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표절 예방을 위한 출판윤리 주체의 역할 모색

        이인재 한국윤리교육학회 2022 윤리교육연구 Vol.- No.65

        Although interest in research ethics has increased and research ethics education to prevent plagiarism has continued, the controversy over plagiarism has persisted. Judging from the fact that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survey on research ethics activities of domestic universities in the last three years shows that the highest frequency of plagiarism is determined, it can also be seen that when the academic societies is struggling to verify plagiarism in the recently soaring journal papers, it is necessary to have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plagiarism. Therefore, in order to help the members of the Korea Ethics Education Association (KEEA) to write correct academic writing, firstly, through the Q&A method related to plagiarism, I emphasized that we can accurately identify areas where we do not know or misunderstand plagiarism, and secondly, I suggested that supplemented standards for judging plagiarism that we currently follow, are inadequate in the current regulation of KEEA‘s research ethics in relation to the role of KEEA in preventing plagiarism. 연구윤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표절 예방을 위한 연구윤리 교육이 지속되어 오고 있지만 표절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최근 3년 간 국내 대학의 연구윤리 활동 실태 조사 결과 표절로 판정된 빈도가 가장 높은 것을 볼 때 또한 학회가 최근 급증하고 있는 학술지 논문에 대한 표절 여부를 검증할 때 구체적인 판단 기준이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볼 때 표절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요구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윤리교육학회 회원들이 올바른 학술적 글쓰기를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첫째, 표절 관련 Q&A 방식을 통해 표절에 대해 잘 모르거나 오해하고 있는 부분을 정확히 파악하도록 하였으며, 둘째, 표절 예방을 위한 한국윤리교육학회의 역할과 관련하여 현재의 연구윤리 규정에서 미흡하다고 생각되는 표절 판단 기준을 보완하여 제시하였다.

      • KCI등재

        표절과 작가의 정체성, 그리고 문학공화국

        김종갑(Jonggab Kim) 한국비평이론학회 2016 비평과이론 Vol.21 No.2

        필자는 최근에 발생한 신경숙의 표절에 관한 논쟁에 개입하려는 의도로 이 글을 쓰게 되었다. 필자의 주장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표절을 단순히 문학적 절도 행위로 단죄하기 이전에 그것이 작가가 자신의 주체를 형성하기 위해 문학 전통과 갖는 관계, 즉 표절의 의미를 검토해야 한다는 것이다. 표절을 단순히 도덕성의 결여나 상상력의 결핍, 무능력 등으로 폄하하는 것은 지나친 단순화이다. 이것은 특히 콜리지나 라슨처럼 문학적 성취가 이미 증명된 작가의 경우에 더욱 그러하다. 이들은 작가로서 자신의 한계나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서 표절에 의지했던 것은 아니다. 이들에게 표절은 자신이 대타자로서의 문학과 관계를 맺도록 만들어 주고 그렇지 않아도 불안한 주체성을 안정화하는 매개로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콜리지가 문학적 자서전(Biographia Literaria)에서 언급했던 정신적 위기로서 “기운이 없는 힘”과 흑인이지만 백인처럼 살아야 했던 경험을 서술한 라슨의 패싱(Passing)에는 그와 같이 작가가 문학적으로 자신의 주체를 형성하는 과정이 잘 나타나있다. 한편에 소타자로서 개별적 문학 작품이 있다면, 다른 한편에는 대타자로서 문학이 있다. 콜리지와 라슨에게 표절은 작가가 대타자인 문학과 관계를 맺는 방식의 하나였다. 개별 작품의 관점에 서서 표절 여부를 판단하는, 즉 저작권이나 독창성, 근대적 작가론의 관점에 입각해서만 표절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태도가 잘못되었다는 것은 아니다. 다만 표절에 대한 논의가 작가와 개별 작품의 관계가 아니라 작가와 대타자인 문학의 관계라는 관점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What is plagiarism? The literary world of Korea in the last half of 2015 was abuzz with discussion about Sin Gyeong-suk's plagiarism. For she was one of the most exceptional writers who won both popular and critical acclaim, such an exposure of her plagiary was a big shock. But amid harsh accusations of her literary stealth, the question concerning the nature of her plagiarism was not seriously asked. It was T.S. Eliot who declared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plagiarism and creation is impossible: "Immature poets imitate; mature poets steal. Bad poets deface what they take." The difficulty of drawing such a differentiation more increases if we consider the post-modern theories of textuality, authorship, hybridity, and so on. From such a post-modern perspective repudiating the notion of origin, I will suggest that plagiarism in the cases of Samuel Coleridge and Nella Larsen was the last resort for them to form their subjectivity in conjunction with literary tradition. Larsen, who had never been recognized by her white biological mother as daughter, found a substitute mother in the figure of Keye-Smith and sought to gain recognition by writing over her work. She entered into a kind of renewed mother daughter relationship through plagiarism Coleridge’s case presents the (un)conscious mechanism of plagiarism. For him, literature, not writer, is the real author of literature, for it unfolds itself through the medium of the writer. If the writer copies the text of literature’s self-revelation, the divorce of creation from plagiarism is not sustainable. It means that Larsen and Coleridge may not be accused of moral failure or of intellectual incompetence. We have to take precaution in order to prevent a prematurely stigmatizing a writer on the ground of plagiarism. Sometimes, though not always, the so-called plagiarism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a writer’s unconscious way of self-formation as an author, which can be realized only by earning a membership in the republic of literature.

