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한국의 세계시민교육 연구동향 분석

        박환보,조혜승 한국교육학회 2016 敎育學硏究 Vol.54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In order to do this, this study created an analytic framework by reviewing the concep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its research themes. We analyzed 255 studies conducted between 1995 and 2016 February (articles: 197, dissertation and thesis: 58), according to the following six criteria: study periods, themes, topics, educational stages, methods, and journal types. The research revealed that before 2000 research focused on conceptual or theoretical theme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response to Korea’s change in globalization. The total amount of research increased, however, since 2000 the majority of studies focused on implement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is implies the expansion of implementation research despite the lack of conceptual and theoretical discussion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Moreover, as the research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has rapidly increased associated with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development education, its research themes, targets, and methods became diversified. The analysis of themes showed research on curriculum and pedagogy has been the most actively conducted, and recently the research regarding the analysi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s and its effect is increasing. In terms of educational stages, education in general account for the largest portion. Secondary education, elementary education, higher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follow, in that order. Document analysis was identified as the most dominant method, and journals regarding curriculum includ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research the most. Based on the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s 1) the need of the theoretical research to understand diverse perception and ideology with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2) the need for policy research in a macro context, 3) th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methods and targets, and 4) cultivating experts and researchers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세계시민교육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기존 연구의 한계와 향후 발전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세계시민교육의 개념과 연구영역을 검토하여 분석틀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연구시기, 연구영역, 연구주제, 교육단계, 연구방법, 학술지 성격에 따라 1995년부터 2016년 2월까지 국내에서 학술지에 게재된 197편의 학술논문과 58편의 석·박사 학위논문, 총 255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의 세계시민교육에 관한 학술 연구는 세계화에 따른 한국 사회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세계시민성의 개념과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이론적‧개념적 논의에서 출발하였다. 그러나 2000년대에 들어 점차 학교교육과정 내에서 세계시민교육을 적용하기 위한 실천 방안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이론적·개념적 연구보다 양적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세계시민교육의 개념과 내용에 관한 이론적 논의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실천을 위한 연구가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2010년 이후에는 세계시민교육 관련 연구가 민주시민교육, 국제이해교육, 다문화교육, 개발교육 등 유사개념과의 관계 속에서 양적으로 급속하게 확대되었고, 연구주제, 교육단계, 연구방법에서도 다변화가 이루어졌다. 주제별 분석결과 세계시민교육의 교육과정 및 교수법 분석에 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최근에는 세계시민교육의 프로그램 분석과 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연구대상별로는 교육일반에 대한 연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그 다음 중등교육, 초등교육, 고등교육과 평생교육, 마지막으로 유아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으로는 주로 문헌분석이 사용되었으며, 학술지의 성격에 따른 분석결과로는 교과교육학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세계시민교육 연구의 방향에 대해 1) 다양한 주체들의 상이한 인식이나 담론 등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연구, 2) 거시적인 맥락에서 세계시민교육 실천을 위한 정책 방안 연구, 3) 연구방법과 연구대상의 확대, 4) 체계적인 세계시민교육 전문가 및 연구자 육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교양 음악교육

