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응급구조사 양성 교육과정에서 토론을 바탕으로 한 팀기반학습의 만족도

        황호진,고석훈,권오영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의료커뮤니케이션 Vol.14 No.2

        Background: Team-based learning is known for its effective and satisfying education methods in the study of various medical schools. This study was prepared to confirm the satisfaction of applying this team-based learning to the training course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Methods: A total of 165 new members of the course of second grade National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at 2019 were finally enroll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wit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team-based learning method was organized with eight students per group to conduct pre-learning and then proceed to open book to encourage active discussion among individuals.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about the satisfaction of the discussion process, such as whether the knowledge gained from the discussion was appropriate, and whether collaboration between colleagues was successful during the discussion, and about the benefits of team-based learning, how well knowledge transfer compared to existing lectures, and the replacement of existing lectures. The questionnaire used a Likert 5 point scale, and the data obtained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version 22.0. Results: The overall rating of team-based learning was 7.8 ± 1.5 out of 10. Many students answered positively (88.5%) for benefits, while 87.9% responded positively to whether the knowledge transfer effect was better compared to existing lectures. In addition, the satisfaction of team-based learning was generally high, with more than 90 percent of education students giving positive answers to the replacement of other lectures with team-based learning. Conclusion: The learners gave positive answers to the satisfaction, usefulness and learning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Team-based learning is a discussion-based study, so it is a good way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Since communication and teamwork are important in first aid activities, the characteristics of team-based learning could lead to improvements in first aid services, leading to high-quality emergency medical services. Back ground: 팀기반학습은 여러 의과대학의 연구에서 효과적이고 만족도가 높은 교육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토론 위주의 팀기반학습을 응급구조사 양성과정에 적용하였을 때의 그 만족도를 확인하기 위해 이 연구는 계획되었다. Methods: 이 연구는 2019년 신규 임용된 소방공무원의 2급 구조사 교육과정에 있는 교육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업 시작 전에 연구 목적을 설명하였고, 자발적인 서면 동의를 받았으며 수업 종료 후 설문조사지를 배부하였고 충분한 응답을 한 165명의 교육생 설문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팀기반학습 방법은 그룹당 8명의 교육생이 편성되어 사전학습을 시행한 후 개인 간의 활발한 토론을 유도할 수 있게 오픈북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은 토론을 통해 얻게 된 지식이 적절했는지, 토론 도중 동료 간의 협동은 잘 이루어졌는지 등의 토론과정의 만족도를 묻는 질문과 팀기반학습의 유익성, 기존 강의와 비교했을 때 지식전달이 잘 되는지, 기존 강의를 대체하는 것에 대한 질문 등 팀기반학습의 만족도를 묻는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 측정도구는 Likert 5점 척도로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2.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Result: 팀기반학습의 전체적인 평점은 10점 만점에 7.8±1.5점이었다. 유익성에 대해서는 88.5%가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고, 기존 강의와 비교했을 때 지식전달 효과에 대한 응답에서는 87.9%가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다. 다른 강의를 팀기반학습으로 대체하는 것에 대해서도 90% 이상의 교육생이 긍정적인 답변을 하는 등 대체적으로 팀기반학습의 만족도가 높았다. Conclusion: 교육생들은 팀기반학습에 대해 만족도, 유용성, 교육 효과등의 부문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팀기반학습은 토론을 기반으로 한 학습이므로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교육방법이다. 구급활동에서 의사소통과 팀워크가 중요하기 때문에 팀기반학습의 특징은 응급구조서비스의 향상으로 이어져 고품질의 응급의료 서비스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운영관리 과목에 팀 기반 학습 도입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증진 효과에 관한 연구

