy consists of discussions in the process of seeking alternatives to the problems that have been faced by the people of the Korean peninsula, of which the level and form merit its recognition as philosophy as a modern academic field. Furthermore, this is the reason why ‘Korean’ philosophy is considered a product of posing problems and searching for alternative solutions within the realities of Korean history. 한국철학은 이제 근대 학문의 한 분야로서 자리를 잡았지만, 서구와 일제의 침탈을 겪고 그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그 성격에 다소 편중되거나 왜곡된 면이 있다. 서세동점 시대에 서구 중심적 관점에 의해 설정된 ‘문명 vs 야만’의 구도에 맞서는 과정에서 지나치게 서구 학문의 관점에 따라 한국철학의 범위와 논제가 제한되었고, 일제 식민사관의 극복이라는 과제 속에서 철학사상의 ‘고유성’에 지나치게 집착해 왔다. 그럼에도 한국철학 분야의 연구는 그 동안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많은 발전과 축적을 이루었다. 그 연구 성과들을 기반으로 하여, ‘한국철학사’에 담길 만한 대표적인 ‘한국철학’들의 특성과 철학사적 가치에 주목한다면, 한국철학사의 관점, 즉 철학사의 평가기준을 세울 수 있고, 그 관점은 곧 한국철학의 본질적 특성, 즉 한국철학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것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이경 조요한 선생의 예술철학과 한국 근현대 미학예술학

        이인범 ( Ihn Bum Lee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2 美學·藝術學硏究 Vol.35 No.-

