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의 녹내장 발생률

        조종필,황정희,백승선,김정현,이현 대한시과학회 2019 대한시과학회지 Vol.21 No.3

        Purpose :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rate of POAG (primary open angle glaucoma) and PCGA (primary angle closure glaucoma) in Korean population. Methods : Of the 1,033,624 subjects enrolled in the sample cohort data as of January 1, 2011, this study selected 1,009,687 subjects (505,466 male, 504,221 female) as of 2010, excluding those with the existing glaucoma diagnosis and newborns for the analysis, and determined the incidence of glaucoma for 5 years. The incidence rate of glaucoma was calculated using the number of subjects diagnosed with POAG and PACG between 2011 and 2015 used as the numerator and the total observation period used as the denominator by all subjects, sex, age group, and region. Results : The five‐year incidence of POAG was 98.99 per 100,000 person‐years, respectively 98.92 in men and 99.07 in women. The 5‐year incidence of POAG according to age, was found to be per 100,000 person‐years, 0.93 under the age of 10, 10.36 in 10s, 26.78 in 20s, 47.37 in 30s, 78.93 in 40s, 147.04 in 50s, 294.47 in 60s, 418.66 in 70s, and 327.86 in those over 80 years of age. The five‐year incidence of PACG was 15.36 in all subjects per 100,000 personyears with 9.34 in males and 21.37 in females, demonstrating the higher incidence in females. The 5‐year incidence of PACG according to age, were found to be per 100,000 person‐years, 0 under the age of 10, 0.29 in 10s, 2.06 in 20s, 3.15 in 30s, 5.95 in 40s, 19.08 in 50s, 69.03 in 60s, 80.62 in 70s, and 56.95 in over 80 years of age. Conclusion :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glaucoma is found to be no longer a disease that only adults over 40 should manage but it seems that its proper inspection and management is required from at least 20 years of age. 목적 : 한국인의 개방각 녹내장 및 폐쇄각 녹내장의 평균 발생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표본코호트 자료에서 2011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등록된 총 1,033,624명의 대상자 중 기존에 녹내장 진단을 받은 14,306명과 2011년도에 편입된 신생아 9,631명을 제외한 1,009,687명(남성 505,466명, 여성 504,22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표본코호트 자료를 검색하여 2011년도부터 2015년도 사이에 1차성 개방각 녹내장과 1차성 폐쇄각 녹내장 진단을 받은 대상의 수를 분자로 하고 연구대상 집단의 총 관찰기간(인년, person-year)을 분모로 하여 전체 대상, 성별, 연령별, 그리고 지역별로 발생률을 계산하였다. 결과 : 원발성 개방각녹내장의 5년간 발생률은 10만 인년 당 98.99명이었고, 남성에서 98.92명, 여성에서 99.07명이었다. 연령대에 따른 원발성 개방각녹내장의 5년간 발생률은 10만 인년 당 10세 미만에서 0.93명, 10대에서 10.36명, 20대에서 26.78명, 30대에서 47.37명, 40대에서 78.93명, 50대에서 147.04명, 60대에서 294.47명, 70대에서 418.66명, 80세 이상에서 327.86명으로 나타났다. 원발성 폐쇄각녹내장의 5년간 발생률은 10만 인년 당 전체 대상에서 15.36명이었고, 남성에서 9.34명, 여성에서 21.37명으로 여성에서 높았다. 연령대에 따른 원발성 폐쇄각녹내장의 5년간 발생률은 10만 인년 당 10세 미만에서 0명, 10대에서 0.29명, 20대에서 2.06명, 30대에서 3.15명, 40대에서 5.95명, 50대에서 19.08명, 60대에서 69.03명, 70대에서 80.62명, 80세 이상에서 56.95명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 한국인의 녹내장 발생률을 조사한 결과 젊은 층의 녹내장 발생률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40세 이상 성인뿐만 아니라 최소 20대부터 적절한 검사와 관리를 해야만 한다고 보여진다.

