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융복합은 어디에서 시작되는가- 융복합 시대 연구·교육자의 내적 지향

        박일우(Park, Il-Woo)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5

        본 논문은 융복합 연구·교육자들이 갖추어야 할 학문적 자세와 실천이라는 본질적인 문제를 다룬다. 최근 들어 융복합 담론은 양적으로 확대되었으나 대부분의 연구는 융복합의 기능적 접근을 다루었다. 게다가 융복합 추세 자체가 학계 내부의 요청이 아니라 산업계와 정부에서 먼저 제기된 것임에도 학계에서 이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충분한 성찰과 조탁의 과정이 결여되었음을 지적한다. 이에 본 논문은 융복합이란 비단 현재의 이슈가 아니라 모든 학문 역사의 순환적 과정일 뿐이며, 융복합의 목표 역시 오늘날의 지식산업사회가 요구하는 새로운 기술이라는 유용성을 추구하는데 두기보다는 자유와 삶의 의미를 제고하는 데 두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현재 진행 중인 융복합 연구·교육의 우수 사례를 분석하여 이 가운데에서 보이는 바 융복합 연구·교육자가 가져야 할 자세로 진영논리에 매몰되지 않고, 타 학문에 대한 경외와 호기심을 유지하고, 열정을 포기하지 않는 창의적 접근방식을 들었다. 이런 배경에서 본 논문은 인문학과 첨단 IT기술이 접목되어 디지털 생태계에서 바람직한 인간상을 구현할 수 있는 생애주기 교육과정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ho we, researchers and teachers working on the convergence-based fields, must be. Recently, studies on the convergence have been proliferated in quantity. Nevertheless, most of them treat the convergence in its functional, strategical meaning. The needs of convergent technologies came from the industrial fields, and introduced to academy by the governmental initiative, not from and through the inner awake of the humanities. The original convergence movement was introduced by so-called NBIC(Nanotechnology, Biotechnology, Information technology, Cognitive science), and has been aiming at the utility only. The aims should be more refined in campus: the meaning of freedom and life. In order to fulfill this humanistic goal, the researcher and teachers are required to have some points in mind. The convergence is not a new notion in the academic history. Furthermore, it is not the goal: all disciplines were convergent at their beginning. To ensure the true convergence, we should get rid of the barrier that separates disciplines, which might seem undermine our ‘exclusiveness’. Even more, to develop our own discipline, we should be akin to other ones and respect them. The last point is to be awake and keep curiosity. This article suggests as conclusion a life-long educational program on digital humanities designed on these basis.

      • KCI등재

        융복합 수학수업의 실행 방향 탐색

        문종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9 No.4

        창의-융합, 태도 및 실천을 포함하는 수학교과 역량의 함양을 목표로 하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이 2018년부터 초등학교 1,2학년 그리고 중고등학교 1학년을 시작으로 매년 순차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융복합교육의 개념과 원리를 수용함으로써 융복합 수학수업이 수학교육개선을 위한 대안이 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학생들이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융복합적 역량을 개발 할 수 있다는 관점을 가지고 중등학교 수학교실 현장에서 실천 가능한 융복합교육의 실행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융복합과 관련된 용어, 융복합교육과 관련된 담론,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 문서와 국내외 수학수업의 문헌을 통한 사례를 융복합교육의 원리 측면에서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범교과적인 융복합교육에 대한 담론을 수학교과의 관점에서 재구성하고 융복합 수학수업을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였으며, 그 실천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과 융복합 수학수업의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교사의 역량 측면에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stated integrated mathematics education through fostering competences like creativity, convergence, attitude and action. From 2018, every secondary school will sequentially implement this each year. This study explored the direction how to practice integrated mathematics instruction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and it is based on the perspective that Yungbokhap education in mathematics can facilitate students’ integrative ability to solve diverse tasks and social issues creatively as members of world civil socie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preceding research on theories of integrated education,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ograms of integrated education to deduct constituting implementation plan. As a result, this study discussed how to practice teaching plans for Yungbokhap education in mathematics and how important is the competence of the teach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mathematics class.

