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의 인식, 만족도 및 학습 성과로서의 학습역량 측정

        김남희,정미애 한국교양교육학회 2018 교양교육연구 Vol.12 No.6

        This study explored 704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s of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i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n the quality of teaching and a variety of methods used by instructors of general education was positive. Second, students’ high-order competencies showed lower than the other competencies. The competence of cooperation with others was high while the perceptions on the learning outcomes of competence of mathematical problem analysis, usage of the perceptions IT resources, globalization, and employment were low. Third, the overall satisfaction on general education was medium. Third, compared with the findings from previous studies, the levels of all the factors in this current study were higher. Based on the finding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to improve general education were suggested.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activities for students to do self-directed learning. Second, a variety of evaluation methods and feedbacks on assignments and tasks should be provided. Third, courses for improving competences of high-order problem solving, and usage of IT resources need to be offered. In addition, since the quality of teaching and students’ interaction with instructors highly affected the satisfaction of general education, boost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providing efficient methods for explaining course contents, and supporting adequate and various learning materials should be considered for better quality of general education. 본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 과정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및 만족도, 학습성과에 대해 조사하여 대학 교양교육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총 704명의 대학생들이 참여하여 설문조사에 응답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 석,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생들은 교양수업 담당 교수들이 다양한 수업방법을 활용하고 있으며 강의 의 질에 대한 인식도 비교적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고차원 능력의 강조에 대한 인식은 다른 지표 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학생들은 교양교육을 통해 팀원으로 활동하는 능력이 배 양되었다고 인식하는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사소통 능력에 기여하였다고 인식하는 정 도가 뒤를 이었다. 반면, 수리적 문제 분석, IT자원 활용 능력 및 국제화 역량, 그리고 취업역량 배양에 대한 교양교육의 학습 성과에 대한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교양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보통 정도를 보여주었다. 셋째,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선행연구와 비교해 본 결과, 대부분의 지표에서 학생들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상향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교양 교육과정, 학습활동, 학습 성과 및 교육만족도 사이의 상관관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 중에서 교육만족도와 교육과정 사이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교양교육과정 운영 개선에 대해 몇 가지 점들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첫째, 고차원적인 사고 능력을 통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할 수 있는 수업 방식 및 활동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성적평가 방법의 다양화와 적정성 및 과제에 대한 피 드백 제공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요구된다. 셋째, 학생들은 자신의 수리적 문제 분석 능력, IT자 원 활용 능력 및 국제화 역량, 그리고 취업역량 배양에 교양교육의 기여정도가 많지 않다고 인식하 고 있었으므로 이러한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과의 개설 및 개발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아 울러, 교수의 강의의 질 및 교수와의 교류가 학생들의 교양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 로 나타났으므로 교수자는 학생들의 학습동기 유발, 강의 내용에 대한 효과적인 설명, 적절하고 충분한 학습 자료의 제공을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수업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 KCI등재

        교양 교육과정 현황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및 만족도 분석-C대학교를 중심으로

        허혜연,김미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양 교육과정 현황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및 만족도를 분석하여교양 교육과정의 실질적 개선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양 교육과정 현황에 대한인식 및 만족도 설문 문항을 구성하고, 교수자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기술 통계 및 내용 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교수자들의 교양 교육과정 현황에 대한 인식도가 높은 항목은 ‘교양 교육의 교육 목적과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한 운영’이고, 학습자들의 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도가 높은 항목은 ‘교양 교육이수 체계’이다. 둘째, 교수자들의 교양 교육과정 현황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항목은 ‘컨설팅 진단 결과에 따른 변화’이고, 교양 교육의 변화 및 교양 교육 질 관리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학습자들의 교양 교육과정현황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항목은 ‘교양 교육 이수 체계’이고, 다양한 교과목을 이수할 수 있도록영역이 구성되어 있고, 희망하는 교과목을 선택하여 들을 수 있기 때문이라 답하였다. 셋째, 학습자는 교수자보다 ‘C대학의 교양 교육 이수 체계’에 대한 인식도가 높고, ‘교양 교육이교육 목적과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운영’에 대한 만족도와 ‘교양 교육 이수 체계 운영’ 에 대한 만족도가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양 교육과정 운영의 질 개선 방안에 대한 함의 및 추후연구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대학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 만족도 및 교육과정 개선요구에 관한 연구

