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완서 자전적 소설 연구

        김연화(Kim, Youn-hwa)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5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28

        본고는 박완서의 실제 경험이 드러나는 자전적 소설에서 ‘어머니’에 대한 형상화가 서사의 의미론적 축이 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박완서 자전적 소설에서 어머니가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를 살피는 지점들은 어머니에 대한 ‘나’의 시선과 관계된다. 이에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어머니’에 대한 ‘나’의 시선의 복합성을 고찰함으로써 박완서 자전적 소설의 의의를 밝히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필립 르죈에 따르면 자전적 서사는 실제의 ‘나’와 이야기된 ‘나’의 동일성에 기반한 쓰기와 읽기를 요구한다. 이에 주디스 버틀러는 ‘너’가 없다면 ‘나’의 이야기는 불가능하다는 독백과 대화의 이중구조로 자전적 서사의 범위를 확장시킨다. 박완서의 자전적 소설은 ‘나’의 삶과 ‘어머니’의 삶이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르죈과 버틀러의 자전적 서사에 대한 사유가 중요한 참조점이 된다. 박완서 자전적 소설에서 ‘어머니’는 다양하게 드러난다. 어머니는 헌신적인 모성애를 가진 이이기도 하지만 유년의 ‘나’에 의해 진술되는 어머니는 주로 모순적인 사고의 담지자로 비춰진다. 전근대적 사회의 통념을 극복하는 모습을 보이는가 하면 여전히 ‘양반의식’에 사로잡혀 있는 이중적인 면모를 갖고 있는 것이다. 그러한 어머니의 이중성은 맹목적인 모성애, 특히 딸인 ‘나’보다 아들에 대한 왜곡된 사랑으로 집약되어 표현된다. 박완서 자전적 소설에서 ‘나’에 의해 진술되는 어머니가 이중성의 면모를 보이거나 수난자의 모습으로 다르게 형상화되고 있는데 이는 어머니에 대한 ‘나’의 시선이 복합적임을 의미한다. 박완서 자전적 소설에는 일제강점기부터 6・25전쟁에 이르기까지의 참혹한 시대 상황이 개인사-가족사에 각인되어 나타난다. 박완서는 자전적 소설에서 그러한 역사의 수난자로서 증언의 책무를 떠맡고 인간다운 삶을 상실하게 하는 현실을 증언한다. 또한 자전적 소설의 장르의 특색에 기대어 진실된 내적 고백을 통해 치유의 서사로써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점이 박완서 자전적 소설이 갖고 있는 문학적 의의라고 할 수 있겠다. This study takes notice that the imagery of the ‘mother’ constitutes a semantic axis of the narrative in Park Wan-seo’s autobiographical novels that reveal the actual experiences of the writer. The points to examine how the mother is portrayed are related to ‘my’ perspective on the ‘mother.’ in the novels Thus, the study aims to shed light on the significance of her novels by reviewing the complexity of ‘my’ perspective on the ‘mother’ revealed in them. According to Philippe Lejeune, an autobiographical narrative requires the writing and reading based on the oneness between the actual “me” and the narrated “me.” Responding to this, Judith Butler expands the scope of the autobiographical narrative using the double structure of monologue and dialogue that says “without the ‘you,’ my own story becomes impossible.” This reasoning by Lejeune and Butler becomes an important reference point considering the fact that ‘my’ life is linked to the ‘mother’s’ life in her autobiographical novels. The ‘mother’ is revealed in various forms in her autobiographical novels. Though a woman with a devoted maternal love, the mother portrayed by the ‘me’ in the childhood looks mainly like a protector of contradictory thoughts. While showing the appearance of overcoming pre-modern social conventions, she is still seized by ‘aristocratic consciousness,’ and has a double personality. Such duality held by the mother is intensively expressed as a blind maternal love, that is to say, a distorted preference for her son over ‘me’ as the daughter. As stated above, the mother is portrayed by the ‘me’ in her biographical novels as showing her duplicity, or is embodied as a sufferer, which signifies that ‘my’ perspective on the mother is complex. Carved into an individual’s private and family history, horrible situations from the period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to the time of the Korean war reveal themselves in her autobiographical novels. In her autobiographical novels, as a sufferer of such history, she takes the responsibility of giving testimony about the reality that takes away the opportunity to live like a human being. In addition, her novels, rely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of the autobiographical novel, have the significance as a narrative of heeling through truthful inner confessions. It can be said that these points constitute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her autobiographical novels.