      • KCI등재

        현대시 표절 양상에 대한 분석적 고찰

        정끝별 ( Keut Byul Jeo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8

        본고에서는 표절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를 출발점으로 삼아 먼저 현대시에 유효한 표절의 기준, 방법, 층위 등에 대한 검토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표절 양상을 다섯 가지로 범주화시켜 구체적인 작품 분석을 통해 표절의 다양한 국면들을 조명해보았다. 창조적 모방으로서의 표절, 표절 유희, 표절 의혹과 예상 표절, 표절에 근접한 유사성, 표절 판정 등이 그것이다. 단계적으로 창작에서 표절로, 방법적 표절에서 표절로 진행된 과정을 보여주고자 했으며, 이러한 단계적 범주들을 통해 창작과 표절의 경계를 살펴보았다. 표절에 대한 위험성을 알림으로써 부주의나 무지함으로 인한 표절을 예방하고 나아가 다양한 모방 인용의 전략들이 일상화된 우리시대에 요구될 대중적 소양으로서의 표절 이해는 물론 표절에 대한 올바른 평가 관점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has considered at first effective criteria, methods, and strata of plagiarism in Korean modern poetry by taking the general definition of plagiarism as a starting point. On this theoretical consideration, various patterns of plagiarism in Korean modern poetry have been illuminated through concrete analyses on the plagiarized poems by classifying them into five categories: the plagiarism as a creative imitation, the play-plagiarism, the suspected plagiarism and the anticipated plagiarism(le plagiat par anticipation), the similarity near to plagiarism, and the judgment on plagiarism. Thus this paper has attempted to show the processes of advancing gradually from the creation to the plagiarism and from the methodic plagiarism to the plagiarism, and to reveal the boundary between the creation and plagiarism by applying these gradual categories to them. Consequently this paper has presented not only that to inform the public of dangers of these plagiarisms is to prevent plagiarisms which are owing to their inattentions or ignorances, but also that to understand these plagiarisms and to have a correct viewpoint of evaluating plagiarisms are the public cultivations at the requests of our age when various strategies of imitative quotations have become routines.