        박주호,유기웅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cepts, contents, satisfaction and future curriculum needs for instructors, students, and workers for college general education. Using an online survey, this study recruited 441 subjects (125 instructors, 135 students, 181 workers) from the various universities and companies. We conducted analysis of variance (ANOVA) for multiple comparisons and Important-Performance Analysis (IPA) for measuring and comparing the importance, satisfaction, and future needs of college general education.The analyses show that the overall college general education satisfaction is low. With regards to the concepts and contents of college general educ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ormation of the whole and autonomous human beings and general education that seeks the truth in knowledge are emphasized in college general education.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area of humanities,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should be taken more into account when preparing and developing future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in colleges. Further more, IPA shows that there are increasing needs for the academic subjects like classics emphasized life of human beings and intellectual heritage, the state-of-the-art and critical issues of the contemporary world, and courses for every students to challenge them at every level. 본 연구에서는 교양교과를 현재 담당하고 있는 전국의 41개 대학 소속 교수125명 및 학생 135명, 그리고 국내 20개 대 기업 소속 대졸직장인 181명을 대상으로 교양교육의 개념 및 내용적 차원의 범위에 관한 인식 정도, 교육만족도, 그리고 교양교육과정 운영의 개선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우선, 교양교육의 개념적 범위 인식정도와 교양교육 만족도 조사를 위해 교양교과를 담당하고 있는 교수, 대학생, 그리고 직장인들 간 차이가 있는지 여부는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여 확인하였다. 그리고 현재 실태 수준(as-is)과 바람직한 미래수준(to-be)을 측정하는 8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교양교육과정 개선 요구도 자료는 IPA(Important Performance Analysis) 매트릭스 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양교육의 개념 및 범위에 대한 인식의 경우, 교수집단이 학생 및 직장인 집단에 비하여 ‘전인적인 인격체로서의 인간형성에 초점’을 두거나 ‘전공교육에서 성취하기 어려운 보편적 지성교육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는 면에서 더 높은 인식을 보여 주었다. 반대로 학생이나 직장인의 경우, 교양교육을 응용학문이나 실용적 차원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더 높았다. 교양교육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세 집단 모두 상당히 낮은 수준을 보여 주었고, 특히 학생집단 보다 교수집단이 보다 더 낮은 만족도를 보여 주었다. 교양교육에서 다뤄야할 내용에서는 세 집단 모두 인문사회 및 자연과학(문학, 역사, 철학, 언어학, 경제학, 정치학, 사회학, 심리학, 수학, 물리학, 화학, 생물학 등)을 예체능 영역이나 진로취업 분야 보다 더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한다고 응답했다. 교양교육과정의 개선 요구도에 있어서도 세 집단 간에 차이는 크게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성 교과 면에서 인류의 지적 유산과 관련된 고전적인 내용 반영 교과와 시대적 변화를 고려한 최신 내용을 반영 교과목을 보다 더 많이 편성해야 함을 요구도로 보여 주었다. 그리고 교양교육을 저학년에 만 편중해서 편성 운영하기보다는 대학 전 학년에 골고루 편성할 필요가 있음도 개선 요구사항으로 보여 주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대학교양교육과 관련하여 교수, 학생, 직장인 간에 개념 및 내용범위에 있어 인식의 차이가 있다는 점과, 세 집단 모두 교양교육의 낮은 만족도, 그리고 교육과정에서 편성할 교과목과 학년별 교양교과목 편성에 있어 개선을 요구하고 있음을 밝혔다.

