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목표 재설정을 위한 현황 분석 연구 -입학 후 과정을 중심으로-

        오선경 ( Oh Sun-kyung ),박현진 ( Park Hyun-jin ),이승연 ( Lee Seung-yeon ),이유경 ( Lee Yoo-kyoung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24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66 No.0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학위 과정에서 운영하고 있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현황을 파악한 후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목표와 내용 재설정을 위해 개선할 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와 현황을 분석한 연구들을 검토한 후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을 분석할 때 필요한 사항을 도출하였다. 이후 국내 8개 대학을 대상으로 학위 과정 내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학에 입학하는 외국인 유학생의 수준이 초급인 경우가 다수이고, 입학 후 한국어 과정의 과목도 일반 목적의 한국어 과목들인 경우가 많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입학 후 학문 목적교육과정 운영의 방향을 재설정하는 데에 다음을 고려해야 한다고 보았다. 첫째,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수준을 고려하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의 목표 및 수준을 현실적으로 재설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의 전공 학업 수행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학문 목적의 내용이 교육과정 내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셋째, 한국어 능력이 초급인 외국인 학생들을 위해 한국어 집중과정을 체계화하여 설계해야 한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학문 목적 교육과정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제안점을 도출해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의 목표 재설정에 대한 근거를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ssess and suggest improvements to the goals and content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KAP) courses following the analysis of KAP programs run by Korean universities. For this purpose, Dafter consideration of previous research analyzing the establishment and the status of current KAP programs, this research individuates the main features to consider when analyzing such a program and applies this framework to the analysis of teaching content and status of the KAP program of eight Korean universit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upon enrollment,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f most international students is basic and that many Korean language classes for these students are of Korean for general purposes.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to refocus the structure of KAP programs. First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embedded in KAP programs by considering the real language proficiency of international students. Secondly, KAP programs should aim to bring students‘ proficiency up to the level necessary to pursue academic work in their elected major degree course. Thirdly, KAP programs should redesign their content courses to offer intensive and structured instruction to beginner-level learner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establishing the ground for refocusing the goals of KAP programs by analys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programs run by different Korean universities.

      • KCI등재

        쓰기 지식을 중심으로 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의 연구 경향

        손다정(Son, Da-jung),장미정(Jang, Mi-jung) 중앙어문학회 2013 語文論集 Vol.56 No.-

        이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의 연구 경향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앞으로의 연구에 시사점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교육에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개념이 도입된 이후 현재까지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을 뿐만 아니라 그 범위도 넓어졌다. 이중에서도 쓰기 교육 연구가 특히 활발히 이루어졌다. 이는 학습자의 요구가 특히 높은 영역이기도 하거니와 학문 목적의 쓰기가 보이는 일반 목적의 쓰기와 다른 특징들 때문이다. 주제별로 연구 경향을 분석한 결과 교실에서 학습자들에게 쓰기를 어떻게 지도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과 학습자들이 학문 목적의 쓰기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분석한 연구가 많았다. 한편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가 성공적으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지식별로 연구 결과를 분석한 결과 학문 목적이라는 특수 상황의 맥락을 반영한 연구가 특히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의 연구는 이와 같은 맥락 지식을 더욱 구체화하는 동시에 학문적 담화공동체가 요구하는 내용, 언어, 쓰기 처리 지식이 무엇인지를 찾고 이를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방향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trends in researches which were published since the academic community has taken an interest in Korean writing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Due to a growing number of students that are learning Korean language in order to pursue a bachelor’s or master’s degree, more spotlight has been on developing Korean academic writing education in order to meet their needs. It was necessary that contents and teaching method of such Korean education were tailored to meet the demand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particular, many researches were conducted on developing education for Korean writing for academic purposes. Therefore, out of the 230 researche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83 that were specifically about Korean academic writing education were analyz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rend by year showed an increasing total number of researches. When categorized by subject, most of the researches focused on general education plan and revealed a further need for expanding the scope of such research. Furthermore, the study examined the progress of researches that were done on content knowledge, context knowledge, language system knowledge, and writing process knowledge, which are said to be crucial for students to have in order to improve their Korean academic writing skills. Based on the analysis, most of the researches were found to be about forming context knowledge with its focus on genre. This may be the result of noting the fact that most of the students will have to write on specific genre that is required based on their different educational contexts and situations. However, building content knowledge and applying it in academic writing is equally as important as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genre. Specifically, there seems to be a need to conduct a research on students’ cross-textual knowledge and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ir integrated knowledge. Based on the analysis of existing researches on Korean academic writing edu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needs to be further studies on designing and developing specific contents and methodology for Korean writing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 KCI등재후보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연구 현황