        한국 학계에서는 보기 드물게 예술·종교·철학 등 여러 분야에 걸쳐 활동을 펼쳤던 조요한(1926-2002)은 생전에 예술에 관한 저작으로 『예술철학』(1973), 『예술을 사랑하는 마음』(1993), 『한국미의 조명』(1999) 등을 발간했다. 작고 후 그 밖에도 유고집으로 『관심과 통찰』(2004)로, 『아름다운 것은 어렵다』(2005) 『아름다운 영혼의 잔영』(2012) 등이 발간되었다. 이 글의 목표는 한국의 미학예술학의 역사 안에서 철학자 조요한(1926-2002)이 설정하고 있는 학문적 과제들은 어떤 것이었으며, 그 성격은 어떤지를 밝히는 데에 있다. 한국에서 근대 학문으로서 미학 미술사는 일제 식민지시기 고유섭(1905-1944)이 1927년에 경성제국대학에 입학하여 미학 및 미술사를 전공하여 콘라드 피들러 연구로 예술적 활동의 본질과 의의 라는 타이틀의 졸업논문을 제출하고 개경박물관장으로 활동하는 데서 시작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유섭의 요절로 그 역사는 심한 단절과 굴곡을 보여주며 서구 학문의 수용과 식민피지배에서 비롯되는 문화적 식민성을 드러내며 삶의 세계와 유리된 채 분열적으로 전개되어 왔다. 식민지시대에 성장기를 거쳤던 조요한은 해방 이후 서울대 철학과에 입학하여 키에르케고르 연구를 통해 개인적으로나 공동체로서 난파된 삶의 현실을 초극하고자 시도하고 그리스 철학과 기독교을 자신의 학문적 과제로 설정하고 있다. 그런데 1960년의 4·19 혁명 직후부터 그는 삶의 현실에 대한 철학하기의 매개로서 예술 현장의 이슈들을 적극적으로 다루기 시작하고 있다. 동시에 서구 근현대미학을 통한 미와 예술에 관한 학문의 방법적 기초 놓기를 시도하며 『예술철학』을 발간하고 있다. 그리고 그 이후부터는 ‘한국예술의 정신’ 해명을 과제로 설정하여 그의 생애 마지막 저서인 『한국미의 조명』에 이르고 있다. 조요한의 예술철학은 청년기 자신의 철학적 관심인 기독교와 그리스 철학에 대한 연구와 조응하며 전개되고 있다. 그리고 해방 이후 학문세대로서 식민지시기 한국 최초의 미학미술사학자인 고유섭이 설정했던 학문적 과제를 상속하며‘서양학문으로서의 미학’을 수용하여 한국의 현실에 정초시키며 ‘한국예술의 정신을 밝히는 일’에서 일정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한편, 그 과정은 서구로부터 수용되어 성립된 한국의 미와 예술에 관한 학문들의 분열적이고 자폐적인 문화적 식민성을 극복하기 위한 시도들과 맞물리고 있다. 첫 저작 『예술철학』이 발간되기까지 선생은 한편으로는 삶의 현실에 대한 철학하기의 매개로서 예술 현장의 이슈들을 다루고 있다. 동시에 서구 근현대미학을 통한 미와 예술에 관한 학문의 방법적 기초 놓기를 통하여 이 땅의 미학 예술학에 학문성을 확보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그리고 그 이후부터는 ‘한국예술의 정신’ 해명이라는 과제를 설정하여 『한국미의 조명』에 이르고 있다. 『예술철학』에서 『한국미의 조명』에 이르기까지 예술철학의 전개는 선생이 해방 이후 학문세대로서 식민지시기 한국 최초의 미학미술사학자인 고유섭이 설정했던 학문적 과제를 상속하며 ‘서양학문으로서의 미학’을 한국의 현실에 어떻게 정초시킬 것인지를 물으며 ‘한국예술의 정신을 밝히는 일’에 다름 아니었다. 그것은 서구로부터 수용되어 성립된 한국의 미학 예술학이 드러내는 분열적이고 자폐적인 모습의 문화적 식민성을 극복하여 삶의 세계 속에서 현실성을 확보해내려는 시도와 동반되는 것이었다. 그 결과 조요한의 예술철학에서는 예술·종교·철학, 예술현장과 학문으로서의 미학, 미학과 미술사 등으로 파편화되거나 분열된 근대적 삶의 세계와 분과 학문들이 다시 함께 만나고 있다. ‘미학’의 바깥에서 출발하고 있지만 그의 ‘예술철학’은 이 땅의 삶의 현실에 깊숙이 뿌리 내리며, ‘미학’을 넘어서 새로운 미학·예술학의 지평을 열고 있다. The aim of this essay is to illuminate the philosopher Yohan Zoh (1926-2002)`s philosophy of art in the context of Korean modern aesthetics. Exceptionally, Yohan Zoh acted broadly in the region of academia about arts, religion, and philosophy in the Korea, publishing The Philosophy of Art(1973), The Heart that Loves Arts(1993), and The Illumination of Korean Aesthetics (1999). Posthumous works are Interest and Insight(2004), The Beautiful is Difficult(2005), and Relics of the Beautiful Spirit(2012). These works on aesthetics and the arts, along with The Hermeneutical Problems of the Philosophy of Aristoteles(1975), The Philosophy of Aristoteles(1988), and The Heart that Loves Philosophy(1993), show Zoh`s scholarly interests. Aesthetics and Art History in modern Korea began with Yusub Ko (1905-1944) who studied at the Keijo Imperial University and graduated the school with a submission of his thesis on Konrad Fiedler, “The Essence and Meaning of Artistic Activity.” Ko later became the director of the Kaikyung Museum of Art. Ko`s untimely death caused the discontinuation and ups and downs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scholarships in Aesthetics and Art History. The inflow of western culture and philosophy, and Japanese colonial era resulted in cultural colonialism in Korea, separating its history from the reality of life. Yohan Zoh grew up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He entered the department of Philosophy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after Japanese retreat. He tried to overcome the fragmented reality of Korea life through the study of the philosophy of Kierkegaard, and chose Greek philosophy and Christianity as his future focus of study. As a way of applying his philosophy to the reality of life, Zoh actively engaged with issues of art practice since the 4. 19 Revolution of 1960. Simultaneously he published The Philosophy of Art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methodology for the study of aesthetics and the arts. Since then, he focused on explaining “the spirit of Korean art” and published many essays on the theme, including his last publication, The Illumination of Korean Aesthetics. The philosophy of art of Yohan Zoh had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his interests in Christianity and Greek philosophy. As the first scholar of Aesthetics and Art History in post- liberation Korea, Yohan Zoh inherited the scholarly task of Yusub Ko and embraced “Aesthetics as a Western Area of Study” and applied it to the reality of Korean life to explicate “the Korean Spirituality in the Arts.” His scholarly journey was interconnected with his attempts to overcome Korean`s schizophrenic and autistic cultural colonialism. Therefore, Arts-Religion-Philosophy, Art Practice-Studies of Arts, and Aesthetics-Art History all meet in Yohan Zoh`s philosophy of the arts. Though Zoh`s study of “Philosophy of the Arts” departed outside the field of Aesthetics, it rooted deeply in the reality of Korean life and opened a new horizon of Aesthetics and Science of Art in Korea.