      • KCI등재후보

        기독교대학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아세아연합신학 대학교를 중심으로

        이수인 ( Lee Soo In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17 ACTS 신학저널 Vol.31 No.-

        대학에서의 교양교육은 갈수록 중요성이 더해가고 있으며 기독교정신과 기독교세계관을 지닌 지도자를 양성한다는 목적으로 설립된 대다수의 기독교대학에서는 더욱 더 중요한 교육의 영역으로 인정받고 있다. 본 연구는 교양교육의 본질과 올바른 방향을 점검함과 동시에, 현재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 교양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해 인터넷을 통한 진행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먼저 교양교육의 영역별로 학생들이 얼마나 많은 과목을 수강했는지 조사한 결과 외국어 영역과 인문과학 영역이 가장 높았고, 과학과 기술 영역과 사회봉사 영역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교양교육에 대해 학생들은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도에 비해 만족도가 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학생들이 가장 시급하게 개선을 바라는 항목은 `보다 다양한 교양과목이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것`이었다. 또한 학생들이 교양과목을 저학년에 들어야 한다는 것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지 않았고, 또 그에 대한 만족도도 낮았다. 교양교육을 담당하는 교수들의 교수방법이나 교 과 과정 운영방식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보면, 교수들이 학생들에게 열정적으로 가르치고 또 설명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요도-만족도 분 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결과 학생이 수업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동기를 유발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 막으로 학습성과에 대한 인식을 보면 대체로 학생들이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지식이나 능력은 잘 교육되고 있었으나, 학생들이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지 않는 영역은 그 만족도 역시 떨어지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특히 수리적 (수량적) 문제 분석 능력은 가장 낮은 중요도와 만족도를 기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tudents` perception on the satisfaction, learning experiences, and learning outcomes of general education. Using an online survey, this study recruited 735 students from a Christian university, and conducted analyses of frequency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for measuring satisfaction and future needs of college general education. The analyses demonstrate that many students took classes in foreign language and humanities areas and that natural science should be taken more into account. Also, the overall college general education satisfaction is low, since the participants desired to take more various liberal arts courses. With regard to the instructors of general education, the participants generally satisfied the instructors` teaching; however, the IPA showed that strong motivating factors for most students were still needed. Lastly, perception on the learning outcomes of general education demonstrated that greater importance led to greater satisfaction.

      • KCI등재

        대학 신입생의 대학몰입과 학습참여가 교양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주소영,정연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one attempt to improve of quality of general education and to provide college freshmen with the most required educational experience,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ollege freshmen’s institutional commitment and student engagement on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To do so, from 20th May 2019 to 31st May 2019, 465 freshmen enrolled in I College(4-year-course college) located in Incheon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s, ‘institutional commitment’ and ‘student engagement’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wa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each personal variable were compared, and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showed no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It was found that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showed a difference according to ‘major field’, and that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involved in the engineering and other fields was higher than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involved in the humanities field. Secondly, it was found that not only ‘institutional commitment’, but also ‘student engagement’,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Thirdly, it was found that 38% of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was explained by not only ‘institutional commitment’, but also ‘effective teaching’ and ‘integrative learning’, sub-factors of ‘student engagement’, an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relative contribution, it was found that ‘effective teaching’ had the highest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and that the 'institutional commitment' having the second and the 'integrative learning' having the third highest influences on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교양교육의 질적 제고를 도모하고, 신입생에게 가장 필요한 교육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시도로, 대학 신입생들의 대학몰입과 학습참여가 교양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2019년 5월 20일부터 2019년 5월 31일까지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4년제 I 대학의 신입생 기초필수교과목 수강자 중자발적 참여자 465명을 대상으로 대학몰입과 학습참여를 독립변인으로 설정하고, 교양교육 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하여 개인변인에 따른 차이 비교를 위해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서는 교양교육 만족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계열에 따라서는 교양교육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학계열과 기타계열의 교양교육 만족도가 인문계열의 교양교육 만족도보다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몰입과 학습참여는 교양교육 만족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양교육 만족도의 38%를 대학몰입과 효과적 교수, 통합적 학습이 설명해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기여도를 확인한 결과 효과적 교수, 대학몰입, 통합적 학습 순으로 교양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대학 인문교양교육에 대한 만족도 및 수업효과에 대한 인식 분석 – A 대학을 중심으로

