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BL은 학교 구성원들을 어떻게 변화시켰나? 학교경영자를 중심으로

        장경원,장선영,김혜정,김연경 한국교육공학회 2019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9 No.1

        이 연구는 대구광역시 PBL 실천학교인 5개 중학교 경영자의 성장과 변화에 대한 것이다. 학교경영자를 대상으로 한 변화 내용은 다음과 같다. PBL 실천학교의 학교경영자들은 내적으로 PBL이라는 새로운 수업방식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신념과 철학(belief)을 갖게 되었고, 외적으로 교사 및 학생에 대한 믿음을 형성하였다. 또한 PBL을 도입한 후, 이전보다 학생, 교사, 학부모과 함께 하는 활동이나 관계 형성(engagement)이 많아졌으며, PBL 수업의 운영을 학교 및 본인의 교육철학 및 신념과 연결하여 학생들과 지속적으로 공유하고, PBL 수업의 필요성과 PBL 도입에 필요한 자신감에 대해 교사들과 공감하고 소통(communication)하였고, PBL 수업의 효과적·효율적 운영을 위해 물리적 및 정서적인 지원(support)을 아끼지 않았다. 연구 결과, PBL은 학생과 교사 뿐만 아니라 학교경영자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성장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변화와 성장, 그리고 그들의 성찰 내용은 PBL 확산을 위한 의미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PBL의 경험 정도에 따라 학교경영자의 성장 내용이 다르기 때문에 학교 경영자를 위한 PBL 연수나 워크숍을 운영할 때는 경험 정도를 고려한 지원이 필요하다.

      • KCI등재

        패션 이론 교과목의 개선을 위한 PBL 적용 사례 및 교육적 효과

        김장현(Jang-Hyeo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3

        최근 대학에서는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적 혁신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는 패션학과의 이론 교과목인 〈의상과 심리〉에 PBL 교수법을 적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PBL 교수법과 의상과 심리에 관련된 이론적 연구와 PBL이 반영된 의상과 심리의 과정을 안내하기 위한 모형개발연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PBL 학습법을 적용한 〈의상과 심리〉에 대한 학습자들의 만족도는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었으며, 전반적으로 학습자들의 문제해결 역량, 자기주도 학습 역량 및 협동 학습 역량을 높이는데 매우 효과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문제해결 역량은 다른 요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PBL 학습법이 학습자들의 문제 해결 역량을 증진시키고자하는 PBL 학습법의 목표에 부합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PBL 학습법의 교육적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요인들의 관계성을 인지할 수 있는 상관관계분석을 분석해본 결과, 전체적으로 요인들이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문제 해결 역량 및 자기 주도적 학습 역량이 협동 학습 역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함양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학습자 개개인이 함양하고 있는 역량들이 하나로 조합될 시,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음을 반증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he university is attempting educational innovation to cultivate talents required by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e the educational effect by applying the PBL to 〈psychology of clothing〉 on a fashion theoretical course. The research methods are theatrical research and model development research to guide to 〈psychology of clothing〉 utilizing PBL.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learners" satisfaction with the subject applying PBL was evaluated quite positively. In general, it has been shown to have a very effective effect on improving the learner"s problem-solving capability, cooperative learning cap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In particular, the problem-solving capability i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other factors. The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educational goal of the PBL for improving the learner"s problem-solving capability. Perceivable correlatio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to grasp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PBL revealed the factors with a static correlation. In particular, the problem solving capability and cooperative learning capability develop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This is a testament to their ability to exert greater influence when the competencies that each learner develops are combined.

