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보활용역량’ 강화를 위한 글쓰기 수업-Allo 앱을 활용한 팀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이수경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6

        The extension of life expectancy and the development of science has required change and transformation, not only regarding a person’s quality of life but also the direction of liberal arts classes and their method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necessity of cultivating digital-based ‘information utilization competency’ that can respond to changes in social structure has increased, even in the writing classes of college liberal arts subjects, which are ‘communication’ based and which use ‘written language’ as a medium. The K University writing class was designed as a team project and conducted as a process-oriented curriculum. It used the Allo app to improve learners’ information utilization competency. During three weeks of classes team project conducted practical writing practice using personal writing to develop ‘information utilization competency’ related to the authenticity of students. The Allo-based team activity class was constructed to elevate the combined academic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both contextualized through ‘written language’ in the preceding individual writing process and to reproduce useful ‘information.’ It was done using various media, such as ‘voice language’ and ‘written language,’ and through team activities. It was a process focused on ‘re-contextualization,’ achieved by producing discussion, journal writing, product selection, and re-contextualization. Experiences necessary in developing the results were extended to using various media built into Allo, thereby deepening the learner’s functional information utilization competency.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process of the re-contextualization of academic content, such as journal writing, the critical interaction of team members, and the reflection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the final production, all team members were able to directly or indirectly revise and modify their information utilization. Moreover, students were able to develop their information utilization competencies. In particular, the comprehensive thinking process, including the meta-cognitive domain, which contextualized one’s logic at the elementary level of data collection and the use of verified data, shared the writings of students and team members through a discussion process to produce outputs. The successful class showed that lifelong education and the ability to utilize information as a global civilian competency in a knowledge-based society should be cultivated through writing classes using various media. In particular, we can say that the meaning of competence lies in the ‘productivity’ of problem-solving through information as a response strategy for the future society. Another significant result was the reflection of students who had failed to develop proactively and actively in personal writing revised personal writing after the Allo-based team project. I end this article by leaving the lesson design for such learners as a follow-up task. 평균 수명 연장과 과학의 발달은 삶의 질뿐만 아니라 대학 교양 수업의 방향성 및 방법에서도 변혁과 전환을 요구한다. 이러한 시각에서 ‘문자언어’를 매체로 하는 ‘의사소통’인 대학 글쓰기 수업도 사회구조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디지털 기반을 활용하여 ‘정보활용역량’을 성취하기 위한 설계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신입생 대상의 글쓰기 과목에서 ‘Allo 앱을 활용한 팀 프로젝트’가 학습자의 정보활용역량 성취에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하는 것이다. “Allo 앱을 활용한 팀 프로젝트”의 수업목표는 선행된 개인 글쓰기 과정에서 발견된 ‘제한적 정보활용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이었다. 다시 말해, Allo 앱에서 수행되는 팀 프로젝트 활동은 ‘문자언어’로 맥락화되었던 개인 글쓰기 결과물을 ‘음성’이나 ‘문자’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공유하고 비평하는 ‘정보의 재맥락화와 재생산 과정’이 된다. 먼저 Allo 앱에 내장된 다양한 도구를 활용하여 팀 산출물을 생산하기 위한 토론, 일지 작성 및 재맥락화에 필요한 팀 활동은 기초적이고 기능적인 정보활용역량을 강화하는 유용한 방법이었다. 동시에 생산 과정에서 강제된 ‘일지 작성, 회의’ 등은 팀원 개개인이 자신의 정보 활용을 타자화하고 수정하는 기회가 되었다. 특히, 이 과정은 자료수집과 자료 검증이라는 초보적 단계부터 논리로 (재)맥락화하는 종합적 사고 과정이기도 하다. 따라서 학습자는 팀 산출물 생산을 위해 각자 글을 공유함으로써 자료수집과 연결되는 도덕적인 자료 활용인 표절이나 자료의 객관성 등 기본적인 정보활용을 상호점검할 수 있었다. 또한 팀 산출물을 위해 내용 선별과 조율, 자료의 타당성 검증 및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논리적 맥락의 재구조화 과정은 정보활용역량을 효과적으로 구축하고 발휘하는 생산 과정이었다. 평생교육과 지식기반사회의 시민역량으로서 정보활용능력이 Allo 앱을 활용한 팀 프로젝트를 통해 성취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수업은 성공적이었다. 미래 사회의 대응 전략으로서 정보활용역량이 정보를 활용한 문제해결이라는 ‘생산성’에 그 의의가 놓인다는 것을 상기할 때 개인 글쓰기 결과물인 소논문 쓰기에서 주도적으로 ‘정보활용역량’을 발휘하지 못했던 학습자가 팀 프로젝트 활동 이후 능동적으로 자신의 글을 수정하려는 성찰도 수행했다는 또 다른 유의미한 결과도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디지털교과서 활용 시 정보 활용 능력 수준이 학생의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안성훈 한국정보교육학회 2018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2 No.5