        김무영,김민영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1

        This study aims to analyze students’ perception, satisfaction, course of liberal education of humanities,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methods and learning outcomes of liberal education of humanities and to propose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a liberal education of humanities in A university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majority of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to shaping the humanities, thinking that the values offered by the humanities were important in the current era, and that their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improved. On the other hand, the negative response was higher than the other questions about the thought of taking a humanities lecture and the necessity of credit. Second,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asking about recognition of the humanities and liberal arts curriculum and the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contents and level of the university's humanities lectures showed a lot of positive responses. However, the negative opinions on motivation, teaching method, and interaction are relatively high, and the related subjects need to be supplemented. Third,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about learning outcomes of participants in the liberal arts lecture, the class showed positive responses to the formation of humanities related concepts or knowledge, interest in social phenomena and community importance, creativity and rational decision making. Lastly, as for the satisfaction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and the relations with the related factors, the better the composition and course composition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for the satisfaction of the general liberal arts curriculum, and the better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 greater the individual ability. The more they helped,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to improve liberal education of humanities were suggested. First, there is a need to develop curricula and programs that can enhance humanities education. Second, it is urgent to develop teaching methods for humanities that can induce students' interest and interest. Third, it is necessary to raise awareness that liberal arts education will be the foundation for being a talented person who is faced with employment and needs self-reflection, social cooperation and ability to solve problems through future situation rather than help in the situation. 이 연구에서는 A대학의 인문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인문교양교육의 중요성, 전반적인 만족도, 교육과정, 교수학습 및 평가방법, 수업효과 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인문교양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인문교양교육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결과, 대다수의 대학생들이 인문학적 소양을 형성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고, 인문학이 제시하는 가치들이 현 시대에 있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또한 협업 역량과 의사소통 역량이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반면 인문학 수업을 수강할 의사와 학점 이수의 필수성에 대해서는 타 질문에 비해 다소 부정적인 대답이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인문교양 교육과정과정과 교수 학습 및 평가 방법에 대한 인식을 묻는 설문 결과, 대학의 인문학 강의의 내용이나 수준은 긍정적인 응답을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문교양 교과 담당교원에 있어서는 비교적 긍정적인 응답들이 많이 나타났으나, 동기부여, 수업방식, 상호작용에 있어 부정적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아 관련 교과 담당교원들이 보완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인문교양 교과 참여자의 수업효과에 대한 인식을 묻는 설문 결과, 수업을 통해 인문학 관련 개념이나 지식의 형성, 사회 현상과 공동체의 소중함에 대한 관심, 창의성과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대해서 긍정적인 응답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문교양 교육과정 만족도 및 관련 요인들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인문교양교육과정 전반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인문교양 교육과정 편성 및 강좌 구성이 좋을수록, 교수학습 및 평가방법이 좋을수록 개인 능력 신장에 도움이 될수록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인문교양교육과정 운영 개선에 대해 몇 가지 점들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첫째, 인문교양교육을 강화할 수 있는 교과목 및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인문교양 교육방법론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취업이라는 직면하고 상황에의 도움보다 미래사회에 필요한 자아 성찰, 사회적 협력과 이를 통해 문제들을 해결하는 능력 등을 가진 인재가 되기 위해서는 인문교양교육이 그 밑거름이 될 것이라는 인식을 심어 줄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이공계 신입생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 회복탄력성과 교양교육 만족도의 관계

        정연재(Jeong, Yeonjae),주소영(Joo, So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4

