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 하천 거버넌스의 진화? - 동천 재생 프로젝트 마스터 플랜 사례를 중심으로

        김고운(Kim kou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8 No.2

        도시하천은 한국사회에서 도시 재생뿐만 아니라 도시 물 거버넌스의 주요 의제가 되었다. 본 연구는 부산의 대표적인 도심형 하천인 동천의 관리와 지역 재생을 둘러싼 거버넌스가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그 역할은 무엇인지, 기존의 부산 지역 내 하천 관리 거버넌스 역사와 제도발전의 요소를 연결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부산발전연구원이 부산시의 용역을 받아 수행한 “동천 재생 마스터 플랜” 수립과정 및 이후 2016년 12월까지 동천 관련 지역 하천거버넌스 및 부산시 하천거버넌스이다. 연구 방법론은 질적 연구방법인 사례 분석으로서 핵심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반 구조화된 면담 조사기법(semi-structured interview method)을 활용하였다. 제도로서 부산시와 동천 하천 거버넌스의 형성과 발전, 영향 요소 분석을 통해 볼 때 2000년대 초반에 형성되어 현재까지에 이른 부산 하천 거버넌스는 진화해왔다. 동천 유역 거버넌스는 재생마스터플랜 작성 과정과 이후 과정에서 하천 환경을 유역 공동체, 도시재생과 연계하여 모색하는 확장된 거버넌스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유역시민단체의 결합으로 부산시 하천 거버넌스의 진보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Urban stream management has become a focal agenda of urban water governance and urban regeneration in South Korea. This paper looks at the case of the Dong-cheon, a local stream, running from the business district in Seo-Myeon to the North Harbour of Busan. This paper examines how a local NGO was created within tthe Dong-cheon river governance through the process of Dong-cheon Master Plan project and has been contributing to the institutional development progress of Busan River Governance. This research depends on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Semi-structured stakeholder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data collection. An institutional analysis confirms that river governance practices in Busan evolved so far. Through the Urban Regeneration Master Plan process, river governance at the Dong-cheon has been expanding its focus: ecosystem, communities and urban regeneration. Having a new basin NGO at the Dong-cheon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ontinuous evolution of city-level river governance.

      • KCI우수등재

        생태하천복원사업 네트워크 거버넌스 구조의 동태적 변화 비교: 양재천과 홍제천 사례를 대상으로

        이현정 한국행정학회 2018 韓國行政學報 Vol.52 No.4

        This paper examines effective network governance management plan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hange in network governance structure in the ecological stream restoration projects of Yangjae Stream and Hongje Stream. After identifying the contextual factors by stages, I analyzed how the facilitative leadership affected the changes in the network governance structure and how these changes in the network governance structure affected performance.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Yangjae Stream case displayed facilitative leadership to promote cooperation with residents and achieved high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due to lack of leadership, the Hongje Stream case caused conflicts with a local NGO and failed to achieve the intended performance. It is noted that the facilitative leadership was an important factor in making the network governance structure dynamic and increasing the performance of the ecological stream restoration project. It is also shown that the performance could vary depending on whether residents and local NGOs participated in the early stages of the project. This study could provide important guidance for network management to solve complex public questions. 본 연구는 생태하천복원사업 네트워크 거버넌스 구조 변화의 비교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네트워크 거버넌스 관리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시기별로 상황요인을 파악한 후, 촉진적 리더쉽이 네트워크 거버넌스 구조변화에 미친 영향과 구조변화가 성과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양재천 사례에서는 강남구청장이 촉진적 리더쉽을 발휘해 주민과의 협력을 이끌어내 높은 성과를 이루었다. 반면에 홍제천 사례는 촉진적 리더쉽의 부재로 생태하천복원사업 네트워크 내에 갈등이 증가되고 좋은 성과를 내지 못했다. 촉진적 리더쉽이 네트워크 거버넌스 구조를 변하게 하고 생태하천복원사업의 성과를 높이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업초기 주민과 지역 시민단체의 참여 여부에 따라 성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동태적인 관점에서 네트워크 거버넌스 구조를 분석한 이 연구는 복잡한 공공문제와 관련된 네트워크 거버넌스에 관한 이론의 개발과 실제에서 거버넌스의 성과를 높이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 KCI등재

        도시하천 살리기 거버넌스의 특성비교

        이시경(李時慶) 한국지방자치학회 2013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25 No.1