      • KCI등재

        ‘융복합교육’ 기반 수업 설계 사례 연구 : 예비 교사를 중심으로

        심수진,박재현,최수빈,안성호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6 교과교육학연구 Vol.20 No.4

        본 사례 연구는 융복합교육의 현장 실천과 적용가능성 및 교사의 융복합교육 전문성 제고에 기여하고자, 한 중학교 현장에서 교생실습의 일환으로 자생적으로 행해진 예비교사들의 융복합교육 기반 수업 설계 프로젝트를 분석한 것이다. 한 교사의 주도 하에 21명의 예비교사들이 다섯 개 모둠으로 나누어 협업함으로써 융복합수업을 설계하였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 교사의 서면 인터뷰와 예비교사들의 수업지도안, 발표, 전문가 컨설팅, 성찰지를 자료로 취합하여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융복합수업 지도안에 대해서는 이전에 체계화되어 있는 융복합교육 프로그램 구성 틀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지도안은 각각 창의적으로 다양하게 융복합교육적 목표와 방식 및 맥락을 충분히 잘 반영하였으며 주제, 내용, 활동요소 등도 융복합에 부합하게 유기적으로 연결된 것이 발견되었다. 단, 자율적 실천 역량을 더욱 촉진하고 개인에서 세계로까지 맥락을 확대하며 이를 다채로운 활동들을 혼합하여 구성할 것이 요구되었다. 한편, 성찰지에 의하면, 이번 사례에 대해 예비교사들은 1) 융복합교육을 ‘과목 간 연계성’, ‘수업의 맥락화’, ‘학습자 중심’으로 차별화하였으며, 2) 융복합수업 설계를 하면서 얻은 ‘새로운 경험’을 통해 자기 과목에 대한 새로운 측면, 학생의 관점, 동료의 전문성, 그리고 협업을 가치 있는 것으로 성찰하였다. 3) 또한, 융복합교육의 절대적 필요성을 인식하고 교사 전문성 신장과 연구자 자세 함양을 되새기며 향후 융복합교육을 실천하겠다고 진술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현장의 교육 개선을 위해 교사의 재량권 보장과 행정적 지원이 필요함과 융복합교육과 관련하여 (예비)교사교육의 체계적이고 실증적인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o explore the implementability of, and the teacher expertise in “Yungbokhap education”, which embraces “consilient”, “convergent”, “integrative”,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curricular integration, this case study analyzed a self-motivated project for pre-service teachers that was initiated as part of a practicum by a middle-school teacher who supervised the practicum. In the project, the pre-service teachers formed five groups and collaborated to create five integrative instructional unit plans based on Yungbokhap education. Their products positively impressed the school principal, mentor teachers, and other experts. They wrapped up their projects by answering reflective questions. This study analyzed their instructional unit designs and reflections qualitatively, in light of the instruction design framework of Yungbokhap educ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unit plans sufficiently reflect the goals, approaches and contexts of Yungbokhap education with appropriate creativity and variety, and tightly connect lesson themes, contents and activities, except for the fact that they could have further promoted the competency for autonomous action and expanded the context from an individual context to a local/global one employing more varied activities. According to their reflective responses, 1) they seem to characterize Yungbokhap education with features like “inter-subject connectivity”, “contextualization” and “learner-centeredness”, 2) their novel experiences in the lesson planning have led them to discover fresh values in their own subjects, students’ perspectives, peers’ expertises, and fruitful collaboration, and 3) their realization of the necessity of Yungbokhap education has positively challenged them to be more firmly oriented toward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er-researcher attitude. These results imply that for autonomous and creative improvement of education, in-service teachers’ initiatives should be carefully respected and administratively supported, and that teacher preparation courses should provide pre-service teachers with more empirical chances to deal with curriculum integration.