        손민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liberal music education as a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concrete program, and examining the problems in the field. First, in order to examine the instructor's concept of global citizenship and the viewpoint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eight types of global citizens that have been recently distinguished by academia are summarized. Eight global citizenships fall into two broad categories: the first is a cosmopolitan global citizenship and the second is a advocacy global citizenship. The first includes moral global citizenship, political global citizenship, economic global citizenship, and cultural global citizenship, while the latter can be divided into social global citizenship, critical global citizenship, environmental global citizenship, and spiritual global citizenshp. Based upon this typology,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divided into two: sof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critica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cusing on cultural global citizenship and social global citizenship, critical global citizenship, and environmental global citizenship, this research developed two liberal courses, <Understanding of World Music> and <Understanding Word through Soundscape>. In <Understanding World Music>, I tried to have an idiomatic sensitivity to the difference through understanding different cultures, and at the same time, I tried to accept other cultures as dynamic subjects without recognizing them as stagnant others to cultivate cultural and critical global citizenship. In <Understanding of Word through Soundscape>, I tried to expand the scope of music and derive environmental awareness by bringing the sounds of the environment into the theme, believing that social and environmental global citizenship can be cultivated through critical studing of soundscape.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estimate that liberal music education can play its role as a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the importance was more urgently needed. In order to develop liberal music education into a behaviora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urriculum, further research on more sophisticated problem recognition and solutions is needed. 본 연구에서는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교양 음악교육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설계 및 실시하였으며 현장에서의 문제점을 검토하고자 한다. 우선, 교수자의 세계시민에 대한 개념과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입장을 점검하기 위해서 최근 학계에서 구분하는 여덟 가지 유형의 세계시민을 정리하였다. 여덟 가지 세계시민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첫 번째는 코스모폴리탄 세계시민이며 두 번째는 사회참여적 세계시민이다. 코스모폴리탄 세계시민에 속하는 세계시민은 도덕적 세계시민, 정치적 세계시민, 경제적 세계시민, 문화적 세계시민이 있으며, 사회참여적 세계시민에는 사회적 세계시민, 비판적 세계시민, 환경주의적 세계시민, 그리고 영적 세계시민이 있다. 이를 적용한 세계시민교육의 유형은 온건한 세계시민교육과 비판적 세계시민교육으로 나누어질 수 있는데 열 세 항목에 따라 그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연구자는 문화적 세계시민, 사회적 세계시민, 비판적 세계시민, 그리고 환경주의적 세계시민에 주목하였으며 교과목 <월드뮤직의 이해>와 <사운드스케이프로 이해하는 세계>를 개발 및 실시하여 성찰하였다. <월드뮤직의 이해>에서는 다양한 타문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 다름에 대한 관용적인 감성을 갖추고자 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타문화를 정체된 타자로 인식하지 않고 역동적인 주체로 받아들이려 하였다. 문화적 세계시민과 비판적 세계시민을 함양하기 위해서이다. <사운드스케이프로 이해하는 세계>에서는 환경의 소리를 주제로 가져오면서 청각의 확장을 도모하였으며 환경적 인식을 도출하려 하였다. 이는 사회적 세계시민과 환경주의적 세계시민을 배양할 수 있다는 믿음에서이다. 연구의 결과로 교양 음악교육이 세계시민교육으로서 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는 것을 교과목 설계 및 시행을 통하여 가늠할 수 있었으며, 인지적 영역은 물론 정서적, 행동적 영역에서 예술교육의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교양 음악교육이 실천적인 세계시민교육 교과로 발전되기 위해서는 보다 정교한 문제인식과 해결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기독교사 인식

        이은실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3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8

        본 연구는 기독교 대안교육의 기독교사들이 세계시민교육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세계시민교육역량을 높이기 위해 어떤 교사 교육의 요구가 있는지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155명의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세계시민교육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 세계시민교육 실행 경험과 교사 교육 참여 의지, 교사 교육의 목표와 내용 및 방법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결과를 보면 기독교사들은 세계시민교육이 기독교 대안학교에 필요하며 세계시민교육은 학생들의 세계시민성을 키우는 데 효과가 있고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다. 세계시민교육의 내용 면에서는 기독교인의 정체성, 가치와 성품, 세계의 이슈를 기독교적 관점으로 조망하는 것의 중요도를 높게 제시했다. 기독교사가 기대하는 기독교 세계시민교육은 기독교세계시민의 정체성 및 가치관 확립에서 시작하여 지역과 사회, 세계의 이슈를 기독교적 관점으로 인식하고 실천과 참여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기독교 세계시민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가장 시급한 것으로 제시된 교사 연수의 내용과 방법, 학교 리더의 세계시민교육에의 관심과 참여를 다루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Christian educators in Christian alternative education perceiv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demands for teacher training in order to enhance thei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ies. To achieve this goal, data was collected from 155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teachers. The data encompass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ir experiences in implementing it,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eacher training, and the objectives, content, and methods of teacher training. The results reveal that Christian educators recognize the necessity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They perceiv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effective in fostering students' global citizenship and consider it helpful. In terms of the conten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re was a strong emphasis on the significance of viewing Christian identity, values, character, and global issues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The desired form of Christia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anticipated by Christian educators, starts with establishing the identity and values of Christian global citizens. This foundation extends to perceiving and engaging with local, societal, and global issues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leading to practical implementation and participation. The conclusion addresses the urgent need for teacher training content and methodologies to activate Christia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 environments. Additionally, it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school leader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promot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의 역사교육적 함의