      • KCI등재

        경험서사 쓰기 교육 연구

        우신영(Woo Shin young)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1 No.1

        이 연구에서는 경험을 서사화하는 자전적 소설의 양상을 장르로서 일별하고, 이러한 장르에서 나타나는 경험서사 쓰기의 지향성과 유형, 서사적 전략을 도출하였다. 먼저 자전적 소설의 지향성으로는 인물의 내면 공간 발견과 탐색, 경험의 상징화과 미학적 플롯화, 서술을 통한 경험의 사회역사적 의미화 등을 도출하였고,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자전적 소설의 서사 형식을 서간 형식의 자전적 소설, 회상 형식의 자전적 소설, 여로 형식의 자전적 소설 등으로 나누어 살폈다. 그리고 자전적 소설의 서사전략 분석의 결과로 초점화된 인물의 내면 고백을 통한 진정성 주장, 공통경험의 강조를 통한 독자의 공감적 이해 유도, 대타자의 설정을 통한 성찰 및 행위 지향 표명 등이 도출되었다. 이상 검토된 경험서사의 표현 원리를 토대로 문학교실 속 학습자의 경험서사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해 요구되는 교육 내용을 크게 ① 자기표현 동기화 및 지향성의 설정, ②라이트모티프 경험의 발견과 변형, ③ 경험자아와 서술자아의 분리, ④타자의 설정과 방법으로서의 대화 등의 네항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자전적 서사가 갖는 아마추어리즘의 성격은 허구에 의한 자기표현의 가능성을 넓힌다는 점에서 생산론적 문학교육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이러한 교육적 실천의 과정에서 학습자들이 쓰기를 통한 정체성 문식성의 신장과 경험서사의 상호 소통 능력의 신장을 이룰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s a project to take shape an identity as a writer for student. So I take note of experiential narrative writing. This study analyze 1930~1940s Korean autobiographical novels for educational content design of experiential narrative writing. Especially 1930~1940 autobiographical novels have strong association between private experience and social-cultural context. Thus 1930~1940 autobiographical novels are useful resource for extract principles of experiential narrative writing. This study do research common directivity, writing type, and narrative strategies among 1930~1940 autobiographical novels. As a result, I found that exploration of person’s inner-side, symbolization of experience and aesthetic plot-making, making meaning of experience in social-cultural context as common directivity. Next I found that epistolary novel, reminiscence novel and journey novel as meaningful narrative form in literary education. And I found that sincerity - emphasis through person’s confession, common experience - emphasis for reader’s empathic understanding, self-examination through assumed ‘others’. Based on this theoretical survey, the present study design the activity of experiential narrative writing in literary classroom. This activity is make up four steps: ① motivation of self-expression and setting of directivity, ② finding and changing of light-motif experience, ③ separation of experiencing self and narrating self, ④ setting of ‘others’ and conversation as a method.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develop self-expression competence, communication skill of experiential narrative and identity-literacy for students in literary education.

      • KCI등재

        이병주 소설의 원형으로서의 『내일 없는 그날』

        추선진 ( Sun Jin Chu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2 인문학연구 Vol.0 No.21

