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코로나 시대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영향 요인

        제남주,박미라,박은실,김혜진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4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8 No.5

        본 연구는 경상북도 P시 간호대학생 132명을 대상으로 협력적 자기조절, 협력적 자기효능감, 팀 효능감, 학습태도, 학업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이들의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방법,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Hierarchical regression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스트레스는 협력적 자기조절, 협력적 자기효능감, 팀 효능감, 학습태도와 부적상관관계가 있었다. 모델 1에서는 전공만족도가 학업스트레스에 유의한 영 향요인 이었으며 총 설명력은 12.2%였다. 모델 2에서는 학습태도가 학업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 고 총 설명력은 21.4%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겪은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를 낮 추기 위해서는 그들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고, 학습태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cooperative self-regulation, cooperative self-efficacy, team efficacy, learning attitude, and academic stress among 132 nursing students in one city, and to determine factors that affect their academic stres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and using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methods. As a result , in Model 1, major satisfaction was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academic stress and the total explanatory power was 12.2%. In Model 2, learning attitude was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academic stress and the total explanatory power was 21.4%.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in order to reduce the academic stress of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post-corona era,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increase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and influence their learning attitude.

      • KCI등재

        집단탐구(Group Investigation) 협동학습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협력적 자기효능감, 학업 성과의 관계

        임규연(Im, Kyu-Yeon) 한독교육학회 2011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6 No.2

        팀으로 이루어지는 집단 탐구학습에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뿐 아니라 팀의 구성원으로서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역할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집단탐구(Group Investigation) 학습 맥락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학습 과정으로서의 학습 참여도, 그리고 학습 성과로서 개인 성취도 및 팀 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학교에서 교직을 이수하는 학습자 81명의 자료가 분석되었으며, 이들의 학업적, 협력적 자기효능감 수준은 학기 초에 측정되었고, 참여 및 성취도 자료가 수집되었다. 단순회귀분석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개인 성취도를,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참여도, 개인 성취도, 팀 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참여도는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개인 성취도를 완전 매개하였고,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팀 성취도를 부분 매개하는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각 변인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효능감, 특히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협동학습 환경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수업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In a learning environment of cooperative learning, academic self-efficacy as well as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re critical to successful learning. This study adopted Group Investigation model to facilitate collaboration among learners,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efficacy for group work on learners participation, individual achievement, and team achievement. Participants were 88 college-level students in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data from 81 among them were analyzed.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efficacy for group work were measured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and data of individual participation, individual achievement score, and team achievement score were collected at the end of the semester. Sim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academic self-efficacy predicted individual achievement, while self-efficacy for group work predicted individual participation, individual achievement, and team achievement. Also, participation were the mediator between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achievement.

      • KCI등재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협력적 자기조절,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팀 효능감,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에 대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박미정(Mee Jung Park),박성희(Sung Hee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학습 성과를 촉진하고 효율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학습자의 협력적 자기조절,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팀 효능감,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에 대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A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2021-1학기에 운영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 50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의사소통능력이 협력적 자기조절,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팀 효능감,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Sobel검증을 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협력적 자기조절,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팀 효능감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협력적 자기조절,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력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학습자들의 협력적 역량은 학습 성과 증진과 핵심역량 개발에 효과적이라는 것과,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의사소통능력이 중요한 요인임을 규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학습자들의 원활한 상호작용과 협력적 역량, 의사소통능력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skil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collaborative self-efficacy, team efficacy, and problem solving skills in order to promote learning outcomes and find efficient support measures in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Methods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509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operated in the 2021-1 semester at the A University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Gyeonggi-do.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communication skill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collaborative self-efficacy, team efficacy, and problem solving skills. In addition, Sobel test was us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communication skill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collaborative self-efficacy, and team efficac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ommunication skill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collaborative self-efficacy, and problem solving skills. Conclusions Base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identified that the collaborative competencies of learners in the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s are effective in enhancing learning outcomes and developing core competenci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communication skills is an important factor in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It emphasizes the need for support to increase the level of learners' interaction, collaborative competency, and communication skills in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 KCI등재