      • KCI등재

        대학생의 융합역량 증진을 위한 PBL(Project-based learning) 수업 효과 연구

        박은숙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0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팀활동을 통한 PBL 수업방식이 대학생들의 융합역량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 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충남소재 A대학교에서 2019년 2학기에 ‘인간발달과 융합적 사고’를 수강한 학생 88명이다. 융합역량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A대학교의 역량검사지 중 융합역량에 대 한 상황판단형 검사지를 활용하였다. 또한 PBL 수업활동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확인하기 위해 PBL 수행성찰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BL수업은 융합역량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의 PBL 수업활동 참여도에 따라 융합역량 증진에 차이가 나타났다. 셋 째, PBL 활동을 통한 융합교육은 2,3학년의 학생들에게 역량증진의 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학생들 은 PBL 수업 활동을 통해 ‘사고의 확장’과 ‘타전공에 대한 관심 증대’, ‘전공분야에 대한 적용 가능 성’, ‘협업과 소통의 소중함’에 대한 인식 및 태도 등의 긍정적인 교육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PBL수업은 융합역량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PBL classes through team activities are effective in enhancing convergence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who were in a different major. To identify changes in convergence competence, a survey instrument(the situation judgment type test sheet) was provided to 88 respondents who had taken 'human development and convergent thinking'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9 at A University in Chungnam province. In addition, PBL performance reflection was analyzed to confirm perceptions and attitudes about PBL class activities. This study found followings; First, PBL class was effective in improving convergence competence of the college student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vergence competence according to students' participation in PBL class activities. Third, PBL class showed the effects of convergence competence building for the second and third grade students. Fourth, students insisted on the positive effects of 'expansion of thought', 'increased interest in other majors', 'applicability in the major field', and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through the PBL class activities. This study shows that PBL class is effective in enhancing convergence competence.

      • KCI등재

        PBL을 활용한 뷰티디자인 수업의 창의적 문제해결 학습효과 연구

        김혜균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PBL 수업과정을 운영하고 시각화 단계를 도출하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교육당국은 4C, 비판적인 사고력(Critical Thinking), 협업(Collaboration), 소통(Communication), 창의력(Creativity)을 갖춘 인재 양성을 추구하고 있다. PBL 수업은 학생들이 프로젝트의 문제를 해결하거나 수행하면서 주도적으로 수업하는 교육 방법이다. PBL 수업은 팀작업을 통하여 실무 적응력을 높이고 의견 제시와 토론을 통한 결론 도달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된다. 연구의 방법은 대전지역 대학교 뷰티전공 대학생 19명이 3개조로 참여하여 PBL 교육을 통해 문제제시, 문제인지, 문제해결, 발표평가의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문제중심학습 PBL 수업이 뷰티 전공 대학생들에게 미치는 학습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짜서 쓰는 마스카라 unhardened Mascara’는 액상형으로 솔에서 제품이 나오도록 하여 개발하고, ‘스킨패드 사용자 타겟팅 pull out’은 포스트잇 형태의 스킨패드 제품으로 제작하며, ‘핸드스틱크림 HOOM’은 스틱형 바르는 제품을 개발하면서 창의적 문제해결을 하였다. 이후 제품의 네이밍, 로고디자인, 제품디자인, 숏폼 광고 등의 시각화 단계를 도출하고 숏폼 콘텐츠를 제작하였다. PBL 뷰티디자인 수업을 통하여 뷰티 브랜드를 개발하고 그래픽 툴로 광고 및 홍보할 수 있는 방법론에 대하여 이해하고 숏폼 광고를 제작하였고 향후 기업연계로 제품 상용화를 모색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perate the PBL curriculum and derive the visualization stag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educational authorities are pursuing to cultivate talents with 4C, critical thinking, collaboration, communication, and creativity. PBL class is an educational method in which students take the lead in teaching while solving or performing project problems. PBL classes become learner-centered education by enhancing practical adaptability through team work, presenting opinions, and reaching conclusions through discussion. Nineteen beauty college students from universities in Daejeon participated in three groups and went through the process of presenting problems, recognizing problems, solving problems, and evaluating presentations through PBL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learning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classes on beauty majors. As a result of the study, "Unhardened Mascara" is a liquid type and solves the problem by allowing the product to come out of the brush, "Skinpad User Targeting Pull Out" is a post-it type skin pad product, and "Handstick Cream HOOM" is creative by developing stick-type application products. Visualization steps such as product naming, logo design, product design, and short-form advertisement were derived and short-form contents were produced. Through PBL beauty design classes, we can develop beauty brands, understand the methodology for advertising and promoting them with graphic tools, produce short-form advertisements, and seek to commercialize products through corporate linkage in the future.