      • KCI등재

        Pak Chonghong’s Philosophical Analysis of Korean Buddhism and His Steps Towards Establishing an Eastern Philosophy

        조은수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 Cultur Vol.26 No.1

        Modern expansion in the scope of philosophy began an ongoing philosophicalintrospection into traditional Korean thought and Korean Buddhism, how theycan be defined, and what they mean. Yŏram Pak Chonghong (1903–1976) was aseminal figure who initiated this effort by making a groundbreaking proclamationfor the existence of a distinct Korean thought and identity. By proclaiming that thepast critically informed the present and vice versa, he tried to renew and revitalizethe Korean philosophy of the past, which had been locked away and displayed as anartifact or fossil, transforming it into a relevant, living philosophy of the present. Onthe other hand, he was a dedicated scholar of Korean thought who explored its practicalboundaries and content. He published works on Wŏnhyo and other Korean Buddhistphilosophers, as well as T’oegye and other Korean Confucians. Pak pointed to KoreanConfucianism and Buddhism as treasures awaiting excavation — and the need for anew methodological tool that could integrate Korean thought with the concepts andlogical methods of Western philosophy. These efforts firmly placed Korean thought — andby extension, Eastern philosophy — on the shelf of philosophy as a discipline. Thebreadth of sources and the scrutiny he gave them in his work set the standard of KoreanBuddhist scholarship that was unmatched for some time. Even now, his theories onKorean Buddhist philosophy still guide scholars. So translated into a modern context,the study of Korean Buddhism became an important field of Korean philosophy, andthese efforts became the cataly

      • KCI등재

        단군조선과 한국고유철학(2)

        박병섭(Park Byoung-Shup) 고조선단군학회 2008 고조선단군학 Vol.18 No.-

        This essay is a study to prove the justification of Existence on Korean Original Philosophy. There are successors from "Ancient Josun[Gojosun]" through "Post Ancient Josun?Great Silla?Balhae?Japan?Corea[Goryeo] ?Joseon?Korean[Great Han] Empire?Japanese Occupation period?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o "South/North Korea". There are three sorts of Korean philosophy : Korean original Philosophy, Korean traditional Philosophy, and Korean modern Philosophy. At Dangun's Josun and Korean Original Philosophy(1), Korean original Philosophy is a Humanism. The core of Gojosun's humanism is the Inter-subjectivity, specially multiculturalism. This paper is following "Dangun's Joseon and Korean Original Philosophy (1)" Handangogi Taebagilsa, Sodokyengjeonbonhun's "Cheonbugyeng" are also considered alleged Candidates of Korean original philosophy of Ancient Joseon. This paper is dealing with the issues of Cheonbugyeng in detached way possible. Cheonbugyeng is dealing with astronomy, shapes and numbers, geography, training, prophecy. This interpretations of Cheonbugyeng is at least viable by level of that Age. This interpretations would be deficient one for supporters of Cheonbugyeng, and would be excessive one for opponents. The detached way can be a this paper's distinct feature how hard it may be. Thus, it's certain and precise that Korean original Philosophy surely exists although the Philosophy may be controversial to some degree in terms of its authenticity of its detai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