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업무용단의 조직풍토와 권한부여 및 조직효과성의 관계

        김용철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9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5 No.2

        본 연구는 직업무용단 단원들이 지각하는 조직풍토와 권한부여가 조직효과성에 미 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파악하여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방법과 조직효과성을 향상 시키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의 국립․시립․도립 무용단에 근무하는 단 원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유의표집 방법을 통해 직업무용단원 237명을 표집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각 설문문항은 일반적 특성 7문항, 조직풍토 18 문항, 임파워먼트 14문항, 조직효과성 14문항 등 총 52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사한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분석 가능한 자료를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 검정,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통계 방법을 이용하여 각 연구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주연급이 조연급에 비해 권한부여가 많다고 인식하였으며, 조직만족과 조직 몰입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풍토 및 권한부여, 조직효과성의 각 변인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 셋째, 직업무용단원들은 조직풍토 중 리더 특성과 직무특성이 긍정적일수록 권한부여가 높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조직풍토의 하위변인 중 동료관계특성과 리더특성, 직무특성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조직풍토는 직무몰입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섯째, 조직풍토와 권한부여를 일괄투입한 후 조직효과성을 살펴본 결과 조직풍토 중 동료관계특성과 권한부여 중 의미성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조직풍토는 직무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권한부여 중 영향력이 유의 한 영향을 미친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할 때 무용단의 조직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용 단원들에게 권한부여를 느끼게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즉 무용단원들에게 무용단에 소속된 목적과 목표 그리고 개인의 자아실현에 대한 의미를 강하게 부여해 주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무용단의 단원들간의 대화와 업무협조를 통한 인간적인 관계가 강화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 직업무용단의 단장은 수직적 조직구조보다는 수평적 조직 구조의 유연성을 가질 때, 무용단의 조직 효과성은 높아지리라 사료된다. The specific issu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climate recognized by the members of cityㆍlprovince dance troupes and the empowerment as well as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detail,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limat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empowerment and to propose the measur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dance troupes and how to strategically utilize the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ach variable of organizational climate and empowerment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limate,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peer relationship, organization, leaders and tasks as well as the sub-factors of empowerment, which are significance, capability, influence and self-decisiveness were entered. The influence of the sub-factors of dependent variable, organizational effective, which are the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were identified. As the table below demonstrates, only the characteristics of peer relationship among th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limate significantly affected the job satisfaction and significance and capability affected job satisfaction as well among the sub-factors of empowerment. This indicates that the job satisfaction gets higher as the members' recognition on characteristics of peer relationship, significance and capability gets stronger. Also, only the characteristics of leaders among th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limate significantly affected the job involvement and significance affected job satisfaction as well among the sub-factors of empowerment. This indicates that the job involvement gets higher as the members' recognition on leader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gets stronger.

      • KCI등재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홍진식 ( Hong Jin Sik ),김영우 ( Young Woo Kim ) 한국행정연구원 2018 韓國行政硏究 Vol.27 No.4

        본 논문에서는 행정안전부 공무원 471명을 설문조사하여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 하였다. 연구모형은 조직문화요인(집단문화, 발전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 리더십요인(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 개인직무태도요인(직무만족, 조직몰입, 의사소통)을 독립변수로 하고 종속 변수인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행안부의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문화는 지배적이며 주도적인 집단문화와 위계문화로 밝혀졌다. 이러한 문화를 중심문화로 활용하되, 발전문화와 합리문화를 보충하는 문화로 적용하면 조직효과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둘째, 행안부의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실·국·과장의 리더십은 변혁적 리더십으로 밝혀졌다. 변혁적 리더십은 모형별 조직효과성에 모두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구성원의 희생, 사기, 열정, 헌신도 등을 강조하는 인간관계의 조직효과성에서 가장 크게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간관계의 조직효과성에서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하는 것이 조직효과성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변혁적 리더십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행안부의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원의 직무만족은 모형별 조직효과성 모두 영향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개인별 직무만족프로세스를 개발하고, 개인적인 성장과 발전을 지원하고, 업무 과부하 해소, 직무피로도 개선, 기타 애로사항 등을 통하여 직무만족을 향상할 수 있는 적극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본다. 조직몰입은 -소속의 일원감을 주는 정서적 몰입, 부서의 발전과 노력에 힘쓰는 지속적 몰입, 조직에 계속하여 남아 있으려는 규범적 몰입- 구성원의 조직 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적인 배려와 조직차원의 관심 등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본다. 의사소통은 신속성, 정확성, 원활성을 활성화시키고, 조직 내의 개방형 의사소통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개방형 의사소통문화를 확산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petency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he Ministry Of Interior and Security. To find out the effects, this study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471 MOIS employees. The analysis model of this study is composed of the 9 independent variables and 4 subordinate variables. The organizational competency of MOIS is defined of the 9 independent variables which are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rational cultur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ransactional leadership,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study, first, the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ing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he Ministry of Interior and Security was found to be the dominant and leading collective and hierarchical culture. If these cultures are used as a central culture of the Ministry of Interior and Security, but are applied as a culture that complements the culture of development and rationality,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an be maximized. Second, it was concluded that the leadership of the director and the director of the Ministry of Interior and Security affect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been identified as having an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model. Thus, an organization of the Ministry of Interior and Security needs to apply and sprea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particula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human relationships that emphasize the sacrifices, morale, passion and dedication of organization members. Third, the job satisfaction of the members affecting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he Ministry of Interior and Security should be developed by developing individual task satisfaction processes, supporting personal growth and development, improving task fatigue, and other difficulties.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needed to continuously enh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emotional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continuous commitment to the development and efforts of the depar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to remain the organization) is considered to require policy consideration and organizational attention. Communication needs to be developed into an open communication culture to facilitate rapid, accurate and smooth communication and to develop into open communication within an organization.