      • KCI등재

        PBL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의 실제

        최미진 ( Choi Mi-ji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6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7

        이 글에서는 PBL(Problem-based Learning,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대학의 글쓰기수업의 실제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검토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PBL수업은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양필수 과목인 <나를 바꾸는 글쓰기> 중 학술적 글쓰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PBL을 활용한 학술적 글쓰기 수업을 설계하면서 다음의 특성을 부각시키고자 했다. 첫째, 자기 주도적 학습과 협동학습을 병행하여 실질적인 글쓰기 능력 향상에 초점을 두었다. 둘째, 교수의 미니 강의를 활용하여 학술적 글쓰기에 대한 이해를 돕고 PBL수업에 있을 법한 혼란을 방지하였다. 셋째, 평가방식을 다각화하는 동시에 차등화하여 글쓰기를 비롯한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꾀하였다. PBL수업은 7주간 운영되었으며, 주별 수업 운영방식은 다음과 같다. 1주차는 사전활동과 문제제시가 이루어졌다. 사전활동은 PBL을 활용한 학술적 글쓰기 수업의 목표수립과 개념 이해, 그리고 수업과정과 평가방식을 실례를 통해 설명하였다. PBL수업에 대한 간단한 연습을 거친 후 실제적인 문제를 제시하고 모둠을 구성하였다. 2주차는 문제 확인과 계획 수립이 이루어졌다. 교수의 미니 강의 이후 학생들은 모둠별로 다양한 아이디어를 모아 하위 주제를 설정하고 과제수행계획서를 작성하였다. 이에 근거한 자료 수집은 개별로 이루어졌다. 3주차와 4주차는 대안마련 단계로 개요작성에 대한 미니 강의 후 협동적 문제해결 학습을 전개하였다. 3주차에는 수집한 자료를 종합하고 토론을 통해 대안을 마련하여 모둠별 개요 작성을 하였고, 4주차에는 모둠별 개요에 대한 토론과 교수의 대면 첨삭을 통해 대안을 조정하고 개요를 수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개별 글쓰기를 수행하였다. 5주차 결과정리 단계는 제출한 개별 글을 모둠원들끼리 동료 첨삭을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프레젠테이션 발표를 분담하여 준비하였다. 이때 교수는 개별 글에 대해 대면첨삭을 실시하였다. 6주차에는 PBL수업의 결과를 공유하기 위해 모둠별 프레젠테이션 발표와 평가가 이루어졌다. 마지막 7주차는 성찰과 평가 단계로 학생들 자신과 모둠원에 대한 평가서를 작성하였다. 수업 후 개별글의 완성본과 성찰일지를 제출하도록 하였다. PBL을 활용한 학술적 글쓰기 수업을 진행한 결과 몇 가지 개선방안이 요구되었다. 첫째, 모둠 구성의 불만 해소와 더불어 지속적인 모둠활동을 위한 효과적 전략이 필요했다. 둘째, 동료 첨삭의 지표를 세부적으로 적용한 연습활동을 거칠 필요가 있었다. 셋째,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교수의 미니 강의에 더해 플립 러닝의 병행을 고려해 볼 수 있었다. 이상에서 PBL을 활용한 학술적 글쓰기 수업은 신입생들에게 글쓰기에 대한 실질적인 동기 유발과 실력 향상을 꾀할 수 있는 효과적 방법이었다. 이 연구는 향후 지속적인 보완이 요구되지만 교육현장의 실제적 적용과 담론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여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llege writing class that utilizes PBL(Problem-based Learning) and also to consider its characteristics and supplements. Participants of the research were students taking a required class called “Self-Changing Writing” in P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which is an academic writing class utilizing PBL. “Self-changing writing” lecture utilizing PBL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it focuses on building up self-confidence along with the interest on academic writing, by providing a combina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cooperative learning. Second, it prevents the possible confusion that could come from PBL class beforehand, by providing small lecture by professors, to help deeper understanding of academic writing. Third, it enhances communicative-writing skills, by diversifying and differentiating the class evaluation system. PBL lecture was given for seven weeks and weekly lecture schedules are as followed. Pre-activity and presentation of an issue were given in week one. In pre-activity, participants were explained the objective establishment and the basic understanding of academic writing class as well as the lecture syllabus and grading scale using actual examples. After completing simple practice on PBL class, participants were introduced to a practical issue and then split into groups. In week two, participants confirmed the issue and established plans to resolve the issue. After given a small lecture from the professor, participants gathered various ideas within the group and selected sub-topics. Individually, participants started writing task-completion plan for the sub topic. Participants also collected data individually. Week three and four were the weeks of preparing counter-plan for the issue. Participants were given another small lecture on outlining and were involved in cooperative problem solving. In week three, participants shared collected data within the group and wrote outlines per group through discussion. In week four, each group met with the professor to discuss and proofread the outline. Each group then edited its plans. Individual writing practice along with group work followed. In week five, participants were involved in proofreading within the group and prepared Power Point presentations after dividing the topic by parts. This week, participants met with professors individually as well for face-to-face correction on individual papers. In week six, participants gave Power Point presentation by groups. In the last week, week seven, participants were given a survey to evaluate group members and were asked to write self-reflection diary on the class-tasks. When the class was over, each participant were submitted individual papers. And then this study consists of many complement points. First, new strategy to resolve dissatisfaction in grouping and continuing group work is required. Second, more practice on proofreading the class-mates` paper should be offered. Third, flipped learning could be implemented along with professor`s small lecture for student`s better understanding. As mentioned above, there are many methods that can be implemented for college freshmen to improve their writing skills and also to motivate them to write. Although this study should continuously be supplemented, this current study can also surely be implemented in the practical education field to create more discussions.