      • KCI등재

        Q&A를 통한 표절과 저작권 침해의 이해

        이인재 ( Lee¸ In Jae ) 한국감정평가학회 2021 감정평가학논집 Vol.20 No.2

        국내ㆍ외 대학에서 적용하고 있는 연구부정행위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보면, 표절은 위조, 변조와 함께 대표적인 연구부정행위 중의 하나로 간주되고 있다. 연구윤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연구부정행위 예방을 위한 연구윤리 교육이 지속되어 오고 있지만 표절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최근 3년간 국내 대학의 연구윤리 활동 실태 조사 결과를 보면, 표절로 판정된 빈도가 가장 높은 것을 볼 때 그만큼 우리 학계가 표절 예방을 위해 노력해야 함을 시사한다. 표절은 제3자에게 남의 것을 내 것인 것처럼 할 때 성립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는 출처표기가 꼭 필요한 경우에 출처표기를 하지 않은 경우이다. 그런데 연구자들은 출처표기를 반드시 해야 하는 경우를 잘 모르거나 의도적으로 누락하여 표절 의혹을 받곤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표절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표절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에 초점을 두고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점에 초점을 두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 표절의 의미와 특징, 유형과 저작권 침해와의 차이점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둘째, 연구자들에게서 자주 제기되는 표절 관련 물음에 대한 답변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표절에 대한 무지, 오해를 해소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n research misconduct applied by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plagiarism is considered one of the representative research misconducts along with fabrication and falsification. Although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research ethics and research ethics education to prevent research misconduct has continued, controversy over plagiarism has persisted. The results of a survey of research ethics activities at domestic universities over the past three years suggest that the Korean academic community should strive to prevent plagiarism considering the high frequency of plagiarism. Plagiarism is constituted when one’s research contents are posed as belonging to someone else by a third party, and is typically a case in which the source is not indicated when it is absolutely necessary. However, researchers are suspected of plagiarism because they do not know or intentionally omit cases where the source must be attributed. Therefore, this paper focused on two points to prevent plagiarism based on a correct understanding of plagiarism. First, this paper looked at the meaning, characteristics, types of plagiarism and the differences between plagiarism and copyright infringement. Second, it was designed to resolve ignorance and misunderstanding of plagiarism by providing answers to plagiarism-related questions frequently raised by researchers.

      • KCI등재

        대학생의 연구윤리교육에서의 표절 실태 및 대안 연구

        윤소정 ( So Jung Yune ),최용성 ( Yong Seong Choi ),최병학 ( Byung Hak Choi ),양삼석 ( Sam Seok Rya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1 윤리교육연구 Vol.0 No.2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표절 문제를 입체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설정한 5요소 즉, 표절 기준·검색·제지·홍보·예방·교육에 따라 P 대학의 표절 현실태를 진단해 보고 이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표절문제를 입체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5요소는 보다 구체적으로, 1요소는 대학 차원에서 표절 기준 및 규정 확립, 2요소표절 규정 가이드 및 홍보, 3요소 표절검색 프로그램 완비, 4요소 표절제재조치의 제도화, 5요소 학문적 글쓰기의 내실화라는 5가지 요소로 구성되었다. 표절의 현실태 진단을 위하여 설문을 개발하였으며, 내용타당도 검정과 예비 검사를 통해 수정후 사용하였다. 최종 설문은 P대학 대학생 398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조사 결과 분석에는 다변량분석과 교차분석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표절 기준과 표절 실태에 대한 인식과 대학내 학술적 글쓰기 및 인용법 교육에 대한 실태 인식에 있어 계열별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학교 전체적 차원에서 보다 관심을 기울여야 할 요소로 모든 계열에서 표절 예방을 위한 홍보 및 클린 캠퍼스 운영이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표절방지 및 학술적 글쓰기의 개선을 위해서는 개별적 차원보다 학교 전체 차원에서의 입체적인 표절예방교육이 보다 강조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For solving the plagiarism problem collectively,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tuality of P University through 5 kinds of elements and students are surveyed by the department. And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and seek an alternative direction for plagiarism prevention education. One element of 5 elements is regulations established by the University in terms of plagiarism, Second element is plagiarism rules guide and promoting. Third element is equipping with search program. Forth element i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lagiarism sanctions. Fifth element is academic writing. These elements should be connected and managed collectively. And with this assumption, we examined concrete each of these elements about actuality and attempted to seek alternatives. The results of each elements in this study are still insufficient and inadequate levels for effective education of prevention plagiarism. In addition, the difference of department was presented in each curriculum. And the differences in each curriculum had a blind spot of plagiarism prevention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in search program, plagiarism sanctions and academic writing, school official`s effort was more important. After all, we presented plagiarism prevention education of the whole school level than individual level.