        본고에서는 이병주 소설의 원형인 『내일 없는 그날 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병주는 1957년 8월 1일부터 1958년 2월 28일까지 부산일보에 내일 없는 그날』을 연재했다. 그런데 내일 없는 그날 이 이병주의 첫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대중소설인 신문연재소설이었던 까닭에 등단작이라고 보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연구 성과 역시 거의 없다. 그러나 『내일 없는 그날』은 이병주의 소설 세계가 가진 주요 특징을 보여주고 있는 소설로, 등단작으로 알려진 『소설·알렉산드리아보다』 앞서 발표되어 이병주 소설의 원형을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라 볼 수 있다. 이병주 소설의 첫 번째 특성은 자전적이라는 점이다. 이병주는 소설을 통해 일제 강점기 학병으로 동원되었던 사실로 인한 죄의식에서 벗어나려 한다. 『내일 없는 그날』은 허구적인 요소가 강하여 완결된 허구의 세계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작가의 자전적인 요소가 현실에 대한 사실적인 반영과 어우러지면서 이후 이병주 소설에서 나타나는 사실과 허구의 경계 허물기에 대한 시도가 엿보이는 작품이다. 이병주 소설의 두 번째 특성은 현실에 대한 중립적인 태도를 지향한다는 점이 다. 이병주는 소설을 통해 현실, 사실에 대한 객관적인 ``기록``을 남기려 하고 또 이를 통해 역사가 서술하지 못한 진실을 전달하려 한다. 이는 이병주가 활동한 시기의 억압적인 사회 분위기에 대한 반발이며 역사가 가진 헤게모니에 대한 반발이다. 이 때문에 이병주 소설에는 중립적인 시각을 가진 지식인이 등장하여 현실을 파악하고 분석하며 사실을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내일 없는 그날』에는 성유정이라는 인물이 이러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병주 소설의 세 번째 특성은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인 행동이 등장한다는 것이다. 이병주 소설에는 현실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으로 복수나 테러 등이 나타난다. 이러한 대응방법은 이병주가 가진 ``운명``에 대한 인식에 기인한다. 현실은 인과관계로 설명할 수 없으며 오직 운명의 논리에 의해서만 설명 가능하다. 이때의 운명은 우발적·우연적·비합리적·불규칙적인 삶의 방향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불합리한 삶을 보상받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행동, 복수나 테러만이 방법이 될 수 있다. 내일 없는 그날 에는 현실에 순응하는 인물과 저항하는 인물을 동시에 보여줌으로써 저항적 삶에 대해 고찰한다. Lee Byeong Ju published a novel "The day without tomorrow" serially at Busan Daily Newspaper from August 1, 1957 to February 28 1958. Though it was his first novel, it has not been viewed as such because it was published in a form of newspaper series and therefore there have been almost no studies on it. However, it is meaningful as the prototype of his novel. Firstly, it is autobiographical. Lee Byeong Ju attempted to escape from the guilty sense that he was recruited as a student soldie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ough "The day without tomorrow" looks fictional, it includes some realistic facts that show his attempt to destroy the border between fact and fiction. The second feature of it is that he maintained a neutral attitude. Lee Byeong Ju liked to leave an objective ``record`` on fact and deliver facts which history failed to represent. This is a reaction in the oppressive period in which he lived and a reaction against hegemonic history. Accordingly, his novel introduces an intellect with neutral perspectives to figure out reality and to deliver reality objectively. Seong Yu Jeong takes such role in "The Day without Tomorrow." The third feature of his novel is to take active measures to solve social problems. There are various ways of social actions such as revenge or terror. Such is caused by the recognition of ``destiny`` which Lee Byeong Ju had. Reality cannot be explained by a causal relationship but by logic of destiny. Destiny means accidental, contingent, unreasonable and irregular life direction. Thus, active behavior, revenge or terror can be a method to get compensation of irrational life. "The Day without Tomorrow" meditates on a mode of resisting life by contrasting people who conform to reality and those who resist it.