        최근 3년간의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분석 연구를 종합해 본 결과에 따르면 학생의 정보 활용 능력과 비판적 사 고력은 디지털교과서 활용의 주요 효과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정보 활용 능력은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위 해서는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교과서 활용에 있어 정보 활용 능력이 학생의 사회적 역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먼저 이를 위해서 상, 중, 하로 학생의 정보 활 용 능력 수준을 구분하고 각 수준별로 사회적 역량(의사소통 능력, 협업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의 정보 활용 능력은 문사회적 역량(의사소통 능력, 협업 능력)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사회적 역량(의사소통 능력, 협업 능력)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보 활용 능력 수준이 전체 점수에서는 ‘하’의 그룹이 사회적 역량에 가장 큰 상관관계와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향상도 점수에서는 ‘상’의 그룹이 가장 큰 상관관계와 영향력(의사소통 능력 제외)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 는 효과적인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위해서는 다양한 방식의 정보 활용 교육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According to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for the last three years, it was turned out that student's ICT ability is the most effective factor, Also, that is the basic ability required to use digital textbooks. Therefore, in this paper, the effects of ICT ability on various factors were analyzed. For this purpose, after the level of learner's ICT ability was divided into upper, middle, and lower, and the effects of each level on social competency(communication ability, collaboration ability)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student's ICT ability has a close correlation with social competency(communication ability, collaboration ability), and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at. In particular, the group with lower level of ICT ability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social competency(communication ability, collaboration ability), and the group with upper level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at in score improvement.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at various types of ICT literacy education are needed to use effective digital textbooks.

      • KCI등재

        초등학생의 교육정보화 기기 활용이 학습전략 및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영향에서 지식정보처리역량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김희배,장재홍,박인우 한국교육방법학회 2019 교육방법연구 Vol.31 No.4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and the use of ICT in education draws a lot of attention from educators and researchers in educational field. the purposes of the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elementary students’ use of ICT could enhance their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whether their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could enhance learning strategy and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ir use of ICT could affect positively on learning strategy and self-directed learning via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s, a structural equations model with the use of ICT(PCs, mobile phones including smart phones, and pads) of elementary students,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learning strategy, and self-directed learning. The data were 2,929 elementary students from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BELS) collected by Busan Educational Research and Information Institute. As a results, the conclusions were 1) elementary students’ use of ICT enhances their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2)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enhances learning strategy and self-directed learning, 3) their use of ICT affect positively on learning strategy and self-directed learning via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Implications were provided from the conclusions. 지식정보처리역량과 ICT 매체는 4차산업혁명 시대에 교육현장에서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ICT 매체 활용이 지식정보처리 역량을 높이는지, 지식정보처리역량이 학습전략과 자기주도학습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는지, 최종적으로 지식정보처리역량이 ICT 활용의 학습전략 및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영향에서 매개 효과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ICT 매체사용(컴퓨터, 스마트폰, 스마트기기 사용), 지식정보처리역량, 학습전략, 자기주도학습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부산교육연구정보원에서 수집한 부산교육종단연구로 층화군집표집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2.928명이다. 연구결과와 그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ICT 매체 사용은 지식정보처리역량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끼친다. 둘째, 지식정보처리역량은 학습전략과 자기주도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ICT 매체 활용은 지식정보처리역량을 매개로 학습전략과 자기주도학습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끼친다.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일상적인 ICT 매체 활용, 학교교육에서 지식정보처리역량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여성농업인의 정보활용역량 영향 요인 연구