      • KCI등재

        수학 예비교사가 국어, 과학, 윤리 예비교사와 함께 설계한 융복합 수업의 특징 탐색

        김선희 대한수학교육학회 2022 학교수학 Vol.24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cases of convergence classes of pre-service teachers and providing information for conducting convergence classes in the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a 4-week convergence class design and demonstration program with teachers of Korean language, Science, and Ethics to develop 51 convergence class cases, and I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classes in terms of class purpose, motivation context, convergence procedure, and student agenc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imension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ubject integrated with mathematics. For example, convergence classes with the Korean language use a lot of statistics, and interdisciplinary procedures, and student-led classes are designed, and convergence classes with Science utilize a variety of mathematical knowledge, but multidisciplinary procedures are used and teacher-led classes are design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role of mathematic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convergence class was presented, context, procedure, and student agency should be considered in designing convergence classes, considerations for convergence with Korean language, Science, and Ethics, and implications for convergence education a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융복합 수업 설계 사례를 분석하여 수학과 융복합되는 교과에 따라 융복합 수업의 양상이 어떠한지 살펴봄으로써, 융복합 수업을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수학 예비교사들이 국어, 과학, 윤리 교과의 예비교사들과 4주간의 융복합 수업 설계 및 시연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수학이 포함된 51개의 융복합 수업 사례를 개발하였다. 융복합 수업 사례의 특징을 수업의 목적, 동기유발 맥락, 융복합 절차, 학생 주도성의 차원에서 분석하였을 때, 수학과 융복합되는 교과에 따라 융복합 수업 특성은 다르게 나타났다. 예를 들어 국어와의 융복합 수업은 통계가 많이 활용되고 간학문적 절차가 활용되고 학생 주도의 수업이 설계되었고, 과학과의 융복합 수업은 다양한 수학 지식이 활용되나 다학문 절차가 활용되고 교사 주도의 수업이 설계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를 토대로 수학이 포함된 융복합 수업 설계시 수업 목적에 따른 수학 교과의 역할을 제시하고, 융복합 수업 설계시 맥락, 절차, 학생 주도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 교과에 따라 그리고 융복합할 교과의 수에 따라 고려할 점 등을 도출하고 수학이 포함된 융복합 교육과 예비교사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대학에서 융·복합 교육의 실상과 그 해법

