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의 장소성에 대한 시학적(詩學的) 탐구

        엄경희 국어국문학회 2019 국어국문학 Vol.0 No.186

        As not only the dwelling place and original space common to the mankind but also the first vast place being unable to be ranked and divided, ‘the earth' itself has the natural elementariness implying utopian meanings. In the result of gradual disappearance of utopian meanings in the original place, the modern literature has revealed an emotion of the unrest of existence and continually produced utopian ideals to substitute for the unrest. If the utopia is an unreal place, the heterotopia is an utopian place in reality. The heterotopia, as mentioned firstly in Michel Foucault's Les mots et les choses, is a concept of the spatiality from negative or critical imagination on the basis of literary rhetoric such as the overthrow, collapse, disturbance and nullification with the 'spacial-linguistic' strategy to deconstruct utopian mythologies. The kernel of Michel Foucault's argument is that the heterotopia is the place of 'objections' as well as the 'counter-space' absolutely different from all places if the utopia is the 'non-place beyond place.' His purpose to compare traits of the two topoi is not to assert their opposite meanings but to explain a relation between two positions of the utopian place, in other words, a relation between the utopia 'having no' place and the utopia 'having' a place. The utopia and heterotopia are the 'paired' places being endlessly reconstructed by the imagination of 'sympathies' and 'antipathies,' and the 'heterotopology' is the very methodology to elucidate how the places of heterotopia in this relation are reconstructed in the real space. In this inquiry trying to extend the poetical possibility of heterotopia, the spatial traits of heterotopia in Korean modern poetry are classified, on the basis of theoretical examination of the six principles of 'heterotopia' and 'heterotopology' as Foucault mentioned, into 1) the 'heterotopia of primitiveness' and 'heterotopia of deviation' as the places of divinity and cure in every culture, 2) the 'heterotopia of eternality' and 'heterotopia of feast' as the places heterogenizing and dividing times, and 3) the 'heterotopia of fantasy' and 'heterotopia of compensation' giving specific functions to places, and Korean modern poems are each selected and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se types of heterotopia. 인류 공통의 거주지이자 본래적 공간으로서의 ‘대지(大地)’는 위계화되지 않고 분할되지 않은 최초의 방대한 장소이며 그 자체가 유토피아(utopia)적 의미를 함의는 자연적 근원성을 지닌다. 본래의 장소가 지닌 유토피아적 의미가 점차 사라지면서 그 결과로 근대의 문학은 존재의 불안이라는 정서를 드러내게 되었으며, 그 불안을 메우기 위해 유토피아적 이상을 지속적으로 생산해냈다. 유토피아가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장소라면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는 현실에 실재하는 유토피아적 장소라 할 수 있다. 미셸 푸코가 말과 사물 에 처음으로 언급한 헤테로토피아는 유토피아적 신화를 해체하는 ‘장소-언어적’ 전략으로 전복, 와해, 혼란, 무효 등의 문학적 수사에 근거한 부정적 또는 비판적 상상력의 소산이라 할 수 있는 장소성의 개념이다. 유토피아가 ‘장소 바깥에 있는 장소’라면 헤테로토피아는 모든 장소들과 절대적으로 다른 ‘반(反)공간(contre-espaces)’이자 ‘이의제기’의 장소라는 것이 미셸 푸코의 핵심 논지다. 두 장소의 특징을 비교하는 그의 의도는 대립적 의미를 강조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유토피아적 장소의 두 위상, 즉 위치가 ‘없는’ 유토피아와 위치가 ‘있는’ 유토피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유토피아와 헤테로토피아는 ‘감응’과 ‘반감’의 상상력에 의해 끊임없이 재구성되는 ‘짝패’의 장소이며, 이러한 관계 속에서 헤테로토피아의 장소들이 어떤 방식으로 현실공간에 재구성되는지를 밝히는 방법론이 바로 ‘헤테로토폴로지’(heterotopologyh), 즉 헤테로토피아의 위상학이다. 본고는 미셸 푸코가 언급한 ‘헤테로토피아’와 ‘헤테로토폴로지’의 여섯 가지 원리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헤테로토피아의 장소적 특징을 1)모든 문화에 존재하는 신성과 치유의 장소로서 ‘원시의 헤테로토피아’와 ‘일탈의 헤테로토피아’, 2)시간을 이질화하고 분할하는 장소로서 ‘영원성의 헤테로토피아’와 ‘축제의 헤테로토피아’, 3)장소에 특정 기능을 부여하는 ‘환상의 헤테로토피아’와 ‘보정(補正)의 헤테로토피아’로 구분하고, 각각의 유형에 맞는 시들을 선별하여 분석함으로써 헤테로토피아의 시학적(詩學的) 가능성의 적용과 확장을 꾀하고자 한다.

