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배려 방법으로서 자기탐구보고서 쓰기 사례연구

        이연수 ( Lee Youn Soo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8 초등도덕교육 Vol.0 No.60

        배려에는 두 가지 측면이 있다. ‘타인에 대한 배려’와 ‘자신에 대한 배려’가 그것이다. 도덕교육에서 ‘자기배려’는 타인 배려와는 달리 자기중심성 혹은 이기심과 관련된 것으로 여기고 타인 배려만큼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어 왔던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자기배려에 대한 교육을 소홀히 하거나 가볍게 여길 수는 없다. 왜냐하면 자기배려는 타인 배려와 상충하거나 대립하지 않으며, 건전한 배려의 토대가 되기 때문이다. 자기배려가 건전한 도덕성과 인성의 기초라면 자기배려를 신장시킬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자기배려의 방법으로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글쓰기, 대화, 독서, 명상, 경청 등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이 얼마나 효과적인지에 대한 실제적이고 경험적인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배려의 방법으로서 자기배려가 갖는 의미를 잘 드러내고 도덕적 주체로서 삶의 형성이라는 도덕 교육의 목적을 잘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되는 글쓰기 가운데 자기탐구보고서 쓰기에 주목한다. 즉 자기배려의 방법으로서 자기탐구보고서 쓰기가 갖은 의미와 자기배려에 대한 함의를 실제 자기탐구보고서 쓰기 사례 연구를 통해 질적으로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결과, 자기탐구보고서 쓰기는 관계성에 대하여 조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계적 자기 형성에 이바지하며, 자기 삶의 저자와 주인공으로서 주체적으로 자기 존재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며, 자기이해, 자기수용, 자기사랑의 과정을 통해 자아의 성장과 발전에 도움을 줌으로써 자기배려의 실효성 있는 방법임이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resent study is to offer the alternative method as caring for self. Research Question 1. Do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have any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writing a self-exploring report? Research Question 2. What does writing a self-exploring report mean to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for their lives? Research Question 3. What does writing a self-exploring report mean to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for a self-caring? Human beings live in their narrative. Narrative is the style of life. Writing a self-exploring report is presented as example and method of narrative in this study. Writing a self-exploring report gives self-understanding to preservice teachers. In other word,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 self and others in the process of conforming a self-exploring report This study showed that writing a self-exploring report is suitable for the alternative method in caring for self.

      • KCI등재

        일반논문 : 교육과정 탐구주제로서의 자기배려(self-care): 쿠레레(currere)를 통한 자기이해(self-understanding)

        정정훈 ( Jung Hoon J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5

        교육적 담론으로서 배려는 ``타인을 위한 배려``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남성 중심적이고 배려하는 사람 중심의 단방향적이고 때로는 왜곡된 배려가 교육적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한국 교육문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은 안타까운 일이다. 나는 자신을 배려하지 않는 사람이 왜곡된 방식으로 타인을 배려하는 경향이 크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 문제 개선을 위한 한 방법으로 자기이해를 통한 자기배려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타인을 위한 왜곡된 배려의 문제점 지적과 자기배려의 당위성을 논한 후 자기이해가 어떻게 자기배려의 한 방법이 될 수 있는지 숙고할 것이다. 나아가 자기배려적 관점에서 교육은 어떤 모습이 될 수 있을지 제안하고자 한다. 2000년이 넘는 시간 차이를 두고 동양과 서양에 살았던 두 선각자 Socrates와 최시형으로부터 우리는 자기배려가 ``신으로부터 주어진 가장 숭고하면서도 거부할 수 없는 개인의 의무``라는 것을 배울 수 있다. 그들은 또한 그것의 실천에 있어 ``오늘-여기``에서 자신과 유연하고 창의적인 관계를 맺는 윤리적 주체가 되어야 함을 가르쳐준다. 이를 위해 우리는 우리의 관점, 행동, 그리고 일상적 삶을 규정짓는 요소들에 끊임없이 의문을 제기해야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우리를 조건 짓는 구조들에 완전히 굴복하지 않고, 새롭게 생각하고, 행동하고, 나아가 새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다. 현재의 삶이 유일하며 필연적인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기 위해서 우리는 자신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자서전적 탐구를 통한 자기이해가 보다 실존적이고 유연한 자기-자기 관계로의 가능성을 열어주고, 자신만의 기준으로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출발점을 제공해 준다는 점에서 자기배려의 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 The concept of care has been mainly focused on care-for-others in educational discourses. The discourses have been dominated by male perspectives, and the caring approaches were linear rather than communal or reciprocal. Korean education has been negatively affected by those kinds of practices of those who do not care for them selves. Considering the dare consequence of ``poisonous pedagogy`` this article first discusses the primacy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self-care. It then suggest that self-understanding through autobiographical inquiry can be a way for self-care. It finally proposes how an education with respect to self-care looks like. Socrates and Haewol teach us that care-for-the-self is essential in our lives: it is impossible to deny or reject it; care-for-the-self is extended to care-for-others; for self-care one shall consider ``here-and-now``, and become an agency that builds creative relationship with self. To do so, one needs continuously to question external structures that condition us, the way one lives, and thinks. One should not entirely resort to structures, and one needs to and can create new ways of lives. I suggest that this study may open new possibilities for self-understanding to be a way of making anew self-self relationship, which thus can be a way of self-care in that self-understanding may provide one with an opportunity for one to live with one`s own standards.