        박일우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1

        The notion of ‘convergence’ is being widely spread in the university classes nationwide. The tendency can be estimated as a result of general education renovation, but we think that it is premature and wrong directed. This paper aims at suggesting some solutions. The idea of convergence was conceived and developed at the technology and industrial society, not that of academy. So-called I-PHONE syndrome and Steve Job’s famous comment, “connect the dots”, were the beginning. And then, some ideologues around the power quickly imported the idea to higher education and insisted that it would serve for the Creative Economy, slogan of actual government. Whether a university is equipped with a set of ‘convergent subjects’ or not becomes an important questionnaire at the various national university evaluations. We do not underestimate the needs and purposes of convergence education. The present era of digital technology requires convergent knowledge that we can hardly acquire with the traditional individualized subjects. Being still defender of that new idea, we examined the present status of convergent education and curriculum, and we analyzed a few examples. Through this process, we found that convergent education has been in many cases misunderstood, and the introduction was premature at the field of higher education. It has been introduced to universities not by the academic ground but outer influences; industrial society and national education policies. We suggest a check list that each university is recommended to answer and reflex before introducing, or revising, the convergent curriculum, as follows: 1) Did you fully understand the idea of convergence? 2) Did you fix the goal of convergent education and curriculum? 3) Don’t you regard that the convergence is the final solution of higher education? 4) Do you have enough economic and administrative support to maintain the convergent education? Finally, this article emphasizes the will of college administration to modify the platform to fit the convergent education, i.e, Liberal Arts College. 이 글은 오늘날 고등교육현장에서까지 급속히 확산되는 융·복합 교육의 실태를 되돌아보고 여기에서 발견되는 문제를 냉정하게 찾아내어 그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융·복합이라는 아이디어는 교육계가 아닌 기술계와 산업계에서 잉태되고 발전된 개념이다. 소위 말하는 아이폰 신드롬과 이를 만들어낸 스티브잡스의 언명, “점을 연결하라”라는 것이 그 시작이었다. 그 직후 정권에 가까운 몇몇 이데올로그들이 이를 교육에 도입하여 현 정권의 슬로건인 ‘창조 경제’와 엮어낸 정황을 목격할 수 있다. 오늘날 융·복합 교육과정과 교과목을 얼마나 개설하였는가의 여부는 국가 차원의 다양한 대학 평가에서 주요한 설문 항목으로까지 부상하였다. 이 글은 융·복합 교육의 필요성과 의도를 폄하하는 것은 아니다. 오늘날 진행되는 지식산업사회에서는 더 이상 전통적인 개별적 학문에서는 얻기 어려운 새로운 지식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여전히 융·복합 교육을 옹호하고 교육과정을 개발해온 입장에서 서서, 우리는 오늘날 대학 교육 현장에서 진행되는 융·복합 교육의 양상을 선행 연구와 보고서들을 통해 간접적으로나마 조사해 보고 몇 가지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적지 않은 경우에서 융·복합 교육에 대한 오해가 있었음을 보았고 다소 성급하게 도입된 사례들을 찾을 수 있었다. 총체적으로 볼 때, 융·복합 교육의 이념과 융·복합 교육과정은 대학 내부의 학문적 과정의 결과가 아니라 산업사회와 국가 권력이라는 대학 외부의 요인으로 고등교육에 도입되어 다소 기형적인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글은 개별 대학교가 융·복합 교육과정을 도입하고자 하거나 개선하고자 할 때 스스로에게 자문할 일종의 체크 리스트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1) 융·복합의 개념을 이해하는가? 2) 융·복합 교육의 목표를 설정하였는가? 3) 융·복합을 궁극적 교육 단계로 맹신하지는 않는가? 4) 행·재정적 지원은 충분한가? 이 글은 결론적으로 ‘학부대학’의 편제가 새로운 교육방법을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플랫폼으로 실질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 KCI등재

        철학과 융복합

        이하준(Lee, Ha Jun)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89 No.3

        오늘날 산업 현장이나 대학교육에서 융복합이 메가트렌드가 되었으며 신화적 힘을 발휘하고 있다. 융복합 교육에 대한 철학적 담론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위 담론에서 논자들은 많은 경우 융합학, 융복합, 학제간 연구를 혼용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심지어 특정주제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융복합으로 이해하는 경우도 있다. 융복합 시대에 철학의 역할에 대한 논의에 참여하는 논자들은 철학의 본래적 성격에 근거해 융복합 교육에서 철학이 주역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논문은 그와 같은 주장의 근거가 약함을 보여줄 것이다. 전국의 많은 대학에서 철학에 기반을 둔 융복합 교과목을 개발 · 운영 한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이 논문은 기존에 운영되고 있는 교과목들이 융복합 교과목으로서의 요건을 충족시키는데 많은 한계가 있다는 점을 세 개의 사례분석을 통해 보여줄 것이다. 철학은 융복합 교육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역할, 융복합 교육의 주역이 되기 이전에 융복합의 신화에 대한 분석과 계몽을 시도해야 한다. In recent years, the convergency has become the megatrend in both the business world and the college education. This implicates that the convergence has become "mythic power" in every working place where we belong to. Philosophical discourses on the convergent education has been on going for many years. In many cases, the convergence has been misunderstood as multidisciplinary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In addition, philosophical reflection about a particular topics has been considered as it is very identical to "convergence". Philosophers who participate the debate on the role of philosophy in the convergence education believe that philosophy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a such place. This paper shows the weaknesses of those believers. Many universities in Korea really do lots of efforts to offer and to develop their own convergent curriculums. Nevertheless, I argue that these efforts has not yet been satisfied the requirements for the convergent curriculum through the analysis of three case. At the end, I argue that philosophy should (1) play a role to give justification for the convergent education and (2) attempt to analyse and to enlighten the mythology of convergence before that it takes the important position in the convergent education.