      • KCI등재

        대학 여자 유도선수의 상해 발생률

        허용,이정화 한국스포츠학회 2018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6 No.2

        이 연구는 대학 여자 유도선수의 상해부위, 유형, 동작별 상해 발생률을 분석하여 상해 위험수준을 파악하고, 이 정보를 통해서 선수의 훈련과 지도자의 체계적인 지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대학 여자 유도선수 85명이었으며, 설문지를 이용하여 일반사항 5항목과 상해 관련 6항목을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K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하였으며, 1,000 참가시간당 상해 발생률을 계산하였다. 분석결과 대학 여자 유도선수는 무릎의 상해 발생률이 가장 높았으며(0.20), 다음으로 어깨(0.14)로 나타났고, 상해유 형은 인대의 상해 발생률이 가장 높았으며(0.30), 다음으로 탈구(0.16)였다. 그리고 상해 유발 동작은 손기술과 발기 술 상해 발생률이 각 0.20으로 나타났다. 부가적으로 상해 동작별 신체부위별 상해빈도를 분석한 결과, 손기술 수행 시 어깨와 무릎, 발기술 수행 시 무릎과 발목, 허리기술은 팔꿈치와 무릎의 상해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여자 유도선수와 지도자는 무릎과 어깨부위의 상해 예방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며, 손기술 중 업어치기 기술 수행 시 어깨 와 무릎의 손상, 발기술 수행 시 무릎과 발목의 손상을 예방을 위한 각별한 노력이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s injury incidence, type, and inducing motion among collegiate female judoka (judo athletes)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assistant in training and systematic guida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5 female elite judo players. A questionnaires was used to investigate five general items and six items related to injuries.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in SPSS (version 22.0K) with the rate of injury calculated as the incidence per 1,000 hours. The results show that female collegiate judoka have the highest incidence on injury in the knee (2.0), followed by the shoulder (0.14). The highest incidence for injury type was ligament damage (0.30), followed by dislocation (0.16). Injury inducing motions were equally split between hand and foot skills (0.20 each). Looking at the frequency of injuries by location and motion, rates are highest for shoulders and knees when using hand skills, knees and ankles when using leg skills, and elbows and knees when using waist skills. Collegiate female judoka and coaches should make conscientious efforts to prevent knee and shoulder injuries. Moreover, they should pay special attention to preventing shoulder and knee injuries when using hand skills, and knee and ankle injuries when using foot skills.

      • KCI등재

        한국에서의 고관절 골절 빈도는 여전히 증가 추세인가?

        최의성(Eui-Sung Choi),손현철(Hyun-Chul Shon),김용민(Yong-Min Kim),김동수(Dong-Soo Kim),박경진(Kyoung-Jin Park),임채욱(Chae-Ouk Lim),이형기(Hyung-Ki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6

        목적: 대한민국 50세 이상 인구에서 고관절 골절의 최근 발생 추세에 대하여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2012년까지 대한민국 전체인구수 및 남녀별, 각 연령별 인구수를 통계청 자료를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청구자료에서 국제질병분류 10 분류법에 근거한 고관절 골절 환자수를 수집, 분석하여 실제 골절 발생률과 연령 표준화 골절 발생률을 구하여 비교해 보았다. 결과: 2007-2012년간 50세 이상 인구에서 고관절 골절의 10만 명당 실제 발생률은 2007년 남자 178명, 여자 350명이었고 2012년 남자 194명, 여자 418명이었다. 10만 명당 연령 표준화 발생률은 2007년 남자 197명, 여자 281명이었고 2012년 남자 206명, 여자 310명이었다. 관찰 기간 동안 실제 발생률과 연령 표준화 발생률은 모두 증가 추세를 보였으나 연령 표준화 발생률은 2010년을 정점으로 하여 증가 추세가 다소 둔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연령 표준화 발생률을 성별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때, 여성에서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결론: 우리나라 50세 이상 인구에서 최근 고관절 골절 발생률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연령 표준화 발생률은 여성에서만 유의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증가 추세는 2010년을 기점으로 둔화되고 있다. Purpose: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urrent trend in incidence rates of hip fractures among patients aged 50 years and older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data on the population, collected by Statistics Korea within the different gender and age groups in total population of Korea from 2007 to 2012.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10 classification method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was used to investigate the number of patients with hip fractures, and determine the crude incidence rate (CR) and the age-adjusted incidence rate (AR) for comparison. Results: The CR of hip fractures for patients aged 50 years and older was 178 per 100,000 for men and 350 per 100,000 for women in 2007. In 2012, the CR was 194 per 100,000 for men, and 418 per 100,000 for women. The AR was 197 per 100,000 for men and 281 per 100,000 for women in 2007. In 2012, the AR was 206 per 100,000 for men, and 310 per 100,000 for women.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the AR and the CR of hip fractur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However, the increasing trend has been slowing since its peak in 2010. Comparison of the AR of men and women,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only for women. Conclusion: In Korea, the incidence of hip fracture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2007 to 2012. The AR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only for women and the increasing trend is slowing down from 2010.

