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자고등학생의 여성성역할, 여성성역할갈등과 부모진로지지, 의사결정의존성 및 진로결정 간 관계

        하문선 한국직업교육학회 2014 職業 敎育 硏究 Vol.33 No.2

        본 연구는 성역할이론과 사회인지 진로이론을 바탕으로 여자고등학생의 성역할의 긍정적 측면인 여성성역할과 부정적 측면인 여성성역할갈등이 그들의 진로결정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성역할과 여성성역할갈등을 독립변인으로, 부모진로지지와 의사결정의존성을 매개변인으로, 진로결정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여자고등학생의 여성성역할과 진로결정은 부모진로지지를 통해, 여성성역할갈등과 진로결정은 의사결정의존성에 의해 각각 완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여자고등학생이 여성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부모의 진로지지가 높아지고 그 결과 진로결정수준이 높아지며, 여성성역할갈등을 높게 지각할수록 의사결정의존성이 높아져 결국 진로결정수준이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여자청소년의 성역할과 진로결정 간 관계에서 여성성의 긍정적 측면뿐만 아니라 부정적 측면인 성역할갈등에도 관심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여성의 성역할사회화가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에서 의사결정의존성과 부모진로지지가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으로 각각 작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이 제안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of positive aspects(feminine gender roles: FGR) and negative aspects(feminine gender role conflicts: FGRC) of femininity to parental career supports, decision-making-dependency and career decision in Korea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he results of SEM analysis about research model meaned that parental career supports mediated fully the relation of FGR and career decision and that decision-making-dependency mediated fully the relation of FGRC and career decision. This results suggested that positive aspects and negative aspects of femininity should be included simultaneously in the study to examine the effects of femininity on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such as career decis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후보

        여자농구팀내의 역할모호성ㆍ역할갈등과 커뮤니케이션 및 팀 성과의 관계

        이근일,하숙례 한국스포츠학회 2016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4 No.4

        본 연구는 여자농구팀내의 역할모호성․역할갈등, 커뮤니케이션, 팀 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재 대한민국 농구협회(KBA)와 한국여자프로농구연맹(WKBL)에 등록된 여자농구선수 19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문항이 누락된 설문지 1부 를 제외한 189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3 가지 척도(역할모호성․역할갈등 척도, 커뮤니케이션 척도, 팀 성과 척도)로 구성되어졌고, 자료분석은 빈도분석, 일원변량 분산분석,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자농구선 수의 일반적 특성(소속팀, 소속팀의 선수경력, 중요성)에 따른 커뮤니케이션과 팀 성과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 째,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은 대인적․환경적 커뮤니케이션에 전체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할모호성이 팀 성과 하위변인 경기력에만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역할갈등․역할모호성은 팀 성과 모든 하위변인 운동수행성과, 팀워크 조성,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인적 커뮤니케이션은 팀 성과 하위변인 운동수행성과 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환경적 커뮤니케이션은 팀 성과 모든 하위변인에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볼 때, 단체경기종목의 여자농구선수에게 주어진 역할의 명료성은 팀 내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팀 성과 즉, 운동수행성과, 팀워크조성, 경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가 엘리트 여자농구팀내의 역할갈등과 모호성을 해소하고 소통과 상호작용을 통해 팀 내에서의 선수생활, 운동수행의 성 과, 경기력 향상에 기여하는 자료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ffect of role ambiguity and role conflict, communications and team effectiveness in women’s basketball team.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ubject was selected by elite women basketball athletes. In total, 190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89 questionnaires used after eliminating 1 incomplete samples. There are three questionnaires(role ambiguity․role conflict Scale, communications Scale, team effectiveness Scale).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WIN 20.0 program. Th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of women basketball athlete’s communications, team effectiveness between their respective team, player’s career, importance. Second, as the effect on the women basketball athlete’s role ambiguity․role conflict on communications, it showed that the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ommunications. Third, as the effect on the women basketball athlete’s role ambiguity․role conflict on team effectiveness, it showed that the role ambiguity․role conflic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eam effectiveness. Fourth, as the effect on the communications on team effectiveness, it communication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eam effectiveness.