        최성용,최지연 한국상업교육학회 2016 상업교육연구 Vol.30 No.6

        본 연구는 운영관리 교과목에서 팀 기반 학생 참여형 수업이 개인의 생애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팀 기반 학습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문제해결 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중심으로 개인 생애능력을 정의하였고, 운영관리 수업을 수강한 1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인 생애능력의 증진 여부에 대해 t-test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팀 기반 학습은 팀 기반 학습의 요소들(팀별 토론, 필답 시험, 팀별 과제, 팀 프로젝트) 전반을 통해 문제해결 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유의하게 개선시킨다. 구체적으로 문제해결 능력 요인 중 ‘대안 개발’, ‘계획/실행’, ‘수행 평가’ 영역에서 학기 초(팀 기반 학습 수행 전) 보다 학기 말(팀 기반 학습 수행 후)에 해당 영역 점수들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하게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경우는 ‘학습 계획’과 ‘학습 평가’ 영역에서 학기 초보다 학기 말에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기가 종료된 후 실시한 인터뷰에서는 팀 기반 학습을 기반으로 한 수업 운영에서 교수자가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들로 무임 승차자의 방지, 학기 중 학생 수업 로드 균등하게 분산, 팀 편성 고려요인 재조정 등이 지적되었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는 개인 생애능력 향상 차원에서 팀 기반 학생 참여형 수업의 효과성을 인정하며, 이를 관련된 유용한 시사점들을 제공한다. We design a class of Operations Management with TBL(Team-Based Learning).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BL, we define the life-skills as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n empirically test the improvement effects of the life-skills. Consequently, TBL significantly improves both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all the sub-factors of TBL such as Team Discussion, Written Exam, Team Assignments and Term Project. Specifically, TBL significantly increases the scores of the subareas on problem solving, which are ‘Alternative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nd Feedback.’ Similarly, TBL also increases the scores of ‘Planning’ and ‘Reflection’ on self-directed learning. A face-to-face interview, after the end of semester, suggests a few more valuable concerns for our further consideration, which are preventing free-riders, making class loads evenly throughout the semester, and re-considering the factors for team building.

      • KCI등재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팀기반학습과 강의기반학습의 효과 비교연구

        유영미(Ryu Young Mi),김해진(Kim Hae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2

        Purpos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compar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and lecture-based learning on learning motivation,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total of 94 2nd students in a nursing school, who took pathology, participated in the study. Six-week of lecture-based learning was provided in the first half of the spring semester in 2017. Then, another 6-week of team-based learning was provided. Data were collected in the 1st , 8th , and 15th week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Paired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s. Results: Attention, subarea of learning motiv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eam-based learning. Communic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eam-based learning compared to lecture-based learning. Problem solving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wo learning methods, however, problem recognition, information gathering, and analysis of problem solving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eam-based learning. Learning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lower after team-based learning than lecture-based learning. Conclusion: Although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lecture-based learning rather than team-based learning in pathology course, team-based learning needs to be introduced to nursing students for positiv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Gradual implementation of team-based learning or supplemental team-based learning with a lecture is recommended when adopting team-based learning in pathology. 본 연구는 간호학과 병리학 교과목에 팀기반학습을 적용하고 일반 강의기반학습과 비교하여 간호학생의 학습동기, 의사소통, 문제해결능력,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일 대학 간호학과에서 2017년도 1학기 병리학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생으로 3회의 설문조사에 모두 응답한 9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 동기의 하위 영역인 주의력과 의사소통능력은 강의 기반학습에 비해 팀기반학습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문제해결능력은 두 학습법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하위 영역을 살펴본 결과, 팀기반학습 후에 문제 인식, 정보 수집 및 분석 영역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학습만족도는 팀기반학습보다 강의 기반학습 후에 유의하게 높았다. 병리학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팀기반학습보다 강의기반학습에 더욱 만족하였으나 의사소통능력 향상과 같은 팀기반학습의 긍정적 효과를 고려할 때, 간호학생에게 팀기반학습 적용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러나 팀기반학습을 교과목에 처음 도입할 때는 점진적으로 적용하거나 팀기반학습과 강의를 병행하여 상호 보완하는 방법을 권장한다.