        목적 본 연구는 이공계 신입생의 원할한 학업적응과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이공계 신입생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 회복탄력성과 교양교육 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방법 이를 위해 2020년 10월 19일부터 10월 27일까지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4년제 I대학의 이공계 신입생 중 교양 기초필수 교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24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SPSS 26.0과 AMOS 16.0을 사용하여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이공계 신입생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 회복탄력성과 교양교육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은 교양교육 만족도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대처의 경우 하위요인에 따라 교양교육 만족도와의 상관관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적극적인 대처와 관련된 요인의 경우 교양교육 만족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소극적인 대처와 관련된 요인의 경우 교양교육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공계 신입생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 회복탄력성과 교양교육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본 결과 회복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는 교양교육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은 회복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를 매개로 하여 교양교육 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이공계 신입생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확고한 믿음을 갖추고, 적극적인 자세로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극복하며, 문제 상황을 접하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유연하게 대처하는 경우 교양교육에서의 만족도와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 of self-efficacy, stress coping, resilience, and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of freshmen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as the basic data for academic adjustment and successful university life of freshmen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Methods For this, from October 19th to October 27th 2020,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otal 246 freshmen who were taking the basic required subjects of general education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of four-year- course I university locat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SPSS 26.0 and AMOS 16.0.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correlations of self-efficacy, stress coping, resilience, and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of freshmen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both self-efficacy and resilience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The stress coping showed different correlations with the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according to its subfactors. The factors related to active coping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while the factors related to passive coping showed no correlations with the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Secon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structural relations of self-efficacy, stress coping, resilience, and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of freshmen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the resilience and stress coping had direct effects on the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and the self-efficacy had indirect effects on the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resilience and stress coping. Conclusion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freshmen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will be able to increase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in general education if they have a firm belief in their abilities, manage and overcome stress with an active attitude, and respond flexibly without giving up even if they encounter problem situations.

      • KCI등재

        전문대학 재학생의 전공 만족도, 수업 참여 태도, 교양교육 만족도 간의 관계 분석

        박주연,우영식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Class Participation Attitude, and Liberal Arts EducationSatisfaction of Junior College StudentsJooyeon Park & Youngsik Woo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lass participation attitude, liberal arts education satisfaction, and the influence and mediating effect of junior college students on liberal arts education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777 students at K college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verified technical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variance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s using SPSS 22.0 and jamovi 2.3.12, and Process macro. As a result of the study, major satisfaction, class participation attitude, and liberal arts satisfac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and a significant positive partial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liberal arts satisfaction and the parameters of class participation attitude. Final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data for developing and operating the liberal arts curriculum by identifying factor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of junior college students. Key Words: Junior College Student, Major Satisfaction Level, Class Participation Attitude,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전문대학 재학생의 전공 만족도, 수업 참여 태도,교양교육 만족도 간의 관계 분석 박 주 연*ㆍ우 영 식**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전문대학 재학생의 전공 만족도와 수업 참여 태도, 교양교육 만족도 간의 관계와 교양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및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연구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K전문대학 재학생 177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고 SPSS 22.0과 jamovi 2.3.12, 그리고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변인 간의 상관관계분석, 가설검증을 위한 분산분석과 다중 회귀분석,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내용: 전공 만족도, 수업 참여 태도, 교양교육 만족도는 각각 정적인 상관이 있으며, 전공 만족도와 교양교육 만족도의 영향 관계와 수업 참여 태도의 매개변인이 포함된 관계에서도 유의미한 정적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전문대학 재학생의 교양교육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요인을 파악하여 교양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운영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핵심어: 전문대학 재학생, 전공 만족도, 수업 참여 태도, 교양교육 만족도, 교육과정 □ 접수일: 2022년 9월 26일, 수정일: 2022년 10월 6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주저자, 경남정보대학교 교수(First Author, Professor, Kyungnam College of Information & Technology, Email: parkjy@eagle.kit.ac.kr)** 교신저자, 경남정보대학교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Kyungnam College of Information & Technology, Email: wyses@eagle.kit.ac.kr)