        팀 프로젝트기반학습에서 협력적 조절의 매개효과: 협력적 자기효능감, 공유정신모형, 만족도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지현,임규연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1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4 No.4

        Recently,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ve learning led researchers to pay attention in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co-regulation which are collaborative variables that have been derived from the variables for individual learning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structional design implications for successful team project-based learning by investigating whether the co-regulation, including self-regulation in collaborative context and other regul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learning outcomes. In this study, learning outcomes are measured by task-related shared mental model, team-related shared mental model, and satisfac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50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team project-based learning, and then data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regulation in collaborative context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task-related shared mental mode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satisfaction. Second, other regulation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satisfac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ffects task-related shared mental model and satisfaction by using self-regulation in collaborative context or other regulation. Thus, methods to facilitate the learner's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co-regulation are needed to improve task-related shared mental model and satisfaction in a team project-based learning environment. 최근 협력학습이 강조되는 추세에 따라 개인학습맥락에서의 변인을 협력학습맥락으로 확장하여 이해한 협력적 자기효능감, 협력적 조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팀 프로젝트기반학습에서 협력적 조절(협력적 자기조절, 타인조절)이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학습성과(과제관련 공유정신모형, 팀원관련 공유정신모형, 만족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규명하여, 성공적인 팀 프로젝트기반학습을 위해 처방해야할 교수설계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팀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대학강의의 수강생 5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협력적 자기조절은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과제관련 공유정신모형 간의 관계,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만족도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인조절은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만족도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였다. 이를 통해 팀 프로젝트기반학습에서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협력적 자기조절 또는 타인조절 전략을 통하여 학습성과인 과제관련 공유정신모형과 만족도를 예측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팀 프로젝트기반학습에서 과제관련 공유정신모형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학습자의 협력적 자기효능감, 협력과정에서의 협력적 조절(협력적 자기조절, 타인조절)을 고려하여 이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이 요구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배경변인 및 의사소통 수준이 협력적 자기조절 및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박성희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which effected on effectiveness of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operated by th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as part of a non-curricular program at a univer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on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and collaborative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gender, grade, and communication level of undergraduate student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The resul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survey responses of 151 people who faithfully responded to the pre- and post-test among a total of 240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held in the first semester of 2021 at A University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research method was a single experimental group without a control group.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and collaborative self-efficacy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as a group were compared with a paired sample t-test, and gender, grade, and communication level were used as intergroup variables, and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were compared. Repeated measures ANOVA was conducted on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and collaborative self-efficacy as within-group variable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pre-post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and collaborative self-efficacy, bot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rove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pre- and post-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changes according to gender, grade, and communication level,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as derived between the communication level and the time poin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attern of regulatory change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grade, and communication level in the changing patterns of pre-post collaborative self-efficacy,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as derived between gender and communication level and tim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spect of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change according to the resul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operating learning community programs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대학에서 비교과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운영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대학생의 배경변인인 성별 및 학년, 의사소통 수준에 따라 협력적 자기조절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대해 어떤 차이가 있는지 탐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수도권에 위치한 A대학교에서 2021년 1학기에 진행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 참여한 총 240명 중 사전-사후검사에 성실하게 응답한 151명의 설문응답을 바탕으로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연구방법은 대조군이 없이 실험군 단일집단으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의 협력적 자기조절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을 대응표본 t-test로 비교하였으며, 성별, 학년 및 의사소통 수준에 따른 집단간 변인으로 하고,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참여전/후를 집단내 변인으로 하여 협력적 자기조절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에에 대한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하였다. 첫째, 사전-사후 협력적 자기조절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차이를 검증한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사전-사후 협력적 자기조절의 변화 양상이 성별, 학년 및 의사소통 수준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 수준과 시점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도출되어 의사소통 수준에 따라 협력적 자기조절 변화 양상에 차이를 보였다. 셋째, 사전-사후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변화 양상이 성별, 학년 및 의사소통 수준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의사소통 수준과 시점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도출되어 성별과 의사소통 수준에 따라 협력적 자기조절 변화 양상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협력적 학습활동에서의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 협력적 자기효능감, 협력적 자기조절간의 관계