      • 조직 효과성 제고를 위한 정부의 조직 이미지에 관한 연구

        오시영,조태준,지규원,진종순 한국행정연구원 2009 기본연구과제 Vol.2009 No.-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연구의 배경 ○ 정부에 대한 신뢰는 199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정부에 대한 일반시민의 부정적인 이미지(image)가 정부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진 결과로 해석됨 ○ 이와 같은 현상은 정부에 대한 신뢰 제고를 통해 일반시민과 정부(기관)의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정부조직의 민주성, 효과성, 효율성 등을 향상하고자 하는 노력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음 ○ 국민의 의식 깊숙이 자리 잡고 있는 정부 관료제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와 이에 따른 불신은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으며 향후에도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임 ○ 정부 관료제에 대한 국민의 부정적 이미지는 공무원의 소속 기관에 대한 조직 이미지와 정부 조직의 효과성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정부 신뢰의 제고를 위해 필수적으로 개선시켜야 할 조직 이미지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상황이라 할 수 있음 ○ 특히 전통적인 조직구조와 고용관계의 해체로 인해 조직구성원들이 `정체성의 위기`를 겪고 있는 현실에서 조직구성원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새로운 심리적 기제로서 조직이미지의 중요성은 크다고 할 수 있음 □ 연구의 목적 ○ 정부 관료제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와 불신이 해소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관료제의 구성원인 공무원 자신이 소속된 정부조직에 대해 어떠한 이미지를 갖고 있으며(지각된 조직이미지), 일반 국민들이 정부에 대해 어떠한 이미지를 갖고 있다고 해석하고 있는가(해석된 외부이미지)하는 것이 정부 조직의 효과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이를 위해 정부조직에서 근무하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조직 이미지에 대한 양적(quantitative) 접근방법을 활용한 경험적 연구를 실시함 Ⅱ. 주요 연구문제와 분석 결과 □ 주요 연구문제 ○ 연구문제 기본방향 - 본 연구는 Duton & Dukerich (1991)가 개발한 조직 이미지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정부관료제 및 소속부처에 대한 지각된 조직정체성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으로 측정되는 조직효과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인과관계 분석을 확인하기 위하여 외부 이미지에 대한 평균값을 기준으로 집단 간 비교를 수행하였음 ○ 연구문제 (1): 정부관료제에 대한 조직이미지와 조직효과성 연구 - 정부관료제 전반에 대해 공무원들이 지각하고 있는 지각된 조직정체성이 조직효과성(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인과관계 분석을 통해 측정하고자 함 - 가설 1: 정부관료제에 대한 긍정적으로 지각된 조직정체성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을 향상시킨다 ○ 연구문제 (2): 소속부처에 대한 조직이미지와 조직효과성 연구 - 자신이 소속된 부처에 대한 공무원들이 느끼는 지각된 조직정체성이 조직효과성(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심리적인 기제로 작용하는지를 확인하자고 함 - 가설 2: 소속부처에 대한 긍정적인 지각된 조직정체성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향상시킨다 ○ 연구문제 (3): 해석된 외부이미지를 통한 집단 간 비교연구 - 연구(1)과 연구(2)의 인과관계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해석된 외부 이미지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평균값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고 이들 연구 (1)과 연구 (2)에서 분석한 인과관계에 대한 집단 간 비교를 실시함 - 가설 3: 정부관료제에 대한 해석된 외부이미지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지각된 조직 정체성이 조직효과성에서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클 것이다 - 가설 4: 소속부처에 대한 해석된 외부이미지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지각된 조직정체성이 조직효과성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클 것이다 □ 연구설계 및 분석방법 ○ 연구설계 - 우리나라 중앙행정기관에 근무하는 공무원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함. 이를 위해서 다단계군집표본추출 방식을 활용하여 10부 3청 3위원회를 임의로 선정하고, 이들 기관들에 무작위추출법을 통해 각 부처별로 40여부씩의 폐쇄형 설문을 배포함. 또한 부처별 설문 배포 과정에서 응답자의 직급 및 직책비율도 적정한 수준에서 결정될 수 있도록 할당표본추출 방식을 활용하였음. 이러한 과정을 통해 중앙행정기관 16개 부처에서 총 600부의 설문지를 획득하였음 - 본 연구의 독립변수는 정부관료제와 소속부처에 대한 지각된 조직정체성을 통해 측정하며,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종속변수로 설정됨. 또한 정부관료제와 소속부처에 대한 해석된 외부이미지는 집단 간 비교연구를 통해 활용됨. 모든 변수들은 5점 기준의 Likert 척도를 이용해서 측정하였음 ○ 분석방법: 구조방정식 모형 - 가설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주요 변수의 인과관계 분석 및 집단 간 비교를 진행함 - 이를 위하여 먼저 정부관료제 및 소속부처에 대한 조직정체성과 해석된 외부이미지, 그리고 조직효과성 등 주요 구성개념들에 대한 기초통계 분석을 실시하여 경향성을 확인하고 함의를 도출함 - 분석과정으로는 먼저 기존 연구에서 개발 및 활용된 구성개념 (변수)들이 본 연구에서도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타당도 및 모형적합도 분석을 수행하고 수정과정을 거침. 