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Flipped Classroom 환경에서 교수실재감과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이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김진희 ( Jinhee Kim ),이혜원 ( Hyewon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2 No.4

        이 연구는 대학 Flipped Classroom 환경에서 교수실재감과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Y대학 Flipped Classroom 운영 교과목 수강생 190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동안의 수업 경험을 바탕으로 교수실재감,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학업성취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수실재감은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수실재감과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은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실재감은 상호작용을 통해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간접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 Flipped Classroom 환경에서 교수 실재감이 높을수록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이 높아지며, 이러한 과정이 인지된 학업성취도의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효과적인 Flipped Classroom을 위해 온ㆍ오프라인 수업 관련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설계하고, 학습자의 참여를 촉진하는 교수자의 역할이 중요하며, 수업 전반에 대한 컨설팅과 모니터링, 성공적인 운영 사례 제공 등 교수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학 Flipped Classroom 환경에서 교수실재감과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이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Flipped Classroom의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한 교수자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desires to verify the effect of teaching presence and student-instructor interaction on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in flipped classroom in higher education. In the study, we collected data via a survey with the sample of 190 students in three flipped classrooms of Y Universit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jor findings dare as follows: First, teaching pres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instructor interaction in flipped classroom at the university. Second, teaching presence and student-instructor interaction directly effected academic achievement in flipped classroom at the university. Third, teaching presence indirectly effected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student-instructor interac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high level of teaching presence increase student-instructor interaction, and it can lead to high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in flipped classroom in higher education. Therefore, instructor`s roles that can systematically design online and offline classroom elements and facilitate learner`s participation are stressed for effective flipped classroom. In addition, continuous support is needed to strengthen the instructor`s capacity through providing the class consulting, monitoring, and successful practices. The results implied that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teaching presence, student-instructor interaction, and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and specific guidelines of instructor`s roles for high academic achievement in flipped classroom in higher education.

      • KCI등재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의 교실사회학적 의미 분석: 참여 교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민경 한국교육사회학회 2014 교육사회학연구 Vol.24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ignification of Flipped classroom by the qualitative study based on the analysis of observation of classroom and narratives of teachers. Flipped classroom cause the change of role of teacher in classroom.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and signification for teachers by the flipped classroom. That is to say,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teachers on the flipped classroom, this study analysed the implication on the sociology of classroom. Based on these results, I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reform by the change of classroom reflecting the Korean educational culture. 이 연구는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실험에 참여한 교사들의 수업구조와 실행경험을 분석하여 교실사회학적 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은 동영상을 통해 교과지식을 집에서 학습하고 과제로 부여했던 활동을 교실에서 수행함으로써 고전적인 수업의 형식을 뒤집은 수업방식으로서 수업구조와 교사의 역할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이 논문은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도입으로 인한 수업구조, 교실 공간 배치, 학생과의 상호작용, 교사역할의 변화를 교사들이 어떻게 인지하고 의미화하는지를 분석하여 교실사회학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수업구조와 방식의 변화가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어떻게 추동해 내는지를 논의하고, 교실 수업 공간의 구조와 변화를 통한 교육혁신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