      • KCI등재

        남자대학생의 요가수업 참여 후, 성역할, 성역할 갈등이 자기낙인, 자기공개에 미치는 영향

        김욱기,김남영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2

        이 연구는 대학 교양체육 수업 중 요가수업에 참여하는 남자대학생들의 성역할과 성역할 갈등이 자기낙인과 자 기공개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긍정적인 삶의 질로 연관되는 과정의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데 연구의 목 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69명의 남자대학생에게 설문지를 회수하여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가설1인 ‘남자대학생의 성역할은 자기낙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지배성 요인이 부정적 자기낙 인에 영향관계가 성립되었다. 가설2의 ‘남자대학생의 성역할은 자기공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 가설 3인 ‘남자대학생의 성역할 갈등은 자기낙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유의성이 성립하지 않았다. 마지막, 가설4의 ‘남자대학생의 성역할 갈등은 자기공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성공, 권력, 경쟁의 요인이 위험기대와 유용 성기대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성립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학생 시기는 성에 대한 긍정적인 이해와 인식이 필요한 시기이며, 남자대학생들에게 요가수업과 같이 여성성이 강할 수 있는 신체활동을 통해 한쪽의 성에 치우칠 수 있는 부정 적인 측면을 분산시켜 줄 수 있는 운동에 참여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ex role conflict and gender role conflict in 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yoga classes in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classes as an important basic data of positive life quality There is a purpose of the study. To achieve this goal,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269 male college students and used for final analysis. As a result, Hypothesis 1, "Sexual role of male college student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stigma" has a negative influence on self-labeling. The hypothesis 2 'sex role of male college student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disclosure' and hypothesis 3 'gender role conflict of male college students will positively influence self-stigma'. Finally, Hypothesis 4, 'Sexual conflicts among male college students will positively affect self-disclosur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expectancy and usefulness expect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period of college students need to have a positiv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gender, and it is important for male college students to be able to distribute negative aspects that can be biased toward one sex by physical activity, It is judged that participation in exercise is necessary.

      • KCI등재

        백화점 남성 종사자의 정서지능, 여성성, 남성성, 성역할갈등, 직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지현(金知賢),황옥경(黃玉景)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아시아교육연구 Vol.11 No.2

        이 연구는 백화점에 종사하는 남성들의 정서지능, 여성성, 남성성, 성역할갈등, 직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들의 직무만족과 관련하여 직위와 성역할갈등이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대도시에 위치한 6개 백화점의 남성 종사자 16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정서지능척도(WLEIS), 한국 성역할 검사(KSRI), 한국 성역할갈등척도(K-GRCS), 직무만족척도가 사용되었다. 결과분석을 위해 피어슨 적률 상관계수를 구하고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첫째, 직무만족에 대해, 정서지능, 여성성, 남성성은 정적 상관을, 성역할갈등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직위는 직무만족과 유의한 상관을 갖지 못하였다. 둘째,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직무만족에 대해 정서지능과 성역할갈등이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으며 이 두 변인이 설명한 나머지 변량에서 여성성, 남성성, 직위는 유의미한 설명을 하지 못하였다. 이 결과는 앞으로의 성역할과 직무관련 연구에서 성역할의 긍정적 측면 뿐 아니라 부정적인 측면을 다룰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백화점 남성 종사자의 직무만족에 대해 성역할갈등과 직위 간에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이것은 성역할갈등이 직무만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직위가 높고 안정적인 백화점 남성 종사자의 경우 그렇지 않는 경우보다도 성역할갈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비교적 작음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이 연구의 결과가 갖는 의의 및 시사점과 제한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looked into an effect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femininity, masculinity, gender role conflict, and the position of male employees in the department store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identified whether their positions and gender role conflict have a correlative effect on their job satisfaction. As to research subjects, the study aimed at 166 male employees in six department stores in metro cities. The instruments used were as follows: Wong and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Korean Sex Role Inventory, Korean Gender Role Conflict Scale, Job Satisfaction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s, as well as b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revealed that first, emotional intelligence, femininity, and masculin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whereas gender role conflic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A posi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Second, as a result of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motional intelligence and gender role conflict display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and in the rest of the variance which was explained by these two variables, femininity, masculinity, and a position were not explained by these variables. In the study on a gender role and job afterward, this implies the need to cope with not only the positive aspect of a gender role but also its negative aspect. Third, there appeared to be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gender role conflict and a position concerning job satisfaction. That is, when their positions are stable and high in the department store, even if they experience high gender role conflict, this had a less negative effect on their job satisfaction compared to those whose positions are unstable and low yet they have high gender role conflict. The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남성성역할갈등과 대인관계에서의 성인애착의 매개효과