        손주리(Joo-Lee Son),채혜성(Hye-Sung Chae),최윤지(Yoon-Ji Choi),최정신(Jung-Shin Choi),정진이(Jin-Yi Jeong)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6 No.11

        본 논문에서는 여성농업인의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정보활용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의 ‘여성농업인의 정보활용역량 측정지표 1차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여성농업인 2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인지된 유용성, 자기효능감, 혁신성향 중 자기효능감과 혁신성향이 정보활용역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 교육수준, 스마트패드 보유여부, 스마트폰 사용기간이 정보활용역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보화에 취약계층인 여성농업인의 정보활용역량의 이해에 기여하고, 이를 토대로 여성농업인들의 정보활용역량 증대 방향을 제시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ntecedent factors that influence the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of female farmers using smart devices. The study was analyzed using the materials from the "Primary Survey of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Measurement Index for Female Farmers"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The target of the survey was 200 women working on the farms. The descriptive,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test, and ANOVA using SPSS 21.0 program were performed. Study results found that among the psychological factors, Self-efficacy and Innovativeness have positive effects on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Among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the education level, presence of smartpads, and tiem spent on smartphones have positive effects on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Findings of the results contribute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for female farmers, who have lack of infromarion on smrt devices,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enhancing the level of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for female farmers.

      • KCI등재

        미래 역량 분석을 통한 초등 정보교과 구성 방향성 탐색

        최은선,박남제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5 No.2

        세계 각국은 급변하는 시대의 발전 및 개혁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미래에 필요한 핵심역량을 기준으로 정보 교과과정을 설계하고 시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핵심역량을 비교 분석하여 초등 정보교육 핵심역량 프레임 워크를 개발하였으며, 초등 정보교과 구성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각 국가 및 기관에서 제시한 역량 중 사회적- 감정적 역량, 의사소통, 창의력, 책임감, 문화와 윤리, 문제 해결 능력, 협력, 추상 역량이 중첩되었으며, 국내 중· 고등학교 정보 교과에서는 컴퓨팅 사고력과 정보기술 활용 능력을 중시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향후 초등 정보 교과에서 제안된 핵심역량 프레임워크를 교과 구성에 반영하며, 사회적 책임감을 강화하고 융복합적 소양을 함 양하여 문제해결력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편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을 통하여 2022년 개정 교육과정에 핵 심역량을 반영한 초등 정보교과 편성의 필요성이 확대되기를 바란다. Many countries design and implement informatics curriculum based on core competencies to respond to the demands of development and reform in rapidly changing times. In this paper, we developed the core competencies framework of elementary information educ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re competencies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the composition of elementary informatics subjects. We found that social-emotional skills, communication, creativity, responsibility, culture and ethics, problem-solving, collaboration and abstract competencies overlapped among the capabilities presented by each country and institution, and computational think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utilization skills in Korea. Therefore, we proposed to reflect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framework in the elementary informatics curriculum. Moreover, we also suggested enhancing problem-solving skills, strengthening social responsibility and cultivating convergent skills to organize the curriculum. We hope that this thesis will expand the necessity of organizing an elementary information curriculum that reflects core competencies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 KCI등재

        대학생의 의사소통역량이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상우,김완종 한국문헌정보학회 2016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communicative competence on information literacy of undergraduates. The research results were found as follows; First of all, receptive compet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nformation needs, information retrieval and information evaluation. Secondly, transmission compet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nformation integration and information representation. Finally, adjustment compet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verall information literacy, that is, information needs, information retrieval, information assessment, information integrati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and information ethics. Therefore, we can understand communicative competence has a closed relationship with information literacy.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보사회에서 갖추어야 하는 필수능력인 의사소통역량이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의사소통역량 중 수용력은 정보활용능력 중 정보요구, 정보검색, 정보평가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사소통역량 중 전달력은 정보활용능력 중 정보통합, 정보표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의사소통역량 중 조정력은 정보요구, 정보검색, 정보평가, 정보통합, 정보표현, 정보윤리 등 정보활용능력의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전반적으로 의사소통역량과 정보활용능력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인이 새로운 정보를 수용하고 자신의 의견을 전달하며 긍정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능력이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은 본 연구의 긍정적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디지털 이용 역량과 활용이 개인정보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시정(Kim, Si-jeoung),최상옥(Choi, Sang Ok) 서울행정학회 2019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0 No.2