이러한 단계를 거친 이후 구조 방정식 모형의 구조모형에서 인과관계 및 집단 간 비교분석을 실시함 -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조직정체성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 해석된 외부 이미지를 기준으로 두 집단 간 경로값의 차이를 파악함 □ 기초통계 분석결과 ○ 정부관료제에 대한 지각된 조직정체성과 해석된 조직 이미지 간 비교 - 분석결과, 현재 정부에 대한 조직 이미지의 경우 공무원들 스스로 인식하는 지각된 조직정체성과 공무원들이 국민들이 생각할 것이라고 인식하는 해석된 외부이미지 간 차이가 크게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즉 공무원들은 정부조직 활동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지만 국민들은 자신들의 활동을 부정적으로 평가할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음. 특히 근면성 측면에서는 공무원들은 자신들은 물론 국민들이 높게 평가하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반면, 예산활용의 측면에 있어서는 자신들은 매우 높게 평가하고 있지만 외부 이미지는 낮을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소속부처에 대한 지각된 조직정체성과 해석된 조직 이미지간 비교 - 소속부처에 대한 이미지 비교 결과, 공무원 스스로 소속부처에 대해 인식하는 조직정체성과 타부처 공무원들이 인식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해석된 외부이미지와는 전반적으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 - 이러한 결과는 앞서 정부에 대한 지각된 조직정체성과 해석된 조직 이미지간 결과와는 차이를 보여줌. 즉, 정부조직에 대해서는 공무원들은 자신들이 생각하고 있는 정부 활동의 이미지와 국민들이 생각하고 있는 이미지가 차이가 나며 특히 국민들이 자신들 보다 훨씬 부정적으로 평가할 것이라고 인식함. 그러나 소속부처에 대한 이미지 비교 결과는 자신들이 소속부처에 대해 평가한 이미지와 타부처 공무원들이 인식할 것으로 생각한 이미지가 대부분 긍정적으로 일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조직 효과성 분석 결과 - 먼저 직무만족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남. 세부적으로는 `공무원 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직장에서의 승진`에 대한 만족도의 경우 상대적으로 다른 항목에 비해 낮게 나타남. 한편 직무만족과 인구통계학적 변수간 관계를 살펴보면 직급과 직무만족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상위직 공무원들의 직무만족 수준이 가장 낮게 나타났음. - 또한 직무 몰입의 경우에도 긍정적인 응답결과를 보이고 있음. 또한 인구통계학적 변수 간 관계분석에서는 직무만족과 마찬가지로 직급에 따라 차별적 인식을 보이고 있었는데 4급 이상 상위직 공무원들과 7급 이하 하위직 공무원들의 조직몰입 수준은 낮은 반면, 5급, 6급 등 중간 관리자급 공무원들의 조직몰입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연구문제 (1): 정부관료제에 대한 인과관계 분석결과 ○ 정부관료제에 대한 지각된 조직정체성과 조직효과성 간 인과관계 - 분석결과, 정부관료제에 대한 지각된 조직정체성은 직무만족과 조직 몰입 모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남. 또한 표준화 경로값을 기준으로 한 분석 결과 지각된 조직정체성은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각각 .60과 .62의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나타남. - 모형적합성에 대한 보완한 수정지수를 바탕으로 수정모형을 통해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대한 표준화 경로값은 .56과 .59로 다소 감소하였으나 이것은 오차항 간 공분산 설정으로 인한 결과로 추정되며 전반적으로 모형적합도는 더욱 향상된 것으로 나타남. 이러한 분석 결과는 정부관료제에 대한 긍정적으로 지각된 조직정체성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을 향상시킨다는 가설을 채택하고 있음. □ 연구문제 (2): 소속부처에 대한 인과관계 분석결과 ○ 소속부처에 대한 지각된 조직정체성과 조직효과성 간 인과관계 - 분석 결과, 소속부처에 대한 지각된 조직 정체성은 조직효과성 개념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동일하게 .62의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표준화 경로값 기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결정됨. - 모형적합도에 대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수정지수를 바탕으로 수정모형을 제시함. 구성 개념들간 오차항에 공분산을 설정한 수정 모형 분석 결과,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상관성은 표준화 값을 기준으로 .67로 나타났으며 조직정체성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은 기존 모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진 .55로 나타남. - 한편 모형 적합도는 기본모형에서 기준값에 미치지 못했던 세 개의 적합도지수 모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남 (NFI =. 943, RMSEA =.064, Nomed X<sup>2</sup> = 3.491). 이러한 분석 결과는 소속부처에 대한 긍정적으로 지각된 조직정체성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을 향상시킨다는 가설을 채택하고 있음. □ 연구문제 (3): 해석된 외부이미지를 통한 집단 간 비교분석 결과 ○ 정부관료제에 대한 해석된 외부이미지를 통한 집단 간 비교분석 - 정부관료제에 대한 해석된 외부이미지의 평균(2.89)를 기준으로 해석된 외부이미지를 높게 평가한 집단 (N=332)과 낮게 평가한 집단(N=268)을 구분하고 이들 각각에 대한 구조모형을 통해 지각된 조직 정체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함. - 해석된 외부이미지가 높다고 평가한 집단에서는 지각된 조직정체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각각 .44 .46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표준화 경로값의 경우 각각 .58과 .61로 나타남. 또한 모형의 적합도는 대부분 적합도 지수의 기준을 만족시킨 것으로 나타남. 이러한 결과는 정부관료제에 대한 해석된 외부 이미지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집단을 구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연구했던 값에 비해 다소 떨어지는 영향력이 제시되었음을 알 수 있음. - 해석된 외부이미지의 평균값이 낮은 집단 (N=268)에서는 지각된 조직 정체성이 직무만족(.47)과 조직몰입(.53)에 영향을 행사한 것으로 나타나 평균값이 높은 집단에 비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남. 