      • KCI등재

        오프라인과 플랫폼을 이용한 온라인 팀기반 학습활동의 차이와 효과성에 관한 비교연구

        권영숙 한국독어학회 2021 독어학 Vol.43 No.-

        In dieser empirischen Studie geht es darum, als Vorbereitung auf die Midund Post-Corona-Zeit, den Unterschied und die Effektivität von Peergroups auf Basis von Offline- und Online-Lernaktivitäten, die mithilfe der Plattform, die aus Google Classroom und Padlet besteht, durchgeführt wurden, zu vergleichen und zu analysieren. Für die Untersuchung wurden 212 Probanden befragt. 122 Lernende beteiligten sich 2017 an Offline-Team-basierten Lernaktivitäten, und 90 nahmen im Wintersemester 2020 an Online-Team-basierten Lernaktivitäten teil. Die Datenanalyse ergab zwar, dass je nach Offline- und Online-Team-basierten Lernaktivitäten Unterschiede in der Beziehung zwischen Team-basierten Lernaktivitäten und Teammitgliedern vorhanden sind. Es zeigten sich aber keine statistisch signifikanten Unterschiede. Darüber hinaus wurde festgestellt, dass sich sowohl Offline- als auch Online-Team-basierte Lernaktivitäten positiv auf das Erreichen der Lernziele auswirken, und dass die Beziehung zwischen Teamkollegen einen positiven Vermittlungseffekt beim Erreichen der Lernziele hat. Das deutet darauf hin, dass der Einsatz der Plattform für Online-Team-basierte Lernaktivitäten notwendig ist. In der Überlegung, dass in Zukunft die kontaktfreie Lehre allmählich auch im Bildungsbereich dominant werden könnte, ist nicht nur eine systematische Entwicklung von Online-Lehrinhalten, sondern auch von Medien, z.B. Plattformen zu effektiven kollaborativen Lernaktivitäten erforderlich, um den Lerneffekt in der Online-Bildungsumgebung zu erhöhen. 본 연구의 목적은 구성주의 학습이론에 기초한 팀기반 학습활동이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와 플랫폼을 이용하여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의 차이와 효과성을 실증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독일어 강좌 수강자 중에서 오프라인 팀기반 학습활동 경험자와 플랫폼을 이용한 온라인 팀기반 학습활동 경험자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212명의 데이터를 확보하여 분석한 결과, 팀기반 학습활동과 팀동료 간의 관계는 학습효과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정도에서 차이는 있으나, 오프라인과플랫폼을 이용한 온라인 팀기반 학습활동 모두 학습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팀동료 간의 관계 또한 학습목표를 달성하는데 긍정적인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플랫폼을 이용하는 경우 학습 환경과 무관하게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 팀기반 학습활동은 오프라인이나 온라인 환경과 무관하게 학습목표를 달성하는데 긍정적으로작용하며, 팀동료 간의 관계가 매개 역할을 하지만 플랫폼을 이용한 온라인 팀기반 학습활동에서의영향력은 오프라인 환경에서 보다 다소 떨어지기 때문에, 미래 사회의 일상이 될 온라인 교육 환경에대비하여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온라인콘텐츠 개발은 물론, 교수-학습자 간 혹은 학습자 간 효율적인 상호작용을 위한 도구의 개발과 시스템 지원 등 온라인 팀기반 학습활동의 효율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하는 것이 교육현장에서의 과제라 할 것이다.