      • KCI등재

        디지털 패션쇼의 헤테로토피아적 특성 -헬싱키 패션위크를 중심으로-

        최재경,노주현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2

        The digitalization of the fashion industry by the pandemic is bringing innovative movements throughout the industry. This discourse on the future direction of the fashion industry change is connected with Foucault's concept of heterotopia.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on the interpretation of fashion phenomena by applying the concept of heterotopia to the analysis of Helsinki Fashion Week, which was conducted entirely as a digital virtual fashion show. This study categorized heterotopia spatial characteristics through literature studies on the concept of heterotopia and utopian body. Based on this, cases were analyzed by category appearing in digital fashion shows. Analyzing the digital fashion show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clothes, and space is as follows. 1)The existence of the body as an avatar is the subject who wants to realize utopia, and exists as a heterotopia when visualized in a fashion show or a virtual space by purchasing and wearing digital fashion. 2)Digital fashion embodies sustainability, and heterotopia as an alternative space that newly presents the utopian representation of social equality and cooperation. 3)Digital Village is heterotopia in that it is a space where you can interact with anyone, but you cannot meet anyone. The moment a user connects through the medium, the digital village becomes heterotopia. Through this, the heterotopia characteristics of digital fashion shows are expressed as 1)the body and clothing are utopian subjects and as healing, purifying and interacting beings in the relationship with heterotopia of nature. 2)It shows humorous images of trying to build a utopian body and heterotopia by placing various incompatible images and styles in a combination. 3)As an objection to the current era and the fashion industry, the message delivery of natural disasters and environmental problems in digital virtual space serves as fantasy and compensation. Thi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further studies on more diverse forms and attitudes toward digital fashion show. 팬데믹 상황에 의한 패션산업 디지털화는 산업 전반에 걸쳐 혁신적인 움직임을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패션산업 변화의 미래 향방에 대한 담론은 푸코의 헤테로토피아의 개념과도 연결된다. 이에 본 연구는푸코의 유토피아적 몸, 헤테로토피아 간 관계성에 주목하여 전면 디지털 가상패션쇼로 진행한 헬싱키패션위크의 분석에 적용함으로써 패션 현상의 해석을 위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함에 그 연구 목적을두었다. 연구 방법은 헤테로토피아와 유토피아적 몸의 개념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헤테로토피아 공간 특성을 도출하여 범주화하였다. 이를 토대로 디지털 패션쇼에서 나타나는 범주별 사례를 분석하였다. 디지털 패션쇼를 몸, 옷, 공간으로 분석하면, 1)아바타로서의 몸의 존재는 유토피아를 실현하고자하는 주체인 동시에 패션쇼 안에서 가시화되거나 디지털 패션을 구매하여 착용함으로써 다른 가상공간 안에 표현될 때 헤테로토피아로서 존재한다. 2)디지털 패션은 지속가능성을 구현하는 동시에 사회적 평등, 집단적 협력이라는 유토피아적 표상을 새롭게 제시하는 대안의 공간으로서의 헤테로토피아를 구현한다. 3)디지털 빌리지는 누구와도 교류할 수 있으나 사실상 누구와도 만날 수 없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헤테로토피아 개념에 맞닿아 있으며, 사용자가 매체를 통해 접속하는 순간 디지털 빌리지는헤테로토피아화된다. 종합적으로 살펴본 디지털 패션쇼의 헤테로토피아적 특성은, 1)몸과 옷은 유토피아적 주체이자 자연이라는 헤테로토피아와의 관계에서 치유, 정화하며 상호작용하는 존재로서 이미지가 표출된다. 2)양립 불가능한 다양한 이미지와 스타일을 복합적으로 배치하여 유토피아적 몸과 헤테로토피아를 건설하려는 유희적 이미지를 보여준다. 3)현시대와 패션산업에 대한 이의제기로서 자연재해와 환경문제에의 메시지 전달은 가상공간에서 환상과 보정의 기능을 발휘한다. 이와 같은 연구는디지털 패션 연구에 대한 좀 더 다양한 형식과 태도를 다루는 후속 연구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 KCI우수등재