비표준화 경로값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으며 절대적 적합도 지수 대부분은 기준값을 만족시킨것으로 나타남. - 연구 결과, 표준화 경로값을 기준으로 해석된 외부이미지의 평균값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간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남.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가 가정했던 지각된 조직정체성과 해석된 외부이미지 간 일치성이 조직효과성에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라는 가설이 기각되었음을 보여줌. ○ 소속부처에 대한 해석된 외부이미지를 통한 집단 간 비교분석 - 소속부처에 대한 해석된 외부이미지의 평균(3.49)보다 높은 집단(N=298)과 낮은 집단 (N=302)를 구분하여 각 집단별로 소속부처에 대한 지각된 조직정체성과 조직효과성 간 영향력을 비교하였음. - 소속부처에 대한 해석된 외부이미지가 높다고 평가한 집단에서는 지각된 조직정체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각각 .29 (비표준화 경로값: .47,p<.001)와 .37(비표준화 경로값: .56, p<.001)의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모형 적합도는 기준값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남. - 해석된 외부이미지가 낮은 집단 (N=302)에서는 지각된 조직 정체성이 직무만족(.58)과 조직몰입(.67)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나타남. 한편 비표준화 경로값은 각각 .82와 .8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으며 절대적 적합도 지수 대부분은 기준값을 만족시킨 것으로 나타남. - 분석 결과, 소속부처에 대한 해석된 외부이미지가 낮다고 평가한 집단은 해석된 외부이미지가 높다고 평가한 집단에 비해 표준화된 경로값의 크기가 약 두 배 이상의 크기를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음.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주장한 가설, 즉 해석된 외부이미지가 높은 경우에는 지각된 조직정체성과의 상호작용(interaction)을 통해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더욱 강화(reinforcement)할 것이라는 주장은 기각된 것으로 나타남. Ⅲ. 정책대안 □ 정부 관료제와 소속 부처에 대한 긍정적 조직이미지 형성을 통한 조직 효과성 제고 ○ 민간에서 활용되는 관리기법 등의 도입이 정부조직의 생산성이나 효과성 등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지 못하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는 상황에서, 조직 이미지와 같은 심리적 기제를 통해서도 조직효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사실에 대한 인식전환이 요구됨 ○ 공무원으로서의 자부심과 소속 부처 및 정부 관료제에 대한 조직이미지를 향상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정부 조직의 효과성을 제고시키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됨 - 정책의 일관성 및 유연성 확보를 통한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 제고 - 조직의 주요 의사결정 및 집행과정에 대한 민주적 참여 보장 - 주요 정책의 일관성 유지 및 권력의 간섭과 압력 배제 - 정부조직의 운영 절차 개선을 통한 효율성 제고 - 조직이미지 형성전략 활용: 광고 캠페인, 마스코트, 심볼마크, 조직슬로건 등 I. Research Background and Objective □ Background of the Research ○ The public distrusts government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have tried to identify ways to increase trust in public sector organizations -The extant literature has focused on the images of government because the public has not trusted public employees` behaviors and public policies ○ Organizational images as an alternative to increase trust in governmental organizations -Organizational image, which has been studied in the fields of organizational behavior and industrial/organizational psychology, may be one alternative to improve trust in governmental organizations -Organizational image has been researched along two dimensions, including perceived organizational identity and construed external image, but there have been few empirical studie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images and organizational outcomes, including effectiveness and productivity □ Objective of the Research ○ Examining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images on effectiveness in public sector organizations -This research empirically examines whether organizational image in governments leads to increases i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ich consist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ome studies have argued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image to increase outcomes at the macro levels, while there is little empirical study of the thesis in public management II. Main Research Questions and Analysis Results □ Research