      • KCI등재

        융복합 교육 실증연구의 체계적 메타 문헌분석

        박주호(朴柱澔),이종호(李鍾鎬)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아시아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초중고 학생 대상 융복합 교육을 주제로 최근 10년 동안 국내외 전문 학술지에 발간된 실증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메타 문헌분석 하였다. 연구대상은 국내 RISS와 해외의 경우 ERIC 및 PsycINFO를 활용하여 융복합 관련 핵심단어 검색을 통해 연구기준에 적합하다고 판단된 총 47편의 논문이었다. 융복합 수준 분석결과에 따르면, 초학문적 융복합 사례는 없었고 다학문적 융복합은 국내외 총 29개(61.7%)와 간학문적 융복합의 경우는 18개(38.3%)로 나타났다. 학교급 및 교과 차원의 분석결과, 다학문적 융복합에서는 초등학교 수준의 경우 다양한 교과들이 융복합된 경향을 보여주었고, 간학문적 융복합은 주로 중·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수학, 과학 및 기술 교과가 집중 융복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융복합 유형 및 교수-학습 핵심요소 면에서는 다학문적융복합의 경우 거미줄형 또는 실로꿴형을 주로 사용하였고, 핵심요소 면에서는 대부분이 활동 또는 주제 중심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간학문적 융복합의 경우 공유형 또는 통합 유형을, 핵심요소 면에서는 대부분 탐구 또는 활동 요소가 적용되어 있었다. 융복합 교육이 추구하는 목적 및 성과에서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인지적 측면만의 성과 향상 사례, 학습 태도나 가치 등의 정의적 측면만의 성과 향상 사례, 또는 인지적 및 정의적 성과 향상 모두를 추구하는 사례가 있었다. 특히, 간학문적인 사례의 경우 인지적 및 정의적 측면이 모두 포함된 교육목적을 가지고 성과 향상을 추구하는 경우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끝으로 수업방식을 분석한 결과 팀티칭 방식을 활용한 경우가 국외에서 4개 사례, 그리고 문제중심 및 프로젝트 수업방식의 경우는 국내에서 4개 사례와 국외에서는 총 5개 사례가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현재까지 초중등 수준에서 융복합 교육이 융복합의 수준과 형태 및 수업의 핵심요소 측면, 그리고 융복합 교육의 시행 목적과 성과 측면에서 통일된 원형보다는 다양한 모습으로 시행되어 왔고, 교과나 학년 및 학교수준에서 개별적 수준으로만 전개되어 왔음을 확인하였다.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pproach was made in order to review the empirical studies of integrative education in the last decades. 47 articles, which were met at the inclusion criteria, was finally retrieved through keyword-searching procedure utilizing RISS for Korean cases and PsycINFO and Eric for the cases of other countries. While there was no case classified into transdisciplinary education, there were 29(61.7%) studies classified as multidisciplinary and 18 (38.3%) studies as interdisciplinary education. Multidisciplinary programs were found dominant in elementary school with the variety of subjects from diverse disciplines whereas interdisciplinary programs were prevalent in middle or high school with a relatively narrowed scope of subjects to be integrated with such as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 In multidisciplinary programs, the subjects we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on the foundation of the common theme or topics in a networked or threaded way focusing on a theme-oriented or activity-based learning process. In interdisciplinary programs, the subjects are interrelated on the basis of shared concepts or skills emphasizing upon students’ inquiry-based capabilities. Three types of learning outcomes of integrative programs were classified; programs pursuing cognitive outcomes, affective outcomes, or the balance of both. Interdisciplinary programs were more likely to be aligned and assessed with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learning outcomes whereas multidisciplinary programs had a tendency to be accompanied by solely affective learning outcomes. In addition, a problem/project based-learning was reported to have been applied in a total 4 domestic and 5 cases of other countries. A team-teaching was adopted in 4 cases from other countries. From most of programs reported,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were frequent subjects to be integrated with in integrative education. In conclusion, it was also found that integrative programs were practiced with diverse objectives, pedagogies and emphasized as well as pursued different aspects of learning outcomes along with the level of integration.