      • KCI등재

        한국 암발생률의 모형화 및 추계

        심현우,최양호 한국자료분석학회 201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6 No.6

        In life insurance, it is crucial to precisely forecast risk rates that a risk event might occur, but due to the long-term nature of policy term of life insurance, there has been difficulty in forecasting, or predicting changes in risk rates as a function of time. Accordingly, a lot of efforts in life insurance have been focused on ratemaking and rate forecasting, and specifically with regard to death that is the most fundamental risk event in life insurance, many studies have progressed on forecasting its mortality, an incidence rate of death. The most well-known forecasting model, Lee-Carter model, has been very successful in stochastically explaining and predicting change in such mortality by periods. With regard to disease that is considered as the second most important risk event in life insurance, however, there is in fact shortage or lack in studies on forecasting such risk. In this study, we try to model cancer incidence rates by ages, and by time series analysis we forecast a cancer incidence index including its confidence intervals for the period of 10 years from year 2012. Finally, we predict cancer incidence rates by ages for the same period. The analysis shows that there is a similar pattern of increasing cancer incidence rates for all ages, regardless of ages groups that they belong to, and that the rate of increase is the highest for age 30-34, and the lowest for age 70-79. 생명보험에서는 위험사건이 발생하는 확률인 위험률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그 위험을 보장하는 보험의 보장기간이 장기인 경우가 대부분이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위험률의 변화에 대한 예측, 즉 추계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생명보험에서는 과거 위험률 산출 및 미래 위험률 예측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는데, 생명보험에서 다루는 가장 기본적인 위험사건인 사망에 대해서는, 그 발생확률인 사망률을 예측하는 분석이 많이 이루어져 왔다. 특히, 여러 통계적 추계 방법 중 가장 잘 알려진 Lee-Carter(LC) 모형은 많은 국가의 인구통계에 대하여, 사망률의 경과기간별 변화를 확률적으로 설명하는 데에 매우 성공적이었다. 그러나 두 번째로 큰 위험사건으로 간주되는 질병에 대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추계 모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 LC 모형과 같은 일반화선형모형에 기반하여, 질병 중 가장 많은 발생빈도를 가지는 암의 연령별 암발생률을 모형화하고, 2012년부터 10년간 암발생률 지표를 신뢰도 구간을 포함한 시계열로 예측하여 보았으며, 동 기간의 연령별 암발생률을 추계해 보았다. 분석 결과, 연령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암발생률의 상승 패턴이 관측되었으며, 암발생률의 증가 속도는 30-34세가 가장 높으며 70대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SCOPUSKCI등재

        한국인 크론병 환자에서 치루의 발생 빈도와 자연 경과

        김자영 ( Ja Young Kim ),양석균 ( Suk Kyun Yang ),변정식 ( Jeong Sik Byeon ),명승재 ( Seung Jae Myung ),최재원 ( Jae Won Choe ),조지윤 ( Ji Yun Jo ),양동훈 ( Dong Hoon Yang ),조윤경 ( Yun Kyung Cho ),김진호 ( Jin Ho Kim ) 대한장연구학회 2006 Intestinal Research Vol.4 No.1