methods ○ Sample,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The sampling frame was drawn from public employees who work at ten ministries, tree authorities, and commissions in the central government in Korea -Six hundred usable data points were returned for analyzing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identity and construed external imag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spectively -Multi- cluster sampling method has been adopted in this study -For conducting the analyses, this study employ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Before analyzing the causal relationships, in the measurement model, this study employ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verify the validation of the constructs researched in this study □ Results of analyses ○ Measurement model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two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images met the cutoff values of model fit indices; they also show construct validation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nsidered as a second- order construct consisting of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not only met the thresholds of model fit, but also verified the construct validation ○ Structural model -The findings are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identity to the governmental bureaucracy leads to increases in job satisfaction (.56; unstandardized path: .61, p < .001)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59; unstandardized path: .63, p〈.001) -Second, perceived organizational identity with the ministry improves job satisfaction (.55; unstandardized coefficient: .51, p〈.001)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55; unstandardized coefficient: .49, p < .001) ○ Multi- group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a multi- group analysis for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trued external image considering the mean value -Considering mean value of construed external image to the governmental bureaucracy and the ministry, respectively, this study expected to find that the higher group is more likely to have a greater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identity and effectiveness rather than the lower group -Unexpectedly, however, our hypotheses in terms of moderating effect were rejected in this study. In general, the findings were that organizational image, which consis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identity and construed external image, would be an alternative to increas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government organizations III. Policy Recommendations □ Psychological mechanism as an alternative to increas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Organizational images play a role of predictor to increase effectiveness in public sector organizations -Management techniques and extrinsic motivation would be predictors to increase effectiveness and performance in public sector organizations, although there have been debates about whether they can increase outcomes in public sector organizations -This study found that the psychological mechanism, including organizational images, would be one predictor to increase outcomes in public management -Emphasizing public employees` trust, flexibility, and consistency regarding government policies, we expect that it would be one alternative to increase effectiveness in public sector organizations ○ Managers in public sector organizations should make efforts to build public employees` positive images regarding their government and ministries -Managers should allow public employees to take part in the decision-mak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es, as well as to help achieve internal consistency regarding public policies