      • KCI등재

        팀기반학습에서 학습자의 경험 분석 -M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장선영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positive experiences of students, along with the difficulties inherent in team-based learning, and to document the students’ perception regarding the help they received from their instructor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ults of reflective journals and interviews written by 99 learners who experienced team-based learning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had recognized 1) the value of intellectual interest and knowledge application, 2) the importance of team activities, and 3) the improvement of their enthusiastic attitude and confidence felt toward TBL classes. Second, students have difficulties in 1) collaborating with their team members, 2) solving readiness test and application problems, 3) overcoming academic burdens, and 4) expressing their opinions. Third, learners are encouraged by 1) an instructor’s adequate scaffolding, 2) guidance and support for the TBL class, and 3) a respectful attitude displayed towards them on the part of the instructor, as well as the latter’s enthusiasm for the TBL clas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conclusions and discussion were provided. 본 연구는 팀기반학습에서 학습자 긍정적 경험 및 어려움, 학습자가 유용하다고 인식하는 교수자의도움을 분석함으로써 추후 팀기반학습을 설계하고 실천하고자 하는 교수자에게 처방적인 지식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팀기반학습을 경험한 99명의 학습자가 작성한 성찰일지와 서면 인터뷰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들은 지적 흥미 및 지식적용의 가치와 팀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극적 태도 및 자신감이 향상되는 긍정적 경험을 하였다. 하지만 학습자들은 팀기반학습을 하는동안 협업의 어려움, 문제해결의 어려움, 학업부담을 극복하는 어려움, 의사표현의 어려움 등을 겪고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팀기반학습에서 학습자들은 교수자의 스캐폴딩 제공, 팀기반학습안내 및 문제해결 지원, 수업에 열정을 가지고 학습자들을 존중하는 태도 등이 학습자들이 과제를성공적으로 해결하는데 필요한 도움으로 인식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팀기반학습 설계 시 주의사항, 평가에 대한 학습자와의 합의, 팀기반학습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의 중요성, 교수자와 학습자간의소통기회 제공 등과 관련된 결론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교양교육의 팀기반 학습에서 대학생의 팀효능감이 학습참여와 개인 성과에 미치는 영향

        심화영,김세현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m efficacy on learning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in team-based learning.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class cases conducted through team-based learning at C University's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To achieve our purpose, the results of team efficacy, learning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of 130 learners who experienced team-based learning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from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eam efficacy, learning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we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ifferences among the three variables. Second, in team-based learning, team 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Third, from analyzing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eam efficacy, learning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by gender and field in team-based learning, we found that female students partook in higher learning engagement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However, we also found the sam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in regards to their majors, as the data showed that female students enrolled in the humanities scored higher when it came to their learning engagment, but not as high as male students taking science and engineering cour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that systematic instructional design is needed to promote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eam efficacy in order to increase learner engagement in team-based learning and to maximize learning outcomes. 본 연구는 팀기반학습에서 팀효능감이 학습참여와 개인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있다. 이를 위해 C 대학교 교양대학에서 팀기반 학습으로 진행된 교양수업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팀기반학습을 경험한 130명의 학습자의 팀효능감, 학습참여, 개인성과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팀효능감, 학습참여, 개인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세 변수 간의 차이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둘째, 팀기반 학습에서 팀효능감은 학습참여와 개인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팀기반 학습에서 성별, 계열별로 팀효능감, 학습참여, 개인성과가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자연⋅공학⋅의학계열보다 인문⋅사회⋅사범계열이 학습참여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하여 팀기반 학습에서 학습자의 참여를 높이고, 개인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팀효능감의 형성과개발을 촉진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수업설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성과에 대한 협력적 자기효능감, 팀 효능감, 팀 상호작용 간 관계