      • KCI등재

        자전적 소설 독해의 소설 교육적 의미 연구

        이평전(Lee, Pyeongjeon) 중앙어문학회 2018 語文論集 Vol.75 No.-

        이 논문은 김원일의 자전적 소설 「어둠의 혼」을 분석하면서 주체의 기억과 회상을 통해 그려진 내면과 정체성 형성의 상관성을 살피고 있다. 텍스트 속 인물의 관계에 따라 재현된 정체성과 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습자 스스로의 삶을 성찰하고 확립해가는 과정에서의 정체성을 소설 교육적 차원에서 논의하였다. 소설교육의 목적이 텍스트에 재현된 다양한 삶을 통해 타자와의 공존을 모색하고 인식하는 것이라고 전제할 때, 학습자의 스스로에 대한 성찰과 주체에 대한 탐색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는 문학교육의 일반적이고 공통적인 목표라고 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자전적 소설 「어둠의 혼」을 독해하는 일은 정체성의 형성과 주체 탐색의 경로를 확인하는데 의미 있는 단서를 제공해 준다. 월북한 좌익 아버지로 인해 ‘연좌제’를 의식하면서 살 수 밖에 없었던 김원일은 자신의 정체성에 새겨진 두려움을 외부자의 시선을 가진 아이를 통해 이데올로기의 허위와 폭력성을 고발하면서 그 공포의 역사적 원천을 허구적인 것으로 전유해 나간다. 그것은 자전적 이야기의 형태를 띤 일종의 증언으로 당대 한국 사회에서 허용된 비판적 질문에 대한 주체의 적극적인 응답으로 독해할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s Kim Won-il’s autobiographical novel, Soul of Darkness,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and internalization drawn through memory and subject recall.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s in the text and understanding the reproduced identity in the text, the identity of the learner’s self-reflection process was discussed at the novel educational level. The purpose of novel education is to explore and recognize coexistence with others through the various lives that are reproduced in the text. The learner’s self-reflection and search for the subject are most important. This is a common goal of literary education. In this context, reading the autobiographical novel, Soul of Darkness, provides meaningful clues to identify the path of identity formation and search for subject. Kim Won-il was forced to live while being conscious of the ‘paternalistic system’ due to the absence of his North Korean leftwing father. He questioned the false and violent nature of ideology through the eyes of a child with an outsider’s fascination in his identity. I get harmful. The novel is a kind of testimony in the form of an autobiographical narrative that can be read as the subject’s active response to the critical questions allowed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한ㆍ중 자전적 신변소설 연구

        김영희(Kim, Yeong-Hee) 한국문학회 2012 韓國文學論叢 Vol.62 No.-

        본 논문은 현진건의 〈타락자〉와 욱달부의 〈타락〉을 실례로 한국과 중국의 자전적 신변소설의 양상을 살펴보자고 한다. 한국과 중국의 근현대소설사에 나타난 새로운 양식의 소설-자전적 신변소설은 일본 사소설의 영향 하에 나타났기에, 본고는 우선 일본 사소설의 특성에 비추어 현진건과 욱달부의 일본 사소설 및 그 양상을 살펴보면서 이를 통해 한ㆍ중 두 나라 자전적 신변소설의 양상과 그 의미를 짚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한ㆍ중 두 나라 근현대소설사의 형성과 확립 과정을 돌아보고, 더욱이 현진건과 욱달부의 문학사적 가치와 의의를 규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state of China and South Korea’s autobiographic novel through Hyeon, jin-geon’s 「The Fallen」 and Yu Da-fu’s 「Sink Into Depravity」. As the new form of China and South Korea’s modern novels, autobiographic novel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Japanese private novel. Therefore, this paper first discusses the concept and literary characteristics of the Japancese private novel and studies the state reference samples learned from Japanese private novel by Hyeon, jin-geon and Yu Da-Fu, and on this basis, explores specifically the state and significance of China and South Korea’s autobiographical novel through 「The Fallen」 and 「Sink Into Depravity」. As part of studying both countries’ modern novels, this paper can provide a reference for reviewing the forma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modern novels, and at the same time, help to clarify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Hyeon, jin-geon’s 「the Fallen」 and Yu Dafu’s 「Sink Into Depravity」 towards the history of China and South Korea’s modern literature.

      • KCI등재

        김유정 ‘도시소설’의 근대성

        이익성(Lee Ick-seong) 한국현대문학회 200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4