      • KCI등재

        표절에 관한 최초의 본격적인 대법원판결의 명암

        남형두(Hyung Doo Nam) 한국법학원 2017 저스티스 Vol.- No.162

        최근 표절에 관해 본격적으로 다룬 대법원판결이 선고됐다. 이 판결은 표절에 관한 거의 모든 쟁점을 망라하고 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정도로 재판 중에 제기된 표절의 실체적/절차적 쟁점을 하나씩 제대로 판단함으로써, 향후 표절 재판에 큰 영향을 미칠 이른바 “랜드 마크” 판결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 판결의 판단은 하나같이 표절에 관한 매우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다. 이는 실로 현재 우리나라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각종 표절 사건 또는 논란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만큼 매우 명확하고 실질적인 판단이라고 할 수 있다. 예컨대 번역과 관련한 출처표시 문제, 공저물의 표절 문제, 출처표시의 정도, 표절 당한 사람의 용서가 표절 책임을 면제시켜 줄 수 있는지 여부, 자기표절이 비난받을 만한 표절인지 및 그 비난가능성의 핵심 여하, 발표 시와 판정 시 표절 판단 기준이 달라진 경우 어떤 기준으로 표절 여부를 판정해야 하는지, 성문의 표절 판단 기준이 제정되기 전 행위에 대해 표절 판단 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부적절한 소급적용인지, 표절 판정에서 법원의 역할은 무엇인지 등, 표절에 관한 체계서에서 다루고 있는 거의 모든 쟁점에 관한 판단이 들어 있다. 비록 논거까지 상세히 적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 판결은 앞으로 있을 표절 재판은 물론, 더 나아가 표절 문제를 연구하는 학자들에게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 판결은 위와 같은 의의에도 불구하고 가장 정직하고 윤리적이어야 할 판결이 특정 문헌에 지나치게 의존하되 그 출처를 밝히지 않음으로써, 스스로 표절이라는 덫에 빠지고 만 점이 있다. 표절을 판단하면서 표절에 갇힌 꼴이 된 셈인데, 이는 두고두고 아쉬운 대목으로 남을 것 같다. 그러나 이를 기화로 사법부나 관련 학계에서 판결의 인용과 출처표시 문제를 진지하게 다루게 된다면 이 판결이 지닌 그늘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a Supreme Court"s ruling on plagiarism has been sentenced.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is ruling covers almost every issue of plagiarism. By judging the substantive/procedural issues of plagiarism during the trial, I think it will be a so-called “landmark” judgment that will have a major impact on future plagiarism trials. This is a very clear and substantive judgment that can be directly applied to various controversial plagiarism events in Korea at present. For example, the problem of indication of sources related to translation, the problem of plagiarism related to co-authorship, the degree of indication of sources, whether the forgiveness of the plagiarized person can exempt the plagiarism responsibility, whether self plagiarism can be condemnable, and what is the focus of the condemnation and so on, this ruling contains judgments on almost every issues covered in a textbook about plagiarism. Although this argument has not been fully elaborated, this ruling is likely to be invaluable to scholars who are studying plagiarism as well as future plagiarism cases. This judgment, however, despite the above-mentioned significance, falls into the trap of plagiarism by itself, because the judgment which should be the most honest and ethical is overly dependent on the specific book but does not disclose its source. This ruling has been trapped in plagiarism while judging plagiarism, which seems to be a disappointing reminder. However, if this is taken seriously by the judiciary or related academics about the citation and indication of sources in the rulings, it will be able to overcome the shadow of this ruling.