      • 융복합 서비스 기술과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한 유비쿼터스 서비스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김유정(Yoojung Kim),윤종수(Jongsu Yoon),김혜영(Hyeyoung Kim),한동일,송영조,임지홍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7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Vol.15 No.1

        정부의 IT 관련 정책의 흐름, 융복합 서비스를 위한 핵심 패러다임 및 기술의 특징, 사회의 요구 패턴의 변화 등을 바탕으로, 융복합서비스 인프라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다양한 형태의 융복합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융복합 서비스 분석 프레임워크를 통해 융복합의 범위와 이동성 정도를 바탕으로 융복합 서비스를 선별하고, 개인 수준에서 이용 가능한 응용서비스를 중심으로 시급성과 효과성을 지닌 10개의 융복합 서비스를 선별하였다. 이에 따라, 향후 역동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융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로서 ESB를 활용한다는 가정 하에 각각의 융복합 서비스의 개념, 융복합 서비스의 흐름, 융복합 서비스 주요 내용과 서비스 추진이 고려사항 등을 제시한다.

      • KCI등재

        중등 교사의 융복합교육 연수 만족도 및 요구 조사

        주미경,문종은,박모라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융복합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융복합교육에 대한 현장 교사의 준비도와 현재 시행되고 있는 융복합교육 관련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현장 교사의 만족도 및 요구를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융복합교육 준비도에 대하여 현장교사의 평가 수준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이 융복합교육 준비도에 대하여 가장 낮은 평가를 한 것은 ‘융복합교육의 특성을 반영한 수업 설계’와 ‘교사 및 전문가 집단과의 협력적 관계속에서 융복합교육 실천’ 항목이었다. 중등 수학교사들의 경우 준비도 평가 수준이 중등 과학교사의 준비도 평가 수준보다 낮게 나타나고 있어서 중등 수학교사들이 융복합교육 실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더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수학교사의 융복합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개선이 시급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특히 중등 수학교사는 융복합교육실행에 필요한 교육과정 범위와 계열에 대한 지식 및 교육과정 재구성, 그리고 융복합교육의 교수-학습 지원에 활용가능한 자원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고 평가하여 수학교사의 융복합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교육과정과 교과 내용 측면과 연결된 연수가 보강되어야 할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교사들의 연수 만족도는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만족도 평가가 학생에 대한 지식에 대하여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융복합교육이 학생의 개별성과 다양성을 고려하는 교육을 지향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에 대한 교사 연수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연수 만족도 수준에서도 수학교사의 연수 만족도가 중등 과학교사의 연수 만족도 수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융복합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 요구 분석 결과는 교육 내용의 현장 적합성과 융복합교육에 관련된 다양한 교육전문가 사이의 협력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활용 방안에 대한 탐색이 효과적인 융복합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에서 핵심적인 요소로 다루어져야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현장 교사의 융복합교육에 대한 준비도와 연수 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한 방안탐색이 요구됨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위해 기존 연수 프로그램의 교육 내용 및 운영 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비롯하여 연수에 참여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적인 질적 탐구를 통한 원인분석이 후속 연구로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factors involved in designing an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hat would enhance teachers’ competence for Yungbokhap education. The researchers administered a survey questionnaire to discover the teachers’ evaluation of their competence in teaching in class based on Yungbokhap education, and their opinion of the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develop teachers’ competence in Yungbokhap education.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ontent of the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relevant to the teachers’ practice of Yungbokhap education in the context of the school level. Moreover,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based on the work of a solid network of diverse types of education specialists who share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of Yungbokhap education. Finally, Yungbokhap education needs to be conceptualized to provide a solid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n appropriate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Yungbokhap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