        본 논문의 목적은 김유정의 도시 소설에 나타난 근대적 성격을 살피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김유정의 근대 인식과 도시의 문제를 논의하였다. 김유정은 근대적 과학 문명이 인간의 소외를 불러왔기 때문에, 이러한 인간의 소외가 가장 직접적으로 나타나는 곳이 도시라고 주장하였다. 그 결과 도시로 대표되는 근대적 생활은 궁핍으로 인한 고독과 소외를 야기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김유정은 당대의 실험적 예술을 비판하면서 반기교적인 것에 대한 호감과 의식의 흐름에 대한 반감을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은 김유정 도시소설이 지니는 특징이라고 생각되는 체험의 고백 정도이거나 도시 빈민의 단순한 관찰로 그치고 마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는 것이다. 김유정의 자전적 체험과 결부된 것으로 보이는 일련의 도시 소설들은 빈곤이라는 주제 의식을 바닥에 깔고 도회 속에서 느끼는 개인의 고독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작가적 전망이나 문학적 의장에 대한 배려가 거의 나타나지 않음으로서 소설사적 의미망을 획득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유형의 소설은 앞에서 논의한 김유정의 근대인식과 결부되어 있다. 즉 이러한 유형의 소설은 학생 시절의 일탈된 행동이라는 체험이나 소설 창작을 하면서 누이 집에서 실업 상태에 대한 작가 자신의 견해를 직접적으로 드러내 보이면서 소설적 의장에 대한 배려를 최소화하여 드러내고 있다. 관찰적 도시 소설은 도시 하층민으로서 거지 어린아이나 빈곤층에 속하는 서민(이농한 달동네의 서민이나 술집 여급)들의 소외의식을 제기하고 있다. 그리고 관찰적 도시 소설에서 작가는 근대의 표상이라고 할 수 있는 도시에 대해서는 때로는 활기찬 모습으로, 때로는 비정한 모습으로 그려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survey the modernity of the urban short-stories of Kim Yu-jeong. At first I argued the modern consciousness of the author Kim's writing such as his letters and miscellanies. In his writings he insisted that the modern scientific culture resulted in the human alienation, and that the human alienation revealed in the modernized city. So he described the modernized city as the place of the povery and of the solitude. In his author-biographical short-stories author Kim described the personal unemployment and poverty. But this type of the short-stories he did not reveal the literary devices. So they was not achieved the meaning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his observatory short-stories he described the persons of the children beggar and the urban poor, that is the city persons in the surbub who were leaving rural community and the serving women in the pub. At these works he focused the solitude of these characters.