        조영미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8 한국어문화교육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 목적 한국어 연구가 어떤 영역을 중심으로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현황과 실태를 살펴보아 그 연구 결과를 수업에 활용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주 제에 부합하는 논문 477편을 선별한 뒤 유형(학위논문/학술지논문)별, 기능·영역별로 분류하였다. 또한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교육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학문 목적 학습자라는 용어를 세분화하여 정리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학문 목적 학습자라는 용어는 아직까지 그 경계나 개념이 명확하지 않은 실정이라 본고에서는 이를 학습 목적과 선행 학습 정도에 따라 구분하여 정립하였다. 더불어 학위 과정에 재학 중인 유학생들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수업의 개설 현황을 부산 지역 대학을 중심으로 대학별로 알아본 후 그에 따라 도출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문제점을 세 가지로 살펴보았으며 그러한 문제점에 대한 방안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sent status and conditions of research on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about how and in what areas the research is conducted and apply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actual classes. To this end, a total of 477 papers that corresponded to the subject "education on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were selected and then divided by type (thesis or journal article, etc.), function, and area. Also, in order to prepare the education methods for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the term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needs to be subdivided for organization. However, since the boundaries and concept of the term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are not clearly defined yet, this study classified it by the degree of learning purpose and prior learning. In addition, the opening status of the class of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for international students who were taking the degree course was investigated by universities in Busan and then three problems of the education on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were derived and examined. The countermeasures against such problems were also suggested.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한국문화 교육 내용 분석

        유현정(Ryu Hyun-jung) 국어문학회 2017 국어문학 Vol.65 No.-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생활 적응 및 학업 수행 능력향상을 위해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에서 한국문화 교육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인식하고, 현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한국문화 내용을 분석하여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과정에 필요한 문화 내용의 제시 현황 및 체계화 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최근 정부의 적극적인 외국인 유학생 유치확대 정책으로 한국 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해 한국을 찾는 유학생이 급증하고 있으나 이들 중 많은 수가 학업을 중도 포기하는 등의 부작용도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유학생의 언어능력 향상과 함께 적극적인 문화 교육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문화 교육의 양상을 고찰하기 위하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한국문화 교육 내용을 추출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실제 자료의 분석을 토대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한국문화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학문 목적 학습자의 양적인 증가에 발맞추어 교육의 질적인 측면을 강화하기 위하여 한국문화의 구체적인 교육내용 선정 및 교육방안 구상에 관한 연구가 더욱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systematization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by sorting out and analyzing the Korean cultural contents in Korean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 based on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need for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is increasing with the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n universities. Although this need is prevalent, it is still not enough to learn about Korean culture from current Korean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 because there is not an approved standard to select the essential cultural item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present them in the textbooks. This study tries to examine how Korean cultural education is going by sorting out and analyzing comparatively the Korean cultural contents in Korean textbooks for advanced course and undergraduate course. The result suggests some points to be modified or improved in Korean cultural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and attempts to analyze the vast real-world data.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nformations on anticipated future stud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for the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Another expectation is that there will be many other studies in Korean cultural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as how to present various Korean cultural contents and how to teach the detail contents for proficient communication in Korean language of the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 KCI등재후보