      • KCI등재

        한 외식관련학과 교수의 바리스타실무수업 PBL학습법 적용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류무희 한국식공간학회 2023 식공간연구 Vol.18 No.2

        이 연구는 대학에서 외식관련 학문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PBL 학습법을 적용하여 지도하면서 경험한 ‘나’의 주관적인 이야기를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바리스타실무 수업 경험 과정을 기술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교수자로서 나 자신의 수업 과정에 대해 성찰하고 교육적 의미와 가치에 대한 통찰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PBL 수업 경험을 나열하는 자서전적 타임 라인(time line)으로 ‘PBL 학습법 탐구하기’, ‘PBL 수업모형 적용하기’와 ‘PBL 학습법의 효율성 확인하기’로 나타났다. 대학 외식관련 전공 수업에서의 PBL 교수법이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성을 확보하고 역량을 강화하는 방법이 될 수 있었고 개선점을 제안할 수 있었다. 첫째, 실제 현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문제를 학습자에게 시나리오로 제시하고, 산학연계 PBL 교수법 모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PBL 수업 시, 교수자는 의도적으로 팀 편성을 하여, 학생들 간의 협동학습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력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야 한다. 셋째, PBL교수법 특징인 협업능력과 창의성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PBL 교수법 워크숍 개최와 PBL 수업 운영에 대한 교수학습의 지원이 요구된다.

      • KCI등재

        PBL수업에서 학습자로서의 자기인식 변화에 대한 사례연구

        강인애(Inae kang),이정석(Jeong-Sok L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07 열린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2개월간 PBL 수업환경을 적용한 뒤에 학생들이 학습자로서의 자신에 대한 인식 및 학습에 대한 태도 변화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PBL 문제를 세 문제를 개발,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로서 발생하는 학습자 자신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한 평가도구로서 ‘그림 그리기를 활용하였다. 곧, PBL 수업 실시 전에 일차적으로 학습자로서의 자신에 대한 모습과 학습에 대한 생각을 담은 그림을 그리고 그 아래에 짧은 설명을 덧붙이도록 하였다. 이어서 세 차례의 PBL 문제를 해결할 때마다 수업 직후에 다시 동일한 주제로 그림을 그리도록 하였다.<BR>  그 결과 PBL 직전과 1차 PBL 직후에 인식과 태도의 변화가 가장 극적으로, 그리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제시되었으며, 이어 이루어진 2차, 3차 PBL 수업 후에는 1차 수업 후 이뤄진 변화가 좀더 확실하게 다져지는 단계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BR>  본 수업결과를 통해 PBL 수업은 21세기 교육이 요구하는 자신의 학습활동에 있어서 매우 적극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자를 키우고,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함양하는데 매우 적합한 수업환경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평가도구로서 ‘그림그리기’가 매우 의미있고 중요한 질적 평가도구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ny changes of self -perception as a learner after experiencing PBL in class. For this study, 5th graders of an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e PBL class for two months with the second author as the teacher.<BR>  Right before and after solving a given PBL problem, students were asked to draw how they perceived themselves as a learner with brief explanations. Their drawings, then, were interpreted as references to analyze any changes of their self-perception as a learner.<BR>  The results presented very dramatic and positive changes in terms of students" self-perception as a learner. Students presented strong confidence on themselves as an independent and collaborative learner, and also positive attitudes and interests toward the learning activities.<BR>  In conclusion, even though there were many research and studies on educational effects of PBL, this study seemed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student drawings could be employed as a way of evaluation, providing valuable insight and information that cannot be gleaned from any other evaluation methods or tools.