      • KCI등재

        김일엽 초기 소설의 서술 방식 연구-『신여자』에 수록된 네 편의 소설을 중심으로-

        이경란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2 No.-

        This article discusses Kim Il-yeop’s early four novels included in 『New Woman』 : 「Revelation」, 「One Girl’s Death」, 「I Go」 and 「The Life of a Young Widow」 which, it argues has been created in the tension of the author’s desire of creating literary narrative and her desire of ideological enlightenment. In order to strike a balance between two extremes, the author experimented with a number of narrative techniques. At the beginning of the writing, she seemed to have established her identity as a social reformer rather than a literary writer. This is why her first novel 「Revelation」 focused on the plot or theme and neglected aesthetic elements. In 「One Girl’s Death」 she experimented with the technique of “showing” with a literary consideration, but she still failed to control ideological motivation and confused narrative and viewpoint operation. Subsequently, she then adopted a first-person narrative format to adjust the will of her social transformation to the extent that it would not undermine the aesthetic hierarchy. First-person novels are classified into ‘peripheral first-person novels’ and ‘similar autobiographical first-person novels’. The difference comes from the arrangement and composition between narrative-subject ‘I’ and other persons as experience-subject. 「I Go」 and 「The Life of a Young Widow」 while they are both written in the first person narrative, but they produced different narrative effects with different arrangements of narrator and character. The reason that 」「I Go」 adopted the former type was directly related to the problem of the author’s trust – the author was unable to give the role of narration to the experience-subject. The social discourse in which the value of the new and the old collide and the enlightenment becomes the good, established a hierarchy between the enlightened narrative-subject and the traditional experience-subject and embraced the initiative of the narrative-subject. As a result, the narrator exceeded her narrative range limit, and the experience-subject was silenced and ostracized. It is an example in which the excessive emphasis on the narrative-subject weakened the personality of persons. Complementing the above weakness, 「the Life of a Young Widow」 was written in ‘similar autobiographical first person’ point-of-view, and the person suitable for this type was selected to lead the story. In order for a experience-subject to be a narrative-subject, or to narrate the experience of the first person ‘I’, ‘I’ need to have not only the experienced oppression of the old regime, but also the cognitive ability to understand and describe the oppression and contradiction at the same time. The narrator who was experienced as the ‘young widow’ of this novel becomes a narrator who was awakened by the a glance experience with a man, and was able to narrate her life. This means that she was a person of judgment and cognitive ability who was able to view her experience from objective distance and also in social context with its implications. As a subject who learns, and who narrates, this woman symbolizes the ideal that the artist intended to portray through 『New Woman』. After repeated experiments, Kim Il - yeop found an appropriate balance between enlightenment will and novel aesthetic will. By decreasing the intervention of the narrator in particular, it became possible to get closer to the figure that she was trying to portray in the 『New Woman』. 본고는 『신여자』에 수록된 김일엽의 초기소설 「계시」 「어느 소녀의 사」 「나는 가오」 「청상의 생활 」이 작가의 문학적 서술욕망과 이념적 계몽욕망의 긴장 속에서 창작되었다고 본다. 작가는 두 극단 사이의 균형 지점을 찾기 위해 매번 다양한 서술기법을 실험하였다. 집필 초기에 작가는 자신의 정체를 문학가보다 사회 개혁가로 설정한 것으로 보인다. 첫 소설 「계시」가 줄거리나 주제에 주력하고 미학적 요소에 소홀했던 것은 이런 까닭이다 . 「어느 소녀의 사」에서 문학적 고려로 ‘보여주기’ 기법을 실험하지만 작가는 여전히 이념적 의욕을 제어하지 못해 서술과 시점의 운용에서 혼란을 보인다. 이후 당시 우리 문단을 풍미한 일인칭 서술 형식을 채택하여 미학적 층위를 크게 훼손하지 않는 범위로 자신의 사회 개조의 의지를 조정해 간다. 일인칭 소설은 ‘주변적 일인칭 소설’과 ‘유사 자전적 일인칭 소설’로 구분되며 그 차이는 서술주체 ‘나’와 경험주체 간의 배치와 구도에서 비롯된다. 「나는 가오」와 「청상의 생활 」은 동일한 일인칭 소설이지만 서술자와 인물의 배치를 달리하며 다른 서술효과를 낳는다. 「나는 가오」가 ‘주변적 일인칭 소설’의 유형을 채택한 것은 경험자아에게 서술을 맡길 수 없었던, 작가의 인물에 대한 신뢰의 문제와 직결된다. 신·구의 가치가 대립하고 계몽이 선이 되는 사회 담론은 개화된 서술자아와 전통적 경험자아 사이에 위계를 설정하고 서술자아의 주도성을 용인했다. 결과적으로 서술자아가 자신의 서술범위 한계를 초과하고, 경험자아는 침묵 속에 타자화되었다. 서술자아의 과도한 위상 강화가 인물의 주체성을 약화시킨 것이다. 위 약점을 보완해 「청상의 생활 」은 ‘유사 자전적 일인칭’ 형태로 구성되었고 이 형식에 적합한 여성인물이 선별되었다. 주체로서의 경험자아가 동시에 서술자아가 되려면, 즉 일인칭 ‘나’가 자신의 경험을 스스로 서사화하려면, ‘나’는 구시대 억압의 경험을 보유하면서 그 억압과 모순을 이해하고 서술할 수 있는 인식적 능력을 겸비해야한다. 이 소설에서 ‘청상’으로서의 경험자아는 한 남성과의 일별의 경험으로 자각된 서술자아가 되어 자기 삶을 서사화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그녀가 자기 경험을 객관적 거리에서 바라볼 수 있으며 그에 내포된 사회적 맥락까지 직시하는 판단력과 인지 능력은 갖추었다는 의미이다. 배움의 주체, 서술적 주체로서의 이 여성이야말로 작가가 『신여자』를 통해 목표하던 이상적 인물이라 말할 수 있다. 여러 차례의 실험을 거듭한 끝에 김일엽은 계몽적 의욕와 소설 미학적 의지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점을 발견하였다. 특히 서술자의 개입을 축소하면서 오히려 자신이 『신여자』를 통해 구현하고자 하던 인물상에 더 근접할 수 있게 되었다.