        길효정 ( Gil Hyo J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정서지능과 협력적 자기효능감, 협력적 자기조절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J시에 소재한 3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최종 수집된 136부의 자료를 SPSS WIN 21.0과 AMO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비유아교사의 협력적 학습활동에서 개인의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예비유아교사의 협력적 자기조절은 높아지며, 예비유아교사의 협력적 자기조절은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협력적 자기효능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협력적 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에서 협력적 자기조절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유아교사 양성과정 협력적 학습활동 설계 시 개인의 학습효과 향상을 위해 어떠한 전략을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또한, 예비유아교사 정서지능증진 및 협력적 자기조절 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co-regul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36 first-year students in the three-year colleg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in J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1.0 and AMOS 21.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results in a higher co-regul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regulation and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a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results in a higher self-efficacy for group work. Finally, co-regulation is part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for group work. The study suggests that what strategies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design for cooperative learning activit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lso,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and the formation of co-regulation program.

      • KCI등재

        소셜미디어 활용 학습에서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대한 협력적 자기조절과 협력적 효능감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김소영 ( Soyoung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협력적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이 학업성취도 및 사회적 학습만족도와 갖는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협력적 자기조절과 협력적 효능감의 매개 혹은 조절효과를 탐색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국내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에서 교육학 분야 교양강좌를 수강하는 총 103명의 학생들이 13주간 오프라인 수업과 병행하여 협력적 학습 요소를 바탕으로 설계된 페이스북 활동에 참여하였다. 부트스트래핑을 활용하는 PROCESS 기법을 통하여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인지조절과 동기조절은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으며 사회적 학습만족도에 대한 인지조절과 동기조절의 부적인 직접효과를 상쇄하는 데에 협력적 효능감이 긍정적인 간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행동조절은 학업성취를 직접 결정 짓는 변수였으며 협력적 자기조절과 협력적 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높은 수준의 협력적 자기조절은 오히려 부적인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는 소셜미디어 활용 학습에서 인지조절, 동기 조절의 만족도에 대한 부정적 영향력은 협력적 효능감에 의해 긍정적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행동조절의 학업성취에 대한 긍정적 관계에 협력적 자기조절이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교수자가 개인 학습자들이 갖고 있는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하위 요소별 수준과 협력적 기제의 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협력적 학습을 설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to expla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regulation consisted of cognitive, motivational, behavioral components and achievement, as well as social learning satisfaction, in collaborative learning through social media. In order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s, the mediation and moderation effects of co-regulation and collaborative efficacy were explored. A total of 103 students who enrolled in a course on education at the university located in capital region joined in Facebook activities designed with the notion of collaborative learning. As the results of mediation and moderation analysis by PROCESS method based on bootstrapping, cognitive and motivational regulation did not influence on achievement; however, collaborative efficacy had positive indirect impact on the offset of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motivational regulation and social learning satisfaction. Behavioral regulation showed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level of achievement, with no mediating effect from co-regulation nor collaborative efficacy; however, the high level of co-regulation would have negative moderating impact on the positive influence of behavioral regulation to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collaborative efficacy could positively intervene in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motivational regul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On the contrary, co-regulation would negatively influence o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regulation and achievement. It suggests instructors should design collaborative learning through social media with the consideration of individual learner’s level of cognitive, motivational, and behavioral regulation as well as collaborative characteristics including co-regulation and collaborative efficacy.