        교회학교에서 플립러닝 실행을 위한 구글 클래스룸 활용의 질적 연구: S교회 고등부 교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서성현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9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61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that analyzes the experiences of teachers using flipped learning in church school using Google Classroom.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Google Classroom is suitable as a platform for church school flipped learning and to identify tasks for continuing flipped learning in church schools. This was the case of the S Church high school in the province where there is no experience of flipped learning and there are difficulties in platform construction. After 3 months of preparation, the researcher conducted a flipped learning using Google Classroom for 1 month. Then, the researcher conducted research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 1:1 interview and researcher's observation records. Research has shown that if teachers have enough staff to run Google Classroom, Google Classroom is the right platform to run flipped learning in church schools. Teachers reported that they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benefits of Google Classroom and flipped learning prior learning video contents, communication with students, and teaching efficacy. 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a motivation problem that encourages students to see the pre-study videos before come to the church. And in order to continue flipped learning in church schools, it is necessary to have knowledge, emotional and spiritual support through seminars and workshops so that teachers do not be discouraged by failures in new attempts, to train professional staff to maintain flipped learning even if educator change. Also the church education system should be changed from the Kindergarten to the discussion-oriented and learner-centered education methods such as flipped learning. In the conclusions suggest discussion and impli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본 연구는 구글 클래스룸을 활용하여 교회학교에서 플립러닝을 실행하고 교사들의 경험을 분석한 질적 연구다. 연구 목적은 구글 클래스룸이 교회학교 플립러닝을 위한 플랫폼으로써 적합한지 밝히고, 교회학교에서 플립러닝을 지속하기 위한 과제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에 플립러닝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이 없고, 플랫폼 구축에 어려움이 있는 지방에 소재한 S 교회 고등부를 사례로 선정하였다. 연구자는 약 3개월간 준비기를 거쳐 1개월 동안 구글 클래스룸을 활용하여 플립러닝을 실행하고 난 뒤 교사 13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 1:1 면담, 연구자의 관찰일지를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구글 클래스룸을 운용할 수 있는 인력만 확보한다면 구글 클래스룸이 교회학교에서 플립러닝을 실행하기에 적합한 플랫폼이라고 진술하였다. 교사들은 구글 클래스룸의 장점들과 플립러닝의 선행학습 동영상 콘텐츠, 학생과의 의사소통, 교수 효능감에서 대체로 만족하였다. 한편, 학생들이 선행학습 동영상을 보고 교회에 오도록 하는 동기부여 문제가 대두되었다. 또 교회학교에서 플립러닝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새로운 시도에서 오는 실패들에 낙심하지 않도록 세미나와 워크숍을 통한 지식적, 감성적, 영적 지원이 필요하며, 교역자가 바뀌어도 플립러닝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것, 유치부부터 플립러닝과 같은 토론 위주 및 학습자 중심의 교육방법으로 교회교육체제가 전환되어야 한다는 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에서는 연구 결과를 기초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국어과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의 적용 가능성 탐색

        진용성,김병수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Flipped Classroom to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First, the concept of Flipped Classroom and attributes, dealing with the specific context of the Flipped Classroom, and discussed the need for Flipped Classroom in language classes. And discuss ways to overcome dilemmas for the classroom, and to explore the significance. Flipped Classroom is a teaching strategy to enhance the learning of individual learners. Its main characteristic is the learner learning through the media outside of the classroom, inside the classroom interaction through discussion and debate. The learner and the teacher's role are different with traditional teaching. Flipped Classroom in korean language classroom emphasizes the students' individuality and mutual negotiations and, learner-centered language teaching. However, many of the ambiguous of teacher roles, relationships neglected by emphasis on education Engineering, such as difficulties in activities of Korean language class. To compensate for this, the principal language of instruction is learner-centered educational philosophy must first internalize and practice, and teacher should enhance the expertise that can be deployed in a variety of roles in the classroom. Second, take advantage of the classic literature, children's literature such as actively as a media for learning outside the classroom, and learning about the critical reading of the media should also be supplemented. Third, it combines the Havruta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teaching. 본고의 목적은 국어과 거꾸로 교실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거꾸로 교실의 개념과 특성, 거꾸로 교실의 구체적인 맥락을 다루고, 국어수업에 거꾸로 교실 수업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거꾸로 교실에 대한 논쟁점과 국어수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딜레마의 극복방안 등을 논의하고, 국어과 거꾸로 교실의 의의를 탐구하여 국어 수업에서의 적용가능성을 탐구 했다. 거꾸로 교실은 개별 학습자의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한 수업 전략이다. 그 주된 특성은 교사중심의 교과내용의 전달을 교실 수업 바깥에서 학습자가 매체를 통해 학습을 하고, 교실 안에서는 학습자간 혹은 교사와 상호작용하며 배움의 내용을 토론과 토의 등을 통해서 정교화 하는 학습을 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학습자와 교사의 역할 등은 기존 전통적 수업과 다른 양상도 보이게 된다. 국어 수업에서도 거꾸로 교실을 통해서 학생들의 개별성을 강조하고, 상호교섭적이고, 언어의 총체성와 창조성이 나타나는 학습자 중심 국어수업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가르침의 본질과 관련된 교사 역할의 불분명성, 교육공학의 강조로 인한 관계의 소홀, 학교 급에 맞는 국어과 수업 내 활동 구성의 어려움 등이 거꾸로 교실을 실제 국어 수업에 적용할 때 도출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난제들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첫째, 학습자 중심의 국어교육 철학을 수업 주체가 먼저 내면화하고 실천해야 하며, 수업 속에서 다양한 교사 역할을 전개할 수 있는 전문성을 고양해야 한다. 둘째, 인문고전과 아동문학작품 등을 교실 바깥 배움을 위한 매체로 적극 활용할 수 있어야 하며, 매체의 비판적 읽기에 대한 학습도 보완되어야 한다. 셋째, 하브루타식 교육법을 국어수업에 융합해서 국어과 수업 내 활동 구성을 적합하게 전개할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