      • KCI등재

        자전적 성장소설을 활용한 서사적 윤리 실천을 위한 소설교육

        선주원(Seon, Ju 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

        This paper examined how the student reader coul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a autobiographical novel during reading the autobiographical novels having a growth narrative, how could understand the truth of a life through the understanding about the narrator s growth process, and how the student reader s narrative identity is renewed through the understanding about the narrator s growth process, how the novel teaching do for the praxis of a narrative ethics in this process. As a result, researcher could know that the student reader understood the characteristic of a autobiographical novel represented the growth narrative as a saying the life truth by a reminiscence by a remember, the narrator s narrative identity was revealed through saying the growth process by a memory, and the narrator s narrative identity could be examined in a time dimension, social dimension, commentary dimension. In addition, the renewal of a chance provision of a self reflection, the renewal of a narrative identity, a praxis of a narrative ethics through the understanding about the narrator s growth process. 이 글은 학생 독자가 자전적 성장소설의 특성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지, 화자-주인공의 성장 과정과 서사적 정체성에 대한 이해를 통해 삶의 진실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지, 그리고 화자-주인공의 성장을 자신의 삶에 연계하여 자아 갱신을 어떻게 도모할 수 있는지, 나아가 학생 독자가 서사적 윤리를 실천하게 하는 소설교육은 어떠해야 하는지를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 학생 독자는 자전적 성장소설의 특성을 회상에 의해 삶의 진실을 말하기, 그리고 경험 주체와 서술 주체의 분리에 의한 논평적 태도의 제시 등으로 이해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화자-주인공의 성장 과정을 통해 드러나는 서사적 정체성은 시간적 차원, 사회적 차원, 논평적 차원에서 논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화자-주인공의 성장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학생 독자는 자아 성찰의 계기 마련, 자아의 갱신, 서사적 윤리의 실천 등을 수행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대나무 숲을 멀리하고』의 비평에 관한 몇 가지 문제

        이기석 ( Lee Kisuk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6 동화와 번역 Vol.32 No.-

        요코 카와시마 왓킨스의 소설 ”대나무 숲을 멀라하고“는 1986년 미국에서 출판되었다. 저자인 요코 자신이 11살 때 겪었던 경험을 토대로 쓴 자서전적 소설로서 그 시기는 2차 대전 말기 1945년 78월경이고그 무대는 조선의 함경북도 나남 (오늘의 청진)시 인근이다. 일본의 패망으로 인해서 요코의 가족은 아버지와 오빠를 남겨둔 채로 엄마와 언니인 코와 요코 자신 셋이서 열차를 타고, 걷기도 하고 하면서 수많은 역경을 겪어가며 서울을 거쳐 부산으로 해서 결국 일본으로 탈출해 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이 소설이 출판되자마자 미국 내에서는, 특히 청소년 문학으로서 큰 호응을 받게 된 반면에 재미 한인 사회와 한국에서는 크게 비판을 받았던 것이 사실이다. 한국에서는 좀 심하게 표현하자면, 이 소설이 거짓이라는 주장이다. 지리와 토양적 특성을 가지고 볼 때 이 소설 속에 자주 등장하는 “대나무 숲”은 맞지 않으며, 소설 속에서 나오는 미군의 폭격도 당시 함경도 지방에서는 없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 또한 아직 일본군의 지배하에 있었던 당시로서는 한국인의 일본인에 대한 성폭행 내지는 성추행 같은 것이 불가한 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소설 속에서는 묘사되고 있다고 지적되고 있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 제기에 대하여 본질적으로 내재적 읽기라는 것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즉 소설 속의 어느 한 단락만을 떼어놓고 논하기 보다는 소설전체라는 맥락 속에서 제기된 문제에 접근하고자 노력하였다. 저자는 이 소설을 쓰면서 한일의 역사적 관계, 특히 식민지시대의 한일 관계사를 특별히 염두에 두고 쓰지는 않았다. 따라서 가해자 일본과 피해자 한국이라는 이분법적 틀 속에 이 소설의 구도를 잡지 아니하였다. 그러면서도 당시 군국주의, 제국주의 일본의 전반적인 국가 시책에 무조건 지지. 찬양. 고무하는 입장 대신에 인간성에 기초하는 보편적인 개념들, 즉 평화와 사랑과 행복을 추구하면서 전쟁반대를 명시적으로 밝히고 있음을 본다. 본국인 일본이 추구했던 국가이념에 따르지 않았던 것처럼 일본으로부터 조직적으로 받았던 한국인의 피해나 고통, 어려움 등에 대해서도 특별한 의도로써 염두에 두고 있지는 않았던 것 같다. 다른 한편으로 대나무 숲의 존재여부 및 미군폭격의 진실성 여부, 성폭행의 유무 등의 이슈들에 대해서는 픽션으로서 작가의 상상력의 문제 내지는 기억의 한계, 그리고 소설과 역사적 사실과의 관계 등으로 설명이 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In sharp contrast to the great plaudits it received in the U.S. when published in 1986, Yoko Kawashima Watkins` So Far From the Bamboo Grove was severely criticized and even denounced in Korea for some factual errors in the story. Among them were issues of the bamboo grove of Nanam (today`s Cheongjin), the U.S. air strikes in North Hamkyong Province, and Koreans` sexual attacks on Japanese civilians, to take only a few. Dealing with such issues, this paper premises that Yoko`s story is not part of any historical document but an autobiographical novel based on the experience she herself had through the lens of only an 11yearoldgirl. When taking this into account, this paper contends that the abovementioned issues may come to be of no significance. As a fiction, if it is not necessary to refer to any of geological and/or climatological analysis of Nanam, North Hamkyong Province, it does not matter whether or not bamboos, which are repeatedly depicted in the story, can actually grow in the area. If it is accepted that this will be a fiction but not a documentary record, then it may also be available to permit the scenes of the U.S. air strikes on evacuating trains to be portrayed using what she had been told and educated during the war time. As to the third issue of Koreans` sexual attacks on Japanese civilians, this paper does not agree with the claim that such a thing could not occur since Korea was still strictly under the Japanese law and order in the months of July and August of 1945. In addition to this all, this paper points out that even though nowhere in the novel is a description of Japan as an imperial assailant and Korea as a victim, it is not true that the Yoko`s family was unconditionally in support of Tojo, the war in particular, and Japanese militarism in general.