      • KCI등재

        Noddings와 Foucault 이론의 비교 분석을 통한 자기배려 교육의 방향 정립

        허영주(Hur, Young-Ju)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3 敎育思想硏究 Vol.27 No.3

        이 글은 자기배려를 강조한 Noddings와 Foucault의 자기배려 이론을 비판적으로 비교ㆍ분석함으로써 자기배려 교육이 지향해야 할 목적과 내용, 그리고 교육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첫째 Noddings와 Foucault의 자기배려의 개념과 자기배려와 타인배려와의 관계를 어떻게 규명하고 있는지를 비교함으로써 자기배려교육이 지향해야 할 교육목적을 정립하였다. 둘째, 두 학자의 자기배려의 구성요소를 분석함으로써 자기배려 교육이 다루어야 할 내용을 추출하였다. 셋째, 두 학자의 자기배려의 방법을 비교ㆍ분석함으로써 자기배려 교육의 방법들에 대한 시사점을 얻었다.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배려 교육의 목적은 Noddings의 자기배려처럼 자기수용과 자기완성에 머물러서는 안되며, Foucault처럼 좋은 삶을 위한 적극적 자기변형을 통해 자기구원(초월)에 도달하는 것까지도 포함해야 한다. 또한 자기배려 교육은 타인배려를 위한 교육활동과 연계되어야 한다. 둘째, 자기배려 교육의 내용은 자기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자기수용에서 시작해서 자기수련과 자기연마로 옮겨가야 한다. 이를 위해 현실적 배려내용을 대상으로 반성적 사고를 함양해야 하고 자기변형을 위한 영적 앎과 장착된 참된 진리를 사유를 이용한 명상을 통해 행동으로 옮길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셋째, 자기인식과 자기이해를 위해 그리고 자기구원을 위한 변형의 방향성을 얻고 영적 앎을 획득하기 위해 자기경청, 자기대화, 자기 표현적 글쓰기, 교사의 말 경청과 독서 그리고 독서한 내용에 대한 글쓰기를 활용해야 한다. 또한 장착한 진리에 대해 사유하는 명상을 통해 지성을 개발하고 생각하는 법을 다듬어야 하며, 학생들이 일상적인 삶에서 접하게 되는 구체적인 주제에 대해 대화해야 한다. 교사는 자기배려를 실천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모범이 되어야 하며, 학생들이 자유롭게 대화할 수 있는 분위기를 형성해야 한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최적의 순간에 최적의 형식으로 학생에게 진실을 말해 줌으로써 학생들이 진실을 수용하고 자기배려와 만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each theory's strengths and limitations through comparison analysis of Noddings and Foucault's theory, and suggest that direction future development should take self-care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is study, first, I claim that purpose of self-care education based on that Noddings and Foucault how have been conceptualized about self-care and about relation between self-care and others-care. Second, I abstract that contents of self-care education based on that two theorists how have been defined about the essential ingredients for self-care. Third, I assert that methods of self-care education based on that two scholars how have been provided about methods of develop self-care. As a result, purpose of self-care education didn't remain in the self acception and self realization, and go out into the self transcendence and self rescue through self-transform. Also, self-care education must be expanded to others-care education. Contents of self-care education begin to accurate understanding about self and shifts to cultivate and training body and mind of self. Methods of self-care education use listening courteously about self, self-talk, self-expressive writing, listening on teacher's talk, reading and writing about reading, cultivation of reason through meditation contemplation.