      • KCI등재

        문학에서 표절에 관한 몇 가지 이론적 쟁점: 신경숙, 박민규의 경우

        윤지관(Jikwan Yoon) 한국비평이론학회 2016 비평과이론 Vol.21 No.2

        이 논문의 목적은 최근 신경숙과 박민규에 대해 제기된 표절혐의에 관련된 몇 가지 이론적 쟁점들을 검토해보는 데 있다. 두 경우 모두 작품에서 출처를 밝히지 않은 차용은 표절이며 표절혐의자는 절도죄를 범한 것과 마찬가지라는 단순논리, 즉 ‘표절근본주의’라고 지칭될 수 있는 이데올로기에 지배되고 있다는 것이 필자의 입장이다. 신경숙은 단편 「전설」에 미시마 유키오의 「우국」의 몇몇 문장이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는 근거에서 표절작가로 비난받았다. 그러나 표현상의 유사성을 빌미로 문학작품을 표절의 결과물로 단정 짓는 것은 매우 좁은 시각으로, 여기에는 차용된 단어나 문장들이 그 나름의 독자적인 예술적 성취를 이룩한 전혀 다른 새로운 작품세계의 형성에 기여하는가의 문제가 도외시되어 있다. 박민규의 경우 표절 문제는 정보가 인터넷을 통해 제한 없이 유통되는 ‘포스트모던의 조건’과 관련지어 논의되어야 한다. 박민규는 단편 「낮잠」과 장편소설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이 인터넷에 올라 있는 발상과 표현을 베끼거나 차용했다는 이유로 표절 혐의를 받았다. 그러나 이는 기원을 알기 어려운 다차원의 정보들이 흘러다니는 인터넷 환경에서 작업하는 작가들의 입지를 고려하지 않은 결과다. 문학에서의 표절 문제는 근대사회에서 독창성과 창조성의 관계라는 더 근본적인 문제로 이어진다. ‘독창적’ 표현에 대한 배타적 소유권 주장은 자본주의의 도래와 더불어 저작권과 지적 재산권 개념이 도입되면서 대두되었다. 표절은 그 윤리적 성격과 시간에 구애되지 않는 특성 때문에 지적 재산권과는 구별되지만 둘은 서로 혼용되기도 한다. 여기서 과거의 언어 표현을 자유롭게 사용하고자 하는 작가의 욕망은 그런 용법을 범죄적이고 부도덕하다고 비난하는 근본주의적 표절관과 충돌하게 된다. 최근 두 작가에게 제기된 표절혐의는 이 같은 표절 이데올로기가 문학 창작의 영역에 강하게 개입해 있는 증좌로 보아야 할 것이다. This essay proposes to elucidate some theoretical issues related to the recent accusations of plagiarism against the two writers, Kyungsook Shin and Minkyu Park. In both cases, the accusations were caught in a simplistic supposition, which I designate as ‘plagiarism fundamentalism’, in which any borrowings from others’ works without permission or declaration must be a plagiarism and the plagiarists should be condemned as having committed a crime of theft. Shin has been condemned as a plagiarist on the ground that her short story “A Legend” contains several sentences which have some verbatim similarity with Mishima Yukio’s in his “Patriotism”. But it reveals very narrow viewpoint to judge literary works as results of plagiarism just for the reason of such similarities found in some expressions. We should consider whether the borrowed words or sentences contribute to form a totally new and different world of works with an artistic achievement of their own. In the case of Park, the issue of plagiarism should be discussed in terms of a ‘postmodern condition’, where information is widely flowing and being distributed through the worldwide web without check. Park was accused of plagiarism for the reason that in his short story “A Nap” and The Last Fan club of Sammi Superstars he copied or borrowed some ideas and expressions he found during his Internet searching. Itself having a relatively lesser authenticity, a variety of multi-levelled information flowing through the Internet circumstances should be more available to a free use for the writers. The question of plagiarism in literature leads to a more fundamental question of relationship between originality and creativeness in the modern society. The privileged ownership on the ‘original’ expressions derived from the advent of capitalism along with an emerging concept of copyright and intellectual property. Though the issue of plagiarism is distinguished from that of intellectual property in its ethical characters and timelessness, the two has been usually intermixed and confused with each other. This causes a continual conflict between the writers’ desire to take a free use of the past expressions of words and the fundamentalist standpoint of plagiarism which condemns such usage as criminal and immoral. The recent cases of plagiarism accusation should be recorded as showing how forcefully an ideology of plagiarism can intervene into the area of literary creation.