        헤테로토피아와 알레고리적 장소의 시학적 연관성에 대한 소론 -김명인의 시집 『東豆川』의 경우

        엄경희(Eum, Kyoung-hee) 국어국문학회 2020 국어국문학 Vol.0 No.193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는 자본 권력이 행사하는 공간의 통제와 기획에 맞서 유토피아적 공간을 ‘현실’에 실현하려는 ‘대항담론’이라는 점에서 근대의 공간-장소 분석에 특별한 의미를 제공한다. 헤테로토피아가 현실, 특히 문학 작품에 작동하는 고유의 방식은 알레고리적 사유를 통해서 드러날 수밖에 없는데, 그 이유는 ‘대항담론’이라는 역사적 성격 때문이다. 본고가 근대의 공간-장소 분석을 헤테로토피아와 알레고리라는 개념에 근거해 설명하려는 이유는 실존들이 겪는 소외와 억압의 하중이 ‘정치·경제적’ 측면보다 ‘장소적’ 측면에 더 깊게 각인되기 때문이다. 장소의 실존적 맥락은 자기보존욕구(conatus)에 의해 형성된다. 자기보존욕구란 장소 박탈에 맞서는 장소 회복의 의지로 설명될 수 있으며, 이는 현실에 유토피아적 장소를 구현하려는 헤테로토피아적 의지와 상통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고는 대항담론으로서의 헤테로토피아가 역사에 대한 알레고리적 사유를 동반할 수밖에 없다는 논거를 미셸 푸코와 앙리 르페브르가 언급한 헤테로토피아의 특징과 발터 벤야민의 알레고리론을 통해 제시하고, 그러한 논거를 바탕으로 김명인의 시집 『東豆川』에 나타난 ‘헤테로토피아적 특징을 장소 박탈과 장소 회복이라는 측면을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김명인 시에 나타난 ‘고아원’, ‘학교’, ‘포주집’ 등은 개인과 역사의 아픔이 결절(結節)된 수난의 장소들이라 할 수 있다. 결절된 장소들이 배치된 ‘동두천’은 유년의 장소적 체험과 역사적 상흔이 알레고리화된 장소이면서, 일상의 장소가 아닌 ‘다른’(heteros) 장소, 즉 실존 회복의 염원이 내포된 헤테로토피아적 장소라는 점에서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할 수 있는데, 그것을 ‘일탈의 헤테로토피아와 장소의 패닉’, ‘거울의 헤테로토피아와 혼혈(混血)의 알레고리’라는 주제를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김명인의 시적 세계가 역사적 수난과 실존의 근원성을 동시적으로 포착해내는 ‘알레고리적 리얼리즘’에 입각해 있다는 것을 밝히는데 있으며, 그러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적용한 ‘헤테로토피아와 알레고리적 장소의 시학적 연관성’이라는 소론이 한국 현대시의 공간-장소 분석의 다양화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As a ‘counter-discourse’ aiming to embody an utopian space in ‘reality’ against the capital power’s spatial control and project, heterotopia gives a particular significance to the analysis of modern space-locality. The peculiar mode of heterotopia operating on reality, especially on literary works, is forced to appear in allegoric thought. For the ‘counter-discourse’ is a historical trait of heterotopia. Since the weights of elimination and pressure on existences have been inscribed more deeply in ‘spatial’ than ‘political and economical’ aspects, the analysis of modern space-locality is to be explained on the notions of heterotopia and allegory. The conatus makes the existential context of locality. As a will to regain a locality against depriving of it, the conatus is able to be in common with the heterotopian will to embody an utopian locality in reality. Through the traits of heterotopia such as Michel Foucault and Henri Lefebvre mentioned and Walter Benjamin’s theory of allegory, this study presents the basis of an argument that the allegoric thought on history must accompany heterotopia, and tries, on this basis, to illuminate the heterotopian traits of Kim Myung-In’s Dongducheon in aspects of the deprived and regained localities. The objects such as ‘orphanage,’ ‘school,’ and ‘pimp’s nest’ in Kim Myung-In’s poetry are the suffered localities of the knotted personal and historical pains. The city ‘Dongducheon’ where the knotted localities have been configured is not only a locality where the local experiences and historical scars in the poet’s childhood had been allegorized but also a ‘heteros’ locality where had been not the everyday locality but the heterotopian locality involving the wish for existential restoration. In this respect, the city has a particular significance to be analyzed in this study through the subjects of the ‘deviant heterotopia and local panic’ and ‘mirrored heterotopia and half-breed allegory.’ With the purpose of stating that the basis of Kim Myung-In’s poetry is the ‘allegoric realism’ to catch simultaneously the historical sufferings and the existential rootedness, this study is expected to take part in diversifying the analyses of space-locality of Korean modern poetry.