      • KCI등재

        미셸 푸코의 자기 배려와 그리스도교 영성에 관한 고찰

        이충범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2018 신학연구 Vol.55 No.2

        Contemporary churches have had lively discussions regarding the definition and methodology of Christian spirituality. However, there still exists diverse drawbacks and chaotic confusion in terms of definition of spirituality. This essay aims to figure out the concept of the care of the self(epimuleia heautou) developed by the a French philosopher, Michel Foucault(1926-1984). In doing so, it will provoke productive debate on the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for the consensual agreement among Christian milieu. For Foucault, spirituality is a creative and aesthetics process that the self constructs him/herself as an art. Thus, he calls the care of the self as the aesthetics of the existence. Additionally, by doing so, Foucault has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of an ethical autonomous self which enables the self to escape from the Cartesian rational subjectivity which was formed by the conspiracy between the power and knowledge in discourses. According to Foucault, the philosophy, both in the ancient Greece and in the late antiquity in Rome, embraced both the self-recognition and self-consideration. A true philosophy evokes an holistic transformation or metamorphosis of the self. So to speak, philosophy was a spiritual discipline. However, since Christian fathers in late antiquity have developed their own technologies of the self-consideration, the pivotal idea of the care of the self has been substantially transformed from the self-care to self-recognition. The penitential rite forced the self to interrogate itself. Christian asceticism began to impose the purgatorial obligations on the self. Thus, the autonomy of the self-cultivation has disappeared among Christian self technology and finally the self fell in the pitfall as the object to govern. 최근까지 영성의 정의와 방법론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성이 무엇인지 여러 견해들이 혼재한다. 미셸 푸코는 영성이란 자기 스스로 자기를 만들어가는 창조적이고 예술적인 작업이라고 보고 있으며 이는 자기 배려를 통해 구현된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 작업은 철학사 내에서, 특히 고대철학과 로마제정시대의 철학 내에서 구현되었다고 확인하였다. 그러나 푸코는 현대철학이 자기인식에만 집중하고 자기 배려를 상실했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리고 고대 헬레니즘과 로마시대의 철학은 자기인식이 자기 배려의 준비과정 정도였다는 것을 역사적으로 확인하였다. 즉 진정한 철학은 자기 수양론을 중심에 두었었으며 향 후 철학은 이런 모습을 되찾아야만 한다는 것을 역설하고 있다. 자기 배려는 철학의 목적이자 주제였는데 자기를 스스로 배려하는 기술을 통해 자기 스스로 자신을 변형해가는 것이 자기 배려의 핵심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자기 배려가 그리스도교에 의하여 변화를 겪는데 그리스도교는 자기 배려를 자기 인식으로 전환하였다. 그리고 자기 인식을 통해 그리스도교가 발견한 주체는 죄와 욕망으로 얼룩진 부정적 실존이었다. 따라서 그리스도교 자기 배려의 목적인 구원과 영생을 위하여 그리스도교는 금욕주의와 고행을 자기 배려의 기술로 발전시켰다. 푸코는 바로 이 그리스도교 금욕주의에 의하여 서구의 영성은 자발성과 창조성이 강조되었던 헬레니즘과 로마시대의 자기 배려와 달리 사목통치의 대상이 되고 말았다고 진단한다. 결론적으로 고대의 자기 배려와 그리스도 영성의 핵심적인 차이는 ‘스스로 만들어가는 자기’와 ‘규율과 사목에 통제와 지도에 의하여 만들어진 자기’의 차이, 즉 창조성과 자발성의 여부에 있다.