        박관성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2 미래청소년학회지 Vol.9 No.3

        On the basis of men's gender-role conflict and adult attachment theory and extant literature,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dult attachment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n's gender role conflic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Research data was collected from 194 male college student in the Seoul and Kyeonggi-do area. The subjects completed questions evaluating men's gender role conflict scale, adult attachment scal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en's gender role conflict is positively related to adult attachment and negatively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cond, adult attachment is fully mediated in the men's gender role conflic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rec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and the implications for counselor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남성성역할갈등과 성인애착 이론 및 선행연구를 토대로 남성성역할갈등과 대인관계에서의 성인애착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자 대학생 194명으로부터 남성성역할갈등, 성인애착, 대인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구성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 분석을 통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남성성역할갈등이 높을수록 성인애착의 불안정성이 높아졌고, 대인관계능력은 낮아졌으며, 성인애착의 불안정성이 높아질수록 대인관계 능력은 낮아졌다. 둘째, 남자대학생들의 성역할갈등과 대인관계능력에서 성인애착은 완전매개효과가 있었다. 분석결과에 대한 전문적 도움제공을 위한 논의와 연구의 의의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남성 성역할이 우리나라 남성들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수애,조은경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2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8 No.2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ale gender role on the adjustment of Korean men. In study 1 Korean Male gender Role Scale was developed. A 52-item scale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responses of 432 college-aged and middle-aged men to theoretically- derived preliminary items. Five factors were extracted: achievement orientation, the initiative, task orientation, responsibility for family and friendship with male friends. Study 2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le gender role and several adjustment variables. Correlational analyses indicated that in the college men self-esteem and career identi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nitiative and friendship with male friend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ife satisfaction. College men's depression level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initiative and task orientation. Among the middle-aged men, self-esteem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nitiative and task orientation. But responsibility for famil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and job dissatisfaction in the middle-aged men. In both groups satisfaction with male gender rol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남성 성역할이 우리나라 남성들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한국형 남성 성역할 척도를 개발하였다. 20대 대학생과 40-50대 중장년 남성들을 대상으로 남성 성역할을 조사하여, 우리나라 남성들이 서구의 남성들과 부분적으로 다른 성역할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서구 남성들의 주요 성역할 요인인 과제지향성이나 성취지향성과 같은 요인들은 본 척도에서 주도성과 성취지향성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에 대한 책임도 공통적인 요인이었다. 반면 서구 남성 성역할의 공격성이나 남성간의 친밀성 거부, 정서 억제성과 같은 요인은 본 연구에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남성간의 의리가 우리나라 남성들이 갖고 있는 독특한 남성 성역할로 확인되었다. 연구 2는 한국 남성들이 남성 성역할을 내면화한 수준과 적응간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연구 1에서 개발한 척도와 자아 존중감, 우울증, 정서 표현성 등의 변인을 측정하여 본 결과, 연령 집단 공통으로 주도성 요인이 강할수록 자아 존중감이 높았다. 반면에 우울과의 관계에서는 연령 집단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타났는데 20대 대학생은 남성 성역할 총점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낮았던 반면, 중장년 집단에서는 가정에 대한 책임이 강할수록 우울 수준이 높았다. 또한 20대 대학생들에게서는 남성 성역할과 정서 표현성간의 상관이 없었던 반면에 중장년 남성들은 주도성이 강할수록 정서 표현을 억제하는 경향이 있었다. 20대 대학생들은 주도성이 강할수록 진로 정체감이나 학교 친구간의 적응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정에 대한 책임이 강할수록 진로 정체감이 낮았다. 중장년 남성들은 성취 지향성과 가정에 대한 책임이 강할수록 직업에 대한 불만을 더 갖고 있었던 반면, 주도성과 결혼에 대한 불만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남성 성역할갈등의 남녀 보편화 가능성 검증: 남녀 간 잠재평균분석과 등가제약모형의 적용