        유지원(You, Ji 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0

        본 연구는 최근 대학교육 현장에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들 간의 직·간접 관계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성과 변인은 팀 학습 만족도와 팀 성취로 구분하였고, 선 행요인은 이론적 고찰을 통해 협력적 자기효능감, 팀 효능감, 팀 상호작용을 선정하여 가설적 경로모형을 상정하였다. 특히 팀 효능감과 팀 상호작용은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4년제 여자대학 교에서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을 수행한 66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팀 효능감은 팀 학습 만족도(β = .47)와 팀 성취(β = .29)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팀 상호작용은 팀 학습 만족도(β = .22)와 팀 성취(β = .42)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직접적으로 팀 효능감 강화(β = .32)에 유의했으며, 간접적으로 팀 학습 만족도(β = .20)와 팀 성취도(β = .18)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팀기반 프로젝트 학습성과를 제고하는데 팀원들이 지각하는 팀 효능감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프로젝트 결과물 산출에 상호작용이 주요 요인임을 시사한다. 또한 협력에 의한 학습활동에서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학습과정 요인과 성과 요인에 유의한 선행요인임을 확인함으로써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필요성과 역할을 살펴본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for group work, team efficacy, interaction among team members, and team performance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The individual team learning satisfaction and the team achievement of project outcome were determined for team performance. The proposed path model posited that self-efficacy for group work influenced team efficacy and the level of team interaction, and team efficacy and team interaction influenced team learning satisfaction and team achievement. The model was tested with 66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team project-based learning at a four-year traditional university in Korea. Path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team efficacy and interaction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influenced both team learning satisfaction and team achievement. Furthermore, self-efficacy for group work was a significant predictor to team efficacy and indirectly influenced team learning satisfaction and team achievement. The implications of enhancing team performance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대학의 팀 기반 수업에서 협동적 학습양식과 팀 구성 방식에 따른 학습 성과

        이용진 ( Lee Yongjin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4

        본 연구에서는 팀 기반 학습(TBL) 모형을 적용하여 서울 소재 A대학 사범대 교직 수업을 위한 학습 과제 및 활동을 설계하였다. 팀 기반 학습활동을 진행한 수업에서 학습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학생들의 협동적 학습양식과 팀 구성방식에 따른 학습 성과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팀 기반 학습 모형의 적용에 대한 함의점을 도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수업 사례에서는 학생 자율적 팀 구성 방식과 무선 할당의 방식으로 집단을 구성한 두 수업을 구분하고, 수업 내 학생들의 협동적 학습양식의 수준에 따라 학습 성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자 하였다. 그 결과, 학생 팀을 구성하는 방식에서는 자율적 의사에 따른 팀구성과 무선 할당의 이질적 집단의 특성에 따라 학습 성과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협동적 학습양식의 경향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비교하였을 때 학업 성취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양적 결과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팀 학습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성찰일지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학생들이 팀 기반 학습 과정에 대하여 어떻게 성찰하였는지를 학습 성과의 일환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증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팀 기반 학습을 대학 수업에 적용할 시에 고려해야할 실제적 함의점 및 협력 학습의 교수 설계 전략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pplied the Team-Based Learning model in two courses of teacher education in a university. Within the designed course setting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and team-formation methods (randomly assigned vs. student-selected team) on knowledge gain and satisfaction of the team learning. The study subjects were 69 college students who enrolled in the two courses in which the team-based learning tasks and procedures were applied. One group included 7 student-selected teams based on their friendship, and the other group included randomly-assigned five teams by using computer. Each team was consisted of 6 or 7 students and lasted for the whole semester. The student teams participated in several team activities and accomplished team tasks. The study administrated pre-and post-achievement tests, questionnaires for team learning satisfaction, and Grasha- Reichmann`s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inventories to collect data from students.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including two-way ANOVA and ANCOVA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The first result showed that the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affects the students` cognitive knowledge gain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the team-based learning between groups. In addition, the study analyzed the content of students` reflection journals related to their team-based learning experience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educators with practical implication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the TBL model in higher education settings.