      • KCI등재

        Nighttown as Heterotopia: A Foucauldian Reading of Circe

        ( Gil Young Oh ) 한국제임스조이스학회 2007 제임스조이스저널 Vol.13 No.2

        The object of this essay is to bring Foucault`s theory and practice of heterotopias to bear on James Joyce`s Circe episode of Ulysses. Reflecting on the meaning of social spaces, Foucault convincingly suggests a refreshing notion of heterotopias. Heterotopias, socially marginalized, heterogeneous, and unnoticed, are the ``other spaces`` that are absolutely different from all everyday spaces. Heterotopias are the other spaces against which the society defines its familiar scenes and the values they represent. Foucault singles out among others the following heterotopias: cemeteries, museums, libraries, bedrooms, brothels, and colonies. A point of interest is that these heterotopias are Joyce`s chosen settings in Ulysses and Finnegans Wake. The object of this essay is to examine the relevance of different spaces in Circe to Joyce`s thinking on the multi-dimensionality of everyday colonial life in Dublin. To bend Foucault`s notion of heterotopias to my purpose, Nighttown is not merely a physical heterotopia, insofar as it is a socially partitioned place. Accordingly, social spatialization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question of representation of the world and its relatedness to our habitual spatial practices. Social space is embedded in our symbolic and conceptual practices that bring about the third definition of space in terms of the psychological space of human subject. The opening scene of Circe is invested and tainted with the dark and bestial images of deformity and abnormality. It casts an illuminating light on the theatricality of social division i Dublin. Joyce`s choice of the threshold of Nighttown as the setting for the opening scene is far from fortuitous, since the space of threshold is a disrupting point of the division of indoors and outdoor. The gendered notion of publicity in a socially differentiated space is at issue, inasmuch as the existence of prostitution dismantles the dividing line between the private and the public. The modern form of bourgeois nuclear family is rooted in the unquestioned assumption that establishes an unbridgeable borderline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The presence of prostitution in Nighttown transgresses this borderline, even if a prostitute is figured as the public woman who supplements woman`s regulated role as the private woman in domesticity.

      • KCI등재

        <설국열차>, <기생충>에서 경제적 불평등 트라우마와 헤테로토피아의 변화 양상

        장미화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23 아시아영화연구 Vol.16 No.3

        Bong Joon-ho's films captured the attention of audiences by narratively reproducing the other side of class conflict of today. Here, the conflict caused by class differences triggers a violent incident and reveals the characters' trauma. This study focuses on the way these two films reproduce the trauma caused by class conflict in modern capitalist society, focusing on the changing aspects of space as a heterotopia. In <Snowpiercer>, the space of the train running on the ice age Earth is a space where class struggle occurs, and within it, humans are isolated according to class. By depicting such scenes, the film shows the characters' trauma repeatedly throughout the film's space. In the reproduction of each compartment of the train, we encounter an eternal heterotopia that condenses the history of humanity. In the case of <Parasite>, the trauma of class conflict is depicted centered on the space of house. Bong Joon-ho satirizes the deepening class differences in modern Korean society through the invisible bunker space in the basement of a rich man's house in Seoul. In it, individuals live in seclusion without any social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this space appears as a heterotopia in which the characters live. This article focuses on Michel Foucault's Heterotopia and examines how the central spaces in these two films reflect human consciousness resisting the control of capitalist society. Foucault gave meaning to the alternative value of this space, saying that humanity has heterotopias that resist the control imposed by the ruling system in any era. The spaces that reveal the trauma of class conflict in the two films are heterotopias imagined by Bong Joon-ho, spaces that oppose today's deepened class discrimination. Thanks to the film's narrative, these spaces reflect that the current neoliberal era overlooks humanity and urge us to reflect on this. What is important here is the changing patterns of heterotopias that reproduce the trauma of class inequality. Surveillance, control, and violent incidents that occur due to social hierarchy spatially visualize the traumatic lives we have in the neoliberal era, and the overturning of the train shows that heterotopia is changing toward potential possibilities. The underground bunker is a heterotopia where Ki-taek seeks rehabilitation by disconnecting from the world that binds him.