      • KCI등재

        교사의 학교조직공적성 인식과 조직지원인식,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및 학교조직효과성간의 관계

        강경석,황구현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3

        이 연구에서는 교사의 학교조직공정성 인식과 조직지원인식,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 및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는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조직공정성 인식, 조직지원인식, LMX 및 학교조직효과성 간에는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조직공정성 인식, 조직지원인식, LMX 및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영향 관계를 설명하는 가설적 경로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경로모형을 살펴본 결과, 분배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조직지원인식, LMX는 학교조직효과성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중 조직지원인식이 학교조직효과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MX에는 상호작용공정성이, 조직지원인식에는 LMX가 가장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의 조직공정성 인식이 학교조직효과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LMX와 조직지원인식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LMX와 조직지원인식은 교사의 조직공정성 인식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적인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그 중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조직공정성 인식의 하위변인 중 상호작용공정성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총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이해관계자 접근을 중심으로 한 공기업 조직효과성 평가: 이명박 정부 시기를 중심으로

        황정윤(黃貞允),이정욱(李政昱) 한국정부학회 2019 한국행정논집 Vol.31 No.3

        본 연구는 이해관계자 접근법을 활용하여 공기업의 조직효과성을 탐색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기업 평가에 대한 연구가 지속됨에도 불구하고, 공기업 평가의 핵심 중 하나인 조직효과성에 대한 실증연구는 이론적 · 경험적 측면에서 제한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명박 정부 시기를 중심으로 실증자료를 통해 우리나라 공기업의 조직효과성을 분석한 결과, 전체 조직효과성과 국회, 감사원/주무부처, 시민이 평가하는 조직효과성은 양(+)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반면 대통령의 조직효과성 평가는 다른 이해관계자 그룹의 평가와 반대로 나타났으며, 특히 언론의 조직효과성 평가와는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 이해관계자 집단별로 조직효과성 평가에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며, 그에 따라 공기업 운영에 있어 다양한 이해관계자로부터의 기대와 수요를 충족시키는 것이 어려운 작업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통해 조직효과성이 성과의 한 측면으로 인식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이해관계자 접근을 통해 다원화된 기준을 활용하여 공기업의 조직효과성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exploratory analysis takes a stakeholder approach to assessing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Korean state-owned enterprises(SOEs). SOEs are surrounded by various stakeholders with different demands and expectations; the stakeholder approach suggests that this imposes a major managerial challenge on SOEs since goal conflicts often arise in such a situation. However, no empirical studies tested whether different stakeholders assess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SOEs differently. This study collected data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28 SOEs during the last two years of the Lee Myung-bak presidency, as assessed by major stakeholder groups, including the President, the National Assembly,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and the competent ministry, and the citizens. A series of correlation analysis reveal different assessment patterns among these stakeholder groups, which confirms the difficulty, as well as importance of, meeting their varying, sometimes conflicting, demands and expectations on the part of SOEs. This study concludes by discussing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such a finding.

      • KCI등재

        카지노 종사원의 경력정체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최은미 ( Choi Eun-mi ),진찬호 ( Jin Chan-ho ),송진영 ( Song Jin-young ),정지인 ( Jung Ji-in ),김종하 ( Kim Jong-ha ) 한국관광산업학회 2019 Tourism Research Vol.44 No.2