        목적: 치루는 크론병의 흔한 합병증으로서 서양의 연구에서는 발생빈도가 13-38%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인 크론병 환자에서 치루의 발생빈도와 자연경과를 밝히기 위해 시행되었다. 대상 및 방법: 1989년 6월부터 2005년 2월 사이에 서울아산병원 염증성 장질환 클리닉에서 진료받은 613명의 환자들 중 2개월 미만의 추적관찰을 한 경우를 제외한 총 546명을 대상으로 치루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전체 546명의 환자(남자 355명, 여자 191명) 중 265명(48.5%)에서 355회의 치루가 발생하였다. 크론병의 다른 증상 없이 첫 증상으로 치루가 나타난 환자는 82명(15.0%)이었고, 치루가 발생한 265명 중 205명(77.4%)은 크론병 진단 이전 또는 진단 당시 치루가 있었다. 치루의 누적 발생률은 1년에 40.7%, 5년에 48.2%, 10년에 55.3%, 20년에 62.1%였다. 치루의 치료에 있어서 내과적 치료는 첫 번째 발생한 치루의 경우는 22.6%에서, 재발한 치루도 포함하여 계산할 경우는 30.7%에서 행해졌다. 또한 첫 번째 발생한 치루에 대한 수술률은 87.5%였으며, 재발한 치루도 포함하여 계산할 경우 수술률은 80.8%였다. 치료 성공률은 내과적 치료의 경우 첫 번째 발생한 치루의 경우는 21.7%, 재발한 치루까지 포함한 경우는 23.9%였고, 외과적 치료의 경우는 각각 84.5%, 83.6%였다. 265명의 치루 환자 중 77명(29.1%)에서 2회 이상 치루가 발생하였으며, 치루의 누적 재발률은 1년에 10.1%, 5년에 26.9%, 10년에 42.4%, 20년에 68.8%였다. 결론: 한국인 크론병 환자에서 치루의 발생률은 서양의 보고에 비해 높은 것으로 보인다. 특히 크론병의 진단에 앞서 치루가 나타나는 빈도가 매우 높으므로 치루 환자에서 크론병의 가능성을 염두에 둔다면 크론병 진단까지의 기간을 줄일 수 있겠고, 적절한 치료를 통해 항문협착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의 발생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We perform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and natural history of perianal fistulas in Korean patients with Crohn`s disease (CD). Methods: A total of 546 patients diagnosed with CD at Asan Medical Center were included. Results: Perianal fistulas occurred in 265 patients (48.5%), with 355 episodes. Eighty-two patients (15.0%) initially presented with perianal fistulas in the absence of other symptoms suggestive of CD. Out of 265 patients who developed perianal fistulas, 205 (77.4%) presented with perianal fistulas before, or at the time of, the diagnosis of CD. The cumulative incidence of perianal fistulas at 1, 5, 10, 20 years was 40.7%, 48.2%, 55.3% and 62.1%, respectively. Medical treatment was done in 30.7%, and surgery in 80.8% of perianal fistulas. The remission rate was 23.9% with medical treatment, and 83.6% with surgery. At least 1 recurrent fistula occurred in 77 patients (29.1%). The cumulative recurrence rate of perianal fistulas at 1, 5, 10, 20 years was 10.1%, 26.9%, 42.4% and 68.8%,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incidence of perianal fistulas in Korean patients with CD appears to be higher than that of Western patients. Also, the proportion of patients who develop perianal fistulas before the diagnosis of CD is very high. Therefore, we should consider the possibility of CD in patients with perianal fistulas to manage them properly, and thereby to reduce there complications. (Intestinal Research 2006;4:22-31)

      • P-83 폐암환자에서 수술 및 항암/방사선 치료 후 만성 감염성 폐질환의 발병율 분석

        조은영,이현,이경종,엄상원,김호중,정병호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7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4 No.-