      • KCI등재

        학사행정관리자의 대학 교양교육과정 만족도 영향 요인 분석

        신원석,박인우 한국교육방법학회 2012 교육방법연구 Vol.24 No.4

        Studies focusing on liberal education in a college have been done with a macroscopic perspective. There is little research on administrative staff and/or administrative in a college who mainly manage liberal education in a college practically. Thus, this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of administrative staff on liberal education in a college. Survey instrument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do this study. Descriptive and correlation analyses showed the recognition of administrative staff on liberal education.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o verify factors that influence the satisfaction of liber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dministrative staff.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urse organization, support facilities, college self-evaluation, student background, and course management have effects on the satisfaction. In addition, we discussed that administrative staff have enormous interest on the management of liberal education in a college, how they can play a pivotal role in the management of liberal education in their college, and curriculum management system is need to be introduced. 대학의 교양교육과 관련된 연구들은 교양교육에 관해 주로 거시적으로 접근해왔다. 실제 대학에서 교양교육을 운영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학사행정관리자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4년제 대학에서 학사행정을 담당하고 있는 학사행정관지라들을 대상으로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기술통계량과 상관분석 등을 통해 문항 및 요인에서 나타나는 학사행정관리자들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또한, 교양교육과정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한 회귀분석의 결과, 강좌구성, 지원시설, 대학평가, 학생배경, 강좌운영방식이 교양교육과정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 분석을 통해 나타난 대학 내에서 학사행정관리자들의 교양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관심과 그들의 역할에 대한 논의를 통해 학사행정관리자들의 교양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권한과 전문성의 부여 및 교육과정운영시스템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KCI등재

        홀리스틱 교육적 기반의 캠퍼스에서 교양 뷰티과목 수강생들의 외모만족도가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연숙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3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7 No.3

        이 연구는 홀리스틱 교육적 기반의 캠퍼스에서 교양 뷰티과목 수강생들의 외모만족도가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모만족도는 남자가 여자보다, 학년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 모두 하위요인 중 자기만족과 타인 호감 기대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상경계열이 타인 호감기대에서 타 전공계열에 비해 높은 차이를 보였다. 둘째, 학교생활만족도는 남학생이 교우관계, 교육(강의)의 질, 대학생활 전반의 만족에서 높았고, 저학년일수록 복지/행정서비스가, 수강만족 수준이 높을수록 전체 학교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셋째, 외모만족도의 자기만족은 학교생활만족도의 하위변인들 간에 모두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자기평가는 생활전반적인 만족과, 타인 호감 기대는 생활전반적인 만족, 교우관계, 교육(강의)의 질과 의미 있는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넷째,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외모만족도의 요인 중 자기만족이 교우관계, 복지/행정서비스, 교육(강의)의 질, 학교생활 전반적 만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학교생활 전반적 만족에서는 자기평가, 타인 호감 기대, 자기만족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들 전체의 설명력은 88.6%였다. This study aims to seek school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appearance satisfaction and the Liberal Arts Beauty course satisfaction, to support the safe settlement of the Beauty course. Data were collected from N University in Cheonan, from May to June, 2012. In this study, 316 students enrolled in the Beauty course participated in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by SPSS/pc(Ver. 19.0).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examining the appearance satisfaction by socio-demographic background factor, self satisfaction, and other good feeling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More men than women and higher grade level students showed high satisfaction. Secondly, On the differences of school life satisfaction, sex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on friendship, lecture quality, and overall college life. Men and lower grade level students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on the lecture quality, welfare/administration service, and friendship according to the lecture satisfaction level. Thirdly, the low factor's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showed meaningful positive relationships. Lastly, Results showed that self-satisfaction of appearance and satisfaction factors have a positive effect on friendship, welfare/administration service, lecture quality,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The affection level is self-evaluation > other's good feeling expectation > self-satisfaction. The power of explanation was 88.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