        영어과 거꾸로 교실 수업의 전개양상: 교수 설계, 활용도구 및 학생 참여 구조를 중심으로

        김성우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1 No.2

        Since the mid-2010s the educational impact of flipped learning has been increasing as it is seen a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teacher-centered classrooms. It has been adopted by a wide range of subjects while producing positive results in terms of student achievement and motivation. However, a majority of studies are limited in that they failed to capture a detailed description of classroom discourse. As a means of partially addressing these limitations, the present research reports a year-long observation of a middle school English flipped classroom in South Korea. Specifically, it presents a thick description of a flipped classroom by detailing typical class stages and interactions, class materials, and patterns in class participation, which serves to construct a nuanced explanation of the meaning of ‘flipping’ in a flipped classroom. An analysis of classroom observations suggests that it would be ecologically valid to understand the flipped classroom as a dynamic organization and orchestration of content, learning tools, teaching methods, and student activities, as opposed to and beyond understanding it as a reversal of the macrostructure of classe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nabling researchers and teachers to make an informed decision about flipped learning, based upon a detailed analysis of classroom interactions and mediation tools. 거꾸로 학습이 2010년대 중반 이후 교수혁신 방법론으로 확산되면서 관심을끌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상호작용 담화를 포함한 거꾸로 수업의 진행과정을 상세히 기술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여 왔다. 이에 본 연구는 한 중학교영어수업에 대한 중장기 참여관찰을 기반으로 전형적인 거꾸로 수업의 전개양상, 학습도구를 중심으로 본 수업의 구성요소, 학습 참여구조를 밝히고, 거꾸로수업에 있어 ‘거꾸로’의 의미를 ‘두껍게 기술(thick description)’한다1). 수업분석의 결과는 교수체제의 거시적 변화를 넘어서 다양한 교수학습 구성요소들의 역동적 조직 및 수업을 둘러싼 권력의 분산에 주목할 때 거꾸로 교실을 보다 적절히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 KCI등재

        스마트 러닝 기반 Flipped Classroom의 활용연구 - 대학의 음악실기교육을 중심으로 -

        서동욱,이에스더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5 음악교육공학 Vol.- No.23

        A substantial amount of effort to educate students on practical skills and theories in a balanced method has been made in the music education field in Korea, but it has not been easy due to the limitations of circumstances and time. In the event of applying musical knowledge to practice after class, educational achievement may often be less effective in comparison with spending time on theory due to the difference in each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or lack of retention over time. Students also happen to fall short of consideration for the mean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music which they are playing, though performance focused classes help them develop practical techniques. As a result, audiences may not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musical works or the writers’ messages. A considerable number of educational institutions have made efforts to fulfill those needs by supplying financial and human resources support. As one of expedients, this study proposes using a flipped classroom based on smart learning for the practical education of music. Students can greatly increase their ability to study musical knowledge under a smart learning environment. The methods of maximizing educational efficiency and convenience have been sought through the flipped classroom’s focus on practical tutoring based on the prerequisite knowledge learning in class. Also, the possibilities, advantages, examples and concept of the flipped classroom are still uncommon in Korea and have been suggested with the introduction of smart learning which is different from typical e-learning. This study aims to expand the foundation of smart learning in the field of education for the college of music, and activate the efficient and learner centered practical education for music by supplying the education service of the flipped classroom to the students who are already familiar with smart technology infrastructure. 우리나라 대학의 음악교육현장에서는 음악이론과 실기를 균형 있게 교육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시간적, 환경적 제약으로 인해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음악이론을 교육한 후, 이를 실기에 적용할 경우 학습자마다 이해도의 차이가 있거나, 시간이 지날 경우 학습한 내용을 기억하지 못해 시간대비 교육효과가 높지 않은 경우가 많다. 또한 실기에 집중할 경우 연주의 기능적 완숙도는 높아지나, 학생들이 연주하고 있는 곡의 의미와 해석에 대한 깊은 음악적 사고가 부족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로 인해 연주를 듣는 청중들에게 작품의 의미와 작곡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많은 교육기관이 인력과 재원을 들여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일환으로 스마트 러닝 기반의 Flipped Classroom을 음악전공실기교육에 적용하고자 한다. 스마트 러닝 환경 하에 학습자는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음악이론을 학습하고, 수업시간에는 학습된 이론에 근거한 실기교육에 집중하는 Flipped Classroom을 통해 교수-학습의 효율을 극대화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이러닝 등의 기존 교육과 다른 스마트 러닝 환경에 대한 소개를 통해 국내에는 아직 생소한 Flipped Classroom의 개념과 사례 및 장점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음악대학 교육현장의 스마트 교육 저변 확대에 기여하길 바라고, 스마트 인프라에 익숙한 학생들에게 Flipped Classroom 교육서비스를 제공함으로 학습자 중심의 효과적인 음악실기교육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자한다.