        디지털 기술의 범용화와 지능정보사회의 도래는 디지털 기술 이용 역량 및 활용 수준과 이에 수반되는 개인정보위험 인식에 대한 논의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 유형 및 1차-2차 단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디지털 역량이 디지털 정보 활용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디지털 리터러시가 개인정보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서 제공하는 한국미디어패널조사 2014년~2016년 자료를 활용하고 패널회귀모형 고정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디지털 역량은 디지털 활용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디지털 역량, 디지털 활용 수준이 개인정보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도구적 역량은 개인정보위험 인식에 영향을 미쳤으나, 내용적 역량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활용 수준은 도구적 역량이 개인정보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고 있으나, 생산적 활용 수준은 이와 같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디지털 활용도 제고를 위해 디지털 역량 측면의 격차 해소 및 방지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사용자별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제도적 특성을 고려한 다층적 접근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또한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디지털 기술 활용을 위해 사회적 활용 측면에서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다양한 정책과 서비스, 교육・훈련이 제공되어야 하며, 내용적 역량을 높이기 위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위험과 이에 대한 대응성을 같이 강화해야 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Because of the growing amount of digital technology and people’s increasing dependence on that, digital literacy and privacy should be considered as a vital factor in contemporary digital society. We evaluated the effect of first-level and second-level digital literacy on privacy concern. The research analyzed 72,474 sample longitudinal data based on the ‘Korean Media Panel Survey" from 2014 to 2016. The results showed that digital skil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digital usage. In addition, while medium related skil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rivacy concern, the effect of contents related skill is questionable. Finally, social usage did moderated eff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skill and privacy concern, productive usage did not. This study identifies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digital literacy and privacy concern. Also,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provide empirical evidence to better understand the digital literacy and privacy concern.

      • KCI등재후보

        지식기반사회에서 정보 · 통신기술 활용을 위한 교사의 핵심역량 개발

        이성흠,이광우 한국교원교육학회 200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지식기반사회의 초중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에서 효과적인 정보통신기술(ICT)의 통합적 활용에 요구되는 교사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영역을 이론적으로 탐색하고자 함이 그 목적이다. 지식기반사회의 교육환경은 시공간을 초월한 가상공간에서 개인의 자아실현을 돕는 열린 교육체제, 창의력, 통찰력, 협동력 등의 능력을 배양하는 교육목표, 교사중심의 지식교육에서 학습자중심의 문제중심 교수학습방법, ICT를 포함한 멀티미디어의 활용을 통한 창의적 문제 해결력을 신장할 수 있는 교육내용, 학습결과를 포함한 문제해결 과정도 포함하는 평가제도, 책무성을 수반하는 자율적 행정을 강조하는 교육체제로의 전환 등의 영역에서 많은 변화의 필요성이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된 지식기반사회의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인 ICT 활용을 위한 교사의 핵심역량 개발 영역은 (1) 컴퓨터와 인터넷의 기초, (2) 수업심리학과 교수설계, (3) ICT를 활용한 교수학습매체의 제작과 활용, (4) ICT의 교과목에 통합적 활용과 관련되는 이론, (5) 디지털 가상공동체와 가상(원격)교육, (6) 이(異)문화 이해 및 정보윤리 등이다. 효과적인 ICT 활용을 위한 교사의 핵심역량 개발은 사회환경 변화와 함께 교육체제의 종합적이고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는 것으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지식기반 디지털 정보사회에서 ICT 활용을 위한 교사의 핵심역량 개발이 교육체제의 변화와 효과적인 교육목표 달성에 공헌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청년은 정보 활용격차에서 자유로운가? - 한국 2030 청년세대의 모바일 정보 활용에 관한 연구 -