        하문선,김지현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concept of male gender role conflict(GRC) can be generalized to women. To this end, we investigated whether the sub-factors of GRC lead to conflicts among women, and whether there is gender difference between the sub-factors and depression, sub-factors and self-esteem. The results of the latent mean comparison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latent mean values of all subscales: SPC, RE, CBWF, and RABM. In addition, Equivalence constraint model comparison showed that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all path coefficients from all sub-factors to depression and self-esteem. This study is significant to imply generalizability that the gender role conflict scale can be applied in common without distinction of gender.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남성성역할갈등 개념이 여성에게도 일반화될 가능성이 있는지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남성 성역할갈등의 구인들이 여성에게서도 갈등을 가져오는지, 남성성역할갈등 구인과 우울 및 자아존중감 간 구조적 관계가 남녀 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잠재평균분석과 남녀 집단 간 등가제약모형 비교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하위척도 즉 SPC, RE, CBWF, RABM 각각의 잠재평균값에서 남녀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성 성역할갈등을 구성하는 각 요인에서 우울, 자아존중감에 이르는 각각의 경로계수에서도 남녀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남성 성역할갈등척도가 남녀 구분 없이 공통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과 남성 성역할갈등의 보편화 가능성(generalizability)을 제안하고 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생애주기별 성역할 발달 및 갈등

        곽삼근(Kwak Samgeun),조혜선(Jo Hye-seon),윤혜경(Yoon Hye-kyoung) 한국여성학회 2005 한국여성학 Vol.21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인간이 유아ㆍ아동ㆍ청년ㆍ성인ㆍ노년기를 거쳐 살아가는 동안 일상 속에서 그리고 사회에서 경험하는 성역할 발달 및 갈등 체험을 학문적으로 드러나게 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각 생애주기별 일반인들과 심층면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좀 더 객관적으로 사회에서의 성역할 발달 및 갈등 체험의 문제를 진단하고자,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는(information-rich cases) 면접자로 주기별 교육전문가를 선정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이후 생애주기별 성역할 갈등 이론을 토대로 해석하여 생애 주기별로 규칙성 또는 상이한 논점이 보이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는 성 고정관념을 무비판적 수용하는 시기이므로 성인모델에 의한 이분법적 성역할을 습득하기 쉬우며, 부모와 교사의 태도가 가장 영향력을 발휘하는 시기이다. 둘째, 아동기는 가정과 학교 간 이중적 성역할을 체험하는 시기인 동시에 전통적 성역할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하는 시기이다. 셋째, 청년기에는 남녀간에 성 평등의식 수준에 있어서 격차가 발생하기 시작하고, 성별분업의 현실에서 진로선택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된다. 넷째, 성인기는 부부간에 가사분담으로 인한 갈등을 체험하게 되고, 여성의 경우 결혼, 출산 및 양육으로 인한 직업단절의 위기를 맞게 된다. 다섯째, 노년기는 은퇴로 인하여 사회와 가정에서의 새로운 성역할에 적응해야 하는 한편 한 가정의 어른으로서 전통적 성역할과 남아 선호사상을 후손들에게 강조함으로써 양성불평등을 고착화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kind of gender role people experience, how people recognize it, and what kind of conflict people undergo at each life stage. It is important to expose academically the gender role conflicts and experiences related to the life-cycle as early childhood, childhood, adolescence, adulthood, and senescence. It is also important to see the gender role at each life cycle. The samples chosen are 28 persons by gender and life-cycle. We conducted personal interviews to understand their experiences and feelings. We analyse the interviews based on the theory of gender-role conflict by the life-cycle to trace the pattern and unlikeness of the gender role at each life-cyc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early childhood, children accepted the gender stereotype uncritically. It was possible for them to accept the dichotomous gender stereotype accumulated by adults. This study showed that parents and teachers were the critical persons to them at this period teaching and bringing up directly. Second, in childhood, children experienced different gender role between home and school. At the same time, children started to arise questions about the traditional gender role. Third, in adolescence, there was a gap in consciousness of gender equity between boys and girls. They considered their career related the difference between both genders. Through the interview, we found that women college students at the graduating class felt they were discriminated by recruit system, and they thought this is the heart of the gender discriminative issue. Fourth, in adulthood, married couple experienced the conflict with managing the household duties. Women had to quit their career because of marriage, delivery, and bringing up their children. The interviews with women showed there were lots of women who had to quit their career because of rearing or who had to endure the double burden of career and family chores. Fifth, in senescence, married couple had to deal with new gender roles after retire. At the same time the seniors in Korea had emphasized traditional gender roles and generation succession by son. Therefore, they could be the most influential persons in perpetuating the gender discrimination.