        구경남(Ku Kyeong N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3

        이 글은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와 세계시민교육 교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세계시민교육의 역사교육적 함의를 고찰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세계시민교육의 목표와 학습 주제 및 내용을 담고 있는『유네스코가 권장하는 세계시민교육 교 수학습 길라잡이』와 경기도교육청 인정교과서인『세계시민』을 역사교육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시민교육의 목적에 비추어 역사 교육의 목적을 재개념화하는 것이다. 자국사 중심의 역사과 교과편제와 교육내용이 미래지향의 세계시민교육의 목적을 담아 낼 수 있도록 개선하고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역사 교수학습 방법이 재고되어야 한다. 역사수업에서 논쟁을 통해 다원적 관점을 학습하는 것은 세계시민교육이 지향하는 다원적 가치를 존중하는 태도를 함양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셋째 역사교육적 관점에서 세계시민교육의 내용에 대한 개선과 보완이 필요하다. 세계화로 인해 나타난 여러 문제의 현상을 나열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문제의 원인을 역사적 맥락을 통해 탐구함으로써 행동으로 참여하는 세계시민을 기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y educational implication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y critical review on previous studies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extbook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e analyz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pics and Learning Objectives and Global Citizenship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education, which contains the goals and subjec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to re-conceptualize the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to meet the purpos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and complement the history curriculum and contents of education, centered on the history of the nation, so that it is able to serve the purpose of future - orient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econd, the method of history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be reconsidered. Learning from pluralistic perspectives through controversy in history class will contribute to cultivating attitude of respecting the pluralistic values tha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oriented. Third, it is necessary to improve and supplement the conten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cusing on perspective of history education. It is not just to list the phenomena of various problems caused by globalization, but to explore the causes of the problems through the historical context and to raise the global citizenship who participate actively.

      • KCI등재후보

        예비유아교사와 예비특수교사의 세계시민성과 세계시민역량 비교

        권미은 조선대학교 민주평화연구원 2023 민주평화연구 Vol.6 No.2

        This study is a comparative analysis of global citizenship and global citizenship competency between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s based on the subject's background variables(grade, gender, experience in global citizenship activities, experience in tak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 sample of 225 pre-service education teachers in the college of education was included in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ing.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f pre-service teachers in global citizenship competency. However,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s global citizenship were higher th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There were differences in knowledge among the sub-domains of global citizenship. The study findings indicated that the global citizenship and global citizenship competency were different according the major, grade, gende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s experience. Additionall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re-service education's global citizenship and global citizenship competencies. These results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those in charge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to provid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prospective teachers in universities, and will further help develop variou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rospective teachers' majors.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의 일본적 수용 -2017 학습지도요령과 세계시민교육 지표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이명실 한국일본교육학회 2020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5 No.2