        김설인(Seolihn Kim),구혜경(Hye-Gyoung Koo)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

        본 연구는 2030 청년세대의 모바일 정보 활용수준에 따라 집단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소비자역량과 생활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실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세대 내 정보격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총 1779부의 유효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30 청년세대의 정보 활용요인은 ‘개인의 정보활동’, ‘공유활동’, ‘생활서비스’, ‘사회참여’, ‘정보 및 네트워킹’, ‘경제활동’으로 도출되었다. 정보 활용수준에 따라 소비자는 준거집단(46.5%), 고활용집단(27.2), 저활용집단(26.3%) 3가지로 유형화되었으며, 유형별 인구통계학적 특성, 소비자역량, 생활 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준거집단과 비교하여, 고활용집단과 저활용집단의 정보격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2030 청년세대 내 정보 활용수준이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 이러한 차이가 정보격차로 이어질 가능성을 피력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청년세대 역시 정보격차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향후 정책이나 교육에서도 청년세대 정보격차에 대한 발전된 차원의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 to demonstrate and categorize the status of level of mobile information utilization of the 2030 youth generation,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may affect the digital divide within the generation. For this purpose, 1779 data were analyzed using materials for the 2018 digital divide survey in Korea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ccording to the level of information utilization, the consumer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 reference group (46.5%), high utilization group (27.2%), and low utilization group (26.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ographics variable, consumer capabilities, living satisfaction by type of consumer. In additi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igital divide of the high utilization group and low utilization group were identified compared to the reference group.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confirmed the actual gap of information utilization and raised the possibility of the digital divide within the 2030 youth generation.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환자 개인정보보호 인식,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활용 역량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김현영(Hyun You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0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환자 개인정보보호 인식,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활용 역량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전문직관 형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에는 일 대학 간호학과 200명이 참여하였고, 자료수집 기간은 2023년 1월 3일부터 1월 25일까지였다. 자료는 SPSS Statistics 27.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변수의 특성에 따라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ANOVA로 분석하였다. 또한 변수 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결과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일반적인 특성은 하루 SNS 평균 사용시간(F=8.19, p<.001), 환자 개인정보보호 교육의 필요성 유무(F=3.21, p<.05)였다. 환자 개인정보보호 인식(r=.529, p<.001), 간호정보활용 역량(r=.647 p<.001)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SNS 중독경향성(r=.148, p<.05)은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유의한 일반적 특성을 통제변수로 투입하고 독립변수를 추가 투입한 모형 를 통해 간호정보활용 역량2,환자 개인정보보호 인식 순으로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설명력은 47.5%였다. 즉, 간호정보활용 역량이 높을수록, 개인정보보호 인식이 높을수록 간호전문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살고 있는 간호대학생에게 간호전문직관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간호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고, 환자들의 개인정보에 대해 높은 보호 인식을 가지고 관리하며, 전문직으로서 새로운 정보의 공유 및 타인과의 관계 형성을 위해 실시간 접속으로 SNS의 순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formation of nursing professional values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nursing students' awareness of patien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SNS addiction tendency, and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on nursing professional values. Methods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awareness of patien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SNS addiction tendency, and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to nursing professional values.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3 to January 20, 2023. Participants were 200 nursing students studying in 1 uni-versity within Gumi Province.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Statistic 27.0 program. Result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rsing professional vlaues of nursing students were the average daily use of SNS(F=8.19, p<.001), and the necessity of patien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education(F=3.21, p<.05). Awareness of Patien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r=.529, p<.001) and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r=.647 p<.001)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SNS ad-diction tendency(r=.148, p<.05) showed a weak positive correlation. Through Model 2, in which significant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input as control variables and independent variables were added, it was found that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and awareness of Patien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had a high influence on nursing professional vlaues of nursing students in that order,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47.5%.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and the higher the awarenes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he higher nursing professional vlaue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form a nursing professional values for nursing students living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ability to utilize nursing in-formation, manage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with high protection awareness, and actively utilize the net function of SNS through real-time access to share new information and form relationships with others as a profession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