      • KCI등재

        중년 남성 대상 한국형 Gender Role Journey 프로그램 타당화 연구

        박광석,김지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the Korean Gender Role JourneyProgram for Middle-aged MenKwangseok Park & Jihyeon K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applicability of O’Neil & Carroll’s Gender Role Journey program, developed to alleviate gender role conflicts, to middle-aged men in Korea. This is because gender role conflict, based on Pleck’s gender role strain theory which states that normative gender roles cause stress, causes many problematic behaviors in men. After revising the gender role journey program created by O’Neil & Carroll to suit the Korean situation, 18 middle-aged men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respectively. And the Korean Gender Role Journey program was conducted 3 hours once a week for 10 week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data obtain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after 4 weeks using the gender role conflict scale were analyzed by repeated measured covariance using SPSS 18.0.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role conflict scores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post-score was maintained until 4 weeks later. Therefore, the Korean Gender Role Journey program for middle-aged men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mental health as an effective tool for alleviating gender role conflict in middle-aged me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participants were not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as no comparison group. It is hoped that follow-up studies will supplement this limitation and apply this program to various research subjects. Key Words: Gender Role, Gender Role Conflict, Gender Role Journey, Middle-aged Men, Program 중년 남성 대상 한국형 Gender Role Journey 프로그램 타당화 연구박 광 석**ㆍ김 지 현***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성역할 갈등을 완화하기 위해 O’Neil & Carroll에 의해 개발된 Gender Role Journey 프로그램의 한국 중년 남성 대상 적용 가능성을 타당화하는 것이다. 규범적인 성역할이 스트레스를 일으킨다는 Pleck의 성역할 긴장 이론에 근거한 성역할 갈등은 남성에게 나타나는 많은 문제 행동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연구 방법: O’Neil & Carroll의 프로그램을 한국 상황에 맞게 수정한 후,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에 중년 남성 18명을 각각 배정하고, 실험집단에 한국형 Gender Role Journey 프로그램을 주 1회 3시간씩 10주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성역할 갈등 척도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전과 후, 그리고 4주 후에 얻어진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반복측정 공분산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성역할 갈등 점수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사후 점수는 4주 후까지 유지되었다. 결론 및 제언: 따라서 중년 남성 대상 한국형 Gender Role Journey 프로그램은 중년 남성의 성역할 갈등을 완화하기 위한 효과적인 도구로서 중년 남성의 정신건강에 기여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참가자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 할당을 하지 않았고 비교집단이 없다는 점이다. 후속 연구에서 이 제한점을 보완한 프로그램을 다양한 연구 대상에게 적용해 볼 것을 권한다. 핵심어: 성역할, 성역할 갈등, 성역할 여정, 중년 남성, 프로그램 □ 접수일: 2022년 7월 11일, 수정일: 2022년 8월 1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이 논문은 주저자의 2022년 박사학위논문의 일부를 발췌・수정한 것임. ** 주저자, 홍익대학교 교육학과 박사(First Author, PhD, Hongik Univ., Email: shining2027@hanmail.net)*** 교신저자, 홍익대학교 교육학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Hongik Univ., Email: mongsanga@hongik.ac.kr)