        호텔이나 카지노 같은 서비스 직종은 시간이 흐를수록 경력정체를 경험하게 되고, 이로 인해 조직효과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는 결과적으로는 조직의 업무성과를 저하시키고, 카지노 종사원의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다가 오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카지노 기업의 인적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고 조직의 성과를 극대화하여 기업성장의 중요한 요인으로 자기효능감을 선정하였고, 자기효능감을 통해 카지노 종사원의 개인적인 자아와 의식을 높이기 위한 선행변수임을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카지노 기업에서의 경력정체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그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미치는 조절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첫째, 경력정체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조직효과성의 하위요소별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몰입으로 구분하여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검증결과, 경력정체의 하위요소 중 내용적 경력정체는 조직효과성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력정체의 하위요소 중 구조적 경력정체는 조직효과성의 조직몰입, 직무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자기효능감이 경력정체와 조직효과성의 하위요소의 관계에 있어서 어떠한 조절효과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기효능감은 구조적 경력정체와 조직효과성의 직무만족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조적 경력정체와 조직효과성의 조직몰입과 직무몰입간의 관계에 조절작용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내용적 경력정체와 조직효과성의 직무만족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용적 경력정체와 조직효과성의 조직몰입과 직무몰입간의 관계에는 조절작용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카지노 조직의 구조상 시간이 흘러도 변함없는 직무와 제한된 승진기회로 조직구성원은 경력정체에 이르게 되며 이러한 경력정체는 조직에게는 인적자원에 대한 낭비와 경쟁력의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조직과 조직구성원은 경력정체 극복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하며 경력정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조직구성원을 위한 교육 또는 재교육을 들 수 있다. 앞으로는 경력정체에 관련한 폭넓은 조절변수를 접목시켜 이에 대한 연구가 포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Service industries such as hotel and casino tend to career plateau due to repeated jobs over time, affect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negatively. This will result in the deterioration of organizational job performance and the negative effect 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career plateau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casino companie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o achieve this, self-efficacy was selected as an important factor of corporate growth to increase the personal self and consciousness of employees by improving the quality of human service and maximizing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the casino companies.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career plateau (content career plateau, structural career plateau)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casino companies showed that content career plateau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commitment. Structural career plateau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commitment, and no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lateau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owed that self-efficacy is moder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career plateau and job satisfaction, but it isn't moder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career plateau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commitment. And It was moder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nt career plateau and job satisfaction, but it wasn't moder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nt career plateau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commitment. Therefore, the employees of the casino industry have to face the career plateau because of little change of the duty and limited opportunity of promotion, as time passes, due to the structure of casino organization. Such a career plateau may lead to the waste of human resources and decreas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organization. The organization and its members should try to overcome this career plateau problem and It would be the education or re-education for the employees as a means to overcome the career plateau.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integrate a wide range of moderating variables related to career plateau, and conduct comprehensive studies on this.

      • KCI등재

        군내 초급간부와 병사의 갈등관리가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김종서,박효선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4 Crisisonomy Vol.10 No.12

        본 연구는 군 초급간부와 병사들의 갈등관리가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갈등관리방안을 강구함으로써 악성사고를 예방하고, 조직 효과성을 제고시켜 군의 전투력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육군과 해군 4개 부대의 초급간부와 병사 3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실증 분석을 위한 통계 처리는 SPSS 18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상관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갈등관리와 조직 효과성 측면에서 갈등 예방방안은 조직 효과성과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갈등 해소방안은 조직 효과성과 뚜렷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갈등 자극방안은 조직 효과성과 뚜렷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둘째, 갈등 유형과 조직 효과성 측면에서는 개인 및 대인갈등은 조직 효과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갈등 관리와 갈등 유형 측면에서 갈등 예방 및 해소방안은 개인 및 대인갈등 수준을 감소시키고, 자극방안은 개인 및 대인갈등 수준을 증가시켰다. 넷째, 초급간부와 병사들의 인구학적 특성 중 낮은 계급인 일․이등병과 직책에 대한 업무 숙달이 어려운 기술병이 상대적으로 갈등을 많이 느끼고 있었으며, 갈등 관리방안과 조직 효과성에서는 초급간부와 전투병이 기술병과 행정병에 비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급 간부와 병사들의 효율적인 갈등관리 방안으로는 갈등 예방방안이 우선이며, 갈등 예방방안을 시행하면서 갈등 자극방안도 적절하게 활용해야 한다. 또한 초급간부와 병사들의 조직 효과성 향상을 위해서는 효율적인 갈등 해소방안을 활용해야 한다. 특히, 현재 부대관리를 위해 시행하고 있는 병영생활전문상담관, 비젼캠프, 고충상담, 인성검사, 자살예방 대책, 선진병영문화 정착, 기능별 사고예방대책 등을 갈등 관리체계에 포함하여 혁신적으로 조치하면서, 군내의 갈등에 대한 인식전환, 갈등 관련 법 ․ 규정 ․ 제도 보완, 군의 주요정책 보완 등을 병행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vent accidents and to improve combat power by seeking efficient conflict management through research on conflict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military organization. The research is subjected to junior commissioned officers and soldiers who are doing mandatory military service.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survey method in empirical research based o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to randomly selected 330 men from four units of army and navy. Thirty of poor respondents were removed and 300 responses were analyzed. SPSS 18 statistics program was used to process the empirical analyzation using frequency analysis,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conflict prevention plan showed strong positive cor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nflict resolution plan showed distinctly positive cor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e aspects of conflict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personal and interpersonal conflict both showed strong negative cor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e aspects of conflict typ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rd, conflict prevention and resolution plan decreases level of personal and interpersonal conflict, and stimulation plan increases level of personal and interpersonal conflict. Fourth, there was a difference on the recognition of conflict type, conflict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ccording to demographic traits, rank and job, of junior commissioned officers and soldiers. The implication of the result suggests practical ways of conflict management that can prevent accidents and increas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ich increases combat strength, by efficiently managing the conflicts of junior commissioned officers and soldiers.