        학문목적 글쓰기를 위한 대학글쓰기 교육 방안

        김은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3

        This study is to design a model of Korean writing curriculum for the academic purpose in order to improve the Korean learner's academic writing skill. For the foreign Korean learners who entered the university, Korean is an academic tool required to understand the academic text and acquire new knowledge. Korean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of being the medium of expression to have mutual text-based knowledge and present the result of studies. An evaluation on how much the Korean learners for the academic purpose understand about a subject of debate and how to widen their understanding within the scope of learning entirely depends on the “academic text” constructed by the learners. Further, the learners can perform tasks and develop the communication skills using their academic text. This paper proposes a model of the academic-purpose Korean writing class to improve the academic writing skill. In this paper, we examine how to develop and apply various writing strategies for the learners in performing the writing project by proposing a communication-oriented education model, which is a compromise between project-oriented and course-oriented curriculums focusing on previous genre-based writing teaching method, and suggest a writing course with minimized control and guidance of teachers. To this end, we describe features and effects of new academic writing class model, the progress of this designed educational course also the educational effects of writing in discussion and presentation between learners while performing an integrated reading-writing project, discussion and presentation. Lastly, we propose a class-model to improve a creative writing skill of the learners through integrated reading-writing class, discussion and presentation so that they can use various writing skill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academic writing and type of text.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글쓰기 능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과 과정의 모형을 설계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대학에 입학한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어는 학습자가 학문적 텍스트를 이해하고, 새로운 내용지식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학문 수학의 도구가 된다. 또한 상호 텍스트적 지식을 확보하고 학문적 성과를 발표하는 중요한 표현의 도구로서의 역할을 한다.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가 논의의 대상으로 삼는 주제에 대해서 얼마나 깊이 있게 이해하고 있으며 또 그것을 어떻게 학문의 영역 안에서 확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온전히 학습자가 구성한 ‘학술적 텍스트’에 의존한다. 나아가 학습자는 자신이 구성한 학술적 텍스트를 통해 과제를 수행하고 소통의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학술적 쓰기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의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에 제시되었던 장르 기반 쓰기 교수법을 중심으로 하여 과제 중심과 과정 중심의 교육 과정을 절충한 소통 중심 교육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가 쓰기 과제의 수행을 위해 어떻게 다양한 쓰기 전략을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교사자의 통제와 유도를 최소화하는 쓰기 교육 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새로운 학문목적 글쓰기의 수업 모형이 갖는 특징과 수업 효과에 대하여 기술하고, 설계된 교육 과정의 진행 과정과 읽기-쓰기의 통합적 과제 수행, 토론과 발표라는 활동의 과정에서 학습자간 토론과 발표가 갖는 쓰기의 교육적 효과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이로써 읽기-쓰기 통합 교육과 학습자간 토론과 발표를 통해 학습자가 학문목적 글쓰기의 목적과 텍스트 유형에 따라 다양한 쓰기전략을 사용할 수 있도록 창의적 쓰기 역량을 키우는 수업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교양 교육으로서의 한국어교육

        최주희(Choi, Juhee) 협성대학교 교양학연구소 2020 교양학연구 Vol.7 No.1

        이 연구는 교양 과정으로서의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실제를 고찰함으로써 교양 한국어의 위상과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교양 교육의 개념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교양 교육의 목적은 인간을 자율적이고 창의적이 비판적인 인재로 양성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대학 교양 교육 과정은 공통점을 갖는다. 대학에서의 교양 교육의 목적으로 교양 한국어교육 과정의 교과목을 보았을 때, 개설된 한국어 교과목이 교양 교육의 목적을 이루는 데 기여하기 어렵다고 보았다. 대학의 교양 교육 과정의 교과목 명칭을 고찰해 보았다. 일반 의사소통 목적의 한국어교육 과정이 여전히 상당한 분량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교양 교육의 관점에서 교양으로서의 한국어교육 과정 내용이 교양인으로서의 인재 배양에 초점을 두고 있는지를 의심하게 한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으로 인해 여러 대학에서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을 교양 교육 과정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교양 교육 과정에서 한국어교육을 학문 목적의 성격으로 규정하고 이를 실제로 구현한 한국어 교양 교육 과정에 주목하였다. 대학의 교양 교육의 목적을 한국어교육 속에서 녹여낸 교양으로서의 한국어교육 과정의 교과목을 고찰하고 한국어교육의 나아가는 방향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status and direction of liberal arts Korean language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and re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liberal arts cours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concept of liberal arts education was investigated. The purpose of liberal arts education is that humans must be nurtured as autonomous, creative and critical talents. When looking at the subjects of the liberal arts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liberal arts education at universities, it was considered that the established Korean language subjects were difficult to contribute to achieving the purpose of liberal arts education. The subject names of the university s liberal arts curriculum were considered. It was found that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general communication purposes still occupied a considerable amount. From the perspective of liberal arts education, it is questioned whether the content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s liberal arts focuses on cultivating human resources as liberal arts people. However, some schools accept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academic purposes as a liberal arts curriculum based on this problem consciousnes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liberal arts education can contribute to cultivating human resources as liberal arts people when the purpose is clarified.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한국어 교양 교육 과정 운영 현황과 과제