      • KCI등재

        장자(莊子)의 ‘무하유지향’(無何有之鄕)과 홀리즘(Holism) Ⲻ 푸코(M. Foucault)의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에 입각하여 Ⲻ

        양승권 동양철학연구회 2020 東洋哲學硏究 Vol.101 No.-

        This research project dealt with the meaning of 'You[Wandering]' focusing on 'Muhayujihyang'. And he analyzed it with Foucault's concept of ‘heterotopia’. Finally,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linked to extended ethics beyond humanism based on Holism. Liberation of the spirit without oppression and alienation and 'You' are expressed as 'Wandering'. "Wandering" of "DaeBung" is the way of "doing nothing (無爲)" to get rid of "secular self" in order to find "true self." Zhuangzi, the 'fantasy space' of 'You (遊)' is not a world beyond reality. It is the 'aesthetic world' of 'subjectivity-Citta-Mātra (唯心)' who wants to play in the mind without being bound. Zhuangzi's fantastic world of absolute freedom was a way out of false reality. Utopia is a place not found in reality. In contrast, heterotopia bridges the gap between reality and fantasy. Heterotopia is a well-known place for young children who are faithful to the original nature of nature as it is not stained with society. Heterotopia can function to neutralize the difficulties of reality. According to Michel Foucault, a heterotopia is a ship that floats freely on the sea. For Zhuangzi, 'Muhayujihyang' is a space where people float like empty ships, empty their hearts and play. 'Muhayujihyang' and 'You (遊)' are both realistic and mythical spaces. It is also a heterotopia as an anti-space against all places other than yourself. 'You (遊)' as 'subjectivity-Citta-Mātra (唯心) heterotopia' extends to 'Holism' with 'all things' beyond social categories. Zhuangzi goes beyond human-centered logic and considers life in harmony with Mother Nature/cosmos as an ethical ideal. Zhuangzi extended the ethical category that remains only in the human world to all subjects. 이 논문은 장자의 ‘유(遊)적인 환상의 공간’의 의미를 ‘무하유지향’을 중심으로 다루면서, 이를 푸코의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 개념에 담아내었다. 그리고 이 분석 결과를 ‘홀리즘’(Holism)에 기초해 인간 중심주의를 넘어선 확장된 윤리의식으로 연결했다. (1) 장자(莊子)가 말하는 ‘유’(遊)의 환상 지평이 갖는 해방적 기능; 장자의 억압과 소외됨이 없는 정신의 해방, 그리고 ‘유’(遊)의 경계 지평은 ‘소요유’(逍遙遊)로 함축된다. 대붕의 ‘소요유’는 사회적 맥락에만 머물러 있는 협소한 자아상을 넘어서 ‘만물’과 소통하는 폭넓은 자아상을 내포한다. 그리고 장자에게 ‘유’(遊)라는 절대 자유의 ‘환상의 공간’은 어떤 피안적인 세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그 무엇에도 구애됨이 없이 내면의 세계에서 노닐고자 하는 주관-유심’(唯心)의 ‘미적’인 세계다. 장자의 극한의 자유를 펼쳐놓는 ‘환상’의 세계는 자신을 옥좨는 엄혹한 현실을 벗어나는 하나의 방법이었다. (2) 푸코(M. Foucault)가 말하는 ‘헤테로토피아’의 환상 공간이 갖는 해방적 기능; 이어 본 논문의 핵심적인 방법론인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개념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 유토피아는 실제 장소일 수 없는 위안의 장소일 뿐이다. 이에 비해 헤테로토피아는 현실/환상이라는 이분법적인 도식을 무너뜨리고, 존재/비존재의 경계가 허물어진 공간, 무한히 확장할 수 있는 의미의 공간을 말한다. 헤테로토피아는 특히 사회적 자아상이 덜 구축되어 있어 ‘자연(自然; 스스로 그러함) 그대로’의 원형적 본성에 충실한 ‘어린아이’들이 이미 잘 알고 있는 곳이다. ‘헤테로토피아’의 성격과 기능은 현실의 난맥상을 중화시켜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푸코에 의하면, 헤테로토피아는 항구를 떠나 일체의 자율권을 행사하며 바다 위를 떠다니는 선박이다. 장자에게도, ‘무하유지향’이란 마치 묶어 놓지 않은 선박처럼 자유롭게 부유하며 마음을 비우고 유희[유(遊)]하는 공간이다. (3) ‘헤테로토피아’로서, ‘무하유지향’과 ‘유’(遊)의 경계; ‘무하유지향’은 유토피아나 종교적 피안의 세계가 아니라 ‘헤테로토피아’의 내면화된 세계다. ‘무하유지향’과 ‘유’(遊)의 경계는 현실적인 동시에 신화적인 공간들이며, 일체의 장소에 맞서고 그것을 중화시키는 ‘반(反)공간’으로서의 ‘헤테로토피아’이다. 필자는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개념 장치를 기반으로 해 장자의 ‘무하유지향’이 참혹한 현실에 균열을 내는 저항적인 성격을 지닌 자기만의 ‘유희적’ 환상의 공간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4) ‘홀리즘’(Holism)으로서, 윤리적 고려 대상의 확대; 마지막으로 장자 사상에서 내면에 이식된 주관-유심의 헤테로토피아로서의 ‘유’(遊) 경계는 사회적 연결망 아래에서의 자아상을 넘어 ‘만물’을 고려하는 ‘홀리즘’(Holism; 종합주의)에 입각한 자아상으로 확대된다는 점을 ‘초점’화했다. 장자는 인간을 중심에 놓는 태도에서 벗어나, 대자연과 하나가 되는 삶을 윤리/도덕적 이상으로 생각했다. 인간 세상에만 머물러 있는 윤리적 범주의 경계 지평을 확대하고자 한 것이다. 장자가 바라는 윤리/도덕의 모습은 만물이 서로가 서로에 대한 지배가 없이, 이익을 공평하게 고려하는 태도를 갖추는 것이었다. 장자가 말하는 완성된 도덕은 모든 자연 사물에까지 도덕적 지평이 확장되어야만 달성 ...