      • KCI등재

        미셸 푸코의 ‘자기배려’와 근대교육

        정규영 ( Chung Kyu Young ) 한국교육사학회 2021 한국교육사학 Vol.43 No.4

        이 논문은 자기배려 개념의 성립 경위, 그 의미, 교육학적 함의, 그리고 근대교육과의 관계를 해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자기배려 개념의 발굴로 향하는 푸코의 지적 탐색은 1976년경의 ‘욕망의 주체의 계보학’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여 1982년도 『주체의 해석학』 강의에서 완료된다. 자기배려는 소크라테스를 통해 철학에 도입된 이래 여러 세기에 걸쳐 서양의 철학적인 생존의 원칙으로 지속했다. 자기배려는 『알키비아데스』에서 지식·기능 습득의 교육과는 구별되는 영적이고 철학적인 파이데이아로 나타났다. 자기배려는 기원 1~2세기에 생의 준비가 아니라 생존 양식 자체, 미성년의 보완적 교육이 아니라 성년의 자기실천으로서, 평생 수행해야 할 철학적 파이데이아로 정착했다. 그것은 보편적인 격률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훈련과 수련 과정이 되었다. 그 주된 기능은 생의 준비와 적응이 아니라 비판, 투쟁, 치료였다. 자기배려 개념의 교육학적 함의는 ‘자기의 파이데이아’로 요약된다. 푸코의 자기배려 개념은 ‘우리들의 존재에 대한 끝없는 비판’이라고 하는 그의 근대 비판의 내부에서 출현했다. 푸코의 자기배려는 그의 근대교육 비판의 연장선상에 있다. 이 개념의 교육학적 함의로서 자기의 파이데이아는 근대교육과는 조화되기 어려우나 우리의 현대교육과는 보다 긍정적인 관계를 맺을 수 있다. This thesis aims to elucidate the appearance process of the concept of ‘care of the self’, its meaning, its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its relationship with modern education. Foucault’s intellectual quest toward the discovery of the concept of care of the self started with his interest in the ‘genealogy of the subject of desire’ around 1976 and was completed in the lecture of The Hermeneutics of the subject in 1982. The concept was introduced into philosophy through Socrates, and it has continued as a Western philosophical principle of existence for centuries. The care of the self appeared in Plato’s Alcibiades as a principle of the spiritual and philosophical paideia, distinct from the education of knowledge and skill acquisition. The concept of care of the self was established in the 1st and 2nd centuries AD as a principle of the philosophical paideia to be practiced throughout one’s life, not as a preparation for life, but as a mode of existence itself, not as a supplementary education for minors, but as a practice of the self for adults. It has not remained as a universal maxim of morality, but has become a practice of variety of physical and mental training courses. Its main function was not to prepare and adapt to life, but to criticize, struggle, and heal.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of the concept of care of the self can be summarized as Paideia of the Self. Foucault’s concept of care of the self emerged within his critique of ‘the endless critique of our existence’. Foucault’s care of the self is an extension of his critique of modernity and its education. As a pedagogical implication of this concept, Paideia of the Self cannot be easily harmonized with modern education, but it will be able to establish a more positive relationship with our contemporary education.