      • KCI등재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신재흡 한국교원교육학회 201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7 No.4

        이 연구는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감성적 리더십, 임파워먼트, 조직효과성이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고, 세 변인 간의 상관관계,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의 하위변인들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수행하기 위하여 경기도 지역에 근무하는 초?중?고등학교 각각 10개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고, 이중에서 55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감성적 리더십은 초등학교, 여교사, 국?공립, 30학급 미만, 부장교사, 임파워먼트는 초등학교, 국?공립,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위 이상, 학교 조직효과성은 초등학교, 여교사, 국?공립, 30학급 미만, 부장교사가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 그리고 세 변인 간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또한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는 학교 조직효과성에 영향력이 있으며, 특히 감성적 리더십 변인 가운데 관계 관리와 임파워먼트 변인 중에 의미감, 역량, 영향력이 전체적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 대한 단계별 영향력에서는 교사들이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파워먼트까지 인식을 할 때 교사들의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결국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감성적 리더십 변인 중 관계관리와 임파워먼트 변인 중 의미감, 역량, 영향력을 활용하는 것이 교육현장에서 행해지는 교육활동의 성과와 질을 개선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 교원업무경감, 교사의 전문성과 학교조직 효과성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이치호(Lee, Chiho) 한국교육행정학회 2018 한국교육행정학회 학술연구발표회논문집 Vol.2018 No.9

        본 연구의 목적은 교원업무경감, 교사의 전문성, 학교조직효과성 간에 구조적 관계가 어떠한지를 규명하는 것으로 교원업무경감, 교사의 전문성, 학교조직효과성에 대한 교사의 지각수준을 살펴본 후, 교원업무경감, 교사의 전문성, 학교조직효과성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교원업무경감이 교사의 전문성을 매개로 하여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경기도 소재 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186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프로그램과 AMOS 22.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되었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업무경감, 교사의 전문성, 학교조직효과성에 대한 지각수준은 보통보다 높아 비교적 고른 분포로 나타났다. 둘째, 교원업무경감은 교사의 전문성 및 학교조직효과성과 높은 상관이 있고, 교사의 전문성도 학교조직효과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교원업무경감은 교사의 전문성 및 학교조직효과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교사의 업무경감이 교사의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업무경감이 학교조직효과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교사의 전문성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조직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교사의 업무를 줄여야 한다. 교사의 업무가 경감되면, 교사들은 스스로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노력을 하게 될 것이며 결국, 학교조직의 효과성으로 이어지게 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 overall investigation into structural relations among reducing teachers" workload,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fter examining the perception level of reducing teachers" workload,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o examine correlation among reducing teachers" workload,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o examine effects that reducing teachers" workload have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mediating teachers’ professionalism. For that purpos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6 incumbent teachers of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tilizing a SPSS 22.0 and AMOS 22.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level of reducing teachers" workload,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higher than a moderate level and its distribution was relatively uniform. Second, reducing teachers" workload had significantly high relations with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th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also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 to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rd, reducing teachers’ workload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effect of reducing teachers’ workload on teachers’ professionalism is much more huge than effects on th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ducing teachers’ workload directly influence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it also have indirectly influence with teachers’ professionalism as a mediating variable. In other words, to improve the perception level of teachers on reducing teachers’ workload, once teachers’work was reduced. If teachers’work was decreased, teachers would make efforts for their professionalism, and finally,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ould naturally be achie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