        장지영 ( Jang¸ Ji Yeong ),조은영 ( Cho¸ Eun Yo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한국에서 운영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한 교양 교육 과정의 현황을 분석하여 학문목적 한국어 교양 과정 운영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여 향후 한국어 교양 과정 설계의 기초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에 2019년 4월 기준 외국인 유학생의 수가 가장 많은 상위 19개 4년제 대학교의 한국어 교양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2020년 1학기에 각 대학에서 개설한 한국어 교양 과정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고 한국어 교육 전문가 2명이 각 대학별 운영 방식, 교과 내용, 학문 목적 한국어 성격, 교과 운영 주체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각 대학은 한국어 교양 과정 교과목을 평균 3.02학점(3.61시수)으로 개설하고 있었고 교과목에서 다루고 있는 학습 기술은 쓰기, 말하기, 읽기, 듣기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또한 각 기술 모두 Dudley-Evans와 St. John(1998: 9)에서 제시한 학문 목적 분류에서 2영역으로 개설되는 경우가 3영역으로 개설되는 경우보다 많았다. 그리고 학문 목적 한국어 교과목은 교양 교육 전담 기관에서 운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현재 각 학교에 개설된 학문 목적 한국어는 대부분 대학 강의 수강을 위한 한국어이거나 일반 목적 한국어와 차별화되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학습자의 실질적 요구에 맞는 다양한 한국어 교양 교과목을 개설할 것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for foreign students currently operating in Korea to identify problems in the operation of the Korean liberal arts courses for academic purposes and to propose improvement plans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design of the Korean liberal arts program in the future. Therefore, as of April 2019, we analyzed the Korean language courses at the top 19 four-year universities with the highest number of foreign students. To this end, first, information on the Korean language liberal arts courses opened by each university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was collected, and two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s analyzed each university based on its operating method, subject content, academic purpose Korean character, and subject manage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ach university offered an average of 3.02 credits (3.61 hour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s, and the learning skills covered in the subjects were most in the order of writing, speaking, reading, and listening. In addition, in the classification of academic objectives presented by Dudley-Evans and St. John(1998: 9), the case of opening into 2 areas was more frequent than that of 3 areas. And most of the Korean language courses for academic purposes were operated by institutions dedicated to liberal arts education. Currently,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s opened in each school is mostly Korean university lectures or is not differentiated from general purpose Korean. Therefore, it is requested to open various Korean liberal arts courses that meet the practical needs of learners.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 도구 개발의 쟁점과 과제