      • KCI등재후보

        자기 배려, 영성신학, 그리고 인격교육론

        이충범 한국인격교육학회 2017 인격교육 Vol.11 No.3

        Since Michel Foucault has developed his notion of the care of the self, called the aesthetics of existence, he has given insight to scholars such as theologians. Provided with the creative mode of the formation of self, Foucault has demonstrated structural autopsy of spirituality and spiritual discipline. Furthermore, by doing so, he has shown the possibility of an ethical autonomous self which enabled the self to escape from the modern subjectivity, that is, Cartesian rational subjectivity. Even though it is different from Foucault’s theory of the care of the self in detail, Christianity has developed its own economy of the principles of self formation in terms of spiritual disciplines. The fruits of these endeavors have also emerged in the name of spiritual theology in the late 19th and the early 20th centuries. Similarly, based on Asian traditions, Dr. Keay-Hark Lee has alluded that saramdaum education was a type of discipline of self formation. In this paper, Foucault’s concept of the care of the self is examined in comparison both with the Christian spiritual discipline and with the saramdaum education. These three have several commonalities in that, first, they embrace bodily cultivation in philosophy. Second, these theories have shared some hierarchical steps of the soul during the evolution of self. Last, these three commonly developed the principles of self cultivation,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the unremitting subjectivation. 영성에 대한 개념정의와 의미에 대한 물음이 지난해진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미셸 푸코에 의해 개진된 자기 배려와 실존의 미학은 영성에 대한 깊은 통찰을 주기에 충분하다. 푸코는 자기 배려라는 새로운 양태의 자기 구성 원리를 제공함으로써 영성 및 영성훈련에 대한 구조적인 해부학을 보여주었고 나아가서 스스로 구성하는 자기에 대한 희망적 원리를 제공하였다. 동시에 근대적 주체로부터 탈주할 수 있는 자율적 자아의 가능성을 드러냈다. 비록 푸코는 자기 배려의 원천을 고대 그리스적 전통에서 찾고 있지만 그리스도교 전통 속에 있는 영성신학 혹은 영성훈련 역시 일종의 자기 배려의 방식 중의 하나이다. 그리스도교는 오랫동안 영적인 성장과 자기 구성에 대하여 정치한 신학을 발전시켜왔고 이 신학은 20세기 초 영성신학이라는 모습으로 현시되었다. 유사하게 평암 이계학의 인격교육 역시 동양의 전통에 기반을 둔 자기 배려의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푸코의 자기 배려에 대하여 이해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자기 배려를 이해하면서 이를 전통적인 영성신학과 평암 이계학의 인격교육론의 시각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은 이 논문의 부수적 효과라고 할 수 있다. 자기 배려를 영성 및 인격교육론을 통해 이해하려는 틀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삶과 교육은 이론적이거나 지적인 유산을 계승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 훈련을 포괄한다는 것이다. 둘째 자기 배려, 영성신학 및 인격교육론은 실천의 목적성과 완성 혹은 완전을 위한 단계를 가진다는 것이며 셋째 이들 모두 정교하거나 혹은 거칠거나 수행법을 제공하거나 암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 KCI등재

        유아의 자기조절력, 부모-자녀 상호작용이 유아의 배려행동에 미치는 영향

        허자연,문혁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0

        Objectives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finteraction, child's self-regulation, and child's caring behavior in the early childhood. Methods A survey of 240 mothers with infants aged 4-5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as conducted to collect information on variables of interest. Parent-child interaction, infant's self-regulation, and infant's caring behavior were scored using valid and reliable scale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analyzed, and t-test and ANOVA were performed to see the difference in the respondent's caring behavior according to sociology-demographic character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Lastl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infants' self-regulation and parent-child interaction on infant's caring behavior. Results The average of infant caring behavior, self-regulation, and parent-child interaction was higher than average. Girls’ score of the considerate behavior, a sub-factor of caring behavio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boy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scores of caring behavior and the sub-factors of the caring behavior (consideration of others, respect for diversity) between high-income group and others.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hildren's caring behavior,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parent-child intera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infant's self-regulation was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fant's caring behavior, controlling for other variables. Conclusions We found that children's self-regula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children's caring behavior. To improve children's self-regulation, it is necessary to adopt a social relationship-centered paradigm in infant education fields. A future study is needed to examine the reason for not showing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infant caring behavior and parent-child interaction under the COVID-19 pandemic. 목적 본 연구는 유아에게 가장 영향력 있는 부모와의 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부모-자녀 상호작용 및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유아의배려행동과의 관계를 이해함으로써 유아교육 현장에서 사회적 관계 중심의 교육적 패러다임 변화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방법 관심 변인에 대한 정보는 서울, 경기에 거주하는 만 4~5세의 유아를 둔 어머니 총 240명 대상의 설문을 통해 수집하였다. 부모-자녀 상호작용, 유아의 자기조절력, 유아의 배려행동은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점수화하였다. 각 변인들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본 후 응답자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배려행동의 차이를 보기 위하여 t-검증과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측정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부모-자녀 상호작용이 유아의 배려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유아의 배려행동, 자기조절력, 부모-자녀 상호작용 세 변인 모두 평균이 보통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t검증 결과 하위요인인 타인배려행동에서 남아보다 여아의 배려행동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상관분석 결과 배려행동의 하위요인인타인배려행동, 다양성 존중과 배려행동 전체에서 소득이 높은 가구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아의 배려행동, 유아의자기조절력, 부모-자녀 상호작용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유아의 자기조절력만 유아의 배려행동에정적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아의 자기조절력은 유아의 배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므로 유아의 자기조절력을 향상시키는 방향의 사회적관계 중심의 교육 패러다임 변화를 꾀해야 한다. 아울러 선행 연구와 달리 부모-자녀 상호작용이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은 이유가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변화인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개인주의 사회의 윤리적 삶을 위한 실천양식: 푸코의 ‘자기 배려’를 중심으로