        In this paper, I pay attention to World Citizenship 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the basic philosophy for coexistence of people all over the globe. In particular, I will analyze Japan’s Curriculum Guidelines for elementary schools and discuss about the Japan’s acceptanc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 this end, we will first review the multi-layer meaning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Next, I discuss the Indicator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esent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Korean researchers. And finally, we will look at how the Indicator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have been reflected in Japan’s Curriculum Guidelines for elementary schools. Through these discussions, I was able to confirm the gap between Japan’s National Curriculum and Indicator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t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comprehend the meaning of globalization in determining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is is a matter of how to harmonize between cultural, historical, and social special circumstances in each country and global universality, and shows that ideals and contents of both can be collided with each other. Nevertheless, second, it is worrisome that the contents of traditional education and hometown education emphasized in Japan’s Curriculum Guidelines may be inclined to patriotism, which is different from the love of humanity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is is because the National Curriculum, which is contrary to the contents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eventually violates the rights of its citizens. Third, it should be paid attention to the tendency emphasizing the development of Active Learning and foreign language skills as individuals’ creative, collaborative and self-reliant capacity in Japan’s Curriculum Guidelines. In order for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Japan’s Curriculum Guidelines to be linked to the indicator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ncrete analysis of what kind of learning activities are carried out in the field of education should continue.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바이러스의 공포는 의도치 않게 국가를 넘어 세계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음을 절감케 한다. 중국의 한 지역에서 나타나기 시작한 바이러스가 지금은 아프리카와 남미의 오지에 이르기까지 퍼지지 않은 곳이 없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우리’라는 인식의 필요성이 다시 강조되고 있는 모양새다. 바이러스로 인한 높은 치사율이 노령층에 집중되어 있다는 자료는 젊은 층의 모랄 해저드의 양상으로 나타나기도 했지만, 곧바로 그러한 해이함이 결국은 내 가족의 피해로 돌아온다는 점이 확인되고 있다. 지금의 사태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은 세대나 계층, 혹은 국가를 초월해 문제를 ‘함께’ 해결해야 한다는 인식의 전환이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전 지구인의 공존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본 논문에서는 ‘세계시민성’ 혹은 ‘세계시민교육’에 주목해 논의를 전개 한다. 특히, 일본의 소학교 학습지도요령에 세계시민교육 지표가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첫째, 세계시민성 및 세계시민교육의 다층적 의미를 검토한다. 둘째, 국제기구 및 한국의 연구자들이 제시한 세계시민교육 지표에 관해 논의한다. 셋째, 세계시민교육 지표가 일본의 소학교 학습지도요령에 어떤 방식으로 반영되었는지에 관해 고찰한다. 이를 통해 일본의 국가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일본 국민의 역량이 세계시민교육의 지표와 괴리되어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으며, 또 세계시민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나 준거가 분명히 제시되었다.

      • KCI등재

        중등 예비교사와 현장교사의 세계시민교육 교수효능감과 관련된 변인 연구

        양미석(MiSeok Yang),김정겸(JeongKyoum Kim):김기덕(KiDuck Kim)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7 글로벌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중등 예비교사와 현장교사의 세계시민의식과 세계시민교육 태도와 세계시민교육 교수효능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중등 예비교사는 C대학의 사범대생 233명, 현장교사는 D시의 11개 중학교의 교사 216명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최종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t검정, 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예비교사와 현장교사 두 집단 간 차이분석 결과, 현장교사가 예비교사보다 세계시민의식의 하위변인 중 사회적 책무성, 글로벌 역량, 글로벌 참여가 높았으며, 세계시민교육 태도의 하위변인 중 교사역할 태도와 세계시민교육 교수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교사의 세계시민의식, 세계시민교육 태도, 세계시민교육 교수효능감과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예비교사는 변인들 간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세계시민교육 교수효능감과 세계시민교육 태도의 하위변인 중 교육과정 태도에서만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예비교사의 세계시민의식과 세계시민교육 태도가 세계시민교육 교수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장교사의 세계시민의식, 세계시민교육 태도, 세계시민교육 교수효능감과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현장교사의 모든 변인에서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현장교사의 세계시민의식은 세계시민교육 교수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원양성단계에서 필요한 교육과정의 기초자료제공과 실제 학교현장에서 요구되는 세계시민교육의 교사전문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This study explores relations between global citizenship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ttitude of pre-service and in-service secondary teachers and thei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eaching effica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3 students majoring in education of University C as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and 216 teachers of 11 middle schools in City D as in-service teachers. of whom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final analytic methods of data includ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result of difference analysis of the two groups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shows that in-service teachers are more scored in social responsibility. global capacity and global participation among the lower factors of the global citizenship and in teacher role attitude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eaching efficacy among the lower factors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ttitude than pre-service teachers are. Second. the result of analysis of correlations among global citizenship.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ttitude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eaching efficacy for pre-service teachers shows that the factors of pre-service teachers have mutu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except for curriculum attitude among the lower factors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eaching efficacy and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ttitude. Furthermore. global citizenship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ttitude of pre-service teachers affect significantly thei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eaching efficacy. Third. the result of analysis of correlations among global citizenship.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ttitude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eaching efficacy for in-service teachers shows that all the factors of in-service teachers have mutu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And global citizenship of in-service teachers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eaching 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curriculums required in teacher training courses and enhance teachers’ professionalism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글로벌 시민교육의 쟁점과 과제