        배경: 폐암 환자들의 장기생존률이 증가함에 따라서 폐암 환자에서의 결핵(tuberculosis; TB), 비결핵항산균 폐질환(nontuberculous mycobacterial lung disease; NTM-LD), 만성 폐아스페루질루스증(chronic pulmonary aspergillosis; CPA)와 같은 만성 감염성 폐질환의 발생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폐암 치료 후 만성 감염성 폐질환 발생률에 대해 알려진 바는 적다. 본 연구는 폐암 환자에서 치료 이후 TB, NTM-LD, CPA등의 만성 감염성 폐질환의 발생률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방법: 2011년부터 2014년 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폐암으로 치료받은 8,354명의 환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폐암 환자 8,354명 중 4,778명은 수술을, 4,905명은 항암치료를, 2,120명은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폐암 치료 시작 이후 평균 2.2년의 관찰 기간 중 83명에서 만성 감염성 폐질환(TB = 35명, NTM = 31명, CPA = 27명)이 발생하였다. 83명의 평균 연령은 69세 였으며 72%가 남자였고 69%가 흡연가였으며 24%에서 과거 TB 치료력이 있었다. 폐암 치료 후 3년째 각 만성 감염성 폐질환의 누적발생률을 보면, TB는 수술을 받은 경우 0.4%, 항암치료를 받은 경우 0.7%, 방사선치료를 받은 경우 1.3%였고, NTM은 각 치료 모두 0.4%, CPA는 수술을 받은 경우 0.5%, 항암치료를 받은 경우 0.4%, 방사선치료를 받은 경우 1.9%였다. 또한 만성 감염성 폐질환 전체의 3년째 누적발생률은 수술 후 1.3%, 항암치료 후 1.4%, 방사선치료 후 3.4%였다. 결론: 폐암 치료 종류에 따라 각 만성 감염성 폐질환의 누적발생률의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방사선 치료 후 만성 감염성 폐질환의 발생률이 높았다.

      • KCI등재

        Clostridium difficile 감염의 발생률 및 임상 양상; 단일기관 연구

        이진호 ( Jin Ho Lee ),이수연 ( Su Yeon Lee ),김유선 ( You Sun Kim ),박선욱 ( Sun Wook Park ),박성원 ( Sung Won Park ),조소영 ( So Young Jo ),류수형 ( Soo Hyung Ryu ),이정환 ( Jung Hwan Lee ),문정섭 ( Jeong Seop Moon ),황동희 ( Don 대한소화기학회 2010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5 No.3

        목적: Clostridium difficile 감염(C. difficile infection, CDI)은 병원성 설사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항생제를 많이 사용하거나 주위 환경이 C. difficile 포자로 감염된 경우 발생빈도는 증가한다. 최근 유럽과 북미에서 CDI의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어 저자들은 국내에서 CDI의 발생률의 변화에 대해 파악하고자 했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6년간 서울백병원에서 입원한 환자 중 CDI로 진단된 18세 이상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 분석하였다. CDI의 진단은 설사와 함께 대변검사에서 C. difficile toxin이 양성이거나 C. difficile이 동정된 경우 또는 위막 대장염이 진단된 경우로 정하였다. 2003-2005년을 초반기군으로, 2006- 2008년을 후반기군으로 나누어 발생률, 재발률 및 임상 경과를 비교했다. 결과: CDI의 발생률은 전반기군에서 입원 환자 만 명당 21.73명이었으며 후반기군은 입원환자 만 명당 71.71명으로 초반기군보다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p<0.01). CDI 발생 시 재원기간은 후반기군에서 전반기군에 비해 짧았고(p<0.01) 원인 항생제로는 cephalosporin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재발률은 두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며(p=0.973), 재발과 연관된 인자는 혈청 알부민 수치였다. 결론: 이번 연구는 6년 동안 CDI의 증가된 발생률을 관찰한 단일 기관 연구이다. CDI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는 인식이 이 질환의 관리에 중요한 초석이다. Background/Aims: Clostridium difficile is the predominant cause of nosocomial diarrhea. Recently, the incidence of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CDI) increases in Europe and North America.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hange of incidence and clinical features of CDI in Korea. Methods: From January 2003 to December 2008, inpatients diagnosed with CDI in Seoul Paik hospital were enrolled. The diagnosis of CDI was made when patients complained diarrhea with any positive results in C. difficile toxin assay, stool culture, or endoscopy. The incidence, recurrence rate, and clinical features were compared between early period (2003-2005) and late period (2006-2008). Results: The incidence of CDI was 21.73 cases per 10,000 admitted patients in early period group, and significantly increased to 71.71 cases per 10,000 admitted patients in late period group (p<0.01). The hospital stay duration at the time of CDI diagnosis was shorter in late period group. Cephalosporin had the highest ratio as the causative antibiotics of CDI.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currence rate between early and late period groups. Recurrence associated clinical factor was serum albumin level. Conclusions: The incidence of CDI showed increasing tendency during recent 6 years. The awareness of increasing disease burden is the first step in control of CDI. (Korean J Gastroenterol 2010;55:175-182)