      • KCI등재

        협력적 프로젝트 교수-학습 방법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옥주 한국교원교육학회 201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협력적 프로젝트 교수-학습방법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예비유아교사양성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협력적 프로젝트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고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놀이지도 교과목에 적용한 후 자기효능감 향상 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북도에 위치한 D대학 유아교육과 1학년 놀이지도 교과목 수강생 58명(적용집단)과 경기도에 위치한 D대학 아동보육복지과 1학년 놀이지도 교과목 수강생 73명(비교집단) 이었다. 연구결과 적용집단의 자기효능감 전체,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이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과제난이도선호 점수는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해 협력적 프로젝트 교수-학습방법을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 추천하는 바이다.

      • KCI등재

        예비보육교사의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 놀이성, 정서지능, 협력적 자기조절을 중심으로

        이영주(Young Joo Lee),길효정(Hyo Jung Gil)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보육교사 개인의 정의적 변인인 놀이성, 정서지능, 협력적 자기조절이 협력 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각 요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136 명의 예비보육교사로, 자료수집 방법은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루어 졌다. 자료 처리와 분석은 SPSS 21.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의 정의적 변인 중 협력적 자기조절은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요인간의 관계는 정서 지능과 협력적 자기조절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성과 협력적 자기효능감 은 정적 상관은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하위요인에서는 즉흥성, 기발성, 타인정서인식 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예비교사들의 학습과정에서 자신을 잘 조절하며, 자 신과 타인의 감정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으 며 양성교육과정에서 개인의 정서지능과 협력적 자기조절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e-service teacher s affective variables such as playfulness,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regulation on cooperative self-efficacy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6 pre-service teachers. Data collection methods were surveyed.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0 and AMOS 21.0. As a result, co-regulation among the individual s affective variabl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operative self-efficac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regulation. However, playfulness and cooperative self-efficac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ubscale of each factor, improvisation, ingenious, and emotion recognition for others were found to be factors affecting cooperative self-efficacy. In this study, it is found that pre-service teachers self-control in their learning process and effective coping with their own and other s emotion can help cooperative self-efficacy. Suggesting that a program is needed.

      • KCI등재

        협력학습 환경에서 메타인지적 자기조절, 정서조절과 성취도 간의 관계:

        임규연(Lim Kyu Yon),김시원(Kim Si Won),김영주(Kim Young 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0

        This study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s of co-regulation and self-efficacy for group work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metacognitive self-regulation, emotion regulation and achievement in a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The role of individual learner and effective collaboration among learners are critical elements to accomplish successful collaborative learn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various learner characteristics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successful collaborative learning. Participants were 55 college students and data from 52 were used fo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metacognitive self-regulation and emotion regulation predicted achievement, and co-regulation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emotion regulation and achievement whereas self-efficacy for group work did. Also, learners with low level of metacognitive self-regulation and emotion regulation showed differences in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efficacy for group work. This results emphasize that instructional design and supports considering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re needed for students with low level of metacognitive self-regulation and emotion regulation in a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본 연구는 협력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메타인지적 자기조절, 정서조절과 협력학 습 성과와의 관계를 협력적 자기조절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조절하는지 분석하고 자 하였다. 성공적인 협력학습 성과를 위해서는 학습의 주체로서 학습자 개인의 역 할 및 학습자들 간의 효과적인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협력학 습 맥락에서 개인적, 사회문화적 맥락을 반영하는 다각적인 학습자 특성에 대한 탐 구를 통해 효과적인 협력학습 성과를 위한 요인을 규명하고, 협력학습의 성과를 촉 진하고 지원할 수 있는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학생 52 명을 대상으로 협력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자기보고식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 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첫째, 메타인지적 자기조절과 정서조절은 성취도를 예측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력적 자기조절은 메타인지적 자기조절, 정서조절과 성 취도 간 관계를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메타인 지적 자기조절, 정서조절과 성취도 간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메 타인지적 자기조절과 정서조절 수준이 낮은 학습자들은 협력적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라 성취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협력학습에서 메타인지적 자기조절과 정서조절 수준이 낮은 학습자를 대상으로 협력학습 성과를 도출하기 위 해서는 협력적 자기효능감을 고려한 설계 및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