      • KCI등재

        표절 논란된 소설과 드라마의 비교 연구 - 소설 「야누스의 도시」와 「아내의 유혹」을 중심으로-

        정혜경 한국윤리교육학회 2013 윤리교육연구 Vol.0 No.30

        국내에서의 표절 문제는 판례와 기준이 비교적 충실하게 마련되어진 외국과 달리 논란으로 그치는 경우가 다반사였다. 특히 소설의 영상화 과정에서 일어난 표절 논란의 경우 매체 전이로 인해 발 생되는 특수한 사안들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수많은 사례가 발생했지만 표절 판결은 거의 없고 저작권에 대한 권리 또한 지켜지지 않고 있다. 이는 관련자들이 표절 방지를 위한 실제적 노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표절 논란 된 사안들이 제대로 해결되지 못하고 방치되는 현실은 결국 창작자의 창작 의지를 꺾고 창작물의 질적 저하를 가져온다. 이에 본고에서는 일차적 으로 어떠한 문제가 논란의 계기가 되고 있는가를 확인하고 이차적으로 이러한 상황 하에서 발생 한 원작 훼손 문제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표절은 개인의 기본적인 권리의 침해는 물론 작품의 질 적 저하로 인한 문화산업의 위축과 함께 무엇보다 수용자들에게 가장 큰 피해를 줄 수밖에 없다는 중차대한 현실적 문제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한국에서 이루어지는 표절논란 된 소설과 드라마의 소송은 문학적 표현의 특성에 관한 한 문외한인 검사와 판사가 모든 판단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표절 논란 사안에 대한 문학연구자들의 좀 더 면밀한 비교 분석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표절 논란 된 작품을 일차적으로 등장인물과 주제와 대사를 중심으로 비 교함으로써 논란의 근거가 된 부분들을 면밀히 살펴본 뒤, 매체 전이의 과정에서 작품이 가지는 문학적 의미의 훼손이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조명해보았다. 이를 위해서 표절 논란 된 소설 「야누스의 도시」와 SBS 드라마 「아내의 유혹」을 주 대상 작품으로 삼았다. 두 작품에서 실제적 유사성의 사례와 동일한 사건과 인물이 영상화 과정에서 어떻게 훼손되어 가는지를 살펴보 고 그 심각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수많은 표절 소송들이 ‘논란’으로만 소멸되는 현 실의 심각성 제고에 기여하고자 한다. Many of korean plagiarism issues only have been ended as disputes whereas those of foreign countries have been taken seriously and settled fairly based on well-established standards and various cases. In cases of visualizing novels, in particular, absolutely nothing has been studied to cover any special factors occurred while reformatting the contents into other into other media. Even though a number of dishonest cases have been revealed, almost none of these cases have been judged as plagiarism. And still copyrights berate use of the original works under this circumstance. The reason why plagiarism should be treated seriously is that it not only encroaches one's right but also right deteriorates cultural industry by damaging the quality of works. And above all thing, the concern that plagiarism itself absolutely does great harm to media consumers is already a good reason to give this the issue the status of significance. In korea, all the lawsuits against plagiarism in novels and dramas have been judged by prosecutors and judges who are laymen in literary expressions. Therefore, it is strongly required that literary researchers conduct comparative analysis on these issues more meticulously. Hence, dotting the i's and crossing the t's on controversial parts by comparing characters, themes and dialogues between the original and the accused plagiarism, this article focuses on how literary meanings have been spoiled during the process of reformatting. With the novel <City of Janus> and SBS drama <Temptation of Wife> accused of plagiarism, similarities between the twos and how the identical characters and events were damaged while visualizing revealed the seriousness of plagiarism. This researach is to raise awareness about plagiarism many of which only have been ended as 'disputes' without any settlement.

      • 연구윤리에서의 표절 문제와 표절 예방교육에 관한 연구

        최용성,최병학,윤소정,양삼석 한국시민윤리학회 2009 한국시민윤리학회보 Vol.22 No.2

        표절은 다른 사람의 작업을 자신의 것으로 훔치는 것이다. 자기표절은 한 저자가 후속 연구에서 이전의 저작물의 부분들을 재활용할 때 일어난다. 표절과 자기표절은 과학적 발전에 해가 되며 우리의 학문적 공동체에 좋지 못한 것이다. 하지만 우리의 학계나 대학에서는 연구부정 행위 중에서 표절로 간주될 수 있는 것에 대해 명확한 기준이 없다. 심지어 명확한 경계에 있어서는 전문가와 대학들도 표절로 간주할 수 있는 것에 대해 불일치하고 있다. 비록 표절의 기준 그 자체가 적용됨에 있어서 어떤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있지만, 우리는 학문 공동체에서 광범위하게 합의할 수 있는 있는 표절의 기준을 제시해야 한다. 그리고 우리는 자기표절이 연구부정의 다른 어떤 형식보다 보다 만연되어 있음을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자기표절을 피하기 위한 공식적인 규정이 표절에 대한 정책이나 기준에 대해 추가되어져야만 한다. 한편 표절 혹은 자기표절은 빨리 우리의 교육적 문화의 한부분이 되어가고 있다. 많은 학생들이 인터넷으로 '자르고 붙이고' 있으면서도 그것이 표절임을 모르고 있다. 알고 있는 이들도 종종 그러한 범죄의 심각성과 초래할 결과들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표절 예방을 위한 교육을 필요로 하며 또한 온라인을 통한 교육이나 윤리적 글쓰기 등을 필요로 한다. 결국 이 연구는 자기표절을 포함하는 표절에 대한 국내외의 규정 등을 비교 분석하고 교육현장에서의 문제점 진단 등을 통해 표절 예방 향상을 위한 논의에 기본 자료를 제공하고 표절예방교육을 보다 내실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교과내용학 : 표절 논란 된 소설과 드라마의 비교 연구 -소설 「야누스의 도시」와 「아내의 유혹」을 중심으로-