      • KCI등재

        태권도 선수의 훈련 중 손상 발생 및 원인 조사

        임정준 ( Lim Jungjun ),박소영 ( Park Soyoung ),이온 ( Lee On ) 국기원 2022 국기원태권도연구 Vol.13 No.2

        목적 태권도 선수들의 성별, 연령 그룹, 선수 경력에 따른 손상 빈도, 손상 발생 부위, 손상 원인(내적, 외적), 손상 발생 후 훈련 중단 기간, 손상 발생률의 차이를 확인하여 손상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대한체육회에 등록된 태권도 선수를 모집단으로 하여 비확률표집의 할당표본으로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Google)를 실시하여 최종 449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Stata/SE version 17.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449명의 태권도 선수 중 164명(36.5%)이 손상 경험이 있으며, 성별에 따라 손상 빈도 및 손상 발생률의 차이가 나타났다(p<.05). 또한, 연령별 손상 빈도와 손상 발생률의 차이는 발생되지 않았으나, 선수 경력이 증가할수록 손상 발생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선수의 주된 손상 발생 부위는 성별, 연령, 선수 경력과 관계없이 하지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되었다. 선수의 손상 발생의 원인 중 내적요인은 자신 또는 상대방의 타격, 기술, 반칙이 가장 많았으며, 외적요인은 재발로 인한 손상이 가장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 손상의 경우 일주일 이상 훈련을 중단하는 주된 손상 부위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성별과 선수 경력, 그리고 손상의 주된 원인을 고려한 손상 예방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ing the frequency, location, cause, rate of injuries, and the duration of training interruption after injury according to sex, age, athlete’s career in Taekwondo athletes. Method The subjects who were registered as Taekwondo athletes at the Korean Olympic Committee were used as the population, and subjects were extracted a quota sample from the population. We collected the data via online survey(Google), and 449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We conducted a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hi-squared test using Stata/SE statistics program(version 17.0.). Results It was found that 164(36.5%) of the 449 Taekwondo athletes have had injuries,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frequency and incidence rate of injuries according to sex(p<.05). In add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jury frequency and injury rates by age, but the injury rate increased as the athlete's career increased(p<.05). The main injury area of the athlete occurred most frequently in the lower extremities irrespective of sex, age, and athlete's career. Among the causes of injuries, internal factors were the most frequent result of me or the opponent’s hitting, skills or fouls. External factors were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 damage due to recurrence. In the case of lower extremity injury, it was found to be the main injury area that stopped training for more than a week.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program to prevent sports injuries in Taekwondo athletes should be developed in the future.

      • KCI등재

        국가대표 선수들의 훈련 기간 동안 발생한 스포츠 손상 분석

        김은국,김태규,Kim, Eun Kuk,Kim, Tae Gyu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4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에서는 엘리트 운동선수들이 국가대표 선수로써 공식적으로 수행한 훈련 기간 동안 발생한 스포츠 손상에 대해 종목별로 분석하였다. 국가대표 선수들을 진료하고 관리하는 의사, 물리치료사 및 종목별 트레이너들은 훈련도중 발생한 모든 스포츠 손상을 보고서 양식에 기록하였고, 이 중 기존에 이환되어 있는 만성 스포츠 손상을 제외한 급성 및 재발성 스포츠 손상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1년간 총 3,421건의 스포츠 손상이 발생하였고, 이 중 1,560건은 급성 스포츠 손상, 1,861건은 재발성 급성 손상이었다. 남자 선수와 여자 선수에서 급성 스포츠 손상이 가장 많이 발생한 종목은 각각 복싱과 하키였다. 남자 선수와 여자 선수에서 재발성 급성 스포츠 손상이 가장 많이 발생한 종목은 각각 레슬링과 펜싱이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국가대표 선수들의 공식적인 훈련기간 동안 발생한 종목별 스포츠 손상과 관련된 특징 및 발생률 (incidence rates)에 대한 다양한 분석 결과를 포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들의 훈련 중 발생하는 스포츠 손상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마련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ports injuries which occurred in Korea National Team during official training period. All sports injuries are recorded on injury report form by physicians, medical staffs and athletic trainer, and only acute and recurred injuries were analyzed. Total 3,421 injuries were reported, and 1,560 injuries were newly incurred and 1,861 injuries were recurrent with previous history. The frequency of new injuries in male and female athletes was highest in boxing (n=130, 14.5%) and hockey (n=75, 11.3%) respectively. The frequency of recurred injuries in male and female athletes was highest in wrestling (n=147, 14.8%) and fencing (n=103, 11.9%) respectively. Our data provides incidence rates, characteristics of acute and recurrent sports injuries during official training period and thus these results could provide relevant information for the sports injury prevention at Korea National Team player.