        Despite of the necessity on the governance approach for urban stream restoration, still the case study has been insufficient and has not dealt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of governance structure. In this paper,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governance appeared in the restoration project of Oncheon and Yangjae stream, we are going to suggest desirable policy direction to save the mother-nature of river. Yangjae stream was restored by government-led, and Oncheon stream project was close to citizen-led based on the voluntary environmental management. The governance structure of both stream restoration showed horizontal networks. Horizontal network, driven by both strong civil society and government, appeared in Oncheon stream, whereas it was mainly driven by government in Yangjae stream. A variety of civic organizations and residents were involved in Oncheon stream compared to Yangjae river. Neither of cases were restricted by official rules or sanctions. There is no big difference on policy outcomes between Oncheon river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ivil society-led governance and Yangjae stream with the nature of government-directed governance. The success of urban stream restoration depends on the closeness and continuity of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 KCI등재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운영기제 분석 : 부산시 하천살리기 사업을 중심으로

        배재현 한국행정연구원 2009 韓國行政硏究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도심하천 환경개선문제를 네트워크 거버넌스로 접근하였으나 상반된 결과를 가져오고 있는 부산시의 두 사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운영기제를 찾고자 하였다. 온천천과 동천의 사례는 일반적으로 온천천은 성공, 동천은 실패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러한 결과는 온천천과 동천문제해결의 시기, 참여자, 접근방법 등에 의해 결과가 달라진 것이 아니라 민·관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운영과정에서 민·관간의 영향력의 차이로 인하여 운영과 결과가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온천천 사례에서도 네트워크가 잘 운영되지 않았던 시기가 있었고, 동천 사례에서도 네트워크가 잘 운영되는 시기가 존재하였다. 두 사례 모두 네트워크가 수평적이었을 때 성공적인 운영과 성과가 만들어졌고, 수직적이었을 때 네트워크의 파행과 실패로 이어졌다. 그러므로, 각 사례들의 수평적, 수직적 네트워크의 운영기제를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네트워크 거버넌스가 어떠한 방식에 의해 성공적으로 작동하는지, 또 어떠한 방식에 의해 실패하게 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에서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 KCI등재

        초국경 댐 개발에 관한 수자원 외교: 메콩강위원회(MRC)의 역할과 과제

        이요한 한국동남아학회 2023 동남아시아연구 Vol.33 No.3

        The Mekong River Commission (MRC), as the sole transboundary river basin organization (RBO) in the region, plays a role in sharing information about the Mekong River, building networks, mediating cooperation, and facilitating dialogue. Founded on the basis of the 1995 Mekong Agreement, which was agreed upon by the Mekong riparian countries (Cambodia, Laos, Thailand, Vietnam), while China and Myanmar participate as dialogue partners (observer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ole, achievements, limitations, and challenges of the MRC in the context of water diplomacy, as the only supranational institution in the region. The role of the MRC is influenced by geographical aspects of the Mekong River and power dynamics among the relevant countries. To begin with, the study provides an overview of the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water diplomacy, then clarifies the objectives and expected functions of the MRC as a RBO. The study further explores the functional aspects and procedures of MRC's water diplomacy through its institutional, legal, and strategic approaches within the framework. The pivotal case of the Mekong hydropower dam is examined to understand the MRC’s role. The study also focuses on the challenges of MRC's water diplomacy, emphasizing institutional aspects for overcoming present limitations, addressing challenges posed by China's rise, and highlighting the need to enhance water diplomacy capacities. Despite the limitations of MRC in conclusion, the aim is to propose a continuous validity as RBO and an effective strategy for water diplomacy. 메콩강위원회(MRC: Mekong River Commission)는 역내 유일의 하천유역기구(RBO)로서 메콩강에 관한 정보의 공유, 네트워크 구축, 협력의 중재와 원활화의 역할을 맡고 있다. MRC는 1995년 메콩 유역국(캄보디아, 라오스, 태국, 베트남)이 합의한 메콩 협약(Mekong Agreement)을 기초로 설립되었으며 현재 4개 유역국은 정회원국(membership)으로, 중국과 미얀마는 대화상대국(observer)으로 참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역내 유일의 초국가 기구인 MRC의 수자원 외교 측면에서의 역할과 성과 그리고 한계와 과제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MRC의 역할은 메콩강의 지정학적 환경, 관련국의 권력관계 등에 영향을 받고 있다. 본고는 수자원 외교의 개념과 특성 등 이론적 논의를 개괄적으로 정리하고 RBO로서의 MRC의 목표와 역할을 분석한 후, MRC의 수자원 외교 프레임워크인 제도적, 법적, 전략적 접근을 통한 기능과 절차 및 수자원 외교의 핵심 사례로서 메콩 수력 댐 사례를 통해 MRC가 어떤 역할을 해왔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MRC 수자원 외교의 과제에 집중하여 현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제도적 과제, 중국의 부상으로 인한 도전 극복, 수자원 외교 역량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결론에서는 MRC의 RBO로서의 지속적인 유효성과 효과적 수자원 외교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하천 둔치의 자연성 회복을 위한 방안