      • KCI등재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의 실행에 대한 비평적 분석

        홍기칠(Hong KiChil) 한국교육방법학회 2016 교육방법연구 Vol.28 No.1

        This study suggests effective improvement strategies based on critical analysis on implementing the ‘flipped classro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n-line instruction outside of classroom should not only contain the key contents or information that students will learn through the off-line instruction, but also contain cues from which students can make constructive questions and critical thinking. Second, teachers for the ‘in-classroom’ learning should make model, coach, and scaffold learning activities to individuals or small groups of students based on the key contents and constructive questions made from the on-line learning ‘outside of the classroom’ in order for the students to be able to constitute advanced construction of knowledge and logical thinking. Third,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suggest effective in-service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as well as guidelines of learning assessment and support necessary finance. Fourth,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revitalize the formation of leaning communities and networks in which teachers can voluntarily participate and share informations on the application of the ‘flipped classroom’. Fifth,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improve classroom environments and upgrade on-line systems of the ‘flipped classroom’ and provide such system from which students and teachers can use smart devices and make videos effectively. Sixth,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provide the teachers standard videos for the ‘flipped classroom’ such as videos or documents files through EBS or EDUNET. Seventh, teachers should develop strategies, such as quiz, online discussion, project learning, and discussion of the key contents, to motivate students to be interested in learning through watching the on-line video lecture of the ‘flipped classroom’. Finally,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develop activities, such as broadcast program, demonstration classes, and formation of network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so that parents can get various knowledges and experiences on the ‘flipped classroom’.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거꾸로 교실에 관한 선행연구를 비평적으로 분석하여 실행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거꾸로 교실 실행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실 밖’ 온라인 강의내용은 ‘교실 안’의 오프라인 심화학습활동과 밀접하게 연계될 수 있도록 학습에 필수적인 핵심개념이나 정보를 제공할 뿐 아니라 수준별 탐구질문과 논리적 사고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단서가 포함되어야 한다. 둘째, ‘교실 안’의 학습활동은 ‘교실 밖’의 온라인 동영상 내용의 핵심개념과 탐구질문을 기반으로, 논리적 사고와 심화된 지식구성이 가능하도록 교사가 개별적으로 혹은 소집단별로 수행활동을 모델링, 코칭, 스케폴딩 해야 한다. 셋째, 교육당국은 거꾸로 교실 적용을 위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교사연수 프로그램과 학습평가기준을 마련하고 필요한 재정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육당국은 교사들이 자발적으로 거꾸로 교실 적용을 위한 학습 커뮤니티나 네트워크를 조직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한다. 다섯째, 교사와 학생들이 동영상 제작과 스마트 기기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과 장비를 지원해야 한다. 여섯째, 교사가 수업동영상을 직접 제작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다른 교사들이 만든 수업동영상이나 EBS 강의 동영상 혹은 에듀넷의 사이버가정학습용 동영상이나 문서파일 등 표준화된 동영상을 제공하고 스마트러닝과의 연계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학생들이 동영상 강의를 흥미 있게 시청하도록 퀴즈풀이, 개별적 모임활용, 개별화된 수업시간관리, 온라인 토론방 활용, 프로젝트 학습, 주요 개념의 설명 등의 동기유발 방안을 개발해야 한다. 여덟째, 거꾸로 교실 실행 전에 학생들에게 거꾸로 수업방법의 장단점, 수업절차, 학습자 역할, 유의점 등을 충분히 안내해주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부모를 대상으로 거꾸로 교실에 관련된 지식과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방송 프로그램, 수업공개, 교사-학부모 네트워크 구성 등 다양한 활동을 연계해야 한다.