      • KCI등재

        대학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성과에 대한 팀 효능감과 지각된 태만의 상호작용 효과 탐색

        유지원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최근 대학에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환경에서 학습성과에 대한 팀 효능감과 지각된 태만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팀 효능감이란 자신이 속한 팀이 주어진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팀원 간의 공유된 믿음으로 팀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논의된다. 또한 지각된 태만은 다른 팀원이 팀 목표를 위해 충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대학에서 수행되는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빈번하게 보고되는 부정적 요소 중 하나이다.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은 팀원 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학습과정에서의 팀의 특성을 반영하는 요인들은 상호적으로 작용하여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본 연구에서는 팀 효능감과 지각된 태만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탐색하였다. 자료는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 참여한 A대학 2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집되었고,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팀 효능감과 지각된 태만의 상호작용 효과는 팀 성취도와 개인차원의 학습성과에 각각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의 효과성을 제고하는데 두 요인이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eam efficacy, perceived loafing, and team project-based learning outcomes. Team efficacy is a shared team belief that the team can perform a particular task successfully. Perceived loafing is defined as an individual perception that one or more team members do not contribute to achieving the team goal which they are supposed to do. Although team efficacy and perceived loafing were considered important factors to the team performance, there was little research to test their interaction effect on team performance.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 of team efficacy and perceived loafing, data were collected from 28 college students who were participating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team efficacy and perceived loafing on the learning outcomes. The findings suggested that both team efficacy and perceived loafing should be consider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eam project-based learning.

      • KCI등재

        예비초등교사의 창의력 향상을 위한 팀 기반 학습의 적용 방안 연구

        남정권,이수영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특별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pplicability of Team-Based Learning(TBL) model to improve creativity in the elementary education by analyzing the artifacts of implemented TBL lessons and interviews with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lessons. TBL model found to be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improve creativity of elementary students as well as pre-service teachers. We applied a formative research method that employs iterative processes of the development – implementation – evaluation - revision cycle as follow. First, we selected the existing TBL model. Second, we designed a case in point related to the theory, and implemented the case. Third, we revised the case after collecting and analyzing formative data. As a result, we found the total course period (5 weeks) was too short to make visible changes in creativity. However, TBL showed a potential to be an alternative teaching-learning method in elementary education which is more learner-centered and provides creative learning environment. In order to successfully implement TBL in elementary classrooms, teachers should be an expert on the TBL model as well as the contents. Also, it is critical to chose appropriate topics for TBL. In addition, teachers should be aware of elementary students’ work-load before and during TBL lesson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육에서 예비초등교사의 창의력 향상을 위한 팀 기반 학습(Team Based Learning)의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의 팀 기반 학습에 관한 연구는 협력학습에 기반을 둔프로젝트학습이나 상호작용에 관련된 연구이거나, 웹 기반학습 환경 또는 컴퓨터 활용 교육의 수업방법이 주류를 이루었다. 또한, 연구 대상자의 경우, 초등 학생이나 공업계고등학교 사례에 관련된 수업이었으며, 대학생의 경우 글쓰기 교육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어 예비초등교사 교육과 관련된 팀 기반학습 연구는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창의력 조기 발굴을 위해 초등교육에서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연구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초등학교 예비교사인 교육대학교 학생들을대상으로 초등교육에서 예비초등교사의 창의력 향상을 위한 팀 기반 학습 적용 방안을 모색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6년 11월 교육대학교 초등학교 현장실습을 경험한 2~3학년 예비교사 20 명을 대상으로 교육공학 수업시간에 매주 2시간씩 5주간 팀 기반 학습 모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사용된 팀 기반 학습 모형은 사전 계획 단계, 선행 학습 단계, 준비도 확인 단계, 개념적용 문제해결단계인 4단계를 단계별로 구체화하여 수업시간에 적용하였으며, 역진행 수업(Flipped learning)과는차별화된 개인과 팀별 사전 점검 및 개념적용 문제해결 과정을 통한 심층적 접근을 통해 학습자의 창의력 향상 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팀 기반 학습의 실천적 학습 지향 연구는 초등학교 교실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교육 방법과 수업 모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동료의 수업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예비초등교사간 다양한 아이디어와 발산적 사고를 자극하여 창의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