        최종덕 ( Jong Deok Choi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4 시민교육연구 Vol.46 No.4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ncept and the purpos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 scrutinize controversial issue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finally to suggest some developmental task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purpos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an be summarized as critical citizenship education, transformative citizenship education, practical citizenship education. Relation with the purpose and conten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e can discuss some controversial issues as followings: global solidarity vs global competition; the dilemma of global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the possibility of transformative citizenship education.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schoo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ome developmental task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an be shown as next: the harmonious balance between the particular and the universal; the emphasis of the values of diversity, tolerance, and critique; the reinforcement of democratic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he teacher educa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KCI등재

        지구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청소년지도방안 모색 - 영국사례를 중심으로 -

        박선영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08 청소년시설환경 Vol.6 No.2

        This study aims to characterize the concept of Global citizenship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cluding world studies, global education and citizenship education. This study finds tha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inevitable in the rapidly changing global society. It argues that societies must prepare young people with relevant knowledge and skills in the global society however, Korean society has not yet ready to equip young people with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irstly, this study defines the concept of global citizenship and education, secondly this study looks at how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implemented through Oxfam and the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This study also describes the concept of youth education which means how to educate or lead young people. As a conclusion, it suggests that there should be the awarenes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be analysed as important for the future society. Secondly, this study suggests that concept youth education should be enlarged from the persona dimension to the social and global dimension especially in Korean society. Thirdly, there should be varisous way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NGOs and in schools according to the needs of young people and the importanc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inally, this study argues that there should be the professional educators or youth workers for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otherwis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ould be misused and be regarded less significant than it should be.

      • KCI등재

        초등지리 교육과정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 관련 요소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동민(Dong-min Lee) 대한지리학회 2014 대한지리학회지 Vol.49 No.6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2009 개정 초등사회과 지리영역 교육과정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 관련 요소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대상으로는 세계에 관한 부분을 다룬 5~6학년군 지리영역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선정하였으며, 한글 텍스트의 내용분석을 위한 소프트웨어인 KrKwic 및 의미연결망 분석도구인 UciNet/NetDraw를 활용하여 관련 개념의 출현빈도 및 의미연결망, 연결중심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09 개정 초등사회과 지리영역 교육과정은 세계시민성 함양 등 세계시민교육의 이상과 요소를 반영하고는 있지만, 교육과정상의 세계에 대한 단원들은 세계나 세계공동체 등 세계시민교육 관련 요소보다는 주로 국가를 중심으로 구성되는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세계시민교육 관련 요소는 교육과정 성취기준상에서의 출현빈도가 낮았을 뿐만 아니라, 세계와 관련된 주요 개념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지 못한채 사실상 고립되다시피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로 인해 환경 및 지속가능개발, 갈등, 협력 등 세계시민교육적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높은 개념들 역시 세계시민교육적인 관점과 연결될 수 있는 가능성이 제한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지적된다. 세계화 시대에는 국가도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기존의 국가 경계가 투과적인 형태로 변화하고 국경을 넘어선 세계공동체적 관점이 중요시되는만큼 지리교육 역시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세계시민교육적 요소를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논의를 향후 교육과정 개정에 반영함으로써, 국가뿐만 아니라 세계공동체 또한 중요시되는 세계화 시대에 보다 높은 적합성을 갖는 교육과정을 구성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har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2009 Revised Social Studies (geography area) School Curriculum of the Republic of Korea. I selecte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geography domain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as the subjects of analysis. The chosen subjects were examined using content analysis: I used KrKwic, a Korean language content analysis tool, to analyze the content and drew a semantic network of the analysis results using UciNet/NetDraw. I found that the geography domain of the 2009 Revised Primary School Curriculum included the concepts of and factor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Howeve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did not account for a major portion of the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were noticeably nation-state center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actors were not closely associated with to other related factors in fact, they even revealed a isolated patter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inclus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primary geography education is limited, because the connections betwee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related contents, such as the environment, sustainable development, conflict, and cooperation, are probably impeded. Globalization accompanies the transformation of territories, identities, and the relations between nation-states and the world, although nation-states continue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globalized worlds. Therefor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 educational trend focusing on the global community, is particularly important and is required in the geography curriculum of the global era. I expect that the examination undertaken in this study to contribute to future curriculum revisions regarding globalizatin and global citize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