      • KCI등재

        혼합연구를 통해 본 플립드 러닝의 영향과 인식

        서미옥 ( Meeock Suh ) 한국교육공학회 2016 교육공학연구 Vol.3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플립드 러닝과 전통식 수업을 실시한 후에, 학습자의 학업 자기효능감, 강의만족도, 자기행동 평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차이를 비교하고, 플립드 러닝에 참여한 학생들의 인식을 질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자는 교육심리학 강좌를 수강한 98명의 예비교사들로 구성되었다. 실험집단(49명)은 거꾸로 교실에 배치되고, 통제집단(49명)은 전통식 수업에 배치되는 사전-사후 통제집단 실험실계이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는 학업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플립드 러닝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교수 실재감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플립드 러닝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수업만족도가 전통식 수업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넷째, 플립드 러닝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자기행동 평가가 전통식 수업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다섯째, 플립드 러닝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중간시험과 기말시험에서 통제집단보다 학업성취가 높았다. 여섯째, 플립드 러닝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인식은 7가지 항목으로 분류되었다. 비록 약간의 수고가 뒤따르지만, 학습자는 전통식 수업보다 플립드 러닝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플립드 러닝이 우리 교육현장에 정착되기 위해서 필요한 사항들에 대해 논의되었다. To investigate the two teaching methodologies of a flipped learning style versus a traditional lecture-styl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n self-efficacy, teaching presence, course satisfaction of two different teaching methods, the behavior rating scale, academic achievement, and also student``s awareness of flipped learning through qualitative measures. All of the participants were pre service teachers who had taken a course on educational psychology.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n=49) experienced an “inverted classroom”. while the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n=49) experienced s “traditional classroom”. A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self-efficacy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the flipped classroom showed higher teaching presence scores than the traditional classroom. Third, the flipped classroom showed higher course satisfaction scores than the traditional classroom. Forth, self-assessment behaviors of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flipped classroom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raditional classroom. Fifth, the flipped classroom demonstrat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on their midterm and final exams than the traditional classroom. Sixth, the awareness of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flipped classroom was classified into seven categories. Learners showed a preference for flipped learning to a traditional classroom approach.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how flipped learning is an effective way to engage students in the learning process.

      • KCI등재

        EFL College Learners’ Attitude toward Flipped Classroom Approach

        AeJin Kang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18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25 No.2

        This study was an attempt to explore how EFL college-level learners perceive flipped learning or flipped classroom approach which would be practiced with Content-Based Instruction (CBI) courses. As an effort to find a way for the CBI learners to be served more effectively in terms of earning content-knowledge and improving L2-using skills, the new approach of flipped learning has been tapped into first of all by looking into their expectations and concerns that they might have if the new approach would be employed in their CBI classroom. The analysis of the data provided by the 159 participants revealed that they did not show clear preference or strong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new approach. While the young college-level learners appeared technology-savvy, they did not seem confident enough in the new approach mainly due to the on-line component of the flipped classroom approach, which would require more responsibility of their learning. The study also made suggestions on what should be considered if the new approach can be successfully implemented and help the learners earn better learning experience.

      • 거꾸로 교실 수업 전문 교사 양성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

        김동원,김병수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6 학교와 수업 연구 Vol.1 No.2

        This study's purpose is to develop in-service education programs of flipped classroom. The education programs for flipped classroom builds on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For this we extract flipped classroom instruction specialty element. These modify and complement existing in-service education programs of flipped classroom. And we developed basic education program, deepen education program each 30 hours. The basic program go into the world the flipped classroom. The content of education follows as (1) understanding of classroom instruction change, (2) get to the core flipped classroom, (3) experience firsthand about flipped classroom, (4) vedio-making for flipped classroom. The deepen education program build up th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content of education follows as (1) verfication about education philosophy, (2) design the flipped classroom, (3) practice and introspection 1, 2, 3 Finding of this study expected to provide flipped classroom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