      • KCI등재

        헤테로토피아로 본 영화 〈창〉의 공간구조 분석

        태지호(Ji-Ho Tae),김대근(Dae-Keun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5 No.8

        본 연구는 1997년 개봉한 임권택 감독의 영화<창>에 나타난 공간 구조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영화의 공간은 등장인물의 성격과 특징을 포함하여 인물을 둘러싸고 있는 당대의 현실 및 외재적 상황을 파악하게 해주는 영화적 조건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미셸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공간개념을 활용하였다. 헤테로토피아 개념은 당대의 성격을 규정하면서, 우리 삶을 둘러싼 자본과 권력, 제도와 규범이 공간을 통해 어떻게 가시화되고 있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제 속에서 본 연구는 우선 미셸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개념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과 그 함의에 대해서 다루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영화 <창>의 공간이 헤테로토피아로 논의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영화 <창>의 공간은 일탈의 헤테로토피아, 저항 불가능성의 헤테로토피아, 경계의 헤테로토피아로 구분되었으며, 이는 영화의 대사, 장면, 편집 등과 같은 영화 요소들에 대한 분석과 병행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한 영화 <창>에 드러나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우선 영화 <창>에서의 여성들은 수동적으로 재현되며, 헤테로토피아의 경계를 부유하고 있었다. 그리고 영화 <창>은 역사와 기억을 동시에 재현하고 있으며, 그 경합의 장으로서 헤테로토피아를 제시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structure of director Im Kwon-taek"s film 〈Downfall〉, which was released in 1997. The space of the film contains the character and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and allows us to understand the contemporary reality and external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charact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Michel Foucault"s concept of heterotopia. The concept of heterotopia defines the character of the era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how capital, power, institutions and norms surrounding our lives are being visualized through space.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is study first dealt wit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Michel Foucault"s concept of heterotopia and its meaning. And through this, we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that the space of the film 〈Downfall〉 can be defined as a heterotopi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ilm"s dialogue, scenes, and editing, the space of the film 〈Downfall〉 was divided into a heterotopia of deviation, a heterotopia of resistance impossibility, and a heterotopia of boundaries. The meaning of the film 〈Downfall〉obtained through this analysis is as follows. The woman in the film 〈Downfall〉 is passively represented and floating on the border of heterotopia. And the film 〈Downfall〉 represent history and memory at the same time, and presents a heterotopia as the arena of competition.