        최희진(Hee-Jin Choe)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3

        본 연구는 푸코가 〈주체의 해석학〉에서 조명한 ‘자기 배려’에서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의 윤리적 삶의 기술들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자기 배려는 자기가 자기와 맺는 관계로서 타자와 맺는 관계로 확대된다. 자기 배려는 자기 변형을 통해 타인과의 관계를 재조정하고 사회를 변화시키는 실천 윤리이다. 본 연구는 신자유주의의 또 다른 통치에 대항하여 개인이 실현할 수 있는 자기 배려의 삶을 위한 구체적 실천 양식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구체적 실천양식은 지배적 생각과 거리 두기, 주체적 사유의 연습과 글쓰기로 나를 형성하기, 앎을 일상에서 실천하기, ‘굽어보는 시선’ 의 연습이다. 이러한 자기 배려의 실천 양식들은 자기를 점검하고 변형하는 데 있어 타자와 세계를 의식 속으로 포섭한다. 따라서 자기 배려를 통해 팬데믹 시대의 개인들은 자기에게 충실한, 자기본위적 삶을 구축하면서 사회를 변화시키는 구성원으로서 거듭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ethical life skills in the era of the COVID-19 pandemic from the ‘care of self’ that Foucault highlighted in 〈The Hermeneutics of the Subject〉. Care of self extends to the relationship one has with oneself and one with others. care of self is a practical ethic that realigns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changes society through self-transformation. This study tried to derive specific practices for a life of care of self that individuals can realize against another rule of neoliberalism. Its specific practice style is keeping one’s distance from dominant thoughts, forming oneself through practice and writing of subjective thinking, practicing knowing in everyday life, and practicing ‘looking down’. These modes of self-care include the other and the world into consciousness in self-examination and transformation. Therefore, through care of self, individuals in the pandemic era can be reborn as members of society who change their lives while building a self-centered life that is faithful to themselves.

      • KCI등재

        자기성찰에 대한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지지, 주양육자의 공감, 자기리더십, 배려와의 관계