        민병곤,이성준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6 국어교육연구 Vol.38 No.-

        This paper examines recent approaches to developing speaking tests and in particular the testing of Korean speaking for academic purposes. The first approach is concerned with testing theory of the language for specific purposes (LSP) and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KAP) as a means of verifying the claims for speaking test development. The second approach is analyzing the validation procedures of TOEFL and IELTS as representative academic speaking tests and relating them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speaking tests for academic purposes. The article argues that the development of Korean speaking tests for academic purposes is founded on the conceptual framework of speaking tests, construct setting, item writing, connecting testing method and validation, scoring rubric and rating scale development, and consideration of educational washback and impact. From this view point, developing Korean speaking tests for academic purposes can be justified in terms of practical needs analysis, construct validity projects, circumstantial specification, and rater effect analysis, and it is suggested that continuous concurrent and predictive validation research be conducted to improve speaking tests.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도구의 개발과 관련한 주요 쟁점과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학문 목적 말하기 평가를 구성하는 이론적 배경으로서 특수 목적 언어 평가 연구와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교육, 그리고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에 관한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대표적인 국외 학문 목적 말하기 시험을 실시하고 있는 TOEFL과 IELTS에서 말하기 시험이 개발되어 현재의 모습으로 사용되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 도구 개발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 도구 개발의 쟁점으로 제시한 것은 평가의 개념 정립과 구인 설정, 평가 과제 개발, 평가 방법 선택 및 타당화, 채점과 척도 개발, 교육적 환류와 영향력이다. 끝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 도구의 개발을 위한 앞으로의 과제로서 개발 과정에서 응시 목적을 고려하여 요구 분석을 실시하고, 구인타당도 확보와 면밀한 평가 계획서 작성, 그리고 채점자 분석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예측타당도와 공인타당도 연구를 통해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 도구의 안정화와 품질 개선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 학문 목적 한국어 수업에서 학습자 요구를 반영한 보조 교사의 책무와 역할

        조형일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019 한어문교육 Vol.40 No.-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에서 원어민 강사를 보조로 사용하는 원칙과 방법을 제안하여 학문적 목적을 위한 한국어 수업의 원활한 운영을 촉 진하기 위한 것이다. 보조교사(TA: Teaching Assistant)는, 학문적 목적 으로 한국어 수업을 진행하는 교실의 성격과 상황을 고려할 때, 교사와 같은 능력과 경험을 가지고 있는 준전문가에서부터 학문목적 한국어교 육에 대한 매우 간단한 지식을 가진 자 그리고 지엽적인 측면에서 도움 을 줄 수 있는 사람들을 포함하는 개념처럼 매우 폭넓게 이해할 수 있 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자원으로서 이들의 역할과 책임을 규정해 보는 한편 이들이 자신이 속한 유형을 이해하고 그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도/교육받을 수 있어야 함을 주장했 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 전반을 이해하는 것은 단기간에 이루어 질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보조교사가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분 명하게 알 수 있게 해 주어야 한다는 것과 전문가나 준전문가 단계의 역할을 하는 보조교사가 하위 단계에 있는 보조교사의 멘토 역할을 해 야 한다는 것에 대해서 상세하게 논의했다. 이를 통해서 앞으로 학문적 목적을 위한 한국어 교육은 한국어 원어민인 학교 구성원의 자원을 적 극적이고 체계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주장하고 그 운영의 원리와 방안을 제안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principles and methods for using native speakers in schools as assistants to facilitate the smooth operation of Korean language classes for academic purposes. Considering the nature and circumstances of the classroom where Korean language classes for academic purposes are conducted, an Teaching Assistant(i.e. TA) has the same ability and experience as a teacher. And these are also people who has with very simple knowledge of the subject. It also includes those who can help in a very local way. TA can be understood very widely. This study summarized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Korean TA and argued that TA's need to be able to guide/educate so that they understand what type of person they belong to and have the capabilities of that type. This study suggested that understanding Korean language cannot actually be done in a short period of time, so the more detailed the rules on what TA should do. And higher-level TA have revealed that they should be able to serve as mentors for all lower-level TA. It also said that there must be a communication window between assistant teachers. In the fu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needs to actively and systematically utilize the resources of school members, who are native speakers of Korean.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국어교육과 한국어능력시험 연구

        김혜영 국어교과교육학회 2010 국어교과교육연구 Vol.17 No.-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은 일상생활에서 고급 수준의 한국어를 구사하거나 혹은 대학의 외국인 입학 전형에서 요구하는 한국어능력시험에서 고급 정도의 상위 급수에 합격했다 하더라도 대학에 진학하여 다른 한국인 학습자들과 경쟁하며 공부하기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따른다. 이것은 그들이 공부해온 일상생활의 회화가 아닌 생소한 전공 어휘와 내용이 대학수업의 주 내용인데다가 관련 배경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정착 비율을 높이고 그들이 성공적으로 유학생활을 마칠 수 있도록 기존 한국어교육과 한국어능력시험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학문 목적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교육과 한국어능력시험의 개선방향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