      • KCI등재

        21세기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방법:

        강인애(Inae Kang),진선미(Sun-mi Jin),여현숙(Hyun-suk Y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4

        21세기 핵심역량은 기관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지만 크게 세 가지 영역, 자율적 행동, 도구활용, 그리고 사회적 상호작용 역량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핵심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학습방식은 전통적 강의중심, 교사중심의 수업과는 달라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한 대안적 방법으로서 e-PBL을 제안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규명된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핵심역량을 분석틀로 하여, ‘e-PBL’ 수업사례의 학습효과를 분석해보고, 그 결과로서 과연 e-PBL 수업방식이 21세기 핵심역량을 강 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교육방법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999년부터 시작하여 2013년에 이르기까지 국내 KCI등재 e-PBL 관련 논문 중, 47편의 e-PBL 수업사례 연구를 선정하였으며, 이후 이들 연구에서 제시한 학습효과를 앞서 분석한 핵심역량 3영역 16요소와 연결해보았 다. 그 결과, 첫쨰, e-PBL의 학습효과는 핵심역량 중 자율적 행동 역량(43.6%, 180편), 도구 활용 역량(28.3%, 117편), 사회적 상호작용 역량(28.1%, 116편)영역 순으로 비교적 골고루 모든 역량 함양과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약간의 비율적 차이는 보였지만, 모든 대상학령에서, 그리고 사용된 매체에 상관없이 e-PBL 수업 효과는 핵심역량과 대부분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e-PBL 수업방식은 21세기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수업 방법의 하나로서 매우 긍정적인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Core competences of the 21st century learner are defined diversely according to with institutions; however, it may be summarized largely into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such as autonomous behavior, tool utilization, and social interaction competences. The learning method to cultivate such core competences, however, should be different from traditional lecture-oriented and teacher-led classes, hence, ‘e-PBL’ in this study has been intended to be proposed as an alternative pedagogy to enhance the core competenc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based upon the analysis framework of core competences, reviewed learning effects of 47 “e-PBL” studies selected out of related research published at the KCI during 2000 to 2013, and then analyzed how well the learning effects of the selected e-PBL studies have matched with each category and sub-element of the core competences. As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earning effects of the e-PBL classes mostly have satisfied all the specific categories and sub-elements of the core competences. Second, despite a slightly different ratio, both k-12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the e-PBL class, regardless of subject matters and used technologies, showed positive increase in all the categories of the core competences. In conclusion, this study insists that e-PBL, the technology-enabled learner-centered pedagogy, may be seen as an alternative to meet the needs of fostering the core competences of the 21st Century learner