      • KCI등재

        헤테로토피아 공간관에 의한 지기구조적 패션디자인 개발

        신혜정,김혜연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2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는 철학적 개념을 시각화하여 패션디자인의 발상법으로 발전시키고자 한다. 미셸 푸코의 헤테로 토피아는 이질적 요소로 기존 공간을 낯설게 접근하는 공간관으로 패션디자인의 창의적 방법 구현의 가능 성을 열어줄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헤테로토피아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이를 근간으로 하는 패션디자 인 발상법을 도출하고 디자인 소스로 활용할 지기구조에 관한 고찰을 병행한 작품 연구에 있다. 헤테로토 피아 공간관에서 비롯된 다양한 발상법의 유형에 따른 디자인을 구체화하여 창조적 패션디자인의 표현 가 능성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를 둔다. 연구 방법으로 첫째, 헤테로토피아와 디자인 소스로 응용할 지기구조 에 대해 국내외 서적과 선행연구, 웹사이트 등을 통하여 고찰한다. 둘째, 지기구조와 패션디자인의 유사점 을 모색하여 디자인 소스로서의 타당성을 뒷받침한다. 셋째, 헤테로토피아의 6가지 원리를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디자인 개념의 틀을 구축하고 지기구조적 패션디자인 방법을 도출하여 6벌의 작품을 제작한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을 낯설게 해석하는 헤테로토피아는 패션에서 새로운 인체 공간에 대해 사고할 수 있게 해주어 독창적 발상법을 도출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둘째, 패션과 지기구조는 인체 와 제품을 내부 공간에 담아 외부 구조를 형성한다는 공통된 특징을 가지며 형태의 구축 방식과 기능 등 디자인 제작 원리가 유사하다는 점에서 패션디자인을 위한 디자인 소스로 충분하였다. 셋째, 헤테로토피아 의 6가지 원리로부터 디자인 개념의 틀을 도출하였고 이는 기존 관념에서 인체 공간을 해방시켜 6가지의 지기구조적 패션디자인 방법으로 의상 형태의 확장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넷째, 지기구조의 특징을 인체와 어울려 표현한 결과 형태를 통해 지기구조가 헤테로토피아 공간관을 패션디자인으로 표현하기에 흥미로운 디자인 소스였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pproach fashion from a new artistic perspective by visualizing the concept of philosophy and developing it into a new fashion design idea. The heterotopia will open up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creative methods of fashion design with a spatial view that blends the existing space with heterogeneous elements and approaches. It is meaningful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creative fashion design expression by specifying the design according to the types of various ideas derived from the heterotopia. The methods of this study are a combination of theoretical research on heterotopia and research on the structure of package design that will be used as a design sourc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books, papers, and Internet sites. Also, case studies and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ix principles of heterotopia, a new design method is constructed to develop a structured fashion design. Based on the design method from heterotopia, the new way of design is developed and verified. By developing various types of designs in six ways about structured design, 6 types of the package structural fashion design reflecting heterotopia are produc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eterotopia, which interprets daily life in an unfamiliar way, showed the possibility of deriving an creative idea about a new space in fashion. Second, fashion and structure of a package have a common characteristic of forming an external structure and the design production principles such as construction method and function of forms. Third, the design concept was derived from six principles of heterotopia that liberated a human body from the existing notion and opened up the possibility of diversifying forms of clothing. Forth, the package design was an interesting design source for expressing heterotopia as silhouette and shape of fashion design. It is meaningful and can be distinguished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this study has derived a new design idea by visualizing philosophical thought and realized designs based on this.