        김진홍 국회입법조사처 2017 입법과 정책 Vol.9 No.1

        For the nature restoration of riverine floodplain, its changes by natureenvironmental effects after excluding artificial interference must be observed and its improvements should be done in progressive way taking step by step in a long term. And it must be done with an agreement between experts, NGO’s and local residents. Each section of the floodplain should be assorted as ecological conservation area, buffer green belt and utilization district, but the utilization district must be ultimately excluded. The floodplain should be designed for maintaining spatial function rather than installation of the artificial facilities. Bicycle routes and walkways are to be varied in consideration of the width of the floodplain, and their multiple installation must be prohibited if the width is less than 20m. After the nature recovery of the riverine floodplain, its maintenance by low cost and high efficiency must be executed. Residential participation must be set and for this, public/private governance and consultive association should be established. 둔치의 자연성 회복을 위해서는 둔치 정비는 인위적 간섭을 배제한 이후의 자연 과정에의해 변모하는 추이를 관찰하면서 단계적 및 장기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둔치정비는 종합적인 구간별 복원 계획에 의거 시행하되, 전문가와 NGO 및 지역 주민 등 유역 구성원 이해당사자 간의 사회적 합의 하에 시행되어야 한다. 둔치의 구간은 생태보전지구, 완충녹지지구 및 이용지구로 구분하여 접근하되, 둔치의 자연성 회복이 실현될 수있도록 궁극적으로는 이용지구를 배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친수시설은 꼭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금지하며, 둔치는 시설 설치보다는 공간제공 위주로 계획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자전거길과 산책로는 둔치의 폭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화시키며, 둔치 폭이 20m 이하이면 자전거길과 산책로의 이중 설치를 금지하고 10m 이하일 경우 설치를 금한다. 둔치의 자연성 회복 이후 저비용 고효율, 친환경 유지관리 방안 수립 및주민참여형 관리가 실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민관 거번너스 활성화 및 하천 협의체가구성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동북아 경제협력과 초국적 거버넌스

        심의섭 ( Ui Sup Shim ) 한중사회과학학회 2009 한중사회과학연구 Vol.7 No.3

        Northeast Asia is the area getting the limelight from the historical trend of new world economic order of globalization and regionalization since the ambitious plans of Northeast Revitalization Plan in China and a series of development programs for the Russian Far East are executed in this region. If these plans are finished successfully, Northeast Asia will meet a new era of regional economic cooperation. Due to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Northeast Asia area the existing conflicts and potential discords between and among the adjacent countries would be latent; it needs the cooperation and adjustment among the countries to continue peace and development. The adjacent countries need the cooperation for tourism, IT, labor movement, environment, bordering problems, the coordination and adjustment for the projects between the various central/regional governments, NGOs and international institutes and organizations. Until now the economic cooperation organizations which are successful from regional level are EU for the advanced bloc and GCC for the developing bloc. The reasons of this success are the homogeneity of social and cultural value, the similarity of economic development stage, and sharing of common historical backgrounds. Northeast Asian countries composed of North Korea, Chinese northeastern area, Russian far eastern area are sharing the regional identity of socialistic experiences and economic latent possibilities and cultural value. More important factor for this region is the historical background since this area was land of Balhae Dynasty. Therefore, the name for the possible Northeast Asia economic circle can be suggested to take the word of `Balhae`. To establish of Balhae free economic zone the GCC could be referred as successful instances and it might be possible to suggest the name like BCC (Balhae Cooperation Council). In this sense BCC would be the possible transnational governance (TG) for the North East Asian economic community. At first stage for the TC three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will found the cooperation and it should extend to the other three countries for the membership of TC. For this object Korea will take voluntarily the role of medi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Free Trade Zone in Northeast Asia. It would be better for Korea to take the role of initiation and/or mediation instead of leader`s role for the 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