        김미숙,송민경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framework for a research model based on Dewey's theory of experience to grope for multilateral approach to strengthen the self-reflection during adolescence and to verify structural relationship by discovering internal·external variables related to self-reflection based on Psychological Theory of Erickson, Care Theory by Nel Noddings, and Manz's theory of self-leadership. To achieve this, this study was to collect data from 492 undergraduates in two high school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from October 31, 2018 to January 31, 2019 and to execute the latent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Bootstrapping analysis, and Sobel test by using SPSS 24.0 and AMOS 21.0.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family support perceived by adolescents, caregiver's empathy, self-leadership and car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elf-reflection and that the family support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caregiver's empath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reflection by full mediation of self-leadership and care. In particular, the self-leadership has been verified that the care affected the self-reflection, double mediated by the self-leadership. Through these results,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at family functioning was still important during adolescence and to verify that the self-leadership and care were important variables that could promote self-reflection as direct variables of introspection. To conclude, this researcher hopes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can strengthen adolescents' self-refle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시기에 자기성찰을 강화할 수 있는 다각적인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Dewey의 경험이론을 토대로 연구모형의 틀을 만들고, Erikson의 심리사회이론, Noddings의 배려이론, Manz의 자기리더십이론을 근거하여 자기성찰과 관련된 내․외적 변인들을 발굴하여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8년 10월 31일부터 2019년 1월 31일까지 경기도에 있는 2개 고등학교 재학생 492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4.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잠재구조모형 및 부트스트래핑 분석, 소벨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지지와 주양육자의 공감, 자기리더십, 배려는 자기성찰과 정적 상관이 있었고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지지와 주양육자의 공감은 자기리더십과 배려를 완전매개하여 자기성찰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리더십을 이중매개로 배려가 자기성찰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청소년 시기에도 여전히 가족기능의 중요함이 확인되었고 자기리더십과 배려는 자기성찰의 직접적인 변인으로 자기성찰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요한 변인임이 입증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가 청소년들의 자기성찰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이론적 근거로 활용되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

        자기 배려로서의 자기 인식과 파레시아: 미셸 푸코의 해석을 중심으로

        김세희 한국교육철학학회 2018 교육철학연구 Vol.40 No.1

        Michel Foucault explores the meaning of self-care for the Ancient Greek through the archaeological method. Self-care or the care for the self, as Foucault argues, has been unnoticed or hidden by the predominant understanding of self-awareness. It was, however, commonly understood by the ancient Greek as the universal precept and ethical practice. For them, self-awareness was rather subordinate to the practice of self-care. The reason to know and to examine oneself is mainly to care for the self. The Greek notion of Parrhesia, or “telling the truth,” is the first clue for us to understand the practice of the self-care. The Ancient Greek understood the meaning of human being nothing other than a relationship with the truth. It is this relationship that must be materialized in one’s life. Parrhesia indicates the act of truthful speaking even in case of life-threatening danger. This is a personal and existential resolution which is rooted in the very relationship one establishes with the truth. Therefore, truth is understood not as a matter of awareness, but as a statement which is performed throughout living. For this reason, the ancient Greek regards the subject “I” as a work of art. This paper examines Foucault’s interpretation on the self-care as follows: it is the ethical practice to relate words to life in harmony, and to cultivate the autonomous self towards the growth of life. 푸코는 고고학적 탐구방법을 통해 그동안 자기 인식에 가려 말해지지 많았던 자기 배려의 의미를 밝혀낸다. 자기 배려는 사실상 보편적 계율이자 윤리적 실천으로서 그리스 문화 전반에 퍼져 있었다. 이 시기에 자기 인식은 오히려 자기 배려의 실천에 종속되어 있었고 따라서 나 자신을 알고 검토해야 하는 이유는 나 자신을 배려하기 위해서였다. ‘진실 말하기’를 뜻하는 파레시아는 이 자기 배려의 이유와 방법을 설명하는 단초가 된다. 고대인들은, 우리 자신은 우리가 진실과 맺고 있는 고유한 관계에 다름 아니고, 이 관계는 삶속에서 구체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위험을 무릅쓰고 진실을 말하는 파레시아 행위는 내가 진실과 맺고 있는 관계에서 나오는실존적이고 개인적인 선택이다. 이런 이유로 고대인들에게 진실은 앎으로 그치는 인식의 대상이 아니라 이를 발언하고 그 발언에 부합하는 삶을 영위하게 만드는 것이었다. 그들에게 자기는 자기 자신이 빚어가는 예술작품과같았기 때문에, 진실과 맺는 관계로서 자기 배려는 말과 삶의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는 윤리적 실천이자주체로서 자기 삶을 변화시켜가는 자율적인 자기 수양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