      • KCI등재

        PBL에서 플립드 러닝 적용 방법 탐색: 동영상 제공시기를 중심으로

        최정숙 ( Jeongsuk Choi ),최정임 ( Jeong-im Choi ) 한국교육공학회 2019 교육공학연구 Vol.35 No.4

        최근 PBL과 플립드 러닝을 접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인 강의식 수업과는 달리 이미 구조화된 학습자 중심 활동을 적용하고 있는 PBL 수업에서는 수업 전 강의 동영상을 적용하는 방법이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다. 플립드 러닝의 사전학습은 강의가 선행되는 전통적인 교수방법을 유지한다는 점에서 문제로부터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유도하는 PBL에 접목할 때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PBL 에플립드 러닝을 접목할 때 어떤 효과가 있을지 동영상 제공 시기를 중심으로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 PBL에서 문제제시 전 동영상을 제공하는 집단과 2) PBL 문제제시 및 이해 활동 후 동영상을 제공하는 집단을 비교하여 학습자의 문제해결력과 학업성취도, 수업만족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1) 학업성취도에서는 PBL 문제제시 전 동영상을 제공한 집단이 더 나은 결과를 보였지만 문제해결력에서는 PBL 문제제시 후 동영상을 제공한 집단이 더 나은 성취를 보였다. 2) 두 집단 모두 수업만족도는 높게 나왔으나, PBL 문제제시 후 동영상을 제공한 집단이 더 수업에 호기심을 가지고, 더 흥미를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3) 두 집단 모두 동영상 자료가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효과적인 PBL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Recently,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combine PBL and flipped learning. Unlike general lecture classes, how to apply pre-class lecture videos can be an important issue in PBL that already apply structured learner-centered activities in the class. The pre-learning of flipped learning requires a careful approach when combined with PBL that induce self-directed learning from problems in that it maintains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followed by lecture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ffect of applying flipped learning to PBL, focusing on the timing of video providing. To this end, w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learners' problem-solving ability, academic achievement, and class satisfaction by comparing 1) the group that provided the video before the problem presentation with PBL and 2) the group that provided the video after the PBL problem presentation and understanding. The results of the this study showed that 1) In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group who provided the video before PBL problem presentation showed better results, but the group who provided the video after PBL problem presentation showed better achievement in problem solving ability. 2) In both groups, class satisfaction was high, but the group that provided video after PBL problem showed more curiosity and more interest in class. 3) Both groups responded that the video material was helpful for learning.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supporting effective PBL activitie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PBL을 활용한 녹색소비에 관한 실과교육 자료 개발

        박희숙 ( Hee Sook Park ),이상원 ( Sang Won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2 한국초등교육 Vol.23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실과수업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실천적인 녹색소비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PBL을 활용한 녹색소비교육 자료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토대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문제중심학습(PBL), 실과교육과 문제중심학습, 실과교육과 녹색소비교육 관련 이론 등의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둘째, 문헌연구를 기초로 하여 초등학교 6학년 실과에서 ``녹색소비교육``에 적용할 PBL 문제를 개발하였다.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와 교육과정의 목표가 포함되도록 하였으며, ``녹색소비``를 주제로 여러 단원을 통합하여 문제를 개발하고, 개발한 문제에 대한 자기 평가 및 전문가 평가를 실시하여 문제를 수정·보완하였다. 셋째, 완성된 문제로 조연순(2006)이 고안한 문제 만나기, 문제해결 계획 세우기, 탐색 및 재탐색하기, 해결책 고안하기, 발표 및 평가하기의 5단계로 교수·학습 과정을 계획하고, 학습 전 과정의 평가계획을 수립하였다. 넷째, PBL을 활용한 녹색소비교육 자료를 전문가에게 타당성을 평가 받아 수정·보완하여 완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PBL을 활용한 녹색소비교육 자료는 학생들이 생활 속에서 ``녹색소비``를 주체적으로 영위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켜 여러 가지 환경문제에 당면해 있는 사회의 시대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개발된 PBL을 활용한 교육 자료가 현장에 적용되어 그 효과성을 검증받아 더 완성된 교육 자료가 되도록 할 필요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앞으로 실과교육을 효과적으로 실행하는 데 있어 PBL을 활용한 더 많은 교육 자료가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green consumption education materials using PBL for more efficient and practical training in 6th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s purpose, the procedure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documentary research was conducted on PBL, relation between elementary practical arts and PBL/green consumption education, and the theory of green consumption, etc. Second, on the basis of the documentary research, PBL problems were designed to apply to the green consumption in the practical arts of the 6th grade. On the problem development, the emphasis was 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nd the purpose of the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The problems were developed through the integrating many units of the practical arts textbook of 6th grade on the subjects of green consumption.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problems was checked and revised through self-evaluation and feasibility assessment of experts. Third, to apply to the lesson using the developed PBL problems, a teaching-learning process is applied to Jo`s(2006) process model, which consists of 5 steps-meeting a problem such as making a troubleshooting plan, exploration/re-exploration, devising a solution, and presentation/evaluation. An evaluation plan is built up to assess not only the result of learning but also the whole process of learning by diversifying assessors, evaluation areas and evaluation methods. Fourth, the final education materials were complet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using the feasibility assessment of experts. The developed educational materials in this study can be expected to meet the demands of the times facing the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cultivating the ability of students to practice green consumption. Therefore, the materials will need field application so as to be more completed educational material, and more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using PBL should be developed in performing the effective practical arts education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