      • KCI등재

        试析张爱玲自传体小说三部曲《雷峰塔》《易经》及《小团圆》

        朴云?(Park Woon Seok),孟維(Meng Wei) 동아인문학회 2012 동아인문학 Vol.22 No.-

        張愛玲은 자전적 소설 삼부곡(《뇌봉탑(雷峰塔)》,《역경(易經)》,《소단원(小團圓)》)에서 자신의 삶을 통하여 자신이 이미 경험하여 체득한 인생 역정의 토대 위에 여주인공이 성장하고 성숙해 가는 여정에 대하여 예술적인 가공을 더함으로써 한 여인의 삶과 그 가족의 희로애락을 표현하였다. 따라서 그녀의 자전적 소설 삼부곡은 자서전적 성격이 아주 강하다고 볼 수 있다. 張愛玲의 작품은 반어적인 풍자로 유명하다. 자전적 소설 삼부곡도 제목뿐만 아니라 등장인물의 이름과 서사(?事)의 시점에 있어서까지 반어적인 풍자수법을 잘 이용하여 메시지 전달 이상의 예술효과를 꾀하였다. 張愛玲의 작품은 모두 여성의 시점에서 여성이 처한 상황과 생존위기를 그렸다. 그러나 張愛玲 초기 작품에서 나오는 여성들은 대부분 남자에게 종속되어 있는 상황에서 생존위기에 빠져있고 자신감과 자아의식이 부족한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 張愛玲의 자전적 소설인 《소단원(小團圓)》에서는 이전 작품과 달리 작품 전체가 여성주의 사상으로 가득차 있다. 張愛玲 중후기(中後期) 소설은 그녀의 초기 소설에서처럼 의도적으로 아름다운 색채를 이용한 표현으로 지나치게 꾸미려 하지 않고, 청아하고 수수한 표현수법으로 사물을 묘사함으로서 담담하고 자연스럽게 그려내었다. 그리고 작품 속의 형상(意象) 들은 점점 추상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張愛玲의 자전적 소설 삼부곡은 표현에 있어서 담담하고 자연스러우며 그 속에 담긴 사상은 더 깊어졌다. 張愛玲 중후기 작품의 창작의도는 현실의 사소함과 평범함 뒤에 숨겨져 있는 내면적 진실의 세계로 회귀하여 생명 자체의 깊이를 성찰하는 데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