      • 헤테로토피아 개념의 교육사회학적 시사점

        배성은(Bae, Sung-eun)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 Vol.2021 No.4

        헤테로토피아는 프랑스 철학자 Michel Foucault가 제시한 개념이다. 서론부에는 헤테로토피아 개념을 이질성과 공간이라는 키워드로 이해해보고, 이를 교육사회학적으로 적용하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이후 헤테로토피아 개념을 활용하는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이론의 활용양상을 분류하였으며, 이를 세 가지 헤테로토피아 유형으로 도식화하였다. 제시된 유형은 저항의 헤테로토피아, 은폐된 헤테로토피아, 실험적 헤테로토피아이다. 결론부에서는 각 유형이 주류공간과 상호작용하는 상이한 방식이 교육현상이나 사회현상을 분석하는 하나의 개념틀이 될 수 있음을 설득하고, 해당 분석틀이 적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하였다. Heterotopia is a concept proposed by the French philosopher Michel Foucault. In this article, heterogeneity and space were used as keyword for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heterotopia. Sociological implication of the concept was explored. By examining previous studies using the heterotopia concept, I classified how this concept is used. These were schematized into three types of heterotopia. The types presented are heterotopia of resistance, concealed heterotopia, and experimental heterotopia. In the conclusion, I persuaded that different ways of interacting between mainstream space and heterotopias could be a conceptual framework for analyzing educational or social phenomena. I discussed specific ways to apply the analysis framework.

      • KCI등재

        장률 감독의 ‘도시 삼부작’에 나타난 헤테로토피아 연구

        조혜정(Cho Hye-jung)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20 씨네포럼 Vol.0 No.37

        본 연구에서는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 개념을 이용하여 장률 영화의 공간 및 환상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도시3부작’으로 거명되는 〈경주〉,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 〈후쿠오카〉 세 작품이다. 장률 영화에서 헤테로토피아는 일상/현실을 불현듯 낯설게 만드는 공간의 발견을 통해서 재현된다. 예컨대 〈경주〉에서는 고분과 그림(춘화, 문인화)이, 〈군산〉에서는 사진이, 〈후쿠오카〉에서는 서울 및 후쿠오카의 서점 그리고 후쿠오카 자체가 그러한 기능을 한다. 〈경주〉의 그림은 현실적으로 공존할 수 없는 죽은 자와 산 자, 과거이자 동시에 미래인 시간, 기억과 상상을 불러와 한 공간에 자리하게 한다. 사실 〈경주〉에서 가장 확실한 헤테로토피아는 고분이다. 고분은 도시 한복판에 자리 잡은 채 산 자들과 함께 한다. 〈군산〉에는 개인의 기억과 집단의 기억이 공존하고 현실과 환상(꿈)이 섞여든다. 영화에 등장하는 6장의 사진은 개인의 기억 혹은 주관적 경험을 끌어내거나 정박시키는 기능을 하면서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을 형성한다. 〈후쿠오카〉에서도 역시 과거와 현재, 기억과 반기억, 실제와 환상이 중첩되고 섞여들어 기이한 경험을 선사한다. 특히 이 영화는 서울과 후쿠오카의 두 서점과 후쿠오카라는 도시를 통해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을 불러온다.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에서는 삶과 죽음, 현실과 환상, 과거와 현재 혹은 미래가 공존한다. 헤테로토피아는 헤테로크로니아와 결합한다. 이러한 헤테로토피아의 존재는 장률 영화의 환상성을 증대시키는 요소가 된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space and fantasy of Zhang Lu"s films using the concept of heterotopia.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Gyeongju, Gunsan: Ode to the Goose, and Fukuoka. In Zhang Lu"s film, heterotopia is recreated through the discovery of space that makes everyday life/reality suddenly unfamiliar. For example, ancient tombs and paintings (erotic paintings, paintings by literary artists) function as such for Gyeongju, photos in Gunsan, and the bookstores of Seoul and Fukuoka, and Fukuoka itself in Fukuoka. The paintings of Gyeongju, the dead and alive that cannot coexist in reality, time that is both the past and future, and memories and imagination are recalled to be placed in the same space. In fact, the clearest heterotopia in Gyeongju are the ancient tombs. These massive ancient tombs situated in the middle of the city. In Gunsan: Ode to the Goose, memories of individuals and memories of groups coexist and reality and fantasy (dream) are blended together. The six photos that appear in the film bring out or anchors personal memories or subjective experiences to form a space of heterotopia. Fukuoka also overlaps the past and present, memory and anti-memory, and reality and fantasy to offer a strange experience. In particular, this film ushers in a space of heterotopia through the two bookstores in Seoul and Fukuoka, and the city of Fukuoka. In the space of heterotopia, life and death, reality and fantasy, past and present (or future) coexist. Heterotopia is related with heterochronie. Heterotopia existence acts to enhance the fantasy of Zhang Lu"s fil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