      • 다약제 내성균 발생빈도와 감염요인에 관한 연구 : 1개 종합병원 의무기록지를 이용한 분석

        안혜진,김정순 서울大學校保健大學院 1995 國民保健硏究所硏究論叢 Vol.5 No.2

        최근 근래에 항생제 내성균 감염증의 빈도와 규모가 점진적으로 커져가고 있다. 이런 항생제 내성의 빈도가 증가하는 것은 균주의 특성, 항생제 사용으로 인한 도태압력, 항생제 내성 균주의 전파를 촉진시키는 사회상, 기술상 변화들의 조합의 기인하다. 항생제 내성은 결국 질병상태, 사망상태, 보건 관리비용을 증가시키고, 특히 면역 기능이 저하된 환자들에서의 감염 치료에 점차 증대하는 압박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1990년-1994년 까지 1個 종합병원 의무기록지를 통해 다약제 내성균의 발생 현황을 파악하고 다약제 내성균 감염에 관련된 위험요인을 알아보았다. 1. 전체 균주의 다약제 내성균 발생빈도는 6.3%이며, 이중 그람양성균의 발생빈도는 1.7%, 그람 음성균의 다약제 내성균 발생빈도는 7.8%이다. 2. 연도별 발생빈도는 1991년에서 1994년까지 특별한 추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3. 균주별로 다약제 내성균이 발생되고 있는 빈도는 Pseudomonas가 16.3%로 가장 높고, Serratia 속이 12.7%. Acinetobacter가 6.9%로 높은 다약제 내성균 발생빈도를 보였는데, 특히 Acinetobacter는 발생빈도의 경향 역시 뚜렷한 증가 추세를 보였다. 병원내 감염의 주원인을 이루는 그람 음성 균주들이 비교적 높은 다약제 내성균 발생빈도를 보였다. 4. 가장 많이 가장 높은 다약제 내성균 발생빈도를 보이는 검체 부위는 소변으로 전체 다약제 내성균주의 94.5%가 소변에서 배양된 것이고, 소변에서 배양된 모든 균주 중 7.4%에서 다약제 내성균이었다. 5. 다약제 내성균주가 배양된 사람 중 36%에서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다약제 내성 균주가 배양되었다. 6. 다약제 내성균 감염 위험 요인으로 입원. 1개월 이상의 장기 입원, 각종 처치술, 항생제의 종류에 상관없이 항생제 사용, 3개 이상의 항생제의 복합사용, 31일 이상의 항생제의 장기 투여, 과거에 사용한 항생제 개수가 많을수록 등 이 다약제 내성균 감염의 위험요인으로 분석되었다. In the last several years, the frequency and spectrum of antimicrobial resistant infections have increased in both the hospital and the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multidrug resistant antimicrobials and find out the risk factors for infection with multidrug resistant microbials. The source of this study is the medical records from 1990 to 1994 in a district general hospital. The major findings of this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ercentages of multidrug resistant strains are 6.3%, and it has little changing tendency over time during the study period. 2. The percentages of G(+) multidrug resistant strains are 1.7%, and that of G(-) multidrug resistant stains are 7.8%. 3. The most frequently isolated strains from various specimens are pseudomonas(16.3%), and serratia (12.7%). 4. The multidrug restistant strains are found in urine most frequently. 5. The risk factors of multidrug resistant microbial infection were tested by comparison of two groups, one was all resistant group and the other was highly sensitive group. In patients, duration of hospitalization, antibiotic therapy, presence of instruments, the kinds of instrumentation and antibiotics, the number of antibiotics used at present and past were appeared very significant risk factors of multidrug resistant microbial inf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