      • KCI등재

        한국형 남성 성역할 갈등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이수연,김인순,김지현,김진아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2 여성연구 Vol.82 No.-

        한국 남성의 성역할의 부정적 측면과 고유한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형 남성 성역할 갈등 검사를 개발하였다. 문항 개발은 대표적 남성 성역할 갈등 검사인 오닐(O'Neil)의 성역할 갈등 척도(GRCS) 37문항, 아이슬러와 스키드모어(Eisler & Skidmore)의 남성 성역할 스트레스 척도(MGRSS) 40문항, 그리고 김지현, 윤진, 박수애 등이 외국에서 개발한 척도들을 번안하거나 한국적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한 척도의 문항, 그리고 일반 한국인의 경험을 반영한 문항과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진이 만든 문항을 통해 이루어졌다. 개발된 한국형 남성 성역할 갈등 검사는 남성 성역할 갈등의 기본적 요인으로 알려진 여성성에 대한 공포와 남성성 이데올로기의 두 측면을 균형 있게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사의 요인은 6개로 나타났는데, 이 중 4개 요인은 GRCS와 공통적이고 나머지 2개 요인(‘가장의무감’, ‘남성우월)은 한국형에만 나타나는 고유한 요인이다. 이 검사를 통해 측정한 남성 성역할 갈등은 우울, 스트레스, 낮은 자존감과는 정적인 상관을 보여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단, 삶의 만족도와도 낮지만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좋은 모형적합도를 보였고 구인동등성 검증을 만족시켰다. Male gender role is known to cause psychological dysfunctions such as depression, stresses, and low self-esteem. Therefore, it is required to assess the degree of Korean men's gender role conflict and its correlation with the psychological dysfunctions.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the Korean Male Gender Role Conflict Scale and using this scal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le gender role conflict and depression, stresses and self-esteem. The Korean male gender role conflict scale is constituted with 37 items and has six factors such as male superiority(28.2%), work and family relation(9.0%), success, power, competition(7.7%), restrictive emotionality(6.4%), family head responsibility(4.8%), restrictive affectionate behavior between men(3.9%). All six factors explain 60.2% of the total variance. As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es show, Korean male gender role conflict i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all the psychological variables mentioned above. Stress is most strongly correlated at the level of .296(p < .01) and depression is correlated at .276(p < .01). Self-esteem is negatively correlated at the level of -.166. Among stresses, financial stress is most strongly correlated at the level of .226(p < .01) and health stress is least strongly correlated at .128(p < .01). The unexpected results are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le gender role conflict and satisfaction with life(.113, p < .01) and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family head responsibility and psychological dysfunction factors such as depression(-.081, p < .01), self-esteem (.165, p < .01), satisfaction with life(.082, p < .01), parental stress(-.246, p < .01), marriage stress(-.123, p < .01), work stress(-.097, p < .01). However, these results should be interpreted not as a proof for a positive function of male gender role conflict in Korea but as an excessiveness of Korean masculinity ideology which forces men to accommodate the gender norms to achieve satisfaction with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