        정혜경 ( Hye Kyeong Chu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3 윤리교육연구 Vol.0 No.30

        국내에서의 표절 문제는 판례와 기준이 비교적 충실하게 마련되어진 외국과 달리 논란으로 그치는 경우가 다반사였다. 특히 소설의 영상화 과정에서 일어난 표절 논란의 경우 매체 전이로 인해 발생되는 특수한 사안들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수많은 사례가 발생했지만 표절 판결은 거의 없고 저작권에 대한 권리 또한 지켜지지 않고 있다. 이는 관련자들이 표절 방지를 위한 실제적 노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표절 논란 된 사안들이 제대로 해결되지 못하고 방치되는 현실은 결국 창작자의 창작 의지를 꺾고 창작물의 질적 저하를 가져온다. 이에 본고에서는 일차적으로 어떠한 문제가 논란의 계기가 되고 있는가를 확인하고 이차적으로 이러한 상황 하에서 발생한 원작 훼손 문제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표절은 개인의 기본적인 권리의 침해는 물론 작품의 질적 저하로 인한 문화산업의 위축과 함께 무엇보다 수용자들에게 가장 큰 피해를 줄 수밖에 없다는 중차대한 현실적 문제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한국에서 이루어지는 표절논란 된 소설과 드라마의 소송은 문학적 표현의 특성에 관한 한 문외한인 검사와 판사가 모든 판단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표절 논란 사안에 대한 문학연구자들의 좀 더 면밀한 비교 분석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표절 논란 된 작품을 일차적으로 등장인물과 주제와 대사를 중심으로 비교함으로써 논란의 근거가 된 부분들을 면밀히 살펴본 뒤, 매체 전이의 과정에서 작품이 가지는 문학적 의미의 훼손이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조명해보았다. 이를 위해서 표절 논란 된 소설 「야누스의 도시」와 SBS 드라마 「아내의 유혹」을 주 대상 작품으로 삼았다. 두 작품에서 실제적 유사성의 사례와 동일한 사건과 인물이 영상화 과정에서 어떻게 훼손되어 가는지를 살펴보고 그 심각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수많은 표절 소송들이 ‘논란’으로만 소멸되는 현실의 심각성 제고에 기여하고자 한다. Many of korean plagiarism issues only have been ended as disputes whereas those of foreign countries have been taken seriously and settled fairly based on well-established standards and various cases. In cases of visualizing novels, in particular, absolutely nothing has been studied to cover any special factors occurred while reformatting the contents into other into other media. Even though a number of dishonest cases have been revealed, almost none of these cases have been judged as plagiarism. And still copyrights berate use of the original works under this circumstance. The reason why plagiarism should be treated seriously is that it not only encroaches one`s right but also right deteriorates cultural industry by damaging the quality of works. And above all thing, the concern that plagiarism itself absolutely does great harm to media consumers is already a good reason to give this the issue the status of significance. In korea, all the lawsuits against plagiarism in novels and dramas have been judged by prosecutors and judges who are laymen in literary expressions. Therefore, it is strongly required that literary researchers conduct comparative analysis on these issues more meticulously. Hence, dotting the i`s and crossing the t`s on controversial parts by comparing characters, themes and dialogues between the original and the accused plagiarism, this article focuses on how literary meanings have been spoiled during the process of reformatting. With the novel and SBS drama accused of plagiarism, similarities between the twos and how the identical characters and events were damaged while visualizing revealed the seriousness of plagiarism. This researach is to raise awareness about plagiarism many of which only have been ended as ``disputes`` without any settl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